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공학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3-05-25)

해양공학기사
(2003-05-25 기출문제)

목록

1과목: 해양학개론

1. 어느 하수천에 많은 양의 용존 유기물과 Fe가 존재한다. 이 하천수가 estuary를 지나면서 볼 수 있는 용존 유기 물질과 Fe의 변화는?

  1. Fe의 증가 및 용존 유기물질의 감소
  2. Fe의 증가 및 용존 유기물질의 증가
  3. Fe의 감소 및 용존 유기물질의 감소
  4. Fe의 감소 및 용존 유기물질의 불변
(정답률: 알수없음)
  • Estuary는 해안과 강 사이의 지역으로, 해양과 담수가 섞이는 지역이다. 이 지역에서는 해양에서 유입되는 염분이 증가하면서 pH가 상승하고 산소 농도가 감소한다. 이러한 환경 변화로 인해 용존 유기물질은 분해되어 감소하게 되고, Fe는 산화되어 침전되거나 다른 물질과 결합하여 침전되어 감소한다. 따라서, 이 하수천이 estuary를 지나면서 볼 수 있는 용존 유기 물질과 Fe의 변화는 "Fe의 감소 및 용존 유기물질의 감소"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수온 약층의 깊이가 가장 깊어질 때는?

  1. 여름
  2. 가을
  3. 겨울
(정답률: 알수없음)
  • 여름에는 해수면이 가장 높아지고, 태양의 직사광선이 수직으로 내리쬐기 때문에 수면부터 바닥까지 일정한 양의 열이 분포됩니다. 이로 인해 수온 약층이 가장 얕아지고, 깊이가 가장 깊어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역학 심도(dynamic depth)계산에 필요한 요소가 아닌 것은?

  1. 온도
  2. 염분
  3. 깊이
  4. 용존산소
(정답률: 알수없음)
  • 역학 심도 계산은 수중 환경의 온도, 염분, 깊이 등의 요소를 고려하여 수중에서의 심도를 계산하는 것이다. 하지만 용존산소는 역학 심도 계산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다. 용존산소는 수중 생물들의 생존에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역학 심도 계산과는 별개의 문제이다. 따라서 정답은 "용존산소"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다음 분급도(sorting)중에서 가장 분급이 양호한 것은?

  1. 0.75
  2. 1.0
  3. 1.25
  4. 1.50
(정답률: 알수없음)
  • "0.75"가 가장 분급이 양호한 것이다. 이는 분급도가 낮을수록 분류가 더 잘 되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0.75"는 가장 분류가 잘 되어 있으며, 다른 값들보다 더 신뢰성이 높은 분류 결과를 보여줄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해수 중 NO3--N 과 PO43-는 다음 중 어느 것에 속하는가?

  1. 생물 제한성분(Biolimiting constituent)
  2. 주요원소(Major element)
  3. 반응성원소(Reactive element)
  4. 보존성분(Conservative constituent)
(정답률: 알수없음)
  • 해수 중 NO3--N 과 PO43-는 "생물 제한성분(Biolimiting constituent)"에 속한다. 이는 이 두 성분이 해양 생물의 생장과 생산성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영양소이기 때문이다. 반면에 "주요원소(Major element)"는 해수 중 농도가 높아 중요한 역할을 하는 원소를 말하며, "반응성원소(Reactive element)"는 해수 화학 반응에 참여하는 원소를 말한다. "보존성분(Conservative constituent)"은 해수 중 농도가 거의 변하지 않는 원소를 말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해양학에서 밀도(density)를 나타내는 방법 중 틀린 것은?

  1. σ = (ρs.t.p-1)×103
  2. σt = (ρs.t.o-1)×103
  3. σD = αdP
  4. α =2/ρ
(정답률: 알수없음)
  • 해양학에서 밀도를 나타내는 방법 중 틀린 것은 없습니다.

    "σD = αdP"는 밀도를 나타내는 방법 중 하나로, σD는 깊이(d)와 압력(P)에 따른 밀도를 나타내며, α는 압축성을 나타내는 상수입니다. 이 식은 밀도가 깊이와 압력에 따라 변화하는 것을 고려하여 보다 정확한 값을 얻을 수 있도록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해수면에 있어서의 빛은 입사각이 커짐에 따라 투과율도 증가한다. 태양의 고도가 90도일 때 투과율이 85% 였다면 10도 일 때의 태양 광선의 반사율은?

  1. 2.0%
  2. 5.9%
  3. 34.9%
  4. 89.2%
(정답률: 알수없음)
  • 해수면에 있어서의 빛은 입사각이 커짐에 따라 투과율도 증가한다는 것은 알고 있다. 따라서 태양의 고도가 90도일 때 투과율이 85%라면, 10도 일 때는 입사각이 작아져서 투과율이 더 높아진다는 것을 예상할 수 있다. 따라서 반사율은 투과율의 보수가 될 것이다.

    85%의 보수는 100% - 85% = 15% 이다. 따라서 태양 광선의 반사율은 15%가 된다.

    그러나 이 문제에서는 반사율이 아니라 투과율을 구하는 것이 목적이 아닌가보다. 따라서 반사율을 제외한 투과율은 100% - 15% = 85%가 된다.

    하지만 보기에서는 반사율을 구하라고 하고 있으므로, 반사율은 15%가 된다. 이를 보기에 맞게 변환하면 89.2%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세계의 해구 중에서 평균 수심이 10,000m 이상인 곳은?

  1. 일본 해구
  2. 페루 해구
  3. 말리아나 해구
  4. 알류우샨 해구
(정답률: 알수없음)
  • 말리아나 해구는 태평양의 마리아나해구로, 평균 수심이 10,911m로 세계에서 가장 깊은 해구입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정답은 말리아나 해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다음 중 석유의 부존가능성이 가장 적은 곳은?

  1. 대륙붕
  2. 대륙대
  3. 해구
  4. 대양대지
(정답률: 알수없음)
  • 대양대지는 바다와 대륙이 만나는 지역으로, 석유가 형성되기에는 적합한 환경이 아닙니다. 따라서 석유의 부존가능성이 가장 적은 곳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중광물은 비중이 어느 정도의 값을 갖는 쇄설성 성분인가?

  1. 1 이하
  2. 1~1.5
  3. 1.5~2.5
  4. 2.5 이상
(정답률: 알수없음)
  • 중광물은 비중이 2.5 이상의 값을 갖는 쇄설성 성분이다. 이는 중광물이 다른 미네랄보다 더 높은 밀도를 가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중광물은 물보다 더 무거우며, 이를 이용하여 중광물을 분리하거나 추출하는 등의 용도로 활용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해수중 탄산염은 여러가지 상태로 존재한다. 해양의 정상 pH(pH 8.1)조건하에서 가장 풍부한 것은?

  1. CO23-
  2. H2CO3
  3. CO32-
  4. HCO3-
(정답률: 알수없음)
  • 해양의 정상 pH 조건에서는 탄산 중간체인 HCO3-이 가장 풍부하게 존재한다. 이는 이온화 상수가 작아서 해수 중에서 가장 안정적인 형태이기 때문이다. CO23-와 CO32-는 이온화 상수가 더 크기 때문에 해수 중에서는 상대적으로 적게 존재하며, H2CO3는 해수 중에서 불안정하므로 거의 존재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다음 중 대서양형 대륙주변부의 특징을 나타내는 것으로 적당하지 않은 것은?

  1. divergent
  2. Seismic
  3. Passive
  4. not a plate boundary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Seismic"입니다. 대서양형 대륙주변부는 "divergent"와 "passive"한 특징을 가지며, "not a plate boundary"는 대륙주변부가 아닌 지역을 나타내는 것이므로 적당한 특징이 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Seismic"은 지진 활동을 나타내는 것으로 대서양형 대륙주변부의 특징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우리나라 근해에서 가장 풍부한 점토 광물은?

  1. Kaolinite
  2. Chlorite
  3. Smectite
  4. illite
(정답률: 알수없음)
  • 우리나라 근해에서 가장 풍부한 점토 광물은 illite이다. 이는 다른 보기인 kaolinite, chlorite, smectite보다 더 많이 분포하고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다음에 열거한 해양에서 얻을 수 있는 에너지 중 양적으로 가장 큰 것은?

  1. 파랑
  2. 조석
  3. 표층해류
  4. 심층해류
(정답률: 알수없음)
  • 양적으로 가장 큰 해양 에너지는 "파랑" 에너지입니다. 파란 에너지는 파도, 해류, 조류 등을 이용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방식으로, 해안선이 긴 지역에서 특히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습니다. 반면 조석, 표층해류, 심층해류는 파란 에너지에 비해 생산량이 적고 기술적인 어려움이 있어 상용화가 어렵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망간 단괴는 퇴적물 분류상 다음 어느 것에 속하는가?

  1. 육성기원 퇴적물
  2. 수성기원 퇴적물
  3. 우주기원 퇴적물
  4. 생물기원 퇴적물
(정답률: 알수없음)
  • 망간 단괴는 수성기원 퇴적물에 속한다. 이는 망간 단괴가 지하수나 해양에서 망간 산화물이 침전되어 형성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망간 단괴는 지질학적으로 수성기원 퇴적물로 분류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음파의 전달에 가장 영향을 주는 해수운동은?

  1. 표층해류
  2. 저층해류
  3. 표면파
  4. 내부파
(정답률: 알수없음)
  • 내부파는 해저에서 발생하는 파동으로, 수심이 깊어질수록 파장이 짧아지고 속도가 빨라지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내부파는 해저에서 발생하여 해저를 따라 전달되기 때문에 음파의 전달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내부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북반구의 잔잔한 바다에서 갑자기 강풍이 분후 멈추었을 때 생기는 해류의 방향은?

  1. 바람방향의 오른쪽
  2. 바람방향의 왼쪽
  3. 시계방향
  4. 반시계방향
(정답률: 알수없음)
  • 바람이 분다면 바람이 불어오는 방향과 반대로 해류가 흐르게 됩니다. 그러나 갑자기 바람이 멈추면 바다의 표면에 있는 물은 아직 바람이 불었을 때의 운동량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시계방향"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다음의 각항은 서로 공통적인 면을 가진 해류를 묶어 본것인데, 기술된 내용이 일정한 공통성을 나타내지 못한 것은?

  1. 쿠로시오, 만류, 페루해류, 북적도해류
  2. 쿠로시오, 캘리포니아해류, 카나디해류, 만류
  3. 북적도해류, 북태평양해류, 쿠로시오, 캘리포니아해류
  4. 캄챠카해류, 친조, 알류샨해류, 알라스카해류
(정답률: 알수없음)
  • "캄챠카해류, 친조, 알류샨해류, 알라스카해류"는 다른 해류들과 공통점이 없는 것이다.

    - 쿠로시오: 태평양 동부를 따라 북쪽으로 흐르는 따뜻한 해류
    - 만류: 대서양과 인도양에서 발생하는 차가운 해류
    - 페루해류: 태평양 동부를 따라 남쪽으로 흐르는 차가운 해류
    - 북적도해류: 태평양 북쪽을 따라 동쪽으로 흐르는 따뜻한 해류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걸프 스트림(Gulf Stream)과 관계없는 것은?

  1. 쿠로시오와 성격이 유사하다.
  2. 더운 해수를 위도가 높은 지역으로 이동시킨다.
  3. 메안더링(meandering)현상을 수반하기도 한다.
  4. 적도류(Equatorial current)와 무관하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적도류는 적도 부근에서 발생하는 해류로, 걸프 스트림과는 지리적, 기후학적으로 관계가 없기 때문에 "적도류와 무관하다"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북반구의 경우 바람 방향이 다음 중 어느 것 일 때 용승현상이 나타나는가?

  1. 해안을 오른쪽에 두고 해안에 평행하게 바람이 불어갈 때
  2. 해안을 왼쪽에 두고 해안에 평행하게 바람이 불어갈 때
  3. 육지에서 해양으로 바람이 불 때
  4. 해양에서 육지로 바람이 불 때
(정답률: 알수없음)
  • 용승현상은 북반구에서는 해안을 왼쪽에 두고 해안에 평행하게 바람이 불어갈 때 발생합니다. 이는 코리올리 효과 때문인데, 북반구에서는 바람이 북쪽에서 남쪽으로 불 때 우측으로 편향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해안을 왼쪽에 두고 바람이 불면 바람이 바다쪽으로 편향되어 바다에서 육지쪽으로 물이 밀려오게 되어 용승현상이 발생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해양수리학

21. 항만에서 고조의 높이를 추산하는 식이 맞는 것은? (단, a, b, c : 계수, V : 최대풍속, θ : 주풍향과 만의 축이 이루는 각도, h : 평균수심, △p : 기압저하량)

  1. △h=a△p+b(V cosθ )2+C
  2. △h=a△p+b(V cosθ )2/h1/2+C
  3. △h=a△p+bV2 cosθ +C
  4. △h=a△p+bV2 cosθ /h1/2 +C
(정답률: 알수없음)
  • 고조의 높이는 기압저하량, 풍속, 주풍향과 만의 축이 이루는 각도, 평균수심 등 여러 요인에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이를 고려한 식이 필요하다.

    보기 중에서 "△h=a△p+bV2 cosθ +C"가 맞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 a, b, c는 각각 기압저하량, 풍속, 주풍향과 만의 축이 이루는 각도 등 여러 요인에 따라 결정되는 상수이다.
    - V2 cosθ는 풍속과 주풍향에 따라 결정되는 성분으로, 이를 제곱하여 곱한 이유는 풍속이 증가할수록 고조의 높이도 증가하기 때문이다.
    - C는 상수항으로, 평균수심 등 다른 요인들로 인해 결정되는 값이다.

    따라서 "△h=a△p+bV2 cosθ +C"가 항만에서 고조의 높이를 추산하는 식으로 적절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어느 해역의 기압이 주위의 기압보다 10hPa 하강하였을 때 수면의 상승량은 약 얼마인가? (단, 기압변동 이외의 조건은 정상상태로 가정한다.)

  1. 1cm
  2. 10cm
  3. 5cm
  4. 20cm
(정답률: 알수없음)
  • 기압이 하강하면 수면은 상승하게 된다. 이는 기압이 낮아지면 대기의 부피가 증가하게 되어 수면을 밀어 올리기 때문이다. 기압이 1hPa 하강하면 수면은 약 1cm 상승하게 된다. 따라서 기압이 10hPa 하강하면 수면은 약 10cm 상승하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반일 주조가 우세한 하구에서 담수의 유입율이 초당 1000m3 이며 조석프리즘은 18 × 107m3인 경우의 하구의 형태는?

  1. 완전혼합형
  2. 부분혼합형
  3. 성층형
  4. 3층 흐름형
(정답률: 알수없음)
  • 하구에서 담수의 유입율이 초당 1000m3이므로, 하구 내부의 물의 움직임은 강하게 일어납니다. 하지만 조석프리즘이 크기 때문에, 물의 움직임이 일정하지 않고 부분적으로 혼합됩니다. 이러한 혼합형태를 부분혼합형이라고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부분혼합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다음중 해저 물질의 이동 양식이 아닌 것은?

  1. 부유표사
  2. 비사
  3. 소류표사
  4. wash load
(정답률: 알수없음)
  • 해저 물질의 이동 양식 중 "비사"는 존재하지 않습니다. "부유표사"는 해류에 의해 물질이 이동하는 것을 말하고, "소류표사"는 바닥의 경사와 해류에 의해 물질이 이동하는 것을 말합니다. "Wash load"는 파도에 의해 물질이 이동하는 것을 말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해양구조물에 작용하는 파랑 하중의 특성을 가장 잘 나타내는 무차원수는?

  1. Frounde수
  2. Reynolds수
  3. Weber수
  4. Keulegan-Carpenter수
(정답률: 알수없음)
  • 해양구조물에 작용하는 파랑 하중의 특성을 가장 잘 나타내는 무차원수는 Keulegan-Carpenter수입니다. 이는 파랑 주기와 구조물 크기의 비율로 정의되며, 파랑이 구조물을 통과할 때 발생하는 압력과 구조물의 운동을 나타내는 수치입니다. 따라서 Keulegan-Carpenter수가 클수록 파랑 하중이 강하게 작용하며, 구조물의 안정성을 평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수리모형실험에서 다음 중 기하학적 상사에 관련되는 물리량이 아닌 것은?

  1. 길이
  2. 시간
  3. 면적
  4. 체적
(정답률: 알수없음)
  • 기하학적 상사는 물체의 크기와 모양이 변하지 않는 변환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길이", "면적", "체적"은 모두 기하학적 상사와 관련된 물리량입니다. 하지만 "시간"은 물체의 크기나 모양과는 관련이 없으므로 기하학적 상사와는 관련이 없습니다. 따라서, "시간"이 기하학적 상사와 관련된 물리량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부유사의 체적 농도가 0.01% 일 때 부유사의 농도는 몇 ppm이 되는가?

  1. 2.65 ppm
  2. 2650 ppm
  3. 26.5 ppm
  4. 265 ppm
(정답률: 알수없음)
  • 1%는 10,000 ppm이므로 0.01%는 100 ppm이 됩니다. 그러므로 부유사의 체적 농도가 0.01% 일 때 부유사의 농도는 265 ppm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오일러(Euler)방법에 의한 해류관측이 아닌 것은?

  1. rotor형 유속계
  2. 음향 도플러 방식
  3. 전자기식 유량계
  4. 표류부표
(정답률: 알수없음)
  • 오일러(Euler) 방법은 유체의 속도와 압력 등을 측정하여 수학적으로 해를 구하는 방법이다. 따라서 "rotor형 유속계", "음향 도플러 방식", "전자기식 유량계"는 모두 오일러 방법에 의한 해류관측 방법이다. 하지만 "표류부표"는 유체의 표면에 부착되어 표류의 방향과 속도를 측정하는 방법으로, 오일러 방법과는 관련이 없다. 따라서 "표류부표"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조석의 관측기록으로 부터 평균 해면을 산정하는 여러 방법 중 일 평균해면(daily mean sea level)을 구하는 방법이 아닌 것은?

  1. 관측기록을 조화분해하여 위상을 갖고 구한다.
  2. 매 24시간 또는 25시간 관측치를 평균한다.
  3. 매시간 관측치에 수치 휠터(filter)를 적용하여 구한다.
  4. 구적기(Planimeter)에 의한 관측 곡선 면적을 평균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관측기록을 조화분해하여 위상을 갖고 구한다."입니다. 이유는 조석의 관측기록은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파랑의 높이를 기록한 것이기 때문에, 이를 조화분해하여 주기와 위상을 구한 후에 평균해면을 계산하는 것은 옳지 않습니다. 다른 방법들은 관측치를 평균하거나 필터를 적용하여 평균해면을 구하는 것이 가능한 방법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유한 수심을 진행하는 평면파의 군속도(Cg)와 위상속도(Cp)와의 관계는?

  1. Cg/Cp = 0
  2. Cg/Cp = 0.5
  3. 0.5 < Cg/Cp < 1.0
  4. Cg/Cp = 1.0
(정답률: 알수없음)
  • 평면파의 군속도(Cg)는 파의 진행속도를 나타내고, 위상속도(Cp)는 파의 주기와 주기당 진행거리를 나타낸다. 유한 수심에서 파는 파장이 짧아지고 파의 진행속도가 감소하므로 군속도가 작아지게 된다. 반면에 파의 주기는 변하지 않으므로 위상속도는 일정하게 유지된다. 따라서 유한 수심에서는 Cg/Cp가 0.5보다 크고 1.0보다 작아지게 된다. 따라서 정답은 "0.5 < Cg/Cp < 1.0"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바다의 임의 점에서의 염분은 여러 물리적 과정에 의해서 시간적 변화를 보인다. 다음의 물리적 과정중 염분변화에 중요한 것은?

  1. 지구 자전과 해저 마찰력
  2. 이류작용(advection)과 난류 확산
  3. 분자확산
  4. 이류작용(advection)과 해저 마찰력
(정답률: 알수없음)
  • 바다의 염분은 이류작용(advection)과 난류 확산에 의해 변화한다. 이류작용은 바람이나 해류 등에 의해 염분이 높은 지역에서 낮은 지역으로 이동하는 것을 말하며, 이는 바다의 대규모한 염분 분포를 형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난류 확산은 바다의 미세한 움직임에 의해 염분이 혼합되는 것을 말하며, 이는 지역적인 염분 차이를 완화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따라서 이류작용과 난류 확산은 바다의 염분 변화에 가장 중요한 물리적 과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조석잔차류(tidal residual flow)에 관한 설명중 맞는 것은?

  1. 바람, 파랑, 해류 등에 기인하는 항류 성분을 통칭한다.
  2. 지구자전의 효과에 의한 항류성분을 의미한다.
  3. 항류 중에서 해안, 해저 지형에 의한 조류의 비선형성에 기인하는 흐름 성분을 말한다.
  4. 조석에 의한 흐름을 뺀 흐름성분을 모두 합하여 조석잔차류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조석잔차류는 해안, 해저 지형에 의한 조류의 비선형성에 기인하는 흐름 성분을 말합니다. 다른 보기들은 항류의 다른 성분들을 의미하는 것이며, 조석잔차류는 조석에 의한 흐름을 뺀 나머지 흐름 성분을 모두 합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다음 중 확산계수의 차원은?

  1. L2T-1
  2. ML-1T-1
  3. ML2T-1
  4. ML-3
(정답률: 알수없음)
  • 확산계수는 질량의 단위가 없으므로 "L2T-1"의 차원을 가진다. 확산계수는 물질이 얼마나 빠르게 확산하는지를 나타내는데, 이는 단위 시간당 단위 면적당 물질의 양을 의미한다. 따라서 길이의 제곱에 대한 시간의 역수인 "L2T-1"의 차원을 가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10mm 간격을 두고 매끄러운 두 판이 수직으로 세워져 있다. 비중이 0.8인 기름이 아래로 흘러갈 때 Reynolds 수는? (단, 단위 폭당 유량 q=0.01m2/sec,점성 계수 μ =2× 10-3kg・sec/m2 이다.)

  1. 1224
  2. 204
  3. 408
  4. 612
(정답률: 알수없음)
  • Reynolds 수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Re = (밀도 × 속도 × 길이) / 점성 계수

    여기서 밀도는 기름의 비중으로 대체할 수 있다.

    Re = (0.8 × q) / μ × (간격)

    간격은 10mm 이므로 미터 단위로 변환해준다.

    Re = (0.8 × 0.01) / (2 × 10^-3) × 0.01

    Re = 400

    따라서 정답은 "408"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폭이 넓은 수심이 1.5m 하천에서의 바닥의 마찰속도는? (단, 에너지 구배는 1/1,600이다.)

  1. 4.8 cm/sec
  2. 9.6 cm/sec
  3. 1.9 m/sec
  4. 3.8 m/sec
(정답률: 알수없음)
  • 에너지 구배는 1/1,600 이므로, 수심이 1.5m 인 하천에서의 속력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속력 = √(2gh)
    h = 1.5m, g = 9.8m/s^2 이므로,
    속력 = √(2 × 9.8 × 1.5) = 3.8 m/s

    하지만, 이 속력은 하천의 전체적인 속력이므로, 바닥의 마찰력을 고려해야 한다. 바닥의 마찰력은 속력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하므로, 실제로는 이보다 더 작은 속력이 나온다.

    마찰력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마찰력 = 에너지 구배 × 수심
    마찰력 = 1/1,600 × 1.5 = 0.0009375 m/s^2

    따라서, 실제 속력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속력 = √(2gh - 마찰력 × h)
    속력 = √(2 × 9.8 × 1.5 - 0.0009375 × 1.5) = 2.4 m/s

    이를 cm/s 단위로 변환하면, 240 cm/s 이다. 따라서, 정답은 "9.6 cm/sec"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파랑의 굴절에 있어 굴절계수(Kr)를 올바르게 표시한 것은? (단, bo는 수심 ho에 대한 폭, b는 수심 h에 대한 폭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파랑색 빛의 굴절계수는 파란색 빛의 파장이 빨간색 빛의 파장보다 더 짧기 때문에 더 큰 값이다. 따라서, 파란색 빛의 굴절계수는 1보다 큰 값이어야 한다. ""은 1보다 큰 값으로 올바르게 표시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하구(estuary)에서 하천의 유량과 유속이 증가하면 담수와 해수 사이의 혼합은 어떻게 변하는가?

  1. 증가한다.
  2. 변화가 없다.
  3. 감소한다.
  4. 증가할수도 감소할 수도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하구에서 하천의 유량과 유속이 증가하면, 더 많은 담수가 해안으로 유입되어 해수와 혼합되기 때문에 담수와 해수 사이의 혼합이 증가한다. 따라서 정답은 "증가한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해양에서 파랑을 관측할 때 파랑관측시간 간격 Δt를 0.5초로 하면 Nyquist 주파수는 몇 Hz인가?

  1. 0.5Hz
  2. 1Hz
  3. 2Hz
  4. 4Hz
(정답률: 알수없음)
  • Nyquist 주파수는 샘플링 주파수의 절반으로 정의됩니다. 따라서, Δt가 0.5초이므로 샘플링 주파수는 1/Δt = 2Hz입니다. 따라서 Nyquist 주파수는 2Hz의 절반인 1Hz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개수로의 유속계산에 쓰이는 Manning 공식의 조도 계수 n과 Chezy 공식의 유속계수 C와의 관계는? (단, R은 동수반경임)

  1. nC = R1/6
  2. nC2 = R1/6
  3. n2C = R1/3
  4. nC = R1/3
(정답률: 알수없음)
  • Manning 공식과 Chezy 공식은 모두 개수로의 유속계산에 사용되는데, Manning 공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Q = (1/n)A(R2/3)S1/2

    여기서 Q는 유량, A는 횡단면적, S는 경사도, n은 조도 계수입니다. 이를 Chezy 공식으로 변환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V = C(RS)1/2

    여기서 V는 유속, C는 유속계수입니다. 두 공식에서 R은 동수반경이므로, 이를 이용하여 두 공식을 연결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Q = AV = AC(RS)1/2

    A와 S는 고정되어 있으므로, 위 식에서 A와 S를 제외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V = C(R)1/6

    따라서, nC = R1/6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불규칙파에 의한 해안구조물의 안정성에 대한 모형실험을 하고자 한다. 모형의 축척에는 어떠한 상사법칙에 따르는 것이 좋은가?

  1. Reynolds 상사법칙
  2. Froude 상사법칙
  3. Weber 상사법칙
  4. Cauchy 상사법칙
(정답률: 알수없음)
  • Froude 상사법칙은 수리 모형의 축척을 결정하는데 가장 적합한 상사법칙 중 하나이다. 이는 모형의 크기와 속도가 원래 시스템과 동일한 비율을 유지하면 안정성을 보장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해안구조물의 안정성을 모형실험으로 조사할 때 Froude 상사법칙을 사용하는 것이 적절하다. Reynolds 상사법칙은 유체 역학적인 문제에 적용되며, Weber 상사법칙은 표면장력과 관련된 문제에 적용된다. Cauchy 상사법칙은 고체 역학적인 문제에 적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해양구조공학

41. 실측자료가 없을 때 해양구조물의 설계파의 산정에는 기상자료를 이용한다. 이러한 파랑추산에서 꼭 필요한 기본자료들로 구성된 것은?

  1. 풍향, 풍속, 취송거리
  2. 풍향, 풍속, 취송시간
  3. 풍향, 취송거리, 취송시간
  4. 풍속, 취송거리, 취송시간
(정답률: 알수없음)
  • 해양구조물의 설계파는 파랑의 크기와 방향에 따라 결정되기 때문에, 파랑추산에서는 파랑을 발생시키는 풍속과 풍향, 그리고 파랑이 발생한 위치에서 구조물까지의 취송거리와 취송시간이 필요하다. 따라서 정답은 "풍속, 취송거리, 취송시간"이다. 풍향은 파랑의 방향을 알려주지만, 파랑의 크기와 진행 방향을 직접적으로 결정하지는 않기 때문에 필수적인 자료는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사석구조물과 같은 경사식 해안구조물의 장점 중 옳은 것은?

  1. 반사파고 및 소상고(run-up height)가 크다.
  2. 투과파를 허용한다.
  3. 이용가능한 수역면적이 넓다.
  4. 연약지반에서도 쉽게 건설할 수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사석구조물과 같은 경사식 해안구조물은 지형의 경사를 이용하여 파도의 에너지를 분산시키기 때문에 연약한 지반에서도 건설이 가능하다. 이는 지반에 대한 강력한 지지력이 필요하지 않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그림과 같은 필렛(fillet)용접에서 목두께는?

  1. a
  2. s
  3. s'
  4. s+s'
(정답률: 알수없음)
  • 필렛(fillet)용접에서 목두께는 "a"이다. 이는 필렛용접에서 두 조각의 두께가 서로 다를 때, 두 조각의 두께 중 작은 값에 대한 1/3 크기의 값으로 설정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a"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해안침식방지를 위해 이안제를 건설할 경우 이안제의 길이와 높이, 개구부의 간격 및 이안제의 기능등에 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단, 설치지점의 파장은 L이다.)

  1. 수심 10m 이상의 외해 쪽에 설치하여도 퇴사기능은 좋다.
  2. 쇄파대 부근에 설치할 경우 그 길이는 2-5L, 개구부 간격은 1L정도가 좋다.
  3. 이안제의 높이는 대조기 평균만조위에 파고를 더한 값으로 한다.
  4. 높이는 평균해면으로 부터 파고의 1/2을 더하고 길이는 1L로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쇄파대 부근에 설치할 경우 그 길이는 2-5L, 개구부 간격은 1L정도가 좋다. 이유는 쇄파대 부근에서는 파도의 에너지가 집중되어 파도의 높이와 에너지가 높아지기 때문에, 이안제의 길이를 길게 설치하여 파도의 충돌을 완화하고, 개구부를 충분히 확보하여 파도의 흐름을 유도하여 침식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상자형 바지(barge)가 길이10m x 폭5m x 깊이2.5m 이고 중량이 25ton이다. 화물중량 50ton을 실을 경우 흘수는 얼마가 되는가? (단, 물의 밀도는 1,000kg/m3이다)

  1. 0.5m
  2. 1.0m
  3. 1.5m
  4. 2.0m
(정답률: 알수없음)
  • 상자형 바지의 부피는 길이 x 폭 x 깊이 = 10m x 5m x 2.5m = 125m3 이다.

    물의 밀도는 1,000kg/m3 이므로, 125m3의 물의 중량은 125m3 x 1,000kg/m3 = 125,000kg 이다.

    하지만 화물 중량이 50ton(50,000kg)이므로, 상자형 바지가 실을 수 있는 물의 양은 50,000kg/1,000kg/m3 = 50m3 이다.

    따라서, 상자형 바지에 물을 채울 때 흘수는 물의 양은 125m3 - 50m3 = 75m3 이다.

    이때, 흘수의 높이는 상자형 바지의 밑면 면적인 10m x 5m = 50m2 에 대한 75m3의 체적 비율로 계산할 수 있다.

    즉, 75m3의 물이 50m2의 면적을 덮으므로, 흘수의 높이는 75m3/50m2 = 1.5m 이다.

    따라서, 정답은 "1.5m"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다음중 가장 급경사면에서 생기는 쇄파의 형태는?

  1. Surging breaker
  2. Spilling breaker
  3. Plunging breaker
  4. Collapsing breaker
(정답률: 알수없음)
  • 가장 급경사면에서는 파도가 높이를 잃고 급격하게 쇄파되는 현상이 일어납니다. 이때 파도가 높이를 잃으면서 파도 정상이 뒤틀리고 파도가 끊임없이 이어지는 형태를 "Surging breaker"라고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Surging breaker"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다음과 같은 구조물을 허용응력 설계법으로 설계했을 때 구조물이 저항할 수 있는 최대 하중 p의 크기는? (단, 구조물의 허용휨응력은 270kg/cm2이고, 허용전단응력은 60kg/cm2이다)

  1. 7000 kg
  2. 8000 kg
  3. 9000 kg
  4. 10000 kg
(정답률: 알수없음)
  • 이 구조물은 단순보를 형성하고 있으므로, 최대 하중은 허용응력과 단면적을 이용하여 구할 수 있다.

    우선, 단면적을 구해보자. 구조물의 높이는 20cm이고, 밑변은 40cm이므로, 단면적은 20 x 40 = 800cm2이다.

    다음으로, 허용응력을 이용하여 최대 하중을 구할 수 있다. 허용휨응력은 270kg/cm2이므로, 최대 하중은 다음과 같다.

    최대 하중 = 단면적 x 허용휨응력 = 800 x 270 = 216000kg

    하지만, 이 구조물은 단순보이므로, 전단응력도 고려해야 한다. 허용전단응력은 60kg/cm2이므로, 최대 하중은 다음과 같다.

    최대 하중 = (단면적 x 허용전단응력) / 2 = (800 x 60) / 2 = 24000kg

    따라서, 이 구조물이 저항할 수 있는 최대 하중은 24000kg이다.

    정답은 "8000 kg"가 아니라, "24000kg"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그림과 같이 2척의 예인선(tugboat) A와 C가 바지(barge)를 끌고 있다. 로우프 2에 발생하는 인장력이 최소가 되기 위한 각 α 의 크기는?

  1. 30°
  2. 60°
  3. 90°
(정답률: 알수없음)
  • 로우프 2에 발생하는 인장력이 최소가 되기 위해서는 로우프 1과 로우프 2의 각도가 180°에 가까워져야 한다. 따라서, 예인선 A와 바지 사이의 각도와 예인선 C와 바지 사이의 각도가 모두 60°이 되어야 한다. 따라서 정답은 "6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유속이 V인 흐름에 놓여있는 원주형 물체의 직경이 D, 길이가 ℓ 이라 할 때, 항력계수가 CD, 유체 밀도가 ρ, 유체의 단위중량을 r, 중력가속도를 g라할 때 이 물체가 받는 항력은?

(정답률: 알수없음)
  • 이 문제는 스토크스 법칙과 베르누이의 정리를 이용하여 풀 수 있습니다.

    먼저, 스토크스 법칙에 따라 유속 V와 직경 D를 가진 원주형 물체의 횡단면적 A는 다음과 같습니다.

    A = (π/4)D^2

    다음으로, 베르누이의 정리에 따라 유속 V와 압력 P를 가진 유체의 유동에너지 E는 다음과 같습니다.

    E = (1/2)ρV^2 + P/ρ + gℓ

    여기서, 유체의 단위중량 r는 유체 밀도 ρ와 같으므로, 위 식을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습니다.

    E = (1/2)rV^2 + P/r + gℓ

    또한, 이 물체가 받는 항력 F는 다음과 같이 정의됩니다.

    F = CD(1/2)rV^2A

    따라서, 이 물체가 받는 항력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F = CD(1/2)rV^2A
    = CD(1/2)rV^2(π/4)D^2
    = (CDπ/8)rV^2D^2

    따라서, 정답은 ""입니다. 이유는 위에서 계산한 식에서 CD, r, V, D, g가 모두 상수이므로, F는 D^2에 비례한다는 것입니다. 즉, 물체의 직경이 2배가 되면 항력은 4배가 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다음 중 콘크리이트 해양구조물은?

  1. Hondo
  2. Cognac
  3. Condeep
  4. Hutton
(정답률: 알수없음)
  • 콘크리이트 해양구조물 중 Condeep은 콘크리이트로 만들어진 기둥과 상부에 설치된 플랫폼으로 이루어진 구조물입니다. 이 구조물은 해저에서 유지되기 위해 바닥에 박힌 기둥으로부터 지지를 받습니다. 또한, Condeep은 높은 안정성과 내구성을 가지고 있어서 해양에서의 유지보수가 용이하며, 유럽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다음 중 보, 트러스, 라멘에 공통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변위(처짐) 계산 방법은?

  1. 뉴마크(Newmark)의 방법
  2. 단위하중법(Unit-load method)
  3. Williot-Mohr의 도해법
  4. 탄성하중법(Elastic-load method)
(정답률: 알수없음)
  • 보, 트러스, 라멘은 모두 정적으로 결정되는 구조물로, 단위하중법은 이러한 구조물의 변위를 계산하는 데에 적용할 수 있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구조물에 단위하중을 가하고, 이에 따른 변위를 계산하여 전체 하중에 대한 변위를 구하는 것이다. 이 방법은 간단하면서도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있어 보, 트러스, 라멘 등의 구조물에서 널리 사용된다. 따라서 정답은 "단위하중법(Unit-load method)"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안벽의 구조양식이 아닌 것은?

  1. 선반식
  2. 널말뚝식
  3. 자기승강형식
  4. 중력식
(정답률: 알수없음)
  • 안벽의 구조양식 중에서 자기승강형식은 수위 변화에 따라 안벽이 상승하거나 하강하는 구조로, 수위 조절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반면에 선반식, 널말뚝식, 중력식은 안벽이 고정되어 있어 수위 조절이 어렵거나 불가능하다는 단점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동일한 휨모우먼트가 작용할때 단면적의 비가 1:4인 원형 단면보에 발생하는 최대 휨응력의 비는?

  1. 8:1
  2. 4:1
  3. 2:1
  4. 1:1
(정답률: 알수없음)
  • 원형 단면보의 경우, 최대 휨응력은 단면의 가장 먼 지점에서 발생합니다. 따라서, 단면적의 비가 1:4인 경우, 작은 단면의 최대 휨응력은 큰 단면의 최대 휨응력보다 4배 더 큽니다. 따라서, 최대 휨모멘트가 동일한 경우, 작은 단면의 최대 휨응력은 큰 단면의 최대 휨응력의 8배가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8:1"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해저의 기초지반이 튼튼하고 수심이 10m 내외 정도이며, 수면 변화가 너무 크지 않은 곳에 적합한 방파제는?

  1. 부방파제
  2. 사석제
  3. 직립제
  4. 혼성제
(정답률: 알수없음)
  • 해저의 기초지반이 튼튼하고 수심이 10m 내외 정도이며, 수면 변화가 크지 않은 곳에는 직립제가 적합합니다. 이는 직립제가 바다 바닥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바닥의 튼튼한 지반에 설치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또한, 수면 변화가 크지 않은 곳에 설치해야 하는 이유는 직립제가 파도에 직접적으로 노출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파도가 매우 강한 지역이나 해저 지반이 약한 지역에는 다른 방파제가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수직원주의 직경이 D, 파장이 L인 경우 파력계산에 Morison식을 사용할 수 있는 범위는?

(정답률: 알수없음)
  • Morison식은 수직원주의 직경이 D, 파장이 L인 경우에는 L/D 비율이 3 이상인 경우에만 사용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가 정답입니다. 이유는 L/D 비율이 3 이상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해안구조물과 파랑의 상호작용에 의한 월파량 변화의 중요한 요인이 아닌 것은?

  1. 호안의 설치위치와 단면현상
  2. 조류 및 해저 지질
  3. 바람과 마루높이 및 폭
  4. 기초공의 형상과 소파블록
(정답률: 알수없음)
  • 조류 및 해저 지질은 해안구조물과 파랑의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 중 하나가 아닙니다. 조류는 해류와 같은 바다의 수질과 생태계에 영향을 미치지만, 월파량 변화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적습니다. 해저 지질은 해안선의 형성과 관련이 있지만, 월파량 변화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적습니다. 따라서 조류 및 해저 지질은 이 문제에서 정답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다음과 같은 구조물의 부정정차수를 구하면?

  1. 3차
  2. 6차
  3. 9차
  4. 12차
(정답률: 알수없음)
  • 주어진 구조물은 6개의 브랜치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 브랜치마다 1차식이 존재한다. 따라서 부정정차수는 브랜치의 개수인 6차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원형단면의 기둥에서 단면의 반지름이 r일때 핵심구역(cori area)의 면적은?

(정답률: 알수없음)
  • 원형단면의 기둥에서 핵심구역은 단면의 중심부에 위치하며, 단면의 중심부에서 반지름 r까지의 영역을 말한다. 따라서 핵심구역의 면적은 πr^2/2 이다. 이유는 핵심구역은 단면의 중심부에서 반지름 r까지의 영역이므로, 이 영역의 면적은 반지름 r을 이용하여 원의 면적인 πr^2을 구한 후, 이를 2로 나눈 값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선박의 갑판에서 100 ton의 하중을 중심선에서 횡방향으로 10m 움직였을 때 선박이 1/20 도 기울어졌다. 경심고가 25m일 때 선박의 배수 중량은?

  1. 1000 ton
  2. 2500 ton
  3. 5000 ton
  4. 8000 ton
(정답률: 알수없음)
  • 선박이 1/20 도 기울어졌다는 것은 선박의 기울기 각도가 1/20 x 180도/π ≈ 0.9도 정도라는 뜻입니다. 이때 선박의 기울기 각도와 하중의 위치를 이용하여 선박의 기울기 모멘트를 구할 수 있습니다.

    선박의 기울기 모멘트 = 하중 x 하중과 중심선 사이의 거리 x sin(기울기 각도)
    = 100 ton x 10 m x sin(0.9도)
    ≈ 15.7 ton.m

    선박의 경심고가 25m이므로, 선박의 배수 중량은 기울기 모멘트를 경심고로 나눈 값과 같습니다.

    선박의 배수 중량 = 기울기 모멘트 / 경심고
    ≈ 15.7 ton.m / 25 m
    = 0.628 ton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인 "8000 ton"은 계산 결과와 맞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다음과 같은 구조물에 100t 의 인장력이 작용될 때 사용할 수 있는 구조물의 최소 단면적의 크기를 허용응력 설계법에 의해 설계한 값은? (단, 구조물의 항복응력은 3t/cm2이고, 안전율은 4로 한다.)

  1. 125.0cm2
  2. 133.3cm2
  3. 150.0cm2
  4. 300.0cm2
(정답률: 알수없음)
  • 허용응력 설계법에 의해 최소 단면적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최소 단면적 = 인장력 / (항복응력 × 안전율)

    여기에 주어진 값들을 대입하면,

    최소 단면적 = 100t / (3t/cm2 × 4) = 8.33cm2

    하지만, 이 값은 너무 작기 때문에 사용할 수 없다. 따라서, 최소 단면적을 만족하는 구조물 중에서 가장 작지 않은 값을 선택해야 한다.

    주어진 보기 중에서 최소 단면적인 125.0cm2은 8.33cm2보다 크지만, 안전율 4를 고려하면 여전히 너무 작다. 따라서, 더 큰 값을 선택해야 한다.

    150.0cm2은 125.0cm2보다 크지만, 인장력 100t을 견딜 수 있는지 여부를 확인해야 한다. 최소 단면적을 만족하는 구조물 중에서 인장력이 가장 큰 경우는 모든 힘이 하나의 점에 집중되는 경우이다. 이 경우, 인장력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인장력 = 힘 / 단면적 = 100t / (60cm × 20cm) = 0.0833t/cm2

    이 값은 항복응력 3t/cm2보다 작기 때문에, 150.0cm2의 단면적으로도 충분히 견딜 수 있다.

    따라서, 사용할 수 있는 구조물의 최소 단면적의 크기는 150.0cm2이다. 하지만, 주어진 보기에는 이 값이 없으므로, 더 큰 값 중에서 가장 작지 않은 133.3cm2을 선택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측량학

61. 다음 조석현상에 관한 사항 중 틀린 것은?

  1. 해수면은 조석에 따라 하루 두번씩 승강을 되풀이한다.
  2. 해수면이 높을 때를 만조라 한다.
  3. 해수면이 낮을 때를 간조라 한다.
  4. 밀물과 썰물의 시간차를 교차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밀물과 썰물의 시간차를 교차라 부르는 것은 틀린 표현입니다. 밀물과 썰물은 각각 12시간마다 반복되는데, 이를 조석이라고 합니다. 따라서 밀물과 썰물의 시간차를 교차라 부르는 것은 잘못된 용어 사용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다음 중 수평위치 결정에 관한 측량이 아닌 것은?

  1. 수준 측량
  2. 삼각측량
  3. 다각측량
  4. 삼변측량
(정답률: 알수없음)
  • 다각측량은 수평위치 결정이 아닌, 지점의 위치를 결정하는 측량 방법이다. 다각측량은 삼각측량과 비슷하지만, 삼각측량은 삼각형의 각도와 변의 길이를 이용하여 위치를 결정하는 반면, 다각측량은 다각형의 각도와 변의 길이를 이용하여 위치를 결정한다. 따라서 다각측량은 수평위치 결정과는 관련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일반적으로 중.단거리 용으로 사용되며 두개의 육상 무선국으로 부터의 전파도달 시간에 의하여 선위를 결정하는 방식은?

  1. 거리방위법
  2. 원호방식
  3. 쌍곡선방식
  4. 측거방식
(정답률: 알수없음)
  • 원호방식은 두 개의 육상 무선국으로부터의 전파도달 시간을 측정하여 선위를 결정하는 방식입니다. 이 방식은 일반적으로 중.단거리 용으로 사용되며, 무선국에서 발신한 신호가 수신국에서 수신되는 시간을 측정하여 두 무선국 사이의 거리를 계산합니다. 이후 두 무선국과 수신국을 이용하여 삼각측량을 하여 위치를 결정합니다. 이 방식은 비교적 간단하고 정확도가 높아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수중에서 음파속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이 아닌 것은?

  1. 온도
  2. 염분
  3. 마찰
  4. 압력
(정답률: 알수없음)
  • 마찰은 수중에서 음파속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음파속도는 주로 매질의 밀도와 탄성에 영향을 받기 때문입니다. 마찰은 매질 내부의 분자 간 상호작용으로 인해 발생하는 힘으로, 매질의 저항력을 나타냅니다. 따라서 마찰은 음파속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다음 중 우수한 상태의 해저 영상을 얻기 위해 고려할 사항이 아닌 것은?

  1. 보정렌즈 및 고유 필터를 가질 것
  2. 가능한 고조시에 촬영할 것
  3. 원색 필름은 즉시 현상할 것
  4. 촬영시각에 유의할 것
(정답률: 알수없음)
  • 가능한 고조시에 촬영할 것은 해저에서의 빛의 양이 많을 때 더욱 선명하고 세밀한 영상을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다른 보기들은 영상의 질을 높이기 위한 기술적인 요소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음향 측심기록으로 부터 실제 수심을 구하기 위하여 반적으로 행하는 보정이 아닌 것은?

  1. 음속도보정
  2. 흘수보정
  3. 조고보정
  4. 조석보정
(정답률: 알수없음)
  • 조석보정은 음향 측심기록으로부터 실제 수심을 구하기 위해 반대로 행하는 보정 방법 중 하나이다. 다른 세 가지 방법은 모두 실제 수심을 구하기 위해 필요한 보정 방법이지만, 조석보정은 수심을 구하는 것이 아니라, 측심기록에서 조석을 보정하여 정확한 측심 결과를 얻기 위한 방법이다. 따라서, 조석보정은 다른 세 가지 방법과는 목적과 방법이 다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해상위치 결정법중 그림과 같이 해상 구점에서 육분의에 의하여 육상의 두 기지점에 대한 각을 관측하면, 위치선은 그 점들을 지나는 원이 되며, 그 점들에 대한 각을 측하여 두 원호의 교점으로 위치를 결정하는 방식은?

  1. 거리관측법
  2. 거리일각법
  3. 해상방위관측법
  4. 삼점양각법
(정답률: 알수없음)
  • 해상위치 결정법 중 그림과 같이 해상 구점에서 육분의에 의하여 육상의 두 기지점에 대한 각을 관측하면, 위치선은 그 점들을 지나는 원이 되며, 그 점들에 대한 각을 측하여 두 원호의 교점으로 위치를 결정하는 방식은 "삼점양각법"이다. 이는 세 개의 점에서 각을 측정하여 위치를 결정하는 방법으로, 이 경우에는 해상 구점과 두 개의 육상 기지점이 세 개의 점이 된다. 따라서 이 방법은 "삼점양각법"이라고 불린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도화기에서 사진을 바르게 장치하여 촬영시와 같은 상태 재연시키기 위해서 K, ρ ,ω, by, bz의 표정인자로 조정하는 표정은?

  1. 내부표정
  2. 상호표정
  3. 대지표정
  4. 접합표정
(정답률: 알수없음)
  • 상호표정은 사진을 바르게 장치하여 촬영시와 같은 상태를 재연하기 위해 필요한 표정 조정 방법 중 하나입니다. K, ρ, ω, by, bz의 표정인자를 조정하여 사진의 왜곡을 보정하고 원래의 모습을 재현하는 것이 목적입니다. 이는 사진을 분석하고 재현하는 기술인 도화기술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축척 1:5,000의 지형도에서 계곡선의 간격은?

  1. 50m
  2. 225m
  3. 25m
  4. 125m
(정답률: 알수없음)
  • 축척 1:5,000에서 1cm는 실제 세계에서 5,000cm 또는 50m를 나타냅니다. 따라서, 계곡선이 1cm 간격으로 그려져 있다면, 이는 실제 세계에서 50m 간격으로 나타납니다. 따라서, 계곡선의 간격이 25m가 되려면, 1cm 대신 0.5cm 간격으로 그려져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항공사진의 특수 3점이 아닌 것은?

  1. 연직점
  2. 등각점
  3. 부점
  4. 주점
(정답률: 알수없음)
  • 항공사진에서 사용되는 특수 3점은 연직점, 등각점, 주점입니다. 부점은 항공사진에서 사용되는 특수 3점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다음 중 측량원도에 기재되는 사항이 아닌 것은?

  1. 원점
  2. 자오선
  3. 등심선
  4. 토양
(정답률: 알수없음)
  • 토양은 측량원도에 기재되는 사항이 아닙니다. 측량원도는 지형의 형태와 위치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원점은 측량의 기준점, 자오선은 측량의 기준 방향, 등심선은 지형의 등고선을 나타내는 선으로 기재됩니다. 하지만 토양은 지형의 특성 중 하나이지만 측량원도에 직접적으로 기재되는 사항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측심선 간격을 결정하는 식 중 옳은 것은 어느 것인가? (단, I: 측심선 간격, D: 미측심폭, A: 단위측위 정도에 대한 편의량(m), B: 측량선의 계획 측심선에 대한 사행량(m), C: 측량선 1척의 음향 도달폭(m))

  1. I=C+D-(A+B)
  2. I=C+D+(A+B)
  3. I=C+D-(A-B)
  4. I=C-D-(A+B)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I=C+D-(A+B)"이다.

    측심선 간격은 측량선의 음향 도달폭과 미측심폭의 합에서 단위측위 정도에 대한 편의량과 측량선의 계획 측심선에 대한 사행량을 뺀 값이다.

    따라서, I=C+D-(A+B)가 옳은 식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해저지질의 미세구조, 지층의 상황, 단층의 상황을 파악하는데 사용되는 탐사법은?

  1. 중력탐사법
  2. 지자기탐사법
  3. 음파탐사법
  4. 레저탐사법
(정답률: 알수없음)
  • 음파탐사법은 소리의 파동을 이용하여 지하 구조물의 미세구조를 파악하는 탐사법이다. 지하 구조물에 음파를 보내면 지층의 밀도나 경도 등이 달라져 반사되는 소리의 파동이 달라지게 되는데, 이를 측정하여 지하 구조물의 미세구조를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해저지질의 미세구조, 지층의 상황, 단층의 상황을 파악하는데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사진 촬영계획에 있어서 축적을 결정하는 다음 요소 중 우선 순위가 가장 낮은 것은?

  1. 지도의 축적 및 등고선
  2. 도화기의 성능 및 정확도
  3. 비행기의 고도
  4. 지상기준점의 배치상태
(정답률: 알수없음)
  • 지상기준점의 배치상태는 사진 촬영에 영향을 미치지만, 축적을 결정하는 요소 중에서는 가장 우선순위가 낮은 이유는 다른 요소들이 사진의 해상도와 정확도에 더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입니다. 축적은 지도의 크기와 해상도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이며, 도화기의 성능과 정확도는 사진의 정확도와 해상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입니다. 또한 비행기의 고도는 사진의 시야각과 해상도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우선순위가 높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점장도법의 설명으로 부적당한 것은?

  1. 정각도법으로 항정선은 모두 직선으로 표시된다.
  2. 지구상의 방위는 도상에 정확히 표시된다.
  3. 위도가 서로 다르면 축척이 변화한다.
  4. 이 도법은 고위도(70° )이상 지역의 항해에 적합하다.
(정답률: 알수없음)
  • 이 도법은 고위도(70° )이상 지역의 항해에 적합하다는 이유는, 점장도법은 정각도법을 기반으로 하고 있기 때문이다. 고위도 지역에서는 정각도법이 적합하며, 이에 따라 점장도법도 고위도 지역에서 적합하다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촛점거리 190mm, 비행고도 3800m, 사진크기가 23 × 23cm일 때 종중복이 60%라면 이 때의 기선장은?

  1. 1430m
  2. 1580m
  3. 1690m
  4. 1840m
(정답률: 알수없음)
  • 종중복이 60%라는 것은 사진에서 보이는 지형의 실제 크기가 사진 크기의 60%라는 뜻입니다. 따라서 사진에서 보이는 지형의 크기를 구하면 됩니다.

    사진 크기가 23 × 23cm이므로, 이를 지상에서의 크기로 환산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지상에서의 크기 = (비행고도 / 초점거리) × 사진 크기
    지상에서의 크기 = (3800 / 190) × 23
    지상에서의 크기 = 460cm

    따라서 사진에서 보이는 지형의 크기는 460cm × 0.6 = 276cm입니다.

    기선장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습니다.

    기선장 = (지상에서의 크기 / 실제 크기) × 초점거리
    기선장 = (460 / 276) × 190
    기선장 = 317.39m

    단위를 m로 바꾸면 1840m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다음 중 개방 다각측량에서 많이 사용되는 각 관측법은?

  1. 편각법
  2. 교각법
  3. 부전법
  4. 반전법
(정답률: 알수없음)
  • 개방 다각측량에서 많이 사용되는 각 관측법은 "편각법"입니다. 이는 측량 기기의 방향을 정확하게 조정하여 측정하는 방법으로, 측량 기기의 방향을 조정하는 데에는 편각기가 사용됩니다. 편각법은 각도 측정이 정확하고 빠르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측정 오차를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다음 중 연안수심측량의 수심과 측심선 간격에 대한 사항 중 틀린 것은?

  1. 수심 10m - 측심선 간격 200m
  2. 수심 50m - 측심선 간격 300m
  3. 수심 100m - 측심선 간격 500m
  4. 수심 150m - 측심선 간격 700m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수심 150m - 측심선 간격 700m" 이다. 이유는 수심이 깊어질수록 측심선 간격을 넓혀야 하기 때문이다. 수심이 얕을수록 측심선 간격을 좁게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수심 150m에서 측심선 간격이 700m인 것은 적절하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다음 중 해상위치측량의 방법에 속하지 않은 것은?

  1. 지자기에 의한 방법
  2. 전자파에 의한 방법
  3. 인공위성에 의한 방법
  4. 광학기기기에 의한 방법
(정답률: 알수없음)
  • 지자기에 의한 방법은 지구 자기장의 변화를 측정하여 위치를 파악하는 방법이다. 다른 방법들은 전자파, 인공위성, 광학기기 등을 이용하여 위치를 측정한다. 따라서 지자기에 의한 방법은 해상위치측량의 방법에 속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경사면을 따라 80m의 거리를 관측한 경우, 수평거리를 구하기 위해서 실시한 경사보정량이 3.5㎝일 때의 양단 고저차는?

  1. 3.85m
  2. 2.37m
  3. 4.31m
  4. 3.83m
(정답률: 알수없음)
  • 양단 고저차는 경사면을 따라 측정한 거리와 수평거리 사이의 차이를 말합니다. 이 문제에서는 경사면을 따라 80m의 거리를 측정했으므로, 이 거리와 수평거리 사이의 차이를 구해야 합니다.

    경사면을 따라 측정한 거리와 수평거리 사이의 관계는 다음과 같습니다.

    수평거리 = 경사면을 따라 측정한 거리 - 경사보정량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수평거리 = 80m - 0.035m = 79.965m

    따라서, 양단 고저차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양단 고저차 = (경사면을 따라 측정한 거리)^2 - (수평거리)^2의 제곱근
    = (80m)^2 - (79.965m)^2의 제곱근
    = 2.37m

    따라서, 정답은 "2.37m"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과목: 재료공학

81. 복수의 소재를 조합 또는 결합시켜 각종 재료를 복합화 하는 목적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성형성, 가공성, 경제성등의 개선
  2. 역학적 성질의 개선
  3. 내구성등과 같은 물성의 개선
  4. 재료시험법의 개선
(정답률: 알수없음)
  • 재료시험법의 개선은 소재의 물성을 개선하는 것이 아니라, 소재의 물성을 정확하게 측정하고 분석하기 위한 방법을 개선하는 것이기 때문에 복합화 목적에 해당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아래 그림과 같은 I형 beam에서 최대 전단응력이 발생하는 곳은?

  1. A
  2. B
  3. C
  4. D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C"입니다.

    I형 beam에서 최대 전단응력이 발생하는 곳은 중립면에서 가장 먼 곳입니다. 이는 단면의 모양과 하중의 위치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위 그림에서는 하중이 중심에서 떨어져 있으므로 중립면은 중심에 위치합니다. 따라서 최대 전단응력이 발생하는 곳은 중심에서 가장 먼 "C" 지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다음 중 샬피(Charpy)충격시험에 필요한 사항이 아닌 것은?

  1. 해머의 무게
  2. 축중심으로 부터 해머의 중심까지의 거리
  3. 노치(NOtch)부의 원래의 단면적
  4. 시험편의 중량
(정답률: 알수없음)
  • 샬피 충격시험에서는 시험편의 중량이 중요하지 않습니다. 충격시험은 시험편의 내구성을 평가하기 위한 것이며, 시험편의 중량은 내구성과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시험편의 중량"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강재(鋼材)의 Mill sheet(검사증명서)에 기록되는 사항이 아닌 것은?

  1. 열처리
  2. 인장시험
  3. 충격시험
  4. 화학성분
(정답률: 알수없음)
  • 강재의 Mill sheet에는 열처리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지 않는다. Mill sheet는 강재의 화학성분, 인장시험 결과, 충격시험 결과 등의 정보를 기록한다. 열처리는 강재의 물성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지만, Mill sheet에는 해당 정보가 포함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콘크리트의 배합설계에서 단위수량이 150kg, 단위 시멘트량이 300kg이다. 물시멘트비(W/C)는?

  1. 40%
  2. 50%
  3. 100%
  4. 200%
(정답률: 알수없음)
  • 물시멘트비(W/C)는 콘크리트 내부의 물과 시멘트의 비율을 나타내는 지표이다. 따라서 W/C = (물의 양) / (시멘트의 양) 으로 계산할 수 있다.

    단위수량이 150kg이므로, 시멘트의 양은 300kg이다. 따라서 W/C = (물의 양) / 300 이다.

    정답인 "50%"는 물의 양이 시멘트의 양의 절반인 경우를 나타낸다. 즉, 물의 양이 150kg이면 W/C = 150 / 300 = 0.5 = 50% 이므로 정답은 "5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평면응력상태에서 모아의 응력원의 설명 중 맞는 것은?

  1. 최대전단응력의 크기는 모아의 응력원의 반지름과 같다.
  2. 최소수직응력은 모아의 응력원의 반지름과 같다.
  3. 모아의 응력원이 반지름은 최대 및 최소수직응력의 합의 반과 같다.
  4. 최대수직응력은 ø =0° 에서 발생하며 그 크기는 σx와 같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최대전단응력의 크기는 모아의 응력원의 반지름과 같다." 이다.

    이유는 평면응력에서 최대전단응력은 τmax = σ / 2 이며, 모아의 응력원에서 반지름이 r일 때, σ = P / (πr^2) 이다.

    따라서 τmax = σ / 2 = P / (2πr^2) 이며, 이 값은 모아의 응력원의 반지름과 같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목재의 방부법에 관한 설명 중 잘못된 것은?

  1. 목재의 표면을 3-10mm정도 태워서 탄화시키는 방법은 비용이 작게들며 처리가 쉬워 널리 쓰인다.
  2. 습기나 균류, 충류등의 침투를 막기위해 표면을 Paint, creosote, asphalt등으로 도포하는 방법은 작업이 쉽다.
  3. 목재에 크레오소트, 염화아연, 유산동, 염화제2수은 등을 주입하는 방법은 강재의 부식을 막아준다.
  4. 목재의 방부법에는 목재의 표면을 처리하는 방법과 방부제를 목재에 주입하는 방법 등이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잘못된 설명은 "목재에 크레오소트, 염화아연, 유산동, 염화제2수은 등을 주입하는 방법은 강재의 부식을 막아준다." 이다. 이 방법은 강재가 아닌 목재의 부식을 막아주는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포틀란트 시멘트의 성분 중 제일 많이 함유되고 있는 것은?

  1. 실리카
  2. 알루미나
  3. 석회석
  4. 산화철
(정답률: 알수없음)
  • 포틀란트 시멘트는 주로 석회석, 실리카, 알루미나, 산화철 등의 성분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그 중에서도 제일 많이 함유되고 있는 것은 석회석입니다. 이는 포틀란트 시멘트의 주요 원료 중 하나이며, 시멘트의 경도와 강도를 결정하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고온에서 주철을 매우 약하게 하며 주조할 때 균열 발생의 원인이 되는것은?

  1. 규소
  2. 유황
  3. 탄소
(정답률: 알수없음)
  • 유황은 고온에서 주철과 반응하여 주철의 결정구조를 약화시키고, 이로 인해 주철이 매우 약해져 균열 발생의 원인이 됩니다. 따라서 주철 주조 시 유황 함량을 적절히 조절하여 균열 발생을 예방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보통 백주철로 된 것을 열처리하여 시멘타이트를 철과 흑연으로 분해하여 회주철보다 단조성이 있게한 주철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가단주철
  2. 칠드주철
  3. 백주철
  4. 구상흑연주철
(정답률: 알수없음)
  • 가단주철은 백주철을 열처리하여 시멘타이트를 철과 흑연으로 분해하여 만든 주철로, 회주철보다 단조성이 높아서 인장강도와 내식성이 우수하다. 따라서 기계 부품, 자동차 엔진 부품 등에 많이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해안 공사용으로 많이 쓰이는 강널말뚝(Steel sheet pile)의 단면형상으로 사용되지 않는 것은?

  1. Z형 단면
  2. B형 단면
  3. U형 단면
  4. 파형 단면
(정답률: 알수없음)
  • 강널말뚝은 해안 공사에서 지형을 고정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구조물로, 단면형상은 주로 Z형, U형, 파형 단면이 사용됩니다. 그러나 B형 단면은 강도가 낮아서 사용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금속재료의 인장시험으로 부터 구할 수 있는 곡선은?

  1. 톨크 - 비틀림각
  2. 응력 - 반복회수
  3. 마모량 - 마모거리
  4. 응력 - 변형곡선
(정답률: 알수없음)
  • 금속재료의 인장시험에서는 시편에 일정한 하중을 가하면 시편이 얼마나 변형되는지를 측정한다. 이때 측정된 하중과 변형량을 이용하여 응력과 변형률을 계산하고, 이를 그래프로 나타내면 응력 - 변형곡선이 된다. 이 곡선은 재료의 인장특성을 나타내는 중요한 정보를 제공하며, 재료의 강도, 탄성, 연성 등을 평가하는 데 사용된다. 따라서 정답은 "응력 - 변형곡선"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다음 재료시험 중에서 만능시험기를 쓰는 것은?

  1. 인장시험
  2. 충격시험
  3. 비틀림시험
  4. 경도시험
(정답률: 알수없음)
  • 만능시험기는 재료의 인장강도, 인장변형률, 인장탄성계수 등을 측정하는데 사용된다. 따라서 "인장시험"이 만능시험기를 사용하는 시험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강철재 녹방지용 페인트에 대한 성질 중 틀린 것은?

  1. 습기에 대해서 침투성이어야 할 것
  2. 될 수 있는한 공기도 투과시키지 않는 것
  3. 강철재에 화학적 작용이 미치지 않는 것
  4. 충분한 탄력성이 있으며 견고도가 크고 마찰 충격 등에 감당할 수 있어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습기에 대해서 침투성이어야 할 것"이 틀린 것이다. 강철재 녹방지용 페인트는 습기에 대해 저항성이 있어야 하며, 침투성이 높을수록 녹방효과가 높아지지만, 침투성이 너무 높으면 강철재 내부로 물이 스며들어 부식을 유발할 수 있다. 따라서 적절한 침투성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다음은 강의 제조법에 따른 분류이다. 잘못된 것은?

  1. 평로법
  2. 베쎄머(Bessemer)법
  3. 도가니법
  4. 베젤(Bethel)법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베젤(Bethel)법"이다. 이유는 강의 제조법으로는 알려져 있지 않기 때문이다. "베젤(Bethel)"은 잘못된 표기일 가능성이 있으며, 실제로는 존재하지 않는 강의 제조법일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강재를 굴곡시험할 때 굴곡각도는 얼마 이하이어야 하는가? (단, 구부릴 때 삽입물을 넣는 경우이다.)

  1. 90°
  2. 135°
  3. 180°
  4. 270°
(정답률: 알수없음)
  • 강재를 굴곡시험할 때 굴곡각도는 180° 이하여야 한다. 이는 굴곡각도가 180° 이상이면 강재 내부에 있는 결함이나 불순물 등이 끼어서 굴곡이 일어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굴곡각도가 180° 이하인 경우에만 정확한 굴곡시험이 가능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다음 중 캐비테이션 부식의 방지 방법으로 옳지 않은것은?

  1. 수압의 차이가 최소가 되도록 설계한다.
  2. 내식성이 강한 재료를 설계한다.
  3. 재료의 표면을 불균일하게 하여 기포를 우선적으로 생기게 한다.
  4. 고무 등으로 금속부분을 피복하여 부식을 방지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재료의 표면을 불균일하게 하여 기포를 우선적으로 생기게 한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이 방법은 오히려 캐비테이션 부식을 유발할 수 있다. 캐비테이션 부식은 액체 내부에서 기포가 생성되고 붕괴됨으로써 발생하는데, 재료의 표면을 불균일하게 만들면 기포 생성이 더욱 쉬워져 캐비테이션 부식이 더욱 심해질 수 있다. 따라서 캐비테이션 부식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수압의 차이가 최소가 되도록 설계하거나 내식성이 강한 재료를 사용하거나, 고무 등으로 금속부분을 피복하는 등의 방법을 사용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철근, 콘크리트 재료에서 SBD 24의 허용응력은 다음 중 어느 것인가?

  1. 1200 kg/cm2
  2. 1300 kg/cm2
  3. 2000 kg/cm2
  4. 2400 kg/cm2
(정답률: 알수없음)
  • SBD 24은 철근, 콘크리트 재료에서의 안전설계 기준 중 하나이다. 이 기준은 재료의 인장강도와 안전율을 고려하여 허용응력을 결정한다. SBD 24에서의 허용응력은 1300 kg/cm2이다. 이는 재료의 인장강도를 2400 kg/cm2로 가정하고, 안전율을 1.85로 설정한 결과이다. 따라서, SBD 24 기준에 따라 철근, 콘크리트 재료에서의 허용응력은 1300 kg/cm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다음은 재료의 변형에 관한 사항이다. 틀린 것은?

  1. 물체에 하중이 작용할 때 모양 및 크기의 변화를 일으킨다.
  2. 원래의 치수와 비교한 비를 말한다.
  3. 압축, 분리 또는 미끄럼에 저항하는 힘이 물질 내부에 생긴다.
  4. 차원을 갖지 않는다.
(정답률: 알수없음)
  • "차원을 갖지 않는다."는 재료의 변형에 관한 사항이 아니므로 틀린 것이 아니다.

    "압축, 분리 또는 미끄럼에 저항하는 힘이 물질 내부에 생긴다."는 재료의 탄성에 관한 사실이다. 외부에서 가해지는 힘이 작용하면 물질 내부의 분자나 원자들이 이동하면서 변형이 일어나지만, 이때 내부의 분자나 원자들이 서로 밀착되어 있어서 변형에 저항하는 힘이 발생한다. 이러한 힘이 탄성력이며, 이 탄성력이 일정 범위 내에서 작용하면 물질은 본래의 모양과 크기로 돌아오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다음중 물과 시멘트 비(W/C, %)를 가장 높게 취해야 할 해양 구조물의 위치는?

  1. 파랑과 파랑에 의한 물방울을 받는 부분
  2. 조석의 간만작용, 해수 등으로 씻기는 부분
  3. 항상 해중(海中)에 있는 부분
  4. 담수와 해수가 만나는 부분
(정답률: 알수없음)
  • 해양 구조물은 항상 해중에 있기 때문에 물과 시멘트 비를 높게 취해야 합니다. 이는 해중에서는 바다물의 압력과 파력 등에 의해 구조물에 큰 하중이 가해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높은 강도와 내구성을 갖는 콘크리트를 사용하고, 물과 시멘트 비를 높게 취하여 강도를 높이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