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로표지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7-05-13)

항로표지산업기사
(2007-05-13 기출문제)

목록

1과목: 항로표지일반

1. 다음은 사설항로표지의 육상 시설기준에 대한 설명이다.( )에 들어갈 내용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10
  2. 20
  3. 30
  4. 40
(정답률: 알수없음)
  • 사설항로표지에서 "20"은 육상 시설기준 중 최대 허용 길이를 나타낸다. 즉, 해당 구간에서는 20m 이상의 길이를 가진 선박이 진입할 수 없다는 뜻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등명 기에 설치하여 주 동작 전구가 단선되었을 때, 일광제어기로부터 제어신호를 받아 예비전구로 자동 전환하는 장치는?

  1. 섬광기
  2. 지지금구
  3. 조류방지봉
  4. 전구교환기
(정답률: 알수없음)
  • 등명 기에 설치된 전구교환기는 일광제어기로부터 제어신호를 받아 예비전구로 자동 전환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등명 기와는 관련이 없는 장치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해도나 등대표에 기재된 지리학적 광달거리는 관측자의 눈의 높이가 평균수면으로부터 몇 m 일 때를 기준으로 계산한 것인가?

  1. 5
  2. 10
  3. 15
  4. 20
(정답률: 알수없음)
  • 해도나 등대표에 기재된 지리학적 광달거리는 관측자의 눈의 높이가 평균수면으로부터 1.8m 일 때를 기준으로 계산한 것이다. 따라서, 눈의 높이가 7.8m (1.8m + 5m) 일 때의 광달거리가 5km가 되므로 정답은 "5"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IALA 해상부표식의 종류 중 항행원조를 주목적으로 하는 것이 아니고 수로도지에 기재된 구역이나 지물을 표시하는 것은?

  1. 측방표지
  2. 특수표지
  3. 방위표지
  4. 고립장애표지
(정답률: 알수없음)
  • 특수표지는 항행원조를 주목적으로 하는 것이 아니라, 수로도지에 기재된 구역이나 지물을 표시하는데 사용되는 IALA 해상부표식의 종류입니다. 따라서 이 보기에서 정답은 "특수표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야간의 항로표지 특성 표시방법으로 맞는 것은?

  1. 도색
  2. 형상
  3. 두표
  4. 등질
(정답률: 알수없음)
  • 야간의 항로표지는 등질로 표시됩니다. 이는 표지의 전체적인 색상과 밝기가 균일하게 유지되어야 하며, 특정 부분이 다른 부분에 비해 더 밝거나 어둡지 않아야 함을 의미합니다. 이는 선박 운항 시 안전한 항해를 위해 필요한 것으로, 등질로 표시되지 않은 표지는 선박 운항에 위험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IALA 해상부표식 “B" 방식 적용 국가가 아닌 것은?

  1. 일본
  2. 대한민국
  3. 필리핀
  4. 영국
(정답률: 알수없음)
  • 영국은 IALA 해상부표식 "A" 방식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B" 방식을 사용하는 국가가 아닙니다. 다른 보기인 일본, 대한민국, 필리핀은 모두 "B" 방식을 사용하는 국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항로표지의 일반적 종류 중 광파표지가 아닌 것은?

  1. 등선
  2. 부표
  3. 도등
  4. 등부표
(정답률: 알수없음)
  • 광파표지는 빛을 이용하여 항로를 안내하는 표지이지만, 부표는 물체나 기구를 이용하여 항로를 안내하는 표지입니다. 따라서, 광파표지가 아닌 것은 부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속력 10노트로 선박이 동경 30° 40` E 의 적도상에서 서쪽으로 24시간 항해하였다면 도착지점의 경도는?

  1. 34° 40` E
  2. 26° 40` E
  3. 34° 40` W
  4. 26° 40` W
(정답률: 알수없음)
  • 선박이 동경 30° 40` E에서 서쪽으로 24시간 항해했으므로, 경도는 30° 40` E에서 서쪽으로 24° 이동한 위치가 된다.

    30° 40` E - 24° = 26° 40` E

    따라서 정답은 "26° 40` E"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항로표지의 등고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최고고조면에서 등화 중심까지의 높이
  2. 최저저조면에서 등화 중심까지의 높이
  3. 기본수준면에서 등화 중심까지의 높이
  4. 평균수면에서 등화 중심까지의 높이
(정답률: 알수없음)
  • 항로표지의 등고는 선박이 안전하게 항해할 수 있는 수심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이 때 등고는 평균수면에서 등화 중심까지의 높이를 의미합니다. 이는 선박이 항해할 때 가장 중요한 기준이 되는 평균수면을 기준으로 하여 수심을 나타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평균수면에서 등화 중심까지의 높이"가 가장 적합한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항로표지를 모양, 등광, 음향, 전파 등을 이용하여 식별할 때 항로표지 종류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위험표지
  2. 주간표지
  3. 야간표지
  4. 음파표지
(정답률: 알수없음)
  • 위험표지는 항로를 안내하는 것이 아니라, 선박 운항에 위험이 있거나 주변에 위험한 장애물이 있음을 경고하기 위한 표지이기 때문에 항로표지 종류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북측 방위표지에 사용되는 등질은?

  1. 연속적인 급섬광 또는 초급섬광
  2. 초급섬광 다음에 장섬광 다음에 암간
  3. 9초의 급섬광 또는 초급섬광 다음에 암간
  4. 3회의 급섬광 또는 초급섬광 다음에 암간
(정답률: 알수없음)
  • 북측 방위표지는 선박이 북쪽을 향해 항해할 때 참고하는 표지이다. 따라서 이 표지에서 사용되는 등질은 북쪽을 가리키는 방향을 명확하게 알려주어야 한다. 연속적인 급섬광 또는 초급섬광은 북쪽을 가리키는 등질 중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선박이 이 등질을 보고 북쪽을 가리키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IALA부표 식에 조화시켜 사용할 수 있는 항로표지는 몇 종이 있는가?

  1. 3종
  2. 4종
  3. 5종
  4. 6종
(정답률: 알수없음)
  • IALA부표 식은 빨강색과 노랑색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빨강색은 좌측에, 노랑색은 우측에 위치한다. 따라서 항로표지도 빨강색과 노랑색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좌측과 우측에 각각 표시된다. 이에 따라 IALA부표 식에 조화시켜 사용할 수 있는 항로표지는 좌측과 우측에 각각 빨강색과 노랑색으로 표시된 총 5종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등명기 구조상 하부 등체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섬광기
  2. 전구 교환기
  3. 일광 제어기
  4. 회전장치
(정답률: 알수없음)
  • 등명기 구조상 하부 등체에 속하지 않는 것은 "전구 교환기"입니다. 전구 교환기는 등체 내부에 위치하여 전구를 교체하는 기능을 수행하지만, 하부 등체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지 않습니다. 반면에 섬광기, 일광 제어기, 회전장치는 모두 하부 등체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항로표지 설치 기본요건이 아닌 것은?

  1. 국제적으로 간편하고 누구나 식별하기 쉬울 것
  2. 대응성이 있어 수로도지의 참고나 계속관측을 필요로 하는 것일 것
  3. 일정한 장소에서 항상 고정되어 있어야 하며 정확히 운영될 것
  4. 평상시에 항해자가 무시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즉시 이용할 수 있을 것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대응성이 있어 수로도지의 참고나 계속관측을 필요로 하는 것일 것"입니다. 이유는 항로표지는 항해 안전을 위한 중요한 요소이기 때문에 대응성이 있어야 합니다. 즉, 수로도지의 변화나 기상 조건 등에 따라 항로표지의 위치나 상태가 변경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참고나 계속적인 관측이 필요합니다. 다른 보기들은 항로표지 설치의 기본 요건으로서 중요하지만, 대응성은 추가적인 요건으로서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권한 있는 당국이 설정하여 행정 지도하는 항로이나 법적구속력이 없는 항로는?

  1. 추천항로
  2. 권고항로
  3. 법정항로
  4. 계획항로
(정답률: 알수없음)
  • 권고항로는 권한 있는 당국이 설정하여 행정 지도하는 항로이지만 법적 구속력이 없는 항로입니다. 따라서 항로를 따르는 것이 권장되지만, 법적으로 강제되는 것은 아니며 항로를 따르지 않아도 법적인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이에 따라 "권고항로"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풍압 차나 유압차가 있을 때 진자오선과 선수미선이 이루는 각을 무엇이라 하는가?

  1. 진침로
  2. 자침로
  3. 시침로
  4. 나침로
(정답률: 알수없음)
  • 진자오선과 선수미선이 이루는 각을 시침각이라고 한다. 이는 시계의 시침과 비슷한 원리로, 진자오선이나 선수미선이 시계의 시침과 같은 역할을 하기 때문에 시침각이라고 부른다. 따라서 정답은 "시침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해양수산부장관은 안전하고 효율적인 해상교통한경을 조성하기 위하여 몇 년 단위로 항로표지 개발에 관한 기본계획을 수립. 시행 하여야 하는가?

  1. 3
  2. 5
  3. 10
  4. 15
(정답률: 알수없음)
  • 해양수산부장관은 항로표지 개발에 관한 기본계획을 수립하고 시행함으로써 안전하고 효율적인 해상교통한경을 조성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기본계획은 몇 년 단위로 수립하고 시행해야 하며, 이 중에서 가장 적절한 주기는 10년입니다. 이는 충분한 시간 간격으로 계획을 수립하고 수정할 수 있으며, 동시에 기술적인 발전과 함께 적절한 대응이 가능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1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해협, 수도, 소해수로, 항만 등 위험한 해면을 항해하는 선박을 안전하게 목적지에 유도하기 위하여 설치하는 항로표지를 무엇이라 하는가?

  1. 유도표지
  2. 항양표지
  3. 연안표지
  4. 장애표지
(정답률: 알수없음)
  • 유도표지는 항해 중인 선박이 안전하게 목적지에 도달할 수 있도록 방향과 위치를 안내하는 표지이다. 따라서 "유도"라는 단어는 "안내하다"라는 뜻을 가지고 있으며, 항로를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항양표지는 항로를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표지이고, 연안표지는 해안선과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는 표지이다. 장애표지는 해상에서 발생하는 재난이나 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표지이다. 따라서 이 중에서 유도표지가 항해 중인 선박을 안내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정답은 "유도표지"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사설항로표지의 관리자 또는 위탁관리업자가 될 수 있는 자는?

  1. 미성년자. 금치산자 또는 한정치산자
  2. 파산선고를 받은 자로서 복권되지 아니한 자
  3. 형의 집행유예를 받고 그 유예기간 중에 있는 자
  4. 금고이상의 실형의 선고를 받고 그집행이 종료되거나 집행이 면제된 날로부터 4년이 경과한자
(정답률: 알수없음)
  • 사설항로표지는 항로 안전을 위한 중요한 시설물이므로, 그 관리자나 위탁관리업자는 신뢰성이 높아야 합니다. 따라서, 금고 이상의 실형을 선고받아 집행이 종료되거나 면제된 지 4년이 경과한 자만이 사설항로표지의 관리자나 위탁관리업자가 될 수 있습니다. 이는 범죄를 저지른 사람들 중에서도 일정한 시간이 지나면 사회적으로 재참여가 가능하다는 믿음에 기반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해양수산부장관이 사설항로표지를 수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그 사실을 누구에게 미리 통지하여야 하나?

  1. 지방해양 수산청장
  2. 사설항로표지 소유자
  3. 사설항로표지 위탁관리업자
  4. 관할 시. 도지사
(정답률: 알수없음)
  • 해양수산부장관이 사설항로표지를 수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그것이 사설항로표지 소유자의 재산권에 관련된 문제이기 때문에, 미리 사설항로표지 소유자에게 통지하여 동의를 구해야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사설항로표지 소유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전기, 전자기초

21. 다음 중 절연 저항을 측정하는데 가장 적합한 계기는?

  1. 메거
  2. 전류계
  3. 더블 브릿지
  4. 휘스톤 브릿지
(정답률: 알수없음)
  • 메거는 절연 저항을 측정하는데 가장 적합한 계기입니다. 이는 메거가 고전압을 가한 후에도 전류가 흐르지 않도록 설계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절연 저항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습니다. 반면에 전류계, 더블 브릿지, 휘스톤 브릿지는 다른 전기적인 특성을 측정하는데 더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두 자극 사이에 작용하는 힘은 두 자극의 세기의 곱에 비례하고,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하는 법칙은?

  1. 쿨롱의 법칙
  2. 암폐어의 법칙
  3. 렌쯔의 법칙
  4. 비오-사바르의 법칙
(정답률: 알수없음)
  • 쿨롱의 법칙은 전기적인 상호작용을 나타내는 법칙으로, 두 전하 사이에 작용하는 힘은 전하의 크기의 곱에 비례하고,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합니다. 따라서 두 전하가 가까이 있을수록 큰 힘이 작용하며, 전하의 크기가 커질수록 작용하는 힘도 커집니다. 이러한 법칙은 전자기학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다음 중 직류기의 3요소가 아닌 것은?

  1. 전기자
  2. 게자
  3. 슬립링
  4. 정류자
(정답률: 알수없음)
  • 슬립링은 직류기의 요소가 아니라 회전자에 해당하는 부분입니다. 직류기의 3요소는 전기자, 게자, 정류자입니다. 전기자는 회전자를 구성하는 부분으로서 자기장을 생성하고, 게자는 전류를 공급하는 부분입니다. 정류자는 전류의 방향을 일정하게 유지시켜주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다음 그림과 같이 10[Ω] 저항 4개를 연결하고 직류전압 100[V]를 인가하였다. 저항(R)에 흐르는 전류i[A] 는?

  1. 2.5
  2. 5
  3. 10
  4. 12.3
(정답률: 알수없음)
  • 10[Ω] 저항 4개를 직렬로 연결하면 총 저항은 40[Ω]이 된다. 따라서, 오므로 오므로 전압과 저항을 이용한 전류 계산식인 i = V/R 을 이용하여 전류를 계산하면 i = 100[V] / 40[Ω] = 2.5[A] 이다. 따라서, 정답은 "2.5"가 아닌 "1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다음 중 축전지 용량의 단위는?

  1. A
  2. Ah
  3. W
  4. Wh
(정답률: 알수없음)
  • 축전지 용량은 전기량을 나타내는데, 전기량은 전류(A)와 시간(h)의 곱으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축전지 용량의 단위는 Ah(암페어-시간)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전류나 전력을 나타내는 단위이지 축전지 용량을 나타내는 단위는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정전용량 C1과 C2의 회로에 E[V] 의 직류 전압을 가할 때 C1과 양단의 전압 [V]은 얼마인가?

(정답률: 알수없음)
  • 정전용량 C1과 C2의 직렬 연결 회로에서 전압을 가할 때, C1과 C2는 전압을 나누어 받게 된다. 이때 C1의 전압은 C2의 전압보다 더 높게 나타나게 된다. 따라서 C1의 양단 전압은 E[V]보다 높고, C2의 양단 전압은 E[V]보다 낮게 나타난다. 따라서 정답은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다음 중 N 형 반도체를 만들기 위한 불순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알루미늄
  2. 비소
  3. 안티몬
(정답률: 알수없음)
  • 알루미늄은 P형 반도체를 만들기 위한 불순물로 적합하지만, N형 반도체를 만들기 위한 불순물로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N형 반도체를 만들기 위해서는 전자를 기부하는 불순물이 필요한데, 알루미늄은 전자를 받아들이는 불순물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알루미늄은 N형 반도체를 만들기 위한 불순물로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다음 중 태양전지에 축전장치가 필요한 이유는?

  1. 태양광이 없을 때 대비하기 위하여
  2. 빛의 반사를 방지하기 위하여
  3. 빛을 최대한으로 받아들이기 위하여
  4. 전지를 견고하게 하기 위하여
(정답률: 알수없음)
  • 태양광이 없을 때 축전장치는 태양광으로 충전된 전기를 저장하여 사용 가능한 전기로 변환하기 때문에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직류기의 전기자 반작용의 영향을 줄이는 방법이 아닌 것은?

  1. 브러시 위치를 전기적 중성점으로 이동시킨다.
  2. 극수를 늘린다.
  3. 보상 권선을 설치한다.
  4. 보극을 설치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직류기에서 극수를 늘리는 것은 전류 밀도를 감소시켜 전기자 반작용을 줄이는 효과가 있기 때문이다. 다른 보기들은 전기자 반작용을 줄이는 다른 방법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다음 중 태양전지의 재료로서 주로 쓰이는 반도체가 아닌 것은?

  1. Si
  2. Ag
  3. In-P
  4. Ga-As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Ag"입니다. 태양전지의 재료로 주로 사용되는 반도체는 "Si", "In-P", "Ga-As"입니다. "Ag"는 전기 전도성이 높지만 광전도성이 낮아 태양전지에 사용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다음 중 태양전지와 관련 있는 것은?

  1. 광기전력효과
  2. 광증폭효과
  3. 제백효과
  4. 표피효과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 "광기전력효과"

    광기전력효과는 빛에 의해 발생하는 전기적인 현상으로, 태양전지에서 사용되는 원리 중 하나입니다. 태양전지는 광기전력효과를 이용하여 태양광을 전기로 변환합니다. 광기전력효과는 광선이 반도체 내부로 들어가면 전자와 양공이 발생하고, 이들이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전기적인 에너지를 생성하는 원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다음 중 1차 전지인 망간건전지에 사용되는 감극제는?

  1. 이산화망간
  2. 아연
  3. 흑연
  4. 황산
(정답률: 알수없음)
  • 1차 전지인 망간건전지에서는 이산화망간이 감극제로 사용됩니다. 이는 이산화망간이 양극에서 전자를 받아 이온화된 망간 이온으로 변화하면서 전기적인 에너지를 생성하기 때문입니다. 이산화망간은 높은 전기 화학 활성도와 안정성을 가지고 있어서 망간건전지에서 감극제로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단상 전파 정류기의 DC출력 전력은 단상 반파 정류기 DC출력 전력의 몇 배인가?

  1. 2
  2. 3
  3. 4
  4. 5
(정답률: 알수없음)
  • 단상 전파 정류기의 DC출력 전력은 단상 반파 정류기 DC출력 전력의 2배이다. 이는 단상 반파 정류기가 한 사이클에서 양/음의 반파만을 이용하여 전력을 공급하는 반면, 단상 전파 정류기는 한 사이클에서 전체 파형을 이용하여 전력을 공급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단상 전파 정류기의 DC출력 전력은 단상 반파 정류기 DC출력 전력의 2배가 된다.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은 "4"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다음 중 직류 분권 발전기의 병렬운전에 필요한 것은

  1. 집전환
  2. 브러시의 이동
  3. 안정저항
  4. 균압선
(정답률: 알수없음)
  • 직류 분권 발전기의 병렬운전에서는 각 발전기의 전압과 전류가 서로 일치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각 발전기의 터미널 전압이 균형을 이루어야 합니다. 이 균형을 이루는 선을 균압선이라고 하며, 균압선을 맞추기 위해 발전기의 전압 조절기를 조정합니다. 따라서 균압선은 직류 분권 발전기의 병렬운전에 필수적인 요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다음 중 키르히호프의 제1법칙으로 옳은 것은?

  1. 전압의 합은 0 이다.
  2. 전류의 합은 0 이다.
  3. 주파수의 합은 0 이다.
  4. 전력의 합은 0 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전류의 합은 0 이다." 이다. 이유는 키르히호프의 제1법칙은 전류의 보존 법칙으로, 어떤 노드에서 들어오는 전류의 합은 그 노드에서 나가는 전류의 합과 같다는 것을 말한다. 즉, 전류는 보존되며, 어떤 회로에서든 전류의 총합은 0이 되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다음 중 인덕터(L) 만 있는 교류회로에서 전압과 전류의 위상 관계는?

  1. 동상이다.
  2. 전류가 앞선다.
  3. 전압이 앞선다.
  4. 수시로 변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전압이 앞선다. 이는 인덕터가 교류전원에 연결되어 있을 때, 전류가 흐르기 시작하면 인덕터 내부에서 자기장이 생성되어 전류의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전압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현상을 인덕턴스라고 하며, 이로 인해 전압이 전류보다 앞서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다음 중 누전이 발생하면 차단하는 장치는?

  1. ELB
  2. EOCR
  3. 플러그
  4. 콘센트
(정답률: 알수없음)
  • ELB는 Earth Leakage Breaker의 약자로, 누전이 발생하면 차단하는 장치입니다. 누전이 발생하면 전기가 지구로 흐르기 때문에 ELB는 전기가 지구로 흐르는 양을 감지하여 누전이 발생하면 전기를 차단합니다. 따라서 ELB는 안전한 전기 사용을 위해 필수적인 장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저항이 100[Ω] 인 전구에 단상 교류전압 220[V] 를 인가할 때, 이 전구에 소비되는 전력은 몇 [W]인가?

  1. 244
  2. 372
  3. 484
  4. 586
(정답률: 알수없음)
  • 전력은 전압과 전류의 곱으로 계산됩니다. 단상 교류전압을 인가할 때, 전구에 흐르는 전류는 전압과 저항의 비례 관계에 따라 220[V] / 100[Ω] = 2.2[A] 입니다. 따라서 전력은 220[V] × 2.2[A] = 484[W] 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484"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대칭 3상 △결선 부하에서 각 상의 임피던스가 Z= 3 + j4[Ω]이고 선간 전압이 50[v] 일 때 선 전류는 약 몇 [A] 인가?

  1. 34
  2. 31
  3. 24
  4. 17
(정답률: 알수없음)
  • 각 상의 전압은 선간 전압의 크기의 1/√3 이므로,

    상 전압 = 50 / √3 = 28.87 [V]

    각 상의 전류는 Ohm의 법칙에 따라 다음과 같다.

    I = V/Z = 28.87 / (3+j4) = 3.44 - j2.30 [A]

    3상의 전류는 각 상의 전류의 크기가 모두 같고 위상이 120도 차이나므로,

    선 전류 = 각 상의 전류 / √3 = (3.44 - j2.30) / √3 = 1.99 - j1.15 [A]

    따라서, 선 전류의 크기는 √(1.99^2 + 1.15^2) = 2.30 [A] 이다.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이 "17" 인 이유는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직류 전원 공급장치에서 사용되는 필터의 종류는?

  1. 고역통과 필터
  2. 저역통과 필터
  3. 대역통과 필터
  4. 대역저지 필터
(정답률: 알수없음)
  • 직류 전원 공급장치에서는 고주파 잡음을 제거하기 위해 저역통과 필터를 사용합니다. 이 필터는 저주파 신호를 통과시키고 고주파 신호를 차단하여 전원 신호의 안정성을 유지합니다. 따라서 직류 전원 공급장치에서 사용되는 필터의 종류는 "저역통과 필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광파, 음파 표지

41. 암초나 사주가 있는 위험한 장소 또는 항로의 폭이나 변침점 등을 표시하기 위하여 설치한 것은?

  1. 등대
  2. 등표
  3. 등부표
  4. 등주
(정답률: 알수없음)
  • 등부표는 암초나 사주와 같은 위험한 장소나 항로의 폭이나 변침점 등을 표시하기 위해 설치된 것입니다. 따라서 등부표가 정답입니다. 등대는 해상 안전을 위해 설치된 조명 장치이며, 등표는 항해를 돕기 위해 설치된 표지판입니다. 등주는 선박이나 어부가 밤에 바다에서 일을 할 때 사용하는 등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다음 중 눈부심(Glare)의 원인으로서 맞지 않는 것은?

  1. 광원과 그 주위의 휘도 차가 대단히 크다.
  2. 광원의 위치와 관측자의 시선 방향이 가깝다.
  3. 눈이 낮은 휘도 수준에 순응하고 있다.
  4. 눈에 들어오는 광원의 시각이 작다.
(정답률: 알수없음)
  • 눈에 들어오는 광원의 시각이 작다는 것은 광원이 시야에서 멀리 떨어져 있어서 작게 보이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눈을 부드럽게 하고 눈의 조절 기능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기 때문에 눈부심을 줄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보기는 눈부심의 원인으로서 맞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음파표지의 설계시 고려사항으로 맞지 않는 것은?

  1. 이용범위에 대하여 충분한 음향이 되도록 강력한 무신호를 설치할 것
  2. 표시부호, 음색, 주기가 정확하여 다른 음향과 쉽게 구분할 수 있을 것
  3. 기상, 해상의 영향에 의하여 음향이 감쇠되지 않고 전파 방위의 변화가 적도록 설치 위치를 선정할 것
  4. 부근의 지형에 의하여 음향이 반사 및 굴절될 수 잇도록 위치를 선정할 것
(정답률: 알수없음)
  • "이용범위에 대하여 충분한 음향이 되도록 강력한 무신호를 설치할 것"은 음파표지 설계시 고려사항으로 맞지 않는다. 이유는 음파표지는 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이 아니라 주변 소음과 구분하기 위한 표지이기 때문에, 무신호를 설치할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같은 주파수 2개의 위상차가 시간과 함께 변화하지 않을 때, 2개의 광파가 겹쳐 빛의 세기가 강해지거나 약해지는 현상은?

  1. 분산
  2. 편광
  3. 간섭
  4. 회절
(정답률: 알수없음)
  • 두 개의 같은 주파수 광파가 겹쳐질 때, 그들의 위상차에 따라 빛의 세기가 강해지거나 약해지는 현상을 간섭이라고 합니다. 이는 두 광파가 서로 상호작용하여 파동의 진폭이 더해지거나 서로 상쇄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가스(gas) 또는 전구를 사용한 광원에서 나온 빛을 렌즈 또는 반사경을 이용하여 굴절 반사시켜 빛을 모아 외부로 방사하는 조명기구는?

  1. 등명기
  2. 도등
  3. 지향등
  4. 섬광기
(정답률: 알수없음)
  • 등명기는 가스나 전구에서 나온 빛을 렌즈나 반사경을 이용하여 모아 외부로 방사하는 조명기구이다. 이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조명기구로, 조명의 강도와 방향을 조절할 수 있어 다양한 용도로 사용된다. 도등은 조명의 강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기능을 가진 조명기구이며, 지향등은 특정 방향으로 빛을 비추는 기능을 가진 조명기구이다. 섬광기는 갑작스러운 빛을 내는 기능을 가진 조명기구로, 비상 상황에서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다음 중 빛의 굴절현상을 가장 바르게 설명한 것은?

  1. 빛의 굴절이란 진행 중에 다른 물질과 만나면 경계면에서 되돌아가는 형상이다.
  2. 빛의 굴절이란 진행 중에 다른 물질과 만나면 빛의 진행경로가 꺾이는 현상이다.
  3. 빛의 굴절이란 진행 중에 다른 물질과 만나면 빛의 색이 변하는 현상이다.
  4. 빛의 굴절이란 진행 중에 다른 물질과 만나면 빛이 투과하는 현상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빛의 굴절이란 진행 중에 다른 물질과 만나면 빛의 진행경로가 꺾이는 현상이다." 이것이 가장 바르게 설명한 것이다. 빛이 다른 물질과 만나면 그 밀도가 다르기 때문에 빛의 진행경로가 꺾이게 된다. 이것이 빛의 굴절 현상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어떤 소리가 또 다른 소리를 들을 수 있는 능력을 감소시키는 현상을 무엇이라 하는가?

  1. 감쇠효과
  2. 음색효과
  3. 복합음효과
  4. 매스킹효과
(정답률: 알수없음)
  • 매스킹효과는 어떤 소리가 다른 소리를 가리는 현상을 말합니다. 예를 들어, 큰 소리가 작은 소리를 가리는 경우 작은 소리를 듣기 어려워지는 것입니다. 이러한 현상은 인간의 청각 능력을 감소시키는데 영향을 미치며, 이를 매스킹효과라고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교량 등이나 표지판은 어느 기준점을 고려하여 설치하여야 하는가?

  1. 최고고조면
  2. 최저고조면
  3. 평균수면
  4. 해저면
(정답률: 알수없음)
  • 교량 등이나 표지판은 일반적으로 최고고조면을 기준으로 설치됩니다. 이는 해수면이 가장 높은 상태에서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입니다. 최저고조면은 해수면이 가장 낮은 상태를 의미하며, 평균수면은 해수면의 평균 높이를 의미합니다. 해저면은 바다 바닥을 의미하며, 이는 교량 등과는 무관합니다. 따라서 교량 등과 같은 시설물은 최고고조면을 기준으로 설치되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등대의 명호범위 안에 위험해역이 있을 때 그 범위를 가리키기 위해서 명호와 같이 직방위로 표시하는 것은?

  1. 휘호
  2. 등호
  3. 분호
  4. 원호
(정답률: 알수없음)
  • 분호는 등대와 함께 설치되어 등대의 명호범위 안에 있는 위험해역을 가리키기 위해 사용됩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등대와 함께 언급되는 명호범위와 직방위로 표시하는 것을 고려하면 분호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수면하의 암초, 수면위의 암초, 방파제 끝단 등을 조사하여 통항 선박에 그들 장애물의 소재를 알리기 위하여 설치하는 등은?

  1. 지향등
  2. 도등
  3. 조사등
  4. 교량등
(정답률: 알수없음)
  • 조사등은 해상에서 장애물의 위치를 알리기 위해 설치하는 등 조사 목적으로 사용되는 등입니다. 따라서 수면하의 암초, 수면위의 암초, 방파제 끝단 등을 조사하여 통항 선박에 그들 장애물의 소재를 알리기 위해 설치하는 것이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IALA에서 권고한 등질에 관한 설 명중 “일정한 광도를 유지하고 암간이 없다”로 정의된 등질의 종류는?

  1. 부동광
  2. 등명암광
  3. 급섬광
  4. 군섬광
(정답률: 알수없음)
  • 부동광은 일정한 광도를 유지하면서 암간이 없는 등질로, 광도가 변하지 않고 일정한 간격으로 깜빡이지 않는 등질을 말합니다. 따라서 부동광은 등명암광, 급섬광, 군섬광과는 다른 등질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등대표에 광달거리를 기재할 때 기상학적 시정거리는?

  1. 5해리
  2. 10해리
  3. 15해리
  4. 20해리
(정답률: 알수없음)
  • 광달거리란 등대에서 발하는 빛이 바다 위를 비추어 바다에서 관측자가 볼 때 빛이 얼마나 멀리 보이는지를 나타내는 것입니다. 기상학적 시정거리는 대기 상태에 따라 빛이 얼마나 멀리 보이는지를 나타내는데, 이는 대기 중 물방울, 먼지, 연기 등의 입자들이 빛을 산란시켜서 빛이 흐려지는 정도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기상학적 시정거리가 10해리라는 것은 대기 상태가 비교적 깨끗하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등명기에 설치하는 색 필터의 조건에 합당한 것은?

  1. 광학적 특성을 고려하여 유리를 사용하지 않는다.
  2. 색상은 백색, 적색, 녹색, 황색을 이용할 수 있다.
  3. 색필터가 자외선 등에 의해서 변색 되어도 무방하다.
  4. 수시로 교환할 수 있도록 지지대에 고정하지 않는다.
(정답률: 알수없음)
  • 등명기는 밝기와 색상을 구분하여 표시하기 때문에, 색 필터를 사용하여 적절한 색상을 선택해야 한다. 이때, 광학적 특성을 고려하여 유리를 사용하지 않으며, 색상은 백색, 적색, 녹색, 황색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색필터가 자외선 등에 의해서 변색 되어도 무방하며, 수시로 교환할 수 있도록 지지대에 고정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다음 중 광파표지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등대
  2. 등표
  3. 조사등
  4. 입표
(정답률: 알수없음)
  • 입표는 광원이 없는 표지로, 주로 표지판이나 신호등 등에 사용됩니다. 따라서 광파표지의 종류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다음 중 음파표지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에어사이렌
  2. 모터사이렌
  3. 전기폰
  4. 전동기
(정답률: 알수없음)
  • 전동기는 소리를 내는 기능이 없는 기계적인 장치이기 때문에 음파표지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소리를 내는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IALA해상부표식(B지역)의 우현표지의 몸체 도색은?

  1. 홍색
  2. 녹색
  3. 황색
  4. 흑색
(정답률: 알수없음)
  • IALA해상부표식(B지역)의 우현표지의 몸체 도색은 "홍색"이다. 이는 우현표지가 오른쪽에 위치하며, 홍색은 오른쪽을 나타내는 색상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다음 중 광달거리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광력이 약한 등광 일수록 광달거리가 불규칙하다.
  2. 등고가 너무 높은 등광은 구름에 가려 보이지 않을 수 있다.
  3. 겨울철에는 등기에 얼음이 붙어 광달거리가 감소할 수 있다.
  4. 해수의 수온이 기온보다 높으면 광달거리는 증가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해수의 수온이 기온보다 높으면 광달거리는 증가한다. 이유는 해수의 수온이 높을수록 공기가 더 많이 상승하게 되어 대기의 밀도가 감소하고, 이로 인해 광선이 더 적게 굴절되어 더 멀리까지 볼 수 있게 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항로표지의 등색으로 주로 사용되지 않는 것은?

  1. Blue
  2. White
  3. Red
  4. Green
(정답률: 알수없음)
  • 항로표지에서 주로 사용되는 색은 빨강, 초록, 흰색입니다. 파란색은 주로 해양 경계를 나타내는데 사용되며, 항로표지에서는 사용되지 않습니다. 이는 항해자들이 항로표지를 구분하기 쉽도록 하기 위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다음 항로표지 중 두표가 흑색 구형 2개인 것은?

  1. 좌현표지
  2. 북방위 표지
  3. 고립장애표지
  4. 특수표지
(정답률: 알수없음)
  • 고립장애표지는 흑색 구형 2개의 표지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 표지는 해상에서 선박이나 인명구조 등의 긴급상황이 발생했을 때 해당 지점이 고립된 지역임을 알리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이 표지를 보면 구조 요청이 필요한 상황임을 알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다음 중 IALA 해상부표식에서 안전수역표지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두표는 1개의 홍색구형이다.
  2. 형상은 구형, 구형두표부 망대형 또는 원주형이다.
  3. 도색은 홍백종선이다.
  4. 등광은 홍색광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등광은 홍색광이 아니라, 녹색광이다. 안전수역표지는 선박이 안전하게 항해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표지이며, 등광색은 밤에 표지를 식별하기 위한 것이다. 홍색은 주로 위험을 나타내는 표지에 사용되며, 안전수역표지에는 녹색광이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전파표지 및 시스템 이용

61. 다음 중 선박통항신호소(VTS)의 운영으로 기대할 수 있는 가장 큰 예방 효과는?

  1. 선박의 화재사고 예방
  2. 선박의 폭발사고 예방
  3. 선박의 기관송상사고 예방
  4. 항행 상의 접촉사고 예방
(정답률: 알수없음)
  • 선박통항신호소(VTS)는 항로상의 선박들의 위치와 상황을 모니터링하고, 이를 기반으로 선박들에게 안전한 항해를 지시하며, 상황판단에 도움을 주는 시스템입니다. 따라서 VTS의 운영으로 가장 큰 예방 효과는 항행 상의 접촉사고 예방입니다. VTS는 선박들의 위치와 상황을 실시간으로 파악하여, 서로의 궤적이 교차하는 경우에는 충돌을 예방하기 위한 안전한 항로를 안내하고, 선박들 간의 거리를 유지하도록 지시합니다. 이를 통해 항행 상의 접촉사고를 예방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전파의 공전잡음의 경감 대책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수신기의 실효대역폭을 가능한 크게 한다.
  2. 안테나 Notch Filter를 설치한다.
  3. 송신전력을 크게 한다.
  4. 안테나의 지향성을 예민하게 하여 이득을 높인다.
(정답률: 알수없음)
  • 송신전력을 크게 하는 것은 전파의 공전잡음을 더욱 심화시키므로 경감 대책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반면, 수신기의 실효대역폭을 크게 함으로써 불필요한 잡음을 걸러내고 원하는 신호를 더욱 정확하게 수신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수신기의 실효대역폭을 가능한 크게 한다."가 해당하지 않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다음 GPS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삼각측량의 원리를 이용한 거리측량 방식
  2. GPS는 전 세계적인 위치결정방식이라는 의미의 명칭
  3. 전 세계적으로 공동좌표계(WGS84 측지계)를 사용함
  4. 쌍곡선과 시간차의 2차원 측정방식을 사용함
(정답률: 알수없음)
  • "쌍곡선과 시간차의 2차원 측정방식을 사용함"은 틀린 설명입니다. GPS는 위성과 수신기 간의 거리를 측정하여 위치를 결정하는 방식으로 작동합니다. 이를 위해 GPS는 삼각측량의 원리를 이용한 거리측량 방식을 사용하며, 전 세계적으로 공동좌표계(WGS84 측지계)를 사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미국의 NAVSTAR GPS 와 러시아의 GLONASS를 총칭하여 무엇이라 하는가?

  1. GBSS
  2. GNSS
  3. GCSS
  4. GDSS
(정답률: 알수없음)
  • GNSS는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의 약자로, 전 세계적인 위성 항법 시스템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NAVSTAR GPS와 GLONASS를 포함한 모든 위성 항법 시스템을 총칭하는 용어로 GNSS가 사용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GNSS"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VTS에서 항만의 효율성을 고려하여 물류정보를 통항의 안전 정보에 통합하는 시스템을 무성이라 하는가?

  1. VIMIS
  2. VTMIS
  3. TSMIS
  4. VRIS
(정답률: 알수없음)
  • VTS는 항만의 선박 운항 상황을 모니터링하는 시스템이고, 무성이는 물류정보와 안전 정보를 통합하는 시스템이다. 따라서 VTS와 무성이는 서로 다른 시스템이며, 항만의 효율성을 고려하여 물류정보를 통항의 안전 정보에 통합하는 시스템은 VTMIS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DGPS에서 사용하는 해상 Radio Becon의 주파수 대역은?

  1. 245 ㎑ ~ 283.5㎑
  2. 283.5㎑ ~ 325 ㎑
  3. 325 ㎑ ~ 367.5 ㎑
  4. 367.5 ㎑ ~ 405 ㎑
(정답률: 알수없음)
  • DGPS에서 사용하는 해상 Radio Beacon의 주파수 대역은 "283.5㎑ ~ 325㎑"입니다. 이는 DGPS 시스템이 사용하는 주파수 대역으로, 이 주파수 대역은 해상에서의 전파 전달이 용이하며, 다른 무선 통신 시스템과의 간섭을 최소화하기 위해 선택된 것입니다. 따라서, DGPS 시스템에서는 이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여 정확한 위치 정보를 제공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다음 중 로란 -C 통제소에서 해당 종국을 Blink 시켜야 하는 상황이 아닌 것은?

  1. 감시 국으로부터 수신된 TD가 허용치를 벗어났을 때
  2. 감시 국으로부터 수신된 각 송신국의 ECD가 허용치를 벗어났을 때
  3. 종국에서 TINO가 허용치를 벗어났을 때
  4. 감시 국으로부터 수신된 송신국의 전게강도가 표준 값보다 -2dB 이상일 때
(정답률: 알수없음)
  • 감시 국으로부터 수신된 송신국의 전게강도가 표준 값보다 -2dB 이상일 때는 통신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므로, Blink 시킬 필요가 없습니다. 따라서 이 상황은 로란 -C 통제소에서 해당 종국을 Blink 시켜야 하는 상황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주파수 감응형 레이더비컨 송수신기의 구성을 가장 알맞은 것은?

  1. 수신부(Rx), 송신부(Tx), 제어부(CONT), 전원부(PWR)
  2. 수신부(Rx), 송신부(Tx), 발진부(Osc), 전원부(PWR)
  3. 수신부(Rx), 송신부(Tx), 연산부(FADJ), 타이머(TIMER)
  4. 수신부(Rx), 송신부(Tx), 증폭부(AMP), 레벨검출부(LD)
(정답률: 알수없음)
  • 주파수 감응형 레이더비컨 송수신기는 수신부(Rx), 송신부(Tx), 제어부(CONT), 전원부(PWR)로 구성됩니다. 수신부는 수신된 신호를 처리하고, 송신부는 신호를 발생시켜 보내는 역할을 합니다. 제어부는 송신부와 수신부의 동작을 제어하며, 전원부는 전체 시스템의 전원을 공급합니다. 따라서 이 네 가지 부품이 모두 필요하며, 다른 보기의 부품들은 이 시스템에서 필요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전파의 주파수에 의한 분류 중 맞는 것은?

  1. LF(장파) : 0 ㎑ - 30 ㎑
  2. MF(중파) : 30 ㎑ - 300 ㎑
  3. HF(단파) : 30 ㎒ - 300 ㎒
  4. SHF(마이크로파) : 3㎓ - 30㎓
(정답률: 알수없음)
  • 주파수가 높을수록 전파의 파장이 짧아지기 때문에 SHF(마이크로파)는 3㎓ - 30㎓의 주파수 범위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 범위는 높은 주파수이기 때문에 파장이 짧아지고 전파의 에너지가 높아지게 됩니다.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마이크로파는 고속 데이터 통신, 위성 통신, 레이더 등에 이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다음 중 레이더의 방위분해능과 가장 관계가 깊은 것은?

  1. 펄스폭
  2. 수평빔폭
  3. 수직빔폭
  4. 주파수
(정답률: 알수없음)
  • 레이더의 방위분해능은 레이더가 방출한 전파를 수신하여 그 신호를 분석하여 측정하는데, 이때 수평빔폭이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수평빔폭이란 레이더에서 방출되는 전파의 수평 방향으로의 폭을 의미하며, 이 값이 작을수록 더 정확한 방위분해능을 얻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수평빔폭이 방위분해능과 가장 관계가 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다음 정보 중에서 레이더 비콘을 이용하여 제공할 수없는 정보는?

  1. 거리
  2. 방위
  3. 고도
  4. 식별상의 정보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 고도

    레이더 비콘은 거리와 방위를 측정하여 위치를 파악할 수 있으며, 식별상의 정보도 제공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고도는 레이더 비콘이 측정할 수 없는 정보입니다. 고도는 대개 기체나 위성의 GPS 시스템을 통해 측정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로란-C 수신기의 안테나로 일반적ㅇ로 사용하는 종류로 가장 타당한 것은?

  1. 야기 안테나
  2. 루프안테나
  3. 휩(채찍)형 안테나
  4. 슬롯 안테나
(정답률: 알수없음)
  • 로란-C 수신기는 고주파 신호를 수신하는데 적합한 안테나이며, 이 중에서도 휩(채찍)형 안테나가 가장 적합합니다. 이는 고주파 신호를 수신하는 데 있어서 높은 감도와 좋은 방향성을 가지기 때문입니다. 또한, 휩(채찍)형 안테나는 크기가 작아 이동성이 우수하며, 설치가 간편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따라서 로란-C 수신기의 안테나로 휩(채찍)형 안테나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최소의 GRI를 결정하는데 고려되어야 할 사항과 관계적은 것은?

  1. 체인내의 종국의 수
  2. 체인의 위상코드
  3. 코딩딜레이
  4. 기선장
(정답률: 알수없음)
  • 최소의 GRI를 결정하는데 고려되어야 할 사항은 여러 가지가 있지만, 그 중에서도 체인의 위상코드가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체인의 위상코드는 체인 내 각 디바이스의 위치와 연결 상태를 나타내는 코드로, 이를 통해 디바이스 간의 통신 경로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최소의 GRI를 결정하기 위해서는 체인 내 디바이스들의 위치와 연결 상태를 정확히 파악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체인의 위상코드가 필수적입니다. 다른 보기들인 체인내의 종국의 수, 코딩딜레이, 기선장도 중요하지만, 최소의 GRI를 결정하는데 있어서는 체인의 위상코드가 가장 핵심적인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DGPS는 RTCM-SC104 포맷에 의해 비교적 느린 속도로 메시지를 전송하는데 이용되는 변조방식은?

  1. ASK
  2. FSK
  3. MSK
  4. PSK
(정답률: 알수없음)
  • DGPS에서 RTCM-SC104 포맷에 의해 전송되는 메시지는 비교적 느린 속도로 전송되기 때문에 변조방식으로 FSK가 이용된다. FSK는 주파수 변조 방식으로, 정보를 전송하기 위해 주파수를 변화시키는 방식이다. 이 방식은 비교적 느린 속도로 메시지를 전송하는데 적합하며, 노이즈에 강한 특징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DGPS에서는 FSK를 이용하여 메시지를 전송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지표파는 지면의 도전율에 따라 감쇠 차이가 심하다. 다음 중 도전율이 가장 큰 것은?

  1. 시내
  2. 모래땅
  3. 담수
  4. 해수
(정답률: 알수없음)
  • 도전율은 전기가 흐르는 물질 내에서 저항을 만나는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도전율이 크다는 것은 전기가 잘 통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지표파가 감쇠되는 정도도 도전율에 영향을 받는다.

    "담수"가 도전율이 가장 큰 이유는, 담수는 염분이 적어 전기가 잘 통하는 물질이기 때문이다. 반면에 "해수"는 염분이 많아 전기가 잘 통하지 않는 물질이므로 도전율이 작다. "시내"와 "모래땅"은 각각 도시와 모래로 이루어진 지형이므로, 전기가 잘 통하지 않는 특성을 가지고 있어 도전율이 작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복원중 (정확한 문제내용과 보기내용을 아시는분께서는 오류 신고를 통하여 문제내용과 보기 내용 작성 부탁드립니다.) (문제 오류로 정답은 4번입니다.)

  1. 복원중
  2. 복원중
  3. 복원중
  4. 복원중
(정답률: 알수없음)
  • 이 문제는 보기가 제대로 작성되지 않아 정확한 이유를 설명할 수 없습니다. 오류 신고를 통해 문제와 보기를 제대로 작성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전파의 성질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전파는 균일한 매질 내에서는 일정한 속도로 직진한다.
  2. 전파는 진행 중에도 주파수는 일정히 유지된다.
  3. 진공 속에서의 전파속도는 빛의 속도보다 빠르다.
  4. 전파는 성질이 다른 매질의 경계면에서는 일부 반사 또는 투과의 성질이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진공 속에서의 전파속도는 빛의 속도보다 빠르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실제로 진공 속에서의 전파속도는 빛의 속도와 같습니다. 이는 전자기파가 진공에서 전파될 때 전자기장과 자기장이 서로 직교하면서 전파가 진행되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성질 때문에 전자기파는 진공에서도 빛과 같은 속도로 전파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전파표지의 특징에 대한 설명 중 적당하지 않은 것은?

  1. 다른 항로표지시설에 비해 기상조건에 영향을 적게 받는다.
  2. 광파나 음파표지시설과 달리 수신 설비 등이 필요하다.
  3. 전파의 전파(傳播)범위가 커서 넓은 해역에서 사용이 가능하다.
  4. 주로 전리층의 반사파를 이용하기 때문에 사용범위가 넓다.
(정답률: 알수없음)
  • "주로 전리층의 반사파를 이용하기 때문에 사용범위가 넓다."는 적당하지 않은 설명입니다. 전파표지는 전리층의 반사파뿐만 아니라 다양한 전파를 이용하여 항로를 안내하기 때문에 사용범위가 넓다는 것은 전파표지의 특징 중 하나일 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전파표지 측정치의 신뢰도를 나타내는 지표로서 표준편차(Standard Deviation)의 관계식은?

  1. 0.7071/h
  2. 0.5642/h
  3. 0.4769/h
  4. 0.3745/h
(정답률: 알수없음)
  • 전파표지 측정치의 신뢰도를 나타내는 지표로서 표준편차는 측정치들의 분산을 나타내는 값입니다. 이 값이 작을수록 측정치들이 모여있어 신뢰도가 높다고 판단할 수 있습니다.

    전파표지 측정치의 표준편차와 거리(h) 사이의 관계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표준편차 = 0.7071/h

    이 식에서 0.7071은 정규분포에서 표준편차가 1일 때의 거리 1에 대한 확률값입니다. 따라서 전파표지 측정치의 표준편차가 0.7071/h일 때, 거리 h 내에 대부분의 측정치가 포함되어 있을 확률이 높다고 판단할 수 있습니다.

    즉, 이 식은 전파표지 측정치의 신뢰도를 나타내는 지표로서, 거리 h 내에 대부분의 측정치가 포함될 확률이 높은 값을 제시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로란-C의 90㎑에서 110㎑ 대역 바깥쪽 주파수에서 발사되는 에너지의 총량은 전 발사에너지의 몇 % 미만이어야 하는가?

  1. 1% 미만
  2. 2% 미만
  3. 3% 미만
  4. 4% 미만
(정답률: 알수없음)
  • 로란-C의 주파수 대역은 90㎑에서 110㎑이다. 이 범위 바깥쪽 주파수에서 발사되는 에너지의 총량은 전체 발사 에너지의 일부분이므로 전체 발사 에너지의 얼마 이상이 아니어도 된다. 따라서, 발사 에너지의 1% 미만이어도 충분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