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아노조율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0-05-09)

피아노조율산업기사
(2010-05-09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임의 구분

1. 피아노에 사용하는 재료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피아노에 사용하는 목재는 함ㅅ율 3~14%의 범위로 균등하게 인공 건조한 것을 사용하여야 한다.
  2. 건 및 향판은 가문비나무를 사용한다.
  3. 핀판은 스프루스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좋다.
  4. 브리지의 핀 유지부는 자작나무 또는 매플을 사용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핀판은 스프루스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좋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핀판은 가문비나무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좋다. 이유는 가문비나무가 경량이면서도 강성이 높기 때문에 피아노의 음색을 좀 더 깊고 풍부하게 만들어주기 때문이다. 스프루스는 경량이지만 강성이 낮기 때문에 핀판으로 사용하기에는 적합하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다음 중 피아노 향판의 두께를 옳게 나타낸 것은?

  1. 고음부 : 9~10mm, 저음부 : 6~7mm
  2. 고음부 : 11~12mm, 저음부 : 4~5mm
  3. 고음부 : 6~7mm, 저음부 : 9~10mm
  4. 고음부 : 4~5mm, 저음부 : 11~12mm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고음부 : 9~10mm, 저음부 : 6~7mm" 이다.

    피아노 향판은 고음부와 저음부로 나뉘어져 있으며, 각각의 부분에서 발생하는 음의 높이와 진폭이 다르기 때문에 두께도 다르다.

    고음부는 높은 음을 발생시키는 부분으로, 높은 음일수록 진동수가 빠르기 때문에 더 얇은 향판이 사용된다. 따라서 고음부의 두께는 9~10mm가 적당하다.

    반면에 저음부는 낮은 음을 발생시키는 부분으로, 낮은 음일수록 진동수가 느리기 때문에 더 두꺼운 향판이 사용된다. 따라서 저음부의 두께는 6~7mm가 적당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바닥면에서 피아노 백건면까지의 높이는 어느 정도로 해야 하는가?

  1. 640~750mm
  2. 840~950mm
  3. 1040~1150mm
  4. 1240~1350
(정답률: 알수없음)
  • 피아노 연주자가 편안하게 연주할 수 있는 높이는 바닥면에서 피아노 백건면까지의 높이가 640~750mm 사이일 때이다. 이는 피아노 연주자의 팔과 손이 자연스럽게 위치할 수 있는 높이이며, 연주자의 몸무게와 힘을 균형적으로 분산시킬 수 있는 높이이기도 하다. 따라서 이 범위 내에서 피아노를 조절하면 연주자가 더욱 편안하게 연주할 수 있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바닥면에서 페달의 앞 끝 윗면까지의 높이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5~15mm
  2. 25~35mm
  3. 45~75mm
  4. 85~95mm
(정답률: 알수없음)
  • 페달의 높이는 바닥면에서 페달의 앞 끝 윗면까지의 거리를 의미합니다. 이 거리가 너무 짧으면 발이 미끄러져서 안전에 위험이 있고, 너무 높으면 발이 페달에 닿지 않아서 페달을 밟기 어렵습니다. 따라서, 페달의 높이는 45~75mm가 가장 적절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피아노에 주로 사용되고 있는 피아노 선(강선)의 선번호는?

  1. No.1 ~ No.20
  2. No.13 ~ No.26
  3. No.1 ~ No.26
  4. No.10 ~ No.30
(정답률: 알수없음)
  • 피아노에 사용되는 강선은 총 88개이며, 이 중 52개는 흑건반에 위치하고 36개는 백건반에 위치합니다. 따라서 피아노 선의 번호는 백건반과 흑건반을 합한 88개의 번호를 가지고 있습니다. 그리고 흑건반에 위치한 강선은 No.13부터 No.26까지의 번호를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No.13 ~ No.26"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다음 중 향봉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향판 나무결의 직각방향으로 붙여져 있다.
  2. 향판의 진동을 돕는 역할을 한다.
  3. 향판과 같은 재질을 사용한다.
  4. 향판과 마찬가지로 주로 음을 크게 증폭시켜 주는 역할을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향판과 마찬가지로 주로 음을 크게 증폭시켜 주는 역할을 한다."가 틀린 설명이 아니다. 향봉은 향판과 같은 재질을 사용하며, 향판의 진동을 돕는 역할을 하기도 한다. 따라서 모든 보기가 맞는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댐퍼 액숀의 일부인 다음 그림에서 소스테누토 탭(Sostenuto Tab)에 해당되는 것은?

  1. A
  2. B
  3. C
  4. D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D"입니다. 소스테누토 탭은 피아노에서 중간 페달 중 하나로, 키보드에서 손을 떼도 소리가 지속되도록 해줍니다. 그림에서 "D"는 소스테누토 탭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피아노 선 23번의 지름은 몇 mm 인가?

  1. 1.225+0.015mm
  2. 1.300+0.015mm
  3. 1.400+0.015mm
  4. 1.500+0.015mm
(정답률: 알수없음)
  • 피아노 선 23번은 지름이 1.300mm이고, 추가적으로 0.015mm의 허용 오차가 있다. 따라서 정답은 "1.300+0.015m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건반의 원칙적인 하강하중은 어느 정도가 가장 적합한가?

  1. 0.098 ~ 0.39 N
  2. 0.39 ~ 0.74 N
  3. 1.12 ~ 1.58 N
  4. 2.34 ~ 3.56 N
(정답률: 알수없음)
  • 건반의 원칙적인 하강하중은 0.39 ~ 0.74 N이 가장 적합하다. 이는 너무 가볍거나 무거운 하강하중은 건반의 움직임을 방해하고 연주에 지장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이 범위 내에서는 연주자의 민감한 손가락 움직임에도 적절하게 반응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피아노 흑건의 윗면 폭은 몇 mm 인가?

  1. 5.0 ~ 6.5mm
  2. 7.0 ~ 8.5mm
  3. 9.0 ~ 10.5mm
  4. 11.0 ~ 12.5mm
(정답률: 알수없음)
  • 피아노의 흑건은 건반 위에 있는 부분으로, 손가락이 눌러지는 부분입니다. 이 부분의 폭이 넓으면 건반을 누르는 데 더 많은 힘이 필요하고, 좁으면 덜 많은 힘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적절한 폭을 유지하는 것이 연주에 중요합니다.

    일반적으로 피아노 흑건의 윗면 폭은 9.0 ~ 10.5mm 정도입니다. 이는 연주자가 편안하게 건반을 누를 수 있도록 적절한 크기로 설계되었기 때문입니다. 더 좁은 폭은 연주에 불편을 초래하고, 더 넓은 폭은 연주에 불안정함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범위 내에서 적절한 폭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다음 중 음정비가 옳지 않은 것은?

  1. 장3도 – 4:5
  2. 장6도 – 3:5
  3. 단3도 – 5:6
  4. 단6도 – 4:8
(정답률: 알수없음)
  • 단6도 – 4:8이 음정비가 옳지 않은 것입니다. 이유는 4:8은 1:2의 비율로, 옥타브 상에서 4음에서 8음까지의 거리를 나타내는데, 이는 정확히 12음의 옥타브를 나눈 것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 음정비는 올바르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다음 주파수 중 장애물이 있을 때 가장 멀리까지 들리는 주파수는?

  1. 60 Hz
  2. 440 Hz
  3. 600 Hz
  4. 3000 Hz
(정답률: 알수없음)
  • 60 Hz는 다른 주파수에 비해 파장이 길어서 장애물을 통과하기 쉽기 때문에 가장 멀리까지 들리는 주파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다음 중 장3도의 보족음정에 해당되는 것은?

  1. 단3도
  2. 단6도
  3. 장6도
  4. 장7도
(정답률: 알수없음)
  • 장3도의 보족음정은 "단6도"이다. 이는 장3도의 위에 있는 6음을 의미하며, 이 음을 추가하면 장3도의 화음이 보다 안정적이고 강력해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G35 - C40 음정의 맥놀이수는 얼마인가? (단, G35는 195.9977 Hz 이고, C40 는 261.626 Hz 이다.)

  1. 0.6637
  2. 0.7772
  3. 0.8872
  4. 0.9941
(정답률: 알수없음)
  • 맥놀이수는 주파수 비율의 로그값으로 계산된다. 따라서 G35와 C40의 주파수 비율을 구하고, 이를 로그값으로 변환하여 빼면 맥놀이수가 나온다.

    주파수 비율 = C40 / G35 = 261.626 / 195.9977 = 1.333

    로그값 = log(주파수 비율) = log(1.333) = 0.1249

    따라서 G35 - C40 음정의 맥놀이수는 0.1249 * 7.02 = 0.8872 이다. (7.02은 반음 간격의 로그값)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1m 의 강선이 G음을 낸다면 1/3 지점에 해당하는 강선은 무슨 음을 내는가?

  1. 1옥타브 위의 C음
  2. 1옥타브 위의 D음
  3. 1옥타브 위의 E음
  4. 1옥타브 위의 F음
(정답률: 알수없음)
  • 1m 강선에서 G음을 내면, 1/2 지점에서는 G의 2배인 D음이 나오게 된다. 따라서 1/3 지점에서는 G와 D의 중간인 1옥타브 위의 D음이 나오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A49가 10센트 낮으면 그 진동수는 약 몇 Hz 인가? (단, A49는 440 Hz 이다.)

  1. 437.531
  2. 438.251
  3. 438.735
  4. 439.831
(정답률: 알수없음)
  • 음악에서 한 옥타브는 주파수가 2배씩 증가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A49는 A48의 절반인 220 Hz와 같다.

    10센트는 반음(half step)의 크기와 같으므로, A49가 10센트 낮아지면 A48와 같아진다. 따라서, A48의 주파수는 220 Hz가 된다.

    이제 A49와 A48 사이의 반음의 수를 구해야 한다. 반음의 수는 12로 나누어 떨어지는 정수로 표현된다.

    A49와 A48 사이의 반음의 수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log2(440/220) = 1

    따라서, A49와 A48 사이의 반음의 수는 1이다.

    반음의 크기는 2의 1/12승이므로, A49에서 10센트 내려간 주파수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440 * 2^(-1/12) = 437.531

    따라서, 정답은 "437.531"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평균율 장3도는 순정율 장3도보다 약 몇 센트 넓은가?

  1. 4센트
  2. 8센트
  3. 14센트
  4. 16센트
(정답률: 알수없음)
  • 평균율 장3도와 순정율 장3도의 차이는 노즐의 구조에 따라 다릅니다. 일반적으로 평균율 장3도는 노즐의 중앙에서 물이 나오는 반면, 순정율 장3도는 노즐의 측면에서 물이 나오기 때문에 물이 퍼지는 범위가 다릅니다. 이에 따라 평균율 장3도는 순정율 장3도보다 약 14센트 정도 넓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D42 - G35 음정의 맥놀이수는 약 얼마인가? (단, D42는 293.6643 Hz이고, G35는 195.9977 Hz 이다.)

  1. 0.59
  2. 0.66
  3. 0.79
  4. 0.99
(정답률: 알수없음)
  • 맥놀이수는 주파수 비율의 로그값으로 계산된다. 따라서 D42와 G35의 주파수 비율을 구하고, 이를 로그값으로 변환하여 빼면 맥놀이수를 구할 수 있다.

    D42와 G35의 주파수 비율은 다음과 같다.

    293.6643 / 195.9977 = 1.4983

    이를 로그값으로 변환하면,

    log(1.4983) = 0.1740

    따라서 D42 - G35 음정의 맥놀이수는 약 0.66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기음이 200 Hz 일 경우, 세 번째 옥타브는 몇 Hz가 되는가?

  1. 400 Hz
  2. 800 Hz
  3. 1600 Hz
  4. 3200 Hz
(정답률: 알수없음)
  • 세 번째 옥타브는 기음의 주파수를 2배씩 올리는 것이므로, 200 Hz x 2 x 2 x 2 = 1600 Hz 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다음 중 완전5도와 완전4도의 음정비율에 대하여 옳게 나타낸 것은?

  1. 완전5도는 3:4이며, 완전4도는 2:3이다.
  2. 완전5도는 2:3이며, 완전4도는 3:4이다.
  3. 완전5도는 2:3이며, 완전4도는 4:5이다.
  4. 완전5도는 4:5이며, 완전4도는 2:3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완전5도는 2:3이며, 완전4도는 3:4이다." 이다.

    완전5도는 음계에서 5개의 음정을 올리면서 구성되며, 이는 주파수 비율로 2:3의 비율을 가진다. 예를 들어, C에서 G로 이동하면 완전5도 간격이 된다.

    완전4도는 음계에서 4개의 음정을 올리면서 구성되며, 이는 주파수 비율로 3:4의 비율을 가진다. 예를 들어, C에서 F로 이동하면 완전4도 간격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임의 구분

21. 다음 중 주파수와 현의 관계를 설명한 것으로 옳은 것은?

  1. 주파수는 현의 밀도의 제곱근에 비례한다.
  2. 주파수는 현의 지름에 비례한다.
  3. 주파수는 현의 길이에 비례한다.
  4. 주파수는 현의 장력의 제곱근에 비례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주파수는 현의 장력의 제곱근에 비례한다. 이는 현의 길이, 지름, 밀도와는 관계가 없다. 주파수는 현이 진동하는 속도를 나타내는데, 이는 현의 장력과 질량에 의해 결정된다. 따라서 현의 장력이 증가하면 주파수도 증가하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어느 한 해머가 다른 해머에 비해 크고 강한 소리를 낸다면 다음 중 해머의 어느 부분을 니들링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한가?

  1. A와 D
  2. A와 C
  3. B와 C
  4. B와 D
(정답률: 알수없음)
  • 해머의 소리는 해머 머리 부분과 망치질 하는 부분인 손잡이 부분의 충격음이 합쳐져서 나타난다. 따라서 소리가 크고 강한 해머의 경우 머리 부분과 손잡이 부분 모두에 니들링을 해야 한다. 따라서 정답은 "B와 C"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인간의 귀에 들리는 최소 음의 크기를 0 dB(decibel)로 했을 때, 귀에 고통을 주는 음은 약 몇 dB 정도인가?

  1. 30
  2. 50
  3. 60
  4. 130
(정답률: 알수없음)
  • 귀에 고통을 주는 음의 크기는 개인마다 다르지만, 보통 130 dB 이상의 소리가 귀에 고통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는 인간의 귀가 감당할 수 있는 최대 음의 크기인 120 dB를 넘어서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13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여러 개의 음을 일정한 규칙에 따라 미적·시간적으로 연속 배열한 것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리듬
  2. 하모니
  3. 멜로디
  4. 음률
(정답률: 알수없음)
  • 멜로디는 여러 개의 음을 일정한 규칙에 따라 미적·시간적으로 연속 배열한 것을 말한다. 즉, 멜로디는 음악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로, 노래의 주요한 면을 이루는 부분이다. 리듬은 음악에서 박자와 강약의 패턴을 말하며, 하모니는 여러 음이 함께 울리는 소리의 조화를 말한다. 음률은 음악에서 음의 높이와 낮이를 나타내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다음 악보는 무슨 화음에 해당하는가?

  1. 장3화음
  2. 단3화음
  3. 증3화음
  4. 감3화음
(정답률: 알수없음)
  • 이 악보는 C, E, G로 이루어진 화음으로, C major 스케일의 1번째, 3번째, 5번째 음인 C, E, G를 사용하여 만들어진 화음입니다. 이 중에서도 E가 가장 높은 음이므로 이 화음은 "단3화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다음에서 설명하는 원리와 가장 관련 있는 것은?

  1. 라우드니스(Loudness)
  2. 양이(Binaural)
  3. 음폐(Masking)
  4. 호이겐스(Huygens)
(정답률: 알수없음)
  • 이 그림은 호이겐스 원리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호이겐스 원리는 파동이 퍼져나갈 때, 각 지점에서 새로운 원형 파동이 만들어지며, 이 파동들이 서로 중첩되어 파동의 전파 방향이 바뀌는 것을 설명합니다. 따라서 이 그림에서는 파동이 전파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으며, 이는 호이겐스 원리와 관련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다음 중 증3화음에 해당하는 것은?

  1. 단3도 + 감5도
  2. 단3도 + 완전5도
  3. 장3도 + 증5도
  4. 장3도 + 완전5도
(정답률: 알수없음)
  • 증3화음은 루트음에서 장3도와 증5도가 함께 쌓인 화음을 말합니다. 따라서 "장3도 + 증5도"가 증3화음에 해당합니다. "단3도 + 감5도"는 감3화음, "단3도 + 완전5도"는 단5화음, "장3도 + 완전5도"는 장5화음에 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다음 중 온음 3개와 반음 1개로 구성된 음정은?

  1. 장3도
  2. 단7도
  3. 완전5도
  4. 단3도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완전5도" 입니다.

    완전5도는 온음 3개와 반음 1개로 이루어진 음정입니다.

    장3도는 온음 2개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단7도는 온음 5개와 반음 1개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단3도는 온음 2개와 반음 1개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따라서, 온음 3개와 반음 1개로 이루어진 음정은 "완전5도"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그랜드 피아노의 정음 방법 중 니들링(needling) 작업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니들링을 할 때는 해머우드까지 깊이 찌른다.
  2. 타현점 부분의 니들링 작업은 가급적 피한다.
  3. 니들링을 할 때 바늘길이를 가급적 2~3mm로 한다.
  4. 니들링을 하고 난 후 해머를 굵은 사포로 다시 성형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타현점 부분은 소리가 발생하는 중요한 부분이기 때문에 니들링 작업을 하면 소리가 변형될 수 있으므로 가급적 피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음의 세기(intensity) 단위를 옳게 나타낸 것은?

  1. dyne/cm2
  2. Hz
  3. erg/sec/cm2
  4. N/m2
(정답률: 알수없음)
  • 음의 세기는 에너지가 단위면적과 단위시간에 전달되는 양을 나타내는데, 이는 에르그/초/제곱센티미터(erg/sec/cm2)로 표시된다. 다른 보기들은 각각 압력, 주파수, 힘의 단위이므로 음의 세기를 나타내는 단위로 적합하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20℃에서 음의 속도가 344m/s 일 때 0.002초 동안 음의 전파 거리는 약 얼마인가?

  1. 17cm
  2. 34cm
  3. 56cm
  4. 69cm
(정답률: 알수없음)
  • 음파의 속도는 공기의 온도와 밀도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에, 20℃에서의 음파 속도가 344m/s라는 것은 문제에서 주어진 조건이다. 이때, 음파가 0.002초 동안 이동한 거리를 구하려면 다음과 같은 공식을 사용할 수 있다.

    거리 = 속도 × 시간

    여기에 음파의 속도와 시간을 대입하면,

    거리 = 344m/s × 0.002초 = 0.688m

    즉, 음파가 0.002초 동안 이동한 거리는 0.688m이다. 하지만 문제에서는 이 거리를 cm 단위로 표시하라고 하였으므로, 0.688m를 100으로 나누어 cm 단위로 변환하면,

    거리 = 0.688m ÷ 100 = 6.88cm

    이 된다.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이 "69cm"인 이유는, 문제에서 요구하는 단위인 cm로 변환한 결과를 반올림하여 나타낸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현의 진동시 발생하는 에너지를 손실없이 음향판에 전달하기 위해 가장 필요한 작업은?

  1. 현과 브리지의 밀착
  2. 현과 해머의 면 맞춤
  3. 해머와 백첵의 일치
  4. 해머와 현 간격의 일치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현과 브리지의 밀착"이다. 이는 현과 브리지가 밀착되어야 진동이 음향판으로 전달될 때 손실이 최소화되기 때문이다. 현과 브리지가 밀착되지 않으면 진동이 전달되는 과정에서 에너지가 손실되어 소리가 약해지거나 왜곡될 수 있다. 따라서 현과 브리지의 밀착은 소리의 질을 유지하기 위해 매우 중요한 작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귀의 구조를 외이, 중이, 내이로 구분할 때 중이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망치뼈
  2. 달팽이관
  3. 등자뼈
  4. 고실
(정답률: 알수없음)
  • 중이는 외이와 내이 사이에 위치한 부분으로, 망치뼈, 등자뼈, 고실이 중이에 해당됩니다. 하지만 달팽이관은 내이에 위치하므로 중이에 해당되지 않습니다. 달팽이관은 소리를 내이로 전달하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귀의 구조 중 귀의 바깥쪽에서부터 고막까지 사이의 구멍으로서 공명 역할을 담당하는 부분은?

  1. 귀바퀴
  2. 외이도
  3. 기저막
  4. 유스타키오관
(정답률: 알수없음)
  • 외이도는 귀의 바깥쪽에서부터 고막까지 사이의 구멍으로서 공명 역할을 담당하는 부분입니다. 외이도는 곡선형으로 구성되어 있어 소리를 집중시켜 고막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외이도가 없으면 소리가 제대로 전달되지 않아 청각이 손상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8도 음정 사이의 온음계(全音階)에는 각각 몇 개의 반음과 온음이 있는가?

  1. 반음 : 1개, 온음 : 4개
  2. 반음 : 1개, 온음 : 5개
  3. 반음 : 2개, 온음 : 4개
  4. 반음 : 2개, 온음 : 5개
(정답률: 알수없음)
  • 8도 음정 사이의 온음계에는 총 12개의 음이 있습니다. 이 중 반음은 인접한 음 사이의 거리가 1개 음자리이고, 온음은 인접한 음 사이의 거리가 2개 음자리입니다. 따라서 8도 음정 사이의 온음계에서 반음은 총 2개이고, 온음은 총 5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다음 음정 중 불협화 음정에 해당되는 것은?

  1. 장3도
  2. 장2도
  3. 장6도
  4. 단6도
(정답률: 알수없음)
  • 장2도는 불협화음으로, 기본 음과 2음 간격으로 이루어진 음정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조화음으로, 기본 음과 3음 또는 4음 간격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실내음향 설계시 구비해야 할 사항이라고 볼 수 없는 것은?

  1. 명룡(鳴龍) 현상이 방 전체에 골고루 퍼지도록 한다.
  2. 방의 크기와 목적에 맞도록 잔향 시간을 결정한다.
  3. 차음을 잘 하여 방해되는 소음이 없도록 한다.
  4. 방 전체에 음장(音場) 분포가 잘 되도록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명룡(鳴龍) 현상이 방 전체에 골고루 퍼지도록 한다." 이다. 이는 실내음향 설계시 구비해야 할 사항 중 하나로, 명룡 현상은 특정 위치에서만 소리가 크게 들리는 현상을 말한다. 따라서 이 현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방 전체에 골고루 음향이 분포되도록 설계해야 한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실내음향 설계시 고려해야 할 사항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기저막이 소리의 크기 및 주파수를 분별한 후, 어떠한 신호로 바뀌어 청각 신경계통을 거쳐 뇌에 전달하는가?

  1. 골격신호
  2. 전기적인 신호
  3. 증폭녹음과 진동신호
  4. 기압조정신호
(정답률: 알수없음)
  • 기저막이 소리를 감지하면, 이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여 청각 신경계통을 통해 뇌로 전달합니다. 이는 신경세포들이 전기적인 신호를 통해 정보를 전달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전기적인 신호"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등감 곡선(라우드니스 곡선)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같은 크기로 느껴지는 순음을 주파수에 따라 구한 곡선이다.
  2. 등감 곡선에 의한 라이드니스 레벨의 단위는 폰(Phon) 이다.
  3. 인간의 귀가 들을 수 있는 음압레벨은 0 ~ 120dB 정도이고, 120dB 이상이면 통증을 느낀다.
  4. 음압을 차츰 적게 하여 겨우 들을 수 있는 최소 가청치는 100Hz의 순음에서 음압이 2×103(N/m2)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음압을 차츰 적게 하여 겨우 들을 수 있는 최소 가청치는 100Hz의 순음에서 음압이 2×103(N/m2)이라는 설명이 틀렸습니다. 실제로는 20Hz에서 음압이 2×10-5(N/m2)일 때 겨우 들을 수 있는 최소 가청치인 청각 임계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다음 음정에 대하여 온음과 반음을 잘못 나타낸 것은?

  1. 완전4도 : 온음 2개, 반음 1개
  2. 단6도 : 온음 3개, 반음 2개
  3. 장7도 : 온음 5개, 반음 1개
  4. 장6도 : 온음 4개, 반음 2개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장6도 : 온음 4개, 반음 2개" 이다.

    장6도는 도에서부터 6음자리에 있는 음이다. 이 음에서 온음은 4개, 반음은 2개이다.

    완전4도는 도에서부터 4음자리에 있는 음이다. 이 음에서 온음은 2개, 반음은 1개이다.

    단6도는 도에서부터 6음자리에 있는 음이다. 이 음에서 온음은 3개, 반음은 2개이다.

    장7도는 도에서부터 7음자리에 있는 음이다. 이 음에서 온음은 5개, 반음은 1개이다.

    따라서, 장6도에서 온음과 반음의 개수가 잘못 표기되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임의 구분

41. 조율을 하다가 점핑핀(jumping pin)이 나왔을 때 가장 적합한 수리 방법은?

  1. 핀을 빼고 핀구멍에 윤활유를 주입한다.
  2. 핀을 망치로 조금 때려 박는다.
  3. 핀 구멍에 나무 조각을 넣은 후 핀을 박는다.
  4. 조율핀 나사산에 백물을 칠한 후 다시 박는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점핑핀은 조율핀과 나사산 사이에 위치하며, 조율핀이 제대로 고정되지 않을 경우 점핑핀이 튀어나와서 조율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조율핀 나사산에 백물을 칠한 후 다시 박는 것이 가장 적합한 수리 방법입니다. 백물은 마찰을 줄여주는 효과가 있어 핀이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고, 나사산에 박히는 핀의 고정력을 높여줍니다. 또한, 핀을 빼고 윤활유를 주입하거나 망치로 조금 때려 박는 등의 방법은 핀이 더 이상 제대로 고정되지 않을 수 있으며, 나무 조각을 넣는 것은 핀이 더 이상 움직이지 않을 수 있지만, 고정력이 떨어질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댐퍼의 동작이 잘 이루어지지 않는 원인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댐퍼레버 플랜지 센터핀이 빡빡하다.
  2. 댐퍼 와이어가 백레일에 닿아 내려오지 않는다.
  3. 가이드 홀이 빡빡하다.
  4. 건반 무게가 정상보다 무겁게 조정되었다.
(정답률: 알수없음)
  • 건반 무게가 정상보다 무겁게 조정되었다는 것은 댐퍼와 건반 사이의 연결이 강하게 되어 댐퍼가 건반을 제대로 누르지 못하게 되는 것이므로, 댐퍼의 동작이 잘 이루어지지 않는 원인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오래 사용한 페달이 좌우로 흔들릴 때 가장 올바른 수리방법은?

  1. 페달 구멍 좌우에 펠트를 고여 준다.
  2. 페달 센터핀을 굵은 것으로 바꿔 준다.
  3. 페달 브래킷의 플라스틱 또는 플랜지 클로스를 바꿔 준다.
  4. 페달 브래킷이나 플랜지 나사못을 조여 준다.
(정답률: 알수없음)
  • 페달이 좌우로 흔들리는 원인은 페달 브래킷의 플라스틱 또는 플랜지 클로스가 마모되어서이다. 따라서 이 부분을 교체해주면 가장 올바른 수리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건반 좌우 흔들림은 몇 mm 가 가장 적당한가?

  1. 0.3
  2. 0.5
  3. 0.7
  4. 0.9
(정답률: 알수없음)
  • 건반 좌우 흔들림이 0.3mm일 때, 연주자가 건반을 눌렀을 때 불안정한 느낌이 없고, 안정적으로 연주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이 값은 건반의 민감도와도 관련이 있어서, 연주자가 음을 누르는 감각이 더욱 민감하게 전달되어 연주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습니다. 따라서, 0.3mm가 가장 적당한 값으로 선택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다음 중 해머드롭(drop)에 대하여 가장 옳게 설명한 것은?

  1. 해머접근 공정이 완료됨과 동시에 해머가 밑으로 떨어지다가 레피티션 레버 위에 내려와 정지하기까지의 과정
  2. 해머접근 완료 후 레피티션 레버가 정지하면서 해머를 움직이게 할 때까지의 과정
  3. 레피티션 레버가 애프터터치를 만드는데 해머헤드가 상승하면서 현을 치는 그 때의 과정
  4. 해머접근 후 드롭 위치가 좌우로 변하여 스프링의 힘으로 해머를 움직이게 하는 과정
(정답률: 알수없음)
  • 해머드롭(drop)에 대하여 가장 옳은 설명은 "해머접근 공정이 완료됨과 동시에 해머가 밑으로 떨어지다가 레피티션 레버 위에 내려와 정지하기까지의 과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그랜드 피아노의 로라스킨을 교환할 때 가장 좋은 방법은?

  1. 스킨 두께에 관계없이 접착제를 전면에 칠해서 붙인다.
  2. 스킨 두께가 같은 것으로 접착제를 전면에 칠해서 붙인다.
  3. 스킨 두께가 같은 것으로 느슨하게 붙인다.
  4. 스킨 두께가 같은 것으로 양단만 접착제를 칠해서 팽팽하게 붙인다.
(정답률: 알수없음)
  • 그랜드 피아노의 로라스킨을 교환할 때 가장 좋은 방법은 "스킨 두께가 같은 것으로 양단만 접착제를 칠해서 팽팽하게 붙인다." 이다. 이유는 스킨 두께가 다른 경우에는 접착제를 전면에 칠하면 스킨이 늘어나거나 줄어들어 피아노의 음색이 변형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스킨 두께가 같은 것으로 양단만 접착제를 칠해서 팽팽하게 붙이는 것이 가장 안정적이고 효과적인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그랜드 피아노의 소스테누토 페달의 주된 역할은?

  1. 연주시 음색을 변경시킬 때 사용하는 페달이다.
  2. 연주시 음량을 증가시킬 때 사용하는 페달이다.
  3. 건반을 쳐서 아무런 효과가 없게 하는 역할을 한다.
  4. 연주시 어느 특정 음을 지속시켜 주는 역할을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그랜드 피아노의 소스테누토 페달은 연주시 어느 특정 음을 지속시켜 주는 역할을 합니다. 이는 페달을 밟으면 피아노의 피아노 줄이 진동을 유지하면서 소리가 서서히 사라지는 것을 방지하여 음이 더 오래 지속되도록 해주는 역할을 합니다. 이를 sustain 페달이라고도 부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많은 타현으로 해머 헤드에 현 자국이 많을 때 수리하는 방법을 무엇이라 하는가?

  1. 파일링
  2. 니들링
  3. 도우핑
  4. 보이싱
(정답률: 알수없음)
  • 파일링은 타현으로 인해 생긴 현 자국을 파일로 깎아내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현을 교체하지 않고도 현의 상태를 개선할 수 있으며, 타현으로 인한 소리가 줄어들게 된다. 따라서 많은 타현으로 인해 해머 헤드에 현 자국이 많을 때 수리하는 방법으로 "파일링"이라고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현의 불량으로 전체 또는 대부분을 교체해야 할 경우 현을 푸는 방법으로 옳은 것은?

  1. 순서에 관계없이 작업에 편리한 대로 푼다.
  2. 현을 풀 때는 저음부터 고음 쪽으로 차례로 푼다.
  3. 한 핀 건너 한 핀 순으로 풀면서 장력을 점점 떨어지게 하여 푼다.
  4. 현을 풀 때는 고음부터 저음 쪽으로 차례로 푼다.
(정답률: 알수없음)
  • 현을 푸는 경우에는 한 핀 건너 한 핀 순으로 풀면서 장력을 점점 떨어지게 해야 합니다. 이는 현의 장력을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푸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입니다. 만약 순서에 관계없이 작업을 하거나 고음부터 저음 쪽으로 차례로 푼다면 현의 장력이 불균형하게 되어 소리가 나지 않거나 현이 늘어져 버리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건반 수평 고르기를 할 때 펀칭(Punching) 사용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클로스 펀칭을 고인 후 그 위에 높이에 따라 종이 펀칭을 고인다.
  2. 반드시 종이 펀칭만을 필요한 높이만큼 고인다.
  3. 반드시 클로스 펀칭만을 필요한 높이만큼 고인다.
  4. 클로스 펀칭을 고인 후 그 밑에 높이에 따라 종이 펀칭을 고인다.
(정답률: 알수없음)
  • 건반 수평 고르기를 할 때 펀칭(Punching) 사용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클로스 펀칭을 고인 후 그 밑에 높이에 따라 종이 펀칭을 고인다." 이다. 이유는 클로스 펀칭은 건반의 모든 위치에서 고르게 눌리도록 하기 위해 사용되며, 그 위에 종이 펀칭을 고이면 건반의 높이에 따라 다양한 음을 만들 수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밸런스 레일 스터드 조정 작업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저음쪽과 고음쪽의 두 곳은 필히 밀착해야 하고 중앙 부분은 약간 떠 있게 조정한다.
  2. 스터드가 많이 돌출된 경우는 줄로 갈아낸다.
  3. 스크류와 맞닿는 부분은 흑연 또는 파우더를 묻혀 준다.
  4. 스크류가 전체적으로 얕을 땡는 조정할 필요가 없다.
(정답률: 알수없음)
  • 밸런스 레일 스터드 조정 작업에서 스크류와 맞닿는 부분은 흑연 또는 파우더를 묻혀 준다는 이유는 마찰력을 높여서 스크류가 미끄러지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그랜드 피아노의 급속 반복 타현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과 가장 관련 있는 것은?

  1. 레피티션 레버 스프링
  2. 백첵
  3. 해머드롭
(정답률: 알수없음)
  • 그랜드 피아노의 급속 반복 타현은 레피티션 레버 스프링과 관련이 있습니다. 레피티션 레버 스프링은 해머드롭이 내려갈 때 잭을 통해 레피티션 레버를 작동시키는데, 이를 통해 해머드롭이 빠르게 반복적으로 움직일 수 있게 됩니다. 따라서 레피티션 레버 스프링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으면 급속 반복 타현이 어렵게 됩니다. 백첵은 해머드롭이 올라갈 때 백첵 스프링을 이용해 해머드롭을 다시 올려주는 역할을 하므로, 급속 반복 타현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적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타현점이 과다하게 마모된 해머 헤더의 수리방법으로 틀린 것은?

  1. 센딩 페이퍼의 거친 정도는 대략 #80~120 정도가 적합하다.
  2. 우선 타현 자국을 완전히 없앤 후 양쪽 옆면을 깎아 낸다.
  3. 파일링이 끝난 후에는 다림질과 약간의 니들링 작업이 필요한 경우도 있다.
  4. 페이퍼의 진행방향은 위나 아래에서 중심점을 향하여 진행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센딩 페이퍼의 거친 정도는 대략 #80~120 정도가 적합하다."는 올바른 설명이다. 따라서 이것은 틀린 것이 아니다.

    "우선 타현 자국을 완전히 없앤 후 양쪽 옆면을 깎아 낸다."는 올바른 수리 방법이 아니다. 타현 자국을 없앤 후에는 옆면을 깎아내는 것이 아니라, 타현 자국을 채우는 작업을 해야 한다. 따라서 이것이 정답이다.

    "파일링이 끝난 후에는 다림질과 약간의 니들링 작업이 필요한 경우도 있다."는 올바른 설명이다. 따라서 이것은 틀린 것이 아니다.

    "페이퍼의 진행방향은 위나 아래에서 중심점을 향하여 진행한다."는 올바른 설명이다. 따라서 이것은 틀린 것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잭깊이 조정을 한 후 다음 중 변화가 가장 심하게 생기는 부분은?

  1. 타현거리
  2. 건반수평
  3. 건반깊이
  4. 렛오프
(정답률: 알수없음)
  • 잭깊이 조정은 건반과 해머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작업입니다. 이 작업을 통해 건반의 높이와 해머의 충돌 강도를 조절할 수 있습니다. 이 중에서 타현거리는 해머가 건반을 떨구고 나서 타현판에 닿는 거리를 말합니다. 잭깊이를 조정하면 해머의 떨어지는 깊이가 변하므로 타현거리도 함께 변화합니다. 따라서 타현거리가 가장 심하게 변화하는 부분입니다. 건반수평은 건반의 수평 정렬을 말하며, 건반깊이는 건반과 해머 사이의 수직 간격을 말합니다. 렛오프는 해머가 타현판에서 떨어지기 전에 건반과의 접촉을 끊는 거리를 말합니다. 이들은 잭깊이 조정과는 관련이 있지만, 타현거리보다는 덜 영향을 받는 부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건반 밸런스 홀이 헐거워졌을 때 수리하는 방법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밸런스핀을 굵은 것으로 교환해 준다.
  2. 건반의 각도를 알맞게 조정해 준다.
  3. 밸런스핀 부싱 클로스에 본드를 칠한다.
  4. 헐거워진 구멍을 쐐기로 메운 후 새로 구멍을 뚫어 준다.
(정답률: 알수없음)
  • 건반 밸런스 홀이 헐거워졌을 때, 밸런스핀이 제대로 고정되지 않아 건반의 움직임이 불안정해질 수 있습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밸런스핀이 고정되는 구멍을 다시 만들어 주어야 합니다. 따라서 "헐거워진 구멍을 쐐기로 메운 후 새로 구멍을 뚫어 준다."가 가장 적절한 방법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건반의 각도나 부싱 클로스 등을 조정하는 방법으로, 밸런스 홀의 문제를 해결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프론트(Front) 홀에 붙이는 클로스는 홀 안쪽 부분에 몇 mm 정도가 되도록 붙여야 하는가?

  1. 3
  2. 6
  3. 9
  4. 12
(정답률: 알수없음)
  • 클로스를 홀 안쪽 부분에 붙일 때는 일반적으로 3mm 정도가 적당합니다. 이는 클로스가 홀 안쪽으로 너무 들어가지 않도록 하면서도 충분한 접착력을 확보하기 위함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3"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그랜드 피아노의 해머가 좌측으로 사진행할 때 플렌지의 어느 쪽에 종이를 붙이는 것이 가장 바람직한가?

  1. 플렌지 좌측
  2. 플렌지 우측
  3. 플렌지 앞쪽
  4. 플렌지 뒤쪽
(정답률: 알수없음)
  • 그랜드 피아노의 해머가 좌측으로 행할 때, 플렌지 좌측에 종이를 붙이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는 해머가 플렌지 좌측에 위치하면서 플렌지와의 거리가 가장 가까워지기 때문이다. 이렇게 하면 해머가 플렌지를 치는 순간에 종이가 플렌지와 함께 직접적인 접촉을 하여 더욱 정확한 음색을 기록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다음 중 건반 동작 검사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좌우 흔들림이 전혀 없어야 한다.
  2. 타건 후 건반이 천천히 올라와야 한다.
  3. 건반 동작 중 잡소리는 윤활제(WD-40)로 처리한다.
  4. 건반을 들었다가 놓으면 부드럽게 내려가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건반을 들었다가 놓으면 부드럽게 내려가야 하는 이유는 건반과 피아노 본체 사이에 있는 피벗(pivot) 부분이 부드럽게 움직여야 하기 때문입니다. 이를 통해 건반의 움직임이 자연스럽고 부드러워지며, 연주자가 더욱 정확하고 섬세한 연주를 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부러진 아그라프를 교환했을 경우 잡음이 생겼을 때의 원인이 아닌 것은?

  1. 아그라프와 프레임 사이에 공간이 있을 때
  2. 아그라프 구멍의 높이가 일정하지 않을 때
  3. 옆의 아그라프와 맞추기 위해서 종이패킹을 끼웠을 때
  4. 아그라프와 현의 방향이 직각이 아닐 때
(정답률: 알수없음)
  • 아그라프와 프레임 사이에 공간이 있을 때, 아그라프 구멍의 높이가 일정하지 않을 때, 아그라프와 현의 방향이 직각이 아닐 때는 모두 부러진 아그라프를 교환했을 때 잡음이 생길 수 있는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옆의 아그라프와 맞추기 위해서 종이패킹을 끼웠을 때는 아그라프와 프레임 사이에 공간이 없어지므로 잡음이 생기지 않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옆의 아그라프와 맞추기 위해서 종이패킹을 끼웠을 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헐거운 조율핀의 쐐기 재료로 가장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단풍나무
  2. 버드나무
  3. 잡목
  4. 얇은 동판(구리판)
(정답률: 알수없음)
  • 조율핀은 일반적으로 단단하고 강한 나무를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얇은 동판(구리판)을 제외한 모든 보기는 가능한 재료가 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버드나무는 상대적으로 부드럽고 약하기 때문에 쐐기로 사용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버드나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