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삭기능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3-01-26)

연삭기능사
(2003-01-26 기출문제)

목록

1과목: 기계가공법 및 안전관리

1. 공작기계에서 스핀들의 속도변환은 보통 어떤 방법에 의한 전동인가?

  1. 마찰차에 의한 전동
  2. 캠에 의한 전동
  3. 기어에 의한 전동
  4. 링크에 의한 전동
(정답률: 알수없음)
  • 공작기계에서 스핀들의 속도변환은 기어에 의한 전동으로 이루어집니다. 기어는 회전운동을 전달하고 속도를 변환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스핀들의 속도를 조절하는 데에 적합합니다. 또한, 기어는 정밀하게 제작되어 있어서 고정밀한 작업에도 적합합니다. 따라서, 공작기계에서 스핀들의 속도변환에는 기어에 의한 전동이 가장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공구 재질에 요구되는 특성 설명으로 가장 옳은 것은?

  1. 상온에서 경도와 강도를 유지해야 한다.
  2. 상온에서 높은 인성을 유지해야 한다.
  3. 고온에서 높은 취성과 경도를 유지해야 한다.
  4. 고온에서 높은 경도 및 강도를 유지해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공구는 사용 중에 높은 압력과 온도에 노출될 수 있기 때문에, 고온에서도 변형 없이 높은 경도와 강도를 유지해야 합니다. 이는 공구의 내구성과 성능을 유지하기 위해서 필요한 특성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밀링에서 슬로팅 장치의 설명에 해당되는 것은?

  1. 일감의 원주나 직선형의 일감을 분할할 수 있는 장치이다.
  2. 윤곽가공, 연속스크롤(scroll)등을 깎는 데 쓰인다.
  3. 수평 및 만능 밀링 머신의 기둥면에 설치하여 키이홈 등을 깎을 때 사용되는 장치이다.
  4. 긴 래크를 깎을 때 사용되는 장치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슬로팅 장치는 수평 및 만능 밀링 머신의 기둥면에 설치하여 키이홈 등을 깎을 때 사용되는 장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죠오가 보통 3개로서 환봉, 6각등 규칙적인 일감을 신속하게 고정시킬 때 사용하기 가장 편리한 척은?

  1. 단동척(independent chuck)
  2. 전자척(electromagnetic chuck)
  3. 연동척(universal chuck)
  4. 콜릿척(collet chuck)
(정답률: 알수없음)
  • 연동척은 다양한 크기와 형태의 작업물을 고정할 수 있으며, 환봉이나 6각등과 같은 규칙적인 형태의 작업물 뿐만 아니라 원형이 아닌 작업물도 고정할 수 있습니다. 또한, 작업물을 고정할 때 정확한 위치 조정이 가능하며, 작업물의 중심축과 척의 중심축이 일치하여 정확한 가공이 가능합니다. 따라서, 연동척은 다양한 형태와 크기의 작업물을 신속하게 고정하고 정확한 가공이 필요한 경우에 가장 편리한 척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연삭숫돌 바퀴의 구성 3 요소가 아닌 것은?

  1. 숫돌입자
  2. 조직
  3. 결합제
  4. 기공
(정답률: 알수없음)
  • 연삭숫돌 바퀴의 구성 요소는 숫돌입자, 결합제, 기공입니다. 조직은 연삭숫돌 바퀴의 구성 요소가 아닙니다. 조직은 물질의 성질을 결정하는 미세 구조를 의미하며, 연삭숫돌 바퀴의 구성 요소와는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브로칭 작업중 브로우치를 움직이는 방식이 아닌 것은?

  1. 나사식
  2. 기어식
  3. 유압식
  4. 벨트식
(정답률: 알수없음)
  • 벨트식 브로칭 기계는 브로우치를 움직이는데 벨트를 사용합니다. 나사식, 기어식, 유압식 브로칭 기계는 각각 나사, 기어, 유압 실린더를 사용하여 브로우치를 움직입니다. 따라서 벨트식은 다른 방식과는 다르게 벨트를 사용하여 움직이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막대, 관, 이형물 등을 다이스를 통해 밀어내는 방법으로 재료를 호퍼에 넣어 가열, 가압하여 연화, 가소화시켜 다이스의 형상에 따라 냉각 완성하는 방법은?

  1. 특수 성형법
  2. 트랜스퍼 성형법
  3. 압출 성형법
  4. 사출 성형법
(정답률: 알수없음)
  • 다이스를 통해 재료를 밀어내어 형상을 만들고, 가열과 가압을 통해 연화, 가소화시킨 후 다시 다이스의 형상에 맞게 냉각하여 완성하는 방법은 압출 성형법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이와는 다른 방식으로 성형을 진행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게이지 블록(gauge blocks )의 등급 중 정밀도가 높은 것에서 낮은 순으로 나열한 것은?

  1. 0급 - 1급 - 2급 - 00급
  2. 2급 - 1급 - 0급 - 00급
  3. 00급 - 0급 - 1급 - 2급
  4. 0급 - 00급 - 1급 - 2급
(정답률: 알수없음)
  • 게이지 블록의 등급은 그 정밀도를 나타내는데, 등급이 높을수록 정밀도가 높아집니다. 따라서 00급이 가장 높은 정밀도를 가지며, 0급, 1급, 2급 순으로 등급이 낮아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보통 버니어캘리퍼스로 측정할 수 없는 것은?

  1. 외경 측정
  2. 나사의 유효경측정
  3. 깊이 측정
  4. 내경 측정
(정답률: 알수없음)
  • 나사의 유효경측정은 버니어캘리퍼스로 측정할 수 없는 것입니다. 이는 나사의 유효경이 내경과 외경의 중간 지점에서 측정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나사의 유효경측정을 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측정 도구가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어미자의 최소 눈금이 0.5mm이고 아들자의 눈금기입 방법이 39mm를 20등분한 버니어 캘리퍼스의 최소 측정값은?

  1. 0.015mm
  2. 0.020mm
  3. 0.025mm
  4. 0.050mm
(정답률: 알수없음)
  • 아들자의 눈금기입 방법이 39mm를 20등분한 버니어 캘리퍼스의 최소 측정값은 39mm/20 = 1.95mm 입니다. 하지만 어미자의 최소 눈금이 0.5mm 이므로, 버니어 캘리퍼스의 최소 측정값은 0.5mm이 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1.95mm를 39등분하여 계산하면 0.05mm가 되므로, 보기에서 정답은 "0.025mm"이 아닌 "0.050mm"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다음의 공작기계 중에서 가공 정밀도가 가장 높은 것은?

  1. 연삭기(grinder)
  2. 보링 머신(boring machine)
  3. 호닝 머신(honig machine)
  4. 선반(lathe)
(정답률: 알수없음)
  • 호닝 머신은 내부면을 가공하는 공작기계로, 가공 정밀도가 매우 높습니다. 이는 호닝 머신이 내부면을 회전시키면서 동시에 고속으로 이동하는 방식으로 가공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호닝 머신은 내부면의 정밀도와 표면 마무리에 매우 적합한 공작기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다이얼 게이지로 측정할 때, 게이지의 위치는?

  1. 공작물의 좌측으로 기울여 놓는다.
  2. 공작물에 수직으로 놓는다.
  3. 보기좋은 위치에 놓는다.
  4. 공작물의 우측으로 기울여 놓는다.
(정답률: 알수없음)
  • 다이얼 게이지는 중력에 의해 작동하기 때문에, 공작물에 수직으로 놓아야만 정확한 측정이 가능합니다. 만약 공작물의 좌측이나 우측으로 기울여 놓으면 중력의 영향을 받아 측정값이 왜곡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게이지의 위치는 공작물에 수직으로 놓는 것이 가장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양두그라인더에서 받침대와 숫돌과의 간격은 얼마로 하는 것이 좋은가?

  1. 15mm 이내
  2. 8mm 이내
  3. 10mm 이내
  4. 3mm 이내
(정답률: 알수없음)
  • 양두그라인더에서 받침대와 숫돌과의 간격은 3mm 이내로 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는 간격이 너무 멀면 작업물이 흔들리고 안정적이지 않아서 정확한 작업이 어렵고, 간격이 너무 가까우면 작업물이 막히거나 고장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적절한 간격을 유지하여 안전하고 정확한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아암은 기둥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할수 있고 스핀들 헤드는 아암 위에서 좌우로 이동할 수 있어 스핀들을 임의의 위치에 놓을수 있는 드릴링 머신은?

  1. 직접 드릴링 머신
  2. 레이디얼 드릴링 머신
  3. 다축 드릴링 머신
  4. 다두 드릴링 머신
(정답률: 알수없음)
  • 아암이 기둥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하고 스핀들 헤드가 좌우로 이동할 수 있는 드릴링 머신은 레이디얼 드릴링 머신입니다. 레이디얼 드릴링 머신은 스핀들 헤드가 360도 회전 가능하며, 스핀들 헤드와 아암의 이동으로 다양한 위치에 드릴링이 가능합니다. 이에 비해 직접 드릴링 머신은 스핀들 헤드가 고정되어 있어 이동이 제한적이며, 다축 드릴링 머신과 다두 드릴링 머신은 다양한 축을 가지고 있지만 스핀들 헤드의 이동이 제한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KS규격에 의한 표준 조도분류의 활동유형에서 고휘도 대비 혹은 큰 물체 대상 시작업 수행(조도분류F)시 가장 적당한 작업면 조명의 표준 조도 범위[lx]는?

  1. 60∼150
  2. 150∼300
  3. 300∼600
  4. 600∼1500
(정답률: 알수없음)
  • 조도분류F는 고휘도 대비 혹은 큰 물체 대상 시작업을 수행하는 활동으로, 작업면에서 충분한 조도가 필요합니다. 따라서, 작업면 조명의 표준 조도 범위는 150∼300lx가 가장 적당합니다. 이 범위는 작업면에서 충분한 조도를 제공하면서도 과도한 조도로 인한 눈의 피로를 최소화할 수 있는 범위이기 때문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조도분류F에 적합하지 않은 범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결합제에 따라 분류한 연삭 숫돌 바퀴의 종류와 관계 없는 것은?

  1. 비트리파이드 숫돌바퀴
  2. 실리케이트 숫돌바퀴
  3. 세그먼틀 숫돌바퀴
  4. 탄성 숫돌바퀴
(정답률: 알수없음)
  • 세그먼틀 숫돌바퀴는 결합제에 따라 분류한 연삭 숫돌 바퀴의 종류 중에는 없는 것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결합제에 따라 분류한 연삭 숫돌 바퀴의 종류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직물, 피혁, 고무 등으로 만든 유연한 원판을 고속 회전시켜 일감의 표면을 매끈하고 광택있게 가공하는 방법은?

  1. 텀블링
  2. 입자 벨트가공
  3. 버핑
  4. 숏 피닝
(정답률: 알수없음)
  • 직물, 피혁, 고무 등의 일감을 매끈하고 광택있게 가공하는 방법 중에서 유연한 원판을 고속 회전시켜 일감의 표면을 가공하는 방법은 "버핑"입니다. 이는 원판의 표면에 부착된 마모성이 높은 소재로 인해 일감의 표면을 매끈하게 가공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구성인선이 절삭속도가 120m/min에 도달하면 방지될 경우 지름 50㎝의 연강봉을 외경 선삭가공할 때, 선반 주축의 회전수(rpm)를 얼마 이상으로 해야 하는가?

  1. 764
  2. 271
  3. 217
  4. 76.4
(정답률: 알수없음)
  • 절삭속도(V) = πDN/1000 (m/min)
    여기서 D는 지름, N은 회전수(rpm)입니다.

    따라서 N = (V × 1000) / (πD) = (120 × 1000) / (π × 50) = 764 (rpm)

    따라서 정답은 "764"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KS규격에 의한 안전색채 녹색의 사용 목적이 아닌 것은?

  1. 위생
  2. 피난
  3. 보호
  4. 지시
(정답률: 알수없음)
  • KS규격에서 안전색채 녹색은 피난과 보호를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며, 지시를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지시"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밀링 커터 중 총형 커터에 속하는 것은?

  1. 사이드 밀링 커터
  2. 엔드밀
  3. 플라이 커터
  4. 치형 절삭 커터
(정답률: 알수없음)
  • 총형 커터는 일반적으로 원통형 또는 구형의 형태를 가지며, 주로 곡면을 가공할 때 사용됩니다. 이 중에서도 치형 절삭 커터는 치형의 형태를 가지고 있어 치아를 형성하는 등의 작업에 적합합니다. 따라서 치형 절삭 커터가 총형 커터에 속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기계재료 및 요소

21. 절삭유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칩으로 하여금 가공면에 상처를 주지 않는다.
  2. 마찰을 감소시킨다.
  3. 일감 열에 의한 정밀도 저하를 방지한다.
  4. 공구날의 경도 상승을 방지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절삭유는 공구날의 경도 상승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지 않습니다. 절삭유는 칩 생성과 마찰을 감소시키며, 일감 열에 의한 정밀도 저하를 방지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직립 밀링 작업시 기본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며, 지름에 비해 길이가 긴 커터는?

  1. 플레인 커터
  2. 메탈소오
  3. 엔드밀
  4. 헬리컬 커터
(정답률: 알수없음)
  • 직립 밀링 작업에서는 커터가 움직이는 방향이 수직 방향이므로, 지름에 비해 길이가 긴 커터는 효율적인 작업을 위해 끝부분만을 이용하여 가공할 수 있는 엔드밀이 가장 많이 사용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엔드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밀링의 부속장치 중 분할작업과 비틀림홈 가공을 할 수 있는 장치는?

  1. 테이블
  2. 분할대
  3. 슬로팅장치
  4. 랙밀링장치
(정답률: 알수없음)
  • 분할대는 회전하는 작업물을 일정한 각도로 분할하여 가공할 수 있는 장치이며, 비틀림홈 가공도 가능합니다. 따라서 분할작업과 비틀림홈 가공을 할 수 있는 부속장치로 분할대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선반작업에서 M20 × 2로 표시되어 있는 도면을 보고 선반 가공한 나사를 도면에 맞게 가공하였는지 유효경을 검사하려고 한다. 알맞는 측정기는?

  1. 나사 마이크로미터
  2. 센터게이지
  3. 유니 마이크로미터
  4. 피치게이지
(정답률: 알수없음)
  • 나사 마이크로미터는 나사의 유효경을 측정하는데 특화된 측정기기이다. M20 × 2로 표시된 도면에서 M은 나사의 메트릭(Metric) 체계를 의미하며, 20은 나사의 직경을 나타내고, 2는 한 나사의 피치(Pitch)를 나타낸다. 따라서 나사 마이크로미터를 사용하여 나사의 직경과 피치를 정확하게 측정하여 도면에 맞게 가공한 나사의 유효경을 검사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절삭 조건이 절삭속도에 미치는 영향이다. 맞지 않는 것은?

  1. 일감이 굳을 때에는 절삭속도를 느리게 한다.
  2. 절삭 깊이를 크게하면 절삭속도를 빠르게 한다.
  3. 절삭유를 사용할때는 절삭속도를 높인다.
  4. 나사깎기 등 어려운 절삭에서는 절삭속도를 느리게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절삭 깊이를 크게하면 절삭속도를 빠르게 한다."는 맞는 설명입니다. 이는 절삭 깊이가 깊어질수록 한 번에 많은 양의 재료를 제거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절삭속도를 높여서 빠르게 절삭하면 더 효율적인 절삭이 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연삭 작업의 안전사항 중 올바르지 않은 것은?

  1. 연삭숫돌차의 플랜지 지름은 숫돌차지름의 1/3 이상이어야 한다.
  2. 반드시 보안경을 쓰거나 시일드를 설치한다.
  3. 숫돌차의 옆면에 붙어 있는 종이는 떼어내지 말아야 한다.
  4. 숫돌차의 축과 구멍에는 틈새가 없어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숫돌차의 축과 구멍에는 틈새가 없어야 한다."가 올바르지 않은 것입니다. 이는 오히려 연삭 작업 시 문제가 될 수 있습니다. 축과 구멍 사이에는 약간의 여유가 있어야 연삭 작업 시에도 움직임이 자유롭게 일어나며, 마찰로 인한 열이 분산되어 안정적인 작업이 가능해집니다. 따라서 축과 구멍 사이에는 적당한 여유가 있어야 하며, 이를 조절하기 위해 조정 나사를 이용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드릴이 1회전할 때 이송을 s(mm),드릴끝 원뿔높이를 h(mm), 공작물의 구멍깊이를 t(mm), 드릴의 회전수를 n(rpm) 이라고 할 때, 이 구멍을 뚫는 데 소요 시간 T는?

(정답률: 알수없음)
  • 보기에서 이 정답인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드릴이 1회전할 때 이송 거리는 s(mm)이고, 드릴의 회전수는 n(rpm)이므로, 드릴이 1분 동안 이동하는 거리는 ns(mm/min)입니다. 이때, 드릴이 이동하는 거리는 공작물의 구멍 깊이 t(mm)보다 커야 하므로, 구멍을 뚫는 데 필요한 최소 시간 T는 다음과 같습니다.

    T = t / (ns/60) = 60t / ns

    따라서, 보기에서 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보링작업에서 주로 사용되는 절삭 공구의 명칭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다이스
  2. 드라이버
  3. 바이트
(정답률: 알수없음)
  • 보링작업에서는 회전하는 원통형 공구를 사용하여 구멍을 뚫는데, 이때 원통형 공구의 끝 부분이 절단면을 가지고 있어서 재료를 절단하면서 구멍을 만들어내는데, 이러한 공구를 바이트라고 부릅니다. 따라서 바이트가 보링작업에서 주로 사용되는 절삭 공구의 명칭으로 가장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센터리스 연삭기의 장점으로 틀린 것은?

  1. 연삭숫돌 바퀴의 나비가 크므로 지름의 마멸이 적다.
  2. 연삭 여유가 적어도 된다.
  3. 일단 기계의 조정이 끝나면 가공이 쉽다.
  4. 대형 중량물 연삭에 적합하다.
(정답률: 알수없음)
  • 센터리스 연삭기는 연삭숫돌 바퀴의 나비가 크므로 지름의 마멸이 적어 대형 중량물 연삭에 적합하다. 이는 연삭 작업 시 바퀴의 마멸이 적을수록 정확한 가공이 가능하며, 대형 중량물은 보통 크기가 크고 무거우므로 이를 가공하는 데에는 센터리스 연삭기가 적합하다고 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밀링작업 안전 수칙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상하 이송 레버는 사용 후에도 그대로 넣어 두어야 한다.
  2. 커터는 될 수 있는 대로 컬럼에 가깝게 설치한다.
  3. 테이블이나 아암위에 공구나 커터 등을 올려 놓는다.
  4. 칩은 기계를 정지시킨 다음 맨손으로 제거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커터를 컬럼에 가깝게 설치하는 이유는, 커터가 멀리 위치하면 진동이 발생하여 정확한 가공이 어렵고, 불안정한 상태에서 작업을 하게 되어 안전사고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커터를 가능한 가까이 설치하여 안정적인 작업환경을 조성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니이 컬럼형 밀링머신을 호칭번호로 나타낸것 중에서 가장 작은 것은?

  1. 0번
  2. 1번
  3. 3번
  4. 4번
(정답률: 알수없음)
  • 호칭번호는 밀링머신의 크기와 기능을 나타내는 번호이며, 번호가 작을수록 작은 크기와 기능을 가진다. 따라서 "0번"은 가장 작은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숫돌 바퀴의 모양과 표시로서 WA·60·K·m·V로 표시한 것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WA는 연삭제의 숫돌입자로 백색 알루미나이다.
  2. 60은 숫돌 입자의 크기를 굵기로 표시한 숫자로 입도표시이다.
  3. V는 숫돌 입자의 결합 상태를 나타내는 결합도의 표시이다.
  4. m은 조직 상태 표시로 숫돌의 단위 용적당 입자의 량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V는 숫돌 입자의 결합 상태를 나타내는 결합도의 표시이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V는 숫돌 바퀴의 회전 속도를 나타내는 단위인데, 숫돌 입자의 결합 상태를 나타내는 결합도의 표시는 다른 기호로 나타냅니다. 예를 들어, X는 결합도가 약한 것을 나타내고, Y는 결합도가 강한 것을 나타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선반 작업에 사용되는 센터 중에서 단면을 절삭해야만 할 경우 사용되는 것은?

  1. 보통 센터
  2. 초경 합금을 경납땜한 센터
  3. 베어링 센터
  4. 하프 센터
(정답률: 알수없음)
  • 하프 센터는 선반 작업 시 단면을 절삭해야 할 경우 사용되는 센터입니다. 이는 하프 센터가 선반의 중심축과 일치하지 않고, 단면을 절삭할 때 필요한 각도를 제공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하프 센터는 회전하는 작업물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면서도 단면을 정확하게 절삭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선반의 크기를 나타내는 것이 아닌 것은?

  1. 심압대의 크기
  2. 베드 위의 스윙
  3. 양 센터 사이의 최대 거리
  4. 왕복대 위의 스윙
(정답률: 알수없음)
  • 선반의 크기는 선반의 길이, 너비, 높이 등을 나타내는 것이지만, 심압대의 크기는 다른 물체와 달리 크기가 정해져 있지 않기 때문에 선반의 크기를 나타내는 것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다음 중 바이트의 구비조건이 아닌것은?

  1. 경제적이고 사용상 취급이 쉬울 것
  2. 성형이 용이할 것
  3. 내마모성과 내충격성이 작을 것
  4. 고온에서 경도가 감소되지 않을 것
(정답률: 알수없음)
  • 내마모성과 내충격성이 작을 것은 바이트의 구비조건이 아닙니다. 이는 바이트가 사용되는 환경에서 내구성과 안전성을 보장하기 위한 조건이기 때문입니다. 내마모성은 마찰에 의한 손상을 방지하고 내충격성은 충격에 대한 내성을 보장하기 때문에 중요한 요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다음 중 니겔-크롬강에 나타나는 뜨임메짐(tempering shortness)을 방지하기 위한 대표적인 첨가 원소는?

  1. 니켈(Ni)
  2. 크롬(Cr)
  3. 몰리브덴(Mo)
  4. 마그네슘(Mg)
(정답률: 알수없음)
  • 니겔-크롬강은 높은 인성과 내식성을 가지고 있지만, 뜨임메짐 현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는 강재가 고온에서 빠르게 냉각되어 발생하는데, 이때 강재 내부에서 마르텐선체가 형성되어 강도가 증가하지만, 동시에 뜨임메짐 현상이 발생합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몰리브덴(Mo)을 첨가합니다. 몰리브덴은 마르텐선체 형성을 억제하고, 강재 내부에서 석출물을 형성하여 뜨임메짐 현상을 방지합니다. 따라서, 몰리브덴은 니겔-크롬강에서 뜨임메짐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대표적인 첨가 원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공구용 재료에 요구되는 성질로 틀린 것은?

  1. 내마멸성과 내충격성이 클 것
  2. 열처리에 의한 변형이 클 것
  3. 가열에 의한 경도변화가 적을 것
  4. 제조 취급이 쉽고 가격이 쌀 것
(정답률: 알수없음)
  • 가열에 의한 경도변화가 적을 것은 공구용 재료에 요구되는 성질로 틀린 것입니다. 이는 공구가 사용되는 과정에서 높은 온도와 압력에 노출되기 때문에, 재료는 가열에 의한 경도변화가 적어야 하지만, 열처리에 의한 변형은 필요합니다. 열처리는 재료의 강도와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필요한 과정 중 하나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황동의 내식성을 개량하기 위하여 7:3 황동에 1%정도의 주석을 넣은 것은?

  1. 톰백(tombac)
  2. 네이벌 황동(naval brass)
  3. 애드미럴티 황동(admiralty brass)
  4. 델타메탈(delta metal)
(정답률: 알수없음)
  • 주석은 황동의 내식성을 향상시키는 첨가물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7:3 황동에 1% 정도의 주석을 넣으면 내식성이 개선됩니다.

    애드미럴티 황동은 구리와 아연에 비례하여 약간의 비소와 주석을 첨가한 합금으로, 내식성이 뛰어나고 용접성이 좋아서 선박의 부품으로 많이 사용됩니다. 따라서 주어진 보기 중에서 애드미럴티 황동이 선택되는 이유는 선박 부품으로 사용되는 황동 중에서 내식성과 용접성이 가장 우수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다음 축이음의 종류 중에서 원통 커플링(cylindrical coupling)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머프커플링
  2. 반중첩커플링
  3. 셀러커플링
  4. 플랜지커플링
(정답률: 알수없음)
  • 플랜지커플링은 원통형이 아닌 평면형으로, 두 개의 플랜지를 이용하여 연결하는 방식입니다. 따라서 원통 커플링의 종류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다음 그림과 같은 저널은 무슨 저널인가?

  1. 중간 저널
  2. 칼라 저널
  3. 엔드 저널
  4. 피벗 저널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칼라 저널"입니다. 그 이유는 저널의 이름이 "Color Journal"이기 때문입니다. 또한 저널의 커버와 내부 페이지에는 다양한 색상이 사용되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기계제도(절삭부분)

41. 기계재료에 반복 하중을 무한한 횟수를 연속적으로 가할 때 재료가 파괴되지 않고 견딜 수 있는 최대 응력의 한계를 무엇이라 하는가?

  1. 탄성한계
  2. 크리프한계
  3. 피로 한도
  4. 내구 한도
(정답률: 알수없음)
  • 피로 한도는 재료에 반복적인 하중을 가할 때, 재료 내부에서 마이크로크랙이 발생하고 이것이 누적되면서 재료의 강도가 감소하게 됩니다. 이러한 마이크로크랙이 발생하는 응력의 한계를 피로 한도라고 합니다. 따라서, 피로 한도는 재료가 얼마나 많은 반복 하중을 견딜 수 있는지를 나타내는 중요한 지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하중의 크기와 방향이 시간과 더불어 변화하게 되는 하중을 동하중이라하며, 그 작용하는 방법에 의하여 다음과 같이 나눌 수 있다. 동하중이 아닌 것은?

  1. 반복하중
  2. 교번하중
  3. 전단하중
  4. 충격하중
(정답률: 알수없음)
  • 전단하중은 하중의 크기와 방향이 시간과 더불어 변화하지 않는 정적인 하중이다. 따라서 동하중이 아닌 것은 전단하중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마그네슘(Mg)의 특성을 열거한 다음 사항 중 틀린 것은?

  1. 비중이 1.74로서 알루미늄의 2/3 정도이다.
  2. 열전도율이 Al보다 낮고 인장강도도 작으나 절삭성이 양호하다.
  3. 산에는 견디나 알카리나 염류에 침식된다.
  4. 마그네슘은 산소에 대한 친화력이 강하다.
(정답률: 알수없음)
  • "산에는 견디나 알카리나 염류에 침식된다."가 틀린 것입니다.

    마그네슘은 비중이 가벼워서 알루미늄보다 가벼우며, 열전도율이 낮고 인장강도도 작지만 절삭성이 좋습니다. 또한 산소에 대한 친화력이 강해서 공기 중에서도 녹슬지 않습니다. 그러나 산에는 견디지만 알카리나 염류에는 침식됩니다. 이는 마그네슘과 알칼리금속이 반응하여 수소를 방출하고 염을 생성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재료기호에 표시되어 있는 SM45C에 대한 가장 적당한 설명은?

  1. 인장강도가 45㎏f/mm2 인 탄소공구강을 말한다
  2. 탄소함유량이 0.42∼0.50% 인 일반구조용강을 말한다
  3. 인장강도가 45㎏f/mm2 인 탄소강 주강품을 말한다
  4. 탄소함유량이 0.42∼0.48%인 기계 구조용 탄소강을 말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SM45C는 탄소함유량이 0.42∼0.48%인 기계 구조용 탄소강을 말한다. 이는 SM45C의 재료기호에 표시되어 있으며, 탄소함유량이 일반구조용강보다 조금 높고, 인장강도가 45㎏f/mm2인 탄소공구강이나 탄소강 주강품보다는 조금 낮은 수준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주철의 성장을 방지하는데 효과적인 방법을 설명한 것 중 틀린 것은?

  1. 흑연의 미세화로서 조직을 치밀하게 한다.
  2. C 및 Si량을 적게하고 안정화 원소인 Ni등을 첨가한다.
  3. 탄화물 안정화 원소인 Al, Cu, Ni, Mg을 첨가하여 펄라이트 중의 Fe3C 분해를 막는다.
  4. 편상 흑연을 구상흑연화 시킨다.
(정답률: 알수없음)
  • 탄화물 안정화 원소인 Al, Cu, Ni, Mg을 첨가하여 펄라이트 중의 Fe3C 분해를 막는다는 것이 틀린 것입니다. 이는 오히려 주철의 경도를 높이기 위한 방법 중 하나입니다. 탄화물 안정화 원소는 주철 내부의 탄소와 결합하여 탄화물을 형성하고, 이로 인해 주철의 경도가 높아집니다. 따라서 이 방법은 주철의 성장을 방지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강화하는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시편의 표점거리가 50mm, 지름 14mm인 시편에 인장하중을 가하였더니 5mm가 연신되었다면 연신율(%)은?

  1. 5
  2. 10
  3. 15
  4. 20
(정답률: 알수없음)
  • 연신율은 (연신된 길이 / 원래 길이) × 100 으로 계산됩니다. 이 문제에서는 연신된 길이가 5mm이고 원래 길이는 50mm이므로, 연신율은 (5/50) × 100 = 10이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1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다음 중 기계재료의 정적 시험이 아닌 것은?

  1. 충격 시험
  2. 인장 시험
  3. 경도 시험
  4. 굽힘 시험
(정답률: 알수없음)
  • 충격 시험은 기재의 내구성을 평가하기 위해 고속 충격을 가하는 시험으로, 기재가 갑작스런 충격에 얼마나 잘 견딜 수 있는지를 측정합니다. 따라서 기재의 정적인 특성이 아닌 동적인 특성을 평가하는 시험입니다. 인장 시험, 경도 시험, 굽힘 시험은 모두 기재의 정적인 특성을 평가하는 시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동파이프의 두께별 분류중 가장 두꺼운 것은?

  1. L 형
  2. M 형
  3. K 형
  4. N형
(정답률: 알수없음)
  • 동파이프의 두께는 L, M, K, N 형으로 분류됩니다. 이 중 K 형이 가장 두꺼운 것은 내부 직경이 크고 벽 두께가 두꺼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K 형은 높은 압력이나 큰 유량을 처리해야 하는 경우에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고압탱크나 보일러의 리벳이음 주위에 코킹(Caulking)을 하는 목적은?

  1. 강판의 강도를 좋게 하기 위해서
  2. 표면을 깨끗하게 유지하기 위해서
  3. 기밀, 수밀을 유지하기 위해서
  4. 이음 부위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서
(정답률: 알수없음)
  • 고압탱크나 보일러의 리벳이음 주위에 코킹을 하는 목적은 기밀, 수밀을 유지하기 위해서입니다. 코킹은 이음 부위를 밀봉하여 누출을 방지하고, 물이나 기체의 유출을 막아 안전성을 높이기 위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축방향의 하중과 비틀림을 동시에 받는 죔나사에 600kgf의 하중이 작용하고 있다. 허용인장응력이 5kgf/mm2일 때 볼트의 호칭 지름으로 다음 중 가장 적합한 것은?

  1. M14
  2. M16
  3. M18
  4. M12
(정답률: 알수없음)
  • 축방향 하중과 비틀림을 동시에 받는 죔나사의 경우, 볼트의 호칭 지름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σ = F/A

    여기서, σ는 인장응력, F는 하중, A는 볼트 단면적입니다.

    하중 F는 600kgf로 주어졌으며, 인장응력 σ는 5kgf/mm^2로 주어졌으므로,

    A = F/σ = 600kgf / 5kgf/mm^2 = 120mm^2

    따라서, 볼트의 단면적은 120mm^2이 되어야 합니다.

    볼트의 단면적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A = π/4 x d^2

    여기서, d는 볼트의 호칭 지름입니다.

    볼트의 단면적이 120mm^2이므로,

    120mm^2 = π/4 x d^2

    d^2 = 120mm^2 x 4/π

    d = √(120mm^2 x 4/π) = 13.85mm

    따라서, 볼트의 호칭 지름은 M14, M16, M18, M12 중에서 가장 적합한 것은 M18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일반적으로 도면의 표제란과 부품란 중에서 부품란에 기재되는 사항인 것은?

  1. 도명
  2. 척도
  3. 무게
  4. 제도일자
(정답률: 알수없음)
  • 부품란은 각 부품의 세부 사항을 기재하는 곳이며, 이 중에서 무게는 부품의 무게를 나타내는 중요한 정보이기 때문입니다. 부품의 무게는 설계나 제조 과정에서 필요한 정보이며, 부품을 조립하거나 운반할 때도 중요한 요소입니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부품란에는 부품의 무게가 기재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도면에 나타나는 선과 면을 설명한 것으로 옳은 것은?

  1. 투상면에 수직한 직선은 실장을 표시한다.
  2. 투상면에 경사된 직선은 실장보다 길게 표시된다.
  3. 투상면에 수직한 평면은 직선으로 나타난다.
  4. 투상면에 경사된 평면은 단속되어 나타난다.
(정답률: 알수없음)
  • 투상면은 3차원 공간에서 2차원으로 투영된 면을 의미합니다. 이 때, 투상면에 수직한 평면은 투영시에 직선으로 나타나게 됩니다. 이는 평면이 투영되는 동안에는 변형되지 않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투상면에 수직한 평면은 직선으로 나타난다."가 옳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그림과 같은 치수선은 다음 중 어느 것을 표시하는가?

  1. 호의 치수
  2. 현의 치수
  3. 현의 각도
  4. 호의 각도
(정답률: 알수없음)
  • 이 그림에서 치수선은 호의 길이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호의 치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다음 그림은 맞물려 있는 기어의 생략도이다. 어떤 기어인가?

  1. 헬리컬 기어
  2. 위엄 기어
  3. 하이포이드 기어
  4. 더블 헬리컬 기어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더블 헬리컬 기어"입니다. 이유는 그림에서 보이듯이 두 개의 헬리컬 기어가 서로 맞물려 있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구조는 진동과 소음을 줄이는 효과가 있어 자동차나 기계 등에서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다음 3각법으로 투상한 정면도와 평면도에 가장 적합한 우측면도은?

(정답률: 알수없음)
  • 주어진 정면도와 평면도를 보면, y축과 z축이 평면에 수직이고, x축이 평면에 수평임을 알 수 있습니다. 따라서 우측면도에서는 y축과 z축이 수평으로 나타나야 합니다. 이를 만족하는 보기는 ""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보기와 같은 정면도와 우측면도에 가장 적합한 평면도는?

(정답률: 알수없음)
  • 정면도와 우측면도를 보면, 물체의 가장 긴 변이 수평 방향으로 놓여져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에 수직인 평면도가 가장 적합하며, ""가 그에 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보기 입체도의 화살표 방향이 정면이고 정면에서 좌우 대칭인 경우 평면도로 가장 적합한 것은?

(정답률: 알수없음)
  • 정면에서 좌우 대칭인 화살표는 평면도에서 좌우 대칭인 모양이 되어야 하므로, ""가 가장 적합하다. 다른 보기들은 좌우 대칭이 아니거나, 평면도에서 화살표의 방향이 일치하지 않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다음 기하공차 기호 중 관련형체의 위치 공차를 나타내는 종류인 것은?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 입니다. 이 기호는 등차수열에서 각 항의 위치를 나타내는 것으로, 첫째 항부터 n번째 항까지의 위치를 나타내는 공식은 "a + (n-1)d" 입니다. 이때 d가 바로 관련형체의 위치 공차를 나타내는 값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표면 가공기호에서 가공에 의한 커터의 줄무늬가 기호를 기입한 면의 중심에 대하여 대략 동심원이 될 때 사용하는 기호인 것은?

  1. M
  2. C
  3. R
  4. X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C"입니다. 이 기호는 원형 가공을 나타내며, 가공에 의한 커터의 줄무늬가 기호를 기입한 면의 중심에 대하여 대략 동심원이 될 때 사용됩니다. 따라서 "C"가 정답입니다. "M"은 슬롯 가공을 나타내며, "R"은 반원형 가공을 나타내며, "X"는 특수 가공을 나타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다음 중 부분 생략 또는 부분 단면의 경계를 나타내는 선인 것은?

  1. 절단선
  2. 파단선
  3. 가상선
  4. 표면처리 지시선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파단선"입니다. 파단선은 부분 생략 또는 부분 단면의 경계를 나타내는 선으로, 해당 부분이 파단되어 나뉘어져야 함을 나타냅니다. 따라서 파단선은 부분 생략 또는 부분 단면의 경계를 명확하게 표시하여 제조 공정에서 오해나 실수를 방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