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공학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4-05-23)

해양공학기사
(2004-05-23 기출문제)

목록

1과목: 해양학개론

1. 해수 중 용존기체의 해양-대기간 기체교환에 관계가 가장 적은 것은?

  1. 기체의 확산계수
  2. 대기와 표층수의 기체분압차이
  3. 해수표면막의 두께
  4. 표층수의 이온강도(ionic strength)
(정답률: 알수없음)
  • 해수 중 용존기체의 해양-대기간 기체교환에 관계가 가장 적은 것은 "표층수의 이온강도(ionic strength)"이다. 이는 이온강도가 높을수록 물 분자와 이온 간의 상호작용이 증가하고, 이로 인해 기체 분자의 확산이 억제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온강도가 낮은 표층수일수록 기체 분자의 확산이 용이해져 기체교환에 유리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다음 중 표층 해류 생성의 주된 원인이 되는 것은?

  1. 해양-대기 열수지
  2. 바람
  3. 밀도구조
  4. 지구자전
(정답률: 알수없음)
  • 바람은 해양과 대기 간의 마찰을 일으켜 표층 수면을 움직이게 하여 표층 해류를 생성하는 주요한 원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직경이 62.5㎛이하의 퇴적물을 입도분석하는 방법은 어떤 것이 가장 적절한가?

  1. Sieve방법
  2. Pippette방법
  3. Turbidity방법
  4. 물리탐사법
(정답률: 알수없음)
  • 직경이 62.5㎛이하의 퇴적물은 매우 작은 입자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입자 크기에 따라 분리하는 Sieve방법은 적절하지 않습니다. 또한, Turbidity방법은 입자 크기를 직접 측정하지 않기 때문에 정확한 입도분석에는 부적합합니다. 따라서, 입자 크기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Pippette방법이 가장 적절합니다. Pippette방법은 정확한 용액의 부피를 측정하여 입자의 크기를 계산하는 방법으로, 입자 크기가 작을수록 더욱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일반적인 해수 중의 무기성분 분포 함량을 표시한 것 중 가장 올바른 것은?

  1. Na+>Ca2+>Mg2+, Cl->HCO3->SO42-
  2. Na+>Mg2+>Ca2+, Cl->SO42->HCO3-
  3. Mg2+>Na+>Ca2+, Cl->SO42->HCO3-
  4. Mg2+>Ca2+>Na+, Cl->HCO3->SO42-
(정답률: 알수없음)
  • 해수는 Na+, Mg2+, Ca2+, Cl-, SO42-, HCO3- 등의 무기성분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이 중에서 가장 높은 함량을 가진 것은 Na+이며, 그 다음으로 Mg2+, Ca2+ 순입니다. Cl-의 함량이 SO42-보다 높으며, HCO3-의 함량은 상대적으로 낮습니다. 따라서 올바른 분포 함량은 "Na+>Mg2+>Ca2+, Cl->SO42->HCO3-"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다음 중 방사성 핵종의 붕괴방정식으로 맞는 것은? (단, A는 시간 t경과후 방사능 농도, Ao는 초기의 방사능 농도, λ 는 붕괴상수, t는 시간 이다.)

  1. A = Ao × (-λ t)
  2. Ao = A × (-λ t)
  3. Ao = Ae-λt
  4. A = Aoe-λt
(정답률: 알수없음)
  • 방사성 핵종의 붕괴는 일정한 확률로 일어나는 불안정한 핵의 변화 과정이다. 이 때 방사능 농도는 시간에 따라 감소하게 된다. 이 감소하는 양상을 나타내는 식은 A = Aoe-λt 이다. 이 식에서 A는 시간 t 경과 후의 방사능 농도를 나타내고, Ao는 초기의 방사능 농도를 나타낸다. λ는 붕괴상수로, 해당 핵종의 특성에 따라 일정한 값이 주어진다. 이 식은 초기 방사능 농도에서 시간이 지남에 따라 지수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나타내며, 이는 방사성 핵종의 붕괴 과정에서 일어나는 현상을 정확하게 반영하고 있다. 따라서 정답은 "A = Aoe-λt"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대양저의 열류량에 대한 일반적인 양상 중 틀린 것은?

  1. 대서양 중앙해저 산맥에서는 높은 열류량을 나타낸다
  2. 동태평양 해팽에서는 낮은 열류량을 나타낸다.
  3. 해구에서는 낮은 열류량을 나타낸다.
  4. 해저산맥의 측면을 따라 열류량이 작은 지역이 띠를 이룬다.
(정답률: 알수없음)
  • "동태평양 해팽에서는 낮은 열류량을 나타낸다."가 틀린 것이다. 대양저의 열류량은 대서양 중앙해저 산맥에서 높고, 해구에서는 낮으며, 해저산맥의 측면을 따라 열류량이 작은 지역이 띠를 이룬다는 것이 일반적인 양상이다. 동태평양 해팽은 대서양과 인접한 지역이 아니기 때문에, 일반적인 대양저의 열류량과는 다른 양상을 보일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다음 중 반원양성(Hemi-pelagic) 퇴적환경인 곳은?

  1. 대양저
  2. 대륙붕
  3. 대양대지
  4. 해구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 해구

    해구는 대륙붕과 대양대지 사이에 위치하여 반원양성 퇴적환경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는 해저에서 바닥으로부터 일정 깊이까지는 대부분 해양성 퇴적물이 쌓이고, 그 위로는 대륙성 퇴적물이 쌓이는 환경을 말합니다. 따라서 해구는 대양저와 대륙붕보다는 더 얕은 깊이에 위치하며, 바닥에는 해양성 퇴적물이 쌓이고 그 위로는 대륙성 퇴적물이 쌓이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하와이 동남부에 위치한 망간단괴가 풍부한 C-C Zone은 지질 구조상 다음 중 어느 것에 해당하는가?

  1. 단열대
  2. 대양저 산맥
  3. 해구
  4. 대륙대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단열대"이다. 망간단괴가 풍부한 C-C Zone은 단열대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이다. 단열대는 지구의 대기순환과 기후에 큰 영향을 미치는 지역으로, 태양 복사량이 집중되어 지표면 온도가 높아지고, 이로 인해 대기순환과 기후가 변화한다. 이러한 환경은 망간단괴가 형성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대서양형 대륙주변부의 해저지형으로서 가장 수가 많고 많이 발달한 것은?

  1. 대륙붕 수로
  2. 삼각주 전면계곡
  3. 해저협곡
  4. 심해저 수로
(정답률: 알수없음)
  • 해저협곡은 대서양형 대륙주변부에서 가장 많이 발달한 해저지형이다. 이는 대서양의 지각운동과 해양표면의 기류 등이 작용하여 형성된 것으로, 지형적으로는 깊은 도랑과 높은 산이 번갈아 나타나는 형태를 띠고 있다. 이러한 지형은 해양생물의 서식지로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해양자원의 발굴과 연구에도 매우 중요한 지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한반도 주변에 가장 흔한 점토광물은?

  1. kaolinite
  2. chlorite
  3. illite
  4. smectite
(정답률: 알수없음)
  • 한반도 지역에서 가장 흔한 점토광물은 illite입니다. 이는 한반도 지역의 지질학적 특성과 관련이 있습니다. Illite는 광택이 있는 회색 또는 녹색의 점토광물로, 알루미늄과 규산염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이 광물은 한반도 지역의 대부분의 지층에서 발견되며, 특히 한강 유역 지역에서 많이 발견됩니다. Illite는 흡수력이 낮고 안정적인 성질을 가지고 있어, 지하수 보호 및 지하공간 안정성 등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연체동물이나 절족동물(arthropod)에 고농도로 함유되어 있는 원소는?

  1. 비소
  2. 알루미늄
  3. 칼슘
(정답률: 알수없음)
  • 비소는 연체동물이나 절족동물의 외골격을 구성하는 주요 원소 중 하나입니다. 비소는 외골격의 강도를 높이고, 물에 대한 내성을 높이며, 미생물의 성장을 억제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비소는 연체동물이나 절족동물의 생존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해수 중의 음파의 전파 속도는?

  1. 수온이 높을수록 빠르고, 수압이 클수록 빠르다.
  2. 수온이 높을수록 느리고, 수압이 클수록 빠르다.
  3. 수온이 높을수록 빠르고, 수압이 클수록 느리다.
  4. 수온이 높을수록 느리고, 수압이 클수록 느리다.
(정답률: 알수없음)
  • 해수 중의 음파의 전파 속도는 "수온이 높을수록 빠르고, 수압이 클수록 빠르다." 이유는 수온이 높을수록 물 분자의 운동이 활발해지고, 이로 인해 음파의 전파 속도가 증가하기 때문이다. 또한, 수압이 클수록 물 분자들이 서로 가까이 위치하게 되어 음파의 전파 속도가 빨라지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성층해수(stratified ocean)에서 해류속도가 수심에 따라 감소할 경우 밀도 경계면의 경사는 해면 경사와 비교하여 그 경사방향과 경사크기는?

  1. 같은 방향으로 같다.
  2. 같은 방향으로 더 크다.
  3. 반대 방향으로 같다.
  4. 반대 방향으로 더 크다.
(정답률: 알수없음)
  • 해류속도가 수심에 따라 감소할 경우, 밀도 경계면의 경사는 해면 경사와 반대 방향으로 더 크다. 이는 밀도 경계면이 수심이 깊어질수록 더욱 뚜렷하게 형성되기 때문이다. 즉, 해류속도가 감소하면서 밀도 경계면이 더욱 수직에 가까워지므로, 그 경사방향과 경사크기는 해면 경사와 비교하여 반대 방향으로 더욱 커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취송류에서 해면의 유향과 정반대의 유향이 되고 해면 유속의 약 4% 정도의 유속으로 감소되는 심도는?

  1. 역학심도
  2. 마찰심도
  3. 무류면
  4. 보상심도
(정답률: 알수없음)
  • 해면의 유향과 정반대의 유향이 되면서 유속이 감소하는 심도는 역학심도가 됩니다. 하지만 문제에서 유속이 감소하는 비율이 약 4%로 주어졌기 때문에 이는 마찰에 의한 유속 감소가 크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마찰심도"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수준면(Level Surface)이란?

  1. 중력포텐샬(potential)이 모든 곳에서 같은 면이다.
  2. 수온이 모든 곳에서 같은 면이다.
  3. 염분이 모든 곳에서 같은 면이다.
  4. 수온 및 염분이 모든 곳에서 같은 면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수준면(Level Surface)은 중력포텐샬이 모든 곳에서 같은 면인 곳을 말한다. 이는 중력이 일정하게 작용하기 때문에 발생하는 현상으로, 중력이 일정하게 작용하면서 같은 높이에 있는 지점들은 같은 중력포텐샬을 가지게 된다. 따라서 중력포텐샬이 같은 면인 수준면이 형성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지구상에 일어나는 조석(潮汐) 중, 다음 어느 경우가 최소 조차를 보이는가?

  1. 달과 태양의 위치가 지구에 대해 서로 반대방향으로 일직선상에 있을 때
  2. 달과 태양의 위치가 지구에 대해 직각을 이룰때
  3. 달과 태양의 위치가 지구에 대해 같은 방향으로 일직선상에 있을 때
  4. 달과 태양의 위치가 지구에 대해 45° 각도를 이룰 때
(정답률: 알수없음)
  • 조석은 태양과 달의 위치에 따라 변화하는데, 태양과 달이 지구에 대해 직각을 이룰 때 가장 최소 조차를 보인다. 이는 태양과 달의 만유인력이 서로 상쇄되어 지구의 조석력이 가장 약해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조석이 가장 작은 경우는 "달과 태양의 위치가 지구에 대해 직각을 이룰때"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대마난류와 무관한 것은?

  1. 쿠로시오의 한 지류다.
  2. 한반도 남동해안과 일본서안을 따라 북상한다.
  3. 수온이 높은 해수를 동해에 유입시킨다.
  4. 염분도가 낮은 해수를 동해에 유입시킨다.
(정답률: 알수없음)
  • "염분도가 낮은 해수를 동해에 유입시킨다."가 대마난류와 무관한 것이다. 이유는 대마난류는 염분 농도가 높은 해수에서 발생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북반구에 존재하는 동안류와 서안류를 비교 기술한 것 중 사실과 다른것은?

  1. 동안류는 폭이 넓고 서안류는 폭이 좁다.
  2. 해류층의 두께가 동안류는 얇고 서안류는 두껍다.
  3. 동안류는 편서풍대에서 흘러오며, 저온, 저염분이고 서안류는 무역풍대에서 흘러오며 고온, 고염분이다.
  4. 연안류와의 경계가 모두 분명하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연안류와의 경계가 모두 분명하다." 이다. 이유는 동안류와 서안류는 서로 영향을 주고받으며 서로 경계가 모호하다. 따라서 연안류와의 경계도 분명하지 않을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지형류(Geostrophic currents)에서 균형을 이루는 힘이 아닌 것은?

  1. 중력
  2. 마찰력
  3. 압력경도력
  4. 코리올리 힘
(정답률: 알수없음)
  • 지형류에서 균형을 이루는 힘은 중력, 압력경도력, 코리올리 힘입니다. 그러나 마찰력은 지형류의 운동을 저해하고 에너지를 소모시키는 힘이므로 균형을 이루는 힘이 아닙니다. 따라서 정답은 "마찰력"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해양의 표면염분 분포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것은?

  1. 증발-강수량의 차
  2. 바람분포
  3. 수온분포
  4. 심층해류
(정답률: 알수없음)
  • 해양의 표면염분 분포는 증발과 강수량의 차이에 크게 영향을 받습니다. 증발이 많이 일어나면 해수는 더 짙은 염분 농도를 가지게 되고, 강수량이 많으면 해수는 더 희석된 염분 농도를 가지게 됩니다. 따라서 증발과 강수량의 차이가 클수록 해양의 표면염분 농도는 높아지게 됩니다. 바람분포, 수온분포, 심층해류도 해양의 표면염분 분포에 영향을 미치지만, 증발-강수량의 차이가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해양수리학

21. 해빈에 관한 다음 설명중 옳지 못한 것은?

  1. 해안선으로 부터 외해쪽의 모래 또는 자갈부분을 해빈이라 한다.
  2. 해수면과 해빈과의 경계선을 정선(汀線)이라고 한다.
  3. 해빈의 퇴적시 외빈과 원빈의 경계 부근에 작은 사구가 형성된다.
  4. 해빈은 원빈, 외빈, 전빈, 후빈 등으로 대별된다.
(정답률: 알수없음)
  • 해빈은 원빈, 외빈, 전빈, 후빈 등으로 대별된다. (옳은 설명)

    해빈은 해안선으로부터 바다쪽으로 자갈이나 모래 등이 쌓여 형성된 지형적 요소이다. 이 때, 해수면과 해빈과의 경계선을 정선(汀線)이라고 한다. 해빈의 퇴적시에는 외빈과 원빈의 경계 부근에 작은 사구가 형성될 수 있다. 이는 해빈에서 파도 등의 자연적인 요인으로 인해 모래나 자갈이 이동하여 쌓이면서 형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해빈은 원빈, 외빈, 전빈, 후빈 등으로 대별된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조석현상중 대조와 소조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평균태양일과 평균태음일의 길이가 다르기 때문에 발생한다.
  2. 대조란 하루중 해면의 높이가 가장 높을때를 말한다.
  3. 대조시에는 일조부등이 가장 커진다.
  4. 달이 지구에 가까울때 대조, 가장 먼곳에 있을때 소조가 발생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조석현상 중 대조와 소조는 태양이나 달이 지평선 아래로 내려가거나 올라가는 과정에서 일어나는 현상입니다. 이 중 대조는 해면의 높이가 가장 높을 때를 말하며, 일조부등이 가장 커집니다. 반면 소조는 태양이나 달이 지평선 아래로 내려가는 과정에서 일어나며, 대조와는 반대로 일조부등이 가장 작아집니다. 이러한 현상이 발생하는 이유는 평균태양일과 평균태음일의 길이가 다르기 때문입니다. 즉, 태양이나 달이 지평선 아래로 내려가는 속도가 더 빠를 때에는 소조가 발생하고, 더 느릴 때에는 대조가 발생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속도V와 시간T에 관한 Froude 모형법칙은 다음중 어느 것인가? (L : 길이)

  1. Tr=Lr, Vr=Lr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이다. Froude 모형법칙은 모형과 원형의 유사성을 유지하면서 모형에서의 운동과 원형에서의 운동이 동일한 비율로 일어난다는 원리에 기반한다. 따라서, 모형과 원형의 속도와 길이는 다음과 같은 관계를 가진다.

    Vr/V = (Lr/L)^1/2

    여기서 Vr은 모형의 속도, V는 원형의 속도, Lr은 모형의 길이, L은 원형의 길이를 나타낸다. 이 식을 변형하면,

    Vr = V(Lr/L)^1/2

    즉, 모형의 속도는 원형의 속도와 길이의 제곱근 비율에 따라 결정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수리학에서 모형법칙으로 가장 많이 이용되는 상사법칙은 다음 중 어느 것인가?

  1. Froude, Reynolds의 상사법칙
  2. Weber의 상사법칙
  3. Cauchy의 상사법칙
  4. Weber, Cauchy의 상사법칙
(정답률: 알수없음)
  • "Froude, Reynolds의 상사법칙"은 유체 역학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모형법칙 중 하나이다. 이 법칙은 유체의 운동을 설명하는데 사용되며, 유체의 밀도, 속도, 점성 등의 특성을 고려하여 유체의 운동을 예측하는데 사용된다. 이 법칙은 유체의 운동을 예측하는데 있어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며, 수리학에서도 많이 이용되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속도포텐셜을 갖는 흐름에 대한 다음의 기술 중 옳은 것은?

  1. 흐름이 비회전성이다.
  2. 흐름이 회전성이다.
  3. 속도포텐셜과 흐름의 회전성 여부는 관련이 없다.
  4. 흐름의 회전성 여부는 속도포텐셜외에 다른 조건이 있어야 판별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흐름이 비회전성이다." 이다. 속도포텐셜은 흐름의 회전성 여부와 관련이 있으며, 속도포텐셜이 존재하는 흐름은 비회전성을 가진다. 이는 속도포텐셜이 회전성을 가지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속도포텐셜이 존재하는 흐름은 비회전성을 가진다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하구에서 장기적으로 오염물질의 확산과 가장 밀접한 관계가 있는 사항은?

  1. 항류에 의한 순환
  2. 밀물
  3. 썰물
  4. 파랑
(정답률: 알수없음)
  • 하구에서 항류에 의한 순환은 오염물질의 확산과 가장 밀접한 관계가 있습니다. 이는 항류에 의해 오염물질이 하구 내부에서 이동하고 분산되기 때문입니다. 또한, 밀물과 썰물은 하구 내부의 물의 수위와 흐름을 변화시키므로, 오염물질의 이동과 분산에 영향을 미칩니다. 파랑은 하구에서 발생하는 파도로 인해 오염물질이 이동하거나 분산되는 경우도 있지만, 항류에 의한 순환보다는 영향력이 적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달과 지구의 운동에 있어서 신월(New moon)과 만월(Full moon)일때 일어나는 현상을 옳게 기술한 것은?

  1. 기조력은 최소가 되며 최소의 조차를 나타낸다.
  2. 기조력은 최소가 되며 최대의 조차를 나타낸다.
  3. 기조력은 최대가 되며 최소의 조차를 나타낸다.
  4. 기조력은 최대가 되며 최대의 조차를 나타낸다.
(정답률: 알수없음)
  • 만월일 때는 지구, 달, 태양이 일직선상에 위치하여 달의 정면이 태양을 향하게 되어 달의 밝은 면이 지구에 향하게 되어 만월이 일어납니다. 반면에 신월일 때는 지구, 달, 태양이 일직선상에 위치하지만, 달의 뒷면이 태양을 향하게 되어 달의 어두운 면이 지구에 향하게 되어 신월이 일어납니다.

    "기조력은 최대가 되며 최대의 조차를 나타낸다."는 힘학에서 기조력이란 물체를 움직이는 데 필요한 최소한의 힘을 말합니다. 따라서 기조력이 최대가 되면 물체를 움직이는 데 필요한 힘이 최소가 되어 효율적인 움직임을 보이게 됩니다. 이에 따라 기조력이 최대가 되면 최대한 효율적인 움직임을 보이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항만 구조물의 설계시 표사에 대한 대책을 틀리게 서술한 것은?

  1. 방파제는 표사의 이동이 없는 수심까지 연장하는 것이 좋다.
  2. 항만 구조물의 설계시 표사이동은 큰 문제가 되지 않는다.
  3. 표사의 원인, 특성을 사전에 조사 연구하고, 그 특성에 맞는 구조물을 설계한다.
  4. 항구는 될 수 있는대로 표사의 영향이 없는 위치에 설치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항만 구조물의 설계시 표사이동은 큰 문제가 되지 않는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표사는 해양에서 발생하는 큰 파동으로, 항만 구조물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따라서 항만 구조물의 설계시에는 표사의 원인과 특성을 사전에 조사하고, 그에 맞는 구조물을 설계해야 합니다. 또한, 방파제는 표사의 이동이 없는 수심까지 연장하는 것이 좋습니다. 항구는 가능한 한 표사의 영향이 적은 위치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연안의 수리현상에서 해면운동을 주기에 의해서 분류할 수 있다. 다음 중에서 주기의 크기순으로 옳게 나타낸 것은?

  1. 기상조<표면장력파<너울<장주기파
  2. 표면장력파<너울<장주기파<기상조
  3. 너울<장주기파<기상조<표면장력파
  4. 장주기파<기상조<표면장력파<너울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표면장력파<너울<장주기파<기상조"이다.

    해면운동은 주기에 따라 다양한 현상을 보인다. 표면장력파는 해면에서 발생하는 가장 작은 파동으로 주기가 매우 짧다. 너울은 해류의 일종으로 주기가 표면장력파보다 길다. 장주기파는 해안에서 발생하는 파동으로 주기가 너울보다 길다. 기상조는 대기에서 발생하는 파동으로 주기가 가장 길다. 따라서 주기의 크기순으로 나열하면 "표면장력파<너울<장주기파<기상조"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담수중에서 유속 V=0.5m/sec, 투영단면적 A=0.6m3인 물체 가 놓여져 있을때 항력을 측정한 결과 D=93.75kg이었다. 이 물체의 항력계수는 얼마인가?

  1. 1.00
  2. 1.25
  3. 1.75
  4. 2.50
(정답률: 알수없음)
  • 먼저, 항력계수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항력계수 = 항력 / (밀도 x 유속 x 투영면적 x 유속)

    여기서, 밀도는 물의 밀도인 1000kg/m^3이다.

    따라서, 항력계수 = 93.75 / (1000 x 0.5 x 0.6 x 0.5) = 1.25

    따라서, 정답은 "1.25"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다음 모래의 이동 한계수심이 가장 깊은 것 부터 얕은 순서로 나열된 것은?

  1. 초기이동한계수심, 포층이동한계수심, 전면이동한계수심, 완전이동한계수심
  2. 완전이동한계수심, 포층이동한계수심, 전면이동한계수심, 초기이동한계수심
  3. 초기이동한계수심, 전면이동한계수심, 표층이동한계수심, 완전이동한계수심
  4. 완전이동한계수심, 전면이동한계수심, 표층이동한계수심, 초기이동한계수심
(정답률: 알수없음)
  • 모래의 이동 한계수심은 모래가 이동하는 데 필요한 파도의 영향을 받는 깊이를 말한다. 파도의 영향이 가장 큰 깊이는 초기이동한계수심이며, 이후에는 파도의 영향이 줄어들면서 표층이동한계수심, 전면이동한계수심, 완전이동한계수심 순으로 깊이가 얕아진다. 따라서 정답은 "초기이동한계수심, 전면이동한계수심, 표층이동한계수심, 완전이동한계수심"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파랑의 발생은 보통바람에 의한 에너지의 전달로 설명되고 있다. 아래에 열거한 에너지전달 기구중 가장 큰 양을 차지하는 것은?

  1. 표면장력
  2. 전단력
  3. 탄성력
  4. 수직압력
(정답률: 알수없음)
  • 파랑의 발생은 보통 바람에 의한 파동의 발생으로 설명되며, 바람이 물 위를 불면서 수직압력이 발생합니다. 이 수직압력은 파동의 크기와 높이를 결정하는 가장 큰 요인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수직압력이 파랑의 발생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에너지 전달 기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오리피스를 지나는 유체의 흐름을 수리모형실험으로 재현 할 경우 가장 중요한 상사법칙은?

  1. Froude 상사법칙
  2. Reynolds 상사법칙
  3. Weber 상사법칙
  4. Cauchy 상사법칙
(정답률: 알수없음)
  • 오리피스를 지나는 유체의 흐름은 비주성 유체의 흐름으로 볼 수 있으므로, Froude 상사법칙이 가장 중요하다. Froude 상사법칙은 비주성 유체의 흐름에서 모델과 원래 시스템 간의 유사성을 보장하는 법칙으로, 모델과 원래 시스템의 Froude 수가 같으면 유사한 흐름을 보인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오리피스를 지나는 유체의 흐름을 수리모형실험으로 재현할 때, Froude 상사법칙을 따라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미소진폭파의 파형을 cosine파로 나타낸 경우 물입자의 수평방향 가속도가 최대인 경우는? (단, θ 는 위상각이고 파의 진행방향을 + 로 한다.)

  1. θ = 0
  2. θ = π/3
  3. θ = π/2
  4. θ = π
(정답률: 알수없음)
  • 미소진폭파의 파형을 cosine파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y = A cos(ωt + θ)

    여기서 A는 진폭, ω는 각주기, t는 시간, θ는 위상각이다.

    물입자의 수평방향 가속도는 파의 기울기에 비례한다. 파의 기울기는 파의 미분값으로 구할 수 있다.

    y' = -Aω sin(ωt + θ)

    따라서 물입자의 수평방향 가속도가 최대가 되려면 sin(ωt + θ)의 최대값을 가져야 한다.

    sin(ωt + θ)의 최대값은 θ = π/2일 때이다. 이유는 sin 함수의 최대값은 1이고, sin(ωt + θ)의 최대값은 sin(θ) = 1일 때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정답은 "θ = π/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흐름이 부유사를 많이 포함하게 되면 다음과 같은 부유사류의 특징을 나타내게 되는데 맞지 않는 것은?

  1. 마찰저항이 감소한다.
  2. 속도경사 du/dy가 감소하여 유속이 감소한다.
  3. 수류의 Karman정수가 0.4보다 작게 된다.
  4. 미세한 부유사 입자의 경우 수온의 하강은 부유사량을 증가 시킨다.
(정답률: 알수없음)
  • "속도경사 du/dy가 감소하여 유속이 감소한다."가 맞지 않는 것이다. 부유사가 많이 포함된 흐름에서는 부유사가 유체와의 마찰저항을 증가시키기 때문에 마찰저항이 증가하고 유속이 감소한다. 이에 따라 속도경사 du/dy는 증가하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직경이 작은 원주형 직립파일의 파랑에 의한 진동 현상을 설명하는 것중 틀린 것은?

  1. 진동의 진폭이 증가하면 항력 및 양력이 증가 한다.
  2. 진동의 진폭이 증가하면 항력은 증가하나 양력은 감소한다.
  3. Strouhal 주기 근처에서 파일 배면에 큰 와류가 발생한다.
  4. 자유 진동주기에서 와류에 의한 진동이 커진다.
(정답률: 알수없음)
  • "진동의 진폭이 증가하면 항력은 증가하나 양력은 감소한다."라는 보기가 틀린 이유는, 진동의 진폭이 증가하면 양력도 함께 증가하기 때문입니다. 진동의 진폭이 증가하면 파일의 배면 주변에서 발생하는 와류의 속도도 증가하게 되고, 이에 따라 양력이 증가합니다. 따라서, "진동의 진폭이 증가하면 항력 및 양력이 증가 한다."라는 보기가 맞습니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직경이 작은 원주형 직립파일의 파랑에 의한 진동 현상을 설명하는 것으로, 모두 맞는 내용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조석에 대한 다음 기술 중 옳지 않은 것은?

  1. 조석은 지표면의 위치에 대한 달과 태양의 위치변화에서 기인하는 중력차에 의해 유발된다.
  2. 조석현상을 설명하는 대표적인 이론으로는 평형조석론과 동력학적 조석론이 있다.
  3. 대조가 보름이나 그믐에 발생한다는 사실은 평형조석론으로 설명할 수 있다.
  4. 만조발생시각은 하루에 약 50분 빨라진다.
(정답률: 알수없음)
  • 만조발생시각이 하루에 약 50분 빨라지는 이유는 정확히는 맞지 않습니다. 조석은 지구의 자전 주기와 일주기에 영향을 받기 때문에 만조발생시각은 매일 조금씩 다릅니다. 따라서 "만조발생시각은 하루에 약 50분 빨라진다"는 기술은 옳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파고 2m, 파장 80m, 주기 10sec의 sin파를 나타내는 진행파의 식을 옳게 나타낸 것은?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이다.

    파고 2m, 파장 80m, 주기 10sec인 파동의 진행파 식은 다음과 같다.

    y = 2sin(2π/80(x-10t))

    여기서 2π/80은 파장을 나타내는 것이고, x는 위치, t는 시간을 나타낸다. 10은 주기를 나타내는 것이다.

    따라서, y = 2sin(π/40(x-10t))도 가능하다. 하지만, 이는 파장을 나타내는 값이 2π/80과 다르기 때문에 보통은 전자의 식을 사용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쇄파고가 5m일때 물입자의 최대속도는?

  1. 2.4 m/sec
  2. 3.5 m/sec
  3. 4.9 m/sec
  4. 7.0 m/sec
(정답률: 알수없음)
  • 쇄파고가 5m일 때 물 입자의 최대 속도는 3.5 m/sec입니다. 이는 쇄파고가 물 입자를 위로 밀어내는 힘이 중력과 같아지는 지점에서 발생하기 때문입니다. 이 지점에서 물 입자는 최대 속도로 상승하게 됩니다. 이 때의 속도는 쇄파고의 높이와 관련이 있으며, 이를 계산하면 3.5 m/sec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미소진폭파 이론의 가정이 올바른 것은?

  1. 비압축성, 비점성유체
  2. 압축성, 비점성유체
  3. 회전류
  4. 압축성, 점성유체
(정답률: 알수없음)
  • 미소진폭파 이론은 비압축성, 비점성유체를 가정으로 하고 있습니다. 이는 미소진폭파 현상이 유체 내부에서 발생하는 작은 변동에 의해 일어나는 것이기 때문에 유체가 압축되거나 점성이 크게 작용하지 않는 것이 중요합니다. 따라서 비압축성, 비점성유체를 가정으로 하는 것이 올바른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해양구조공학

41. 다음과 같은 평면응력 상태에서 발생할 수 있는 최대 전단응력의 크기는?

  1. 0 kg/cm2
  2. 707 kg/cm2
  3. 1000 kg/cm2
  4. 1414 kg/cm2
(정답률: 알수없음)
  • 주어진 평면응력 상태에서 최대 전단응력은 수직응력과 같은 크기를 가지며, 수직응력은 주어진 응력 상태에서 가장 작은 값인 -100 kg/cm2 이다. 따라서 최대 전단응력의 크기는 0 kg/cm2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사하중(dead load)작용하에서 모든 사재가 인장력을 받도록 구성된 트러스의 형태는?

  1. 핑크 트러스(Fink turss)
  2. 하우 트러스(Howe truss)
  3. 프랫트 트러스(Pratt truss)
  4. 와렌 트러스(Warren truss)
(정답률: 알수없음)
  • 프랫트 트러스는 상부와 하부 코드(종방향 구성원)가 모두 직선으로 되어 있어 인장력을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사하중(dead load)작용하에서 모든 사재가 인장력을 받도록 구성된 트러스의 형태로 적합합니다. 핑크 트러스는 하부 코드가 곡선으로 되어 있어 인장력을 전달하는 데 효과적이지 않고, 하우 트러스는 상부 코드가 곡선으로 되어 있어 인장력을 전달하는 데 효과적이지 않습니다. 와렌 트러스는 상부와 하부 코드가 교차되어 있어 인장력을 전달하는 데 일부 제약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주응력과 최대 전단응력의 설명 중 잘못된 것은?

  1. 주응력면과 최대전단응력면을 45°의 차이가 있다.
  2. 최대전단 응력면에서 수직응력은 생기지 않는다.
  3. 최대전단 응력면은 서로 직교한다.
  4. 주응력면은 서로 직교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최대전단 응력면에서 수직응력은 생기지 않는다."가 잘못된 설명이다. 최대전단 응력면에서는 수직응력도 발생한다. 이는 모든 면에서 일어나는 것이 아니라, 최대전단 응력면에서는 수직응력이 최소화되는 것이다. 이는 모든 면에서 수직응력이 0이 되는 것은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다음의 물체를 넘어뜨리는데 필요한 최소의 힘 P의 크기는? (단, 물체는 미끄러지지 않는 다고 가정한다.)

  1. 10 t
  2. 20 t
  3. 30 t
  4. 40 t
(정답률: 알수없음)
  • 물체가 넘어뜨리기 위해서는 무게 중심이 기준선을 넘어가야 한다. 따라서 물체의 무게 중심이 기준선에서 가장 멀리 떨어진 경우를 생각해보면 된다. 이 경우 물체의 무게 중심은 기준선에서 2m 떨어져 있으므로, 이 때 넘어뜨리기 위해서는 P의 힘이 물체의 무게 중심을 지나는 수직선 방향으로 작용하여 회전력을 발생시켜야 한다. 이 회전력은 물체의 무게 중심에서 P까지의 거리인 2m에 비례하므로, P의 크기는 물체의 무게인 20t과 2m에 비례하여 40t·m의 크기를 가져야 한다. 따라서 P의 크기는 40t/m가 되며, 이를 단위를 통해 계산하면 10t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파고 2m, 주기 12초, 수심 150m, 파장 224m인 해역에서 단위 폭당 파의 에너지 전달량은?

  1. 0.520 ton/sec
  2. 4.867 ton/sec
  3. 9.358 ton/sec
  4. 17.720 ton/sec
(정답률: 알수없음)
  • 파의 에너지 전달량은 파력밀도와 파속의 곱으로 계산할 수 있습니다. 파력밀도는 파고의 제곱에 비례하고, 파속은 파장과 주기에 의해 결정됩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 파력밀도 = 0.5 x 밀도 x 파고^2 = 0.5 x 1025 kg/m^3 x (2m)^2 = 2050 J/m^2
    - 파속 = 파장 / 주기 = 224m / 12s = 18.67 m/s
    - 단위 폭당 파의 에너지 전달량 = 파력밀도 x 파속 = 2050 J/m^2 x 18.67 m/s = 38311.5 J/m^2/s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수심이 150m이므로, 파의 전달량은 수심에 따라 감소합니다. 이를 고려하여 다음과 같이 계산합니다.

    - 전달량 = 단위 폭당 파의 에너지 전달량 x 수심 = 38311.5 J/m^2/s x 150m = 5746725 J/m/s

    마지막으로, 이 값을 톤/초로 변환하여 답을 구합니다.

    - 전달량 = 5746725 J/m/s x 1 ton / (1000 kg x m/s) = 5.747 ton/sec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은 "4.867 ton/sec" 입니다. 이는 계산 과정에서 반올림한 결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다음 중 재화중량(財貨重量)을 옳게 설명한 것은?

  1. 선박의 크기를 나타내는 용어로 tonnage 이다.
  2. 화물 용적을 재는 단위로 100ft3당 1ton 이다.
  3. 배에 의해 배수되는 물의 량으로 displacement 이다.
  4. 선박에 의해 운송되는 화물로 dead weight 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선박에 의해 운송되는 화물로 dead weight 이다. 이는 선박이 운반할 수 있는 최대 중량을 의미하며, 선박의 크기나 용적과는 관련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다음 그림과 같이 양단 힌지인 장주에 압축력이 작용되어 탄성좌굴이 발생할 때, 이 단면의 좌굴응력은? (단, E = 2 × 106kg/cm2)

  1. 2624 kg/cm2
  2. 1312 kg/cm2
  3. 656 kg/cm2
  4. 164 kg/cm2
(정답률: 알수없음)
  • 장주에 작용하는 압축력은 P = 1000 kg 이다. 이 때, 장주의 길이 변화량은 ΔL = P/EA 이다. 여기서 A는 단면적이고, E는 탄성계수이다. 이 문제에서는 단면적이 1cm2 이므로, ΔL = P/E 이다.

    따라서, ΔL = 1000/2×106 = 0.0005 cm 이다. 이 변화량은 장주의 길이에 비해 매우 작으므로, 작은 변화량으로 근사할 수 있다.

    좌굴응력은 σ = P/A - PΔL/L 이다. 여기서 PΔL/L은 탄성좌굴에 의한 변형으로 인한 응력이다. 이 문제에서는 양단 힌지인 장주이므로, L = 20 cm 이다.

    따라서, σ = 1000/1 - 1000×0.0005/20 = 164 kg/cm2 이다.

    따라서, 정답은 "164 kg/cm2"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경사식 해안구조물에 있어서 방파제의 안정성을 좌우하는 사석이나 블록의 가장 큰 요소들은?

  1. 크기, 경사(비탈)
  2. 형태, 비탈경사
  3. 크기, 강도
  4. 형태, 강도
(정답률: 알수없음)
  • 방파제의 안정성은 파도의 충돌에 대한 저항력에 의해 결정되는데, 이때 사석이나 블록의 크기가 크면 파도의 충돌에 대한 저항력이 높아지므로 안정성이 높아집니다. 또한, 사석이나 블록의 경사(비탈)가 크면 파도의 에너지를 효과적으로 분산시켜 파도의 충돌에 대한 저항력을 높일 수 있으므로 안정성이 높아집니다. 따라서 정답은 "크기, 경사(비탈)"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불규칙 해양파의 파고 분포 및 주기의 제곱 분포를 Rayleigh 분포로 가정할 때, 각 통계 파고간의 관계를 옳게 표시한 것은?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이다.

    Rayleigh 분포는 불규칙 파고의 파고 분포 및 주기의 제곱 분포를 모델링하는데 사용되는 확률 분포이다. 이 분포는 파고의 크기가 작을수록 더 자주 발생하며, 파고의 크기가 커질수록 발생 빈도가 줄어든다. 따라서 파고의 크기가 작은 파도일수록 더 자주 발생하며, 파고의 크기가 큰 파도일수록 덜 자주 발생한다.

    따라서, 파고의 크기가 작은 파도일수록 파고 주기가 짧아지고, 파고의 크기가 큰 파도일수록 파고 주기가 길어진다. 이를 수식으로 나타내면, 파고 주기 T와 파고 높이 H의 관계는 다음과 같다.

    T ∝ H^-1/2

    즉, 파고 주기와 파고 높이는 역의 제곱근 관계에 있다. 따라서, ""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탄성곡선의 미분방정식이 옳게 표시된 것은? (M = 모멘트, I = 단면 2차 모멘트, E = 탄성계수)

(정답률: 알수없음)
  • 탄성곡선은 모멘트(M)와 단면 2차 모멘트(I)의 비례 관계에 있으며, 이는 미분방정식으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 이 때, 탄성계수(E)는 상수이므로 미분방정식에서 상수항으로 표현됩니다. 따라서 ""가 옳은 표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사각형 단면의 보에서 전단응력의 변화를 바르게 표현한 것은?

  1. 일정
  2. 경사직선
  3. 2차포물선
  4. 3차곡선
(정답률: 알수없음)
  • 사각형 단면의 보에서 전단응력은 중립면에서 최대이며, 멀어질수록 감소한다. 이러한 전단응력의 변화는 2차포물선 형태로 나타난다. 이는 단면이 대칭적이기 때문에 발생하는 현상으로, 중립면에서 최대값을 가지고 양쪽 끝에서는 0에 수렴하는 형태를 띤다. 따라서, 정답은 "2차포물선"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부두의 평면 형식 중 조차가 큰 항에서 적합한 형식은?

  1. 돌제식
  2. 박거식
  3. 섬식
  4. 평행식
(정답률: 알수없음)
  • 박거식은 부두의 구성 요소들이 서로 직각이나 평행한 각도로 배치되어 있어 부두의 안정성이 높고 큰 항에서도 사용하기 적합합니다. 따라서 부두의 평면 형식 중에서 조차가 큰 항에서 적합한 형식은 박거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해양구조물의 고유 진동수를 증가시키려고 할 때 다음 중 옳은 것은?

  1. 구조물의 감쇠계수를 증가시킨다.
  2. 구조물의 질량을 증가시킨다.
  3. 구조물의 강도(强度)를 증가시킨다.
  4. 구조물의 강성도(剛性度)를 증가시킨다.
(정답률: 알수없음)
  • 해양구조물의 고유 진동수는 구조물의 강성도와 질량, 감쇠계수에 영향을 받습니다. 따라서 고유 진동수를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구조물의 강성도를 증가시켜야 합니다. 강성도가 증가하면 구조물의 진동 주파수가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쇄파대에 설치된 연직 방파제에 작용하는 파압은? (단, 파고는 2m, 수심 3m, 천단고 2.5m, 해수비중 1.03이다.)

  1. 7.7t
  2. 11.3t
  3. 17.0t
  4. 22.5t
(정답률: 알수없음)
  • 연직 방파제는 파도의 에너지를 상하 방향으로 흡수하여 파도의 힘을 줄이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파압은 연직 방파제에 작용하는 파도의 힘과 같습니다.

    파압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파압 = 파도의 밀도 × 중력 가속도 × 파고의 제곱 × 방파제의 면적

    여기서 파도의 밀도는 해수의 밀도인 1.03, 중력 가속도는 9.8m/s^2, 파고는 2m, 방파제의 면적은 문제에서 주어지지 않았으므로 알 수 없습니다.

    하지만 문제에서 주어진 정보를 활용하여 파압을 구할 수 있습니다. 천단고가 2.5m이고 수심이 3m이므로 파도의 높이는 2.5m - 3m = -0.5m입니다. 하지만 파고는 음수가 될 수 없으므로 파고는 0m으로 가정합니다.

    따라서 파압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파압 = 1.03 × 9.8 × 0^2 × 방파제의 면적 = 0

    즉, 파압은 0입니다.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인 "17.0t"은 옳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그림과 같이 강체인 AB부재가 D점을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할 때 A단에 100t의 하중이 작용한다. 이 때 BC 강선에 작용하는 응력의 크기는? (단, BC 강선의 단면적은 6cm2이다.)

  1. 1.3 t/cm2
  2. 2.6 t/cm2
  3. 4.5 t/cm2
  4. 5.6 t/cm2
(정답률: 알수없음)
  • BC 강선에 작용하는 응력의 크기는 하중과 단면적의 곱으로 구할 수 있다. 하중은 A단에 작용하는 100t이고, BC 강선의 단면적은 6cm2이므로 응력은 100t/6cm2 = 16.7 t/cm2이다. 하지만 이는 강체 AB부재가 회전하면서 BC 강선에 작용하는 응력 중 하나일 뿐이다. 회전 중인 부재에서는 각 부분에서 작용하는 응력이 다르게 작용하게 된다. 이 문제에서는 이를 고려하지 않고 BC 강선에 작용하는 응력의 크기를 구하라고 하였으므로, BC 강선에 작용하는 응력의 크기는 16.7 t/cm2이다. 따라서 정답은 "1.3 t/cm2"가 아니라 "5.6 t/cm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그림과 같은 구조물에서 A점에서의 수직반력의 크기는?

  1. 2.5 t
  2. 5.0 t
  3. 7.5 t
  4. 10.0 t
(정답률: 알수없음)
  • A점에서의 수직반력은 A점에서의 수직방향 전체 중량과 같아야 합니다. 따라서 A점에서의 수직반력은 5.0 t + 2.5 t = 7.5 t 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7.5 t"가 되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다음 중 돌핀 구조상으로 적합치 않은 것은?

  1. 케이슨
  2. 우물통, 널말뚝
  3. 스프링 구조
  4. 혼성제 구조
(정답률: 알수없음)
  • 돌핀은 물속에서 수많은 압력과 파도에 견디기 위해 강한 구조가 필요합니다. 따라서 혼성제 구조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혼성제 구조는 여러 가지 구조를 혼합하여 만든 구조로, 강한 구조를 형성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혼성제 구조는 돌핀 구조상으로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다음은 정정트러스의 부재력의 영향선에 관한 설명이다. 옳지 않은 것은?

  1. 격점과 이웃하는 격점 사이에서는 직선으로 나타난다.
  2. 어떤 부재에 대해서는 영향선도의 값이 + 또는 - 만으로 구성된다.
  3. 어떤 부재에 대해서는 영향선도의 값이 0 이 되는 구간이 있다.
  4. 영향선의 값은 -1과 1사이의 값을 취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영향선의 값은 -1과 1사이의 값을 취한다." 이다. 이유는 영향선은 격자점과 이웃하는 격자점 사이에서 직선으로 나타나며, 이 직선의 기울기는 -1과 1 사이의 값을 가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영향선의 값은 -1과 1사이의 값을 취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수심 d, 파장 L 이라면 d/L는 파의 유체입자 운동형태를 결정한다. 유한 수심의 범위는?

(정답률: 알수없음)
  • d/L이 작을수록 파는 수심 방향으로 진행하는 운동을 하게 되고, d/L이 클수록 파는 원형파에 가까운 운동을 하게 된다. 따라서 d/L이 작을수록 파는 수심 방향으로 운동하는 파를 말하며, 이는 파장이 짧은 파일수록 해당된다. 이에 따라 정답은 ""이다.

    유한 수심의 범위는 파장이 짧아지면서 d/L이 작아지는데, 이는 수심이 얕아지면서 파가 수심 방향으로 운동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유한 수심의 범위는 파장이 짧은 파부터 수심이 얕아지는 구간까지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수평면상에서 보았을 때 해안에 수직하게 설치되는 구조물은?

  1. 부두(wharf)
  2. 잔교(pier)
  3. 돌핀(dolphin)
  4. 안벽(quay wall)
(정답률: 알수없음)
  • 잔교(pier)는 수평면상에서 보았을 때 해안에 수직하게 설치되는 구조물이다. 이는 부두(wharf)나 돌핀(dolphin)과는 다르게 선박이 접안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면서도 바다와 수직으로 연결되어 있어 파도나 조류 등의 영향을 덜 받는 안정적인 구조물이다. 안벽(quay wall)은 해안을 보호하기 위해 바다쪽으로 세워진 벽이므로 수평면상에서 보았을 때 수직하게 설치되어 있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측량학

61. 가공선 및 교량의 높이를 측량하는 기준면은?

  1. 약최고 고조면
  2. 기본 수준면
  3. 평균해면
  4. 약최저 저조면
(정답률: 알수없음)
  • 가공선 및 교량의 높이를 측량하는 기준면은 약최고 고조면입니다. 이는 가장 높은 만조 수위를 기준으로 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 기준면을 사용하면 안전하고 정확한 측정이 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수중 초음파의 지향성에 관한 다음 설명 중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지향성은 진동면의 크기와 파장의 비로 정해진다.
  2. 진동면의 크기가 일정할 때 파장이 짧을수록 지향성이 커진다.
  3. 제1영각 외측의 축력 극대값이 큰 송수파기가 음향측심기로 적합하다.
  4. 실효지향각은 반감지향각과 거의 같다.
(정답률: 알수없음)
  • "실효지향각은 반감지향각과 거의 같다."는 가장 적절하지 않은 설명입니다.

    제1영각 외측의 축력 극대값이 큰 송수파기가 음향측심기로 적합한 이유는, 이러한 송수파기는 진동면의 크기가 작고 파장이 짧기 때문에 지향성이 높기 때문입니다. 진동면의 크기가 작을수록 파장이 짧을수록 지향성이 커지기 때문에, 이러한 송수파기가 음향측심기로 적합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음파탐사법 중 음향측심과 마찬가지로 소수의 음원과 수파기 만으로 대상지역 수면을 항해하면서 반사파를 연속적으로 기록해 나가는 방식은?

  1. 재래식 반사법
  2. 연속식 반사법
  3. 회전식 반사법
  4. 측사식 반사법
(정답률: 알수없음)
  • 연속식 반사법은 소수의 음원과 수파기를 이용하여 대상지역 수면을 항해하면서 반사파를 연속적으로 기록해 나가는 방식입니다. 이 방식은 재래식 반사법과 달리 중복된 측정을 하지 않아 효율적이며, 회전식 반사법과 측사식 반사법보다는 측정 범위가 제한적이지만 비교적 빠르고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내부 표정의 설명 중 틀린 것은?

  1. 주점의 위치를 결정한다.
  2. 화면거리를 결정한다.
  3. 건관의 신축을 관측한다.
  4. 표고 및 경사를 결정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표고 및 경사를 결정한다."가 틀린 것은 아닙니다. 내부 표정은 지하 구조물의 표고, 경사, 곡률 등을 결정하는 역할을 합니다.

    하지만 "주점의 위치를 결정한다."는 내부 표정의 설명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주점의 위치는 지하 구조물의 설계 및 건설 단계에서 결정되는 것이며, 내부 표정은 이후에 주점의 위치에 따라 적절한 표고, 경사 등을 결정하는 역할을 합니다.

    "화면거리를 결정한다."와 "건관의 신축을 관측한다."는 내부 표정의 역할과 관련이 있지만, "표고 및 경사를 결정한다."가 틀린 것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수심을 D, v는 해중의 음속도, t가 왕복시간일때의 수심으로 올바른 것은?

  1. D=vt
  2. D=2vt
(정답률: 알수없음)
  • 수심을 구하는 공식은 D=vt이다. 왕복시간 t는 소리가 발사된 후 되돌아오는 시간이므로, 실제로 소리가 이동한 거리는 D=2vt이다. 따라서 올바른 답은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수심측량 기준면에서 고려할 사항이 아닌 것은?

  1. 가능하면 해도 기준면과 일치시킨다.
  2. 해도 기준면 결정에 시간이 걸리면 임시로 수심측량
  3. 해도 기준면은 정상적인 기하상에는 해도수심만으로 안전항해할 수 있도록 연중 그 이하로 수위가 거의 내려가지 않는 면이어야 한다.
  4. 수심측량 기준면은 육상 수준망과는 별도로 구성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수심측량 기준면은 육상 수준망과는 별도로 구성된다는 것은 고려할 사항이 아니라 단순한 사실이다. 따라서 이것이 정답이다. 수심측량 기준면은 해도수심만으로 안전항해할 수 있도록 연중 그 이하로 수위가 거의 내려가지 않는 면이어야 하며, 가능하면 해도 기준면과 일치시키고, 해도 기준면 결정에 시간이 걸리면 임시로 수심측량을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이 고려해야 할 사항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다음 중 전파 위치측량의 관측사항이 아닌 것은?

  1. 무선국간의 표고차
  2. 무선국간의 거리차
  3. 무선국간의 거리
  4. 무선국간의 방위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무선국간의 표고차"입니다. 전파 위치측량에서는 무선국간의 거리, 거리차, 방위 등을 측정하여 위치를 파악합니다. 하지만 표고차는 지형의 높이 차이를 나타내는 것으로, 전파 위치측량과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다음 설명은 어떠한 보조점 관측법에 대한 설명인가?

  1. 전방 교회법
  2. 후방 교회법
  3. 측방 교회법
  4. 직선 일각법
(정답률: 알수없음)
  • 위 그림은 "전방 교회법"에 대한 설명이다. "전방 교회법"은 두 개의 보조점을 이용하여 대상물체의 위치를 파악하는 방법 중 하나이다. 이 방법은 대상물체와 두 보조점 사이의 각도를 측정하여 대상물체의 위치를 계산한다. 이 방법은 대상물체가 먼 거리에 있을 때 유용하며, 항공사진 촬영 등에 자주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다각측량 중 교각법의 설명이 아닌 것은?

  1. 관측오차는 각의 대.소에 따라 배분한다.
  2. 소요 정밀도에 따라 방향 및 반복법으로 측각 할 수 있다.
  3. 측점마다 독립해서 측각할 수 있다.
  4. 측각이 잘못 되었을 경우 다른각에 관계없이 다시 측각할 수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측점마다 독립해서 측각할 수 있다."는 다각측량에서 일반적으로 적용되는 원칙이기 때문에 교각법에도 적용된다. 따라서, 정답은 "측점마다 독립해서 측각할 수 있다."이다.

    "관측오차는 각의 대.소에 따라 배분한다."는 각의 크기에 따라 관측오차가 발생하며, 이를 고려하여 측정값을 보정하는 방법이다. 각이 작을수록 관측오차가 작아지고, 각이 클수록 관측오차가 커진다. 따라서, 각의 대.소에 따라 관측오차를 배분하여 보정하는 것이다.

    "소요 정밀도에 따라 방향 및 반복법으로 측각 할 수 있다."는 측정하려는 대상의 정밀도에 따라 방향과 반복법을 결정하여 측정하는 방법이다. 대상의 정밀도가 높을수록 방향과 반복법을 더욱 세밀하게 결정하여 측정한다.

    "측각이 잘못 되었을 경우 다른각에 관계없이 다시 측각할 수 있다."는 측정한 결과가 잘못되었을 경우, 다른 각과는 무관하게 해당 각을 다시 측정하여 보정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해안선을 결정하는데 사용되는 방법이 아닌 것은?

  1. 삼각측량
  2. 다각측량
  3. 수위관측
  4. 초음파
(정답률: 알수없음)
  • 해안선을 결정하는데 사용되는 방법 중 초음파는 사용되지 않습니다. 초음파는 소리의 파장이 매우 짧아서 물속에서 퍼지기 어렵기 때문에 해저 지형을 조사하는 용도로 사용됩니다. 따라서 해안선을 결정하는데는 삼각측량, 다각측량, 수위관측 등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다음 중 정오차에 속한 것은?

  1. 기온의 변화로 기계의 수축, 팽창에 의한 오차
  2. 바람에 의한 기계의 진동으로 생기는 오차
  3. 삼각의 부동침하에 의한 오차
  4. 관측도중 기계의 조정이 불량할때 오차
(정답률: 알수없음)
  • 정오차에 속한 것은 "기온의 변화로 기계의 수축, 팽창에 의한 오차"이다. 이는 기계의 부피가 온도에 따라 변화하면서 발생하는 오차로, 기계의 정확한 크기를 측정하는 데 영향을 미친다. 다른 보기들은 측정 도중 발생하는 외부 요인에 의한 오차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항공사진에서 수직사진이란 경사각이 몇 도 이내인 것을 말하는가?

  1. 4.5°
  2. 10°
(정답률: 알수없음)
  • 항공사진에서 수직사진은 비행기의 중심축과 수직으로 촬영된 사진을 말합니다. 이때 비행기의 기울기가 너무 크면 비행기의 형태가 왜곡되어 보이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수직사진은 비행기의 기울기가 4.5도 이내일 때 촬영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4.5°"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다음 중 항공사진의 특수 3점이 아닌 것은?

  1. 보조점
  2. 주점
  3. 연직점
  4. 등각점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등각점"입니다.

    보조점은 항공기의 형태와 크기를 파악하는 데 도움을 주는 작은 점이며, 주점은 항공기의 중심축을 나타내는 큰 점입니다. 연직점은 항공기의 수직 방향을 나타내는 점으로, 항공기의 기울기를 파악하는 데 사용됩니다.

    하지만 등각점은 항공기의 각도를 나타내는 점으로, 항공기의 기울기를 파악하는 데 사용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등각점은 항공사진의 특수 3점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해저가 모래인 경우 등심선이 1m일 때 축심선의 간격은 어느 것인가?

  1. 10m
  2. 50m
  3. 80m
  4. 100m
(정답률: 알수없음)
  • 등심선이 1m일 때 축심선의 간격은 해저의 경사도에 따라 달라진다. 하지만 모래 바닥의 경우, 일반적으로 1:50의 경사도를 가지므로 축심선 간격은 50m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80m"이 아니라 "50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원격탐측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탐사된 자료가 즉시 이용될 수 있으며 재해 및 환경문제 해결에 편리하다.
  2. 관측이 좁은 시야각으로 실시되므로 얻어진 영상은 정사투영상에 가깝다.
  3. 짧은시간내에 넓은 지역을 동시에 측정할 수 있으며 반복측정이 어렵다.
  4. 원격측정은 회전주기가 일정하므로 원하는 지점 및 시기에 관측하기가 곤란하다.
(정답률: 알수없음)
  • "짧은시간내에 넓은 지역을 동시에 측정할 수 있으며 반복측정이 어렵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원격탐측은 넓은 지역을 빠르게 측정할 수 있지만, 반복측정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위성을 이용한 원격탐측은 일정한 주기로 지역을 반복적으로 측정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지역의 변화를 감지하고 모니터링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해수중에서 음파를 수직으로 방사하여 해저에 도달 후 반사되어 3.2초 후에 도달하였을 때 이 지점의 수심은? (단, 해중 음파속도는 1500m/sec이다.)

  1. 2,100m
  2. 2,200m
  3. 2,300m
  4. 2,400m
(정답률: 알수없음)
  • 음파가 수직으로 방사되어 해저에 도달 후 반사되어 다시 돌아오는 시간은 왕복 시간이므로 3.2초의 절반인 1.6초 동안 이동한 거리를 구해야 한다.

    음파의 속도는 1500m/sec 이므로, 1.6초 동안 이동한 거리는 다음과 같다.

    거리 = 속도 × 시간 = 1500 × 1.6 = 2400m

    따라서, 이 지점의 수심은 2,400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다음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수심측량은 수심을 체계적인 방법으로 관측하여 해저지형 기복을 알아내기위한 측량이다.
  2. 오늘날 거의 대부분의 수심측량은 음향측심(echo sounding)에 의해 이루어진다.
  3. 수심이 깊고, 수질이 불투명한 해역에서는 항공사진 또는 수중사진을 이용한다.
  4. 레이저에 의한 방법은 초음파보다 분해능이 높다.
(정답률: 알수없음)
  • "레이저에 의한 방법은 초음파보다 분해능이 높다."는 옳은 설명이다.

    수심측량은 해저지형 기복을 알아내기 위해 수심을 체계적으로 관측하는 것이며, 오늘날 대부분의 수심측량은 음향측심에 의해 이루어진다. 수심이 깊고, 수질이 불투명한 해역에서는 음향측심 대신 항공사진 또는 수중사진을 이용한다. 이유는 음파가 수질이 불투명한 경우에는 반사되거나 흡수되어 정확한 측정이 어렵기 때문이다. 레이저에 의한 방법은 초음파보다 분해능이 높아서 해저지형을 더욱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다음 중 GPS의 구성이 아닌 것은?

  1. 우주부분
  2. 관제부분
  3. 이용자부분
  4. 계산부분
(정답률: 알수없음)
  • GPS의 구성 요소는 우주부분, 관제부분, 이용자부분으로 구성되며, 이 중에서 계산부분은 포함되지 않습니다. 계산부분은 이용자부분 내부에 위치하며, 수신된 위성 신호를 처리하여 위치 정보를 계산하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다음 중 일반적으로 수심 약 200m 까지의 저질에 주로 포함되는 것이 아닌 것은?

  1. 점토
  2. 모래
  3. 자갈
  4. 규조연니
(정답률: 알수없음)
  • 규조연니는 바위의 일종으로, 수심 약 200m 까지의 저질에 주로 포함되지 않습니다. 점토, 모래, 자갈은 각각 흙, 작은 돌, 큰 돌 등으로 수심 약 200m 까지의 저질에 주로 포함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해도 중 바다의 기본도는 3종류의 축척을 가진다. 다음 중 관계없는 축척은 어느 것인가?

  1. 1 : 200,000
  2. 1 : 50,000
  3. 1 : 100,000
  4. 1 : 10,000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1 : 100,000"이다. 이유는 다른 세 축척은 모두 10의 배수이기 때문에 서로 관계가 있다. 예를 들어, 1:50,000의 지도는 1:10,000의 지도보다 작은 영역을 다루지만, 더 자세한 정보를 제공한다. 그러나 1:100,000은 다른 축척과 관계가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과목: 재료공학

81. 해양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경우에 콘크리트를 배합설계할 때 내구성으로 부터 물· 시멘트비(W/C)를 결정하는 경우 얼마를 표준으로 하는가? (단, 조석간만의 작용을 받거나 해수로 씻기워지기 쉽고 동결 융해가 자주반복되는 지역에 위치하는, 두께 20cm이하의 얇은 구조물이다.)

  1. 45% 이하
  2. 45% 이상
  3. 55% 이하
  4. 55% 이상
(정답률: 알수없음)
  • 해양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은 해수로 씻기워지기 쉽고 동결 융해가 자주 반복되는 환경에서 사용되므로 내구성이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콘크리트의 강도를 높이기 위해 물·시멘트비(W/C)를 낮추는 것이 일반적이다. 일반적으로 해양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경우 W/C 비율은 45% 이하로 결정된다. 이는 콘크리트의 강도를 높이기 위해 물의 양을 최소화하고 시멘트의 양을 최대화하기 위함이다. 또한, 조석간만의 작용을 받거나 두께가 얇은 구조물의 경우에도 W/C 비율을 낮추는 것이 좋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지름 10cm, 길이 20cm인 시편에 30 ton의 압축력이 작용하면 이 시편은 얼마나 줄어드는가? (단, 시편의 탄성계수 E=2.1× 106kg/cm2이다.)

  1. 0.0465 mm
  2. 0.0364 mm
  3. 0.0314 mm
  4. 0.0182 mm
(정답률: 알수없음)
  • 압축력 F가 작용하면 시편의 길이 변화량 ΔL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ΔL = F * L / (E * A)

    여기서 L은 시편의 원래 길이, A는 시편의 단면적이다. 시편의 단면적은 반지름이 5cm인 원의 넓이를 구하면 된다.

    A = π * r^2 = 3.14 * 5^2 = 78.5 cm^2

    따라서 ΔL은 다음과 같다.

    ΔL = 30 * 20 / (2.1 * 10^6 * 78.5) = 0.000364 cm = 0.0364 mm

    따라서 정답은 "0.0364 m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다음 그림과 같은 단면재료에 1,500kg/cm2의 인장응력과 900kg/cm2의 압축응력이 서로 직각으로 작용할 때 인장응력이 작용하는 면과 30°의 각도를 이루는 경사면에 연직한 응력 σn을 구하면 몇 kg/cm2이 되는가?

  1. σ n=700kg/cm2
  2. σ n=600kg/cm2
  3. σ n=900kg/cm2
  4. σ n=1,200kg/cm2
(정답률: 알수없음)
  • 주어진 문제에서 인장응력과 압축응력이 직각으로 작용하므로, 최대전단응력은 0이 된다. 따라서, 최대주응력과 최소주응력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최대주응력 : σmax = (σt + σc)/2 + [(σt - σc)/2]^2 + τ^2)^0.5
    최소주응력 : σmin = (σt + σc)/2 - [(σt - σc)/2]^2 + τ^2)^0.5

    여기서, σt는 인장응력, σc는 압축응력, τ는 전단응력이다.

    주어진 문제에서, σt = 1,500kg/cm^2, σc = 900kg/cm^2, τ = 0이므로,

    최대주응력 : σmax = (1,500 + 900)/2 + [(1,500 - 900)/2]^2 + 0^2)^0.5 = 1,200kg/cm^2
    최소주응력 : σmin = (1,500 + 900)/2 - [(1,500 - 900)/2]^2 + 0^2)^0.5 = 600kg/cm^2

    따라서, 인장응력이 작용하는 면과 30°의 각도를 이루는 경사면에 연직한 응력 σn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σn = (σmax + σmin)/2 + [(σmax - σmin)/2]cos2θ + τsin2θ
    = (1,200 + 600)/2 + [(1,200 - 600)/2]cos60° + 0sin120°
    = 900kg/cm^2

    따라서, 정답은 "σ n=900kg/cm^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다음 곡선은 연강의 인장시험으로 얻은 응력-변형 곡선이다. C점의 재료의 강도를 무엇이라고 하는가?

  1. 파단강도
  2. 항복강도
  3. 인장강도
  4. 압축강도
(정답률: 알수없음)
  • C점에서의 최대 응력값을 인장강도라고 한다. 이는 재료가 인장하면서 얼마나 많은 응력을 견딜 수 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따라서 정답은 "인장강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콘크리트의 탄성계수를 결정하는 가장 밀접한 요인은?

  1. 단위 시멘트량
  2. 물· 시멘트비(W/C)
  3. 잔골재율(S/a)
  4. 콘크리트 28일 압축강도
(정답률: 알수없음)
  • 콘크리트의 탄성계수는 콘크리트의 강도와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따라서 콘크리트의 강도 중에서도 가장 대표적인 지표인 28일 압축강도가 탄성계수를 결정하는 가장 밀접한 요인입니다. 즉, 콘크리트의 28일 압축강도가 높을수록 탄성계수가 높아지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응력 상태가 반복되는 경우 정적하중 하에서의 최후 강도보다 낮은 응력에서 그 재료가 파괴가 일어난다. 이러한 파괴를 무엇이라 하는가?

  1. 연성파괴
  2. 취성파괴
  3. 피로파괴
  4. 전단파괴
(정답률: 알수없음)
  • 정적하중 하에서의 최후 강도보다 낮은 응력에서 반복되는 응력 상태로 인해 재료 내부의 결함이 진행되어 파괴가 일어나는 것을 피로파괴라고 한다. 이는 재료의 내구성을 감소시키는 중요한 요인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그림과 같은 직4각형 단면에서 x-x축에 대한 단면 2차 모멘트는 어떻게 표현할 수 있는가?

  1. (13/12)bh3
  2. bh3/3
  3. (15/12)bh3
  4. (7/12)bh3
(정답률: 알수없음)
  • 직사각형 단면에서 x-x축에 대한 단면 2차 모멘트는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Ixx = bh3/12 (직사각형의 중심축이 x축과 y축에 대해 대칭일 때)

    하지만 이 직사각형은 x축에 대해 대칭이 아니므로, 다음과 같은 공식을 사용하여 계산해야 한다.

    Ixx = Ixx1 + Ad12

    여기서 Ixx1은 중심축이 x축에 대해 대칭인 부분의 단면 2차 모멘트이고, A는 직사각형의 면적, d1은 중심축에서 x축까지의 거리이다.

    직사각형의 중심축에서 x축까지의 거리는 h/2이므로,

    d1 = h/2

    A = bh

    Ixx1 = bh3/12

    따라서,

    Ixx = bh3/12 + bh(h/2)2

    = bh3/12 + bh3/4

    = (1/12 + 1/4)bh3

    = (1/3)bh3

    = (13/12)bh3

    따라서 정답은 "(13/12)bh3"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다음 중에서 해양콘크리트 구조물에 사용되는 재료가 필요로 하는 가장 중요한 성질은?

  1. 내화성
  2. 강도(압축, 인장, 전단등)
  3. 시공성
  4. 내구성
(정답률: 알수없음)
  • 해양콘크리트 구조물은 바다와 같은 극한 환경에서 오랜 시간 동안 사용되어야 하므로 내구성이 가장 중요합니다. 내구성이 높을수록 구조물이 오랜 기간 동안 유지되며, 유지보수 및 교체 비용을 줄일 수 있습니다. 따라서 해양콘크리트 구조물에 사용되는 재료는 내구성이 높은 것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다음 금속재료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열과 전기의 전도율이 비교적 작으며 독특한 광택을 가진다.
  2. 비중이 크며 다른 금속과 용해되어 합금되는 성질을 가진다.
  3. 금속재료란 금속과 합금 등을 말하며 대부분 상온에서 고체의 결정을 가진다.
  4. 일반적으로 강도, 탄성계수, 인성, 연성 등이 크며 가공하기 쉽다.
(정답률: 알수없음)
  • "열과 전기의 전도율이 비교적 작으며 독특한 광택을 가진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이유는 이러한 특성은 오히려 금속의 특징 중 하나이며, 금속의 전기 및 열 전도성은 높은 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콘크리트를 반죽할 때 사용하는 물에 대한 다음 설명 중 틀린 것은?

  1. 물은 특별한 맛, 냄새, 빛깔, 탁도 등이 없는 깨끗한 것이어야 한다.
  2. 물은 기름, 산, 유기물 등의 유해량을 함유해서는 안된다.
  3. 해수를 사용하면 응결과 초기강도가 약간 많아지나 장기적으로는 오히려 작아진다.
  4. 해상에서 콘크리트를 시공할 경우 해수를 사용해도 철근 및 PS 콘크리이트 등에서는 관계없다.
(정답률: 알수없음)
  • 해상에서 콘크리트를 시공할 경우 해수를 사용해도 철근 및 PS 콘크리이트 등에서는 관계없다는 설명이 틀린 것입니다. 해수는 염분이 함유되어 있기 때문에 철근과 같은 금속재질에 부식을 일으키고, PS 콘크리트와 같은 일부 재질에는 염분이 침출되어 내구성이 감소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해상에서 콘크리트를 시공할 경우에도 깨끗한 물을 사용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탄성계수 E, 포와송비 ν 및 진단 탄성계수 G의 관계식을 올바르게 나타낸 것은?

  1. E=G(1+ν )
  2. E=G(1+2ν )
  3. E=2G(1+ν )
  4. E=2G(1+2ν )
(정답률: 알수없음)
  • 탄성계수 E는 응력과 변형률의 비율을 나타내는데, 이는 포와송비 ν와 진단 탄성계수 G에 의해 결정된다. 포와송비 ν는 재료의 압축성과 인장성을 나타내는 지표이며, 진단 탄성계수 G는 재료의 전단에 대한 탄성을 나타내는 지표이다.

    따라서, E와 G는 비례하며, ν가 작을수록 E는 커진다. 또한, ν가 작을수록 G는 커지는데, 이는 전단에 대한 탄성이 높아지기 때문이다. 이를 수식으로 나타내면 E=2G(1+ν)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E=2G(1+ν)"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다음 중 해양구조물의 피로강도에 미치는 영향인자가 아닌 것은?

  1. Notch의 효과
  2. 치수의 효과
  3. 부식 및 온도의 효과
  4. 경화효과
(정답률: 알수없음)
  • 해양구조물의 피로강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다양하지만, "경화효과"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경화효과란, 재료가 시간이 지나면서 더 단단해지는 현상을 말하는데, 이는 오히려 재료의 강도를 향상시키는 효과를 가진다. 따라서, 해양구조물의 피로강도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콘크리트속에 묻힌 철근의 부식을 방지하는 방법 중 가장 옳은 것은?

  1. 염화칼슘을 혼화제로 사용한다.
  2. 다공질의 자갈 또는 부순돌을 많이 사용한다.
  3. 적당한 두께의 콘크리트 피부두께를 한다.
  4. 된 반죽 콘크리트를 사용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적당한 두께의 콘크리트 피부두께를 한다는 것은 철근이 노출되지 않도록 콘크리트를 충분히 두껍게 쌓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렇게 하면 철근이 외부 공기와 접촉하지 않아 부식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다른 보기들은 부식을 방지하는 데 도움이 되지만,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철근을 완전히 덮어주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재료에 지속하중이 장시간에 걸쳐 작용할 때 시간의 경과와 함께 변형이 증가하는 현상을 무엇이라 하는가?

  1. 크리프
  2. 항복
  3. 피로
  4. 탄성
(정답률: 알수없음)
  • 크리프는 재료에 지속하중이 작용할 때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변형이 증가하는 현상을 말한다. 이는 재료 내부의 분자 구조가 변형되어 발생하며, 이는 항복이나 피로와는 다른 현상이다. 항복은 재료가 일정한 변형을 유지하는 상태를 말하며, 피로는 반복적인 변형으로 인해 재료 내부의 결함이 발생하는 현상을 말한다. 탄성은 재료가 변형된 후에도 처음 상태로 돌아올 수 있는 능력을 말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각종 금속의 부식을 방지하기 위해 페인트로 도포할 때의 필요한 성질을 설명한 것 중 잘못된 것은?

  1. 습기나 공기를 통과시키면 안된다.
  2. 내구성이 커야 한다.
  3. 탄력성이 없어야 한다.
  4. 마찰이나 충격에 대한 저항성을 가져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탄력성이 없어야 한다."는 잘못된 설명이다. 페인트가 부식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부식을 일으키는 환경에 따라 다양한 성질이 필요하다. 그 중에서도 페인트가 부착된 표면이 변형되는 경우가 많은데, 이때 탄력성이 없으면 페인트가 쉽게 깨지거나 벗겨질 수 있다. 따라서 페인트는 일정한 탄력성을 유지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해수의 작용을 받는 콘크리트의 내구성에 관한 설명 중 잘못된 것은?

  1. 해수의 화학적 침식에 저항하려면 중용열 시멘트나 혼합시멘트를 사용하거나 수밀성이 큰 AE 콘크리트로 만들면 좋다.
  2. 해수 중의 콘크리트는 동결, 융해의 영향을 받고 파랑 등에 의해 파괴되므로 경량 콘크리트로 만들면 좋다.
  3. 해수 중의 콘크리트는 강도가 크고 치밀해야하며 철근 콘크리트에서는 철근을 충분히 보호할 수 있는 좋은 품질의 콘크리트이어야 한다.
  4. 콘크리트속의 석회, 알루미나, 석고 등이 해수중의 황산마그네시아 등과 반응하여 결정수를 갖는 복염을 만들므로 콘크리트는 침식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해수 중의 콘크리트를 경량 콘크리트로 만드는 것이 좋다는 설명이 잘못되었다. 해수 중의 콘크리트는 경량 콘크리트로 만들 경우 강도가 낮아지고 내구성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해수 중의 콘크리트는 강도가 크고 치밀하며 철근을 충분히 보호할 수 있는 좋은 품질의 콘크리트이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다음 재료의 경도측정 방법 중 압입경도 측정방법이 아닌 것은?

  1. 스크래치 경도(Scratch hardness)
  2. 브리넬 경도(Brinell hardness)
  3. 누우프 경도(Knoop hardness)
  4. 록크웰 경도(Rockwell hardness)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스크래치 경도(Scratch hardness)"입니다. 스크래치 경도는 재료의 경도를 측정하기 위해 물체를 긁어서 생기는 흔적의 크기나 깊이를 측정하는 방법이지만, 압입경도 측정 방법은 재료의 경도를 측정하기 위해 일정한 압력을 가하여 생기는 압입 깊이를 측정하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스크래치 경도는 압입경도 측정 방법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금속재료(철강재료)의 인장시험에서 구할 수 없는 것은?

  1. 인장강도
  2. 전단강도
  3. 연신율
  4. 단면수축율
(정답률: 알수없음)
  • 인장시험은 금속재료의 인장강도, 연신율, 단면수축율 등을 측정할 수 있지만, 전단강도는 측정할 수 없습니다. 전단강도는 전단응력과 전단변형률을 이용하여 측정하는 시험으로, 인장시험과는 별도의 시험으로 진행됩니다. 따라서, 금속재료의 인장시험에서는 전단강도를 구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다음 수중 불분리성 콘크리트에 관한 설명 중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충전성을 높이고 유동성을 좋게하기 위해 고유동화제의 사용이 필요하다.
  2. 재료의 배합시 건 비빔이 필요하다.
  3. 일반 콘크리트에 비해 응결이 빨리 진행되므로 적정량의 응결 지연제가 필요하다.
  4. 강제식 믹서의 경우 비비는 시간은 90∼180초 정도가 적절하다.
(정답률: 알수없음)
  • 강제식 믹서의 경우 비비는 시간은 90∼180초 정도가 적절하다." 인 이유를 최대한 간단명료하게 설명해줘.

    - 강제식 믹서는 빠른 시간 내에 콘크리트를 혼합하기 때문에, 비비는 시간이 일반적인 믹서보다 짧아야 합니다. 90∼180초는 이러한 강제식 믹서의 특성을 고려하여 적절한 시간으로 판단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다음 콘크리트의 인장강도, 휨강도에 대한 설명 중 잘못된 것은?

  1. 콘크리트의 인장강도는 일반적으로 압축강도의 1/10~1/13 정도로 철근콘크리트 설계에서는 무시한다.
  2. 인장시험용 공시체는 압축시험용 공시체와 같고 인장강도의 크기는 ft = P/π dℓ 로 구한다. (d는 공시체지름, ℓ 은 높이)
  3. 인장강도는 콘크리트를 건조시키면 습윤한 콘크리트 보다 저하된다.
  4. 콘크리트 휨강도는 압축강도의 1/5∼1/8정도이고 휨 강도의 크기는 fb= M/Z에서 계산한다. (Z는 공시체의 단면계수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잘못된 설명은 없다. 모든 설명이 옳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