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조기능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4-07-18)

주조기능사
(2004-07-18 기출문제)

목록

1과목: 금속재료일반

1. 상온에서 비중이 약 1.74인 금속은?

  1. Zn
  2. Hg
  3. Sn
  4. Mg
(정답률: 알수없음)
  • 상온에서 비중이 약 1.74인 금속은 "Mg"입니다. 이는 매우 간단한 이유로, 다른 보기들의 비중이 모두 1.74보다 크거나 작기 때문입니다. Zn의 비중은 7.14, Hg의 비중은 13.53, Sn의 비중은 7.31이며, 이들 모두 1.74보다 큽니다. 따라서, 남은 보기인 Mg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주철 중에 함유되어 있는 탄소의 함유량(%)은?

  1. 2.5∼4.5
  2. 1.0∼1.8
  3. 0.6∼0.9
  4. 0.1∼0.5
(정답률: 알수없음)
  • 주철은 탄소와 철로 이루어진 합금으로, 탄소의 함유량이 2.5~4.5%인 것이 일반적입니다. 이는 탄소 함유량이 너무 적으면 철의 특성을 발휘하지 못하고, 너무 많으면 부서지기 쉬워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적당한 비율인 2.5~4.5%가 주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알파(α)철의 자기변태점은?

  1. A1
  2. A2
  3. A3
  4. A4
(정답률: 알수없음)
  • 알파(α)철은 강한 자기장을 가지고 있으며, 자기장이 일정 온도 이상에서 강하게 변화하는 자기변태점이 존재합니다. 이 자기변태점은 약 770℃에서 일어나며, 이때 알파(α)철은 자기장을 잃고 감자성(soft magnetic)을 가지게 됩니다. 이 중에서 자기장이 가장 강하게 변화하는 지점이 A2이므로 정답은 A2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금속 원소 중 모스 경도가 가장 큰 것은?

  1. Zn
  2. Mg
  3. Cu
  4. Fe
(정답률: 알수없음)
  • 모스 경도란 물질의 경도를 측정하는 방법 중 하나로, 물질의 표면에 일정한 압력을 가해가며 그 표면에 생긴 흔적의 크기를 측정하는 방법입니다. 이 때, 모스 경도가 높을수록 물질의 경도가 높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주어진 보기에서 모스 경도가 가장 큰 원소는 Fe(철)입니다. 이는 Fe가 다른 원소들보다 결정 구조가 더욱 단단하고 밀도가 높기 때문입니다. 또한, Fe는 철강의 주 원료로 사용되는데, 이는 그만큼 경도가 높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동일 조건에서 비중이 가장 큰 것은?

  1. 주석
  2. 니켈
  3. 망간
(정답률: 알수없음)
  • 동일 조건에서 비중이 가장 큰 것은 "은"입니다. 이는 은의 밀도가 다른 보기에 비해 높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금속의 결정구조에서 FCC는?

  1. 체심입방격자
  2. 면심입방격자
  3. 조밀육방격자
  4. 주밀체심격자
(정답률: 알수없음)
  • FCC는 "면심입방격자"입니다. FCC 구조는 각 코너와 중심을 잇는 대각선이 모두 같은 길이인 정육면체 형태를 띠고 있으며, 각 코너에는 원자가 위치하고, 각 면의 중심에도 원자가 위치합니다. 이러한 구조는 원자들이 가장 밀도가 높게 배치되어 있어서, 금속의 물성이 우수하고 가공성이 높은 장점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축전지 전극, 퓨즈, 화폐 등에 사용되는 것으로 밀도가 약 11 인 금속은?

  1. 망간
  2. 아연
  3. 규소
(정답률: 알수없음)
  • 축전지 전극, 퓨즈, 화폐 등에 사용되는 금속은 전기 전도성이 높고 부식에 강한 특성을 가지고 있어야 합니다. 이 중에서 밀도가 약 11인 금속은 납입니다. 납은 전기 전도성이 높고 부식에 강한 특성을 가지고 있어서 다양한 용도로 사용됩니다. 또한, 납은 용해점이 낮아서 쉽게 주조할 수 있어서 화폐 제조에도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탄소공구강의 한국산업규격의 기호는?

  1. SW
  2. STC
  3. SKT
  4. SPH
(정답률: 알수없음)
  • 한국산업규격에서 "STC"는 "Steel Tool Carbon"의 약자로, 탄소공구강을 나타내는 기호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각각 "Steel Wire", "Steel Tool", "Steel Knife Tool", "Steel Plate Heat"의 약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탄소 함유량이 0.2% 이하인 탄소강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소성가공이 용이하다.
  2. 냉간가공과 용접성이 좋다.
  3. 내마멸성과 강도를 필요로 하는 부품의 사용에 적합하다.
  4. 거의 림드강으로 사용되고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탄소 함유량이 0.2% 이하인 탄소강은 내마멸성과 강도를 필요로 하는 부품의 사용에 적합하다는 것이 맞는 설명입니다. 이는 탄소 함유량이 낮아서 강도가 높고, 동시에 소성가공이 용이하며 냉간가공과 용접성이 좋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내마멸성과 강도를 필요로 하는 부품에 사용되며, 거의 림드강으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스테인리스강의 성분 원소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1. 크롬
  2. 니켈
(정답률: 알수없음)
  • 스테인리스강은 크롬, 니켈, 철 등의 원소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그러나 납은 스테인리스강의 성분 원소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이는 납이 스테인리스강의 물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기 때문입니다. 또한, 납은 스테인리스강보다 부식성이 높아서 스테인리스강의 내식성을 약화시킬 수 있기 때문에 스테인리스강에는 사용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탄소강에서 펄라이트의 혼합조직은?

  1. 오스테나이트 + 솔바이트
  2. 오스테나이트 + 페라이트
  3. 페라이트 + 시멘타이트
  4. 페라이트 + 마텐자이트
(정답률: 알수없음)
  • 탄소강은 탄소 함량에 따라 다양한 혼합조직을 가질 수 있습니다. 펄라이트는 탄소강의 가장 기본적인 혼합조직으로, 주로 철과 탄소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이 때, 탄소의 함량이 많으면 시멘타이트가 함께 혼합되어 나타납니다. 따라서 탄소강에서 펄라이트의 혼합조직은 "페라이트 + 시멘타이트"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다음 중 감마(γ)철을 나타내는 조직은?

  1. 페라이트
  2. 시멘타이트
  3. 오스테나이트
  4. 솔바이트
(정답률: 알수없음)
  • 감마(γ)철은 FCC(face-centered cubic) 구조를 가지는 철의 상태를 나타냅니다. 이러한 FCC 구조를 가지는 철은 고온에서 형성되며, 이를 오스테나이트라고 합니다. 따라서 감마(γ)철을 나타내는 조직은 오스테나이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열분석에 의한 금속의 변태점 측정법은?

  1. 아말감 시험 방법
  2. 임펄스 투과 방법
  3. 슴프 시험 방법
  4. 시간-온도 곡선에 의한 방법
(정답률: 알수없음)
  • 열분석에 의한 금속의 변태점 측정법에서 시간-온도 곡선에 의한 방법은 금속 시료를 일정한 온도로 가열하면서 시간에 따른 금속의 상태 변화를 관찰하여 변태점을 측정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금속의 열적 특성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어서 신뢰성이 높고, 다양한 금속 시료에 적용할 수 있어서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용융점(℃)이 약 1538 인 금속 원소는?

  1. Pt
  2. W
  3. Fe
  4. Mn
(정답률: 알수없음)
  • 용융점이 1538℃인 금속 원소는 철(Fe)입니다. 이는 철이 다른 보기인 Pt, W, Mn보다 높은 용융점을 가지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인(P)을 많이 함유한 주철중에 나타나는 철, 인화철, 시멘타이트의 3원 공정조직은?

  1. 스테아다이트
  2. 아시큘라이트
  3. 마그마나이트
  4. 오스포나이트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마그마나이트"입니다.

    주철은 철과 인(P)을 함유한 합금으로, 철과 인(P)의 비율에 따라 다양한 종류가 있습니다. 이 중에서 철과 인(P)의 비율이 비슷한 주철은 인화철이라고 부릅니다. 인화철은 철과 인(P)의 비율이 1:1 정도로 균일하게 분포되어 있으며, 이러한 구조로 인해 인화철은 고강도와 내식성이 뛰어납니다.

    시멘타이트는 인화철과 비슷한 구조를 가지고 있지만, 더 많은 양의 인(P)이 함유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시멘타이트는 인화철보다 더 높은 강도와 내식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스테아다이트, 아시큘라이트, 마그마나이트, 오스포나이트는 모두 주철의 종류 중 하나이지만, 인(P) 함량이 적거나 많은 경우에 나타나는 공정조직입니다. 스테아다이트는 인(P) 함량이 적은 주철에서 나타나는 조직으로, 인화철과 비슷한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스테아다이트는 주철 중에서 인(P) 함량이 적은 경우에 나타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제도 도면에서 치수선으로 사용되는 선은?

  1. 가는 실선
  2. 중간 굵기의 실선
  3. 가는 일점 쇄선
  4. 굵은 실선
(정답률: 알수없음)
  • 제도 도면에서 치수선은 가는 실선으로 사용됩니다. 이는 치수선이 다른 선들과 구분되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가는 실선은 다른 선들과 구분하기 쉽고, 치수를 측정하기에도 가장 정확하며 명확합니다. 또한, 가는 실선은 치수선으로서의 역할을 가장 잘 수행할 수 있도록 굵기와 종류가 표준화되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도면을 접을 때 기준이 되는 크기는?

  1. A1
  2. A2
  3. A3
  4. A4
(정답률: 알수없음)
  • 도면을 접을 때 기준이 되는 크기는 A4입니다. 이는 A4가 ISO 216 규격에 따라 가장 일반적인 용지 크기이기 때문입니다. A4는 210mm x 297mm의 크기를 가지며, 이 크기를 기준으로 도면을 접으면 보관 및 운반이 용이해지기 때문입니다. 또한, A4는 다른 A 시리즈 용지 크기들과 비교하여 비율이 일정하게 유지되기 때문에, 도면을 축소 또는 확대하여 인쇄할 때도 일관된 비율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척도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척도에는 실척, 축척, 배척의 3 종류가 있다.
  2. 척도는 도면의 표제란에 기입한다.
  3. 도형이 치수에 비례하지 않을 때는 척도를 기입하지 않고, 별도의 표시도 하지 않는다.
  4. 척도는 도형의 크기와 실물의 크기와의 비율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도형이 치수에 비례하지 않을 때는 척도를 기입하지 않고, 별도의 표시도 하지 않는 이유는 척도가 도면의 크기와 실물의 크기와의 비율을 나타내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만약 도형이 치수에 비례하지 않는다면, 척도를 표시하는 것은 의미가 없습니다. 따라서 척도를 기입하지 않고, 별도의 표시도 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다음 현과 호의 제도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현의 길이를 나타내는 치수선은 현에 평행한 직선으로 나타낸다.
  2. 호의 길이를 나타내는 치수선은 호와 동심원으로 나타낸다.
  3. 현과 호를 구별할 때는 치수 숫자 앞에 현 또는 호라고 쓴다.
  4. 2개 이상의 원호일지라도 한 곳에만 표시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2개 이상의 원호일지라도 한 곳에만 표시한다."라는 설명이 틀린 것입니다. 이유는 원호가 겹치는 부분이 있을 수 있기 때문에, 각각의 원호에 대해 치수선을 따로 표시하여 구별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제도에서 치수숫자와 같이 사용하는 기호가 아닌 것은?

  1. ø
  2. R
  3. Y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Y"입니다. "ø"는 직경을 나타내는 기호, "R"은 반지름을 나타내는 기호, "□"는 넓이를 나타내는 기호입니다. 하지만 "Y"는 어떤 치수나 수량을 나타내는 기호가 아니기 때문에 제도에서 사용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금속제도

21. 도면에 기입된 "43 - ø 20 드릴" 표시에서 43 이 뜻하는 것은?

  1. 드릴 지름
  2. 드릴 구멍수
  3. 드릴 구멍간격
  4. 드릴 구멍깊이
(정답률: 알수없음)
  • 43은 드릴 구멍수를 뜻합니다. 이는 도면상에서 해당 부품에 들어갈 드릴 구멍의 수를 나타내는 것입니다. ø 20은 드릴의 지름을 나타내며, 이와 같은 정보들이 함께 표시되어 부품 제작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다음 물체의 3각법의 우측면도를 옳게 나타낸 것은? (단, 화살표는 정면을 나타냄)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입니다.

    이유는 물체의 우측면도를 보면, 물체의 높이와 너비가 모두 주어져 있습니다. 따라서 높이와 너비를 이용하여 각도를 구할 수 있습니다.

    우선, 높이는 4cm이고, 물체와 눈의 거리는 6cm입니다. 이를 이용하여 탄젠트 함수를 이용하여 각도를 구할 수 있습니다.

    tanθ = 높이 / 물체와 눈의 거리 = 4 / 6

    따라서, θ = arctan(4/6) = 33.69° (소수점 둘째자리까지 반올림)

    또한, 너비는 3cm이고, 물체와 눈의 거리는 6cm입니다. 이를 이용하여 코사인 함수를 이용하여 각도를 구할 수 있습니다.

    cosθ = 너비 / 물체와 눈의 거리 = 3 / 6

    따라서, θ = arccos(3/6) = 60°

    따라서, 물체의 우측면도에서 각도는 33.69°와 60°입니다. 이를 보면, ""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기계구조용 탄소강재 "S M 45 C"에서 45가 뜻하는 것은?

  1. 최저인장강도
  2. 탄소함유량
  3. 종별기호
  4. 두께
(정답률: 알수없음)
  • S M 45 C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탄소강재 중 하나입니다. 여기서 45는 이 강재의 탄소함유량을 나타냅니다. 탄소함유량은 강재 내에 포함된 탄소의 양을 나타내며, 이는 강재의 경도와 강도에 영향을 미칩니다. 따라서, 탄소함유량이 높을수록 강도가 높아지고 경도가 높아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의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1. 치수공차 : 0.025
  2. 최소 허용치수 : 39.975
  3. 최대 허용치수 : 40.025
  4. 아래 치수허용차 : 0
(정답률: 알수없음)
  • 잘못된 것은 "아래 치수허용차 : 0" 입니다. 치수공차는 0.025이므로 최소 허용치수는 실제 치수에서 0.025을 뺀 값인 39.975가 됩니다. 최대 허용치수는 실제 치수에서 0.025를 더한 값인 40.025가 됩니다. 따라서 아래 치수허용차는 0이 아니라 -0.025가 되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나사 도시에서 완전 나사부와 불완전 나사부의 경계를 나타내는 선은?

  1. 굵은 실선
  2. 가는 일점쇄선
  3. 가는 이점쇄선
  4. 숨은선
(정답률: 알수없음)
  • 완전 나사부와 불완전 나사부의 경계는 굵은 실선으로 나타낸다. 이는 완전 나사부와 불완전 나사부가 서로 다른 부품으로 제작되어 있기 때문에, 굵은 실선으로 경계를 나타내어 구분해야 한다. 가는 일점쇄선, 가는 이점쇄선, 숨은선은 다른 부품이나 기능을 나타내는 경우에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도형의 일부를 도시하는 것으로 충분한 경우에 그 필요한 일부분만 그린 투상도는?

  1. 보조 투상도
  2. 부분 투상도
  3. 회전 투상도
  4. 부분 확대도
(정답률: 알수없음)
  • 부분 투상도는 도형의 일부분만 그려서 충분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는 경우에 사용됩니다. 따라서, 도형의 전체를 그리는 것이 필요하지 않고 필요한 부분만 그리면 되기 때문에 부분 투상도가 적절한 선택입니다. 다른 보기들인 보조 투상도, 회전 투상도, 부분 확대도는 모두 도형의 특정한 부분을 강조하거나 보조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지, 필요한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것은 아니기 때문에 정답은 부분 투상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도면에서 표제란의 원칙적인 위치는?

  1. 왼쪽 위
  2. 왼쪽 아래
  3. 오른쪽 위
  4. 오른쪽 아래
(정답률: 알수없음)
  • 도면에서 표제란은 일반적으로 오른쪽 아래에 위치합니다. 이는 도면을 읽을 때, 먼저 왼쪽 상단부터 오른쪽으로 읽으며, 아래쪽으로 내려가는 방향으로 읽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표제란이 오른쪽 아래에 위치하면 도면을 보는 사람이 쉽게 정보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모래의 소착을 방지하기 위한 대책 중 틀린 것은?

  1. 내화성을 가진 주형재료를 사용한다.
  2. 장시간 고온상태를 유지한다.
  3. 국부적 과열부분에 내부칠을 꽂는다.
  4. 생형의 경우 휘발성 석탄가루를 첨가제로 사용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생형의 경우 휘발성 석탄가루를 첨가제로 사용한다는 것이 틀린 대책입니다. 이유는 석탄가루는 소착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장시간 고온상태를 유지하는 것은 내화성 주형재료를 더욱 단단하게 만들어 소착을 방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고온상태에서 주형재료가 녹아서 굳어지면 더욱 단단해지기 때문에 소착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큐폴라에서 주로 사용되는 것은?

  1. 경합금
  2. 구리합금
  3. 알루미늄
  4. 주철
(정답률: 알수없음)
  • 큐폴라는 고온에서 사용되는 재료이므로 내열성이 뛰어난 주철이 주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주물사의 시험법으로서 항압력,전단력,항장력 시험법을 하는 이유는?

  1. 내열성을 시험하기 위함이다.
  2. 통기도를 시험하기 위함이다.
  3. 강도를 시험하기 위함이다.
  4. 수분 함유량을 시험하기 위함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주물사의 시험법으로서 항압력, 전단력, 항장력 시험법을 하는 이유는 강도를 시험하기 위함입니다. 이 시험법들은 주물의 내구성과 견고함을 측정하며, 강도가 높을수록 더 많은 압력과 전단력, 장력을 견딜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시험법들은 주물의 품질을 평가하는 중요한 지표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코어를 만들 때 가장 적당한 주형은?

  1. 건조형
  2. 반건조형
  3. 생형
  4. 진흙형
(정답률: 알수없음)
  • 코어는 주로 금속을 주형으로 사용하여 만들어지는데, 건조형은 주형과 코어를 분리하여 제작할 수 있어 제작과정이 간단하고 비용이 저렴합니다. 또한 건조형은 코어의 내구성이 높아 다수의 제품을 생산할 때 유리합니다. 따라서 코어를 만들 때 가장 적당한 주형은 "건조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주조에서 불순물이나 슬랙(slag)을 모아 주물에 혼입되지 않고 쇳물이 조용히 흘러 들어가도록 하기 위해 설치하는 것은?

  1. 탕구(sprue)
  2. 압탕(riser)
  3. 플로우 오프(flow off)
  4. 탕류(pouring basin)
(정답률: 알수없음)
  • 탕류는 주조 과정에서 쇳물이 주물에 혼입되지 않도록 불순물이나 슬랙을 모아주는 역할을 합니다. 즉, 쇳물이 조용히 흘러들어가도록 하기 위해 설치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탕류(pouring basin)"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샌드 블라아스팅은 무엇을 하는 기계인가?

  1. 모래조형기
  2. 주물청정기
  3. 주물열처리로
  4. 모래운반기
(정답률: 알수없음)
  • 샌드 블라스팅은 주로 표면을 깨끗하게 만들기 위해 사용되는 기술로, 모래나 다른 경질 물질을 고속으로 분사하여 표면의 오염물질이나 부식된 부분을 제거하는 작업을 수행합니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샌드 블라스팅은 주물청정기에서 많이 사용되며, 주물청정기는 주물을 만들기 위해 사용되는 기계로, 주물을 만들기 전에는 반드시 표면을 깨끗하게 청소해야 합니다. 따라서 샌드 블라스팅은 주물청정기에서 표면처리를 위해 필수적인 기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풀모울드(full mould)형의 원형재료는?

  1. 합성수지
  2. 합금
  3. 발포성수지
  4. 석고
(정답률: 알수없음)
  • 풀모울드(full mould)는 금속 주조 방법 중 하나로, 원형 모양의 금속 주조물을 만들기 위해 사용됩니다. 이 방법에서는 발포성수지를 사용하여 모양을 만들고, 이를 토대로 금속을 주조합니다. 발포성수지는 가벼우면서도 강도가 높아서 주조 과정에서 변형되지 않고 모양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또한 발포성수지는 가공이 용이하고, 저렴하게 구할 수 있어서 풀모울드 방법에서 널리 사용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발포성수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자경성 주형에 주로 사용되는 점결제는?

  1. 에틸실리케이트
  2. 포오틀랜드시멘트
  3. 왁스
  4. 페놀수지
(정답률: 알수없음)
  • 자경성 주형은 고온에서도 안정적인 성질을 가지고 있어야 하기 때문에, 점결제로 사용되는 물질은 고온에서도 안정적인 성질을 가지고 있어야 합니다. 이러한 조건을 만족하는 물질 중에서 가장 효과적인 것이 포오틀랜드시멘트입니다. 포오틀랜드시멘트는 고온에서도 안정적이며, 높은 강도와 경도를 가지고 있어 자경성 주형에 적합합니다. 따라서 포오틀랜드시멘트가 자경성 주형에 주로 사용되는 점결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코어사의 구비조건 중 틀린 것은?

  1. 경도가 낮을 것
  2. 통기도가 좋을 것
  3. 내화도가 높을 것
  4. 팽창량이 적을 것
(정답률: 알수없음)
  • 코어사의 구비조건 중 "경도가 낮을 것"은 틀린 것입니다. 코어사는 내화성이 뛰어나고, 고온에서도 안정적인 성질을 가지는 것이 중요합니다. 따라서 경도가 높은 것이 오히려 바람직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소음에서 SPL(Sound Pressure Level)이란?

  1. 음압수준
  2. 저음정도
  3. 노출시간
  4. 소리강도
(정답률: 알수없음)
  • SPL은 소리의 강도를 나타내는 지표로, 소리의 압력을 기준으로 측정합니다. 따라서 "음압수준"이라는 용어가 사용되며, 소리의 압력이 높을수록 SPL 값이 높아집니다. "저음정도"와 "노출시간"은 SPL 값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이지만, 직접적으로 SPL을 나타내는 용어는 아닙니다. "소리강도"는 SPL과 유사한 개념이지만, 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점토분 시험을 한 후 남아있는 모래의 무게가 45g 이었다면 점토는 몇 % 함유되어 있는가? (시료의 양은 KS 에 의함)

  1. 5
  2. 10
  3. 15
  4. 20
(정답률: 알수없음)
  • 점토분 시험에서 남아있는 모래의 무게는 점토분을 제외한 나머지 물질의 무게이므로, 시료의 총 무게에서 모래의 무게를 빼면 점토분의 무게가 나옵니다. 따라서 점토분의 무게는 시료의 총 무게에서 45g을 뺀 값이 됩니다.

    점토분의 함량은 점토분의 무게를 시료의 총 무게로 나눈 후 100을 곱한 값입니다. 따라서 점토분의 함량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점토분의 함량 = (시료의 총 무게 - 모래의 무게) ÷ 시료의 총 무게 × 100
    = (시료의 총 무게 - 45g) ÷ 시료의 총 무게 × 100

    이때, 점토분의 함량이 10%가 되려면 위 식의 결과값이 10이 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시료의 총 무게에 따라 점토분의 함량이 달라질 수 있지만, 이 문제에서는 시료의 양이 KS에 의해 정해졌기 때문에 정답은 "10"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대기중에 연소되기 쉬운 성질을 가지고 있으므로 주입할 때 인(P)가루를 뿌려주어야 하는 것은?

  1. 주철계
  2. 구리합금계
  3. 알루미늄 합금계
  4. 마그네슘 합금계
(정답률: 알수없음)
  • 마그네슘 합금계는 대기중에 연소되기 쉬운 성질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주입할 때 인(P)가루를 뿌려주어야 합니다. 이는 다른 보기인 주철계, 구리합금계, 알루미늄 합금계와는 달리 마그네슘 합금계만이 가지고 있는 특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지르콘사의 주성분은?

  1. P2O5ㆍMnO
  2. SiO2ㆍMgO
  3. Al2O3ㆍ H2O
  4. ZrO2ㆍSiO2
(정답률: 알수없음)
  • 지르콘사는 주로 이산화 규소(SiO2)와 지르코니아(ZrO2)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이 두 성분이 함께 반응하여 지르코니아-규소계 세라믹스를 형성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ZrO2ㆍSiO2"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주조작업일반

41. 곤란할 경우 어떻게 보완하는가?

  1. 채플릿(chaplet)을 설치한다.
  2. 칠메탈(chill metal)을 설치한다.
  3. 플로우 오프(flow off)를 세워준다.
  4. 주입구를 설치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칠메탈(chill metal)은 금속 주조 시에 불순물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장치입니다. 따라서, 만약 곤란한 상황이 발생하여 불순물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면, 칠메탈을 설치하여 보완할 수 있습니다. 채플릿은 주조 시에 금속이 균일하게 분배되도록 도와주는 장치이며, 플로우 오프는 금속 주조 시에 공기를 제거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주입구는 금속을 주조할 때 금속을 주입하는 구멍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주물의 아랫면이나 하형에 두어야 할 부분은?

  1. 조직이 거칠어야 할 부분
  2. 흠이나 기포가 있어도 좋은 부분
  3. 조직이 치밀하고 기계 가공 부분
  4. 주조한 표면을 그대로 둘 부분
(정답률: 알수없음)
  • 주물의 아랫면이나 하형에는 조직이 치밀하고 기계 가공 부분이 두어져야 합니다. 이는 주물의 안정성과 내구성을 높이기 위해서입니다. 조직이 치밀하면 주물의 강도와 경도가 높아지고, 기계 가공 부분이 있으면 정확한 크기와 모양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부분에 주물을 두면 더욱 품질 좋은 제품을 만들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주입계통 중 가장 먼저 쇳물이 거쳐 지나는 곳은?

  1. 압탕
  2. 탕구
  3. 주물본체
  4. 탕도
(정답률: 알수없음)
  • 주입계통에서 먼저 쇳물이 거쳐 지나가는 곳은 탕구입니다. 탕구는 쇳물이 주입되어 압력을 받아 압탕과 함께 주물본체로 흐르기 전에 먼저 지나가는 부분으로, 쇳물이 주입되는 입구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탕구가 주입계통에서 가장 먼저 쇳물이 거쳐 지나가는 곳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탕구계, 압탕의 설명 중 틀린 것은?

  1. 탕구는 쇳물이 주형으로 낙하하는 부분이다.
  2. 탕도는 탕구에서 들어온 쇳물을 게이트로 유도하는 것이다.
  3. 게이트는 쇳물을 주물에 흘려 들어가게 하는 부분이다.
  4. 압탕은 주형에 가스를 침투하기 위한 것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압탕은 주형에 가스를 제거하기 위한 것이며, 따라서 "압탕은 주형에 가스를 침투하기 위한 것이다."라는 설명이 틀린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같은 조건하에서 수축량이 가장 적은 것은?

  1. 황동주물
  2. 아연합금주물
  3. 회주철주물
  4. 알루미늄합금주물
(정답률: 알수없음)
  • 회주철주물은 다른 보기에 비해 상대적으로 밀도가 높고 강도가 높아서, 같은 조건에서 더 많은 압력을 견딜 수 있습니다. 따라서 수축량이 가장 적게 발생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회전 주형 제작에 사용되는 조형 공구가 아닌 것은?

  1. 센터받침
  2. 안내판
  3. 목마 지지용 축
  4. 컴파스
(정답률: 알수없음)
  • 회전 주형 제작에 사용되는 조형 공구는 모두 회전하면서 형태를 만들거나 측정하는 역할을 합니다. 하지만 안내판은 회전하지 않고, 주형 제작 시에는 사용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안내판은 회전 주형 제작에 사용되는 조형 공구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주물사에 요구되는 성질 중 틀린 것은?

  1. 통기성이 좋아야 한다.
  2. 반복 사용이 불가능하여야 한다.
  3. 붕괴성이 좋아야 한다.
  4. 용금과의 반응이 적어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주물사는 한 번 사용하면 다시 사용할 수 없는 형태로 만들어져야 합니다. 이는 주물사가 사용된 후에는 형태가 변형되거나 손상되어 다시 사용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반복 사용이 불가능하여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건조형의 주철용 도형제로 적합한 것은?

  1. 내화도가 낮은 아연 가루
  2. 내화도가 높은 흑연 가루
  3. 강도가 비교적 낮은 시멘트
  4. 용융점이 낮은 마그네슘 분말
(정답률: 알수없음)
  • 주철은 고온에서 용융되는 성질이 있기 때문에, 건조형의 주철용 도형제는 내화성이 높아야 합니다. 따라서, 내화도가 높은 흑연 가루가 적합합니다. 내화도가 낮은 아연 가루나 용융점이 낮은 마그네슘 분말은 고온에서 내화성이 부족하여 사용하기 어렵고, 강도가 비교적 낮은 시멘트는 주철의 형태를 유지하기 어렵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구상흑연 주철은 전기로에서 용해된 용선에 무엇을 첨가하여 기계적 성질을 향상시킨 것인가?

  1. Na
  2. Mg
  3. Si
  4. Mn
(정답률: 알수없음)
  • 구상흑연 주철에 Mg를 첨가하면, Mg는 주철 내부의 화학적 반응을 촉진시켜 결정의 크기를 줄이고, 결정 간 거리를 더 가깝게 만들어 기계적 성질을 향상시킵니다. 따라서 Mg가 구상흑연 주철에 첨가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알루미늄이나 구리합금 등 비철합금 용해에 적합한 용해로는?

  1. 도가니로
  2. 큐폴라
  3. 고로
  4. 전로
(정답률: 알수없음)
  • 알루미늄이나 구리합금은 고온에서 용해되는데, 이 때 용해로는 도가니로가 가장 적합합니다. 도가니로는 고온에서 용해되는데, 이는 용융된 금속이 아래로 내려가면서 높은 온도와 고압으로 인해 용해됨으로써 발생합니다. 따라서 도가니로는 알루미늄이나 구리합금과 같은 비철합금의 용해에 적합한 용해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철편 또는 스틸숏 등 철물 제거에 사용되는 것은?

  1. 혼련기
  2. 파쇄분급기
  3. 자기 분리기
  4. 혼사기
(정답률: 알수없음)
  • 철물은 자석에 의해 분리되는 특성이 있기 때문에 자기 분리기를 사용하여 철물을 제거할 수 있습니다. 다른 보기들은 철물 제거와는 관련이 없거나 다른 방식으로 작동하기 때문에 정답이 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주물의 표면 결함 중 버클의 형상을 가장 바르게 나타낸 것은?

(정답률: 알수없음)
  • 버클은 주물의 표면에서 발생하는 결함 중 하나로, 표면이 내부로 들어가는 형태를 띠고 있습니다. 이를 가장 바르게 나타낸 것은 "" 입니다. 이 그림은 버클의 형태를 가장 정확하게 나타내고 있으며, 다른 그림들은 버클이 아닌 다른 결함들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탕면 모양 시험에서 망간이 많을 때 어떤 용탕모양을 하는가?

  1. 귀갑형
  2. 세엽형
  3. 송엽형
  4. 부정형
(정답률: 알수없음)
  • 망간은 화학적으로 산화되기 쉬우며, 탕면 모양 시험에서는 망간의 산화 상태 변화를 측정하여 망간 함량을 파악합니다. 이때 망간 함량이 많을수록 용탕의 색이 진하고, 세밀한 용탕모양이 나타납니다. 따라서 망간이 많을 때는 세엽형 용탕모양이 나타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금속제품의 표면결함을 찾는데 적합한 비파괴검사법은?

  1. 방사선투과시험
  2. 초음파탐상시험
  3. 침투탐상시험
  4. 음향방출시험
(정답률: 알수없음)
  • 침투탐상시험은 금속제품의 표면결함을 찾는데 적합한 비파괴검사법입니다. 이는 표면에 침투액을 뿌리고 그 위에 반응액을 뿌려 결함 부분에서 반응이 일어나면 그 결함을 찾아내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비교적 간단하고 저렴하며, 다양한 종류의 결함을 찾을 수 있어서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알콜사용시 주의해야 할 사항 중 틀린 것은?

  1. 전열기가 없는 곳에서 작업한다.
  2. 밀폐된 곳에서 작업한다.
  3. 환기가 잘되는 곳에서 작업한다.
  4. 직사광선을 피해서 작업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밀폐된 곳에서 작업한다."입니다.

    알콜은 쉽게 증발하여 공기 중에 떠다니는 증기로 인해 폭발 위험이 있습니다. 따라서 밀폐된 곳에서 작업하면 증발한 알콜 증기가 충분히 모여 폭발 위험이 높아집니다. 따라서 환기가 잘되는 곳에서 작업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용해 작업자가 착용해서는 안되는 것은?

  1. 보안경
  2. 고무장갑
  3. 헬멧
  4. 안전화
(정답률: 알수없음)
  • 고무장갑은 화학물질에 대한 저항성이 높아서 일부 화학물질과 반응하여 손상될 수 있으며, 작업 중에 발생하는 열, 화학물질 등으로 인해 손에 땀이 많이 나면 장갑 안에서 미생물이 번식할 수 있어 위생적인 문제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노내에서 나오는 물건들을 소화하기 위해서 물을 뿌릴 때 에는 어떻게 하여야 하는가?

  1. 물통을 이용하여 여러사람이 공동작업으로 뿌린다.
  2. 물통에 물을 담아 멀리서 던져 뿌린다.
  3. 고무 호오스를 이용하여 멀리서 뿌린다.
  4. 고무 호오스를 이용하여 가까이서 뿌린다.
(정답률: 알수없음)
  • 고무 호스를 이용하여 멀리서 뿌리는 것이 노내에서 나오는 물건들을 소화하기에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기 때문입니다. 멀리서 뿌리면 물이 더 넓게 퍼지고, 불길과 가까이 가지 않아 안전합니다. 또한, 고무 호스를 이용하면 물을 정확하게 원하는 곳에 뿌릴 수 있어서 불을 더욱 효과적으로 진압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도형제의 구비 조건은?

  1. 내화도가 낮을 것
  2. 용탕과 반응이 잘 일어날 것
  3. 수분을 되도록 적게 함유할 것
  4. 용탕과 주형사이에 피막 형성이 없을 것
(정답률: 알수없음)
  • 수분이 많으면 도형제가 물과 반응하여 화학적 변화가 일어날 수 있습니다. 이는 도형제의 내화도를 낮추고, 사용 시 안전성을 저해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도형제는 수분을 되도록 적게 함유하여 내화성과 안전성을 유지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용탕을 레이들에 옮길 때 안전사항으로 틀린 것은?

  1. 주위 바닥에 마른모래를 깔아준다.
  2. 주위에 습기가 없게 한다.
  3. 주위에 인화물질이 없게 한다.
  4. 주위에 화재 예방을 위해 물을 뿌려준다.
(정답률: 알수없음)
  • "주위에 화재 예방을 위해 물을 뿌려준다."가 틀린 것은 용탕을 옮길 때 물을 뿌리면 오히려 화재 위험이 높아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물이 용탕과 반응하여 열을 발생시키고, 이로 인해 화재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화재 예방을 위해서는 주위에 인화물질이 없게 하거나, 바닥에 마른 모래를 깔아주는 등의 방법을 사용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코어 모래의 결합력만으로 불충분할 때 철사 또는 주철로 만들어 보강해주는 것은?

  1. 코어프린트
  2. 코어메탈
  3. 코어받침대
  4. 코어냉금
(정답률: 알수없음)
  • 코어 메탈은 코어 모래의 결합력만으로는 충분하지 않을 때 철사 또는 주철로 만들어 보강해주는 것입니다. 따라서 코어 메탈이 정답입니다. 코어 프린트는 주형의 형상을 코어 모래에 전달하기 위한 도구이며, 코어 받침대는 코어를 고정시키기 위한 대가입니다. 코어 냉금은 코어를 냉각시켜 형상을 유지시키는 과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