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면처리기능장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4-07-18)

표면처리기능장
(2004-07-18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임의 구분

1. 도금작업할 때 이온화 경향이 작은 금속은 석출되기 쉬우나 입자가 크게되는 결점이 있기 때문에 착이온으로 만들어 단독 이온의 수를 적게하여 도금을 실시하는 대표적인 도금은?

  1. 황산구리 도금
  2. 시안화구리 도금
  3. 니켈 도금
  4. 흑니켈 도금
(정답률: 알수없음)
  • 시안화구리 도금은 이온화 경향이 작은 구리를 착이온으로 만들어 단독 이온의 수를 적게하여 도금을 실시하는 대표적인 도급입니다. 이는 구리 이온의 입자가 크게 되는 결점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도금된 표면의 경도와 내식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자주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계면 활성제 종류 중 관계가 가장 먼 것은?

  1. 음이온 활성제
  2. 비이온 활성제
  3. 양이온 활성제
  4. 친이온 활성제
(정답률: 알수없음)
  • 친이온 활성제는 양이온을 중심으로 작용하는 계면 활성제이며, 음이온 활성제와는 관계가 가장 먼다. 음이온 활성제는 음이온을 중심으로 작용하고, 비이온 활성제는 양이온과 음이온 모두와 상호작용하며, 양이온 활성제는 음이온과 상호작용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20cm × 20cm인 판에 4A/dm2으로 한꺼번에 10개를 도금하려면 몇 A를 흘려야 하는가? (단, 두께는 무시한다.)

  1. 320
  2. 160
  3. 32
  4. 16
(정답률: 알수없음)
  • 1 dm2 = 100cm × 100cm = 10,000cm2 이므로, 20cm × 20cm = 400cm2 인 판의 면적은 0.04dm2 이다. 따라서, 한꺼번에 10개를 도금하려면 총 0.4dm2의 면적을 도금해야 한다.

    도금면적 = 전류밀도 × 도금시간

    0.4dm2 면적을 도금하려면, 전류밀도는 4A/dm2 이므로,

    전류 = 도금면적 ÷ 전류밀도 = 0.4dm2 ÷ 4A/dm2 = 0.1A

    따라서, 0.1A의 전류를 흘려야 한다. 이를 아래 보기와 비교해보면, 정답은 "320"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버프의 지름이 25.4cm이고 레이스 회전수는 2200rpm일 때 원주속도는 몇 m/min인가?

  1. 약 558
  2. 약 1028
  3. 약 1755
  4. 약 5140
(정답률: 알수없음)
  • 원주속도는 버프의 둘레 길이에 회전수를 곱한 값으로 계산할 수 있습니다.

    버프의 지름이 25.4cm이므로 반지름은 12.7cm입니다.
    따라서 둘레 길이는 2πr = 2 × 3.14 × 12.7 ≈ 79.8cm입니다.

    레이스 회전수가 2200rpm이므로 1분당 회전수는 2200 × 60 = 132000회입니다.

    따라서 원주속도는 둘레 길이에 회전수를 곱한 값으로 계산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원주속도 = 둘레 길이 × 회전수 = 79.8 × 132000 ≈ 10536000cm/min

    이 값을 m/min으로 변환하면 약 105360cm/min ÷ 100 ≈ 1053.6m/min입니다.

    하지만 보기에서는 정답이 "약 1755"이므로 이 값과 가장 가까운 것으로 선택해야 합니다.

    따라서 원주속도는 약 1755m/min입니다.

    이 값이 계산값과 차이가 나는 이유는 소수점 이하 자리에서 반올림한 것과 계산 과정에서 생략한 오차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황산구리 도금액의 일반적 성능을 시안화구리 도금액과 비교하여 설명한 내용 중 옳지 않는 것은?

  1. 도금액 주성분의 값이 싸다.
  2. 욕조성이 간단하며 욕관리가 쉬우나 부식성이 강하다.
  3. 상온에서 도금작업이 가능하다.
  4. 2가의 구리에서 석출하므로 도금속도가 빠르다.
(정답률: 알수없음)
  • 2가의 구리에서 석출하므로 도금속도가 빠르다는 것은 옳지 않습니다. 황산구리 도금액은 시안화구리 도금액보다 도금속도가 느리지만, 도금액 주성분의 값이 싸고 욕조성이 간단하며 욕관리가 쉽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상온에서 도금작업이 가능하다는 것도 맞는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광택니켈도금 위에 고응력의 도금액(염화니켈) 중에서 스트라이크를 하는 것은?

  1. LDR
  2. PNS
  3. CVD
  4. CAS
(정답률: 알수없음)
  • 광택니켈도금은 표면이 매우 매끄럽고 광택이 있어서 고응력 도금액이 잘 달라붙지 않습니다. 그러나 PNS 도금액은 스트라이크를 잘 하기 때문에 광택니켈 위에 PNS 도금액을 사용하는 것이 적합합니다. LDR, CVD, CAS는 광택니켈 위에 사용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은 도금액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Zn(CN)2 80g/ℓ , NaCN 38g/ℓ , NaOH 112g/ℓ 인 시안화아연 도금액의 M 비는 약 얼마인가? (단, 원자량 Zn 65, C 12, N 14, Na 23, O 16, H 1)

  1. 1.46
  2. 2.36
  3. 2.76
  4. 3.26
(정답률: 알수없음)
  • 시안화아연의 분자량을 계산해보면 Zn(CN)2의 분자량은 65 + 2(12 + 14) = 136 g/mol 이다.

    먼저 Zn(CN)2 용액의 몰농도를 계산해보자.

    80 g/L의 용액이므로, 1 L의 용액에 80 g의 Zn(CN)2가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80 g의 Zn(CN)2는 몇 몰인지 계산하면 다음과 같다.

    80 g ÷ 136 g/mol = 0.588 mol

    즉, 1 L의 용액에는 0.588 mol의 Zn(CN)2가 포함되어 있다.

    다음으로 NaCN 용액의 몰농도를 계산해보자.

    38 g/L의 용액이므로, 1 L의 용액에 38 g의 NaCN이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38 g의 NaCN은 몇 몰인지 계산하면 다음과 같다.

    38 g ÷ 49 g/mol = 0.776 mol

    즉, 1 L의 용액에는 0.776 mol의 NaCN이 포함되어 있다.

    마지막으로 NaOH 용액의 몰농도를 계산해보자.

    112 g/L의 용액이므로, 1 L의 용액에 112 g의 NaOH가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112 g의 NaOH는 몇 몰인지 계산하면 다음과 같다.

    112 g ÷ 40 g/mol = 2.8 mol

    즉, 1 L의 용액에는 2.8 mol의 NaOH가 포함되어 있다.

    이제 M 비를 계산해보자.

    M 비 = (0.588 mol ÷ 136 g/mol) ÷ (0.776 mol ÷ 49 g/mol) ÷ (2.8 mol ÷ 40 g/mol)

    = 2.36

    따라서, 정답은 2.36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무광택 니켈 도금욕 중에 불순물로써 유기물이 함유되어 있을 때 제거하는 방법으로 가장 좋은 것은?

  1. 쌍극현상 처리
  2. 강전해 처리
  3. 여과지 처리
  4. 활성탄 처리
(정답률: 알수없음)
  • 활성탄은 매우 미세한 구조를 가지고 있어 표면적이 크고 다공성이 높아 유기물을 흡착하여 제거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무광택 니켈 도금욕에서 유기물이 함유되어 있을 때는 활성탄 처리가 가장 효과적인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크롬도금을 할 때 양극은 항상 불용성 양극을 사용하는 이유가 아닌 것은?

  1. 금속 크롬보다 크롬산이 저렴하다.
  2. 음극과 양극의 전류 효율이 달라서 3가 크롬이 되기 때문이다.
  3. 크롬 양극이 용해되지 않기 때문이다.
  4. 크롬 양극의 제조가 곤란하다.
(정답률: 알수없음)
  • 크롬도금은 크롬 양극에서 이루어지며, 크롬 양극은 용해되지 않는 불용성 양극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이는 크롬 양극이 용해되지 않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크롬 양극을 사용하면 도금 과정에서 크롬이 용해되지 않고 안정적인 도금이 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금 도금을 했을 때 표면이 갈색으로 나타나는 경우의 원인이 아닌 것은?

  1. 액이 너무 노화됐다.
  2. 전압이 너무 낮다.
  3. 욕의 온도가 너무 높다.
  4. 금의 함유량이 너무 낮다.
(정답률: 알수없음)
  • 금 도금을 할 때 전압이 너무 낮으면 충분한 전기적인 에너지가 전달되지 않아 금이 충분히 적층되지 않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표면이 갈색으로 나타나는 것은 금이 충분히 적층되지 않아서 발생하는 것이 아니라, 금이 충분히 적층되었지만 다른 이유로 인해 발생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피로인산 구리 도금에서 P비(P2O7/Cu)를 표시한 것중 가장 효율적인 것은?

  1. 1.0∼2.0
  2. 3.0∼ 4.0
  3. 7.0∼8.0
  4. 10.0∼11.0
(정답률: 알수없음)
  • P비는 피로인산 구리 도금에서 사용되는 산화제인 인산 이온과 구리 이온의 몰 비율을 나타내는 값입니다. 이 값이 적절하게 유지되면 도금 과정에서 구리 이온이 산화되어 도금이 일어나는데, P비가 너무 낮으면 구리 이온의 산화가 충분히 일어나지 않아 도금이 잘 되지 않고, P비가 너무 높으면 구리 이온의 산화가 과도하게 일어나서 도금이 불안정해집니다.

    따라서, P비가 적절한 범위인 7.0∼8.0일 때 가장 효율적인 도금이 이루어진다고 할 수 있습니다. 이 범위에서는 구리 이온의 산화가 적절하게 일어나면서도 과도하지 않아 안정적인 도금이 가능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크롬 도금액 중 SRHS욕에 사용되는 조성을 위해 필요한 약품명과 관계가 먼 것은?

  1. 황산
  2. 아세트산
  3. 무수크롬산
  4. 황산스트론튬
(정답률: 알수없음)
  • SRHS욕에 사용되는 조성에는 황산, 무수크롬산, 황산스트론튬이 포함되어 있지만, 아세트산은 관계가 먼 것입니다. 아세트산은 크롬 도금액 중 SRHS욕에 사용되는 조성과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화학물질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질산동, 염화제이철, 염화암모늄의 부식액을 포함한 페이스트(paste)를 시험편에 바르고 건조시킨 다음 항온 항습실에서 유지한 후 부식상황을 조사하는 방법은?

  1. Ferroxyl Test
  2. Salt Spray Test
  3. Corrodkote Test
  4. Dropping Test
(정답률: 알수없음)
  • 질산동, 염화제이철, 염화암모늄은 부식성이 강한 화학물질이므로 부식방지제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부식실험을 진행해야 합니다. 이 중 Corrodkote Test는 부식실험 중 하나로, 부식액을 포함한 페이스트를 시험편에 바르고 건조시킨 후 항온 항습실에서 유지한 후 일정 기간이 지난 후 부식상황을 조사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실제 사용 환경에서의 부식상황을 모사하여 부식방지제의 효과를 정확하게 평가할 수 있기 때문에 선택되었습니다. Ferroxyl Test는 철의 산화상태를 확인하는 실험, Salt Spray Test는 염화물을 분사하여 부식상황을 조사하는 실험, Dropping Test는 시험편을 떨어뜨려 내구성을 확인하는 실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산성니켈 무전해 도금액의 환원제로 사용되지 않는 약품은?

  1. 구연산
  2. 하이드라진
  3. 차아인산소다
  4. 수소화붕소나트륨
(정답률: 알수없음)
  • 산성니켈 무전해 도금액은 환원제로 작용하여 금속을 도금하는데, 구연산은 산성성질을 가지고 있어 환원작용을 방해하므로 환원제로 사용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구연산은 산성니켈 무전해 도금액의 환원제로 사용되지 않는 약품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니켈 도금 후 크롬 도금한 도금층의 균열방지 대책으로 틀린 것은?

  1. 유기불순물을 제거한다.
  2. 2차 광택제의 양이 많아지지 않도록한다.
  3. 내부응력이 작아지도록 액 관리를 한다.
  4. 금속불순물을 강전해시켜 이온화처리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금속불순물을 강전해시켜 이온화처리하는 것은 균열방지 대책이 아니라 도금층의 결함을 제거하기 위한 방법입니다. 이온화 처리는 도금 전에 도금할 금속을 청정하고 결함을 제거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따라서 이 옵션은 틀린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도금액의 저항을 적게 하는 내용으로 맞지 않는 것은?

  1. 도금액에 강전해질 물질을 첨가한다.
  2. 도금액의 주성분 농도를 낮춘다.
  3. 도금액의 온도를 높게 한다.
  4. 도금액을 잘 교반시켜 준다.
(정답률: 알수없음)
  • 도금액의 주성분 농도를 낮추는 것은 도금액의 전기적 저항을 증가시키기 때문에, 도금 과정에서 전류가 흐르는데 어려움을 줄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 보기는 맞는 내용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헐셀(Hull cell)시험에서 양극과 음극사이의 거리에 따른 전류밀도 관계를 가장 잘 나타내고 있는 그림은?

(정답률: 알수없음)
  • Hull cell 시험에서 양극과 음극사이의 거리가 멀어질수록 전류밀도는 감소하게 됩니다. 따라서, 그림에서 양극과 음극사이의 거리가 멀어질수록 전류밀도가 감소하는 것을 가장 잘 나타내고 있는 것은 ""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가장 낮은 자유에너지를 가진 이온 또는 침전물을 표시하는 Pourbaix diagram은 어떤 변수에 의해 만들어지는가?

  1. Tafel 상수-전위
  2. 혼합 전극 전위-부식속도
  3. pH-전위
  4. 교환 전류밀도-전위
(정답률: 알수없음)
  • Pourbaix diagram은 물질의 전위와 pH에 따른 안정도를 나타내는 그래프입니다. 따라서 가장 낮은 자유에너지를 가진 이온 또는 침전물을 표시하는 Pourbaix diagram은 pH-전위에 의해 만들어집니다. 이는 pH와 전위가 이온 또는 침전물의 안정도에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입니다. pH-전위가 낮을수록 이온 또는 침전물의 안정도가 높아지기 때문에, 가장 낮은 자유에너지를 가진 이온 또는 침전물은 pH-전위가 낮은 지점에 위치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구리의 탈청과 관련이 없는 것은?

  1. NaCN
  2. HNO3
  3. H2SO4
  4. Na2SO4
(정답률: 알수없음)
  • 구리의 탈청은 구리가 환원되어 산화되는 과정으로, 화학 반응식에서 전자를 잃어버리는 것을 말합니다. 그러나 Na2SO4은 구리와 관련이 없는 화합물이므로, 구리의 탈청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유성 연마재 중에서 적봉이라고 불리우는 붉은색 연마재의 주성분은?

  1. 산화철
  2. 산화크롬
  3. 산화알루미늄
  4. 카아보런덤
(정답률: 알수없음)
  • 적봉은 주로 산화철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이는 적봉이 철광석에서 추출된 후 고온에서 산화되어 만들어지기 때문입니다. 산화철은 경도가 높고 내구성이 강하며, 연마재로 사용될 때 높은 연마력을 가지기 때문에 적봉은 고급 연마재로 인기가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임의 구분

21. 알칼리성 구리의 도금액은?

  1. 황산구리 도금액
  2. 피로인산 구리 도금액
  3. 붕소 플루오르화 구리 도금액
  4. 설파민산 구리 도금액
(정답률: 알수없음)
  • 알칼리성 구리 도금은 피로인산 구리 도금으로 이루어집니다. 이는 알칼리성 용액에서 구리 이온을 이용하여 도금하는 과정에서 피로인산이 보조제로 사용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피로인산 구리 도금액"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장식 크롬도금(Sargent)욕에서 CrO3 : H2SO4의 중량비(표준)가 얼마일 때 광택효과가 가장 좋은가?

  1. 5 : 1
  2. 30 : 1
  3. 100 : 1
  4. 320 : 1
(정답률: 알수없음)
  • 크롬도금에서 CrO3 : H2SO4의 중량비는 크롬도금의 품질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CrO3은 산화력이 강한 산산화제이며, H2SO4은 산성도가 높은 산입니다. 따라서 CrO3 : H2SO4의 중량비가 높을수록 크롬도금의 품질이 좋아집니다.

    그 중에서도 가장 좋은 광택효과를 얻을 수 있는 중량비는 100 : 1입니다. 이는 CrO3과 H2SO4의 비율이 100 : 1인 것을 의미합니다. 이 비율에서는 CrO3의 산화력이 충분히 발휘되면서도 H2SO4의 산성도가 너무 높아서는 안 되기 때문에 광택효과가 가장 좋아집니다. 따라서 정답은 100 : 1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고농도 광택황산구리 도금 중에는 염소이온이 어느 정도가 필요한가?

  1. 5 ∼ 15 mg/ℓ
  2. 20 ∼ 80 mg/ℓ
  3. 150 ∼ 200 mg/ℓ
  4. 200 mg/ℓ 이상
(정답률: 알수없음)
  • 고농도 광택황산구리 도금에서는 염소이온이 적절한 양으로 존재해야만 전기화학적 반응이 원활하게 일어나고, 광택과 내식성이 향상됩니다. 그러나 염소이온의 농도가 너무 높으면 도금층이 불안정해지고, 도금물의 pH가 높아져 도금 효율이 떨어집니다. 따라서 적절한 염소이온 농도는 20 ∼ 80 mg/ℓ 정도가 적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산성주석도금욕의 설명 중 맞지 않은 것은?

  1. 황산제1주석과 황산 및 광택제로 되어 있다.
  2. 2가 주석이 산화되어 4가 주석으로 되기 쉽다.
  3. 액온도가 높을수록 산화가 촉진된다.
  4. 공기 교반이 필요하다.
(정답률: 알수없음)
  • 공기 교반이 필요하지 않은 이유는 산성주석도금욕은 비공기 환경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입니다. 산성주석도금욕은 주로 진공 상태에서 이루어지며, 산화를 방지하기 위해 비공기 환경에서 처리됩니다. 따라서 공기 교반이 필요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철강의 확산피복법에 사용되는 원소가 맞지 않는 것은?

  1. 칼로라이징(Calorizing) : Ca
  2. 크로마이징(Chromizing) : Cr
  3. 세라다이징(Sheradizing) : Zn
  4. 보로나이징(Boronizing) : B
(정답률: 알수없음)
  • 칼로라이징은 Ca(Calcium)가 아닌 C(Carbon)을 사용합니다. 칼로라이징은 고온에서 탄소를 철강 표면에 침투시켜 확산시키는 방법으로, 탄소가 철과 결합하여 경도를 높이고 내마모성을 향상시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아연 도금의 크로메이트 피막의 내식성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와 관련이 가장 적은 것은?

  1. 6가크롬의 함유량
  2. 피막의 강도
  3. 피막의 두께
  4. 소재의 가공성
(정답률: 알수없음)
  • 아연 도금의 크로메이트 피막의 내식성은 크로메이트 피막의 강도, 두께, 6가크롬의 함유량 등 여러 가지 변수에 영향을 받습니다. 그러나 소재의 가공성은 피막의 내식성과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 따라서 소재의 가공성은 영향을 미치지 않는 변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물질의 수용액을 전기분해할 때 두 극에서 기체가 발생하고 용액이 알칼리성으로 변화하는 것은?

  1. HCℓ
  2. NaCℓ
  3. AgNO3
  4. Na2SO4
(정답률: 알수없음)
  • 두 극에서 기체가 발생하고 용액이 알칼리성으로 변화하는 것은 전해질이 수용액에서 전기분해되어 양이온과 음이온으로 분리되고, 양극에서는 양이온이 전자를 받아 기체를 발생시키고, 음극에서는 음이온이 전자를 잃어 기체를 발생시키는 과정에서 일어납니다. 이 중 NaCℓ은 Na+와 Cl-로 이루어진 전해질로, 전해질이 수용액에서 전기분해될 때 Na+이 양극으로 이동하여 전자를 받아 Na 기체를 발생시키고, Cl-이 음극으로 이동하여 전자를 잃어 Cl 기체를 발생시킵니다. 또한, NaOH와 HCl이 중화반응을 일으켜 NaCl과 H2O가 생성되므로, 용액이 알칼리성으로 변화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NaCℓ"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각종 두꺼운 산화물 제거 또는 버프연마가 불가능한 오목부분의 산화물 제거에 가장 적합한 것은?

  1. 그라인더
  2. 와이어 브러쉬
  3. 소오 커팅
  4. 사포
(정답률: 알수없음)
  • 와이어 브러쉬는 각종 두꺼운 산화물 제거나 버프연마가 어려운 오목부분의 산화물 제거에 가장 적합합니다. 와이어 브러쉬는 강한 마찰력을 가지고 있어 산화물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으며, 오목한 부분에도 적용이 가능합니다. 그라인더나 소오 커팅은 오목한 부분에 적용하기 어렵고, 사포는 산화물 제거에는 적합하지만 오목한 부분에는 적용하기 어렵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니켈 도금에서 붕산이 부족했을 때 나타나는 현상과 관련이 가장 적은 것은?

  1. 니켈 양극의 용해성이 나빠진다.
  2. pH의 변동이 심해진다.
  3. 저전류 밀도 부분이 타는 현상이 발생한다.
  4. 피막의 광택이 저하된다.
(정답률: 알수없음)
  • 니켈 도금에서 붕산이 부족하면 pH의 변동이 심해지고, 피막의 광택이 저하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와 관련하여 가장 적은 것은 "저전류 밀도 부분이 타는 현상이 발생한다"입니다. 니켈 양극의 용해성이 나빠지면, 도금 과정에서 필요한 이온들이 충분히 공급되지 않아 도금 층이 균일하지 않게 형성될 수 있습니다. 이는 피막의 광택이 저하되는 원인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유공도 시험에 속하는 것은?

  1. 페록실 시험
  2. CASS 시험
  3. 염수 분무 시험
  4. 레벨링 시험
(정답률: 알수없음)
  • 유공도 시험은 제품의 내구성과 신뢰성을 검증하기 위한 시험으로, 제품이 사용 중에 겪게 될 환경과 상황을 모사하여 시험합니다. 이 중에서 "페록실 시험"은 제품의 내구성을 검증하기 위해 열과 습도를 조절하여 제품을 일정 기간 동안 노출시키는 시험입니다. 따라서 페록실 시험은 유공도 시험에 속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도금공장 내부의 안전작업의 설명 중 틀린 것은?

  1. 작업 중 도금공장의 내부 공기는 오염되므로 환기가 필요하다.
  2. 버프 연마실에는 제진장치가 필요하다.
  3. 실내 공기량의 환기와 동시에 습도조절이 필요하다.
  4. 힘을 필요로 하는 수동적 노동을 위한 적정온도는 25℃ 이상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힘을 필요로 하는 수동적 노동을 위한 적정온도는 25℃ 이상이다."가 틀린 것입니다. 이유는 고온 환경에서 작업하는 경우 작업자의 체온 상승으로 인한 열사병 등의 위험이 있기 때문에 적정온도는 25℃ 이하로 유지해야 합니다. 따라서, 올바른 설명은 "힘을 필요로 하는 수동적 노동을 위한 적정온도는 25℃ 이하이다."가 되겠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안티몬의 화학기호는?

  1. Zn
  2. Ag
  3. Sb
  4. W
(정답률: 알수없음)
  • 안티몬의 화학기호는 "Sb"입니다. 이는 안티몬의 라틴어 이름인 "stibium"에서 유래되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금속에서 자기 변태가 일어나는 온도를 무엇이라고 하는가?

  1. 동소점
  2. 천이점
  3. 변태점
  4. 퀴리점
(정답률: 알수없음)
  • 금속에서 자기 변태가 일어나는 온도를 퀴리점이라고 합니다. 이는 금속의 결정 구조가 변화하여 자기 성질이 바뀌는 지점을 의미합니다. 퀴리점은 금속의 종류나 조성에 따라 다르며, 이 온도 이상에서는 금속이 자기장을 가지게 되어 자기적 특성이 나타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강과 주철을 구분하는 탄소 함유량(%)은?

  1. 약 1.20
  2. 약 2.00
  3. 약 3.52
  4. 약 4.30
(정답률: 알수없음)
  • 강과 주철은 모두 철과 탄소로 이루어져 있지만, 강은 탄소 함유량이 2% 이하이고 주철은 2% 이상인 것으로 구분됩니다. 따라서, 주어진 보기에서 강과 주철을 구분하는 탄소 함유량이 약 2.00인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표면에 존재하는 탄소가 산화 때문에 적어지는 현상은?

  1. 용융
  2. 환원
  3. 침탄
  4. 탈탄
(정답률: 알수없음)
  • 탄소가 산화되면서 표면에서 떨어져 나가는 현상을 탈탄이라고 합니다. 이는 탄소가 산화되어 이산화탄소로 변화하면서 표면에서 분리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은 도금액에서 Ag의 소모량이 9.5g/ℓ 이었다. AgCN의 보충량은 약 몇 kg인가? (단, 도금액의 용량은 500ℓ 이며 Ag의 원자량 108, C의 원자량 12, N의 원자량 14이다.)

  1. 3.9
  2. 4.9
  3. 5.9
  4. 6.9
(정답률: 알수없음)
  • AgCN의 몰질량을 계산해보면 Ag의 원자량이 108이므로 AgCN의 몰질량은 108 + 12 + 14 = 134이다. 따라서 1ℓ의 용액에 AgCN을 134g 첨가하면 Ag의 소모량이 1g이 된다.

    도금액의 용량이 500ℓ이므로 AgCN의 보충량은 500ℓ x 9.5g/ℓ / 1000g/kg x 134g/1ℓ = 6.365kg 이다. 따라서 보기에서 가장 가까운 값인 "6.9"이 아니라 "5.9"가 정답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양극 전해탈지의 장점 중 틀린 것은?

  1. 용해 금속의 석출이 없다.
  2. 수소취성을 일으키지 않는다.
  3. 소재 금속의 부식이 전혀 없다.
  4. 복잡한 소재도 비교적 균일한 탈지 효과를 낸다.
(정답률: 알수없음)
  • 양극 전해탈지는 전기적인 방법으로 금속을 탈지시키는 공정으로, 소재 금속의 부식이 전혀 없는 것은 올바른 장점입니다. 이는 전해액에서 일어나는 화학반응으로 인해 금속이 탈지되기 때문에, 직접적인 부식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도금피막의 내식성 시험과 거리가 먼 것은?

  1. 레벨링 시험
  2. 유공도 시험
  3. 염수분무 시험
  4. 코로드 코트 시험
(정답률: 알수없음)
  • 도금피막의 내식성 시험은 도금된 표면에 염산이나 황산 등의 강한 산을 떨어뜨려 내식성을 확인하는 시험이며, 거리가 먼 것은 이 시험이 도금층의 두께나 표면의 평탄도 등과는 관련이 없기 때문입니다. 반면, 레벨링 시험은 도금된 표면의 평탄도를 확인하는 시험이므로 도금층의 품질을 평가하는 중요한 시험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레벨링 시험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일의 크기와 관련이 있는 밸브는?

  1. 압력제어밸브
  2. 유량조정밸브
  3. 방향변환밸브
  4. 첵밸브
(정답률: 알수없음)
  • 압력제어밸브는 일의 크기와 관련이 있는 밸브입니다. 이는 압력제어밸브가 일의 크기에 따라 압력을 조절하여 일의 안정성과 효율성을 유지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압력제어밸브는 일의 크기와 관련된 시스템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자동제어의 도입으로 얻을 수 있는 이점과 거리가 먼 것은?

  1. 생산능률을 향상 시킬 수 있다.
  2. 품질을 균일화 할 수 있다.
  3. 생산기구가 간단해진다.
  4. 노동조건을 향상 시킬 수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자동제어를 도입하면 생산과정에서 인력이 필요한 부분이 줄어들기 때문에 생산기구를 간단하게 만들 수 있습니다. 이는 생산비용을 절감하고 생산 라인을 간소화하여 유지보수와 관리가 용이해지는 등의 이점을 가져올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임의 구분

41. 제어량의 종류에 의한 분류 중 거리가 먼 것은?

  1. 서보제어
  2. 공정제어
  3. 자동조정
  4. 추종제어
(정답률: 알수없음)
  • 서보제어, 공정제어, 자동조정은 모두 시스템의 상태나 입력에 따라 제어량을 조절하는 방식이지만, 추종제어는 외부 입력 신호나 목표값에 따라 제어량을 조절하는 방식으로, 다른 제어량과는 거리가 먼 분류입니다. 추종제어는 주로 로봇이나 자동차 등에서 사용되며, 외부 입력 신호나 목표값에 따라 움직임을 조절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구리도금 작업시 주성분의 농도, pH를 제어하는데 가장 적당한 제어계는?

  1. 공정제어
  2. 자동제어
  3. 아날로그제어
  4. 디지털제어
(정답률: 알수없음)
  • 구리도금 작업은 반응속도와 반응의 정확성을 유지하기 위해 주성분의 농도와 pH를 정밀하게 제어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공정의 상황에 따라 농도와 pH를 조절해야 하므로, 공정제어가 가장 적합한 제어계입니다. 공정제어는 공정의 상황에 따라 자동으로 농도와 pH를 조절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센서와 제어기가 함께 작동하여 정밀한 제어가 가능합니다. 따라서 구리도금 작업에서는 공정제어가 가장 적합한 제어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ABS수지상의 도금공정 중 전처리에서 에칭시 산화되어 표면에 녹아나는 성분은?

  1. 브타디엔
  2. 아크린
  3. 니트릴
  4. 스틸렌
(정답률: 알수없음)
  • 전처리 단계에서 에칭시 산화되어 표면에 녹아나는 성분은 브타디엔입니다. 이는 ABS 수지에 사용되는 스티렌과 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의 부산물로서, 에칭 공정에서 산화되어 표면에 녹아나는 현상이 발생합니다. 따라서, 브타디엔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스팽글(Spangle)이 생기는 도금은?

  1. 용융알루미늄
  2. 용융주석
  3. 용융아연
  4. 용융납
(정답률: 알수없음)
  • 스팽글은 도금 과정에서 용융아연이 물체 표면에 녹아 붙어 생기는 것입니다. 용융아연은 높은 용융점과 부식에 강한 특성을 가지고 있어, 금속 표면을 보호하고 도금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용융아연은 스팽글 도금에 가장 적합한 재료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CAD system의 출력장치는?

  1. GRAPHIC DIZITIZER
  2. MATH-O-PROCESSOR
  3. PEN PLOTTER
  4. DOS
(정답률: 알수없음)
  • CAD system은 그림을 그리고 저장하는데 사용되며, 이를 출력하기 위해서는 출력장치가 필요합니다. 그 중에서도 PEN PLOTTER는 CAD 시스템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출력장치 중 하나입니다. 이는 그림을 정확하게 출력할 수 있으며, 다양한 색상과 두께의 펜을 사용하여 출력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PEN PLOTTER는 대형 그림도 출력할 수 있어서, 건축 및 기계 설계 분야에서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운반 메커니즘의 분류에 따른 장치의 그림 설명으로 맞는 것은?

  1. 래칫과 폴메카니즘으로 여러 부분품이 닳고 막혀 버리기 때문에 약간 불안정하다.
  2. 래크와 피니언 메카니즘으로 고속 동작에는 적합하지 않다.
  3. 제노바 메카니즘으로 다양한 속도와 멈춤 특성을 제공한다.
  4. 캠 메카니즘으로 정확하고 신뢰할 수 있는 다이얼 인택싱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래크와 피니언 메카니즘은 장치의 움직임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 사용되는데, 고속 동작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이는 래크와 피니언 메카니즘이 부분품이 많아 닳고 막히기 쉽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고속 동작에는 더 안정적인 제노바 메카니즘이나 캠 메카니즘이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어떤 논리소자의 진리표 그림에 해당하는 기호는?

(정답률: 알수없음)
  • 논리소자의 진리표에서 입력값과 출력값의 조합을 나타내는 것은 기호입니다. 이 중에서 "" 기호는 입력값이 1일 때 출력값이 0이 되는 것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이는 논리학에서 "부정"을 나타내는 기호로, 입력값이 참일 때 거짓을 출력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연속도금 장치 중의 하나로 회전하는 드럼에 처리물을 접촉시켜 전해액에 침지시켜 전극과 마주보는 면을 선택적으로 도금하는 회전형 단면 전해법이다. 이 장치의 특징을 설명한 것 중 틀린 것은?

  1. 대극은 불용성 전극을 사용 한다.
  2. 고속, 대량 생산에 적합하다.
  3. 전해액 중의 반응 가스 기포가 처리물 아래방향 표면에 잔류할 염려가 없다.
  4. 고전류밀도 작업이 불가능하다.
(정답률: 알수없음)
  • 회전형 단면 전해법은 회전하는 드럼에 처리물을 접촉시켜 전해액에 침지시켜 전극과 마주보는 면을 선택적으로 도금하는 방법이다. 따라서 고전류밀도 작업이 불가능하다는 것은 회전하는 드럼에 처리물을 접촉시키는 방식 때문에 전류밀도를 높이기 어렵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캐리어식 자동도금 장치의 설명 중 틀린 것은?

  1. 공정순서와 침지시간을 자유로이 변경할 수 있다.
  2. 구동 동력이 적게 든다.
  3. 탱크의 증설이나 배치변경이 불가능하다.
  4. 매 스테이숀마다 1개씩의 행거가 필요하지 않으므로 행거수가 절약된다.
(정답률: 알수없음)
  • 탱크의 증설이나 배치변경이 불가능한 이유는 캐리어식 자동도금 장치에서 사용되는 탱크가 고정적으로 설치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탱크의 크기나 배치를 변경하려면 전체 시스템을 다시 설계하고 제작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일반적인 금속재료의 성질이 아닌 것은?

  1. 모든 금속은 상온에서 고체이며 비결정체이다.
  2. 전성과 연성이 풍부하다.
  3. 전기 및 열의 양도체이다.
  4. 불투명하고 금속 특유의 광택을 갖는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불투명하고 금속 특유의 광택을 갖는다."입니다.

    금속은 원자들이 금속결정구조를 이루어 있기 때문에 비결정체가 아니라 결정체입니다. 이러한 결정구조는 전자의 자유이동성을 높여 전기 및 열의 양도체이며, 전성과 연성이 풍부합니다. 또한 금속 특유의 광택은 금속 결정구조 내에서 전자들이 자유롭게 이동하면서 빛을 반사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PVD (Physical Vapor Desposition) 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진공 증착법 (vacuum metalizing)
  2. 음극 스퍼터링 (cathode sputtering)
  3. 실리코나이징 (siliconizing)
  4. 이온도금 (ion plating)
(정답률: 알수없음)
  • 실리코나이징은 PVD 기술이 아닙니다. 실리코나이징은 실리콘을 코팅하여 표면을 보호하거나 특정 기능을 부여하는 공정으로, 화학적 증착법(CVD)이나 열분해법(HD) 등의 기술을 사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알루미나 세라믹상에 무전해 동도금을 하고자할 때 사용되는 에칭액 약품이 아닌 것은?

  1. 불산
  2. 질산
  3. 무수크롬산
  4. 탄산
(정답률: 알수없음)
  • 알루미나 세라믹은 화학적으로 안정적이고 강한 산화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동과 같은 금속을 적층시키기 위해서는 강한 산화제인 불산이나 질산 등의 에칭액이 필요합니다. 무수크롬산도 동도금에 사용되지만, 안전성 문제로 인해 최근에는 사용이 제한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탄산은 산화성이 약하고, 동과 반응하여 침식되지 않기 때문에 동도금에 사용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재해를 발생시키는 간접적인 원인이 아닌 것은?

  1. 기술적인 원인
  2. 자연적인 원인
  3. 신체적인 원인
  4. 교육적인 원인
(정답률: 알수없음)
  • 자연적인 원인은 인간의 의도나 기술적인 결함과는 무관하게 자연적인 현상으로 인해 발생하는 원인을 말합니다. 예를 들어 지진, 홍수, 폭풍, 해일 등은 모두 자연적인 원인으로 인해 발생하는 재해입니다. 따라서 이 중에서 자연적인 원인이 아닌 것은 인간의 기술적인 결함, 신체적인 원인, 교육적인 원인 등으로 인해 발생하는 원인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강관의 표면처리 목적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도장성을 좋게 한다.
  2. 제품의 두께를 줄일 수 있다.
  3. 아름다운 외관을 준다.
  4. 내식성, 내산화성을 준다.
(정답률: 알수없음)
  • 강관의 표면처리 목적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제품의 두께를 줄일 수 있다."입니다. 이는 강관의 두께를 줄이는 것은 강도를 약화시키고 내식성, 내산화성을 감소시키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강관의 표면처리는 보호와 강도 유지를 위한 것이며, 두께를 줄이는 것은 그 목적과는 상반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미리 정해진 일정 단위중에 포함된 부적합(결점)수에 의거 공정을 관리할 때 사용하는 관리도는?

  1. p관리도
  2. nP관리도
  3. c관리도
  4. u관리도
(정답률: 알수없음)
  • c관리도는 불량품의 수를 관리하는 관리도로, 미리 정해진 일정 단위 중에서 불량품의 수를 측정하여 그 수의 변동을 관리함으로써 공정의 안정성을 파악하고 개선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부적합(결점)수에 의거하여 공정을 관리할 때 c관리도를 사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도수분포표에서 도수가 최대인 곳의 대표치를 말하는 것은?

  1. 중위수
  2. 비 대칭도
  3. 모우드(mode)
  4. 첨도
(정답률: 알수없음)
  • 도수분포표에서 도수가 최대인 곳은 데이터의 분포에서 가장 빈번하게 나타나는 값이므로, 이를 대표하는 대표치로 모우드를 사용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모우드(mode)"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로트수가 10 이고 준비작업시간이 20분이며 로트별 정미작업시간이 60분이라면 1로트당 작업시간은?

  1. 90분
  2. 62분
  3. 26분
  4. 13분
(정답률: 알수없음)
  • 로트수가 10이므로 총 작업시간은 10 * 60분 = 600분이다. 이 중 준비작업시간 20분을 빼면 실제 작업시간은 580분이다. 이를 로트수로 나누면 580분 / 10 = 58분이 나오지만, 각 로트별 정미작업시간 60분을 고려해야 하므로 2분씩 추가되어 1로트당 작업시간은 62분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62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더미활동(dummy activity)에 대한 설명중 가장 적합한 것은?

  1. 가장 긴 작업시간이 예상되는 공정을 말한다.
  2. 공정의 시작에서 그 단계에 이르는 공정별 소요시간들중 가장 큰 값이다.
  3. 실제활동은 아니며, 활동의 선행조건을 네트워크에 명확히 표현하기 위한 활동이다.
  4. 각 활동별 소요시간이 베타분포를 따른다고 가정할 때의 활동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더미활동은 실제로 수행되는 활동이 아니며, 다른 활동들의 선행조건을 명확히 표현하기 위한 활동입니다. 따라서 네트워크 다이어그램에서 더미활동은 실제로 발생하지 않는 활동으로, 다른 활동들의 선행조건을 명확히 표현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단순지수평활법을 이용하여 금월의 수요를 예측할려고 한다면 이때 필요한 자료는 무엇인가?

  1. 일정기간의 평균값, 가중값, 지수평활계수
  2. 추세선, 최소자승법, 매개변수
  3. 전월의 예측치와 실제치, 지수평활계수
  4. 추세변동, 순환변동, 우연변동
(정답률: 알수없음)
  • 단순지수평활법은 이전 시점의 예측치를 이용하여 현재 시점의 예측치를 계산하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금월의 수요를 예측하기 위해서는 전월의 예측치와 실제치가 필요합니다. 또한, 지수평활계수는 예측치에 대한 가중치를 결정하는 요소이므로 이 또한 필요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전월의 예측치와 실제치, 지수평활계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다음 중 검사항목에 의한 분류가 아닌 것은?

  1. 자주검사
  2. 수량검사
  3. 중량검사
  4. 성능검사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성능검사"입니다.

    자주검사, 수량검사, 중량검사는 모두 제품의 양과 질을 확인하기 위한 검사항목에 따른 분류입니다.

    하지만 성능검사는 제품의 기능이나 성능을 확인하기 위한 검사항목에 따른 분류가 아니라, 제품의 사용자 요구사항에 부합하는지 확인하기 위한 검사항목에 따른 분류입니다. 따라서 다른 검사항목과는 조금 다른 성격을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