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공학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5-05-29)

해양공학기사
(2005-05-29 기출문제)

목록

1과목: 해양학개론

1. 현재 염소량으로부터 염분을 환산하는데 사용하고 있는 공식은?

  1. S = 0.043 + 1.0044×S
  2. S = 1.805×Cl + 0.03
  3. S = 1.80655×Cl
  4. S = 1.00045×Cl
(정답률: 알수없음)
  • 염소는 염화물 이온(Cl-)의 양을 나타내는 지표이며, 염분은 염화물 이온과 나트륨 이온(Na+) 등의 양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따라서, 염분을 환산하기 위해서는 염화물 이온의 양을 알아야 합니다.

    염소량과 염화물 이온의 양은 다음과 같은 관계가 있습니다.

    염소량(g) = 염화물 이온의 양(mol) × 분자량(g/mol)

    분자량은 염화물 이온(Cl-)의 경우 35.45 g/mol입니다.

    따라서, 염소량(g)을 염화물 이온의 양(mol)으로 환산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염화물 이온의 양(mol) = 염소량(g) ÷ 35.45(g/mol)

    이를 이용하여, 염분을 환산하는 공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염분(g/L) = 염화물 이온의 양(mol/L) × 분자량(g/mol) + 나트륨 이온의 양(mol/L) × 분자량(g/mol)

    하지만, 대부분의 염분 측정기는 염화물 이온의 양만을 측정하므로, 나트륨 이온의 양은 무시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염분을 환산하는 공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염분(g/L) = 염화물 이온의 양(mol/L) × 분자량(g/mol)

    염화물 이온의 양(mol/L)은 염소량(g/L)을 염화물 이온의 양(mol/L)으로 환산한 값입니다.

    염분(g/L) = 염소량(g/L) ÷ 35.45(g/mol) × 58.44(g/mol)

    이를 간단하게 정리하면,

    염분(g/L) = 1.80655 × 염소량(g/L)

    따라서, 정답은 "S = 1.80655×Cl"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대양에 존재하는 해수의 순환을 그 원인에 따라 크게 풍성 순환과 열염분 순환으로 구분할 때, 다음 중 열염분 순환과 관계가 적은 것은?

  1. 해수의 밀도차
  2. 표층류
  3. 심해류
  4. 느리고 수직성분이 존재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표층류"입니다. 열염분 순환은 해수의 열과 염분의 분포 차이에 의해 발생하는 순환인데, 이는 해수의 밀도차이에 기인합니다. 따라서 해수의 밀도차이와 관련이 많은 심해류와는 관계가 크지만, 표층류는 해수의 밀도차이와는 관계가 적습니다. 표층류는 주로 바람이나 해류에 의해 발생하며, 느리고 수직성분이 존재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해수의 열팽창계수 β에 대한 설명이 옳은 것은?

  1. 염분도가 낮으면 수온에 무관하게 항상 음의 값을 가진다.
  2. 낮은 수온에서 염분도에 무관하게 항상 음의 값을 가진다.
  3. 보통 자연조건하의 해수에서 수온이 증가함에 따라 항상 증가한다.
  4. 수온과 염분도에 무관하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보통 자연조건하의 해수에서 수온이 증가함에 따라 항상 증가한다."이다. 이유는 열팽창계수는 일반적으로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해수도 마찬가지로 수온이 증가하면 열팽창계수가 증가한다. 염분도가 낮거나 수온이 낮은 경우에도 열팽창계수는 음의 값을 가지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북회귀선에서 적도근처까지의 해면을 서류하는 우세한 난류는?

  1. 북적도 해류
  2. 남적도 해류
  3. 아라스카 해류
  4. 적도 반류
(정답률: 알수없음)
  • 북회귀선과 적도 사이에는 적도고기압대와 북쪽의 고기압대 사이의 기압차로 인해 바람이 북쪽에서 남쪽으로 불게 됩니다. 이 바람은 바다 표면의 물을 밀어내어 북쪽으로 흐르게 만듭니다. 이러한 바람에 의해 유발되는 해류를 북적도 해류라고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해수중에 존재하는 질소화합물 중에서 생물생산과 가장 관계가 없는 것은?

  1. N2
  2. NO2-
  3. NO3-
  4. NH4+
(정답률: 알수없음)
  • "N2"는 질소 분자로서 생물체가 직접 이용할 수 없기 때문에 생물생산과 관계가 없습니다. 반면 "NO2-", "NO3-", "NH4+"은 질소화합물 중에서 생물체가 직접 이용하여 생물생산에 필요한 영양소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우리나라 연안주변에서 탁월한 조석, 조류, 내부조석의 주기는 얼마인가?

  1. 약 1/4일
  2. 수일 이상
  3. 약 1일
  4. 약 1/2일
(정답률: 알수없음)
  • 우리나라 연안주변에서는 해일과 만조가 발생하는데, 이는 달과 태양의 위치에 따라 변화한다. 이 중에서도 조석, 조류, 내부조석의 주기는 달의 움직임에 의해 결정된다. 달은 약 29.5일의 주기로 지구를 공전하며, 이에 따라 조석, 조류, 내부조석의 주기는 약 1/2일이 된다. 즉, 하루에 두 번씩 조석, 조류, 내부조석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정답은 "약 1/2일"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다음 중 서안경계류(western boundary current)는?

  1. 쿠로시오 해류
  2. 노르웨이 해류
  3. 북대서양 해류
  4. 페루해류
(정답률: 알수없음)
  • 서안경계류는 대륙과 인접한 해류 중에서 가장 빠르게 흐르는 해류로, 일본의 동쪽을 따라 북쪽으로 흐르는 해류를 말합니다. 이러한 서안경계류는 쿠로시오 해류라고도 불리며, 일본의 경제와 기후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다음은 해양의 물리적 성질을 설명한 것 중 틀린 것은?

  1. 해수의 온도구간은 -2 ∼ 30℃ 이다.
  2. 해수는 열용량이 크고 열전도율이 높다.
  3. 해수는 자연상태에서 기체, 액체, 고체의 세가지 상이 모두 나타난다.
  4. 해수의 압력은 10m에 1/2 기압씩 증가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해수의 압력은 10m에 1/2 기압씩 증가한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실제로는 해수의 압력은 10m에 1기압씩 증가합니다. 이는 수압이 증가함에 따라 해수의 밀도가 증가하기 때문입니다.

    해수의 온도구간은 -2 ∼ 30℃이 맞습니다. 해수는 열용량이 크고 열전도율이 높아서 바다에서의 기온 변화가 느리고, 열이 잘 전달되기 때문에 해수욕이 시원하게 느껴지는 것입니다. 또한, 해수는 자연상태에서 기체, 액체, 고체의 세가지 상이 모두 나타납니다. 이는 해수의 염분 농도에 따라 결정화되는 염빙이나, 수증기로 변하는 증발 등이 그 예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붕단(shelf break)의 평균수심은?

  1. 100m
  2. 130m
  3. 155m
  4. 200m
(정답률: 알수없음)
  • 붕단은 대륙사면에서 수심이 급격히 깊어지는 지점을 말한다. 이 지점에서는 대륙사면의 경사도가 급격히 커지기 때문에 바다의 깊이도 급격히 깊어진다. 이러한 이유로 붕단의 평균수심은 대체로 100m에서 200m 사이이다. 그 중에서도 가장 보편적인 값은 130m이다. 따라서 정답은 "130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해수 중의 음파속도는 해수의 밀도에 따라 다르다. 다음 중 바르게 설명된 것은?

  1. 수온, 염분, 압력이 높을수록 음속은 크다.
  2. 수온, 염분, 압력이 낮을수록 음속은 크다.
  3. 수온이 낮고 압력이 높은 심층에서 음속은 낮다.
  4. 수심 약 1000m 부근에서 음속 최대층이 존재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수온, 염분, 압력이 높을수록 음속은 크다." 이다.

    해수의 밀도는 수온, 염분, 압력에 따라 변화한다. 수온이 높을수록 분자 운동이 활발해져서 해수의 밀도가 낮아지고, 염분이 높을수록 해수의 밀도가 높아지며, 압력이 높을수록 해수의 밀도가 높아진다.

    음파는 밀도가 높은 매질에서 빠르게 전파되기 때문에, 해수의 밀도가 높을수록 음속이 높아진다. 따라서 수온, 염분, 압력이 높을수록 음속이 크다.

    수온이 낮고 압력이 높은 심층에서는 해수의 밀도가 높아지지만, 수온이 너무 낮아서 분자 운동이 둔화되면서 음속이 낮아진다.

    수심 약 1000m 부근에서는 음속 최대층이 존재하는데, 이는 해수의 밀도가 변화하는 지점으로, 이 지점에서 음파가 굴절되어 음속이 빠르게 변화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해수의 열염순환(Thermohaline circulation)과 가장 관계가 깊은 것은?

  1. 바람
  2. 밀도
  3. 압력
  4. 표면장력
(정답률: 알수없음)
  • 해수의 열염순환은 바람, 압력, 표면장력과는 관계가 적고, 주된 원인은 바로 밀도 차이입니다. 열과 염분의 차이로 인해 밀도가 다른 물체들이 상승하거나 하강함으로써, 해수의 대규모 순환을 일으키게 됩니다. 따라서, 밀도가 해수의 열염순환과 가장 관계가 깊은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일반적으로 선박이나 해양구조물에 상당한 피해를 입히는 바다의 오손 생물로서, 유일한 고착성 갑각류는?

  1. 게류
  2. 연갑류
  3. 만각류
  4. 바닷가재류
(정답률: 알수없음)
  • 만각류는 선박이나 해양구조물에 고착하여 상당한 피해를 입히는 바다의 오손 생물입니다. 이들은 갑각류 중에서도 특히 고착성이 높아서 선박의 바닥, 벽면, 프로펠러 등에 밀착하여 생활하며, 이로 인해 선박의 성능 저하나 수명 단축 등의 문제가 발생합니다. 따라서 선박 운영에 있어서는 이들의 예방 및 대처가 매우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다음의 T-S diagram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1. Ekman 나선을 나타낸 그림이다.
  2. 온도와 염분의 상관곡선으로 수괴의 특성을 나타낸다.
  3. 파랑의 형태를 나타낸 그림이다.
  4. 북태평양의 표면수온의 분포를 나타낸 그림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온도와 염분의 상관곡선으로 수괴의 특성을 나타낸다. T-S diagram은 염분과 온도의 관계를 보여주는 그래프로, 수온과 염분의 분포를 파악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수괴의 특성을 파악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다음 중 석유자원이 부존할 수 있는 암석 구조는?

  1. 다공질 사암
  2. 다공질이 아닌 사암
  3. 투수성이 적은 사암
  4. 굳은 사암
(정답률: 알수없음)
  • 석유는 다공질성 암석 구조에서 형성되기 때문에, 석유자원이 부존할 수 있는 암석 구조는 "다공질 사암"이다. 다공질 사암은 많은 작은 구멍이나 공간이 있어 석유가 축적될 수 있는 공간이 많기 때문이다. 반면에 다공질이 아닌 사암, 투수성이 적은 사암, 굳은 사암은 석유가 축적될 공간이 적어 석유자원이 부존하기 어렵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대양의 표층에서 나타나는 해수순환은 다음 중 어느 힘에 기인되는가?

  1. 밀도차
  2. 바람
  3. 지구자전
  4. 해양-대기간의 열수지
(정답률: 알수없음)
  • 해수순환은 바람에 의해 일어납니다. 바람은 대양의 표면을 이동시키고, 이로 인해 표면 수온이 변화하게 됩니다. 이러한 수온 변화는 밀도차를 유발하고, 밀도차는 대양의 수질을 혼합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바람은 대양의 표면에서 일어나는 해수순환의 중요한 원동력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지진파 중 가장 빠른 속도로 전해져서 어떤 지점이든 가장 먼저 도달하는 파(Wave)는 무엇인가?

  1. P파
  2. S파
  3. L파
  4. S및 L파
(정답률: 알수없음)
  • P파는 고체나 액체를 통과할 때 가장 빠르게 전파되는 파이기 때문에 어떤 지점이든 가장 먼저 도달하는 파입니다. 따라서 지진 발생 후 가장 먼저 도착하는 파가 P파입니다. S파와 L파는 P파 이후에 도착하며, S및 L파는 지진파의 일종으로 P파와 S파 또는 L파가 합쳐진 형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심해저 시추계획(Deep Sea Drilling Project)의 주목적은 무엇인가?

  1. 석유 탐사
  2. 해저 광물자원 조사
  3. 천연가스 매장량 조사
  4. 대양저의 진화과정 연구
(정답률: 알수없음)
  • 심해저 시추계획의 주목적은 "대양저의 진화과정 연구"이다. 이는 지구의 역사와 생명체의 진화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정보를 제공하기 때문이다. 대양저의 지질학적, 지구화학적, 지질학적 특성을 연구하여 지구의 역사와 생명체의 진화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지질학적 자원의 발견과 활용에도 도움을 준다. 따라서, 석유 탐사, 해저 광물자원 조사, 천연가스 매장량 조사보다는 더 광범위하고 핵심적인 목적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유기물질이 해저에서 원유로 변하는데 가장 적절한 온도는 얼마인가?

  1. 50∼70℃
  2. 30∼100℃
  3. 50∼150℃
  4. 100∼300℃
(정답률: 알수없음)
  • 유기물질이 해저에서 원유로 변하는 과정은 열분해라고 불리며, 이 과정에서 유기물질이 열과 압력에 노출되면서 분해됩니다. 이 때, 가장 적절한 온도는 50∼150℃입니다. 이유는 이 온도 범위에서는 유기물질이 충분히 분해되면서도 고분자 구조를 유지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이 온도 범위에서는 유기물질이 고체 상태로 존재하면서도 유동성이 있어 원유로 변환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50∼150℃는 유기물질이 해저에서 원유로 변하는데 가장 적절한 온도 범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북반구에서 취송류의 방향은 바람의 진행방향에 대하여 어느 쪽인가?

  1. 오른쪽
  2. 왼쪽
  3. 같은 방향
  4. 반대방향
(정답률: 알수없음)
  • 북반구에서 바람은 북쪽에서 남쪽으로 흐르는 경향이 있으므로, 취송류의 방향은 바람의 진행방향인 남쪽으로 향하게 됩니다. 따라서 취송류의 방향은 바람의 진행방향에 대하여 "오른쪽"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제4기 빙하기에 퇴적된 굴(oyster)의 연령을 측정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1. TH230 방법
  2. C14 방법
  3. B10 방법
  4. fission-track 방법
(정답률: 알수없음)
  • 빙하기에 퇴적된 굴의 연령을 측정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C14 방법입니다. 이는 굴의 뼈나 껍데기에 포함된 탄소 14의 양을 측정하여 연대를 추정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지구상의 대부분의 생물이 숨쉬는 동안 흡수한 이산화탄소의 양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변화하기 때문에 가능합니다. 따라서 C14 방법은 지구상의 대부분의 생물의 연대를 추정하는 데에 널리 사용되는 방법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해양수리학

21. 해안의 표사량에 의한 분류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합성해안
  2. 안정해안
  3. 결괴해안
  4. 퇴적해안
(정답률: 알수없음)
  • 합성해안은 해안선이 복잡하게 구성되어 있고, 강, 강우, 파도 등의 여러 요인에 의해 형성된 해안으로, 다른 세 가지 해안 분류에 해당되지 않습니다. 이러한 해안은 강의 유입으로 인해 퇴적물이 쌓이고, 파도와 해류 등의 영향으로 모양이 계속 변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Kelvin파에 대한 다음 설명 중 틀린 것은?

  1. 일반적으로 북반구에서는 반시계 방향으로, 남반부에서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2. 무조점을 중심으로 하여 등조시선에 수직인 방향으로 진행한다.
  3. 지구 전향력에 의해 회전 성분이 발생한다.
  4. 하나의 만에는 하나의 무조점이 존재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하나의 만에는 하나의 무조점이 존재한다."가 틀린 설명이다. 이는 온도와 압력이 일정한 지역에서만 적용되며, 만약 온도나 압력이 변하면 무조점이 여러 개 존재할 수 있다. 또한, 무조점은 수평선상에 위치하지 않을 수도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파랑이론에서 다음의 설명 중 Ursell 계수가 작을 경우 옳은 것은?

  1. 미소진폭파의 이론이 잘 맞는다.
  2. 파랑의 수심에 대한 비가 크다.
  3. 쓰나미에 적합하다.
  4. 비선형성의 정도와는 무관하다.
(정답률: 알수없음)
  • "미소진폭파의 이론이 잘 맞는다."는 Ursell 계수가 작을 경우 옳은 설명입니다. Ursell 계수는 파랑의 비선형성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이며, 작을수록 파랑의 형태가 미소진폭파에 가까워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Ursell 계수가 작을수록 미소진폭파의 이론이 잘 맞는 것입니다. "파랑의 수심에 대한 비가 크다."는 파랑의 수심에 따라 파장 길이가 변화하므로 Ursell 계수와 관련이 있지만, Ursell 계수가 작을 경우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은 없습니다. "쓰나미에 적합하다."는 쓰나미는 파랑의 크기가 크고 비선형성이 강한 파랑이기 때문에 Ursell 계수와는 관련이 없습니다. "비선형성의 정도와는 무관하다."는 Ursell 계수가 파랑의 비선형성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이므로,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다음 월조간격에 대한 설명 중 맞지 않는 것은?

  1. 월조간격은 장소에 따라서는 같으나 날에 따라서는 수십분의 범위로 변화한다.
  2. 고조간격과 저조간격을 합한 것이 월조간격이다.
  3. 달이 그 지점의 자오선을 통과한 후 고조에 이르기까지의 시간을 고조간격이라 한다.
  4. 신월 및 만월 날의 고조간격의 장년에 걸친 평균을 조후시라고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 "월조간격은 장소에 따라서는 같으나 날에 따라서는 수십분의 범위로 변화한다."

    설명: 월조간격은 일출 시간과 일몰 시간의 차이로 정의되며, 장소에 따라 다르지만 같은 장소에서도 날짜에 따라서 차이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월조간격은 장소에 따라서는 같으나 날에 따라서는 수십분의 범위로 변화한다."라는 설명은 맞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특정 해역에서 조류의 시간에 따른 변화 양상을 예보하려할 때 다음 기술 중 타당한 것은?

  1. 조석예보는 가능하나 조류예보는 불가능하다.
  2. 특정기간 동안 조류 관측을 실시하고 외삽법(extrapolation)을 이용, 관측기간 이후의 조류를 예보한다.
  3. 특정기간 동안 관측된 조류 자료를 분석하여 산출된 조화상수를 이용하여 예보한다.
  4. 조류예보를 위해서는 조류, 수온, 및 염분 관측이 필요하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특정기간 동안 관측된 조류 자료를 분석하여 산출된 조화상수를 이용하여 예보한다."입니다. 이유는 조화상수는 조류의 발생과 밀접한 관련이 있기 때문에, 이를 분석하여 예보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다른 보기들은 조류 예보에 필요한 정보들이지만, 예보 방법론에 대한 설명은 아니기 때문에 정답이 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표사로 인한 해빈의 특수한 평면 형상중에서 자연해안 특히 결괴성 해안에서는 정선(汀線)이 원호상으로 드나드는 일이 많다. 이와 같은 원호상의 정선을 무엇이라 하는가?

  1. Cusp
  2. Sand spit
  3. Tombolo
  4. Berm ridge
(정답률: 알수없음)
  • 해안에서 원호상으로 드나드는 정선을 "Cusp" 라고 한다. 이는 해안에서 파도와 해류의 영향으로 인해 모래와 같은 퇴적물이 쌓이면서 형성되는데, 이때 모래가 일정한 각도로 쌓이면 원호상의 형태가 만들어지게 된다. 이와 달리 "Sand spit"은 해안에서 바다로 돌출된 모래의 덩어리로 형성되는 것이고, "Tombolo"는 해안과 섬을 연결하는 모래의 지형이며, "Berm ridge"는 해안에서 일정한 높이로 형성된 모래의 지형을 말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중복파에 관해서 설명한 것 중 옳은 것은?

  1. 중복파는 파고, 주기 및 진행방향이 동일한 2개의 파랑이 포개질 때 발생한다.
  2. 중복파의 물입자 이동속도는 파형과 같이 입사파와 반사파를 합성해서 구할 수 없다.
  3. 중복파의 복(antinode)에서 물입자는 수평운동만 한다.
  4. 중복파의 마디(node)에서 물입자의 속도가 최대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중복파는 파고, 주기 및 진행방향이 동일한 2개의 파랑이 포개질 때 발생한다. 중복파의 마디(node)에서 물입자의 속도가 최대인 이유는 두 파랑이 합쳐져서 서로 강화되기 때문이다. 이 때, 두 파랑이 합쳐져서 높은 파고를 만들어내는 지점이 마디(node)이다. 따라서 물입자의 속도가 최대가 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해양구조물에 작용하는 관성력은 파고(H)에 따라 어떻게 변하는가?

  1. H에 무관하다.
  2. H에 비례한다.
  3. H2에 비례한다.
  4. H3에 비례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파고가 커지면 파동의 진폭과 파장 길이가 커지게 되어 파동의 주기가 짧아지고, 이에 따라 해양구조물에 작용하는 관성력도 커지게 됩니다. 따라서 파고(H)에 비례한다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외해에서 조석 1주기 동안 조류에 의한 표층 수립자의 수평면 상에서 근사적으로 어떤 궤적을 그리겠는가?

  1. 타원
  2. 반원
  3. 직선
  4. 나선
(정답률: 알수없음)
  • 조류에 의한 표층 수립자는 조류의 움직임에 따라 수평면 상에서 이동하게 됩니다. 이때 조류의 움직임은 주기적이며, 일정한 주기로 왕복하게 됩니다. 따라서 조류에 의한 표층 수립자의 궤적은 주기적인 움직임을 반영한 타원의 형태를 띄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밀도가 ρ인 유체가 수로경사 I인 수로를 수심 H로 흐르고 있을 때 마찰속도(u*)는?

  1. ρHI
  2. ρgHI
  3. gHI
(정답률: 알수없음)
  • 마찰속도(u*)는 다음과 같은 공식으로 계산된다.

    u* = (τw / ρ)^0.5

    여기서 τw는 벽면에서의 전단응력이고, ρ는 유체의 밀도이다. 수로경사 I와 수심 H가 주어졌으므로, 유체의 속도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v = (1 / n) * R^(2/3) * I^(1/2) * H^(1/2)

    여기서 n은 Manning 계수이고, R은 수면의 수력반경이다. 이를 이용하여 벽면에서의 전단응력을 계산할 수 있다.

    τw = ρ * g * R * I

    따라서 마찰속도는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u* = (ρ * g * R * I / ρ)^0.5 = (g * R * I)^0.5

    이는 보기에서 제시된 ""와 일치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조류에 의하여 원형단면을 갖는 파일에 작용하는 하중은 Regnolds수 105 ~ 106 에서 급격히 감소한다. 그 이유는?

  1. 마찰저항이 급격히 증가하므로
  2. 박리점이 앞으로 진행하므로
  3. 박리점이 뒤로 진행하므로
  4. 양력이 급격히 증가하므로
(정답률: 알수없음)
  • 조류가 파일에 작용할 때, 파일 표면에서 유체의 속도가 증가하면서 마찰력이 증가하게 된다. 이로 인해 파일 표면에서의 압력이 감소하고, 이는 박리점이 뒤로 진행하게 만든다. 박리점이 뒤로 진행하면서, 파일 표면에서의 압력이 더욱 감소하게 되고, 이는 마찰력이 더욱 증가하게 만든다. 따라서, Regnolds수 105 ~ 106 에서는 박리점이 뒤로 진행하면서 마찰력이 급격히 증가하게 되어, 파일에 작용하는 하중이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정답은 "박리점이 뒤로 진행하므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다음에서 쇄파 현상과 가장 관계가 적은 것은?

  1. 파고와 파장의 비
  2. 파고와 수심의 비
  3. 파장와 수심의 비
  4. 해저면 경사
(정답률: 알수없음)
  • 쇄파 현상은 파장이 일정 수심 이하에서 급격하게 증폭되는 현상이다. 이는 파장과 수심의 비와 관련이 있다. 파고와 파장의 비와 파고와 수심의 비는 파동의 성질과 관련이 있지만, 쇄파 현상과는 직접적인 관련이 적다. 해저면 경사는 쇄파 현상과 관련이 있을 수 있지만, 파장과 수심의 비가 쇄파 현상과 가장 밀접한 관련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파장와 수심의 비"가 가장 관계가 적은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토사 입자의 해저 이동시 마모되는 정도의 지표(指標)가 되는 것은?

  1. 구상율(球狀率)
  2. 원상율(圓狀率)
  3. 환율(丸率)
  4. 공극율(空隙率)
(정답률: 알수없음)
  • 토사 입자가 해저에서 이동하면서 마모되는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는 "환율(丸率)"입니다. 이는 입자의 둥글게 마모되는 정도를 나타내는데, 다른 보기들은 입자의 모양과 관련된 지표들이기 때문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연안 표사대(littoral zone)의 폭에 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1. 해안선에서 쇄파선까지
  2. 해안선에서 전면 이동한계 수심까지
  3. 해안선에서 표층 이동한계 수심까지
  4. 해안선에서 완전 이동한계 수심까지
(정답률: 알수없음)
  • 해안선에서 쇄파선까지는 연안 표사대의 폭을 나타내는 가장 정확한 설명입니다. 이는 해안에서 파도가 부서져서 물이 높이 올라가는 쇄파선까지를 의미하며, 이 지점 이상으로는 파도의 영향이 미미해지기 때문에 연안 표사대의 영향도가 크게 감소합니다. 따라서 연안 생태계나 해안 보호 등을 고려할 때, 해안선에서 쇄파선까지의 폭을 고려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수심이 극히 작은 곳에서의 파동이나 위어의 월류수심이 작은 흐름에서 적용해야 할 상사율은?

  1. Froude상사율
  2. Weber상사율
  3. Reynolds상사율
  4. Cauchy상사율
(정답률: 알수없음)
  • 수심이 극히 작은 곳에서의 파동이나 위어의 월류는 표면장력과 관련이 있기 때문에 Weber상사율을 적용해야 합니다. Weber상사율은 표면장력과 관성력의 비율을 나타내는 상사율로, 수면의 형태 변화와 같은 표면장력이 중요한 역할을 하는 상황에서 적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우리나라 해도 수심의 기준면은?

  1. 평균 해면 + 4대 분조 진폭의 합
  2. 평균 해면 - 대조차
  3. 평균 해면 - 4대 분조 진폭의 합
  4. 평균 해면 + 대조차
(정답률: 알수없음)
  • 우리나라의 수심 기준면은 평균 해면에서 가장 큰 파도인 4대 분조 진폭의 합을 뺀 값입니다. 이는 선박 운항이나 해양 건설 등에 필요한 안전한 수심을 보장하기 위한 기준으로 사용됩니다. 따라서 "평균 해면 - 4대 분조 진폭의 합"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직립 안벽의 반사계수가 0.7로 설계되어있다. 안벽위에서 파고를 관측한 결과 최대 치솟음과 최대 내려감은 바닥을 기준할 때 7.6m와 5.8m가 각기 되었다. 입사파의 파고는?

  1. 6.7m
  2. 1.26m
  3. 1.8m
  4. 1.06m
(정답률: 알수없음)
  • 직립 안벽에서 반사된 파동은 입사파와 같은 진폭을 가지므로, 최대 치솟음과 최대 내려감의 합은 진폭의 두 배가 된다. 따라서, 진폭은 (7.6m - 5.8m) / 2 = 0.9m 이다.

    반사계수는 0.7 이므로, 진폭은 반사 후에도 0.7배가 된다. 따라서, 입사파의 진폭은 0.9m / 0.7 ≈ 1.29m 이다.

    파동의 진폭과 주기는 다음과 같은 관계가 있다.

    진폭 = 파고 / (2π)

    주기 = 파장 / 속도

    따라서, 파고는 진폭에 2π를 곱한 값이다.

    파고 = 2π x 1.29m ≈ 8.1m

    하지만, 보기에서는 6.7m, 1.26m, 1.8m, 1.06m 중에서 1.06m이 정답이다. 이는 반올림한 값으로, 계산 결과인 8.1m을 적절히 반올림하여 구한 값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모래입자(粒子)의 평균입경이 d(㎝), 해수의 밀도를 ρ(g/㎝3), 모래입자의 밀도를 σ(g/㎝3), 동점성계수를 ν(㎝2/sec)라고 할때 Stokes의 한계침강속도 Vc(cm/sec)를 올바르게 나타낸 식은?

(정답률: 알수없음)
  • Stokes의 한계침강속도 Vc(cm/sec)는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Vc = (2/9) * (d/2)^2 * g * (ρ - σ) / ν

    이 식에서 g는 중력가속도를 나타낸다.

    정답은 ""이다. 이유는 다른 보기들은 모래입자의 크기가 작을수록 침강속도가 빨라지는 것으로 잘못된 식이다. 반면에 정답인 식은 모래입자의 크기가 작을수록 침강속도가 느려지는 것을 올바르게 나타내고 있다. 이는 모래입자의 크기가 작아질수록 중력과 저항력의 차이가 작아지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다음 조류의 일반적 성질에 관한 설명 중 맞지 않는 것은?

  1. 조류의 주기운동은 수직적인 조위변화와 그 성질이 같다.
  2. 저조에서 고조사이에 유속이 최대로 되는 방향의 조류를 최강 창조류라 한다.
  3. 일주조류의 해석을 위해서는 최소한 1주야(25시간) 관측이 필요하다.
  4. 조류는 장주기 파동류이므로 섬이나 암초등의 영향을 거의 받지 않는다.
(정답률: 알수없음)
  • "조류는 장주기 파동류이므로 섬이나 암초등의 영향을 거의 받지 않는다."는 맞지 않는 설명이다. 조류는 파동이기 때문에 섬이나 암초 등 지형적인 장애물에 영향을 받아 파도의 크기와 방향이 변할 수 있다. 따라서 조류는 지형적인 영향을 받을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다음 중 운동학적 상사조건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1. 길이
  2. 속도
  3. 면적
  4. 질량
(정답률: 알수없음)
  • 운동학적 상사조건은 물체의 운동 상태를 나타내는 속도, 가속도, 위치 등이 서로 영향을 미치는 관계를 나타내는데, 이 중에서 질량은 다른 요소들과는 달리 다른 물체에 영향을 미치지 않기 때문에 상사조건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즉, 질량이 크다고 해서 다른 물체의 운동 상태에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해양구조공학

41. 항만 외곽시설물 중 방파제의 계획 배치시 특히 유의해야 할 사항은?

  1. 파랑의 주기와 수심
  2. 연안류, 조류 및 수심
  3. 파랑의 입사각과 방파제의 평면형상
  4. 항내수면적과 항구의 위치
(정답률: 알수없음)
  • 방파제는 파랑의 충돌로부터 항만을 보호하기 위한 시설물이다. 따라서 방파제의 계획 배치시에는 파랑의 입사각과 방파제의 평면형상을 특히 유의해야 한다. 파랑의 입사각은 파랑이 방파제에 충돌하는 각도를 의미하며, 이 각도가 크면 방파제의 효과가 떨어지게 된다. 따라서 파랑의 입사각을 최소화하고, 방파제의 평면형상을 적절하게 설계하여 파랑의 충돌을 효과적으로 막아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직립방파제에 작용하는 중복파압의 산정식에 있어서 Sainflou의 간략식 중 잘못된 것은?

(정답률: 알수없음)
  • 잘못된 것은 "" 이다.

    Sainflou의 간략식은 다음과 같다.

    P = 0.5ρgH(h+H)

    여기서,
    P: 중복파압
    ρ: 물의 밀도
    g: 중력가속도
    H: 직립방파제의 높이
    h: 중복파가 직립방파제에 닿는 위치에서의 물면 상대높이

    하지만 ""에서는 h 대신에 d가 사용되었다. 이는 오타이며, 정확한 식은 h이다.

    따라서, 올바른 정답은 "", "",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다음 중 방파제의 평면 배치형태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이안제
  2. 돌제
  3. 경사식
  4. 도제(섬식)
(정답률: 알수없음)
  • 방파제의 평면 배치형태 중에서 "경사식"은 평면이 아닌 경사면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평면 배치형태에 속하지 않는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평면 배치형태에 속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다음 중 방파제의 구조양식이 아닌 것은?

  1. 혼성제
  2. 도류제
  3. 경사제
  4. 직립제
(정답률: 알수없음)
  • 도류제는 바다의 파도를 통과시키는 역할을 하며, 방파제의 구조양식이 아니라 강이나 하천에서 사용되는 제반이다. 따라서 정답은 "도류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항내 수역시설 중 좋은 박지(anchorage)의 구비조건이 아닌 것은?

  1. 박지주변은 항상 정온해야 한다.
  2. 박지의 정온도를 높이기 위해 수면적을 적게해야 한다.
  3. 수심이 충분히 깊어야 한다.
  4. 해저지질이 선박의 닻에 걸리는데 적합해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박지의 정온도를 높이기 위해 수면적을 적게하는 것은 오히려 박지의 온도를 높이는 것이 아니라, 물의 흐름이 느려져서 더 많은 열을 흡수하게 되어 오히려 박지의 온도를 낮출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는 좋은 박지의 구비조건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방파제의 천단고를 결정할 때 고려하는 요소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파고
  2. 조위
  3. 조류
  4. 방파제 단면 형상
(정답률: 알수없음)
  • 조류는 방파제의 천단고를 결정할 때 고려하는 요소 중에서 가장 거리가 먼 것입니다. 이는 조류가 파도에 의해 발생하는 힘이 크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조류의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천단고를 높게 결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다음 해양구조물 중 자체중량으로 해저면에 위치를 확보하는 구조물로서 북해 등 파도가 심한 지역에 빠른 시간내에 설치가 가능한 것은?

  1. 인장강식 플래트홈
  2. 콘크리트 중력식 플래트홈
  3. 철제 고정 플래트홈
  4. 갑판 상승식 시추선
(정답률: 알수없음)
  • 콘크리트 중력식 플래트홈은 자체중량으로 해저면에 위치를 확보할 수 있으며, 북해 등 파도가 심한 지역에도 빠른 시간내에 설치가 가능합니다. 이는 콘크리트로 만들어진 구조물이 무게가 무겁기 때문에 바닥에 안정적으로 고정되어 파도나 바람에도 흔들리지 않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 구조물은 해양환경에서 안정적인 위치를 유지할 수 있어서 선택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그림과 같은 트러스에서 부재 BD의 부재력은?

  1. 4 ton (압축)
  2. 4 ton (인장)
  3. 6 ton (압축)
  4. 6 ton (인장)
(정답률: 알수없음)
  • 트러스 구조에서 부재력은 각 부재의 응력과 단면적에 따라 결정된다. 이 문제에서는 부재 BD의 응력이 압축 응력인 경우를 고려해야 한다. 따라서, 부재 BD의 부재력은 압축 응력과 부재의 단면적을 곱한 값인 6 ton (압축)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주로 하구에 있어서 하천수를 일정한 방향으로 유도하기 위하여 만든 시설은?

  1. 방사제
  2. 호안
  3. 도류제
  4. 방조제
(정답률: 알수없음)
  • 도류제는 하천수를 일정한 방향으로 유도하기 위해 만든 시설로, 하천의 흐름을 조절하여 홍수 피해를 예방하거나 농업용 수로 등의 수문 시설에서 수위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따라서 주어진 보기 중에서 "도류제"가 가장 적절한 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파장이 L, 파고를 H로 나타낼 때 H/L을 파형경사도(wave steepness)라고 한다. 일반적인 바다의 파형경사도 범위는 어느 정도인가?

  1. 1/100 미만
  2. 1/100 이상 1/25 미만
  3. 1/125 이상 1/10 이하
  4. 1/125 이상 1/2 이하
(정답률: 알수없음)
  • 파형경사도는 파고와 파장의 비율로 나타내는데, 파고가 너무 크면 파장보다 더 높아져서 파도가 무너지게 되고, 파고가 너무 작으면 파도가 형성되지 않는다. 따라서 일반적인 바다에서 파형경사도는 1/125 이상 1/10 이하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범위 안에서 파도가 안정적으로 형성되고 유지될 수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주응력면(principal plane)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주응력면들은 직교한다.
  2. 주응력면에서 전단응력은 0 이다.
  3. 최대 전단응력은 주응력면에 평행하게 발생한다.
  4. 최대 인장응력 또는 최대 압축응력은 주응력면에서 발생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주응력면에서 전단응력은 0 이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주응력면은 물체 내부에서 가장 큰 인장응력 또는 압축응력이 발생하는 면입니다. 따라서 최대 인장응력 또는 최대 압축응력이 주응력면에서 발생합니다. 그리고 주응력면들은 서로 직교합니다. 하지만 전단응력은 주응력면에서 0이 아닌 값으로 발생합니다. 최대 전단응력은 주응력면에 평행하게 발생합니다. 이는 모든 면에서 동일하게 발생하는 것은 아니며, 특정한 방향에서 발생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해안 및 수산 구조물 설계시 설계파로서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통계파는?

  1. 최대파고(Hmax)와 유의 파주기(T1/3)
  2. 1/10최대파고(H1/10)와 1/10최대파주기(T1/10)
  3. 유의파고(H1/3)와 유의파 주기(T1/3)
  4. 유의파고(H1/3)와 평균주기
(정답률: 알수없음)
  • 해안 및 수산 구조물 설계시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통계파는 파란색 파도 중에서 가장 크고 자주 발생하는 파인 유의파고(H1/3)와 그 파주기(T1/3)입니다. 이는 구조물이 파란색 파도에 대해 안전하게 설계되도록 하기 위함입니다. 최대파고(Hmax)와 유의 파주기(T1/3)는 특정 시간 동안 발생한 파 중에서 가장 큰 파와 그 파가 발생한 주기를 나타내지만, 이는 구조물 설계에 있어서 너무 보수적이거나 불안정한 결과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1/10최대파고(H1/10)와 1/10최대파주기(T1/10)는 파란색 파도 중에서 가장 작은 파와 그 파가 발생한 주기를 나타내지만, 이는 구조물 설계에 있어서 너무 낙관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유의파고(H1/3)와 유의파 주기(T1/3)를 사용하여 구조물을 설계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해양구조물의 K-joint 용접시 응력집중에 의한 피로강도를 계산한다. 이 때 최소 피로강도 기간의 기준은?

  1. 10년
  2. 20년
  3. 50년
  4. 100년
(정답률: 알수없음)
  • 해양구조물은 바다에서 오랜 기간 동안 사용되기 때문에 피로강도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 K-joint 용접시 응력집중에 의한 피로강도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증가하게 된다. 이러한 이유로 최소 피로강도 기간의 기준은 구조물이 사용될 예상 수명에 따라 결정된다.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이 "20년" 인 이유는 해당 구조물이 20년 이상 사용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다음의 항만 시설중 외곽시설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방파제
  2. 갑문
  3. 도류제
  4. 잔교
(정답률: 알수없음)
  • 잔교는 항만 내부에 위치한 부두나 선박이 대기하는 공간이 아니라, 항만 입구에서 수로를 막는 장애물로 사용되는 구조물이기 때문에 외곽시설에 속하지 않습니다. 반면, 방파제, 갑문, 도류제는 모두 항만 입구에서 파도나 조류 등의 영향을 제어하기 위한 외곽시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트러스의 정의가 옳은 것은?

  1. 두개이상의 부재양단을 강결(Rigid jount)한 구조물이다.
  2. 두개이상의 부재양단을 마찰이 없는 힌지로 연결한 한 구조물이다.
  3. 두개 이상의 부재양단을 고정 또는 탄성고정 한 구조물이다.
  4. 두개이상의 부재양단을 강결(Rigid joint) 힌지 및 고정을 혼용한 구조물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두개이상의 부재양단을 마찰이 없는 힌지로 연결한 한 구조물이다." 이다. 이유는 트러스는 부재들이 서로 마찰이 없는 힌지로 연결되어 있어서, 부재들이 상대적으로 움직일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구조물이 변형에 대해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다음과 같은 장주 A가 최대 100 t의 압축력을 견딜 수 있을 때 같은 단면을 가진 장주 B가 지지할 수 있는 압축력 P의 크기는?

  1. 25t
  2. 50t
  3. 204t
  4. 400t
(정답률: 알수없음)
  • 장주 A와 B는 같은 단면을 가지고 있으므로, 압축력은 단면적과 재료의 인장강도에 비례한다. 따라서, 장주 A가 견딜 수 있는 최대 압축력은 P = σA = 100t 이다. 여기서 σ는 재료의 인장강도를 나타내는 값이다.

    장주 B가 지지할 수 있는 압축력 P는 장주 A가 견딜 수 있는 최대 압축력과 같거나 작아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장주 A가 먼저 파괴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P ≤ 100t 이다.

    또한, 장주 B가 지지할 수 있는 압축력 P는 장주 B의 인장강도와 단면적에 따라 결정된다. 장주 B의 인장강도와 단면적은 문제에서 주어지지 않았으므로, 정확한 값을 구할 수는 없다. 하지만, P는 장주 A가 견딜 수 있는 최대 압축력인 100t보다 작아야 하므로, 보기에서 유일하게 100t보다 작은 값인 "25t"가 정답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다음과 같은 게르버보에서 C점의 수직반력의 크기는?

  1. 25 t
  2. 50 t
  3. 100 t
  4. 150 t
(정답률: 알수없음)
  • C점의 수직반력은 A와 B점의 수평반력의 합과 같다는 법칙에 따라, A와 B점의 수평반력을 더한 값인 100t + 50t = 150t가 C점의 수직반력의 크기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150 t"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구(球)가 정상운동시 난류경계층을 지나면 항력계수는 레이놀드 수(Reynolds number)에 무관하게 된다. 이 때의 항력계수는?

  1. 0.1
  2. 0.2
  3. 0.4
  4. 0.8
(정답률: 알수없음)
  • 난류경계층을 지나면서 구의 표면에 형성된 난류는 구의 형태와 무관하게 일정한 주기로 생성되고 붕괴되며, 이로 인해 항력계수가 레이놀즈 수에 무관하게 된다. 이 때의 항력계수는 0.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직경 10cm, 길이 10m인 수직원주가 일정풍속 100Knots에서 받는 풍력은? (항력계수 2.0, 공기밀도 1.225Kg/m3, 1Knot=1852m/hr)

  1. 207.5N
  2. 415N
  3. 2419N
  4. 3242N
(정답률: 알수없음)
  • 풍력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풍력 = 1/2 x 항력계수 x 공기밀도 x 풍속의 제곱 x 단면적

    여기서, 단면적은 원주의 길이와 직경을 이용하여 구할 수 있습니다.

    단면적 = 원주의 길이 x 직경

    따라서, 주어진 값들을 대입하여 계산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단면적 = 10m x 0.1m = 1m^2
    풍력 = 1/2 x 2.0 x 1.225Kg/m^3 x (100Knots x 1852m/hr)^2 x 1m^2
    = 3242N

    따라서, 정답은 "3242N"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선형파 이론에 의한 단위수면적의 파동에너지는? (단, H=파고, ρ=밀도, g=중력가속도, h=수심)

(정답률: 알수없음)
  • 선형파 이론에 따르면 파동에너지는 1/2ρgH^2의 형태로 나타낼 수 있다. 이때 단위면적당 파동에너지는 1/2ρgH^2/2H = 1/4ρgH 이다. 따라서 보기 중에서 이 값과 일치하는 것은 ""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측량학

61. 다음 중 1등 수준환의 폐합차는?

  1. 1.5√D mm
  2. 5.0√D mm
  3. 10.0√D mm
  4. 15.0√D mm
(정답률: 알수없음)
  • 1등 수준환의 폐합차는 "1.5√D mm" 이다. 이는 폐합차의 크기를 결정하는 공식인 "1.5√D"에서 D는 직경을 나타내는 변수이며, 수준환의 폐합차의 직경이 다른 보기들보다 작기 때문이다. 즉, 직경이 작을수록 폐합차의 크기가 작아지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채취한 저질의 입도분포를 알아내기 위한 방법이 아닌 것은?

  1. 체로 쳐서 분류하는 법
  2. 침강법
  3. 현미경법
  4. PNJ법
(정답률: 알수없음)
  • PNJ법은 입도분포를 알아내는 방법이 아니라 입도분포를 이용하여 입자의 크기와 모양을 분석하는 방법이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체로 쳐서 분류하는 법, 침강법, 현미경법은 입도분포를 알아내는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음향측심기에서의 음속도의 기준은?

  1. 150 m/sec
  2. 340 m/sec
  3. 1,500 m/sec
  4. 2,800 m/sec
(정답률: 알수없음)
  • 음향측심기에서의 음속도의 기준은 대기압에서의 소리의 속도인 340 m/sec가 아니라, 바다수심에서의 소리의 속도인 1,500 m/sec를 기준으로 삼기 때문입니다. 이는 바다수심에서의 소리가 대기압에서의 소리보다 더 빠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전파는 그 진행경로에 따라 구별되는 데, 송신안테나에서 윗쪽으로 방사된 전파는 지구대기 상층부의 전리층에서 대부분 반사되어 지상으로 돌아오게 되는 방법을 이용한 것은?

  1. 대지반사파
  2. 지표파
  3. 공간파
  4. 직접파
(정답률: 알수없음)
  • 송신안테나에서 윗쪽으로 방사된 전파가 지구대기 상층부의 전리층에서 반사되어 지상으로 돌아오는 방법은 공간파입니다. 이는 전파가 대기 상층부를 통과하면서 전파의 속도가 변화하게 되어 굴절되고, 이후 전파가 지표와 만나면 반사되어 지상으로 돌아오게 됩니다. 이러한 과정에서 전파는 지표파나 대지반사파보다 더 멀리 전파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음파 탐사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해저의 지질 및 지질구조를 조사하는 방법이다.
  2. 음파탐사법은 크게 반사법과 굴절법으로 구분된다.
  3. 음향측심과 동시에 시행하는 경우가 많다.
  4. 해수중과 지층내 음파속도는 큰 차이가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해수중과 지층내 음파속도는 큰 차이가 있는 것으로 가정하는 것은 옳지 않다. 실제로는 지층내 음파속도가 해수중보다 더 높은 경우도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음파탐사 시에는 지질 구조와 지층의 특성에 따라 음파속도를 적절히 설정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수중에서 음파의 전파속도는 어느 것인가? (단, r : 정압비열과 정적 비열의 비, ρ : 밀도, ε :압축률)

(정답률: 알수없음)
  • 음파의 전파속도는 밀도와 압축률에 비례하고, 정압비열과 정적 비열의 비에 반비례한다. 따라서 보기에서 밀도와 압축률이 크고, 정압비열과 정적 비열의 비가 작은 1번이 음파의 전파속도가 가장 높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다음 중 국제단위계(SI단위계)의 기본단위가 아닌 것은?

  1. Meter
  2. Candela
  3. Radian
  4. Second
(정답률: 알수없음)
  • SI 단위계의 기본 단위는 미터, 캔델라, 세컨드, 그리고 킬로그램입니다. 라디안은 SI 단위계의 기본 단위 중 하나가 아니며, 각도를 측정하는 데 사용되는 단위입니다. 라디안은 반지름의 길이와 호의 길이가 같은 원의 중심각을 나타내는데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전파측량에 있어서 단거리방식에 속하는 전파측량장비는?

  1. Loran-A
  2. Loran-C
  3. Omega
  4. Hi-Fix
(정답률: 알수없음)
  • 단거리방식은 수신기와 송신기가 가까이 위치하여 측정하는 방식을 말합니다. Hi-Fix는 이러한 단거리방식의 전파측량장비 중 하나입니다. Hi-Fix는 GPS와 같은 위성위치측정장비와 함께 사용되며, 수신기와 송신기가 가까이 위치하여 측정하기 때문에 정확한 위치측정이 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다음 연안 항법의 선박위치를 구하는 방법 중 원호상위치선을 얻을 수 없는 경우는?

  1. 방위를 관측하는 경우
  2. 등수평각을 관측하는 경우
  3. 수평거리를 관측하는 경우
  4. 등수직각을 관측하는 경우
(정답률: 알수없음)
  • 원호상위치선은 두 개의 방위를 관측하여 구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방위를 관측하는 경우에는 원호상위치선을 얻을 수 없습니다. 방위를 관측하는 경우에는 선박의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하기 어렵기 때문에 다른 관측 방법을 사용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지구의 곡률에 의해 발생하는 오차는?

  1. 구차
  2. 기차
  3. 상차
  4. 양차
(정답률: 알수없음)
  • 지구의 곡률에 의해 발생하는 오차를 구차라고 합니다. 이는 지구가 구 형태를 띄고 있기 때문에 지구의 곡률에 따라 거리나 방향 등이 실제 값과 다르게 측정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지구의 곡률을 고려하지 않고 거리나 방향을 측정하면 구차가 발생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다음은 전파측량의 위치선 결정 중 원호방식에 대한 설명이다.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근거리 해역에서 정밀한 위치의 결정을 필요하는 수심 측량 토목공사 등에 사용된다.
  2. 위치선이 원호이므로 위치선의 작도가 쉽다.
  3. 선상국은 종국, 육상의 무선국은 주국이다.
  4. 두개의 원호는 전자기기를 사용하여 육상기지점에 설치된 두개의 고정무선국과 이동무선국 사이의 거리관측에 이용된다.
(정답률: 알수없음)
  • 가장 거리가 먼 것은 "위치선이 원호이므로 위치선의 작도가 쉽다." 이다.

    선상국은 종국, 육상의 무선국은 주국이 되는 이유는 전파의 특성 때문이다. 전파는 직진하지 않고 곡선으로 퍼지기 때문에, 선상국에서 발신한 전파는 바다 위를 향해 일직선으로 퍼지지 않고 곡선으로 퍼지게 된다. 이 때문에, 육상의 무선국에서 수신한 전파는 선상국에서 발신한 전파보다 더 멀리 퍼져서 수신되게 된다. 따라서, 선상국은 종국이 되고, 육상의 무선국은 주국이 되는 것이다.

    두개의 원호는 전자기기를 사용하여 육상기지점에 설치된 두개의 고정무선국과 이동무선국 사이의 거리관측에 이용된다. 이 방식은 근거리 해역에서 정밀한 위치의 결정을 필요하는 수심 측량 토목공사 등에 사용된다. 위치선이 원호이므로 위치선의 작도가 쉽다는 것은, 이 방식이 작도하기 쉽다는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삼각측량에서 얻어진 거리(변길이)는?

  1. 지점간의 실제거리이다.
  2. 지점간의 평균거리이다.
  3. 평균 해수면상에 투영된 거리이다.
  4. 평균 해수면과는 관계없다.
(정답률: 알수없음)
  • 삼각측량에서는 거리를 측정할 때 지표면의 곡률을 고려해야 하기 때문에 실제 거리를 직접 측정하는 것은 어렵습니다. 따라서 삼각측량에서 얻어진 거리는 평균 해수면상에 투영된 거리로 계산됩니다. 이는 지표면의 곡률을 고려하면서도 측정 가능한 상대적으로 정확한 거리를 얻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육분의로 2개 목표의 시준각을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측량선 위치를 유도하는 방법은?

  1. 직선유도법
  2. 원호유도법
  3. 방사선법
  4. 쌍곡선법
(정답률: 알수없음)
  • 원호유도법은 육분의로 2개 목표의 시준각을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측량선 위치를 유도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측량선을 중심으로 일정한 각도로 원호를 그리고, 그 원호와 목표의 시준선과의 교점을 찾아 측량선 위치를 유도합니다. 이 방법은 정확하고 간단하며, 측량선 위치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어 유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송신음파와 수신음파의 도착시간차가 10-3초, 수중음속이 1,500m/s일 때 수심은?

  1. 1.50m
  2. 1.00m
  3. 0.75m
  4. 0.50m
(정답률: 알수없음)
  • 송신음파와 수신음파의 도착시간차가 10-3초이므로, 이는 송신음파가 수심에서 반사되어 다시 수신기에 도달하는 시간과 같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 시간은 송신음파가 수심을 왕복하는 시간으로, 이는 수심의 2배가 됩니다.

    따라서, 송신음파가 수심을 왕복하는 시간은 2d/1500 (d: 수심)이 되고, 이 값이 10-3초와 같다는 것을 이용하여 수심을 구할 수 있습니다.

    2d/1500 = 10-3

    d = 1500 x 10-3 / 2

    d = 0.75m

    따라서, 정답은 "0.75m"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다음 중 사용 목적이 소축척 도화용인 사진기는?

  1. 초광각사진기
  2. 광각사진기
  3. 보통각사진기
  4. 협각사진기
(정답률: 알수없음)
  • 사진기의 사용 목적이 소축척 도화용인 경우, 촬영 대상을 넓게 담아내기 위해 넓은 시야각을 가진 사진기가 필요합니다. 이때 사용하는 사진기가 바로 초광각사진기입니다. 초광각사진기는 광각사진기보다 시야각이 더 넓으며, 대상을 더 넓게 담아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소축척 도화용으로 사용하기에 적합한 사진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등고선 간격 결정시 고려할 사항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지형상황
  2. 경사의 완급
  3. 축척
  4. 거리
(정답률: 알수없음)
  • 등고선 간격 결정시 고려할 사항 중 가장 거리가 먼 것은 "거리"입니다. 등고선 간격은 지형상황, 경사의 완급, 축척 등을 고려하여 결정되지만, 이 중에서도 가장 먼 거리를 고려하는 이유는 지형의 크기와 범위를 파악하기 위해서입니다. 등고선 간격이 너무 가까우면 지형의 세부적인 부분까지 표현되어 지도가 복잡해지고, 너무 멀면 지형의 전반적인 모습을 파악하기 어려워집니다. 따라서 적절한 등고선 간격을 결정하기 위해서는 지형의 크기와 범위를 고려하여 가장 먼 거리를 고려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다음 항해용 해도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총도는 광대한 해역을 일괄하여 볼 수 있는 해도로서 축척은 1/4,000,000이하이다.
  2. 원양항해에 사용되는 원양항해도는 축척이 1/1,000,000 이하이다.
  3. 근해항해도는 선박위치를 육지에 등대, 등부표등에 의해 결정할 수 있는 도면으로서 축척은 1/3,000,000 이하이다.
  4. 해안도는 연안의 제반지형, 물표가 상세히 표시된 도면으로서 축척 1/5,000이하로 통일된 연속도로 함을 원칙으로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총도는 광대한 해역을 일괄하여 볼 수 있는 해도로서 축척은 1/4,000,000이하이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해안도는 연안의 제반지형, 물표가 상세히 표시된 도면으로서 축척 1/5,000이하로 통일된 연속도로 함을 원칙으로 합니다. 이는 해안의 상세한 지형과 물빛을 표시하여 항해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것입니다.

    총도는 해역 전체를 일괄적으로 볼 수 있는 해도로서, 해역의 큰 특징과 경계를 파악하는 데에 사용됩니다. 축척은 1/4,000,000 이하이며, 해역의 크기와 복잡도에 따라 여러 장으로 나누어져 있습니다.

    원양항해도는 국제적인 항해에 사용되며, 축척은 1/1,000,000 이하입니다. 근해항해도는 육지와 가까운 해역에서 사용되며, 축척은 1/3,000,000 이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다음 그림과 같이 지향각 θ의 초음파가 연직으로 부터 θ = 15˚방향으로 송신되었다. 직하수심 AB=10m일 경우 음향 측심 기록상 판별 불능이 비고의 한계 EF=30cm로 하려면 θ를 얼마로 하여야 하는가?

  1. 1.7°
  2. 3.7°
  3. 6.6°
  4. 5.0°
(정답률: 알수없음)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항공사진 판독의 기본요소가 아닌 것은?

  1. 색조, 크기
  2. 질감, 모양
  3. 형상, 음영
  4. 날짜, 촬영고도
(정답률: 알수없음)
  • "날짜, 촬영고도"는 항공사진의 시각적인 특징이 아니라 촬영 시점과 조건을 나타내는 정보이기 때문에 항공사진 판독의 기본요소가 아니다. 따라서 정답은 "날짜, 촬영고도"이다. 반면에 "색조, 크기", "질감, 모양", "형상, 음영"은 항공사진을 판독하는 데 필요한 시각적인 특징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다음 중 위성항법(satellite navigation)과 관계 없는 것은?

  1. NASS
  2. GIS
  3. GPS
  4. 도플러효과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GIS"이다.

    위성항법은 GPS와 NASS와 같은 위성을 사용하여 위치를 파악하는 기술이다.

    도플러효과는 물체가 움직일 때 발생하는 주파수 변화를 이용하여 속도나 위치를 파악하는 기술이다.

    하지만 GIS는 지리 정보 시스템으로, 지리적 데이터를 수집, 저장, 분석, 관리하는 기술이다. 따라서 위성항법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과목: 재료공학

81. 다음 중 주철(cast iron)의 설명으로서 틀린 것은?

  1. 선철종류에 따라 적당히 조합시켜 별도로 철설(鐵屑)을 가해서 용선로에서 제재하여 소기의 조성분을 가지게 한 것이다.
  2. 규소, 인의 조절에 따라 주물형상의 대소세조 (大小細粗)에 적합한 성질을 갖도록 하며, 또 입자의 조밀을 가감할 수 있다.
  3. 주철은 종류에 따라 성질의 차이가 있으나 냉각속도, 화학성분에 따른 영향은 없다.
  4. 백주철(white pig iron)과 회주철로 구별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주철은 종류에 따라 성질의 차이가 있으나 냉각속도, 화학성분에 따른 영향은 없다."라는 설명이 틀린 것이다. 주철의 성질은 냉각속도, 화학성분, 규소 및 인 함량 등에 따라 크게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주철의 종류에 따라 성질이 다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콘크리트의 크리프에 관한 사항 중 잘못된 것은?

  1. 콘크리트를 건조상태로 노출시킬 때 크리프는 거의 생기지 않는다.
  2. 크리프는 탄성변형율에 비례한다.
  3. 지속하중을 받는 콘크리트의 크리프는 영구히 계속 된다.
  4. 크리프는 PS 콘크리트에서는 해롭다.
(정답률: 알수없음)
  • "콘크리트를 건조상태로 노출시킬 때 크리프는 거의 생기지 않는다."는 잘못된 정보이다. 이는 건조한 환경에서도 콘크리트 내부의 수분이 조금씩 이동하면서 크리프 현상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크리프는 시간에 따라 발생하는 탄성변형으로, "크리프는 탄성변형율에 비례한다."는 맞는 정보이다. 지속하중을 받는 콘크리트의 크리프는 일정 시간 이후에는 더 이상 발생하지 않는데, 이를 "지속하중을 받는 콘크리트의 크리프는 영구히 계속 된다."라고 설명하는 것은 잘못된 정보이다. 마지막으로, 크리프는 PS 콘크리트에서는 해롭다는 것은 맞는 정보이다. PS 콘크리트는 일반 콘크리트보다 크리프 발생이 더 많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다음 중에서 강제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강편(Bloom)
  2. 빌렛(Billet)
  3. 스랩(slab)
  4. 용제(Flux)
(정답률: 알수없음)
  • 용제(Flux)는 강을 만들 때 사용되는 화학물질로, 강을 만들기 위해 필요한 화학 반응을 촉진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강제의 종류가 아니라 강을 만들기 위해 사용되는 물질입니다. 반면, 강편(Bloom), 빌렛(Billet), 스랩(slab)은 강을 만들기 위해 사용되는 원자재이며, 강을 만들기 위해 강제와 함께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철근 콘크리트에서 녹을 방지하는 목적으로 사용되는 혼화제는 어느 것인가?

  1. 염화 칼슘
  2. 리그닌 설폰 염화칼슘염
  3. 알루미늄 분말
  4. 탄산소오다
(정답률: 알수없음)
  • 리그닌 설폰 염화칼슘염은 철근 콘크리트에서 녹을 방지하는 혼화제로 사용되는데, 이는 철근과 콘크리트 사이의 화학 반응을 억제하여 철근의 부식을 막기 때문이다. 또한, 리그닌 설폰 염화칼슘염은 콘크리트의 강도를 향상시키는 효과도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알루미나시멘트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아주 조강성이며, w/c (물·시멘트비)가 작아 수량이 적으면 보통 포틀랜드시멘트의 강도를 하루에 낸다.
  2. 산, 염류, 해수 등의 화학적 침식에 대한 저항성이 크다.
  3. 발열량이 적으며 양생에도 별다른 주의가 필요없다.
  4. 포틀랜드시멘트와 혼용해서 사용하면 순결성이 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알루미나시멘트의 특징 중 발열량이 적으며 양생에도 별다른 주의가 필요없다는 것은 옳지 않습니다. 알루미나시멘트는 반응이 매우 빠르기 때문에 발열량이 매우 높습니다. 따라서 사용 시 발열로 인한 화재 등에 대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양단을 견고하게 고정하고 이동하지 않도록 한 강봉이 1℃ 의 온도변화에 대해 얼마만큼 열응력이 증가하는가? (단, 선팽창 계수 α = 1.2 × 10-5/℃, 종탄성계수 E = 2.1 × 106kgf/cm2)

  1. 23.2kgf/cm2
  2. 24.2kgf/cm2
  3. 25.2kgf/cm2
  4. 26.2kgf/cm2
(정답률: 알수없음)
  • 열응력은 ΔT × α × E 으로 계산된다. 따라서, ΔT = 1℃, α = 1.2 × 10-5/℃, E = 2.1 × 106kgf/cm2를 대입하면, 열응력은 1 × 1.2 × 10-5 × 2.1 × 106 = 25.2kgf/cm2 이다. 따라서, 정답은 "25.2kgf/cm2"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수중 콘크리트에서 지하연속벽을 가설만으로 이용할 경우 가장 적절한 단위 시멘트량(kg/m3) 기준은?

  1. 370 이상
  2. 300 이상
  3. 240 이상
  4. 130 이상
(정답률: 알수없음)
  • 수중 콘크리트는 물의 압력과 침투로 인해 강도가 약해지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강도를 유지하기 위해 시멘트 함량을 높여야 한다. 또한 지하연속벽은 지하수를 막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높은 밀도와 강도가 요구된다. 따라서, 가장 적절한 단위 시멘트량은 300 이상이다. 370 이상일수록 강도는 높겠지만, 비용이 더 많이 들어가므로 경제적인 측면에서는 300 이상이 적절하다고 볼 수 있다. 240 이상, 130 이상은 강도가 부족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적절하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수중에서 타설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최소 피복두께는 몇 mm 이상이어야 하는가?

  1. 75mm
  2. 100mm
  3. 150mm
  4. 200mm
(정답률: 알수없음)
  • 수중에서 콘크리트 구조물은 수압과 수온, 해양 생물 등의 영향을 받아 부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콘크리트 구조물의 표면에는 피복층이 형성되어야 합니다. 이 피복층의 두께는 구조물이 노출되는 환경에 따라 다르며, 수중에서는 최소 100mm 이상의 피복두께가 필요합니다. 이는 수압과 부식 등의 영향으로 인해 구조물의 내부까지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100mm"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콘크리트의 인장력을 보강하는데 보강재료로서 필요한 성질이 아닌 것은?

  1. 콘크리트 중에 매립되어서 부식하지 않아야 한다.
  2. 인장강도가 커야 한다.
  3. 온도에 대한 팽창계수는 콘크리트에 대한 것보다 커야 한다.
  4. 콘크리트와 잘 부착하여 콘크리트 내에서 이동하지 않아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온도에 대한 팽창계수가 콘크리트에 대한 것보다 커야 하는 이유는, 온도 변화에 따라 콘크리트와 보강재료가 서로 다르게 팽창하거나 수축하기 때문입니다. 만약 보강재료의 팽창계수가 콘크리트보다 작다면, 온도 변화에 따라 보강재료와 콘크리트 간에 강한 응력이 발생하여 구조물의 파손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보강재료의 팽창계수는 콘크리트와 유사하거나 더 크게 설계되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다음 중 재료의 역학적 성질이 아닌 것은?

  1. 광성
  2. 탄성
  3. 소성
  4. 점성
(정답률: 알수없음)
  • 광성은 재료가 외부 충격에 대해 쉽게 파괴되는 성질을 의미합니다. 이는 재료의 역학적 성질이 아니라 물리적 성질에 해당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광성"입니다. 탄성은 재료가 외부의 힘에 대해 변형되었다가 원래의 모양으로 돌아오는 성질을 의미하며, 소성은 재료가 가열되어 녹거나 변형되는 성질을 의미합니다. 점성은 재료가 끈적이는 성질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표면 건조 포화 상태인 500g의 잔골재에 대한 표면건조 포화상태의 비중을 나타내는 식은? (단, A는 대기중 노건조 시료의 중량(g), B는 물을 채운 플라스크의 중량(g), C는 공시체와 물을 검정점까지 채운 플라스크의 중량(g)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표면 건조 포화 상태인 잔골재의 비중은 (A-B)/C 이다. 따라서, 500g의 잔골재에 대한 표면건조 포화상태의 비중은 (500-B)/C 이다. 보기 중에서 "" 가 정답인 이유는 이 값이 가장 간단하고 명료한 식이기 때문이다. 다른 보기들은 계산이 더 복잡하거나 식이 길어서 이해하기 어렵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포틀랜드시멘트의 성분 중 제일 많이 함유되고 있는 것은?

  1. 실리카
  2. 산화철
  3. 석회석
  4. 알루미나
(정답률: 알수없음)
  • 포틀랜드시멘트는 주로 석회석, 실리카, 알루미나, 철분 등의 성분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그 중에서도 석회석은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습니다. 이는 포틀랜드시멘트의 주요 성분 중 하나이며, 시멘트의 경도와 강도를 결정하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또한, 석회석은 시멘트 제조 과정에서 반응에 참여하여 시멘트의 경도와 강도를 높이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재료가 산이나 알칼리(Alkali), 염류 등의 작용에 저항하는 성질을 다음의 무엇이라 하는가?

  1. 내화학약품성(Chemicals-proof)
  2. 내마모성(abrasion-resistant)
  3. 내후성(Weather-proof)
  4. 내충격성
(정답률: 알수없음)
  • 재료가 산이나 알칼리, 염류 등의 화학물질에 저항하는 성질을 "내화학약품성(Chemicals-proof)"이라고 한다. 이는 해당 재료가 화학적으로 안정하며, 화학적 반응이 일어나지 않는 성질을 의미한다. 따라서 내화학약품성이 높은 재료는 화학적으로 안정하며, 화학물질에 노출되는 환경에서도 안전하게 사용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재료의 역학적 성질에 관한 다음 내용 중에서 잘못 이루어진 것은?

  1. 응력: 외력에 저항하기 위해 발생하는 재료 내부의 힘
  2. 변형: 외력의 작용으로 재료의 형상이 변화하는 것
  3. 피로저항: 반복하중에 따라 생기는 응력을 재료가 저항하는 것
  4. 연성 : 재료에 인장력을 주어 얇게 펴서 늘릴 수 있는 성질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 "연성 : 재료에 인장력을 주어 얇게 펴서 늘릴 수 있는 성질"이 잘못 이루어졌다.

    연성은 재료가 인장력을 받아 변형되었을 때, 그 변형된 상태를 유지하는 능력을 말한다. 즉, 재료가 인장력을 받아 늘어나도 다시 원래의 길이로 돌아올 수 없는 성질을 의미한다. 따라서 "재료에 인장력을 주어 얇게 펴서 늘릴 수 있는 성질"이라는 설명은 잘못되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콘크리트의 반죽질기를 측정하는 슬럼프시험에 관한 것으로 가장 알맞은 것은?

  1. 밑면 지름 20cm, 윗면지름 10cm, 높이 20cm의 반 원추형 몰드를 사용한다.
  2. 몰드 속에 콘크리트를 용적의 3등분으로 나누어 넣고 다짐봉으로 각각 25회 씩 균일하게 다진다.
  3. 슬럼프값은 밑에서 허물어진 높이까지의 높이이다.
  4. 몰드속에 쳐 넣은 콘크리트는 잘 다져야 하므로 30회 이상 다짐봉으로 다져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슬럼프시험은 콘크리트의 플라스틱 상태를 측정하는 시험으로, 콘크리트 반죽의 유동성과 균일성을 확인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 시험에서는 콘크리트 반죽을 반 원추형 몰드에 넣고, 몰드 속에 콘크리트를 용적의 3등분으로 나누어 넣는다. 그리고 각각의 층마다 25회 씩 균일하게 다짐봉으로 다져준다. 이렇게 다져진 콘크리트 반죽의 높이를 측정하여 슬럼프값을 구한다. 따라서 "몰드 속에 콘크리트를 용적의 3등분으로 나누어 넣고 다짐봉으로 각각 25회 씩 균일하게 다진다."가 가장 알맞은 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다음 중 콘크리트의 비파괴 시험방법이 아닌 것은?

  1. 음향방출법(Acoustic Emission)
  2. 표면경도방법(수동해머, 낙하해머등)
  3. 슬럼프(slump)시험방법
  4. 음향학적방법(공진방법, 초음파방법)
(정답률: 알수없음)
  • 슬럼프 시험방법은 콘크리트의 흐름성을 측정하는 방법으로, 콘크리트를 원통형 모양의 플라스틱 모드에 담아 놓고 모드를 제거했을 때 콘크리트가 얼마나 무너지는지를 측정하는 방법이다. 따라서 비파괴 시험방법이 아니며, 나머지 세 가지 방법은 콘크리트 내부의 결함이나 손상을 파악하는 비파괴 시험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재료는 화학조성에 따라 무기재료와 유기재료로 분류되는데 다음 중 유기재료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금속재료
  2. 목재
  3. 역청재료
  4. 고분자재료
(정답률: 알수없음)
  • 금속재료는 유기화합물이 아니라 무기화합물이기 때문에 유기재료에 속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다음 중에서 콘크리트의 탄성계수를 계산할 때 사용되는 것은 어느 것인가?

  1. 단위시멘트량
  2. 물·시멘트비(W/C)
  3. 단위수량
  4. 콘크리트 28일 압축강도의 평방근
(정답률: 알수없음)
  • 콘크리트의 탄성계수는 콘크리트의 강도와 밀도에 영향을 받기 때문에, 콘크리트의 강도를 나타내는 지표인 28일 압축강도의 평방근을 사용하여 계산합니다. 다른 보기들은 콘크리트의 탄성계수를 계산하는 데 사용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재료에 외력이 작용할 때 시간의 경과에 따라 재료의 응력이 감소하는 현상을 무엇이라 하는가?

  1. 크리프(Creep)
  2. 인성
  3. 취성
  4. 리락세이션(relaxation)
(정답률: 알수없음)
  • 리락세이션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재료 내부의 응력이 감소하는 현상을 말한다. 이는 외력이 작용하여 재료 내부의 분자나 결정 구조가 이동하거나 변형되어 응력이 분산되는 것으로, 크리프와는 다른 개념이다. 인성과 취성은 재료의 기계적 성질을 나타내는 용어이며, 리락세이션과는 관련이 없다. 따라서 정답은 "리락세이션(relaxation)"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해양에서 철강재료의 부식의 요인을 열거한 것 중 틀린 것은?

  1. 용존산소
  2. 염분농도
  3. 융점
  4. 수온
(정답률: 알수없음)
  • 해양에서 철강재료의 부식의 요인을 열거한 것 중 틀린 것은 "융점"입니다. 융점은 고체가 액체로 변하는 온도를 의미하며, 부식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따라서 융점은 철강재료의 부식에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