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품디자인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2-05-26)

제품디자인산업기사
(2002-05-26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제품디자인론

1. 바우하우스(Bauhaus)에 대한 다음 설명 중 틀린 것은?

  1. 바이마르의 미술학교에 공예학교와 합병으로 설립되었다.
  2. 창시자는 오토 바그너(Otto Wagner)이다.
  3. 목표는 모든 공작부분을 새로운 건축에로 재통합하는 것이다.
  4. 1925년 바우하우스는 정치적이유로 뎃사우(Dessau)로 옮겼다.
(정답률: 59%)
  • 창시자는 오토 바그너(Otto Wagner)이 아니라, 와이마르의 미술가인 와이트홀트(Gerhard Marcks), 기술자인 게르트 루트비히(Georg Muche), 건축가인 와니 브라우너(Walter Gropius)가 함께 설립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소비자의 생활 유형을 분석하는 방법 중 활동,흥미,의견 및 인구통계 변수를 측정하는 분석 방법은?

  1. VALS법
  2. AIO법
  3. SD법
  4. MDS법
(정답률: 67%)
  • AIO법은 활동(Activity), 흥미(Interest), 의견(Opinion)의 약자로, 소비자의 생활 유형을 분석하는 방법 중 하나입니다. 이 방법은 소비자가 어떤 제품이나 서비스를 선택하게 되는 이유를 파악하기 위해, 그들의 활동, 흥미, 의견 및 인구통계 변수를 측정합니다. 따라서, AIO법은 소비자의 심리적 특성을 중심으로 분석하는 방법으로, 정답은 AIO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디자인에 있어서 여러 종류의 구성 요소를 주어진 지면에 효과적으로 배치하는 것은?

  1. 아이디어 스켓치(Idea sketch)
  2. 레이 아웃(Lay out)
  3. 렌더링(Rendering)
  4. 테크니컬 드로윙(Technical drawing)
(정답률: 82%)
  • 레이 아웃은 디자인 요소들을 조합하여 주어진 지면에 효과적으로 배치하는 것을 말합니다. 따라서 디자인의 전체적인 구성을 결정하고, 시각적인 효과를 극대화하는 역할을 합니다. 아이디어 스케치는 디자인 아이디어를 빠르게 스케치하는 것이고, 렌더링은 디자인 요소들을 현실적으로 표현하는 것이며, 테크니컬 드로잉은 디자인 요소들의 기술적인 세부사항을 나타내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기계의 장점을 이용하여 제품의 질(質)을 향상하려 하였던 단체는?

  1. 바우하우스(Bauhaus)
  2. 독일공작연맹(DWB)
  3. 드 스틸(De Stil)
  4. 유겐트스틸(Jugendstil)
(정답률: 55%)
  • 독일공작연맹(DWB)은 기계의 장점을 이용하여 제품의 질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표로 한 단체였습니다. 이를 위해 기술적인 혁신과 디자인의 혁신을 추구하였으며, 이는 바우하우스(Bauhaus)와 유사한 방향으로 발전하였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아르누보(Art Nouveau)양식의 특징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상징주의적 미학
  2. 기하학적 형태
  3. 우미주의적 미학
  4. 곡선적 형태
(정답률: 67%)
  • 아르누보 양식은 곡선적 형태와 상징주의적 미학, 우미주의적 미학을 중요시하는 양식입니다. 그러나 기하학적 형태는 아르누보 양식의 특징에 속하지 않습니다. 이는 아르누보 양식이 자연의 곡선적인 형태를 따르는 것을 선호하며, 기하학적인 형태보다는 유기적인 형태를 선호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제품의 이차적 품질 중 시장 적정인자에 해당되는 것은?

  1. 포장
  2. 디자인
  3. 스타일
  4. 색상
(정답률: 62%)
  • 포장은 제품의 안전한 보관과 운송을 보장하며, 제품의 외형적인 인상을 결정하는 요소이기 때문에 시장 적정인자에 해당됩니다. 디자인, 스타일, 색상은 제품의 시각적 요소이지만, 포장은 제품의 안전성과 외형적 요소 모두를 고려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다음 그림과 같은 두 형태에서 느낄수 있는 관계는?

  1. 대비(contrast)
  2. 반복(repetition)
  3. 통일(unity)
  4. 점증(gradation)
(정답률: 62%)
  • 두 형태는 크기와 모양이 다르며, 이로 인해 서로 대비가 생긴다. 대비는 서로 다른 것들이 함께 놓였을 때 두 가지 요소가 서로 다른 정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 경우 크기와 모양이 다르기 때문에 대비를 느낄 수 있다. 따라서 정답은 "대비(contrast)"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자연형태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자연현상이나 생물의 성장에 따라 형성된 형태이다.
  2. 규칙적이며 단순 명쾌한 감각을 갖는 형태이다.
  3. 유기적(organic)인 형태를 갖는다.
  4. 형태연구의 무궁한 근원이 된다.
(정답률: 75%)
  • "규칙적이며 단순 명쾌한 감각을 갖는 형태이다."가 틀린 설명이다. 자연형태는 규칙적이지 않을 수 있으며, 복잡하고 유기적인 형태를 갖는 경우도 있다. 예를 들어 나무의 가지나 뿌리, 돌의 모양 등이 자연형태에 해당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CAD 활용에 대한 내용 중 틀린 것은?

  1. 설계, 제조부분과 정보 네트워크 활용
  2. 렌더링에 의한 평가
  3. 다이내믹 시뮬레이션
  4. 창조적 아이디어 창출
(정답률: 72%)
  • "창조적 아이디어 창출"은 CAD 활용에 대한 올바른 내용이다. CAD는 디자인과 제조 과정에서 창조적인 아이디어를 도출하는 데 매우 유용하다. 디자인 과정에서 다양한 디자인 옵션을 시도해 볼 수 있고, 제조 과정에서는 생산성을 높이기 위한 창의적인 해결책을 찾을 수 있다. 따라서 "창조적 아이디어 창출"은 올바른 내용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기업의 관점에서 제품 계열을 구성하고 있는 물리적 실체에 변화를 추구하여 획기적으로 개선하는 것은?

  1. 제품 혁신
  2. 조직 혁신
  3. 공정 혁신
  4. 판매 혁신
(정답률: 77%)
  • 제품 혁신은 기업이 제품 계열을 구성하고 있는 물리적 실체에 변화를 추구하여 획기적으로 개선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는 제품의 기능, 디자인, 성능 등을 개선하여 고객의 만족도를 높이고 시장 경쟁력을 강화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기업은 제품 혁신을 통해 새로운 시장을 개척하고 성장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디자인에서 현실적인 제약에 구애받지 않고 이상적 비젼(vision)을 추구하는 단계는?

  1. 리스타일(Re style)
  2. 어드밴스드 디자인(Advanced design)
  3. 리 디자인(Re design)
  4. 이미지 디자인(Image design)
(정답률: 60%)
  • 이미지 디자인은 현실적인 제약을 고려하지 않고 이상적인 비젼을 추구하는 단계이다. 따라서 이미지 디자인은 다른 보기들과 달리 현재의 디자인을 개선하거나 재구성하는 것이 아니라 완전히 새로운 이미지를 창조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제품디자인의 실용적 조건과 가장 거리가 먼 요소는?

  1. 기능
  2. 구조
  3. 형태
  4. 유행
(정답률: 93%)
  • 유행은 제품의 실용적 조건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는 요소이기 때문에 가장 거리가 먼 요소이다. 제품의 기능, 구조, 형태는 제품의 사용성과 관련이 있지만 유행은 단지 시대적인 트렌드나 대중적인 취향에 따라 변화하는 것으로 제품의 기능성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다. 따라서 유행을 따르는 디자인은 잠시 동안 인기를 끌 수 있지만, 오래 지속되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공업디자인에 관한 설명 중 올바른 것은?

  1. 공장, 빌딩 등의 디자인이며 특히 내부를 인테리어 디자인이라 한다.
  2. 제품디자인이라고도 하며 기계생산에 의한 대량생산의 특성을 지녔다.
  3. 도자기 염색등과 같이 전통적인 물건의 일품(一品)제작의 디자인이다.
  4. 개성적 요소가 강하며, 복식이나 장신구 등의 코스츔 디자인을 말한다.
(정답률: 80%)
  • 공업디자인은 제품디자인이라고도 하며 기계생산에 의한 대량생산의 특성을 지녔다. 이는 공장에서 대량으로 생산되는 제품들을 디자인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다음 중 직선의 성질이 아닌 것은?

  1. 단순(單純)
  2. 명료(明瞭)
  3. 우아(優雅)
  4. 강직(强直)
(정답률: 93%)
  • 강직(强直)은 직선의 성질과 관련이 없는 단어입니다. 따라서 우아(優雅)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주로 디자인을 평가하는 기준으로 사용되는 방법은?

  1. 입출력법
  2. 체크리스트법
  3. 시네틱스법
  4. 브레인스토밍
(정답률: 58%)
  • 체크리스트법은 디자인에 대한 평가 기준을 명확하게 정리하고, 해당 기준에 대해 체크하여 평가하는 방법이기 때문에 주로 디자인을 평가하는 기준으로 사용됩니다. 다른 보기들은 디자인 개발 과정에서 활용되는 방법들이지만, 디자인 평가에 직접적으로 사용되는 것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세계산업디자인단체협의회의 명칭은?

  1. G.I.D.A
  2. I.C.S.I.D
  3. J.I.D.A
  4. S.I.A
(정답률: 75%)
  • I.C.S.I.D는 "International Council of Societies of Industrial Design"의 약자로, 세계산업디자인단체협의회를 의미합니다. 다른 보기들은 이와 관련이 없는 단체들의 약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산업혁명이 일어난 직접적인 원인이 아닌 것은?

  1. 수공업에 의한 개선책으로서 대량 생산에 의한 양질의 제품화
  2. 기계생산과정에 대한 응용의 증대
  3. 석탄, 철 등의 더욱 능률적인 생산
  4. 운수 및 통신의 빠른 방법의 건설
(정답률: 60%)
  • 산업혁명의 직접적인 원인은 "기계생산과정에 대한 응용의 증대", "석탄, 철 등의 더욱 능률적인 생산", "운수 및 통신의 빠른 방법의 건설"이었습니다. 이에 비해 "수공업에 의한 개선책으로서 대량 생산에 의한 양질의 제품화"는 간접적인 원인으로, 수공업에서 대량 생산 방식으로 전환함으로써 양질의 제품을 생산할 수 있게 되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1930년대 미국 산업디자인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곡선적인 유선형
  2. 상업적인 모더니즘
  3. 대량생산
  4. 유토피아적인 모더니즘
(정답률: 70%)
  • 정답: "유토피아적인 모더니즘"

    설명: 1930년대 미국 산업디자인은 곡선적인 유선형과 상업적인 모더니즘을 추구하면서 대량생산을 통해 제품을 대중화시키는 시기였습니다. 그러나 유토피아적인 모더니즘은 과학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인류가 이룰 수 있는 이상적인 사회를 상상하며 디자인하는 것을 의미하는데, 이는 1930년대 미국 산업디자인의 특징이 아니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어떤 기업에서 생산, 판매하고 있는 전체 제품군을 의미하는 것은?

  1. 제품 아이템(Product item)
  2. 제품 라인(Product line)
  3. 제품 믹스(Product mix)
  4. 제품 트렌드(Product trend)
(정답률: 42%)
  • 제품 믹스(Product mix)는 어떤 기업에서 생산, 판매하고 있는 전체 제품군을 의미합니다. 제품 아이템은 개별적인 제품을, 제품 라인은 비슷한 특성을 가진 제품들의 집합을, 제품 트렌드는 시장에서 인기 있는 제품의 경향을 나타내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제품 믹스가 전체 제품군을 나타내는 가장 적절한 용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실루엣(silhouette)이란?

  1. 화면에 점으로 묘사하는 방법
  2. 흑색바탕에 흰선으로 묘사하는 방법
  3. 기하곡선으로 구도하는 방법
  4. 밝은 바탕위에 흑색으로 윤곽을 나타내는 방법
(정답률: 80%)
  • 실루엣은 물체의 윤곽을 밝은 바탕 위에 검은색으로 나타내는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인간공학

21. 도형과 배경의 원리에 관한 내용 중 잘못된 것은?

  1. 1915년 덴마크 심리학자 루빈에 의하여 시작 되었다.
  2. 도형은 물질같은 성질을 지니며, 배경은 물건같은 성질을 지닌다.
  3. 도형은 관찰자에게 보다 가깝게 느껴지며 배경은 뒤에서 연속적으로 펼쳐진 느낌이다.
  4. 도형은 배경에 비하여 더욱 인상적이다.
(정답률: 82%)
  • 잘못된 것은 "도형은 물질같은 성질을 지니며, 배경은 물건같은 성질을 지닌다." 이다. 실제로는 도형과 배경은 모두 물질적인 성질을 지니며, 그들의 인식은 관찰자의 시각적인 경험과 상호작용에 따라 결정된다. 따라서 도형과 배경은 서로 구분되는 것이 아니라, 상호작용하며 인식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인체의 무게 중심이 달라지는데 가장 관계가 없는 것은?

  1. 나이
  2. 체중
  3. 신장
  4. 체격
(정답률: 77%)
  • 인체의 무게 중심은 체중, 신장, 체격과 밀접한 관련이 있지만, 나이는 무게 중심과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나이는 인체의 성장과 발달에 영향을 미치지만, 무게 중심은 인체의 형태와 구조에 따라 결정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나이는 무게 중심과는 관계가 없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출발, 정지, 점멸등의 작동을 위한 스냅 스위치(Snap switch)가 on 상태에서의 손잡이는 어느쪽을 향하는 것이 가장 좋은가?

  1. 상 또는 좌
  2. 상 또는 우
  3. 하 또는 좌
  4. 하 또는 우
(정답률: 70%)
  • 스냅 스위치가 on 상태에서 손잡이를 움직이면 출발, 정지, 점멸등이 작동하게 됩니다. 이때 손잡이를 상 또는 우쪽으로 움직이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이유는 손잡이를 상 또는 우쪽으로 움직이면 작동하는 스위치와 손잡이의 방향이 일치하기 때문에 더욱 안정적으로 작동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상 또는 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시각적 표시장치에 있어서 계수형 계기판의 장점은?

  1. 원하는 값으로 부터의 대략적인 편차를 알기 쉽다.
  2. 수치를 정확하게 읽을 수 있다.
  3. 량의 증감을 쉽게 판단할 수 있다.
  4. 나타내고자 하는 값의 범위가 클때 사용한다.
(정답률: 55%)
  • 계수형 계기판은 수치를 정확하게 표시할 수 있기 때문에 정확한 측정이 필요한 경우에 유용하게 사용됩니다. 다른 보기들은 대략적인 정보나 추정에 유용한 경우가 있지만, 계수형 계기판은 정확한 값을 필요로 하는 경우에 가장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손잡이에 필요한 조건 중 적합하지 못한 것은?

  1. 미끄러움이 적을 것
  2. 필요한 힘에 대하여 적당한 크기일 것
  3. 방향성을 다양하게 할 것
  4. 손에 상해를 주지 않도록 할 것
(정답률: 알수없음)
  • 손잡이의 역할은 손으로 물건을 잡고 움직일 때 힘을 전달하고, 손에 상해를 주지 않도록 보호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방향성을 다양하게 할 필요는 없습니다. 오히려 방향성이 다양하다면 손잡이를 잡는 것이 불편하고, 힘이 전달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방향성을 다양하게 할 것"은 적합하지 않은 조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인간공학에서 고려하여야 될 인간의 특성 요인 중 비교적 거리가 먼 것은?

  1. 지각, 감각능력
  2. 신체의 크기
  3. 성격차이
  4. 민족적, 성별차이
(정답률: 93%)
  • 인간공학에서 고려해야 할 인간의 특성 요인 중에는 지각, 감각능력, 신체의 크기, 민족적, 성별차이 등이 있습니다. 그러나 성격차이는 다른 요인들과는 달리 개인의 성격, 선호도, 행동 패턴 등과 같은 개인적인 특성으로서, 측정이나 분석이 어렵기 때문에 비교적 거리가 먼 요인으로 분류됩니다. 따라서 인간공학적 설계나 개발에서는 성격차이를 고려하기보다는 보다 구체적이고 측정 가능한 요인들을 중심으로 고려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다음 중 경계 및 경보 신호의 설계 지침으로 가장 올바른 것은?

  1. 귀는 고음역에 민감하므로 5000㎐ ~ 20000㎐의 진동수를 사용한다.
  2. 저음은 멀리 가지 못하므로 장거리용으로는 1000㎐ 이상의 진동수를 사용한다.
  3. 배경소음의 진동수와 같은 신호를 사용한다.
  4. 가능하면 다른 용도로는 사용하지 않는 별도의 확성기나 경적과 같은 통신 계통을 사용한다.
(정답률: 82%)
  • 경계 및 경보 신호는 사람들이 주의를 기울이고 대처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따라서 가능하면 다른 용도로는 사용하지 않는 별도의 확성기나 경적과 같은 통신 계통을 사용해야 한다. 이는 경보 신호가 다른 소리와 혼동되지 않도록 하고,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다른 보기들은 경계 및 경보 신호의 설계에 대한 올바른 지침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공장내의 쾌적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일반적으로 알맞은 온도 및 습도는?

  1. 온도 10℃, 습도 90% 이상
  2. 온도 15℃, 습도 80% 이하
  3. 온도 20℃, 습도 65% 정도
  4. 온도 28℃, 습도 45% 정도
(정답률: 70%)
  • 공장 내에서 작업자들이 일하는 동안 쾌적한 환경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온도와 습도가 적절한 범위 내에 있어야 합니다.

    온도가 너무 낮으면 작업자들이 춥고 불편하게 느끼고, 작업 효율이 떨어질 수 있습니다. 또한, 습도가 너무 높으면 작업자들이 땀을 많이 흘리게 되고, 작업 환경이 불쾌해지며, 노동자 건강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공장 내에서 쾌적한 환경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온도는 20℃, 습도는 65% 정도가 적절한 범위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 범위 내에서 작업자들은 편안하게 일할 수 있으며, 작업 효율도 높아질 수 있습니다.

    그러나, 다른 보기들인 온도 10℃, 습도 90% 이상, 온도 15℃, 습도 80% 이하, 온도 28℃, 습도 45% 정도는 각각 온도나 습도가 적절한 범위를 벗어나므로, 작업자들이 불편하게 느끼거나 건강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양쪽눈에 의한 최대 시야각은?

  1. 120°
  2. 140°
  3. 188°
  4. 220°
(정답률: 70%)
  • 인간의 시야각은 대략 180도에서 190도 사이이며, 이는 양쪽 눈의 시야각을 합한 값입니다. 따라서 양쪽 눈의 시야각이 최대인 경우, 최대 시야각은 188도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집단 작업공간의 조명방법으로 조도분포를 일정하게 하고 시야의 밝기를 일정하게 만들어 작업의 환경여건을 올릴 수 있는 것은?

  1. 방향조명
  2. 투과조명
  3. 전반조명
  4. 근자외선조명
(정답률: 77%)
  • 전반조명은 조도분포를 일정하게 유지하고 시야의 밝기를 균일하게 만들어 작업환경을 개선할 수 있는 조명방법입니다. 따라서 집단 작업공간에서는 전반조명이 가장 적합한 조명방법입니다. 방향조명은 특정한 방향으로 조명을 집중시켜 작업환경을 개선하는 방법이며, 투과조명은 불투명한 재질을 통과하는 조명방법입니다. 근자외선조명은 근적외선을 이용하여 작업환경을 개선하는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눈의 기능에서 시력이상에 관한 설명 중 맞는 것은?

  1. 근시는 상이 망막의 후방에 맺혀진다.
  2. 원시는 상이 망막의 전방에 맺혀진다.
  3. 근시는 오목렌즈로 교정할 수 있다.
  4. 근시는 나이가 많이 들수록 생겨난다.
(정답률: 67%)
  • 정답: "근시는 오목렌즈로 교정할 수 있다."

    근시는 눈의 굴절력이 강해져서 먼 거리의 물체를 보기 어렵게 되는 시력 이상입니다. 이는 눈의 초점이 망막 앞에 위치하기 때문에 발생합니다. 따라서, 오목렌즈를 사용하여 빛을 더 강하게 굴절시켜 눈의 초점을 망막에 맞추어 근시를 교정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잔상(after images)에 관한 설명 중 올바른 것은?

  1. 양잔상이란 흑은 흑으로 시신경의 흥분이 남아 있는 상태를 일컫는다.
  2. 보색잔상이란 흑에 대한 자극에 대하여 백으로 자극이 남아있는 상태로 양잔상이라고 말한다.
  3. 음잔상이란 백으로 온 자극이 백으로 남아있는 상태를 말한다.
  4. 자극의 보색이 잔상으로 남는 것은 양잔상에 해당된다.
(정답률: 58%)
  • 정답은 "양잔상이란 흑은 흑으로 시신경의 흥분이 남아 있는 상태를 일컫는다." 이다. 이유는 양잔상은 원래 자극이 있던 색과 반대되는 색으로 잔상이 남는 것이 아니라, 원래 자극이 있던 색과 같은 색으로 잔상이 남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듣기가 불쾌해지는(통각의 역) 소리의 강도는 몇 데시벨(㏈) 부터인가?

  1. 40 ㏈
  2. 60 ㏈
  3. 80 ㏈
  4. 120㏈
(정답률: 55%)
  • 듣기가 불쾌해지는 소리의 강도는 개인차가 있지만, 일반적으로 120㏈ 이상일 때 불쾌감을 느끼게 됩니다. 이는 인간의 청각기관이 120㏈ 이상의 소리를 받았을 때 손상을 입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120㏈ 이상의 소리는 귀를 보호하기 위해 피해야 할 소리 강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좁은 방에 둥근 천장(dome)을 하면 소음은 어떻게 되는가?

  1. 음이 전부 작업원(作業員)이나 방안 사람의 머리위에 집중된다.
  2. 음이 전부 분산된다.
  3. 음이 전부 흩어져 알아듣기 어렵다.
  4. 음이 전부 혼합되어 사라진다.
(정답률: 75%)
  • 좁은 방에 둥근 천장을 하면 음파가 반사되어 돌아오는 경로가 많아지기 때문에 음이 전부 작업원이나 방안 사람의 머리위에 집중된다. 이는 에코 현상과 비슷한 원리이다. 따라서 소음이 더욱 심해질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작업효율에 관한 다음 설명 중 올바른 것은?

  1. 어떤 조건하에서 일정한 일을 함에 신속, 확실, 효과적으로 해낼 수 있는 능력을 말한다.
  2. 신체적으로 보다 큰 에너지 소모가 있을 때 작업효율이 있다라고 한다.
  3. 신경적으로는 보다 큰 긴장, 심리적으로는 보다 큰 노력감이 있을때 작업효율이 좋다라고 한다.
  4. 심신반응을 S, 실현하여 얻은 작업을 P라고 하면 작업효율은 E=S/P라고 정의 할 수 있다.
(정답률: 85%)
  • 정답은 "어떤 조건하에서 일정한 일을 함에 신속, 확실, 효과적으로 해낼 수 있는 능력을 말한다." 이다. 이는 작업을 효율적으로 수행하는 능력을 의미한다. 다른 보기들은 작업효율과 관련이 있지만, 작업효율을 정의하는 것은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다음 중 신체운동시 발생하는 생리변화가 아닌 것은?

  1. 산소섭취량이 증가한다.
  2. 산소부채가 발생한다.
  3. 혈액이 묽어진다.
  4. 혈압이 상승한다.
(정답률: 92%)
  • 정답: "혈액이 묽어진다."

    설명: 신체운동시에는 산소섭취량이 증가하고, 이에 따라 산소부채가 발생하여 혈액의 산소포화도가 높아지게 됩니다. 이로 인해 혈압이 상승할 수 있지만, 혈액이 묽어지는 것은 생리적으로 일어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다음 일련의 그림들은 시지각의 어떤 경험 이론을 보여주기 위한 것인가?

  1. 배타성
  2. 연속성
  3. 폐쇄성
  4. 접근성
(정답률: 46%)
  • 이 그림들은 접근성의 경험 이론을 보여준다. 이 이론은 인간이 환경을 인식하고 이해하는 방식에 대한 이론으로, 인간은 주변 환경에서 가장 먼저 인식되는 것에 주목하고, 이를 기반으로 환경을 이해하고 대처한다는 것을 강조한다. 이 그림들도 마찬가지로, 가장 먼저 인식되는 것에 주목하고, 이를 기반으로 그림 전체를 이해하고 해석할 수 있다. 따라서 이 그림들은 접근성의 경험 이론을 보여주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생체의 모습을 그림상으로 하는 도상화 측정법은?

  1. 크로노사이클 그래프(chronocycle graph)법
  2. 아이코노그래피(iconography)법
  3. 몰라즈(moulage)법
  4. 스트로보(strobo)법
(정답률: 59%)
  • 아이코노그래피(iconography)법은 생체의 모습을 그림으로 나타내어 측정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생체의 구조와 형태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어 의학 분야에서 많이 사용된다. 다른 보기들은 생체의 움직임이나 형태를 측정하는 방법이지만, 아이코노그래피법은 생체의 모습을 그림으로 나타내어 측정하는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입사광속(入射光線)의 단위면적당 밀도를 그 면의 무엇이라고 하는가?

  1. 휘도
  2. 광도
  3. 조도
  4. 명도
(정답률: 70%)
  • 입사광속의 단위면적당 밀도를 조도라고 한다. 이는 해당 면에 도달하는 광량의 양을 면적으로 나눈 값으로, 해당 면에서 인식되는 밝기를 나타내는 데 사용된다. 즉, 조도는 빛의 밝기를 나타내는 단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앉아서 일할 때의 작업대 높이는 작업의 종류에 따라 달라진다. 작업대가 높은 순서로 맞게 배치된 것은?

  1. 타이핑(typing) - 쓰고, 읽기 - 정밀작업
  2. 정밀작업 - 쓰고, 읽기 - 타이핑
  3. 쓰고, 읽기 - 정밀작업 - 타이핑
  4. 정밀작업 - 타이핑 - 쓰고, 읽기
(정답률: 67%)
  • 정밀작업은 시력과 집중력이 매우 중요한 작업이므로 눈과 손이 가까이 있어야 하며, 적극적인 자세로 일을 해야 한다. 따라서 작업대가 높은 것이 적합하다. 타이핑은 손가락을 이용하여 작업을 하므로 손과 키보드가 가까이 있어야 하며, 팔과 어깨가 편안한 자세로 일할 수 있도록 작업대가 낮은 것이 적합하다. 따라서 "정밀작업 - 쓰고, 읽기 - 타이핑" 순서로 작업대가 배치되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공업재료 및 모형제작론

41. 그림과 같은 단면 표시는 어떤 재료를 의미 하는가?

  1. 강철
  2. 백색금속
  3. 청동
  4. 고무
(정답률: 71%)
  • 이 그림은 강철 재료의 단면 표시입니다. 강철은 철과 탄소를 합금한 금속으로, 높은 강도와 내구성을 가지고 있어서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사용됩니다. 이 그림에서는 강철의 특징인 균일한 구조와 길쭉한 입자들이 보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강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다음 도구류의 사용방법을 올바르게 설명한 것은?

  1. 사포의 번호가 큰것부터 사용하여 마무리 할때 는 작은 번호로 한다.
  2. 줄은 밀때만 힘을 주어야 한다.
  3. 에폭시 수지계 접착제는 하온에서 경화 접착한다.
  4. 면고르기 대패질 방향은 나뭇결과 반대방향으로 한다.
(정답률: 50%)
  • "줄은 밀때만 힘을 주어야 한다."는 줄을 당기는 것보다 밀어내는 것이 더 효과적이기 때문이다. 당기는 경우에는 줄이 미끄러져서 힘이 빠지고, 밀어내는 경우에는 미끄러짐이 없어서 힘이 유지된다. 따라서 줄을 밀어내는 것이 더 효과적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철재 책상의 산화방지를 위해 고온에서 소부도장을 하고자 한다. 다음 도료 중 고온에서도 작업이 가능하며 내열성이 가장 우수한 것은?

  1. 폴리우레탄 수지도료
  2. 에폭시수지도료
  3. 비닐계 도료
  4. 실리콘 수지도료
(정답률: 54%)
  • 실리콘 수지도료는 고온에서도 작업이 가능하며 내열성이 가장 우수한 도료이다. 이는 실리콘 수지가 고온에서도 안정적이며, 내열성이 뛰어나기 때문이다. 따라서 철재 책상의 산화방지를 위해 고온에서 소부도장을 할 때에는 실리콘 수지도료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적합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석고모형 제작시 만형(挽型 ; Template)의 적정두께는?

  1. 0.2mm
  2. 0.5mm
  3. 1mm
  4. 2mm
(정답률: 54%)
  • 만형은 석고모형의 형태를 결정하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만형의 적정두께는 석고모형의 크기와 복잡도, 사용되는 재료 등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0.5mm 정도가 적당합니다. 이는 충분한 강도와 세밀한 디테일을 보장하기 위한 것입니다. 0.2mm는 너무 얇아서 부서질 위험이 있고, 1mm 이상은 너무 두껍기 때문에 디테일이 떨어질 수 있습니다. 2mm는 너무 두껍기 때문에 석고모형의 무게가 무거워지고, 제작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점토의 소성시 변형을 가장 많이 일으키는 것은?

  1. 분말도가 치밀한 것
  2. 석영 성분이 많은 것
  3. 유기질 성분이 적은 것
  4. 반죽이 잘된 것
(정답률: 47%)
  • 분말도가 치밀한 것은 입자간의 접촉면적이 크기 때문에 물과의 상호작용이 높아져 변형이 많이 일어납니다. 따라서 점토의 소성시 변형을 가장 많이 일으키는 것은 분말도가 치밀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디자인 과정에서 제품이 완성되었을 때의 상태를 실물처럼 사실적으로 표현한 것은?

  1. 스케치
  2. 렌더링
  3. 투시도
  4. 드로잉
(정답률: 94%)
  • 렌더링은 디자인 과정에서 제품이 완성되었을 때의 상태를 실물처럼 사실적으로 표현하는 기술입니다. 따라서 렌더링은 보기 중에서 정답입니다. 스케치, 투시도, 드로잉은 디자인 과정에서 아이디어를 구상하거나 초안을 그리는 단계에서 사용되는 기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점토모형(clay model)의 특징을 잘 설명한 것은?

  1. 표면처리가 자유롭다.
  2. 형태의 곡면표현에 적합하다.
  3. 평면성(平面性)강조에 용이하다.
  4. 형태의 질감, 양감, 색채 등을 쉽게 표현할 수 있다.
(정답률: 59%)
  • 점토모형은 형태의 곡면표현에 적합하다는 특징이 있다. 이는 점토의 유연성과 가변성 때문인데, 점토를 손으로 빚어가며 원하는 곡면을 만들어낼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자동차나 가구 등의 제품 디자인에서 많이 사용되며, 곡면이 많은 제품의 디자인에 유용하게 활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사진제판에서 망점과 올이 겹쳐지게 되어 생기는 반점은?

  1. 모아레(Moire)
  2. 메쉬(Mesh)
  3. 하프톤(Half tone)
  4. 톤(Tone)
(정답률: 77%)
  • 모아레는 사진제판에서 망점과 올이 겹쳐지면서 생기는 반점 현상을 말합니다. 이는 격자무늬나 줄무늬 등이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을 때, 다른 격자나 줄무늬와 겹쳐지면서 생기는 교차 패턴으로 인해 발생합니다. 따라서, 모아레가 정답입니다. 메쉬는 격자나 망을 의미하며, 하프톤은 점과 점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여 그라데이션 효과를 만들어내는 기술을 말합니다. 톤은 색조나 명도를 나타내는 단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다음 프레스 가공의 분류 중 드로잉 가공 그룹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교축 가공
  2. 역교축 가공
  3. 버어링 가공
  4. 아이오닝 가공
(정답률: 54%)
  • 버어링 가공은 베어링과 관련된 부품을 가공하는 것으로, 드로잉 가공 그룹에 속하지 않습니다. 드로잉 가공은 주로 시트 메탈을 이용하여 복잡한 형상을 만드는 가공 방법으로, 교축 가공, 역교축 가공, 아이오닝 가공 등이 속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도면에 치수기입시 제일 집중적으로 기입하는 투상도는?

  1. 평면도
  2. 정면도
  3. 좌측면도
  4. 우측면도
(정답률: 67%)
  • 정면도는 도면에서 가장 중요한 시각적 정보를 제공하기 때문에 치수를 기입할 때 가장 집중적으로 기입하는 투상도입니다. 정면도는 물체의 전면을 보여주기 때문에 물체의 형태와 크기를 가장 잘 파악할 수 있습니다. 또한, 다른 투상도와 함께 사용하여 물체의 전반적인 모습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목재가 건조 수축시 나타나는 섬유 방향 : 무늬결 방향 : 곧은결 방향의 수축비율은?

  1. 1 : 10 : 20
  2. 1 : 15 : 20
  3. 1 : 10 : 15
  4. 2 : 10 : 15
(정답률: 42%)
  • 목재가 건조 수축할 때, 무늬결 방향은 곧은결 방향보다 수축비율이 적고, 방향이 다른 경우 수축비율도 다르게 나타납니다. 따라서, 섬유 방향 : 무늬결 방향 : 곧은결 방향의 수축비율은 1 : 10 : 20 입니다. 이유는, 섬유 방향은 수축이 거의 없고, 무늬결 방향은 약간의 수축이 있으며, 곧은결 방향은 가장 많은 수축이 일어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유리의 연화 온도는 일반적으로 몇 ℃ 정도인가?

  1. 200 – 400℃
  2. 400 - 800℃
  3. 800 – 900℃
  4. 1000 - 1200℃
(정답률: 59%)
  • 유리의 연화 온도는 유리의 분자 구조와 관련이 있으며, 일반적으로 400 - 800℃ 정도이다. 이는 유리가 이 온도 범위에서 유동성을 띄기 시작하여 형태가 변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유리를 가열할 때 이 온도 범위를 넘어가면 유리가 녹아버리거나 변형될 수 있다. 다른 보기들은 유리의 연화 온도보다 낮거나 높은 온도 범위를 제시하고 있으므로 정답이 될 수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다음 중 니켈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화학적으로 안전하고 내식성,내열성,전연성이 있다.
  2. 은백색의 화려한 금속이다.
  3. 내해수성이 백금처럼 우수해서 스테인레스강과 비등하다.
  4. 식품공업용,진공관,화폐,전기도금용으로 사용한다.
(정답률: 50%)
  • 정답: "내해수성이 백금처럼 우수해서 스테인레스강과 비등하다."

    설명: 니켈은 내식성, 내열성, 전연성이 뛰어나고 화학적으로 안전한 금속이며, 은백색의 화려한 금속입니다. 그러나 니켈은 스테인레스강과 비등하지 않습니다. 스테인레스강은 니켈을 함유하고 있지만, 니켈 자체는 스테인레스강과 비등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다음 피혁 중 유연하고 은면층이 두껍고 방한성이 가장 우수한 것은?

  1. 돈피
  2. 우피
  3. 마피
  4. 양피
(정답률: 73%)
  • 양피는 다른 피혁에 비해 유연하고 은면층이 두껍고 방한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가장 우수한 것입니다. 돈피는 두껍고 단단하지만 유연성이 떨어지며, 우피는 유연성은 있지만 방한성이 떨어집니다. 마피는 가죽의 질감이 부드럽고 좋지만 방한성이 떨어지며, 양피는 유연성과 방한성이 모두 우수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폴리에틸렌(Poly ethylene)의 일반적인 설명 중 맞는 것은?

  1. 가스나 냄새의 투과성이 없다.
  2. 상온에서 유연성이 없다.
  3. 도료가 표면에 잘 접착된다.
  4. 열가소성 수지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폴리에틸렌은 열가소성 수지이기 때문에 고온에서 녹아 흐르는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는 열가소성 수지의 대표적인 특징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폴리에틸렌은 고온에서 변형되거나 손상될 수 있으며, 이를 방지하기 위해 적절한 열처리가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실크스크린 인쇄의 특징 중 맞지 않는 것은?

  1. 수량이 적을때가 좋다.
  2. 인쇄판이 유연하지 못하기 때문에 평판에만 가능하다.
  3. 잉크의 선택이 자유로우며 대형 인쇄물에 적당하다.
  4. 스퀴지의 조작으로 다양한 색을 낼 수 있다.
(정답률: 63%)
  • 인쇄판이 유연하지 못하기 때문에 평판에만 가능하다는 것은 맞지 않는 것입니다. 오히려 인쇄판은 유연하고 다양한 형태로 제작할 수 있어서 곡면이나 원형 등 다양한 형태의 인쇄물에도 적용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다음 접착제 중 연질 PVC와 PE이외에 모든 재료에 잘 접착되며, 초기접착력이 강하고 탄력이 뛰어난 반면 연화점이 낮으며 모형제작시 많이 사용되는 것은?

  1. 염화비닐 접착제
  2. 클로로 포름계의 콘택트형 접착제
  3. 폴리에스테르 접착제
  4. 멜라민계 접착제
(정답률: 44%)
  • 클로로 포름계의 콘택트형 접착제는 연질 PVC와 PE 이외의 모든 재료에 잘 접착되며, 초기접착력이 강하고 탄력이 뛰어납니다. 또한 연화점이 낮아 모형제작시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셀로판(Cellophane)의 설명 중 잘못된 것은?

  1. 내수성이 좋다.
  2. 투명성, 광택성이 있다.
  3. 인쇄적성이 있다.
  4. 가스(Gas)차단성이 있다.
(정답률: 42%)
  • 잘못된 것은 "내수성이 좋다." 이다. 셀로판은 물에 녹지 않는 특성이 있어 내수성이 좋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디자인 프로세스 가운데 최종단계에서 기능 및 성능 등의 메커니즘을 확인하기 위하여 제작하는 모델은?

  1. 워킹모델(Working Model)
  2. 다미모델(dumy model)
  3. 스켓치모델(Sketch model)
  4. 스케일 모델(Scale model)
(정답률: 86%)
  • 워킹모델(Working Model)은 디자인 프로세스의 최종단계에서 기능 및 성능 등의 메커니즘을 확인하기 위하여 제작하는 모델이다. 이 모델은 실제로 작동하는 프로토타입으로, 제품의 기능과 성능을 검증하고 수정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따라서 워킹모델은 다른 모델들인 다미모델(dumy model), 스케치모델(Sketch model), 스케일 모델(Scale model)과는 달리 실제로 작동하는 모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열가소성(可塑性)수지에 관한 설명 중 올바른 것은?

  1. 가열하면 유동성을 가지며 가소성을 나타낸다.
  2. 가열하면 유동성은 없으나 가소성을 나타낸다.
  3. 가열하면 유동성은 있으나 가소성이 없다.
  4. 가열하여도 유동성과 가소성이 없다.
(정답률: 74%)
  • 가열하면 수지 분자들이 열에 의해 움직이며 분자 간 거리가 멀어지게 되어 유동성을 가지게 됩니다. 이때 수지는 변형이 가능하며, 이를 가소성이라고 합니다. 따라서 "가열하면 유동성을 가지며 가소성을 나타낸다."가 올바른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색채학

61. 색의 온도감을 설명한 것 중 맞는 것은?

  1. 장파장의 색이 따뜻한 느낌을 준다.
  2. 온도감은 색의 3속성 중 명도의 효과가 크다.
  3. 무채색에서는 명도가 높을수록 따뜻하다.
  4. 저채도, 단파장의 색은 따뜻한 느낌을 준다.
(정답률: 알수없음)
  • 장파장의 색이 따뜻한 느낌을 준다는 이유는, 장파장의 색은 빨간색, 주황색, 노란색 등 따뜻한 색조를 포함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러한 색들은 우리에게 따뜻하고 활기찬 느낌을 줍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좁은 방을 시각적으로 넓고 시원하게 느껴지게 하려면 어느 배색이 가장 효과적인가?

  1. 고명도의 한색계
  2. 중명도의 한색계
  3. 고채도의 난색계
  4. 저명도의 난색계
(정답률: 70%)
  • 좁은 방을 시각적으로 넓고 시원하게 느껴지게 하려면 고명도의 한색계가 가장 효과적입니다. 고명도의 한색계는 색의 밝기가 높고 채도가 낮아 시선을 분산시키지 않아 방을 더 넓게 보이게 만들어줍니다. 반면에 중명도의 한색계나 고채도의 난색계는 시선을 분산시켜 방을 더 작게 보이게 만들어버리고, 저명도의 난색계는 어둡고 무거운 느낌을 줘서 방을 더 좁게 보이게 만들어줍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프리즘을 이용하여 가시 스펙트럼 색대를 발견한 사람은?

  1. 먼셀(Munsell)
  2. 오스트발트(Ostwald)
  3. 맥스웰(Maxwell)
  4. 뉴톤(Newton)
(정답률: 77%)
  • 프리즘을 이용하여 가시 스펙트럼 색대를 발견한 사람은 뉴턴(Newton)입니다. 뉴턴은 1666년에 유리 프리즘을 사용하여 햇빛을 분해하고, 그 결과로 무지개 색대를 발견하였습니다. 이를 통해 빛이 다양한 색상으로 구성되어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으며, 이는 현대 물리학의 기초가 되는 중요한 발견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다음색 중 연상작용에서 엄숙, 신비, 불안, 우월의 색감을 나타내는 색은?

  1. green
  2. red
  3. yellow
  4. red purple
(정답률: 74%)
  • "Red purple"은 빨간색과 보라색이 혼합된 색으로, 빨간색은 엄숙하고 우월한 느낌을 주며 보라색은 신비롭고 불안한 느낌을 줍니다. 따라서 "red purple"은 연상작용에서 엄숙, 신비, 불안, 우월의 색감을 나타내는 색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명도와 채도에 관한 수식어 중 가장 고채도를 나타내는 것은?

  1. bright
  2. pale
  3. vivid
  4. deep
(정답률: 54%)
  • "Vivid"는 색상이 매우 선명하고 강렬하며, 채도가 높은 것을 나타내는 수식어입니다. 따라서 "vivid"가 가장 고채도를 나타내는 것입니다. "Bright"는 밝은 색상을 나타내지만, 채도가 높은 것은 아니며, "pale"은 색상이 옅고 채도가 낮은 것을 나타냅니다. "Deep"는 색상이 짙고 깊은 것을 나타내지만, 채도와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태양빛 아래서 모든색이 적절히 흡수반사가 일어났을 때 보이는 가장 가까운 물체의 표면색은?

  1. 청색
  2. 검정
  3. 회색
  4. 빨강
(정답률: 79%)
  • 태양빛은 모든 색을 포함하고 있으며, 물체의 색은 그 물체가 받아들인 색 중에서 우리 눈에 보이는 색입니다. 따라서, 모든 색을 적절히 흡수하고 반사하는 물체는 흰색으로 보일 것입니다. 하지만, 가장 가까운 물체의 표면은 일반적으로 완벽한 반사를 하지 않으므로, 흰색이 아닌 다른 색으로 보일 수 있습니다. 이 경우, 회색은 모든 색을 비슷한 비율로 반사하기 때문에 가장 가까운 물체의 표면색으로 보이게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회색"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다음 먼셀 색채기호 중 중성색인 연두색은?

  1. 5Y 9/14
  2. 10Y 7/8
  3. 5YR 6/12
  4. 5GY 7/10
(정답률: 90%)
  • 연두색은 노란색과 초록색이 혼합된 색으로, 먼셀 색채기호에서는 "GY"로 표기됩니다. 중성색이란 색상의 밝기와 채도가 모두 중간 정도인 색을 말하는데, "5GY 7/10"은 밝기가 7, 채도가 10인 중성 연두색을 나타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다음 색 중 보색관계에 있지 않은 색은? (단, 20색상환에서)

  1. 노랑 – 남색
  2. 빨강 - 청록
  3. 주황 – 보라
  4. 자주 - 녹색
(정답률: 74%)
  • 주황과 보라는 서로 보색관계에 있지 않습니다. 보색관계란 색상환에서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있는 색상들을 말합니다. 예를 들어, 빨강과 청록은 색상환에서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있으므로 보색관계입니다. 하지만 주황과 보라는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있지 않으므로 보색관계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바탕색에 따라서 어떤색이 맑게 혹은 탁하게 느껴지는 것은?

  1. 색상대비
  2. 보색대비
  3. 명도대비
  4. 채도대비
(정답률: 77%)
  • 바탕색과 대조되는 색의 채도 대비가 높을수록 맑게 느껴지고, 채도 대비가 낮을수록 탁하게 느껴진다. 따라서 정답은 "채도대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적색에 백색을 가하면 핑크색으로 변한다. 이때 핑크색은 어떻게 되었다고 할 수 있는가?

  1. 적색보다 명도는 높아졌고 채도는 낮아졌다.
  2. 적색보다 명도, 채도 모두 높아졌다.
  3. 적색보다 명도는 낮아졌고 채도는 높아졌다.
  4. 적색보다 명도, 채도 모두 낮아졌다.
(정답률: 64%)
  • 적색과 백색을 섞으면 색상이 핑크색으로 변하는데, 이는 적색의 채도와 밝기가 낮아지고, 백색의 채도와 밝기가 높아져서 적색보다는 명도는 높아지고 채도는 낮아진 것이다. 따라서 정답은 "적색보다 명도는 높아졌고 채도는 낮아졌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현색계(顯色系)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색지각의 심리적인 3속성에 따라서 행해진다.
  2. 심리,물리적인 빛의 혼색 실험에 기초를 두었다.
  3. 색표에 의한 표면 지각을 수반하는 것을 말한다.
  4. 물체의 개념이 수반되는 색채를 설명하는 방법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심리,물리적인 빛의 혼색 실험에 기초를 두었다."는 올바른 설명이 아닙니다. 현색계는 물체의 개념이 수반되는 색채를 설명하는 방법이며, 색지각의 심리적인 3속성에 따라서 행해집니다. 또한, 색표에 의한 표면 지각을 수반하는 것을 말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색의 표시 5Y 9/14에서 명도는? (단, Munsell 표색계)

  1. 5
  2. 9
  3. 14
  4. 0.64
(정답률: 80%)
  • Munsell 표색계에서 "5Y"는 노란색 계열의 색조를 나타내며, "9/14"는 명도와 채도를 나타냅니다. 여기서 "9"는 해당 색의 명도를 나타내며, 0부터 10까지의 범위에서 측정됩니다. 따라서 이 색의 명도는 9입니다. "14"는 채도를 나타내며, 0부터 40까지의 범위에서 측정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미술관이나 박물관내 전시물 진열대의 색채계획에서 가장 중점적으로 고려할 사항은?

  1. 진열물의 배경을 변화있게 한다.
  2. 진열물의 배경이 반사되게 한다.
  3. 진열물과 배경이 대비되게 한다.
  4. 진열물과 배경이 유사 조화를 이루게 한다.
(정답률: 75%)
  • 진열물과 배경이 대비되게 함으로써, 전시물이 더욱 두드러지고 강조되어 시선을 끌어내어 관람객들의 관심을 높일 수 있기 때문이다. 이는 전시물의 인상을 더욱 강화시키고, 전시물과 배경의 조화를 더욱 뚜렷하게 만들어준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C.H.M(Color Harmony Manual)은 누구의 색채조화이론을 바탕으로 한 것인가?

  1. 문.스펜서
  2. 오스트발트
  3. 먼셀
  4. 그레이브스
(정답률: 54%)
  • C.H.M은 오스트발트의 색채조화이론을 바탕으로 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먼셀(A.H.Munsell)의 표색계(表色系)를 설명한 것 중 옳은 것은?

  1. 먼셀 표색계는 헤링(E.Hering)의 4원색설을 기본으로 하고 있다.
  2. 먼셀 표색계의 명도축에는 1에서 14까지 번호가 붙여지고 있다.
  3. 먼셀 표색계의 주요 5색은 적색, 황색, 녹색, 청색, 자색이다.
  4. 먼셀 표색계에서는 W+B+C=100% 이라는 공식이 성립된다.
(정답률: 65%)
  • 먼셀 표색계의 주요 5색은 적색, 황색, 녹색, 청색, 자색이다. 이는 먼셀이 4원색설을 기반으로 하되, 보다 정교한 색상 분류를 위해 보색을 추가한 결과이다. 이 5색은 각각의 색상이 균등하게 분포되어 있으며, 이를 기반으로 다양한 색상을 분류하고 조합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문· 스펜서의 색채조화론에 있어서 조화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배색
  2. 동일
  3. 유사
  4. 대비
(정답률: 47%)
  • 문·스펜서의 색채조화론에서 "배색"은 조화의 종류가 아닙니다. 이는 "색채의 밝고 어두운 정도를 조절하여 색의 진한 정도를 바꾸는 것"으로, 조화의 종류는 "동일", "유사", "대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감법 혼색의 3원색이 아닌 것은?

  1. 황(Yellow)
  2. 적자(Magenta)
  3. 청(Cyan)
  4. 녹(Green)
(정답률: 62%)
  • 감법 혼색에서는 빨강, 파랑, 초록 세 가지 색을 기본 색상으로 사용합니다. 따라서 "녹(Green)"은 감법 혼색의 3원색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활동이 적고 오랜시간 머무는 방은 어떤색을 선택하는 것이 가장 좋은가?

  1. 중성색이나 한색계
  2. 비교적 강한색
  3. 난색계열의 색
  4. 회색계통이나 난색계
(정답률: 67%)
  • 활동이 적고 오랜시간 머무는 방은 중성색이나 한색계를 선택하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이는 비교적 강한색이나 난색계열의 색은 시각적으로 지루하고 지속적으로 노출될 경우 지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회색계통이나 난색계는 불안정한 느낌을 줄 수 있으므로, 중성색이나 한색계를 선택하여 안정적이고 조화로운 분위기를 조성하는 것이 좋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한국산업규격의 안전 색채 사용 통칙에서 "위험"을 표시하는 기본색은?

  1. 회색
  2. 자주
  3. 노랑
  4. 주황
(정답률: 40%)
  • 주황색은 눈에 띄고 경고하는 효과가 있어 위험을 표시하는 데 적합하다. 또한 국제적으로도 위험을 나타내는 색으로 인정받고 있어 선택되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오스트발트 표색계에서 완전색(순색)을 표시하는 기호는?

  1. A
  2. B
  3. C
  4. W
(정답률: 72%)
  • 정답은 "C"입니다.

    오스트발트 표색계에서 완전색(순색)을 표시하는 기호는 알파벳과 숫자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코드입니다. 이 코드는 색상의 삼원색 값(빨강, 초록, 파랑)을 나타내며, "C"는 빨강 값이 가장 높은 색상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C"는 완전한 빨간색을 나타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