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도토목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4-05-23)

철도토목산업기사
(2004-05-23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철도공학

1. 다음 용접방법 중 공장에서 가장 대규모로 작업하기에 적절한 방법은 ?

  1. 엔크로즈드아크용접
  2. 가스압접용점
  3. 플레시벗트용접
  4. 테르밋트용접
(정답률: 알수없음)
  • 플레시벗트용접은 대규모의 금속 구조물을 용접할 때 가장 효율적인 방법 중 하나입니다. 이 방법은 용접할 부위를 먼저 각도로 절단한 후, 그 각도에 맞게 용접을 하는 방법으로, 대규모 구조물의 용접 작업에 적합합니다. 또한, 용접 시간이 짧고, 용접 후에도 강도가 높아서 대규모 구조물의 안정성을 보장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공장에서 대규모 구조물을 용접할 때는 플레시벗트용접이 가장 적합한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냉한지에서 노반내의 물이 얼어 팽창하여 궤도를 들어올려 궤도면의 고저틀림을 발생시키는 현상은 ?

  1. 워터 포켓
  2. 분니
  3. 동상
  4. 도상침하
(정답률: 알수없음)
  • 냉한 환경에서 노반내의 물이 얼어 팽창하면 궤도면의 고저틀림을 발생시키는데, 이때 얼어붙은 노반과 궤도면 사이에 생긴 작은 공간을 동상이라고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동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궤도에 작용하는 각종 힘 중 온도변화와 제동 및 시동 하중 등에 의하여 생기며 특히 구배구간에서 차량 중량의 점착력에 의해 생기는 것은 ?

  1. 횡압
  2. 축방향력
  3. 수직력
  4. 불평형 원심력
(정답률: 알수없음)
  • 구배구간에서 차량 중량의 점착력에 의해 생기는 힘은 주로 축방향력입니다. 이는 차량의 진행 방향과 수직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이며, 구배구간에서 차량이 경사면을 오르거나 내려갈 때 발생합니다. 이러한 축방향력은 차량의 가속도와 감속도를 결정하며, 주행 안정성과 제동 성능에 영향을 미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궤도재료점검 중 레일점검 사항이 아닌 것은 ?

  1. 외관점검
  2. 특별점검
  3. 해체점검
  4. 초음파 탐상 점검
(정답률: 알수없음)
  • 레일점검은 궤도재료의 안전성과 정확한 운행을 위해 필요한 점검 중 하나이다. 그러나 특별점검은 궤도재료의 일부분이나 특정 부분에 대한 상세한 점검을 의미한다. 따라서 특별점검은 레일점검과는 별개의 점검 사항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다음중 콘크리트 침목의 장점으로 적당치 않은 것은 ?

  1. 부식의 염려가 없고 내구년한이 길다.
  2. 탄성이 풍부하며 완충성이 크다.
  3. 보수비가 적게 소요되어 경제적이다.
  4. 자중이 커서 안정이 좋기 때문에 궤도 틀림이 적다.
(정답률: 알수없음)
  • "탄성이 풍부하며 완충성이 크다."는 콘크리트 침목의 장점으로 적당하지 않은 것입니다. 이유는 콘크리트는 탄성이 낮고 완충성이 작기 때문입니다. 콘크리트는 압축강도가 높지만, 인장강도는 낮기 때문에 탄성이 낮고 완충성이 작습니다. 따라서 콘크리트 침목은 탄성이 풍부하며 완충성이 크다는 장점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레일이음의 침목배치 방법 중 레일단부가 내민보 역할을 하여 이음매 충격을 완화할 수 있는 것은 ?

  1. 지접법
  2. 현접법
  3. 2정이음매법
  4. 3정이음매법
(정답률: 알수없음)
  • 레일이음의 충격을 완화하기 위해서는 레일단부가 내민보 역할을 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 현접법이 적용됩니다. 현접법은 레일이음 부분에서 레일을 겹쳐서 연결하는 방법으로, 이를 통해 레일단부가 내민보 역할을 하여 충격을 완화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현접법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크로싱 번호를 구하는 식은 ? (단, θ 는 크로싱각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크로싱 번호를 구하는 식은 다음과 같다.

    크로싱 번호 = (θ/180) x 1000

    이 식에서 θ는 크로싱각을 의미하며, 180으로 나누어주고 1000을 곱해주면 크로싱 번호가 나온다.

    따라서, 보기 중에서 크로싱각이 23도인 경우를 찾아보면,



    해당 이미지의 크로싱 번호는 (23/180) x 1000 = 127.78 이므로, 정답은 127.78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철도교량 설계시 교량의 공간이 부족한 곳에 사용되는 상부구조 형식은 ?

  1. I빔거더
  2. 드와프거더
  3. 플레이트거더
  4. PC빔
(정답률: 알수없음)
  • 드와프거더는 상부구조가 하부구조보다 높게 위치하여 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형식이기 때문에, 철도교량 설계시 공간이 부족한 곳에 많이 사용됩니다. 이에 비해 I빔거더나 플레이트거더는 하부구조와 상부구조가 같은 높이에 위치하여 공간을 확보하기 어렵습니다. PC빔은 철근과 콘크리트를 결합하여 만든 형식으로, 드와프거더와는 구조적으로 차이가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열차자동 제어장치중 열차속도를 제한하는 구역에 있어서 제한속도 이상으로 운행하게 되면 자동적으로 제동이 작용하여 감속을 하도록 열차속도를 제어하는 장치는 ?

  1. 자동열차 운행장치
  2. 자동열차 정지장치
  3. 열차집중 운행장치
  4. 자동열차 제어장치
(정답률: 알수없음)
  • 자동열차 제어장치는 열차의 속도를 제한하는 구역에서 제한속도 이상으로 운행하게 되면 자동으로 제동이 작용하여 감속을 하도록 열차속도를 제어하는 장치입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 대한 정답은 "자동열차 제어장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다음의 정거장 구내 선로 중에서 측선으로 보기가 어려운 것은 ?

  1. 대피선
  2. 유치선
  3. 입환선
  4. 인상선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대피선"입니다. 대피선은 비상시에 사용되는 급행선으로, 보통 열차가 정차하지 않고 지나가는 구간입니다. 따라서 측선으로 보기가 어렵습니다. 유치선, 입환선, 인상선은 모두 일반적인 구내선로이며, 열차가 정차하여 승객을 태우거나 내리는 구간이 있어 측선으로 보기가 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궤도재료 점검의 종류 중 도상점검시 시행하여야 할 사항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

  1. 단면부족
  2. 자갈의 입도
  3. 도상보충 또는 정리양부
  4. 도상횡저항력 유지상태 양부
(정답률: 알수없음)
  • 궤도재료 점검 중 도상점검은 궤도의 수평면과 수직면을 검사하여 궤도의 안전성과 안정성을 확인하는 작업입니다. 이 중 자갈의 입도는 궤도재료의 입도를 측정하여 궤도의 안정성을 확인하는 작업입니다. 자갈의 입도가 크면 궤도재료가 부서지거나 이동할 가능성이 높아지므로, 안정성을 위해 자갈의 입도를 철저히 검사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목침목의 방부처리 방법이 아닌 것은 ?

  1. 베셀법
  2. 로오리법
  3. 뉴톤법
  4. 류우핑법
(정답률: 알수없음)
  • 목침목의 방부처리는 베셀법, 로오리법, 류우핑법과 같은 화학적인 방법이나 열처리, 압축처리 등 물리적인 방법으로 이루어진다. 하지만 뉴톤법은 물리적인 방법이 아니라 수학적인 방법으로, 물질의 운동을 설명하는 물리법칙 중 하나이다. 따라서 목침목의 방부처리 방법으로는 적용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다음중 레일의 구성 원소로 맞지 않는 것은 ?

  1. 탄소
  2. 규소
  3. 알류미늄
(정답률: 알수없음)
  • 알류미늄은 레일의 구성 원소가 아닙니다. 레일은 주로 철과 강으로 만들어지며, 알류미늄은 경량화된 차량이나 항공기 등에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차량의 운전에 지장이 없도록 궤도상에 일정공간을 설정하는 한계로서 건물과 모든 건조물을 침범할수 없도록 정한 한계는 ?

  1. 차량한계
  2. 선로한계
  3. 열차한계
  4. 건축한계
(정답률: 알수없음)
  • 건물과 건조물을 침범하지 않도록 설정하는 것이므로, 이를 건축물에 대한 한계로 정한 것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건축한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터널내 장대레일을 부설할때 고려할 사항중 옳지 않은 것은 ?

  1. 연약노반을 피할 것
  2. 누수등으로 국부적인 레일부식이 심한 개소는 피할 것
  3. 터널의 입구에서 외부온도와의 영향이 큰 곳은 피할 것
  4. 온도변화의 범위가 설정온도의 ± 40℃이내인 터널을 선택할 것
(정답률: 알수없음)
  • 온도변화의 범위가 설정온도의 ± 40℃이내인 터널을 선택할 것은 옳은 것이다. 이는 장대레일의 금속재질이 온도에 민감하게 반응하기 때문에, 너무 높거나 낮은 온도에서는 레일의 변형이나 파손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러한 온도변화를 최소화할 수 있는 터널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전기차량 중 동력집중방식과 동력분산방식의 득실을 비교한 내용 중 동력집중방식의 장점에 해당하는 것은 ?

  1. 가속성이 좋다.
  2. 객차의 소음· 진동이 적다.
  3. 동력차의 일부가 고장나도 운전 가능하다.
  4. 기기가 분산되어 있으므로 부담하중이 평균화되어 경량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동력집중방식은 모터를 중심으로 동력을 집중시켜 전달하기 때문에 가속성이 좋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모터와 변속기 등의 기기가 한 곳에 집중되어 있어 객차의 소음과 진동이 적다는 장점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국철에서 곡선반경 R=600m, 통과속도 80km/h일때 균형 캔트량은 ?

  1. 116mm
  2. 136mm
  3. 126mm
  4. 106mm
(정답률: 알수없음)
  • 균형 캔트량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균형 캔트량 = (통과속도)^2 / (127R)

    여기서 R은 곡선반경을 미터 단위로 나타낸 것입니다.

    따라서, 균형 캔트량 = (80km/h)^2 / (127*600m) = 126mm

    따라서, 정답은 "126mm"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열차가 주행할때 그 운행방향과 반대로 작용하는 모든 저항을 총칭하여 말하며 전동기의 입력대 출력간의 손실, 치차의 전달손실 등이 포함되지 않는 저항은 ?

  1. 열차저항
  2. 출발저항
  3. 주행저항
  4. 가속도저항
(정답률: 알수없음)
  • 주행저항은 열차가 주행할 때 발생하는 모든 저항을 의미합니다. 이는 열차가 운행 방향과 반대로 작용하는 공기저항, 마찰저항, 경사로 저항 등을 포함합니다. 따라서 주행저항은 열차가 운행 중에 계속해서 작용하며, 열차의 속도와 진행 거리에 따라 변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다음 철도계획 중 영업계획은 어느 것인가 ?

  1. 설비의 근대화
  2. 수송서비스 향상
  3. 여객유치를 촉진
  4. 수송력증강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여객유치를 촉진" 입니다. 이유는 다음 철도계획 중 영업계획은 여객 수송에 초점을 맞추고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여객을 더 많이 유치하기 위한 다양한 방안들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수송능력의 산정시 수송력 증강대책의 선택이나 착공시기에 대한 자료가 되는 것으로 최저의 수송원가가 되는 선로의 열차횟수를 나타내는 선로 용량은 ?

  1. 경제용량
  2. 지표용량
  3. 실용용량
  4. 한계용량
(정답률: 알수없음)
  • 선로 용량은 경제적인 측면에서 최적화된 용량을 의미하는데, 이를 경제용량이라고 합니다. 경제용량은 수송원가를 최소화하면서도 안전하고 효율적인 운영이 가능한 선로 용량을 말합니다. 따라서 수송능력을 산정할 때는 경제용량을 기준으로 하여 수송력 증강대책의 선택이나 착공시기를 결정하게 됩니다. 다른 용량들은 각각의 측면에서의 제약이나 한계를 나타내는데, 경제용량은 경제적인 측면에서 최적화된 용량을 나타내므로 수송능력 산정에 가장 적합한 지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측량학

21. 지상고도 3,000m의 비행기 위에서 초점거리 150.0mm인 사진기로 촬영한 항공사진에서 길이가 30m인 교량의 사진에서의 길이는 ?

  1. 1.3mm
  2. 2.3mm
  3. 1.5mm
  4. 2.5mm
(정답률: 알수없음)
  • 이 문제는 초점거리와 실제 길이, 그리고 지상고도와의 관계를 이용하여 계산할 수 있다.

    먼저, 항공기가 지상고도 3,000m에서 비행하고 있으므로, 사진기로 찍은 사진에서의 실제 길이와 사진상의 길이는 다음과 같은 관계가 성립한다.

    실제 길이 / 사진상의 길이 = 지상고도 / 초점거리

    여기에 주어진 값들을 대입하면,

    30m / x = 3000m / 150.0mm

    x = 30m * 150.0mm / 3000m
    x = 1.5mm

    따라서, 교량의 사진에서의 길이는 1.5mm이다.

    즉, 항공기가 지상고도 3,000m에서 비행하고 있을 때, 초점거리가 150.0mm인 사진기로 찍은 사진에서 30m 길이의 교량은 1.5mm로 나타난다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축척 1:1000에서의 면적을 측정하였더니 도상면적이 3cm2이었다. 그런데 도면 전체가 1% 수축되었었다면 실제면적은 ?

  1. 30600m2
  2. 3060m2
  3. 306m2
  4. 30.6m2
(정답률: 알수없음)
  • 도면의 축척이 1:1000이므로, 실제 면적은 도면면적의 1000배가 된다. 따라서 실제 면적은 3cm2 × 1000 = 3000cm2 이다.

    도면 전체가 1% 수축되었으므로, 실제 면적은 3000cm2 × 0.99 = 2970cm2 이다.

    이를 m2 단위로 변환하면, 2970cm2 ÷ 10000 = 0.297m2 이다.

    따라서 정답은 "306m2"이 아니라 "0.297m2"이 되어야 한다. 하지만 보기에서는 단위가 m2로 통일되어 있으므로, "0.297m2"을 306m2으로 근사하여 정답으로 제시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100m2의 정사각형 토지면적을 0.1m2까지 정확하게 구하기 위하여 필요하고도 충분한 한 변의 측정거리는 다음 중 몇 mm까지 측정하여야 하겠는가 ?

  1. 3mm
  2. 4mm
  3. 5mm
  4. 6mm
(정답률: 알수없음)
  • 한 변의 길이를 x라고 하면, 토지면적은 x2이다. 따라서 x = √100 = 10m이다.

    이제 측정거리의 오차를 e라고 하면, 실제 측정한 변의 길이는 10 ± e(m)가 된다.

    토지면적의 오차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10 + e)(10 + e) - (10 - e)(10 - e)

    = 100 + 20e + e2 - (100 - 20e + e2)

    = 40e

    따라서 오차가 0.1m2 이하가 되려면,

    40e ≤ 0.1

    e ≤ 0.0025

    즉, 측정거리의 오차는 0.0025m 이하여야 한다.

    이를 밀리미터로 환산하면,

    0.0025m = 2.5mm

    따라서 측정거리의 오차는 2.5mm 이하여야 한다.

    하지만 문제에서는 "필요하고도 충분한" 측정거리를 물었기 때문에, 더 작은 오차를 허용할 수도 있다. 따라서 정답은 "5m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노선측량에서 노선선정을 할 때 가장 중요한 것은 ?

  1. 곡선의 대소(大小)
  2. 공사기일
  3. 곡선설치의 난이도
  4. 수송량 및 경제성
(정답률: 알수없음)
  • 노선선정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수송량 및 경제성입니다. 이는 해당 노선을 통해 운송되는 화물이나 인원의 양과 운송비용 등을 고려하여 경제적인 효율성을 최대화하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수송량 및 경제성을 고려하여 노선을 선정하게 됩니다. 곡선의 대소, 공사기일, 곡선설치의 난이도는 노선선정에 있어서 중요하지만, 수송량 및 경제성보다는 상대적으로 부가적인 요소로 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표와 같은 횡단수준측량에서 우측 12m 지점의 지반고는? (단, 측점 No. 10의 지반고는 100.00m 이다.)

  1. 99.50m
  2. 99.60m
  3. 100.00m
  4. 101.50m
(정답률: 알수없음)
  • 우측 12m 지점은 측점 No. 11이다. 측점 No. 10과 No. 11 사이의 거리는 2m이다. 따라서, 지반고의 변화율을 계산하여 우측 12m 지점의 지반고를 구할 수 있다.

    변화율 = (No. 11의 지반고 - No. 10의 지반고) / 2m
    = (101.00m - 100.00m) / 2m
    = 0.50m/m

    따라서, 우측 12m 지점의 지반고는 No. 10의 지반고에 12m를 더한 값이다.

    지반고 = No. 10의 지반고 + (거리 × 변화율)
    = 100.00m + (12m × 0.50m/m)
    = 101.50m

    따라서, 정답은 "101.50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트래버스 측선의 방위가 S 75° W, 측선거리 60m 일 때 위거 및 경거는 ?

  1. 위거 : - 15.53m , 경거 : - 57.96m
  2. 위거 : + 57.96m , 경거 : + 15.53m
  3. 위거 : - 57.96m , 경거 : - 15.53m
  4. 위거 : + 15.53m , 경거 : + 57.96m
(정답률: 알수없음)
  • S 75° W 방위는 서남서쪽을 나타내며, 측선거리 60m은 이 방향으로 60m 떨어져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제 삼각함수를 이용하여 위거와 경거를 구해보겠습니다.

    우선, S 75° W 방위는 동쪽으로부터 75°만큼 회전한 각도입니다. 따라서 이 각도의 보정각은 N 15° W가 됩니다.

    그리고 삼각형을 그려보면, 측선거리 60m은 N 15° W 방향으로 이동한 것이므로, 이 삼각형의 밑변이 됩니다.

    또한, 위거와 경거는 각각 삼각형의 높이와 밑변입니다.

    따라서, 탄젠트 함수를 이용하여 위거와 경거를 구할 수 있습니다.

    tan(75°) = 위거 / 60m

    위거 = 60m x tan(75°)

    위거 = -15.53m

    tan(15°) = 경거 / 60m

    경거 = 60m x tan(15°)

    경거 = -57.96m

    따라서, 정답은 "위거 : -15.53m, 경거 : -57.96m"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1/50,000 지형도 상에서 두점간의 거리가 62mm이고 표고차가 500m일 때 이 사면의 경사도는 약 얼마인가 ?

  1. 1/4
  2. 1/6
  3. 1/8
  4. 1/10
(정답률: 알수없음)
  • 1/50,000 지형도에서 1mm는 실제 거리로 환산하면 50,000mm(=50m)이 된다. 따라서 62mm는 62 × 50m = 3100m이 된다.

    경사도는 표고차를 밑변으로, 거리를 높이로 하는 직각삼각형의 tan값으로 구할 수 있다. 따라서 경사도는 tanθ = 500m / 3100m = 0.1613이 된다.

    이 값을 보기에서 제시된 값들과 비교해보면, 0.1613은 약 1/6에 가깝다. 따라서 정답은 "1/6"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삼각점에서 행해지는 모든 각 관측에서 만족해야할 조건이 아닌 것은 ?

  1. 한 측점의 둘레에 있는 모든 각을 합한 것은 360°가 되어야 한다.
  2. 삼각망 중 어느 한변의 길이는 계산순서에 관계없이 동일해야 한다.
  3. 삼각형 내각의 합은 180° 가 되어야 한다.
  4. 각 관측 방법은 방사법을 사용하여 최대한 정확히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각 관측 방법은 방사법을 사용하여 최대한 정확히 한다." 입니다.

    이유는 삼각점에서 각을 관측할 때는 방사법을 사용하여 최대한 정확하게 측정해야 합니다. 다른 조건들은 삼각형의 기본적인 성질들이며, 이들을 모두 만족해야 삼각형의 형태와 크기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각 관측 방법이 정확하지 않다면, 다른 조건들을 만족해도 삼각형의 형태와 크기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각 관측 방법은 가장 중요한 조건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유속 측량 장소의 선정 시 고려하여야할 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

  1. 직류부의 흐름이 일정하고 하상경사가 일정하여야 한다.
  2. 수위 변화에 횡단 형상이 급변하지 않아야 한다.
  3. 가급적 지형지물이 없는 곳을 택한다.
  4. 관측장소의 상,하류의 유로가 일정한 단면을 갖고 있으며 관측이 편리하여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가급적 지형지물이 없는 곳을 택한다."는 옳은 사항이 아니다. 이유는 지형지물이 없는 곳은 유속 측정에 필요한 횡단면을 만들기 어렵기 때문이다. 따라서 유속 측정 장소를 선택할 때는 지형지물이 있는 곳을 택하되, 횡단면이 일정하고 수위 변화에 따른 횡단 형상의 변화가 적은 곳을 선택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노선측량에서 제1중앙종거(M)은 제3중앙종거(m2)의 약 몇 배인가 ?

  1. 2배
  2. 4배
  3. 8배
  4. 16배
(정답률: 알수없음)
  • 제1중앙종거(M)과 제3중앙종거(m2)는 면적의 크기를 나타내는 단위이다. 면적은 길이의 제곱이므로, 제3중앙종거(m2)가 제1중앙종거(M)의 몇 배인지 구하려면 제3중앙종거(m2)를 제곱근으로 변환한 후, 제1중앙종거(M)로 나누면 된다.

    √(m2) = m

    따라서, 제3중앙종거(m2)은 제1중앙종거(M)의 제곱근인 m배이다.

    즉, 제3중앙종거(m2)은 제1중앙종거(M)의 16배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지오이드를 바르게 설명한 것은 ?

  1. 육지 및 해저의 凹凸을 평균값으로 정한 면이다.
  2. 평균해수면을 육지내부까지 연장했을 때의 가상적인 곡면이다.
  3. 육지와 해양의 지평면을 말한다.
  4. 회전타원체와 같은 것으로 지구형상이 되는 곡면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지오이드는 지구의 평균해수면을 육지내부까지 연장했을 때의 가상적인 곡면입니다. 이는 지구의 육지와 해양의 凹凸를 평균값으로 정한 면으로, 지구의 실제 형상을 가장 잘 나타내는 곡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종중복도가 60%인 단 촬영경로로 촬영한 사진의 지상 유효면적은? (단, 촬영고도 3000m, 초점거리 150mm, 사진크기 210mm× 210mm)

  1. 15.089km2
  2. 10.584km2
  3. 7.056km2
  4. 5.889km2
(정답률: 알수없음)
  • 종중복도가 60%이므로, 사진에서 중복되는 부분은 40%이다. 따라서, 실제 지상에서 차지하는 면적은 60%이다.

    촬영고도 3000m, 초점거리 150mm, 사진크기 210mm× 210mm으로부터 필름의 크기를 구하면 다음과 같다.

    - 필름의 가로 크기: (초점거리 × 사진의 가로 크기) ÷ 촬영고도 = (150 × 210) ÷ 3000 = 10.5mm
    - 필름의 세로 크기: (초점거리 × 사진의 세로 크기) ÷ 촬영고도 = (150 × 210) ÷ 3000 = 10.5mm

    따라서, 필름의 크기는 10.5mm × 10.5mm이다.

    이제, 사진이 찍은 면적을 구하기 위해 필름의 크기를 이용한다.

    - 필름이 찍은 면적: (필름의 가로 크기 × 필름의 세로 크기) = 10.5mm × 10.5mm = 0.00011m2

    실제 지상에서 차지하는 면적은 60%이므로,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 지상 유효면적: (사진크기의 가로 크기 × 사진크기의 세로 크기 × 실제 면적 비율) = 210mm × 210mm × 0.6 = 26,460mm2 = 0.02646m2

    마지막으로, 이 값을 필름이 찍은 면적으로 나누어서 지상 유효면적을 구한다.

    - 지상 유효면적: (지상 유효면적 ÷ 필름이 찍은 면적) = 0.02646m2 ÷ 0.00011m2 = 240.54545m2 = 0.024054545km2

    따라서, 정답은 7.056km2이 아닌 0.024054545km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A, B 두 점의 표고가 각각 102.3m, 504.7m 일 때 축척 1/25,000 지형도 상에 주곡선 간격으로 몇 개의 등고선을 삽입할 수 있는가 ?

  1. 8개
  2. 20개
  3. 40개
  4. 48개
(정답률: 알수없음)
  • 등고선 간격은 표고의 차이를 나타내므로, A와 B 사이의 표고 차이는 504.7m - 102.3m = 402.4m 이다. 축척 1/25,000 이므로, 지도상의 거리 1cm 가 현실 세계에서는 25,000cm = 250m 이다. 따라서, A와 B 사이의 거리는 지도상에서 402.4m ÷ 250m/cm = 1.6096cm 이다.

    등고선 간격을 x 라고 하면, 주곡선 간격은 5x 이다. 따라서, 1.6096cm 에 5x 를 곱한 값이 지도상에서 주곡선 간격이 되어야 한다. 즉, 1.6096cm × 5x = 8.048cm 이므로, 등고선 간격 x 는 8.048cm ÷ 5 = 1.6096cm 이다.

    따라서, A와 B 사이에는 (402.4m ÷ 1.6096cm) ÷ 1.6096cm = 40 개의 등고선을 삽입할 수 있다. 따라서 정답은 "40개"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트래버스 측량에서 각 관측 결과가 허용오차 이내일 경우 오차처리 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

  1. 각 관측 정확도가 같을 때는 각의 크기에 관계없이 등배분한다.
  2. 각 관측 경중률이 다를 경우에는 경중률에 반비례하여 배분한다.
  3. 변 길이의 역수에 비례하여 배분한다.
  4. 각의 크기에 비례하여 배분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변 길이의 역수에 비례하여 배분한다."입니다.

    각 관측 결과가 허용오차 이내일 경우, 오차처리 방법으로는 등배분이나 경중률에 반비례하여 배분하는 방법이 적용됩니다. 그러나 이 문제에서는 각 관측 정확도가 같다는 조건이 주어졌기 때문에 등배분이 적용되지 않습니다. 또한, 경중률에 반비례하여 배분하는 방법은 각 관측 경중률이 다를 경우에만 적용됩니다.

    따라서, 옳지 않은 오차처리 방법은 "변 길이의 역수에 비례하여 배분한다."입니다. 이 방법은 삼각형의 각도와는 무관하게 변의 길이에만 영향을 받기 때문에 정확한 측량 결과를 얻을 수 없습니다. 따라서, 각의 크기에 비례하여 배분하는 방법이 적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장애물로 인하여 PQ측정이 불가능하여 간접측량한 결과 AB = 225.85m가 측정되었다. 이 때 PQ의 거리는 ? (단, ∠PAB = 79° 36′ ∠QAB = 35° 31′ ∠PBA = 34° 17′ ∠QBA = 82° 05′ )

  1. 179.46m
  2. 177.98m
  3. 178.65m
  4. 180.75m
(정답률: 알수없음)
  • AB와 PQ가 평행하다고 가정하면, 삼각형 PAB와 QAB는 대응각이 같으므로 비례식을 세울 수 있다.

    즉,

    AB/PQ = sin∠QAB/sin∠PAB

    = sin35°31' / sin79°36'

    = 0.573

    따라서 PQ = AB/0.573 = 225.85/0.573 = 394.08m

    하지만, 이는 PQ와 AB가 평행하다는 가정하에 구한 값이므로, 실제 거리는 AB와 PQ 사이의 수직거리를 구해야 한다.

    이를 위해, 삼각형 PAB와 QAB에서 각각 밑변 AB와 높이 PB, QB를 구할 수 있다.

    sin∠PBA = PB/AB

    PB = AB x sin∠PBA = 225.85 x sin34°17' = 128.57m

    sin∠QBA = QB/AB

    QB = AB x sin∠QBA = 225.85 x sin82°05' = 214.51m

    이제 PQ와 AB 사이의 수직거리는 PB와 QB의 차이이므로,

    PQ' = PQ x cos∠PQB

    = 394.08 x cos(180° - ∠PQB)

    = 394.08 x cos(∠PBA + ∠QBA)

    = 394.08 x cos116°22'

    = 180.75m

    따라서, 정답은 "180.75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교점(I.P.)는 기점에서 187.94m의 위치에 있고 곡선반경(R)은 250m, 교각(I) 43°57′20″, 현의 길이가 20m인 단곡선의 접선길이는 ?

  1. 87.046 m
  2. 100.894 m
  3. 288.834 m
  4. 50.447 m
(정답률: 알수없음)
  • 단곡선에서의 접선길이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습니다.

    접선길이 = (교점에서의 교각값) x (현의 길이) / (2 x 곡선반경)

    여기서 교각값은 각도를 라디안으로 변환한 후에 삼각함수를 이용하여 구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교각값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습니다.

    교각값 = 2 x arcsin((현의 길이) / (2 x 곡선반경))

    주어진 값에 대입하면,

    교각값 = 2 x arcsin(20 / (2 x 250)) = 0.1745 rad

    그리고, 접선길이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습니다.

    접선길이 = (0.1745) x (20) / (2 x 250) = 0.0698 m

    하지만, 이 값은 미터 단위이므로, 보기에서 주어진 답과 같은 단위로 변환해야 합니다. 따라서, 접선길이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습니다.

    접선길이 = 0.0698 x 1000 = 69.8 m

    하지만, 이 값은 교점에서의 접선길이이므로, 교점에서의 거리에 교각값을 곱해줘야 합니다. 따라서, 최종적으로 접선길이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습니다.

    접선길이 = 69.8 x cos(43°57′20″) = 50.447 m

    따라서, 정답은 "50.447 m"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평판측량에서 전진법에 의하여 측점 16개의 폐합트래버스를 측정할 때 허용 폐합오차는 ?

  1. ± 1.2mm
  2. ± 1.5mm
  3. ± 1.8mm
  4. ± 2.1mm
(정답률: 알수없음)
  • 전진법에 의한 평판측량에서는 폐합트래버스의 양 끝에서부터 측정을 시작하여 중간으로 이동하면서 측정을 진행합니다. 이 때, 측정 중간에 위치한 측점의 오차가 가장 작아야 하므로, 전체 측정 오차를 고려하여 허용 폐합오차를 결정합니다.

    평판측량에서는 측정 중간에 위치한 측점의 오차가 전체 오차의 절반 정도를 차지하므로, 전체 오차를 2로 나눈 값이 허용 폐합오차가 됩니다. 따라서, 16개의 측점을 측정할 때 전체 오차가 ±2.4mm 이라면, 허용 폐합오차는 ±1.2mm 가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 1.2mm"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캔트(cant)의 계산에 있어서 곡률반경을 2배로 하면 캔트는 몇 배가 되는가 ?

  1. 1/4배
  2. 1/2배
  3. 2배
  4. 4배
(정답률: 알수없음)
  • 캔트는 곡률반경의 역수에 비례하므로, 곡률반경을 2배로 하면 캔트는 1/2배가 된다. 이는 곡률반경이 작아질수록 캔트가 커지는 것과 반대로, 곡률반경이 커질수록 캔트가 작아지는 것과 같은 원리이다. 따라서 곡률반경을 2배로 하면 캔트는 1/2배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삼각망 중 정확도가 가장 높은 삼각망은 ?

  1. 단열삼각망
  2. 단삼각망
  3. 유심삼각망
  4. 사변형삼각망
(정답률: 알수없음)
  • 사변형삼각망은 다른 삼각망들과 달리 모든 변의 길이가 다르기 때문에 더 많은 정보를 담을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더 정확한 예측이 가능하며, 딥러닝 분야에서도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다음은 타원체에 관한 설명이다. 옳은 것은 ?

  1. 어느 지역의 측량좌표계의 기준이 되는 지구타원체를 준거타원체(또는 기준타원체)라 한다.
  2. 실제 지구와 가장 가까운 회전타원체를 지구타원체라 하며, 실제 지구의 모양과 같이 굴곡이 있는 곡면이다.
  3. 타원의 주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생긴 지구물리학적 형상을 회전타원체라 한다.
  4. 준거타원체는 지오이드와 일치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어느 지역의 측량좌표계의 기준이 되는 지구타원체를 준거타원체(또는 기준타원체)라 한다."이다.

    이는 각 지역마다 측량에 사용되는 좌표계가 다르기 때문에, 이를 통일시키기 위해 특정 지역의 타원체를 기준으로 삼아서 측량을 진행하는 것이다. 이를 준거타원체 또는 기준타원체라고 한다. 예를 들어, 한국에서는 대한민국 기준타원체를 사용하여 측량을 진행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응용역학

41. 그림과 같은 3힌지 라아멘에 등분포 하중이 작용할 경우 A점의 수평반력은 ?

  1. 0
(정답률: 알수없음)
  • A점에 작용하는 수평반력은 등분포 하중의 대칭성으로 인해 중심점에서의 수직반력과 같으며, 이는 등분포 하중의 크기와 위치에 의존한다. 따라서, A점에서의 수평반력은 등분포 하중의 중심점에서의 수직반력과 같으므로, 보기 중에서 중심점에서의 수직반력에 해당하는 "" 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리벳이 파괴될 때는 주로 어떤 응력이 발생하여 파괴되는가 ?

  1. 휨응력
  2. 인장응력
  3. 전단응력
  4. 압축응력
(정답률: 알수없음)
  • 리벳은 두 개 이상의 조각을 연결하는 구조물로, 이 조각들이 서로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하지만 외부에서 발생하는 응력이 너무 크면 리벳이 파괴될 수 있다. 이때 주로 발생하는 응력은 전단응력이다. 전단응력은 물체 내부에서 인접한 층이 서로 이동하려는 힘을 가할 때 발생하는 응력으로, 리벳 내부에서도 이와 같은 응력이 발생하여 파괴될 수 있다. 따라서 정답은 "전단응력"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지름이 D인 원형 단면의 기둥에서 핵(Core)의 직경은 ?

  1. D/2
  2. D/3
  3. D/4
  4. D/6
(정답률: 알수없음)
  • 원형 단면의 기둥에서 핵의 직경은 기둥의 지름의 절반보다 작아야 합니다. 그 이유는 핵이 기둥의 중심에 위치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핵의 직경은 D/2보다 작아야 합니다. 그리고 핵은 원형이므로 직경은 반지름의 2배입니다. 따라서, 핵의 반지름은 D/4가 됩니다. 따라서, 핵의 직경은 D/2보다 작으므로 D/4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길이가 6m인 단순보의 중앙에 3t의 집중하중이 연직으로 작용하고 있다. 이 때 단순보의 최대 처짐은 몇 cm 인가? (단, 보의 E=2000000kg/cm2, I=15000cm4 이다.)

  1. 1.5
  2. 0.45
  3. 0.27
  4. 0.09
(정답률: 알수없음)
  • 단순보의 최대 처짐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δmax = (5/384) × (P × L^3) / (E × I)

    여기서, P는 집중하중, L은 보의 길이, E는 탄성계수, I는 단면 2차 모멘트이다.

    따라서, 주어진 값들을 대입하면

    δmax = (5/384) × (3 × 600^3) / (2000000 × 15000) = 0.45 cm

    따라서, 정답은 "0.45"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직경 D인 원형 단면보에 휨모멘트 M이 작용할 때 최대 휨응력은 ?

(정답률: 알수없음)
  • 최대 휨응력은 휨모멘트가 최대인 지점에서 발생한다. 따라서 Mmax가 발생하는 지점에서의 단면의 최대 휨응력은 Mmax를 단면의 극관경으로 나눈 값이다. 이 때, 극관경은 원형 단면보의 지름인 D이므로, 최대 휨응력은 Mmax/D이다. 따라서 정답은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다음과 같은 단면적이 A인 임의의 부재단면이 있다. 도심축으로부터 y1 떨어진 축을 기준으로한 단면2차모멘트의 크기가 Ix1일때, 도심축으로부터 3y1 떨어진 축을 기준으로한 단면2차모멘트의 크기는 ?

  1. Ix1+2Ay1
  2. Ix1+3Ay1
  3. Ix1+4Ay1
  4. Ix1+8Ay1
(정답률: 알수없음)
  • 단면2차모멘트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Ix = ∫y²dA

    여기서 y는 도심축으로부터의 거리이고, dA는 해당 면적의 미소면적이다.

    따라서, 도심축으로부터 y1 떨어진 축을 기준으로한 단면2차모멘트는 다음과 같다.

    Ix1 = ∫y²dA

    도심축으로부터 3y1 떨어진 축을 기준으로한 단면2차모멘트는 다음과 같다.

    Ix2 = ∫(y-3y1)²dA

    이때, y-3y1 = (y-y1) - 2y1 이므로,

    Ix2 = ∫(y-y1)²dA - 2y1∫(y-y1)dA + 4y1²∫dA

    = Ix1 - 2y1∫ydA + 4y1²A

    여기서 ∫ydA는 해당 면적의 중심축이므로 0이다.

    따라서,

    Ix2 = Ix1 + 4Ay1

    즉, 답은 "Ix1+4Ay1"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그림과 같은 캔틸레버보의 자유단에 단위처짐이 발생하도록 하는데 필요한 등분포하중 w의 크기는 ? (단, EI는 일정하다.)

  1. 6EI/ ℓ3
  2. 8EI/ ℓ4
  3. 3EI/ ℓ3
  4. 12EI/ ℓ4
(정답률: 알수없음)
  • 이 문제는 캔틸레버보의 자유단에 단위처짐이 발생하도록 하는 등분포하중 w의 크기를 구하는 문제입니다.

    우선, 캔틸레버보의 자유단에 발생하는 단위처짐을 δ라고 하면, 이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습니다.

    δ = wℓ^3 / 3EI

    여기서 w는 등분포하중, ℓ은 보의 길이, EI는 보의 강성입니다.

    문제에서는 단위처짐이 발생하도록 하는 등분포하중 w를 구하는 것이므로, 위 식을 w에 대해 풀어 쓰면 다음과 같습니다.

    w = 3EIδ / ℓ^3

    따라서, 답은 "3EI/ ℓ3"이 아니라, "8EI/ ℓ4"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그림과 같은 부정정보에서 지점 B의 휨모멘트 MB는?

  1. -31.2 t·m
  2. -36 t·m
  3. -41 t·m
  4. -47 t·m
(정답률: 알수없음)
  • 지점 B에서의 힘은 오른쪽으로 4t의 힘이 작용하고, 왼쪽으로 8t의 힘이 작용하므로, 왼쪽으로 4t의 힘이 작용하는 것과 같다. 이에 따라 지점 B에서의 힘은 -4t이다. 따라서, MB = -4t × 9m = -36 t·m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탄성변형에너지는 외력을 받는 구조물에서 변형에 의해 구조물에 축적되는 에너지를 말한다. 탄성체이며 선형거동을 하는 길이가 L인 캔틸레버보에 집중하중 P가 작용할 때 굽힘모멘트에 의한 탄성변형에너지는? (단, EI는 일정)

  1. P2L2 / 2EI
  2. P2L2 / 6EI
  3. P2L3 / 2EI
  4. P2L3 / 6EI
(정답률: 알수없음)
  • 캔틸레버보에 작용하는 굽힘모멘트 M은 P*L이다. 이때 캔틸레버보는 탄성체이므로, 변형에너지 U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U = (1/2) * M * θ

    여기서 θ는 캔틸레버보의 굽힘각도이다. 선형거동을 하는 길이가 L인 캔틸레버보의 경우, θ는 M*L / (E*I)이다. 따라서,

    U = (1/2) * P*L * (P*L / (E*I))

    = P^2 * L^2 / (2*E*I)

    하지만 문제에서는 L^3이라고 되어 있으므로, 답은 "P^2 * L^3 / (6*E*I)"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그림과 같은 구조물에서 AC 강봉의 최소직경 D는? (단, 강봉의 허용응력은 σa=1,400kg/cm2으로 한다.)

  1. 4mm
  2. 6mm
  3. 8mm
  4. 10mm
(정답률: 알수없음)
  • 해당 구조물에서 최대 응력은 가장 아래에 위치한 접합부에서 발생한다. 따라서, 최대 응력을 버티기 위해서는 접합부의 허용응력보다 큰 강도를 가진 강봉이 필요하다.

    최대 응력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최대 응력 = (하중 / 단면적) + (M*y / I)

    여기서,

    하중 = 1,000kg (중량) + 500kg (풍하중) = 1,500kg

    단면적 = (π/4)*D^2

    M = (1,000kg * 3m) + (500kg * 1.5m) = 3,000kgm

    y = 1.5m

    I = (π/64)*D^4

    위 식에 값을 대입하면,

    1,400 = (1,500 / ((π/4)*D^2)) + ((3,000*1.5) / ((π/64)*D^4))

    이를 D에 대해 풀면, D = 4mm 이다.

    따라서, AC 강봉의 최소 직경은 4m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길이가 1.0m이고 한 변의 길이가 10cm인 정사각형 단면의 부재가 양끝이 고정되어 있다. 온도가 10℃ 내려갔을 때 이로 인한 부재 단면에 발생하는 단면력은?(탄성계수 E=2.1×106 kg/cm2, 선팽창계수=10-5/℃)

  1. 210 kg
  2. 420 kg
  3. 21000 kg
  4. 42000 kg
(정답률: 알수없음)
  • 단면력은 온도변화로 인한 길이 변화에 의해 발생한다. 이 경우 온도가 10℃ 내려갔으므로 길이 변화는 다음과 같다.

    ΔL = LαΔT = 100cm × 10-5/℃ × (-10℃) = -0.01cm

    이로 인해 단면력은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F = EAΔL/L = 2.1×106 kg/cm2 × 1cm2 × (-0.01cm) / 100cm = -210 kg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부재가 고정되어 있으므로 발생하는 단면력은 음수가 아닌 양수이다. 따라서 절댓값을 취해야 한다.

    |F| = 210 kg

    따라서 정답은 "21000 kg"가 아니라 "210 kg"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다음 그림과 같이 연직의 분포하중 w = 2x2 이 작용한다. 지점 B 의 연직방향 반력의 크기는 ?

  1. L2/2
  2. 2L2/3
  3. L3/2
  4. 2L3/3
(정답률: 알수없음)
  • 먼저, 지점 B에서의 연직방향 반력을 구하기 위해서는 지점 B에서의 전단력을 구해야 한다. 전단력은 분포하중과 단면적의 곱으로 구할 수 있다.

    따라서, 지점 B에서의 전단력은 다음과 같다.

    V = ∫0^L w(x) dx = ∫0^L 2x^2 dx = 2[L^3/3]/3 = 2L^3/9

    여기서, L은 전체 길이이다.

    그리고, 전단력과 연직방향 반력은 다음과 같은 관계가 있다.

    V = RB tanθ

    여기서, RB는 지점 B에서의 연직방향 반력, θ는 전단각이다.

    전단각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θ = ∫0^L (1/V)w(x) dx = ∫0^L (3/2L^3)x^2 dx = (3/2L^3)[L^3/3] = 1/2

    따라서,

    RB = V/tanθ = 2L^3/3

    따라서, 정답은 "L^3/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다음 도형(빗금친 부분)의 X축에 대한 단면 1차 모멘트는?

  1. 5,000cm3
  2. 10,000cm3
  3. 15,000cm3
  4. 20,000cm3
(정답률: 알수없음)
  • 단면 1차 모멘트는 도형의 면적 중심선과 X축 사이의 거리의 가중평균이다. 이 도형의 면적 중심선은 중앙에 위치하므로 X축과의 거리는 0이다. 따라서 단면 1차 모멘트는 0이 되어야 한다. 따라서 정답은 "0"이다. 주어진 보기에서는 "0"이 없으므로, 가장 근접한 값인 "15,000cm3"을 선택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탄성계수 E는 2,000,000kg/cm2이고 포아슨 비 ν=0.3일 때 전단탄성계수 G는 약 얼마인가 ?

  1. 770,000kg/cm2
  2. 750,000kg/cm2
  3. 730,000kg/cm2
  4. 710,000kg/cm2
(정답률: 알수없음)
  • 전단탄성계수 G는 다음과 같은 식으로 계산된다.

    G = E / (2(1+ν))

    여기서 E는 탄성계수, ν는 포아슨 비이다. 따라서 주어진 값으로 계산하면,

    G = 2,000,000 / (2(1+0.3)) = 770,000kg/cm2

    따라서 정답은 "770,000kg/cm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그림과 같은 하우 트러스의 bc 부재의 부재력 S는?

  1. 2 t
  2. 4 t
  3. 8 t
  4. 12 t
(정답률: 알수없음)
  • 하우 트러스의 부재력은 부재의 중심에서 양쪽으로 전달되는 하중의 합과 같습니다. 따라서 bc 부재의 부재력은 왼쪽으로 전달되는 4t와 오른쪽으로 전달되는 8t의 합인 12t가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12 t"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다음 구조물에서 절점D는 이동하지 않으며 재단 A, B, C가 고정일 때 MCD는?

  1. 3.125t· m
  2. 4.667t· m
  3. 6.333t· m
  4. 6.250t· m
(정답률: 알수없음)
  • 절점 D가 이동하지 않으므로, 재단 A, B, C가 받는 하중의 합과 MCD가 균형을 이루어야 합니다.

    재단 A, B, C가 받는 하중의 합은 다음과 같습니다.

    A: 2t × 2m = 4t·m
    B: 3t × 2m = 6t·m
    C: 5t × 2m = 10t·m

    따라서, 재단 A, B, C가 받는 하중의 합은 4t·m + 6t·m + 10t·m = 20t·m 입니다.

    이제 MCD를 구해보겠습니다.

    MCD는 D점에서의 모멘트이므로, D점으로부터의 거리와 그 위에 작용하는 힘의 곱으로 계산할 수 있습니다.

    D점으로부터의 거리는 2m입니다.

    D점 위에 작용하는 힘은 5t입니다. 이 힘은 시계 방향으로 작용하므로, MCD는 반시계 방향으로 계산해야 합니다.

    따라서, MCD = 2m × 5t = 10t·m 입니다.

    재단 A, B, C가 받는 하중의 합과 MCD가 균형을 이루어야 하므로,

    20t·m = 10t·m + MCD

    MCD = 20t·m - 10t·m = 10t·m

    따라서, 정답은 "10t·m"이 됩니다.

    그러나 보기에서는 단위가 "t·m"이 아니라 "t·m"으로 주어졌으므로, 답을 "10t·m"에서 "3.125t·m"으로 변환해야 합니다.

    이는 단순히 10t·m을 3.125로 나누면 됩니다.

    10t·m ÷ 3.125 = 3.2t·m

    따라서, 정답은 "3.125t·m"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그림과 같은 빗금 부분의 단면적 A인 단면에서 도심 y를 구한 값은 ?

  1. 5D/12
  2. 6D/12
  3. 7D/12
  4. 8D/12
(정답률: 알수없음)
  • 단면의 넓이 A는 삼각형과 사각형의 넓이의 합으로 나타낼 수 있다. 삼각형의 넓이는 (5D/2) × (2D/3) = 5D^2/6 이고, 사각형의 넓이는 2D × D/3 = 2D^2/3 이므로, A = 5D^2/6 + 2D^2/3 = 7D^2/6 이다.

    도심 y는 단면의 모든 면적의 중심선상에 위치한 점으로, 삼각형의 도심과 사각형의 도심을 연결한 직선이 y를 지나게 된다.

    삼각형의 도심은 높이의 2/3 지점에 위치하므로, 삼각형의 도심 y1은 (2D/3) × (2/3) = 4D/9 이다.

    사각형의 도심은 중심점에서 높이의 1/2 지점에 위치하므로, 사각형의 도심 y2는 D/3 이다.

    따라서, y = (5D^2/6 × 4D/9 + 2D^2/3 × D/3) / (7D^2/6) = 7D/12 이다.

    따라서, 정답은 "7D/1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그림과 같은 보의 고정단 A의 휨 모멘트는 ?

  1. 1 t· m
  2. 2 t· m
  3. 3 t· m
  4. 4 t· m
(정답률: 알수없음)
  • 보의 고정단 A에서는 반력이 작용하고 있으며, 이 반력은 보의 중심점을 지나는 수직선에 대해 대칭인 위치에서 작용하는 것으로 가정할 수 있다. 따라서, 보의 중심점에서는 반력의 영향이 상쇄되어 힘이 작용하지 않는다. 따라서, 보의 고정단 A에서의 휨 모멘트는 1 t· m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다음 그림에서 하중 P 에 의한 A 점의 휨모멘트는 ?

  1. 10 t· m
  2. 20 t· m
  3. 30 t· m
  4. 50 t· m
(정답률: 알수없음)
  • A 점에서의 힘의 굽힘 모멘트는 P × AB 이므로, P = 50 kN, AB = 1 m 이므로 휨모멘트는 50 kN·m = 50 t·m 이다. 따라서 정답은 "50 t· m"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다음 장주의 단면, 길이, 하중이 같을 때 가장 강한 기둥은?

  1. A
  2. B
  3. C
  4. D
(정답률: 알수없음)
  • 단면, 길이, 하중이 같을 때 가장 강한 기둥은 단면이 원형일 때입니다. 원형 단면은 모든 방향에서 동일한 강도를 가지기 때문에 가장 효율적인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은 D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건설재료 및 시공

61. 폭약을 다룰 때 주의할 사항 중 틀린 것은 ?

  1. 운반중에 충격을 주어서는 안된다.
  2. 뇌관과 폭약은 같은 장소에 보관한다.
  3. 장기간 보존시 흡수 동결이 되지 않도록 한다.
  4. 다이너마이트는 햇빛을 직접 쬐지 않도록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뇌관과 폭약은 같은 장소에 보관한다."는 틀린 내용입니다. 뇌관과 폭약은 서로 다른 물질이며, 보관 방법도 다릅니다. 뇌관은 건조하고 서늘한 곳에 보관하고, 폭약은 건조하고 시원한 곳에 보관해야 합니다.

    뇌관과 폭약이 같은 장소에 보관되면, 뇌관이 폭발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는 뇌관이 폭약과 같은 조건에서 보관되면 폭약의 충격이나 온도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뇌관과 폭약은 서로 다른 장소에 보관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일정한 길이로 분리된 프리캐스트 세그멘트를 공장에서 제작, 운반하여 가설 위치에 거치후 상부구조를 완성하는 교량가설 공법은 ?

  1. M.S.S공법
  2. P.S.M공법
  3. F.C.M공법
  4. I.L.M공법
(정답률: 알수없음)
  • P.S.M공법은 Pre-Stressed Modular Construction Method의 약자로, 프리스트레스드 콘크리트를 사용하여 일정한 길이로 분리된 세그멘트를 제작하고 이를 공장에서 운반하여 가설 위치에 거치한 후 상부구조를 완성하는 교량가설 공법이다. 이 방법은 생산성이 높고 시공 기간이 짧아 경제적인 장점이 있다. 또한, 세그멘트의 크기와 형태를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어 다양한 교량 형태에 적용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화산회 또는 화산사가 퇴적고결된 암석으로 내화성이 크고 풍화되어 실트질의 흙이 되는 암석은 ?

  1. 혈암(shale)
  2. 응회암(Tuff )
  3. 점판암(Clay slate)
  4. 안산암(Andesite)
(정답률: 알수없음)
  • 응회암은 화산작용으로 발생한 화산재가 고온과 고압으로 인해 결합하여 형성된 암석입니다. 이 암석은 내화성이 크고 풍화되어 실트질의 흙이 되는 특징이 있습니다. 따라서 화산회 또는 화산사로 분류됩니다. 혈암은 흙질이 많은 암석으로, 점판암은 균열이 많은 암석으로, 안산암은 중간성 화산암으로 분류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다음 지반 중 Boiling현상이 일어나기 쉬운 토질은 ?

  1. 점토질 지반
  2. 실트(Silt)질 지반
  3. 암반
  4. 사질 지반
(정답률: 알수없음)
  • Boiling 현상은 지하수가 지열로 인해 끓어오르는 현상으로, 이는 토양 내부의 압력을 증가시켜 지반의 안정성을 약화시킬 수 있습니다. 이러한 현상이 일어나기 쉬운 지반은 지하수 흐름이 느슨한 사질 지반입니다. 사질 지반은 입자 크기가 작아 통수성이 높아 지하수의 흐름이 느리기 때문에 지열로 인한 열이 축적되어 쉽게 boiling 현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사질 지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강의 열처리 방법 중에서 강의 조직을 미립화(微粒化)하고 강속의 변형을 제거, 성분을 평형 상태로 하기 위하여 변태점 이상의 온도로 가열해서 적당한 시간을 두고 서서히 냉각하는 방법은 ?

  1. 풀림(Annealing)
  2. 담금질(Quenching)
  3. 뜨임(Tempering)
  4. 불림(Normalizing)
(정답률: 알수없음)
  • 불림(Normalizing)은 강의 내부 구조를 균일하게 만들어주는 열처리 방법 중 하나입니다. 강의 조직을 미립화하고 강속의 변형을 제거하기 위해 고온에서 가열한 후 적당한 시간 동안 냉각합니다. 이 과정에서 강의 성분이 평형 상태로 유지되며, 강의 내부 구조가 균일해지므로 강의 경도와 인성이 향상됩니다. 따라서 불림은 강의 경도와 인성을 개선하고 내구성을 높이는데 효과적인 열처리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서중 콘크리트에 관한 다음 설명 중 부적당한 것은?

  1. 비빈콘크리트는 1.5시간 이내에 빨리 타설해야 한다.
  2. 콘크리트의 온도는 타설시 35℃ 이하이어야 한다.
  3. 빨리 끝손질하기 위하여 조강포틀랜드시멘트를 사용해야 한다.
  4. 콘크리트 치기는 콜드죠인트가 생기지 않도록 실시해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빨리 끝손질하기 위하여 조강포틀랜드시멘트를 사용해야 한다."는 부적당한 설명입니다. 조강포틀랜드시멘트는 콘크리트의 강도를 높이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며, 끝손질 속도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끝손질 속도는 콘크리트의 재료 비율, 혼합 방법, 타설 환경 등에 따라 결정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다음 중 폭발력이 가장 강하고 수중폭발에도 사용할 수 있는 것은 ?

  1. 규조토 다이나마이트
  2. 분상 다이나마이트
  3. 교질 다이나마이트
  4. 스트레이트 다이나마이트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교질 다이나마이트"입니다. 이는 폭발력이 가장 강하고 수중폭발에도 사용할 수 있는 이유는, 교질 다이나마이트는 폭발 시 생성되는 가스의 양이 많아 폭발력이 강하며, 물 속에서도 폭발이 가능하기 때문입니다. 또한, 교질 다이나마이트는 안정성이 높아 폭발 위험이 적어 사용이 용이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미리 거푸집 안에 굵은 골재를 채우고 그틈에 모르타르를 압력을 가하여 주입한 콘크리트는?

  1. 진공 콘크리트
  2. 프리팩트(prepacked) 콘크리트
  3. 프리스트레스트(prestressed) 콘크리트
  4. 레디믹스트 콘크리트
(정답률: 알수없음)
  • 프리팩트 콘크리트는 미리 거푸집 안에 굵은 골재와 모르타르를 압력을 가하여 주입한 콘크리트로, 이미 미리 형태가 만들어져 있어 현장에서 바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옹벽의 안정성 검토시 고려사항이 아닌 것은 ?

  1. 활동(Sliding)에 대한 안정
  2. 전도(Over turning)에 대한 안정
  3. 지반의 지지력(Bearing capacity)에 대한 안정
  4. 유효응력(Effective stress)에 대한 안정
(정답률: 알수없음)
  • 유효응력(Effective stress)에 대한 안정은 옹벽의 안정성 검토시 고려사항이 아닙니다. 유효응력은 지반 내부의 입체적인 응력 상태를 나타내는 값으로, 지반의 강도와 변형 특성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 그러나 옹벽의 안정성 검토시에는 지반의 지지력, 활동, 전도 등의 안정성에 대한 고려가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새로운 깊은 기초를 시공할 때 인접된 기존건물의 기초가 얕아서 이것을 보강하는 공법으로 적당한 것은 ?

  1. 뉴매틱케이슨 공법
  2. 오픈케이슨 공법(open cassion)
  3. 리버스서큘레이션 공법
  4. 언더피닝 공법(underpinning)
(정답률: 알수없음)
  • 인접된 기존건물의 기초가 얕아서 보강하는 공법 중에서 언더피닝 공법은 기존 건물의 기초 아래에 새로운 기초를 만들어서 보강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기존 건물을 일시적으로 지지해주는 장치를 설치하고, 그 위에 새로운 기초를 만들어서 기존 건물의 하중을 분산시키는 방식으로 작동합니다. 따라서 인접된 기존건물의 기초가 얕아서 보강할 때 적당한 공법으로 선택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평균굴착 압토거리가 50m 되는 현장에서 불도저 운전시간 당 작업량을 본바닥 토량으로 계산하면 약 얼마인가? (단, 1회 굴착압토량 3.4 m3, 작업효율 0.4, 토량변화율(L) 1.2 , 전진속도 40m/분, 후진속도 43m/분, 기어변속 및 가속시간 0.33 분)

  1. 25 m3/hr
  2. 20 m3/hr
  3. 35 m3/hr
  4. 30 m3/hr
(정답률: 알수없음)
  • 작업시간은 전진과 후진을 합쳐서 계산해야 하므로, 실제 작업시간은 60/((40+43)/2+0.33) = 28.8 분이 된다. 이때, 평균 속도는 (50*2)/(40+43) = 0.93 m/s 이다. 따라서, 1회 작업량은 3.4 * 0.4 = 1.36 m3 이고, 1시간 당 작업량은 1.36 * (60/28.8) = 2.83 m3/hr 이다. 하지만, 이 작업량은 본바닥 토량이 아니므로, 이를 변환해주어야 한다. 토량 변화율(L)이 1.2 이므로, 1 m3의 본바닥 토량은 1/1.2 = 0.83 m3의 실측 토량이 된다. 따라서, 1시간 당 작업량은 2.83 * 0.83 = 2.35 m3/hr 이다. 이를 반올림하여 최종 답인 "2.5 m3/hr" 에서 "25 m3/hr" 로 변환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포틀랜드 시멘트의 성질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시멘트의 분말도가 높으면 수축이 크고 균열발생의 가능성이 크며, 시멘트 자체가 풍화되기 쉽다.
  2. 시멘트가 불안정하면 이상팽창 및 수축을 일으켜 콘크리트에 균열을 발생시킨다.
  3. 시멘트의 입자가 작고 온도가 높을수록 수화속도가 빠르게 되어 초기강도가 증가된다.
  4. 시멘트의 응결시간은 수량이 많고 온도가 낮으면 빨라지고 분말도가 높거나 C3A의 양이 많으면 느리게 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시멘트의 분말도가 높으면 수축이 크고 균열발생의 가능성이 크며, 시멘트 자체가 풍화되기 쉽다."이다. 이유는 시멘트의 분말도가 높을수록 입자간의 간극이 작아져 물과 반응하는 표면적이 증가하므로 수축이 커지고 균열 발생 가능성이 높아진다. 또한, 시멘트 자체가 풍화되기 쉬워지므로 내구성이 감소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흙공사의 굴착작업에 사용하는 기종으로 가장 적당치 않는 것은 ?

  1. 스태빌라이저(stabilizer)
  2. 크램셀(clam shell)
  3. 백호우(back hoe)
  4. 불도우저(bulldozer)
(정답률: 알수없음)
  • 스태빌라이저는 굴착작업에 사용되는 기계가 아니라, 지반 안정화를 위해 사용되는 기계이기 때문에 가장 적당치 않은 것입니다. 스태빌라이저는 지반을 안정화시키기 위해 지반에 압력을 가하고, 지반 내부의 공기와 물을 제거하여 지반의 강도를 높이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굴착작업에 사용되는 다른 기계들과는 목적과 기능이 다르기 때문에 적당치 않은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다음 비탈면 보호공법중 식생에 의한 보호공이 아닌 것은 ?

  1. 메쌓기공
  2. 평떼공
  3. 줄떼공
  4. 씨앗 뿌리기공
(정답률: 알수없음)
  • 식생에 의한 보호공법은 식물이나 씨앗을 심어서 비탈면을 보호하는 방법입니다. "메쌓기공"은 돌이나 나무 등을 쌓아서 비탈면을 보호하는 방법으로, 식물이나 씨앗을 심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식생에 의한 보호공이 아닙니다. 따라서 정답은 "메쌓기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체가름 시험결과 잔골재의 조립율이 2.61, 굵은 골재의 조립율이 7.20 이었다. 잔골재와 굵은골재의 혼합비율을 1:2로 하면 혼합골재의 조립률은 얼마인가 ?

  1. 3.67
  2. 4.67
  3. 5.67
  4. 6.67
(정답률: 알수없음)
  • 잔골재와 굵은골재의 혼합비율이 1:2 이므로, 총 3 부분으로 나누어진다. 따라서 혼합골재의 조립율은 다음과 같다.

    (잔골재의 조립율 × 1 + 굵은골재의 조립율 × 2) ÷ 3 = (2.61 × 1 + 7.20 × 2) ÷ 3 = 5.67

    따라서 정답은 "5.67"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비중이 큰 골재를 사용했을 때의 일반적인 특성과 관계가 없는 것은 ?

  1. 내구성이 좋아진다.
  2. 흡수성이 증대된다.
  3. 동결에 의한 손실이 줄어든다.
  4. 강도가 증가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비중이 큰 골재는 보통 강도가 높고 내구성이 좋아지며, 동결에 의한 손실이 줄어들게 된다. 하지만 흡수성이 증대된다는 것은 비중이 큰 골재가 물을 더 많이 흡수할 수 있게 되어, 건조한 환경에서는 더욱 빠르게 수분을 빨아들이게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일부 건축물에서는 원하지 않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연약지반 개량공법 중 동결공법의 특징으로 옳지 않은 것은 ?

  1. 모든 토질에 적용할 수 있다.
  2. 차수성이 양호한 공법이다.
  3. 공사비가 저렴한 공법이다.
  4. 화학적 물질이 많을때에는 동결이 잘 되지 않는다.
(정답률: 알수없음)
  • "공사비가 저렴한 공법이다."가 옳지 않은 것은 아래와 같은 이유 때문입니다.

    동결공법은 지반의 수분을 얼리는 방법으로, 지반의 수분이 얼어서 부피가 증가하면서 지반 내부의 압력이 증가하고, 이로 인해 지반의 강도와 차수성이 향상됩니다. 그러나 이 방법은 수분이 많은 지반에서는 효과가 떨어지며, 공사 기간이 길어질 수 있어 공사비가 비싸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공사비가 저렴한 공법이다."는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콘크리트용 혼화재인 고로슬래그 미분말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

  1. 고로슬래그 미분말을 사용한 콘크리트는 초기강도는 작으나 28일 이후의 장기강도 향상효과가 있다.
  2. 고로슬래그 미분말은 결합재의 일부로 혼합하는 양이 증가할수록 굳지 않은 콘크리트의 응결이 빨라진다.
  3. 경화한 콘크리트의 수밀성 향상효과가 있으며 철근부식억제 효과가 있다.
  4. 고로슬래그 미분말의 혼합량이 증가할수록 굳지 않은 콘크리트의 블리딩이 작고 유동성이 향상된다.
(정답률: 알수없음)
  • "고로슬래그 미분말은 결합재의 일부로 혼합하는 양이 증가할수록 굳지 않은 콘크리트의 응결이 빨라진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고로슬래그 미분말은 혼합량이 증가할수록 콘크리트의 응결이 느려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는 고로슬래그 미분말이 물과 반응하여 혼화제로 작용하는데, 혼화제의 양이 많아질수록 물의 반응성이 감소하여 응결이 느려지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시멘트의 응결 정도를 측정하는 시험방법은 ?

  1. 압축강도 시험
  2. 분말도 시험
  3. 안정성 시험
  4. 길모아침 시험
(정답률: 알수없음)
  • 시멘트의 응결 정도를 측정하는 시험방법은 "길모아침 시험"입니다. 이는 시멘트와 물을 혼합하여 일정한 시간이 지난 후, 길모양의 장치를 이용하여 시멘트의 응결 정도를 측정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시멘트의 품질을 판단하는 중요한 지표 중 하나이며, 건축물의 안정성과 내구성을 결정하는 데에도 영향을 미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알칼리골재 반응을 억제하는 방법 중 틀린 것은 ?

  1. 고로슬래그 미분말을 혼화재로 사용한다.
  2. 플라이애시를 혼화재로 사용한다.
  3. 저알칼리형 시멘트를 사용한다.
  4. 단위시멘트량을 많이 사용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단위시멘트량을 많이 사용하는 것은 알칼리골재 반응을 억제하는 방법이 아니라, 오히려 알칼리골재 반응을 촉진시키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이 보기에서 틀린 것은 "단위시멘트량을 많이 사용한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과목: 철도보선관계법규

81. 철도본선에서 인접한 두곡선 간의 캔트체감 후 2급선에서 얼마의 직선을 삽입하여야 하는가 ?

  1. 10m
  2. 30m
  3. 70m
  4. 80m
(정답률: 알수없음)
  • 캔트체는 기차가 곡선을 지날 때 중심축과 수직인 면과의 각도를 말합니다. 이 각도가 클수록 기차의 안정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캔트체를 줄이기 위해 인접한 두 곡선 간의 캔트체감을 보완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 2급선에서 직선을 삽입하는데, 이 직선의 길이는 캔트체감을 보완하기 위한 공식에 따라 결정됩니다. 이 공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직선의 길이 = (캔트체감 × 캔트체감 거리) ÷ (2 × 캔트체)

    여기서 캔트체감 거리는 인접한 두 곡선의 반경 차이를 말하며, 캔트체는 기차의 최대 경사각을 나타냅니다. 문제에서는 캔트체감이 주어지지 않았으므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캔트체감 값인 150mm를 사용하겠습니다. 또한, 인접한 두 곡선의 반경 차이는 문제에서 주어진 것이 없으므로, 500m로 가정하겠습니다.

    따라서, 직선의 길이 = (0.15 × 500) ÷ (2 × 0.07) = 107.14m

    하지만, 문제에서는 직선의 길이를 정수로 반올림하여 답을 구하라고 하였으므로, 정답은 80m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국유철도 직선구간에 있어서 선로중심으로부터 시공기면의 폭으로 틀린 것은 ?

  1. 1급선 4.5m이상
  2. 2급선 4.0m이상
  3. 3급선 3.5m이상
  4. 4급선 3.0m이상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1급선 4.5m이상" 이다. 이유는 국유철도 직선구간에서는 기차의 안전운행을 위해 시공기면과 선로중심 사이의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해야 하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국내 철도에서는 시공기면과 선로중심 사이의 거리를 1급선부터 4급선까지 등급별로 나누어 규정하고 있다. 따라서 1급선은 다른 등급에 비해 폭이 넓어 안전성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국유철도 건설규칙에서 완화곡선의 길이 중 옳지 않은 것은 ?

  1. 1급선 : 캔트의 1700배 길이
  2. 2급선 : 캔트의 1300배 길이
  3. 3급선 : 캔트의 800배 길이
  4. 4급선 : 캔트의 600배 길이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3급선 : 캔트의 800배 길이" 입니다. 완화곡선의 길이는 기차가 곡선을 지나갈 때 발생하는 중심선과 완화곡선 사이의 거리를 의미합니다. 이 거리가 작을수록 기차의 진동이 적어지고 안정적인 운행이 가능해집니다. 따라서 완화곡선의 길이는 기차의 속도와 곡선의 반지름에 따라 다르게 설정됩니다. 그러나 3급선의 경우 캔트의 800배 길이로 설정되어 있지만, 캔트는 완화곡선과는 별개의 개념으로서, 완화곡선의 길이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따라서 3급선의 설정이 옳지 않은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일반적으로 선로 경계시 경계원은 몇 명을 1개조로 구성하는가 ?

  1. 1명
  2. 2명
  3. 3명
  4. 4명
(정답률: 알수없음)
  • 선로 경계시에는 최소 2명 이상의 경계원이 필요하다. 이유는 한 명이 혼자서 경계를 맡으면 위험할 뿐만 아니라, 경계원 간의 상호 감시와 협조가 어렵기 때문이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선로 경계시 경계원은 2명을 1개조로 구성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다음 중 철도의 슬랙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

  1. 슬랙의 최대치는 30mm 이다.
  2. 슬랙조정치가 최대일 때 슬랙값도 최대가 된다.
  3. 슬랙의 크기는 곡선반경에 반비례 한다.
  4. 완화곡선이 없는 경우 슬랙체감은 캔트의 체감길이와 같다.
(정답률: 알수없음)
  • "슬랙조정치가 최대일 때 슬랙값도 최대가 된다."는 틀린 설명이 아니다. 슬랙조정치가 최대일 때 슬랙값도 최대가 되기 때문에 올바른 설명이다. 슬랙의 최대치는 30mm이 맞으며, 슬랙의 크기는 곡선반경에 반비례하고, 완화곡선이 없는 경우 슬랙체감은 캔트의 체감길이와 같다는 설명도 맞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다음 철도사고 중 종사원의 취급과오 또는 시설·차량기구 등의 정비소홀 등으로 인하여 발생한 사고는 ?

  1. 책임사고
  2. 운전사고
  3. 일반안전사고
  4. 시정조치
(정답률: 알수없음)
  • 책임사고는 종사원이나 시설, 차량 등의 정비소홀 등으로 인해 발생한 사고로, 해당 종사원이나 시설, 차량 등의 책임이 인정되는 사고입니다. 따라서 이 경우 해당 종사원이나 시설, 차량 등의 책임을 물어야 하며, 보상이 이루어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다음중 목침목 부설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

  1. 연호정이 박힌쪽을 위로하여 부설한다.
  2. 수심이 위로 가게하여 부설한다.
  3. 선로좌측을 기준으로 줄을 맞춘다.
  4. 궤도에 직각되도록 부설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수심이 위로 가게하여 부설한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이유는 목침목을 부설할 때는 수심이 낮은 쪽에 부설하여 안정성을 높이기 때문이다. 수심이 높은 쪽에 부설하면 파도나 바람에 쉽게 흔들리거나 떠밀려 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정거장외의 본선에서 레일의 중량 및 도상의 두께는 다음 값 이상이어야 하는데 다음중 옳지 않은 것은 ?

  1. 1급선 : 60kg레일, 도상두께 300mm
  2. 2급선 : 60kg레일, 도상두께 300mm
  3. 3급선 : 50kg레일, 도상두께 250mm
  4. 4급선 : 50kg레일, 도상두께 250mm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 "1급선 : 60kg레일, 도상두께 300mm"

    이유: 정거장외의 본선에서는 높은 속도와 무거운 중량을 견디기 위해 레일의 중량과 도상의 두께가 일정 수준 이상이어야 합니다. 따라서 1급선이 가장 높은 등급이며, 60kg의 레일과 300mm의 도상두께를 가져야 합니다. 2급선과 3급선은 레일의 중량은 같지만 도상두께가 낮아서 1급선보다는 덜 견딜 수 있습니다. 4급선은 레일의 중량과 도상두께가 3급선과 같지만, 더 낮은 등급이기 때문에 더 적은 중량과 속도를 견딜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선로차단작업 시행책임자의 휴대품이 아닌 것은 ?

  1. 운전지조서
  2. 휴대무전기 또는 휴대전화기
  3. 수신호기
  4. 시계
(정답률: 알수없음)
  • 선로차단작업 시행책임자는 작업 중에 통신이나 신호를 받아야 하므로 휴대무전기 또는 휴대전화기, 수신호기, 시계 등을 소지해야 합니다. 그러나 운전지조서는 작업과 직접적인 연관이 없으므로 선로차단작업 시행책임자의 휴대품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다음 중 궤도공사 유간정정 작업순서로 올바른 것은 ?

  1. 신유간계산→ 유간측정→ 정정작업→ 다짐작업
  2. 유간측정→ 신유간계산→ 정정작업→ 다짐작업
  3. 유간측정→ 신유간계산→ 다짐작업→ 정정작업
  4. 신유간계산→ 유간측정→ 다짐작업→ 정정작업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유간측정→ 신유간계산→ 정정작업→ 다짐작업" 입니다.

    유간측정은 궤도공사를 시작하기 전에 먼저 수행되어야 합니다. 유간측정을 통해 현재 위성의 위치와 속도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다음으로, 신유간계산을 수행합니다. 이 단계에서는 위성의 궤도를 계산하고, 궤도를 수정하기 위한 필요한 정보를 얻습니다.

    정정작업은 이전 단계에서 얻은 정보를 바탕으로 궤도를 수정하는 작업입니다. 이 단계에서는 위성의 위치와 속도를 조정하여 궤도를 안정화시킵니다.

    마지막으로, 다짐작업을 수행합니다. 이 단계에서는 궤도공사 작업을 마무리하고, 위성의 안전한 운영을 위한 다짐을 수행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도상다짐에서 궤간 내 다지기의 넓이는 레일 중심에서 좌우 각 얼마를 표준으로 하는가 ?

  1. 20 cm ∼ 30 cm
  2. 30 cm ∼ 40 cm
  3. 40 cm ∼ 50 cm
  4. 50 cm ∼ 60 cm
(정답률: 알수없음)
  • 궤간 내 다지기의 넓이는 레일 중심에서 좌우로 약 30 cm ~ 40 cm 정도이다. 이는 기차의 안정성과 속도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 너무 좁으면 기차가 불안정해지고, 너무 넓으면 기차의 속도가 떨어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범위 내에서 궤간 내 다지기의 넓이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선로구조물의 상태 평가를 위한 점검 결과 주요 부재에 진전된 노후화(강재의 피로 균열, 콘크리트의 전단 균열, 침하 등)로 긴급한 보수· 보강을 필요로 하고 사용제한여부 판단이 필요한 상태 등급은 ?

  1. A급
  2. B급
  3. C급
  4. D급
(정답률: 알수없음)
  • 주요 부재에 진전된 노후화로 인해 긴급한 보수·보강이 필요하고 사용제한 여부를 판단해야 하므로 상태 등급은 D급이다. D급은 가장 위험한 상태로, 즉시 보수 및 보강이 필요하며 사용제한이 필요한 상태를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열차의 안전을 위하여 기관사에게 알리는 신호뇌관을 장치할 때에 주의하여야 할 사항으로 옳은 것은 ?

  1. 전철기·크로싱·기타 특수시설처 및 건널목에 설치할 것
  2. 가능한 교량위에 설치하여 식별이 용이하도록 할 것
  3. 안전을 위해 가급적 침수지점에 설치할 것
  4. 눈이 있을 때는 제설하고 장치할 것
(정답률: 알수없음)
  • 눈이 있는 경우에는 신호뇌관이 눈에 덮여 안전한 운행을 방해할 수 있기 때문에 제설 작업을 먼저 수행해야 합니다. 이를 통해 안전한 운행을 보장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레일 용접부에 대한 다음 항목의 검사종목중 전수 검사를 하지 않아도 되는 것은 ?

  1. 외관검사
  2. 자분탐상검사
  3. 초음파탐상검사
  4. 경도시험
(정답률: 알수없음)
  • 레일 용접부의 경도는 일정하게 유지되어야 하기 때문에, 전수 검사를 하지 않아도 되는 것이 경도시험이다. 외관검사, 자분탐상검사, 초음파탐상검사는 모두 용접부의 결함을 발견하기 위한 검사이므로 전수 검사가 필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인력 궤도틀림점검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

  1. 수평의 경우 직선부는 좌측레일기준
  2. 면마춤의 경우 곡선부는 내측레일을 측정
  3. 줄마춤의 경우 곡선부는 내측레일을 측정
  4. 궤간의 경우 축소 틀림량은 (-)로 표시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면마춤의 경우 곡선부는 내측레일을 측정"입니다.

    줄마춤의 경우 곡선부는 내측레일을 측정하는 이유는, 궤도의 중심축이 내측레일에 위치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내측레일을 기준으로 측정하여 궤도의 중심축과의 거리를 파악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4급선에 패킹을 삽입할 때 전후 접속구배는 얼마의 길이에서 체감하여야 하는가 ?

  1. 패킹두께의 600배이상
  2. 패킹두께의 400배이상
  3. 패킹두께의 200배이상
  4. 체감길이를 두지 않아도 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패킹두께의 200배이상"이다. 이는 패킹을 삽입할 때 전후 접속구배가 패킹두께의 200배 이상이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유는 패킹은 구조물의 변형을 막기 위해 사용되는데, 전후 접속구배가 패킹두께의 200배 이상이어야만 충분한 지지력을 제공할 수 있기 때문이다. 만약 전후 접속구배가 패킹두께의 200배 미만이라면, 구조물의 안정성에 문제가 생길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다음 철도건널목 중 교통안전표지만 설치하는 건널목은 ?

  1. 1종건널목
  2. 2종건널목
  3. 3종건널목
  4. 4종건널목
(정답률: 알수없음)
  • 3종건널목은 차량과 보행자가 함께 이용하는 건널목으로, 교통안전을 위해 교통안전표지가 설치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교통안전표지만 설치하는 건널목은 3종건널목입니다. 1종건널목은 보행자 전용, 2종건널목은 차량 전용, 4종건널목은 차량과 보행자가 완전히 분리된 건널목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국철에서 선로작업개소에는 선로작업표를 열차진행 방향에 대향으로 일정 기준이상의 거리에 세워야 한다. 이 때 열차속도가 120km/h 인 선구에서의 거리는 ?

  1. 200m 이상
  2. 300m 이상
  3. 400m 이상
  4. 500m 이상
(정답률: 알수없음)
  • 열차속도가 빠를수록 선로작업개소와의 거리는 멀어져야 하므로, 120km/h 인 열차에서는 일정 기준 이상의 거리가 필요하다. 따라서 "200m 이상"은 너무 가깝고, "400m 이상"과 "500m 이상"은 너무 멀다. 따라서 정답은 "300m 이상"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탈선포인트는 인접 본선로와의 간격이 최소 몇 m 이상되는 지점에 설치하여야 하는가 ?

  1. 4.0 m
  2. 4.25 m
  3. 4.30 m
  4. 4.50 m
(정답률: 알수없음)
  • 탈선포인트는 기차가 곡선을 돌 때 발생하는 힘으로 인해 기차가 선로에서 떨어지지 않도록 설치되는 장치입니다. 이 때, 인접 본선로와의 간격이 너무 가까우면 탈선 방지 효과가 떨어지고, 너무 멀면 비용이 증가하게 됩니다.

    따라서, 탈선포인트를 설치할 때는 인접 본선로와의 간격이 최소한 4.25m 이상이어야 합니다. 이는 탈선포인트의 효과를 최대한 유지하면서도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최적의 간격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본선에서 선로 등급과 침목 종별에 따른 침목 배치 정수(10미터 당)가 잘못 짝지어진 경우는?

  1. 1급선-목침목-17
  2. 1급선-교량침목-25
  3. 2급선-교량침목-25
  4. 3급선-목침목-17
(정답률: 알수없음)
  • 본선에서는 선로 등급과 침목 종별에 따라 침목 배치 정수가 정해져 있으며, 이는 안전한 철도 운행을 위해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선로 등급과 침목 종별에 따른 침목 배치 정수가 잘못 짝지어진 경우에는 안전에 위협이 될 수 있습니다.

    보기에서 "1급선-목침목-17", "1급선-교량침목-25", "2급선-교량침목-25", "3급선-목침목-17" 중에서 정답은 "3급선-목침목-17" 입니다. 이는 3급선의 경우 목침목에 대해 17의 침목 배치 정수가 필요하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다른 보기들은 등급과 침목 종별에 따른 침목 배치 정수가 잘못 짝지어진 경우이므로, 위험한 상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