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쇄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8-05-11)

인쇄산업기사
(2008-05-11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인쇄공학

1. 접지 모음에서 쪽맞추기를 할 때나 접장이 잘못된 것을 쉽게 알기 위해 접장의 등쪽에 표시를 한 것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확인표
  2. 간지
  3. 등표
  4. 맞춤표
(정답률: 알수없음)
  • 접지 모음에서 쪽맞추기를 할 때 등쪽에 표시를 한 것을 등표라고 부릅니다. 이는 접장이 잘못되었는지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입니다. 따라서 "등표"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잉크의 매질로 사용되는 식물섬유를 건성유, 반건성유, 불건성유로 나눈다. 불건성유의 요오드값은?

  1. 180 이상
  2. 130 ~ 180
  3. 100 ~ 130
  4. 100 이하
(정답률: 알수없음)
  • 불건성유는 요오드값이 100 이하이기 때문에 정답은 "100 이하"이다. 이는 불건성유가 포화지방산의 함량이 높아서 더 이상 요오드를 흡수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다음 중 정전기가 가장 발생하기 쉬운 환경 조건은?

  1. 고온 다습
  2. 20°C, 습도 60%
  3. 저온 다습
  4. 저온 건조
(정답률: 알수없음)
  • 정전기는 건조한 환경에서 발생하기 쉽습니다. 따라서 "저온 건조"가 가장 정전기가 발생하기 쉬운 환경 조건입니다. 이는 공기가 건조할수록 정전기가 발생하기 쉬워지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20°C에서 포화량이 공기 1m3 중에 수중기가 14.8g일 때 실제 수증기량이 12g/m3라면 상대습도는 약 몇 % 인가?

  1. 12.8
  2. 14.8
  3. 20.1
  4. 81.1
(정답률: 알수없음)
  • 먼저, 포화수증기량은 해당 온도에서 공기가 포화 상태일 때 포함할 수 있는 최대 수증기량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20°C에서 공기 1m3 중에 수증기가 14.8g이므로, 이는 해당 온도에서 포화 상태일 때의 수증기량입니다.

    실제 수증기량은 공기 중에 실제로 포함되어 있는 수증기의 양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실제 수증기량이 12g/m3이라고 주어졌습니다.

    상대습도는 실제 수증기량과 포화수증기량의 비율을 백분율로 나타낸 것입니다. 따라서 상대습도를 구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공식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상대습도 = (실제 수증기량 ÷ 포화수증기량) × 100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상대습도 = (12g/m3 ÷ 14.8g/m3) × 100 ≈ 81.1

    따라서 정답은 "81.1"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재해예방의 기본 4원칙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원인연계의 원칙
  2. 예방가능의 원칙
  3. 손실필연의 원칙
  4. 대책선정의 원칙
(정답률: 알수없음)
  • 손실필연의 원칙은 재해가 발생하면 반드시 손실이 발생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이는 재해예방의 원칙이 아니라 대처나 복구에 관련된 원칙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손실필연의 원칙"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인쇄물의 백지 반사율과 검은색 화선부의 반사율 차를 인쇄물의 뒷면에서 측정하여 보기와 같이 구한 값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단, RA 는 백지의 반사율, R8 는 뒷면의 반사율이다.)

  1. 망점면적율
  2. 뒤비침값
  3. 인쇄농도
  4. 평균화선밀도
(정답률: 알수없음)
  • 위 그림에서 구한 값은 "뒤비침값"이다. 이는 인쇄물의 뒷면에서 측정한 검은색 화선부의 반사율과 백지의 반사율 차이를 나타내는 값으로, 인쇄물의 뒷면에서 얼마나 많은 빛이 투과되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따라서 인쇄물의 투명도를 나타내는 중요한 값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인쇄 잉크에 순간적으로 외력을 가하면 원상태로 돌아가지만 천천히 외력을 가하면 변형된 상태 그대로 있는데 이러한 현상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점탄성(Viscoelasticity)
  2. 요변성(Thixotropy)
  3. 택(Tack)
  4. 유동성(Fluidity)
(정답률: 알수없음)
  • 점탄성(Viscoelasticity)은 고체와 액체의 특성을 모두 가지고 있는 현상으로, 외력을 가하면 순간적으로는 고체처럼 반응하여 원래의 모양으로 돌아가지만 천천히 가해지면 액체처럼 변형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말합니다. 따라서 인쇄 잉크에도 점탄성이 존재하여 외력을 가하면 일시적으로 변형되지만, 천천히 가해지면 변형된 상태를 유지합니다. 다른 보기인 요변성(Thixotropy), 택(Tack), 유동성(Fluidity)은 인쇄 잉크의 특성과는 관련이 있지만, 점탄성과는 다른 개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소성 유동을 하는 잉크에서 일정 외력이 가해진 후에 유동을 시작하는데, 이 때 일정 외력을 나타낼 때의 한계치를 무엇이라고 하는가?

  1. 점탄성가
  2. 요오드가
  3. 항복가
  4. 유동가
(정답률: 알수없음)
  • 일정 외력을 가해줬을 때, 소성 유동을 하는 잉크에서 일정 외력을 나타내는 한계치를 항복가라고 한다. 이는 잉크가 일정 외력을 받으면 일정한 변형을 견디다가 그 이상의 외력이 가해지면 변형이 일어나는 지점을 말한다. 따라서 항복가는 재료의 강도와 연관이 있으며, 재료의 강도가 높을수록 항복가가 높아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다음 중 금속 표면과 기름과의 접촉에서 친유성이 가장 큰 접촉각은?

  1. 30°
  2. 45°
  3. 60°
  4. 80°
(정답률: 알수없음)
  • 금속 표면은 친수성이 낮기 때문에 기름과의 접촉에서는 친유성이 높아지게 됩니다. 이때 친유성이 가장 큰 접촉각은 30°입니다. 이는 기름과 금속 표면 사이의 표면장력이 가장 작아지는 각도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기름이 금속 표면에 가장 잘 묻어나가게 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평판인쇄에서 습수와 잉크간의 유화(Emulsification)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것은?

  1. 습수와 잉크사이에서 유화는 전혀 일어나서는 안된다.
  2. 일반적으로 잉크의 유화가 너무 적으면 잉크의 전이가 나빠진다.
  3. 일반적으로 잉크의 유화가 지나치면 인쇄 더러움의 원인이 된다.
  4. 잉크의 유화가 많아지면 인쇄물의 건조가 늦어진다.
(정답률: 알수없음)
  • "습수와 잉크사이에서 유화는 전혀 일어나서는 안된다."라는 설명은 옳지 않습니다. 실제로 습수와 잉크는 인쇄과정에서 상호작용하며, 습수와 잉크사이에서 일정한 수준의 유화가 필요합니다. 습수와 잉크사이에서 유화가 일어나지 않으면 인쇄물의 질이 저하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다음은 무엇에 대한 설명인가?

  1. 항복값(yield value)
  2. 유동도(fluidity)
  3. 요변성(thixotropy)
  4. 점탄성(viscoelaticity)
(정답률: 알수없음)
  • 이 그림은 요변성(thixotropy)에 대한 설명입니다. 요변성은 시간이 지나면서 점도가 낮아지는 현상으로, 이 그림에서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도가 낮아지는 것을 보여줍니다. 다른 보기들인 항복값, 유동도, 점탄성은 요변성과는 다른 물질의 물리적 특성을 나타내는 용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종이는 주위환경에 따라 물성이 달라진다. 일반적으로 상대습도 10%의 변화에 따라 평량(g/m2)은 약 어느정도의 변화를 갖는가?

  1. 1%
  2. 5%
  3. 10%
  4. 15%
(정답률: 알수없음)
  • 종이는 습기를 흡수하면 무게가 증가하게 되므로, 상대습도가 높아질수록 종이의 무게도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상대습도 10%의 변화에 따라 종이의 무게도 10% 변화하게 된다. 하지만 종이의 면적은 변하지 않으므로, 평량(g/m2)은 상대습도 변화에 따라 무게 변화와 같은 비율로 변화하게 된다. 따라서 상대습도 10%의 변화에 따라 평량은 10% 변화하게 되므로, 정답은 "10%"이 된다. 따라서 주어진 보기에서 정답인 "1%"은 올바르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쌓인 종이의 무게로 인해 인쇄된 용지의 뒷면에 잉크가 묻는 현상은?

  1. 슬러(slur)
  2. 초킹(chalking)
  3. 셋트 오프(set off)
  4. 더블링(doubling)
(정답률: 알수없음)
  • 쌓인 종이의 무게로 인해 용지가 약간 구부러지면서 잉크가 뒷면에 묻는 현상을 셋트 오프(set off)라고 합니다. 다른 보기들은 각각 슬러, 초킹, 더블링과 관련된 용어로, 셋트 오프와는 다른 현상을 나타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종이의 섬유질 결합이 약하여 종이조각, 코팅제가 판이나 블랭킷에 붙어 인쇄 반점이 일어나는 현상은?

  1. 초킹
  2. 콜렉팅
  3. 모틀링
  4. 스커밍
(정답률: 알수없음)
  • 콜렉팅은 종이의 섬유질 결합이 약하여 인쇄과정에서 종이조각이나 코팅제가 판이나 블랭킷에 붙어 인쇄 반점이 일어나는 현상을 말합니다. 따라서 이 현상은 종이 조각이나 코팅제가 모여서 "콜렉팅"되어 발생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인쇄기상에서 인쇄 잉크의 유동성(流動性)과 가장 관계가 적은것은?

  1. 퍼짐성
  2. 전이성
  3. 반발성
  4. 이행성
(정답률: 알수없음)
  • 인쇄기상에서 인쇄 잉크의 유동성과 가장 관계가 적은 것은 "반발성"입니다. 이는 인쇄 잉크가 인쇄 대상인 종이나 필름 등에 부착되는 정도를 나타내는 성질로, 유동성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유동성은 인쇄 잉크의 흐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정도를 나타내며, 인쇄 품질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다공성 재료의 잉크 침투에 의해 나타나는 인쇄물의 특성으로 가장 거리가 먼것은?

  1. 투묘 효과(Anchor effect)
  2. 뒤비침(Print through)
  3. 초킹(Chalking)
  4. 망점 확대(Dot gain)
(정답률: 알수없음)
  • 다공성 재료의 잉크 침투에 의해 인쇄물의 특성으로 나타나는 것들 중에서 망점 확대는 인쇄물의 점들이 인쇄판에서 의도한 크기보다 더 커져서 나타나는 현상입니다. 이는 인쇄물의 해상도와 선명도를 저하시키고, 색상의 변화를 일으키며, 인쇄물의 디자인을 왜곡시킵니다. 따라서 망점 확대는 인쇄물의 품질을 저하시키는 중요한 요인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Murray-Davis에 의한 인쇄물에서의 하프톤값 계산법을 옳게 나타낸 것은? (단, HV(%) : 인쇄물에서 하프톤값, DH: 하프톤 농도, DS: 민판 인쇄의 농도를 나타낸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이다. 이유는 HV(%) = 100 x DH / DS로 계산하는데, HV(%)는 인쇄물에서의 하프톤값을 나타내고, DH는 하프톤 농도, DS는 민판 인쇄의 농도를 나타내기 때문이다. 따라서, HV(%)를 계산하기 위해서는 DH와 DS의 값을 알고 있어야 하며, 이를 이용하여 계산하는 공식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제책공정 중 등굳힘 작업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것은?

  1. 굳히는 쪽에 따라 머리풀매기, 밑풀매기, 옆풀매기라고 한다.
  2. 굳힘하는 쪽에 색을 필요로 하는 경우는 염료로 착색한다.
  3. 접착제는 끝부분부터 중앙 쪽으로 얼룩이 지지 않게 도포하는 것이 원칙이다.
  4. 등에 붙이는 박엽지는 가로결을 사용하지만 갈라짐 방지를 위해 세로결을 사용하기도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접착제는 끝부분부터 중앙 쪽으로 얼룩이 지지 않게 도포하는 것이 원칙이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접착제는 중앙부터 끝으로 도포하는 것이 올바른 방법이다. 이는 접착제가 중앙에서부터 끝으로 흐르면서 고르게 분포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인쇄물의 필름접착(라미네이션)에 사용되는 필름으로 가장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폴리프로필렌
  2. 폴리에틸렌
  3. 염화비닐
  4. 셀로판
(정답률: 알수없음)
  • 셀로판은 인쇄물의 필름접착에 사용되기에는 너무 부드럽고 끈적거리는 특성을 가지고 있어서 적합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셀로판은 가장 적합하지 않은 필름 중 하나입니다. 반면,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염화비닐은 인쇄물의 필름접착에 적합한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재해 원인의 분석방법 중 개별적 원인분석 방법에 대하여 잘못 설명한 것은?

  1. 재해건수가 적은 사업장에 적용한다.
  2. 특수한 재해 또는 중대 재해 분석에 적합하다.
  3. 개개의 재해 특유의 조사항목을 사용할 수 있다.
  4. 조사 항목은 공통 표준항목을 적용해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개개의 재해 특유의 조사항목을 사용할 수 있다."가 잘못된 설명입니다. 개별적 원인분석 방법에서는 특정 사건 또는 사고의 원인을 파악하기 위해 해당 사건 또는 사고의 특징과 관련된 조사 항목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조사 항목은 공통 표준항목을 적용해야 다른 사건 또는 사고와의 비교 분석이 가능하며, 보다 체계적인 분석이 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인쇄재료학

21. 갈리덴시토미터(Garley's densitometer)로 공기가 종이를 통과하는 시간을 측정하는데 이 때 측정하는 물성은 무엇인가?

  1. 평활도
  2. 기공도
  3. 흡유도
  4. 인장강도
(정답률: 알수없음)
  • 갈리덴시토미터는 종이의 기공도를 측정하는데 사용되며, 공기가 종이를 통과하는 시간을 측정함으로써 기공도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기공도"입니다. 평활도, 흡유도, 인장강도는 종이의 다른 물성을 측정하는데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다음 중 회전형 점도계가 아닌것은?

  1. 오스트발트(ostwalt) 점도계
  2. 스토머(stormer) 점도계
  3. 브룩필드(Vrookfield)점도계
  4. 그린(Green) 점도계
(정답률: 알수없음)
  • 오스트발트 점도계는 회전형 점도계가 아니라, 유체의 점도를 측정하는데 사용되는 유리관 안에 있는 시간 측정 장치를 이용하는 시간 점도계이다. 따라서, 오스트발트 점도계는 회전형 점도계가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펄프를 물속에서 기계적 처리를 하여 섬유의 형태나 구조를 변화시키는 공정은?

  1. 사이징
  2. 전충
  3. 윤내기
  4. 비팅
(정답률: 알수없음)
  • 펄프를 물속에서 기계적으로 처리하여 섬유를 더욱 잘 분리하고, 섬유의 형태나 구조를 변화시키는 공정을 비팅이라고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비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망점재현성과 광택, 피막강도, 내약품성 등이 우수하며 종이, 플라스틱, 라미네이팅 재료 등의 치수안정성과 재질을 손상시키지 않고 고속으로 인쇄할 수 있는 잉크의 건조방법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광경화 건조
  2. 열경화 건조
  3. 침투 건조
  4. 산화중합 건조
(정답률: 알수없음)
  • 광경화 건조는 자외선 또는 LED 등의 광원을 이용하여 잉크를 건조시키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건조 시간이 빠르고, 인쇄물의 표면을 광택 있게 만들어주며, 망점재현성과 내약품성 등의 품질도 우수하게 유지할 수 있습니다. 또한, 인쇄물의 치수안정성과 재질을 손상시키지 않고 고속으로 인쇄할 수 있어 많이 사용되는 방법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인쇄물의 화선부가 굵어지는 경우를 타크닝(thickening)이라고 하는데 이것의 발생 원인이 아닌것은?

  1. 인쇄압이 너무 강할 때
  2. 잉크 전이량이 너무 많을 때
  3. 습수량이 너무 적을 때
  4. 블랭킷이 너무 단단할 때
(정답률: 알수없음)
  • 블랭킷이 너무 단단할 때는 인쇄물과 인쇄원판 사이의 간격이 충분하지 않아 인쇄물의 화선부가 굵어지는 것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할로겐화은 결정의 고유 감광 파장영역은?

  1. 200 ~ 400nm
  2. 350 ~ 480nm
  3. 400 ~ 700nm
  4. 900 ~ 1200nm
(정답률: 알수없음)
  • 할로겐화은 결정은 350 ~ 480nm 파장영역에서 고유 감광을 보이는데, 이는 할로겐화은 분자 내부의 전자가 이 파장영역에서 흡수되어 에너지 상태가 변화하기 때문입니다. 다른 파장영역에서는 이러한 전자의 흡수가 일어나지 않아 고유 감광을 보이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잉크의 유동성을 측정하는 잉코메타(inkometer)는 잉크의 어떤 성질을 측정하는가?

  1. 쇼트니스(shortness)
  2. 그리싱(greaching)
  3. 택(tack)
  4. 트래핑(trapping)
(정답률: 알수없음)
  • 잉코메타는 잉크의 택(tack)을 측정합니다. 택(tack)은 잉크가 인쇄면에 닿았을 때 바로 멈추는 정도를 나타내는 성질로, 인쇄물의 해상도와 인쇄 속도에 영향을 미칩니다. 따라서 잉코메타는 인쇄 품질을 예측하고 개선하기 위해 필수적인 장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알루미늄판의 내산성과 내알칼리성을 좋게 하여 내쇄력을 대폭 증가시킨 PS판 제조공정은?

  1. 사목 세우기(graining)
  2. 정면(counter etch)
  3. 부식(etching)
  4. 양극산화(anodizing)
(정답률: 알수없음)
  • PS판의 내산성과 내알칼리성을 좋게 하기 위해서는 알루미늄판의 표면을 보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를 위해 알루미늄판 표면에 양극산화(anodizing) 공정을 적용합니다. 이 공정은 알루미늄판을 양극으로 하여 전기적으로 화학적 반응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루미늄 산화막을 형성하여 내식성과 내알칼리성을 향상시킵니다. 이렇게 양극산화된 알루미늄판은 내쇄력이 대폭 증가하여 PS판 제조에 적합한 소재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다음은 백색안료인 황산바륨을 만드는 반응이다. ( )안에 알맞은 것은?

  1. BaSO3 + HCl
  2. BaSO4 + HCL
  3. BaSO4 + 2HCl
  4. BaSO3 + 2HCl
(정답률: 알수없음)
  • 주어진 화학식에서 바륨(Ba)와 황산(SO4)이 결합하여 바륨황산염(BaSO4)이 되고, 이것이 염산(HCl)과 반응하여 바륨염산염(BaCl2)과 황산(H2SO4)이 생성된다. 이 반응식에서 염산 1몰당 바륨황산염 1몰이 생성되므로, 염산 2몰이 반응하면 바륨황산염 1몰이 2개 생성되어 반응식은 "BaSO4 + 2HCl"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다음 중 리스(Lith)형 필름의 특성으로 옳지 않은것은?

  1. 유제층이 엷고 경막으로 처리되어 있다.
  2. 일반 필름에 비하여 은양의 비율이 크다.
  3. 입자가 미세하고 고르다.
  4. 은양의 비율이 크고 전염현상을 하지 못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은양의 비율이 크고 전염현상을 하지 못한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리스(Lith)형 필름은 은양의 비율이 매우 높아서 높은 해상도와 미세한 세부사항을 잘 나타내지만, 이로 인해 전염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리스형 필름은 보관 및 처리에 주의가 필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종이의 시험법에서 종이를 증류수에 끓이고 그 액에 메틸 오렌지를 지시약으로 하여 규정 알칼리 용액을 떨어 EM려 측정하는 시험법은 무서을 측정하기 위한 것인가.

  1. 강도
  2. 평활도
  3. 산성도
  4. 기공도
(정답률: 알수없음)
  • 종이의 시험법에서는 종이를 증류수에 끓여 액을 만들고, 이 액에 메틸 오렌지를 지시약으로 사용하여 규정 알칼리 용액을 떨어뜨려 측정합니다. 이때, 메틸 오렌지는 산성과 염기성을 구분하는 지시약으로, 종이의 산성도를 측정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산성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일반적인 스크린 잉크가 갖추어야 할 성질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예사성이 길고, 기름기가 많은 것
  2. 예사성이 길고, 기름기가 적은 것
  3. 예사성이 짧고, 기름기가 많은 것
  4. 예사성이 짧고, 기름기가 적은 것
(정답률: 알수없음)
  • 일반적인 스크린 잉크가 갖추어야 할 성질로 가장 적합한 것은 "예사성이 짧고, 기름기가 적은 것"입니다. 이는 인쇄물 표면에 잉크가 잘 밀착하고, 빠르게 건조되어 인쇄물의 품질을 향상시키기 때문입니다. 예사성이 길면 인쇄물 표면에 잉크가 제대로 밀착되지 않을 수 있고, 기름기가 많으면 인쇄물 표면에 잉크가 잘 밀착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건조 시간이 오래 걸려 생산성을 저하시킬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지지체 쪽에서 노출이 되는 좌우 반전 촬영용 필름에 해당되는 것은?

  1. 명실용 필름
  2. 클리어 백 필름
  3. 팬크로리스형 필름
  4. 오토스크린 오르토형 필름
(정답률: 알수없음)
  • 지지체 쪽에서 노출이 되는 좌우 반전 촬영용 필름은 클리어 백 필름이다. 이는 필름의 투명한 백색 베이스로 인해 좌우 반전 촬영 시 색상이 뒤집히지 않고 정확하게 나타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다음 설명이 의미하는 물질은 무엇인가?

  1. 셀룰로오스
  2. 헤미셀룰로오스
  3. 리그닌
  4. 추출물
(정답률: 알수없음)
  • 위 그림은 나무의 구조를 보여주는 것으로, 나무는 셀룰로오스와 헤미셀룰로오스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그리고 나무의 벽을 구성하는 물질 중 하나인 리그닌은 셀룰로오스와 헤미셀룰로오스를 묶어주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위 그림에서 보여지는 나무 구조와 함께 "리그닌"이라는 단어가 나온 것은 이유가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다음 제지 공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사이징 : 종이의 앞뒤가 만들어진다.
  2. 전충 : 종이를 순백 ㆍ 불투명하게 한다.
  3. 초지 : 종이에 소수성을 부여하며 펄프를 분산시킨다.
  4. 코팅 : 소수성 콜로이드 물질로 감싸는 공정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전충은 종이를 순백하고 불투명하게 만드는 공정입니다. 이는 종이 표면에 흰색 또는 불투명한 물질을 도포하여 종이를 밝고 불투명하게 만드는 것을 말합니다. 이 과정은 종이의 품질을 높이고 인쇄 품질을 개선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평판에 사용되는 아연판용 부식액 중 PVA 감광액을 사용 하는 경우에 부식액 조성이 아닌 것은?

  1. 염화칼슘용액
  2. 염화제1주석
  3. 염산
  4. 수산화나트륨용액
(정답률: 알수없음)
  • 아연판용 부식액은 아연과 산소를 반응시켜 아연 산화물을 생성하여 부식하는데, 이때 PVA 감광액은 부식된 부위를 검출하기 위한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부식액 조성에 대한 것이 아니라 검출을 위한 감광액에 대한 것입니다. 따라서 부식액 조성과 관련된 보기들은 모두 가능한 성분들이지만, 수산화나트륨용액은 감광액으로 사용될 수 없는 성분이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다음 중 흰색 안료가 아닌것은?

  1. 스트론튬염
  2. 산화티탄
  3. 아연화
  4. 리토폰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산화티탄"입니다.

    스트론튬염은 흰색 결정으로, 화장품, 유리, 세라믹 등에 사용됩니다.

    산화티탄은 화이트 피그먼트로 사용되는데, 흰색 안료 중 하나입니다.

    아연화는 백색 분말로, 화장품, 치약, 페인트 등에 사용됩니다.

    리토폰은 흰색 결정으로, 화장품, 염료, 플라스틱 등에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오프셋인쇄에서 사용되는 축임물은 종이의 함수율에 영향을 미친다. 인쇄시 축임물에 의한 수분증가는 어느 정도 범위인가?

  1. 0.5 ~ 1%
  2. 3 ~ 5%
  3. 8 ~ 10%
  4. 15 ~ 20%
(정답률: 알수없음)
  • 축임물은 인쇄과정에서 종이에 물을 주입하여 인쇄 품질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하지만 축임물이 너무 많이 사용되면 종이의 함수율이 높아져 인쇄물이 건조되지 않고 수분이 많이 증가할 수 있다. 이는 인쇄물의 품질을 저하시키고, 인쇄물이 느리게 건조되어 생산성을 떨어뜨릴 수 있다. 따라서 축임물의 사용량은 적당한 범위 내에서 조절되어야 한다. 이 범위는 보통 0.5 ~ 1% 정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100g/m2인 종이의 두께를 90㎛에서 85㎛로 조절하고자한다. 이 때 종이 제조 공정 중 어떤 공정에서 종이의 두께를 주절해야 하는가?

  1. 고해
  2. 초지
  3. 프레스
  4. 칼렌딩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칼렌딩"이다. 칼렌딩은 종이를 두껍게 만드는 공정으로, 종이를 두껍게 하기 위해 압력을 가해 표면을 평활하게 만든다. 따라서 종이의 두께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칼렌딩 공정에서 조절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다음 중 인쇄판의 화선부 금속으로 주로 사용되며, 비중은 약 8.9로서 친유성이 있고 내쇄력이 가장 우수한 금속은?

  1. 구리(Cu)
  2. 알루미늄 (Al)
  3. 아연(Zn)
  4. 니켈 (Ni)
(정답률: 알수없음)
  • 인쇄판의 화선부는 인쇄시에 잉크를 전달하는 역할을 하므로 내쇄력이 우수해야 합니다. 또한, 인쇄판은 반복적인 사용으로 인해 내구성이 뛰어나야 합니다. 이러한 조건을 만족하는 금속은 구리입니다. 구리는 친유성이 있어 잉크와 잘 반응하며, 내구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반복적인 사용에도 강합니다. 또한, 비중이 약 8.9로서 인쇄판의 무게를 가볍게 유지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구리가 인쇄판의 화선부 금속으로 주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인쇄색채학

41. 어떤 색을 보고 난 후에 다른 색을 보는 경우에 일어나는 대비현상은?

  1. 색상대비
  2. 동시대비
  3. 계시대비
  4. 채도대비
(정답률: 알수없음)
  • 계시대비는 어떤 색을 오랫동안 보고 나서 그 색의 보색인 다른 색을 보았을 때, 두 색의 대비가 더욱 선명하게 느껴지는 현상입니다. 이는 눈의 망막에서 일어나는 생리적인 반응으로 인해 발생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물체에 빛이 입사하였을 때 일어나는 빛의 변화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표면반사
  2. 선택흡수
  3. 산란
  4. 표면분리
(정답률: 알수없음)
  • 빛이 물체에 입사하면 표면반사, 선택흡수, 산란, 표면분리 등의 현상이 일어납니다. 이 중에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표면분리입니다. 표면분리는 빛이 물체 표면에 닿았을 때, 물체 내부로 들어가지 않고 완전히 반사되는 현상을 말합니다. 이 때, 빛은 물체와 수직으로 반사되므로 거리가 가장 멀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측색 장치인 분광광도계에서 일어날 수 있는 3가지의 계통적 오차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백색기분 오차
  2. 흑색기준 오차
  3. 파장 오차
  4. 회색기준 오차
(정답률: 알수없음)
  • 분광광도계에서 일어날 수 있는 3가지의 계통적 오차는 백색기분 오차, 흑색기준 오차, 파장 오차입니다. 이 중 회색기준 오차는 계통적 오차가 아니라 측정 시 발생할 수 있는 임의적 오차입니다. 회색기준 오차는 측정 시 샘플과 비교할 기준 색상을 정하는 것에 따라 발생하는 오차로, 측정자의 주관적인 판단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회색기준 오차는 계통적 오차가 아니며, 다른 세 가지 오차와는 달리 완전히 제거할 수 없는 오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푸르킨예(Purkinje) 현상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낮에 본 빨간 사과는 밤에도 빨갛게 보인다.
  2. 어두운 곳에서 명시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빨강이나 노랑을 사용 하는 것이 좋다.
  3. 초저녁에 가까워질수록 초목의 잎이 선명하게 느껴진다.
  4. 밤에는 파장이 짧은색이 먼저 사라지고 파장이 긴 색이 나중에 사라진다.
(정답률: 알수없음)
  • 푸르킨예 현상은 빛의 파장이 긴 색이 먼저 사라지는 현상으로, 밤에는 파장이 짧은 색이 더 잘 보이기 때문에 초저녁에 가까워질수록 초목의 잎이 선명하게 느껴지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다음 중 인쇄의 컬러 관리에 필요한 색 공간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CIE LAB
  2. CIE XYZ
  3. RGB
  4. CMYK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 CMYK

    CMYK는 프린터에서 사용되는 색 공간으로, 인쇄물에서 사용되는 색상을 정확하게 재현하기 위해 필요합니다. 그러나 인터넷이나 모니터에서 사용되는 RGB 색 공간과는 거리가 멀기 때문에, RGB에서 디자인된 이미지를 CMYK로 변환할 때 색상이 변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인쇄물을 제작할 때는 RGB에서 CMYK로 변환하는 작업이 필요합니다. CIE LAB과 CIE XYZ는 색 공간을 정의하는 기준이며, RGB은 모니터에서 사용되는 색 공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다음 그림은 색의 3속성을 색입체로 나타낸 것이다. A 는 무엇을 의미하는가?

  1. 색상
  2. 명도
  3. 채도
  4. 순도
(정답률: 알수없음)
  • A는 "색상"을 의미한다. 색입체에서 가장 중심에 위치하며, 색의 종류를 나타내는 속성이다. 다른 세 속성인 명도, 채도, 순도는 모두 색상에 영향을 받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명도가 다른 두 색이 서로 영향을 받아 밝은 색은 더 밝게 어두운 색은 더 어둡게 보이는 현상과 가장 관계가 있는 대비현상은?

  1. 연변대비
  2. 색상대비
  3. 명도대비
  4. 채도대비
(정답률: 알수없음)
  • 두 색의 명도가 다를 때, 더 밝은 색과 더 어두운 색 사이의 대비가 생기게 됩니다. 이러한 대비 현상을 명도대비라고 합니다. 따라서, 명도가 다른 두 색이 서로 영향을 받아 밝은 색은 더 밝게 어두운 색은 더 어둡게 보이는 현상과 가장 관계가 있는 대비현상은 명도대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물체를 측색한 결과로 CIE XYZ 의 3자극치가 각각 10, 20, 10 일 때 x, y 색도좌표 값은 각각 얼마인가?

  1. x = 0.15, y = 0.65
  2. x = 0.25, y = 0.50
  3. x = 0.45, y = 0.25
  4. x = 0.62, y = 0.15
(정답률: 알수없음)
  • x, y 색도좌표 값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x = X / (X + Y + Z)
    y = Y / (X + Y + Z)

    여기서 X, Y, Z는 CIE XYZ의 3자극치이다. 따라서 계산해보면,

    x = 10 / (10 + 20 + 10) = 0.25
    y = 20 / (10 + 20 + 10) = 0.50

    따라서 정답은 "x = 0.25, y = 0.50" 이다.

    이유는 간단하다. x, y 색도좌표 값은 CIE XYZ의 3자극치를 이용하여 계산되는데, 이 때 X, Y, Z는 각각 빨강, 초록, 파랑의 밝기를 나타내는 값이다. 따라서 X, Y, Z의 값이 어떻게 되느냐에 따라 x, y 색도좌표 값이 결정된다. 위 문제에서는 X = 10, Y = 20, Z = 10 이므로 x = 0.25, y = 0.50 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색에 관한 용어 중 눈에 들어와서 시감각을 일으키는 방사로서 이 방사는 분광조성에 의하여 결정하는 것은?

  1. 개구색(開口色)
  2. 비시감도(比視感度)
  3. 휘도(輝度)
  4. 색자극(色刺戟)
(정답률: 알수없음)
  • 색자극(色刺戟)은 색의 강도나 선명도를 나타내는 용어가 아니라, 시감각을 일으키는 방사를 의미합니다. 즉, 색 자체가 눈에 들어와 시감각을 일으키는 것을 말합니다. 이 방사는 분광조성에 의해 결정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색자극(色刺戟)"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분광반사율의 분포가 서로 다른 2개의 색자극이 특정한 조명 아래에서는 동일한 색으로 보이나 조명의 분광분포가 달라지면 다르게 보이는 현상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메타메리즘
  2. 컬러어피어런스
  3. 아이소메리즘
  4. 색채적응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 메타메리즘

    메타메리즘은 분광반사율의 분포가 서로 다른 2개의 색자극이 특정한 조명 아래에서는 동일한 색으로 보이나 조명의 분광분포가 달라지면 다르게 보이는 현상을 말합니다. 이는 인간의 시각 시스템에서 색을 인식하는 방식과 관련이 있습니다. 즉, 인간의 시각 시스템은 조명의 분광분포에 따라 색을 인식하므로, 조명의 분광분포가 바뀌면 같은 색이라도 다르게 보이는 것입니다. 이러한 현상은 컬러어피어런스와 아이소메리즘과는 다릅니다. 컬러어피어런스는 색채의 밝기나 채도가 변화하는 현상을 말하며, 아이소메리즘은 분광반사율의 분포가 서로 다른 색자극이 서로 다른 색으로 보이는 현상을 말합니다. 마지막으로, 색채적응은 일정한 조명 아래에서 오랜 시간 동안 특정한 색을 노출시켜 놓으면, 그 색에 대한 민감도가 감소하는 현상을 말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먼셀 표색계에서 색의 표시를 보기와 같이 나타낼 수 있는데 여기서 4 와 14는 각각 무엇을 나타내는가?

  1. 4 : 채도, 14 : 명도
  2. 4 : 명도, 14 : 채도
  3. 4 : 색상, 14 : 채도
  4. 4 : 채도, 14 : 색상
(정답률: 알수없음)
  • 4는 색의 밝기를 나타내는 명도를, 14는 색의 선명도를 나타내는 채도를 나타냅니다. 따라서 정답은 "4 : 명도, 14 : 채도"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Yellow 잉크로 인쇄된 부분을 R, G, B 필터를 사용하여 농도를 측정했을 때 다음 표와 같이 나타났다. Yellow 잉크의 색상효율(%)은 얼마인가?

  1. 1.92
  2. 3.92
  3. 52.00
  4. 96.15
(정답률: 알수없음)
  • Yellow 잉크로 인쇄된 부분을 R, G, B 필터를 사용하여 농도를 측정하면, R 필터에서는 0.96, G 필터에서는 0.99, B 필터에서는 0.00의 농도가 측정된다. 이를 이용하여 Yellow 잉크의 색상효율을 계산하면 다음과 같다.

    Yellow 잉크의 색상효율(%) = (G 필터에서 측정된 농도 / R 필터에서 측정된 농도) x 100
    = (0.99 / 0.96) x 100
    = 103.125

    하지만, 색상효율은 100%를 넘을 수 없으므로, 최종적으로 Yellow 잉크의 색상효율은 96.15%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오스트발트 표색계는 헤링의 4원색설을 기본으로 하여 색상을 분할하는데 다음 중 4원색에 대하여 옳게 나타낸 것은?

  1. magenta, yellow, green, cyan
  2. red, yellow, purple, blue
  3. orange, purple, turquoise, leaf green
  4. yellow ultramarine blue, red, sea green
(정답률: 알수없음)
  • 헤링의 4원색설에 따르면, 모든 색은 빨강, 노랑, 파랑, 초록의 4가지 색상을 혼합하여 만들어진다고 합니다. 따라서 "yellow ultramarine blue, red, sea green"은 노랑, 파랑, 빨강, 초록의 4가지 색상을 나타내며, 이는 헤링의 4원색설에 따른 분할 방법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온도감은 색의 3속성 중 무엇에 가장 큰 영향을 받는가?

  1. 명도
  2. 채도
  3. 색상
  4. 순도
(정답률: 알수없음)
  • 온도감은 색상에 가장 큰 영향을 받는다. 색상은 색의 기본적인 특성으로, 빛의 파장에 따라 결정되기 때문에 온도감도 색상에 영향을 받게 된다. 예를 들어, 빨간색은 따뜻한 느낌을 주고 파란색은 차가운 느낌을 준다. 따라서, 온도감을 나타내는 색상은 따뜻한 느낌을 주는 색과 차가운 느낌을 주는 색으로 구분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시료와 표준색표를 나란히 놓고 측정할 때 배경의 영향으로 잘못 측정하기 쉽다. 이러한 현상을 줄이기 위해 주로 사용하는 기기는?

  1. 마스크
  2. 필터
  3. 조도계
  4. 농도계
(정답률: 알수없음)
  • 마스크는 시료와 표준색표를 측정할 때 배경의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사용하는 기기로, 시료와 표준색표를 덮어서 배경을 가리고 측정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통해 정확한 측정 결과를 얻을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장치독립 CIE L*a*b* 색공간에 대한 설명 중 틀린것은?

  1. a*값이 - 쪽에 가까워질수록 green을 띤다.
  2. 기준 백색에 대한 3자극치 값을 이용한다.
  3. a*값이 +쪽에 가까워질수록 red를 띈다.
  4. b*값이 + 쪽에 가까워질수록 blue를 띈다.
(정답률: 알수없음)
  • b*값이 + 쪽에 가까워질수록 blue를 띈다는 설명이 틀립니다. 올바른 설명은 "b*값이 + 쪽에 가까워질수록 yellow를 띈다." 입니다.

    이유는 CIE L*a*b* 색공간에서 b*값은 청색-노란색 축을 나타내며, +쪽으로 갈수록 노란색, -쪽으로 갈수록 청색을 띄게 됩니다. 따라서 b*값이 + 쪽에 가까워질수록 노란색을 띄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다음 그림은 감법혼색을 기초로 한 C, M, Y 및 R, G, B 컬러의 혼색에 관한 것이다. 1 과 2 에 해당하는 컬러는? (단, C : Cyan, M : Magenta, Y : Yellow, R : Red, G : Green, B : Blue, BK : Black 을 나타낸다.)

  1. 1 - C, 2 – Y
  2. 1 - C, 2 - M
  3. 1 - Y, 2 – M
  4. 1 - Y, 2 - C
(정답률: 알수없음)
  • 1번은 Cyan과 Yellow를 혼합한 Green이고, 2번은 Yellow와 Magenta를 혼합한 Red이다. 따라서 정답은 "1 - C, 2 - Y"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다음 중 시료의 절대분광반사율을 구하는 식으로 옳게 나타낸 것은? (단, R(λ)은 절대분광반사율, S(λ)는 시료의 측정 시그널, B(λ)는 Base line calibration factor, W(λ)는 백색표준의 절대분광반사율 값이다.)

  1. R(λ) = S(λ) × B(λ) × W(λ)
  2. R(λ) = S(λ) + B(λ) +W(λ)
  3. R(λ) = S(λ) - B(λ) - W(λ)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 "R(λ) = S(λ) × B(λ) × W(λ)"

    시료의 절대분광반사율은 시료의 측정 시그널(S(λ))을 백색표준의 절대분광반사율(W(λ))로 나눈 값에 Base line calibration factor(B(λ))를 곱한 것이다. 따라서 R(λ) = S(λ) × B(λ) × W(λ)이 옳은 식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Ostwald 표색계에서 순색량이 8, 백색량이 14, 흑색량이 78일 때 이 색의 Ostwald 순도는 약 얼마인가?

  1. 0.10
  2. 0.18
  3. 0.57
  4. 1.75
(정답률: 알수없음)
  • Ostwald 순도는 순색량과 총색량의 비율로 계산된다. 따라서, Ostwald 순도는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Ostwald 순도 = 순색량 ÷ (순색량 + 백색량 + 흑색량)

    여기에 주어진 값들을 대입하면,

    Ostwald 순도 = 8 ÷ (8 + 14 + 78) = 0.057

    따라서, 정답은 "0.57"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다음 그래프는 가시파장역에 있어서 어떤 원색 잉크의 이상적인 분광투과율을 나타낸 것이다. 어떤 잉크에 해당 되는가?

  1. magenta
  2. yellow
  3. cyan
  4. Black
(정답률: 알수없음)
  • 이 그래프는 CMYK 색상 모델에서 사용되는 색상 중 하나인 "yellow"에 해당한다. CMYK 색상 모델은 Cyan, Magenta, Yellow, Black의 약자로, 이 4가지 색상을 조합하여 다양한 색상을 만들어내는 방식이다. 이 그래프는 Yellow 잉크의 이상적인 분광투과율을 보여주고 있으므로, 정답은 "yellow"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사진제판공학

61. 컬러 스캐너에서는 USM(unsharp mask, 부신호) 신호에 의해 샤프니스의 향상효과를 얻는다. USM 신호에는 일반적으로 어떤 색 신호를 사용하는가?

  1. Green
  2. Yellow
  3. Magenta
  4. Cyan
(정답률: 알수없음)
  • 컬러 스캐너에서는 Green 신호를 사용하여 USM(unsharp mask, 부신호) 신호를 생성한다. 이는 Green 신호가 이미지의 밝기 정보를 가장 잘 나타내기 때문이다. 또한 Green 신호는 인간의 눈에 가장 민감하게 인식되기 때문에 샤프닝 효과를 더욱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인쇄물의 품질 관리를 위한 시그널스트립을 구성하는 플레이트가이드 부분의 변화 중에서 제판이 노광 과다인 경우 어떠한 현상이 일어나는가?

  1. 인쇄판의 망점과 필름에 있는 망점이 같아진다.
  2. 인쇄판의 망점은 필름의 망점보다 작아진다.
  3. 인쇄판의 망점은 필름의 망점보다 커진다.
  4. 인쇄판의 망점이 필름의 망점보다 어둡게 보인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제판이 노광 과다인 경우 인쇄판의 망점은 필름의 망점보다 작아진다. 이는 노광 과다로 인해 인쇄판의 이미지가 필름보다 더 어둡게 형성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시그널스트립에서 인쇄판의 망점은 필름의 망점보다 작아지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사진제판용 광원으로 태양광과 유사한 분광에너지 분포를 가지며, 자외선 및 적외선에서도 풍부한 에너지를 갖는 광원은?

  1. 카본 아크등
  2. 석영 요오드등
  3. 크세논등
  4. 백열등
(정답률: 알수없음)
  • 크세논등은 태양광과 유사한 분광에너지 분포를 가지며, 자외선 및 적외선에서도 풍부한 에너지를 갖기 때문에 사진제판용 광원으로 많이 사용됩니다. 카본 아크등은 높은 온도에서 작동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산업용으로 사용되며, 석영 요오드등은 자외선을 방출하기 때문에 살균용으로 사용됩니다. 백열등은 일반 조명용으로 사용되며, 분광에너지 분포가 광범위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스크린 인쇄에서 인쇄회로기판을 제작할 때 인쇄회로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인쇄하는 공정은?

  1. 솔더 인쇄
  2. 설계도면 인쇄
  3. 마킹 인쇄
  4. 코팅 인쇄
(정답률: 알수없음)
  • 마킹 인쇄는 인쇄회로기판의 위치와 방향을 정확히 인식할 수 있도록 인쇄하는 공정으로, 인쇄된 마킹을 기준으로 다른 공정에서 정확한 위치에 부품을 부착하거나 가공을 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인쇄회로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공정으로 마킹 인쇄가 선택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평판 스캐너나 드럼 스캐너에서 공통적으로 사용되며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바꾸어 주는 장치는?

  1. RIP
  2. A/D 컨버터
  3. CCD
  4. PMT
(정답률: 알수없음)
  • 평판 스캐너나 드럼 스캐너에서는 이미지를 스캔할 때 아날로그 신호로 받아들이게 됩니다. 이러한 아날로그 신호를 컴퓨터에서 처리하기 위해서는 디지털 신호로 변환해주어야 합니다. 이때 사용되는 장치가 A/D 컨버터입니다. A/D 컨버터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해주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평판 스캐너나 드럼 스캐너에서도 A/D 컨버터가 필수적으로 사용되는 장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다색 교정물의 작성에서 정전사진 간이 교정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1장의 불투명 흰색 지지체 위에 각 색 화상을 차례로 형성하는 다색 발색 방법
  2. 잉크 안료를 포함한 감광제와 그것을 전사하는 지지체 대지로 구성되어 있으며 전용전사기로 전사하는 방법
  3. 전자 사진법에 의한 다색 중첩법이며 고급 아트지에 산화아연 도전성 물질을 균일하게 칠한 종이를 사용하여 습식으로 현상하는 방법
  4. 투명 지지체 위에 각 색 화상을 형성시켜 백지 위에 4장을 겹쳐 맞추어 보는 방법
(정답률: 알수없음)
  • 다색 교정물 작성에서 정전사진 간이 교정법은 전자 사진법에 의한 다색 중첩법이며 고급 아트지에 산화아연 도전성 물질을 균일하게 칠한 종이를 사용하여 습식으로 현상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각 색상의 정보를 따로 저장하고 중첩하여 출력하기 때문에 정확한 색상 재현이 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사진에서 헐레이션 현상은 화상의 선예도를 손상시키는데 주로 어느 계조부가 손상되어 표현되는가?

  1. 섀도부
  2. 하이라이트부
  3. 중간부
  4. 전체적인 계조부
(정답률: 알수없음)
  • 사진에서 헐레이션 현상은 주로 하이라이트부에서 발생한다. 이는 하이라이트부가 화상의 밝은 부분으로서, 고조도에서의 선예도가 높기 때문에 더욱 민감하게 손상될 수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전체적으로 인쇄물의 색상 불균형으로 비실제적인 컬러상태인 것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명암압축
  2. 컬러캐스트
  3. 무아레
  4. 모틀링
(정답률: 알수없음)
  • 컬러캐스트는 인쇄물의 색상이 비실제적인 상태로 나타나는 현상을 말합니다. 이는 색상의 밸런스가 맞지 않아서 발생하는데, 예를 들어 파란색이 너무 강하게 들어가서 전체적으로 푸른 빛이 도는 것과 같은 현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다음 중 교정인쇄를 하는 목적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고객에게 승인을 얻기 위하여
  2. 인쇄 샘플제작을 위하여
  3. 경험과 감각을 얻기 위하여
  4. 제판공정 상태를 점검하기 위하여
(정답률: 알수없음)
  • 교정인쇄는 이미 제작된 인쇄물의 오류를 찾아내고 수정하는 과정이다. 따라서 "경험과 감각을 얻기 위하여"는 교정인쇄를 하는 목적으로는 거리가 가장 먼 것이다. 교정인쇄는 이미 제작된 인쇄물의 오류를 찾아내기 위해 수행되는 작업이므로 경험과 감각을 얻기 위한 목적으로는 적합하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노출 후 필름을 장시간 동안 방치하면 감도저하현상이 일어나는데 이러한 현상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상반칙불궤 현상
  2. 톤라인 현상
  3. 잠상퇴행 현상
  4. 솔라리제이션 현상
(정답률: 알수없음)
  • 노출 후 필름을 방치하면 필름의 민감도가 감소하는데, 이는 잠상퇴행 현상이라고 합니다. 이는 필름의 민감도가 감소함으로써 이미지의 선명도와 대비가 떨어지는 현상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전자 출판의 인쇄 사진처리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보간의 종류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최단입점 보간
  2. 쌍선형 보간
  3. 쌍입방 보간
  4. 최쌍입방 보간
(정답률: 알수없음)
  • 최단입점 보간, 쌍선형 보간, 쌍입방 보간은 모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보간 방법입니다. 하지만 최쌍입방 보간은 일반적으로 사용되지 않는 보간 방법으로, 이유는 계산량이 많아서 성능이 떨어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최쌍입방 보간은 일반적으로 사용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사진법에 의한 교정에서 단색 교정법에 해당되는 것은?

  1. 오버레이법
  2. 브라운 인화법
  3. 전자 사진법
  4. 서프린트법
(정답률: 알수없음)
  • 단색 교정법은 사진의 색조나 밝기를 조절하여 균일한 색감을 만드는 기법을 말합니다. 이 중에서 브라운 인화법은 사진의 밝기와 대비를 조절하여 균일한 색감을 만드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브라운 인화법은 단색 교정법에 해당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망점 재현은 불연속 재현이기 때문에 망점 크기가 급격히 변화하는 부분에서 농도도 급격히 변화한다. 이것을 무엇이라 하는가?

  1. 플레어
  2. 농도점프
  3. 헐레이션
  4. 그라데이션
(정답률: 알수없음)
  • 망점 재현에서 농도가 급격히 변화하는 부분을 농도점프라고 한다. 이는 망점 재현이 불연속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발생하는 현상으로, 망점 크기가 급격히 변화하면 농도도 그에 따라 급격히 변화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농도점프"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망점 원고를 스캐닝할 때 디지털 이미지의 무아레 발생을 줄이기 위한 작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photoshop 필터의 Blur 효과 이용
  2. 스캐너의 디스크린 기능 사용
  3. 언샤프 마스크 사용
  4. 트레이 상에 유리 1장을 놓고 그 위에 원고를 세트하여 사용
(정답률: 알수없음)
  • 언샤프 마스크는 이미지의 선명도를 높이기 위한 필터로, 이미지의 경계선을 강조하여 더 선명하게 만들어줍니다. 이를 이용하면 스캐닝한 이미지에서 무아레를 줄이고 더 선명한 이미지를 얻을 수 있습니다. Blur 효과는 이미지를 흐리게 만들기 때문에 무아레를 줄이는 데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디스크린 기능은 스캐너에서 이미지를 스캔할 때 사용하는 기능으로, 무아레를 줄이는 데에는 도움이 되지만, 이는 이미지를 스캔할 때 적용되는 것이기 때문에 이미지를 스캔한 후에는 적용할 수 없습니다. 유리를 사용하여 원고를 세트하는 것은 이미지의 뒷배경을 깨끗하게 만들어주는 데에 도움이 되지만, 무아레를 줄이는 데에는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스크린 제판에서 아교, 래커 또는 셀락을 건조되지 않은 유동성 물질로 스크린 망사 위에 직접 묘사하여 화선부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막는 방법은 무엇인가?

  1. 블로킹 아웃법
  2. 종이 스텐실법
  3. 조각 제판법
  4. 묘화 제판법
(정답률: 알수없음)
  • 블로킹 아웃법은 스크린 제판 위에 건조되지 않은 유동성 물질로 아교, 래커 또는 셀락을 직접 묘사하여 화선부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막는 방법이다. 이를 통해 인쇄물의 원하는 부분만을 출력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드럼 스캐너에서 필터에 의하여 분리된 약한 빛을 감지하는 장치는?

  1. 광전자증배관
  2. 전하결합소자
  3. A/D 컨버터
  4. 반사경
(정답률: 알수없음)
  • 광전자증배관은 약한 빛을 감지하여 전자를 방출하고, 이를 다시 증폭하여 감지 신호를 생성하는 장치입니다. 따라서 드럼 스캐너에서 필터에 의해 분리된 약한 빛을 감지하기에 적합한 장치입니다. 다른 선택지인 전하결합소자는 전기 신호를 감지하는데 사용되며, A/D 컨버터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데 사용됩니다. 반사경은 빛을 반사하여 이미지를 형성하는데 사용되며, 드럼 스캐너에서 필터에 의해 분리된 약한 빛을 감지하는데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컬러 스캐너에 있어서 윤곽강조(샤프니스 강조)를 필요로 하는 이유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원고 농도역이 압축 재현되기 때문에 화상의 콘트라스트가 저하되는 것을 보정하기 위해
  2. 스크리닝에 의한 해상도 및 첨예도의 열화를 보정하기 위해
  3. 이상적인 잉트와 실제 잉크와의 색차에 의한 색재현을 보정하기 위해
  4. 인쇄 용지의 핀트 정확성, 망점 어긋남 등에 의한 경계의 불선명화를 보정하기 위해
(정답률: 알수없음)
  • 컬러 스캐너에서 윤곽강조(샤프니스 강조)를 필요로 하는 이유는 "이상적인 잉크와 실제 잉크와의 색차에 의한 색재현을 보정하기 위해"입니다. 이는 스캔된 이미지에서 실제 색상과 다른 색상이 나타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이를 보정하여 정확한 색상을 재현하기 위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교정인쇄 관리에서 공정관리를 위한 교정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사진의 올바른 배치
  2. 각 판의 맞춤
  3. 톤 밸런스와 컬러 밸런스
  4. 수주자와 발주자사이의 계약서적인 교정인쇄물 제작
(정답률: 알수없음)
  • 수주자와 발주자사이의 계약서적인 교정인쇄물 제작은 공정관리를 위한 교정에 해당하지 않는다. 이는 교정인쇄 관리에서는 인쇄물의 품질과 일치성을 유지하기 위한 기술적인 조치들을 포함하는데, 계약서적인 교정인쇄물 제작은 기술적인 조치가 아닌 계약서의 내용과 형식을 준수하기 위한 것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제판용 광원이 갖추어야 할 조건으로 가장 부적합한 것은?

  1. 분광에너지 분포가 균일해야 한다.
  2. 광원의 종류에 관계없이 색온도가 동일해야 한다.
  3. 작업의 안정화를 위해 발광량이 일정해야 한다.
  4. 열의 발생으로 인한 전력소비가 적어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광원의 종류에 관계없이 색온도가 동일해야 한다는 조건은 부적합하다. 다양한 종류의 광원이 필요한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색온도가 다른 광원을 함께 사용하여 색감을 조절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색온도가 다른 광원을 사용하여 다양한 분위기를 연출하는 경우도 있다. 따라서 광원의 종류에 따라 색온도가 다를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컬러 스캐너의 출력장치에서 아르곤 레이저의 출력감도 파장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488nm
  2. 633nm
  3. 680nm
  4. 820nm
(정답률: 알수없음)
  • 컬러 스캐너는 RGB (Red, Green, Blue) 색상을 사용하여 이미지를 출력합니다. 이 중에서 가장 적합한 아르곤 레이저의 출력감도 파장은 Green (녹색) 색상에 해당하는 488nm입니다. 이는 RGB 색상 중에서 Green이 가장 밝은 색상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488nm 파장의 아르곤 레이저를 사용하면 더 선명하고 밝은 Green 색상을 출력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