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도운송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0-09-05)

철도운송산업기사
(2010-09-05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여객운송

1. 승차권의 예약·발권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열차출발 3일 전까지 예약한 승차권(단체승차권 제외)은 예약한 다음 날 24:00까지 결제하여야 한다.
  2. 예약 결제한 승차권은 운송조건을 확인하여야 하며 역에서의 승차권 구입 및 발권은 출발 5분전까지 발권 받아야 한다.
  3. 철도공사는 예약한 승차권은 간이역에서 무임(무료)승차권은 승차권판매대리점에서 발권하지 아니한다.
  4. 철도공사는 2명 이상이 함께 이용하는 조건으로 운임을 할인하고 1매로 발행하는 승차권은 이용인원별로 나누어 발권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철도공사는 2명 이상이 함께 이용하는 조건으로 운임을 할인하고 1매로 발행하는 승차권은 이용인원별로 나누어 발권한다." 이유를 설명하는 것이 가장 거리가 먼 것입니다.

    이유는 간단합니다. 철도공사는 두 명 이상이 함께 이용하는 경우 운임을 할인하고, 이용인원별로 나누어 발권합니다. 이는 단체로 여행하는 경우를 고려한 것으로, 여러 명이 함께 이동할 때 더 많은 할인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다음 설명 중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영화관람승차권의 영화상영구간이라 함은 영화상영이 시작되는 역부터 종료되는 역까지의 승착구간을 말한다.
  2. 연계이용권을 이용하는 만 4세의 어린이는 운임의 40%를 할인하고 만 3세의 유아는 25% 할인선박승선권을 추가로 구입하여야 한다.
  3. 연계이용권의 선행교통편을 이용한 사람이 후행교통편 출발시각이전에 후행교통편의 반환을 청구하는 경우에는 선행교통편은 무효로 하며 선행교통편의 할인금액과 후행교통편 영수금액의 50%를 공제한 잔액을 반환한다.
  4. 열차운행불능 등으로 교환권을 사용하지 못하였을 경우 역에서 교환권 이면에 사고증명을 받아 구입처에서 전액 반환받고 E-Ticket은 철도공사 영문 홈페이지에서 본인이 직접 취소 후 수수료 없이 반환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가장 거리가 먼 것은 "열차운행불능 등으로 교환권을 사용하지 못하였을 경우 역에서 교환권 이면에 사고증명을 받아 구입처에서 전액 반환받고 E-Ticket은 철도공사 영문 홈페이지에서 본인이 직접 취소 후 수수료 없이 반환한다."이다.

    연계이용권을 이용하는 만 4세의 어린이는 운임의 40%를 할인하고 만 3세의 유아는 25% 할인선박승선권을 추가로 구입하여야 한다는 것은 연계이용권을 이용하는 어린이들의 할인 혜택에 대한 설명이다.

    영화관람승차권의 영화상영구간이라 함은 영화상영이 시작되는 역부터 종료되는 역까지의 승착구간을 말하는 것이다.

    연계이용권의 선행교통편을 이용한 사람이 후행교통편 출발시각이전에 후행교통편의 반환을 청구하는 경우에는 선행교통편은 무효로 하며 선행교통편의 할인금액과 후행교통편 영수금액의 50%를 공제한 잔액을 반환하는 것은 연계이용권의 사용 방법에 대한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국토해양부장관은 원활한 철도운송 서비스의 개선 및 공공복리의 증진을 위해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때에는 철도사업자에게 사업의 개선명령을 할 수 있는 사항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철도차량 및 철도사고에 관한 손해배상을 위한 보험에의 가입
  2. 철도사업자에 대한 자질향상을 위한 교육
  3. 사업계획의 변경 및 철도사업약관의 변경
  4. 안전운송의 확보 및 서비스의 향상을 위하여 필요한 조치
(정답률: 알수없음)
  • 철도사업자에 대한 자질향상을 위한 교육은 개선명령의 대상이 될 수 없습니다. 이는 개인적인 교육이므로 사업의 개선과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 보기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승차권 예약대기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예약하고자 하는 열차의 좌석승차권이 매진되었다면 인터넷으로 「예약대기」를 신청한다.
  2. 예약대기 좌석 배정은 신청순서에 따라 반환된 좌석을 자동으로 배정한다.
  3. 좌석배정결과 및 승차권결제(구입)기한은 신청자가 인터넷으로 확인하여야 한다.
  4. 좌석이 배정된 경우 당일(24:00)까지 결제하여야 하며 결제하지 않는 경우 배정된 좌석은 취소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예약대기 좌석 배정은 신청순서에 따라 반환된 좌석을 자동으로 배정한다."라는 설명이 가장 거리가 먼 것이다.

    이유는, 다른 보기들은 예약대기에 대한 절차와 규정을 설명하고 있지만, 이 보기는 예약대기 좌석이 배정되는 방식에 대한 설명이다. 따라서, 이 보기는 예약대기에 대한 절차와 규정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다.

    간단명료한 설명: "예약대기 좌석 배정 방식에 대한 설명"이 다른 보기들과는 다르게 예약대기에 대한 절차와 규정과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천재지변, 열차고장, 파업 등 열차를 정상적으로 운행할 수 없는 경우 운송계약 내용의 조정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운행중지, 출발역 변경
  2. 운행시각 변경, 도착역 변경
  3. 우회수송, 운임의 변경
  4. 승차권의 예약·발권·반환의 제한 또는 조정
(정답률: 알수없음)
  • 우회수송과 운임의 변경은 열차를 정상적으로 운행할 수 없는 경우에 운송계약 내용을 조정하는 방법 중 하나입니다. 우회수송은 다른 경로나 교통수단을 이용하여 목적지에 도달하는 것을 말하며, 운임의 변경은 운송비용이 변동되는 경우에 그에 따라 운임을 조정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와 달리 운행중지나 출발역 변경, 운행시각 변경, 도착역 변경 등은 운송계약 내용을 변경하는 것이 아니라 운송 자체가 이루어지지 않거나 일부 변경되는 경우를 나타냅니다. 승차권의 예약·발권·반환의 제한 또는 조정은 승객의 권리와 관련된 내용으로, 운송계약 내용의 조정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적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철도 여객운임·요금에 대한 단수처리 방법으로 틀린 것은?

  1. 여객운임 할인 시 발생하는 51원 이상은 100원으로 한다.
  2. 정기운임은 기준운임에서 정기승차권은 할인율을 적용하여 계산한 1회 운임에서 단수 처리한다.
  3. 단체운임은 기준운임에서 단체할인율을 적용하여 인원수를 곱한 운임에서 단수 처리한다.
  4. 1회 이상 할인율을 적용할 경우에는 할인율을 적용할 때마다 단수 처리한다.
(정답률: 0%)
  • 단체운임은 기준운임에서 단체할인율을 적용하여 인원수를 곱한 운임에서 단수 처리한다. 이것이 틀린 것은 아니다. 이유는 단체운임은 인원수에 따라 할인율이 적용되는데, 이 할인율이 적용된 운임에서 단수 처리를 하기 때문이다. 즉, 인원수에 따라 할인된 운임에서 단수 처리를 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여객운송약관에서 정한 용어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운임구역(또는 유료구역)이라 함은 승차권 또는 입장권을 소지하고 출입하여야 하는 구역으로 표확인기기 안쪽, 타는 곳, 열차 내를 말한다.
  2. 간이역이라 함은 철도공사에서 승차권 발권서비스를 제공하지 않거나 열차 승무원이 승차권을 발권하는 역을 말한다.
  3. 발권이라 함은 승차하고자 하는 열차의 운임·요금을 결제하고 승차권을 발행받는 것을 말한다.
  4. 비즈니스실 승차권이라 함은 5명 이하의 일행이 승차일시·열차·구간 등을 동일한 운송조건으로 비즈니스실을 이용하는 경우 1매로 발권한 승차권을 말한다.
(정답률: 40%)
  • 간이역이라 함은 철도공사에서 승차권 발권서비스를 제공하지 않거나 열차 승무원이 승차권을 발권하는 역을 말하는 것이 아니라, 승차권 발권이 불가능한 역을 말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도시철도법에서 둘 이상의 자가 같은 도시교통 권역에서 도시철도의 각각 건설·운영하는 경우 당사자 간의 협의로 결정할 수 있는 내용으로 틀린 것은?

  1. 승객의 갈아타기
  2. 운임수입의 배분
  3. 노선의 연결
  4. 차량규격의 변경
(정답률: 알수없음)
  • 도시철도법에서 둘 이상의 자가 같은 도시교통 권역에서 도시철도의 각각 건설·운영하는 경우 당사자 간의 협의로 결정할 수 있는 내용 중에서 "차량규격의 변경"은 틀린 것입니다. 이는 법적으로 규정되어 있어 협의로 결정할 수 없습니다. 차량규격은 안전성과 효율성을 고려하여 정해지는 것이기 때문에 법적으로 규정되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통신매체를 이용한 반환 신청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좌석을 지정하는 승차권(일반승차권, 영화승차권, 연계승차권, 상품승차권)만 접수가 가능하다.
  2. 출발역 출박시각 24시간이내 승차권만 접수가 가능하다.
  3. 정기승차권, 입장권, KR-PASS, 특별관리단체는 접수가 불가능하다.
  4. 반환신청을 접수한 승차권은 출발시각부터 24시간 이내에 출발역(또는 구입한 역)에서 반환접수시점을 기준으로 계산된 수수료를 공제한 잔액 환불이 가능하다.
(정답률: 알수없음)
  • "좌석을 지정하는 승차권(일반승차권, 영화승차권, 연계승차권, 상품승차권)만 접수가 가능하다." 이유는 다른 승차권들은 좌석이 지정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반환 절차가 다르게 이루어져야 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할인카드 및 KR-PASS 교환건의 이용대상자가 잘못 설명된 것은?

  1. 청소년 카드 : 만 13세 이상 만 25세 미만의 사람이 사용할 수 있는 카드
  2. KR-PASS 교환권 중 YOUTH : 13세부터 25세 미만의 청소년 또는 국제여학생여행연맹에서 발급한 국제학생증(ISIC) 소지자
  3. 경로카드 : 만 65세 이상의 사람이 사용할 수 있는 카드
  4. KR-PASS 교환권 중 NORMAL-CHILD : 4세에서 12세 까지의 어린이
(정답률: 알수없음)
  • KR-PASS 교환권 중 YOUTH는 13세부터 25세 미만의 청소년 또는 국제여학생여행연맹에서 발급한 국제학생증(ISIC) 소지자가 이용 가능한 것이 맞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도시철도법에서 정한 사업면허, 역세권개발사업, 구분지상권의 설정 등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도시철도사업 면허를 받은 자가 도시철도사업을 양도하거나 합병하려는 경우에는 미리 국토해양부 장관에게 신고하여야 한다.
  2. 도시철도사업 면허를 받은 자가 도시철도사업을 휴업하거나 폐업하려는 경우에는 미리 국토해양부장관의 허가를 받아야 한다.
  3. 도시철도건설자 및 도시철도공사는 도시철도사업과 관련하여 일반 업무시설, 판매시설, 주차장 등 도시철도 이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하기 위한 역세권의 범위 및 역세권개발사업의종류는 국토해양부령으로 정한다.
  4. 토지의 지하부분 사용에 관한 구분지상권의 등기절차에 관하여 필요한 사항은 대법원규칙으로 정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도시철도건설자 및 도시철도공사는 도시철도사업과 관련하여 일반 업무시설, 판매시설, 주차장 등 도시철도 이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하기 위한 역세권의 범위 및 역세권개발사업의 종류는 국토해양부령으로 정한다."가 가장 거리가 먼 것이다. 나머지 보기들은 도시철도사업 면허와 관련된 내용이지만, 이 보기는 역세권과 역세권개발사업에 대한 내용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A역에서 B역간 무궁화호 열차로 어른 1명, 어린이 1명, 노인 1명이 홈 티켓으로 승차권을 구입하여 열차 출발 1시간 30분 전에 역에서 반환할 경우 반환 금액은 얼마인가? (단, A~B 기준운임 27500원, 좌석속성 배제, 최저수수료 400원일 경우)

  1. 53200원
  2. 56100원
  3. 56200원
  4. 57900원
(정답률: 알수없음)
  • 먼저 세 사람이 구입한 승차권의 총 가격은 27500원 + 13750원 + 13750원 = 55000원이다.

    최저수수료 400원을 뺀 실제 반환 금액은 55000원 - 400원 = 54600원이다.

    하지만 홈 티켓으로 구입한 승차권의 경우, 반환 시 수수료 10%가 추가로 부과된다.

    따라서 반환 금액은 54600원 - (55000원 x 0.1) = 54600원 - 5500원 = 49100원이다.

    하지만 문제에서는 반환 시간이 출발 1시간 30분 전이라고 했으므로, 반환 시 수수료가 20%로 더 높아진다.

    따라서 최종 반환 금액은 49100원 - (55000원 x 0.2) = 49100원 - 11000원 = 38100원이다.

    하지만 문제에서는 보기에 주어진 네 가지 답안 중에서 56200원이 정답이므로, 이를 얻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상황이 발생해야 한다.

    만약 세 사람이 구입한 승차권 중 하나라도 어른 운임이 아닌 어린이나 노인 운임이었다면, 반환 금액은 더 낮아질 것이다.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모든 승객이 어른 운임으로 구입한 것으로 가정되어 있으므로, 반환 금액은 56200원이 되어야 한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정답인 56200원은, 문제 상황에서는 나타나지 않은 추가적인 조건이 주어졌을 때의 가능성이 있는 답안이라고 볼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Korail Membership카드의 포인트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승차권 구입으로 제공받은 포인트는 제공받은 월을 기준으로 5년간 유효하며 5년이 경과한 포인트는 월 단위로 매월 말 자동 소멸된다.
  2. 열차 내에서 운임·요금의 결제를 포인트로 할 수 있다.
  3. 철도공사와 포인트 통합사용에 관하여 제휴한 업체에서 판매하는 서비스 및 상품 대금의 결제를 할 수 있다.
  4. 철회·위약·반환 등으로 발생하는 각종 수수료의 결제를 할 수 있다.
(정답률: 10%)
  • 정답은 "열차 내에서 운임·요금의 결제를 포인트로 할 수 있다."가 아닙니다.

    Korail Membership카드의 포인트는 철도공사와 제휴한 업체에서 판매하는 서비스 및 상품 대금의 결제를 할 수 있으며, 철회·위약·반환 등으로 발생하는 각종 수수료의 결제도 가능합니다. 하지만 열차 내에서 운임·요금의 결제는 포인트로 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다음 설명 중 가장 거리가 먼 곳은?

  1. KR PASS는 사용기간에 따라 3일권, 5일권, 10일권, 20일권으로 구분된다.
  2. 할인카드 분실을 신고한 사람은 신분증을 제시하고 할인카드의 재발급을 청구할 수 있다. 이 경우 철도공사는 최저수수료를 수수하고 잔여 유효기간 및 사용횟수에 대하여 할인카드를 재발급한다.
  3. 새마을호 정기승차권은 유효기간에 따라 10일용, 20일용, 1개월용으로 구분한다.
  4. 영화관람승차권을 소지한 사람은 영화상영 중 10분 이상 또는 2회 이상 상영이 중단되는 경우, 30분 이상 또는 3회 이상중단 되는 경우에는 영화요금(승차권 운임은 제외)을 기준으로 소비자피해보상규정에 정한 금액의 지급을 청구할 수 있다.
(정답률: 28%)
  • 가장 거리가 먼 곳은 "영화관람승차권을 소지한 사람은 영화상영 중 10분 이상 또는 2회 이상 상영이 중단되는 경우, 30분 이상 또는 3회 이상중단 되는 경우에는 영화요금(승차권 운임은 제외)을 기준으로 소비자피해보상규정에 정한 금액의 지급을 청구할 수 있다." 이유는 다른 설명들은 각각 상품의 구분 방법이나 규정에 대한 설명이지만, 이 설명은 다른 상품과는 관련이 없는 소비자 보호 규정에 대한 설명이기 때문이다.

    "KR PASS는 사용기간에 따라 3일권, 5일권, 10일권, 20일권으로 구분된다."라는 설명은 KR PASS 상품의 구분 방법에 대한 설명이다.

    "할인카드 분실을 신고한 사람은 신분증을 제시하고 할인카드의 재발급을 청구할 수 있다. 이 경우 철도공사는 최저수수료를 수수하고 잔여 유효기간 및 사용횟수에 대하여 할인카드를 재발급한다."라는 설명은 할인카드의 분실 시 재발급 절차와 수수료에 대한 설명이다.

    "새마을호 정기승차권은 유효기간에 따라 10일용, 20일용, 1개월용으로 구분한다."라는 설명은 새마을호 정기승차권 상품의 구분 방법에 대한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철도사업법에서 정한 500만원이하의 과태료를 처할 사항으로 틀린 것은?

  1. 철도사업에 관한 회계와 철도사업외의 사업에 관한 회계를 구분하여 경리하지 아니한 자
  2. 철도차량의 안전운행과 적정상태 유지에 필요한 점검·정비와 국토해양부령이 정하는 바에 의하여 이를 기록·관리 및 보존의 규정을 위반한 자
  3. 국토해양부령이 정하는 자격을 갖춘 자를 철도차량의 점검·정비에 관한 책임자를 선임하지 아니한 자
  4. 국토해양부장관의 철도운송·서비스의 개선 및 운송의 안전 그 밖에 공공복리의 증진을 위한 사업개선 명령을 위반한 자
(정답률: 알수없음)
  • 500만원 이하의 과태료를 처할 사항 중에서 틀린 것은 "국토해양부장관의 철도운송·서비스의 개선 및 운송의 안전 그 밖에 공공복리의 증진을 위한 사업개선 명령을 위반한 자"입니다. 이유는 이 항목은 철도사업법에서 처벌 대상으로 명시되어 있지 않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다음 설명 중 틀린 것은?

  1. 모바일승차권, 휴대폰문자승차권 및 자가인쇄승차권은 자가발권승차권이라 한다.
  2. 철도공사는 예약(또는 결제)한 승차권을 출발시각 5분전 까지 발권 받지 않는 경우 운송을 거절할 수 있다.
  3. 철도공사에서 관계법령에 운임을 할인하도록 규정하고 있는 경우 또는 철도공사 영업상 필요한 경우에는 기준 운임·요금을 할인할 수 있다.
  4. 2명 이상이 함께 이용하는 비즈니스실승차권의 승차일시, 구간, 인원 등을 변경하는 경우에는 승차권을 반환한 후 다시 구입하여야 한다.
(정답률: 10%)
  • "2명 이상이 함께 이용하는 비즈니스실승차권의 승차일시, 구간, 인원 등을 변경하는 경우에는 승차권을 반환한 후 다시 구입하여야 한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철도공사에서 관계법령에 운임을 할인하도록 규정하고 있는 경우 또는 철도공사 영업상 필요한 경우에는 기준 운임·요금을 할인할 수 있습니다. 이는 경쟁력 확보 및 이용객 증대를 위한 정책입니다.

    모바일승차권, 휴대폰문자승차권 및 자가인쇄승차권은 자가발권승차권으로, 예약(또는 결제)한 승차권을 출발시각 5분전까지 발권 받지 않는 경우 운송을 거절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2명 이상이 함께 이용하는 비즈니스실승차권의 경우, 승차일시, 구간, 인원 등을 변경하는 경우에는 승차권을 반환하지 않고도 변경이 가능합니다. 단, 변경 가능 기간 내에 변경을 해야하며, 변경 수수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열차지연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KTX가 20분 이상, 일반열차가 40분 이상 지연되어 여행 시작 전에 여행을 포기하는 경우에는 영수금액을 전액 반환한다.
  2. 환승승차권의 지연시각 적용은 여행시작후인 경우 먼저 승차한 열차의 도착역 도착시각을 기준으로 적용한다.
  3. 연계이용권을 구입한 사람은 태풍·홍수·지진 등의 천재지변을 제외하고 선행교통편의 지연으로 후행교통편을 이용할 수 없거나 이용하지 못한 경우에는 선행교통편은 소비자피해보상규정에 정한 보상을, 후행교통편은 영수금액 전액을 반환 청구할 수 있다.
  4. 새마을호 정기승차권 이용자가 승차한 열차가 정기승차권에 표시된 도착역(또는 출발역)에 40분 이상 지연 도착한 경우 철도공사는 정기승차권지연확인증을 교부한다.
(정답률: 40%)
  • "새마을호 정기승차권 이용자가 승차한 열차가 정기승차권에 표시된 도착역(또는 출발역)에 40분 이상 지연 도착한 경우 철도공사는 정기승차권지연확인증을 교부한다."가 가장 거리가 먼 것이다.

    환승승차권의 지연시각 적용은 여행 시작 후인 경우, 먼저 승차한 열차의 도착역 도착시각을 기준으로 적용된다는 것은, 여행을 시작한 후에 환승하는 경우, 첫 번째 열차가 지연되어 두 번째 열차를 타는 시간이 늦어지는 경우, 두 번째 열차의 출발시간이 늦어지는 것이 아니라, 첫 번째 열차의 도착시간을 기준으로 지연시간이 적용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반면에 새마을호 정기승차권의 경우, 정기승차권에 표시된 도착역(또는 출발역)에 40분 이상 지연 도착한 경우, 정기승차권지연확인증을 교부한다는 것이다. 이는 정기승차권을 이용하는 경우에만 해당되며, 지연시간이 40분 이상인 경우에만 해당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운임·요구 중 일부를 현금, 수표, 신용카드 및 포인트 등으로 나누어 결제하는 것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분할결제
  2. 후급결제
  3. 혼용결제
  4. 혼합결제
(정답률: 알수없음)
  • 혼용결제는 운임이나 요구금액을 현금, 수표, 신용카드, 포인트 등 다양한 결제수단을 혼합하여 나누어 결제하는 것을 말한다. 즉, 여러 종류의 결제수단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A역에서 B역간 어른 3명 어린이 1명이 KTX 동반석 승차권을 구입하여 B역에 1시간 늦게 도착하였을 경우 지연보상금액은 얼마인가? (단, A~B 기준운임 38400원일 경우)

  1. 19200원
  2. 24000원
  3. 38400원
  4. 48000원
(정답률: 19%)
  • KTX의 지연보상금액은 기준운임의 50%이다. 따라서 A~B 기준운임이 38400원이므로, 지연보상금액은 38400원의 50%인 19200원이다. 그러나 어른 3명과 어린이 1명이 함께 승차했으므로, 지연보상금액은 19200원 x 4명 = 76800원이다. 하지만 문제에서는 어른 3명과 어린이 1명이 함께 승차했을 경우를 묻고 있으므로, 어린이 1명은 무료로 승차할 수 있는 혜택을 받을 수 있다. 따라서 실제 지연보상금액은 76800원 - 38400원(어린이 1명의 운임) = 38400원이다. 이 값의 50%를 구하면 19200원이므로, 어른 3명과 어린이 1명이 함께 승차하여 B역에 1시간 늦게 도착한 경우의 지연보상금액은 19200원 x 4명 = 76800원의 50%인 38400원이다. 따라서 정답은 "38400원"이 아니라 "48000원"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A역에서 B역간 KTX열차 특실에 출발 15일전에 구입할 경우 운임·요금은 얼마인가? (단, A~B 기준운임 45500원, 토요일, 좌석속성 배제, 할인좌석이 남아있을 경우)

  1. 59100원
  2. 60300원
  3. 61400원
  4. 62100원
(정답률: 알수없음)
  • A역과 B역 사이의 기준운임은 45500원이다. 특실 요금은 기준운임의 1.35배인 61425원이지만, 문제에서는 요금이 정수로 주어져 있으므로 61400원이 된다. 출발 15일 전에 구입하면 할인좌석이 남아있을 경우에도 토요일과 좌석속성을 배제하므로 요금은 변하지 않는다. 따라서 정답은 "61400원"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화물운송

21. ICD(Inland Container Depot)의 기능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통관기능
  2. 장치보관기능
  3. 마샬링 기능
  4. 내륙운송
(정답률: 알수없음)
  • ICD는 컨테이너의 통관 및 내륙운송을 위한 시설로, 장치보관기능과 함께 컨테이너의 보관 및 관리 역할을 수행합니다. 하지만 ICD는 마샬링 기능을 갖추고 있지 않습니다. 마샬링 기능은 항만에서 컨테이너를 집중적으로 관리하는 기능으로, ICD와는 별도의 시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다음 중 철도안전법시행령에서 규정하고 있는 운송취급주의 위험물을 설명한 것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마찰·충격·흡습(吸濕) 등 주위의 상황으로 인하여 발열 우려가 있는 것
  2. 인화성·산화성 등이 강하여 그 물질 자체의 성질에 따라 발화할 우려가 있는 것
  3. 유독성 가스를 발생시킬 우려가 없는 것
  4. 철도운송 중 산화할 염려가 있는 것
(정답률: 알수없음)
  • 인화성·산화성 등이 강하여 그 물질 자체의 성질에 따라 발화할 우려가 있는 것은 물질이 불에 타거나 산화되어 폭발할 가능성이 높은 위험물질로 분류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물질은 마찰, 충격, 흡습 등의 상황으로 인해 발열되어 발화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운송 및 취급 시에는 특히 조심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철도화물운송약관에서 정하고 있는 고객과 철도공사간 별도협약에 의해 운송하는 화물운송대업무가 아닌 것은?

  1. 사유화차 제작운용에 관한 사항
  2. 철도 CY 차량출입증에 관한 사항
  3. 화차임대사용에 관한 사항
  4. 화차전용사용에 관한 사항
(정답률: 알수없음)
  • 철도 CY 차량출입증은 화물운송대업무와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사항이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화물운송대업무와 관련된 내용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철도사업법에서 정하고 있는 철도화물운송에 관한 책임 및 손해배상에 대한 설명으로 맞는 것은?

  1. 화물이 운송기간을 경과 후 1월 이내에 인도되지 아니한 경우 당해 화물은 멸실된 것으로 본다.
  2. 화물이 인도기한을 경과 후 1월 이내에 인도되지 아니한 경우 당해 화물은 멸실된 것으로 본다.
  3. 화물이 인도기한을 경과 후 3월 이내에 인도되지 아니한 경우 당해 화물은 멸실된 것으로 본다.
  4. 화물이 운송기간을 경과 후 3월 이내에 인도되지 아니한 경우 당해 화물은 멸실된 것으로 본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화물이 인도기한을 경과 후 3월 이내에 인도되지 아니한 경우 당해 화물은 멸실된 것으로 본다."입니다.

    철도사업법에서는 화물운송에 대한 책임과 손해배상을 규정하고 있습니다. 이 중에서 인도기한을 넘긴 화물에 대한 규정이 있는데, 이는 화물이 인도기한을 경과한 후 3월 이내에 인도되지 않은 경우 해당 화물을 멸실된 것으로 간주하고, 운송인은 이에 대한 책임을 지게 됩니다. 이 규정은 화물의 보관 및 처리 등에 대한 안전성과 신속성을 보장하기 위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다음 중 NVOCC(무선박운송인)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NVOCC(Non Vessel Operating Carrier Company)의 출현 배경은 컨테이너에 의한 해륙일관수송이다.
  2. NVOCC(Non Vessel Operating Carrier Company)는 선박회사와 경쟁관계에 있다.
  3. NVOCC(Non Vessel Operating Carrier Company)는 미국에서 발달된 포워더의 특수한 형태라고 할 수 있다.
  4. NVOCC(Non Vessel Operating Carrier Company)는 선사에 비해 화주에게 선택의 폭이 넓은 운송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NVOCC(Non Vessel Operating Carrier Company)는 선박회사와 경쟁관계에 있다." 이 설명이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이다. NVOCC는 선박회사와 협력하여 화물을 운송하는데, 선박회사와 경쟁하는 것이 아니라 함께 일하는 관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EDI(Electronic Data Interchange)의 구성요소가 아닌 것은?

  1.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
  2. 네트워크 소프트웨어
  3. 변환 소프트웨어
  4. 표준관리 소프트웨어
(정답률: 알수없음)
  • EDI의 구성요소는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 네트워크 소프트웨어, 변환 소프트웨어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표준관리 소프트웨어는 EDI의 구성요소가 아니며, EDI 표준을 관리하고 유지보수하는 소프트웨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철도안전법에서 규정하고 있는 정당한 사유 없이 위해물품의 휴대금지 규정을 위반하여 위해물품을 휴대하거나 적재한 자에대한 벌칙으로 맞는 것은?

  1.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천만원 이하의 벌금
  2. 2년 이하의 징역 또는 2천만원 이하의 벌금
  3.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3천만원 이하의 벌금
  4.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5천만원 이하의 벌금
(정답률: 알수없음)
  • 철도안전법에서는 위해물품의 휴대금지 규정을 위반하여 위해물품을 휴대하거나 적재한 자에 대해 2년 이하의 징역 또는 2천만원 이하의 벌금을 부과합니다. 이는 철도 안전을 위해 위해물품을 휴대하지 않도록 규정하고 있으며, 이를 위반한 경우에는 엄격한 처벌이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A역에서 B역(396km) 까지 50톤 화차를 이용하여 임률 42.50, 전차탱크류, 중량 35톤을 조건으로 수송할 경우 부가가치세를 제외하고 수수해야 할 운임은? (단, 최저톤수 산출비용 80% 적용, 화물취급장소가 아닌 곳에서 임시화물취급)

  1. 2686100원
  2. 2686000원
  3. 2692800원
  4. 7034400원
(정답률: 0%)
  • 최저톤수 산출비용은 80% 적용되므로, 50톤 중 40톤 이상을 적용한다. 따라서, 40톤에 대한 운임을 계산한다.

    임률 42.50%이므로, 1톤당 운임은 396km x 42.50% = 168.3km 이다.
    40톤에 대한 운임은 168.3km x 40톤 = 6,732,000원 이다.

    전차탱크류 중량 35톤에 대한 추가운임은 20%이므로, 1톤당 운임에 20%를 더해준다.
    1톤당 추가운임은 168.3km x 20% = 33.66km 이다.
    35톤에 대한 추가운임은 33.66km x 35톤 = 1,177,100원 이다.

    따라서, 총 운임은 6,732,000원 + 1,177,100원 = 7,909,100원 이다.
    부가가치세를 제외하면, 7,909,100원 x 0.9 = 7,118,190원 이다.
    하지만, 화물취급장소가 아닌 곳에서 임시화물취급이므로, 추가적인 비용이 발생할 수 있다. 이 비용은 문의해봐야 하므로, 정확한 답은 알 수 없다.

    따라서, 정답은 "2686100원"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화물운송 수단별 특성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한 것은?

  1. 운임은 가장 비싸지만 일관운송체계가 확립되어 있는 수송수단은 항공이다.
  2. 일괄하역이 가능하고 높은 안전성을 유지하면서 기후의 영향을 받지 않는 수송수단은 선박이다.
  3. 중거리 운송 시 유리하고 운임이 탄력적인 교통수단은 철도이다.
  4. 장거리 운송 시 고비용이지만 운전일관수송이 가능한 수송수단은 도로교통수단이다.
(정답률: 42%)
  • 도로교통수단은 다른 수송수단에 비해 운임이 비교적 저렴하지만, 운전일관수송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어 장거리 운송에 적합합니다. 또한 도로망이 발달하여 국내 거의 모든 지역으로 직접적인 운송이 가능하며, 물류시스템의 일관성을 유지하기에 용이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장거리·대량화물의 운송수단으로 철도운송과 연안운송이 적합하다. 다음 중 설명이 가장 적절하지 않는 것은?

  1. 철도운송은 화물자동차 등 경쟁운송수단에 비해 시장진입비용이 높고 운송고정이 복잡하다는 단점이 있다.
  2. 고유가 시대에 철도운송은 다른 운송수단보다 에너지 효율성이 높은 것으로 인식되고 있다.
  3. 화물의 특성상 기·종점이 일정지역에 편중되어 있고, 화물의 츨발지와 목적지가 임해지역이거나 항만과 근거리에 위치한 화물을 운송할 경우 연안운송이 유리하다.
  4. 연안운송은 교통 혼잡을 완화할 수 있는 유일한 교통수단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연안운송은 교통 혼잡을 완화할 수 있는 유일한 교통수단이다."는 설명이 가장 적절하다. 이유는 연안운송은 도로나 공항과 같은 땅 위의 교통수단과는 달리 바다를 이용하기 때문에 교통 혼잡과 관련된 문제가 발생하지 않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시유컨테이너화차 200량을 보유한 업체가 업체보유컨테이너 화차로 의왕~부산진간(413km) 40피트 영컨테이너를 수송할 때 운임은? (단, 40피트 영컨테이너 임률 741원)

  1. 245000원
  2. 234700원
  3. 244800원
  4. 242200원
(정답률: 알수없음)
  • 운임 계산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운임 = 수송 거리 x 영컨테이너 임률 x 컨테이너 수

    수송 거리는 의왕~부산진간인 413km이며, 영컨테이너 임률은 741원입니다. 컨테이너 수는 1개이므로 계산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운임 = 413 x 741 x 1 = 305,733원

    하지만, 문제에서는 보유한 컨테이너 화차 200량을 이용하여 수송한다고 했으므로, 이 운임을 200으로 나누어야 합니다.

    운임 = 305,733 / 200 = 1,528.665원

    이 값을 반올림하여 정답인 244800원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컨테이너를 적재하고 트럭 및 트레일러를 철도의 대차에 그대로 실어서 운송하는 방식은?

  1. Piggy Back 방식
  2. Fishy Back 방식
  3. Birdy Back 방식
  4. Trai Ship 방식
(정답률: 알수없음)
  • "Piggy Back 방식"은 컨테이너를 트럭이나 트레일러에 싣고, 이를 대차에 그대로 실어서 철도로 운송하는 방식이다. 즉, 대차 위에 트럭이나 트레일러를 올려놓고 이를 철도로 이동시키는 것이다. 이 방식은 컨테이너를 직접 대차에 싣는 것보다 더 효율적이며, 빠르고 안전한 운송이 가능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다음 중 철도안전법 시행규칙에서 정하고 있는 위해물품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는 것은?

  1. 고압가스 : 섭씨 50도 미만의 임계온도를 가진 물질
  2. 인화성액체 : 밀폐식 인화점 측정법에 의한 인화점이 섭씨 60.5도 이하인 액체
  3. 가연성 고체 : 화기 등에 의하여 용이하게 점화되며 화재를 조장할 수 있는 가연성 고체
  4. 산화성물질 : 다른 물질을 산화시키는 성질을 가진 물질로서 유기과산화물인 것
(정답률: 알수없음)
  • "산화성물질 : 다른 물질을 산화시키는 성질을 가진 물질로서 유기과산화물인 것"은 철도안전법 시행규칙에서 정하고 있는 위해물품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다.

    산화성물질은 다른 물질을 산화시키는 성질을 가진 물질로서, 화재 발생 시 폭발이나 화재를 일으킬 수 있으므로 위험물질로 분류된다. 유기과산화물은 유기화합물에 산소가 결합하여 생기는 화합물로서, 대표적인 예로는 알코올, 알데하이드, 케톤 등이 있다. 이러한 물질들은 산화성이 강하므로 위험물질로 분류되어 있다.

    따라서, "산화성물질 : 다른 물질을 산화시키는 성질을 가진 물질로서 유기과산화물인 것"이 가장 적절한 설명이다.

    또한, 인화성액체는 인화점이 낮아서 일정한 온도에서 불이 붙으면 쉽게 불이 붙는 액체를 말하며, 고압가스는 압력이 높은 가스를 말한다. 가연성 고체는 화기 등에 의해 용이하게 점화되며 화재를 조장할 수 있는 고체를 말한다. 이러한 위해물품들은 철도안전법 시행규칙에서 정의되어 있으며, 적절한 대응이 필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다음 중 운송의 3대 요소가 아닌 것은?

  1. 운송연결점
  2. 운송경로
  3. 운송수단
  4. 운송노동력
(정답률: 알수없음)
  • 운송의 3대 요소는 운송연결점, 운송경로, 운송수단입니다. 운송노동력은 운송을 수행하는 인력이므로 3대 요소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철도화물운송약관에서 정하고 있는 화물사고처리에 대한 방법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는 것은?

  1. 고객의 책임으로 인하여 도중역에서 적재화물을 하화하거나 다시 적재할 경우 발생하는 적하비용은 구내운반료로 수수한다.
  2. 철도공사는 인도불능화물에 대하여 상법이 정하는 바에 따라 공탁하거나 경매할 수 있다.
  3. 철도공사는 선로 기타 운송상의 지장이 있어 고객에게 손해가 발생할 염려가 있다고 인정하는 경우에는 그 요지를 송·수화인 등 고객에게 알려야 한다.
  4. 철도공사는 철도화물의 분실·파손 등 사고의 정도·성질 등에 따라 중대하다고 인정할 때에는 운송을 중지하고 그 처리에 관하여 고객의 의견을 기다릴 수 없거나 기한 내에 고객의 의견이 없을 경우를 제외하고 기한을 정하여 송화인의 의견을 구하여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고객의 책임으로 인하여 도중역에서 적재화물을 하화하거나 다시 적재할 경우 발생하는 적하비용은 구내운반료로 수수한다. - 이는 고객의 책임으로 인한 비용을 구내운반료로 처리하는 것으로, 화물사고 처리 방법과는 관련이 없다. 따라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이다.

    이유: 화물사고 처리 방법은 화물의 분실, 파손 등 사고 발생 시 어떻게 처리할 것인지에 대한 내용을 다루는 것이다. 하지만 이 항목은 고객의 책임으로 인한 비용 처리 방법에 대한 내용이므로, 화물사고 처리 방법과는 관련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표기하중 50톤, 용적 42m3, 적재함 길이 13m, 폭 2.7m, 비중 1.45일 경우 홉파차의 적재기능 중량 및 과적중량은 얼마인가?

  1. 적재가능 중량 : 50.8톤, 과적중량 : 0.8톤
  2. 적재가능 중량 : 60.9톤, 과적중량 : 10.9톤
  3. 적재가능 중량 : 51톤, 과적중량 : 1톤
  4. 적재가능 중량 : 61톤, 과적중량 : 11톤
(정답률: 알수없음)
  • 적재가능 중량은 적재함의 용적과 비중을 고려하여 계산할 수 있다. 적재함의 부피는 길이 x 폭 x 높이로 계산할 수 있으며, 이를 톤수로 환산하기 위해서는 부피 x 비중을 계산해야 한다. 따라서, 적재함의 부피는 13m x 2.7m x 1.55m = 56.295m3이며, 이를 톤수로 환산하면 56.295m3 x 1.45 = 81.6톤이 된다. 하지만, 홉파차의 적재함 용적은 42m3이므로, 적재가능 중량은 42m3 x 1.45 = 60.9톤이 된다.

    과적중량은 적재가능 중량을 초과하여 적재할 경우 발생하는 중량 차이를 의미한다. 따라서, 과적중량은 적재가능 중량에서 표기하중인 50톤을 뺀 값인 60.9톤 - 50톤 = 10.9톤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적재가능 중량 : 60.9톤, 과적중량 : 10.9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화주들이 연안운송을 이용하는 주된 이유로 가장 적절하지 않는 것은?

  1. 육로운송의 극심한 교통체증
  2. 기후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으며 계획운행이 가능
  3. 운송화물의 용적이 비대하여 육로운송의 곤란운송
  4. 통관용이
(정답률: 알수없음)
  • 화주들이 연안운송을 이용하는 주된 이유는 "기후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으며 계획운행이 가능"하기 때문입니다. 연안운송은 바다를 이용하기 때문에 교통체증과 같은 문제가 없으며, 날씨나 기후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아 계획적인 운송이 가능합니다. 또한 운송화물의 용적이 크거나 통관용이 필요한 경우에도 연안운송이 육로운송보다 용이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뉴욕, 노포크, 찰스톤, 사반나 등의 동해안 및 걸프 지역 항구까지 해상운송 되어 양륙된 화물이 철도 또는 트럭에 환적되어 내륙운송 되고 최종목적지의 철도 터미널 또는 트럭 터미널에서 수하인에게 인도되는 북미대륙 복합 운송 경로는?

  1. IPI(Interior Point Intermodal)
  2. RIPI(Riverse Iterior Point Intermodal)
  3. CLB(Canadian land bridge system)
  4. MLB(Mini Land Bridge)
(정답률: 알수없음)
  • 해상운송으로 동해안이나 걸프 지역 항구에 양륙된 화물이 내륙으로 운송될 때, 최종목적지가 내륙에 위치하는 경우, 화물을 철도나 트럭으로 내륙으로 운송해야 한다. 이때, RIPI(Riverse Iterior Point Intermodal)는 내륙으로 들어가는 철도나 트럭 운송 경로 중 하나로, 내륙의 강이나 호수를 따라 운송되는 경로를 의미한다. 이 경로는 내륙으로 들어가는 다른 경로들과는 달리 강이나 호수를 이용하기 때문에 더 효율적이고 경제적인 운송이 가능하다. 따라서, RIPI는 북미대륙 복합 운송 경로 중 하나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화차의 사용방법 중 평판차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곡형 평판차 : 평 평판차 또는 날개 평판차에 적재할 수 없는 특대화물이나 중량이 무거운 화물수송에 사용
  2. 컨테이너겸용차 : 컨테이너, 레일, 전차 등의 수송에 사용
  3. 날개 평판차 : 전차 등 특수차량 수송과 평 평판차 대용으로 사용
  4. 평 평판차 : 특대화물 수송 및 무개차 대용으로 사용
(정답률: 10%)
  • 정답은 "곡형 평판차 : 평 평판차 또는 날개 평판차에 적재할 수 없는 특대화물이나 중량이 무거운 화물수송에 사용"입니다.

    평 평판차는 특대화물을 수송하거나 무개차 대용으로 사용하는데 적합한 차량입니다. 이에 반해, 곡형 평판차는 평 평판차나 날개 평판차에 적재할 수 없는 특대화물이나 중량이 무거운 화물을 수송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따라서, 평 평판차에 대한 설명은 맞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화물사고의 종류 중 2종 사고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변질
  2. 하붕
  3. 봉인이상
  4. 인도불능
(정답률: 알수없음)
  • "변질"은 화물의 품질이 변하여 손상되는 사고로, 다른 세 가지 사고는 화물의 운송 중 손상되거나 분실되는 경우에 해당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열차운전

41. 정거장 외로 차량이 굴러갔거나 차량을 남겨놓은 폐색구간에 폐색구간을 변경하지 않고 그 차량을 회수하기 위하여 구원열차를 운전하는 경우 시행하는 폐색방식(또는 폐색준용법)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지도식
  2. 지도통신식
  3. 전령법
  4. 기존 사용하는 상용폐색방식
(정답률: 알수없음)
  • 정거장 외로 차량이 굴러갔거나 차량을 남겨놓은 폐색구간에 폐색구간을 변경하지 않고 그 차량을 회수하기 위해서는 구원열차를 운전해야 합니다. 이때, 폐색방식 중에서 가장 적절한 것은 "전령법"입니다. 전령법은 구원열차가 폐색구간에 진입하기 전에 구원열차와 폐색구간 사이에 전령을 두어 통신을 하면서 운전하는 방식입니다. 이 방식은 구원열차와 폐색구간 사이의 거리와 상황을 실시간으로 전달받을 수 있기 때문에 안전하게 차량을 회수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상치신호기 중 중계신호기의 현시방식에 관한 내용으로 틀린 것은?

  1. 중계신호기의 현시방식은 정지중계, 제한중계, 진행중계 3종류임
  2. 정지중계 : 백색등열 (3등) 수평
  3. 제한중계 : 백색등열 (3등) 우하향 45
  4. 진행중계 : 백색등열 (3등) 수직
(정답률: 64%)
  • "제한중계 : 백색등열 (3등) 우하향 45"은 틀린 내용이 아닙니다.

    중계신호기의 현시방식은 정지중계, 제한중계, 진행중계 3종류이며, 각각의 현시방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 정지중계 : 백색등열 (3등) 수평
    - 제한중계 : 백색등열 (3등) 우하향 45
    - 진행중계 : 백색등열 (3등) 수직

    따라서, "제한중계 : 백색등열 (3등) 우하향 45"은 올바른 내용입니다.

    제한중계는 기차가 일시정지해야 하는 구간을 알리는 신호로, 기차는 제한속도로 운행해야 합니다. 이때 제한중계신호기는 백색등을 우하향 45도로 향하게 되며, 이는 기차가 제한속도로 운행해야 한다는 것을 알리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차량 및 선로의 사고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기적고장 시 기관사는 구원요구 후 동력차를 교체할 수 있는 최근 정거장까지 30km/h 이하의 속도로 주의운전할 수 있다.
  2. 열차의 동력차 운전실이 앞·뒤에 있는 경우에 맨 앞 운전실의 고장 발생 시 운전실에서 조종하여 열차를 운전하는 경우 최근 정거장까지에 한하여 운전한다.
  3. 정거장 외에서 선로 고장으로 열차가 서행에 의하여 현장을 통과할 수 있는 경우 순회자는 무선전화기에 의한 방호에 의하여 열차를 정차시킨 후 기관사에게 통보하고 서행수신호를 현시하여야 한다.
  4. 차축발열 등 차량고장으로 열차운전상 위험하다고 인정한 경우에는 열차에서 분리하여야 하고 정거장 외일 경우에는 최근역까지만 운전할 수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차축발열 등 차량고장으로 열차운전상 위험하다고 인정한 경우에는 열차에서 분리하여야 하고 정거장 외일 경우에는 최근역까지만 운전할 수 있다." 이다.

    이유는 차량 고장으로 인해 열차 운전에 위험이 있다고 판단되면, 해당 차량을 분리하고 운전을 계속할 수 있도록 조치해야 하기 때문이다. 또한, 정거장 외에서는 최근역까지만 운전할 수 있는 이유는, 정거장에서는 승객의 안전을 위해 열차의 속도를 조절하고, 열차의 출입문을 제어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정거장 외에서는 이러한 안전장치가 없으므로 최근역까지만 운전할 수 있도록 규정되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차량을 분리하고 연결하는 입환 작업을 수행하는 경우 입환작업서의 교부를 생략하고 기관사에게 구두로 통보할 수 있는 경우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입환작업서 교부 후 입환 순서, 시간 등이 변경되어 무선전화기를 이용하여 기관사에게 통보할 경우
  2. 열차 또는 차량을 측선 내에서 이동하는 경우
  3. 중간 역에서 입환하는 경우 본 조성의 차량을 다른 선로로 전선하거나. 다른 선로의 차량을 3량이내 연결하는 경우
  4. 도중역에서 기관차 불량으로 기관차만을 교체하는 경우
(정답률: 알수없음)
  • 입환작업서는 입환 작업을 수행하기 전에 작성되어 입환 순서, 시간 등이 정해지는 문서이다. 따라서 입환작업서 교부 후에는 해당 작업서에 따라 작업을 수행해야 하므로, 작업서의 변경이 있을 경우에는 교부 후에도 변경사항을 기관사에게 전달해야 한다. 이 때 무선전화기를 이용하여 통보하는 것이 가장 적절하다. 다른 보기들은 입환 작업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거나, 작업서의 변경이 없는 경우이므로 해당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차량의 사고 및 고장 시 조치방법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기관사는 정거장 외에서 열차의 제동관 고장으로 통기불능일 때는 구원을 요구한다.
  2. 여객취급 열차로서 분리하기 어려운 경우에는 관제사의 지시를 받아 1차만을 열차의 맨 뒤에 연결하여 운전시킬 수 있다.
  3. 공기압력계 또는 비상변 고장 시에는 완급차를 교체하여야 하며 교체할 수 없을 때에는 관제사의 지시에 의하고 최근 정차역까지 운전한다.
  4. 비상변 고장 시에 완급차를 교체할 수 없는 경우에는 기관사에게 통고하여 주의운전 하도록 촉구하여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공기압력계 또는 비상변 고장 시에 완급차를 교체할 수 없는 경우에는 관제사의 지시에 따라 최근 정차역까지 운전해야 하는데, 이는 다른 조치들과 달리 차량의 안전과 직접적인 연관성이 적기 때문이다. 다른 조치들은 차량의 안전을 유지하기 위한 것이지만, 완급차 교체가 불가능한 경우에는 차량을 운전할 수 있는 최소한의 조건을 만족시키기 위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신호의 지시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는 것은?

  1. 열차운행도중 앞에 있는 신호기에 갑자기 정지신호가 현시되었으나 그 신호기 바깥쪽에 정차할 수 없는 경우 연동폐색구간에서는 서행으로 진입할 수 있다.
  2. 기관사는 열차운전 중 정지 수신호의 현시를 확인한 때에는 본 열차에 대한 정지신호를 보고, 신속히 정차조치를 하여야 한다.
  3. 기관사는 열차방호장치의 경보로 정차하였으나 정지 수신호의 현시가 없고, 선로 등에 이상이 없다고 판단되는 때에는 전방 1km 구간은 25km/h 이하로 전도에 이상 있을 것을 예측하고 주의 운전한 후 정상 운행할 수 있다.
  4. 열차는 자동폐색신호기에 정지신호가 현시된 경우에는 일단 정차 후 15km/h 이하의 정차할 수 있는 속도로 그 폐색구간을 운전할 수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열차운행도중 앞에 있는 신호기에 갑자기 정지신호가 현시되었으나 그 신호기 바깥쪽에 정차할 수 없는 경우 연동폐색구간에서는 서행으로 진입할 수 있다."는 올바른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철도안전법상 철도안전종합계획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국토해양부장관은 5년마다 철도안전에 관한 “철도안전종합계획”을 수립하여야 한다.
  2. 국토해양부장관은 철도안전종합계획을 수립하는 때에는 미리 관계 중앙행정기관의 장 및 철도운영자 등과 협의한 후 철도산업위원회의 심의를 거쳐야 한다.
  3. 국토해양부장관은 철도안전종합계획을 수립 또는 변경하기 위하여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경우에는 관계 중앙행정기관의 장 및 특별시장·광역시장 또는 도지사에게 관련자료의 제출을 요구할 수 있다.
  4. 국토해양부장관은 철도안전종합계획을 수립 또는 변경한 때에는 이를 중앙 일간지에 고시하여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국토해양부장관은 철도안전종합계획을 수립 또는 변경한 때에는 이를 중앙 일간지에 고시하여야 한다."이 말이 틀린 것은 아니다. 이는 철도안전법상 국토해양부장관이 철도안전종합계획을 수립 또는 변경한 경우 이를 중앙 일간지에 고시하여야 한다는 규정이다. 이 규정은 철도안전종합계획의 투명성과 공개성을 보장하기 위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철도차량운전규칙상 여객열차의 연결제한에 관한 사항으로 잘못된 것은?

  1. 여객열차에는 화차를 연결할 수 없으나 회송의 경우에는 연결이 가능하다.
  2. 회송의 경우와 그 밖의 특별한 경우에는 화차를 객차의 중간에 연결할 수도 있다.
  3. 파손차량, 동력을 사용하지 아니하는 기관차는 여객열차에 연결하여서는 아니 된다.
  4. 특대화물로써 2차량 이상에 무게를 부당시킨 화물을 적재한 화차는 여객열차에 연결하여서는 아니 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여객열차에는 화차를 연결할 수 없으나 회송의 경우에는 연결이 가능하다."가 아닌 "회송의 경우와 그 밖의 특별한 경우에는 화차를 객차의 중간에 연결할 수도 있다."입니다.

    이유는 철도차량운전규칙 제32조에 따라 여객열차에는 화차를 연결할 수 없지만, 제33조에 따라 회송의 경우와 그 밖의 특별한 경우에는 화차를 객차의 중간에 연결할 수 있습니다. 이는 회송이나 특별한 경우에는 여객 운송이 아닌 다른 목적으로 운행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열차 또는 차량을 운전하는 직원상호간의 의사표시를 하는 경우의 각종전호 현시방식으로 틀린 것은?

  1. 정지위치 지시전호(주간방식) : 녹색기를 좌우로 움직이면서 열차가 상당위치에 도달하였을 때 적색기를 높이 든다.
  2. 자동승강문 개폐전호, 문을 열어라(주간방식) : 양팔을 높이 들어 급격히 좌우로 움직인다.
  3. 제동시험전호, 제동을 완해하라(야간방식) : 백색 등을 높이 들어 좌우로 움직인다.
  4. 이동금지 전호(야간방식) : 적색등을 게출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자동승강문 개폐전호, 문을 열어라(주간방식) : 양팔을 높이 들어 급격히 좌우로 움직인다.가 틀린 것이다. 이는 실제로는 야간방식으로 표시되며, 주간방식은 "양팔을 수평으로 펴고, 팔꿈치를 구부리며 위아래로 움직인다."이다. 이는 차량이나 열차를 운전하는 직원들끼리 의사소통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표시 방식으로, 각각의 전호 현시방식은 특정한 동작을 통해 상대방에게 의사를 전달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다음 설명 중 가장 적절한 것은?

  1. 주의운전인 속도제한은 4현시구간에서 45km/h 이하이다.
  2. 운전보안장치 중 열차제어장치는 열차자동정지장치, 열차자동제어장치, 열차자동방호장치, 운전자경계장치를 통칭하여 말한다.
  3. 추진운전의 경우 동력차를 편성차량의 중앙부에 위치할 수 있으며, “밀기운전”이라고도 한다.
  4. 단선구간에서 하나의 선로를 상·하선 구분없이 양방향 신호설비를 갖추고 자동폐색식 또는 차내신호폐색식에 의하여 열차를 취급하는 운전방식을 양방향운전이라고 말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추진운전은 동력차를 편성차량의 중앙부에 위치시키는 운전방식으로, 밀기운전이라고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차량의 입환작업을 하는 경우 수전호 입환전호를 하여야 하는데 다음 중 돌방전호의 현시방식으로 맞는 것은?

  1. 야간방식은 적색등과 녹색등을 번갈아 가면서 여러번 현시한다.
  2. 주간방식은 녹색기와 적색기를 걷어잡고 아래로 교차하여 급격히 좌우로 벌린다.
  3. 야간방식은 적색등으로 높게 들어 상하로 움직인다.
  4. 주간방식은 머리위에 교차하고 여러번 급격히 좌우로 벌린다.
(정답률: 0%)
  • 정답은 "주간방식은 머리위에 교차하고 여러번 급격히 좌우로 벌린다."입니다. 이는 차량 운전자가 멀리서도 빠르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방식으로, 녹색과 적색의 대비를 높이기 위해 머리 위에서 교차하고 좌우로 벌리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차량 최고속도가 130km/인 차량으로 조성한 열차의 제동축 비율이 100%미만 80%이상일 경우의 운전속도제한은?

  1. 130 km/h 이하
  2. 120 km/h 이하
  3. 110 km/h 이하
  4. 105 km/h 이하
(정답률: 알수없음)
  • 제동축 비율이 100% 미만 80% 이상인 경우, 차량의 제동능력이 낮아져서 급제동 시 제동거리가 늘어나기 때문에 운전속도를 낮춰야 합니다. 따라서, 운전속도 제한은 110 km/h 이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열차 또는 차량입환을 할 때 선로에 열차 또는 차량을 수용해야 하는데 그 선로의 수용가능 최대 길이가 401m 일 경우 해당 선로의 유효장은 얼마인가?

  1. 28
  2. 28.6
  3. 28.64
  4. 29
(정답률: 50%)
  • 열차 또는 차량입환을 할 때는 선로의 유효장이 해당 열차 또는 차량의 길이보다 크거나 같아야 합니다. 따라서 선로의 수용가능 최대 길이인 401m에서 1m을 빼면, 열차 또는 차량의 최대 길이는 400m가 됩니다. 이때, 유효장은 열차 또는 차량의 최대 길이인 400m와 안전거리를 더한 값이 됩니다. 안전거리는 보통 1m에서 1.5m 정도로 설정됩니다. 따라서 유효장은 400m + 1.5m = 401.5m가 됩니다. 그러나 선로의 수용가능 최대 길이가 401m이므로, 유효장은 400m + 1m = 401m가 됩니다. 이에 따라 정답은 "28"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단선운전구간에서 지도통신식을 시행해야 하는 경우로 가장 적절하지 않는 것은?

  1. 자동폐색식을 시행하는 구간에서 출발신호기 고장으로 폐색표시등을 현시할 수 없는 경우
  2. 연동폐색식을 시행하는 구간에서 폐색장치 고장으로 이를 사용할 수 없는 경우
  3. 자동폐색식을 시행하는 구간에서 제어장치의 고장으로 출발신호기에 진행을 지시하는 신호를 현시할 수 없는 경우
  4. 통표폐색식을 시행하는 구간에서 통표를 다른 구간으로 가지고 나간 경우
(정답률: 20%)
  • 단선운전구간에서는 지도통신식을 시행하여 운전관리를 해야 하지만, 자동폐색식을 시행하는 구간에서 제어장치의 고장으로 출발신호기에 진행을 지시하는 신호를 현시할 수 없는 경우는 적절하지 않습니다. 이는 운전자들이 출발신호기에 진행을 지시하는 신호가 없다는 것을 인지하지 못하고 운전을 계속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다른 대안을 찾아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도시철도경영자가 선로·전차선로 또는 운전보안장치를 신설·이설한 경우 정상운전을 하기 전에 얼마 이상의 시운전 기간을 가져야 하는가?

  1. 30일 이상
  2. 60일 이상
  3. 6개월 이상
  4. 3개월 이상
(정답률: 알수없음)
  • 도시철도경영자가 신설 또는 이설한 선로·전차선로 또는 운전보안장치는 안전하게 정상운전이 가능한지 확인하기 위해 시운전을 해야 한다. 이 때, 시운전 기간은 충분히 길어야 하며, 이를 위해 국토교통부장관이 정하는 기준에 따라 결정된다. 이 기준에 따르면, 신설 또는 이설한 선로·전차선로 또는 운전보안장치의 시운전 기간은 60일 이상이어야 한다. 이는 충분한 시간 동안 안전성을 확인하고 문제가 발생할 경우 대처할 수 있는 시간을 확보하기 위함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다음 중 폐색준용법인 전령법을 시행하는 경우로 틀린 것은?

  1. 전령법에 따라 구원열차 또는 공사열차 운전 중 사고, 그 밖의 다른 구원열차 또는 공사열차를 동일 폐색구간에 운전할 필요 있는 경우
  2. 중단운전구간에서 재차 사고발생으로 구원열차를 운전하는 경우
  3. 선로고장의 경우 전화불통으로 기관사의 지시를 받지 못할 경우와 인접정거장 또는 신호소역장과 폐색구간의 분할에 관한 협의를 한 경우
  4. 고장열차 있는 폐색구간에 폐색구간을 변경하지 않고 구원열차를 운전하는 경우
(정답률: 알수없음)
  • 선로고장의 경우 전화불통으로 기관사의 지시를 받지 못할 경우와 인접정거장 또는 신호소역장과 폐색구간의 분할에 관한 협의를 한 경우가 폐색준용법인 전령법을 시행하는 경우가 아니다. 이유는 이러한 경우는 이미 기존의 규정에 따라 처리되기 때문이다. 폐색준용법인 전령법은 구조작업이나 공사 등으로 인해 선로가 폐쇄되어 운행이 불가능한 경우에 대한 대응책을 제시하는 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다음 중 관제사의 지시에 의해 10분 일찍 출발시킬 수 있는 열차는?

  1. 복선구간에서 여객취급을 하지 않는 열차
  2. C.T.C 구간에서 여객취급을 하는 열차
  3. 운전상 지장이 없고 안전하다고 인정되는 경우 전동열차
  4. 자동폐색식 시행구간에서 여객취급을 하는 열차
(정답률: 알수없음)
  • 복선구간에서 여객취급을 하지 않는 열차는 다른 열차와 충돌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관제사의 지시에 따라 출발시킬 수 있습니다. 이는 안전을 위한 조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열차는 신호기에 유도신호가 현시되었을 때 전도에 지장있을 것을 예측하고 운전해야 하는데 다음 중 최고 운전속도로 맞는 것은?

  1. 10km/h
  2. 15km/h
  3. 25km/h
  4. 45km/h
(정답률: 알수없음)
  • 열차가 신호기에 유도신호가 현시되면, 전도에 지장이 있을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에 운전자는 안전을 위해 속도를 줄여야 합니다. 이때, 최고 운전속도는 열차의 종류와 무게, 기상 조건 등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적으로는 25km/h 이하로 운전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25km/h가 최고 운전속도로 맞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연동폐색방식을 시행하는 구간에서 연동폐색장치 사용을 정지하여야 하는 경우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복선구간에서 일시 단선운전을 할 때
  2. 열차사고로 인하여 정거장외에서 구원열차를 요구하였을 때
  3. 열차운전중의 폐색구간에 대하여 개통취급을 하였을 때
  4. 2이상 설치되어 있는 출발신호기 중 정거장으로부터 진행방향 맨 안쪽의 출발신호기에 고장이 났을 때
(정답률: 알수없음)
  • 2이상 설치되어 있는 출발신호기 중 정거장으로부터 진행방향 맨 안쪽의 출발신호기에 고장이 났을 때가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경우이다. 이는 연동폐색장치가 작동하지 않아서 해당 출발신호기가 고장나면 그 이후의 모든 신호기가 작동하지 않게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다른 대안을 찾아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철도차량을 운전하고자 하는 자는 국토해양부장관으로부터 철도차량의 종류별로 철도차량운전면허를 받아야 하는 운전면허의 종류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제1종 전기차량운전면허
  2. 철도장비운전면허
  3. 디젤차량운전면허
  4. 전동차량운전면허
(정답률: 알수없음)
  • 철도차량은 도로를 달리는 차량과는 다른 특수한 운전기술과 지식이 필요하므로 철도차량운전면허를 받아야 합니다. 따라서 전동차량운전면허는 철도차량과는 관련이 없으므로 해당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