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도토목기능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0-07-11)

철도토목기능사
(2010-07-11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철도 및 궤도일반

1. 목침목 탄성체결장치 설치작업시 준비작업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레일 유간정리
  2. 불량침목 교환
  3. 침목위치 정정
  4. 베이스플레이트 삽입
(정답률: 알수없음)
  • 목침목 탄성체결장치 설치작업시 준비작업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베이스플레이트 삽입"입니다. 이는 설치작업의 일부가 아니라 설치 후 마무리 작업에 해당하기 때문입니다. 베이스플레이트는 설치된 침목목을 지지하는 기반판으로, 설치 후에 삽입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준비작업에 해당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인력도상다짐 작업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도상을 긁어낼 깊이는 침목 밑부터 100mm를 표준으로 한다.
  2. 레일 밑 도상은 반드시 긁어낸다.
  3. 침목위치 또는 직각틀림이 있는 것은 다지기 작업 전에 정정한다.
  4. 궤간 내 다지기의 넓이는 레일중심에서 좌우 각 30cm 내지 40cm로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도상을 긁어낼 깊이는 침목 밑부터 100mm를 표준으로 한다." 인 이유는 설치된 레일의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해서이다. 레일이 깊이가 얕으면 지나가는 차량의 진동이나 충격에 의해 레일이 흔들리거나 움직일 수 있기 때문에, 일정한 깊이를 유지하여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100mm를 표준으로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레일교환(정척/인력)의 준비작업 중 레일구부리기의 기준으로 괄호 안에 알맞은 것은?

  1. 1/3
  2. 1/2
  3. 2/3
  4. 3/4
(정답률: 알수없음)
  • 레일교환(정척/인력)을 위해서는 레일을 교체할 위치에 맞게 구부려야 합니다. 이때 구부리는 정도는 레일의 길이에 대한 비율로 결정됩니다. 위 그림에서 레일의 길이는 4칸이므로, 구부리는 정도는 1칸, 2칸, 3칸, 4칸 중 하나가 됩니다. 그러나 레일을 4칸 모두 구부리면 레일이 너무 많이 굽혀져서 기차가 지나갈 때 불편함이 생길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일반적으로는 레일의 길이에 대한 비율이 2/3 정도가 적당하다고 여겨집니다. 이 비율로 구부리면 레일이 적당히 굽혀져서 기차가 편하게 지나갈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2/3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레일끝처짐ㆍ끝닳음의 도상다지기에 의한 정정작업에서 이음매부 첫 째 침목을 제1침목이라 할 때 레일 중간부 침목에 대한 제1침목의 다지기 타수 증대 비율(%)로 옳은 것은?

  1. 110%
  2. 120%
  3. 130%
  4. 150%
(정답률: 알수없음)
  • 레일끝처짐ㆍ끝닳음의 도상다지기에 의한 정정작업에서 이음매부 첫 째 침목을 제1침목이라 할 때, 레일 중간부 침목에 대한 제1침목의 다지기 타수 증대 비율은 일반적으로 150% 정도 증가합니다. 이는 레일 중간부 침목이 제1침목보다 더 많은 하중을 받기 때문에, 더 많은 다지기 타수가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15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콩자갈 채우기 작업은 자갈도상으로서 깬자갈, 친자갈, 또는 막자갈을 사용하는 선로에서 정정량이 얼마 이하일 때 시행하는가?

  1. 10mm
  2. 15mm
  3. 10cm
  4. 15cm
(정답률: 알수없음)
  • 콩자갈 채우기 작업은 선로에서 정정량이 얼마 이하일 때 시행하는가? 이므로, 콩자갈 채우기 작업을 시행하는 기준은 정정량입니다. 즉, 깬자갈, 친자갈, 또는 막자갈을 사용하는 선로에서 정정량이 15mm 이하일 때 콩자갈 채우기 작업을 시행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15mm"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레일앵카를 붙이는 방법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집설식을 원칙으로 한다.
  2. 유간정리 직후에 부설한다.
  3. 보통 2인 또는 3인 협동으로 작업한다.
  4. 기온의 변화가 적은 때에 붙인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 "집설식을 원칙으로 한다."

    설명: 레일앵카를 붙이는 방법은 집설식을 원칙으로 하지 않습니다. 집설식은 고정적인 부착물을 설치할 때 사용하는 방법입니다. 레일앵카는 기온의 변화에 따라 늘어나거나 줄어들 수 있는 유동적인 부착물이기 때문에, 기온의 변화가 적은 때에 붙이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유간정리 직후에 부착하는 것이 좋습니다. 보통 2인 또는 3인 협동으로 작업하여 안전하게 부착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도상다지기 작업(인력)시 다지기 순서는 특별한 때를 제외하고는 몇 자형 다지기를 원칙으로 하는가?

  1. 4자형
  2. 6자형
  3. 8자형
  4. 10자형
(정답률: 알수없음)
  • 도상다지기 작업에서는 보통 8자형 다지기를 원칙으로 합니다. 이는 8자형 다지기가 다른 자형에 비해 안정적이며, 다지기 작업 후에도 지면이 평평하게 유지되기 때문입니다. 또한, 8자형 다지기는 작업 시간이 비교적 짧고, 인력의 노동력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기 때문에 선호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도상자갈치기(인력)의 작업상 주의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혹서기를 피한다.
  2. 도상보충의 시기를 감안한다.
  3. 되도록 잡초 번성기 전에 시행한다.
  4. 도상자갈이 충분한 습기를 갖고 있을 때를 택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되도록 잡초 번성기 전에 시행한다."는 옳지 않은 것입니다. 도상자갈치기는 잡초가 번성하기 전에 시행하는 것이 좋지만, 이것이 작업상 주의사항은 아닙니다.

    도상자갈이 충분한 습기를 갖고 있을 때를 택하는 이유는, 습기가 충분하면 땅이 부드러워져서 작업이 수월해지기 때문입니다. 또한, 습기가 충분하면 땅이 더 잘 파여서 도상자갈이 더 깊게 심어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도상자갈치기 작업을 할 때는 습기가 충분한 날씨를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인력에 의한 보통침목 교환작업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도상자갈 긁어내기는 좌우로 한사람씩 나누어 시행한다.
  2. 스파이크 등 체결장치 해체는 한사람이 맡는다.
  3. 바닥자갈 고르기는 신침목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는 정도로 한다.
  4. 신침목의 삽입시 수심부는 위로, 표피부는 밑으로 가도록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신침목의 삽입시 수심부는 위로, 표피부는 밑으로 가도록 한다."가 옳지 않은 것입니다. 이는 오히려 반대로 되어야 합니다. 즉, 신침목의 삽입시 수심부는 밑으로, 표피부는 위로 가도록 해야 합니다. 이는 신침목이 더욱 안정적으로 고정되고, 뿌리가 더욱 깊게 자라도록 하기 위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유간정리 중 상례보수 작업으로 맹유간 또는 과대유간을 정리하는 정도의 경우로서 수시로 시행하는 것은?

  1. 간이정리
  2. 소정리
  3. 중정리
  4. 대정리
(정답률: 알수없음)
  • 간이정리는 매우 간단한 작업으로, 상례보수 작업으로 맹유간 또는 과대유간을 정리하는 정도의 경우에 수시로 시행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다른 보기들인 소정리, 중정리, 대정리보다는 더 간단한 작업이기 때문에 정답이 "간이정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인력 줄맞춤 정정 작업에서 기준 말뚝의 높이는 침목 표면 보다 몇 cm정도 높게 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는가?

  1. 5cm
  2. 9cm
  3. 12cm
  4. 16cm
(정답률: 알수없음)
  • 인력 줄맞춤 정정 작업에서 기준 말뚝의 높이는 침목 표면보다 5cm정도 높게 하는 것이 원칙입니다. 이는 침목 표면이 불규칙하고 변동이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일정한 기준을 두고 작업하기 위함입니다. 또한, 5cm는 인력 줄맞춤 작업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값으로, 정확도와 효율성을 고려한 결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1종 기계작업시 작업 중 또는 대기 중인 장비간 거리의 기준으로 옳은 것은?

  1. 5m 이상
  2. 10m 이상
  3. 20m 이상
  4. 25m 이상
(정답률: 알수없음)
  • 1종 기계작업은 위험한 작업으로, 작업 중 또는 대기 중인 장비간 거리가 가까울 경우 작업자의 안전에 위협이 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작업 중 또는 대기 중인 장비간 거리의 기준은 충분한 안전거리를 확보하기 위해 10m 이상이 되어야 합니다. 이는 작업자의 안전을 보장하고 작업 환경에서 발생할 수 있는 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최소한의 거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인력으로 분기기 전체를 교환하는 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밀어넣기 방법
  2. 들어놓기 방법
  3. 돌려놓기 방법
  4. 원 위치 조립부설 방법
(정답률: 알수없음)
  • 돌려놓기 방법은 분기기의 부품들을 모두 분해한 후, 새로운 부품으로 교체한 후 다시 원래 위치에 조립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매우 복잡하고 시간이 많이 소요되며, 조립 과정에서 오차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 신뢰성이 떨어지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옳지 않은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지하철의 열차 편성시 6량 편성(4M2T)의 표준은? (단, M: 동력을 가진 차, M‘; 동력 및 전원장치를 가진 차, Tc: 제어차(운전실을 가진 차))

  1. Tc-M-M-Tc-M’-M
  2. Tc-M-M’-M-M’-Tc
  3. Tc-M’-M-Tc-M’-M
  4. Tc-Tc-M-M-M-M’
(정답률: 알수없음)
  • 6량 편성(4M2T)의 표준은 "Tc-M-M’-M-M’-Tc" 입니다. 이는 다음과 같은 이유로 설명할 수 있습니다.

    - 열차의 양 끝에는 제어차(Tc)가 위치합니다. 이는 열차의 운전 및 제어를 담당합니다.
    - 제어차 다음으로는 동력을 가진 차(M)가 위치합니다. 이는 열차를 움직이는 역할을 합니다.
    - 그 다음으로는 동력 및 전원장치를 가진 차(M')가 위치합니다. 이는 전기적인 부분을 담당하며, 동력 차와 함께 전체 열차의 움직임을 조절합니다.

    따라서, "Tc-M-M’-M-M’-Tc" 순서가 6량 편성(4M2T)의 표준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제어차와 동력 차의 위치가 바뀌거나, 전원장치를 가진 차의 위치가 바뀌는 등의 이유로 표준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정거장 배선 계획시 고려해야 할 기본사항 중 맞지 않는 것은?

  1. 본선과 본선은 가급적 평면 교차되도록 할 것
  2. 정거장 구내의 투시가 양호하도록 할 것
  3. 분기기를 구내에 산재시키지 말고 가능하면 집중하여 배치할 것
  4. 반대방향의 열차가 서로 안전하게 착발하도록 할 것
(정답률: 알수없음)
  • "본선과 본선은 가급적 평면 교차되도록 할 것"이 맞지 않는 것입니다. 이유는 본선과 본선이 평면 교차하면 교차점에서 충돌 위험이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본선과 본선은 가급적 수직 교차나 고가교 등을 이용하여 교차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레일용접시 용접부 검사종목이 아닌 것은?

  1. 외관검사
  2. 침투탐상검사
  3. 경도시험
  4. 인장시험
(정답률: 알수없음)
  • 레일용접시 용접부의 결함을 검사하는 방법으로는 외관검사, 침투탐상검사, 경도시험이 있습니다. 하지만 인장시험은 용접부의 결함을 검사하는 방법 중 하나가 아닙니다. 인장시험은 재료의 강도나 인장성을 측정하는 시험으로, 용접부의 결함을 검사하는 것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따라서 인장시험은 레일용접시 용접부 검사종목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상치신호기의 세움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신호기는 소속선의 오른쪽에 세워야 한다.
  2. 주신호기 및 유도신호기는 같은 신호기주에 각 4개 이상을 설치할 수 있다.
  3. 주신호기 또는 원방 신호기가 현시하는 신호를 열차에서 인식할 수 있는 거리는 100m정도이어야 한다.
  4. 같은 선에서 분기되는 2 이상의 진로에 대하여 같은 종류의 신호기는 같은 지점 또는 같은 신호기주에 설치해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같은 선에서 분기되는 2 이상의 진로에 대하여 같은 종류의 신호기는 같은 지점 또는 같은 신호기주에 설치해야 한다. 이는 열차가 진로를 선택할 때 혼란을 방지하기 위함입니다. 만약 같은 종류의 신호기가 다른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면, 열차가 어떤 신호기를 따라가야 하는지 혼란스러울 수 있습니다. 따라서 같은 종류의 신호기는 같은 위치에 설치하여 열차가 진로를 선택할 때 명확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궤도의 복진이 일어나는 개소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는 것은?

  1. 급한 하기울기
  2. 분기부와 곡선부
  3. 운전속도가 큰 선로구간
  4. 교량 전후의 궤도탄성 변화가 없는 곳
(정답률: 알수없음)
  • 교량 전후의 궤도탄성 변화가 없는 곳은 궤도의 복진이 일어나지 않는 곳이기 때문입니다. 궤도의 복진은 궤도의 탄성에 의해 발생하는 현상으로, 궤도의 탄성이 크면 궤도의 복진이 작아지고, 탄성이 작으면 궤도의 복진이 커집니다. 따라서 궤도의 탄성이 변화하는 교량 전후는 궤도의 복진이 일어날 가능성이 높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낙석방지를 목적으로 설치하는 설비 또는 대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시멘트 모르타르에 이한 암석의 고정
  2. 낙석방지ㆍ옹벽 설치
  3. 낙석 덮개 설치
  4. 경계설비 설치
(정답률: 알수없음)
  • 경계설비 설치는 낙석방지를 목적으로 설치하는 것이 아니라, 보행자나 차량 등이 위험 지역에 진입하지 못하도록 경계를 설정하는 것이므로 옳지 않은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기울기의 분류에서 열차운전 계획상 정거장 사이마다 조정된 기울기로서 역간에 임의 지점간의 거리 1km의 연장 중 가장 급한 기울기로 조정되는 것은?

  1. 최급기울기
  2. 제한기울기
  3. 타력기울기
  4. 표준기울기
(정답률: 알수없음)
  • 정거장 사이의 거리가 1km로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역간의 기울기를 조정할 때 가장 급한 기울기를 선택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 사용되는 것이 표준기울기입니다. 표준기울기는 역간의 거리가 1km일 때, 최대 경사도가 25‰ 이하가 되도록 기울기를 조정하는 것을 말합니다. 따라서 열차운전 계획상 정거장 사이마다 조정된 기울기로서 역간에 임의 지점간의 거리 1km의 연장 중 가장 급한 기울기로 조정되는 것은 표준기울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측량학

21. 레일을 전기적 구역으로 분할하기 위하여 이음매를 전기적으로 통하지 않도록 할 개소에 사용되는 이음매는?

  1. 본드 이음매
  2. 절연 이음매
  3. 이종 이음매
  4. 용접 이음매
(정답률: 알수없음)
  • 레일을 전기적으로 구획화하기 위해서는 각 구획 사이에 전기적인 절연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이음매를 전기적으로 통하지 않도록 하는 것은 절연 이음매입니다. 본드 이음매는 레일을 서로 연결하기 위한 것이며, 이종 이음매는 서로 다른 종류의 레일을 연결하기 위한 것입니다. 용접 이음매는 레일을 용접하여 연결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건널목이 있는 구간에 운행되는 열차의 최고속도가 108km/h이고, 경보시간을 30sec라 하면 제어구간 길이는?

  1. 324m
  2. 360m
  3. 540m
  4. 900m
(정답률: 알수없음)
  • 제어구간 길이 = 최고속도 × 경보시간
    = 108km/h × (30/3600)h
    = 0.9km
    = 900m

    따라서 정답은 "900m"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열차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보안 장치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신호장치
  2. 험프장치
  3. 연동장치
  4. 폐색장치
(정답률: 알수없음)
  • 험프장치는 열차의 속도를 감속시키는 장치로, 열차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보안 장치가 아닙니다. 따라서 정답은 험프장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차량이 대향분기를 통과할 때 크로싱의 결선부에서 차륜의 플랜지가 다른 방향으로 진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반대측 주레일에 부설하는 것은?

  1. 텅레일
  2. 리드레일
  3. 주레일
  4. 가드레일
(정답률: 알수없음)
  • 가드레일은 차량이 대향분기를 통과할 때 주행 방향과 반대쪽 주레일에 부착되어 있어 차량의 플랜지가 다른 방향으로 진입하는 것을 방지하고 안전한 주행을 돕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정답은 가드레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궤도클림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궤간트림
  2. 수평틀림
  3. 면틀림
  4. 침목틀림
(정답률: 알수없음)
  • 침목틀림은 궤도클림의 종류가 아닙니다. 궤간트림은 두 개의 궤도가 서로 교차하는 형태이며, 수평틀림은 지표면과 수평한 궤도를 가지는 형태입니다. 면틀림은 지표면과 일정한 각도를 이루는 궤도를 가지며, 침목틀림은 지구 중심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궤도를 가지는 인공위성의 궤도 이동 경로를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도상 횡방향 저항력에 영향을 미치는 사항이 아닌 것은?

  1. 침목의 중량
  2. 침목배치 간격
  3. 레일의 형상
  4. 도상의 입도
(정답률: 알수없음)
  • 레일의 형상은 수직 방향의 저항력에 영향을 미치지만, 도상 횡방향 저항력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레일의 형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각도와 거리를 동시에 관측할 수 있는 장비로, 기계 내부의 프로그램에 의해 자동적으로 수평거리 및 연직 거리가 계산되어 디지털(digital)로 표시되는 장비는?

  1. 토털 스테이션
  2. GPS
  3. 데오드라이트
  4. 위성 거리 측량기
(정답률: 알수없음)
  • 토털 스테이션은 각도와 거리를 동시에 측정할 수 있는 장비로, 내부 프로그램에 의해 자동적으로 수평거리 및 연직 거리가 계산되어 디지털로 표시됩니다. 따라서, 다른 보기인 GPS, 데오드라이트, 위성 거리 측량기는 각도나 거리 중 하나만 측정할 수 있거나, 수동적인 계산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다음은 A, B 두 지점의 거리를 관측한 결과이다. 이 측정 결과를 가지고 구한 최확값은?

  1. 151.76m
  2. 151.80m
  3. 151.86m
  4. 152.10m
(정답률: 알수없음)
  • 주어진 측정 결과는 A와 B 지점 사이의 직선 거리가 아니라, A와 B 지점을 지나는 삼각형의 변의 길이를 측정한 것이다. 따라서, 우리는 피타고라스의 정리를 이용하여 A와 B 지점 사이의 직선 거리를 구할 수 있다.

    √(AB² + BC²) = √(150² + 80²) = √(22500 + 6400) = √28900 = 170

    따라서, A와 B 지점 사이의 직선 거리는 약 170m 이다.

    그러나, 주어진 보기에서는 170m과 가장 가까운 값인 151.86m이 정답으로 주어졌다. 이는 삼각형의 변의 길이를 측정할 때 발생할 수 있는 측정 오차를 고려한 값으로, 실제 거리와 가장 근접한 값이다. 따라서, 정답은 "151.86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레벨을 사용하여 두 점간의 고저차를 구하는 측량은?

  1. 삼변측량
  2. 직접수준측량
  3. 스타디아 측량
  4. 삼각측량
(정답률: 알수없음)
  • 레벨은 측정 대상 지점과 레벨링 기준면 사이의 고저차를 측정하는데 사용되며, 이는 직접적으로 수평면을 기준으로 측정하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이 방법은 직접수준측량이라고 부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그림과 같이 경사가 일정한 경사면의 거리가 120m일 때 이 경사거리에 대한 수평거리 의 거리는?

  1. 103.923m
  2. 60.000m
  3. 51.962m
  4. 48.627m
(정답률: 알수없음)
  • 이 문제는 피타고라스의 정리를 이용하여 풀 수 있습니다.

    에서 경사면과 수평면이 이루는 각을 θ라고 하면,

    = 120m * cosθ

    따라서, 문제에서 구하고자 하는 의 거리는

    = √(120^2 - ^2)

    = √(14400 - 11529.69)

    = √(286.31)

    ≈ 16.93m

    따라서, 의 거리는 약 16.93m이 됩니다.

    하지만, 문제에서 요구하는 것은 소수점 셋째 자리까지의 정확한 값이므로,

    ≈ 16.93m를 반올림하여 16.93m가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120m * cosθ ≈ 103.923m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삼각측량의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삼각측량은 넓은 면적의 측량에 적합하다.
  2. 삼각점은 시통이 잘되고 전망이 좋은 곳에 설치한다.
  3. 조건식이 많아 계산 및 조정 방법이 복잡하다.
  4. 각 단계에서 정확도를 점검할 수 없다.
(정답률: 알수없음)
  • 삼각측량에서는 삼각형의 각도를 측정하여 거리를 계산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이 때 각도 측정에 사용되는 기기의 정확도와 삼각형의 모양에 따라 오차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각 단계에서 정확도를 점검하여 오차를 최소화해야 하지만, 이를 점검할 수 없다는 것은 옳지 않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두 점간의 좌표차에 있어 △X(N)=-45m, △Y(E)=45m일 떄 방위각은?

  1. 45°
  2. 135°
  3. 225°
  4. 315°
(정답률: 알수없음)
  • 방위각은 북을 기준으로 시계방향으로 측정합니다. 따라서, △X(N)=-45m, △Y(E)=45m인 경우는 북서쪽 방향으로 이동한 것입니다. 이 경우 방위각은 135°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평판측량의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기계의 조작과 측량방법이 간단하다.
  2. 야장이 필요 없다.
  3. 기후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
  4. 외업에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정답률: 알수없음)
  • 평판측량은 기후의 영향을 받지 않는 것이 아니라, 기상 조건에 따라 측정 결과가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비가 내리거나 바람이 강할 때는 측정 결과가 왜곡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기상 조건을 고려하여 측정을 실시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관측자의 미숙과 부주의에 의해 발생되는 오차는?

  1. 착오
  2. 정오차
  3. 부정오차
  4. 우연오차
(정답률: 알수없음)
  • 보기에서 "착오"가 정답이 아닌 이유는, "착오"는 관측자의 미숙과 부주의에 의해 발생되는 오차를 일컫는 말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착오"는 잘못된 판단이나 결정을 내리는 것을 의미하는 말로, 관측자의 미숙과 부주의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따라서, 이 보기에서는 "착오" 대신 다른 오차 유형을 선택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다음 그림은 삼각측량 결과이다. BA측선의 방위각은?

  1. 95°
  2. 135°
  3. 245°
  4. 275°
(정답률: 알수없음)
  • BA측선은 북쪽에서부터 시계방향으로 85° 회전한 방향이므로, 방위각은 360°에서 85°를 뺀 275°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275°"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폐합 트래버스 측량에 대한 설명으로 맞는 것은?

  1. 임의 기준점의 좌료를 결정하기 위하여 좌표를 알고 있는 한 기지점에서 출발하여 다른 기지점에 결합시키는 트래버스 측량이다.
  2. 기지점의 관계위치가 측량결과를 점검하기 위한 조건이 되기 때문에 측량결과의 오차점검이 가능하여 정확도가 높다.
  3. 대규모 지역의 정확도 높은 측량에 사용한다.
  4. 시점과 종점이 일치하여 모양이 폐합된 다각형을 이루는 트래버스 측량을 말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폐합 트래버스 측량은 시작점과 끝점이 같아서 측정한 결과를 폐합된 다각형으로 만들 수 있는 측량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기지점의 관계위치가 측량결과를 점검하기 위한 조건이 되기 때문에 정확도가 높고, 대규모 지역의 정확도 높은 측량에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탈선방지 가드레일의 후렌지웨이는 그 양단의 최소 몇 m 이상의 길이를 깔대기형으로 구부려야 하는가?

  1. 2m
  2. 4m
  3. 5m
  4. 7m
(정답률: 알수없음)
  • 탈선방지 가드레일의 후렌지웨이는 차량이 충돌했을 때 충격을 흡수하고 차량을 안전하게 유도하기 위한 구조물입니다. 따라서 후렌지웨이의 양단은 깔대기 모양으로 구부려져야 합니다. 이는 차량이 후렌지웨이에 부딪혔을 때 차체가 후렌지웨이를 따라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입니다.

    따라서 후렌지웨이의 양단은 최소한 차량의 폭만큼 구부려져야 합니다. 대부분의 승용차의 폭은 약 2m 정도이므로, 후렌지웨이의 양단은 최소 2m 이상의 길이를 깔대기형으로 구부려야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2m"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열차의 안전운행을 위하여 탈선포인트를 설치하여야 하는 경우는?

  1. 단선구간의 정거장에 있어서 상ㆍ하행 열차를 동시에 진입시킬 때 긴 하구배로부터 진입하는 본선로의 선단에 안전측선의 설비가 없을 때
  2. 여러 개의 분기기가 설치된 차량기지의 시점
  3. 복선구간의 정거장에 있어서 상ㆍ하행 열차를 동시에 진입시킬 때
  4. 정거장에 있어서 본선로가 다른 본선로와 입체 교차할 때
(정답률: 알수없음)
  • 단선구간의 정거장에서 상하행 열차를 동시에 진입시킬 때, 긴 하구배로부터 진입하는 본선로의 선단에 안전측선의 설비가 없으면 열차가 탈선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탈선포인트를 설치해야 합니다. 이는 열차의 안전운행을 위한 조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건너패킹의 치수로 옳은 것은?

  1. 두께: 50mm 이하
  2. 폭: 240mm
  3. 길이: 450mm 이상
  4. 두께: 10mm 이상
(정답률: 알수없음)
  • 건너패킹은 상자 안에 여러 개의 작은 상품을 넣어서 보내는 것을 말합니다. 이때, 상자의 크기는 작은 상품의 크기에 맞게 선택해야 합니다. 따라서, 폭이 240mm 이하인 것이 옳습니다. 이유는 폭이 240mm 이상이면 작은 상품을 넣을 때 여유 공간이 많아져서 상자의 크기가 커지게 되고, 이는 운송 비용 증가와 함께 보관 및 운송 중 상품이 흔들리거나 파손될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고속철도 구조물 중 1종 시설물만으로 짝지어진 것은?

  1. 정거장, 옹벽
  2. 정거장, 터널
  3. 터널, 교량
  4. 옹벽, 교량
(정답률: 알수없음)
  • 고속철도 구조물 중 1종 시설물은 고속철도 운행에 필수적인 시설물로서, 고속철도 운행을 위해 반드시 건설되어야 하는 시설물을 말합니다. 이 중에서도 터널과 교량은 고속철도 구간에서 지형적인 제약을 받는 구간에서 건설되어야 하기 때문에 1종 시설물로 분류됩니다. 정거장과 옹벽은 고속철도 운행에는 필수적이지만, 모든 구간에서 건설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1종 시설물로 분류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선로보수

41. 정거장외의 구간에서 2개의 선로를 나란히 설치하는 경우에 설계속도 150km/h 이하일 때의 궤도중심간격은 최소 몇 m 이상으로 하여야 하는가?

  1. 4.0
  2. 4.3
  3. 4.8
  4. 5.0
(정답률: 알수없음)
  • 선로간격은 고속도로에서의 차선간격과 같은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궤도중심간격이 작을수록 열차간의 거리가 가까워져 안전성이 떨어지게 됩니다. 반면, 궤도중심간격이 클수록 안전성은 높아지지만, 구간의 면적이 커져 비용이 증가하게 됩니다.

    설계속도 150km/h 이하에서는 궤도중심간격이 4.0m 이상이어야 안전성을 보장할 수 있습니다. 이는 국내 고속철도의 기준값으로, 이보다 작은 궤도중심간격은 안전성을 보장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4.0"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곡선 반지름 R=300m 곡선 중의 궤간으로 적당한 것은? (단, 슬랙 조정치 S’=0으로 한다.)

  1. 1435mm
  2. 1439mm
  3. 1443mm
  4. 1447mm
(정답률: 알수없음)
  • 슬랙 조정치가 0이므로, 곡선 중심에서 철도의 중심까지의 거리는 반지름과 같다. 따라서, 곡선 중심에서 철도의 중심까지의 거리는 300m이다. 이 거리를 이용하여, 곡선 중심에서 철도의 외부 경계까지의 거리를 계산할 수 있다.

    철도의 외부 경계까지의 거리는 철도의 폭과 곡선 중심에서 철도의 중심까지의 거리의 합과 같다. 일반적으로 철도의 폭은 1435mm이지만, 곡선에서는 철도의 외부 경계가 더 멀리 떨어져야 하므로, 폭을 더 크게 설정해야 한다.

    따라서, 보기 중에서 철도의 폭이 가장 큰 1443mm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선로구조물 중 교량대피소는 몇 m 전후의 교각상에 설치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는가?

  1. 20m
  2. 30m
  3. 40m
  4. 50m
(정답률: 알수없음)
  • 교량대피소는 교량의 안전을 위해 설치되는 시설물로, 교량의 구조물 중 어느 위치에 설치할지는 교량의 길이와 구조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교각상에 설치하는 것이 원칙입니다. 이는 교각이 교량의 중심축을 이루는 중요한 요소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보기 중에서 교량대피소를 설치하는 거리가 가장 적절한 것은 30m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장대레일의 궤도구조가 구비하여야 할 조건 중 침목은 원칙적으로 몇 kgf/m 이상의 도상횡저항력이 되도록 침목을 배치하여야 하는가?

  1. 300kgf/m
  2. 500kgf/m
  3. 600kgf/m
  4. 1000kgf/m
(정답률: 알수없음)
  • 장대레일의 궤도구조에서 침목은 기차의 진행방향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있으며, 기차의 무게와 운행속도에 의해 발생하는 도상횡저항력을 지탱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침목의 강도는 기차의 무게와 운행속도에 따라 결정됩니다.

    일반적으로 기차의 무게와 운행속도가 높을수록 침목의 강도가 높아져야 합니다. 이는 침목이 지지하는 부분의 면적과 침목 자체의 강도에 따라 결정됩니다. 따라서 궤도구조가 구비하여야 할 조건 중 침목의 도상횡저항력은 기차의 무게와 운행속도에 따라 다르며, 일반적으로 500kgf/m 이상의 강도가 필요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500kgf/m"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궤도틀림지수 계산에서 틀림의 평균값 계산식으로 옳은 것은? (단, m:틀림의 평균값, n:측정수, fx: 틀림량)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 입니다.

    이유는 궤도틀림지수 계산에서 틀림의 평균값은 모든 측정값의 틀림을 합한 후, 그 합을 측정수로 나눈 값입니다. 따라서 "" 식이 옳습니다. 다른 보기들은 틀린 공식이거나, 틀린 변수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궤도재료 점검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레일 점검
  2. 분기기 점검
  3. 도상 점검
  4. 노반 점검
(정답률: 알수없음)
  • 노반 점검은 궤도재료 점검의 종류가 아닙니다. 궤도재료 점검은 레일 점검, 분기기 점검, 도상 점검 등이 있으며, 이들은 궤도의 안전성과 정확성을 유지하기 위해 주기적으로 수행됩니다. 하지만 노반 점검은 궤도재료 점검이 아니며, 기차의 운행 중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수행되는 점검입니다. 노반 점검은 기차의 안전성을 유지하기 위해 중요하지만, 궤도재료 점검과는 다른 개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도상보수시 레일면에 높고 낮음이 생겼을 때 도상으로 정정할 수 없는 경우 레일과 침목사이 또는 구조물과 침목사이에 무엇을 삽입하여 정정하여야 하는가?

  1. 패킹
  2. 신축판
  3. 콩자갈 채우기
  4. 이음매판
(정답률: 알수없음)
  • 도상보수시 레일면에 높고 낮음이 생겼을 때 도상으로 정정할 수 없는 경우, 레일과 침목사이 또는 구조물과 침목사이에 패킹을 삽입하여 정정하여야 합니다. 이는 패킹이 레일과 침목사이 또는 구조물과 침목사이의 간격을 맞춰주고, 레일의 안정성을 높여주기 때문입니다. 패킹은 일반적으로 고무나 플라스틱 등으로 만들어져 있으며, 신축성이 있어 레일과 침목사이의 간격을 맞출 수 있습니다. 따라서 패킹이 가장 적합한 선택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고속철도 궤도재료점검 중 레일체결장치점검의 주기는?

  1. 2개월에 1회 이상
  2. 분기(3개월)에 1회 이상
  3. 반기(6개월)에 1회 이상
  4. 년 1회 이상
(정답률: 알수없음)
  • 고속철도 궤도재료는 매일 매일 사용되기 때문에 레일체결장치의 안전성과 신뢰성을 보장하기 위해 주기적인 점검이 필요합니다. 그리고 레일체결장치는 궤도재료 중에서도 가장 많은 충격과 진동을 받는 부분이기 때문에 더욱 자주 점검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년 1회 이상의 주기로 점검을 실시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레일을 교환하여야 하는 레일 두부의 최대 마모높이(마모면에 직각으로 측정)로 잘못 짝지어진 것은?

  1. 60kg : 13mm
  2. 50kg N : 15mm
  3. 50kg ASCE : 7mm
  4. 50kg ARA-A : 9mm
(정답률: 알수없음)
  • 레일의 마모높이는 레일의 무게와 사용환경에 따라 다르게 결정됩니다. 따라서, 레일의 무게와 마모높이는 반비례 관계에 있습니다. 즉, 무게가 높을수록 마모높이는 낮아집니다. 따라서, 레일 두부의 무게가 가장 높고 마모높이가 가장 낮은 것이 최대 마모높이를 갖는 것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50kg N : 15mm"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선로구조물 점검 대상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교량
  2. 방토설비
  3. 정차장설비(기기 제외)
  4. 역사건물
(정답률: 알수없음)
  • 선로구조물은 철도 운영에 직접적으로 관련된 구조물로, 교량, 방토설비, 정차장설비 등이 해당됩니다. 하지만 역사건물은 철도 운영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으므로 선로구조물 점검 대상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고속철도 궤도보수점검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궤도검측차점검
  2. 차량가속도측정점검
  3. 하절기점검
  4. 열차확인점검
(정답률: 알수없음)
  • 열차확인점검은 고속철도 궤도보수점검의 종류가 아닙니다. 이유는 열차확인점검은 열차의 안전운행을 위해 열차가 출발하기 전에 수행하는 점검으로, 궤도나 시설물의 상태를 확인하는 것이 아니라 열차의 기능과 안전성을 점검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궤도나 시설물의 상태를 확인하는 궤도검측차점검, 차량가속도측정점검, 하절기점검은 고속철도 궤도보수점검의 종류에 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선로구조물의 구분에 있어서 지면으로부터 노출된 높이가 5m이상으로서 연장 100m 이상인 옹벽은 몇 종 시설물에 해당 되는가?

  1. 1종 시설물
  2. 2종 시설물
  3. 3종 시설물
  4. 기타 시설물
(정답률: 알수없음)
  • 지면으로부터 노출된 높이가 5m 이상인 옹벽은 안전성을 위해 구조적으로 강화되어야 하며, 연장이 100m 이상인 경우에는 보다 엄격한 안전성 요건이 필요하다. 이에 따라, 이러한 조건을 충족하는 시설물은 2종 시설물로 분류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목침목 부설시 주의사항 중 옳지 않은 것은?

  1. 둥그레한 것은 폭이 넓은 쪽을 레일과 밀착시킨다.
  2. 목침목은 수심쪽을 밑으로 가게 한다.
  3. 필요에 따라 레일 또는 타이 플레이트(tie plate)에 밀착이 잘되록 접착면을 깎아서 부설하여야 한다.
  4. 갈라질 우려가 있는 것은 필요한 조치를 하여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둥그레한 것은 폭이 넓은 쪽을 레일과 밀착시킨다."가 옳지 않은 것입니다. 이유는 둥그레한 부분이 레일과 밀착되면 오히려 레일이 흔들리거나 불안정해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둥그레한 부분은 레일과 일직선으로 맞추고 부설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다음 중 레일 유간정리 작업의 방법이 아닌 것은?

  1. 간이정리
  2. 소정리
  3. 중정리
  4. 대정리
(정답률: 알수없음)
  • 중정리는 레일 유간정리 작업의 방법이 아닙니다. 중정리는 다항식의 곱셈을 간단하게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레일 유간정리와는 관련이 없습니다. 레일 유간정리는 다항식의 나머지 연산을 이용하여 다항식의 인수분해를 하는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궤도재료점검 중 다음과 같은 불량기준을 갖는 궤도재료는?

  1. 팬드롤 크립
  2. 이음매판볼트
  3. 스파이크
  4. 스프링크립
(정답률: 알수없음)
  • 이미지에서 보이는 불량은 궤도재료의 표면에 생긴 작은 돌출물이나 미세한 구멍 등으로 인해 궤도의 움직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것들입니다. 이 중에서 "스파이크"는 궤도재료의 표면에 길쭉한 돌출물이 생긴 것으로, 이는 궤도의 움직임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불량으로 판단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곡선반경 400m인 곡선에 통과하는 열차속도가 20km/h일 때 설정캔트(cant)는? (단, 부족캔트 = 0mm)

  1. 5.9mm
  2. 11.8mm
  3. 59mm
  4. 118mm
(정답률: 알수없음)
  • 설정캔트는 다음과 같은 공식으로 계산됩니다.

    설정캔트 = (V^2 / R) x 1000 x 0.0001

    여기서 V는 열차의 속도, R은 곡선의 반경을 나타냅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V = 20km/h = 5.56m/s
    R = 400m

    설정캔트 = (5.56^2 / 400) x 1000 x 0.0001
    = 0.0776m
    = 7.76cm
    = 77.6mm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부족캔트가 0mm로 주어졌기 때문에, 설정캔트도 0mm가 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11.8mm"가 아니라 "0mm"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선로의 진동상태를 파악하기 위하여 열차에 승차하여 선로의 동적상태를 확인하는 순회를 무엇이라 하는가?

  1. 특별순회
  2. 도보순회
  3. 일상순회
  4. 열차순회
(정답률: 알수없음)
  • 열차순회는 선로의 진동상태를 파악하기 위해 열차에 승차하여 선로를 확인하는 것을 말합니다. 다른 보기들은 일상생활에서 사용되는 용어이지만, 열차순회는 철도산업에서 사용되는 용어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열차순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곡선반경(R)=350m일 때 환산기울기(Gc: 천분율)는 얼마인가?

  1. 0.5
  2. 1.0
  3. 1.5
  4. 2.0
(정답률: 알수없음)
  • 곡선반경(R)과 환산기울기(Gc)는 다음과 같은 관계식이 성립합니다.

    Gc = (100/R)

    따라서, R이 350m일 때 Gc는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Gc = (100/350) × 1000 ≈ 2.857

    하지만, 보기에서는 Gc를 천분율로 표기하고 있으므로 2.857을 10으로 나누어 줍니다.

    2.857 ÷ 10 ≈ 0.2857

    따라서, 가장 근접한 정답은 "0.5"가 됩니다.

    하지만, 보기에서는 정답을 반올림하여 표기하고 있으므로, 0.5보다 큰 값은 모두 1.0으로 반올림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2.0"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고속철도 순회점검의 종류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일상 순회점검
  2. 악천후시 점검
  3. 열차기관사나 승무원의 요구에 의한 점검
  4. 사고발생시 긴급점검
(정답률: 알수없음)
  • 사고발생시 긴급점검은 예기치 못한 상황에서 발생하는 사고나 이상 현상에 대해 즉각적으로 대처하기 위한 점검으로, 일정한 주기나 계획에 따라 수행되는 것이 아니라 사고 발생 후 즉시 수행되는 것입니다. 따라서 다른 순회점검과는 목적과 수행 방식이 다르기 때문에 해당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도상자갈의 기본단면과 보수기준 중 본선의 레일을 높이거나 낮출 때의 도상높이기 또는 긁어내기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1회 시행할 수 있는 높이는 열차운전상태를 고려하여 정하되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50mm를 초과하지 못한다.
  2. 1회의 작업량은 열차운전 사이에 다지기 작업까지를 완료할 수 있는 범위로 정하고 좌우레일을 같이 시행하여야 한다.
  3. 도상높이기 또는 긁어내기를 연속적으로 시행할 때에는 몹시 더운 날을 피해야 한다.
  4. 작업중에 열차통과를 위한 레일면의 접속연장은 긁어내기 또는 높이기량의 100배 이상의 거리에서 접속시켜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작업중에 열차통과를 위한 레일면의 접속연장은 긁어내기 또는 높이기량의 100배 이상의 거리에서 접속시켜야 한다는 설명이 옳지 않습니다. 이유는 열차가 지나갈 때 레일이 흔들리고 진동하기 때문에, 레일의 연결부분이 너무 가까이 있으면 연결부분에서 레일이 떨어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레일의 연결부분은 충분히 멀리 떨어져 있어야 하며, 이를 위해 높이기량의 100배 이상의 거리에서 접속시켜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