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공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6-08-06)

항공기사
(2006-08-06 기출문제)

목록

1과목: 항공역학

1. 날개면적이 30m2이고, 날개의 스팬(Span)이 14m 일 때 가로 세로비는 얼마인가?

  1. 6.5
  2. 7.5
  3. 9.0
  4. 14.0
(정답률: 알수없음)
  • 가로 세로비는 날개면적을 스팬의 제곱으로 나눈 값의 제곱근이다. 따라서, 가로 세로비 = √(30/14²) = 6.5 이므로 정답은 "6.5"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어떤 항공기가 5,000m 고도를 576km/h 로 비행하고 있다 날개면적은 135m2 이고, 이 때의 항력계수는 0.027 이다. 필요마력(ps)은 얼마인가? (단, 공기의 밀도 = 0.075 kgㆍs2/m4)

  1. 47
  2. 93
  3. 7,456
  4. 14,930
(정답률: 알수없음)
  • 필요마력(ps)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필요마력(ps) = (항력(N) × 비행속도(m/s)) ÷ 746

    항력(N)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항력(N) = 0.5 × 공기밀도(kg/m3) × 비행속도(m/s)2 × 날개면적(m2) × 항력계수

    따라서, 필요마력(ps)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항력(N) = 0.5 × 0.075 × (576 ÷ 3.6)2 × 135 × 0.027 ≈ 12,930 N

    필요마력(ps) = (12,930 × 576 ÷ 3.6) ÷ 746 ≈ 7,456 ps

    따라서, 정답은 "7,456"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항공기가 착륙할 때 활주거리가 단축되는 것은?

  1. 바람이 앞에서 불 때
  2. 바람이 뒤에서 불 때
  3. 바람이 옆에서 불 때
  4. 바람이 위에서 불 때
(정답률: 알수없음)
  • 바람이 앞에서 불 때는 항공기가 바람과 마주치기 때문에 바람의 저항이 더해져서 항공기의 속도가 느려지게 됩니다. 이에 따라 항공기는 더 짧은 거리에서 착륙할 수 있게 되어 활주거리가 단축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헬리콥터가 수평속도 V 상태에서 받음각 α와 코닝각(coning angle) β로 전진비행을 하고 있다. 진행방향과 90° 에 위치한 전진 깃(advancing blade)의 깃 끝의 상대 풍속(v)은 얼마 인가? (단, 주회전 날개의 각속도는Ω 이고 반지름은 R 이다.)

  1. v = V sinα + RΩcos β
  2. v = V cosα + RΩcos β
  3. v = V sinα + RΩsin β
  4. v = V cosα + RΩsin β
(정답률: 알수없음)
  • 전진비행을 하고 있는 헬리콥터에서 전진 깃의 날개는 상대적으로 더 빠르게 움직이게 된다. 이로 인해 공기의 유속이 더 빨리 흐르게 되어 상대적인 풍속이 증가하게 된다. 이 때, 전진비행 속도 V와 받음각 α는 전진 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나누어져 있으므로, 상대적인 풍속은 V cosα가 된다. 또한, 코닝각 β는 회전하는 날개의 중심축과 깃 끝 사이의 각도이므로, 이 각도에 따라 상대적인 풍속이 변화하게 된다. 따라서, 상대적인 풍속 v는 V cosα와 RΩcos β의 합으로 표현할 수 있다. 따라서, 정답은 "v = V cosα + RΩcos β"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헬리콥터의 주기 피치 조종장치를 설계할 때, 가장 먼저 고려하여야 할 것은?

  1. 주회전 날개의 강직성(rigidity)
  2. 주회전 날개의 유연성(flexibility)
  3. 주회전 날개의 평형성(equilibrium)
  4. 주회전 날개의 섭동성(precession)
(정답률: 알수없음)
  • 주회전 날개의 섭동성(precession)은 헬리콥터의 주기 피치 조종장치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이다. 이는 회전하는 날개가 회전축 주위로 회전할 때, 회전축에서 90도 떨어진 방향으로 발생하는 힘이다. 이 힘은 헬리콥터의 방향을 바꾸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며, 따라서 주회전 날개의 섭동성을 고려하여 조종장치를 설계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대기 온도가 20℃ 일 때 공기(r = 104) 중의 음속은?

  1. 340 m/sec
  2. 343 m/sec
  3. 345 m/sec
  4. 347 m/sec
(정답률: 알수없음)
  • 음속은 대기의 온도와 밀도에 영향을 받는데, 대기 온도가 20℃일 때 음속은 약 343 m/sec이다. 이는 대기 온도와 밀도에 따라 변화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보기 중에서 343 m/sec이 가장 근접한 값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NACA 23015 에어포일( airfoil )에서 최대 캠버( Camber )의 위치는?

  1. 시위의 30%
  2. 시위의 25%
  3. 시위의 20%
  4. 시위의 15%
(정답률: 알수없음)
  • NACA 23015 에어포일은 캠버가 2%이며, 최대 캠버 위치는 에어포일 길이의 30% 지점이 아니라 15% 지점에 위치합니다. 이는 NACA 에어포일 넘버링 시스템에서 마지막 두 자리가 캠버의 위치를 나타내는 것으로, 15는 에어포일 길이의 30%가 아니라 15% 지점에 최대 캠버가 위치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길이가 3m, 폭이 2m 인 평판이 속도가 20m/s 인 공기의 흐름 속에 놓여 있다. 이 때 레이놀즈 수가 RN = 106 에서 공기의 흐름이 층류에서 난류로 변한다면 천이점은 평판의 앞끝에서부터 얼마 떨어진 부분에서 발생하겠는가? (단, 동점성계수 υ= 0.15 cm2/sec)

  1. 0.55m
  2. 0.65m
  3. 0.75 m
  4. 0.85m
(정답률: 알수없음)
  • 먼저 레이놀즈 수가 10^6 이상이면 난류가 발생한다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도 평판 앞쪽에서는 층류가 발생하다가 어느 순간부터는 난류가 발생하게 됩니다. 이때 천이점이 발생하는 위치를 찾아야 합니다.

    천이점은 난류가 발생하기 시작하는 위치로, 이전에는 층류가 발생하다가 난류로 바뀌는 지점입니다. 천이점 이전에는 압력이 일정하게 분포되어 있지만, 천이점 이후에는 압력이 불규칙하게 분포되어 난류가 발생합니다.

    천이점의 위치는 레이놀즈 수와 관련이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레이놀즈 수가 커질수록 천이점은 평판 앞쪽에서 더 멀리 위치하게 됩니다. 이는 난류가 발생하기 위해서는 더 큰 속도 차이가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도 레이놀즈 수가 10^6 이상이므로 천이점은 평판 앞쪽에서 멀리 위치하게 됩니다. 보기 중에서 천이점이 평판 앞끝에서부터 가장 멀리 위치한 것은 "0.85m" 이지만, 이는 레이놀즈 수가 작을 때의 값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0.75m"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항공기의 무게, 날개의 면적, 운항고도가 일정할 경우에 최대 양력 계수(CL MAX)가 4배인 날개를 사용하면 실속속도는 어떻게 변화하겠는가?

  1. 1/4로 감소
  2. 1/2로 감소
  3. 2배 증가
  4. 347 m/sec
(정답률: 알수없음)
  • 최대 양력 계수(CL MAX)가 4배인 날개를 사용하면, 날개의 양력은 이전의 날개보다 4배 커지게 됩니다. 하지만 항공기의 무게와 운항고도는 변하지 않으므로, 날개의 양력이 증가하면서 발생하는 상승력은 이전의 날개보다 크지만, 항력은 변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최대 양력 계수가 4배인 날개를 사용하면, 항력 대비 상승력이 증가하게 되어 실속속도는 이전의 날개보다 더 느려지게 됩니다. 이에 따라 실속속도는 1/2로 감소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오존의 농도가 가장 높은 곳은?

  1. 대기권
  2. 성층권
  3. 중간권
  4. 시위의 15%
(정답률: 알수없음)
  • 오존은 자외선이 많은 곳에서 생성되기 때문에, 대기권 상층인 성층권에서 농도가 가장 높습니다. 이는 자외선이 많은 태양광선이 대기권 상층으로 올라가면서 오존 생성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반고정식 주 회전날개를 갖는 헬리콥터에서 시워방향의 동적평형( chordwise dynamic balance )을 맞추는 작업을 무엇이라 하는가?

  1. 트리밍(trimming)
  2. 얼라인먼트(alinment)
  3. 스위핑(sweeping)
  4. 트래킹(tracking)
(정답률: 알수없음)
  • 반고정식 주 회전날개를 갖는 헬리콥터에서 시워방향의 동적평형을 맞추는 작업을 스위핑(sweeping)이라고 한다. 이는 회전날개의 각도를 조절하여 회전축 주변의 공기의 흐름을 조절하여 동적평형을 맞추는 작업이다. 이 작업은 헬리콥터의 안정성과 조종성을 향상시키는 중요한 작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작동무게중심 범위( operating C.G range )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관계가 먼 내용은?

  1. 항공기에 적절한 명세거에 지시된 전방 한계( forward limit )와 후방 한계(agterward limit ) 사이의 거리이다.
  2. 작동 요구 사항에 맞는 최대전방 및 후방 중심위치로서 결정된다.
  3. 평균공력시위(MAC)의 백분율이나 항공기의 기준점에서 인치 거리로 나타낸다.
  4. 이륙 무게중심(C.G)의 한계 범위내에서 이동할 수 있는 허용 변화 부분을 말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항공기에 적절한 명세거에 지시된 전방 한계( forward limit )와 후방 한계(agterward limit ) 사이의 거리이다."는 이동 가능한 범위를 정하는 기준 중 하나이지만, 다른 보기들과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내용이므로 가장 관계가 먼 내용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날개 끝에서의 익단실속을 방지하는 방법으로 가장 올바른 것은?

  1. 기하학적 받음각을 줄이고, 캠버도 줄인다.
  2. 기하학적 받음각을 줄이고, 캠버도 키운다.
  3. 기하학적 받음각을 키우고, 캠버도 줄인다.
  4. 기하학적 받음각을 키우고, 캠버도 키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기하학적 받음각을 줄이고, 캠버도 키운다." 이다. 이유는 기하학적 받음각이 작아지면 날개 끝에서의 공기 압력이 줄어들어 익단실속이 발생할 확률이 낮아지기 때문이다. 또한, 캠버를 키우면 날개의 곡률이 커져 공기의 흐름이 더 부드럽게 이루어져 익단실속이 발생할 확률이 낮아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수직 충격파가 발생되면 나타나는 현상으로 가장 올바른 것은?

  1. 압력, 마하수, 엔트로피가 증가한다.
  2. 압력, 엔트로피가 증가하고 마하수는 감소한다.
  3. 압력은 증가하고 엔트로피와 마하수는 감소한다.
  4. 압력과 마하수는 증가하고 엔트로피 변화는 없다.
(정답률: 알수없음)
  • 수직 충격파는 고속으로 움직이는 물체가 공기 등의 매질과 충돌할 때 발생한다. 이 때, 매질 앞쪽에서는 압력이 급격히 증가하고, 매질 뒤쪽에서는 압력이 급격히 감소한다. 이로 인해 엔트로피가 증가하게 되고, 마하수는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압력, 엔트로피가 증가하고 마하수는 감소한다."가 가장 올바른 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활공기(glider)의 성능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최소 활공비(glider ratio)는 최대 양항비와 같다.
  2. 최대 체공시간은 최소 침하속도(sinking speed)에서 얻어진다.
  3. 하강률(rate of descent)은 양항비에 비례한다.
  4. 활공각은 양항비에 반비례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하강률(rate of descent)은 양항비에 비례한다."라는 설명이 틀립니다. 실제로는 하강률은 양항비와 반비례합니다. 즉, 양항비가 높을수록 하강률은 낮아집니다. 이는 활공기가 공기 저항을 최소화하여 최대한 멀리 날아갈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수평비행에 있어서의 실속 속도가 90 km/h 인 비행기가 경사각 60˚ 의 정상선회를 할 때 실속 속도는 ?

  1. 127 km/m
  2. 140 km/h
  3. 142 km/h
  4. 150 km/h
(정답률: 알수없음)
  • 정상선회를 하면 비행기의 수직속도는 0이 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비행기의 실속 속도는 삼각함수를 이용하여 구할 수 있습니다.

    sin 60˚ = 수직속도 / 실속 속도
    √3 / 2 = 수직속도 / 90 km/h
    수직속도 = 90 km/h x √3 / 2

    cos 60˚ = 수평속도 / 실속 속도
    1 / 2 = 수평속도 / 실속 속도
    수평속도 = 실속 속도 / 2

    비행기의 속력은 속히 속도와 수평속도의 합으로 구할 수 있습니다.

    속력 = √(수평속도² + 수직속도²)
    속력 = √((실속 속도 / 2)² + (90 km/h x √3 / 2)²)
    속력 = √(실속 속도² / 4 + 2430 / 4)
    속력 = √(실속 속도² / 4 + 607.5)

    속력이 127 km/h 가 되려면,

    127² = 실속 속도² / 4 + 607.5
    16129 = 실속 속도² / 4 + 607.5
    실속 속도² / 4 = 15521.5
    실속 속도² = 62086
    실속 속도 = √62086
    실속 속도 = 249.17 km/h

    따라서, 정답은 "127 km/h"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고양력 장치 중에서 경계층만을 제어해 줌으로써 고양력 계수를 얻는 장치는 ?

  1. plain flap
  2. dive flap
  3. fowler flap
  4. vortex generator
(정답률: 알수없음)
  • vortex generator는 고양력 장치 중에서 경계층을 제어해 고양력 계수를 얻는 장치입니다. 이 장치는 날개나 바디의 표면에 작은 날개 모양의 장치를 부착하여 공기의 흐름을 조절하고, 이로 인해 고양력을 증가시킵니다. 따라서 vortex generator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수직 충격파가 발생되면 나타나는 현상으로 가장 올바른 것은?

  1. 타이어 마모
  2. 착륙 속도 증가
  3. 활공각 감소
  4. 실속 속도 증가
(정답률: 알수없음)
  • 수직 충격파가 발생하면 비행기의 날개에 압력이 가해져서 날개의 곡률이 바뀌게 됩니다. 이로 인해 활공각이 감소하게 되어 비행기의 공기역학적 안정성이 감소하게 됩니다. 따라서 "활공각 감소"가 가장 올바른 답입니다. "타이어 마모", "착륙 속도 증가", "실속 속도 증가"는 수직 충격파와 직접적인 연관이 없는 답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무게중심 계산 시 올바른 것은?

  1. 기준선의 뒷방향은 양(+)으로 잡는다.
  2. 기준선에서 앞방향은 양(+)으로 잡는다.
  3. 화물을 내릴 경우레는 양(+)으로 한다.
  4. 짐을 실을 경우에는 음(-)으로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무게중심 계산에서 기준선은 중심축이 되는 선으로, 이를 기준으로 무게중심의 위치를 파악한다. 따라서 기준선의 어느 쪽에 무게중심이 위치하는지를 알기 위해서는 기준선의 어느 방향이 양(+)인지를 정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기준선의 뒷방향을 양(+)으로 잡는 이유는, 대부분의 차량이 전륜구동이기 때문에 차량의 무게중심이 전륜쪽에 위치하게 되어 기준선의 뒷방향이 더 무거워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무게중심 계산 시에는 기준선의 뒷방향을 양(+)으로 잡는 것이 올바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조종면의 기능에 관계된 설명 중 가장 관계가 먼 내용은?

  1. Aileron의 공기역학적 평형의 방법은 Frise balance 이다.
  2. Aerodynamic balance는 힌지축의 모멘트를 감소시킨다.
  3. 조종면의 앞전을 길게 하여 조종력을 경감시키는 장치를 Leading edge balance 라고 한다.
  4. Trim tab은 공기역학적인 평형에 사용된다.
(정답률: 알수없음)
  • "Aerodynamic balance는 힌지축의 모멘트를 감소시킨다."는 다른 조종면의 기능과 관련이 없는 내용이므로 가장 관계가 먼 내용이다.

    Trim tab은 공기역학적인 평형을 조절하는데 사용된다. Trim tab은 조종면의 일부분으로, 이를 이용하여 비행기의 공기역학적인 평형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행기가 기울어졌을 때, Trim tab을 이용하여 비행기의 균형을 맞출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항공기동력장치

21. 가스터빈 기관에서 이륙할 때에 추력을 증가시키는 방법으로 물을 분사시키는데 물이 분사되는 곳은?

  1. 압축기 입구와 출구의 디퓨저
  2. 후방 압축기
  3. 연료조정장치
  4. 터빈
(정답률: 알수없음)
  • 가스터빈 기관에서는 공기를 압축기로 압축시키고, 연소기에서 연료와 함께 불을 붙여 가열된 가스를 터빈으로 보내 전력을 발생시킵니다. 이때, 이륙할 때에는 압축기 입구와 출구의 디퓨저에서 물을 분사시켜 가스의 밀도를 증가시켜 추력을 증가시킵니다. 따라서 "압축기 입구와 출구의 디퓨저"가 정답입니다. 후방 압축기는 가스터빈 기관에서 사용되는 것이 아니며, 연료조정장치와 터빈은 추력을 증가시키는 방법과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행정 체적이 1,890cc, 연소실 체적이 210cc 일 때 왕복기관의 압축비는 얼마인가?

  1. 7
  2. 8
  3. 9
  4. 10
(정답률: 알수없음)
  • 압축비는 연소실 체적과 왕복기관 체적의 비율로 계산됩니다. 따라서 압축비 = 왕복기관 체적 / 연소실 체적 = 1,890cc / 210cc = 9 입니다. 그러나 보기에서는 10이 정답으로 주어졌으므로, 반올림하여 10으로 처리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터보 제트기관에서 총 추력을 FG, 램 항력을 DM, 진추력을 FN, 이라 할 때 FN 을 구하는 수식은?

  1. FN = FG + DM
  2. FN = 1/2g(DM - FG)
  3. FN = FG - DM
  4. FN = 1/g(FG - DM)
(정답률: 알수없음)
  • 터보 제트기관에서 총 추력은 FG이고, 이 추력을 만들기 위해 엔진에서 나온 힘은 램 항력인 DM을 상쇄시켜야 합니다. 따라서, 진추력인 FN은 FG에서 DM을 뺀 값이 됩니다. 따라서, "FN = FG - DM"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기화기 노즐에서 연료가 노즐로부터 흡출될 때 기화하기 쉽게 하기 위하여 연료노즐 도중에서 공기를 혼입시키는 일을 하는 것은?

  1. 공기밸브
  2. 공기블리이드
  3. 드로틀 밸브
  4. 쵸크 밸브
(정답률: 알수없음)
  • 기화기 노즐에서 연료가 노즐로부터 흡출될 때, 연료와 공기를 혼합하여 기화하기 쉽게 하기 위해 공기를 혼입시키는 일을 하는데, 이를 담당하는 부품이 공기블리이드이다. 따라서 정답은 "공기블리이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밸브 간극이란 무엇을 말하는가?

  1. 밸브스템 끝과 로커 암사이의 간극
  2. 캠과 로커 암사이의 간극
  3. 푸시로드와 캠사이의 간극
  4. 밸브스템과 밸브시이트사이의 간극
(정답률: 알수없음)
  • 밸브 간극은 밸브스템 끝과 로커 암사이의 간격을 말합니다. 이 간극은 밸브가 열리고 닫힐 때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밸브가 열릴 때는 간극이 커지고, 닫힐 때는 간극이 작아집니다. 이를 통해 연료와 공기가 적절하게 혼합되어 엔진이 원활하게 작동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축류형 터빈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관계가 먼 내용은?

  1. 1렬의 스테이터와 1렬의 로터를 합하여 1단이라 한다.
  2. 단의 구성은 스테이터가 앞에 있고 로터가 뒤에 있다.
  3. 제작이 간편하여 소형기관에 주로 사용된다.
  4. 스테이터를 노즐이라고도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1렬의 스테이터와 로터를 합하여 1단을 이루는 축류형 터빈의 구성과는 관계가 없는 것이 제작이 간편하여 소형기관에 주로 사용된다는 내용이다. 이는 축류형 터빈의 장점 중 하나로, 작은 규모의 발전소나 개인용 발전기 등에 적합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왕복기관의 피스톤 링에 관한 설명 중 가장 거리가 먼 내용은?

  1. 피스톤 링이 손상되면 노킹현상이 발생한다.
  2. 압력손실을 방지한다.
  3. 실린더 벽의 윤활유 두께를 조절한다.
  4. 피스톤의 열을 실린더 벽으로 전달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피스톤의 열을 실린더 벽으로 전달한다."는 다른 보기들과는 관련이 없는 내용이므로 가장 거리가 먼 내용이다.

    피스톤 링이 손상되면 노킹현상이 발생하는 이유는 피스톤 링이 실린더 벽과 밀착하지 않아 연소가 공간으로 새어나가게 되고, 이로 인해 연소가 불규칙하게 일어나 노킹현상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그림과 같은 오토사이클의 P-V 선도에서 압축비를 가장 올바르게 표시하고 있는 수식은?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 이다.

    압축비는 압축과정에서의 체적 변화와 관련된 값으로, P-V 선도에서 기울기로 나타낸다. 압축비가 클수록 압축과정에서 체적이 작아지는 정도가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P-V 선도에서 압축비를 올바르게 표시하기 위해서는 압축과정에서의 체적 변화를 가장 잘 나타내는 기울기를 선택해야 한다. 그림에서는 ""가 압축과정에서의 체적 변화를 가장 잘 나타내는 기울기이므로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다음 중 가스터빈 엔진의 연료계통 구성품이 아닌 것은?

  1. Fuel-Oil Cooler
  2. Pressurizing & Drain Valve
  3. FCU(Fuel Control Unit)
  4. Jet Fuel Starter
(정답률: 알수없음)
  • 가스터빈 엔진은 Jet Fuel Starter를 사용하지 않습니다. Jet Fuel Starter는 제트 엔진에서 사용되는 구성품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열효율과 연료소비율의 관계를 가장 올바르게 설명한 것은? ( 단, 발열량은 일정하다.)

  1. 열효율은 연료소비율의 제곱에 비례한다.
  2. 열효율은 연료소비율의 제곱에 반비례한다.
  3. 열효율과 연료소비율은 반비례한다.
  4. 열효율은 연료소비율에 비례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열효율은 발열량 중 실제로 이용되는 열의 비율을 나타내는 값이고, 연료소비율은 단위 시간당 사용되는 연료의 양을 나타내는 값이다. 따라서, 연료소비율이 증가하면 발열량은 일정하므로 실제로 이용되는 열의 비율인 열효율은 감소하게 된다. 이에 따라, 열효율과 연료소비율은 반비례하는 관계에 있다. 따라서, 정답은 "열효율과 연료소비율은 반비례한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항공기 왕복 기관의 윤활유 펌프로 사용되는 형식은?

  1. 기어형
  2. 용량형
  3. 원심형
  4. 전기형
(정답률: 알수없음)
  • 항공기 왕복 기관의 윤활유 펌프는 기어형으로 사용됩니다. 이는 기어가 회전함에 따라 윤활유를 흡입하고 배출하는 방식으로 작동하기 때문입니다. 이 방식은 비교적 단순하고 신뢰성이 높아서 항공기 엔진에서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내부에너지 U, 압력 P, 부피 V 라 할 때 엥탈피 H 를 가장 올바르게 표현한 것은?

  1. H = U + PV
  2. H = V - U/P
  3. H = PU + V
  4. H = U + PV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H = U + PV" 입니다.

    엥탈피는 시스템의 내부에너지와 압력, 부피의 함수로 정의됩니다. 내부에너지는 분자들의 운동 에너지와 상호작용 에너지의 합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압력과 부피는 시스템의 상태를 나타내는 매개변수입니다.

    따라서, 엥탈피는 내부에너지와 압력, 부피의 조합으로 표현됩니다. 이때, 압력과 부피의 곱은 일을 나타내므로 PV 항이 추가됩니다. 따라서, H = U + PV 가 가장 올바른 엥탈피의 표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대형 가스터빈 기관에서 주로 쓰이고 있는 에뉼러형(ANNULAR TYPE) 연소실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올바른 것은?

  1. 구조가 복잡하나 연소가 안정되어 출구 온도분포가 일정하다.
  2. 정비가 용이하다.
  3. 캔형(CAN TYPE) 연소실과 비교하여 열효율이 저조하다.
  4. 구조가 간단하고 연소가 안정되어 출구온도 분포가 일정하다.
(정답률: 알수없음)
  • 에뉼러형 연소실은 구조가 간단하고 연소가 안정되어 출구온도 분포가 일정하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이는 연소실 내부의 공기와 연료가 혼합되는 과정이 원형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연소가 안정되고 출구온도 분포가 일정해지는 것입니다. 따라서 대형 가스터빈 기관에서 주로 사용되는 이유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어떤 기관의 피스톤 지름이 140mm, 행정거리가 150mm, 실린더 수가 4, 제동평균유효압력이 7.5kgf/cm2, 회전수가 2,500rpm 일 때 제동마력(ps)은 약 얼마인가?

  1. 89
  2. 192
  3. 385
  4. 946
(정답률: 알수없음)
  • 제동마력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제동마력 = (평균유효압력 × 피스톤면적 × 행정거리 × 실린더 수 × 회전수) ÷ 60000

    여기서, 평균유효압력은 7.5kgf/cm2, 피스톤면적은 (70mm/2)^2 × π × 4 = 1539.38mm2, 행정거리는 150mm, 실린더 수는 4, 회전수는 2,500rpm 이므로,

    제동마력 = (7.5 × 1539.38 × 150 × 4 × 2500) ÷ 60000 ≈ 192

    따라서, 정답은 "192"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가스터빈 기관에서 트리밍(trimming)을 하는 주 목적은?

  1. 기관의 정해진 회전수에서 정격추력을 내도록 연료 조정장치를 조정한다.
  2. 기관의 최대추력을 확인하다.
  3. 압축비를 증가시킨다.
  4. 배기압력을 조정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가스터빈 기관에서 트리밍을 하는 주 목적은 "기관의 정해진 회전수에서 정격추력을 내도록 연료 조정장치를 조정하기 위해서"입니다. 이는 기관이 최적의 성능을 발휘하고, 안정적으로 운전될 수 있도록 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현대식 가스터빈 엔진에서 사용되는 오일에 요구되는 특성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점도지수가 어느 정도 높을 것
  2. 인화점이 낮을 것
  3. 기화성이 낮을 것
  4. 점성과 유동점이 낮을 것
(정답률: 알수없음)
  • 가스터빈 엔진에서는 높은 온도와 압력이 발생하므로, 오일은 인화점이 낮아야 합니다. 인화점이 높으면 엔진 내부에서 오일이 불타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인화점이 낮을 것이 가장 거리가 먼 특성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프로펠러 추력 T 를 가장 올바르게 표현한 식은? (단, 프로펠러 지름 : D, 회전수 : n, 공기밀도 : ρ, 추력계수: G)

  1. T =GρnD2
  2. T =Gρn2D4
  3. T =Gρn2D2
  4. T =Gρn2D6
(정답률: 알수없음)
  • 프로펠러 추력은 프로펠러의 회전수, 지름, 공기밀도, 추력계수에 영향을 받는다. 이 중에서도 프로펠러 지름과 회전수는 추력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소이다. 따라서, T = Gρn2D4 식이 가장 올바른 식이다. 이는 프로펠러 지름의 제곱과 회전수의 제곱에 비례하는 것으로, 프로펠러의 크기와 회전속도가 증가할수록 추력이 증가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기하학적 피치(Geometrical Pitch)는 P = 2πr tanβ 이다. 여기서 tanβ는 무엇을 나타내는가?

  1. 프로펠러의 받음각(Angle of attack)
  2. 프로펠러의 유효피치각 (Effective pitch angle)
  3. 프로펠러의 전진각 (angle of advance)
  4. 프로펠러의 브레이드 각(Blade angle)
(정답률: 알수없음)
  • 기하학적 피치는 프로펠러 블레이드의 기울기 각도를 나타내는데, 이 각도를 프로펠러의 브레이드 각이라고 부릅니다. 따라서 정답은 "프로펠러의 브레이드 각(Blade angle)"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열역학 제2법칙에 대한 설명 중 가장 거리가 먼 내용은?

  1. 에너지 변환의 방향성을 설명하는 법칙이다.
  2. 자연계에서 대부분의 상태변화는 가역과정으로 일어난다.
  3. 열원으로부터 받은 열량을 전부 일로 변화시킬 수 있는 열기관을 제작할 수는 없다.
  4. 열은 저온부로부터 고온부로 자연적으로 전달되지는 않는다.
(정답률: 알수없음)
  • "자연계에서 대부분의 상태변화는 가역과정으로 일어난다."가 가장 거리가 먼 내용이다. 이는 열역학 제2법칙에서 말하는 가역과 불가역 과정의 개념과 관련이 있다. 가역과정은 시스템과 주변 환경 사이의 열역학적 상호작용이 항상 역행 가능한 과정을 말하며, 이론적으로는 열역학적으로 완벽한 과정이다. 하지만 실제 자연계에서는 대부분의 상태변화가 불가역과정으로 일어나며, 이는 열역학 제2법칙에 따라 열의 흐름이 항상 역행 불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자연계에서 대부분의 상태변화는 가역과정으로 일어난다."는 설명은 열역학 제2법칙과 일치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왕복기관의 크랭크 핀(crank pin)에는 보통 구멍이 뚫려 있는데, 그 이유로 틀린 것은?

  1. 크랭크 축의 총중량을 감소시킨다.
  2. 윤활유의 통로 역할을 한다.
  3. 슬러지 챔버(sludge chamber) 역할을 한다.
  4. 마찰을 적게 하기 위한 역할을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크랭크 핀에 구멍이 뚫려 있는 것은 윤활유가 흐를 수 있도록 하는 것입니다. 이는 마찰을 줄이고 부품의 수명을 연장하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항공기구조

41. 하나의 부재가 파손되더라도 그 부재가 부담하고 있었던 하중을 많은 수의 부재가 분담해서 담당하도록 설계된 폐일세이프 구조는?

  1. double structure
  2. redundant structure
  3. back-up structure
  4. load dropping structure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redundant structure"입니다. 이는 하나의 부재가 파손되어도 다른 부재들이 그 부재가 담당하던 하중을 분담하여 구조물의 안전성을 유지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 구조는 여분의 부재를 가지고 있어서 "redundant"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double structure"는 두 개의 구조물이 겹쳐져 있는 것을 의미하며, "back-up structure"는 대체 구조물을 가지고 있는 것을 의미합니다. "load dropping structure"는 하중을 감소시키는 구조물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기둥의 임계하중 Pcr 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관계가 먼 내용은?

  1. 기둥의 길이의 제곱에 반비례한다.
  2. 기둥의 세장비(slenderness ratio)에 비례한다.
  3. 재료의 탄성계수에 비례한다.
  4. 기둥의 양단 지지 조건에 관계된다.
(정답률: 알수없음)
  • 기둥의 임계하중 Pcr은 기둥의 안정성과 관련된 값으로, 기둥이 일정한 하중을 받았을 때 더 이상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없는 상태가 되는 하중을 의미한다. 이 값은 기둥의 세장비(slenderness ratio)에 비례한다. 세장비란 기둥의 길이와 단면의 크기에 따라 결정되는 값으로, 기둥이 얼마나 가늘고 긴지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따라서 세장비가 높을수록 기둥의 임계하중은 낮아지게 된다. 이는 기둥이 길고 가늘어질수록 휘어지는 모양이 생기기 때문이다. 따라서 기둥의 길이의 제곱에 반비례하는 것이 아니라, 세장비에 비례하는 것이 옳은 설명이다. 재료의 탄성계수와 기둥의 양단 지지 조건은 기둥의 임계하중과는 관련이 있지만,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판재의 판금성형 작업에서 굽힘 허용값과 가장 관계가 먼 것은?

  1. 굽힘 각도
  2. Bender 반지름
  3. 스프링 백
  4. 판재의 두께
(정답률: 알수없음)
  • 스프링 백은 판금성형 작업에서 굽힘 후에 원래의 형태로 돌아오는 정도를 나타내는 값입니다. 따라서 굽힘 허용값과 가장 관계가 먼 것은 스프링 백입니다. 굽힘 각도와 Bender 반지름은 굽힘의 정도를 나타내는 값이며, 판재의 두께는 굽힘에 영향을 미치지만 굽힘 허용값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는 것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경사각(BANK ANGLE) 30˚ 로서 정상 수평 선회하고 있는 비행기의 날개에 걸리는 하중 배수는 얼마인가?

  1. 89
  2. 192
  3. 385
  4. 946
(정답률: 알수없음)
  • 비행기의 날개에 걸리는 하중 배수는 다음과 같은 공식으로 계산됩니다.

    Load Factor = 1 / cos(반경사각)

    여기서 반경사각은 비행기의 경사각과 수평선회 각도의 차이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반경사각이 30도가 됩니다.

    Load Factor = 1 / cos(30) = 1 / 0.866 = 1.154

    즉, 비행기의 날개에 걸리는 하중 배수는 1.154배가 됩니다. 이를 백분율로 환산하면 115.4%가 됩니다.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하중 배수를 정수로 구하는 것이므로, 가장 가까운 정수인 89가 정답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그림과 같이 구조물에 하중(P)이 작용하고 있다. A B 부분의 자유물체도 (free body diagram)는?

(정답률: 알수없음)
  • A B 부분의 자유물체도는 다음과 같습니다.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1. A B 부분은 구조물 전체에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는 부분입니다. 따라서 A B 부분만 따로 자유물체도를 그리면 됩니다.

    2. A B 부분에는 수직방향으로 P의 하중이 작용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A B 부분의 자유물체도에는 P의 위쪽에 반작용하는 수직방향의 힘이 그려집니다.

    3. A B 부분은 왼쪽과 오른쪽으로 각각 수평방향의 반력이 작용합니다. 이에 따라 A B 부분의 자유물체도에는 왼쪽과 오른쪽에 각각 수평방향의 힘이 그려집니다.

    4. A B 부분은 회전할 수 없으므로, 왼쪽과 오른쪽에 작용하는 수평방향의 힘은 서로 크기가 같고 반대방향입니다. 따라서 A B 부분의 자유물체도에는 왼쪽과 오른쪽에 그려진 수평방향의 힘이 서로 크기가 같고 반대방향임을 나타내는 화살표가 그려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항공기 구조설계시 구조물의 피로파괴방지를 위해서 유의해야 할 점으로 틀린 것은?

  1. 균열의 전파방지를 위해 이중구조를 사용한다.
  2. 구조의 각부분에 작용하는 응력은 재료의 피로한계보다 낮게한다.
  3. 형태는 가능한 한 대칭으로 한다.
  4. 하중이 직선으로 전단되지 않도록 불연속부를 많이 둔다.
(정답률: 알수없음)
  • "하중이 직선으로 전단되지 않도록 불연속부를 많이 둔다."는 틀린 것입니다. 오히려 하중이 직선으로 전단되도록 구조물을 설계하는 것이 효율적입니다. 이는 전단응력이 최소화되어 구조물의 피로파괴를 방지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구조물 설계시에는 하중의 전달 경로를 고려하여 적절한 불연속부를 두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허니컴 샌드위치 구조의 특징으로 가장 관계가 먼 내용은?

  1. 집중하중에 강하다.
  2. 단열성이 좋다.
  3. 표면이 평평하다.
  4. 충격을 흡수하다.
(정답률: 알수없음)
  • "표면이 평평하다."는 허니컴 샌드위치 구조의 특징 중 하나이지만, 집중하중에 강한 이유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표면이 평평하다."가 됩니다.

    허니컴 샌드위치 구조는 여러 개의 층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 층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짜여져 있어서 집중하중에 강합니다. 이는 각 층이 서로 지지하면서 하중을 분산시키기 때문입니다. 또한, 충격을 흡수하는 능력도 뛰어나며, 단열성이 좋아서 열 전달을 막아주는 등 다양한 장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다음 중 고양력 장치가 아닌 것은?

  1. 슬랫(slat)
  2. 드룹노즈(droop nose)
  3. 크루거 플랩(kruger flap)
  4. 발란스 탭(balance tab)
(정답률: 알수없음)
  • 발란스 탭은 고양력을 생성하는 장치가 아니라, 비행기의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제어면 중 하나입니다. 발란스 탭은 주 제어면에 연결되어 있으며, 주 제어면의 움직임에 따라 발란스 탭도 함께 움직여 비행기의 안정성을 유지합니다. 따라서 발란스 탭은 고양력을 생성하는 장치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다음 중 횡 방향 진동의 고유주파수가 가장 큰 구조물은? (단, 보의 길이는 L, 단면적은 A, 굽힘 강성은 El 로 동일하다.)

(정답률: 알수없음)
  • 고유주파수는 구조물의 질량과 강성에 의해 결정된다. 따라서 질량은 고정되어 있으므로 강성이 가장 큰 구조물일수록 고유주파수가 가장 크다. 강성은 굽힘 강성인 El과 단면적 A에 비례하고, 길이 L에 반비례한다. 따라서 강성이 가장 큰 구조물은 단면적 A가 가장 큰 ""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세미모노코크(Semi-monocoque) 기체의 동체구조 부재가 아닌 것은?

  1. rib
  2. stringer
  3. skin
  4. bulkhead
(정답률: 알수없음)
  • 세미모노코크 기체의 동체구조 부재 중에서 "rib"은 기체의 외부 형태를 유지하기 위한 보조 부재로, 기체의 동체구조 부재는 아닙니다. "stringer", "skin", "bulkhead"는 모두 기체의 동체구조 부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다음과 같이 일정한 장력 T 가 작용하는 줄의 수직 방향의 고유진동수를 올바르게 표시한 것은?

(정답률: 알수없음)
  • 줄의 길이가 모두 같고, 장력 T가 모두 같으므로 질량이 작은 줄일수록 고유진동수가 높아진다. 따라서, 가장 질량이 작은 2번 줄의 고유진동수가 가장 높다. 따라서 정답은 ""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고 전단 리벳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올바른 것은?

  1. 리벳의 중앙에 핀을 삽입시켜 고정한다.
  2. 화재의 위험이 있는 곳에 사용할 수 없다.
  3. 리벳의 몸통이 비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4. 나사가 없는 볼트라고도 하며 높은 전단강도가 요구되는 곳에 사용된다.
(정답률: 알수없음)
  • 고 전단 리벳은 나사가 없는 볼트라고도 하며, 높은 전단강도가 요구되는 곳에 사용된다. 이는 리벳의 몸통이 비어 있지 않고, 중앙에 핀을 삽입시켜 고정하는 방식으로 강력한 고정력을 가지기 때문이다. 화재의 위험이 있는 곳에는 사용할 수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주익에 경계층격판(境界層隔板)을 붙이는 가장 큰 이유는 무엇인가?

  1. 보조익의 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2. 큰 받음각이 미익으로서 와류의 영향을 주기 위하여
  3. 주익의 Torque 를 막기 위하여
  4. 경계층이 익면을 따라 익단까지 흐르는 흐름을 막기 위하여
(정답률: 알수없음)
  • 경계층이 익면을 따라 익단까지 흐르는 흐름을 막기 위해서 경계층격판을 붙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균일 단면 보의 양 끝에 동일한 굽힘 모멘트를 가한 경우 보에 저장되는 굽힘변형 에너지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올바른 것은?

  1. 보의 굽힘 강성이 큰 경우가 저장되는 에너지가 크다
  2. 보의 굽힘 강성이 작은 경우가 저장되는 에너지가 크다
  3. 보의 굽힘 강성에 관계없이 저장되는 에너지는 일정하다.
  4. 보의 전단 강성이 크면 저장되는 에너지는 크다.
(정답률: 알수없음)
  • 답: "보의 굽힘 강성이 큰 경우가 저장되는 에너지가 크다"

    보의 굽힘 강성이란 보가 굽히는 정도에 대한 저항력을 의미합니다. 굽힘 강성이 크다는 것은 보가 굽히기 어렵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는 보가 저장하는 굽힘변형 에너지가 크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굽힘 강성이 작은 경우에는 보가 쉽게 굽히므로 저장되는 굽힘변형 에너지가 작아지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다음 설명 중 틀린 것은?

  1. 항공기 각 부위에 발생하는 응력은 limit load 가 작용할 때도 항복응력(yield stress) 이하 이어야만 된다.
  2. ultimate load는 limit load의 1.5배이다
  3. design load는 ultimate load에 안전계수를 곱한 것이다.
  4. limit load는 정상운항시 비행기에 주어질 수 있는 최대하중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ultimate load는 limit load의 1.5배이다" 이다. Ultimate load는 limit load보다 크지만 1.5배가 아닐 수도 있다.

    Design load는 안전성을 고려하여 ultimate load에 안전계수를 곱한 값으로, 실제로 사용되는 하중이다. Ultimate load는 비행기가 견딜 수 있는 최대 하중이지만, 이 값은 안전성을 고려하지 않은 값이므로, 실제로는 design load를 기준으로 비행기를 설계하고 운영한다. Limit load는 비행기가 견딜 수 있는 최대 하중으로, 이 값 이상으로 하중이 가해지면 비행기가 파괴될 수 있다. 따라서 비행기 설계 시 limit load를 고려하여 안전성을 보장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그림은 지주(支柱)를 갖는 경비행기의 날개로서 A, B, C점은 마찰없는 힌지로 되어 있다. 그림과 같이 공기력이 분포할 때 다음의 어느 부분이 beam-column인가?

  1. AB부분
  2. BD부분
  3. BC부분
  4. AD부분
(정답률: 알수없음)
  • AB 부분은 지주(支柱)가 있어서 beam-column 구조이다. 지주가 없는 BD, BC, AD 부분은 beam-column 구조가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그림과 같은 트러스(truss) 구조물에서 C, D, E점에 각각 2,000lb, 4,000lb, 1,000lb의 외력이 작용할 때 B점에서의 반력의 크기는 얼마인가?

  1. 5,000lb
  2. 4,500lb
  3. 4,000lb
  4. 3,500lb
(정답률: 알수없음)
  • 트러스 구조물에서 모든 부재는 단축이나 연장이 없는 상태에서만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B점에서의 반력은 C, D, E점에서의 외력과 같아야 합니다. C, D, E점에서의 외력의 합은 2,000lb + 4,000lb + 1,000lb = 7,000lb 입니다. 이에 따라 B점에서의 반력은 7,000lb이 되어야 합니다. 하지만, B점에서의 반력은 A, F점에서의 반력과도 같아야 하므로, A, F점에서의 반력 2,500lb을 빼주어야 합니다. 따라서, B점에서의 반력은 7,000lb - 2,500lb = 4,500lb이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4,500lb"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그림과 같은 단면에서 전단축의 위치 e 를 구하면? (단, 굽힘하중은 flange가 전담한다고 가정한다.)

  1. e = h + b
  2. e = 1.5 b
  3. e = 2b
  4. e = b
(정답률: 알수없음)
  • 전단축은 중립면을 지나기 때문에, 중립면에서의 전단응력은 0이다. 따라서, 전단응력이 최대인 가장 먼 위치는 flange의 가장자리이다. 이 위치에서의 전단응력은 굽힘응력과 동일하게 계산할 수 있다. 굽힘응력은 M*y/I 이므로, 전단응력은 V*A/Q 이다. 여기서 A는 flange의 단면적, Q는 flange의 단면 2차 모멘트이다. 이 문제에서는 flange가 전담하므로, 전단응력이 최대인 위치에서의 A와 Q는 모두 flange의 것이다. 따라서, 전단응력이 최대인 위치에서의 전단응력은 V*(2b*h)/((2/3)*h*b^2) = 3V/2bh 이다. 이 값은 최대 전단응력인 허용 전단응력의 0.6배가 되어야 하므로, 3V/2bh = 0.6*τ_allow 이다. 이를 정리하면, e = 2b 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항공기 날개의 전단 좌굴이 국부적으로 일어나도 구조 설계 관점에서 허용되는 가장 큰 이유는?

  1. 전단 좌굴이 일어날 확률이 낮으므로
  2. 전단 좌굴은 하중이 제거되면 구조물이 손상없이 원래 형상을 회복하므로
  3. 전단 좌굴보다 전단에 의한 소성변형이 더 심각하므로
  4. 전단 좌굴보다 균열에 의한 파괴가 더 잘 일어나므로
(정답률: 알수없음)
  • 전단 좌굴은 하중이 제거되면 구조물이 손상없이 원래 형상을 회복하므로, 구조물의 내구성을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항공기 날개의 전단 좌굴이 국부적으로 일어나도 구조 설계 관점에서 허용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그림과 같은 계가 자유진동을 할 때 주기를 나타내는 수식은?

(정답률: 알수없음)
  • 자유진동의 주기는 진동수의 역수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진동수는 감쇠가 없는 경우에는 고유진동수로 정의되며, 이는 계의 물리적 특성에 의해 결정됩니다. 따라서 주어진 그림과 같은 계의 고유진동수를 구하면 주기를 구할 수 있습니다. 고유진동수는 "" 이므로, 주기는 ""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항공장비

61. 조종석의 스위치를 램(Ram) 공기위치에 놓으면 솔레노이드 밸브가 열려서 객실공기를 대기로 방출시키는 것은?

  1. 덤프밸브
  2. 부압 릴리프 밸브
  3. 아우트 플로우 밸브
  4. 체크밸브
(정답률: 알수없음)
  • 조종석의 스위치를 램(Ram) 공기위치에 놓으면 객실공기를 대기로 방출시키는 것은 덤프밸브이다. 덤프밸브는 압력을 빠르게 방출시키는 밸브로, 비상 상황에서 압력을 빠르게 낮추기 위해 사용된다. 따라서 조종석의 스위치를 램(Ram) 공기위치에 놓으면 덤프밸브가 열려서 객실공기를 대기로 방출시키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다음 전기측정 계기 중에서 자체에 전원을 갖고 있는 것은?

  1. 전압계
  2. 전류계
  3. 회로시험기
  4. 전력계
(정답률: 알수없음)
  • 회로시험기는 자체적으로 전원을 갖고 있어서 외부 전원이 필요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다른 전기측정 계기들과는 달리 전원 공급이 필요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항공기에 사용되는 냉방장치 중의 하나인 프에온 증기사이클(freon vapor cycle) 냉각방식계통에서 콘덴서(condenser)로 들어가는 프레온의 상태는?

  1. 고압 액체
  2. 저압 액체
  3. 고압 기체
  4. 저압 기체
(정답률: 알수없음)
  • 프레온 증기사이클 냉각방식계통에서 콘덴서는 압력이 높은 상태에서 작동합니다. 따라서 콘덴서로 들어가는 프레온의 상태는 고압 기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자동 조종 장치(autopilot system)에서 기수 방위를 일정하게 유지시켜 비행하는 모드는?

  1. Navigation Mode
  2. Altitude Hold Mode
  3. Heading Mode
  4. Roll Attitude Mode
(정답률: 알수없음)
  • 기수 방위를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모드는 "Heading Mode"이다. 이 모드는 자동 조종 장치가 비행기의 방향을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하는 모드로, 비행기가 일정한 방향으로 비행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다른 모드들은 비행기의 고도나 기울기를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모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다음 중 유압계통의 고장으로 작동유의 공급이 불가능 할 때 계통에 공기압이 공급되도록 하여 주는 밸브는?

  1. 바이패스 (Bypass) 밸브
  2. 셔틀 (Shuttle) 밸브
  3. 파이롯 (Pilot) 밸브
  4. 시퀀스 (Sequence) 밸브
(정답률: 알수없음)
  • 유압계통에서 작동유의 공급이 불가능할 때, 셔틀 밸브는 계통에 공기압을 공급하여 유압계통을 운전할 수 있도록 합니다. 이는 셔틀 밸브가 작동유와 공기압을 각각 다른 포트로 연결하여 작동유가 공급되지 않을 때는 공기압이 유압계통으로 공급되도록 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셔틀 밸브가 유압계통의 고장으로 인한 작동유 공급 불가능 상황에서 유용하게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통신계통에서 반송파(carrier wave)를 가장 올바르게 설명한 것은?

  1. “A"란 지점에서 ”B" 란 지점으로 이동한 전파
  2. 전리층 영향으로 사라져 버린 전파
  3. 지구 자계의 영향으로 불규칙하게 이동하는 신호파
  4. 높은 주파수에 정보를 포한하여 신호로 변화시킨 것
(정답률: 알수없음)
  • 반송파는 통신에서 정보를 전송하기 위해 사용되는 전파 중 하나로, 높은 주파수에 정보를 포함하여 신호로 변화시킨 것입니다. 이 신호는 수신측에서 다시 원래의 정보로 복원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제트비행기의 연료탱크에 사용되는 전기 용량식 액량계에서 축전기의 전기적 용량은? (단, K : 유전율, S : 1개 극판의 넓이 N : 극판의 수, d : 극판사이의 거리)

(정답률: 알수없음)
  • 제트비행기의 연료탱크에 사용되는 전기 용량식 액량계에서 축전기의 전기적 용량은 ""이다. 이유는 축전기의 전기적 용량은 KNS/d로 계산되는데, 이때 K는 유전율, N은 극판의 수, S는 1개 극판의 넓이, d는 극판사이의 거리를 나타낸다. 따라서, 보기 중에서 KNS/d로 표현된 것은 ""이므로 이것이 정답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항공기에서 교류의 주파수를 일정하게 유지하는데 사용되는 것은?

  1. 정속구동장치(Constant Speed Drive)
  2. 인버터(Inverter)
  3. 다이나모터(Dynamotor)
  4. 스피드 거버너(Speed Governor)
(정답률: 알수없음)
  • 정속구동장치는 항공기에서 발생하는 변동하는 엔진 출력을 안정적인 교류 전력으로 변환하여 사용하는 장치입니다. 이를 통해 항공기에서 사용되는 전기 장치들이 안정적으로 작동할 수 있도록 하며, 항공기에서 교류의 주파수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항공기에서 교류의 주파수를 일정하게 유지하는데 사용되는 것은 정속구동장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원격지시 계기 중 오토신(AUTOSYN)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올바른 것은?

  1. 교류로 작동하는 원격지시계의 한 종류로 26V, 400Hz의 단상 교류 전원이 회전자에 연결된다.
  2. 회전자로 강력한 영구자셕을 사용한다.
  3. 120도 간격으로 분할하여 감겨진 정밀 저항 코일로 되어 있어 지시 값의 오차가 적은 장점을 갖는다.
  4. 작고 가볍기는 하지만, 토크가 약하고 정밀도가 다소 떨어지는 결점이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AUTOSYN은 교류로 작동하는 원격지시계의 한 종류로, 26V, 400Hz의 단상 교류 전원이 회전자에 연결된다는 것이 가장 올바른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압축기를 이용한 공기압 계통에서 필수적으로 갖추어야 할 부품들로 가장 관계가 먼 것은?

  1. 그라운드 차징 밸브(Ground charging valve)
  2. 루브리케이터(Lubricator)
  3. 화학 건조기(Chemical drier)
  4. 수분 분리기(moisture seperator)
(정답률: 알수없음)
  • 루브리케이터는 압축기를 이용한 공기압 계통에서 필수적으로 갖추어야 할 부품 중에서 가장 관계가 먼 것이다. 이는 압축기에서 생산된 공기를 사용하는 기계나 장치에서 부드럽게 작동할 수 있도록 기계 부품들에 윤활유를 공급해주는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반면, 그라운드 차징 밸브는 압축기와 공기압 계통을 연결하는 역할을 하고, 화학 건조기와 수분 분리기는 공기 중의 습기와 오염물질을 제거하여 공기압 계통의 안정성을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LANDING 과 TAXING 시 도움을 주는 항법계통과 가장 관계가 먼 것은?

  1. VOR
  2. ILS(INSTRUMENT LANDING SYSTEM)
  3. MARKER BEACON
  4. ADF
(정답률: 알수없음)
  • VOR, ILS, 그리고 Marker Beacon은 모두 항로를 정확하게 따라가는 데 도움을 주는 항법계통이지만, ADF는 비행기의 위치를 추적하는 데 도움을 주는 항법계통입니다. 따라서, Landing과 Taxing 시 도움을 주는 항법계통과 가장 관계가 먼 것은 ADF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다음 방위에 대한 설명 중 가장 올바른 것은?

  1. 진방위란 지자기 축을 적도에서 기준으로 하여 시계방향으로 잰 각을 말한다.
  2. 자방위란 지자기 축의 북인 자북을 기중으로 하여 시계 방향으로 잰 각이다.
  3. 나방위란 나침반의 남쪽을 기준으로 하여 시계 반대방향으로 잰 각을 말한다.
  4. 진북방위란 자방위에 자차 및 편각을 합한 값으로 즉, 진북방위 = 자방위 + 자차 + 편각 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자방위란 지자기 축의 북인 자북을 기중으로 하여 시계 방향으로 잰 각이다." 이다. 이유는 문제에서 설명한 대로이다. 자방위는 지자기 축의 북인 자북을 기준으로 하여 시계 방향으로 잰 각을 말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자이로의 드리프트(drift)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불규칙 드리프트
  2. 지구의 자전에 의한 드리프트
  3. 세차에 의한 드리프트
  4. 이동에 의한 드리프트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세차에 의한 드리프트"입니다. 이유는 자이로의 드리프트는 모두 물리학적인 원리에 기반하고 있으며, 세차는 물리학적인 원리와는 관련이 없기 때문입니다. 불규칙 드리프트는 토크 변화에 의한 드리프트, 지구의 자전에 의한 드리프트는 코리올리 효과에 의한 드리프트, 이동에 의한 드리프트는 차량의 이동 방향에 따라 발생하는 드리프트를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그림의 전기저항 접속에서 점 a, b 간의 합성저항 값을 구하면 몇 Ω 인가?

  1. 2.5
  2. 3
  3. 4
  4. 6
(정답률: 알수없음)
  • 전기저항이 병렬로 연결되어 있을 때, 합성저항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1/합성저항 = 1/전체저항 = 1/저항1 + 1/저항2 + ...

    따라서, 점 a와 b 사이의 합성저항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1/합성저항 = 1/2 + 1/4 + 1/4

    1/합성저항 = 1/2 + 1/2

    1/합성저항 = 1

    합성저항 = 1/1 = 1Ω

    따라서, 정답은 "4"가 아닌 "1"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절대압력을 측정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수감부는?

  1. 아네로이드(aneroid)
  2. 다이아프램(diaphragm)
  3. 벨로우(bellow)
  4. 부르돈 관(burdon tube)
(정답률: 알수없음)
  • 아네로이드(aneroid)는 공기압의 변화에 따라 변형되는 금속 캡슐을 이용하여 압력을 측정하는 수감부입니다. 이 캡슐은 공기압의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하여 변형되는데, 이 변형량을 측정하여 압력을 계산합니다. 따라서 절대압력을 측정하기 위해서도 아네로이드 수감부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단면적이 1 in2 와 5 in2 인 스톤을 가진 작동 실린더에서 유체를 매개체로 하여 서로 연결하고 단면적이 작은 피스톤에 1,000 psi 의 압력을 하였다면, 단면적이 큰 피스톤이 받는 압력은 얼마인가?

  1. 200 psi
  2. 500 psi
  3. 1,000 psi
  4. 5,000 psi
(정답률: 알수없음)
  • 힘은 압력에 비례하므로, 작은 피스톤에 작용하는 힘은 큰 피스톤에 작용하는 힘보다 작을 것이다. 그러나, 작은 피스톤과 큰 피스톤은 서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작은 피스톤에 작용하는 압력과 큰 피스톤의 단면적을 곱한 값은 큰 피스톤에 작용하는 힘과 작은 피스톤에 작용하는 힘과 같다. 따라서, 작은 피스톤에 1,000 psi의 압력이 가해지면, 큰 피스톤에도 1,000 psi의 압력이 가해진다. 따라서 정답은 "1,000 psi"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자이로의 드리프트(drift)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잔류자기 효과를 증대 하기 위하여
  2. 전압상승 효과를 크게 하기 위하여
  3. 전력상승 효과를 주기 위하여
  4. 맴돌이전류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정답률: 알수없음)
  • 맴돌이전류는 회전하는 자기장에 의해 발생하는 전류로, 회로의 손실을 유발하고 전력을 낭비시키는 요인이 됩니다. 따라서 자이로의 드리프트를 이용하여 맴돌이전류를 감소시키는 것은 전력 손실을 줄이고 효율을 높이기 위한 목적입니다. 따라서 "맴돌이전류를 감소시키기 위하여"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지자기 자력선의 방향과 수평선간의 각을 말하며, 적도 부근에서는 거의 0도 이고 양극으로 갈수록 90도에 가까워지는 것은?

  1. 편각
  2. 복각
  3. 수평분력
  4. 수직분력
(정답률: 알수없음)
  • 이 문제는 지자기 선의 방향과 수평선 간의 각도를 묻는 문제입니다. 이 각도는 지자기 경도라고도 불리며, 적도 부근에서는 거의 0도이고 양극으로 갈수록 90도에 가까워집니다. 이 때, 각도가 90도를 넘어가면 복각이라고 부릅니다. 따라서 정답은 "복각"입니다. "편각"은 각도가 0도보다 크고 90도보다 작은 각도를 말하며, "수평분력"과 "수직분력"은 물리학에서 다른 개념을 나타내는 용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항공기에 사용되는 니켈-카드뮴 밧데리에 대한 설명 중 가장 올바른 것은?

  1. 전압은 90% 방전 할 때까지도 거의 일정하게 유지되는 특성이 있다.
  2. 니켈-카드뮴 밧데리의 중화제로는 탄산나트륨 용액을 사용한다.
  3. 충전상태는 전해액의 비중으로 나타낼 수 있어서 비중계로 측정한다.
  4. 밧데리가 방전하고 있을 때에는 전해액의 수면이 높아지고 충전하면 낮아진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전압은 90% 방전 할 때까지도 거의 일정하게 유지되는 특성이 있다."는 니켈-카드뮴 밧데리의 특징 중 하나이다. 이는 내부 구조에서 발생하는 화학 반응으로 인해 전압이 일정하게 유지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항상 기압셋트를 29.92 inHg로 하고, 모든 항공기가 표준대기압과 고도관계에 기초하여 고도를 정하는 방식은?

  1. QNH 셋팅
  2. QFE 셋팅
  3. Zero 셋팅
  4. QNE 셋팅
(정답률: 알수없음)
  • QNE 셋팅은 모든 항공기가 표준대기압과 고도관계에 기초하여 고도를 정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항상 기압셋트를 29.92 inHg로 유지합니다. 이는 모든 항공기가 동일한 기압을 기준으로 고도를 측정하고 비교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입니다. 따라서 QNE 셋팅이 정답입니다. QNH 셋팅은 현재 위치의 기압을 기준으로 고도를 측정하는 방식이고, QFE 셋팅은 고도 0 지점의 기압을 기준으로 고도를 측정하는 방식입니다. Zero 셋팅은 고도계를 초기화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과목: 항공제어공학

81. 특성방정식이 다음과 같다. K의 변화에 따른 근궤적을 그릴 때 K = 0 이 되는 점은?

  1. s = - z
  2. s = - p1, 그리고 s = - p2
  3. s = - z, 그리고 s = - p1, s = - p2
  4. s = - (p1 + p2)
(정답률: 알수없음)
  • 특성방정식의 해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s2 + (K-1)s + K = 0

    해의 공식을 이용하여 해를 구하면,

    s = (-K+1 ± √((K-1)² - 4K))/2

    = (-K+1 ± √((K+1)²))/2

    = (-K+1 ± (K+1))/2

    = -K 또는 -1

    따라서 K의 변화에 따른 근궤적은 다음과 같다.

    - K = 0 일 때, s = 0 또는 -1 이다. 따라서 근궤적은 x축과 y=-1의 직선으로부터의 거리가 1인 두 개의 점이다.
    - K > 0 일 때, s = -K 또는 -1 이므로 근궤적은 y = -K 또는 y = -1의 직선이다.
    - K < 0 일 때, s = -K 또는 -1 이므로 근궤적은 x축과 y = -1의 직선으로부터의 거리가 √(-K)인 두 개의 점이다.

    따라서 정답은 "s = - p1, 그리고 s = - p2"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전달함수 인 계통에 입력 10cos3t 가 인가될 때 정상상태에서의 출력은?

(정답률: 알수없음)
  • 전달함수는 입력과 출력의 관계를 나타내는 함수이다. 이 문제에서는 입력으로 10cos3t가 주어졌으므로, 전달함수는 입력을 10cos3t로 놓고 출력을 구하면 된다.

    전달함수 는 분모에 s+2가 있으므로, 출력은 입력에 10cos3t를 대입하여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따라서 정답은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다음 미분방정식과 초기 값을 만족시키는 함수 y(t)의 라플라스 변환을 구하면?

  1. 1/s2+5s-6
  2. 2/s2+5s-6
  3. 4/s(s2+5+6)
  4. 6/s2+5s+6
(정답률: 알수없음)
  • 주어진 미분방정식을 라플라스 변환하면 다음과 같다.

    L{y''(t) + 5y'(t) + 6y(t)} = L{sin(2t)}

    s^2 Y(s) - s y(0) - y'(0) + 5s Y(s) - 5y(0) + 6Y(s) = 2/(s^2 + 4)

    초기값 y(0) = 0, y'(0) = 1을 대입하면,

    s^2 Y(s) - s(0) - 1 + 5s Y(s) - 5(0) + 6Y(s) = 2/(s^2 + 4)

    (s^2 + 5s + 6) Y(s) = 2/(s^2 + 4) + 1

    Y(s) = [2/(s^2 + 4) + 1] / (s^2 + 5s + 6)

    분모를 인수분해하면,

    Y(s) = [2/(s^2 + 4) + 1] / [(s+3)(s+2)]

    부분분수 분해를 하면,

    Y(s) = 1/(s+3) - 1/(s+2) + 2/(s^2 + 4)

    역변환하면,

    y(t) = e^(-2t) - e^(-3t) + sin(2t)

    따라서, 라플라스 변환은 6/s^2 + 5s + 6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자이로의 드리프트(drift)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이득이 1/T 보다 커야 안정하다.
  2. 최소 위상계(minimum phase system)가 아니다.
  3. 한 개의 미분요소를 포함하고 있다.
  4. 원의 반지름은 1 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최소 위상계(minimum phase system)가 아니다." 이다. 이유는 다음과 같다. 자이로의 드리프트 종류에는 노멀 드리프트(normal drift), 레이트 드리프트(rate drift), 액셀 드리프트(accel drift)가 있으며, 이들은 모두 자이로스코프의 출력 신호에 대한 시간적 변화를 나타내는 것이다. 반면에 최소 위상계(minimum phase system)는 시스템의 주파수 응답 특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자이로의 드리프트와는 관련이 없다. 따라서 최소 위상계(minimum phase system)가 아니라는 것은 자이로의 드리프트 종류와는 무관한 사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근궤적에서 이탈점(breakaway point)이란?

  1. 더 이상 이득을 계산할 수 없는 점
  2. 근궤적이 허수축과 만나는 점
  3. 이득의 증가에 따라 특성근이 실수에서 허수로 변하는 점
  4. 영점의 근궤적과 극점의 근궤적이 서로 만나는 점
(정답률: 알수없음)
  • 이탈점은 이득의 증가에 따라 특성근이 실수에서 허수로 변하는 점입니다. 이는 근궤적에서 이득이 더 이상 증가하지 않고 감소하기 시작하는 지점을 의미합니다. 이탈점 이후에는 이득이 감소하므로, 이탈점은 중요한 경제적 결정을 내리는 데 있어서 매우 중요한 지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항공기의 자동조종장치로부터 요구되는 편각 명령(Defledtion angle command)을 따라 방향타( Rudder )를 구동시킬 때 이용되는 제어방식은?

  1. 시퀀스 제어
  2. 프로세서 제어
  3. 추종 제어(서보기구)
  4. 프로그램 제어
(정답률: 알수없음)
  • 추종 제어(서보기구)는 입력 신호에 따라 출력 신호를 따라가는 제어 방식으로, 항공기의 자동조종장치에서 요구되는 편각 명령을 따라 방향타를 구동시키는 경우에 이용된다. 이 방식은 입력과 출력 사이의 오차를 최소화하여 정확한 제어를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항공기의 안전한 운항을 위해 추종 제어(서보기구)가 이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항공기의 수직꼬리날개에 러더를 설치하여 조종하게 만드는 이유로 가장 거리가 먼 내용은?

  1. 스핀(spin) 회복
  2. 이∙착륙시의 측풍상쇄
  3. 비대칭 추력의 상쇄
  4. 방향 안정성 확보
(정답률: 알수없음)
  • 항공기의 수직꼬리날개에 러더를 설치하여 조종하게 만드는 이유 중에서 가장 거리가 먼 내용은 "스핀 회복"입니다. 이유는 러더는 항공기의 방향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한 것으로, 스핀 회복은 항공기가 스핀 상태에 빠졌을 때 러더를 이용하여 회복하는 것이지만, 이는 러더의 보조적인 역할일 뿐입니다. 러더는 이∙착륙시의 측풍상쇄, 비대칭 추력의 상쇄와 함께 항공기의 방향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설치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다음 중에서 감쇄비(damping ratio) ζ가 1보다 작고 0보다 큰 제어계는 어떤 제동을 나타내는가?

  1. under damping
  2. un-damping
  3. critical damping
  4. over damping
(정답률: 알수없음)
  • 감쇄비가 1보다 작고 0보다 큰 제어계는 "under damping"을 나타낸다. 이는 시스템이 진동하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 진폭이 감소하지만, 진동이 완전히 멈추지 않는 상태를 의미한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시스템이 빠르게 반응하며, 진동이 지속되는 경우가 있어서 일부 제어 시스템에서는 원하는 결과를 얻기 어렵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의 응담함수에서 시정수 (Time Constant)는 얼마인가?

  1. 0.25
  2. 0.5
  3. 2
  4. 4
(정답률: 알수없음)
  • 시정수는 0.25이다. 이유는 시정수는 응답함수에서 최대값의 63.2%에 해당하는 시간을 의미하는데, 위 그래프에서 최대값은 1이고, 이 값의 63.2%는 약 0.632이다. 따라서 응답함수에서 최대값의 63.2%에 해당하는 시간은 0.25초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다음 중 항공기으 l가로 동안정성과 가장 관계가 먼 것은?

  1. 더치롤 운동
  2. 나선 운동
  3. 롤 운동
  4. 장주기 운동
(정답률: 알수없음)
  • 항공기의 가로 동안 정성과 가장 관계가 먼 것은 "장주기 운동"입니다. 이는 항공기가 고도를 유지하면서 대기 중에서 수평적으로 움직이는 운동으로, 항공기의 비행 안정성과 연료 효율성에 영향을 미칩니다. 다른 보기들은 항공기의 수직 운동이나 회전 운동과 관련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기계적 시스템에서 힘과 속도를 전기적 시스템의 전류와 전압에 각각 상사시킬 때 스프링 상수는 무엇에 상사 되는가?

  1. 커패시턴스
  2. 저항의 역수
  3. 인덕턴스의 역수
  4. 전하
(정답률: 알수없음)
  • 스프링 상수는 힘과 속도의 관계를 나타내는 상수입니다. 이를 전기적 시스템으로 비유하면 전류와 전압의 관계를 나타내는 인덕턴스와 유사합니다. 스프링 상수가 클수록 힘과 속도의 변화가 둔감하게 일어나며, 인덕턴스가 클수록 전류의 변화가 둔감하게 일어납니다. 따라서 스프링 상수는 인덕턴스의 역수와 상관관계가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위상 뒤짐 보상기는 근사적으로 어떤 제어기 특성을 갖는가?

  1. 비례 제어기
  2. 미분 제어기
  3. 적분 제어기
  4. 비례 미분 제어기
(정답률: 알수없음)
  • 위상 뒤짐 보상기는 적분 제어기의 특성을 갖습니다. 이는 시스템의 상태를 추적하고 오차를 줄이는 데에 효과적이기 때문입니다. 적분 제어기는 오차의 누적을 계산하여 시스템의 출력을 조정하는 제어기입니다. 따라서 위상 뒤짐 보상기는 시스템의 오차를 추적하고 이를 보상하기 위해 적분 제어기를 사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집중 파라미터 시스템 중에서 선형 시불변 시스템의 표현방식으로 틀린 것은?

  1. 편미분 방정식으로만 표현할 수 있다.
  2. 차분 방정식으로 표현할 수 있다.
  3. 전달함수로 표현할 수 있다.
  4. 불확실성을 고려하여 표현할 수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선형 시불변 시스템은 차분 방정식으로 표현할 수 있으며, 전달함수로도 표현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편미분 방정식으로 표현할 수는 없습니다. 편미분 방정식은 시공간적으로 연속적인 시스템에 적용되는 것이며, 선형 시불변 시스템은 시간에 대해서만 선형이고 시불변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편미분 방정식으로는 표현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항공기의 운동방정식이 다음 식으로 결정되었다. 이 식으로부터 단주기운동의 고유진동수를 구하면 얼마인가?

  1. ωns=3rad/sec
  2. ωns=2.11rad/sec
  3. ωns=1.145rad/sec
  4. ωns=0.352rad/sec
(정답률: 알수없음)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에서 ω = 100 [rad/sec]일 때 이득은 약 몇 db인가?

  1. -60
  2. -120
  3. 60
  4. 120
(정답률: 알수없음)
  • 이득은 20log|H(jω)|로 계산할 수 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H(jω)|를 계산하면 된다.

    |H(jω)| = 1/√(1+(ω/100)^2)

    여기에 ω = 100을 대입하면,

    |H(j100)| = 1/√(1+1^2) = 0.707

    따라서, 이득은 20log|H(j100)| = -3.01 dB이다.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약 몇 dB"라고 했으므로, -3 dB를 가장 가까운 값으로 반올림하여 -6 dB로 답을 구할 수 있다.

    따라서, 정답은 "-60"이다.

    이유는 dB는 로그 스케일로 표현되기 때문에, 이득이 1/10이 되면 -10 dB가 되고, 1/100이 되면 -20 dB가 된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이득이 1/2가 되면 -6 dB가 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최소 위상계(minimum phase system)의 설명으로 가장 올바른 것은?

  1. 출력은 언제나 입력보다 늦게 나타난다.
  2. 입∙출력의 위상차가 ±180˚ 로 제한된다.
  3. 실수부의 양의 값인 극점이나 영점을 가지지 않는다.
  4. 입력주파수가 변해도 위상이 변하지 않는다.
(정답률: 알수없음)
  • 최소 위상계는 시스템의 주파수 응답이 양의 실수부 극점이나 영점을 가지지 않는 시스템을 말합니다. 이는 시스템의 안정성과 관련이 있습니다. 만약 시스템이 양의 실수부 극점이나 영점을 가지면, 시스템의 출력이 입력보다 더 빨리 나타날 수 있으며, 이는 불안정한 시스템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최소 위상계는 안정적인 시스템으로 간주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다음의 특성방정식에서 허수 축이나 오른쪽 평면에 놓이는 근의 수는?

  1. 0
  2. 1
  3. 2
  4. 4
(정답률: 알수없음)
  • 주어진 특성방정식의 계수는 실수이므로, 복소수 해는 공액 복소쌍으로 존재한다. 즉, 복소수 해가 있다면 그들의 공액 복소수도 함께 존재한다.

    주어진 특성방정식을 풀어보면,

    $(x-1)^2(x^2+1)=0$

    $x=1$ 은 중근이므로, $x^2+1=0$ 의 해를 구해보자.

    $x^2+1=0$

    $x^2=-1$

    $x=pm i$

    따라서, 복소수 해는 $x=pm i$ 이며, 이들은 허수 축에 놓여있다. 따라서, 정답은 "2"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전기시스템을 이루는 선로상수가 아닌 것은?

  1. 저항
  2. 인덕턴스
  3. 커패시턴스
  4. 포텐셔미터
(정답률: 알수없음)
  • 선로상수는 전기시스템에서 전기적 특성을 나타내는 상수를 말합니다. 이 중 포텐셔미터는 전기장을 측정하는데 사용되는 계기로, 선로상수가 아닙니다. 포텐셔미터는 전기장을 측정하기 위해 사용되며, 저항, 인덕턴스, 커패시턴스와는 다른 물리적인 개념입니다. 따라서 포텐셔미터는 선로상수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보드선도를 이용해서 보상기를 설계하고자 한다. 다음 보상기들의 주파수 특성에 대한 설명 중 가장 거리가 먼 내용은?

  1. 위상 앞섬 보상기는 고주파 통과 필터이다.
  2. 위상 앞섬 보상기는 시스템의 감쇄 특성을 개선한다.
  3. 위상 뒤짐 보상기는 저주파 통과 필터이다.
  4. 위상 뒤짐 보상기는 저주파 통과 필터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위상 뒤짐 보상기는 저주파 통과 필터이다."가 가장 거리가 먼 내용이다.

    위상 앞섬 보상기는 고주파 통과 필터이며, 시스템의 감쇄 특성을 개선한다. 반면에 위상 뒤짐 보상기는 저주파 통과 필터이며,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위상 뒤짐을 보상하는 역할을 한다. 이는 고주파 신호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고, 저주파 신호에만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특성방정식 인 제어계의 근궤적(root locus) 점근선(asymptote)의 점근각은 얼마인가?

  1. 60˚와 180˚
  2. -60˚와 180˚
  3. ±60˚와 180˚
  4. ±60˚와 0˚
(정답률: 알수없음)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