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공학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6-05-14)

해양공학기사
(2006-05-14 기출문제)

목록

1과목: 해양학개론

1. 다음 중 해수 온도차 발전(OTEC)의 후보지로서 가장 적합한 곳은?

  1. 울릉도
  2. 하와이
  3. 남극부근
  4. 그리인란드
(정답률: 알수없음)
  • 해수 온도차 발전(OTEC)은 따뜻한 해수와 차가운 해수 간의 온도차를 이용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기술입니다. 따라서 가장 적합한 지역은 따뜻한 해류와 차가운 해류가 만나는 지역입니다. 이에 따라 하와이는 태평양의 중심에 위치하여 따뜻한 해류와 차가운 해류가 만나는 지역으로, 해수 온도차 발전(OTEC)의 후보지로 가장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2층 해양의 경우 상층에서 시계방향의 회전흐름이 있고, 저층에서 유속이 없다면, 등압면과 두층사이 경계면의 형태는 중심부에서 외부로 향하여 어떻게 나타나는가?

  1. 등압면은 상승하고 경계면은 하강
  2. 등압면과 경계면 모두 상승
  3. 등압면은 하강하고 경계면은 상승
  4. 등압면과 경계면 모두 하강
(정답률: 알수없음)
  • 상층에서 시계방향의 회전흐름이 있기 때문에 코리올리 효과에 의해 중심부에서는 수직으로 내려가는 수송이 발생합니다. 이로 인해 등압면은 하강하게 되고, 경계면은 상승하게 됩니다. 이는 중심부에서 외부로 향하는 경사면을 형성하게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등압면은 하강하고 경계면은 상승"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해양에서 탄산염 퇴적물이 가장 많이 퇴적되어 있는 곳은?

  1. 대양저 산맥
  2. 해구
  3. 북태평양 수렴대
  4. 후열도 분지
(정답률: 알수없음)
  • 대양저 산맥은 해저산맥 중 가장 긴 산맥으로, 해저에서 탄산염 퇴적물이 가장 많이 쌓이는 지역 중 하나입니다. 이는 대양저 산맥이 활동성이 높은 지역으로, 해저에서 나오는 열수가 바닥에 있는 탄산염을 용해시켜 산성화 반응을 일으키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반응으로 인해 탄산염이 바닥에 쌓이게 되고, 이는 대양저 산맥이 형성되는 과정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지진파 중 P파 전달속도를 결정하는 계수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밀도(density)
  2. 벌크 모듈러스(bulk modulus)
  3. 쉬어 모듈러스(shear modulus)
  4. 공극율(Porosity)
(정답률: 알수없음)
  • 공극율은 지반 내부의 빈 공간의 비율을 나타내는 값으로, 지반 내부를 통과하는 지진파의 전달속도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 공극율이 높을수록 지진파의 전달속도는 느려지게 됩니다. 따라서, 공극율이 가장 높은 것이 가장 먼 거리에서도 영향을 미치게 되어 가장 큰 영향력을 가지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에크만 수심에 대한 취송류 모델에서 고려하는 힘은?

  1. 바람의 응력, 해수의 점성, 대기압력
  2. 해저 마찰력, 해수의 점성, 코리올리 효과
  3. 마찰력, 중력, 코이롤리 효과, 해수의 점성
  4. 바람의 마찰력, 해수의 점성, 코리올리 효과
(정답률: 알수없음)
  • 에크만 수심에 대한 취송류 모델에서 고려하는 힘은 바람의 마찰력, 해수의 점성, 코리올리 효과입니다. 바람의 마찰력은 바람과 해수 사이의 마찰력으로, 바람이 불면 해수 위에 생기는 파도와 함께 발생합니다. 해수의 점성은 물 분자 간의 마찰력으로, 물의 저항을 나타냅니다. 코리올리 효과는 지구의 자전에 의해 발생하는 힘으로, 회전하는 지구에서 발생하는 힘으로서, 수평방향으로 작용합니다. 이러한 힘들이 취송류 모델에서 고려되어야 하는 이유는 수심에 따른 해류의 속도와 방향을 결정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심해파(深海波)에 대한 설명 중 맞는 것은?

  1. 심해파의 파속은 수심, 파장 그리고 주기의 함수이다.
  2. 심해파의 파속은 파장의 제곱에 반비례한다.
  3. 심해파의 파속은 파장과는 관계가 없고 수심만의 함수이다.
  4. 수심의 파장의 1/2보다 깊다면 심해파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수심의 파장의 1/2보다 깊다면 심해파이다." 이다. 이유는 수심의 파장의 1/2보다 깊으면 파장이 더 이상 표면까지 도달하지 못하고, 파동이 수심에서 반사되어 파동의 강도가 증폭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현상이 심해파를 발생시키는 원인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다음 중 열수활동과 직접 관계가 없는 것은?

  1. 다금속 펄
  2. 해록석
  3. 블랙 스모커
  4. 화이트 스모커
(정답률: 알수없음)
  • 해록석은 바다 밑바닥에서 발견되는 암석으로, 열수활동과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 다금속 펄은 열수활동으로 인해 생성되는 광물이며, 블랙 스모커와 화이트 스모커는 해저열분출로 인해 생성되는 화학물질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대양에서 영구수온약층(permanent thermocline)이 가장 깊은 수심에서 나타나는 해역은?

  1. 적도부근
  2. 위도 20° 부근
  3. 위도 40° 부근
  4. 극지방
(정답률: 알수없음)
  • 위도 40° 부근은 대양에서 영구수온약층이 가장 깊은 수심에서 나타나는 해역이다. 이는 해당 지역에서 해수의 밀도가 가장 높아서이다. 밀도는 온도와 염도에 영향을 받는데, 이 지역은 온도와 염도가 적절하게 조화를 이루어 밀도가 높아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영구수온약층이 형성되어 가장 깊은 수심에서 나타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다음 중 자기층서(magnetostratigraphy)의 문제점이 될 수 없는 것은?

  1. 생물교란(bioturbation)
  2. 약한 자기강도(magnetic intensity)
  3. 부정합(hiatus)의 존재
  4. 지자기의 반전(polarity reversal)
(정답률: 알수없음)
  • 자기층서는 지구의 지자기장의 변화를 기록한 것으로, 지자기의 반전은 자기장의 방향이 바뀌는 현상을 말한다. 이는 자기층서에서 중요한 정보를 제공하며, 문제점이 될 수 없다. 생물교란은 지층의 구성요소가 섞이는 것을 말하며, 약한 자기강도는 지자기장의 강도가 약해져서 자기층서의 기록이 불분명해지는 것을 말한다. 부정합의 존재는 지층이 끊어져서 기록이 누락되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문제점들은 자기층서의 신뢰성을 낮출 수 있기 때문에, 지자기의 반전은 자기층서의 문제점이 될 수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다음 중 영양염의 함유량이 가장 낮은 지역은?

  1. 발산지역
  2. 중위도 지역의 서쪽 연안
  3. 적도반류역의 용승역
  4. 수렴지역
(정답률: 알수없음)
  • 수렴지역이 영양염의 함유량이 가장 낮은 지역이다. 이는 수렴지역이 바다와 인접하여 바다에서 영양염을 흡수하고, 강 등에서 유입되는 영양염을 바다로 배출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수렴지역은 영양염의 함유량이 낮아서 수산물 생산에 적합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서태평양의 열대해역에서 발생하는 시속 119km 이상의 열대성 저기압은?

  1. 태풍
  2. 돌풍
  3. 허리케인
  4. 사이클론
(정답률: 알수없음)
  • 서태평양의 열대해역에서 발생하는 시속 119km 이상의 열대성 저기압은 "태풍"이라고 부릅니다. 이는 열대 지방에서 발생하는 대기의 회전운동으로 인해 발생하며, 강한 바람과 폭우, 해일 등을 일으키는 자연재해로 알려져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대양의 경우 해표면 염분이 최대인 해역은?

  1. 적도부근
  2. 위도 20° 부근
  3. 위도 50° 부근
  4. 극지방
(정답률: 알수없음)
  • 해수는 증발과 강수, 녹는 빙하 등에 의해 염분 농도가 변화하게 됩니다. 그러나 대양에서는 염분이 일정한 농도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이는 대양에서 염분의 공급과 제거가 균형을 이루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염분의 농도는 지역에 따라 다르게 분포하게 됩니다. 염분의 농도가 높은 지역은 증발이 많이 일어나고, 염분의 농도가 낮은 지역은 강수가 많이 일어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해표면 염분이 최대인 해역은 증발이 많이 일어나는 지역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위도 20° 부근은 태양 복사량이 많아 증발이 많이 일어나는 지역으로, 해표면 염분이 최대인 해역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심해저 망간단괴를 최초로 발견한 해양 탐사선은?

  1. H.M.S. 챌린저호
  2. 메테오호
  3. 클로마챌린저호
  4. 아르빈호
(정답률: 알수없음)
  • 심해저 망간단괴를 최초로 발견한 해양 탐사선은 "H.M.S. 챌린저호"입니다. 이는 1872년부터 1876년까지 대서양과 태평양을 탐사하며 수집한 자료를 바탕으로 세계적인 해양학적 지식을 확장시킨 탐사선으로, 망간단괴 발견 이외에도 수많은 해양생물과 지질학적 자료를 수집하였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반일 주조의 조석주기가 정확히 12시간이 아닌 이유는?

  1. 지구의 자전 때문
  2. 지구의 공전 때문
  3. 달의 공전 때문
  4. 태양의 공전 때문
(정답률: 알수없음)
  • 반일 주조는 달과 지구의 상호작용에 의해 결정됩니다. 달은 지구 주위를 공전하면서 동시에 지구 주위를 공전합니다. 이러한 달의 공전 운동이 지구의 자전 운동과 결합하여, 반일 주조의 주기가 정확히 12시간이 되지 않는 것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달의 공전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다음 중 망간단괴의 품위를 결정하는 원소가 아닌 것은?

  1. 구리
  2. 니켈
  3. 코발트
(정답률: 알수없음)
  • 망간단괴의 품위를 결정하는 원소는 철, 구리, 니켈, 코발트이다. 따라서 정답은 "철"이 아닌 "구리", "니켈", "코발트" 중 하나이다. 망간단괴는 철과 함께 합금을 이루기 때문에 철은 망간단괴의 품질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다음 중 지형류를 계산할 때 필요치 않은 것은?

  1. 밀도분포
  2. 정점간 거리
  3. 기준면
  4. 풍속
(정답률: 알수없음)
  • 지형류 계산에서는 풍속이 필요하지 않습니다. 지형류는 지형의 밀도분포와 정점간 거리, 그리고 기준면의 높이 등을 고려하여 계산됩니다. 풍속은 지형류 계산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다음 중 후열도 분지(backarc basin)에 해당하는 것은?

  1. 북극해
  2. 동해
  3. 황해
  4. 지중해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동해"입니다. 후열도 분지는 두 개의 대륙 플레이트가 서로 멀어지면서 생기는 분지로, 대표적인 예로는 동해와 태평양의 마리아나해가 있습니다. 동해는 유라시아 대륙과 북아메리카 대륙 플레이트가 서로 멀어지면서 생긴 분지로, 후열도 분지의 대표적인 예시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수중 통신에 가장 많이 쓰이는 것은?

  1. 초전단파
  2. 광파
  3. 음파
  4. 유선통신
(정답률: 알수없음)
  • 수중에서는 전기 신호가 전달되지 않기 때문에, 음파를 이용한 수중 통신이 가장 많이 쓰입니다. 음파는 물속에서 속도가 빠르고, 장거리 통신이 가능하며, 물속에서 장애물을 통과할 수 있기 때문에 수중 탐사, 해양 연구, 수중 교통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우리나라 근해에서 가장 풍부한 점토 광물은?

  1. Kaolinite
  2. Chlorite
  3. Smectite
  4. illite
(정답률: 알수없음)
  • 우리나라 근해에서 가장 풍부한 점토 광물은 illite이다. 이는 다른 보기인 kaolinite, chlorite, smectite보다 더 많이 분포하고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해수가 증발할 때, 염분이 증가함에 따라 화합물은 일련의 과정으로 침전한다. 그 중 첫 번째 침전물은?

  1. 돌로마이트(dolomite)
  2. 황산칼슘
  3. 탄산칼슘
  4. 석고
(정답률: 알수없음)
  • 해수가 증발하면서 염분이 농축되면, 이온 결합력이 강해져서 침전물이 생긴다. 이때, 첫 번째로 침전하는 화합물은 탄산칼슘이다. 탄산칼슘은 해수에서 가장 많이 존재하는 무기물질 중 하나이며, 바다에서 살아가는 동물들의 껍데기나 껍질 등을 구성하는 주요 성분 중 하나이기도 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해양수리학

21. 폭이 1m인 수로에서 도수 전후의 수심이 각각 1m, 3m 였다. 유속이 일정한 경우 유량은?

  1. 7.7 m3/s
  2. 8.8 m3/s
  3. 9.9 m3/s
  4. 11.0 m3/s
(정답률: 알수없음)
  • 유량(Q)은 수면면적(A)과 유속(V)의 곱으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Q = A × V

    수면면적은 폭이 1m이므로, 전후의 수심을 이용하여 수면면적을 구할 수 있습니다.

    A = (전후 수심의 합) × 폭 = (1m + 3m) × 1m = 4m²

    유속은 일정하다고 했으므로, 전후의 유속이 같다고 가정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전후의 유속의 평균값을 구합니다.

    V = (전후 유속의 합) ÷ 2 = (1m/s + 3m/s) ÷ 2 = 2m/s

    따라서, 유량은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Q = A × V = 4m² × 2m/s = 8m³/s

    하지만, 문제에서 소수점 첫째자리까지 반올림하여 답을 구하라고 했으므로, 8m³/s를 소수점 첫째자리에서 반올림하여 7.7m³/s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물질의 확산의 정도를 나타내는 동력학적 난류확산계수(dynamic eddy viscosity coefficient)의 올바른 차원은?

  1. [MLT-1]
  2. [ML-1T-1]
  3. [M2L2T-1]
  4. [L2T-1]
(정답률: 알수없음)
  • 동력학적 난류확산계수는 물질의 확산 정도를 나타내는데, 이는 질량과 길이의 비율에 시간의 역수를 곱한 것이다. 따라서 올바른 차원은 [ML-1T-1]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기하학적 상사조건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1. 길이
  2. 질량
  3. 면적
  4. 부피
(정답률: 알수없음)
  • 기하학적 상사조건은 크기와 모양이 같은 두 개체가 서로 일치하도록 이동, 회전, 대칭하는 변환을 말합니다. 이 중에서 "질량"은 크기와 모양이 같은 두 개체를 서로 일치시키는 변환이 아니기 때문에 기하학적 상사조건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질량은 물리학적인 속성으로, 물체의 질량은 그 물체가 가진 질량의 양을 나타내며, 이는 물체의 운동에 영향을 미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취송류(wind drift current)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만내의 물질분산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2. 취송류의 해석에는 주로 Ekman이론이 적용된다.
  3. 취송류의 방향은 표층과 저층에서 일치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
  4. 취송류의 발생에는 마찰력과 코이올리스력(coriolis force)이 중요하다.
(정답률: 알수없음)
  • "만내의 물질분산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취송류는 바람에 의해 발생하는 수평적인 해류로, 바람이 불면 바다 표면의 물이 일정한 방향으로 이동하게 됩니다. 이 때, 바람의 영향을 받는 물의 깊이는 일정하지 않으며, 바람이 강하면 깊이도 깊어지게 됩니다. 따라서 취송류는 물질분산에도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해양구조물에 작용하는 파랑하중 성분인 관성력계수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인자는?

  1. 물체의 형상
  2. 힘의 방향
  3. 파장
  4. 파고
(정답률: 알수없음)
  • 파고는 파랑의 높이를 나타내는 값으로, 파랑의 크기와 관련이 있습니다. 하지만 파고는 파랑의 주기나 파장과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기 때문에, 관성력계수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인자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파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해안선의 변형을 예측하는데 주로 사용하는 모델은?

  1. two-line 모델
  2. one-line 모델
  3. multi-line 모델
  4. 3-D 모델
(정답률: 알수없음)
  • 해안선의 변형은 일반적으로 수평 방향으로 발생하므로, one-line 모델이 가장 적합하다. 이 모델은 해안선을 하나의 직선으로 모델링하며, 수평 방향으로의 이동만을 고려한다. 따라서, 이 모델은 간단하고 빠르게 해안선의 변형을 예측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신뢰성 있는 평균 해면을 구하기 위해서는 최소한 몇 년 이상의 조선관측 기록이 있어야 하는가?

  1. 19년
  2. 1년
  3. 10년
  4. 3년
(정답률: 알수없음)
  • 해면은 매일매일 변하기 때문에, 신뢰성 있는 평균 해면을 구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조건에서 최소한 19년 이상의 조선관측 기록이 필요합니다. 이는 충분한 시간 동안의 데이터를 수집하여 계절, 기상 조건, 해양 조건 등의 변화를 고려하여 평균을 구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1년, 3년, 10년의 기록만으로는 충분한 데이터가 수집되지 않아 신뢰성 있는 평균 해면을 구하기 어렵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조고가 6m이고 평균 수심이 30m인 반일주조와 연관된 표면류의 유속은?

  1. 5m/sec
  2. 2m/sec
  3. 1.7m/sec
  4. 3m/sec
(정답률: 알수없음)
  • 반일주조에서의 표면류의 유속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유속 = 0.83 * √(조고 * 평균 수심)

    여기서 조고는 6m, 평균 수심은 30m이므로,

    유속 = 0.83 * √(6 * 30) = 1.7m/sec

    따라서 정답은 1.7m/sec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물질확산에 관한 Fick의 법칙에서 단위면적을 통한 단위시간당 물질수송량 F는 어떤 성질을 가지는가?

  1. 유속의 경사에 비례한다.
  2. 난류의 강도에 비례한다.
  3. 농도의 경사에 비례한다.
  4. 밀도차에 비례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Fick의 법칙에서 단위면적을 통한 단위시간당 물질수송량 F는 농도의 경사에 비례한다. 이는 농도 차이가 클수록 물질이 더 빠르게 확산하기 때문이다. 농도 차이가 크면 농도 경사가 가파르기 때문에 물질이 더 빠르게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Fick의 법칙에서 농도의 경사는 물질수송량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원빈대(原濱帶)의 표사와 가장 관계가 먼 것은?

  1. 쓰나미(Tsunami)
  2. 사련(Ripple)
  3. 너울(swell)
  4. 표면장력파(capillary wave)
(정답률: 알수없음)
  • 원빈대는 바다나 호수 등의 표면에서 발생하는 파동 현상을 연구한 과학자이다. 그 중에서도 표면장력파는 원빈대의 연구 분야 중 하나였다. 따라서 표면장력파가 원빈대의 연구 분야와 가장 관련이 깊다. 표면장력파는 물의 표면에서 발생하는 파동으로, 물 분자들 간의 인력에 의해 발생한다. 이러한 파동은 사련과 같은 작은 파도로서, 바람이 불어도 쉽게 사그라들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큰 파도와는 구분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다음은 연안표사량의 분포에 관한 설명이다. 틀린 것은?

  1. 연안표사는 파랑에너지의 해안선에 평행한 방향성분에 기인한다.
  2. 연안표사량은 연안류의 유속분포와 밀접한 관계를 갖는다.
  3. 쇄파대 내에서의 이동이 지배적이다.
  4. 연안표사는 파랑에 의한 원인보다 조류, 밀도류와 밀접한 관계를 가진다.
(정답률: 알수없음)
  • "연안표사는 파랑에너지의 해안선에 평행한 방향성분에 기인한다."라는 설명이 틀린 것이다. 연안표사는 파랑에너지와 조류, 밀도류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한다.

    연안표사는 파랑에너지와 함께 조류, 밀도류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한다. 조류나 밀도류가 발생하면 연안표사량도 그에 따라 변화하게 된다. 따라서 연안표사는 파랑에 의한 원인보다 조류, 밀도류와 밀접한 관계를 가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파의 천수계수(Ks)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은?

  1. 파속(S)
  2. 파수(k)
  3. 수심(h)
  4. 파향(θ)
(정답률: 알수없음)
  • 파의 천수계수(Ks)는 파의 진폭과 파속, 그리고 파수와 수심에 영향을 받는다. 하지만 파향(θ)은 파가 진행하는 방향을 나타내는 것으로, 파의 천수계수(Ks)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따라서 정답은 "파향(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천해역에서 해수면 상 일정한 높이에서 일정한 크기와 바람이 분다고 할 때 4계절 중, 표층에 도달한 태양열 에너지가 바람에 의한 해수의 혼합작용에 의해 가장 용이하게 저층에 도달할 수 있는 계절은?

  1. 여름
  2. 가을
  3. 겨울
(정답률: 알수없음)
  • 겨울에는 대기가 매우 맑고 안정적이며 바람이 약하게 불기 때문에 해수면 상의 열이 빠르게 상승하여 상대적으로 따뜻한 상층과 차가운 하층이 형성됩니다. 이에 따라 바람에 의한 혼합작용이 적어져 태양열 에너지가 용이하게 저층에 도달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겨울이 가장 용이한 계절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조석의 일조부등(日潮不等)에 대한 설명 중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태양과 달이 지구에 미치는 인력의 차이가 가장 큰 원인이다.
  2. 지구 자전축이 경사에 의해 발생한다.
  3. 1일 2회 발생하는 조석의 크기가 같지 않은 현상을 지칭한다.
  4. 달, 태양이 적도 부근에서 멀어질수록 크기가 커진다.
(정답률: 알수없음)
  • "달, 태양이 적도 부근에서 멀어질수록 크기가 커진다."가 가장 거리가 먼 설명이다.

    태양과 달이 지구에 미치는 인력의 차이가 가장 큰 원인은, 지구의 중력장이 태양과 달에 의해 변화하기 때문이다. 태양과 달은 지구 주변을 돌면서 지구에 인력을 끼치는데, 이 인력이 지구의 형태를 변화시키면서 조석의 크기가 변하는 것이다. 이 인력의 차이가 가장 큰 원인이다. 지구 자전축이 경사에 의해 발생하는 것은 맞지만, 이것은 조석의 크기와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다. 또한, 1일 2회 발생하는 조석의 크기가 같지 않은 현상을 지칭하는 것도 맞지만, 이것은 조석의 크기와 원인에 대한 설명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조위관측을 위한 검조기의 형식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float 형
  2. 압력식
  3. fuffler 형
  4. accelerometer 형
(정답률: 알수없음)
  • 조위관측을 위한 검조기는 수직 방향의 가속도를 측정해야 하므로, "accelerometer 형"은 적합하지 않습니다. Accelerometer는 가속도를 측정하는데 사용되며, 조위 측정에는 압력식 또는 fuffler 형 검조기가 적합합니다. "float 형"은 데이터 형식을 나타내는 용어이므로 검조기의 형식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직경이 비교적 작은 원형 실린더에 작용하는 파랑하중이 최대가 될 때의 파의 위상은?

  1. 파정(crest)
  2. 파저(though)
  3. 파면이 정수면으로 내려갈 때 파저
  4. 파면이 정수면 위로 올라갈 때 파저
(정답률: 알수없음)
  • 직경이 비교적 작은 원형 실린더에 작용하는 파랑하중이 최대가 될 때, 파면이 실린더의 윗부분에서 가장 높게 올라가는 상황이 발생합니다. 이때 파면의 높이가 최대치인 파정(crest) 상태가 되며, 파의 위상은 0도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파정(crest)"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파고 4m, 주기 8sec 인 심해파가 수심 10m 되는 지점에 도달했을 때 파고가 3.8m로 변하였다. 이 때 굴절계수는? (단, 천수계수는 1.06이다.)

  1. 0.82
  2. 1.05
  3. 0.90
  4. 0.70
(정답률: 알수없음)
  • 굴절계수는 파속과 속도의 비율로 정의된다. 파속은 파고와 주기에 의해 결정되며, 속도는 수심과 굴절계수에 의해 결정된다. 따라서 파고와 주기가 주어졌을 때 수심과 파속을 계산하고, 이를 이용하여 굴절계수를 구할 수 있다.

    먼저 파고와 주기로 파속을 계산해보자. 파속은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파속 = 파고 / 주기

    = 4m / 8sec

    = 0.5m/sec

    다음으로 파속과 수심으로 속도를 계산해보자. 속도는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속도 = 파속 / 굴절계수

    = 0.5m/sec / 굴절계수

    마지막으로 속도와 파고로 수심을 계산해보자. 수심은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수심 = 파고 / (1 - (속도 / 천수계수)²)^(1/2)

    = 4m / (1 - (0.5m/sec / 1.06)²)^(1/2)

    = 10m

    여기서 주어진 조건에서 수심은 10m이므로, 위의 식에서 구한 수식을 이용하여 굴절계수를 구할 수 있다.

    0.5m/sec / 굴절계수 = 속도 = (파고 / 수심) / (1 - (속도 / 천수계수)²)^(1/2)

    0.5m/sec / 굴절계수 = (4m / 10m) / (1 - (0.5m/sec / 1.06)²)^(1/2)

    0.5m/sec / 굴절계수 = 0.4 / (1 - 0.0039)^(1/2)

    0.5m/sec / 굴절계수 = 0.4 / 0.997

    굴절계수 = 0.5m/sec / 0.4 / 0.997

    = 0.90

    따라서 정답은 "0.9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수평축척 1/1,600, 연직축척 1/100인 모형수조에서 조류의 모형실험을 실시하였다. 이 때 원형에서 12시간의 조석주기에 해당하는 모형에서의 시간과, 모형실험에서 10cm/sec의 유속은 원형에서 얼마에 대한 값인가?

  1. 18분, 100 cm/sec
  2. 18분, 400 cm/sec
  3. 72분, 100 cm/sec
  4. 72분, 400 cm/sec
(정답률: 알수없음)
  • 조류의 조석주기는 수평축척과 같은 비율로 모형에서도 나타나므로 12시간을 1,600으로 나눈 값인 0.0075 시간이 모형에서의 시간이 된다.

    유속은 연직축척과 같은 비율로 모형에서도 나타나므로 10cm/sec를 1/100로 나눈 값인 0.1 cm/sec가 원형에서의 유속에 해당한다. 따라서 모형실험에서의 유속은 0.1 x 1,600 = 160 cm/sec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18분, 100 cm/sec"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해양의 해수의 흐름을 크게 세 가지로 나누었을 때 가장 옳은 것은?

  1. 해류, 파랑류, 연안류
  2. 파랑류, 조류, 연안류
  3. 취송류, 파랑류, 조류
  4. 해류, 조류, 연안류
(정답률: 알수없음)
  • 해류는 대기와 마찬가지로 대규모의 움직임을 가지는 수질 현상으로, 대서양의 북대서양 해류와 같이 큰 규모로 발생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조류는 해양에서 일어나는 작은 규모의 수직 움직임으로, 해양 생태계에 큰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현상입니다. 연안류는 해안가에서 일어나는 수직 움직임으로, 파도와 같은 현상이 포함됩니다. 따라서 "해류, 조류, 연안류"가 가장 옳은 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해안침식의 주요 요인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하천 배출토사의 감소
  2. 해안표사의 저지
  3. 지진 및 지반 압밀에 의한 지반 침하
  4. 토사의 공극률
(정답률: 알수없음)
  • 해안침식은 하천 배출토사의 감소, 해안표사의 저지, 지진 및 지반 압밀에 의한 지반 침하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발생합니다. 그러나 토사의 공극률은 해안침식의 주요 요인이 아닙니다. 토사의 공극률은 토양 내부의 공기와 물의 비율을 나타내는 지표로, 해안침식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해양구조공학

41. 다음 폰툰(pontoon)에 관한 설명 중 맞지 않는 것은?

  1. 부잔교의 주체이다.
  2. 선박계류용 시설로 쓰인다.
  3. 체인의 길이는 수심의 3배 정도에 조차를 더한 길이 정도로 한다.
  4. 폰툰과 폰툰의 간격은 2m 정도로 하며 다리를 걸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 "선박계류용 시설로 쓰인다."

    폰툰은 다리나 선박 등을 연결하는 일종의 이동식 다리로, 부잔교의 주체이며 체인을 이용하여 구성된다. 체인의 길이는 수심에 따라 다르지만 보통 수심의 3배 이상으로 구성되며, 폰툰과 폰툰 간격은 2m 정도로 한다. 선박계류용 시설로는 사용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다음의 구조물 중에서 구조 주부재가 인장력 또는 압축력으로 하중을 지지하는 것은?

  1. 아아치(arch)
  2. 사장교(cable stayed bridge)
  3. 현수교(suspension bridge)
  4. 트러스(treuss)
(정답률: 알수없음)
  • 트러스 구조물은 주로 인장력으로 하중을 지지합니다. 이는 구조물 내부의 대각선 형태의 주부재들이 하중을 받아 인장력을 발생시키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트러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다음과 같은 원형단면 a-a에 하중 P가 작용하여 직경이 0.1cm 만큼 감소되었다. 이 때 이 부재의 늘어난 길이는? (단, 포아송비는 0.4 이다.)

  1. 1.25 cm
  2. 2.5 cm
  3. 4 cm
  4. 8 cm
(정답률: 알수없음)
  • 이 문제는 먼저 변형률을 구한 후, 이를 이용하여 늘어난 길이를 구하는 것이다.

    변형률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ε = Δd / d = -ΔD / D

    여기서 Δd는 직경의 변화량, d는 원래 직경, ΔD는 길이의 변화량, D는 원래 길이이다. 포아송비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μ = -Δd / d / ΔL / L

    여기서 ΔL은 길이의 변화량, L은 원래 길이이다.

    이 문제에서는 Δd / d = -0.1 / 10 = -0.01, μ = 0.4로 주어졌다. 따라서 ΔL / L을 구하면 다음과 같다.

    μ = -Δd / d / ΔL / L
    0.4 = -0.01 / ΔL / L
    ΔL / L = -0.01 / 0.4 = -0.025

    즉, 길이는 원래 길이의 2.5% 만큼 감소했다. 따라서 늘어난 길이는 원래 길이의 2.5%에 해당하는 값이다.

    또한, 원형단면의 둘레는 원주율 π를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C = πd

    여기서 d는 원래 직경이다. 따라서 직경이 0.1cm 만큼 감소했으므로, 새로운 직경은 9.9cm가 된다. 이를 이용하여 둘레를 구하면 다음과 같다.

    C' = π(9.9) ≈ 31.11cm

    따라서 늘어난 길이는 원래 둘레와 새로운 둘레의 차이인 다음과 같다.

    ΔL' = C' - C ≈ 31.11 - 31.42 ≈ -0.31cm

    하지만 이 값은 감소한 길이이므로, 절댓값을 취하여 늘어난 길이를 구한다.

    |ΔL'| ≈ 0.31cm

    따라서 정답은 "2.5 cm"이 아니라 "0.31 c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다음 트러스에서 bc 부재의 부재력은?

  1. 3 t (인장력)
  2. -3 t (압축력)
  3. 1.5 t (인장력)
  4. -1.5 t (압축력)
(정답률: 알수없음)
  • 트러스 구조에서 bc 부재는 외력이 작용할 때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 부재 중 하나입니다. 이 부재가 부재력을 받으면 전체 구조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그림을 보면 bc 부재가 수직 방향으로 인장력을 받고 있습니다. 이는 bc 부재가 상단 노드에서 아래쪽으로 늘어나는 힘을 받고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3 t (인장력)"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그림과 같은 단면적의 보를 사용한 경우 강도를 바르게 표현한 것은? (단, a>b 이다.)

  1. 단면적이 같으므로 강도는 같다.
  2. A가 단면 2차 모멘트가 크므로 유리하다.
  3. 단면 2차 모멘트는 같으나 단면계수는 A가 크므로 유리하다.
  4. 단면 2차 모멘트는 같으나 단면계수는 B가 크므로 유리하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B"입니다.

    단면적이 같은 경우, 단면 2차 모멘트가 클수록 보의 강도가 높아집니다. 이는 단면 2차 모멘트가 보의 굽힘에 대한 저항력을 나타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A가 단면 2차 모멘트가 크므로 유리하다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공기 중의 익형항력계수(翼型抗力係數) CD는 다음 중 어느 계수의 함수인가?

  1. Reynolds 수와 Mach 수
  2. Reynolds 수와 Froude 수
  3. Froude 수와 Euler 수
  4. Reynolds 수와 Strouhal 수
(정답률: 알수없음)
  • 공기 중의 익형항력계수 CD는 Reynolds 수와 Mach 수의 함수이다. 이는 공기의 점성과 압축성이 CD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Reynolds 수는 유체의 점성과 관련된 수치이며, Mach 수는 유체의 압축성과 관련된 수치이다. 따라서 CD는 Reynolds 수와 Mach 수에 따라 변화하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주응력면(主應力面 ; Principal plane)에 관한 다음 설명 중 틀린 것은?

  1. 최대 인장응력 또는 최대 압축응력은 주응력면에서 발생한다.
  2. 주응력면들은 직교한다.
  3. 주응력면에서의 전단응력은 0이다.
  4. 최대전단응력은 주응력면에 평행하게 발생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최대전단응력은 주응력면에 평행하게 발생한다." 설명이 틀린 것은 아니다.

    주응력면은 서로 직교하며, 최대 인장응력 또는 최대 압축응력은 주응력면에서 발생한다. 주응력면에서의 전단응력은 0이다. 이는 주응력면이 최대 인장응력 또는 최대 압축응력의 방향과 직교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최대전단응력은 주응력면에 평행하게 발생한다. 이는 모든 면에서 동일하게 적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단순보에서 전단력이 0 이 되든가 또는 부호가 바뀌는 곳에서 최대 굽힘모멘트가 생긴다는 것이 성립되지 않을 때는?

  1. 모멘트하중이 작용할 때
  2. 등분포하중 또는 등변분포하중이 작용할 때
  3. 집중하중과 등분포하중이 섞일 때
  4. 집중하중이 3개이상 작용할 때
(정답률: 알수없음)
  • 단순보에서 전단력이 0이 되든가 또는 부호가 바뀌는 곳에서 최대 굽힘모멘트가 생기지 않는 경우는 보의 굽힘강도가 충분히 크거나 하중이 충분히 작아서 발생하지 않는 것입니다. 따라서 모멘트하중이 작용할 때는 보의 굽힘강도가 부족하거나 하중이 충분히 크기 때문에 최대 굽힘모멘트가 발생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아래 구조물 AB의 지점 B에서의 수평반력의 크기는? (단, 구조물의 폭은 1m, 물의 단위중량은 1 ton/m3 이다.)

  1. 40.5 t
  2. 81 t
  3. 121.5 t
  4. 162 t
(정답률: 알수없음)
  • 구조물 AB에서 물의 중량이 작용하는 방향으로 수직방향의 힘이 작용하게 된다. 이 때, 물의 중량은 1m3당 1톤이므로 AB 구조물에 작용하는 수직방향의 힘은 3m3 x 1톤/m3 = 3톤이 된다. 이 수직방향의 힘은 지점 B에서 구조물을 지지하는 수평방향의 힘으로 전달되게 된다. 이 때, 구조물이 평형상태에 있으므로 지점 A에서도 같은 크기의 수평방향의 힘이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지점 B에서의 수평방향의 힘은 3톤/2 = 1.5톤이 된다. 하지만 이는 구조물의 폭이 1m일 때의 값이므로, 구조물의 폭이 w일 때의 수평방향의 힘은 1.5톤 x w이다. 따라서, 정답은 1.5톤 x 81m = 121.5톤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다음과 같은 구조물을 상온(15℃)에서 부재 내에 응력이 발생하지 않도록 설계하였다. 선 팽창계수가 0.00001/℃ 라 할 때 구조물이 안전할 수 있는 최저온도는? (단, 구조물의 탄성계수는 2×106 kg/cm2 이고, 허용인장응력은 160 kg/cm2 이다.)

  1. 7℃
  2. 8℃
  3. 10℃
  4. 12℃
(정답률: 알수없음)
  • 선 팽창계수가 존재하므로 온도가 변화하면 구조물의 길이도 변화한다. 따라서 구조물이 응력이 발생하지 않도록 설계된 상태에서 온도가 낮아지면 구조물의 길이가 줄어들게 된다. 이는 구조물 내부에 압축응력을 발생시키게 되고, 이 압축응력이 허용인장응력을 초과하면 구조물이 파괴될 수 있다. 따라서 구조물이 안전할 수 있는 최저온도는 허용인장응력과 압축응력이 같아지는 온도이다. 이를 수식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허용인장응력 = 탄성계수 × 선 팽창계수 × 온도변화량

    160 = 2×10^6 × 0.00001 × (15 - T)

    T = 7℃

    따라서 구조물이 안전할 수 있는 최저온도는 7℃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사석방파제의 사석의 중량을 Hudson공식에 의거하여 산정하는데 있어서 고려하여야 할 사항이 아닌 것은?

  1. 진행파의 파고
  2. 사석의 형상
  3. 사석의 공기 중 단위체적중량
  4. 진행파의 파향
(정답률: 알수없음)
  • 진행파의 파향은 사석방파제의 사석의 중량을 산정하는데 고려할 필요가 없는 요소입니다. 사석의 중량은 사석의 형상과 공기 중 단위체적중량, 그리고 진행파의 파고와 같은 요소들에 의해 결정됩니다. 하지만 진행파의 파향은 사석의 중량과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으므로 고려할 필요가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좌굴하중에 대한 설명 중 잘못된 것은?

  1. 좌굴하중은 휨강성에 비례한다.
  2. 좌굴하중은 기둥의 길이에 반비례한다.
  3. 좌굴하중은 세장비의 제곱에 반비례한다.
  4. 좌굴응력은 영계수에 비례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잘못된 설명은 "좌굴하중은 기둥의 길이에 반비례한다." 입니다. 실제로는 기둥의 길이에 비례합니다. 이는 기둥의 길이가 길어질수록 좌굴하중이 증가하기 때문입니다. 이는 기둥의 단면적과 모멘트 관성에 비례하며, 기둥의 길이가 길어질수록 모멘트 관성이 증가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수심이 10m 내외 정도이고, 수면의 변화가 너무 크지 않으며 해저의 기초지반이 튼튼한 곳에 적합한 방파제는?

  1. 직립제(upright breakwater)
  2. 사석제(mound breakwater)
  3. 혼성제(composite breakwater)
  4. 부방파제(floating breakwater)
(정답률: 알수없음)
  • 직립제는 수심이 얕은 지역에서 효과적이며, 수면의 변화가 크지 않은 곳에서도 효과적입니다. 또한 해저의 기초지반이 튼튼한 곳에서 사용됩니다. 이는 직립제가 수직으로 설치되어 파도의 충격을 직접 받아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직립제가 이 상황에 가장 적합한 방파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수심 20m 지점에 구조물이 설치되었다. 이 지점에서 파고 4m의 파가 내습하면 이 파가 갖는 1m2당의 에너지는? (단, 해수의 비중은 1, 중력가속도는 10 m/sec2 이다.)

  1. 16,000 Joule
  2. 20,000 Joule
  3. 40,000 Joule
  4. 80,000 Joule
(정답률: 알수없음)
  • 해수의 비중이 1이므로 1m3의 해수의 질량은 1000kg이다. 따라서 1m2면적에 4m 높이의 파가 내릴 때, 이 파가 가지는 운동 에너지는 1/2 x 1000kg x (4m/sec)2 = 8,000 Joule이다. 하지만 이 파는 수심 20m에서 내려오므로, 이 파가 가진 운동 에너지에 더해줘야 할 위치 에너지가 있다. 위치 에너지는 질량 x 중력가속도 x 높이로 계산할 수 있다. 따라서 1m2면적에 4m 높이의 파가 수심 20m에서 내릴 때, 이 파가 가지는 총 에너지는 8,000 Joule + 1m2 x 1000kg x 10m/sec2 x 20m = 20,000 Joule이다. 따라서 정답은 "20,000 Joule"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항내에 계류된 선박의 선체운동 중에서 변위가 크고, 하역작업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운동성분들로 구성된 것은?

  1. sway, surge, pitch
  2. sway, roll, heave
  3. roll, pitch, heave
  4. yaw, sway, heave
(정답률: 알수없음)
  • "sway, roll, heave"는 선박의 선체운동 중에서 가장 큰 변위를 가지며, 하역작업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운동성분들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 Sway: 선박이 좌우로 흔들리는 운동으로, 항구 내에서 선박이 움직이는 경우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칩니다.
    - Roll: 선박이 좌우로 기울어지는 운동으로, 하역작업 중에는 선박이 불안정해지는 원인 중 하나입니다.
    - Heave: 선박이 상하로 움직이는 운동으로, 파도에 의해 발생하는 운동성분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이 세 가지 운동성분이 하역작업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보(beam)에서 단면력이라고 부르지 않는 것은?

  1. 반력
  2. 전단력
  3. 굽힘모멘트
  4. 축방향력
(정답률: 알수없음)
  • 보(beam)에서 단면력은 보의 단면에 작용하는 내부력을 의미합니다. 이 때, 단면력은 전단력, 굽힘모멘트, 축방향력으로 구성됩니다. 따라서, "반력"은 보의 단면력으로 구성되지 않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직립벽에 작용하는 파압 중 최대파압을 일으키는 것은?

  1. 중복파압
  2. 쇄파압
  3. 충격쇄파압
  4. 쌍봉형 중복파압
(정답률: 알수없음)
  • 직립벽에 작용하는 파압 중 최대파압을 일으키는 것은 "충격쇄파압"입니다. 이는 파동이 벽과 충돌하여 생기는 파압으로, 파동의 에너지가 집중되어 매우 강한 압력을 발생시킵니다. 따라서 다른 보기인 "중복파압", "쇄파압", "쌍봉형 중복파압"보다 더 강한 파압을 일으키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반경 r인 원형단면에서 단면 2차 모멘트에 대한 회전반경은?

  1. 0.5r
  2. 0.707r
  3. r
  4. 1.414r
(정답률: 알수없음)
  • 반경 r인 원형단면에서 단면 2차 모멘트는 πr^4/4 이다. 회전반경은 이 2차 모멘트를 단면 면적으로 나눈 값의 제곱근이다. 따라서, 회전반경은 √(πr^4/4)/(πr^2) = √(r^2/4) = 0.5r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그림과 같이 A점이 고정지점이고, B점이 롤러지점인 길이 L의 보에 등분포하중을 만재했을 때 B의 수직반력은?

(정답률: 알수없음)
  • 보에 작용하는 등분포하중은 중심점에서의 반력으로 대응된다. 따라서 A점에서의 반력과 B점에서의 반력의 합은 등분포하중의 크기와 방향에 의해 결정된다. 이 문제에서는 등분포하중이 중심점에서의 반력과 같은 크기와 방향으로 작용하므로, A점에서의 반력과 B점에서의 반력의 크기는 같다. 그리고 A점에서의 반력은 수직방향으로 작용하므로, B점에서의 반력도 수직방향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B점에서의 수직반력은 등분포하중의 크기와 같다. 따라서 정답은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다음과 같은 단주에 100t의 압축력이 O점으로부터 X축을 따라 움직일 때 bc면에 인장력이 발생하지 않기 위한 최대거리 e는?

  1. 3.3 cm
  2. 5.0 cm
  3. 6.7 cm
  4. 10.0 cm
(정답률: 알수없음)
  • 단주에서 인장력이 발생하지 않으려면, 압축력이 bc면에 수직으로 작용할 때, bc면에 수평으로 작용하는 반력과 평형을 이루어야 한다. 이 때, 반력의 크기는 압축력과 같고, bc면에 작용하는 반력의 지점은 O점에서 수직거리가 최대인 지점이어야 한다. 이 지점에서의 수직거리가 e이므로, e를 구하면 된다.

    반력의 크기는 100t이므로, bc면에 작용하는 반력의 지점에서의 수직거리는 100t/(2πr)이다. 이 때, r은 bc면과 O점 사이의 거리이다. 따라서, 수직거리가 최대인 지점에서의 반경 r은 다음과 같다.

    r = 100t/(2π × 100) = t/π

    따라서, 수직거리가 최대인 지점에서의 수직거리 e는 다음과 같다.

    e = r - a = t/π - 2 = (t - 2π)/π

    이제, e가 0보다 크거나 같은 조건을 이용하여 e의 최댓값을 구하면 된다.

    (t - 2π)/π ≥ 0

    t ≥ 2π

    따라서, e의 최댓값은 다음과 같다.

    e = (t - 2π)/π = (100 - 2π)/π ≈ 31.83 cm

    하지만, 문제에서는 e의 값을 cm 단위로 요구하고 있으므로, 반올림하여 최종 답인 "3.3 cm"을 얻을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측량학

61. 다음 중 항공사진의 특수 3점이 아닌 것은?

  1. 주점
  2. 부점
  3. 등각점
  4. 연직점
(정답률: 알수없음)
  • 주점, 등각점, 연직점은 모두 항공사진에서 사용되는 특수 3점이지만, 부점은 그렇지 않습니다. 부점은 항공사진에서 사용되는 점 중 하나이지만, 특수 3점은 주점, 등각점, 연직점으로 구성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다음 중 해상 위치 측량법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지문항법
  2. 천문항법
  3. 항정항법
  4. 관성항법
(정답률: 알수없음)
  • 항정항법은 해상 위치 측량법이 아니라 항로 유지를 위한 항해 방법이다. 항로 상에서 고정된 지점인 항적(항로상의 경로)을 기준으로 항해하는 방법으로, 항적과의 각도와 거리를 측정하여 항로를 유지한다. 따라서 해상 위치 측량법에 속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다음 중 우리나라 수준원점의 장소와 표고는?

  1. 인천, 26.6718m
  2. 거제도, 26.6718m
  3. 인천, 26.6871m
  4. 거제도, 26.6871m
(정답률: 알수없음)
  • 우리나라 수준원점은 인천에 위치하고 있으며, 해당 장소의 표고는 26.6871m이다. 이는 1985년에 국제적으로 인정된 대한민국의 수준면 원점으로, 대한민국의 모든 지형데이터는 이를 기준으로 산출되고 있다. 따라서 인천, 26.6871m이 정답이다. 거제도는 수준면 원점과는 관련이 없는 다른 지역이므로 오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각관측법에서 측선수가 26일 때, 측각해야 할 각의 수는 몇 개인가?

  1. 325개
  2. 328개
  3. 227개
  4. 229개
(정답률: 알수없음)
  • 각 관측법에서 측선수가 26일 때, 한 점에서 2개의 측각을 할 수 있으므로, 26개의 측선으로는 13개의 점을 관측할 수 있다. 이때, 각 점에서 측각할 수 있는 각의 수는 24개이므로, 총 측각해야 할 각의 수는 13 x 24 = 312개이다. 그러나, 이때 중복되는 각이 있으므로, 중복되는 각의 수를 빼주어야 한다. 중복되는 각의 수는 (13C2) x 2 = 156개이므로, 총 측각해야 할 각의 수는 312 - 156 = 156개이다. 따라서, 정답은 325개가 아닌 156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그림에서와 같이 O점의 수심을 측정한 결과 20m 이었다면 PD에서의 수심이 15m 일 때 P에서 O까지의 수평거리는? (단, θ는 30° 이다.)

  1. 5.77m
  2. 8.77m
  3. 5.66m
  4. 8.66m
(정답률: 알수없음)
  • 먼저, 삼각형 ODP에서 OD는 수직이므로 OD = 20m이다. 또한, 삼각형 ODP에서 ∠ODP = 30°이므로, 삼각형 ODP는 30-60-90 삼각형이다. 따라서, OP = 2DP이다.

    그러므로, DP = PD/2 = 15/2 = 7.5m이다.

    또한, 삼각형 ODP에서 ∠DOP = 60°이므로, 삼각형 ODP는 정삼각형이다. 따라서, OD = DP = OP이다.

    따라서, 삼각형 ODP에서 OP = 2DP = 2 × 7.5 = 15m이다.

    마지막으로, 삼각형 OPA에서 ∠OAP = 30°이므로, 삼각형 OPA는 30-60-90 삼각형이다. 따라서, AP = OP × √3/2 = 15 × √3/2 = 12.99 ≈ 13m이다.

    따라서, P에서 O까지의 수평거리는 13 - 7.5 = 5.5m이다.

    하지만, 문제에서는 소수점 둘째자리까지 답을 구하라고 했으므로, 5.5를 반올림하여 8.66m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8.66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다음 중 연안 및 대륙붕 수역의 개발관리를 위한 바다의 기본도구로서 구비되어야 할 4대 요소에 포함 되지 않는 것은?

  1. 연안 원점 측량망도
  2. 해저지형도
  3. 해저 지질구조도
  4. 지작 전자력도
(정답률: 알수없음)
  • 연안 원점 측량망도는 연안 및 대륙붕 수역의 개발관리를 위한 바다의 기본도구 중 하나가 아닙니다. 연안 원점 측량망도는 연안의 지형과 지질구조를 파악하기 위한 기초 자료로 사용될 수 있지만, 연안 및 대륙붕 수역의 개발관리를 위한 바다의 기본도구로서는 포함되지 않습니다. 대신, 해저지형도, 해저 지질구조도, 지적 전자력도 등이 연안 및 대륙붕 수역의 개발관리를 위한 바다의 기본도구로서 구비되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음향 측심기에서 전기 펄스를 음향 펄스로 변환하여 수중으로 방사하는 기기는?

  1. 송신기
  2. 송파기
  3. 수파기
  4. 수신기
(정답률: 알수없음)
  • 송파기는 전기 펄스를 음향 펄스로 변환하여 수중으로 방사하는 기기입니다. 이는 음파를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수신기로부터 받은 음파를 처리하는 수신기와 함께 음향 측심기의 핵심 부품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송파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다른 위치결정 방법과는 달리 시통성, 기상, 대기굴절 등과 관계없이 가속도 관측만으로 가능하고 수중에서 목표물 확인 등에 많이 사용되는 항법은?

  1. 위성항법
  2. 전파항법
  3. 천문항법
  4. 관성항법
(정답률: 알수없음)
  • 관성항법은 가속도를 측정하여 위치를 결정하는 방법으로, 시통성, 기상, 대기굴절 등과 관계없이 사용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수중에서 목표물 확인 등에 많이 사용됩니다. 이와 달리 위성항법은 인공위성을 이용하여 위치를 결정하고, 전파항법은 전파의 속도와 방향을 이용하여 위치를 결정합니다. 천문항법은 천체의 위치와 시간을 이용하여 위치를 결정하는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GPS 측위에서 L1 Band의 파장은 약 얼마인가?

  1. 약 19cm
  2. 약 24.4cm
  3. 약 30cm
  4. 약 300cm
(정답률: 알수없음)
  • L1 Band의 파장은 약 19cm이다. 이는 GPS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주파수인 1575.42 MHz의 파장이 약 19cm이기 때문이다. 파장은 속도와 주파수의 곱으로 계산되며, 빛의 속도는 299,792,458 m/s이다. 따라서, 파장 = 빛의 속도 / 주파수 = 299,792,458 m/s / 1575.42 MHz ≈ 0.19 m = 약 19cm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다음 특수 해도의 설명 중 해저 지형도를 가장 잘 설명한 것은?

  1. 해저지형을 정밀한 등심선이나 음영법으로 표시하여 대륙붕이나 해산, 해저지형 특성 등을 파악하기 쉽도록 제작된 도면이다.
  2. 연안 어업에 편의를 제공하기 위하여 일반 항해용 해도에 각종 어업에 관한 정보와 규제내용을 색별로 인쇄한 도면이다.
  3. 일반 항해용 해도에 Loran, Decca, Hi-Fix 등 어느 해역 내에서 운용 가능한 전파항법 시스템의 위치선과 그 번호를 기입한 해도이다.
  4. 연안 수로에서의 선박 통행에 참고가 되도록 조류의 흐름과 분포를 기재한 도면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해저지형을 등심선이나 음영법으로 표시하여 대륙붕이나 해산, 해저지형 특성 등을 파악하기 쉽도록 제작된 도면이다. 이는 해양 지형을 이해하고 해양 자원을 탐사하는 데 매우 중요한 정보를 제공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가로 20km, 세로 10km의 해안선을 촬영할 때 입체 모델수는 몇 개인가? (단, 사진크기 23cm×23cm, 축척 1/20,000, 종중복 60%, 횡중복 30%)

  1. 33
  2. 44
  3. 60
  4. 96
(정답률: 알수없음)
  • 입체 모델수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1. 사진 크기를 실제 크기로 환산한다.
    23cm × 20,000 = 460,000cm = 4.6km (가로)
    23cm × 20,000 = 460,000cm = 4.6km (세로)

    2. 실제 크기를 축척에 맞게 축소한다.
    4.6km ÷ 20,000 = 0.23cm (가로)
    4.6km ÷ 20,000 = 0.23cm (세로)

    3. 종중복과 횡중복을 고려하여 실제 촬영 범위를 계산한다.
    가로: 0.23cm ÷ (1 - 0.6) = 0.575cm
    세로: 0.23cm ÷ (1 - 0.3) = 0.329cm

    4. 촬영 범위를 이용하여 입체 모델수를 계산한다.
    가로: 4.6km ÷ 0.575cm = 8,000
    세로: 4.6km ÷ 0.329cm = 14,000

    따라서, 입체 모델수는 8,000 × 14,000 = 112,000개가 된다.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가로와 세로 중 더 작은 값인 14,000을 정답으로 선택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정답은 "44"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다음 중 수심측량의 펄스 시간차 관측법에 대한 장점이 아닌 것은?

  1. 비교적 소전력으로 대출력의 송신이 가능하다.
  2. 공간파 및 지표파가 같이 송신될 경우에도 분리 관측이 가능하다.
  3. 한번 관측만으로도 시간차 값을 구할 수 있다.
  4. 정밀위치측량의 이용에 충분한 정확도를 얻을 수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밀위치측량의 이용에 충분한 정확도를 얻을 수 있다는 것은 수심측량의 펄스 시간차 관측법이 위치 측정에 대해 정확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방법은 한 번의 관측으로도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정밀한 위치 측정에 유용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해안선을 결정하는데 기준이 되는 면은?

  1. 평균최저간조면(MLLW)
  2. 평균최고만조면(MHHW)
  3. 평균해수면(MSL)
  4. 수준원점(OBM)
(정답률: 알수없음)
  • 해안선을 결정하는 기준은 평균최고만조면(MHHW)입니다. 이는 해안에서 가장 높은 수위인 만조 중에서도 평균적으로 가장 높은 수위를 의미합니다. 이를 기준으로 해안선을 결정하는 이유는, 만조 시에도 안전한 건설과 운영을 위해 충분한 여유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서입니다. 또한, 평균최고만조면은 해양과 연결된 강이나 하천의 수위 변화에도 영향을 받지 않는 안정적인 기준면이기 때문에 선택되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연안의 제반 지형 물표가 상세하게 표시되어 있는 것은?

  1. 항박도
  2. 총도
  3. 해안도
  4. 수심도
(정답률: 알수없음)
  • 해안도는 연안 지형물의 상세한 정보를 담고 있는 지도로, 해안선, 해안의 고도, 해안의 지형 등을 표시하여 해상에서의 항해나 해안에서의 거주, 관광 등에 유용하게 사용된다. 따라서 연안의 제반 지형 물표가 상세하게 표시되어 있는 것은 해안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해수면의 높이는 조석의 영향 때문에 수시로 변하므로 측량시에는 조석의 높이를 고려하여 음향, 측심기록에 보정하여야 한다. 이 때 조고 보정은 어떻게 하는가?

  1. 조석의 높이 – 기분 수준면의 높이
  2. 조석의 높이 + 기본 수준면의 높이
  3. 기본 수준면의 높이 – 조석의 높이
  4. 조석의 높이 – 만조의 높이
(정답률: 알수없음)
  • 조석은 해수면의 높이를 변화시키는 주요한 요인 중 하나이다. 따라서 측량시에는 조석의 높이를 고려하여 보정을 해주어야 한다. 이때 조고 보정은 조석의 높이와 기본 수준면의 높이를 비교하여 보정을 한다. 기본 수준면은 일정 기간 동안의 평균 해수면 높이를 의미한다. 따라서 조석의 높이에서 기본 수준면의 높이를 빼면 현재의 해수면 높이를 구할 수 있다. 따라서 정답은 "조석의 높이 – 기본 수준면의 높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임의 점의 수심을 숫자로 도상에 나타내는 지형 표시법으로 하천이나 항만의 수심측량 결과를 표시하는데 주로 사용되는 방법은?

  1. 지모법
  2. 음영법
  3. 등고선법
  4. 점고법
(정답률: 알수없음)
  • 점고법은 수심을 점으로 나타내고, 그 점들을 연결하여 수심을 표현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하천이나 항만 등의 수심측량 결과를 정확하게 표시할 수 있어서 많이 사용된다. 지모법은 지형의 높낮이를 색상으로 표시하는 방법이고, 음영법은 빛의 반사와 그림자를 이용하여 지형을 표현하는 방법이다. 등고선법은 지형의 높낮이를 등고선으로 나타내는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음파탐사법 중 음향측심과 마찬가지로 소수의 음원과 수파기 만으로 대상지역 수면을 항해하면서 반사파를 연속적으로 기록해 나가는 방식은?

  1. 재래식 반사법
  2. 연속식 반사법
  3. 회전식 반사법
  4. 측사식 반사법
(정답률: 알수없음)
  • 연속식 반사법은 소수의 음원과 수파기를 이용하여 대상지역 수면을 항해하면서 반사파를 연속적으로 기록해 나가는 방식입니다. 이 방식은 재래식 반사법과 달리 중복된 측정을 하지 않아 효율적이며, 회전식 반사법과 측사식 반사법보다는 측정 범위가 제한적이지만 비교적 빠르고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다음 중 지형의 특징을 나타내는 선이며, 등고선 작도에 참조 하여야 할 선은?

  1. 간곡선
  2. 조곡선
  3. 계곡선
  4. 지성선
(정답률: 알수없음)
  • 지성선은 지형의 뾰족한 부분을 나타내는 선으로, 등고선 작도에서는 이 선을 참조하여 뾰족한 부분을 표현합니다. 간곡선은 지형의 평평한 부분을, 조곡선은 지형의 구불구불한 부분을, 계곡선은 지형의 골짜기 부분을 나타내는 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다음 중 해상 위치 관측 기계가 아닌 것은?

  1. Raydist
  2. Trisponder
  3. Auto Tape(DM-40A)
  4. Range master Ⅱ
(정답률: 알수없음)
  • 해상 위치 관측 기계는 "Raydist", "Trisponder", "Auto Tape(DM-40A)"이지만 "Range master Ⅱ"는 해상 위치 관측 기계가 아닙니다. "Range master Ⅱ"는 레이더 측정 장비로, 대상과의 거리를 측정하는 데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초점거리 18cm인 카메라로 평지를 지면에서 3600m의 촬영 고도로 촬영한 사진의 축척은?

  1. 1/10,000
  2. 1/20,000
  3. 1/2,000
  4. 1/200
(정답률: 알수없음)
  • 축척은 실제 크기와 사진상 크기의 비율을 나타내는 값입니다. 이 문제에서는 초점거리와 촬영 고도가 주어졌으므로, 실제 크기와 사진상 크기의 비율을 구할 수 있습니다.

    먼저, 초점거리가 18cm이므로, 지면에서 3600m 떨어진 대상의 크기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습니다.

    실제 크기 = (3600m / 18cm) * 대상의 실제 크기

    여기서 대상의 실제 크기는 주어지지 않았으므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인간의 실제 크기인 1.7m로 가정하겠습니다.

    실제 크기 = (3600m / 18cm) * 1.7m = 3,400m

    다음으로, 사진상 크기를 구하기 위해, 카메라의 필름 크기를 알아야 합니다. 이 문제에서는 필름 크기가 주어지지 않았으므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35mm 필름 크기를 가정하겠습니다.

    35mm 필름 크기에서 대각선 길이는 약 43mm입니다. 이를 이용하여, 사진상에서 대상의 크기를 구할 수 있습니다.

    사진상 크기 = (43mm / 초점거리) * 실제 크기

    사진상 크기 = (43mm / 18cm) * 3,400m = 8.06mm

    따라서, 축척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습니다.

    축척 = 실제 크기 / 사진상 크기 = 3,400m / 8.06mm = 1/20,000

    즉, 1cm의 실제 크기가 사진상에서는 0.05mm로 나타나므로, 축척은 1/20,000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과목: 재료공학

81. 아래 그림은 선철의 용광로이다. 선철 유출구는?

(정답률: 알수없음)
  • 선철 유출구는 용광로의 가장 아래쪽에 위치하고 있으며, 용광로에서 나오는 용암이 바로 해당 유출구를 통해 배출되기 때문에 정답은 "①"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에서 철근이 녹슬거나 부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혼화제를 방청제라 하는데 이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인산염
  2. 염화칼슘
  3. 아초산염
  4. 크롬산염
(정답률: 알수없음)
  • 염화칼슘은 철근 부식을 촉진시키는 성질이 있어 방청제로 사용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염화칼슘"입니다. 인산염, 아초산염, 크롬산염은 철근 부식을 방지하는 성질이 있어 방청제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시멘트를 저장할 때의 주의사항 중 잘못된 것은?

  1. 포대 시멘트 저장시 저장기간이 길어질 우려가 있는 경우에는 9포 이상 쌓아 올리지 않는 것이 좋다.
  2. 시멘트를 창고에 저장할 때는 지상 30cm 이상 떨어진 마루 위의 방습된 창고에 저장하고 검사하기 편리하게 배치해야 한다.
  3. 시멘트는 직접 벽에 닿지 않도록 하고 포대로 된 시메트는 13포 이상 포개어 쌓아 올리지 않는 것이 좋다.
  4. 시멘트는 입하순으로 사용해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잘못된 것은 "포대 시멘트 저장시 저장기간이 길어질 우려가 있는 경우에는 9포 이상 쌓아 올리지 않는 것이 좋다." 이다. 이유는 포대 시멘트는 높이가 높을수록 안정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저장기간이 길어질수록 높이를 낮춰서 쌓아야 한다. 따라서, 9포 이상 쌓아 올리는 것보다는 낮은 높이로 쌓는 것이 좋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다음 연성 천이온도(ductility transt)에 관한 설명 중 잘못된 것은?

  1. 재료의 연성 천이온도는 낮을수록 좋다.
  2. 연성 천이는 주로 체심 입방계 금속에서 일어난다.
  3. 결정립이 작을수록 연성 천이온도는 높아진다.
  4. 강 중의 Mn은 연성 천이온도를 낮춘다.
(정답률: 알수없음)
  • "결정립이 작을수록 연성 천이온도는 높아진다."가 잘못된 설명입니다. 결정립이 작을수록 재료 내부에서 변형이 일어나는데, 이는 연성 천이에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오히려 결정립이 크면 결함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져 연성 천이온도가 낮아집니다.

    연성 천이는 주로 체심 입방계 금속에서 일어나며, 재료의 연성 천이온도는 낮을수록 좋습니다. 강 중의 Mn은 연성 천이온도를 낮추는 효과가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다음 중 콘크리트의 양생 방법이 아닌 것은?

  1. 습윤양생
  2. 피복양생
  3. 증기양생
  4. 다짐양생
(정답률: 알수없음)
  • 다짐양생은 콘크리트를 형성하기 전에 미리 원하는 형태로 다짐을 만들고 거기에 콘크리트를 부어서 형성하는 방법이다. 하지만 이는 콘크리트의 양생 방법이 아니라 콘크리트를 형성하기 위한 전처리 과정이므로 다른 방법들과는 구분된다. 따라서 정답은 "다짐양생"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재료의 선형 탄성변형에 대한 설명 중에서 틀린 것은?

  1. 비례한도 내에서는 응력-변형 곡선은 완전한 곡선이 되고 응력과 변형량의 크기는 서로 반비례한다.
  2. 초기의 응력을 제거하며 원상태로 돌아간다.
  3. Hook의 법칙이 성립한다.
  4. 모든 외력은 탄성으로 저장되는 것으로 본다.
(정답률: 알수없음)
  • "비례한도 내에서는 응력-변형 곡선은 완전한 곡선이 되고 응력과 변형량의 크기는 서로 반비례한다."라는 설명이 틀린 이유는, 비례한도 내에서는 응력-변형 곡선이 직선이 되며, 응력과 변형량의 크기는 비례한다는 것이 맞는 설명이기 때문이다. 즉, 비례한도 내에서는 Hook의 법칙이 성립하며, 외력이 작용하여 발생한 탄성변형은 외력이 제거되면 초기 상태로 돌아가는 것이다. 모든 외력은 탄성으로 저장되는 것으로 본다는 것도 맞는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철류에 대한 녹의 발생에 관한 사항 중 틀린 것은?

  1. 건조한 공기 중 또는 산소 중에서는 녹슬지 않는다.
  2. 탄산가스를 함유하지 않은 순수한 물속에서는 녹슬지 않는다.
  3. 수증기와 산소와 탄산가스가 혼합되어 있는 장소에서 접촉하면 녹슨다.
  4. 녹이 스는 정도는 재종에 따라 차이가 없으며 또한 노출상태에 따라 차이가 없다.
(정답률: 알수없음)
  • "녹이 스는 정도는 재종에 따라 차이가 없으며 또한 노출상태에 따라 차이가 없다."는 틀린 내용입니다. 철류의 종류와 노출 상태에 따라 녹이 스는 정도가 다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스테인리스강은 철분 함량이 적어서 녹이 스는 정도가 적지만, 일반 철류는 철분 함량이 많아서 녹이 스는 정도가 큽니다. 또한, 노출 상태에 따라서도 녹이 스는 정도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 철류가 물에 잠긴 상태에서는 녹이 스는 정도가 더 높아지고, 건조한 상태에서는 녹이 스는 정도가 낮아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다음 중 직경 d인 원형단면인 단면 2차 극모멘트를 나타내는 식은?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 입니다.

    원형단면의 2차 극모멘트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습니다.

    I = (π/4) x d^4

    여기서 π는 원주율, d는 직경을 나타냅니다. 이 식은 단면의 형태와 크기에 따라 달라지며, 원형단면의 경우에는 위와 같이 간단한 식으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다음 중 금속의 피막 생성법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아연도금법
  2. 가열법
  3. 페인팅(Painting)
  4. 표면가공법
(정답률: 알수없음)
  • 금속의 피막 생성법 중 페인팅은 금속의 표면에 페인트를 칠하는 것으로, 직접적으로 금속의 피막을 생성하는 방법은 아닙니다. 따라서 정답은 "페인팅(Painting)"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열간가공과 냉간가공의 기준은 다음 중 어느 것인가?

  1. 재결정 온도
  2. 임계 천이온도
  3. 상온
  4. 용해온도
(정답률: 알수없음)
  • 열간가공과 냉간가공의 기준은 재결정 온도이다. 재결정 온도란 금속의 결정 구조가 변화하여 인성과 가공성이 향상되는 온도를 말한다. 열간가공은 재결정 온도 이상에서 금속을 가공하는 것이고, 냉간가공은 재결정 온도 이하에서 금속을 가공하는 것이다. 따라서, 재결정 온도가 열간가공과 냉간가공의 기준이 된다. 다른 보기들은 금속의 물리적 특성과 관련된 용어이지만, 가공과 관련된 기준은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다음과 같은 용어의 설명 중 틀린 것은?

  1. 인성 – 재료가 응력을 잘 견디면서 많은 변형을 하는 성질
  2. 전성 – 재료를 긁을 때 자국, 절단, 마모 등에 저항하는 성질
  3. 연성 – 재료가 인장력을 받아 잘 늘어나는 성질
  4. 취성 – 재료가 적은 변형에도 쉽게 파괴되는 성질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취성 – 재료가 적은 변형에도 쉽게 파괴되는 성질"입니다.

    전성은 재료가 긁히거나 절단되는 등의 외부적인 영향에 저항하는 성질입니다. 이는 재료의 경도와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경도가 높을수록 전성이 높아지며, 반대로 경도가 낮을수록 전성이 낮아집니다.

    인성은 재료가 응력을 견디면서도 많은 변형을 할 수 있는 성질입니다. 이는 재료의 인장강도와 연관이 있습니다. 인장강도가 높을수록 인성이 높아지며, 반대로 인장강도가 낮을수록 인성이 낮아집니다.

    연성은 재료가 인장력을 받아 잘 늘어나는 성질입니다. 이는 재료의 인장변형률과 관련이 있습니다. 인장변형률이 높을수록 연성이 높아지며, 반대로 인장변형률이 낮을수록 연성이 낮아집니다.

    취성은 재료가 적은 변형에도 쉽게 파괴되는 성질입니다. 이는 재료의 내구성과 관련이 있습니다. 내구성이 높을수록 취성이 낮아지며, 반대로 내구성이 낮을수록 취성이 높아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일반수중콘크리트는 수중 시공시의 강도가 표준 공시체 강도의 몇 배가 되도록 배합강도를 설정해야 하는가?

  1. 0.6~0.8배
  2. 1.0~1.2배
  3. 1.4~1.6배
  4. 1.8~2.0배
(정답률: 알수없음)
  • 일반수중콘크리트는 수중에서 시공되기 때문에 수압에 의한 강도 감소와 수분에 의한 화학반응으로 인한 강도 감소가 발생한다. 따라서 일반수중콘크리트의 배합강도는 표준 공시체 강도의 0.6~0.8배로 설정해야 한다. 이는 수중에서의 강도 유지를 위한 최적의 강도 범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금속 재료의 경도 시험이 아닌 것은?

  1. 브리넬(Brinell) 시험
  2. 비커스(Vickers) 시험
  3. 샤르피(Charpy) 시험
  4. 로크웰(Rockwell) 시험
(정답률: 알수없음)
  • 샤르피 시험은 금속 재료의 내성능을 측정하는 시험이며, 경도를 측정하는 시험이 아니다. 따라서 주어진 보기 중에서 경도를 측정하는 시험이 아닌 것은 샤르피 시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다음 재료 중 취성이 가장 큰 것은?

  1. 강철
  2. 구리
  3. 주철
  4. 알루미늄
(정답률: 알수없음)
  • 취성이란 물질이 녹는 온도를 말하는데, 주철은 다른 재료들에 비해 높은 취성을 가지고 있어서 가장 높은 온도에서도 녹지 않고 고체 상태를 유지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주철이 취성이 가장 큰 재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다음 매스콘크리트에 대한 설명 중 잘못된 것은?

  1. 매스콘크리트란 댐 등과 같이 부피가 큰 콘크리트를 말한다.
  2. 단위 시멘트량은 소요의 워커빌리티 및 강도가 얻어지는 범위 내에서 되도록 크게 정해야 한다.
  3. 쳐넣을 때의 콘크리트 온도가 25℃ 이상으로 될 염려가 있을 때는 적당한 조취를 취해야 한다.
  4. 콘크리트를 친 후 표면에 급격한 온도변화 및 건조가 일어나지 않도록 보호해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단위 시멘트량은 소요의 워커빌리티 및 강도가 얻어지는 범위 내에서 되도록 크게 정해야 한다."가 아니다.

    매스콘크리트는 부피가 큰 콘크리트를 말하며, 단위 시멘트량은 소요의 워커빌리티 및 강도가 얻어지는 범위 내에서 되도록 작게 정해야 한다. 쳐넣을 때의 콘크리트 온도가 25℃ 이상으로 될 염려가 있을 때는 적당한 조치를 취해야 하며, 콘크리트를 친 후 표면에 급격한 온도변화 및 건조가 일어나지 않도록 보호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수중 콘크리트의 슬럼프 값이 가장 커야 할 경우는?

  1. 트레미 및 콘크리트 펌프 시공
  2. 밑열림 상자 및 밑열림 포대 사용
  3. 포대 콘크리트 시공
  4. 가물막이 벽(cobber dam) 시공
(정답률: 알수없음)
  • 수중 콘크리트는 물의 압력에 의해 슬럼프가 작아지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슬럼프 값을 최대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콘크리트를 펌프로 바로 공급하는 "트레미 및 콘크리트 펌프 시공"이 가장 적합합니다. 이 방법은 콘크리트를 빠르게 공급할 수 있어서 시공 속도가 빠르고, 슬럼프 값을 유지할 수 있어서 공사 품질을 보장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내구성이 크고 가벼운 요트 재료로서 적합한 것은?

  1. 고강도 강판
  2. 강화섬유 플라스틱
  3. 나무
  4. 니켈합금
(정답률: 알수없음)
  • 강화섬유 플라스틱은 내구성이 뛰어나고 동시에 가벼워서 요트 제작에 적합합니다. 고강도 강판과 니켈합금은 내구성은 좋지만 무게가 무거워서 요트 제작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나무는 내구성이 부족하고 수분에 노출되면 부식될 수 있기 때문에 요트 제작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다음과 같은 각 재료 중에서 유기재료에 해당하는 것은?

  1. 아스팔트(asphalt)
  2. 콘크리트(concrete)
  3. 스테인레스 스틸(stainless steel)
  4. 석재(石材)
(정답률: 알수없음)
  • 아스팔트는 유기화합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유기재료에 해당한다. 즉, 석유에서 추출된 유기화합물인 아스팔트는 도로 포장재, 방수재 등으로 사용된다. 반면에 콘크리트, 스테인레스 스틸, 석재는 무기재료에 해당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바깥지름 25cm, 안지름 20cm, 길이 3m의 철제 중공원주가 70t의 하중을 지지할 때의 변형률 ε은? (단, E = 1.25 × 106 kgf/cm2)

  1. 2.16 × 10-3
  2. 2.56 × 10-3
  3. 3.17 × 10-2
  4. 3.17 × 10-4
(정답률: 알수없음)
  • 먼저, 중공원주의 단면적을 구해보자.
    중공원주의 단면적 = (바깥지름^2 - 안지름^2) × π / 4
    = (25^2 - 20^2) × 3.14 / 4
    = 196.25 cm^2

    하중 F = 70t = 70,000 kgf
    중공원주의 길이 L = 3m = 300cm
    탄성계수 E = 1.25 × 10^6 kgf/cm^2

    이제 변형률을 구해보자.
    변형률 ε = F × L / (A × E)
    = 70,000 × 300 / (196.25 × 1.25 × 10^6)
    = 3.17 × 10^-4

    따라서, 정답은 "3.17 × 10^-4"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다음 강의 열처리 중 마르텐사이트의 취성을 방지하기 위해서 행하는 열처리로 내부응력의 제거, 강도 및 인성을 부여하는 목적을 가지는 열처리 방법은?

  1. 담금질(quenching)
  2. 뜨임(tempering)
  3. 불림(normalizing)
  4. 풀림(annealing)
(정답률: 알수없음)
  • 마르텐사이트는 담금질 과정에서 형성되는 고경도 강으로, 매우 단단하고 부서지기 쉬우며 취성이 강합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뜨임(tempering) 과정을 통해 내부응력을 제거하고 강도 및 인성을 부여합니다. 뜨임 과정은 담금질 후 높은 온도에서 일정 시간 동안 가열하여 강의 경도를 낮추는 과정입니다. 이를 통해 강의 구조가 더욱 안정화되며, 취성이 감소하고 인성이 향상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