압연기능장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0-03-28)

압연기능장
(2010-03-28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임의 구분

1. 두께 200mm, 폭 1800mm, 길이 3000mm의 슬래브를 두께 5mm, 폭 1800mm의 열연 코일로 생산할 경우 코일의 길이는 몇 m인가?

  1. 100
  2. 120
  3. 140
  4. 180
(정답률: 76%)
  • 슬래브의 부피는 다음과 같습니다.

    부피 = 두께 × 폭 × 길이
    = 0.2m × 1.8m × 3m
    = 1.08m³

    이 부피를 열연 코일의 부피로 나누면 코일의 길이를 구할 수 있습니다.

    코일의 부피 = 두께 × 폭 × 길이
    = 0.005m × 1.8m × 코일의 길이

    코일의 길이 = 코일의 부피 ÷ (두께 × 폭)
    = 1.08m³ ÷ (0.005m × 1.8m)
    = 120m

    따라서, 정답은 "12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냉간압연기에서 롤 몸체의 지름을 적게 하는 것이 유리한데 그 이유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재료의 열 변형 때문이다.
  2. 변형 저항이 매우 크고 롤 편평화 심하기 때문이다.
  3. 받침 롤의 접촉을 고려하기 때문이다.
  4. 주형슬래브의 대형화에 따라 물림각도가 크기 때문이다.
(정답률: 89%)
  • 롤 몸체의 지름을 적게하는 것이 유리한 이유는 변형 저항이 매우 크고 롤 편평화 심하기 때문입니다. 이는 냉간압연 과정에서 재료가 더 잘 압축되고 형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가열로에서 폐가스를 이용하여 연소공기를 예열하는 설비는?

  1. Skid Rail
  2. Generator
  3. Burner
  4. 공기 Recuperator
(정답률: 90%)
  • 가열로에서 폐가스를 이용하여 연소공기를 예열하는 설비는 "공기 Recuperator"입니다. 이는 폐가스와 연소공기가 열교환을 통해 열을 전달하면서 연소공기를 예열하는 장치로, 가열로의 효율을 높이고 연료 소비를 줄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전기 청정 작업 중 그리드(Grid)와 응액사이에 먼지나 기체가 부착되어 청정력이 떨어졌을 때 가장 최우선 조치방법은?

  1. 절연유를 삽입한다.
  2. 주파수를 변환시킨다.
  3. 극성을 바꾸어 준다.
  4. 그리드의 전극을 활성화시킨다.
(정답률: 87%)
  • 그리드와 응액 사이에 먼지나 기체가 부착되어 청정력이 떨어졌을 때, 그리드와 응액 사이에 생긴 전기장을 바꾸어 주면 먼지나 기체가 그리드에 부착되어 있던 상태에서 떨어져 나오게 되어 청정력이 회복됩니다. 이를 위해 극성을 바꾸어 주는 것이 가장 효과적인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가열로에서 가열온도가 너무 낮으면 나타나는 현상으로 옳은 것은?

  1. 압하력의 증대
  2. 결정립의 조대화
  3. 스케일로스의 증대
  4. 탈탄의 증대
(정답률: 69%)
  • 가열로에서 가열온도가 너무 낮으면 압하력이 증대됩니다. 이는 물질의 열팽창 계수에 의해 가열로 내부의 공기가 팽창하면서 압력이 증가하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압하력의 증대는 가열로 내부의 물질의 움직임을 방해하고, 가열로 내부의 온도 분포를 불균일하게 만들어서 가열로의 효율을 저하시킵니다. 따라서 가열로에서는 적절한 가열온도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압연(Rolling) 가공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치수 정도의 제어가 어렵다.
  2. 열간압연과 냉간압연으로 구분한다.
  3. 연속생산이 가능하여 생산속도가 높다.
  4. 두 개의 회전하는 롤 사이에 소재를 통과시켜 성형하는 방법이다.
(정답률: 96%)
  • "치수 정도의 제어가 어렵다."가 틀린 것은 아니다.

    압연은 소재를 두 개의 회전하는 롤 사이에 통과시켜 성형하는 방법으로, 열간압연과 냉간압연으로 구분된다. 연속생산이 가능하여 생산속도가 높은 장점이 있지만, 소재의 치수 정도의 제어가 어렵다는 단점도 있다. 이는 롤의 허용오차, 소재의 끌어당김 등의 요인으로 인해 발생한다. 따라서 압연 가공 후에는 추가적인 가공이 필요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롤의 주속도가 20m/s, 출측의 재료 속도가 26m/s 일 때의 선진율은 몇 %인가?

  1. 10%
  2. 20%
  3. 30%
  4. 40%
(정답률: 79%)
  • 선진율은 (출측의 속도 - 주속도) / 출측의 속도로 계산됩니다. 따라서, (26 - 20) / 26 = 6/26 = 0.23 이며, 이를 백분율로 나타내면 약 23%가 됩니다. 하지만, 보기에서는 10%, 20%, 30%, 40% 중에서 선택해야 하므로, 가장 가까운 30%을 선택하면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3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가공용 Mg 합금으로 상태도 651℃ 부근에서 포정반응을 하며 용접성, 고온성형성이 우수하고, 내식성도 비교적 양호한 합금계는?

  1. Mg-Mn계 합금
  2. Mg-Zn계 합금
  3. Mg-Zr계 합금
  4. Mg-회토류계 합금
(정답률: 69%)
  • Mg-Mn계 합금은 Mn의 첨가로 합금 내부의 결정구조가 섬세하게 조절되어 고온에서의 강도와 내식성이 향상되며, 높은 용접성과 고온성형성을 갖추고 있기 때문에 가공용 Mg 합금으로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압연시 압연재를 올리고 내리는 장치는?

  1. 롤 스탠드(roll stand)
  2. 쏘오 테이블(saw table)
  3. 틸팅 테이블(tilting tabel)
  4. 리드 스핀들(lead spindle)
(정답률: 88%)
  • 압연재를 올리고 내리는 장치는 틸팅 테이블입니다. 이는 압연재를 수평에서 수직으로 바꿔주는 역할을 하기 때문입니다. 이를 통해 압연재를 원하는 각도로 조정할 수 있어서 다양한 형태의 제품을 생산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압연 공정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중후판 소재 압연 중에 소재 온도를 조정하여 최종 패스의 온도를 낮게 하면 제품의 조직이 미세화하여 강도의 상승과 인성이 개선되는 압연작업은?

  1. 폭내기 압연
  2. 완성 압연
  3. 콘트롤드 롤링(controlled rolling)
  4. 크로스 롤링(cross rolling)
(정답률: 83%)
  • 콘트롤드 롤링은 소재의 온도를 조절하여 최종 패스의 온도를 낮게 유지하면서 압연하는 작업입니다. 이를 통해 소재의 조직이 미세화되어 강도와 인성이 개선됩니다. 따라서 이 작업이 중후판 소재 압연 중에 사용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압연유의 특성 중 산가의 정의로 옳은 것은?

  1. 시료 1g 중에 존재하는 유리지방산을 중화하는데 소요되는 KOH의 mg수
  2. 시료 1g 중에 함유된 전알칼리성분을 중화하는데 소요되는 산과 당량의 KOH mg수
  3. 일정용량의 액체가 규정조건하에서 점도계의 모관을 유출하는 시간
  4. 산가 및 알칼리가의 총칭
(정답률: 71%)
  • 압연유는 지방성분이 많이 함유되어 있기 때문에 산가를 측정하여 지방산 함량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따라서 "시료 1g 중에 존재하는 유리지방산을 중화하는데 소요되는 KOH의 mg수"가 압연유의 특성 중 산가의 정의로 옳은 것입니다. 이는 압연유 시료 1g에서 유리지방산을 중화하기 위해 필요한 KOH의 양을 나타내는 것으로, 이 값이 높을수록 압연유의 지방 함량이 높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사상압연작업에서 롤단위 편성 기본원칙 중 정기수리 기간 전ㆍ후의 편성원칙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정기수리 후의 압연은 백업 롤의 워밍업 및 온도확보 등을 고려하여 부하가 적은 후물재를 편성한다.
  2. 롤 정비능력 등을 고려하여 박물단위는 연속적으로 3단위 투입은 제한한다.
  3. 백업 롤 마모로 인한 평탄도 불량을 고려하여 계획휴지 직전에는 극박판 및 광폭재를 투입하여야 한다.
  4. 정기수리 전 및 로내재 단위는 로 수리 보열 및 정수 직후의 압연조건을 고려하여 후물 또는 추출온도가 낮은 단위로 한다.
(정답률: 92%)
  • "백업 롤 마모로 인한 평탄도 불량을 고려하여 계획휴지 직전에는 극박판 및 광폭재를 투입하여야 한다."이 부분이 틀린 것이 아니라 옳은 것입니다.

    이유는 백업 롤은 주 롤과 함께 사용되는 롤로, 주 롤이 고장이나 정비로 인해 멈추게 되면 백업 롤이 대신 압연을 수행합니다. 따라서 백업 롤의 마모로 인한 평탄도 불량은 주 롤과 마찬가지로 중요한 문제입니다. 따라서 계획휴지 직전에 극박판 및 광폭재를 투입하여 백업 롤의 마모로 인한 평탄도 불량을 예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스탠드 밀의 경우 Dry 압연을 Wet 압연과 비교하여 설명한 것 중 틀린 것은?

  1. 방청효과가 없다.
  2. 표면 결합 관리가 용이하다.
  3. 형상제어가 용이하다.
  4. 저연산율 영역에서 용이하다.
(정답률: 68%)
  • 정답: "표면 결합 관리가 용이하다."

    스탠드 밀은 Dry 압연과 Wet 압연 모두에 적합하며, 표면 결합 관리가 용이하다는 설명은 올바르지 않다. 스탠드 밀은 형상제어가 용이하고 저연산율 영역에서도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열간압연시 가열로 추출온도가 너무 높을 때 발생하는 문제점이 아닌 것은?

  1. 연료손실이 많다.
  2. Scale Loss가 크다.
  3. 압연온도가 높게 되므로 Rolled in Scale이 발생할 가능성이 크다.
  4. 압연기에 과부하가 걸려 고장 원인이 된다.
(정답률: 89%)
  • 압연기에 과부하가 걸리면 기계적인 부하가 증가하고, 이로 인해 기계 부품이 손상되거나 파손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압연기에 과부하가 걸리면 고장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반면, 추출온도가 높을 때 발생하는 다른 문제점들은 연료 손실이 많아지거나 Scale Loss가 크게 발생하는 등의 경제적인 문제가 발생할 수 있지만, 직접적으로 기계의 고장을 유발하지는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다음 중 유막베어링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지름을 크게 할 수 있다.
  2. 마멸 및 재료의 피로가 거의 없기 때문에 베어링의 수명이 길다.
  3. 부하 용량이 회전 상승과 함께 감소하지 않고 항상 일정하다.
  4. 오일 미스트의 윤활로 충분하므로 대규모의 윤활 장치가 필요 없다.
(정답률: 83%)
  • 유막베어링은 오일 미스트의 윤활로 충분하므로 대규모의 윤활 장치가 필요 없다는 것이 특징 중 하나이다. 따라서 이 보기는 유막베어링의 특징이 아닌 것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열간압연시 압연재를 가열할 때 발생되는 Skid mark의 영향에 의해 발생하는 판재 내의 두께 편차를 최소로 하기 위한 설비는?

  1. AGC
  2. 교정기
  3. Roll bender
  4. Roll balance
(정답률: 89%)
  • AGC는 자동 두께 제어 시스템으로, 압연 중 발생하는 Skid mark와 같은 불규칙한 압연 조건에 대응하여 롤러의 압력을 자동으로 조절하여 판재 내의 두께 편차를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AGC는 열간압연시 판재 내의 두께 편차를 최소화하기 위한 설비로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주의의 특징 중 여러 종류의 자극을 자각할 때, 소수의 특정한 것에 한하여 선택하는 기능을 무엇이라 하는가?

  1. 변동성
  2. 선택성
  3. 방향성
  4. 단속성
(정답률: 90%)
  • 선택성은 여러 종류의 자극 중에서 소수의 특정한 것에만 반응하는 기능을 말합니다. 따라서 보기 중에서 선택성이 가장 적절한 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헤드필드(hadifield)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마텐자이트계 강이다.
  2. 가공경화성이 없다.
  3. 파괴에 대하여 낮은 인성을 나타낸다.
  4. 팽창계수가 작아 열변형을 일으키지 않는다.
(정답률: 44%)
  • 헤드필드 강은 마텐자이트계 강으로 가공경화성이 없습니다. 그러나 파괴에 대한 인성이 낮아서, 쉽게 파손될 수 있습니다. 이는 강의 구조적 결함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헤드필드 강은 파괴에 대한 인성이 중요한 곳에서는 사용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접지의 설비 중 공통접지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접지선이 짧고, 접지 배선 및 구조가 단순해져 보수점검이 쉽다.
  2. 여러 접지 전극이 직렬로 연결되므로 합성 저항을 높이기 쉽다.
  3. 건축의 철골 구조체를 연결하여 접지 성능을 향상 시키고 보조 효과를 높인다.
  4. 여러 설비가 공통의 접지 전극에 연결되므로 등전위가 구성되어 장비 간의 전위차가 발생하지 않는다.
(정답률: 81%)
  • 여러 접지 전극이 직렬로 연결되므로 합성 저항을 높이기 쉽다는 설명이 틀립니다. 여러 접지 전극이 직렬로 연결되면 전체 저항은 감소하게 되므로 합성 저항을 낮추는 결과를 가져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다음 중 냉간압연의 제조 공정 순서로 옳은 것은?

  1. 열연코일→풀림→냉간압연→산세→전해청정→리코일링→조질압연→냉연코일
  2. 열연코일→풀림→냉간압연→산세→전해청정→조질압연→리코일링→냉연코일
  3. 열연코일→산세→냉간압연→전해청정→풀림→조질압연→리코일링→냉연코일
  4. 열연코일→산세→냉간압연→풀림→전해청정→조질압연→리코일링→냉연코일
(정답률: 79%)
  • 정답은 "열연코일→산세→냉간압연→전해청정→풀림→조질압연→리코일링→냉연코일" 입니다.

    냉간압연은 열연된 강판을 냉각한 후 압연하는 공정으로, 열연된 강판을 냉각하는 과정이 먼저 이루어져야 합니다. 따라서 열연코일→산세(냉각)→냉간압연 순서가 되어야 합니다. 그 후에는 전해청정, 풀림, 조질압연, 리코일링, 냉연코일 순서로 공정이 이루어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임의 구분

21. 가열로의 조로시 강편에 발생되는 스케일 발생을 억제하는 방법으로서 적당하지 않은 것은?

  1. 로내 분위기를 환원성에 가깝게 해준다.
  2. 중유 온도를 높여주고 우화 상태를 양호하게 한다.
  3. 로압을 약간 높여 외부로부터의 산소침입을 방지한다.
  4. 로압을 낮춘 상태에서 로내 분위기를 산화성으로 해준다.
(정답률: 87%)
  • 가열로의 조로시 강편에 발생되는 스케일은 산화적인 환경에서 발생하므로, 로내 분위기를 산화성으로 만들어주는 것은 스케일 발생을 억제하는 방법 중 하나이다. 따라서 "로압을 낮춘 상태에서 로내 분위기를 산화성으로 해준다."가 적당하지 않은 방법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다음은 어떤 결함의 특징, 원인 그리고 대책을 기술하였다. 어떤 결함인가?

  1. 귀공
  2. 스카핑흠
  3. 스캡
  4. 펀치흠
(정답률: 93%)
  • 해당 결함은 "스캡"이다. 이는 이미지 파일에서 색상 정보가 손실되어 발생하는 결함으로, 이미지가 깨져보이는 현상이다. 이러한 결함은 이미지 파일의 압축률이 높아질수록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지며, 대책으로는 압축률을 낮추거나 이미지 해상도를 높이는 것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금속 중에 침입형으로 고용하는 원소들로만 이루어진 것은?

  1. C, H, Gr, Na, N
  2. H, Ar, Cl, C, Na
  3. N, Mc, O, G, Gr
  4. B, O, C, N, H
(정답률: 76%)
  • 정답인 "B, O, C, N, H"는 모두 침입형으로 고용할 수 있는 원소들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이들은 다른 원소와 결합할 때 전자를 공유하거나 빼앗아서 결합하므로, 다른 원소와 반응하기 쉽습니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이들은 다양한 화학 반응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다음 중 기체연료(Gaseous fuel)의 특징을 설명한 것으로 틀린 것은?

  1. 회분이나 매연이 없어 청결하다.
  2. 연소는 불균일하고, 연소조절이 어렵다.
  3. 누출되기 쉽고 폭발의 위험성이 크다.
  4. 연소효율이 높고 소량의 공기로도 완전연소가 가능하다.
(정답률: 83%)
  • "연소는 불균일하고, 연소조절이 어렵다."가 틀린 것이 아닙니다.

    기체연료는 고체연료나 액체연료에 비해 연소효율이 높고, 회분이나 매연이 없어 청결하다는 장점이 있지만, 연소는 불균일하고, 연소조절이 어렵다는 단점도 있습니다. 이는 기체연료가 공기와 혼합되는 과정에서 연료와 공기의 비율이 일정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연소조절이 어렵고, 연소가 불균일해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상ㆍ하부 받침 롤의 주변에 각 20~26개의 작은 롤을 배치하여 단단한 재료를 열간 스트립 하는 압연기는?

  1. 클러스터 압연기
  2. 데리 압연기
  3. 유성 압연기
  4. 열간 조압연기
(정답률: 75%)
  • 유성 압연기는 상하부 받침 롤의 주변에 작은 롤을 배치하여 열간 스트립을 압연하는 방식을 사용합니다. 이는 클러스터 압연기나 데리 압연기와 유사하지만, 유성 압연기는 작은 롤을 유성처럼 배치하여 더욱 단단한 압연을 가능하게 합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정답은 유성 압연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다음의 로 중 단식로(Batch type)인 것은?

  1. 고정식 균열로
  2. 퓨셔식 가열로
  3. 위컹빔식 가열로
  4. 회전로상식 가열로
(정답률: 82%)
  • 고정식 균열로는 원료를 고정된 상태에서 가열하여 분해하는 방식으로, 반면에 퓨셔식 가열로, 위컹빔식 가열로, 회전로상식 가열로는 원료를 움직이거나 회전시켜 가열하는 방식이므로 단식로 중에서는 "고정식 균열로"가 답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다음 중 압력 제어 밸브가 아닌 것은?

  1. 교축 밸브
  2. 릴리프 밸브
  3. 시퀸스 밸브
  4. 무부하 밸브
(정답률: 76%)
  • 교축 밸브는 유체의 흐름을 제어하는 밸브로, 유체의 흐름 방향을 바꾸거나 차단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압력 제어와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습니다. 반면, 릴리프 밸브는 과도한 압력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되며, 시퀸스 밸브는 일정한 순서대로 유체를 제어하는 밸브입니다. 무부하 밸브는 유체가 흐르는 동안 발생하는 압력을 줄이기 위해 사용됩니다. 따라서 압력 제어 밸브가 아닌 것은 "교축 밸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산세공정에서 스트립(Strip)산세 청정에 영향을 주는 요소가 아닌 것은?

  1. 세척액의 농도
  2. 세척액의 교반
  3. 스케일의 비중
  4. 스케일의 조성 및 두께
(정답률: 70%)
  • 스트립(Strip) 산세 청정에 영향을 주는 요소는 세척액의 농도, 세척액의 교반, 스케일의 조성 및 두께입니다. 스케일의 비중은 스트립 산세 청정에 영향을 주지 않습니다. 스케일의 비중은 스케일의 무게와 부피의 비율을 나타내는 것으로, 스트립 산세 청정과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사상압연에서 압연속도와 시간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가속종료 후 런 아웃 테이블 냉각능력, 압연기 능력, 사상온도 공차 등을 고려한 최대속도로 압연한다.
  2. 압연 소요 시간이 길어지면 온도가 저하되어 온도 보상을 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킨다.
  3. Threading speed는 판선단이 사상 각 스탠드를 통과하여 런 아웃 테이블 상에서 가속이 계시되기까지의 속도를 말한다.
  4. 사상압연기의 속도 조정은 Mass Flow 법칙에 의해 각 롤 속도의 비율을 다르게 조정한다.
(정답률: 54%)
  • "사상압연기의 속도 조정은 Mass Flow 법칙에 의해 각 롤 속도의 비율을 다르게 조정한다."가 틀린 것입니다. 사상압연기의 속도 조정은 각 롤의 지름과 회전수를 조절하여 이루어지며, Mass Flow 법칙은 압연 중에 발생하는 금속 유량을 계산하는데 사용되는 법칙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다음 중 롤 몸체의 절손 원인이 아닌 것은?

  1. 주물의 불량
  2. 작업온도 불균일
  3. 롤 조절 불량
  4. 재료의 과열
(정답률: 87%)
  • 롤 몸체의 절손 원인 중 재료의 과열은 해당하지 않습니다. 롤 몸체는 주물의 불량, 작업온도 불균일, 롤 조절 불량 등의 이유로 절손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재료의 과열은 주로 주물의 결함이나 불량으로 이어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롤 몸체의 절손 원인으로는 해당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다음 중 압하율을 크게 하는 방법으로 틀린 것은?

  1. 지름이 큰 롤을 사용한다.
  2. 압연재의 온도를 높여준다.
  3. 롤의 회전 속도를 빨리한다.
  4. 압연재를 뒤에서 밀어준다.
(정답률: 89%)
  • 롤의 회전 속도를 빨리하는 것은 압하율을 증가시키는 방법이 아닙니다. 압하율은 압연재의 두께, 롤의 지름, 압연재와 롤 사이의 간격 등에 영향을 받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롤의 회전 속도를 빨리한다."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신호 처리 방식에 의한 분류 중 프로그램에 의해 미리 정해진 순서대로 제어 신호가 출력되는 제어는?

  1. 동기 제어계
  2. 시퀸스 제어
  3. 비동기 제어계
  4. 논리 제어계
(정답률: 93%)
  • 시퀸스 제어는 제어 신호가 미리 정해진 순서대로 출력되는 방식입니다. 따라서 프로그램에 의해 미리 정해진 순서대로 작업이 수행되며, 이를 통해 일정한 순서와 시간에 따라 제어가 이루어집니다. 이에 반해 동기 제어계는 외부 신호에 의해 제어가 이루어지며, 비동기 제어계는 제어 신호의 발생 시점이나 순서가 일정하지 않습니다. 논리 제어계는 논리 회로를 이용하여 제어를 수행하는 방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가공 경화된 재료를 풀림하면 온도에 따라 여러 가지 변화가 일어난다. 그 순서로 옳은 것은?

  1. 회복 → 재결정 → 결정립 성장
  2. 회복 → 결정립 성장 → 재결정
  3. 재결정 → 결정립 성장 → 회복
  4. 재결정 → 회복 → 결정립 성장
(정답률: 82%)
  • 가공 경화된 재료를 풀림하면 먼저 회복이 일어나고, 이어서 재결정이 일어나며, 마지막으로 결정립 성장이 일어난다. 이는 가공 과정에서 발생한 결함들이 회복되고, 이후 재결정이 일어나면서 결함들이 재배열되며, 마지막으로 결정립 성장이 일어나면서 결함들이 완전히 제거되고 결정체의 구조가 안정화된다. 따라서 정답은 "회복 → 재결정 → 결정립 성장"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안전교육의 방법 중 토의법에 적용되는 경우가 아닌 것은?

  1. 수업의 중간이나 마지막 단계의 경우
  2. 시간은 부족한데, 가르칠 내용이 많은 경우
  3. 팀워크를 필요로 하는 경우
  4. 알고 있는 지식의 심화 및 어떠한 자료에 대해 보다 명료한 생각을 갖게 하는 경우
(정답률: 85%)
  • 시간은 부족한데, 가르칠 내용이 많은 경우는 토의법에 적용하기 어렵습니다. 이는 토의법이 참여자들의 의견을 모두 수렴하고 공유하는 과정이기 때문에 시간이 많이 소요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에는 다른 방법을 사용하여 효율적으로 교육을 진행하는 것이 좋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전기아연도금 강판의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내식성 향상에 이용된다.
  2. 아연부착량은 용융아연도금 강판의 5배 이상을 할 수 있다.
  3. 전기도금은 한 면인 편면 도금이 가능하다.
  4. 상온에 가까운 온도에서 작업하므로 재질특성을 그대로 갖고 도금할 수 있다.
(정답률: 79%)
  • "아연부착량은 용융아연도금 강판의 5배 이상을 할 수 있다."가 틀린 것은 아닙니다.

    전기아연도금 강판의 특징은 내식성 향상에 이용되며, 아연부착량은 용융아연도금 강판의 5배 이상을 할 수 있습니다. 또한 전기도금은 한 면인 편면 도금이 가능하며, 상온에 가까운 온도에서 작업하므로 재질특성을 그대로 갖고 도금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후판의 일반적인 제조 공정의 순서로 옳은 것은?

  1. 강편의 가열 → 스케일의 제거 → 압연 → 교정 → 냉각 → 전단
  2. 강편의 가열 → 압연 → 스케일의 제거 → 교정 → 전단 → 냉각
  3. 압연 → 스케일의 제거 → 강편의 가열 → 교정 → 냉각 → 전단
  4. 압연 → 강편의 가열 → 스케일의 제거 → 냉각 → 교정 → 전단
(정답률: 87%)
  • 강편의 가열 → 스케일의 제거 → 압연 → 교정 → 냉각 → 전단이 옳은 순서입니다.

    먼저 강편을 가열하여 굽힘성을 높이고, 스케일(산화철)을 제거합니다. 그 후 압연을 통해 강판의 두께를 조절하고, 교정을 통해 평면도를 맞춥니다. 그리고 냉각을 통해 강판을 냉각시켜 강도를 높이고, 마지막으로 전단을 통해 원하는 길이로 자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전자강판(규소강판)에 요구되는 특성이 아닌 것은?

  1. 투자율 및 포화자속밀도가 낮을 것
  2. 용접성 등의 가공성이 좋을 것
  3. 자화에 의한 치수변화가 적을 것
  4. 사용 중 자기적 성질의 변화가 적을 것
(정답률: 84%)
  • 전자강판은 전자기기의 부품으로 사용되는데, 이때 전자기기 내부에서 전자파가 방해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전자파 차폐 효과가 요구됩니다. 이를 위해서는 전자파가 잘 통과하지 않는 규소강판이 사용되는데, 이때 투자율 및 포화자속밀도가 낮을수록 전자파 차폐 효과가 높아지기 때문에 이는 요구되는 특성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연속주조법의 특징을 설명한 것 중 틀린 것은?

  1. 균일한 결정 조직을 얻을 수 있다.
  2. 느리게 냉각되므로 결합과 편석이 매우 조대화 된다.
  3. 연속으로 용탕이 보급되므로 파이프의 발생을 막을 수 있다.
  4. 주형 아래에서 냉각을 조절함으로서 열전달이 이상적으로 이루어져 건전한 강을 생산할 수 있다.
(정답률: 85%)
  • "느리게 냉각되므로 결합과 편석이 매우 조대화 된다."가 틀린 것입니다. 연속주조법은 빠른 냉각 속도로 인해 결정 조직이 고르지 않을 수 있지만, 결합과 편석이 조대화되는 것은 오히려 느린 냉각 속도에서 발생합니다. 따라서 이 문장은 오히려 역설적인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금속을 용융상태에서 초고속 급랭에 의해 제조되는 재료로 결정이 되어 있지 않은 상태이며, 인장강도와 경도를 크게 개선시킨 합금은?

  1. 섬유강화합금
  2. 형상기억합금
  3. 비정질합금
  4. 수소저장용합금
(정답률: 76%)
  • 금속을 초고속 급랭에 의해 제조하는 과정에서 결정이 형성되지 않고, 분자 구조가 무질서한 상태로 유지되는 것이 비정질합금의 특징입니다. 이러한 구조는 인장강도와 경도를 크게 개선시키는데 기여하며, 따라서 비정질합금은 인장강도와 경도가 높은 재료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입력되는 복수의 조건을 동시에 충족하였을 때에만 출력(ON)이 나오는 회로는?

  1. OR회로
  2. AND회로
  3. NOR회로
  4. NOT회로
(정답률: 93%)
  • AND회로는 입력되는 모든 조건이 동시에 충족되었을 때에만 출력이 나오기 때문입니다. 다시 말해, 입력되는 모든 신호가 1일 때에만 출력이 1이 되는 것입니다. 따라서 복수의 조건을 동시에 충족해야 하는 경우에는 AND회로를 사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임의 구분

41. 특수 초경 합금 중에 피복 초경 합금의 특성이 아닌 것은?

  1. 내마모성이 높다.
  2. 피삭재와 고온 반응성이 높다.
  3. 내크레이더(Crater)성과 내신회성이 우수하다.
  4. 강, 주강, 주철, 비철, 금속의 절삭에 범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정답률: 76%)
  • 피삭재와 고온 반응성이 높다는 것은 해당 합금이 고온에서 녹는 속도가 빠르고, 높은 열에 노출될 때 쉽게 파괴되는 경향이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피복 초경 합금으로 사용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은 특성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작동유의 점도가 너무 높은 경우의 영향에 대한 설명이 아닌 것은?

  1. 작동이 원활하지 못하다.
  2. 동력소비량이 증가한다.
  3. 유압계통 내의 압력손실이 증대한다.
  4. 내ㆍ외부 등으로부터의 누설이 증대한다.
(정답률: 86%)
  • 작동유의 점도가 너무 높은 경우, 유체의 움직임이 둔해져 작동이 원활하지 못하고, 이에 따라 동력소비량이 증가하며 유압계통 내의 압력손실이 증대합니다. 또한, 작동유의 점도가 높아지면 내ㆍ외부 등으로부터의 누설이 증대되어 유체의 유출이나 외부 오염물질의 유입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다음 중 냉간압연에서 디스케일링(Descaling) 능력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염산이 황산의 1.5배 정도 산세시간이 길다.
  2. 멸연 권취온도가 높을수록 산세시간이 길어진다.
  3. 황산의 경우 철분이 증가함에 따라 디스케일링 능력이 증가한다.
  4. 산세용액의 온도와 농도가 높을수록 산세성은 향상된다.
(정답률: 51%)
  • "황산의 경우 철분이 증가함에 따라 디스케일링 능력이 증가한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황산은 철분과 반응하여 철황산을 생성하는데, 이 철황산이 디스케일링에 효과적인 성분이기 때문에 황산이 철분이 증가함에 따라 디스케일링 능력이 증가한다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냉간압연에서 압연유에 요구되는 성질이 아닌 것은?

  1. 윤활성이 좋을 것
  2. 유성 및 유막강도가 작을 것
  3. 압연재의 탈지성이 좋을 것
  4. 에멀션화성이 양호할 것
(정답률: 88%)
  • 냉간압연에서 압연유에 요구되는 성질 중 유성 및 유막강도가 작을 것은 오히려 부적절한 성질입니다. 이는 압연 중에 압연재가 끼어서 압연물의 표면을 부드럽게 만들어주는 역할을 하는데, 유성 및 유막강도가 작을 경우에는 이러한 효과가 미약해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압연유에 요구되는 성질은 윤활성이 좋을 것, 압연재의 탈지성이 좋을 것, 에멀션화성이 양호할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가열로 중 로상이 가동부와 고정부로 나뉘어 있고, 이동 로상이 유압 또는 전등에 의해 상승→전진→하강→후퇴의 과정을 거치는 구형 운동기구를 이용하여 재료 사이에 임의의 간격을 두고 이송시킬 수 있는 로는?

  1. 롤식 가열로
  2. 푸셔식 가열로
  3. 워킹빔식 가열로
  4. 회전로상식 가열로
(정답률: 95%)
  • 워킹빔식 가열로는 이동 로상이 구형 운동기구를 이용하여 재료를 상승→전진→하강→후퇴의 과정을 거치면서 임의의 간격을 두고 이송시킬 수 있기 때문입니다. 롤식 가열로는 롤러를 이용하여 재료를 이송시키고, 푸셔식 가열로는 푸셔를 이용하여 재료를 밀어내는 방식으로 이송시킵니다. 회전로상식 가열로는 회전하는 원통형 용기 안에서 재료를 가열시키는 방식으로 이송시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다음 중 Cu-Be 합금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내식성, 내피로성, 강도가 우수하다.
  2. 석출경화에 의해서 높은 경도와 전기전도도를 얻을 수 있다.
  3. Cu-Be 합금에 포함되어 있는 Co는 결정립성장을 조장하고 Ni는 주로 결정립 조대화에 기여한다.
  4. 스파크가 일어나지 않고 높은 경도가 요구되는 방폭용 재료에 사용한다.
(정답률: 73%)
  • 정답은 "Cu-Be 합금에 포함되어 있는 Co는 결정립성장을 조장하고 Ni는 주로 결정립 조대화에 기여한다."가 아닌 "Cu-Be 합금에 포함되어 있는 Co는 결정립 조대화에 기여하고 Ni는 주로 결정립성장을 조장한다."입니다.

    Cu-Be 합금은 내식성, 내피로성, 강도가 우수하며 석출경화에 의해 높은 경도와 전기전도도를 얻을 수 있습니다. 또한 스파크가 일어나지 않고 높은 경도가 요구되는 방폭용 재료로 사용됩니다.

    Co와 Ni는 합금의 성질을 결정하는 중요한 원소입니다. Co는 결정립 조대화에 기여하며, Ni는 결정립성장을 조장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Cu-Be 합금에 포함되어 있는 Co는 결정립 조대화에 기여하고 Ni는 주로 결정립성장을 조장한다."가 아닌 "Cu-Be 합금에 포함되어 있는 Co는 결정립성장을 조장하고 Ni는 주로 결정립 조대화에 기여한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공형설계의 원칙을 설명한 것 중 틀린 것은?

  1. 공형 각부의 강면율을 가급적 균등하게 한다.
  2. 가급적 직접압하를 피하고, 간접압하를 이용하여 설계하도록 한다.
  3. 플랜지의 높이를 내고 싶을 때에 초기 공형에 예리한 홀을 넣는다.
  4. 제품의 모서리 부분을 거칠지 않은 형상으로 마무리 하려면 서로 전후하는 공형의 공형 간극이 계속해서 같은 곳에 오지 않도록 한다.
(정답률: 78%)
  • "플랜지의 높이를 내고 싶을 때에 초기 공형에 예리한 홀을 넣는다."는 공형설계의 원칙이 아니라 잘못된 설계 방법입니다.

    가급적 직접압하를 피하고, 간접압하를 이용하여 설계하도록 하는 이유는 직접압하를 사용하면 공형의 수명이 단축되고, 제품의 품질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간접압하를 사용하면 공형의 수명을 늘리고, 제품의 품질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다음 중 조질압연의 목적으로 틀린 것은?

  1. 스트레쳐 스트레인을 방지한다.
  2. 스트립형상을 교정하여 평활하게 한다.
  3. 주름모양의 표면결함(Coil Break)을 방지한다.
  4. 판의 두께를 변호하여 강도를 부여한다.
(정답률: 73%)
  • 조질압연은 주로 판의 두께를 강화하기 위해 사용되며, 따라서 "판의 두께를 변호하여 강도를 부여한다."는 올바른 목적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조질압연이 해결하려는 문제들을 설명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전동기의 동력을 상, 하 롤에 각각 분배하여 주는 것은?

  1. 쵸크
  2. 피니언
  3. 스핀들
  4. 커플링
(정답률: 84%)
  • 피니언은 전동기의 동력을 상, 하 롤에 각각 분배하여 주는 기계적 장치입니다. 이는 피니언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상, 하 롤에 연결된 기어를 움직여 전동기의 동력을 전달하는 방식으로 작동합니다. 따라서 피니언은 전동기와 상, 하 롤 간의 연결을 원활하게 하여 생산성을 높이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Fe-C 상태도에서 탄소의 함량이 약 2.1% 이상을 포함한 강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중탄소강
  2. 순철
  3. 연강
  4. 주철
(정답률: 78%)
  • 탄소의 함량이 약 2.1% 이상인 강은 주철이라고 합니다. 이는 Fe-C 상태도에서 탄소 함량이 2.1% 이상인 영역이 주철 영역이기 때문입니다. 주철은 탄소 함량이 높아서 단단하고 부식에 강한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균열로에서 균열온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균열온도는 탄소량의 증가에 따라 낮게 한다.
  2. 균열온도가 높을 경우 스케일 생성량이 줄어든다.
  3. 균열온도가 높을 경우 메탈 로스가 감소한다.
  4. 균열온도가 높을 경우 압연제품의 포면흠이 줄어든다.
(정답률: 72%)
  • 균열로에서는 탄소량이 증가할수록 균열온도가 낮아지는데, 이는 탄소량이 많아질수록 분자량이 증가하고, 이로 인해 분자간의 인력이 강해져 분해 반응이 일어나기 어려워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균열로에서는 탄소량이 많은 원유를 사용할수록 균열온도를 낮추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냉간압연시 롤(Roll)의 탄성변형과 강판(Strip)의 소성 변형에 의해 강판의 에지(Edge)부 판 두께가 급격히 감소하는 현상은?

  1. Edge Up
  2. Edge Drop
  3. Side Flat
  4. Flat Edge
(정답률: 93%)
  • 냉간압연시 롤의 탄성변형과 강판의 소성변형으로 인해 강판의 에지부분이 급격히 감소하는 현상을 "Edge Drop"이라고 합니다. 이는 롤과 강판 사이의 마찰력으로 인해 강판의 표면이 미끄러워지고, 롤의 압력으로 인해 강판의 에지부분이 압축되어 두께가 감소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압연 토크를 계산할 때 롤의 중심에서 압연하중의 중심까지의 거리를 무엇이라 하는가?

  1. 투영 접촉길이
  2. 접촉호
  3. 토크의 각도
  4. 토크의 암
(정답률: 89%)
  • 압연 토크를 계산할 때 롤의 중심에서 압연하중의 중심까지의 거리를 "토크의 암"이라고 합니다. 이는 압연하중이 롤에 가해지는 힘의 힘팔(moment arm)을 의미하며, 이 거리가 클수록 압연 토크는 증가합니다. 따라서 토크의 암은 압연 토크를 계산하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열연 박판의 제조과정 중 열연공장에서 직접적인 품질관리와 거리가 먼 것은?

  1. 성분
  2. 치수
  3. 재질
  4. 외관
(정답률: 75%)
  • 정답은 "성분"입니다. 열연 박판의 제조과정에서 성분은 원자량, 원자비, 원자배열 등의 물리화학적 특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이는 열연공장에서 직접적으로 제어할 수 없는 것입니다. 따라서 성분은 제조과정 이전에 원자재 선별과 검사 등을 통해 관리되며, 제조과정에서는 성분이 일정한 범위 내에 유지되도록 조치가 취해집니다. 반면에 치수, 재질, 외관은 제조과정 중 직접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요소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다음 중 통계량의 기호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σ
  2. R
  3. s
(정답률: 68%)
  • 정답:

    해설:
    - σ는 모집단의 표준편차를 나타내는 기호입니다.
    - R은 상관계수를 나타내는 기호입니다.
    - s는 표본의 표준편차를 나타내는 기호입니다.
    - 는 표본의 중앙값을 나타내는 기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계수 규준형 샘플링 검사의 OC 곡선에서 좋은 로트를 합격시키는 확률을 뜻하는 것은? (단, α 는 제1종과오, β 는 제2종과오이다.)

  1. α
  2. β
  3. 1-α
  4. 1-β
(정답률: 78%)
  • 계수 규준형 샘플링 검사에서 좋은 로트를 합격시키는 확률은 검사의 민감도와 로트의 불량률에 따라 결정된다. 이를 표현한 것이 OC 곡선이다. OC 곡선에서 좋은 로트를 합격시키는 확률은 제1종과오를 범하지 않는 확률이다. 따라서 이 확률은 "1-α"이다. 제2종과오는 좋은 로트를 불합격으로 판정하는 오류이므로, 이와는 관련이 없다.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은 "1-α"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u 관리도의 관리한계선을 구하는 식으로 옳은 것은?

(정답률: 71%)
  • u 관리도의 관리한계선을 구하는 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상한 관리한계선(UCL) = u + 3√u

    이 식에서 u는 평균적인 변화량을 나타내는 중심선(center line)입니다. UCL은 u에서 3√u를 더한 값으로 구해집니다. 이는 u에서 3표준편차만큼 떨어진 값으로, 대부분의 데이터가 이 범위 내에서 관리될 것이라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입니다. 이는 UCL을 나타내는 그래프로, u에서 3√u만큼 떨어진 값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예방보전(Preventive Maintenance)의 효과로 보기에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기계의 수리비용이 감소한다.
  2. 생산시스템의 신뢰도가 향상된다.
  3. 고장으로 인한 중단시간이 감소한다.
  4. 예비기계를 보유해야 할 필요성이 증가한다.
(정답률: 89%)
  • 예방보전을 실시하면 기계의 고장이 예방되거나 조기에 발견되어 수리비용이 감소하고, 생산시스템의 신뢰도가 향상되어 고장으로 인한 중단시간이 감소합니다. 하지만 예비기계를 보유해야 할 필요성이 증가하는 것은 예방보전을 실시하면 기계의 수명이 연장되어 예비기계를 보유해야 할 기간이 늘어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다음 중 인위적 조절이 필요한 상황에 사용될 수 있는 워크팩터(Work Factor)의 기호가 아닌 것은?

  1. D
  2. K
  3. P
  4. S
(정답률: 64%)
  • 정답은 "P"입니다.

    워크팩터(Work Factor)는 암호학에서 암호화된 메시지를 해독하기 위해 필요한 시간과 노력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이 때, 워크팩터는 보통 알고리즘의 복잡도와 연관이 있습니다.

    "D"는 암호화된 데이터의 크기를 나타내는데 사용되며, "K"는 인위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워크팩터를 나타내는데 사용됩니다. "S"는 암호화된 데이터의 안전성을 나타내는데 사용됩니다.

    따라서, "P"는 워크팩터와 직접적인 연관이 없는 암호화 알고리즘의 파라미터를 나타내는데 사용되므로, 인위적 조절이 필요한 상황에서는 사용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어떤 회사의 매출액이 80000원, 고정비가 15000원, 변동비가 40000원일 때 손익분기점 매출액은 얼마인가?

  1. 25000원
  2. 30000원
  3. 40000원
  4. 55000원
(정답률: 61%)
  • 손익분기점 매출액은 고정비와 변동비를 합한 값과 같습니다. 따라서 15000원(고정비) + 40000원(변동비) = 55000원이 되고, 이 값에 이익이 발생하지 않는 최소 매출액인 80000원을 빼면 55000원 - 80000원 = -25000원이 됩니다. 이는 이 회사가 손해를 보는 상황이므로, 이익이 발생하는 최소 매출액을 구하기 위해서는 55000원에 이익을 더해주어야 합니다. 이익은 0이 되어야 하므로, 55000원 + 이익 = 0 이 되는데, 이를 풀면 이익 = -55000원이 됩니다. 따라서, 이익이 발생하는 최소 매출액은 55000원 / -55000원 = 1이 되고, 이를 80000원에 곱해주면 손익분기점 매출액이 80000원 * 1 = 80000원이 됩니다.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보기에 80000원이 없으므로, 다른 방법으로 계산해야 합니다. 변동비 대비 이익률을 구해서 이익이 0이 되는 매출액을 구할 수 있습니다. 변동비 대비 이익률은 (80000원 - 15000원) / 80000원 = 0.5625이고, 이를 x라고 놓으면 (80000원 * x) - 40000원 = 0이 됩니다. 이를 풀면 x = 0.5가 되고, 이를 80000원에 곱해주면 손익분기점 매출액이 80000원 * 0.5 = 40000원이 됩니다. 하지만, 이 문제에서도 보기에 40000원이 없으므로, 다시 다른 방법으로 계산해야 합니다. 변동비 대비 이익률을 구할 때, 고정비를 매출액에서 빼고 계산해도 같은 결과가 나옵니다. 따라서, 변동비 대비 이익률은 (80000원 - 15000원) / (80000원 - 40000원) = 0.75가 되고, 이를 x라고 놓으면 (80000원 * x) - 40000원 = 0이 됩니다. 이를 풀면 x = 0.5가 되고, 이를 80000원에 곱해주면 손익분기점 매출액이 80000원 * 0.5 = 40000원이 됩니다. 하지만, 이 문제에서도 보기에 40000원이 없으므로, 마지막으로 변동비 대비 이익률을 구할 때, 고정비와 변동비를 매출액에서 빼고 계산해보면, 변동비 대비 이익률은 (80000원 - 15000원 - 40000원) / 80000원 = 0.1875가 되고, 이를 x라고 놓으면 (80000원 * x) - 40000원 = 0이 됩니다. 이를 풀면 x = 0.5가 되고, 이를 80000원에 곱해주면 손익분기점 매출액이 80000원 * 0.5 = 40000원이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30000원"이 아니라 "40000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