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면처리기능장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3-07-20)

표면처리기능장
(2003-07-20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임의 구분

1. 도금액에 전압을 올릴 때 처음에는 전류가 거의 흐르지 않으나 어느 전압에 다다르면 약간의 전압 상승으로 급격히 전류가 많이 흐르기 시작하는 점의 전압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과 전압
  2. 분해 전압
  3. 전원 전압
  4. 조 전압
(정답률: 알수없음)
  • 도금 과정에서는 금속 이온들이 전해질로 이동하면서 금속이 적층되는데, 이 때 전압을 올리면 금속 이온들의 이동 속도가 증가하게 됩니다. 그러나 처음에는 이온들이 전해질에서 충분히 이동하지 못해 전류가 거의 흐르지 않습니다. 어느 정도 전압을 올리면 이온들이 충분히 이동하여 급격히 전류가 많이 흐르기 시작하는데, 이 때의 전압을 분해 전압이라고 합니다. 이는 도금 과정에서 가장 중요한 파라미터 중 하나로, 적절한 분해 전압을 설정해야만 원하는 도금 품질을 얻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분해 전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과전압(over voltage)을 옳게 설명한 것은?

  1. 과전압은 전극면이 거칠수록 크다.
  2. 과전압은 온도가 높을수록 크다.
  3. 과전압은 전류밀도가 클수록 크다.
  4. 과전압은 이론적인 석출 최소 전압보다 작다.
(정답률: 알수없음)
  • 과전압은 전극 표면에서 발생하는 전위차이로, 전극 표면이 거칠수록 전위차이가 커지기 때문에 과전압이 커집니다. 또한 전류밀도가 클수록 전극 표면에서 발생하는 전위차이가 커지기 때문에 과전압이 커집니다. 따라서 "과전압은 전류밀도가 클수록 크다."가 옳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전해연마에 있어서 전압 전류 곡선 중 평활한 광택면을 얻을 수 있는 곳은?

  1. AB
  2. BC
  3. CD
  4. DE
(정답률: 알수없음)
  • 전압 전류 곡선에서 광택면은 전류가 일정하게 유지되는 부분입니다. 이는 전압과 저항이 일정한 경우에 발생합니다. 따라서 광택면을 얻을 수 있는 곳은 저항이 일정한 부분인 "CD" 입니다. "AB"와 "DE"는 전압이 변하면서 전류도 변하기 때문에 광택면을 얻을 수 없고, "BC"는 전압이 일정하지 않아 광택면을 얻을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크롬 전기도금에서 플루오르화물욕의 사용시 결점 중 틀린 것은?

  1. 전착 중 소지가 부식되기 쉽다.
  2. 액의 노화가 빠르다.
  3. 저온에서의 작업이 곤란하다.
  4. 양극의 소모가 빠르다.
(정답률: 알수없음)
  • 플루오르화물욕은 고온에서 작업이 가능하지만 저온에서는 작업이 어렵습니다. 이는 플루오르화물욕이 저온에서는 농도가 높아지기 때문에 전기도금 과정에서 결점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저온에서의 작업은 권장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스트라이크 은도금에서 염화제일수은, 산화수은, 염화암모늄, 시안화나트륨 등의 조성으로 처리하여 황동주물과 양백 등에 유효하게 나타나는 처리는?

  1. 크로메이트 처리
  2. 은(Ag)의 합금화 처리
  3. 유기 피막 처리
  4. 퀴킹(Quicking) 처리
(정답률: 알수없음)
  • 스트라이크 은도금에서는 황동주물과 양백 등에 은을 효과적으로 도금하기 위해 퀴킹(Quicking) 처리를 합니다. 이는 염화제일수은, 산화수은, 염화암모늄, 시안화나트륨 등의 조성으로 처리하여 은과 금속간의 화학적 반응을 일으켜 은이 금속 표면에 잘 부착되도록 하는 것입니다. 이 방법은 은 도금의 효율성을 높이고 도금된 표면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데에 효과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ABS수지 표면에 장식용 무전해 화학 니켈 도금을 하기 위한 전처리 작업에서 화학 에칭에 쓰이는 약품은?

  1. 황산, 크롬산
  2. 염화 제일주석, 염화 제이주석
  3. 염화 제일주석, 염화파라듐
  4. 크롬산, 염화파라듐
(정답률: 알수없음)
  • ABS수지는 표면이 부드러워서 니켈 도금 전에 화학 에칭을 통해 표면을 거칠게 만들어야 합니다. 이때 사용되는 약품 중 황산은 ABS수지를 에칭하는 데 사용되며, 크롬산은 에칭 후 표면을 정리하는 데 사용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황산, 크롬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시안화구리 스트라이크 도금욕 중 유리 시안화 나트륨 및 롯셀염의 가장 큰 역할은?

  1. 전기 전도도를 좋게한다.
  2. 도금액의 pH를 유지시킨다.
  3. 완충제 역할을 한다.
  4. 양극 용해를 돕는다.
(정답률: 알수없음)
  • 시안화구리 스트라이크 도금은 전기 분해 방식으로 이루어지는데, 이때 유리 시안화 나트륨 및 롯셀염은 양극 용해를 돕는 역할을 합니다. 양극 용해란 전기 분해 과정에서 양극에서 발생하는 이온화 현상으로, 이를 돕는 것은 도금 과정의 효율성을 높이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양극 용해를 돕는다."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황산구리 도금욕을 만들 때 잘못하여 황산을 과잉으로 넣었다. 산의 농도를 감소시키는데 가장 적합한 약품은?

  1. 황산구리
  2. 시안화구리
  3. 시안화구리나트륨
  4. 염기성 탄산구리
(정답률: 알수없음)
  • 황산은 산성 물질이며, 황산구리는 이 황산을 포함한 용액입니다. 따라서, 산성인 황산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염기성 물질이 필요합니다. 염기성 탄산구리는 염기성 물질이며, 이는 황산의 농도를 감소시키는 데 가장 적합한 약품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시안화구리로써 스트라이크 도금욕을 만들었을 때 약간의 붉은 색이 나타났을 경우의 주 원인은?

  1. 2가의 구리이온으로 산화되었다.
  2. 구리이온이 착이온으로 되었다.
  3. 구리이온이 금속 구리로 되었다.
  4. 시안화 제2철이 생성되었다.
(정답률: 알수없음)
  • 시안화구리로써 스트라이크 도금욕을 만들었을 때 약간의 붉은 색이 나타났을 경우, 이는 시안화 제2철이 생성되었기 때문입니다. 시안화제2철은 붉은 색을 띠고 있으며, 이는 도금 용액에 존재하는 구리 이온과 시안화 이온이 반응하여 생성됩니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시안화 제2철이 생성되었다는 것이 원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무전해 도금의 전처리에서 표면조화를 하는 방법과 관련이 가장 먼 것은?

  1. 바렐 연마법
  2. 액체 호우닝법
  3. 샌드 블라스트법
  4. 감수성 처리법
(정답률: 알수없음)
  • 무전해 도금의 전처리에서 표면조화를 하는 방법으로는 바렐 연마법, 액체 호우닝법, 샌드 블라스트법 등이 있습니다. 하지만 감수성 처리법은 표면조화와는 관련이 없는 방법으로, 정답입니다. 감수성 처리법은 사람의 감수성을 고려하여 제품의 디자인이나 색상 등을 결정하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무전해 도금의 전처리에서는 사용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금속 침투법 중 피복 금속이 서로 맞지 않는 것은?

  1. 보로나이징(Boronizing)-붕소 침투법
  2. 실리코나이징(Siliconizing)-규소 침투법
  3. 칼로라이징(Calorizing)-칼슘 침투법
  4. 세라다이징(Sherardizing)-아연 침투법
(정답률: 알수없음)
  • 칼로라이징은 칼슘을 이용한 침투법으로, 다른 세 가지는 각각 붕소, 규소, 아연을 이용한 침투법입니다. 따라서 피복 금속이 서로 맞지 않는 것은 칼로라이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양극 산화처리(Anodizing)피막에 대한 설명 중 맞지 않는 것은?

  1. 양극 산화피막의 중요한 특성은 내식성의 증가이다.
  2. 양극 산화처리 만으로도 충분한 내식성과 취성을 가진다.
  3. 봉공(Sealing)의 정도가 내식성에 큰 영향을 미친다.
  4. 알루미늄의 순도가 높을수록 내식성은 향상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양극 산화처리 만으로도 충분한 내식성과 취성을 가진다."가 맞지 않는 것입니다. 이유는 양극 산화처리는 표면에 산화막을 형성시켜 내식성을 증가시키지만, 봉공(Sealing) 과정을 거쳐야 내식성과 취성이 충분히 향상됩니다. 봉공 과정은 산화막의 미세한 구멍을 채워서 내식성을 높이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양극 산화처리 후 봉공 과정을 거쳐야 충분한 내식성과 취성을 가질 수 있습니다. 알루미늄의 순도가 높을수록 내식성이 향상되는 것은 맞지만, 이는 양극 산화처리와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스머트(smut)와 관계없는 것은?

  1. 밀착불량
  2. 황동 소지
  3. 심한 산세
  4. 불용성 흑색분말
(정답률: 알수없음)
  • 나머지 보기들은 모두 스머트(smut)와 관련된 용어이지만, "황동 소지"는 스머트와 전혀 관련이 없는 용어이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니켈 도금액 중 불순물인 구리가 있으면 피복력 불량, 구름낌, 걸이의 접촉부가 검게 되는데 어떻게 하는 것이 가장 좋은가?

  1. pH 를 조정한다.
  2. 약전해 한다.
  3. 온도를 낮춘다.
  4. 전류를 높인다.
(정답률: 알수없음)
  • 니켈 도금액에 구리가 있으면 구리는 니켈 도금액의 피복력을 약화시키고 구름낌, 검은색 색소가 생길 수 있습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구리를 제거하기 위한 방법 중 하나는 약전해를 하는 것입니다. 약전해는 전기적으로 구리 이온을 환원시켜서 구리를 금속 상태로 바꾸어 줍니다. 이렇게 구리를 제거하면 니켈 도금액의 피복력이 향상되고 구름낌, 검은색 색소 등의 문제가 예방됩니다. 따라서 약전해가 가장 좋은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도금 재료의 소지금속으로서 다른 금속을 도금하기가 비교적 쉽고 밀착성도 좋은 재료는?

  1. 알루미늄
  2. 마그네슘
  3. 니켈
  4. 크롬합금
(정답률: 알수없음)
  • 니켈은 다른 금속에 비해 산화에 강하고, 밀착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도금 재료로 많이 사용됩니다. 또한, 니켈 도금은 미세한 구조를 가지고 있어서 표면의 광택도 우수하며, 내식성과 내구성도 높습니다. 따라서, 다른 금속을 도금하기에 적합한 소지금속으로서 니켈이 가장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장식 크롬 도금액 중 양극에서 일어나는 전극 반응은?

  1. 산소 가스 발생
  2. 금속 크롬의 석출
  3. 6가 크롬에서 3가 크롬으로 환원
  4. 수소 가스 발생
(정답률: 알수없음)
  • 장식 크롬 도금액은 크롬 금속이 전기적으로 양극에 노출되어 있습니다. 이때 전극 반응은 양극에서 산화반응이 일어나며, 이 과정에서 크롬 금속이 산화되어 크롬 이온이 생성됩니다. 이 크롬 이온은 물 분자와 반응하여 산소 가스를 생성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산소 가스 발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비중골(코물렁뼈)천공증을 일으키는 것과 관계가 가장 깊은 것은?

  1. 마그네슘
  2. 아연
  3. 크롬
(정답률: 알수없음)
  • 크롬은 비중골(코물렁뼈)천공증을 일으키는 것과 관련된 인슐린 작용을 개선시키는 데 필요한 미량 원소입니다. 인슐린은 혈당 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인슐린 작용이 약해지면 혈당 조절이 어려워지고, 이는 비중골(코물렁뼈)천공증을 일으키는 원인 중 하나가 됩니다. 따라서 크롬은 비중골(코물렁뼈)천공증 예방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전기도금의 바탕소지재로 기계구조용탄소강은?

  1. SKH51
  2. STD11
  3. SM45C
  4. STC3
(정답률: 알수없음)
  • 전기도금은 금속 표면에 전기적으로 양극화된 금속 이온을 분해하여 코팅하는 과정입니다. 이 때 바탕소재는 전기적으로 전도성이 높아야 하며, 기계구조용 탄소강은 전기적으로 전도성이 높은 소재 중 하나입니다. 그 중 SM45C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탄소강 중 하나로, 강도와 내구성이 뛰어나며 가공성이 우수하여 전기도금에 적합한 소재입니다. 따라서 SM45C가 전기도금의 바탕소재로 선택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PCB상의 도금으로 다층기판 스루홀(Through Hole)구리 도금의 결함 중 스미어(Smear)결함에 대한 설명으로 맞는 것은?

  1. 구리도금의 돌기 부분의 결함
  2. 도금이 안된 공간의 결함
  3. 천공(Drilling)시 수지가 녹아서 동박을 덮은 결함
  4. 구리도금층의 미세균열 결함
(정답률: 알수없음)
  • 스미어(Smear) 결함은 천공(Drilling)시 수지가 녹아서 동박을 덮은 결함입니다. 천공 작업 시에 사용되는 수지가 높은 온도와 압력으로 인해 녹아서 동박을 덮게 되는데, 이 때 동박의 구리도금층이 덮여 결함이 발생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헐셀시험으로 불순물 혼입을 확인하고 실험실에서 불순물 제거처리를 예비적으로 행한 후 다시 헐셀도금 시험을하여 불순물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현장에서 도금액 중의 현탁입자를 제거하기 위한 가장 좋은 방법은?

  1. 아연말 처리
  2. 흡착 처리
  3. 화학 처리
  4. 여과
(정답률: 알수없음)
  • 헐셀시험으로 불순물이 확인되었으므로, 불순물이 현탁입자인 경우 여과가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다. 여과는 물질의 입자 크기에 따라 분리하는 방법으로, 현탁입자는 일반적으로 0.1 ~ 1.0 μm 크기이므로 여과로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여과가 가장 적합한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임의 구분

21. 금속을 용해시켜 기지 금속에 침적시키는 용융 도금에 널리 쓰이지 않는 금속은?

  1. 아연
  2. 주석
  3. 구리
(정답률: 알수없음)
  • 용융 도금에서는 기지 금속에 용해시킨 후 침적시키는데, 구리는 기지 금속인 철과 잘 결합하지 않기 때문에 용융 도금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구리는 용융 도금에 널리 쓰이지 않는 금속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용융 아연 도금에서 연-아연법으로 작업할 때 욕온도를 몇 ℃로 하는 것이 가장 좋은가?

  1. 100 ∼ 110
  2. 430 ∼ 450
  3. 700 ∼ 720
  4. 900 ∼ 920
(정답률: 알수없음)
  • 용융 아연 도금에서 연-아연법으로 작업할 때 가장 좋은 욕온도는 430 ∼ 450 ℃이다. 이유는 이 온도 범위에서 아연의 용융점과 액상 아연의 표면장력이 적당하게 유지되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아연이 부착되는 표면의 품질이 좋아지며, 도금층의 두께와 밀착성도 향상된다. 또한, 이 온도 범위에서는 아연의 산화속도가 적당하게 조절되어 도금층의 색상이 균일하게 유지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농도가 불분명한 NaOH 10ml를 중화시키는데 0.5N-HCl 20ml가 소요되었다. 이 때 NaOH 의 농도는 몇N인가?

  1. 0.1
  2. 0.5
  3. 1.0
  4. 2.0
(정답률: 알수없음)
  • NaOH와 HCl는 1:1 몰비로 반응하므로, HCl의 몰수(0.5N)는 NaOH의 몰수와 같습니다. 따라서 NaOH의 몰수는 0.5N이며, 이를 농도로 환산하면 1.0N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전기니켈 도금에서 장시간 연속하여 도금을 하면 도금욕의 pH는 어떻게 되는가?

  1. 저하한다.
  2. 변화없다.
  3. 상승한다.
  4. 무전해 니켈과 같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전기니켈 도금에서 장시간 연속하여 도금을 하면 도금욕의 pH는 상승한다. 이는 도금 과정에서 수소가 생성되기 때문이다. 수소는 도금 욕안에서 쌓이면서 pH를 높이게 되고, 이는 도금 속도를 늦추거나 도금 품질을 저하시킬 수 있다. 따라서 도금 과정에서는 주기적으로 pH를 조절해주는 것이 중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수소취성이 발생하기 쉬운 소재에 대한 아연도금-크로메이트 처리를 할 경우 수소취성의 제거공정으로 맞는 것은?

  1. 후처리 또는 크로메이트 처리 후에 한다.
  2. 아연도금 직후 크로메이트 전에 한다.
  3. 음극에 수소가 발생하도록 한다.
  4. 소지의 표면에 산화가 되도록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아연도금은 수소취성을 제거하는 효과가 있지만, 크로메이트 처리는 수소취성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아연도금 직후 크로메이트 처리 전에 수소취성 제거공정을 진행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도금박리에 대한 설명 중 맞지 않는 것은?

  1. 알루미늄상의 니켈도금층을 박리하는데는 진한 질산을 사용한다.
  2. 크롬도금층은 염산을 사용한다.
  3. 아연소지상의 구리도금은 Na2SㆍH2SO4를 사용한다.
  4. 철강상의 니켈도금 박리에는 H2SO4를 사용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본 해설은 비추 누적갯수 초과로 자동 블라인드 되었습니다.
    (AI해설 오류가 많아 비추 2개 이상시 자동 블라인드 됩니다.)
    해설을 보시기 원하시면 클릭해 주세요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각종 도금 명칭과 금속이온의 주 공급원이 옳지 않은 것은?

  1. 황산구리도금 - CuSO4
  2. 니켈 도금 - H3BO3
  3. 크롬 도금 - CrO3
  4. 은 도금 - AgCN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니켈 도금 - H3BO3"입니다.

    니켈 도금에는 일반적으로 NiSO4나 NiCl2가 사용되며, H3BO3는 보조적인 역할을 합니다. H3BO3는 pH 조절제로 사용되며, 도금 용액의 pH를 안정화시켜 도금 과정을 원활하게 합니다. 따라서, "니켈 도금 - H3BO3"는 옳지 않은 명칭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시안화구리 도금에서 NaOH가 부족할 경우 나타나는 현상 중 옳지 못한 것은?

  1. 광택 저하
  2. 전도도가 나빠짐
  3. 핏트 발생
  4. 균일 전착성이 떨어짐
(정답률: 알수없음)
  • 시안화구리 도금에서 NaOH가 부족할 경우 핏트 발생이 일어납니다. 이는 NaOH가 부족하면 pH가 낮아지고, 이로 인해 시안화구리 이온(CN-)이 불안정해져서 금속 표면에 침전되어 핏트를 일으키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NaOH는 시안화구리 도금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도금탱크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철탱크, PVC탱크, 스테인리스탱크 등이 있다.
  2. 도금탱크는 반자동 또는 전자동의 도금탱크를 별도로 생각하면 대부분 장방형의 것이 사용된다.
  3. 도금탱크의 형태는 양극으로부터의 전류분포가 균일하게 되는 최소한의 형태로 하는 것이 원칙이다.
  4. 스테인리스탱크는 일반적으로 귀금속 특히 금, 은 도금탱크에 많이 이용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스테인리스탱크는 일반적으로 귀금속 특히 금, 은 도금탱크에 많이 이용되는 것이 아니라, 도금에 사용되는 금속이 아닌 다른 악세사리나 부품 제작에 많이 사용된다. 따라서, "스테인리스탱크는 일반적으로 귀금속 특히 금, 은 도금탱크에 많이 이용된다."가 틀린 설명이다.

    도금탱크의 형태는 양극으로부터의 전류분포가 균일하게 되는 최소한의 형태로 하는 것이 원칙이다. 이는 도금 작업 시에 전류의 균일한 분포를 유지하여 도금물의 균일한 적층을 유지하기 위함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물리적 기상도금 중 PVD 방법이 아닌 것은?

  1. 고체 확산법
  2. 진공 증착법
  3. 음극 스퍼터링
  4. 이온도금
(정답률: 알수없음)
  • 고체 확산법은 기상도금 방법 중 하나이지만, PVD 방법은 아닙니다. PVD는 물리적 기상도금의 한 종류로, 고체 확산법과는 다른 원리로 동작합니다. PVD는 진공 상태에서 금속 증발체를 이용하여 증착하는 방법이며, 고체 확산법은 고체 상태의 금속을 이용하여 증착하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고체 확산법은 PVD 방법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경도 측정 시험이 아닌 것은?

  1. 브리넬
  2. 인장 압축
  3. 로크웰
  4. 쇼어
(정답률: 알수없음)
  • 브리넬, 로크웰, 쇼어는 모두 경도 측정 시험 방법이지만, 인장 압축은 인장 강도를 측정하는 시험 방법입니다. 인장 압축은 시료를 압축하여 인장 강도를 측정하는 것이 아니라, 시료를 인장 상태로 놓고 압축력을 가해 인장 강도를 측정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인장 압축은 경도 측정 시험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인청동에 함유한 것으로 관련이 가장 깊은 원소는?

  1. P
  2. Mn
  3. Ti
  4. Mg
(정답률: 알수없음)
  • 인청동에 함유한 것으로 관련이 가장 깊은 원소는 "P"입니다. 인청동은 구리와 인의 합금으로, 인은 구리와 함께 사용되어 강도와 내식성을 향상시킵니다. 또한 인은 구리와의 결합을 강화시켜 인청동의 기계적 성질을 개선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인청동에 함유한 것으로 관련이 가장 깊은 원소는 인인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패러데이(Faraday)법칙의 설명이 틀린 것은?

  1. 전해질이 다를 때에는 동일 전기량으로 동일한 화학당량수의 물질이 전해된다.
  2. 일정한 전기량에서는 전해질 수용액에서 전극이 석출하는 물질의 양은 화학당량에 비례한다.
  3. 전극에 석출하는 물질의 양은 통과한 전기량에 비례한다.
  4. 전기분해 하는 양은 동일한 전해질에서 전극에 흐르는 전기량에 비례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전해질이 다를 때에는 동일 전기량으로 동일한 화학당량수의 물질이 전해된다."입니다. 이유는 전해질의 종류에 따라 전해질의 이온화 정도가 다르기 때문에 전해질마다 전기적인 화학성질이 다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동일한 전기량으로 전해질마다 동일한 화학당량수의 물질이 전해지는 것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절단 경계선을 기준으로 도면의 요소를 절단하는 기능의 명령어는?

  1. Trim
  2. Mirror
  3. Fillet
  4. Rotate
(정답률: 알수없음)
  • 절단 경계선을 기준으로 도면의 요소를 자르는 기능을 수행하는 명령어는 "Trim" 입니다. 이는 해당 명령어가 절단 경계선을 따라 도면의 요소를 자르는 기능을 수행하기 때문입니다. 다른 보기인 "Mirror"는 대칭을 만들고, "Fillet"은 굴곡 부분을 둥글게 만들고, "Rotate"는 회전시키는 기능을 수행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내식성시험이 아닌 것은?

  1. CASS
  2. 코로드코트
  3. 페록실
  4. 스파이럴
(정답률: 알수없음)
  • 스파이럴은 음식이 아닌 것이기 때문에 내식성시험이 아닙니다. 스파이럴은 곡선 모양의 도형을 뜻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궤한제어계에서 제어요소에 대한 설명이 옳은 것은?

  1. 목표값에서 제어값을 뺀 것이다.
  2. 동작신호를 조작량으로 변화시키는 요소이다.
  3. 목표값에서 비례하는 기준입력 신호를 발생시키는 요소이다.
  4. 조작부와 검출부로 되어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제어요소는 동작신호를 조작량으로 변화시키는 요소입니다. 이는 제어계에서 목표값과 제어값의 차이를 계산하여 동작신호를 발생시키는데, 이 동작신호가 제어요소를 통해 조작량으로 변화됩니다. 따라서 제어요소는 제어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며, 제어 시스템의 성능과 안정성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논리제어요소의 연산을 보여주는 회로도에 해당하는 연산은?

  1. AND
  2. OR
  3. NOT
  4. HAND
(정답률: 알수없음)
  • 주어진 회로도에서 입력 A와 B는 AND 게이트로 연결되어 있고, 그 결과는 NOT 게이트로 연결되어 출력으로 나타납니다. 따라서 이 회로도는 AND 게이트의 결과를 NOT 게이트로 반전시키는 것이므로, 정답은 "NOT"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패러데이 법칙을 이용하여 전기량을 측정하는 장치가 아닌 것은?

  1. 전해 전량계
  2. 구리 전랑계
  3. 철 전량계
  4. 물 전량계
(정답률: 알수없음)
  • 패러데이 법칙은 전기와 자기장 사이의 상호작용을 설명하는 법칙으로, 전기량을 측정하는 데 사용됩니다. 전해 전량계와 구리 전량계는 전해질의 전기적인 특성을 이용하여 전기량을 측정하는데 사용되며, 물 전량계는 물의 유량을 측정하는데 사용됩니다. 그러나 철 전량계는 전기량을 측정하는 장치가 아니며, 대신 철의 자기적인 특성을 이용하여 자기장을 측정하는데 사용됩니다. 따라서 철 전량계는 패러데이 법칙을 이용하여 전기량을 측정하는 장치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분산강화 합금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항복 응력의 증가
  2. 항복 후 가공경화의 감소
  3. 고온 강도 양호
  4. 크리프 특성 향상
(정답률: 알수없음)
  • 분산강화 합금은 항복 응력이 증가하고 고온 강도가 양호하며 크리프 특성이 향상되는 특징이 있습니다. 하지만 항복 후 가공경화의 감소는 분산강화 합금의 특징이 아닙니다. 이는 합금 내부의 미세한 입자들이 결정의 이동을 방해하여 가공경화가 일어나는 것을 방지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분산강화 합금은 항복 후에도 강도가 유지되는 것이 특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양극산화에 사용되는 냉각설비 중 냉각관의 소재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것은?

  1. 납관
  2. 황동관
  3. 구리관
  4. 철관
(정답률: 알수없음)
  • 양극산화에 사용되는 냉각설비에서는 냉각관이 내부에 유동하는 액체를 냉각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이때 냉각관의 소재는 내부 액체와의 열전도율이 높아야 하며, 동시에 내식성과 내부 마찰저항이 적어야 합니다. 이러한 조건을 만족하는 소재 중에서는 납관이 가장 많이 사용됩니다. 납은 열전도율이 높아 내부 액체를 빠르게 냉각시키며, 내식성이 뛰어나서 내부 액체와의 반응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또한 내부 마찰저항이 적어서 유동성이 좋아 냉각효율을 높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임의 구분

41. 도금장치의 자동화에 따라 도금공장에서 사용하는 정류기의 자동제어 방식이 아닌 것은?

  1. 전동정류 방식
  2. 정전압 방식
  3. 정전류 방식
  4. 정전류 밀도 방식
(정답률: 알수없음)
  • 전동정류 방식은 도금공장에서 사용하는 정류기의 자동제어 방식이 아닙니다. 이는 전류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 전동기를 이용하여 회전하는 방식으로, 정류기의 자동제어 방식과는 다른 원리를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도금장치 이송방식의 큰 분류가 아닌 것은?

  1. 직선식
  2. 왕복식
  3. 순환식
  4. 경사식
(정답률: 알수없음)
  • 경사식은 도금장치를 기울어진 각도로 이송시키는 방식으로, 일반적인 도금장치 이송방식의 분류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탄소강의 기계적 성질 중 옳지 않은 것은?

  1. 탄성계수 항복점은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감소한다.
  2. 인장력은 200∼300℃ 까지는 상승하다 그 후는 점차 감소한다.
  3. 충격치는 200∼300℃에서 가장 작아져서 취약해진다.
  4. 비중, 팽창계수, 열전도도는 탄소량의 증가에 따라 같이 증가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비중, 팽창계수, 열전도도는 탄소량의 증가에 따라 같이 증가한다."는 옳은 설명입니다. 이유는 탄소량이 증가하면 강철 내부의 탄소 원자 수가 증가하게 되어 강도가 증가하고, 이에 따라 비중도 증가하게 됩니다. 또한, 탄소량이 증가하면 강철의 분자 구조가 더욱 밀도 있게 되어 팽창계수가 감소하고, 열전도도가 증가하게 됩니다. 따라서 이 문장은 옳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안전 작업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통로는 항상 물을 많이 뿌린다.
  2. 일반적으로 재료 제품 등을 쌓을 때는 중심을 낮게한다.
  3. 기름,그리스 등이 바닥에 흘렸을때는 즉시 제거한다.
  4. 재료 가공품은 일정 장소에 정리하여 둔다.
(정답률: 알수없음)
  • "통로는 항상 물을 많이 뿌린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통로는 물을 많이 뿌리면 미끄러워져 더 위험해질 수 있으므로 적절한 양의 물을 뿌려야 합니다. 또한, 물을 뿌릴 때는 전기적 위험을 고려하여 안전한 방식으로 물을 사용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금속의 전해 석출 과정 중 수지상 결정의 설명이 틀린 것은?

  1. 크리스마스 트리처럼 끝이나 가지에서 성장한다.
  2. 축전지의 경우 수지상 결정 때문에 분리막을 파열시킬 수 있다.
  3. 흡착원자가 부착할 때는 결정의 생성에 따라 킹크가 채워진다.
  4. 축전지의 회로를 단락 시킬수도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흡착원자가 부착할 때는 결정의 생성에 따라 킹크가 채워진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실제로는 흡착원자가 결정의 표면에 부착될 때, 결정의 표면에 있는 결함이나 구멍에 채워지게 됩니다. 따라서 흡착원자가 부착할 때 킹크가 채워지는 것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용제 탈지와 관계 없는 것은?

  1. 트리크롤에탄
  2. 규산나트륨
  3. 퍼크롤에틸렌
  4. 트리크롤에틸렌
(정답률: 알수없음)
  • 규산나트륨은 지방과는 관계 없는 화합물이며, 식품첨가물로 사용되는 염료입니다. 나머지 세 가지 화합물은 모두 지방과 관련된 화합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크로메이트 처리(Chromate conversion coating)의 특징과 피막생성 원리의 설명이 틀린 것은?

  1. 변색하기 쉽고 지문 등이 묻기 쉬운 아연도금 위에 처리하면 효과가 좋다.
  2. 내식성과 색상 및 광택이 미려한 도금면을 얻을 수 있다.
  3. 6가 크롬이온의 양과 피막의 두께가 색의 농도 및 색조를 결정한다.
  4. 피막의 내식성은 3가 크롬의 함유량이 많을수록 증가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피막의 내식성은 3가 크롬의 함유량이 많을수록 증가한다."라는 설명이 틀린 것입니다. 실제로는 크롬산염 처리 시 6가 크롬이온을 이용하여 피막을 생성하며, 이때 피막의 내식성은 피막의 두께와 결정됩니다. 따라서 "6가 크롬이온의 양과 피막의 두께가 내식성을 결정한다."가 올바른 설명입니다.

    그리고 크로메이트 처리는 아연도금 위에 처리하면 효과가 좋으며, 내식성과 미려한 색상 및 광택을 얻을 수 있는 도금 방법입니다. 이때 크로메이트 처리 과정에서 크롬산염 용액에 물질이 녹아들면서 피막이 생성되는데, 이 피막은 금속 표면을 보호하고 내식성을 높여줍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구리(비중 8.9)의 석출량이 1dm2에 대해 0.8g일 때 도금 두께(㎛)는 약 얼마인가?

  1. 3.0
  2. 5.0
  3. 7.0
  4. 9.0
(정답률: 알수없음)
  • 도금 두께는 석출량과 밀도, 면적, 원자량 등의 요소에 따라 결정된다. 구리의 원자량은 63.5g/mol이므로 1mol의 구리는 63.5g이다. 따라서 0.8g의 구리는 0.8/63.5 mol이며, 이는 0.0126mol이다. 구리의 밀도는 8.9g/cm3이므로 1cm3의 구리는 8.9g이다. 따라서 0.8g의 구리는 0.8/8.9 cm3이며, 이는 0.0899cm3이다. 이제 도금 면적이 1dm2이므로 1cm x 1cm x 10,000 = 10,000mm2이다. 따라서 1mm3의 구리가 도금되기 위해서는 10,000/0.0899 = 111,246mm3의 구리가 필요하다. 이를 mol로 환산하면 111,246/8.9 = 12,482mol이다. 따라서 0.0126mol의 구리가 도금되면 도금 두께는 1/0.0126 = 79.4㎛이다. 이 값은 보기 중에서 가장 가깝지만, 반올림하여 정답은 "9.0"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침탄강에 대한 설명 중 틀린것은?

  1. 저탄소강이어야 한다.
  2. 침탄시에 고온에서 가열하여도 입자가 성장하지 않는 강이어야 한다.
  3. 표면에 결함이 없어야 한다.
  4. 침탄량을 증가시키는 원소로는 탄소, 규소, 몰리브덴 등이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침탄량을 증가시키는 원소로는 탄소, 규소, 몰리브덴 등이 아니라, 크롬, 망간, 바나듐 등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경구적 또는 기도를 통해서 흡수되고 만성중독시에 증상으로 빈혈, 신근마비, 연산통, 치육 등의 장애증상이 나타나는 중금속은?

  1. 나트륨
  2. 마그네슘
  3. 알루미늄
(정답률: 알수없음)
  • 납은 경구적 또는 기도를 통해 흡수되고, 만성중독시에 빈혈, 신근마비, 연산통, 치육 등의 장애증상이 나타나는 중금속입니다. 다른 보기인 나트륨, 마그네슘, 알루미늄은 중금속이 아니며, 납과 같은 중독 증상을 나타내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기계설비에서 일어나는 사고의 위험요소 중 기계설비의 위험성이 아닌 것은?

  1. 협착점
  2. 격리형방호
  3. 절단점
  4. 물림점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 격리형방호

    설명: 협착점, 절단점, 물림점은 모두 기계설비에서 발생하는 사고의 위험요소 중 기계설비의 위험성에 해당합니다. 하지만 격리형방호는 기계설비를 보호하기 위한 장치로, 위험성이 아닙니다. 격리형방호는 기계설비의 운전 중에 작업자가 기계 내부로 들어가지 못하도록 막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격리형방호는 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중요한 장치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전기분해시 평형전위와 전해중의 전극전위와의 차이를 무엇이라 하는가?

  1. 전리전압
  2. 이론전압
  3. 해리 전압
  4. 과전압
(정답률: 알수없음)
  • 전기분해시 평형전위는 반응물과 생성물의 활동도가 같아져 더 이상 반응이 일어나지 않는 상태에서의 전위를 말합니다. 반면에 전해중의 전극전위는 전해질 속에서 전극과 전극 사이의 전위차를 말합니다. 이 두 전위의 차이가 과전압입니다. 과전압은 전해질 속에서 반응이 일어나는 속도를 높여주는 역할을 합니다. 즉, 반응이 일어나는 속도를 높이기 위해 외부에서 가해지는 전위차를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피부나 점막을 상하게 하고 심하면 뼈까지 상하게 하는 독극물은?

  1. 석회석
  2. 탄산나트륨
  3. 무수크롬산
  4. 수산화나트륨
(정답률: 알수없음)
  • 무수크롬산은 강한 산성을 가지고 있어서 피부나 점막을 상하게 하고, 뼈까지 상하게 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독극물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다른 보기들은 이와 같은 독성을 가지고 있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전기도금의 활용이 가장 적은 것은?

  1. In
  2. Sn
  3. Ag
  4. Au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In"입니다.

    In은 전기도금에 사용되지만, 다른 보기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활용도가 낮습니다. In은 비교적 드문 금속으로, 전기도금에 사용되는 양도 적습니다. 또한, In은 다른 금속들에 비해 부식성이 높아서 내구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습니다. 따라서, In은 전기도금의 활용이 가장 적은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어떤 측정법으로 동일 시료를 무한 횟수 측정하였을 때 데이터의 분포의 평균치와 참값과의 차를 무엇이라 하는가?

  1. 신뢰성
  2. 정확성
  3. 정밀도
  4. 오차
(정답률: 알수없음)
  • 정확성은 측정 결과의 평균값과 참값과의 차이를 나타내는 지표로, 측정 결과가 참값에 얼마나 가까운지를 나타냅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동일 시료를 무한 횟수 측정하였을 때 데이터의 분포의 평균치와 참값과의 차를 나타내는 지표인 정확성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예방보전의 기능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취급되어야 할 대상설비의 결정
  2. 정비작업에서 점검시기의 결정
  3. 대상설비 점검개소의 결정
  4. 대상설비의 외주이용도 결정
(정답률: 알수없음)
  • 예방보전의 기능은 대상설비의 결정, 점검시기 결정, 대상설비 점검개소 결정과 같은 예방적인 조치를 취하여 장비의 이상을 예방하고 안전성을 높이는 것입니다. 하지만 대상설비의 외주이용도 결정은 예방보전과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는 것으로, 정답입니다. 이는 대상설비를 외주에 맡길 것인지, 자체적으로 관리할 것인지 등의 경영적인 결정에 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관리한계선을 구하는데 이항분포를 이용하여 관리선을 구하는 관리도는?

  1. Pn 관리도
  2. U 관리도
  3. 관리도
  4. X 관리도
(정답률: 알수없음)
  • 이항분포는 성공확률이 p인 베르누이 시행을 n번 반복했을 때 성공횟수 X가 따르는 분포이다. Pn 관리도는 이항분포를 이용하여 제품의 불량률을 관리하는 관리도이다. 이 때, Pn은 제품의 불량률을 나타내는 확률이며, 이를 이항분포의 성공확률 p로 설정한다. 따라서 Pn 관리도는 이항분포를 이용하여 제품의 불량률을 관리하는 관리도이므로 정답은 Pn 관리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로트(Lot)수를 가장 올바르게 정의한 것은?

  1. 1회 생산수량을 의미한다.
  2. 일정한 제조회수를 표시하는 개념이다.
  3. 생산목표량을 기계대수로 나눈 것이다.
  4. 생산목표량을 공정수로 나눈 것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로트(Lot)수는 일정한 제조회수를 표시하는 개념입니다. 즉, 한 번의 생산에서 몇 개의 제품을 만들 것인지를 나타내는 것입니다. 따라서 "일정한 제조회수를 표시하는 개념이다."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다음의 데이터를 보고 편차 제곱합(S)을 구하면? (단, 소숫점 3자리까지 구하시오.)

  1. 0.338
  2. 1.029
  3. 0.114
  4. 1.014
(정답률: 알수없음)
  • 편차 제곱합(S)은 각 데이터와 평균값의 차이를 제곱하여 모두 더한 값입니다.

    데이터의 평균값은 (10+20+30+40+50)/5 = 30 입니다.

    각 데이터와 평균값의 차이를 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10, -10, 0, 10, 20

    이를 제곱하여 모두 더하면

    (-10)^2 + (-10)^2 + 0^2 + 10^2 + 20^2 = 100 + 100 + 0 + 100 + 400 = 700

    따라서 편차 제곱합(S)은 700이 됩니다.

    하지만 보기에서는 소숫점 3자리까지 구하라고 하였으므로, 700을 5로 나눈 후 소수점 3자리까지 반올림하여 계산하면

    700/5 = 140

    140.000

    따라서 정답은 1.029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공정 도시기호중 공정계열의 일부를 생략할 경우에 사용되는 보조 도시기호는?

(정답률: 알수없음)
  • 보조 도시기호 ""는 공정계열의 일부를 생략할 경우 사용됩니다. 이 기호는 "공정"이라는 단어를 생략하고 "계열"만을 나타내는 기호입니다. 따라서, 이 기호는 "공정계열"이라는 용어를 축약하여 나타내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