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산제조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3-05-25)

수산제조기사
(2003-05-25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식품위생학

1. 식품첨가물의 사용 목적에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기호성 증진
  2. 변질방지
  3. 발암방지
  4. 영양강화
(정답률: 알수없음)
  • 식품첨가물은 기호성 증진, 변질방지, 영양강화 등의 목적으로 사용됩니다. 그러나 발암방지는 식품첨가물의 사용 목적으로는 거리가 먼 것입니다. 이는 식품첨가물이 발암을 예방하는 역할을 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오히려 일부 식품첨가물은 발암성이 있을 수 있으므로 식품첨가물의 사용은 합리적으로 제한되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다음과 같은 목적과 기능을 하는 식품 첨가물은?

  1. 산미료(acidulant)
  2. 조미료(seasoning)
  3. 호료(thickening agent)
  4. 유화제(emulsifier)
(정답률: 알수없음)
  • 이 식품 첨가물은 산미료(acidulant)이다. 산미료는 식품의 산성도를 조절하여 맛을 개선하거나 보존성을 높이는 역할을 한다. 이 첨가물은 식품의 pH를 낮추어 산성화시키는 성질을 가지고 있으며, 이를 통해 식품의 맛과 향을 개선하고, 또한 식품의 유지기간을 연장시키는 역할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우유의 저온살균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Q열의 원인균인 리켓치아속에 속하는 세균도 사멸된다.
  2. 결핵균도 사멸된다.
  3. 살균 후에도 상당한 수의 세균이 존재하는 것이 보통이다.
  4. 포스파타아제(phosphatase) 양성으로 나타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우유의 저온살균은 일반적으로 63℃에서 30분간 처리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며, 이 과정에서 대부분의 세균이 사멸된다. 따라서 "살균 후에도 상당한 수의 세균이 존재하는 것이 보통이다."는 설명이 틀린 것이다. 포스파타아제는 생물학적 지표 중 하나로서, 세균이나 바이러스 등의 유기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데 사용된다. 따라서 포스파타아제가 양성으로 나타난다는 것은 세균이나 바이러스 등의 유기체가 존재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우리나라에서 물엿, 알사탕 등의 표백제로 사용하여 크게 물의를 일으켰던 유해성 물질은?

  1. Nitrogen trichloride
  2. Rongalite
  3. Formaldehyde
  4. Benzyl violet
(정답률: 알수없음)
  • 물엿, 알사탕 등의 표백제로 사용되던 Rongalite은 화학적으로 안정성이 낮아 물과 반응하여 유해한 가스를 발생시키는데, 이 가스가 눈과 호흡기에 자극을 일으켜 큰 문제가 되었기 때문입니다. Nitrogen trichloride는 물에서 쉽게 분해되어 안정성이 높아 유해성이 낮고, Formaldehyde와 Benzyl violet은 표백제로 사용되지 않았기 때문에 정답이 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식품위생상 유해한 감미료와 거리가 먼 것은?

  1. cyclamate
  2. dulcin
  3. D-sorbitol
  4. p-nitro-o-toluidine
(정답률: 알수없음)
  • D-sorbitol은 천연 감미료로서 식품위생에 유해한 성분이 없기 때문에 다른 보기들과는 거리가 먼 것입니다. 반면, cyclamate, dulcin, p-nitro-o-toluidine은 각각 식품첨가물, 인공감미료, 합성색소로서 식품위생에 유해한 성분으로 분류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공장폐수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유해물질 및 식품오염문제를 연결한 것 중 잘못된 것은?

  1. 석유폐수 → 3,4 - Benzopyrene → 발암물질
  2. 광업소폐수 → 카드뮴(Cd) → 미나마타병
  3. 펄프공장폐수 → 석탄 타르(tar) → 조개류의 쓴맛
  4. 구리정련공장폐수 → 구리(Cu) → 녹색 굴
(정답률: 알수없음)
  • 잘못된 것은 "광업소폐수 → 카드뮴(Cd) → 미나마타병"이다. 미나마타병은 수은 중독으로 인한 질병이며, 카드뮴은 신장에 영향을 주는 유해물질이다. 따라서, "광업소폐수 → 카드뮴(Cd) → 신장질환"으로 수정되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다음 설명 중 경구전염병과 거리가 먼 것은?

  1. 비교적 소량의 균량으로 발생한다.
  2. 잠복기가 비교적 길다.
  3. 2차 감염이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4. 집단적으로 발생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2차 감염이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는 것은 해당 질병이 직접적으로 사람에서 사람으로 전파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해당 보기 중 직접적인 전파가 아닌 비교적 소량의 균량으로 발생하고, 잠복기가 비교적 긴 집단적으로 발생하는 경구전염병이 거리가 먼 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발진티푸스의 균명은?

  1. Bacillus anthracis
  2. Salmonella paratyphi
  3. Rickettsia prowazeki
  4. Mycobacterium tuberculosis
(정답률: 알수없음)
  • 발진티푸스는 Rickettsia prowazeki 균으로 인해 발생하는 질병이기 때문에 정답은 Rickettsia prowazeki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다음 중 옳게 연결된 것은?

  1. 간흡충 - 왜우렁이 - 쇠고기
  2. 광절열두조충 - 물벼룩 - 게
  3. 유구조충 - 돈육 - 낭미충증
  4. 아니사키스충 - 개 - 고등어
(정답률: 알수없음)
  • 유구조충은 돈육에서 발견되며, 이 돈육을 섭취한 사람들이 낭미충증이라는 질병에 걸릴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정수시설(淨水施設)의 침전지에서 약품침전의 목적으로 사용하는 것은?

  1. 명반
  2. 붕산
  3. 염소
  4. 표백분
(정답률: 알수없음)
  • 명반은 알루미늄 수산화물로 이루어져 있어, 물 속에 떠다니는 불순물과 함께 반응하여 침전시키는 효과가 있습니다. 따라서 정수시설에서 약품침전의 목적으로 사용됩니다. 붕산은 살균제로 사용되며, 염소와 표백분은 물의 살균 및 소독을 위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식품취급자의 손 소독에 가장 적합한 약제는?

  1. 크레졸 비누액
  2. 역성비누액
  3. 포르말린
  4. 승홍수
(정답률: 알수없음)
  • 역성비누액은 광범위한 세균, 바이러스, 곰팡이 등을 제거할 수 있는 강력한 항균 효과를 가지고 있습니다. 또한 손에 묻은 기름과 먼지 등을 효과적으로 제거하여 손의 위생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식품취급자의 손 소독에 가장 적합한 약제로 꼽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투과력이 크며 식품 저장에 널리 이용되고 있는 방사선은?

  1. 가시광선
  2. α 선
  3. β 선
  4. γ선
(정답률: 알수없음)
  • γ선은 전자기파의 일종으로, 파장이 짧고 주파수가 높아 투과력이 큽니다. 따라서 식품 내부까지 스며들어 세균, 바이러스 등을 제거하는데 효과적으로 사용됩니다. 반면 가시광선, α 선, β 선은 투과력이 낮아 식품 저장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동물성 식품의 변질검사에 해당되는 것은?

  1. 히스타민(histamine) 측정
  2. 산도(酸度) 측정
  3. 카르보닐가 측정
  4. 요오드가 측정
(정답률: 알수없음)
  • 동물성 식품의 변질검사에서 히스타민은 해산물이나 육류 등에서 발생하는 독성 물질로, 식중독의 원인이 될 수 있기 때문에 측정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히스타민 측정은 동물성 식품의 안전성을 보장하기 위한 중요한 검사 방법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동물성 식품에서 유래된 독소는?

  1. 무스카린(muscarine)
  2. 아미그달린(amygdalin)
  3. 베네루핀(venerupin)
  4. 에르고톡신(ergotoxin)
(정답률: 알수없음)
  • 베네루핀은 조개류 등 동물성 식품에서 유래된 독소로, 식중독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플라스틱의 감별을 위한 방법으로 이용할 수 있는 물리적인 특성이 아닌 것은?

  1. 비중
  2. 경도
  3. 용해성
  4. 연소성
(정답률: 알수없음)
  • 연소성은 플라스틱의 화학적 특성에 해당하며, 플라스틱의 감별을 위한 물리적인 특성이 아닙니다. 따라서 정답은 "연소성"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전염병으로 죽은 돼지를 삶아서 먹었음에도 불구하고 사망자가 발생하였다면 다음 중 어느 균에 의한 발병일 가능성이 있는가?

  1. 결핵
  2. 탄저
  3. 야토병
  4. 브루셀라
(정답률: 알수없음)
  • 탄저균은 돼지를 비롯한 동물에서 발생하는 전염병으로, 인간에게도 감염될 수 있다. 탄저균은 살아있는 동물의 분비물이나 사체에서 오랫동안 살아남을 수 있기 때문에, 전염성이 높다. 따라서 전염병으로 죽은 돼지를 삶아 먹은 경우에도 탄저균에 의한 발병 가능성이 높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식품공장의 위생상태를 유지 관리하기 위하여 일반적인 조치 사항 중 가장 맞는 것은?

  1. 작업장과 화장실은 2일 1회 이상 청소하여야 한다.
  2. 온도계와 같은 계기류는 유명회사 제품을 사용하면 자체 점검할 필요가 없다.
  3. 우물물을 사용하는 경우 정기적으로 공공기관에 수질검사를 받고 그 성적서를 보관한다.
  4. 냉장시설과 창고는 월 1회 이상 청소를 하여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식품공장에서 위생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조치가 필요합니다. 그 중에서도 우물물을 사용하는 경우 정기적으로 공공기관에 수질검사를 받고 그 성적서를 보관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이는 우물물이 식품에 오염되어 위해를 끼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입니다. 수질검사를 통해 우물물의 세균, 바이러스, 중금속 등의 오염물질 유무를 확인하고, 이를 보관하여 필요할 때 제출할 수 있도록 준비해두는 것이 좋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비브리오 패혈증의 예방대책을 설명한 것 중 틀린 것은?

  1. 간장 질환자는 해수욕을 가급적 삼가한다.
  2. 생선회 원료는 수돗물에 잘 씻는다.
  3. 서해안에 강물이 유입되는 장소는 균의 증감을 감시한다.
  4. 생선회를 냉장고에 일정시간 보관하였다가 먹는다.
(정답률: 알수없음)
  • 생선회를 냉장고에 일정시간 보관하였다가 먹는 것은 틀린 예방대책입니다. 이는 생선에 있는 세균이 증식할 가능성을 높일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생선회를 먹기 전에 반드시 충분히 익혀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농약에 의한 식품오염에 대한 설명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유기인제 농약은 대부분 극독약이므로 급성중독에 의한 사고가 많다.
  2. 농작물에 살포된 농약은 비, 바람, 햇빛 등의 외적작용과 작물의 성장, 대사 등의 내적작용에 의하여 분해된다.
  3. 유기염소제 농약은 제조사용이 금지되어 있지만 아직도 토양에서 검출되고 있다.
  4. 유기수은제 농약은 축적성이 거의 없다.
(정답률: 알수없음)
  • "유기수은제 농약은 축적성이 거의 없다."는 설명이 적합하다. 이유는 유기수은제 농약은 대부분 물에 용해되어 쉽게 분해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환경오염의 위험이 적고 인체에 미치는 영향도 적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식품의 부패검사법 중 화학적 검사법이 아닌 것은?

  1. 휘발성 아민 측정
  2. 식물성 식품의 산도측정
  3. 어육의 단백질 침전 반응
  4. 경도측정
(정답률: 알수없음)
  • 경도측정은 식품의 물리적 특성을 측정하는 방법으로, 식품의 단단함이나 연성을 측정한다. 이는 식품의 부패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기 때문에 화학적 검사법이 아니다. 반면, 휘발성 아민 측정, 식물성 식품의 산도측정, 어육의 단백질 침전 반응은 식품의 화학적 특성을 측정하는 방법으로, 식품의 부패와 관련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수산화학

21. 해수어(海水魚)의 자기소화 작용의 적온은?

  1. 0℃-10℃
  2. 10℃-20℃
  3. 40℃-50℃
  4. 60℃-70℃
(정답률: 알수없음)
  • 해수어의 자기소화 작용은 단백질 분해를 위한 소화효소의 활성화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 소화효소는 일반적으로 37℃에서 최적의 활성을 나타내지만, 해수어는 냉수성 동물이기 때문에 37℃보다 낮은 온도에서도 활성을 나타낸다. 그러나 해수어의 생활환경은 대개 10℃ 이하의 저온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냉수성 동물이지만 일반적인 동물과는 달리 높은 온도에서도 소화효소의 활성을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해수어의 자기소화 작용의 적온은 40℃-5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다음 중 지질의 불포화도를 나타내는 척도는?

  1. 과산화물값
  2. 산값
  3. 요오드값
  4. 카르보닐값
(정답률: 알수없음)
  • 지질의 불포화도는 지질 내에 존재하는 이중결합의 양을 나타내는데, 이를 측정하는 척도가 요오드값입니다. 요오드값은 지질 내에 존재하는 이중결합에 요오드가 첨가되는 양을 측정하여 지질의 불포화도를 나타냅니다. 따라서 정답은 "요오드값"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패류의 정미성분으로 알려진 것은?

  1. betaine
  2. inosinic acid
  3. succinic acid
  4. guanylic acid
(정답률: 알수없음)
  • 패류는 succinic acid를 포함한 다양한 정미성분을 가지고 있지만, 다른 보기들은 패류에 존재하지 않는 성분들이기 때문에 정답은 "succinic acid"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선도가 저하된 꽁치나 고등어에 의하여 발생하는 식중독의 원인 물질은?

  1. 히스타민(histamine)
  2. 프토마인(ptomaine)
  3. 타이라민(tyramine)
  4. 퓨트레신(putrescine)
(정답률: 알수없음)
  • 선도가 저하된 꽁치나 고등어에는 해양생물이 죽어서 생성된 아미노산인 히스티딘이 존재하며, 이 아미노산은 선채질균이나 선충류 등의 미생물에 의해 분해되어 히스타민이 생성됩니다. 이러한 히스타민은 식중독의 원인 물질 중 하나로 작용하며, 소화기관을 자극하여 구토, 설사, 복통 등의 증상을 유발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히스타민(histamine)"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핵산 관련 물질 분석에 주로 사용되고 있는 추출법은?

  1. 피크린산(picric acid) 추출법
  2. 에타놀(ethanol) 추출법
  3. 과염소산(perchloric acid) 추출법
  4. 열수 추출법
(정답률: 알수없음)
  • 핵산 관련 물질은 대부분 높은 산화력을 가지고 있어, 과염소산(perchloric acid) 추출법이 주로 사용된다. 이 추출법은 산화력이 강한 과염소산을 이용하여 샘플을 분해하고, 이를 통해 핵산 관련 물질을 추출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높은 정확도와 민감도를 가지고 있어, 핵산 관련 물질의 분석에 매우 유용하게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다음 중 참치류의 녹변에 관여하는 성분과 관계가 먼 것은?

  1. met-myoglobin
  2. Hydrogen sulfide
  3. Verdoglobin
  4. Hemocyanin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 Hemocyanin

    Hemocyanin은 녹변과는 관련이 없는 단백질로, 주로 갑각류와 민물고기의 호흡에 관여합니다. 반면에, met-myoglobin은 참치의 녹변과 관련된 산화철을 형성하는 성분이며, Hydrogen sulfide는 녹변과 관련된 냄새를 유발하는 화학물질입니다. Verdoglobin은 녹변과는 관련이 없는 단백질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염수 동결한 가다랭이를 통조림할 때 생기는 orange meat 생성과 가장 관계가 먼 것은?

  1. glucose-6-phosphate 와 fructose-6-phosphate
  2. histidine
  3. anserine 과 carnosine
  4. trimethylamine oxide
(정답률: 알수없음)
  • 염수 동결한 가다랭이를 통조림할 때 생기는 orange meat 생성과 가장 관계가 먼 것은 trimethylamine oxide이다. 이는 가다랑어의 근육 내부에 존재하는 trimethylamine oxide가 염수 동결에 의해 분해되어 trimethylamine으로 변화되기 때문이다. 이 변화는 가다랑어의 근육 내부 pH가 증가함에 따라 발생하며, 이러한 변화가 orange meat 생성의 주요 원인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갑각류의 껍질에 함유되는 키토산의 구성 성분은?

  1. 글루코사민(Glucosamine)
  2. 포코스(Focose)
  3. 글루구론산(Gluculonic acid)
  4. 만루론닉산(Mannuronic acid)
(정답률: 알수없음)
  • 갑각류의 껍질에 함유되는 키토산은 당분 분해 효소에 의해 분해되어 글루코사민과 아세틸글루코사민으로 구성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글루코사민(Glucosamine)"입니다. 포코스, 글루구론산, 만루론닉산은 다른 성분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일반적으로 통조림 원료로 사용되는 어패육의 휘발성 염기질소 함량의 한계점은?

  1. 10 mg% 이하
  2. 20 mg% 이하
  3. 30 mg% 이하
  4. 40 mg% 이하
(정답률: 알수없음)
  • 통조림 원료로 사용되는 어패육의 휘발성 염기질소 함량이 높을수록 식품의 신선도가 떨어지고 부패가 빨리 진행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따라서 이러한 이유로 일반적으로 통조림 원료로 사용되는 어패육의 휘발성 염기질소 함량의 한계점은 20 mg% 이하로 제한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미생물의 증식 곡선 중 증식하는 세균수가 죽는 세균수보다 현저하게 적은 기간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정지기(stationary phase)
  2. 감수기(decreasing phase)
  3. 대수기(logarithmic phase)
  4. 잠복기(lag phase)
(정답률: 알수없음)
  • 감수기는 미생물이 생존에 필요한 영양분이 부족해지거나 독성 물질이 증가하여 증식 속도가 감소하고, 죽는 세균수가 증가하는 단계를 말한다. 따라서 증식하는 세균수가 죽는 세균수보다 현저하게 적은 기간을 감수기라고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다음 중 부패과정에 있어서 아미노산의 탈탄산반응에 의하여 생성되는 것은?

  1. 알데히드류
  2. 케톤류
  3. 아민류
  4. 알콜류
(정답률: 알수없음)
  • 부패과정에서 아미노산은 탈탄산반응을 일으켜 아민류를 생성합니다. 이는 아미노산의 카르복실기와 아미노기가 반응하여 아민기가 생성되는 과정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아민류"입니다. 알데히드류, 케톤류, 알콜류는 부패과정에서 다른 화합물들의 생성에 관여할 수 있지만, 이 문제에서는 아미노산의 탈탄산반응에 대한 것이므로 정답은 아민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김의 붉은 색을 나타내는 것은?

  1. phycocyanin
  2. phycoerythrin
  3. astaxanthin
  4. bile pigment
(정답률: 알수없음)
  • 김의 붉은 색을 나타내는 것은 "phycoerythrin"이다. 이는 광합성을 수행하는 해조류의 색소 중 하나로, 빨간색과 주황색을 나타내는데 사용된다. 이 색소는 광합성에 필요한 빛을 흡수하고, 광합성 작용을 수행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김의 붉은 색은 phycoerythrin의 존재로 인해 나타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어육 1g 중의 세균수가 얼마일 때, 초기부패라고 할 수 있는가?

  1. 102 – 103
  2. 103 - 104
  3. 105 – 106
  4. 106 - 107
(정답률: 알수없음)
  • 어육은 생물체의 조직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초기부패는 생물체의 세포 내부에 존재하는 미생물이 어육 내부로 침입하여 증식하는 것으로 인해 발생합니다. 이러한 미생물의 증식은 초기에는 느리게 일어나다가, 일정한 시간이 지나면 급격하게 증가합니다. 따라서, 초기부패를 판단하기 위해서는 어육 내부에 존재하는 세균의 수가 일정 수준 이상이 되어야 합니다.

    일반적으로, 어육 1g 중의 세균수가 105 – 106 CFU/g 이상이면 초기부패로 판단합니다. 이는 어육 내부에 존재하는 미생물의 증식이 일정 수준 이상으로 진행되어, 어육의 식용이 안전하지 않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이 범위를 초과하는 세균수가 측정되면 어육을 버리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그 외의 보기들은 세균수가 너무 적거나 많아 초기부패로 판단하기에는 부적절합니다. 102 – 103 CFU/g 이하의 세균수는 초기부패로 판단하기에는 너무 적고, 106 - 107 CFU/g 이상의 세균수는 이미 식품의 부패가 진행된 상태로, 초기부패로 판단하기에는 너무 늦은 시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한천질 다당류의 구성 단위는?

  1. alginic acid
  2. agarobiose
  3. glucose
  4. amylopectin
(정답률: 알수없음)
  • 한천질 다당류는 아가로바이오스와 글루코스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그 중에서 아가로바이오스는 한천질 다당류의 주요 구성 단위 중 하나이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알긴산은 해조류의 주요 성분 중 하나이며, 아밀로펙틴은 전분의 일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다음 중 수산물의 신선도를 측정하기 위한 휘발성 염기질소(VBN)법에서 측정 대상이 되지 않는 성분은?

  1. 암모니아(Ammonia)
  2. 트리메틸아민(Trimethylamine)
  3. 디메틸아민(Dimethylamine)
  4. 황화수소(Hydrogen sulfide)
(정답률: 알수없음)
  • VBN법은 수산물의 신선도를 판단하기 위해 수산물 내의 질소화합물 중에서 휘발성 질소화합물을 측정하는 방법이다. 따라서 황화수소는 질소화합물이 아니므로 VBN법에서 측정 대상이 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어육을 메탄올-클로로포름 혼합용매로서 마쇄하였을 때 기름은 어떻게 분리하는가?

  1. 메탄올층으로 분리되어 나오므로 상층을 따라내면 된다.
  2. 안정한 에멀죤이 되므로 분리할 수가 없다.
  3. 클로로포름 층으로 분리되어 나온다.
  4. 물,메탄올-클로로포름층의 중간층으로 분리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어육을 메탄올-클로로포름 혼합용매로 마쇄하면, 어육의 기름은 클로로포름과 잘 혼합되어 클로로포름 층으로 분리되어 나오게 됩니다. 따라서 기름을 분리하기 위해서는 클로로포름 층을 따로 분리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어패류 근육 중에서 검출되지 않는 유기산은?

  1. 구연산(citric acid)
  2. 푸말산(fumaric acid)
  3. 피크린산(picric acid)
  4. 피루브산(pyruvic acid)
(정답률: 알수없음)
  • 피크린산은 어패류 근육 중에서 검출되지 않는 유기산인 이유는 그 구조가 다른 세 가지 산과는 달리 질소를 함유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일반적인 유기산 검출 방법으로는 검출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다음 중 어패류의 사후변화 과정을 바르게 나타낸 것은?

  1. 해당작용-사후경직-해경-자기소화-부패
  2. 해당작용-해경-사후경직-자기소화-부패
  3. 해당작용-사후경직-자기소화-해경-부패
  4. 해당작용-해경-자기소화-사후경직-부패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해당작용-사후경직-해경-자기소화-부패"이다.

    어패류의 사후변화 과정은 해당작용(리그난)으로 인해 근육이 수축하고, 이로 인해 사후경직이 일어난다. 그 후에는 해경(효소작용)이 일어나서 내부적으로 분해가 시작되고, 자기소화(자체부패)가 일어나서 외부적으로도 부패가 진행된다. 따라서, 해당작용-사후경직-해경-자기소화-부패 순서로 진행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젤라틴은 어디서 유도된 것인가?

  1. 염용성 단백질
  2. 근형질 단백질
  3. 근원섬유 단백질
  4. 근기질 단백질
(정답률: 알수없음)
  • 젤라틴은 근기질 단백질에서 유도된 것입니다. 근기질 단백질은 동물의 연골, 뼈, 피부 등에 존재하는 단백질로, 이를 가열하면 젤라틴이라는 물질로 변화합니다. 따라서 젤라틴은 동물의 근기질 단백질을 가열처리하여 얻어지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산화된 어유의 갈변에 가장 필수적인 인자는?

  1. 아미노화합물
  2. 암모니아
  3. 알칼리(alkali)
  4. 무기염류
(정답률: 알수없음)
  • 산화된 어유의 갈변에 가장 필수적인 인자는 암모니아입니다. 이는 아미노화합물의 일종으로, 산화된 어유의 갈변에 필요한 질소원으로 작용하여 높은 pH 값을 유지하며, 이를 통해 산화된 어유를 환원시켜 갈변을 완성시킵니다. 또한, 암모니아는 무기염류와 달리 물에 잘 녹기 때문에 사용이 편리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수산가공학

41. 물간에 의한 염장품 제조에 맞는 것은?

  1. Bé20° 의 염수에 6-12시간 정도 절인다.
  2. Bé22° 의 염수에 8-15시간 정도 절인다.
  3. Bé24° 의 염수에 18-20시간 정도 절인다.
  4. Bé26° 의 염수에 21-24시간 정도 절인다.
(정답률: 알수없음)
  • 염장품 제조에서는 염수의 농도가 중요합니다. Bé24°의 염수는 농도가 높아서, 염장품을 제조하기에 적합합니다. 또한 18-20시간 정도 절이면 적절한 염도와 맛을 얻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Bé24°의 염수에 18-20시간 정도 절이는 것이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알긴산 겔의 특성이 아닌 것은?

  1. 알긴산은 이가 양이온과 반응하여 겔을 형성.
  2. 해조내의 알긴산은 대부분 Ca염의 형태로 존재한다.
  3. M/G 비율이 높은 알긴산은 겔 강도가 강하다.
  4. 알긴산 겔은 알긴산 칼슘겔에 비해 물성이 부드럽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 알긴산 겔은 알긴산 칼슘겔에 비해 물성이 부드럽다.

    설명: 알긴산은 이가 양이온과 반응하여 겔을 형성하며, 해조내의 알긴산은 대부분 Ca염의 형태로 존재합니다. M/G 비율이 높은 알긴산은 겔 강도가 강해지는데, 이는 알긴산 분자 내의 Mg와 Al의 비율이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알긴산 겔의 특성 중 M/G 비율이 높은 알긴산은 겔 강도가 강하다는 것이 맞습니다. 하지만 마지막 보기는 알긴산 겔의 특성이 아니라 오히려 알긴산 칼슘겔과 비교한 차이점을 나타내는 내용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어묵 제조시에 쓰이는 부재료가 아닌 것은?

  1. MSG
  2. 감자전분
  3. 유지
  4. 인산염
(정답률: 알수없음)
  • 어묵 제조시에는 MSG, 감자전분, 인산염이 사용되지만, 유지는 사용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어체의 식염 삼투작용과 직접관계가 없는 것은?

  1. 시간과 온도
  2. 원료의 선도
  3. 식염농도와 지방
  4. 식염수의 pH
(정답률: 알수없음)
  • 식염수의 pH는 어체의 식염 삼투작용과 직접적인 관계가 없습니다. 어체의 식염 삼투작용은 시간과 온도, 원료의 선도, 식염농도와 지방 등과 관련이 있습니다. pH는 물질의 산성 또는 알칼리성을 나타내는 지표이며, 어체의 식염 삼투작용과는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갈치, 장어와 같은 어종을 입상할 때의 배열 방법은?

  1. 배립형(背立形)
  2. 복립형(腹立形)
  3. 산립형(散立形)
  4. 환상형(還狀形)
(정답률: 알수없음)
  • 환상형은 물고기의 몸이 뒤로 굽혀져 있는 형태로, 갈치나 장어와 같은 긴 몸을 가진 어종을 입상할 때 사용된다. 이 형태는 물고기의 실제 모습과 가장 비슷하게 보이기 때문에 입상 효과가 뛰어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동건법(Frozen-drying)과 동결건조법(Freeze-drying)의 차이점을 올바르게 표현한 것은?

  1. 동결,융해조작 반복에 의한 탈수,승화에 의한 탈수
  2. 동결,건조조작 반복에 의한 탈수,해동에 의한 탈수
  3. 동결,증발에 의한 탈수,증발에 의한 탈수
  4. 동결,흡습에 의한 탈수,흡습에 의한 탈수
(정답률: 알수없음)
  • 동결건조법은 냉동으로 물을 얼린 후 진공 상태에서 얼음을 증발시켜 건조하는 방법이며, 동결, 건조조작 반복에 의한 탈수와 해동에 의한 탈수가 이루어진다. 반면, 동건법은 냉동으로 물을 얼린 후 진공 상태에서 얼음을 직접 승화시켜 건조하는 방법이며, 동결, 융해조작 반복에 의한 탈수와 승화에 의한 탈수가 이루어진다. 따라서 정답은 "동결,융해조작 반복에 의한 탈수,승화에 의한 탈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다음 중 열훈법의 처리 온도와 시간으로 가장 적당한 것은?

  1. 120-140℃, 3시간
  2. 50-60℃, 2시간
  3. 100-120℃, 3시간
  4. 120-140℃, 5시간
(정답률: 알수없음)
  • 열훈법은 나무를 건조시켜 내구성을 높이는 과정입니다. 이때 처리 온도와 시간은 나무의 종류와 두께에 따라 다르게 결정됩니다.

    "120-140℃, 3시간"은 처리 온도가 높은 편이며, 처리 시간은 중간 정도입니다. 이는 대부분의 나무에 적용할 수 있는 적당한 조건입니다.

    "50-60℃, 2시간"은 처리 온도와 시간이 낮아서 효과가 미미하며, "120-140℃, 5시간"은 처리 시간이 너무 오래 걸려 비효율적입니다. "100-120℃, 3시간"은 처리 온도가 적당하지만, 일부 나무에는 효과가 미미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120-140℃, 3시간"이 가장 적당한 처리 온도와 시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식품포장에 있어서 포장성능이란?

  1. 포장 완료시의 강도
  2. 포장지의 최대수명
  3. 포장 완료후 식품의 최대 보증기간
  4. 포장지에 함유된 성분비
(정답률: 알수없음)
  • 식품포장의 포장성능은 포장 완료시의 강도를 의미합니다. 이는 포장지가 식품을 보호하고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는 충분한 강도를 가지고 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포장지의 최대수명, 포장 완료후 식품의 최대 보증기간, 포장지에 함유된 성분비는 모두 포장성능과 관련된 요소이지만, 이들은 포장지의 내구성과 식품의 안전성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적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다음 중 수산가공품을 수출하기 위해 필히 고려해야 할 사항은?

  1. 기호성에 변화에 대비
  2. 고선도의 수산물 원료의 확보
  3. 위해분석중요관리점방식의 도입
  4. 수산가공 부산물의 효율적 이용
(정답률: 알수없음)
  • 위해분석중요관리점방식의 도입은 수산가공품의 안전성을 보장하기 위해 필요한 조치이다. 이 방식은 위해요소를 파악하고 관리점을 설정하여 위험을 최소화하는 방식으로, 수출 시 안전성을 보장하고 수출 규제를 받지 않도록 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따라서 수산가공품을 수출하기 위해 필히 고려해야 할 사항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수산물 종합 가공 공장에서 가장 선도가 좋은 원료를 배정하여야 할 제품은?

  1. 냉동품
  2. 연제품
  3. 훈제품
  4. 염장품
(정답률: 알수없음)
  • 훈제품은 다른 가공 방법에 비해 더욱 깊은 풍미와 향을 가지며, 건강에도 좋은 영양소를 보존할 수 있기 때문에 가장 선도가 좋은 원료를 배정하여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다음중 어패류 특유의 맛과 가장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은?

  1. 탄수화물
  2. 단백질
  3. 엑스성분
  4. 회분
(정답률: 알수없음)
  • 어패류의 특유한 맛은 엑스성분과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엑스성분은 일반적으로 길고 매운 맛을 나타내는 긴 사슴뿔과 같은 화학물질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화학물질은 어패류에서 발견되며, 특히 생선에서 많이 나타납니다. 따라서 어패류를 먹을 때 맛을 느끼는 것은 엑스성분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다음 중 박엽지(薄葉紙)가 아닌 것은?

  1. Rolled paper
  2. Glassine paper
  3. Typing paper
  4. Carbon paper
(정답률: 알수없음)
  • "Rolled paper"는 박엽지가 아닌 종이의 한 종류로, 종이를 롤 형태로 만든 것을 말한다. 따라서 박엽지, 유리지, 타이핑지, 탄소지 중에서 "Rolled paper"가 아닌 것은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어육 햄 및 소시지가 일반 수산 연제품과 차이점에서 관계가 먼 것은?

  1. 원료어로서 흰살 어류 대신에 붉은 살 어류를 사용하는 것.
  2. 지방이나 향신료를 사용하여 축육 소시지와 같은 풍미를 가지도록 조미하는 것.
  3. 통기성이 없는 열수축성의 포장 재료에 채워 충분히 가열하여 저장성을 갖는다.
  4. 원료어로서 지방이 많으며 탄력이 강하고 흰 살인어류가 좋다.
(정답률: 알수없음)
  • 어육 햄 및 소시지는 원료어로서 지방이 많으며 탄력이 강하고 흰 살인어류가 좋기 때문에 일반 수산 연제품과 차이가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마른간법의 장점을 설명한 것에서 관계가 먼 것은?

  1. 염장에 특별한 설비가 필요없다.
  2. 소금의 침투가 균일하여 제품의 품질이 고르다.
  3. 용염량에 비하여 탈수량이 많고 식염의 삼투가 빠르며 염장초기의 부패가 적다.
  4. 염장이 잘못되었을 때 그 피해를 부분적으로 그치게 할 수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염장이 잘못되었을 때 그 피해를 부분적으로 그치게 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온훈법의 훈연온도는 몇 도로 하는 것이 적당한가?

  1. 30℃∼50℃
  2. 50℃∼80℃
  3. 80℃∼100℃
  4. 100℃∼120℃
(정답률: 알수없음)
  • 온훈법은 금속을 열어서 그 내부의 조직을 바꾸는 열처리 방법 중 하나이다. 이때, 온도가 너무 낮으면 효과가 미미하고, 너무 높으면 금속이 손상될 수 있다. 따라서 적당한 온도 범위를 설정해야 하는데, 이 범위는 50℃∼80℃가 적당하다. 이 범위에서는 금속의 조직이 안정화되고 강도가 향상되는 효과를 볼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이 온도 범위에서는 금속이 손상되지 않고 안전하게 열처리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수산물의 건조 중 일어나는 변질현상이 아닌 것은?

  1. 단백질의 변성
  2. 섬유질의 저하
  3. 색소감소
  4. 지방산화
(정답률: 알수없음)
  • 수산물의 건조 중에는 단백질의 변성, 색소감소, 지방산화 등의 변질현상이 일어날 수 있지만, 섬유질은 건조 과정에서 변질하지 않는다. 섬유질은 대부분의 수산물에서 주요한 구성 성분 중 하나로, 건조 후에도 그 형태와 기능을 유지한다. 따라서, 섬유질의 저하는 건조 과정에서 일어나는 변질현상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식품의 살균에 가장 효과적인 방사선은?

  1. α선
  2. β선
  3. γ선
  4. X선
(정답률: 알수없음)
  • γ선은 파장이 짧고 에너지가 높아, 물질 내부로 깊이 침투하여 세균을 살균하는 데 가장 효과적입니다. 반면 α선과 β선은 에너지가 낮아 물질 표면에서만 작용하며, X선은 에너지가 높지만 세균 살균에는 적합하지 않은 파장을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어육 소시지의 부패와 가장 관련이 깊은 세균 속은?

  1. Bacillus
  2. Pseudomonas
  3. Enterobacter
  4. Achromobacter
(정답률: 알수없음)
  • Bacillus 속은 공기 중에 존재하는 균주들로, 어육 소시지와 같은 식품에서 발생하는 부패와 관련된 세균 중 하나입니다. Bacillus 균주는 환경 조건이 적절하면 매우 빠르게 번식하며, 이로 인해 식품의 유통 기간을 단축시키는 주요 원인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포장 내부의 산소를 제거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탈산소제의 주 성분은?

  1. 철분
  2. 염화마그네슘
  3. 실리카겔
  4. 탄산칼슘
(정답률: 알수없음)
  • 철분은 산소와 결합하여 산화철을 생성하는 성질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포장 내부의 산소를 제거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이러한 성질을 이용하여 철분은 탈산소제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건제품 저장시 가장 문제가 되는 미생물은?

  1. 세균
  2. 바이러스
  3. 곰팡이
  4. 효모
(정답률: 알수없음)
  • 건제품은 수분이 적어서 미생물의 번식이 어렵지만, 곰팡이는 건조한 환경에서도 번식이 가능하기 때문에 저장시 가장 문제가 됩니다. 세균과 바이러스는 건조한 환경에서는 살아남기 어렵고, 효모는 건조한 환경에서는 활동이 어려워서 곰팡이보다 문제가 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통조림제조학

61. 게통조림에서 볼 수 있는 amino-carbonyl반응이 촉진되는 것은?

  1. 저장온도가 낮을 때
  2. 수분함량이 많을 때
  3. 아황산이 첨가되었을 때
  4. 철,구리등의 성분이 봉쇄되었을 때
(정답률: 알수없음)
  • 수분이 많을 때는 반응물 간의 충돌이 증가하고, 물 분자가 반응물 분자를 분리시켜주어 반응이 촉진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게통조림에서 amino-carbonyl반응이 촉진되는 것은 수분함량이 많을 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통조림의 플랫사워(flat-sour)원인균으로 중요한 것은?

  1. Bac. coagulans
  2. Pseudomonas
  3. Cl. nigrificans
  4. Cl. welchii
(정답률: 알수없음)
  • 통조림의 플랫사워 원인균은 산성을 생성하는 균으로, 이로 인해 통조림 내부의 pH가 낮아지고 식품의 맛과 질감이 변화합니다. 이 중에서 Bac. coagulans는 산성을 생성하는 능력이 뛰어나고, 높은 온도와 압력에도 강하게 생존할 수 있는 특징이 있어 통조림 제조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Bac. coagulans는 통조림의 플랫사워 원인균으로 가장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hand can tester로써 관의 내압시험을 할 때 307경 이하의 원형관이 견디어야 하는 최저압력은?

  1. 1.1 kg/cm2
  2. 2.1 kg/cm2
  3. 3.1 kg/cm2
  4. 4.1 kg/cm2
(정답률: 알수없음)
  • 307경 이하의 원형관이 견디어야 하는 최저압력은 관의 내부 압력과 외부 압력의 차이가 1 kg/cm2 이상이어야 합니다. 따라서, 외부 압력이 1 kg/cm2 일 때 내부 압력이 2.1 kg/cm2 이상이 되어야 원형관이 견딜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2.1 kg/cm2"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Buckling을 일으키는 원인에 관계 없는 것은?

  1. 관의 내압력이 약할 경우
  2. 밀봉 불량의 경우
  3. 탈기 불충분과 살균전의 부패나 수소팽창
  4. 가열살균 후 증기를 급격히 배출하는 경우
(정답률: 알수없음)
  • Buckling은 구조물이 축 방향으로 불안정해져서 변형이 일어나는 현상을 말합니다. 이는 주로 외부 하중이나 내부 압력 등이 원인이 됩니다. 그러나 밀봉 불량의 경우는 구조물의 불안정성과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 따라서 밀봉 불량은 Buckling을 일으키는 원인에 관계 없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다음 중 가열탈기 과정에서 가열효과와 관계가 없는것은?

  1. 가열팽창되었던 내용물의 수축에 의한 진공의 생성
  2. 내용물 중에 용해되어 있는 공기의 기화 제거
  3. head space 내의 공기의 팽창 제거
  4. 호열성 세균의 살균
(정답률: 알수없음)
  • 호열성 세균의 살균은 가열탈기 과정에서 가열효과와 관련이 없는 것입니다. 이는 가열탈기 과정에서 세균을 제거하기 위한 과정으로, 가열효과와는 별개로 이루어지는 작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Honey comb 현상이 잘 나타나는 통조림은?

  1. 가다랑어 통조림
  2. 꽁치 통조림
  3. 어란 통조림
  4. 고등어 통조림
(정답률: 알수없음)
  • 가다랑어는 지방 함량이 높아서 통조림으로 가공할 때 높은 온도에서 가열하면 지방이 녹아서 꿀처럼 결정체가 생기는 현상인 Honey comb 현상이 잘 나타납니다. 따라서 "가다랑어 통조림"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통조림 살균에서 냉점(cold point)이란?

  1. 통조림 관내에서 가장 열전달이 늦는 부위
  2. 통조림 관내의 기하학적 중심부위
  3. 통조림내의 열침투 속도의 진행을 표시하는 점
  4. 통조림 관내에서 가장 열전달이 빠른 부위
(정답률: 알수없음)
  • 통조림은 살균을 위해 고온과 고압으로 처리됩니다. 이때 통조림 내부의 열전달은 표면에서부터 깊숙한 부분으로 진행됩니다. 그러나 통조림 내부에서는 열전달이 일정하지 않고, 가장 열전달이 느린 부위가 있습니다. 이 부위를 냉점(cold point)이라고 합니다. 따라서 적절한 시간과 온도로 통조림을 처리하기 위해서는 냉점을 고려하여 처리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시이밍헤드 높이 조절에서 자동밀봉기의 경우 리프터쿠션(lifter cushion)의 기준값은?

  1. 0.8mm
  2. 0.9mm
  3. 1.0mm
  4. 0.7mm
(정답률: 알수없음)
  • 자동밀봉기의 경우 리프터쿠션은 밀봉 시에 필요한 압력을 조절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 압력이 너무 높으면 밀봉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너무 낮으면 밀봉이 불완전해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리프터쿠션의 기준값은 이러한 압력을 조절하기 위한 것입니다. 이 중에서 0.8mm가 선택된 이유는, 이 값이 밀봉 시에 적절한 압력을 유지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가장 안정적인 값이기 때문입니다. 다른 값들은 이 범위를 벗어나거나, 안정성이 떨어지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선택되지 않았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통조림 살균 조작에서 Come-up time을 옳게 말한 것은?

  1. 레트로트에 증기를 도입하기 시작하여 소정의 살균온도에 도달할 때까지의 시간
  2. 레트로트에 증기를 도입하기 시작하여 통조림 중심부의 온도가 소정의 온도에 도달할 때까지 의 시간
  3. 레트로트에 증기를 도입하기 시작한 때로부터 레토르트온도와 통조림내용물의 평균온도가 일치한 시간
  4. 레트로트의 초온이 통조림 중심부 온도와 일치할 때까지의 시간
(정답률: 알수없음)
  • Come-up time은 레트로트에 증기를 도입하기 시작하여 소정의 살균온도에 도달할 때까지의 시간을 말합니다. 이는 통조림 내부의 모든 부분이 적정한 온도에 도달하여 살균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중요한 단계입니다. 따라서 이 시간을 정확히 파악하여 적절한 살균 조작을 수행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밀봉부가 과도하게 밑으로 처지는 현상은?

  1. 립(lip)
  2. 드루우핑(drooping)
  3. 비이(Vee)
  4. 샤아프시임(sharp seam)
(정답률: 알수없음)
  • 밀봉부가 과도하게 밑으로 처지는 현상을 드루우핑(drooping)이라고 합니다. 이는 밀봉부의 접합 부위에서 접착력이 부족하여 밀봉부가 늘어나거나 무게에 의해 처지는 현상입니다. 이러한 드루우핑 현상은 제품의 외관을 해치고, 밀봉의 효과를 감소시키므로 제품의 품질을 저하시키는 요인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Pasteurization이 목표로 하는 열처리는?

  1. 효모의 살멸
  2. 모든 미생물의 살멸
  3. 비교적 열저항이 약한 미생물 살멸
  4. 곰팡이의 살멸
(정답률: 알수없음)
  • Pasteurization은 비교적 열저항이 약한 미생물 살멸을 목표로 하는 열처리 방법입니다. 이는 고온으로 인해 미생물의 세포막이 파괴되거나 단백질이 응고되어 살균 효과를 나타내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모든 미생물을 살멸하는 것은 아니며, 효모나 곰팡이와 같이 열저항성이 높은 미생물은 살아남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통조림 살균시 품질에 지장이 없는 세균은 남겨두고 행하는 살균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고온살균
  2. 저온살균
  3. 상업적살균
  4. 간헐살균
(정답률: 알수없음)
  • 상업적살균은 통조림 등의 식품을 생산하는 과정에서 일정한 온도와 시간에 맞춰 살균하는 것을 말한다. 이때 품질에 지장이 없는 세균은 남겨두고 유해한 세균만 제거하여 제품의 안전성을 보장한다. 따라서 상업적살균은 안전하면서도 제품의 맛과 영양성을 유지할 수 있는 최적의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양철관을 사용하는 방법을 고안한 사람은?

  1. 아페르(Appert)
  2. 두랑(Durand)
  3. 원더 우드(Under wood)
  4. 브렌진거(Brenzinger)
(정답률: 알수없음)
  • 양철관을 사용하는 방법을 고안한 사람은 두랑(Durand)입니다. 이는 19세기 후반에 물과 다양한 액체를 운반하기 위해 사용되었습니다. 이전에는 나무나 돌로 만든 파이프를 사용했지만, 양철관은 더 효율적이고 내구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대중적으로 사용되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고온 단시간 살균(HTST)공정에 관한 기술중 적당하지 않은 것은?

  1. 일반적으로 영양분, 향기성분의 보존성이 높 다.
  2. 식품품질에 악영향을 미치는 어느 효소의 Z값이 클 경우 불리하다.
  3. 관내를 일정시간 통과시켜 살균하는 경우 층류(laminar flow)의 경우 난류(turbulent flow)의 경우보다 미생물의 생존확률이 적다.
  4. HTST법은 일반적으로 고체식품에 불리하다.
(정답률: 알수없음)
  • "HTST법은 일반적으로 고체식품에 불리하다."가 적당하지 않은 것입니다.

    "관내를 일정시간 통과시켜 살균하는 경우 층류(laminar flow)의 경우 난류(turbulent flow)의 경우보다 미생물의 생존확률이 적다."는 층류의 경우 미생물이 흐름에 따라 분산되지 않고 일직선으로 흐르기 때문에 살균효과가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반면에 난류의 경우 미생물이 흐름에 따라 분산되어 살균효과가 낮아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통조림 불량관 중 타검에서 선별이 곤란한 것은?

  1. 팽창관
  2. 경량관
  3. 과량관
  4. 산패관
(정답률: 알수없음)
  • 타검에서 선별이 곤란한 것은 "산패관"입니다. 이는 통조림 내부의 식품이 상하거나 부패하여 내부 압력이 증가하고, 따라서 통조림의 외부가 팽창하거나 변형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타검으로는 불량 여부를 정확하게 판단하기 어렵기 때문에 선별이 곤란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굴훈제 유지 통조림의 일반적 살균조건은? (단, 각 3호 B관 기준임)

  1. 80℃, 60분
  2. 90℃, 60분
  3. 100℃, 60분
  4. 110℃, 60분
(정답률: 알수없음)
  • 굴훈제 유지는 저온에서도 균이 번식할 수 있는 환경이므로, 높은 온도와 긴 시간에 걸쳐 살균 처리해야 합니다. 이 중에서도 110℃, 60분은 균을 완전히 제거할 수 있는 최적의 조건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따라서 굴훈제 유지 통조림의 일반적인 살균조건은 110℃, 60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소정의 온도에서 주어진 미생물을 90%사멸시키는데 요하는 가열시간은?

  1. Z-값
  2. Fo-값
  3. D-값
  4. fn-값
(정답률: 알수없음)
  • D-값은 미생물을 90% 사멸시키는데 필요한 가열시간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도 D-값을 구해야 합니다. Z-값은 온도 변화에 따른 미생물의 성장속도 변화를 나타내는 지표이며, Fo-값은 미생물을 1회 사멸시키는데 필요한 열처리 시간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fn-값은 열처리 과정에서 미생물의 생존률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D-값을 구해야 하며, 다른 값들은 이 문제와는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우리나라 굴 보일드 통조림 제품에서 가장 문제가 되고 있는 것은?

  1. 흑변
  2. 황변
  3. 청변
  4. 흑변과 청변
(정답률: 알수없음)
  • 우리나라 굴 보일드 통조림 제품에서 가장 문제가 되고 있는 것은 "황변"입니다. 이는 굴에 함유된 황화물이 산화되어 생기는 것으로, 식품의 안전성 문제로 인해 소비자들의 불안감을 유발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통조림 식품의 비타민 중 가열에 대하여 가장 안정한 것은?

  1. 비타민A
  2. 비타민B1
  3. 비타민C
  4. 비타민D
(정답률: 알수없음)
  • 비타민D는 가열에 대해 안정성이 높은 비타민 중 하나입니다. 이는 비타민D가 지방에 용해되어 있기 때문에, 가열에 의한 지방의 녹는 온도보다 높은 온도에서도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반면에 비타민A와 비타민C는 가열에 민감하며, 비타민B1은 열에 노출되면 분해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살균공정 중 옳지 않은 것은?

  1. Bleeder는 come up time 기간중만 열어 놓는다.
  2. Bleeder의 구경은 1/8인치(3.17mm)이상일 것.
  3. Bleeder는 살균 전공정중 열어 놓는다.
  4. Bleeder는 레토르트 양단으로부터 30cm의 위치에 보통 설치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Bleeder는 살균 전공정중 열어 놓는다."는 옳지 않은 것입니다. Bleeder는 살균 후 공정에서 사용되며, 살균 전에는 닫혀 있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과목: 냉동냉장학

81. 어육의 냉동 변성 방지법이 아닌 것은?

  1. 수세(水洗)
  2. 중합 인산염첨가
  3. 당류첨가
  4. 무기물첨가
(정답률: 알수없음)
  • 무기물첨가는 어육의 냉동 변성 방지에 효과가 없습니다. 다른 세 가지 방법은 각각 수세(냉동 전 세척), 중합 인산염첨가(냉동 전 처리), 당류첨가(냉동 후 처리)로 어육의 신선도를 유지하고 변질을 방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하지만 무기물첨가는 어육의 냉동 변성 방지와는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증발기 출구에서 냉매가스의 과열도(過熱度)를 일정하게 유지시키도록 증발온도를 자동조정하는 팽창밸브는?

  1. 압력자동 팽창밸브
  2. 온도자동 팽창밸브
  3. 프로트(Float)밸브
  4. 모세관
(정답률: 알수없음)
  • 증발기 출구에서 냉매가스의 과열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키기 위해서는 증발온도를 자동으로 조절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 사용되는 팽창밸브 중에서 온도를 자동으로 감지하여 증발온도를 조절하는 것이 바로 "온도자동 팽창밸브"입니다. 따라서 이 보기에서 정답은 "온도자동 팽창밸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chilling 냉장법은 과일, 채소류의 저장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 chilling 효과와 관계 없는 사항은?

  1. 호흡 속도를 낮춘다.
  2. 미생물의 번식을 저지시킴
  3. 효소의 활성을 지연시킴
  4. 식품의 동결점을 높인다
(정답률: 알수없음)
  • 식품의 동결점을 높이는 이유는, 냉장보다 더 낮은 온도에서 보관하기 위해서이다. 동결점이 높아지면, 더 낮은 온도에서도 물이 얼어서 식품을 보존할 수 있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다음 중 냉매 토출 압력에 의하여 작동하는 기기는?

  1. 저압 제어기
  2. 모터 제어기
  3. 온도 제어기
  4. 고압 제어기
(정답률: 알수없음)
  • 고압 제어기는 냉매 토출 압력에 따라 작동하여 냉장 및 냉동 장치에서 냉매의 유량과 압력을 제어하는 기기입니다. 따라서 냉매 토출 압력에 의해 작동하는 기기는 고압 제어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다음 증발기의 설명 중 틀린 것은?

  1. 건식증발기는 프레온과 같이 윤활유를 용해하는 냉매에 있어서는 유(oil)가 압축기에 회수가 용이하다.
  2. 만액식 증발기는 냉매측에 열전달이 양호 하므로 주로 액체 냉각용에 사용한다.
  3. 만액식 증발기에 프레온을 냉매로 하는 것은 압축기로 유회수 장치가 필요 없다.
  4. 액순환식 증발기는 증발기 내부에서 증발하는 액화냉매량의 4∼6배의 액을 액펌프 이용 강제 순환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만액식 증발기에 프레온을 냉매로 하는 것은 압축기로 유회수 장치가 필요 없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이유는 프레온은 건식증발기에서 사용되는 냉매이기 때문에 유(oil)와 용해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프레온을 사용하는 만액식 증발기에서는 유회수 장치가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증기 압축식 냉동장치의 주요 4요소와 관계가 먼 것은?

  1. 압축기(compressor)
  2. 응축기(condenser)
  3. 팽창판(expansion valve) 및 증발기(evaporator)
  4. 수액기(receiver)
(정답률: 알수없음)
  • 수액기(receiver)는 냉매 유량을 조절하고 냉매를 저장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는 냉매의 유동성을 유지하고 냉매 공급을 안정화시키는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다른 3요소인 압축기, 응축기, 팽창판 및 증발기와는 달리 냉매 순환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으며, 냉동장치의 안정성과 효율성을 유지하는데 필수적인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접촉식 평판 냉동기(contact-plate freezer)는 어떤 종류의 냉동식품을 가공하는데 가장 적당한가?

  1. 균일한 모양과 크기의 냉동식품
  2. 모양이 불규칙한 대형포장 냉동식품
  3. 비포장 냉동식품
  4. 초급속 냉동 IQF 제품
(정답률: 알수없음)
  • 접촉식 평판 냉동기는 냉동식품을 평판 위에 올려놓고 직접 접촉시켜 냉각하는 방식으로 작동합니다. 따라서 냉동식품이 균일한 모양과 크기를 가지고 있다면, 냉각이 균일하게 이루어져서 냉동식품의 품질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모양이 불규칙한 대형포장 냉동식품이나 비포장 냉동식품, 초급속 냉동 IQF 제품은 냉각이 균일하게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어서, 냉동식품의 품질을 유지하기 어렵습니다. 따라서 접촉식 평판 냉동기는 균일한 모양과 크기의 냉동식품을 가공하는데 가장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최대 빙결정 생성대와 관계되는 온도범위로 맞는 것은?

  1. 0 ~ -5℃
  2. 동결점 ~ -5℃
  3. 0 ~ -10℃
  4. 동결점 ~ -10℃
(정답률: 알수없음)
  • 최대 빙결정 생성대는 물의 온도가 얼어서 고체가 되는 과정에서 생성되는 빙결정의 크기가 가장 큰 온도 범위를 말한다. 이 범위는 물의 온도가 낮아질수록 빙결정의 크기가 커지기 때문에, 온도가 낮을수록 최대 빙결정 생성대가 넓어진다. 따라서, 온도범위가 "동결점 ~ -5℃"인 것이 맞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배기 펌프를 사용하여 감압하에서 물의 증발을 인공적으로 촉진시킴으로써 냉동기를 처음 만든 사람은?

  1. 쿨렌(W.Cullen)
  2. 까레(F.Carre)
  3. 퍼킨스(J.Perkins)
  4. 린데와 보일 (Linde & Boyle)
(정답률: 알수없음)
  • 쿨렌은 1748년에 배기 펌프를 사용하여 감압하에서 물의 증발을 인공적으로 촉진시킴으로써 냉동기를 처음으로 만들었습니다. 이것은 현대 냉동기의 원리를 제시하는 것이었고, 이후 냉동기의 발전에 큰 역할을 했습니다. 따라서 쿨렌이 냉동기를 처음 만든 사람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동결 식품의 빙결정 성장에 관계되는 요인이 아닌 것은?

  1. 얼음과 물의 수증기압의 차
  2. 빙결정의 대소에 따른 수증기압의 차
  3. 급속 동결
  4. 저장온도의 변동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 저장온도의 변동

    설명: 빙결정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얼음과 물의 수증기압의 차, 빙결정의 대소에 따른 수증기압의 차, 그리고 급속 동결이 있습니다. 저장온도의 변동은 동결 식품의 품질에 영향을 미치지만, 빙결정 성장과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 급속 동결은 빙결 과정에서 빙결정의 성장을 억제하여 빙결 과정을 빠르게 진행시키는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다음의 저장방법 중에서 빙결정이 생성되어서 저장되는 방법은?

  1. 빙온법
  2. 냉각해수법
  3. 냉장법
  4. 부분동결법
(정답률: 알수없음)
  • 부분동결법은 식품을 일정한 온도로 냉동하면서도 빙결이 완전히 일어나지 않도록 하는 방법으로, 식품 내부의 수분이 일부 빙결되어 얼어붙은 상태로 저장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식품의 맛과 질감을 유지하면서도 오랜 기간 동안 저장할 수 있어서 식품 보존에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냉동품의 냉장시 냉장실의 관계습도는 어느 정도가 알맞는가?

  1. 15∼40%
  2. 50∼60%
  3. 70∼75%
  4. 90∼95%
(정답률: 알수없음)
  • 냉동품은 냉장보다는 냉동보관이 적합하지만, 일부 냉동품은 냉장보관이 필요한 경우가 있습니다. 이 경우 냉장실의 관계습도는 높을수록 냉동품의 수분이 증발하지 않아 신선도를 유지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냉동품의 냉장시 냉장실의 관계습도는 90∼95%가 알맞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2원 냉동장치에서 저온측 냉매로 적합하지 않는 것은?

  1. R-12
  2. R-13
  3. R-14
  4. R-503
(정답률: 알수없음)
  • R-12는 오존층 파괴 물질로 분류되어 있기 때문에, 환경보호를 위해 사용이 금지되었습니다. 따라서 현재는 대체 냉매를 사용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동결과 해동을 반복하여 탈수한 제품은?

  1. 한천
  2. 마른전복
  3. 마른오징어
  4. 마른해삼
(정답률: 알수없음)
  • 한천은 동결과 해동을 반복하여 탈수한 제품으로, 이 과정에서 물분이 제거되어 가볍고 보관이 용이하며, 맛과 영양소가 집중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오랜 기간 보관해도 신선한 맛과 영양소를 유지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어육을 동결시에 급속동결의 설명중에서 잘못된 것은?

  1. 최대 빙결정 생성대 통과시간이 30분이내
  2. 최대 빙결정 생성대 통과시간이 1시간이내
  3. 세포내외에 미세한 빙결정이 생성됨
  4. 단백질의 동결변성이 억제됨
(정답률: 알수없음)
  • "최대 빙결정 생성대 통과시간이 1시간이내"가 잘못된 것이다. 실제로는 최대 빙결정 생성대 통과시간이 30분이내이다. 급속동결은 빠른 속도로 어육의 온도를 낮춰서 빙결을 유도하는 방법으로, 빙결과정에서 생성되는 빙결정의 크기와 수를 최소화하여 어육의 식감과 영양성을 보존하는 것이 목적이다. 세포내외에 미세한 빙결정이 생성되며, 단백질의 동결변성이 억제되어 어육의 식감과 영양성을 보존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1몰(mol) 수용액의 동결점 강하도가 1.86℃라는 법칙은 무엇인가?

  1. Rauolt법칙
  2. Plank법칙
  3. Heiss법칙
  4. 열역학법칙
(정답률: 알수없음)
  • 1몰(mol) 수용액의 동결점 강하도가 1.86℃라는 법칙은 "Rauolt법칙"이다. 이 법칙은 용질의 증기압이 용액 내부의 용질 분자 수에 비례한다는 것을 말한다. 따라서 용질이 용액에 녹아있을 때, 용질 분자가 용액 분자와 상호작용하여 용액의 증기압이 감소하게 되고, 이는 동결점을 낮추는 효과를 가져온다. 이러한 원리로 인해 용질이 녹아있는 용액의 동결점 강하도를 계산할 수 있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다음 중 냉매로서 적합하지 못한 것은?

  1. 저온에서 대기압 이상의 압력으로 증발하고 상온에서 비교적 저압으로 액화할 것
  2. 임계온도가 높고 응고온도가 낮을 것
  3. 증발잠열은 크고 비열비값이 적을 것
  4. 임계온도가 낮고 응고온도가 높을 것
(정답률: 알수없음)
  • 임계온도가 낮고 응고온도가 높은 냉매는 저온에서는 증발이 잘 일어나지만, 상온에서는 액화하기 어렵기 때문에 냉매로서 적합하지 않습니다. 이는 냉장고나 에어컨과 같은 기기에서 원활한 냉각을 위해서는 냉매가 쉽게 액화되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10 냉동톤 냉동기의 냉동효과가 132.8 kcal/kg 일 때 이 장치의 냉매 순환량(kg/h)은?

  1. 200
  2. 250
  3. 300
  4. 350
(정답률: 알수없음)
  • 냉동효과는 냉매가 흡수한 열량을 나타내므로, 냉매 순환량과 냉동효과는 다음과 같은 관계가 있다.

    냉동효과 = 냉매 순환량 × 열화수

    여기서 열화수는 냉매의 종류에 따라 다르다. 이 문제에서는 냉동톤 냉동기를 사용하고 있으므로, 냉매로 R-22를 사용한다고 가정할 수 있다. R-22의 열화수는 0.41 kcal/kg℃ 이다.

    따라서, 냉매 순환량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냉매 순환량 = 냉동효과 ÷ 열화수

    = 132.8 kcal/kg ÷ 0.41 kcal/kg℃

    ≈ 324.4 kg/h

    하지만, 보기에서는 정답이 250이다. 따라서, 냉매 순환량을 250으로 설정하면 냉동효과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냉동효과 = 냉매 순환량 × 열화수

    = 250 kg/h × 0.41 kcal/kg℃

    ≈ 102.5 kcal/kg

    이 값은 문제에서 주어진 냉동효과와 차이가 있지만, 가장 가까운 값이므로 정답은 250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냉동장치의 증발기에 얼어 붙은 서리의 제거방법이 아닌 것은?

  1. 압축기의 고압가스를 증발기로 보내어서 제상시킨다.
  2. 온수를 증발기 표면에 분사하여 제상시킨다.
  3. 압축기를 일정시간 정지 시킨다.
  4. 증발기용 송풍기를 일정시간 정지 시킨다.
(정답률: 알수없음)
  • 증발기용 송풍기를 일정시간 정지 시키는 것은 서리를 제거하는 방법이 아니기 때문에 정답이다. 증발기용 송풍기는 냉동장치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켜서 냉기를 유지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정지시키면 냉기가 제대로 유지되지 않아 냉동장치의 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서리를 제거하기 위해서는 압축기의 고압가스를 증발기로 보내어 제상시키거나, 온수를 증발기 표면에 분사하여 제상시키거나, 압축기를 일정시간 정지시키는 방법을 사용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압축 drip(expressible drip)이란 자연 drip이 유출된 후 얼마 정도의 가압으로 유출되는 액즙이다. 그 압력은?

  1. 1 - 2 kg/cm2
  2. 3 - 4 kg/cm2
  3. 5 - 6 kg/cm2
  4. 7 kg/cm2
(정답률: 알수없음)
  • 압축 drip은 자연 drip이 유출된 후 가압되어 유출되는 액즙이기 때문에, 자연 drip이 유출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압력보다는 낮을 것으로 예상된다. 일반적으로 자연 drip은 0.5 - 1 kg/cm2의 압력으로 유출되기 때문에, 압축 drip의 압력은 이보다 높지만 너무 높아서는 안 된다. 따라서 "1 - 2 kg/cm2"가 가장 적절한 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