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품응용모델링기능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3-07-20)

제품응용모델링기능사
(2003-07-20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제품디자인일반

1. 색채조화의 공통된 원리가 아닌 것은?

  1. 혼돈의 원리.
  2. 유사성의 원리.
  3. 대비의 원리.
  4. 비모호성의 원리.
(정답률: 알수없음)
  • 색채조화의 공통된 원리는 유사성의 원리, 대비의 원리, 비모호성의 원리입니다. 이들은 색채를 조화롭게 만드는 기본적인 원리들이며, 색채의 유사성, 대비, 모호함을 이용하여 조화로운 색감을 만들어냅니다. 반면, 혼돈의 원리는 색채를 조화롭게 만드는 원리가 아니라, 색채를 혼돈스럽게 만드는 원리입니다. 따라서, 혼돈의 원리는 색채조화의 공통된 원리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일반적인 디자인 개발 프로세스가 올바른 것은?

  1. 발의-확인-연구-분석-종합-평가-개발-전달
  2. 발의-확인-전달-분석-종합-평가-개발-연구
  3. 발의-확인-연구-전달-종합-평가-개발-분석
  4. 발의-확인-개발-연구-분석-종합-평가-전달
(정답률: 알수없음)
  • 디자인 개발 프로세스는 문제 발견과 해결을 위한 과정으로, 문제 발견과 해결을 위한 아이디어 발의, 그 아이디어의 타당성 확인, 연구와 분석, 종합적인 평가를 거쳐 개발을 진행하고, 최종적으로 제품을 전달하는 과정을 포함합니다. 따라서 "발의-확인-연구-분석-종합-평가-개발-전달"이 올바른 디자인 개발 프로세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다음 미술공예 운동에 대한 설명 중 잘못된 것은?

  1. 기계의 사용을 거부하고 숙련공의 수공예품 애용을 권장하였다.
  2. 공예를 예술의 수준으로 높이고 사회개혁의 운동으로 전개시켰다.
  3. 독일 공작 연맹(DWB)에도 결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4. 철이나 콘크리트를 적극적으로 이용하고, 조형의 주역으로 세웠다.
(정답률: 알수없음)
  • "철이나 콘크리트를 적극적으로 이용하고, 조형의 주역으로 세웠다."가 잘못된 설명입니다. 이유는 이 문장은 미술공예 운동과는 관련이 없는 건축 분야에서의 설명이기 때문입니다. 미술공예 운동은 주로 수공예와 디자인 분야에서 활동하였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색을 보며 느껴지는 감정적 효과에 대한 설명 중 잘못된 것은?

  1. 파랑계통의 색을 칠한 면은 좁아 보인다.
  2. 노란색 계통의 자동차는 가볍게 느껴진다.
  3. 대합실 등을 주황색 계통으로 배색하면 지루함이 적게 느껴진다.
  4. 빨간색 계통의 색은 따뜻하게 느껴진다.
(정답률: 알수없음)
  • 잘못된 것은 "대합실 등을 주황색 계통으로 배색하면 지루함이 적게 느껴진다."입니다. 이유는 색의 효과는 개인의 경험과 문화적 배경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일반화하기 어렵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러한 주장은 항상 절대적인 것은 아니며, 상황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다음 인간이 기계와 상호작용을 할 때 실행하는 내용 중 잘못 짝지어 진 것은?

  1. 주기적 - 전기 스위치를 켠다
  2. 지속적 - 시계를 맞춘다.
  3. 반복적 - 망치질, 톱질을 한다.
  4. 정적 - 차를 세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인간이 기계와 상호작용할 때, 시계를 맞추는 것은 지속적인 작업이며, 전기 스위치를 켜는 것은 주기적인 작업이 아닙니다. 전기 스위치를 켜는 것은 일회성 작업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제품 개발에 있어서 눈 화장품 다량 사용자의 라이프스타일 측정범위와 예문(측정범위:예시)이 틀린 것은?

  1. 인구통계학적 특성 - 젊고, 높은 학식, 대도시거주
  2. 제품사용 - 립스틱, 헤어스프레이, 향수 다량 사용자
  3. 매체선호성- 여행을 자주 다님
  4. 활동 관심사 - 가장 최근의 머리모양을 선호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활동 관심사 - 가장 최근의 머리모양을 선호"입니다. 눈 화장품 다량 사용자의 라이프스타일을 측정하는데 있어서 가장 최근의 머리모양을 선호하는지 여부는 큰 의미가 없습니다.

    반면에 매체선호성- 여행을 자주 다님은 눈 화장품 다량 사용자의 라이프스타일을 측정하는데 중요한 요소입니다. 여행을 자주 다니는 사람들은 자신의 외모에 더욱 신경을 쓰는 경향이 있으며, 이에 따라 눈 화장품을 많이 사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또한 여행을 다니는 사람들은 자신의 이미지를 중요시하기 때문에 눈 화장품에 대한 관심도 높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따라서 이러한 정보는 제품 개발에 있어서 중요한 참고 자료가 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작업 영역을 고려하여 디자인을 할 때 고려되는 사항이 아닌 것은?

  1. 피로부위의 조사
  2. 피로시의 자세변화
  3. 동작범위의 연구
  4. 사용자의 외모, 어투
(정답률: 알수없음)
  • 작업 영역을 고려하여 디자인을 할 때는 사용자의 신체적 특성과 동작 범위, 피로 부위와 자세 변화 등을 고려해야 합니다. 하지만 사용자의 외모나 어투는 디자인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기 때문에 고려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사용자의 외모, 어투"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안전 색의 표시사항이 틀린 것은?

  1. 적색 - 방화, 금지, 정지
  2. 황색 - 방사능, 방사능 오염
  3. 녹색 - 위생, 구호, 피난
  4. 백색 - 통로, 정돈
(정답률: 알수없음)
  • 황색은 방사능과 방사능 오염을 나타내는 안전 색입니다. 방사능은 원자핵에서 방출되는 입자나 전자파의 일종으로, 인체에 해로울 수 있습니다. 따라서 방사능이 존재하는 장소나 물건을 표시하기 위해 황색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다음 제품 수명주기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신제품이 처음 시장에 도입되어 판매가 완만하게 성장하는 시기를 도입기라 한다.
  2. 제품들의 수요가 포화상태에 이르고 있는 상태로 대체수요나 반복 수요가 시장을 주동하는 안정기의 단계는 성숙기 이다.
  3. 적극적인 광고, 판촉활동 및 유통경로의 개척 결과로제품의 인지도가 크게 높아지는 시기가 성장기 이다.
  4. 제품의 변화 및 성능의 향상을 통한 판매촉진을 꾀하는 시기는 쇠퇴기 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제품의 변화 및 성능의 향상을 통한 판매촉진을 꾀하는 시기는 쇠퇴기 이다."이 설명이 틀린 것입니다. 일반적으로 제품의 변화와 성능 향상은 성장기에 많이 이루어지며, 쇠퇴기에는 오히려 제품의 생산이 줄어들고 판매량이 감소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다음 면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기초 평면이란 작품의 내용을 수용하는 물질적인 평면을 뜻한다.
  2. 면은 열린 형인 선을 제외한 모든 닫힌 형의 선으로 이루어진다.
  3. 선이 사선으로 출발해서 폐형의 사각형을 만들 때는 원근감과 재질감을 나타내기에 힘들다.
  4. 평범한 면이라도 색채 효과에 대해 공간감이나 입체감을 나타낼 수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면은 열린 형인 선을 제외한 모든 닫힌 형의 선으로 이루어진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면은 선으로 이루어진 것이 아니라, 선으로 둘러싸인 평면적인 형태를 말합니다. 따라서 면은 선이 아닌 평면적인 것이며, 선과는 구분되어야 합니다.

    선이 사선으로 출발해서 폐형의 사각형을 만들 때 원근감과 재질감을 나타내기에 힘든 이유는, 사선은 평행하지 않은 두 개의 선이 만나는 지점으로 향하며, 이는 원근법적인 효과를 나타냅니다. 따라서 사선으로 만들어진 폐형은 원근감이 강조되어 입체적인 느낌을 주기 때문에, 재질감을 나타내기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색에 대해 느끼는 사람들의 공통 감각을 알기 쉽게 형용사로 표현하여 색과 이미지와의 관계를 세로축과 가로축의 사각형 공간안에 표현하는 것은?

  1. 색채 이미지 스케일
  2. 색입체
  3. 체크리스트
  4. 이미지 조사
(정답률: 알수없음)
  • 색채 이미지 스케일은 색에 대한 감각을 형용사로 표현하여 사각형 공간 안에 배치함으로써 색과 이미지의 관계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방법입니다. 이는 객관적이고 정량적인 방법으로 색의 느낌을 파악할 수 있어 디자인, 마케팅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됩니다. 따라서 "색채 이미지 스케일"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디자인된 제품의 굿디자인(Good design)조건 중 심미성(審美性)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올바른 것은?

  1. 합목적성과 같은 조건이다.
  2. 심미성은 제품디자인분야에서 의미가 없다.
  3. 심미성을 성립시키는 것은 객관적인 것이다.
  4. 심미성을 해결하는 것은 미의식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 "심미성을 해결하는 것은 미의식이다."

    심미성은 주관적인 것이기 때문에 객관적인 기준으로 판단하기 어렵습니다. 따라서 디자이너는 제품을 디자인할 때 자신의 미의식을 바탕으로 심미성을 해결해야 합니다. 이를 통해 제품이 보기 좋고 사용자에게 만족감을 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미술과 공예. 상업, 공업 분야의 통합을 통해 산업 생산제품의 질적 수준을 높이고자 했던 디자인 사조는?

  1. 순수주의(Purism)
  2. 독일공작연맹(DWB)
  3. 아르 누보(art nouveau)
  4. 유겐트스틸(Jugendstil)
(정답률: 알수없음)
  • 디자인 사조는 미술과 공예, 상업, 공업 분야의 통합을 통해 산업 생산제품의 질적 수준을 높이고자 했습니다. 이 중에서 독일공작연맹(DWB)은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설립된 조직으로, 공예와 디자인의 통합을 추구하며 기존의 예술적인 요소를 배제하고 기능성과 형태의 단순화를 추구하는 "순수주의(Purism)"를 대표하는 단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다음 중 형태의 분류에서 현실적 형태라고 할 수 있는 것은?

  1. 원기둥
(정답률: 알수없음)
  • 현실적 형태는 실제 세상에서 존재하는 형태를 말합니다. 이 중에서 "원기둥"은 실제로 존재하는 물체 중 하나이며, 다른 보기인 "선", "면", "점"은 추상적인 개념이므로 현실적 형태라고 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원기둥"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제품디자인이 하나의 직업으로 전문화된 시기는 게데스(Geddes)가 공업디자인 사무실을 개설하고 유선형기관차 등을 디자인한 시점을 들 수 있다. 이 시기는?

  1. 1890년대후반
  2. 1920년대후반
  3. 1950년대초
  4. 1970년대초
(정답률: 알수없음)
  • 게데스가 공업디자인 사무실을 개설하고 유선형기관차 등을 디자인한 시기는 1920년대 후반으로, 이 시기부터 제품디자인이 하나의 직업으로 전문화되기 시작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제도와 CAD

16. 다음 중 근사파장영역과 관련된 색상과 색상생략기호가 올바르게 짝지어진 것은?

  1. 498-530㎚ - Green - G
  2. 493-498㎚ - Yellow - Y
  3. 483-488㎚ - Yellowish Red - Yr
  4. 430-467㎚ - Yellowish Green - YG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498-530㎚ - Green - G"입니다.

    근사파장영역은 색상의 파장이 일정한 범위 내에 있을 때 해당되는 영역으로, 이 영역은 색상의 구분을 용이하게 해줍니다. 이 중에서 "498-530㎚"는 파장이 498~530 나노미터인 영역으로, 이 영역은 녹색에 해당합니다. 따라서 이 영역은 "Green"이라는 색상으로 표현되며, 이 색상의 생략기호는 "G"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디자인의 원리 중 통일에 대한 설명이 가장 알맞은 것은?

  1. 한선을 축으로 하여 서로 힘의 균형이 다르게 느껴지는 것
  2. 2개 이상의 요소가 상호 원만하게 형성되는 것
  3. 다양성에서 하나로 전체에 통합하는 것
  4. 점진적인 변화를 가지고 배열되는 것
(정답률: 알수없음)
  • 디자인에서 통일은 다양한 요소들을 하나로 묶어 전체적인 일관성을 유지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다양성에서 하나로 전체에 통합하는 것"이 가장 알맞은 설명입니다. 이는 디자인 요소들이 서로 다른 형태, 크기, 색상 등을 가지더라도 일관된 디자인 스타일을 유지하여 하나의 통일된 디자인으로 완성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다음 중 연속성장형 제품수명주기가 연속적으로 이어지는 요인과 가장 관련이 먼 것은?

  1. 새로운 사용자
  2. 새로운 용도
  3. 새로운 제품특성
  4. 새로운 판매량
(정답률: 알수없음)
  • 연속성장형 제품수명주기가 연속적으로 이어지는 요인은 제품의 지속적인 수요와 판매량 증가입니다. 새로운 사용자나 용도, 제품특성은 제품의 발전과 함께 이루어지는 것이지만, 이러한 발전이 제품의 수명주기를 연장시키는 것은 아닙니다. 하지만 새로운 판매량은 제품의 수명주기를 연장시키는 가장 중요한 요인 중 하나입니다. 새로운 판매량이 유입되면 제품의 수요가 계속해서 유지되고, 이는 제품의 수명주기를 연장시키는데 큰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텍스츄어(Texture)의 설명 중 틀린 것은?

  1. 원래 직물의 올에서 느끼는 시각효과이다.
  2. 손으로 직접 만져서 느끼는 감촉에 국한된 느낌이다.
  3. 물건표면의 성질, 시각적인 특징이다.
  4. 디자인뿐만 아니라 건축, 회화, 조각에서도 중요한 요소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손으로 직접 만져서 느끼는 감촉에 국한된 느낌이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텍스츄어는 물건표면의 성질과 시각적인 특징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으로, 손으로 만져서 느끼는 감촉뿐만 아니라 시각적인 요소도 포함됩니다. 따라서 "손으로 직접 만져서 느끼는 감촉에 국한된 느낌"이라는 설명은 부적절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균형(Balance)에 관한 설명 중 잘못된 것은?

  1. 둘 이상의 부분의 중량이 한 지점에 지탱되어 역학적으로 같을 때 균형을 느낀다.
  2. 시각적인 균형은 형, 방향, 텍스츄어, 색 등 시각요소의 조합으로 표현된다.
  3. 좌, 우가 같지 않은 형상의 불균형은 균형의 방법이 될 수 없다.
  4. 불균형은 근대적이고 다이나믹한 균형이 될 수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좌, 우가 같지 않은 형상의 불균형은 균형의 방법이 될 수 없다."가 잘못된 설명입니다. 이유는 불균형이라는 것은 단순히 좌우의 무게가 같지 않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방향으로도 무게가 분산되어 있을 수 있다는 것입니다. 따라서 불균형이라고 해서 균형의 방법이 될 수 없는 것은 아닙니다. 예를 들어, 불균형한 형태의 물체가 다른 물체와 상호작용하면서 균형을 유지할 수도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1. 평면 투상에 대한 설명 중 맞는 것은?

  1. 평면이 투상면에 평행한 경우에는 단축되어 나타난다.
  2. 평면이 투상면에 수직인 경우에는 평면으로 나타난다.
  3. 평면이 투상면에 경사진 경우에는 실제 형태로 나타난다.
  4. 평면의 투상은 점의 투상과 직선의 투상이 기본이 된다.
(정답률: 알수없음)
  • 평면의 투상은 점과 직선의 투상이 기본이 된다는 이유는, 평면은 점과 직선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점과 직선의 투상을 이해하고 있다면, 평면의 투상도 이해할 수 있습니다. 또한, 평면이 투상면에 수직인 경우에는 평면으로 나타나고, 평면이 투상면에 평행한 경우에는 단축되어 나타납니다. 경사진 경우에는 실제 형태로 나타난다는 설명은 부적절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다음 CAD시스템의 도입효과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시스템의 도입으로 생산 원가가 올라간다.
  2. 수정사항에 대해 신속히 대응 할 수 있다.
  3. 시제품 및 제작회수를 줄일 수 있다.
  4. 설계를 미리 해 볼 수 있어서 생산성의 향상을 가져올 수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시스템의 도입으로 생산 원가가 올라간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CAD시스템의 도입으로 생산 과정에서 인력과 시간을 절약할 수 있으며, 제작 과정에서 발생하는 오류를 줄일 수 있어 생산성과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따라서 생산 원가가 올라가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절감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실물을 일정한 비율로 축소하여 제도하는 경우에 사용하며 치수기입은 실물의 실제 치수를 기입하는 척도로 맞는 것은?

  1. 현척
  2. 축척
  3. 배척
  4. NS
(정답률: 알수없음)
  • 실물을 축소하여 제도하는 경우에는 축척을 사용합니다. 축척은 실제 크기와 제도된 크기 간의 비율을 나타내는 것으로, 일정한 비율로 축소하여 제도하기 때문에 실제 치수를 기입하는 척도가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축척"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다음 와이어 모델링의 특징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비교적 모델작성을 쉽게 할 수 있다.
  2. 은선제거가 불가능하다.
  3. 비교적 데이터 구조가 간단하다.
  4. 주로 해석용 모델로 사용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은선제거가 불가능하다." 이다.

    와이어 모델링은 3차원 모델링 기법 중 하나로, 모델의 외형을 간단한 선으로만 표현하는 방법이다. 따라서 모델 작성이 상대적으로 쉽고, 데이터 구조가 간단하다는 특징이 있다.

    하지만 와이어 모델링은 은선(뒷면에 위치한 선)을 제거할 수 없기 때문에 모델의 복잡도가 높아질수록 작업이 어려워진다. 또한 와이어 모델링은 주로 해석용 모델로 사용되는데, 이는 모델의 외형을 간단하게 파악할 수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다음 투상도법에 관한 설명 중 잘못된 것은?

  1. 물체의 특징을 가장 잘 알 수 있는 방향에서 투상한것을 정면도로 한다.
  2. 투상법에는 정투상, 축측투상, 사투상 등이 있다.
  3. 한국산업규격은 기계 제도에 원칙적으로 제3각법을 사용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4. 제3각법은 정면도의 왼쪽에 우측면도, 아래쪽에 평면도를 그린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제3각법은 정면도의 왼쪽에 우측면도, 아래쪽에 평면도를 그린다."이 부분이 잘못된 것이 아닙니다. 이유는 물체를 투상할 때, 물체의 특징을 가장 잘 나타낼 수 있는 방향에서 투상한 것을 정면도로 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제3각법에서도 정면도는 물체의 특징을 가장 잘 나타낼 수 있는 방향에서 투상한 것으로 그리며, 이에 따라 왼쪽에 좌측면도, 오른쪽에 우측면도, 아래쪽에 평면도를 그립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다음 컴퓨터 운영체계(OS) 중 다중 사용자를 위하여 개발된 것은?

  1. DOS
  2. WINDOWS
  3. UNIX
  4. OS/2
(정답률: 알수없음)
  • UNIX은 다중 사용자를 위해 개발된 운영체제입니다. 다수의 사용자가 동시에 시스템에 접속하여 작업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습니다. 또한, UNIX는 네트워크 환경에서의 운영체제로서 다양한 시스템 간의 연결과 통신을 지원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다음 도법의 변형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확대도법 : 투시도법으로 얻은 상이 작아서 그대로 사용할 수 없을 경우
  2. 연장도법 : 기본 육면체를 45° 각도로 회전· 연장하여 원하는 도형을 만드는 경우
  3. 축소도법 : 작은 부품을 투시할 경우 큰 도형을 축소하여 그려내는 경우
  4. 분할도법 : 육면체를 분할하여 세부사항을 그리려고 하는 경우
(정답률: 알수없음)
  • 연장도법은 기본 육면체를 45° 각도로 회전· 연장하여 원하는 도형을 만드는 경우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도면을 그린 후 치수를 찾아보기 쉽고 혼란되지 않게 기입하기 위한 우선 순위가 맞는 것은?

  1. 조립도 - 정면도 - 측면도
  2. 평면도 - 측면도 - 정면도
  3. 정면도 - 평면도 - 측면도
  4. 측면도 - 정면도 - 평면도
(정답률: 알수없음)
  • 정면도는 도면의 가장 중요한 부분을 보여주기 때문에 가장 먼저 그리는 것이 좋습니다. 그리고 평면도는 정면도에서 보이지 않는 부분을 보여주기 때문에 두 번째로 그리는 것이 적절합니다. 마지막으로 측면도는 제품의 전체적인 모양을 보여주기 때문에 마지막에 그리는 것이 적합합니다. 따라서 정면도 - 평면도 - 측면도가 가장 적절한 순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다음 그림은 어떤 투시도법을 설명하기 위한 것인가?

  1. 정 사각 투시도
  2. 부등각 투시도
  3. 평행 투시도
  4. 유각 투시도
(정답률: 알수없음)
  • 이 그림은 정면에서 바라본 것을 수직으로 올려놓은 것으로, 이러한 투시도를 "정 사각 투시도"라고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다음 그림은 무엇을 하기 위한 작도법인가?

  1. 직각의 n등분
  2. 수직 이등분
  3. 직각의 3등분
  4. 삼각형의 각구하기
(정답률: 알수없음)
  • 이 그림은 직각삼각형의 각을 구하기 위한 작도법입니다. 이를 위해 직각의 한 변을 3등분하여 각을 구하는 것이 가장 간단하고 정확한 방법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직각의 3등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모델링재료

31. 물리적 성질과 강도를 좌우하는 목재의 비중은 무엇으로 표시하는가?

  1. 단위 용적의 무게
  2. 목재 내부의 밀도
  3. 세포 형성의 탄성
  4. 생재 비중의 건조
(정답률: 알수없음)
  • 목재의 비중은 단위 용적의 무게로 표시됩니다. 이는 목재의 부피당 무게를 나타내는 값으로, 목재 내부의 밀도와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목재의 밀도가 높을수록 단위 용적의 무게가 높아지며, 이는 목재의 강도와 물리적 성질에 영향을 미칩니다. 따라서 목재를 선택할 때는 단위 용적의 무게를 고려하여 적절한 강도와 물리적 성질을 가진 목재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세포 형성의 탄성과 생재 비중의 건조는 목재의 특성을 설명하는 다른 요소들이지만, 비중을 나타내는 값으로는 사용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섬유강화 플라스틱(FRP)에 관한 설명 중 잘못된 것은?

  1. 강도와 내구성이 좋다.
  2. 비교적 무게가 가볍다.
  3. 산, 알칼리에 강하다.
  4. 수작업이 병행되므로 성형성이 좋지않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산, 알칼리에 강하다." 이다. FRP는 일반적으로 산과 알칼리에 약하며, 이러한 환경에서 사용될 경우 부식될 수 있다. 따라서 FRP 제품은 산과 알칼리가 많이 사용되는 환경에서는 적합하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다음 중 목재의 장점인 것은?

  1. 열전도율이 적으며 전기적 성질이 크다.
  2. 비중이 적으면서 강도가 크다.
  3. 방향성이 크다.
  4. 크기에 제한이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목재는 비중이 적으면서 강도가 큰 이유는 목재 내부의 섬유 구조 때문입니다. 목재는 수직 방향으로 섬유가 배열되어 있어서 수평 방향으로는 비교적 약하지만, 수직 방향으로는 강하고 탄성이 있습니다. 따라서 목재는 비교적 가벼우면서도 충격이나 압력에 강하며, 구조물의 지지력을 유지하는 데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경석고 제조시 석고 원석의 적정한 가열 온도는?

  1. 190℃ 이내
  2. 200∼300℃
  3. 500∼1300℃
  4. 1500℃ 이상
(정답률: 알수없음)
  • 경석고는 석고 원석을 가열하여 제조되는데, 이때 석고 원석은 적정한 가열 온도에서 분해되어 수분과 이산화탄소를 방출하면서 석고로 변화합니다. 이 과정에서 적정한 가열 온도는 500∼1300℃로 알려져 있습니다. 따라서 이 범위 내에서 가열하면 경석고를 효과적으로 제조할 수 있습니다. 다른 보기들은 이 범위를 벗어나기 때문에 적절한 가열 온도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점토에 수지를 넣고 유황 등으로 반죽한 것은?

  1. 인더스트리얼 클레이
  2. 경량벽돌
  3. 고령토
  4. 뉴세라믹
(정답률: 알수없음)
  • 인더스트리얼 클레이는 산업용으로 사용되는 점토로, 수지와 유황 등을 혼합하여 강도와 내화성을 높인 반죽으로 만들어진다. 따라서 이것이 정답이다. 경량벽돌은 가벼운 재료로 만들어진 벽돌, 고령토는 오래된 토양으로, 뉴세라믹은 새로운 세라믹 기술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증발이 느린 유기용제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키실렌
  2. 싸이크로헷사논
  3. 니트로벤젠
  4. 폴리에틸렌
(정답률: 알수없음)
  • 폴리에틸렌은 고분자 화합물로, 증발이 아닌 녹는 점도가 높아서 증발이 느린 유기용제에 해당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다음 공업규격 중 국제 표준화기구를 나타내는 것은?

  1. ISO
  2. KS
  3. ASTM
  4. JIS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ISO"입니다. ISO는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의 약자로, 국제 표준화 기구를 나타냅니다. 다른 보기인 KS는 대한민국의 국가 표준화 기구, ASTM은 미국의 표준화 기구, JIS는 일본의 표준화 기구를 나타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일반적으로 현대 공업기술과 산업제품의 중요한 재료로 평가되는 세종류는?

  1. 목재, 종이, 세라믹
  2. 금속, 플라스틱(고분자), 세라믹
  3. 목재, 세라믹, 플라스틱(고분자)
  4. 금속, 목재, 세라믹
(정답률: 알수없음)
  • 금속은 강도와 내구성이 뛰어나며, 전기 및 열 전도성이 우수하여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사용됩니다. 플라스틱(고분자)은 가볍고 내식성이 높으며, 가공성이 우수하여 다양한 형태로 제작할 수 있습니다. 세라믹은 내화성과 내식성이 뛰어나며, 고온에서도 안정적인 성질을 가지고 있어서 고온에서 사용되는 부품 등에 사용됩니다. 따라서 이 세 종류의 재료는 현대 공업기술과 산업제품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통상 수성페인트라 불리며 물로 희석하여 건축용 도료로 널리 쓰이는 도료는?

  1. 와니스 도료
  2. 래커
  3. 착색제
  4. 에멀션 도료
(정답률: 알수없음)
  • 통상 수성페인트는 물로 희석하여 사용하는데, 이 중 에멀션 도료는 수성페인트의 한 종류로 물과 유화제, 피그먼트 등이 혼합된 도료입니다. 건축용 도료로 널리 사용되며, 표면이 광택이 나고 내구성이 뛰어나며, 색상도 다양하게 제공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다음 중 접착력이 강하고 내수성, 내산성, 내알칼리성, 내열성 등이 가장 우수한 합성수지 접착제는?

  1. 페놀수지 접착제
  2. 멜라민수지 접착제
  3. 비닐계 접착제
  4. 에폭시수지 접착제
(정답률: 40%)
  • 에폭시수지 접착제는 접착력이 강하고 내수성, 내산성, 내알칼리성, 내열성 등이 우수한 합성수지 접착제입니다. 이는 에폭시수지가 화학적으로 안정적이며, 고강도와 고점도를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에폭시수지는 다양한 기능성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어서 다양한 용도에 사용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1. 다음 중 도료의 구성 요소가 아닌 것은?

  1. 안료
  2. 중합체
  3. 용제
  4. 퍼티
(정답률: 알수없음)
  • 도료의 구성 요소는 안료, 중합체, 용제이며, 퍼티는 도료의 구성 요소가 아닙니다. 퍼티는 도료의 특성을 개선하기 위해 첨가되는 물질로, 도료의 점착성, 내구성, 광택 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다음 중 탄성(彈性)을 부여할 목적으로 개발된 플라스틱은?

  1. 유리강화플라스틱(GFRP)
  2. 탄소강화플라스틱(CFRP)
  3. 엘라스토머(elastomer)
  4. 서미트(cermit)
(정답률: 알수없음)
  • 엘라스토머는 탄성(彈性)을 부여하기 위해 개발된 플라스틱입니다. 이는 고무와 유사한 성질을 가지며, 변형된 후에도 원래의 형태로 복귀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고 있습니다. 따라서 엘라스토머는 탄성이 중요한 제품에 사용되며, 예를 들어 타이어, 신발 밑창, 고무 밴드 등에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다음 중 플라스틱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비중이 작지만 강도가 높다.
  2. 가소성이 크며 열변형 가공성이 용이하다.
  3. 투명성이 뛰어나고 광택이 좋다.
  4. 오염이 잘되고 비위생적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오염이 잘되고 비위생적이라는 것은 플라스틱이 환경오염에 취약하고, 섭취하거나 접촉할 경우 인체에 해로울 수 있는 물질을 포함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플라스틱의 불안전한 사용과 관련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다음 중 가시광선의 투과율이 90∼99%인 수지는?

  1. ABS수지
  2. 페놀수지
  3. 아크릴수지
  4. P.V.C수지
(정답률: 알수없음)
  • 아크릴수지는 가시광선의 투과율이 90∼99%로 높은 편에 속합니다. 이는 아크릴수지가 광학적으로 매우 깨끗하고 투명하며, 빛을 잘 통과하기 때문입니다. 반면, ABS수지와 페놀수지는 투명도가 낮고, P.V.C수지는 가시광선의 투과율이 낮기 때문에 정답은 아크릴수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다음 안료의 특성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건조속도를 조정한다.
  2. 도료에 여러가지 색상을 나타낸다.
  3. 내구력을 증가 시킨다.
  4. 광택의 조절 및 도막 강도를 증가 시킨다.
(정답률: 알수없음)
  • "도료에 여러가지 색상을 나타낸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도료는 색상을 나타내는 역할을 하지 않습니다.

    건조속도를 조정하는 이유는 도료가 너무 빨리 건조되면 도막이 제대로 형성되지 않아 내구력이 떨어지고, 반대로 너무 느리게 건조되면 생산성이 떨어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적절한 건조속도를 유지하기 위해 건조제를 첨가하거나 건조환경을 조절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제품응용모델링

46. 디자인된 아이디어를 가지고 모형을 제작하는 목적 중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2차원적인 발상을 실제의 크기와 형태로 확인하기 위해서
  2. 모델링 재료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서
  3. 구성 재료와 표면처리, 조형성과의 검토 및 확인을 위해서
  4. 성형방법과 조형성과의 관계 검토를 위해서
(정답률: 알수없음)
  • 모형을 제작할 때 사용하는 재료는 디자인된 아이디어를 실제로 구현하기 위한 도구입니다. 따라서 모델링 재료의 특성을 파악하는 것은 제작된 모형의 완성도와 내구성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모델링 재료의 특성을 파악하지 않고 제작을 진행하면 예상치 못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는 디자인된 아이디어를 제대로 구현하지 못하게 됩니다. 따라서 모델링 재료의 특성을 파악하는 것은 모형 제작의 핵심적인 목적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정반 위에 있는 일감에 평행선을 긋는데 주로 사용되는 공구는?

  1. 서피스 게이지
  2. 캘리퍼스
  3. 마이크로 미터
  4. 측장기
(정답률: 알수없음)
  • 정반 위에 있는 일감에 평행선을 긋는 작업은 일반적으로 서피스 게이지를 사용합니다. 이는 일감의 표면을 측정하고, 그것이 수평인지 수직인지 확인하기 위한 도구로서, 정확한 측정을 위해 사용됩니다. 캘리퍼스, 마이크로 미터, 측장기는 모두 길이를 측정하는 도구이며, 서피스 게이지와는 용도가 다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둥근톱을 사용해 재료를 자르는 방법 중 틀린 것은?

  1. 둥근톱을 사용할 때에는 시운전을 해본 후 사용한다.
  2. 기준대(안내자)를 이용하면 정확한 절단이 가능하다.
  3. 각도 조정 받침을 이용하면 원하는 각도의 부재를 만들 수 있다.
  4. 폭이 좁은 각재를 만들 경우 양쪽을 손으로 잡고 자른다.
(정답률: 알수없음)
  • 폭이 좁은 각재를 만들 경우 양쪽을 손으로 잡고 자르는 것은 위험하며, 손이 미끄러져 다칠 수 있기 때문에 올바른 방법이 아니다. 대신에 고정대나 클램프를 이용하여 안전하게 자르는 것이 좋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다음 연구모형 중 비교적 초기단계에서 검토되는 것이 아닌 것은?

  1. 워킹 모델
  2. 이미지 모델
  3. 러프-목업 모델
  4. 스킴 모델
(정답률: 알수없음)
  • 워킹 모델은 이미지나 프로토타입을 만들지 않고, 아이디어나 개념을 바로 구현하는 모델링 방법이기 때문에 초기 단계에서 검토되지 않는다. 따라서 정답은 "워킹 모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진공성형기에서 제품을 성형할려고 할 때, 사용되는 모형은 실제 치수보다 어떻게 만들어야 하는가?

  1. 성형 재료두께와는 상관 없이 수축량을 계산한다.
  2. 성형 재료두께 만큼 크게 만든다.
  3. 성형 재료두께 만큼 적게 만든다.
  4. 도면 크기대로 만든다.
(정답률: 알수없음)
  • 진공성형기에서 제품을 성형할 때, 성형 재료는 열과 압력에 의해 끌어당겨 수축하게 됩니다. 따라서 모형은 실제 제품 치수보다 성형 재료두께 만큼 작게 만들어야 합니다. 그렇게 함으로써 성형 후에도 제품이 원하는 크기와 모양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다음 중 컴퓨터를 이용하여 디자인 설계를 하는 것은?

  1. CAD
  2. CAM
  3. DOS
  4. CAI
(정답률: 알수없음)
  • CAD는 Computer-Aided Design의 약자로, 컴퓨터를 이용하여 디자인 설계를 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CAM은 Computer-Aided Manufacturing, DOS는 Disk Operating System, CAI는 Computer-Aided Instruction의 약자로, 디자인 설계와는 관련이 없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CAD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다음 중 열처리 조작 방법이 아닌 것은?

  1. 담금질
  2. 뜨임
  3. 불림
  4. 트리밍
(정답률: 알수없음)
  • 트리밍은 열처리 조작 방법이 아닙니다. 트리밍은 재료의 불필요한 부분을 제거하는 과정으로, 열을 가하지 않고도 가능합니다. 따라서 열처리 조작 방법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다음 중 클레이 모델링 장비가 아닌 것은?

  1. 오븐기
  2. 분쇄기
  3. 3차원측정기
  4. 진공 주형기
(정답률: 알수없음)
  • 클레이 모델링과 관련된 장비는 "오븐기"와 "진공 주형기"입니다. "분쇄기"와 "3차원측정기"는 클레이 모델링과 직접적인 연관이 없는 장비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진공 주형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3차원 솔리드 모델링에서 Extrude의 의미는?

  1. 면만들기
  2. 경로
  3. 돌출
  4. 회전축
(정답률: 알수없음)
  • Extrude는 2차원 도면이나 모양을 3차원으로 만들 때 사용되는 기능입니다. 이 기능은 선택한 도면이나 모양을 일정한 방향으로 늘리거나 줄여서 3차원으로 만들어줍니다. 이때 늘리는 방향을 "돌출" 이라고 표현하는데, 이는 선택한 도면이나 모양이 일정한 방향으로 밀려나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Extrude의 의미는 "돌출"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단조나 주조에 의해 만들어진 공작물의 평면을 가공 할 때 사용되는 공작기계는?

  1. 드릴링 머신
  2. 보링 머신
  3. 밀링 머신
  4. 브로칭 머신
(정답률: 알수없음)
  • 밀링 머신은 회전하는 밀링 커터를 이용하여 평면을 가공하는 공작기계입니다. 따라서 단조나 주조에 의해 만들어진 공작물의 평면을 가공할 때 사용됩니다. 반면 드릴링 머신은 구멍을 뚫는 용도로, 보링 머신은 구멍을 확대하는 용도로, 브로칭 머신은 내부 형상을 가공하는 용도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NC기계가 한번의 동작을 하는데 필요한 정보가 담겨져 전체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단위는?

  1. 블럭(block)
  2. 워드(word)
  3. 어드레스(address)
  4. 프로그램(program)
(정답률: 알수없음)
  • NC기계의 프로그램은 여러 개의 블럭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각 블럭은 한 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가 담겨져 있으며, 이 정보는 명령어와 함께 구성됩니다. 따라서 NC기계가 한 번의 동작을 하는데 필요한 정보가 담겨져 있는 단위는 블럭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플로터의 DPI에 관한 설명 중 올바른 것은?

  1. DPI가 높을수록 메모리 용량이 적어진다.
  2. DPI가 높을수록 물체의 해상도가 좋아진다.
  3. 1미리당 들어가는 픽셀의 수를 의미한다.
  4. 1센티미터당 들어가는 픽셀의 수를 의미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DPI가 높을수록 물체의 해상도가 좋아진다는 이유는, DPI가 높을수록 인쇄물이나 이미지의 작은 세부사항이 더욱 선명하게 표현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즉, 더 많은 픽셀이 작은 공간에 들어가므로 더욱 세밀한 그림이나 글씨를 출력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다음 대패질 방법 중 올바른 설명은?

  1. 대패질 할 때 대팻날이 부재 끝을 지나기 전에 멈출 수 있도록 한다.
  2. 엇결인 경우는 나무결 직각 방향에서 대패질한다.
  3. 대패질은 팔 힘만으로 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4. 오른손 잡이는 우측에서 좌측으로 대패질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엇결은 나무 결이 서로 교차하는 경우를 말하는데, 이 경우 대패질을 할 때 대팻날이 결의 방향을 따라가면 결이 깨질 수 있기 때문에 나무결 직각 방향에서 대패질하는 것이 안전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다음 중 일반적인 래커의 도장 특성이 아닌 것은?

  1. 속건성이다.
  2. 도막의 성능이 우수하다.
  3. 다른 도장보다 먼지 부착정도가 적다.
  4. 외광성 및 두께 부착성이 우수하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 "속건성이다."

    해설: 래커는 속건성이 낮아서 표면에 부착된 먼지나 오염물질이 쉽게 떨어지지 않고 부착되기 때문에 다른 도장보다 먼지 부착정도가 적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또한 래커는 외광성과 두께 부착성이 우수하며, 도막의 성능도 우수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다음 중 플라스틱 도장에 적합한 공정은?

  1. 겉칠 - 밑칠 - 건조 - 전처리 - 건조
  2. 전처리 - 밑칠 - 건조 - 겉칠 - 건조
  3. 전처리 - 겉칠 - 건조 - 밑칠 - 건조
  4. 건조 - 밑칠 - 건조 - 겉칠 - 전처리
(정답률: 알수없음)
  • 플라스틱 도장의 경우, 전처리 단계에서 표면을 깨끗하게 처리하여 도장이 잘 달리도록 해야 합니다. 그리고 밑칠 단계에서는 플라스틱 도장에 잘 달라붙도록 하기 위해 바탕색을 칠해줍니다. 이후 건조 단계에서는 밑칠이 잘 마르도록 하고, 겉칠 단계에서는 원하는 색상을 칠해줍니다. 마지막으로 다시 건조 단계에서 도장이 완전히 마르도록 합니다. 따라서 "전처리 - 밑칠 - 건조 - 겉칠 - 건조"가 플라스틱 도장에 적합한 공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