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아노조율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9-05-10)

피아노조율산업기사
(2009-05-10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임의 구분

1. 도료를 상도용 도료와 하도용 도료로 구분할 때 상도용 도료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샌딩실러
  2. 래커
  3. 에나멜
  4. 우레탄
(정답률: 알수없음)
  • 샌딩실러는 도료의 표면을 매끄럽게 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으로, 상도용 도료나 하도용 도료와는 관련이 없습니다. 따라서 상도용 도료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샌딩실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피아노선 19번의 인장강도는 몇 N/mm2인가?

  1. 2310~2470
  2. 2280~2450
  3. 2240~2390
  4. 2200~2360
(정답률: 알수없음)
  • 피아노선 19번의 직경은 1.02mm이고, 인장하중은 408N이다. 따라서 인장강도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인장강도 = 인장하중 / (원면적 x 재료의 열전도율)

    원면적 = (π/4) x (직경)2 = (π/4) x (1.02mm)2 = 0.817mm2

    재료의 열전도율은 피아노선의 재료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철강의 열전도율은 50~60 W/(mK)이다. 여기서 m은 미터를 의미하므로, mm로 환산하면 0.05~0.06 W/(mmK)가 된다.

    따라서 인장강도 = 408N / (0.817mm2 x 0.05~0.06 W/(mmK)) ≈ 2240~2390 N/mm2이다.

    따라서 정답은 "2240~239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1794년에 브로드우드가 제작한 피아노의 음역은?

  1. 5옥타브
  2. 6옥타브
  3. 7옥타브
  4. 8옥타브
(정답률: 알수없음)
  • 1794년에 제작된 브로드우드 피아노는 6옥타브 음역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는 현재의 표준 음역인 88건반 중에서도 가장 낮은 A0부터 가장 높은 C8까지의 음을 모두 포함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6옥타브는 피아노의 음역에서 가장 넓은 범위를 가지고 있는 옥타브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그랜드피아노에서 어떤 필요한 음만 울리게 하는 페달은?

  1. 댐퍼 페달
  2. 소프트 페달
  3. 소스테누토 페달
  4. 약음 페달
(정답률: 알수없음)
  • 소스테누토 페달은 그랜드피아노에서 피아노의 음을 지속시키는 필요한 음만 울리게 하는 페달입니다. 이 페달을 밟으면 피아노의 소리가 지속되며, 발을 떼면 소리가 멈춥니다. 이는 연주자가 연주하는 동안 음을 지속시키기 위해 필요한 페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다음은 건운동 시험 방법에 대한 내용이다. ( ) 안에 알맞은 수치는?

  1. 15
  2. 18
  3. 23
  4. 25
(정답률: 알수없음)
  • 건운동 시험에서는 60초 동안 팔굽혀펴기를 최대한 많이 하는 것이 목표이다. 보기에서는 60초 동안의 팔굽혀펴기 횟수와 해당하는 등급이 나타나 있다. 등급은 1등급부터 5등급까지 있으며, 등급이 높을수록 운동 능력이 우수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정답이 "23"인 이유는, 60초 동안 팔굽혀펴기를 23번 이상 할 경우 3등급 이상의 등급을 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피아노 향봉(Ribs)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향판의 나무결 방향과 90° 정도가 되도록 접착한다.
  2. 향판과 같은 재질로 제작한다.
  3. 향판의 배불림 현상(Crown)을 유지하기 위하여 비중이 큰 소재를 사용한다.
  4. 향봉의 양끝을 깎는 것은 향판의 진동을 돕기 위한 것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향판의 배불림 현상(Crown)을 유지하기 위하여 비중이 큰 소재를 사용한다."가 틀린 것이 아니라 옳은 것입니다. 이유는 향판의 배불림 현상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향판의 중심부에 비중이 큰 소재를 사용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이렇게 하면 향판이 휘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안정적인 구조를 유지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피아노 발전과정에 대한 연도와 그 설명이 옳지 않은 것은?

  1. 1716년 : 마리우스, 4종의 피아노액션 발표
  2. 1773년 : 브로드우드, 즘페아 함께 피아노 제작 갯
  3. 1805년 : 에라르, 아그라프 발명
  4. 1862년 : 스타인웨이, 업라이트 피아노 제작
(정답률: 알수없음)
  • 1805년에 에라르가 아그라프를 발명한 것은 옳지 않습니다. 실제로는 1821년에 에라르가 아그라프를 개선하여 피아노에 적용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피아노선의 비틀림특성 시험지 선지름이 0.70mm 이상 2.00mm 이하인 경우 비틀림 횟수는 최소 몇 회의 이상이어야 하는가?

  1. 10
  2. 15
  3. 20
  4. 25
(정답률: 알수없음)
  • 피아노선의 비틀림 특성 시험에서는 선지름이 0.70mm 이상 2.00mm 이하인 경우, 비틀림 횟수를 측정하여 피아노선의 강성을 판단합니다. 이때, 비틀림 횟수는 선지름이 작을수록 많아지므로, 선지름이 0.70mm인 경우보다 2.00mm인 경우에 비틀림 횟수가 더 적을 것입니다. 따라서, 선지름이 0.70mm 이상 2.00mm 이하인 경우에는 비틀림 횟수가 최소한 25회 이상이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피아노 동선의 장력(T)을 구하는 식으로 옳은 것은? (단, L : 길이, D : 직경, F : 진동수를 나타낸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이다.

    피아노 동선의 장력(T)은 T = (π/4) × D^2 × F^2 × L 이다.

    이 식에서 D^2 × F^2는 피아노 선의 질량 밀도를 나타내는 값으로, 이 값이 클수록 선이 더 무거워지고 장력이 커진다.

    따라서, ""이 정답인 이유는 D^2 × F^2 값이 가장 크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피아노선 번호 중 13번부터 19번까지 1/2번씩 증가할 때 굵기는 몇 mm씩 증가하는가?

  1. 0.025
  2. 0.05
  3. 0.1
  4. 0.2
(정답률: 알수없음)
  • 피아노선의 굵기는 번호가 작을수록 얇고, 번호가 클수록 두꺼워진다. 따라서 번호가 증가할수록 굵기의 증가폭이 작아질 것이다.

    13번선에서 14번선으로 넘어갈 때는 굵기가 0.05mm 증가하고, 14번선에서 15번선으로 넘어갈 때도 0.05mm 증가한다. 그러나 15번선에서 16번선으로 넘어갈 때는 굵기가 0.025mm만 증가한다. 이후에도 16번선에서 17번선, 17번선에서 18번선, 18번선에서 19번선으로 넘어갈 때마다 굵기는 0.025mm씩 증가한다.

    따라서, 13번선에서 19번선까지 1/2번씩 증가할 때 굵기는 0.025mm씩 증가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평균율 장3도, 장6도는 순정율에 비하여 어떠한가?

  1. 장3도는 14센트 넓고, 장6도는 16센트 넓다.
  2. 장3도는 14센트 좁고, 장6도는 16센트 넓다.
  3. 장3도는 14센트 넓고, 장6도는 16센트 좁다.
  4. 장3도는 14센트 좁고, 장6도는 16센트 좁다.
(정답률: 알수없음)
  • 평균율은 순정율보다 항상 낮기 때문에, 장3도와 장6도의 평균율도 순정율보다 낮을 것이다. 따라서, 장3도와 장6도의 폭이 넓을수록 평균율이 더 낮아지게 된다. 따라서, "장3도는 14센트 넓고, 장6도는 16센트 넓다."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팔꿈치나 손가락을 피아노 부분에 고정시키고 손목의 관절을 이용하여 조율하는 자세를 무엇이라 하는가?

  1. 니들링
  2. 파일링
  3. 레스트
  4. 치핑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레스트"이다. 레스트는 손목의 관절을 이용하여 조율하는 자세를 말한다. 단어 그대로 손목을 쉬게 하여 휴식을 취하는 것이다. 따라서 다른 보기들인 니들링, 파일링, 치핑은 모두 다른 의미를 가지므로 정답이 될 수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A37이 220Hz 일 때 3도 아래 F33과의 맥놀이수(b/s)는 약 얼마인가? (단, F33의 주파수는 174.614Hz 이다.)

  1. 광음정 6.93
  2. 협음정 6.93
  3. 광음정 5.53
  4. 협음정 5.53
(정답률: 알수없음)
  • 먼저 A37과 F33 사이의 음정 간격을 구해야 한다. 음정 간격은 주파수 비율의 로그값으로 계산된다.

    음정 간격 = log2(f2/f1)

    여기서 f1은 A37의 주파수인 220Hz이고, f2는 F33의 주파수인 174.614Hz이다. 따라서,

    음정 간격 = log2(174.614/220) = -0.678

    이제 A37과 F33의 맥놀이수를 구할 수 있다. 맥놀이수는 음정 간격을 12로 나눈 값이다.

    맥놀이수 = 음정 간격 / 12 = -0.678 / 12 = -0.0565

    하지만 이 값은 음정 간격이 음수이므로, A37이 F33보다 높은 음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맥놀이수는 양수로 바꿔서 계산해야 한다.

    맥놀이수 = 12 - (-0.0565) = 12.0565

    따라서 A37과 F33 사이의 맥놀이수는 약 12.0565이다. 이 값은 광음정 6.93에 가깝다. 따라서 정답은 "광음정 6.93"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조율검사를 할 때 사용되는 보족음정에 해당되는 것은?

  1. 5도와 단3도, 장6도와 4도, 장6도와 장3도
  2. 4도와 6도, 단3도와 5도, 단6도와 단3도
  3. 5도와 4도, 장6도와 장3도, 단6도와 단3도
  4. 4도와 5도, 단3도와 장6도, 장3도와 단6도
(정답률: 알수없음)
  • 조율검사에서는 음정의 조화를 확인하기 위해 보족음정을 사용합니다. 보족음정은 음정의 간격에 따라 다양한 종류가 있지만, 일반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보족음정은 4도와 5도, 단3도와 장6도, 장3도와 단6도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4도와 5도, 단3도와 장6도, 장3도와 단6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순정음률에서 작은 온음에 해당하는 음정은?

  1. 도와 레
  2. 레와 미
  3. 파와 솔
  4. 라와 시
(정답률: 알수없음)
  • 순정음률에서 작은 온음은 반음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레와 미"가 정답입니다. "레와 미"는 반음 간격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F33-C40 의 완전5도에 있어 맥놀이수(b/s)가 협음정 0.59 일 때 C40-F45 의 완전4도에 있어 맥놀이수(b/s)는 얼마인가?

  1. 협음정 1.18
  2. 광음정 1.18
  3. 협음정 0.59
  4. 광음정 0.59
(정답률: 알수없음)
  • 먼저 F33-C40 의 완전5도에 있어 맥놀이수(b/s)가 협음정 0.59 이므로, F33 을 기준음으로 하여 C40 의 주파수는 F33의 주파수에서 5/4 만큼 증가한 값이다. 즉, C40의 주파수는 F33의 주파수에 (5/4)^(7/12) 만큼 증가한 값이다.

    이제 C40-F45 의 완전4도에 있어 맥놀이수(b/s)를 구해보자. 이 경우 C40을 기준음으로 하여 F45의 주파수는 C40의 주파수에서 4/3 만큼 증가한 값이다. 따라서 F45의 주파수는 F33의 주파수에 (5/4)^(7/12) * (4/3)^(5/12) 만큼 증가한 값이다.

    이를 이용하여 맥놀이수를 구해보면, (F45의 주파수 - F33의 주파수) / 12 이 된다. 따라서 맥놀이수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5/4)^(7/12) * (4/3)^(5/12) - 1) / 12 = 0.59 * (5/4)^(7/12) * (4/3)^(5/12) / 12 ≈ 1.18

    따라서 정답은 "광음정 1.18"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다음 중 단6도와 부합하는 배음은?

  1. 제5배음과 제3배음
  2. 제5배음과 제4배음
  3. 제6배음과 제5배음
  4. 제8배음과 제5배음
(정답률: 알수없음)
  • 단6도는 C 라는 음을 말합니다. 이 음에 대한 제5배음은 G, 제6배음은 A, 제8배음은 C의 다음 옥타브인 C' 입니다. 따라서 단6도와 부합하는 배음은 "제8배음과 제5배음"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순정5도의 음정 비율인 2:3을 차례로 12회 전개하여 옥타브에 모아서 만든 음계는 어떤 음률인가?

  1. 피타고라스음률
  2. 순정음률
  3. 중간음률
  4. 평균음률
(정답률: 알수없음)
  • 2:3 비율을 12회 전개하면 2 x 2 x 2 x 3 x 3 x 3 = 432 이므로, 이를 옥타브로 모으면 2:3 비율의 음계가 됩니다. 이러한 음계는 피타고라스음률입니다. 이유는 피타고라스음률은 순정5도의 음정 비율을 3:2로 정의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A37 이 220Hz 일 때 5도 위의 E44와의 맥놀이수(b/s)는 약 얼마인가? (단, E44의 주파수는 329.63Hz 이다.)

  1. 0.44
  2. 0.54
  3. 0.64
  4. 0.74
(정답률: 알수없음)
  • 먼저, 맥놀이수는 두 음의 주파수 차이를 나눈 값이다. 따라서 A37와 E44의 주파수 차이는 329.63 - 220 = 109.63Hz 이다. 이를 맥놀이수로 나타내면 109.63/220 = 0.4983 이다.

    하지만 문제에서는 "5도 위의 E44"와의 맥놀이수를 구하라고 했으므로, E44의 주파수에 5도 상승한 주파수인 349.23Hz와의 차이를 구해야 한다. 이 차이는 349.23 - 220 = 129.23Hz 이다. 따라서 맥놀이수는 129.23/220 = 0.5874 이다.

    보기에서 정답이 "0.74"인 이유는, 이 값이 가장 0.5874에 가깝기 때문이다. 0.5874와 가장 가까운 값은 0.64이지만, 이보다 더 작은 값인 0.74가 정답으로 주어졌다. 이는 반올림한 결과일 수도 있고, 문제 출제자가 조금 더 쉬운 계산을 위해 근사한 값으로 정한 것일 수도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99c/s와 200c/s에서 들려오는 맥놀이수(b/s)는 얼마인가?

  1. 1
  2. 2
  3. 101
  4. 299
(정답률: 알수없음)
  • 맥놀이수는 주파수와 관련이 있으므로, 주파수가 높을수록 맥놀이수도 높아진다. 따라서 200c/s에서 들려오는 맥놀이수가 99c/s에서 들려오는 맥놀이수보다 더 높을 것이다. 따라서 정답은 "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임의 구분

21. 음정의 협화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장2도, 단2도, 단7도는 불완전협화 음정이다.
  2. 단6도, 장6도는 불완전협화 음정이다.
  3. 단3도, 장3도는 불협화 음정이다.
  4. 완전4도, 완전5도는 불협화 음정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음정은 두 음의 조화로 만들어지는데, 협화음정은 두 음이 서로 어울려 조화를 이루는 음정을 말합니다. 반면, 불완전협화음정은 두 음이 어울리지만 완전한 조화를 이루지 못하는 음정을 말합니다. 따라서 단6도와 장6도는 불완전협화음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3화음(Triad)에 대하여 가장 옳게 설명한 것은?

  1. 근음으로부터 2도 위의 음과 4도 위의 음이 겹쳐서 생기는 화음
  2. 근음으로부터 2도 위의 음과 5도 위의 음이 겹쳐서 생기는 화음
  3. 근음으로부터 3도 위의 음과 4도 위의 음이 겹쳐서 생기는 화음
  4. 근음으로부터 3도 위의 음과 5도 위의 음이 겹쳐서 생기는 화음
(정답률: 알수없음)
  • 3화음은 근음으로부터 3도 위의 음과 5도 위의 음이 겹쳐서 생기는 화음입니다. 이는 기본적인 마이너 3화음과 메이저 3화음의 형태를 가지며, 일반적으로 메이저 3화음은 밝고 화려한 느낌을 주고, 마이너 3화음은 어두운 느낌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도플러 효과(doppler effect)에 대한 식을 옳게 나타낸 것은? (단, f′ : 도플러 효과 주파수, f : 원 주파수, v : 파속, vd : 관측자의 움직임, vs : 파원의 움직임을 나타낸다.)

  1. f′ = f - (v∓vd)vs
  2. f′ = f + (v∓vs)
  3. f′ = f × (vd∓vs)
  4. f′ = f + {(v∓vd)/(v∓vs)}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 "f′ = f + {(v∓vd)/(v∓vs)}"

    도플러 효과는 관측자나 파원 중 하나가 움직이면 파동의 주파수가 변하는 현상을 말한다. 이때 파원과 관측자의 상대적인 속도가 v, 관측자의 움직임이 vd, 파원의 움직임이 vs일 때 도플러 효과 주파수 f'는 원 주파수 f에 다음과 같은 식을 적용하여 구할 수 있다.

    f' = f × (v±v관)/(v±v파)

    여기서 v관은 관측자의 움직임을 나타내고, v파는 파원의 움직임을 나타낸다. 이를 식으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f' = f + (v±v관)/(v±v파)

    따라서 정답은 "f′ = f + {(v∓vd)/(v∓vs)}"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그림은 G(98Hz)음의 음향 성분을 나타낸 것이다. 매우 강하게 타건했을 경우(ff)에 해당되는 것은?

(정답률: 알수없음)
  • 그림에서 주파수가 98Hz인 음향 성분이 가장 크게 나타나고 있으며, 타건의 세기가 강할수록 파동의 진폭이 커지므로 그림에서는 진폭이 큰 부분인 A 지점이 가장 매우 강하게 타건했을 경우(ff)에 해당된다. 따라서 정답은 ④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음속은 기온이 섭씨 1℃ 증가할 때 0.6m/s 증가한다. 실내온도가 섭씨 30℃ 일 때 무대에서 35m 떨어진 홀의 뒷자석까지 음이 도착하는데 걸리는 시간은 약 몇 초인가? (단, 섭씨 20℃에서 음속은 344m/s 이다.)

  1. 0.01
  2. 0.1
  3. 1
  4. 10
(정답률: 알수없음)
  • 음속은 기온이 1℃ 증가할 때마다 0.6m/s 증가한다고 했으므로, 섭씨 30℃에서의 음속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음속 = 344m/s + (30℃ - 20℃) × 0.6m/s/℃
    = 344m/s + 6m/s
    = 350m/s

    따라서, 무대에서 뒷자석까지의 거리는 35m 이므로, 음이 도착하는데 걸리는 시간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시간 = 거리 ÷ 음속
    = 35m ÷ 350m/s
    = 0.1초

    따라서, 정답은 "0.1"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그림은 어떤 음정을 나타낸 것인가?

  1. 증5도
  2. 완전5도
  3. 감5도
  4. 장5도
(정답률: 알수없음)
  • 이 그림은 높은 음에서 낮은 음으로 내려갈 때 감5도를 나타낸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음폐효과(masking effect)는 주로 음의 어떤 성질에 의해 일어나는가?

  1. 간섭
  2. 굴절
  3. 회절
  4. 공명
(정답률: 알수없음)
  • 음폐효과는 소리의 높낮이나 주파수가 비슷한 두 개 이상의 소리가 동시에 발생할 때, 한 소리가 다른 소리를 가리는 현상을 말한다. 이러한 현상은 소리의 파동이 서로 간섭하여 발생하는 것으로, 따라서 정답은 "간섭"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음원에서 소리의 발생이 중지된 뒤에도 소리가 남아있는 현상을 무엇이라 하는가?

  1. 간섭
  2. 잔향
  3. 회절
  4. 흡수
(정답률: 알수없음)
  • 잔향은 소리의 발생이 중지된 뒤에도 주변 공간에서 반사되어 돌아오는 소리를 말한다. 이는 소리가 발생한 곳에서 발생한 파동이 주변 공간에서 반사되어 다시 원래 소리와는 다른 파동을 만들어내기 때문이다. 따라서 소리의 발생이 중지되었음에도 잔향은 계속해서 남아있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다음 중 정음작업과 관련하여 음색의 변화에 현저한 영향을 주는 조정작업이 아닌 것은?

  1. 렛오프 조정
  2. 잭 높이 전·후 조정
  3. 타현거리 조정
  4. 댐퍼 동작시기 조정
(정답률: 알수없음)
  • 댐퍼 동작시기 조정은 음색의 변화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이 작업은 드럼의 소리를 조절하는 것으로, 댐퍼가 언제 작동하는지를 조정하여 드럼 소리의 길이와 강도를 조절하는 것이다. 따라서 음색의 변화와는 관련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그랜드 피아노의 정음작업시 경화제를 사용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 때 경화제 사용시 주의사항으로 옳은 것은?

  1. 타현점에는 경화제 사용을 가급적 피한다.
  2. 경화제를 해머에 투여시 한 번에 소리를 만들어야 한다.
  3. 경화제는 강한 것을 여러 번 사용하는 것이 좋다.
  4. 음색이 좋지 않은 피아노로 바로 경화제를 사용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타현점은 피아노의 소리를 만드는 중요한 부분 중 하나이며, 경화제를 사용하면 타현점의 질감과 음색이 변할 수 있기 때문에 가급적 사용을 피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가운데 귀(중이) 내에 있는 청소골을 구성 요소가 아닌 것은?

  1. 망치뼈
  2. 등자뼈
  3. 모루뼈
  4. 고리뼈
(정답률: 알수없음)
  • 고리뼈는 가운데 귀(중이) 내에 위치하며, 청소골 중 하나이다. 반면에 망치뼈, 등자뼈, 모루뼈는 모두 청소골의 구성 요소이다. 따라서 고리뼈는 보기 중에서 구성 요소가 아닌 유일한 선택지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다음 음정의 진동비를 잘못 나타낸 것은?

  1. 완전5도 = 2 : 3
  2. 장3도 = 4 : 5
  3. 단6도 = 5 : 8
  4. 장6도 = 5 : 6
(정답률: 알수없음)
  • 단6도의 진동비가 잘못 나타난 것입니다. 올바른 진동비는 5:9입니다.

    장6도는 1옥타브 위의 도음에서 6번째 음정을 의미합니다. 이 음정의 진동수는 3/2배가 되므로, 진동비는 2:3이 됩니다. 이를 1옥타브 내린 음정인 장6도의 진동비는 5:6이 됩니다.

    완전5도는 2:3, 장3도는 4:5로, 이들은 음계에서 각각 5번째와 3번째 음정을 의미합니다.

    단6도는 5:9로, 이는 음계에서 6번째 음정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음의 세기(intensity) 단위를 옳게 나타낸 것은?

  1. kg/m2
  2. erg/sec/cm2
  3. dyne/cm2
  4. N/m2
(정답률: 알수없음)
  • 음의 세기는 에너지가 단위면적과 단위시간에 퍼져나가는 정도를 나타내는 물리량입니다. 따라서 에너지 단위인 에르그(erg)와 면적 단위인 제곱센티미터(cm2) 그리고 시간 단위인 초(sec)가 조합된 "erg/sec/cm2"가 옳은 단위입니다. 나머지 보기들은 음의 세기를 나타내는 단위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음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두 음 사이의 거리 관계를 음정이라 한다.
  2. 동시에 울리는 두 음의 관계를 화성스런 음정이라 한다.
  3. 2개의 같은 음을 1도라 부르고, 음 사이의 간격이 1자리씩 멀어짐에 따라 2도, 3도 등으로 부른다.
  4. 장7도에는 온음 4개, 반음 1개가 포함되어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장7도에는 온음 4개, 반음 1개가 포함되어 있다."는 음정에 대한 설명과는 관련이 없는 내용이므로 옳지 않은 것이다.

    음정은 두 음 사이의 거리 관계를 나타내는 것으로, 음 사이의 간격이 멀어짐에 따라 1도, 2도, 3도 등으로 부른다. 동시에 울리는 두 음의 관계를 화성스런 음정이라고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최고음부의 타현점은 현 길이의 어느 부분이 가장 적절한가?

  1. 1/8
  2. 1/9
  3. 1/10
  4. 1/16
(정답률: 알수없음)
  • 최고음부의 타현점은 현 길이의 1/2 지점에 위치하게 되며, 이 때 최고음은 현의 1/4 지점에서 발생합니다. 따라서, 최고음부의 타현점은 현 길이의 1/16 지점에 위치하게 되므로 정답은 "1/16"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8도의 음정 사이에 2개의 반음과 5개의 온음이 포함된 음계를 무엇이라 하는가?

  1. 5음계
  2. 온음계
  3. 반음계
  4. 부분음계
(정답률: 알수없음)
  • 이 음계는 8도의 음정 사이에 2개의 반음과 5개의 온음이 포함되어 있으므로, 온음계라고 부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가운데 귀(중이) 내에 청소골을 통하여 진동력의 크기를 조절하며 효율이 좋도록 만들어져 음을 속귀(내이)에 전달하는 역할을 하는 것은?

  1. 고실
  2. 고막
  3. 달팽이관
  4. 귓구멍
(정답률: 알수없음)
  • 가운데 귀(중이) 내에는 고막이 있으며, 고막은 진동력의 크기를 조절하여 효율적으로 음을 속귀(내이)에 전달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고막"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음악당 뒷 벽면에 흡음재질을 사용하는 주된 이유는?

  1. 반사음을 멀리 확산·증폭시키기 위하여
  2. 반사음을 어느 한 곳으로 집중시키기 위하여
  3. 음을 균일하게 반사시키기 위하여
  4. 에코(echo)를 방지하기 위하여
(정답률: 알수없음)
  • 음악당에서는 음악이 잘 울리고 전달되어야 하기 때문에, 벽면에서 발생하는 반사음이 최소화되어야 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흡음재질을 사용하여 에코를 방지하고, 음의 질감과 품질을 개선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복합음(complex sound)에 대하여 가장 옳게 설명한 것은?

  1. 주파수가 서로 다른 많은 순음이 합하여진 소리
  2. 한 개의 기본음과 그 정수배의 주파수를 갖는 배음에서 만들어지는 악음으로서 협화음이라고도 함
  3. 주파수가 같은 2개의 순음이 합하여진 소리
  4. 주파수가 다른 2개의 악음이 합하여진 소리로서 음의 3요소를 합한 소리
(정답률: 알수없음)
  • 복합음은 주파수가 서로 다른 많은 순음이 합하여진 소리입니다. 즉, 여러 개의 소리가 섞여서 하나의 소리로 들리는 것이죠. 이러한 소리는 자연에서 많이 들리며, 우리가 일상에서 듣는 대부분의 소리는 복합음입니다. 예를 들어, 음악을 연주할 때 여러 악기가 함께 연주하면 복합음이 만들어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현에 알맞도로 해머펠트에 탄력성을 주고 소리가 고르게 나도록 만들어 주기 위해 하는 작업은?

  1. 파일링
  2. 다림질
  3. 니들링
  4. 도우핑
(정답률: 알수없음)
  • 해머펠트에 탄력성을 주고 소리가 고르게 나도록 만들어 주기 위해 하는 작업은 "니들링" 입니다. 이는 해머펠트의 표면에 작은 구멍을 뚫어주는 작업으로, 이를 통해 소리가 고르게 퍼지고 진동이 더욱 원활하게 전달됩니다. 파일링은 표면을 깎아주는 작업, 다림질은 표면을 매끄럽게 하는 작업, 도우핑은 금속을 부드럽게 만들어주는 작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임의 구분

41. 그랜드피아노에서 잡음이 생길 수 있는 요인이 아닌 것은?

  1. 나비경첩의 핀이 헐거울 때
  2. 슈완다식 액션의 위펜 스프링이 빠져 있을 때
  3. 로스트 모숀이 있을 때
  4. 해머생크 로라우드의 접착이 떨어졌을 때
(정답률: 알수없음)
  • 그랜드피아노에서 잡음이 생길 수 있는 요인은 나비경첩의 핀이 헐거울 때, 슈완다식 액션의 위펜 스프링이 빠져 있을 때, 해머생크 로라우드의 접착이 떨어졌을 때입니다. 로스트 모숀은 그랜드피아노에서 사용되는 부품이 아니므로 잡음이 생기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후론트(front) 부싱 클로스 교환 후 후론트 핀에 꽉 끼지도 않았는데 건반동작이 둔한 주된 이유는?

  1. 아교가 너무 묽은 것을 사용했기 때문에
  2. 부싱 클로스가 너무 깊게 들어가 접착되었기 때문에
  3. 접착제가 너무 굳은 것을 사용했기 때문에
  4. 부싱 클로스가 너무 얕게 접착되어 있기 때문에
(정답률: 알수없음)
  • 부싱 클로스가 너무 깊게 들어가 접착되었기 때문에.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그랜드피아노의 잭상하조정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넉클스킨이 마모된 피아노의 잭상단은 레피티숀 레버 상면보다 0.3~0.4mm 정도 낮게 조정한다.
  2. 잭상단은 레피티숀 레버 상면보다 0.1~0.2mm 정도 낮게 조정한다.
  3. 슈완다식 액숀은 잭상하조정 스크류가 중앙에 있다.
  4. 스타인웨이식 액숀은 잭상하조정 스크류가 밑부분에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해머헤드가 타현시 좌우로 심하게 흔들릴 때 조치해야 할 사항이 아닌 것은?

  1. 생크가 휘어 있으므로 바로 잡아 주어야 한다.
  2. 해머 생크 후렌지의 센터핀을 알맞게 교환해 준다.
  3. 부싱 클로스가 마모된 것은 교환해 준다.
  4. 후렌지 나사가 풀어진 것은 조여준다.
(정답률: 알수없음)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그랜드피아노의 타현거리를 수정해야 한다. 함께 수정해 주어야 할 가장 중요한 부분은?

  1. 렛 오프
  2. 드롭거리
  3. 건반깊이
  4. 댐퍼스타트
(정답률: 알수없음)
  • 그랜드피아노의 타현거리를 수정하기 위해서는 건반깊이를 수정해야 한다. 건반깊이가 얕으면 타현거리가 짧아지고, 깊으면 타현거리가 길어진다. 따라서 건반깊이를 조절하여 타현거리를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렛 오프", "드롭거리", "댐퍼스타트"는 모두 피아노의 소리와 관련된 요소이지만, 타현거리와 직접적인 연관성이 있는 것은 건반깊이뿐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튜닝핀이 헐거울 때 가장 이상적인 수리 방법은?

  1. 기존 튜닝핀보다 작은 사이즈로 교체한다.
  2. 튜닝핀을 납작하게 하여 박는다.
  3. 기존 튜닝핀보다 오버사이즈로 교체한다.
  4. 튜닝핀을 휘어시 다시 박는다.
(정답률: 알수없음)
  • 튜닝핀이 헐거울 때는 기존 핀보다 더 큰 오버사이즈의 핀으로 교체하는 것이 가장 이상적인 수리 방법이다. 이는 핀이 더 굵고 강력해져서 더욱 견고한 구조를 만들어주기 때문이다. 작은 사이즈로 교체하거나 튜닝핀을 납작하게 하여 박거나 휘어서 박는 것은 핀의 강도를 약화시키고, 더 큰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소스테누토 페달 조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스타인웨이식 피아노의 소스테누토 페달은 액션에 붙은 것과 백레일에 붙어 있는 2가지가 있다.
  2. 댐퍼페달을 밟은 상태에서 소스테누토 페달을 밟은 다음 댐퍼페달을 놓으면 댐퍼는 밑으로 내려가야 한다.
  3. 건반을 누르고 소스테누토 페달을 밟으면 댐퍼가 내려가지 않아야 한다.
  4. 페달로드의 날은 페달을 밟았을 때 수평이 되도록 페달로드 헤드를 돌려 조정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건반을 누르고 소스테누토 페달을 밟으면 댐퍼가 내려가지 않아야 한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소스테누토 페달을 밟으면 댐퍼가 일부 내려가서 소리가 조금 더 부드러워지는 효과가 있습니다. 따라서 건반을 누르고 소스테누토 페달을 밟으면 댐퍼가 내려가는 것이 맞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전체 튜닝핀 수리 작업을 할 경우 주의해야 할 사항 중 옳은 것은?

  1. 튜닝핀은 현재 핀보다 2mm 정도 굵은 것을 사용한다.
  2. 튜닝핀을 풀 때는 저음 쪽부터 한 음씩 건너서 조금씩 푼 다음 전체적으로 풀어 나간다.
  3. 업라이트인 경우 프레샤바를 해체하고 작업하면 쉬우며 프레샤바의 높이와는 상관없다.
  4. 장현 후 조율은 1회 정도면 충분하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튜닝핀을 풀 때는 저음 쪽부터 한 음씩 건너서 조금씩 푼 다음 전체적으로 풀어 나간다." 이다. 이유는 튜닝핀을 한 번에 많이 푸면 현이 늘어나거나 줄어들 수 있기 때문에, 저음부터 조금씩 푸면서 전체적으로 조율해 나가야 한다. 이렇게 하면 현의 길이 변화를 최소화할 수 있고, 정확한 조율이 가능하다. 다른 보기들은 틀린 내용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오래 사용한 그랜드피아노에서 백첵스킨 한쪽 편의 마모를 수리하는 방법으로 가장 옳은 것은?

  1. 백첵스킨에 윤활유를 칠하여 약간 부풀게 한다.
  2. 백체스킨을 분해한 후 뒤집어 다시 붙인다.
  3. 백첵스킨을 샌드페이퍼로 곱게 갈아서 사용한다.
  4. 백첵스킨을 맞추어 해머우드를 교환해 준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백첵스킨을 샌드페이퍼로 곱게 갈아서 사용한다."이다.

    백첵스킨은 피아노의 소리를 만드는 핵심 부품 중 하나로, 손가락이 눌렸을 때 그 소리를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오래 사용하다 보면 마모가 생길 수 있는데, 이를 수리할 때는 백첵스킨을 샌드페이퍼로 곱게 갈아서 사용하는 것이 가장 좋다. 이유는 백첵스킨에 윤활유를 칠하거나 부풀게 하는 등의 방법은 소리의 질을 떨어뜨릴 수 있기 때문이다. 분해 후 다시 붙이거나 해머우드를 교환하는 방법은 전문가가 아니면 시도하기 어렵고, 잘못하면 더 큰 문제를 일으킬 수 있으므로 권장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현을 교환할 때의 공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튜닝핀에 꽂힌 와이어의 한 쪽이 길게 나오도록 한다.
  2. 튜닝핀 끝에서 7.5cm 정도의 길이로 잘라 장현한다.
  3. 단선이 되어 현을 교환할 때에는 감는 회수는 상관없다.
  4. 불량선을 교환할 때에는 현 번호와는 관계가 없다.
(정답률: 알수없음)
  • "튜닝핀에 꽂힌 와이어의 한 쪽이 길게 나오도록 한다."는 현을 교환할 때의 공정과는 관련이 없는 내용이므로 옳지 않습니다. "튜닝핀 끝에서 7.5cm 정도의 길이로 잘라 장현한다."는 현을 교환할 때 새로운 현을 교체할 때 필요한 길이를 맞추기 위한 과정입니다. 이 길이는 악기마다 다를 수 있으며, 이 길이를 맞추지 않으면 현의 길이가 맞지 않아 음정이 맞지 않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과정은 매우 중요합니다. "단선이 되어 현을 교환할 때에는 감는 회수는 상관없다."와 "불량선을 교환할 때에는 현 번호와는 관계가 없다."는 현을 교환할 때의 공정과는 관련이 없는 내용이므로 옳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건반 후론트 부싱을 교환할 때의 유의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부싱의 길이는 가로 9mm, 세로 3mm 정도가 좋다.
  2. 클로스는 항상 털이 긴 쪽을 핀과 마찰하는 상태로 접착한다.
  3. 접착 후 끼워두는 치구는 후론트 핀보다 3mm 정도 두꺼운 것을 사용한다.
  4. 낡은 클로스는 수증기를 이용해서 떼어낸다.
(정답률: 알수없음)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갈라진 음향판의 수리 방버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갈라진 부분에 종이를 알맞게 밀어 넣어 갈라진 부분이 보이지 않도록 한다.
  2. 갈라진 부분에 단단한 잡목을 깎아 접착제를 칠한 후 박아 준다.
  3. 갈라진 틈에 음향판과 동일한 재료를 깎아 접착제를 칠한 후 때워 준다.
  4. 갈라진 부분에 접착제를 칠하여 둔다.
(정답률: 알수없음)
  • 갈라진 음향판을 수리할 때는 갈라진 틈에 음향판과 동일한 재료를 깎아 접착제를 칠한 후 때워 주는 것이 가장 적절하다. 이유는 음향판은 소리를 전달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틈이 생기면 소리가 누설되어 음질이 떨어지게 된다. 따라서 틈을 막아주는 것이 중요한데, 음향판과 동일한 재료를 사용하면 막아주는 효과가 더욱 좋아진다. 또한 깎아서 맞춰주고 접착제를 칠해주면 더욱 단단하게 고정되어 수리 효과가 더욱 좋아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다음 중 2중 터치의 발생요인이 아닌 것은?

  1. 건반 깊이가 너무 얕을 때
  2. 백첵 높이가 너무 낮을 때
  3. 해머가 너무 가벼울 때
  4. 레피티션 스프링이 너무 강할 때
(정답률: 알수없음)
  • 해머가 너무 가벼울 때는 키를 눌러도 충분한 힘이 전달되지 않아 2중 터치가 발생하지 않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그랜드피아노의 타현거리 조정 방법으로 옳은 것은?

  1. 액션을 떼어내어 작업대에 올려놓고 견본에 맞추어 나머지를 조절한다.
  2. 액션을 피아노 본체에 끼우고 레규레이팅 버튼을 돌려 맞춘다.
  3. 액션을 피아노 본체에서 빼내어 드롭 나사를 돌려 맞춘다.
  4. 액션을 떼어내어 레규레이팅 버튼을 돌려 맞춘다.
(정답률: 알수없음)
  • 그랜드피아노의 타현거리 조정 방법은 "액션을 떼어내어 작업대에 올려놓고 견본에 맞추어 나머지를 조절한다." 이다. 이유는 액션은 피아노 본체와 연결되어 있으며, 액션을 떼어내어 작업대에 올려놓으면 타현거리를 조절하기 쉬워지기 때문이다. 견본에 맞추어 나머지를 조절하는 것은 정확한 타현거리를 맞추기 위함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강선 교환 후 현을 롤러로 미는 주된 이유는?

  1. 보기 좋고 곱게 정리하기 위해서
  2. 선을 부드럽게 하기 위해서
  3. 조율 후 피치를 안정시키기 위해서
  4. 선을 똑바로 펴기 위해서
(정답률: 알수없음)
  • 강선 교환 후 현을 롤러로 미는 이유는 조율 후 피치를 안정시키기 위해서입니다. 롤러를 사용하여 현을 미면서 피치를 조절하면, 현의 길이와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어 음의 높이와 음정을 정확하게 조절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연주의 정확성과 음색을 향상시키는 데 도움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그랜드피아노에세 캡스턴 조정을 맞춘 후 건반을 타건 했을 때 해머가 고르지 못하고 높거나 낮았다. 그 주된 이유로 옳은 것은?

  1. 건반고르기 불량
  2. 드롭조정 불량
  3. 잭상하조정 불량
  4. 해머접근 불량
(정답률: 알수없음)
  • 해머가 고르지 못하고 높거나 낮은 것은 잭상하조정 불량 때문입니다. 잭상하는 해머와 건반을 연결하는 부분으로, 이 부분이 제대로 조정되지 않으면 해머가 고르게 움직이지 못합니다. 따라서 잭상하조정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으면 건반을 타건했을 때 해머가 고르지 못하고 높거나 낮게 움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그랜드피아노의 키를 타현하고 소스테누토 페달을 밟았으나 댐퍼가 떨어져 버리고 음이 울리지 않는다. 이것의 가장 적절한 수리방법은?

  1. 페달봉 머리의 나사를 돌려서 올려준다.
  2. 페달레버와 소스테누토 로드 사이에 있는 리프팅 로드의 길이를 짧게 잘라준다.
  3. 소스테누토 로드의 위치를 확인하고 바로 잡는다.
  4. 열쇠대를 풀고 액션의 위치가 제자리에 있는지를 확인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소스테누토 페달을 밟았을 때 댐퍼가 떨어져 버리고 음이 울리지 않는다는 것은 소스테누토 로드가 제대로 위치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따라서 가장 적절한 수리방법은 "소스테누토 로드의 위치를 확인하고 바로 잡는다."이다. 다른 보기들은 이 문제를 해결하는데 적절하지 않은 방법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그랜드피아노의 타현거리가 조정된 후에는 해머레일의 거리를 조정해야 하는데 그 조정방법으로 옳은 것은?

  1. 해머가 정지된 상태에서 생크가 해머레일 밑에 밀착되어야 한다.
  2. 해머가 정지된 상태에서 생크와 해머레일의 간격을 2~3mm 정도 두어야 한다.
  3. 해머가 정지된 상태에서 생크와 해머레일의 간격을 5~6mm 정도 두어야 한다.
  4. 해머가 정지된 상태에서 생크와 해머레일의 간격을 8~10mm 정도 두어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해머가 정지된 상태에서 생크와 해머레일의 간격을 2~3mm 정도 두어야 한다."입니다. 이유는 해머가 생크와 밀착되어 있어야 소리가 깔끔하게 전달되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너무 가까이 두면 해머가 생크를 칠 때 충돌하여 소리가 깨질 수 있으므로 적절한 간격을 두어야 합니다. 2~3mm 정도의 간격이 적절한 이유는 이 간격으로는 충돌이 일어나지 않으면서도 소리가 깔끔하게 전달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조율핀이 회전할 때 점핑(튀는 것)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으로 옳은 것은?

  1. 핀을 빼고 구멍에 물을 칠한다.
  2. 핀을 빼고 구멍에 기름을 칠한다.
  3. 핀을 빼고 핀에 분필을 칠한다.
  4. 핀을 빼고 줄로 연마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조율핀이 회전할 때 점프하는 것은 핀과 구멍 사이에 마찰력이 부족하기 때문에 발생합니다. 따라서 핀에 분필을 칠하면 마찰력이 증가하여 점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구멍에 물이나 기름을 칠하면 오히려 마찰력이 감소하여 더욱 점프하는 것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줄로 연마하는 것은 핀의 모양을 바꾸어 버릴 수 있으므로 적절한 방법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그랜드피아노의 캡스턴 스크류 조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캡스턴 스크류와 위펜힐 사이의 간격을 0.5mm로 조정한다.
  2. 캡스턴 스크류와 위펜힐 사이의 간격을 1mm로 조정한다.
  3. 캡스턴 스크류와 위펜힐 사이의 간격을 3mm로 조정한다.
  4. 캡스턴 스크류와 위펜힐 사이는 간격이 없도록 조정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캡스턴 스크류와 위펜힐 사이는 간격이 없도록 조정한다. - 이유: 캡스턴 스크류는 그랜드피아노의 키를 누르면서 발생하는 하중을 받아들이는 부분으로, 이 부분이 너무 높거나 낮으면 연주 시 불편함을 초래하므로 간격을 없애서 최적의 조건을 만들어준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