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산제조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4-05-23)

수산제조기사
(2004-05-23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식품위생학

1. 다음의 세균 중 식품취급자의 손, 피부, 인후염 등을 통하여 식품에 가장 오염되기 용이한 것은?

  1. Escherichia coli
  2. Salmonella spp.
  3. Staphylococcus aureus
  4. Shigella spp.
(정답률: 알수없음)
  • Staphylococcus aureus는 인체의 피부나 코, 인후염 등에서 자주 발견되며, 식품취급자의 손이나 피부에서도 쉽게 발견됩니다. 또한, 이 세균은 식품을 오래 두면서도 살아남을 수 있고, 빠르게 번식하여 식중독을 일으키기 쉽습니다. 따라서, 식품취급자의 손, 피부, 인후염 등을 통해 식품에 가장 쉽게 오염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대장균의 정성, 정량 검사법으로 사용되는 선택 배지는?

  1. Lactose broth
  2. BGLB broth
  3. Deoxycholate agar
  4. EC broth
(정답률: 알수없음)
  • Deoxycholate agar는 대장균의 성장을 억제하는 성분인 디옥시콜산을 함유하고 있어서, 대장균을 포함한 다른 세균들과 구별할 수 있습니다. 또한, 대장균은 이 배지에서 검출되는 적색 염색형태로 나타나기 때문에 정성, 정량 검사에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다음 식물성 식중독의 원인성분과 식품의 연결이 바르지 않는 것은?

  1. 솔라닌(solanine) - 감자
  2. 아미그달린(amygdalin) - 청매
  3. 무스카린(muscarine) - 버섯
  4. 셉신(sepsine) - 고사리
(정답률: 알수없음)
  • 셉신은 고사리에 존재하는 독성 성분이지만, 다른 보기들은 해당 식품에 존재하는 독성 성분이 맞는 것이다. 솔라닌은 감자, 아미그달린은 청매, 무스카린은 버섯에 존재하는 독성 성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파리에 의하여 전파되는 질병과 가장 관계가 먼 것은?

  1. 장티푸스
  2. 파라티푸스
  3. 이질
  4. 발진티푸스
(정답률: 알수없음)
  • 파리는 음식물 쓰레기나 오물 등에 서식하여 그 위에 앉은 후 다른 장소로 이동하면서 병원균을 전파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파리와 관련된 질병은 위생 상태가 좋지 않은 환경에서 발생하는 질병이 많습니다. 그 중에서도 발진티푸스는 주로 오염된 음식물을 섭취함으로써 전파되는 질병으로, 파리와 직접적인 연관성은 적습니다. 따라서 발진티푸스가 파리와 가장 관계가 먼 질병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라면 등의 식품에서 지나친 건조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가장 중요한 위생문제는?

  1. 지방의 산화
  2. 단백질 변성
  3. 전분의 노화
  4. 무기질 산화
(정답률: 알수없음)
  • 지나친 건조로 인해 식품 내부의 지방이 산화되면, 이산화질소와 같은 유해 물질이 생성될 수 있습니다. 이는 식품의 위생에 큰 영향을 미치며, 심한 경우에는 소화기 질환 등의 건강 문제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지방의 산화는 가장 중요한 위생문제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식품오염에 문제가 되는 방사성 물질과 거리가 먼 것은?

  1. 90Sr
  2. 137Cs
  3. 131I
  4. 12C
(정답률: 알수없음)
  • 보기 중 "12C"는 방사성 물질이 아니라 안정적인 동위원소이기 때문에 식품오염에 문제가 되지 않습니다. 반면, "90Sr", "137Cs", "131I"는 방사성 동위원소로 식품오염에 문제가 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다음의 식품 첨가물 중 유화제로 사용되지 않는 것은?

  1. soybean lecithin
  2. glycerin fatty acid ester
  3. morpholine fatty acid salt
  4. sucrose monosterate
(정답률: 알수없음)
  • 유화제는 물과 기름을 섞어주는 역할을 합니다. "morpholine fatty acid salt"는 유화제로 사용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복어 식중독의 독성물질로서 맞는 것은?

  1. 히스타민(histamine)
  2. 프토마인(ptomaine)
  3. 테트로도톡신(tetrodotoxin)
  4. 아마니타톡신(amanitatoxin)
(정답률: 알수없음)
  • 복어 식중독의 독성물질은 테트로도톡신입니다. 이는 복어의 내장과 가시에 존재하는 신경독성 물질로, 신경계를 마비시켜 호흡과 심장을 멈추게 합니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복어 요리는 전문적인 기술과 경험이 필요하며, 안전한 조리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식중독 사고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공장폐수에 포함된 수은이 환경수를 오염시켜 식품오염으로 연결된다. 다음 중 설명이 틀린 것은?

  1. 무기수은은 재질에 포함되어 있는 세균에 의하여 메틸수은이 된다.
  2. 생체내에서는 무기수은은 유기수은으로 변하는 일은 없다.
  3. 유기수은은 무기수은보다 생체 축적성이 크다.
  4. 머리카락중의 총수은량으로 메틸수은 중독을 진단하는 기준으로 쓸 수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무기수은은 재질에 포함되어 있는 세균에 의하여 메틸수은이 된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실제로는 무기수은이 세균에 의해 메틸수은으로 변환되는 과정이 일어나며, 이 메틸수은이 생체 내에서 축적되어 중독을 일으키는 경우가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합성수지제 식품용기를 소독하는 방법으로 가장 부적당한 것은?

  1. 열탕소독(90℃, 5분)
  2. 건열살균(150℃, 30분)
  3. 염소소독
  4. 역성비누액살균
(정답률: 알수없음)
  • 합성수지제 식품용기는 고온에 노출될 경우 변형되거나 녹을 수 있기 때문에, 가장 부적당한 방법은 건열살균(150℃, 30분)입니다. 이 방법은 너무 높은 온도와 긴 시간에 노출되기 때문에 식품용기가 손상될 우려가 있습니다. 따라서, 합성수지제 식품용기를 소독할 때는 열탕소독(90℃, 5분), 염소소독, 역성비누액살균 등을 사용하는 것이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식품에 대한 방사선조사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Co-60을 선원으로 한 γ선이 식품조사에 가장 널리 이용된다.
  2. 병원균의 살균을 위해서는 발아 억제를 위한 조사에 비해 높은 선량이 필요하다.
  3. 방사선 조사시 바이러스는 해충에 비해 민감하다.
  4. WHO/FAO는 식품의 선도 연장, 병원균살균, 특성 개선 등을 위한 중선량 조사의 선량은 1∼10kGy라고 했다.
(정답률: 알수없음)
  • 방사선 조사시 바이러스는 해충에 비해 민감하다는 설명이 옳지 않다. 이유는 바이러스는 생물체가 아니기 때문에 방사선에 대한 민감도가 없다. 따라서 바이러스를 제거하기 위해서는 다른 방법이 필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고시폴(gossypol)은 식물독으로서 정제과정에서 제거되는데 다음 어느 것에 함유되어 있는가?

  1. 미강유
  2. 들기름
  3. 면실유
  4. 콩기름
(정답률: 알수없음)
  • 고시폴은 면실유에 함유되어 있습니다. 이는 면실유가 면 종자에서 추출되는 과정에서 고시폴을 제거하기 위해 정제되기 때문입니다. 다른 보기인 미강유, 들기름, 콩기름은 고시폴을 함유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미생물에 의한 단백질의 변질시 생성되는 물질이 아닌 것은?

  1. 암모니아
  2. 아민류
  3. 페놀
  4. 젖산
(정답률: 알수없음)
  • 젖산은 미생물에 의한 단백질의 변질로 생성되는 물질이 아닙니다. 젖산은 유산균에 의해 발효되어 생산되는 유기산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효모의 증식에 영향을 주지 않는 보존제는?

  1. Sorbic acid
  2. Parabens
  3. Dehydroacetic acid(DHA)
  4. Propionic acid
(정답률: 알수없음)
  • Propionic acid은 효모의 증식을 억제하는 성질을 가지고 있지만, 다른 성분들은 효모의 증식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Sorbic acid는 효모에게 적극적으로 작용하지만, Parabens와 DHA는 효모의 증식을 촉진시킬 수 있습니다. 따라서 Propionic acid는 효모의 증식에 영향을 주지 않는 보존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주로 채소를 통하여 매개되는 기생충은?

  1. 십이지장충
  2. 간디스토마
  3. 민촌충
  4. 선모충
(정답률: 알수없음)
  • 십이지장충은 인간의 십이지장에서 기생하는 기생충으로, 주로 오염된 음식이나 물을 통해 인체에 감염됩니다. 이 기생충은 주로 채소나 과일 등을 통해 인체에 전파되며, 오랫동안 보존되는 식품에서도 발견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채소를 섭취할 때는 꼼꼼하게 세척하고, 생선이나 고기 등의 음식도 충분히 익혀 먹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대장균군에 대한 최확수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최확수란 이론적으로 가장 가능한 수치를 말한다.
  2. 대장균군수는 희석한 시료를 유당배지 발효관에 접종하여 실험한다.
  3. 유당배지 발효관 중 가스생성 여부에 따라 확률적인 대장균의 수치를 산출하고 최확수로 나타낸다.
  4. 실험결과, 최확수표에서 직접 구하는 대장균군수는 시료 1㎖에 대한 것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실험결과, 최확수표에서 직접 구하는 대장균군수는 시료 1㎖에 대한 것이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최확수표에서 구한 대장균군수는 일반적으로 1㎖ 시료에 대한 것이 아니라, 일정한 양의 시료를 일련의 희석 과정을 거쳐 만든 다양한 농도의 시료에 대한 것이다. 이후 이러한 농도들의 대장균군수를 측정하여 최확수표를 작성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인축공통 전염병이 아닌 것은?

  1. 야토병(tularemia)
  2. 탄저(anthrax)
  3. 파상열(brucelloses)
  4. 콜레라(cholera)
(정답률: 알수없음)
  • 콜레라는 장에 있는 세균인 콜레라균에 의해 전염되는 질병으로, 다른 세균이나 바이러스에 의한 인축공통 전염병과는 구분됩니다. 콜레라는 오염된 음식이나 물을 섭취함으로써 전파되며, 주로 물 부족이 심한 개발도상국에서 발생합니다. 즉, 콜레라는 인간의 손길이 닿은 물과 음식을 통해 전파되는 것이 특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다음 물질을 식품에 첨가했을 때 착색효과와 영양강화 현상을 동시에 나타낼 수 있는 것은?

  1. 아스코르빈산(ascorbic acid)
  2. 캐러멜(caramel)
  3. 베타카로틴(β -carotene)
  4. 비타민(Vitamin) C
(정답률: 알수없음)
  • 베타카로틴은 식품에 첨가했을 때 착색효과를 나타내며, 동시에 비타민 A로 전환되어 영양강화 현상을 나타낼 수 있습니다. 따라서 베타카로틴은 착색효과와 영양강화 현상을 동시에 나타낼 수 있는 유일한 물질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식품공장의 식품취급 시설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식품과 직접 접촉하는 부분은 위생적인 내수성 재질이어야 한다.
  2. 식품 제조가공에 필요한 기계 및 기구류에 대해서는 특별한 기준이 없으므로 임의로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3. 식품과 직접 접촉하는 부분은 열탕, 증기, 살균제 등으로 소독· 살균이 가능한 것이어야 한다.
  4. 냉동· 냉장시설 및 가열처리 시설에는 온도계 등을 설치하여 온도관리를 해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식품 제조가공에 필요한 기계 및 기구류에 대해서는 특별한 기준이 없으므로 임의로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는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이는 위생적인 이유로 인해 식품 산업에서는 기계 및 기구류에 대한 특별한 기준과 규제가 있습니다. 이러한 기준과 규제는 식품안전법 등의 법령에서 규정되어 있으며, 이를 준수하지 않을 경우 식품의 안전성과 위생성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식품가공 공장의 바닥, 수구 등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바닥은 내수성이고 청소하기에 편리하여야 된다.
  2. 바닥은 물이 잘 빠지도록 경사가 필요하다.
  3. 배수구는 U자형으로 하는 것이 좋다.
  4. 배수구는 벽과 평행하여 밀착되게 설치하되 깊이는 15m 이상 되게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배수구는 벽과 평행하여 밀착되게 설치하되 깊이는 15m 이상 되게 한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배수구의 깊이는 필요에 따라 다르며, 15m 이상이 되어야 하는 경우는 거의 없습니다.

    배수구는 바닥에 있는 물을 효과적으로 배출하기 위해 설치되는데, 벽과 평행하게 설치하면 바닥의 물을 효과적으로 배출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배수구는 바닥의 경사와 맞게 설치되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수산화학

21. 엑스분(extractives)과 관계 없는 것은?

  1. 정미성분
  2. 저분자 질소화합물
  3. 색소
  4. 유기산
(정답률: 알수없음)
  • 엑스분은 광물, 석유, 가스 등 자연자원을 추출하는 산업을 말하는데, "색소"는 이와 관련이 없는 화학물질이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다음 중 다시마에 함유되어 있는 혈압강하성분은?

  1. 라민닌(Laminine)
  2. 도모익산(Domoic acid)
  3. 카이닉산(Kainic acid)
  4. 파이코빌린(Phycobilin)
(정답률: 알수없음)
  • 라민닌은 다시마에서 추출된 단백질 성분으로, 혈압을 강하게 조절하는 효과가 있습니다. 다른 보기들은 다시마에 함유되어 있지만 혈압강하성분으로는 알려져 있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탈아미노반응에 의해 포화지방산과 암모니아가 생성되는 것은?

  1. 산화적 탈아미노반응
  2. 환원적 탈아미노반응
  3. 직접적 탈아미노반응
  4. 간접적 탈아미노반응
(정답률: 알수없음)
  • 탈아미노반응은 아미노기가 분해되어 아미노기의 아미노기가 아닌 부분이 제거되는 반응이다. 이때, 아미노기의 아미노기가 아닌 부분은 아미노기의 탄소와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아미노기의 탄소와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가 있다.

    환원적 탈아미노반응은 아미노기의 아미노기가 아닌 부분이 아미노기의 탄소와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에 일어난다. 이때, 아미노기의 아미노기가 아닌 부분은 환원제로 작용하여 탄소-질소 결합을 끊어내고, 그 결과로 포화지방산과 암모니아가 생성된다.

    따라서, 탈아미노반응에 의해 포화지방산과 암모니아가 생성되는 것은 환원적 탈아미노반응에 의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어류의 근원섬유 단백질 중 함량 비율이 가장 높은 것은?

  1. 미오신(myosin)
  2. 액틴(actin)
  3. 트로포닌(troponin)
  4. 액티닌(actinin)
(정답률: 알수없음)
  • 미오신은 근육 섬유 내에서 수축과 이완을 조절하는 역할을 하는 단백질로, 근육 조직에서 가장 많이 발견되기 때문에 어류의 근원섬유 단백질 중 함량 비율이 가장 높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다음 중 자가소화에 의한 어육 연화의 원인이 아닌 것은?

  1. 멜라닌(melanin) 색소의 분해
  2. 근원섬유의 소편화
  3. 코넥틴(connectin)의 분해
  4. 단백질 분해효소의 작용
(정답률: 알수없음)
  • 멜라닌은 색소 세포에서 생성되어 어육의 색을 결정하는 역할을 합니다. 하지만 자가소화에 의해 멜라닌이 분해되는 것은 아닙니다. 자가소화는 근육 섬유와 코넥틴 등의 단백질이 분해되어 어육이 연화되는 현상을 말합니다. 또한, 단백질 분해효소의 작용도 자가소화의 원인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멜라닌(melanin) 색소의 분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다음 중 글리코겐(glycogen)의 혐기적 해당작용으로 생성되어 신선 어육의 pH 변화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은?

  1. 초산(Acetic acid)
  2. 구연산(Citric acid)
  3. 젖산(Lactic acid)
  4. 호박산(Succinic acid)
(정답률: 알수없음)
  • 글리코겐의 혐기적 해당작용으로 생성된 젖산은 산성을 유발하여 신선 어육의 pH를 낮추어 변질을 유발하기 때문에 크게 영향을 미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냉동품의 냉동변성을 방지하는데 효과적인 물질은?

  1. 염산
  2. 알코올
  3. 축합인산염
  4. 유기산
(정답률: 알수없음)
  • 축합인산염은 냉동품의 냉동변성을 방지하는데 효과적인 물질입니다. 이는 냉동품 내부의 세포구조를 보호하여 냉동에 의한 세포 파괴를 방지하기 때문입니다. 또한, 축합인산염은 냉동품의 식감과 맛을 유지하는 역할도 합니다. 따라서, 축합인산염은 냉동품의 유통기한을 연장하고, 고객에게 좋은 품질의 제품을 제공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연제품의 저장 중에 제품의 표면에서 발생하는 점액 반점의 화학성분은?

  1. Dextran
  2. Fructan
  3. Galactomannan
  4. Inulin
(정답률: 알수없음)
  • Dextran은 설탕 유래의 다당류 중 하나로, 미생물이나 식물에서 생산됩니다. 연제품의 저장 중에 제품의 표면에서 발생하는 점액 반점은 미생물이나 설탕을 이용하여 생산한 덱스트란으로 인해 발생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Oleic acid의 분자식은?

  1. C18H34O2
  2. C18H36O2
  3. C16H32O2
  4. C16H30O2
(정답률: 알수없음)
  • Oleic acid는 18개의 탄소 원자와 1개의 이중결합을 가진 카르복실산입니다. 이중결합은 두 개의 수소 원자가 없어지고 하나의 쌍이 된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수소 원자의 수는 (18 x 2) + 2 - 2 = 34개가 됩니다. 또한, 카르복실기인 -COOH가 있으므로 산소 원자의 수는 2개입니다. 따라서 Oleic acid의 분자식은 C18H34O2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어류 근육 중의 결합수(結合水)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0℃에서 얼지 않는다.
  2. 전체 수분이 15-25%를 차지한다.
  3. 지방질과 결합한 상태로서 존재한다.
  4. 증기압법으로 측정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결합수는 지방질과 결합한 상태로서 존재하지 않고, 근육 내부의 수분이 얼어서 결합한 상태로 존재한다. 따라서 "지방질과 결합한 상태로서 존재한다."는 틀린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어류의 사후변화에 있어서 어육의 pH값이 변화하는 모양은?

  1. 일단 내려갔다가,다시 올라간다.
  2. 일단 올라갔다가,다시 내려간다.
  3. 변동이 없고 거의 일정하다.
  4. 지방함량이 많으면 올라가고,적으면 내려간다.
(정답률: 알수없음)
  • 어육의 사후변화에 있어서 미생물의 활동으로 인해 pH값이 일단 내려가게 되지만, 이후에는 미생물의 활동이 줄어들면서 pH값이 다시 올라가게 된다. 이는 미생물의 활동이 어육 내부의 산성도를 높이다가, 산성도가 높아지면 미생물의 활동이 억제되어 pH값이 다시 올라가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오징어,전복등 연체류를 가열할 때 일반적인 무게의 감소는?

  1. 10%미만
  2. 10-20%
  3. 35-40%
  4. 약50%
(정답률: 알수없음)
  • 연체류는 대부분 물분이 많은 식재료이기 때문에 가열 시 물분이 증발하면서 무게가 감소합니다. 오징어나 전복 등 연체류는 물분 함량이 높아서 가열 시 무게 감소율이 높게 나타납니다. 이러한 이유로 연체류를 가열할 때 일반적인 무게 감소율은 35-4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다음 어유 성분 중 특수 윤활유로 쓰이는 것은?

  1. monoglyceride
  2. cetyl alcohol
  3. wax
  4. squalene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squalene"입니다. 이는 특수 윤활유로 사용되는 어유 성분 중 하나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일반적으로 화장품이나 제약 산업에서 사용되는 성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다음 중 사후경직을 연장시키는 방법은?

  1. 완만동결을 실시하는 것
  2. 상온으로 유통시키는 것
  3. 어획 직후 내장을 제거하는 것
  4. 자가소화를 촉진시키는 것
(정답률: 알수없음)
  • 사후경직을 연장시키는 가장 큰 원인은 근육 내부의 미생물이 산소가 없는 상태에서 대사를 하면서 발생하는 산소부족 현상입니다. 이러한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근육 내부의 산소 공급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 중에서도 어획 직후 내장을 제거하는 것은 근육 내부의 산소 공급을 유지하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 중 하나입니다. 내장을 제거하면 근육 내부의 미생물이 대사를 하면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와 같은 물질들이 빠르게 배출되어 근육 내부의 산소 공급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어획 직후 내장을 제거하는 것은 사후경직을 연장시키는 방법 중에서 가장 효과적인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다음 어패류 중 다당류의 함량이 가장 많은 것은?

  1. 명태
  2. 피등어 꼴두기
  3. 새우
(정답률: 알수없음)
  • 굴은 다당류의 함량이 가장 많은 어패류입니다. 이는 굴이 해양에서 생산되는 식물성 원료인 미세조류를 먹이로 하여 성장하기 때문입니다. 미세조류는 당분을 많이 함유하고 있어 굴이 다당류를 많이 함유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해산어의 냄새와 관계 없는 성분은?

  1. 피페리딘
  2. 요오드취
  3. TMA
  4. 암모니아
(정답률: 알수없음)
  • 해산어의 냄새는 TMA (트리메틸아민)에 의해 발생합니다. 따라서 TMA를 제외한 나머지 보기 중에서 해산어의 냄새와 관계 없는 성분은 "피페리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struvite의 조성을 바르게 나타낸 것은?

  1. Mg(NH4)PO4.6H2O
  2. Mg(H2PO4)2.4H2O
  3. MgHPO4.6H2O
  4. MgH2P2O7.4H2O
(정답률: 알수없음)
  • Struvite은 마그네슘, 암모늄, 인산염으로 이루어진 화합물로, Mg(NH4)PO4.6H2O가 이에 해당한다. 다른 보기들은 Mg와 P, H, O 원소들이 포함되어 있지만, 암모늄이나 수소 이온이 부족하거나 많거나, 물 분자의 수가 다르기 때문에 struvite의 조성과 일치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연어,송어의 육 색소는?

  1. astaxanthin
  2. hemocyanin
  3. astacene
  4. myoglobin
(정답률: 알수없음)
  • 연어와 송어의 육색소는 astaxanthin입니다. 이는 붉은색의 색소로, 미세조류나 미생물 등에서 생산되며, 연어와 송어는 이를 먹이로 섭취하여 체내에 축적됩니다. 이러한 astaxanthin은 육색소뿐만 아니라 항산화 작용이 있어 건강에도 좋은 영향을 미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수산물 가공원료의 선도지표로 가장 많이 활용되고 있는 것은?

  1. 휘발성 염기질소값
  2. K값
  3. 인돌값
  4. 아미노질소값
(정답률: 알수없음)
  • 휘발성 염기질소값은 수산물의 신선도를 판단하는 지표 중 하나로, 수산물 내의 질소화합물 중에서 휘발성 염기질소를 측정하여 그 값이 낮을수록 신선도가 높다는 것을 나타냅니다. 따라서 수산물 가공원료의 선도지표로 가장 많이 활용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다음 중 무척추동물 특유의 근원섬유 단백질은?

  1. 파라미오신(paramyosin)
  2. 액티닌(actinin)
  3. 트로포미오신(tropomyosin)
  4. 데스민(desmin)
(정답률: 알수없음)
  • 무척추동물의 근육 섬유에서 파라미오신은 근육의 수축과 이완을 조절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는 근육 섬유 내부의 미세한 구조인 근육 사구체에서 발견되며, 근육 섬유의 중심축을 따라 배열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파라미오신은 무척추동물의 근육 섬유에서 특유한 근원섬유 단백질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수산가공학

41. 가다랑어 엑스분을 가공할 때 가장 문제점은 다음 중 어느 것인가?

  1. 탈지
  2. 탈색
  3. 탈취
  4. 콜라겐의 용출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 콜라겐의 용출

    설명: 가다랑어 엑스분을 가공할 때 가장 큰 문제점은 콜라겐의 용출입니다. 콜라겐은 가다랑어의 주요한 단백질 성분으로, 가공 과정에서 콜라겐이 용출되면 가다랑어의 맛과 향이 손상되고, 질감이 떨어지게 됩니다. 따라서 가다랑어 엑스분을 가공할 때는 콜라겐의 용출을 최소화하기 위해 다양한 기술과 장비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다음 중 저장을 주목적으로 한 훈연법은?

  1. 온훈법(Hot smoking)
  2. 냉훈법(Cold smoking)
  3. 속훈법(Quick smoking)
  4. 전훈법(Electric smoking)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 냉훈법(Cold smoking)

    냉훈법은 저장을 주목적으로 한 훈연법입니다. 이는 낮은 온도에서 오랫동안 훈연하여 음식물의 수분을 제거하고 굳히는 것으로, 육류, 어류, 치즈 등을 보존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반면에 온훈법은 음식물을 조리하면서 동시에 훈연하는 방법이며, 속훈법은 짧은 시간에 강한 열을 가하여 훈연하는 방법입니다. 전훈법은 전기를 이용하여 훈연하는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게 통조림의 제조시 청변육이 생기는 원인은?

  1. 통조림 용기와 접촉하여 청변육이 생긴다.
  2. 수중세균이 게육에 오염이 되었을 때 세균의 분해작용으로 인하여 생성된다.
  3. 구리를 함유하는 혈색소인 Hemocyanin의 원인으로 생성된다.
  4. 게육질에 함유하는 혈색소인 Hemoglobin의 원인으로 생성된다.
(정답률: 알수없음)
  • 게는 혈액 내에 산소를 운반하는 혈액색소로 Hemocyanin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 Hemocyanin은 구리를 함유하고 있어서, 통조림 제조 과정에서 철이나 다른 금속과 접촉하면 구리가 녹아나와 Hemocyanin이 산화되어 청변색을 띄게 됩니다. 따라서 청변육은 구리를 함유하는 혈색소인 Hemocyanin의 원인으로 생성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수산 훈제품 가공시의 훈연 조건 중 틀린 것은?

  1. 냉훈법은 1∼3주간 훈연한다.
  2. 온훈법은 2∼12시간 훈연한다.
  3. 냉훈법의 온도는 5∼10℃ 정도이다.
  4. 온훈법의 온도는 50∼80℃ 정도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냉훈법의 온도는 5∼10℃ 정도이다."가 틀린 것이다. 냉훈법은 온도가 낮은 것이 특징이지만, 정확한 온도는 15∼25℃ 정도이다. 이유는 너무 낮은 온도에서는 훈연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마른간법의 장점이 아닌 것은?

  1. 염장에 특별한 설비가 필요없다.
  2. 용염량에 비하여 탈수량이 많다.
  3. 염장중 공기와 접촉하지 않으므로 지방의 산화가 적다.
  4. 소금의 삼투가 빠르며 염장초기의 부패가 적다.
(정답률: 알수없음)
  • 마른간법의 장점 중 "염장에 특별한 설비가 필요없다.", "용염량에 비하여 탈수량이 많다.", "소금의 삼투가 빠르며 염장초기의 부패가 적다."는 모두 옳은 내용이지만, "염장중 공기와 접촉하지 않으므로 지방의 산화가 적다."는 장점이 아닙니다. 오히려 마른간법은 지방의 산화가 쉽게 일어나기 때문에 보존 기간이 짧은 단점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다음 중 훈연하는 목적이 아닌 것은?

  1. 색, 향을 좋게 한다.
  2. 저장성을 높인다.
  3. 육의 결착성을 높인다.
  4. 항산화성을 가진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 "항산화성을 가진다."

    설명: 훈연은 주로 음식의 맛과 향을 개선하고, 저장성을 높이며, 육의 결착성을 높여서 식품의 품질을 향상시키는 목적으로 사용됩니다. 항산화성은 훈연과는 관련이 없는 물질의 성질로, 훈연하는 목적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식해류(cured fermented fish with cooked rice)의 특성이 아닌 것은?

  1. 식해 제조시 전분 원료를 첨가한다.
  2. 식해는 어체내의 자가효소에 의해 주로 발효, 숙성된다.
  3. 식해는 산미가 젓갈에 비하여 강하다.
  4. 식해는 유산 발효에 의해 주로 숙성, 발효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식해는 유산 발효에 의해 주로 숙성, 발효되는 것이 아니라, 어체내의 자가효소에 의해 주로 발효, 숙성된다는 것이 특징입니다. 이는 식해 제조시 전분 원료를 첨가하는 이유와도 관련이 있습니다. 전분 원료는 어체내의 자가효소를 활성화시켜 발효를 촉진시키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어체의 등뼈를 따라 좌우로 2매의 육편을 편뜨기하고, 한장의 뼈판이 남도록 칼질한 것으로 세겹 편뜨기라고도 하는 것은?

  1. dressed
  2. semi-dressed
  3. slice
  4. fillet
(정답률: 알수없음)
  • 세겹 편뜨기는 어체의 등뼈를 따라 좌우로 2매의 육편을 편뜨기하고, 한장의 뼈판이 남도록 칼질한 것입니다. 이러한 과정에서 사용되는 말이 "fillet"이기 때문에 정답은 "fillet"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KCl을 가할 때 겔화하여 침전하는 카라기난은?

  1. ι - 카라기난
  2. λ - 카라기난
  3. β - 카라기난
  4. κ - 카라기난
(정답률: 알수없음)
  • KCl은 이온화도가 높은 염으로, 용액에 녹을 때 이온들이 자유롭게 움직이면서 전기적인 상호작용을 하게 된다. 이 때, κ - 카라기난은 이온들이 격자 구조 안에서 격자점에 고정되어 있어 용액 중에서 이동하지 않으며, 이로 인해 겔화하여 침전하는 현상을 보인다. 따라서, KCl을 가할 때 겔화하여 침전하는 카라기난은 κ - 카라기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플라스틱 포장식품의 저장 중 품질변화가 아닌 것은?

  1. 냄새의 변화
  2. 탈습에 의한 무게의 감소
  3. 색택의 암색화
  4. 숙성에 의한 향미의 증진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 숙성에 의한 향미의 증진

    설명: 플라스틱 포장식품의 저장 중 냄새의 변화, 탈습에 의한 무게의 감소, 색택의 암색화는 모두 품질변화에 해당합니다. 하지만 숙성에 의한 향미의 증진은 오히려 보다 좋은 품질로 변화하는 것이므로 품질변화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연제품의 일반적인 가열살균온도는?

  1. 중심온도 50℃ 이상
  2. 중심온도 60℃ 이상
  3. 중심온도 70℃ 이상
  4. 중심온도 80℃ 이상
(정답률: 알수없음)
  • 연제품의 일반적인 가열살균온도는 중심온도 70℃ 이상이다. 이는 연제품 내부의 모든 부분이 충분히 가열되어 세균 등의 병원체를 죽일 수 있는 온도인 70℃ 이상으로 설정되기 때문이다. 중심온도가 낮으면 연제품의 일부분만 가열되어 세균 등의 병원체가 생존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안전한 가열살균을 위해 중심온도 70℃ 이상으로 설정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껍질을 붙인 마른새우(boiled-dried shrimp)의 자숙방법을 옳게 설명한 것은?

  1. 세척한 원료를 2%전후의 끓는 식염수에 넣어 새우가 부상할 때 까지 자숙한다.
  2. 세척한 원료를 4%전후의 끓는 식염수에 넣어 새우가 부상할 때 까지 자숙한다.
  3. 세척한 원료를 6%전후의 끓는 식염수에 넣어 새우가 부상할 때 까지 자숙한다.
  4. 세척한 원료를 8%전후의 끓는 식염수에 넣어 새우가 부상할 때 까지 자숙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세척한 원료를 2%전후의 끓는 식염수에 넣어 새우가 부상할 때 까지 자숙한다." 이다. 이유는 새우를 자숙할 때 너무 진한 소금물에 넣으면 새우의 맛이 짜고 질겨지기 때문에 2% 전후의 약한 소금물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새우가 부상할 때까지 자숙하는 것은 새우의 크기와 상태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정확한 시간을 정할 수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새우가 부상할 때까지 자숙하여 적절한 시기에 멈추는 것이 중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내부가열방식으로 단시간에 해동되는 장점이 있는 해동법은?

  1. 전기해동법
  2. 접촉해동법
  3. 조합해동법
  4. 수중해동법
(정답률: 알수없음)
  • 전기해동법은 전기를 이용하여 냉동 식품의 표면과 내부를 동시에 가열하여 빠르게 해동시키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내부가열방식으로 해동시간이 짧고, 식품의 질을 유지할 수 있어 많이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어육연제품 제조시 강한 탄력을 얻기 위한 적정 pH는?

  1. pH 3 – 4
  2. pH 5.0 - 6.0
  3. pH 6.5 – 7.5
  4. pH 8.0 이상
(정답률: 알수없음)
  • 어육연제품 제조시 강한 탄력을 얻기 위해서는 적정한 pH 범위 내에서 조제해야 합니다. pH가 너무 낮으면 단백질이 응고되어 탄력이 떨어지고, pH가 너무 높으면 단백질이 불안정해져 탄력이 떨어집니다. 따라서, pH 6.5 – 7.5 범위는 단백질이 안정적으로 유지되면서도 강한 탄력을 얻을 수 있는 적절한 범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게맛어묵류의 제조에 있어서 고기갈이할 때 첨가제의 역할을 설명한 것 중 틀린 것은?

  1. 식염은 탄력 형성에 관여한다
  2. 미림과 소주는 풍미에 관여한다
  3. 인산염은 보수성을 높인다
  4. CaCO3는 색소퇴색방지에 관여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CaCO3는 색소퇴색방지에 관여한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CaCO3는 게맛어묵류 제조 과정에서 사용되는 첨가제 중 하나이지만, 그 역할은 식염과 함께 고기갈이 시 생선의 표면을 부드럽게 해주는 것입니다. 색소퇴색방지와는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다음 중 활성포장시스템이 아닌 것은?

  1. 산소흡수제
  2. 에탄올발산제
  3. 환경기체의 조절
  4. 온도의 제어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환경기체의 조절"입니다.

    이유는 활성포장시스템은 식품 등을 보존하기 위해 산소흡수제나 에탄올발산제 등을 사용하여 식품 내부의 산소 농도나 습도를 조절하고, 온도를 제어하여 식품의 신선도를 유지하는 시스템입니다. 하지만 "환경기체의 조절"은 활성포장시스템과는 관련이 없는 용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마른살 오징어의 백분은 육중의 엑스분이 표면에 석출된 것으로 고르게 적당히 생성되어 있으면 맛이 좋은 우량품이 된다. 백분을 많이 생성시키는 방법이 아닌 것은?

  1. 처음 습도가 낮은 곳에서 건조한다.
  2. 잠재움 등으로 수분을 확산시킨다.
  3. 습도가 낮은 곳에 비교적 고온에서 저장한다.
  4. 습도를 높게 하여 비교적 저온에 저장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습도가 낮은 곳에 비교적 고온에서 저장하는 것은 백분을 많이 생성시키는 방법이 아닙니다. 오히려 고온에서 저장하면 오징어가 더욱 빨리 마르고 백분이 생성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방법은 올바르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시간· 온도· 허용한도 (T.T.T)란?

  1. 저온 저장식품의 품질한계 상수
  2. 저온 저장식품의 품질기준 상수
  3. 저온 저장식품의 품질, 저장기간, 품온관계상수
  4. 저온 저장식품의 저장기간, 품질변화량 관계상수
(정답률: 알수없음)
  • T.T.T는 시간, 온도, 허용한도를 의미하는데, 이는 저온 저장식품의 품질, 저장기간, 품온관계상수를 나타내는 것입니다. 즉, 얼마나 오랫동안 어떤 온도에서 보관할 수 있는지를 나타내는 상수입니다. 이를 통해 식품의 품질을 유지하면서 저장기간을 연장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비교적 선도가 좋지 못한 어류를 염장할 때 어체처리 방법으로서 가장 옳은 것은?

  1. 턱에서 복강까지 갈라 내장 제거
  2. 가슴에서 복강까지 갈라 내장 제거
  3. 가슴에서 꼬리까지 갈라 내장 제거
  4. 턱에서부터 꼬리까지 갈라서 내장 제거
(정답률: 알수없음)
  • 어류의 내장은 비교적 선도가 좋지 못한 물질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염장할 때 내장을 제거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 중에서도 어체를 턱에서부터 꼬리까지 갈라서 내장을 제거하는 것이 가장 옳은 방법입니다. 이유는 어류의 내장은 복강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가슴에서 복강까지 갈라내면 내장이 제대로 제거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또한, 꼬리 부분에서 내장을 제거하면 내장이 부러지거나 끊어질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턱에서부터 꼬리까지 갈라서 내장을 제거하는 것이 가장 안전하고 효과적인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건조식품의 안전보장 수분함량은?

  1. 자유수영역 수분함량
  2. 모관응축수영역 수분함량
  3. 단분자층흡착수영역 수분함량
  4. 다분자층흡착수영역 수분함량
(정답률: 알수없음)
  • 건조식품의 안전보장을 위해서는 수분함량이 적절하게 유지되어야 합니다. 다분자층흡착수영역은 분자 크기가 큰 물질들이 흡착되는 영역으로, 건조식품에서는 보존에 중요한 성분들이 이 영역에 위치하기 때문에 이 영역의 수분함량이 안전보장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다분자층흡착수영역 수분함량"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통조림제조학

61. 고등어 보일드 통조림을 제조할 때 혈액제거를 하는 주 목적은?

  1. 살재임 작업을 쉽게 하기위하여
  2. 제조후의 제품의 색택보호를 위하여
  3. 공정 중 어육이 흩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4. 액즙의 혼탁과 curd의 생성을 방지하기 위하여
(정답률: 알수없음)
  • 고등어 보일드 통조림을 제조할 때 혈액제거를 하는 주 목적은 "액즙의 혼탁과 curd의 생성을 방지하기 위하여"입니다. 이는 혈액이 포함된 어육이 보일러에서 가열되면 혈액 속 단백질이 응고하여 액즙이 혼탁해지고 curd가 생성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혈액을 제거함으로써 제품의 품질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High retort pouch 식품의 적당한 살균온도 및 시간은?

  1. 100~110℃, 2~10분
  2. 110~120℃, 2~5분
  3. 120~130℃, 2~5분
  4. 130℃ 이상, 2~10분
(정답률: 알수없음)
  • High retort pouch는 내부 압력이 높은 상태에서 고온, 고압 처리를 통해 살균하는데, 이때 적당한 온도와 시간은 미생물의 종류와 수명주기, 식품의 특성 등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100~110℃에서 2~10분간 처리하는 것이 적절하다. 이는 살균 효과를 최대한 높이면서도 식품의 품질을 유지하기 위한 것이다. 다른 보기들은 온도와 시간이 높아질수록 살균 효과는 높아지지만, 식품의 품질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높아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미생물의 사멸율을 나타내는 값을 D값이라 한다. 이 때 D212=10의 의미가 바르게 표시된 것은? (D: decimal reduction time)

  1. 212℉에서 주어진 미생물의 10%를 사멸시켰다는 뜻
  2. 212℉에서 주어진 미생물의 90%를 사멸시켰다는 뜻
  3. 212℉에서 주어진 미생물의 90%를 사멸시키는데 10분 소요되었다는 뜻
  4. 212℉에서 주어진 미생물의 100%를 사멸시키는데 10분 소요되었다는 뜻
(정답률: 알수없음)
  • D212=10의 의미는 212℉에서 주어진 미생물의 90%를 사멸시키는데 10분 소요되었다는 뜻이다. D값은 미생물의 사멸율을 나타내는데, D212=10은 212℉에서 미생물의 수가 10분마다 1/10씩 감소하여 90%가 사멸될 때까지 10분이 소요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정답은 "212℉에서 주어진 미생물의 90%를 사멸시키는데 10분 소요되었다는 뜻"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통조림의 배기방법으로 적합하지 않는 것은?

  1. 가열배기법
  2. 화학적 배기법
  3. 기계적 배기법
  4. 증기분사법
(정답률: 알수없음)
  • 화학적 배기법은 통조림 내부에 화학적 반응을 일으켜서 내부 압력을 낮추는 방법으로, 식품의 안전성을 보장할 수 없기 때문에 적합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화학적 배기법"입니다. 가열배기법은 통조림 내부를 가열하여 고압 증기를 발생시켜 내부 압력을 낮추는 방법이며, 기계적 배기법은 통조림 내부의 공기를 기계적으로 배출하여 내부 압력을 낮추는 방법입니다. 증기분사법은 통조림 내부에 증기를 분사하여 내부 압력을 낮추는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해동할 때 일어나는 일반변화와 관계 없는 것은?

  1. drip 현상
  2. 영양분의 산화
  3. 미생물의 작용
  4. 향미 증진
(정답률: 알수없음)
  • 해동은 얼어있는 식품을 해동하여 녹이는 과정이다. 이 과정에서 일어나는 일반적인 변화는 식품의 온도 상승, 물의 생성, 미생물 활동 증가 등이 있다. 그러나 "향미 증진"은 해동과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것으로, 이유는 해동 후 식품의 맛과 향이 더욱 강해지는 것으로 인해 발생한다. 이는 해동 후 식품 내부의 성분이 녹아나면서 더욱 진한 맛과 향을 내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가열살균을 마친 통조림을 급히 냉각해야 하는 이유가 아닌 것은?

  1. 내용물의 조직을 연하게 만들기 위함이다.
  2. 내용물의 과열에 의한 조직이 연하게 되는 것을 막기 위함이다.
  3. 유화수송의 발생을 적게 하기 위함이다.
  4. 호열성균을 사멸시키기 위함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가열살균으로 인해 내용물의 조직이 고형화되고 더 딱딱해지기 때문에, 급격한 냉각을 통해 내용물의 조직을 연하게 만들어주어야 한다. 따라서 "내용물의 조직을 연하게 만들기 위함이다."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육류를 가열할때 발생하는 H2S에 대하여 설명한 것 중 옳지 못한 것은?

  1. 육의 pH가 산성일때 적고 알칼리성 일때 많이 발생한다.
  2. 자가소화 중에서 H2S는 발생하지 않는다.
  3. 일반적으로 고등동물의 근육보다 어육이 더 많은 H2S를 발생한다.
  4. 연체류(軟體類)는 어육에 비하여 H2S의 발생이 적다.
(정답률: 알수없음)
  • "자가소화 중에서 H2S는 발생하지 않는다."는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자가소화란 육류가 자연적으로 부패되는 과정을 말하는데, 이 과정에서 H2S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보기가 옳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통조림 식품의 flat-sour형 변패 원인균은?

  1. Bacillus stearothermophilus
  2. CIostrium nigrificans
  3. Polymyxa
  4. Saccharomyces cervisiae
(정답률: 알수없음)
  • 통조림 식품의 flat-sour형 변패는 고온과 저산소 조건에서 발생하는데, 이는 Bacillus stearothermophilus가 이러한 환경에서 적극적으로 성장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Bacillus stearothermophilus가 flat-sour형 변패의 주요 원인균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다음 중 관내부의 압력이 관외부의 압력보다 커져서 그 차이가 관의 탄성한계를 넘어설 때 생기는 영구적 현상은?

  1. Buckled can
  2. Panelled can
  3. Swell(또는 Blower)
  4. Flipper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Buckled can"입니다.

    "Buckled can"은 관내부의 압력이 관외부의 압력보다 커져서 그 차이가 관의 탄성한계를 넘어설 때 생기는 영구적 현상입니다. 이는 관이 구부러지는 현상으로, "can"이라는 단어는 캔처럼 원통형 모양을 가진 물체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Buckled can"은 원통형 관이 구부러지는 현상을 의미합니다.

    "Panelled can"은 관의 벽면이 패널처럼 구부러지는 현상을 의미하며, "Swell(또는 Blower)"는 관의 벽면이 팽창하는 현상을 의미합니다. "Flipper"는 관이 뒤집히는 현상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Fo-값의 설명 중 옳은 것은?

  1. 세균을 121.1℃에서 원하는 만큼 사멸시키는데 필요한 시간
  2. 일정 온도에서 마치 121.1℃에서 원하는 만큼 사멸시키는 것과 같이 세균을 사멸시키는데 필요한 시간
  3. Z-값이 10℃인 세균을 마치 121.1℃에서 원하는 만큼 사멸시키는 것과 같이 사멸시키는데 필요한 시간
  4. D-값과 Z-값이 알려진 세균을 마치 121.1℃에서 원하는 만큼 사멸시키는 것과 같이 사멸시키는데 필요한 시간
(정답률: 알수없음)
  • Fo-값은 "Z-값이 10℃인 세균을 마치 121.1℃에서 원하는 만큼 사멸시키는 것과 같이 사멸시키는데 필요한 시간"을 의미한다. 즉, 세균을 일정한 조건에서 사멸시키는데 필요한 시간을 나타내는 지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통조림의 밀봉상태를 검사하는 과정에서 curl부와 flange부가 서로 말려들어가지 않아 2중 밀봉이 되어 있지 않으면서도 외관상으로는 밀봉된 것처럼 보이면서 밀봉부가 정상부분보다 약간 엷은 것은?

  1. Drooping
  2. Waved seam
  3. Jumped seam
  4. False seam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False seam"입니다. False seam은 통조림의 밀봉상태를 검사하는 과정에서 curl부와 flange부가 서로 말려들어가지 않아 2중 밀봉이 되어 있지 않으면서도 외관상으로는 밀봉된 것처럼 보이면서 밀봉부가 정상부분보다 약간 엷은 현상을 말합니다. 이는 제조과정에서 밀봉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발생하는 결함으로, 식품의 오염과 부패를 유발할 수 있으므로 검사 과정에서 반드시 확인되어야 합니다. Drooping, Waved seam, Jumped seam은 각각 다른 종류의 밀봉 결함을 나타내며, False seam과는 다른 현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2중 밀봉(double seam)하는데 랩(lap, side seam)부는 양철판이 몇 겹으로 겹치는가?

  1. 8겹
  2. 7겹
  3. 6겹
  4. 5겹
(정답률: 알수없음)
  • 랩 부분은 3겹으로 겹쳐져 있으며, 이 부분이 2번 반복되므로 총 6겹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6겹"이 되어야 하지만, 랩 부분이 끝나고 다음 부분에서도 1겹이 추가되므로 총 7겹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식품공장의 위생관리를 위하여 내부시설에 염소처리를 한다. 이때 염소의 살균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많은데 이들 요인과 관계없는 것은?

  1. 첨가염소의 농도
  2. 염소제의 종류
  3. 염소처리수의 pH
  4. 수중의 유기물
(정답률: 알수없음)
  • 염소제의 종류는 염소의 살균작용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염소제의 종류는 염소 처리 방법에 따라 다양하게 사용되며, 염소의 살균작용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따라서, 위의 보기에서 "염소제의 종류"는 관계없는 요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굴보일드 통조림 제조공정에서 선별이 끝난후 2차 자숙을 하여 살재임하는 방법도 사용되고 있다. 2차 자숙의 목적이 아닌 것은?

  1. 원료를 탈수시킨다.
  2. 개관시의 고형량을 안정시킨다.
  3. 관내에서의 육질 붕괴를 방지한다.
  4. 풍미를 증진시킨다.
(정답률: 알수없음)
  • 2차 자숙은 굴의 풍미를 증진시키기 위한 것이 아니라, 굴의 육질을 더 부드럽게 만들어서 통조림으로 제조할 때 더 효과적인 고형량을 유지하기 위한 것입니다. 따라서 "풍미를 증진시킨다."는 올바르지 않은 선택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컵모양으로 찍어낸 관을 기계적 처리로 관동(can body)을 늘어뜨려 관의 높이를 높게 한 관으로서 주로 맥주나 탄산 음료용으로 사용되는 two piece can을 무엇이라 부르는가?

  1. 백관(plain can)
  2. 원통형이중밀봉관(cylindrical double seamed can)
  3. 타발압연관(drawn and ironed can, DI관)
  4. 위생관(sanitary can)
(정답률: 알수없음)
  • 타발압연관은 컵모양으로 찍어낸 관을 기계적 처리로 늘어뜨려 높이를 높게 한 후, 다시 압연하여 형태를 완성하는 과정을 거치는데, 이 과정에서 관의 두께가 균일하게 유지되어 내구성이 뛰어나며, 주로 맥주나 탄산 음료용으로 사용되는 two piece can의 대표적인 형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통조림의 배기(탈기)목적과 관계가 없는 것은?

  1. 관내공기의 팽창 억제
  2. 내용물의 품질 변화 억제
  3. 관내면의 부식 억제
  4. 혐기성 세균의 발육 억제
(정답률: 알수없음)
  • 통조림의 배기(탈기)목적과 관계가 없는 것은 "혐기성 세균의 발육 억제"이다. 이는 통조림의 보존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 혐기성 세균은 산소가 없는 환경에서 발생하는 세균으로 통조림 내부의 산소가 없는 환경에서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혐기성 세균의 발육을 억제함으로써 통조림의 유통기한을 연장시키고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가밀봉(clinching)과 가장 관계가 깊은 것은?

  1. 진공권체기(vaccum seamer)
  2. 레톨트(retort)
  3. 탈기함(exhaust box)
  4. 시럽주입기(syrup filler)
(정답률: 알수없음)
  • 가밀봉은 두 개의 금속 시트를 압력으로 결합시키는 과정이다. 이때 가밀봉을 하기 전에는 시트 사이에 공기가 남아있을 수 있으므로, 이 공기를 제거하기 위해 탈기함(exhaust box)이 사용된다. 탈기함은 공기를 제거하고 시트를 밀착시키기 위해 필요한 진공을 생성하는 장비이다. 따라서 가밀봉과 가장 관계가 깊은 것은 탈기함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레토르트에서 블리이터의 역할로서 옳지 않는 것은?

  1. 증기속의 미량의 공기제거
  2. 레토르트 내의 증기의 순환
  3. 온도계 하부 응결수 제거
  4. 온도계의 파손방지
(정답률: 알수없음)
  • 블리이터의 역할로서 옳지 않은 것은 "온도계의 파손방지"이다. 블리이터는 레토르트 내의 증기를 순환시켜 증기속의 미량의 공기를 제거하고, 온도계 하부 응결수를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온도계의 파손방지는 블리이터의 역할 중 하나가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통조림 냉각수의 염소처리는 대단히 중요하다. 염소처리 목적과 가장 관계가 깊은 것은?

  1. 냉각수 중의 세균수의 감소 또는 살균
  2. 관표면의 부식방지
  3. 냉각수의 장기보존
  4. 열전도 효과증대로 냉각효과 커짐
(정답률: 알수없음)
  • 통조림 냉각수는 식품을 가열처리한 후 빠르게 냉각시켜 세균 번식을 억제하고 식품의 안전성을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냉각수 중의 세균수를 감소시키거나 살균하여 식품의 안전성을 보장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통조림을 가열살균할때 열의 전도(傳導)에 영향을 주는 조건이 아닌 것은?

  1. 용기의 종류와 크기
  2. 내용물의 물리적 성질
  3. 내용물의 산도
  4. 통조림통의 회전속도
(정답률: 알수없음)
  • 통조림을 가열살균할 때 열의 전도에 영향을 주는 조건은 용기의 종류와 크기, 내용물의 물리적 성질, 통조림통의 회전속도입니다. 내용물의 산도는 열의 전도에 영향을 주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과목: 냉동냉장학

81. 펠티어(Peltier) 효과를 이용한 냉동법은?

  1. 증기압축식 냉동법
  2. 볼텍스 튜브 냉동법
  3. 공기냉동법
  4. 열전냉동법
(정답률: 알수없음)
  • 펠티어(Peltier) 효과는 전기를 통해 열을 이동시키는 현상을 이용하여 냉각을 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열전소자라는 장치를 사용하여 전기를 흐르게 하면 한쪽은 냉각되고, 다른 한쪽은 가열되는 원리를 이용한다. 이러한 원리로 냉각을 하는 방법을 열전냉동법이라고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불응축 가스에 관하여 바른 것은?

  1. 불응축 가스가 장치내에 들어와도 응축 압력에 변화가 없다.
  2. 윤활유 보충때 공기가 스며 들어도 윤활유에 녹으므로 불응축가스로 되지 않는다.
  3. 불응축 가스는 응축기에 고이므로 압축기의 토출가스온도에는 영향이 없다.
  4. 증발온도가 -40℃이하의 암모니아 냉동장치에는 불응축 가스가 생기기 쉽다.
(정답률: 알수없음)
  • 암모니아 냉동장치에서는 증발온도가 매우 낮기 때문에 주위 공기와의 온도차가 크다. 이로 인해 증발기 내부에서 증발한 암모니아 기체가 주위 공기와 접촉하여 냉각되면서 응축 압력에 도달하지 못하고 불응축 상태로 유지되기 때문에, 증발온도가 -40℃이하인 암모니아 냉동장치에서는 불응축 가스가 생기기 쉽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암모니아(NH3)냉매에 관한 설명 중에서 틀린 것은?

  1. 동,황동에는 화학반응을 일으키지 않는다.
  2. 누설장소에 리트머스 시험지를 가져가면 청색으로 변한다.
  3. 불쾌한 자극성 냄새가 난다.
  4. 물에 용해가 잘되며 철강류와는 화학반응을 잘 일으키지 않는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동,황동에는 화학반응을 일으키지 않는다."가 아닌 것입니다.

    암모니아는 물에 용해가 잘되며 철강류와는 화학반응을 일으키지 않지만, 동과 황동은 암모니아와 반응하여 부식될 수 있습니다. 이는 암모니아가 동과 황동의 표면에 존재하는 산화물을 환원시켜 부식을 일으키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동,황동에는 화학반응을 일으키지 않는다."라는 설명은 틀린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얼음을 얼리고자 할 때 유기물의 함량은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1. 결정 증대에 도움이 된다.
  2. 결정 증대에 해롭다.
  3. 결정 증대와는 무관하다.
  4. 냉동초기에는 해로우나 후기에는 이롭다.
(정답률: 알수없음)
  • 얼음이 결정화되는 과정에서 유기물은 결정의 성장을 방해하고 결정의 수가 적어지게 만들어 결정 증대를 방해합니다. 따라서 유기물의 함량이 높을수록 결정 증대에 해롭다고 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다음 사항 중 옳은 것은?

  1. 제빙톤과 냉동톤은 값이 같다.
  2. 냉동기를 열펌프라고도 하는데 흡수하는 열량과 방출하는 열량은 같다.
  3. 한국 1냉동톤은 미국 1냉동톤 보다 크다.
  4. 한국 1냉동톤은 3024 kcal/h 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한국 1냉동톤은 미국 1냉동톤 보다 크다. 이유는 한국에서는 냉동톤의 기준 온도가 -10℃이고, 미국에서는 -7.2℃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한국 1냉동톤은 냉각능력이 더 크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대구나 명태육을 냉동 저장할 때 고려하여야 할 가장 중요한 품질 요인은?

  1. 육색의 변화
  2. 기름의 산화
  3. 단백질의 변성
  4. Freezer burn
(정답률: 알수없음)
  • 단백질은 냉동 저장 시 온도나 저장 기간에 따라 변성될 수 있습니다. 이는 육류의 식감과 맛을 저하시키는 요인이 됩니다. 따라서 대구나 명태육을 냉동 저장할 때 가장 중요한 품질 요인은 단백질의 변성을 고려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동결 식품을 보관하는데 가장 적당한 온도에 관한 것은?

  1. -10℃ 이하면 된다.
  2. -18℃ 이하라야 하며, 장기간, 고급 품질을 위해서는 -23℃ 이하가 좋다.
  3. 저온 장해가 일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가능한한 저온으로 한다.
  4. -23℃ 이하 보존이 좋으나 가끔 -30℃ 이하로 내려주면 좋다.
(정답률: 알수없음)
  • 동결 식품은 -18℃ 이하의 온도에서 보관해야 합니다. 이는 식품 내부의 미생물 활동을 억제하고 식품의 신선도를 유지하기 위함입니다. 또한, 장기간 보관하거나 고급 품질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23℃ 이하가 좋습니다. 이는 더욱 높은 온도에서는 식품의 맛과 질감이 변하고, 냄새와 맛이 섞이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18℃ 이하에서 보관하되 가능한한 -23℃ 이하로 유지하는 것이 좋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다음 중에서 물을 냉매로 하는 흡수식 냉동기의 흡수제로 사용되는 것은?

  1. 암모니아(NH3)
  2. 프레온 냉매
  3. 리듐브로마이드(LiBr)
  4. 염화 마그네슘(MgCl2)
(정답률: 알수없음)
  • 리듐브로마이드(LiBr)는 물과의 친화성이 높아서 물을 흡수하여 냉매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또한, 높은 흡수능력과 안정성을 가지고 있어서 흡수식 냉동기의 흡수제로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다음 그림에서 감온 팽창밸브와 연결되는 감온통의 위치는 어느 것이 적당한가?

  1. 1 증발기 입구
  2. 2 증발기 중간
  3. 3 증발기 출구
  4. 4 증발기 밖에 조금 떨어진곳
(정답률: 알수없음)
  • 감온 팽창밸브는 증발기에서 생기는 고압증기를 낮은 압력으로 변환시켜주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감온통은 증발기에서 고압증기가 생성되는 곳과 감온 팽창밸브가 위치한 곳 사이에 위치해야 합니다. 그림에서는 "2 증발기 중간"이 가장 적당한 위치입니다.

    3 증발기 출구가 정답인 이유는 감온 팽창밸브는 증발기에서 생기는 고압증기를 낮은 압력으로 변환시켜주는 역할을 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감온통은 증발기에서 고압증기가 생성되는 곳과 감온 팽창밸브가 위치한 곳 사이에 위치해야 합니다. 3 증발기 출구는 감온 팽창밸브와 가장 가까운 위치에 있으며, 증발기에서 고압증기가 생성되는 곳과도 적당한 거리에 위치해 있기 때문에 가장 적당한 위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다음의 자연냉동 재료에서 단위 중량당 냉동능력이 가장 큰 것은?

  1. 얼음
  2. 드라이 아이스
  3. 액체질소
  4. 해수빙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드라이 아이스"입니다. 이는 이산화탄소의 고체 상태로, 냉동능력이 매우 높기 때문입니다. 이는 -78.5℃의 온도에서 존재하며, 고체 상태에서는 액체 상태보다 5배 이상의 냉동능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또한, 고체 상태에서는 녹이지 않고 증발하므로, 냉동식품 등에 사용하기에 매우 효과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고속 다기통 압축기의 단점이 아닌 것은?

  1. 전부하 때에 체적효율이 낮다.
  2. 기계효율과 지시효율이 나쁘다.
  3. 저온발생 때 효율이 저하한다.
  4. 판(valve)의 가스통과 면적이 크다.
(정답률: 알수없음)
  • 판(valve)의 가스통과 면적이 크다는 것은 고속 다기통 압축기에서 가스가 흐르는 경로가 넓어서 압축 과정에서 발생하는 열이 분산되어 효율이 높아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이는 고속 다기통 압축기의 단점이 아닌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냉동공학에서 0 엔탈피(zero enthalpy)의 기준은 보통 몇도를 기준으로 택하는가?

  1. -40℃
  2. -20℃
  3. -10℃
  4. 0℃
(정답률: 알수없음)
  • 냉동공학에서 0 엔탈피는 일반적으로 -40℃를 기준으로 선택됩니다. 이는 냉동기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온도 범위 중 하나이기 때문입니다. 냉동기에서 냉매가 압축되어 압력과 온도가 높아지면 엔탈피가 증가하고, 냉매가 팽창되어 압력과 온도가 낮아지면 엔탈피가 감소합니다. 따라서 냉동기에서는 일정한 온도 범위에서 엔탈피를 측정하고 비교하기 위해 기준 온도를 설정합니다. -40℃는 냉동기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온도 범위 중 하나이며, 따라서 0 엔탈피의 기준으로 선택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냉동제품의 저장중에 생기는 품질변화에 관련이 없는 것은?

  1. 지방의 산화
  2. 효소적 갈변
  3. 단백질의 불용화
  4. 탄수화물의 가수분해
(정답률: 알수없음)
  • 탄수화물은 냉동보관 중에도 가수분해되지 않기 때문에, 냉동제품의 저장중에 생기는 품질변화에 관련이 없습니다. 다른 보기들은 지방, 단백질 등이 냉동보관 중에 산화, 불용화되거나 효소적 갈변이 일어날 수 있기 때문에 냉동제품의 품질변화에 영향을 미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다음은 건조도에 관한 설명이다. 옳은 것은?

  1. 건조도 χ 일 때 1-χ 가 증기이다.
  2. 건조도 χ 일 때 1-χ 가 액이다.
  3. 포화액의 건조도는 1 이다.
  4. 건조포화증기의 건조도는 0 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건조도 χ 일 때 1-χ 가 액이다."이다.

    건조도는 해당 물질에서 물의 양이 얼마나 적은지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따라서 건조도가 높을수록 물의 양이 적어지고, 건조도가 낮을수록 물의 양이 많아진다.

    건조도가 χ일 때, 남은 물의 양은 1-χ가 된다. 이는 건조도와 물의 양이 반비례 관계에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건조도가 χ일 때, 물이 완전히 증발하여 증기가 되기 전까지는 1-χ가 액 상태로 남아있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브라인(brine)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2차냉매 또는 간접냉매라 한다.
  2. 감열상태로 열을 운반한다.
  3. 브라인으로 보통 R-12, R-22등이 사용된다.
  4. 무기질 브라인으로 CaCl2, Nacl 등이 사용된다.
(정답률: 알수없음)
  • "브라인으로 보통 R-12, R-22등이 사용된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브라인은 물에 염을 녹인 용액으로, 냉매로 사용되는 것은 아닙니다. 따라서 R-12, R-22 등의 냉매는 브라인이 아니라 다른 물질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다음 냉동법 중 2차 냉매를 이용한 냉동법은?

  1. 송풍식 동결법
  2. 가스식 동결법
  3. 부유식 동결법
  4. 침지식 동결법
(정답률: 알수없음)
  • 2차 냉매를 이용한 냉동법 중에서는 "침지식 동결법"이다. 이는 냉매로 액체 직전의 가스 상태인 2차 냉매를 사용하여 냉각하는 방법으로, 냉매를 냉동기 내부에 침지시켜 냉각하는 방식이다. 이 방법은 냉매의 소모가 적고, 냉각능력이 높아서 대용량 냉동기에 많이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대형어를 처리 할 때 팬 드레스(pan dressed)란?

  1. 머리 및 내장이 있는 전내체
  2. 내장만 제거한 것
  3. 머리와 내장을 제거한 것
  4. 머리, 내장, 지느러미 및 꼬리를 제거한 것
(정답률: 알수없음)
  • 팬 드레스는 머리, 내장, 지느러미 및 꼬리를 제거한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대형어를 처리할 때 일반적으로 수행되는 과정 중 하나로, 머리와 내장을 제거하여 더 깨끗하고 적절한 크기로 자르기 쉽게 만듭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극히 신선한 어류를 급속동결후 단시간에 해동하면 근육이 허틀어지고, 드립(Drip)양이 많이 나오는것을 무엇이라 하는가?

  1. 해동경직
  2. 한냉경직
  3. 자가소화
  4. 사후경직
(정답률: 알수없음)
  • 해동경직은 극히 신선한 어류를 급속동결 후 단시간에 해동할 때 근육이 허틀어지고, 드립양이 많이 나오는 현상을 말한다. 이는 어류의 세포구조가 급격한 온도변화로 인해 손상되어 발생하는 것으로, 해동 시간을 조절하거나 물에 담가서 천천히 해동하는 등의 방법으로 예방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식품의 동결점에서 온도를 더욱 낮게 하였을 때 틀린 것은?

  1. 식품의 경도 감소
  2. 빙결 수분량 증가
  3. 동결율 증가
  4. 동결된 상태 증가
(정답률: 알수없음)
  • 식품의 동결점에서 온도를 더욱 낮게 하면 빙결 수분량이 증가하고 동결율이 증가하게 됩니다. 하지만 이로 인해 식품의 경도는 감소하게 됩니다. 이는 빙결된 물 분자가 식품 내부에서 큰 결정체를 형성하면서 식품의 조직을 파괴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식품을 동결할 때는 적절한 온도와 시간을 선택하여 식품의 경도를 유지하면서도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수산물 냉동품의 냉장저장 온도 변화에 대하여 맞는 설명은?

  1. 가능한 한 없어야 함
  2. 3℃ 이내 허용됨
  3. 전후 5℃ 까지 허용됨
  4. 동결온도로 지속되어야 함
(정답률: 알수없음)
  • "동결온도로 지속되어야 함"이 맞는 설명입니다. 냉동품은 냉장보다는 동결보관이 더 오래 유지될 수 있기 때문에, 가능한 한 냉동온도로 유지하는 것이 좋습니다. 냉장보관은 냉동품의 신선도와 품질을 유지하기 어렵기 때문에, 가능한 한 없어야 합니다. 3℃ 이내 허용됨이나 전후 5℃ 까지 허용됨은 냉장보관을 허용하는 것으로, 냉동품의 품질을 유지하기 어렵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