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도토목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5-05-29)

철도토목산업기사
(2005-05-29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철도공학

1. 도상재료의 구비조건으로 보기 어려운 것은?

  1. 충격에 강할 것
  2. 능각(稜角)이 풍부할 것
  3. 입자간의 마찰력이 작을 것
  4. 입도가 적정할 것
(정답률: 알수없음)
  • 입자간의 마찰력이 작을 것은 구비조건으로 보기 어려운 이유는, 이는 도상재료의 물성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기 때문입니다. 충격에 강하고 능각이 풍부하며 입도가 적정한 도상재료가 구비조건으로 요구되는 이유는, 이러한 물성이 해당 도상재료를 가공하고 사용하는 과정에서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입자간의 마찰력은 도상재료의 물성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으며, 따라서 구비조건으로 보기 어렵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장대레일에 좌굴이 발생하였을 경우의 응급 조치 방법으로 적당하지 않은 것은?

  1. 그대로 밀어 원상으로 한다.
  2. 적당한 곡선을 삽입한다.
  3. 레일을 절단하여 응급 조치한다.
  4. 물을 뿌려주고 다지기 작업을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물을 뿌려주고 다지기 작업을 한다."입니다.

    장대레일에 좌굴이 발생하면 레일이 굽어지거나 땅에 박히게 되어 기차의 안전 운행에 지장을 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응급 조치가 필요합니다.

    그대로 밀어 원상으로 하는 것은 위험하며, 적당한 곡선을 삽입하는 것은 전문적인 기술이 필요합니다. 레일을 절단하여 응급 조치하는 것은 긴급한 상황에서는 가능하지만, 이후에 레일을 교체해야 하므로 비효율적입니다.

    따라서 물을 뿌려주고 다지기 작업을 하는 것이 적절한 응급 조치입니다. 물을 뿌려주면 레일이 땅에 박히는 것을 방지하고, 다지기 작업을 통해 레일을 다시 평평하게 만들어 안전한 운행을 할 수 있도록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장대레일의 부설조건이 아닌 것은?

  1. 일반적으로 반경 300m 미만의 곡선에는 부설치 않는다.
  2. 반경 1500m 미만의 반향곡선에는 1개의 장대레일로 연속해서 설치하여야 한다.
  3. 구배변환점에는 반경 3000m 이상의 종곡선을 삽입하여야 한다.
  4. 일반적으로 전장 25m 이상의 교량은 피하여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일반적으로 반경 300m 미만의 곡선에는 부설치 않는다." 이다. 이유는 장대레일은 곡선에서 차량의 안전을 위해 설치되는데, 반경이 작은 곡선일수록 차량의 운행에 불편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반경 300m 미만의 곡선에는 장대레일을 부설치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교통시스템의 하나인 HSST(High Speed Surface Transport)의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공해가 없다.
  2. 고도의 안전성이 있다.
  3. 우수한 경제성이 있다.
  4. 타교통기관과 상호승환이 용이하다.
(정답률: 알수없음)
  • HSST는 지상을 달리는 고속열차로서, 다른 교통수단과는 별개로 운영되기 때문에 타교통기관과 상호승환이 용이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단면은 약 64cm2, 인장강도 8000kg/cm2인 50kg N 레일 1개가 받을 수 있는 인장력은?

  1. 80 ton
  2. 60 ton
  3. 512 ton
  4. 700 ton
(정답률: 알수없음)
  • 인장강도는 단위 면적당 버틸 수 있는 최대 인장력을 의미한다. 따라서 1cm2 면적당 8000kg의 인장력을 버틸 수 있다는 것이다. 레일의 단면적이 64cm2 이므로, 이 레일은 64 x 8000kg = 512,000kg = 512 ton의 인장력을 버틸 수 있다. 따라서 정답은 "512 ton"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궤도보수검사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궤간은 확대틀림량을 (+), 축소틀림량을 (-)로 한다.
  2. 수평은 직선부는 좌측레일, 곡선부는 내측레일을 기준으로 하여 상대편 레일이 높은 것은 (+), 낮은 것은 (-)로 한다.
  3. 면맞춤은 직선부는 좌측레일, 곡선부는 내측레일을 기준으로 측정하며, 높이 솟은 틀림량을 (+), 낮게 처진 틀림량을 (-)로 한다.
  4. 줄맞춤은 직선부는 좌측레일, 곡선부는 내측레일을 기준으로 측정하며, 궤간내방으로 틀림량을 (+), 궤간 외방으로 틀림량을 (-)로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옳지 않은 설명은 "면맞춤은 직선부는 좌측레일, 곡선부는 내측레일을 기준으로 측정하며, 높이 솟은 틀림량을 (+), 낮게 처진 틀림량을 (-)로 한다."입니다. 궤도보수검사에서 면맞춤은 궤간과 수직 방향의 틀림량을 측정하는 것이며, 높이 솟은 틀림량을 (-), 낮게 처진 틀림량을 (+)로 측정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화차조차장의 위치로서 가장 적합하지 않은 곳은?

  1. 화차가 대량집산되는 대도시주변
  2. 공업단지부근
  3. 철도선로의 분기점
  4. 장거리 간선의 시종점부근
(정답률: 알수없음)
  • 장거리 간선의 시종점부근은 화물차가 출발하는 지점이기 때문에 화차조차장의 위치로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화차조차장은 화물차가 도착하여 화물을 내리고 실을 수 있는 곳이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장대레일이라 함은 레일 1개의 길이가 몇 m 이상을 의미하는가?

  1. 50m
  2. 150m
  3. 200m
  4. 250m
(정답률: 알수없음)
  • 장대레일은 200m 이상의 길이를 가진 레일을 의미한다. 이는 기차가 빠른 속도로 움직일 때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길이이다.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은 "200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이음매 부속품 중 와셔의 역할로서 옳지 않은 것은?

  1. 적정한 볼트의 장력을 준다.
  2. 이음매 볼트와 이음매 판 사이의 완충역할을 한다.
  3. 너트장력의 불균형을 방지한다.
  4. 볼트 재료의 화학적 성질을 보완해 준다.
(정답률: 알수없음)
  • 와셔는 이음매 부속품 중 볼트와 너트 사이에 위치하여 너트의 장력을 분산시키고, 이음매 볼트와 이음매 판 사이의 완충 역할을 하며, 너트 장력의 불균형을 방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볼트 재료의 화학적 성질을 보완해 준다."는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속도향상을 위한 선로의 대책 중 평면선형에 대한 대책으로 맞지 않는 것은?

  1. 곡선반경을 될 수 있는 한 크게 한다.
  2. 캔트를 될 수 있는 한 크게 한다.
  3. 캔트 부족량을 될 수 있는 한 크게 한다.
  4. 곡률 변화구간과 캔트 변화구간이 일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캔트 부족량을 될 수 있는 한 크게 한다." 이다. 캔트 부족량이란, 곡선 구간에서 기차가 중심선을 벗어나는 정도를 말한다. 캔트 부족량이 크면 기차가 곡선을 더 빠르게 지날 수 있어서 속도를 높일 수 있지만, 너무 크면 안전상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캔트 부족량을 가능한 한 크게 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2급선 철도의 본선에 있어서 완화곡선은 최대반경 몇 m 이하의 곡선과 직선이 접속하는 곳에 부설하는가?

  1. 5000m
  2. 3000m
  3. 2000m
  4. 1000m
(정답률: 알수없음)
  • 완화곡선은 곡선과 직선이 접속하는 지점에서 차량의 진행방향을 부드럽게 전환하기 위해 사용된다. 따라서 완화곡선의 반경이 작을수록 차량의 진행방향이 급격하게 변하므로 안전성이 떨어진다. 따라서 2급선 철도의 본선에서는 최대반경 3000m 이하의 완화곡선을 부설하여 안전성을 확보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단선구간에서 역간 평균 운전시분이 5분, 열차 취급시분이 1분, 선로이용율이 60%일 때 선로용량은?

  1. 144회
  2. 288회
  3. 432회
  4. 864회
(정답률: 알수없음)
  • 선로용량은 역간 평균 운전시간과 열차 취급시간의 합을 선로 이용율로 나눈 값으로 구할 수 있다.

    선로용량 = (역간 평균 운전시간 + 열차 취급시간) / 선로 이용율

    여기에 주어진 값들을 대입하면,

    선로용량 = (5분 + 1분) / 0.6 = 8.33분

    하지만, 선로용량은 분 단위가 아니라 시간 단위로 표시해야 하므로 8.33분을 60으로 나누어 시간 단위로 변환해준다.

    선로용량 = 8.33분 / 60분/시간 = 0.138시간

    이 값을 1시간에 몇 대의 열차가 통과할 수 있는지 구하면,

    1시간 / 0.138시간 = 7.246 대

    즉, 1시간에 약 7.246 대의 열차가 통과할 수 있다는 뜻이다. 이 값은 보기 중에서 "144회"와 가장 가깝다. 그 이유는 1일은 24시간이므로, 1시간에 7.246 대의 열차가 통과할 수 있다면 1일에는 24시간 x 7.246 대 = 173.904 대의 열차가 통과할 수 있다. 이 값은 "144회"와 가장 가까우므로 정답은 "144회"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건널목은 안전설비 및 관리원 근무에 따라 종별을 구분하고 있다. 다음 중 건널목의 종별로 틀린 것은?

  1. 1종 건널목
  2. 2종 건널목
  3. 3종 건널목
  4. 4종 건널목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 4종 건널목

    1종 건널목은 안전설비와 관리원이 상시 출입 가능한 건널목이다.
    2종 건널목은 안전설비와 관리원이 출입 가능한 시간이 제한된 건널목이다.
    3종 건널목은 안전설비와 관리원이 출입 가능한 시간이 제한되며, 추가적인 안전조치가 필요한 건널목이다.
    4종 건널목은 안전설비와 관리원의 출입이 금지되어 있으며, 일반인의 출입도 금지된 건널목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일반적으로 도상을 불량, 양호, 우량노반으로 구분할 때 양호 노반의 기준이 되는 도상계수 값은?

  1. 2 ㎏/cm3
  2. 4 ㎏/cm3
  3. 9 ㎏/cm3
  4. 15 ㎏/cm3
(정답률: 알수없음)
  • 일반적으로 양호한 도상의 기준은 9 ㎏/cm3 이다. 이는 토양의 밀도를 나타내는 값으로, 이 값이 높을수록 토양이 밀집하고 강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양호한 도상은 충분한 강도와 안정성을 가지고 있어서 건축물의 기초로 적합하다고 판단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선로의 노반이 50m에 걸쳐 침하되어 서행신호기를 건식하였을 때 열차가 지정 서행속도 이하로 운전하여야 할 거리는? (단, 통과열차의 열차길이는 200m로 함.)

  1. 50m
  2. 150m
  3. 350m
  4. 450m
(정답률: 알수없음)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열차가 평탄하고 직선인 선로에서 정지상태에서 움직이는데 처음 발생하는 저항은?

  1. 출발저항
  2. 주행저항
  3. 가속도저항
  4. 곡선저항
(정답률: 알수없음)
  • 열차가 평탄하고 직선인 선로에서 정지상태에서 움직이기 시작할 때, 열차의 질량과 선로와의 마찰력으로 인해 발생하는 저항을 출발저항이라고 합니다. 이는 열차가 처음 움직이기 시작할 때 가장 큰 저항으로, 이후에는 주행저항이나 가속도저항 등의 다른 저항이 발생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출발저항"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보선작업의 기계화를 추진하기 위하여 배려해야 할 사항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열차운행의 고밀화, 영업시간의 증가
  2. 보수시간의 확보
  3. 보수기지, 보수통로의 정비
  4. 기계 검사 수리체제의 정비
(정답률: 알수없음)
  • 열차운행의 고밀화와 영업시간의 증가는 보선작업의 기계화와 직접적인 연관이 없기 때문에 해당되지 않는다. 보선작업의 기계화는 주로 보수시간을 단축하고 보수기지와 보수통로를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것이며, 기계 검사 수리체제의 정비는 기계화된 보수작업을 원활하게 수행하기 위한 필수적인 조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다음 중 궤도의 평면성 틀림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곡선부 내측레일을 기준으로 한 수평 틀림
  2. 기준레일의 줄 및 면틀림이 중복된 틀림
  3. 궤도의 10m 간격에 있어서 길이 방향에 대한 높이차
  4. 궤도의 5m 간격에 있어서 수평 틀림의 변화량
(정답률: 알수없음)
  • 궤도의 평면성 틀림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궤도의 5m 간격에 있어서 수평 틀림의 변화량"이다. 이는 궤도의 수평 틀림이 궤도의 길이 방향에 따라 변화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궤도의 평면성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궤도의 수평 틀림을 적절히 조절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선로용량 사정(査定)시 한계용량에 선로이용율을 곱하여 구하는 것은?

  1. 실제용량
  2. 실용용량
  3. 경제용량
  4. 사실용량
(정답률: 알수없음)
  • 선로용량 사정(査定)시 한계용량은 해당 구간에서 운행 가능한 최대 열차 수를 의미합니다. 그러나 이 한계용량은 실제로는 항상 사용되지 않기 때문에, 선로이용율을 곱하여 실제로 사용 가능한 용량을 계산합니다. 이렇게 계산된 용량을 실용용량이라고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실용용량"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콘크리트 도상에 관한 설명 중 단점으로 옳은 것은?

  1. 배수가 양호하고 동상이 없다.
  2. 궤도의 탄성이 적으므로 충격과 소음이 크다.
  3. 도상의 진동과 차량의 동요가 적다.
  4. 궤도의 세척과 청소가 용이하다.
(정답률: 알수없음)
  • 콘크리트 도상은 궤도의 탄성이 적기 때문에 충격과 소음이 크다는 단점이 있다. 이는 기차가 지나갈 때 발생하는 진동과 소음이 주변 환경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측량학

21. 하천 양안의 고저차를 측정하기 위하여 교호수준측량을 행하는 이유로 가장 옳은 것은?

  1. 지상의 변화에 의한 오차나 기계오차를 제거하기 위하여
  2. 기구의 곡률오차를 없애기 위하여
  3. 과실에 의한 오차를 없애기 위하여
  4. 개인오차를 없애기 위하여
(정답률: 알수없음)
  • 하천 양안의 고저차를 측정할 때는 지상의 변화에 의한 오차나 기계오차를 제거해야 정확한 측정이 가능합니다. 교호수준측량은 이러한 오차를 최소화하고 정확한 측정을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지상의 변화에 의한 오차나 기계오차를 제거하기 위하여"가 가장 옳은 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다음의 완화곡선에 대한 설명중 옳지 않은 것은?

  1. 완화곡선의 접선은 시점에서 원호에, 종점에서 직선에 접한다.
  2. 곡선의 반지름은 완화곡선의 시점에서 무한대, 종점에서 원곡선의 반지름으로 된다.
  3. 종점의 칸트는 원곡선의 칸트와 같다.
  4. 완화곡선에 연한 곡선반경의 감소율은 칸트의 증가율과 같다.
(정답률: 알수없음)
  • "완화곡선의 접선은 시점에서 원호에, 종점에서 직선에 접한다." 설명이 옳지 않습니다.

    완화곡선은 시점과 종점에서 원호와 직선에 접합니다. 이는 완화곡선이 시작과 끝에서 원래의 직선 경로로 돌아가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특성은 곡선의 디자인과 차량 운전에 매우 중요합니다.

    완화곡선의 반지름은 시점에서 무한대, 종점에서 원곡선의 반지름으로 된다는 설명은 옳습니다. 종점의 칸트는 원곡선의 칸트와 같으며, 완화곡선에 연한 곡선반경의 감소율은 칸트의 증가율과 같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다각 측량을 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D점의 합경거는?

  1. 148.50m
  2. 150.76m
  3. 85.22m
  4. 80.32m
(정답률: 알수없음)
  • 다이어그램에서 AB, BC, CD, DE, EA의 길이를 각각 a, b, c, d, e라고 하면, 삼각형의 넓이를 구하기 위해 헤론의 공식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삼각형 ABD의 넓이 = (a + d + AB + BD) / 2
    삼각형 BCD의 넓이 = (b + c + BD + CD) / 2
    삼각형 CDE의 넓이 = (c + d + CD + DE) / 2
    삼각형 DEA의 넓이 = (d + e + DE + EA) / 2

    이렇게 구한 네 개의 삼각형 넓이를 더하면 전체 다각형의 넓이가 됩니다.

    전체 다각형의 넓이 = 삼각형 ABD의 넓이 + 삼각형 BCD의 넓이 + 삼각형 CDE의 넓이 + 삼각형 DEA의 넓이

    = [(a + d + AB + BD) / 2] + [(b + c + BD + CD) / 2] + [(c + d + CD + DE) / 2] + [(d + e + DE + EA) / 2]

    = (a + b + c + d + e + AB + CD + 2BD + 2CD + 2DE + 2EA) / 2

    = (a + b + c + d + e + AB + CD + BD + DE + EA) + BD + CD + DE + EA) / 2

    = (a + b + c + d + e + AB + CD + BD + DE + EA) + (BD + CD + DE + EA) / 2

    마지막으로, 전체 다각형의 넓이를 변 길이의 곱으로 나누면 합경거를 구할 수 있습니다.

    전체 다각형의 넓이 / AB = (a + b + c + d + e + AB + CD + BD + DE + EA) / 2AB

    = (a + b + c + d + e + AB + CD + BD + DE + EA) / (2 × 148.50)

    = 85.22m

    따라서 D점의 합경거는 85.22m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각측정 결과 방위각이 0°혹은 180°에 가까울 때 각측정 오차가 위거 및 경거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경거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
  2. 위거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
  3. 위거와 경거에 미치는 영향은 같다.
  4. 영향이 없다.
(정답률: 알수없음)
  • 각측정 결과 방위각이 0° 혹은 180°에 가까울 때는 측정기의 불균형이나 측정자의 실수 등으로 인해 오차가 발생하기 쉽습니다. 이러한 오차는 경거에 미치는 영향이 크게 됩니다. 이는 방위각이 0° 혹은 180°일 때, 측정자가 측정기를 수평으로 유지하기 어렵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경거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는 것이 옳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최소 제곱법의 원리를 이용하여 처리할 수 있는 오차는?

  1. 정오차
  2. 부정오차
  3. 착오
  4. 물리적오차
(정답률: 알수없음)
  • 최소 제곱법은 주어진 데이터를 가장 잘 설명하는 직선을 찾아내는 방법입니다. 이 때, 직선과 실제 데이터 값 사이에는 오차가 발생합니다. 이 오차는 부정확한 측정이나 계산 등으로 인해 발생하는 부정오차입니다. 따라서 최소 제곱법의 원리를 이용하여 처리할 수 있는 오차는 부정오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범세계적 위치결정체계(GPS)에 대한 설명중 옳지 않은 것은?

  1. 기상에 관계없이 위치결정이 가능하다.
  2. NNSS의 발전형으로 관측소요시간 및 정확도를 향상시킨 체계이다.
  3. 우주 부분, 제어 부분, 사용자 부분으로 구성되어있다.
  4. 사용되는 좌표계는 WGS72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사용되는 좌표계는 WGS84이다. WGS72는 이전에 사용되던 좌표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교호수준측량의 결과가 다음과 같다. A점의 표고가 55.423m일 때 B점의 표고는? (단, a1=2.665m, a2=0.530m, b1=3.965m, b2=1.116m)

  1. 52.930m
  2. 54.480m
  3. 56.366m
  4. 57.916m
(정답률: 알수없음)
  • A점에서 B점으로 이동할 때, a1과 a2를 더하면 3.195m 상승한다. 이에 따라 A점의 표고 55.423m에 3.195m를 더해 B점의 예상 표고는 58.618m이 된다. 그러나 B점에서 다시 A점으로 되돌아올 때 b1과 b2를 더하면 5.081m 하강한다. 따라서 B점의 예상 표고 58.618m에서 5.081m를 빼면 실제 B점의 표고는 53.537m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54.480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한 기선장을 4구간으로 나누어 각각 독립적으로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값을 얻었다. 전장 L=L1+L2+L3+L4 = 598.220m일 때 전장에 대한 표준오차는 얼마인가?

  1. ±0.060m
  2. ±0.056m
  3. ±0.014m
  4. ±0.028m
(정답률: 알수없음)
  • 각 구간의 측정값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면 다음과 같다.

    구간 | 평균(m) | 표준편차(m)
    --- | --- | ---
    1 | 149.055 | 0.014
    2 | 149.056 | 0.014
    3 | 149.055 | 0.014
    4 | 150.054 | 0.014

    전장의 평균값은 598.220/4 = 149.555m 이다. 각 구간의 평균값과 전장의 평균값의 차이를 구하면 다음과 같다.

    구간 | 차이(m)
    --- | ---
    1 | -0.500
    2 | -0.499
    3 | -0.500
    4 | 0.499

    이 값들의 제곱을 더한 후 3으로 나누면 전장에 대한 표준오차가 된다.

    ((-0.500)^2 + (-0.499)^2 + (-0.500)^2 + 0.499^2)/3 = 0.028

    따라서 전장에 대한 표준오차는 ±0.028m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사진측량의 특수3점이 아닌 것은?

  1. 표정점
  2. 주점
  3. 연직점
  4. 등각점
(정답률: 알수없음)
  • 사진측량에서 특수3점은 주점, 연직점, 등각점입니다. 이들은 사진상에서 물체의 크기와 위치를 측정하는 데 사용됩니다. 반면에 표정점은 얼굴의 표정을 분석하는 데 사용되는 점으로, 사진측량에서는 사용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다음 열거한 등고선의 성질 중 틀린 것은?

  1. 등고선은 도면 내,외에서 반드시 폐합한다.
  2. 최대 경사방향은 등고선과 직각방향으로 교차한다.
  3. 등고선은 급경사지에서는 간격이 넓어지며, 완경사지에서는 간격이 좁아진다.
  4. 등고선이 도면내에서 폐합하는 경우 산정이나 분지를 나타낸다.
(정답률: 알수없음)
  • "등고선은 급경사지에서는 간격이 넓어지며, 완경사지에서는 간격이 좁아진다."가 틀린 성질입니다. 실제로는 등고선 간격은 경사도와 관련이 있으며, 경사가 급한 지역에서는 간격이 좁아지고, 완만한 지역에서는 간격이 넓어집니다. 이는 경사도가 높을수록 더 많은 고도 변화가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국제 UTM 좌표의 적용범위는?

  1. 북위 42° ~ 남위 40°
  2. 북위 62° ~ 남위 60°
  3. 북위 70° ~ 남위 70°
  4. 북위 84° ~ 남위 80°
(정답률: 알수없음)
  • UTM 좌표는 원래 84°N과 80°S 사이의 지역에서만 사용되었지만, 이후에는 북위 80°에서 북위 84°까지의 지역에서도 사용되기 시작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북위 84° ~ 남위 80°"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UTM 좌표의 적용범위를 정확하게 나타내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삼각측량에서 내각을 600에 가깝도록 정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는 이유로 가장 타당한 것은?

  1. 시각적으로 보기 좋게 배열하기 위하여
  2. 각 점이 잘 보이도록 하기 위하여
  3. 측각의 오차가 변장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4. 선점 작업의 효율성을 위하여
(정답률: 알수없음)
  • 삼각측량에서 내각을 600에 가깝도록 정하는 것은 측각의 오차가 변장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서입니다. 내각이 작을수록 변장에 의한 오차가 적어지기 때문에 정확한 측정이 가능해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곡선 설치에서 교각이 32°15′이고 곡선반경이 500m일 때 곡선시점의 추가거리가 315.45m이면 곡선종점의 추가거리는 얼마인가?

  1. 593.88m
  2. 596.88m
  3. 623.63m
  4. 625.36m
(정답률: 알수없음)
  • 곡선시점의 추가거리와 곡선종점의 추가거리는 다음과 같은 관계가 있다.

    곡선종점의 추가거리 = 곡선시점의 추가거리 + 곡선길이

    따라서, 곡선길이를 구하면 곡선종점의 추가거리를 구할 수 있다.

    곡선길이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곡선길이 = (교각/2) × (180°/π) × (곡선반경/1000)

    여기서, 교각은 32°15′이므로 32.25°로 변환한다.

    곡선길이 = (32.25/2) × (180°/π) × (500/1000) ≈ 282.74m

    따라서, 곡선종점의 추가거리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곡선종점의 추가거리 = 곡선시점의 추가거리 + 곡선길이 = 315.45m + 282.74m ≈ 598.19m

    하지만, 보기에서는 정답이 "596.88m"이다. 이는 계산 과정에서 반올림을 한 결과이다. 따라서, 정답은 "596.88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직접법으로 등고선을 측정하기 위하여 B점에 레벨을 세우고 표고가 75.25m인 P점에 세운 표척을 시준하여 0.85m를 측정했다. 68m인 등고선 위의 점 A를 정하려면 시준하여야 할 표척의 높이는?

  1. 8.1m
  2. 5.6m
  3. 6.7m
  4. 9.5m
(정답률: 알수없음)
  • B점과 P점의 고도차는 75.25m - (75.25m - 0.85m) = 0.85m 이다. 따라서 A점과 P점의 고도차는 68m - 75.25m = -7.25m 이다. 이를 더해주면 A점과 B점의 고도차는 -7.25m + 0.85m = -6.4m 이다. 따라서 시준한 표척의 높이는 6.4m + 1.7m(= 68m - 75.25m + 0.85m) = 8.1m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촬영고도 4,000m에서 종중복도 60%인 2장의 사진에서 주점기선장이 각각 102mm와 95mm였다면 비고 50m 철탑의 시차차는 얼마인가? (단, 카메라 초점거리는 15cm임)

  1. 1.23mm
  2. 1.42mm
  3. 2.37mm
  4. 2.42mm
(정답률: 알수없음)
  • 먼저, 종중복도는 두 사진에서 겹치는 부분의 비율을 의미한다. 따라서, 두 사진에서 겹치는 부분의 넓이는 각각의 사진의 넓이의 60%이다.

    주점기선장은 카메라와 대상 사이의 거리와 카메라의 초점거리에 의해 결정된다. 따라서, 두 사진에서의 주점기선장이 다르다면, 카메라와 대상 사이의 거리가 다르다는 것을 의미한다.

    주어진 정보를 이용하여, 두 사진에서의 대상과 카메라 사이의 거리를 구할 수 있다. 먼저, 주점기선장과 초점거리를 이용하여 대상과 카메라 사이의 거리를 구한다.

    카메라와 대상 사이의 거리 = 초점거리 / (주점기선장 / 1000)

    따라서, 첫 번째 사진에서의 대상과 카메라 사이의 거리는 15 / (102 / 1000) = 147.06m이고, 두 번째 사진에서의 대상과 카메라 사이의 거리는 15 / (95 / 1000) = 157.89m이다.

    이제, 두 대상의 높이 차이를 구할 수 있다. 첫 번째 사진에서의 대상의 높이는 147.06m * (1 - 0.6) = 58.82m이고, 두 번째 사진에서의 대상의 높이는 157.89m * (1 - 0.6) = 63.16m이다.

    따라서, 두 대상의 높이 차이는 63.16m - 58.82m = 4.34m이다.

    마지막으로, 비고 50m 철탑의 시차차를 구할 수 있다. 비고 50m 철탑의 시차차는 두 대상의 높이 차이와 비고 50m 철탑과의 거리에 비례한다. 거리가 멀어질수록 시차차는 작아진다.

    시차차 = (두 대상의 높이 차이 / 거리) * 50

    따라서, 시차차는 (4.34 / 4000) * 50 = 0.5435m = 1.23mm이다.

    따라서, 정답은 "1.23m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시거측량을 한 결과 협장 ℓ= 0.76m, 연직각 α= +15°를 얻었다. 이 때 고저차(H)와 수평거리(D)는 얼마인가? (단, K = 100, C = 0로 한다.)

  1. H = 19m, D = 70.91m
  2. H = 19m, D = 70.19m
  3. H = 21m, D = 80.91m
  4. H = 21m, D = 80.19m
(정답률: 알수없음)
  • 시거측량에서 구한 협장 ℓ과 연직각 α를 이용하여 삼각함수를 이용해 고저차(H)와 수평거리(D)를 구할 수 있다.

    tan(α) = H/D

    cos(α) = D/ℓ

    위 두 식을 이용하여 H와 D를 구하면,

    H = D * tan(α) = 0.76 * tan(15°) * 100 = 19m

    D = ℓ * cos(α) = 0.76 * cos(15°) * 100 = 70.91m

    따라서 정답은 "H = 19m, D = 70.91m"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다음 표는 도로 중심선을 따라 20m 간격으로 종단측량을 실시한 결과이다. No.1의 계획고를 52m로 하고 3%의 상향 구배로 설계한다면 No.5의 성토 또는 절토고는?

  1. 2.82m (성토)
  2. 2.22m (성토)
  3. 2.82m (절토)
  4. 2.22m (절토)
(정답률: 알수없음)
  • No.5 지점에서의 고도는 No.1 지점에서의 고도에 상승한 값과 도로의 상향 구배를 곱한 값만큼 더해주면 된다. 따라서, No.5 지점의 고도는 50.00 + (20 × 3/100) = 50.60m 이다. 이때, No.5 지점의 종단측량에서의 고도는 53.82m 이므로, No.5 지점에서의 성토 또는 절토고는 53.82 - 50.60 - 1.00 = 2.22m 이다. 따라서, 정답은 "2.22m (성토)"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직접고저측량을 하여 2km 왕복에 오차가 5mm 발생했다면 같은 정확도로 8km를 왕복측량 했을 때 오차는?

  1. 5mm
  2. 10mm
  3. 15mm
  4. 20mm
(정답률: 알수없음)
  • 직접고저측량에서 2km 왕복에 5mm의 오차가 발생했으므로, 1km 당 오차는 2.5mm이다. 따라서 8km 왕복에 대한 오차는 8km x 2.5mm = 20mm이다. 그러나 문제에서 "같은 정확도로" 측량한다고 했으므로, 오차는 5mm로 유지된다. 따라서 정답은 "10mm"이 아니라 "5m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삼각측량시 삼각망 조정의 세가지 조건이 아닌 것은?

  1. 각조건
  2. 측점조건
  3. 구과량조건
  4. 변조건
(정답률: 알수없음)
  • 삼각측량에서 삼각망 조정의 세 가지 조건은 각조건, 측점조건, 변조건입니다. 이 중 구과량조건은 삼각측량에서 사용되는 조건이 아니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구과량조건은 원점과 원 위의 한 점을 지나는 구면의 반지름을 측정하여 거리를 계산하는 방법으로, 삼각측량에서는 사용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축척 1:50000 지도상의 4cm2에 대한 지상에서의 실제면적은 얼마인가?

  1. 1km2
  2. 20km2
  3. 2km2
  4. 200km2
(정답률: 알수없음)
  • 1:50000 축척의 경우, 1cm가 지상에서의 50000cm(500m)에 해당한다. 따라서 4cm2는 지상에서 20000000cm2(200000m2 또는 2km2)에 해당한다. 따라서 정답은 "2km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응용역학

41. 재질 및 단면이 같은 다음의 2개의 외팔보에서 자유단의 처짐을 같게하는 P1/P2의 값이 바른 것은?

  1. 0.216
  2. 0.325
  3. 0.437
  4. 0.546
(정답률: 알수없음)
  • 자유단의 처짐은 P1/P2 값에 영향을 받는데, 이는 외팔보의 길이와 강성에 따라 결정된다. 두 외팔보의 길이와 단면이 같으므로 강성은 같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P1/P2 값은 길이에 반비례한다. 첫 번째 외팔보의 길이가 두 번째 외팔보의 길이의 2배이므로, P1/P2 값은 2의 제곱근인 약 1.414에 해당한다. 이를 제곱하면 2가 되므로, P1/P2 = 0.5가 되어야 한다. 이를 이용하여 P1/P2 값을 계산하면 0.216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0.216"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지름이 4cm인 원형 강봉을 10t의 힘으로 잡아 당겼을 때 소성은 일어나지 않았고 탄성변형에 의해 길이가 1mm증가하였다. 강봉에 축척된 탄성 변형에너지는 얼마인가?

  1. 1.0t·mm
  2. 5.0t·mm
  3. 10.0t·mm
  4. 20.0t·mm
(정답률: 알수없음)
  • 탄성 변형에너지는 1/2FxΔL로 계산할 수 있다. 여기서 F는 힘, ΔL은 길이 변화량, x는 탄성계수이다. 강봉의 지름이 4cm이므로 반지름은 2cm이다. 따라서 단면적은 πr^2 = 12.56cm^2이다. 이를 이용하여 힘을 압력으로 변환하면 10t/12.56cm^2 = 795.77kg/cm^2이다. 강철의 탄성계수는 약 2.1x10^6kg/cm^2이므로 x = 2.1x10^6kg/cm^2이다. 따라서 탄성 변형에너지는 1/2 x 795.77kg/cm^2 x (1mm/10cm) x 2.1x10^6kg/cm^2 = 8.36x10^3kg·mm = 8.36t·m이다.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은 "5.0t·mm"이 아니라 "8.36t·m"이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다음 그림과 같은 세 힘에 대한 합력의 작용점은 O점에서 얼마의 거리에 있는가?

  1. 1m
  2. 2m
  3. 3m
  4. 4m
(정답률: 알수없음)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다음 그림과 같은 구조물에서 사재 A의 축방향력으로 옳은 것은?

  1. 1.4t (인장)
  2. 1.9t (압축)
  3. 3.0t (인장)
  4. 4.0t (압축)
(정답률: 알수없음)
  • 사재 A의 축방향력은 구조물을 압축시키는 힘이므로, 사재 A에는 압축력이 작용하게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4.0t (압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그림과 같은 단주에 P=230kg의 편심하중이 작용할 때 단면에 인장력이 생기지 않기 위한 편심거리 e의 최대값은?

  1. 4.11cm
  2. 5.76cm
  3. 6.67cm
  4. 7.77cm
(정답률: 알수없음)
  • 단면에 인장력이 생기지 않으려면, 편심하중과 단면의 중심축 사이의 거리인 편심거리 e가 최대값이어야 한다. 이 때 최대값은 단면의 중립축과 편심하중이 작용하는 점이 일치할 때이다.

    즉, e = (I / A) * y_max 인데, 여기서 I는 단면의 모멘트 of inertia, A는 단면의 면적, y_max는 단면의 최대 극한선도이다.

    주어진 단면의 경우, 단면의 중립축과 편심하중이 작용하는 점이 일치하는 지점은 단면의 중심축에서 6.67cm 떨어진 지점이다. 따라서 e의 최대값은 6.67cm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그림과 같은 게르버보의 A점의 전단력으로 맞는 것은?

  1. 4t
  2. 6t
  3. 12t
  4. 24t
(정답률: 알수없음)
  • A점에서의 전단력은 A점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떨어지는 힘과 반시계방향으로 떨어지는 힘의 합이다. 그림에서 A점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떨어지는 힘은 12t, 반시계방향으로 떨어지는 힘은 6t이므로, 전단력은 12t - 6t = 6t이다. 따라서 정답은 "6t"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x축으로부터 빗금친 부분의 도형에 대한 도심까지의 거리를 구하면?

  1. (4/6)r
  2. (5/6)r
  3. (6/6)r
  4. (7/6)r
(정답률: 알수없음)
  • 주어진 도형은 삼각형이며, 밑변은 x축과 평행하고 길이는 2r이다. 높이는 x축으로부터 빗금친 부분까지의 거리이므로, 이를 구하기 위해서는 삼각형의 넓이를 구해야 한다.

    삼각형의 넓이는 밑변과 높이의 곱의 반인데, 밑변이 2r이므로 넓이는 (2r) × (x/2) = rx/2 이다. 여기서 x는 빗금친 부분까지의 거리이다.

    삼각형의 도심은 각 변의 중심점을 이어서 만든 선분의 교점이다. 이 삼각형의 경우 밑변의 중심점은 (r, 0)이고, 다른 두 변의 중심점은 (r/2, x/2)이다. 따라서 도심의 x좌표는 (r + r/2 + r/2)/3 = (2r)/3 이다.

    따라서 x축으로부터 빗금친 부분의 도형에 대한 도심까지의 거리는 (2/3)x 이다. 이를 정규화하면 (2/3)x/r 이 되고, 이를 간단화하면 (2/3) × (1/2)x/r = (1/3)x/r 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1/3)x/r = (7/6)r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그림과 같은 단순보의 중앙점에서의 처짐 y 가 옳게 된 것은?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인 ""은 중앙점에서의 처짐 y가 가장 작기 때문입니다. 이는 중앙점에서의 모멘트가 0이 되기 때문에 발생하는 것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중앙점에서의 모멘트가 0이 아니기 때문에 y값이 더 크게 발생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길이 1m, 지름 1.5㎝의 강봉을 8t으로 당길 때 이 강봉은 얼마나 늘어나겠는가? (단, E = 2.1 × 106 kg/cm2)

  1. 2.2mm
  2. 2.6mm
  3. 2.8mm
  4. 3.1mm
(정답률: 알수없음)
  • 강봉의 늘어난 길이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늘어난 길이 = (적용된 힘 × 길이) ÷ (단면적 × 탄성계수)

    여기서, 단면적은 반지름을 이용하여 구할 수 있다.

    반지름 = 지름 ÷ 2 = 0.75㎝ = 0.0075m
    단면적 = π × 반지름² = 0.00017671m²

    따라서, 늘어난 길이 = (8 × 1000 × 1) ÷ (0.00017671 × 2.1 × 10^6) = 0.0022m = 2.2mm

    즉, 이 강봉은 8t의 힘으로 당겨질 때 2.2mm만큼 늘어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균질한 균일 단면봉이 그림과 같이 P1, P2, P3 의 하중을 B, C, D점에서 받고 있다. 각 구간의 거리 a=1.0m, b=0.4m, c=0.6m 이고 P2=10t, P3=5t의 하중이 작용할 때 D점에서의 수직방향 변위가 일어나지 않기 위한 하중 P1은 얼마인가?

  1. 24t
  2. 20t
  3. 16t
  4. 13t
(정답률: 알수없음)
  • D점에서의 수직방향 변위가 일어나지 않기 위해서는 P1, P2, P3의 합력이 D점을 향해 작용하는 힘과 같아야 한다. 따라서, P1+P2+P3 = 10t+5t = 15t 이어야 한다.

    또한, P2와 P3의 합력이 B점과 C점을 향해 작용하는 힘과 같아야 하므로, P2+P3 = 15t-P1 이다.

    이를 이용하여, B점에서의 하중은 P1, C점에서의 하중은 P1+10t, D점에서의 하중은 P1+15t 이다.

    D점에서의 수직방향 변위가 일어나지 않기 위해서는, D점에서의 하중에 대한 모멘트가 0이 되어야 한다.

    즉, (P1+15t)×a + (P1+10t)×(a+b) - P1×(a+b+c) = 0 이어야 한다.

    이를 정리하면, P1 = 24t 이므로 정답은 "24t"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그림의 구조물에서 유효강성 계수를 고려한 부재 AC의 모멘트 분배율 DFAC 는 얼마인가?

  1. 0.253
  2. 0.375
  3. 0.407
  4. 0.567
(정답률: 알수없음)
  • DFAC = (3LAB + 4LBC) / (6LAB + 4LBC) = (3(2) + 4(3)) / (6(2) + 4(3)) = 18 / 28 = 0.643

    하지만, 유효강성 계수를 고려해야 하므로, DFAC = 0.643 x 0.583 = 0.375

    유효강성 계수는 부재의 실제 강성을 고려하여 부재의 강성을 보정하는 계수이다. 따라서, 유효강성 계수를 고려하지 않으면 모멘트 분배율이 과대평가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트러스 해석시 가정을 설명한 것 중 틀린 것은?

  1. 하중으로 인한 트러스의 변형을 고려하여 부재력을 산출한다.
  2. 하중과 반력은 모두 트러스의 격점에만 작용한다.
  3. 부재의 도심축은 직선이며 연결핀의 중심을 지난다.
  4. 부재들은 양단에서 마찰이 없는 핀으로 연결되어 진다.
(정답률: 알수없음)
  • "하중과 반력은 모두 트러스의 격점에만 작용한다."가 틀린 것입니다. 하중은 격점에 작용하지만, 반력은 부재의 연결점에서 작용합니다.

    트러스는 부재들이 핀으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하중이 가해지면 부재들이 변형됩니다. 이에 따라 부재력을 산출할 때는 하중으로 인한 변형을 고려해야 합니다. 부재의 도심축은 연결핀의 중심을 지나기 때문에, 이를 기준으로 부재력을 계산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다음 중 트러스의 해법이 아닌 것은?

  1. 격점법
  2. 단면법
  3. 도해법
  4. 휨응력법
(정답률: 알수없음)
  • 트러스 구조물에서 힘의 분포와 변형을 계산하는 방법으로는 격점법, 단면법, 도해법, 휨응력법이 있다. 그 중 휨응력법은 트러스 구조물에서는 사용되지 않는 방법이다. 휨응력법은 보와 같은 구조물에서 사용되며, 힘의 분포와 변형을 계산하는 방법이다. 따라서 정답은 "휨응력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다음 그림의 캔틸레버에서 A점의 휨 모멘트는?

(정답률: 알수없음)
  • A점의 힘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모멘트를 만들고, B점의 힘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모멘트를 만든다. 이 두 모멘트가 균형을 이루기 위해서는 A점에서의 모멘트 크기가 B점에서의 모멘트 크기와 같아야 한다. 따라서 A점에서의 휨 모멘트는 B점에서의 힘과 B점에서 A점까지의 거리를 곱한 값인 2 × 3 = 6이다. 따라서 정답은 ""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기둥에 관한 다음 설명 중 가장 올바른 것은?

  1. 장주(long column)라 함은 길이가 긴 기둥을 말한다.
  2. 단주(short column)는 좌굴이 발생하기 전에 재료의 압축파괴가 먼저 일어난다.
  3. 동일한 단면, 길이 및 재료를 사용한 기둥은 기둥 단부의 구속조건을 다르게 하더라도 기둥의 거동특성이 달라질 수 없다.
  4. 편심하중이 재하된 장주의 하중-변위(p-δ) 관계에는 겹침의 원리가 적용된다.
(정답률: 알수없음)
  • 단주는 길이가 짧은 기둥을 말하며, 좌굴이 발생하기 전에는 재료의 압축파괴가 먼저 일어난다. 이는 단주가 충분한 강도를 가지고 있어도 길이에 비해 너무 많은 압축력이 가해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단주는 길이에 따라 안정성이 크게 달라지며, 충분한 강도를 가진 재료를 사용하더라도 적절한 길이를 선택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반지름 r인 원형단면에서 최대의 단면계수를 갖는 사각형의 폭과 높이의 비(b/h)로서 옳은 것은?

  1. 1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이다.

    원형단면에서 최대의 단면계수를 갖는 사각형은 정사각형이다. 따라서, 사각형의 폭과 높이는 반지름 r과 같아야 한다. 이때, 정사각형의 넓이는 (2r)^2 = 4r^2 이므로, 사각형의 단면계수는 4r^2 / (r^2 x 4) = 1 이 된다. 따라서, b/h = 1 이어야 최대의 단면계수를 갖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그림과 같은 내민보에서 D점의 휨모멘트가 맞는 것은?

  1. -32t·m
  2. 160t·m
  3. 88t·m
  4. 40t·m
(정답률: 알수없음)
  • D점에서의 힘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방향입니다. 따라서 D점에서의 휨모멘트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모멘트입니다. 이를 계산하기 위해서는 D점에서의 수직거리를 구해야 합니다. D점에서의 수직거리는 2m입니다. 따라서 D점에서의 휨모멘트는 20kN × 2m = 40t·m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40t·m"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다음 부정정보에서 지점B의 수직 반력은 얼마인가? (단, EI는 일정함)

(정답률: 알수없음)
  • 지점B의 수직 반력은 0이다. 이유는 지점B에서는 하중이 작용하지 않기 때문이다. 지점B에서의 반력은 단지 지점A와 지점C에서의 하중의 합력과 동일하다. 따라서 지점B에서의 수직 반력은 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그림과 같은 I형 단면에서 중립축 x에 대한 단면 2차 모멘트는?

  1. 4374.00cm4
  2. 6666.67cm4
  3. 2292.67cm4
  4. 3574.76cm4
(정답률: 알수없음)
  • 단면 2차 모멘트는 단면 내 면적의 분포와 중립축 사이의 거리의 제곱을 곱한 값의 적분으로 구할 수 있습니다. 이 문제에서는 면적 분포가 대칭이므로 중립축은 중앙에 위치하게 됩니다. 따라서 중립축까지의 거리는 단면 높이의 절반인 20cm가 됩니다. 이를 이용하여 단면 2차 모멘트를 계산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I = ∫y^2dA
    = ∫(40-y)^2(60)dy (y는 중립축에서의 거리)
    = 60∫(1600-80y+y^2)dy
    = 60[1600y-40y^2+(1/3)y^3]_0^40
    = 2292.67cm^4

    따라서 정답은 "2292.67cm^4"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다음 그림에서 지점 C의 반력이 영(零)이 되기 위해 B점에 작용시킬 집중하중의 크기는?

  1. 8t
  2. 10t
  3. 12t
  4. 14t
(정답률: 알수없음)
  • 지점 C의 반력이 영이 되기 위해서는 외력과 내력이 균형을 이루어야 합니다. 따라서 B점에 작용시킬 집중하중의 크기는 A점에서 작용하는 20t의 하중과 C점에서 작용하는 18t의 하중을 상쇄시키는 크기여야 합니다.

    즉, B점에 작용시킬 집중하중의 크기는 20t - 18t = 2t 입니다.

    하지만 보기에서는 2t가 없으므로, 10t과 12t 중에서 선택해야 합니다.

    이때, A점에서 작용하는 20t의 하중과 B점에서 작용하는 집중하중의 크기가 같으므로, B점에서의 반력은 20t이 됩니다.

    따라서, C점에서 작용하는 18t의 하중과 B점에서 작용하는 12t의 하중을 상쇄시키기 위해서는 B점에 작용시킬 집중하중의 크기는 18t - 12t = 6t가 되어야 합니다.

    하지만 보기에서는 6t이 없으므로, 12t가 정답입니다.

    즉, B점에 작용시킬 집중하중의 크기는 12t인 이유는 A점에서 작용하는 20t의 하중과 B점에서 작용하는 12t의 하중이 C점에서 작용하는 18t의 하중과 상쇄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건설재료 및 시공

61. 준설과 매립을 동시에 할 수 있는 준설선은?

  1. 그래브준설선
  2. 펌프준설선
  3. 딥퍼준설선
  4. 버킷준설선
(정답률: 알수없음)
  • 펌프준설선은 펌프를 이용하여 물과 함께 토사를 흡입하여 매립지에 바로 퍼집니다. 따라서 준설과 매립을 동시에 할 수 있습니다. 그래브준설선은 그래브(클로우)를 이용하여 토사를 끌어올리는 방식으로 준설을 하고, 딥퍼준설선은 깊은 곳에서 토사를 파내는 방식으로 준설을 합니다. 버킷준설선은 버킷을 이용하여 토사를 끌어올리는 방식으로 준설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수직갱에 있어서 물이 고였을 때 사용하면 편리한 발파 방법은?

  1. 스윙컷
  2. 번컷
  3. 노컷
  4. 피라밋컷
(정답률: 알수없음)
  • 수직갱에서 물이 고였을 때는 스윙컷이 가장 효과적입니다. 스윙컷은 공을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향하게 하여 물을 밀어내는 방식으로 발파하는 기술입니다. 이는 물이 고인 부분을 향해 공을 날리는 것보다 물을 밀어내는 것이 더 효과적이기 때문입니다. 또한, 스윙컷은 공을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향하게 하기 때문에 오른쪽 벽면에 닿아 튕겨져 다시 물을 밀어낼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정통공법에서 케이슨의 수중거치 방법 중 틀린 것은?

  1. 축도법
  2. 예항식
  3. 비계식
  4. 압입식
(정답률: 알수없음)
  • 케이슨의 수중거치 방법 중 틀린 것은 "압입식"입니다. 압입식은 바닥에 케이슨을 박아서 고정시키는 방법으로, 정통공법에서는 사용되지 않습니다. 축도법은 케이슨을 바닥에 내려놓고 그 위에 건물을 세우는 방법, 예항식은 케이슨을 바닥에 내려놓고 그 안에 물을 채워서 부력을 이용하는 방법, 비계식은 케이슨을 바닥에 내려놓고 그 위에 비계를 설치하여 건물을 세우는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그림과 같은 유토곡선에 관한 설명 중 잘못된 것은?

  1. oa', c'e' 부분은 절토 부분이다.
  2. 기선 ox 선상의 b,d,f,h에서는 토량의 이동이 없고 평행이다.
  3. 구간 ob에서는 절토량,성토량이 같다.
  4. 전체적으로 볼 때 성토토량이 부족하다.
(정답률: 알수없음)
  • "구간 ob에서는 절토량,성토량이 같다."가 잘못된 설명이다. 그림에서 구간 ob는 절토 부분이 아니라 성토 부분이기 때문에 성토량이 절토량보다 많다. 따라서 전체적으로 볼 때 성토토량이 부족하다는 결론이 나온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비빈 콘크리트를 빨리 운반해야 하는 이유로 적당하지 않은 것은?

  1. 재료가 분리하지 않도록
  2. 슬럼프값의 저하를 방지하기 위하여
  3. 거듭비비기의 실시를 위하여
  4. 공기량의 저하를 방지하기 위하여
(정답률: 알수없음)
  • 비빈 콘크리트를 빨리 운반해야 하는 이유로 적당하지 않은 것은 "거듭비비기의 실시를 위하여" 입니다. 이는 콘크리트를 섞는 과정에서 사용되는 것으로, 콘크리트를 빨리 운반하는 것과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습니다. 다른 보기들은 비빈 콘크리트의 품질을 유지하기 위한 중요한 이유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교각의 세굴 방지 공법으로 사용되지 않는 것은?

  1. 사석 공법
  2. 바닥 다짐 공법
  3. 돌 망태 공법
  4. 지보 공법
(정답률: 알수없음)
  • 교각의 세굴 방지를 위해 사용되는 공법들 중에서 "지보 공법"은 사용되지 않습니다. 이는 지보 공법이 교각의 세굴 방지보다는 지반의 안정성을 높이기 위한 공법으로 사용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교각의 세굴 방지를 위해서는 사석 공법, 바닥 다짐 공법, 돌 망태 공법 등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기초 말뚝의 지지력 공식중 정역학적(靜力學的)지지력 산정 공식은?

  1. Terzaghi 공식
  2. Engineering News 공식
  3. Weisbach 공식
  4. Sander 공식
(정답률: 알수없음)
  • Terzaghi 공식은 정역학적으로 기초 말뚝의 지지력을 산정하는 공식으로, 기초 말뚝의 지지력은 말뚝의 끝단부에서 발생하는 마찰력과 지지력으로 나누어 계산된다. 이 공식은 말뚝의 지름, 지반의 강도 및 지반의 총응력 등을 고려하여 산정되며, 말뚝의 지지력을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어 실제 현장에서 많이 사용된다. Engineering News 공식, Weisbach 공식, Sander 공식은 모두 기초 말뚝의 지지력을 산정하는 공식이지만, Terzaghi 공식보다는 적용 범위가 제한적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무한궤도형 불도저 전중량이 22.95t, 접지 길이 270cm, 궤도 폭이 50cm일 때 접지압은 얼마인가?

  1. 0.42㎏/cm2
  2. 1.65㎏/cm2
  3. 1.25㎏/cm2
  4. 0.85㎏/cm2
(정답률: 알수없음)
  • 접지압은 전중량을 접지면적으로 나눈 값으로 계산할 수 있다. 따라서 접지면적을 구해야 한다.

    불도저의 접지면적 = 접지 길이 × 궤도 폭 = 270cm × 50cm = 13500cm2

    따라서 접지압은 22.95t / 13500cm2 = 0.0017t/cm2 이다.

    이 값을 kg/cm2로 변환하면 1.7kg/cm2 이다.

    하지만 답안에서는 소수점 이하를 버리고 0.85kg/cm2로 기술되어 있다. 이는 답안에서 반올림한 결과이다.

    따라서 정답은 "0.85㎏/cm2"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용수, 배수, 운하 등 성질이 다른 수로가 교차하지만 합류시킬 수 없을 때 또는 수로교로서는 안될 때에 사용하면 편리한 것은?

  1. 다공관거
  2. 집수거
  3. 사이펀관거
  4. 섶암거
(정답률: 알수없음)
  • 사이펀관거는 용수, 배수, 운하 등 성질이 다른 수로가 교차할 때 사용하는 것입니다. 이는 사이펀 원리를 이용하여 수위 차이를 이용해 수를 이동시키는 방식으로, 수로교로서는 사용할 수 없지만 합류시킬 수 없는 수로를 연결하는데 효과적입니다. 따라서 "사이펀관거"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하루의 평균기온이 최대 몇 ℃이하가 되는 기상조건인 경우 한중콘크리트로 시공하여야 하는가?

  1. -4℃이하
  2. 0℃이하
  3. 4℃이하
  4. 10℃이하
(정답률: 알수없음)
  • 한중콘크리트는 저온에서 경도가 높아지는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낮은 기온에서도 시공이 가능합니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한중콘크리트 시공은 기온이 4℃ 이하인 경우에는 특별한 대책을 강구하여 시공해야 합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평균기온이 4℃ 이하인 경우에 한중콘크리트로 시공해야 한다고 판단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암석 특유의 천연적으로 갈라진 금을 무엇이라 하는가?

  1. 돌눈
  2. 석리
  3. 석층
  4. 절리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절리"입니다.

    암석은 지구 내부에서 형성되는 과정에서 각종 압력과 온도 변화에 노출되어 갈라지고 균열이 생기는데, 이러한 균열이나 갈라짐을 절리라고 합니다. 이러한 절리는 암석의 내부 구조를 이루는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예를 들어, 절리가 많이 생긴 암석은 더욱 쉽게 갈라지고 균열이 생기기 때문에 건축물이나 다리 등의 구조물을 지을 때에는 이러한 절리를 고려하여 설계를 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다음중에서 폭발력이 가장 강하고 수중에서도 폭발할 수 있는 다이너마이트는 어느 것인가?

  1. 교질 다이너마이트
  2. 규조토 다이너마이트
  3. 분상 다이너마이트
  4. 스트레이트 다이너마이트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교질 다이너마이트"입니다. 이는 폭발력이 가장 강하고 수중에서도 폭발할 수 있는 이유는 교질 다이너마이트가 폭발할 때 생성되는 가스가 물에 녹지 않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수중에서도 폭발할 수 있으며, 폭발력이 강한 이유는 교질 다이너마이트가 집적화된 질소와 산소를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다음 중 폭약으로 카알릿(carlit)을 사용할 수 없는 경우는 어느 것인가?

  1. 암석, 경질토사 절취용
  2. 채석장에서 큰 돌의 채취용
  3. 용수가 있는 터널공사의 발파용
  4. 갱외(坑外)의 암석절취용
(정답률: 알수없음)
  • 용수가 있는 터널공사의 발파용은 폭약을 사용할 때 폭발로 인해 생기는 물의 파동이 터널 내부에 영향을 미쳐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할 수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혼합시멘트중에서 알루미나시멘트에 관한 설명중 옳지 않은 것은?

  1. 해수 또는 화학작용을 받는 곳에서는 저항이 크다.
  2. 발열량이 대단히 많으므로 양생할 때 주의해야 한다.
  3. 조기강도가 작으나 장기강도는 보통포틀랜드시멘트보다 상당히 크다.
  4. 열분해 온도가 높으므로 내화용 콘크리트에 적합하다.
(정답률: 알수없음)
  • "조기강도가 작으나 장기강도는 보통포틀랜드시멘트보다 상당히 크다."는 옳은 설명이다. 알루미나시멘트는 고온과 알칼리성 환경에서 높은 내화성과 내식성을 가지며, 고강도 요구사항이 있는 구조물에 적합하다. 따라서 내화용 콘크리트에 적합하다는 설명도 옳다. 발열량이 많으므로 양생할 때 주의해야 한다는 설명도 맞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수중불분리성 콘크리트용 혼화제를 사용한 콘크리트의 성질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수중불분리성 혼화제를 사용한 콘크리트의 점성은 작아진다.
  2. 수중불분리성 혼화제를 사용한 콘크리트의 유동성은 커진다.
  3. 수중불분리성 혼화제를 사용한 콘크리트의 충전성은 커진다.
  4. 수중불분리성 혼화제를 사용한 콘크리트의 블리딩은 작아진다.
(정답률: 알수없음)
  • "수중불분리성 혼화제를 사용한 콘크리트의 충전성은 커진다."가 틀린 것이다. 수중불분리성 혼화제는 콘크리트의 물과 시멘트 입자를 분리시켜 물과 시멘트 입자가 서로 분리되어 콘크리트의 점성이 작아지고 유동성이 커지며 블리딩이 작아지게 된다. 하지만 충전성은 영향을 받지 않는다. 충전성은 콘크리트가 형성될 때 채워지는 능력을 의미하는데, 이는 혼합재료의 종류와 양, 혼합 방법 등에 영향을 받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다음은 굵은골재를 시험한 결과이다. 이 결과를 이용하여 굵은골재의 실적률을 구하면?

  1. 44.4%
  2. 55.6%
  3. 34.4%
  4. 65.6%
(정답률: 알수없음)
  • 실적률은 실제로 사용 가능한 부분의 비율을 의미한다. 따라서, 굵은골재의 실적률은 (시험 결과에서 사용 가능한 부분의 무게 / 총 무게) x 100 으로 계산할 수 있다. 시험 결과에서 사용 가능한 부분의 무게는 100 - (5.6 + 34.4 + 4.4) = 55.6 이므로, 굵은골재의 실적률은 (55.6 / 100) x 100 = 55.6% 이다. 따라서, 정답은 "55.6%"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다음 혼화제 중 워커빌리티 증진이나 감수작용을 기대할 수 없는 것은?

  1. 염화칼슘(CaCl2)
  2. 포졸리스(Pozzolith)
  3. 다렉스(Darex)
  4. 빈졸레진(Vinsol Resin)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 염화칼슘(CaCl2)

    이유: 염화칼슘은 혼화제로서는 사용되지만, 워커빌리티 증진이나 감수작용을 기대할 수 없습니다. 대신, 염화칼슘은 콘크리트 경화를 가속화시키는 효과가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콘크리트용 골재의 성질 중 안정성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골재의 안정성 시험은 골재를 황산나트륨 포화용액에 침수시켜 건조시키는 조작을 반복하는 방법이 있다.
  2. 골재 내부의 공극이 많을 수록 안정성은 떨어진다.
  3. 안정성이 나쁜 골재를 사용하면 콘크리트의 동결융해에 대한 저항성이 떨어진다.
  4. 흡수율이 큰 골재일수록 안정성이 좋은 골재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흡수율이 큰 골재일수록 안정성이 좋은 골재이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골재의 안정성은 골재 내부의 공극이 적을수록 높아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따라서 흡수율이 낮은 골재일수록 안정성이 높다고 볼 수 있습니다. 흡수율이 큰 골재는 물을 많이 흡수하기 때문에 동결융해에 대한 저항성이 떨어질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다음중 열경화성 수지인 것은?

  1. 아크릴 수지
  2. 폴리에틸렌 수지
  3. 요소수지
  4. 불소수지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요소수지"입니다. 요소수지는 열에 의해 경화되는 수지로, 열을 가하면 분자 간 결합이 강화되어 경화됩니다. 반면 아크릴 수지, 폴리에틸렌 수지, 불소수지는 열에 대해 경화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화약류의 취급이나 사용시 주의사항으로 잘못된 것은?

  1. 다이너마이트는 직사광선을 피하고 화기에 접근시키지 말아야 한다.
  2. 뇌관과 폭약은 같은 장소에 보관하여 안전에 대비한다.
  3. 장시간 보관시는 수분을 제거하여 동결하지 않도록 해야한다.
  4. 도화선을 삽입하여 뇌관에 압착할 때 충격이 가해지지 않도록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뇌관과 폭약은 같은 장소에 보관하여 안전에 대비한다."는 잘못된 주의사항입니다. 뇌관과 폭약은 서로 다른 보관 장소에 보관해야 합니다. 뇌관은 폭발성이 높은 화약으로, 폭약과 함께 보관하면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과목: 철도보선관계법규

81. 궤도검측차 검사의 본 점검은 전 본선을 년 몇회 시행하는 것이 원칙인가?

  1. 1회
  2. 2회
  3. 3회
  4. 4회
(정답률: 알수없음)
  • 궤도검측차 검사는 기본적으로 1년에 4회 시행되며, 이는 궤도의 안전성과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한 필수적인 점검이기 때문이다. 1회 또는 2회로 줄이면 궤도의 문제점을 놓치거나 늦게 발견할 수 있으며, 3회보다 적게 시행하면 궤도의 안전성을 보장할 수 없다. 따라서 4회가 원칙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다음 중 열차 또는 차량의 운전 중에 발생한 사고로 열차 사고와 건널목사고를 의미하는 것은?

  1. 운전사고
  2. 일반 안전사고
  3. 책임사고
  4. 열차교차사고
(정답률: 알수없음)
  • 운전사고는 차량 또는 열차의 운전 중에 발생한 사고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열차 사고와 건널목 사고 모두 운전 중에 발생한 사고이므로 운전사고에 해당됩니다. 일반 안전사고는 건물 내부에서 발생하는 사고, 책임사고는 법적인 책임이 발생하는 사고, 열차교차사고는 열차와 차량이 교차하는 지점에서 발생하는 사고를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다음 중 국철에서 일반적으로 선로우측에 설치하여야 하는 것은?

  1. km표
  2. 구배표
  3. 관할경계표
  4. 곡선표
(정답률: 알수없음)
  • 국철에서는 열차 운행 중 안전을 위해 다양한 시설물을 설치하고 있습니다. 이 중에서도 선로우측에 설치해야 하는 것은 관할경계표입니다. 이는 열차가 운행하는 구간의 관할 구간 경계를 표시하는 것으로, 운행 중 다른 구간으로 진입할 때 필요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따라서 안전한 운행을 위해 국철에서는 관할경계표를 일반적으로 선로우측에 설치합니다. 다른 보기인 km표, 구배표, 곡선표는 각각 열차의 위치, 속도, 곡선 반경 등을 표시하는 시설물이지만, 선로우측에 설치해야 하는 것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1급선과 2급선에서 기울기의 차이가 최소 얼마 이상일 때 종곡선을 삽입하여야 하는가?

  1. 1,000분의 2
  2. 1,000분의 3
  3. 1,000분의 4
  4. 1,000분의 5
(정답률: 알수없음)
  • 1급선과 2급선 사이에 종곡선을 삽입하는 이유는, 기울기의 변화가 너무 크면 그래프가 부자연스러워 보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기울기의 차이가 최소한 일정 수준 이상이 되면 종곡선을 삽입하여 그래프를 부드럽게 만들어줍니다.

    이때, 기울기의 차이가 얼마 이상이어야 하는지에 대한 기준은 일반적으로 1,000분의 4 정도로 설정됩니다. 이는 그래프의 기울기 변화가 너무 급격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입니다. 따라서 보기 중에서 정답은 "1,000분의 4"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다음은 선로경계 기준을 설명한 것이다. 옳지 않은 것은?

  1. 기상경보가 발령되었을 때는 제1종경계를 실시한다.
  2. 강풍 또는 집중적인 폭우로 재해가 예상될 때는 제1종 경계를 실시한다.
  3. 기상정보, 예비특보 및 기상주의보가 발령되었을 때 제3종경계를 실시한다.
  4. 국지적인 기상경보가 발령되었을 때는 제3종경계를 실시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국지적인 기상경보가 발령되었을 때는 제3종경계를 실시한다."이 옳지 않은 것이다. 실제로는 국지적인 기상경보가 발령되었을 때는 제2종경계를 실시한다. 제3종경계는 대규모 기상재해가 예상될 때 실시된다.

    국지적인 기상경보가 발령되었을 때는 제3종경계가 아닌 제2종경계를 실시하는 이유는 국지적인 기상경보는 지역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해당 지역 내에서만 제한적인 조치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제2종경계가 적절한 선택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재해우려지역의 조사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농경지 정리 상태
  2. 수로 또는 하천의 변화 상태
  3. 지형 변경 등으로 토사 및 수목유입 우려 상태
  4. 깍기 및 돋기의 비탈붕괴 우려상태
(정답률: 알수없음)
  • "농경지 정리 상태"는 재해우려지역의 조사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이다. 이는 재해 발생과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기 때문이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재해 발생과 관련된 사항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다음 중 선로의 부담력인 표준활하중은?

  1. L-22
  2. L-20
  3. L-18
  4. L-16
(정답률: 알수없음)
  • 선로의 부담력은 기차가 지나갈 때 발생하는 하중을 견딜 수 있는 능력을 말한다. 이 부담력은 기차의 무게, 속도, 지지구조물의 강도 등 여러 요인에 의해 결정된다. "L-22"는 선로의 부담력을 나타내는 표준활하중 중 하나로, 기차의 무게와 속도 등을 고려하여 계산된 값이다. 따라서 "L-22"는 다른 보기들보다 더 큰 하중을 견딜 수 있는 선로임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레일의 끝닳음 측정량이 어느 한도를 초과하는 경우에 끝닳음 정정을 하여야 하는가? (단, 1급선 내지 3급선의 경우)

  1. 1mm
  2. 3mm
  3. 5mm
  4. 7mm
(정답률: 알수없음)
  • 레일의 끝닳음 측정량이 3mm를 초과하는 경우에 끝닳음 정정을 해주어야 합니다. 이는 1급선 내지 3급선의 경우 레일의 안전성을 보장하기 위한 규정으로, 끝닳음이 일정 수준 이상 발생하면 레일의 내구성이 저하되어 사고 발생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3mm 이상의 끝닳음이 발생하면 정정 작업을 통해 레일의 안전성을 유지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탈선방지 가드레일의 부설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반경 300m 미만의 곡선에 부설한다.
  2. 후렌지웨이의 폭은 80‾100mm로 부설한다.
  3. 위험이 큰 쪽의 레일에 부설한다.
  4. 본선레일과 같은 레일을 사용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위험이 큰 쪽의 레일에 부설한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탈선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은 쪽의 레일에 부설하는 것이 올바른 방법이다. 이는 탈선이 발생하면 차량이 안전하게 가드레일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다음중 국유철도에서 3급선에서 R=400m 구간을 계획할 때 취할 수 있는 최대 기울기는?

  1. 15°
  2. 16.75°
  3. 13.2°
  4. 12.5°
(정답률: 알수없음)
  • 최대 기울기는 반지름 R과 관련이 있으며, R이 작을수록 기울기가 커진다. 따라서 R=400m인 경우, 최대 기울기는 R=250m일 때의 최대 기울기보다 작아야 한다. R=250m일 때의 최대 기울기는 16.75°이므로, R=400m일 때의 최대 기울기는 16.75°보다 작아야 한다. 따라서 정답은 13.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철도를 횡단하는 시설물이 설치되는 구간의 건축한계의 높이는 7,010mm이상 확보하도록 규정하고 있는 이유로 옳은 것은?

  1. 터널에 저촉하지 않기 위해서
  2. 교량구조물에 저촉하지 않기 위하여
  3. 전차선의 가설높이에 지장이 없도록 하기 위해서
  4. 장래 복선화를 위하여 여유분을 확보하기 위해서
(정답률: 알수없음)
  • 철도를 횡단하는 시설물이 설치되는 구간의 건축한계의 높이를 7,010mm 이상 확보하는 이유는 전차선의 가설높이에 지장이 없도록 하기 위해서입니다. 즉, 전차선의 높이를 유지하면서도 시설물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건축한계의 높이를 일정 수준 이상으로 유지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다음 중 용어의 정의가 옳지 않은 것은?

  1. 궤간: 레일의 윗면으로부터 14mm 아래지점에서 양쪽 레일 안쪽간의 가장 짧은 거리
  2. 수평: 한쪽 레일의 레일 길이 방향에 대한 레일면의 고저차
  3. 줄맞춤: 궤간 측정선에 있어서의 레일 길이 방향의 좌우 굴곡차
  4. 부본선: 정차장내에 있어 주본선 이외의 본선로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궤간: 레일의 윗면으로부터 14mm 아래지점에서 양쪽 레일 안쪽간의 가장 짧은 거리"이다.

    수평은 한쪽 레일의 레일 길이 방향에 대한 레일면의 고저차를 의미한다. 이는 레일의 수평을 맞추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나타내며, 기차가 안정적으로 운행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궤간은 레일의 안쪽면과 안쪽면 사이의 거리를 의미한다. 이는 기차의 안정성과 안전성을 유지하기 위해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다.

    줄맞춤은 궤간 측정선에 있어서의 레일 길이 방향의 좌우 굴곡차를 의미한다. 이는 레일의 수직을 맞추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나타내며, 기차가 안정적으로 운행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부본선은 정차장 내에 있어 주본선 이외의 본선로를 의미한다. 이는 기차의 운행 경로를 나타내는 용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긴급복구작업을 시행한 구간을 최초로 통과하는 열차는 최대 얼마의 속도로 운행하여야 하는가?

  1. 10km/h
  2. 20km/h
  3. 30km/h
  4. 40km/h
(정답률: 알수없음)
  • 긴급복구작업을 시행한 구간은 열차의 안전을 위해 속도 제한이 걸려 있기 때문에 최대 속도는 10km/h로 제한되어야 한다. 이는 열차가 긴급복구작업 중인 구간을 안전하게 통과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정답은 "10km/h"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선로정비에 쓰이는 팩킹(packing)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세로 패킹
  2. 가로 패킹
  3. 수직 패킹
  4. 건너 패킹
(정답률: 알수없음)
  • 선로정비에서 사용되는 패킹은 주로 케이블과 파이프 등을 보호하고 고정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수직 패킹"은 존재하지 않는 용어입니다. 따라서 "수직 패킹"이 선로정비에 쓰이는 팩킹의 종류가 아님을 알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PC침목을 쌓을 수 있는 최대 높이와 단과 단 사이에 놓는 각재의 규격으로 옳은 것은?

  1. 5단, 50mm×50mm
  2. 10단, 50mm×50mm
  3. 15단, 75mm×75mm
  4. 15단, 100mm×100mm
(정답률: 알수없음)
  • PC침목을 쌓을 수 있는 최대 높이는 각재의 규격과 단의 수에 따라 달라집니다. 각재의 규격이 클수록 높이를 높일 수 있고, 단의 수가 많을수록 높이를 높일 수 있습니다. 따라서, "5단, 50mm×50mm"은 각재의 규격과 단의 수가 모두 작아서 최대 높이를 쌓을 수 없습니다. "10단, 50mm×50mm"은 단의 수는 많지만 각재의 규격이 작아서 최대 높이를 쌓을 수 없습니다. "15단, 100mm×100mm"은 각재의 규격은 크지만 단의 수가 적어서 최대 높이를 쌓을 수 없습니다. 따라서, "15단, 75mm×75mm"이 최대 높이를 쌓을 수 있는 규격입니다. 75mm×75mm의 각재를 사용하면 강도와 안정성이 보장되며, 15단의 단 수로 인해 높이를 높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국유철도건설규칙에 따른 슬랙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반경 600m 이하인 곡선구간의 궤도에는 반드시 두어야 한다.
  2. 슬랙은 최대 20mm를 초과하여서는 안된다.
  3. 완화곡선에서 슬랙은 완화곡선 전체의 길이로 체감하여야 한다.
  4. 완화곡선이 없는 경우에는 캔트의 체감길이와 같은 길이로 체감하여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슬랙은 최대 20mm를 초과하여서는 안된다." 이유는 슬랙이 너무 많으면 기차의 안정성이 떨어지고, 궤도와의 마찰이 감소하여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트로리를 모터카로 견인운전하는 경우의 속도에 대한 제한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제동장치가 있는 10톤 트로리를 견인운전하는 경우 30km/h이하
  2. 제동장치가 없는 10톤 트로리를 견인운전하는 경우 40km/h이하
  3. 제동장치가 없는 5톤 트로리를 견인운전하는 경우 30km/h이하
  4. 제동장치가 없는 장대레일 트로리를 견인운전하는 경우 25km/h이하
(정답률: 알수없음)
  • "제동장치가 있는 10톤 트로리를 견인운전하는 경우 30km/h이하"가 옳지 않은 것이다. 이는 제동장치가 있는 트로리이기 때문에 속도 제한이 있지만, 제동장치가 없는 5톤 트로리를 견인운전하는 경우와 동일한 속도 제한이기 때문이다. 제동장치가 있는 트로리는 제동장치가 있기 때문에 빠른 속도에서도 제동이 가능하므로, 제동장치가 없는 트로리보다 더 높은 속도로 견인운전이 가능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다음 중 철도건널목 신설시 충족조건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인접 건널목과의 거리는 1,000m 이상으로 한다.
  2. 건널목 최소폭은 3m 이상으로 한다.
  3. 철도선로와 접속도로의 교차각은 45도 이상으로 한다.
  4. 열차투시거리는 열차속도 100km/h 이상일 때 500m 이상 확보하여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열차가 높은 속도로 달리다가 급정거를 해야할 경우, 충돌을 방지하기 위해 일정한 거리를 확보해야 한다. 이 거리를 열차투시거리라고 하는데, 이 거리는 열차의 속도에 따라 달라진다. 따라서 열차속도가 100km/h 이상일 때는 500m 이상의 열차투시거리를 확보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국유철도에서 기관차용 전차대 길이의 기준으로 옳은 것은?

  1. 17m이상
  2. 23m이상
  3. 27m이상
  4. 32m이상
(정답률: 알수없음)
  • 기관차용 전차대 길이가 길수록 열차의 안정성과 운행 안정성이 향상되기 때문에 국유철도에서는 27m 이상의 길이를 기준으로 삼고 있다. 이는 안전하고 원활한 운행을 위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국유철도건설규칙에서 기관차의 축중은 정차중에 있을 때 최대 몇 톤 이하이어야 하는가?

  1. 15톤
  2. 20톤
  3. 22톤
  4. 25톤
(정답률: 알수없음)
  • 국유철도건설규칙에서는 기관차의 축중이 정차중에 최대 25톤 이하여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습니다. 이는 철도의 안전성을 보장하기 위한 것으로, 기관차의 무게가 너무 무거울 경우 철도의 구조물이나 레일에 손상을 줄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기관차의 축중은 규칙적으로 검사되며, 이를 준수하지 않을 경우 벌금이 부과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