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자계산기제어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3-03-10)

전자계산기제어산업기사
(2013-03-10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전자회로

1. 다음과 같은 연산증폭기회로의 출력으로 적합한 것은?

(정답률: 70%)
  • 정답은 ""입니다.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 입력 신호가 양수일 때: 입력 신호가 양수인 경우, Q1은 커지고 Q2는 작아져서 출력 신호가 양수로 증폭됩니다.
    - 입력 신호가 음수일 때: 입력 신호가 음수인 경우, Q1은 작아지고 Q2는 커져서 출력 신호가 양수로 증폭됩니다.

    즉, 입력 신호의 부호에 상관없이 출력 신호가 양수로 증폭되므로, 이 연산증폭기회로의 출력으로는 ""가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다음 회로의 파형으로 옳은 것은?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이다. 이유는 파형이 주기적으로 반복되는데, 이 파형은 양의 반주기와 음의 반주기가 있으며, ""는 이러한 양과 음의 반주기를 모두 포함하고 있기 때문이다. 다른 보기들은 양 또는 음의 반주기 중 하나를 빠뜨리거나, 파형이 불규칙하게 변하는 것으로 보아 옳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교차 일그러짐(crossover distortion) 현상은 어느 증폭기에서 발생하는가?

  1. A급 증폭기
  2. AB급 증폭기
  3. B급 증폭기
  4. A, B 및 AB급 증폭기 모두 교차 일그러짐 현상이 발생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교차 일그러짐 현상은 B급 증폭기에서 발생한다. 이는 B급 증폭기가 양 극성 신호의 일부를 잘라내기 때문이다. A급 증폭기와 AB급 증폭기는 양 극성 신호를 완전히 증폭하기 때문에 교차 일그러짐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여러 개의 신호들을 조합하여 하나의 신호를 선택하는 것은?

  1. 레지스터
  2. 버퍼
  3. 라인 트랜시버
  4. 디멀티플렉서
(정답률: 알수없음)
  • 디멀티플렉서는 여러 개의 입력 신호들 중에서 하나의 출력 신호를 선택하는 논리 회로를 말합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여러 개의 신호들을 조합하여 하나의 신호를 선택하는 것과 관련된 단어로 "디멀티플렉서"가 정답이 됩니다. 레지스터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 사용되며, 버퍼는 신호를 증폭하거나 전달하는 데 사용됩니다. 라인 트랜시버는 양방향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궤환이 걸리지 않을 때의 증폭회로의 전압이득을 A, 궤환율을 β라 할 때 발진 조건은?

  1. Aβ < 1
  2. A = -β
  3. Aβ ≥ 1
  4. A = β
(정답률: 알수없음)
  • 증폭회로의 전압이득 A는 입력신호와 출력신호의 비율로 정의되며, 궤환율 β는 출력신호와 입력신호의 비율로 정의된다. 따라서 Aβ는 입력신호와 출력신호의 비율의 제곱으로, 이 값이 1보다 작으면 출력신호가 입력신호보다 작아지므로 신호가 감쇠되어 발진이 일어나지 않는다. 따라서 발진 조건은 Aβ ≥ 1이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직·병렬저항 RC 이상형 발진회로의 발진 주파수로 옳은 것은?

  1. 직렬저항 RC 이상형 발진회로의 발진 주파수 :
  2. 직렬저항 RC 이상형 발진회로의 발진 주파수 :
  3. 병렬저항 RC 이상형 발진회로의 발진 주파수 :
  4. 병렬저항 RC 이상형 발진회로의 발진 주파수 :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병렬저항 RC 이상형 발진회로의 발진 주파수 : "입니다. 이유는 병렬저항 RC 회로에서는 전압이 고정되어 있고 전류가 변화하므로, 발진 주파수는 전류가 최대가 되는 주파수인 1/RC가 됩니다. 따라서 주어진 공식을 이용하여 계산하면 위와 같은 결과가 나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다음 회로는 어떤 목적에 이용될 수 있는가?

  1. 클램핑(Clamping)
  2. 클리핑(Clipping)
  3. 정류기(Rectifier)
  4. 변조(Modulation)
(정답률: 알수없음)
  • 이 회로는 입력 신호의 최대값과 최소값을 제한하는 클램핑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이 회로는 입력 신호의 크기를 제한하거나, 특정한 전압 범위에서만 신호를 처리하고자 할 때 사용될 수 있다. 클램핑은 입력 신호를 일정한 전압 범위로 제한하는 것이며, 이 회로에서는 양쪽 끝에 Zener 다이오드를 사용하여 입력 신호를 제한하고 있다. 따라서 이 회로의 목적은 클램핑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펄스 부호 변조 방식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샘플-홀드(sample-hole) 회로를 이용한다.
  2. 신호파의 진폭을 양자화하여 2진법으로 표현하는 방식이다.
  3. 펄스의 주기, 폭은 일정하고 진폭을 입력 신호 전압에 따라 변화시키는 방식이다.
  4. 신호 레벨의 증감을 △만큼 변화되는 계단파에 근사시키고 그것을 음양의 펄스로 변환시킨다.
(정답률: 알수없음)
  • 펄스 부호 변조 방식은 신호파의 진폭을 양자화하여 2진법으로 표현하는 방식입니다. 이 방식은 샘플-홀드 회로를 이용하여 입력 신호를 일정한 주기로 샘플링하고, 이를 양자화하여 2진법으로 표현합니다. 이렇게 변환된 2진 신호는 음양의 펄스로 변환되어 전송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신호파의 진폭을 양자화하여 2진법으로 표현하는 방식이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전압이득이 40[dB]인 저주파 증폭기에서 출력신호의 왜율이 10[%]일 때, 이를 1[%]로 개선하기 위해서는 부궤환율(β)은 얼마로 하여야 하는가?

  1. 0.01
  2. 0.03
  3. 0.05
  4. 0.09
(정답률: 알수없음)
  • 전압이득이 40[dB]이므로, 출력신호의 왜율은 1000배가 된다. 따라서, 출력신호의 왜율이 10[%]인 경우 입력신호의 왜율은 0.01[%]이다.

    부궤환율(β)은 출력신호와 입력신호의 비율이므로,

    β = 출력신호의 왜율 / 입력신호의 왜율 = 10[%] / 0.01[%] = 1000

    따라서, 부궤환율(β)은 1000이어야 한다.

    정답은 "0.09"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다음 FET 증폭회로의 전압증폭도는 약 얼마인가? (단, μ = 500, rd = 100[kΩ] 이다.)

  1. -15
  2. -24
  3. -32
  4. -45
(정답률: 알수없음)
  • 전압증폭도는 -gm x rd 이므로, gm을 구해야 한다.

    gm = 2 x μ x IDSS = 2 x 500 x 2.5[mA] = 2.5[S]

    전압증폭도 = -gm x rd = -2.5[S] x 100[kΩ] = -250

    따라서, 정답은 "-24"가 아닌 "-25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그림과 같은 발진회로에 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1. C와 R을 사용하여 부궤환으로 발진시키는 것이다.
  2. 다이나트론에 의한 부성저항과 C로 발진시킨 것이다.
  3. 발진을 계속하기 위해서는 증폭도가 29 이상이 되어야 한다.
  4. 컬렉터의 LC 동조회로를 C 및 R로 베이스에 결합한 것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발진 회로는 자체적으로 진동을 유지하는 회로이며, 이를 계속 유지하기 위해서는 진폭이 일정 이상 이상이어야 합니다. 이 회로에서는 증폭도가 29 이상이 되어야 발진이 계속 유지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다음 중 SSB 검파기로 사용되지 않는 것은?

  1. 비 검파기
  2. 링 검파기
  3. 승적 검파기
  4. 싱크로다인 검파기
(정답률: 알수없음)
  • 비 검파기는 SSB 검파기가 아니라 AM 또는 FM 검파기에서 사용되는 검파기이기 때문에 SSB 검파기로 사용되지 않는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SSB 검파기에서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전류 증폭률 α와 β에 관계식으로 옳지 않은 것은?

(정답률: 알수없음)
  • α와 β는 다음과 같은 관계식이 성립합니다.

    β = α / (1 - α)

    따라서 ""이 옳지 않습니다. 이유는 α와 β의 값이 1에 가까워질수록 분모가 0에 가까워지기 때문에, α가 1에 가까워지면 β는 매우 큰 값을 가지게 됩니다. 이는 전류 증폭기의 안정성을 해치게 되므로, α는 1에 가까워지지 않도록 설계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α = 0.98, ICO = 20[μA]의 값을 가지는 트랜지스터를 이미터 접지로 하면 컬렉터 차단전류 ICEO는 몇 [μA]로 되는가?

  1. 19.6[μA]
  2. 20[μA]
  3. 980[μA]
  4. 1000[μA]
(정답률: 알수없음)
  • 컬렉터 차단전류 ICEO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ICEO = α × ICO = 0.98 × 20[μA] = 19.6[μA]

    따라서 정답은 "19.6[μA]"이다.

    하지만 보기에서는 "1000[μA]"도 포함되어 있다. 이 값은 ICBO (컬렉터-베이스 차단전류)를 나타내는 값이다. 이 값은 베이스가 열린 상태에서 컬렉터와 에미터를 직접 연결했을 때의 전류를 나타내며, 일반적으로 ICBO는 ICEO보다 훨씬 큰 값이다. 따라서 "1000[μA]"는 이 문제와는 관련이 없는 값이므로 정답이 될 수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궤환증폭기에서 출력전압을 Vo, 출력전류를 Io, 입력전압을 Vs, 입력전류를 Is, 궤환전압을 Vf, 궤환전류를 If라고 할 때 궤환률(β)을 올바르게 표현한 것은?

  1. 직렬-전류 궤환회로는 β는 Vf/Io 이다.
  2. 직렬-전압 궤환회로는 β는 Vo/If 이다.
  3. 병렬-전압 궤환회로는 β는 Vf/Vo 이다.
  4. 병렬-전류 궤환회로는 β는 Io/If 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직렬-전류 궤환회로는 β는 Vf/Io 이다."이다.

    궤환증폭기는 입력신호를 증폭시키기 위해 궤환회로를 사용한다. 궤환회로는 특정한 조건에서 입력신호를 출력신호로 되돌려보내는 회로로, 이 때 궤환률(β)은 궤환전압(Vf)과 출력전류(Io)의 비율로 정의된다.

    직렬-전류 궤환회로에서는 입력신호와 출력신호가 직렬로 연결되어 있으며, 궤환전압은 입력전압과 출력전압의 차이로 발생한다. 따라서 궤환전압(Vf)은 입력전압(Vs)과 출력전압(Vo)의 차이로 표현할 수 있고, 궤환전류(If)는 출력전류(Io)와 같다. 이에 따라 궤환률(β)은 Vf/Io로 표현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그림과 같은 회로에서 RL에 4[mA] 전류를 흘려주려고 한다. RL 값은?

  1. 2.5 [kΩ]
  2. 4.5 [kΩ]
  3. 3.5 [kΩ]
  4. 5.5 [kΩ]
(정답률: 70%)
  • 오옴의 법칙에 따라 전압은 전체 전압인 9[V]이므로, RL에 걸리는 전압은 9[V] - 1.5[V] = 7.5[V]이다. 따라서 RL의 저항값은 전류 4[mA]와 전압 7.5[V]에 의해 RL = 7.5[V] / 4[mA] = 1.875[kΩ]이다. 그러나 RL은 2.5[kΩ]과 1[kΩ]이 병렬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병렬 저항 공식에 따라 RL = 1 / (1/2.5[kΩ] + 1/1[kΩ]) = 4.5[kΩ]이다. 따라서 정답은 "4.5 [kΩ]"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다음 중 신호의 일그러짐이 가장 적고 안정한 증폭기는?

  1. A급
  2. B급
  3. C급
  4. AB급
(정답률: 알수없음)
  • A급 증폭기는 입력 신호의 전압이 증폭기의 전압 공급 범위 내에서 변화할 때, 출력 신호의 일그러짐이 가장 적고 안정하게 증폭되기 때문입니다. 이는 A급 증폭기가 입력 신호의 왜곡을 최소화하고, 정확한 출력 신호를 생성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A급 증폭기는 오디오 및 음향 장비에서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다음 회로에서 Zener에 인가되는 전압은 몇 [V] 인가? (단, Vo = -10.3[V] 이다.)

  1. -4.3[V]
  2. -5.3[V]
  3. 15.3[V]
  4. 9.3[V]
(정답률: 70%)
  • Zener 다이오드는 역방향 전압이 일정한 값을 유지하도록 설계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Zener 다이오드에 인가되는 전압은 -5.3[V] 입니다. 이는 Vo가 -10.3[V] 이므로, Zener 다이오드를 통해 흐르는 전류가 5[V]가 되도록 설계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단일 증폭기와 비교한 B급 푸시풀 증폭기의 특징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효율이 더 높다.
  2. 더 큰 출력을 얻는다.
  3. 전원의 맥동에 의한 잡음이 제거된다.
  4. 기수 고조파에 의한 일그러짐이 감소된다.
(정답률: 알수없음)
  • 기수 고조파에 의한 일그러짐이 감소된다는 것은 B급 푸시풀 증폭기가 입력 신호를 왜곡 없이 출력으로 전달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B급 푸시풀 증폭기가 더욱 정확하고 깨끗한 출력을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단일 증폭기보다 더욱 적합하다는 것을 나타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다음 중 상보대칭(complementary symmetry) SEPP 회로의 장점은?

  1. 같은 크기의 부하일 경우 DEPP 보다 출력이 크다.
  2. 단전원 방식일 경우 DEPP 보다 컬렉터 공급 전원이 높다.
  3. 위상 반전 회로가 불필요하다.
  4. 입력 회로가 복잡하지 않다.
(정답률: 46%)
  • 상보대칭 SEPP 회로는 출력 신호의 위상이 180도 반전되는 것이 아니라, 부하 측에서는 입력 신호와 같은 위상을 유지하면서 출력 신호가 생성되기 때문에 위상 반전 회로가 필요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위상 반전 회로를 추가로 구성할 필요가 없어서 입력 회로가 덜 복잡해지는 장점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디지털공학

21. 5비트 레지스터에 부호-2의 보수로 나타낸 2진 정보 11010 이 들어있다. 이것을 좌향 산술 시프트했을 때 결과는?

  1. 10101
  2. 01010
  3. 10100
  4. 01100
(정답률: 알수없음)
  • 2진수 11010을 부호-2의 보수로 나타내면 -6이 된다. 좌향 산술 시프트는 각 비트를 왼쪽으로 한 칸씩 이동시키고, 가장 왼쪽 비트는 0으로 채우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11010을 좌향 산술 시프트하면 10100이 된다. 이유는 11010을 왼쪽으로 한 칸씩 이동시키면 10100이 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다음 불(Boolean) 식을 간단히 한 결과 Y는?

  1. Y = A + B + C
  2. Y = A ⦁ B ⦁ C
  3. Y = B ⦁ C
  4. Y = A ⦁ (B + C)
(정답률: 알수없음)
  • AND 게이트는 입력이 모두 참일 때 출력이 참이 되는 논리 게이트이다. 따라서, A와 (B+C)가 AND 게이트의 입력으로 들어가고, 이 둘 중 하나라도 거짓이면 출력은 거짓이 된다. 이에 따라 Y는 A가 참이고 B와 C 중 적어도 하나가 참일 때 참이 되므로, Y = A ⦁ (B + C)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다음 진리표(truth table)를 간략히 한 결과 Y는?

(정답률: 91%)
  • Y는 OR 연산자이므로 입력값 중 하나라도 1이면 출력값이 1이 된다. 따라서, 입력값 A가 1이고 입력값 B가 0일 때 Y가 1이 되므로 ""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A = 0101, B = 1000의 두 3초과코드 수를 합산한 결과는?

  1. 0101
  2. 1010
  3. 1000
  4. 0111
(정답률: 40%)
  • A와 B의 두 3초과 코드 수를 합산하면 "1010"이 됩니다. 이유는 A의 3초과 코드 수는 "01"이고, B의 3초과 코드 수는 "10"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01"과 "10"을 합산하면 "11"이 되고, 이를 이진수로 표현하면 "1010"이 됩니다. 보기에서 "1010"이 정답인 이유는 A와 B의 3초과 코드 수를 합산한 결과가 "1010"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2비트 두 수 A(A1 A2)와 B(B1 B2)의 크기를 비교해서 3개의 출력 X(A>B),Y(A=B), Z(A<B)를 출력하는 비교기의 논리함수를 구하면?

  1. X = A1B1′+(A1⊕B1)′A2B2
    Y = (A1⊕B1)′ (A2⊕B2)′
    Z = A1′B1 + (A1⊕B1)′A2′B2
  2. X = A1B1′+(A1⊕B1)′A2B2
    Y = (A1⊕B1) (A2⊕B2)
    Z = A1′B1 + (A1⊕B1)A2′B2
  3. X = A1B1+(A1⊕B1)′A2′B2
    Y = (A1⊕B1) (A2⊕B2)
    Z = A1′B1 + (A1⊕B1)A2′B2
  4. X = A1B1′+(A1⊕B1)A2B2
    Y = (A1⊕B1)′ (A2⊕B2)′
    Z = A1′B1 + (A1⊕B1)A2′B2
(정답률: 알수없음)
  • 두 수 A와 B를 비교하는 경우, 먼저 A1과 B1을 비교하여 A가 더 크면 X=1, A와 B가 같으면 Y=1, B가 더 크면 Z=1이 된다. 만약 A1과 B1이 같은 경우, A2와 B2를 비교하여 A가 더 크면 X=1, A와 B가 같으면 Y=1, B가 더 크면 Z=1이 된다.

    따라서, X는 A1B1′+(A1⊕B1)′A2B2′, Y는 (A1⊕B1)′ (A2⊕B2)′, Z는 A1′B1 + (A1⊕B1)′A2′B2이다. 이유는 X는 A1이 B1보다 크거나, A1과 B1이 같고 A2가 B2보다 큰 경우에 1이 되기 때문이고, Y는 A와 B가 같은 경우에 1이 되기 때문이다. 마지막으로, Z는 A1이 B1보다 작거나, A1과 B1이 같고 A2가 B2보다 작은 경우에 1이 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Shift register 안에 있는 binary number가 5번 Shift left 되었다. 현재 nimber 크기는 다음 중 어느 것에 해당되는가? (단, shift register의 길이는 충분하며 shift-in 되는 bit는 모두 0 이다.)

  1. 맨 처음 binary number × 5
  2. 맨 처음 binary number ÷ 5
  3. 맨 처음 binary number × 32
  4. 맨 처음 binary number ÷ 32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맨 처음 binary number × 32" 이다.

    Shift register 안에 있는 binary number가 5번 Shift left 되었다는 것은, 맨 처음 binary number가 5번 왼쪽으로 이동하여 0으로 채워진 5개의 비트가 추가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때, 2진수에서 한 자리를 왼쪽으로 이동하면 2배가 되므로, 5번 왼쪽으로 이동하면 원래 수의 2의 5승(32)배가 된다. 따라서 현재 number 크기는 "맨 처음 binary number × 32"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그림과 같은 회로도의 출력 F는?

(정답률: 알수없음)
  • 이 회로는 AND 게이트와 OR 게이트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AND 게이트는 입력이 모두 1일 때 출력이 1이 되고, 그 외에는 모두 0이 됩니다. OR 게이트는 입력 중에 하나 이상이 1일 때 출력이 1이 되고, 그 외에는 모두 0이 됩니다.

    따라서, 입력 A와 B가 모두 1일 때 AND 게이트의 출력이 1이 되고, 입력 C와 D가 모두 1일 때도 AND 게이트의 출력이 1이 됩니다. 이 두 개의 AND 게이트의 출력이 OR 게이트의 입력으로 들어가므로, 둘 중 하나 이상이 1일 때 OR 게이트의 출력이 1이 됩니다.

    따라서, 입력 A, B, C, D 중에서 적어도 두 개가 1일 때 출력 F가 1이 되므로, 정답은 ""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다음 회로를 NOR 회로로 변경한 것으로 옳은 것은?

(정답률: 알수없음)
  • 변경된 회로는 NOR 게이트로 구성되어 있다. NOR 게이트는 입력 중 하나 이상이 1일 때 출력이 0이 되는 논리 게이트이다. 따라서, AND 게이트의 출력이 0일 때 NOR 게이트의 출력은 1이 되어야 하므로, AND 게이트의 출력을 NOR 게이트의 입력으로 연결하고, NOR 게이트의 출력을 인버터로 연결하여 구현할 수 있다. 따라서, 정답은 ""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레즈스터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순차논리회로의 일종이다.
  2. 병렬레지스터는 데이터 저장과 연산에 사용된다.
  3. 시프트레지스터는 종속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4. 직렬데이터를 병렬데이터로 변환할 수도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병렬레지스터는 데이터 저장과 연산에 사용된다."가 틀린 것은 아니다.

    병렬레지스터는 여러 개의 레지스터를 병렬로 연결한 것으로, 데이터를 한 번에 여러 비트씩 처리할 수 있어 데이터 저장과 연산에 매우 유용하게 사용된다. 따라서 "병렬레지스터는 데이터 저장과 연산에 사용된다."는 맞는 설명이다.

    따라서 정답은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그림의 디코더 X, Y에 각각 “1”와 “0”이 입력되었을 때 “1”을 출력하는 단자는?

  1. Z0
  2. Z1
  3. Z2
  4. Z3
(정답률: 알수없음)
  • 디코더는 입력된 비트 패턴에 해당하는 출력 단자를 활성화시키는데, 이 경우 X와 Y가 각각 1과 0이므로 2번째 출력 단자인 Z2가 활성화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Z2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논리식 중 옳지 않은 것은?

  1. A + 0 = A
  2. A ⦁ 1 = A
  3. AB + AB = AB
  4. A(B + C) = AC
(정답률: 알수없음)
  • 옳지 않은 논리식은 "AB + AB = AB"입니다. 이는 분배법칙을 잘못 적용한 것으로, 올바른 식은 "AB + AB = A(B + B) = A⦁1B = AB"입니다.

    "A(B + C) = AC"는 분배법칙을 올바르게 적용한 식입니다. A를 B + C에 분배하면 AB + AC가 되는데, 이를 AC로 간소화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Exclusive-NOR gate의 출력값은?

(정답률: 알수없음)
  • Exclusive-NOR 게이트는 두 입력이 같으면 1을 출력하고, 다르면 0을 출력합니다. 따라서, 입력 A와 입력 B가 모두 0 또는 모두 1일 때 출력값은 1이 되고, 그 외의 경우에는 0이 됩니다. 그러므로, ""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디코더의 출력 선이 8개라면 입력 선은 몇 개인가?

  1. 1
  2. 2
  3. 3
  4. 4
(정답률: 알수없음)
  • 디코더의 출력 선이 8개라면 입력 선은 3개이다. 이는 2의 3승이 8이기 때문이다. 즉, 입력 신호는 3비트로 표현되며, 이를 디코더가 해석하여 8개의 출력 신호를 생성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그림과 같은 구성도는 어떤 형의 플립플롭인가?

  1. D 플립플롭
  2. T 플립플롭
  3. RS 플립플롭
  4. JK 플립플롭
(정답률: 알수없음)
  • 이 구성도는 D 플립플롭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D 플립플롭은 데이터 입력(D)과 클럭 입력(C)을 받아서 이전 상태를 기억하고, 클럭 신호가 들어올 때마다 데이터 입력을 출력으로 내보내는 순차 논리 회로입니다. 이 구성도에서는 D 플립플롭이 두 개 연결되어 있어서, 하나의 플립플롭의 출력이 다른 플립플롭의 입력으로 들어가는 형태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렇게 연결된 D 플립플롭은 2비트의 이진수를 기억하고, 클럭 신호가 들어올 때마다 1씩 증가하는 카운터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6비트 D/A 변환기의 백분율 분해능은?

  1. 약 0.15[%]
  2. 약 1.59[%]
  3. 약 15.9[%]
  4. 약 159[%]
(정답률: 알수없음)
  • 6비트 D/A 변환기는 2^6 = 64개의 서로 다른 출력 값을 가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변환기의 분해능은 1/64, 즉 약 1.56% 입니다. 하지만 이 값은 백분율로 표현할 때 약 1.59%로 반올림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약 1.59%"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한 번 기록한 데이터를 빠른 속도로 읽을 수 있찌만 다시 기록할 수 없는 메모리는?

  1. RAM
  2. ROM
  3. 레지스터
  4. 주소
(정답률: 50%)
  • ROM은 Read-Only Memory의 약자로, 한 번 기록한 데이터를 빠른 속도로 읽을 수 있지만 다시 기록할 수 없는 메모리이다. 따라서 데이터를 저장하고 유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메모리 중에서는 ROM이 해당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다음 2진수를 16진수로 나타낸 것은?

  1. 2C6B.E98(16)
  2. 2C6B.E91(16)
  3. B1A2.E98(16)
  4. B1A2.E91(16)
(정답률: 알수없음)
  • 주어진 2진수를 4자리씩 끊어서 16진수로 변환하면 다음과 같다.

    1100 1100 0110 1011 . 1110 1001 1000

    이를 16진수로 나타내면 2C6B.E98 이 된다. 이유는 2C6B은 앞부분 4자리인 1100을 16진수로 나타낸 것이고, 뒷부분 4자리인 0110, 1011을 16진수로 나타낸 것이다. 또한, 소수점 뒷부분인 1110, 1001, 1000은 16진수로 변환하여 E98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A>B 일 때 Y = 1인 회로는?

(정답률: 알수없음)
  • A와 B 중 하나가 1이면 AND 게이트의 출력은 0이 되고, 다른 하나가 0이면 OR 게이트의 출력은 1이 된다. 따라서 Y = 1이 되는 경우는 A = 1이고 B = 0인 경우뿐이다. 이를 만족하는 회로는 ""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그림과 같은 다이오드 회로의 논리식으로 옳은 것은? (단, 정논리임)

(정답률: 알수없음)
  • 다이오드는 전류가 한 방향으로만 흐를 수 있기 때문에, 입력 A와 B 중 하나가 1이 되면 다이오드를 통해 출력이 1이 되고, 둘 다 0이면 출력이 0이 된다. 따라서 출력은 A와 B 중 적어도 하나가 1일 때 1이 되므로 ""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2개의 레벨 트리거 플립플롭이 직렬로 연결된 구성을 갖는 플립플롭은?

  1. T
  2. RS
  3. M/S
  4. JK
(정답률: 알수없음)
  • 두 개의 레벨 트리거 플립플롭이 직렬로 연결된 구성을 갖는 플립플롭은 "M/S"이다. 이는 Master-Slave 구성을 의미하며, 첫 번째 플립플롭이 Master 역할을 하고 두 번째 플립플롭이 Slave 역할을 한다. Master 플립플롭의 출력이 Slave 플립플롭의 입력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Master 플립플롭이 클럭 신호를 받으면 Slave 플립플롭도 같은 클럭 신호를 받아 동기화된 동작을 수행한다. 이러한 구성은 더 높은 비트 수의 레지스터를 구성할 때 유용하게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마이크로프로세서

41. 다음 중 타이머/카운터의 기능이 아닌 것은?

  1. 메모리의 번지를 증감시키는 기능
  2. 하나의 출력과 다음 출력간의 시간을 계산하는 기능
  3. 직렬 포트로 보레이트(Baud Rate)를 발생시키는 기능
  4. 일정 시간을 같은 출력으로 유지하는 기능
(정답률: 알수없음)
  • 일정 시간을 같은 출력으로 유지하는 기능은 타이머/카운터의 기능 중 하나입니다.

    하지만 "메모리의 번지를 증감시키는 기능"은 타이머/카운터의 기능이 아닙니다. 이는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변수를 다룰 때 사용하는 연산자 중 하나인데, 변수의 메모리 주소를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키는 기능입니다. 따라서 타이머/카운터와는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두 지점 간의 직렬 데이터 전송 방법이 아닌 것은?

  1. 단방향(Simplex) 전송
  2. 반이중(Half-Duplex) 전송
  3. 전이증(Full-Duplex) 전송
  4. 스토로빙(Strogbing) 전송
(정답률: 알수없음)
  • 스토로빙(Strogbing) 전송은 실제로는 데이터를 직렬로 전송하는 방법이 아니라, 병렬로 전송하는 방법이기 때문에 직렬 데이터 전송 방법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CPU가 어떤 작업을 하고 있는 중에 외부로부터의 요구가 있으면 그 작업을 잠시 중단하고 요구된 일을 처리한 후에 다시 원래의 작업으로 되돌오오는 기능은?

  1. DMA
  2. interrupt
  3. time sharing
  4. subroutine
(정답률: 알수없음)
  • CPU가 현재 수행 중인 작업을 중단하고 외부에서 발생한 요구를 처리하기 위해 들어오는 신호를 interrupt라고 합니다. 따라서, CPU가 다른 작업을 수행하다가 interrupt가 발생하면 해당 요구를 처리한 후에 다시 원래의 작업으로 돌아가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직렬통신 방식 중 “1”은 –3V ~ -15V, “0”은 +3V ~ +15V 사이의 전압 신호로 구현되는 방식은?

  1. RS-232C
  2. RS-422
  3. RS-423
  4. IEEE-488
(정답률: 알수없음)
  • RS-232C는 직렬통신 방식 중에서 전압 신호의 크기와 극성이 정해져 있으며, “1”은 –3V ~ -15V, “0”은 +3V ~ +15V 사이의 전압 신호로 구현되는 방식이기 때문에 정답이다. RS-422와 RS-423는 차이 신호 방식으로, 전압 신호의 크기와 극성이 정해져 있지 않다. IEEE-488은 병렬통신 방식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플래그 레지스터(Flag Register)중에서 연산명령 실행 후 영향 받는 레지스터는?

  1. 디렉션 플래그(Direction Flag)
  2. 인터럽트 플래그(Interrupt Flag)
  3. 패리티 플래그(Parity Flag)
  4. 트랩 플래그(Trap Flag)
(정답률: 알수없음)
  • 패리티 플래그는 연산 결과의 비트 수 중에서 1의 개수가 짝수이면 1, 홀수이면 0으로 설정되는 플래그이다. 따라서 연산명령 실행 후 영향을 받는 레지스터는 연산 결과의 비트 수가 짝수인 경우에만 패리티 플래그가 1로 설정되므로, 패리티 플래그가 영향을 받는 레지스터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AD 변환기 중 속도와 정확도 등 종합선능이 좋아 가장 많이 사용하는 방식은?

  1. 병렬 비교 방식
  2. 카운터 비교기 방식
  3. 2중 적분 방식
  4. 순차 근이 방식
(정답률: 알수없음)
  • 순차 근이 방식은 입력 신호를 하나씩 처리하면서 변환을 수행하기 때문에 속도는 느리지만, 변환 과정에서 오차가 적어 정확도가 높습니다. 따라서 종합선능이 좋아 가장 많이 사용하는 방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UART 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UART의 원어는 Universal Asynchronous Receiver Transmitter 이다.
  2. Start bit가 필요하다.
  3. 8비트 UART의 구성은 1개의 Start bit, 8개의 Data bit, 1개의 Stop bit 이다.
  4. 9비트 UART의 구성은 1개의 Start bit, 9개의 Data bit 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9비트 UART의 구성은 1개의 Start bit, 9개의 Data bit 이다." 이다. 이유는 UART에서는 데이터를 전송할 때 Start bit로 시작하여 Data bit을 전송하고 Stop bit으로 끝나는데, Start bit과 Stop bit을 포함하여 전체 비트 수가 10비트가 되므로 9비트 UART는 존재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다중-인터럽트 선들을 사용하는 방식에 대한 설명과 거리가 먼 것은?

  1. 각 I/O 제어기와 CPU 사이의 별도의 인터럽트 요구(interrupt request : INTR) 선과 인터럽트 확인(interrupt acknowledge : INTA) 선을 접속하는 방법이다.
  2. CPU가 인터럽트를 요구한 장치를 쉽게 찾아낼 수 있다.
  3. 하드웨어가 복잡하고, 접속 가능한 I/O 장치들의 수가 CPU의 인터럽트 요구 입력 핀의 수에 의해 제한된다.
  4. CPU가 모든 I/O 제어기들에 접속된 TEST I/O 선을 이용하여 인터럽트를 요구한 장치를 검사하는 방식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CPU가 모든 I/O 제어기들에 접속된 TEST I/O 선을 이용하여 인터럽트를 요구한 장치를 검사하는 방식이다." 이유는 다중-인터럽트 선들을 사용하는 방식은 각 I/O 제어기와 CPU 사이의 별도의 인터럽트 요구(INTR) 선과 인터럽트 확인(INTA) 선을 접속하는 방법이며, CPU가 인터럽트를 요구한 장치를 쉽게 찾아낼 수 있다는 것은 다중-인터럽트 선들을 사용하는 방식과 공통점이다. 하지만 다중-인터럽트 선들을 사용하는 방식은 TEST I/O 선을 이용하여 검사하는 방식이므로 하드웨어가 복잡하고, 접속 가능한 I/O 장치들의 수가 CPU의 인터럽트 요구 입력 핀의 수에 의해 제한된다는 차이점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마이크로프로세서의 기억 장치에 기억 장소를 식별하기 쉽도록 기억 장소마다 번호가 붙여져 있다. 이 번호를 무엇이라 하는가?

  1. byte
  2. bit
  3. location
  4. address
(정답률: 알수없음)
  • 기억 장치에서 각 기억 장소를 식별하기 위해 붙여진 번호를 "address" 라고 한다. 이는 해당 기억 장소의 위치를 나타내며, 프로세서가 데이터를 읽거나 쓸 때 해당 위치를 참조하여 작업을 수행한다. 따라서, "address"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다음 레지스터의 내용을 오른쪽으로 3번 이동(SHIFT RIGHT) 시켰다. 실제로 이 레지스터는 무엇을 하였는가?

  1. Multiplied by 4
  2. Divide by 3
  3. Added 400
  4. Divide by 8
(정답률: 알수없음)
  • 이 레지스터는 모든 비트를 오른쪽으로 3번 이동시켰기 때문에, 모든 값이 2의 3승(8)으로 나누어졌다. 따라서 "Divide by 8"이 정답이다.

    - "Multiplied by 4": 왼쪽으로 2번 시프트해야 곱하기 4와 같아진다.
    - "Divide by 3": 이진수에서 3으로 나누는 것은 불가능하다.
    - "Added 400": 이진수에서 400을 더하는 것은 복잡하다.
    - "Divide by 8": 모든 비트를 오른쪽으로 3번 시프트하면 2의 3승(8)으로 나누어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마이크로프로세서 명령어 사이클의 순서가 옳은 것은?

  1. 명령어 패치 ⇒ 명령어 실행 ⇒ 명령어 해독
  2. 명령어 해독 ⇒ 명령어 패치 ⇒ 명령어 실행
  3. 명령어 실행 ⇒ 명령어 해독 ⇒ 명령어 패치
  4. 명령어 패치 ⇒ 명령어 해독 ⇒ 명령어 실행
(정답률: 알수없음)
  • 옳은 순서는 "명령어 패치 ⇒ 명령어 해독 ⇒ 명령어 실행"이다.

    명령어 패치는 메모리에서 다음 실행할 명령어를 가져와서 프로세서 내부의 명령어 레지스터에 저장하는 과정이다.

    명령어 해독은 명령어 레지스터에 저장된 명령어를 해독하여 해당 명령어가 어떤 동작을 수행해야 하는지 결정하는 과정이다.

    명령어 실행은 명령어 해독 결과에 따라 실제로 명령어가 수행되는 과정이다.

    따라서, 명령어 패치가 먼저 이루어져야 다음 실행할 명령어를 가져올 수 있으므로, "명령어 패치 ⇒ 명령어 해독 ⇒ 명령어 실행"이 옳은 순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마이크로프로세서의 내부 버스와 거리가 먼 것은?

  1. 주소 버스
  2. 명령 버스
  3. 데이터 버스
  4. 제어 버스
(정답률: 알수없음)
  • 내부 버스 중에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명령 버스입니다. 이는 CPU가 명령어를 실행하기 위해 필요한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버스로, 다른 버스들과는 달리 CPU 내부에서만 사용되기 때문에 다른 버스들보다 거리가 먼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주기억 장치에서 캐시 메모리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매핑 프로세서
  2. 스토어
  3. 로드
  4. 세이브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로드"이다.

    주기억 장치와 캐시 메모리는 속도 차이가 크기 때문에 캐시 메모리에 필요한 데이터를 미리 가져와 놓는 것이 효율적이다. 이때, 캐시 메모리에 데이터를 가져오는 과정을 "로드"라고 한다.

    "매핑 프로세서"는 캐시 메모리와 주기억 장치 간의 데이터 전송을 관리하는 장치로, 캐시 메모리의 주소와 주기억 장치의 주소를 매핑하여 데이터 전송을 수행한다. 따라서 이 문제와는 관련이 없다.

    "스토어"는 캐시 메모리에 있는 데이터를 주기억 장치에 저장하는 것을 의미하고, "세이브"는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저장하는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인터럽트 발생 시 프로그램 카운터(PC)에 기억되어지는 주소는?

  1. 사전에 설정된 주소
  2. 서브루틴의 시행될 주소
  3. 프로그램이 시작되는 원래(Origin) 주소
  4. 동작이 중단된 프로그램으로 다시 돌아갈 주소
(정답률: 64%)
  • 인터럽트는 현재 실행 중인 프로그램의 실행을 중단시키고, 다른 작업을 처리한 후에 원래의 프로그램으로 돌아가게 됩니다. 따라서 인터럽트 발생 시에는 현재 실행 중인 프로그램의 주소를 기억해야 합니다. 이때 기억되는 주소는 "동작이 중단된 프로그램으로 다시 돌아갈 주소"입니다. 이 주소는 인터럽트 처리가 끝난 후에 프로그램이 다시 실행될 위치를 가리키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마이크로컴퓨터에서 자료의 표현 단위로 옳게 나열된 것은?

  1. 비트-1bit, 니블-4bit, 바이트-8bit
  2. 비트-1bit, 바이트-4bit, 니블-8bit
  3. 니블-1bit, 비트-4bit, 바이트-8bit
  4. 니블-1bit, 바이트-4bit, 비트-8bit
(정답률: 알수없음)
  • 마이크로컴퓨터에서는 0과 1로 이루어진 비트(bit) 단위로 자료를 표현한다. 4개의 비트를 묶어서 표현하는 것을 니블(nibble)이라 하고, 8개의 비트를 묶어서 표현하는 것을 바이트(byte)라고 한다. 따라서, 옳은 답은 "비트-1bit, 니블-4bit, 바이트-8bit"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입력범위가 –10[V] ~ +10[V]에 이르는 8비트 AD변환기가 있다고 가정하자. 어떤 아날로그 입력이 가해져서 AD변환을 하여 Digital로 변환된 값이 128이었다면 AD변환기 입력단에 가해진 전압은?

  1. -10[V]
  2. -5[V]
  3. 0[V]
  4. +5[V]
(정답률: 64%)
  • 8비트 AD변환기는 0~255까지의 값을 표현할 수 있으므로, 128은 전체 입력 범위의 중간값인 0[V]에 해당한다. 따라서 입력 전압은 0[V]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인터럽트에 의한 처리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정전으로 인한 전원 차단시 보조 전원을 이용, 메모리 내의 내요을 보관해야 하는 경우
  2. 주변장치들이 중앙처리장치에게 입출력 동작을 요구한 경우
  3. 사용자 프로그램이 부 프로그램을 호출하는 경우
  4. 연산 중 오버플로우 혹은 언더플로우가 발생하는 경우
(정답률: 50%)
  • "사용자 프로그램이 부 프로그램을 호출하는 경우"는 인터럽트에 의한 처리와는 관련이 없는 일반적인 프로그램 실행 과정이기 때문에 인터럽트에 의한 처리로 적합하지 않습니다. 인터럽트는 예기치 않은 상황이 발생했을 때 중단되어 처리되는 것이므로, 프로그램 실행 과정에서 예측 가능한 부분에 대해서는 인터럽트를 사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전원이 차단되어도 데이터는 그대로 유지할 수 있고, 마이크로프로세서에서 직접 읽기 쓰기가 가능한 소자는?

  1. ROM
  2. RAM
  3. EEPROM
  4. Relay
(정답률: 알수없음)
  • EEPROM은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의 약자로, 전원이 차단되어도 데이터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고, 마이크로프로세서에서 직접 읽기 쓰기가 가능한 소자입니다. 이는 ROM과는 달리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수정할 수 있어 유연성이 높고, RAM과는 달리 전원이 차단되어도 데이터가 유지되어 안정성이 높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명령 코드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명령 코드는 실행도리 동작 부분만을 기술한다.
  2. 하나의 동작코드는 마이크로 동작의 집합으로 볼 수 있으므로 매크로 동작이라고 한다.
  3. 명령 코드는 컴퓨터에 어떤 특별한 동작을 수행할 것을 알리는 비트들의 집합이다.
  4. 동작은 컴퓨터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어의 일부로서 컴퓨터에게 특수한 동작을 실해하도록 명령하는 2진 코드이다.
(정답률: 67%)
  • "하나의 동작코드는 마이크로 동작의 집합으로 볼 수 있으므로 매크로 동작이라고 한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매크로 동작은 하나의 명령 코드에 대한 대체 실행 코드를 의미하며, 마이크로 동작은 명령 코드의 실행을 위해 필요한 최소한의 동작 단위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매크로 동작은 여러 개의 마이크로 동작으로 이루어질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다음 중 A/D를 이용하여 만들 수 있는 장치가 아닌 것은?

  1. 접점(Relay) 출력
  2. 온도값 입력
  3. 광량 측정
  4. 전압 측정
(정답률: 알수없음)
  • A/D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장치이므로, "접점(Relay) 출력"은 디지털 신호가 아니기 때문에 A/D를 이용하여 만들 수 없다. 접점 출력은 스위치나 버튼 등의 입력 신호를 처리하여 출력하는 것으로, 디지털 출력 장치인 D/A를 이용하여 만들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프로그래밍언어

61. 컴파일 과정 중에서 프로그램의 각 문장을 토큰으로 구분하는 단계는?

  1. 어휘분석 단계
  2. 구문분석 단계
  3. 의미 단계
  4. 코드 최적화 단계
(정답률: 알수없음)
  • 어휘분석 단계는 프로그램의 각 문장을 토큰으로 구분하는 단계입니다. 이 단계에서는 프로그램의 소스코드를 읽어들여 각각의 단어나 기호들을 토큰으로 분리하고, 이들을 분류하여 어휘 테이블에 저장합니다. 이렇게 분리된 토큰들은 이후의 구문분석 단계에서 문장의 구조를 분석하는 데 사용됩니다. 따라서 어휘분석 단계는 컴파일 과정에서 가장 먼저 수행되는 단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고급 언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번역 과정 없이 직접 실행 가능하다.
  2. 사람 중심의 언어이다.
  3. 상이한 기계에서 별다른 수정 없이 실행 가능하다.
  4. 프로그램을 작성하거나 이해하기 쉽다.
(정답률: 알수없음)
  • "번역 과정 없이 직접 실행 가능하다."는 고급 언어의 특징이 아니라 저급 언어의 특징이다. 고급 언어는 사람 중심의 언어이며, 프로그램을 작성하거나 이해하기 쉽다는 특징이 있다. 또한, 상이한 기계에서 별다른 수정 없이 실행 가능하다는 것은 고급 언어의 특징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C 언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구조적 프로그래밍이 가능하다.
  2. 이식성이 높은 언어이다.
  3. 시스템 소프트웨어를 작성하기에 편리하다.
  4. 기계어에 해당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기계어에 해당한다는 설명이 옳지 않습니다. C 언어는 고급 언어로, 기계어보다 추상화된 수준에서 프로그래밍이 가능합니다. C 언어로 작성한 코드는 컴파일러에 의해 기계어로 변환되어 실행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어셈블리어에서 어떤 기호적 이름에 상수 값을 할당하는 명령은?

  1. ORG
  2. ASSUME
  3. INCLUDE
  4. EQU
(정답률: 90%)
  • "EQU"는 상수 값을 할당하는 명령어이다. "ORG"는 시작 주소를 설정하는 명령어, "ASSUME"은 세그먼트 레지스터를 설정하는 명령어, "INCLUDE"는 다른 파일을 포함하는 명령어이다. 따라서, "EQU"가 상수 값을 할당하는 명령어인 이유는 다른 명령어와는 목적이 다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어셈블리어에서 서브루틴을 호출하는 명령은?

  1. LOOPE
  2. JMP
  3. CALL
  4. LOOP
(정답률: 90%)
  • 서브루틴을 호출하는 명령은 "CALL"이다. CALL 명령은 현재 실행 중인 프로그램의 흐름을 서브루틴으로 전환시키고, 서브루틴이 실행을 마치면 다시 원래의 프로그램으로 돌아오게 된다. 이를 통해 코드의 재사용성과 구조화가 가능해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원시 프로그램을 기계어 프로그램으로 번역하는 대신에 기존의 고수준 컴파일러 언어로 전환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은?

  1. 링키지 에디터(linkage editor)
  2. 인터프리터(interpreter)
  3. 컴파일러(compiler)
  4. 프리프로세서(preprocessor)
(정답률: 80%)
  • 프리프로세서는 원시 프로그램을 기계어 프로그램으로 번역하는 것이 아니라, 기존의 고수준 컴파일러 언어로 전환하는 역할을 수행합니다. 이는 전처리 과정으로, 소스 코드를 수정하거나 확장하는 등의 작업을 수행하여 컴파일러가 더 나은 코드를 생성할 수 있도록 돕는 역할을 합니다. 예를 들어, C언어에서 #include와 같은 전처리 지시자를 사용하여 다른 파일의 코드를 가져와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전처리 작업을 수행하는 것이 바로 프리프로세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C 언어에서 사용하는 기억클래스가 아닌 것은?

  1. AUTOMATIC
  2. REGISTER
  3. STATIC
  4. INTERNAL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INTERNAL"입니다.

    C 언어에서 사용하는 기억 클래스는 "AUTOMATIC", "REGISTER", "STATIC" 세 가지입니다.

    - "AUTOMATIC"은 함수 내에서 선언된 지역 변수를 의미합니다.
    - "REGISTER"는 변수를 레지스터에 할당하도록 지시하는 키워드입니다.
    - "STATIC"은 전역 변수와 같이 프로그램이 종료될 때까지 메모리에 유지되는 변수를 의미합니다.

    반면에 "INTERNAL"은 C 언어에서 사용되지 않는 기억 클래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예약어에 대한 설명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대부분의 언어는 핵심어를 예약어로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while, if 등은 변수로 지정할 수 없다.
  2. 프로그램 판독성이 증가한다.
  3. 프로그램의 신뢰성을 향상시켜 줄 수 있다.
  4. 프로그램에서 변수명으로 사용할 수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예약어는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이미 정해져 있는 특별한 의미를 가진 단어이기 때문에 변수명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하지만 예약어를 변수명으로 사용하지 않으면 프로그램의 가독성이 증가하고, 예약어와 변수명이 구분되어 프로그램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따라서 예약어를 변수명으로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하지만 일부 언어에서는 예약어를 변수명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경우도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컴파일러의 컴파일 단계를 바르게 나열한 것은?

  1. 어휘분석 → 구문분석 → 코드 최적화 → 중간코드 → 목적코드
  2. 어휘분석 → 구문분석 → 중간코드 → 코드 최적화 → 목적코드
  3. 어휘분석 → 구문분석 → 중간코드 → 목적코드 → 코드 최적화
  4. 구문분석 → 어휘분석 → 코드 최적화 → 중간코드 → 목적코드
(정답률: 알수없음)
  • 컴파일러의 컴파일 단계는 다음과 같이 진행됩니다.

    1. 어휘분석: 소스코드를 토큰으로 분리하고, 각 토큰의 의미를 파악합니다.
    2. 구문분석: 토큰들을 문법적으로 해석하여 추상 구문 트리(Abstract Syntax Tree)를 생성합니다.
    3. 중간코드: 추상 구문 트리를 바탕으로 중간코드를 생성합니다.
    4. 코드 최적화: 중간코드를 분석하여 실행 속도나 메모리 사용량 등을 최적화합니다.
    5. 목적코드: 최적화된 중간코드를 기계어로 변환하여 목적코드를 생성합니다.

    따라서, 올바른 단계의 나열은 "어휘분석 → 구문분석 → 중간코드 → 코드 최적화 → 목적코드"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C 언어에서 반드시 포함해야 하는 것은?

  1. 주석문
  2. maiin 함수
  3. 출력문
  4. 할당문
(정답률: 알수없음)
  • C 언어에서 프로그램의 시작점을 나타내는 것은 main 함수이다. 따라서 C 언어 프로그램에서 반드시 포함해야 하는 것은 main 함수이다. main 함수는 프로그램이 실행될 때 가장 먼저 호출되는 함수로, 프로그램의 실행 흐름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main 함수가 없으면 프로그램이 실행될 수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어셈블리어에서 라이브러리에 기억된 내용을 프로시저로 정의하여 서브루틴으로 사용하는 것과 같이 사용할 수 있도록 그 내용을 현재의 프로그램 내에 포함시켜 주는 명령은?

  1. EXTRN
  2. ORG
  3. SEGMENT
  4. INCLUDE
(정답률: 알수없음)
  • "INCLUDE" 명령은 어셈블리어에서 다른 파일에 저장된 코드나 데이터를 현재의 프로그램 내에 포함시켜 주는 명령입니다. 이를 통해 라이브러리에 저장된 내용을 프로그램에서 서브루틴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만들어 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어셈블리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고급 프로그램과 비교할 때 실행 속도가 빠르다.
  2. 기계어를 사용하기 쉽도록 만든 기호화 언어이다.
  3. 컴퓨터 기종마다 공통된 프로그램을 사용할 수 있다.
  4. 기계어보다 프로그램 작성하기가 쉽다.
(정답률: 94%)
  • 컴퓨터 기종마다 공통된 프로그램을 사용할 수 있다는 설명은 옳지 않습니다. 각각의 컴퓨터 아키텍처마다 다른 어셈블리어가 존재하기 때문에, 특정한 컴퓨터 아키텍처에서 작성한 어셈블리어 프로그램은 다른 아키텍처에서는 동작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어셈블리어 프로그램을 작성할 때는 대상 컴퓨터 아키텍처에 맞는 어셈블리어를 사용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C 언어에서 사용되는 이스케이프 시퀀스와 그 의미의 연결이 옳지 않은 것은?

  1. \r : carriage return
  2. \t : rab
  3. \n : new lline
  4. \b : null character
(정답률: 75%)
  • 정답은 "\t : rab"입니다.

    이스케이프 시퀀스는 문자열 안에서 특수한 의미를 가지는 문자들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됩니다. 이스케이프 시퀀스는 백슬래시()와 함께 사용되며, 다양한 기능을 수행합니다.

    - r : carriage return - 커서를 현재 라인의 맨 앞으로 이동시킵니다.
    - t : tab - 탭 문자를 삽입합니다.
    - n : new line - 커서를 다음 라인으로 이동시킵니다.
    - b : backspace - 커서를 한 칸 왼쪽으로 이동시킵니다.

    따라서, "\b : null character"가 정답이 아닌 이유는, b가 null character를 나타내는 것이 아니라 backspace를 나타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어셈블리어 명령에서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것은?

  1. EJECT
  2. ASSUME
  3. EXTERN
  4. PUBLIC
(정답률: 알수없음)
  • "EJECT"는 프린터에서 용지를 배출하는 명령어이다. 그림에서는 프린터와 관련된 명령어들이 모여있는 것을 볼 수 있으며, "ASSUME", "EXTERN", "PUBLIC"은 변수나 라벨 등의 선언과 관련된 명령어이다. 따라서 "EJECT"가 정답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기계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프로그램의 유지보수가 용이하다.
  2. 호환성이 없고 기계마다 언어가 다르다.
  3. 2진수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표현한다.
  4. 프로그램의 실행 속도가 빠르다.
(정답률: 알수없음)
  • 기계어는 호환성이 없고 기계마다 언어가 다르다는 것이 옳지 않은 설명이다. 기계어는 각각의 CPU 아키텍처에 맞게 설계되어 있기 때문에 호환성이 없을 수는 있지만, 대부분의 CPU는 비슷한 구조를 가지고 있어서 호환성 문제는 크게 발생하지 않는다.

    프로그램의 유지보수가 용이한 이유는 기계어가 사람이 이해하기 어렵기 때문에, 보통 고급 언어로 작성된 프로그램을 기계어로 번역하는 컴파일러를 사용한다. 이렇게 번역된 기계어 코드는 사람이 이해하기 어렵기 때문에, 프로그램의 수정이나 유지보수가 어렵다. 하지만 고급 언어로 작성된 프로그램은 사람이 이해하기 쉽기 때문에, 수정이나 유지보수가 용이하다. 따라서 기계어로 작성된 프로그램은 유지보수가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C 언어에서 데이터 형식을 규정하는 서술자로서의 의미가 옳지 않은 것은?

  1. %x : 16진수 정수
  2. %s : 문자열
  3. %c : 문자
  4. %d : 8진수 정수
(정답률: 알수없음)
  • "%d : 8진수 정수"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d"는 10진수 정수를 나타내는 서술자이며, 8진수를 나타내는 서술자는 "%o"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어셈블리어에서 논리적인 비교와 결과가 양수 또는 음수인지를 검사하여 상태 레지스터의 상태 비트를 설정하는 명령은?

  1. LEA
  2. TEST
  3. CWD
  4. NEG
(정답률: 70%)
  • TEST 명령은 비트 논리 연산을 수행하고, 결과가 0이면 상태 레지스터의 ZF 비트를 설정하고, 결과가 양수이면 SF 비트를 0으로, CF 비트를 0으로 설정하고, 결과가 음수이면 SF 비트를 1로 설정한다. 따라서 논리적인 비교와 결과가 양수 또는 음수인지를 검사하여 상태 레지스터의 상태 비트를 설정하는 명령은 TEST이다. LEA는 주소 계산을 수행하는 명령, CWD는 AX 레지스터의 부호 확장을 수행하는 명령, NEG는 2의 보수를 취하는 명령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BNF 표기법에서 정의를 나타내는 기호는?

  1. |
  2. ::=
  3. < >
  4. { }
(정답률: 알수없음)
  • BNF 표기법에서 정의를 나타내는 기호는 "::="입니다. 이는 우측에 있는 기호가 좌측에 있는 기호를 정의한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즉, "::="은 좌측에 있는 기호가 우측에 있는 기호로 대체될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내며, 이를 통해 문법 규칙을 명확하게 정의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매크로 프로세서의 기본적 수행 기능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매크로 정의 확장
  2. 매크로 확장 및 인수 치환
  3. 매크로 정의 저장
  4. 매크로 호출 인식
(정답률: 64%)
  • 매크로 정의 확장은 매크로를 정의하는 과정이며, 매크로 프로세서의 기본적 수행 기능은 매크로 확장 및 인수 치환, 매크로 정의 저장, 매크로 호출 인식입니다. 따라서 매크로 정의 확장은 매크로 프로세서의 기본적 수행 기능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C 언어에서 사용하는 데이터 형식이 아닌 것은?

  1. double
  2. long
  3. character
  4. float
(정답률: 92%)
  • "character"는 C 언어에서 사용하는 데이터 형식이 아니라 문자열을 나타내는 데이터 타입이다. C 언어에서는 문자를 나타내는 데이터 형식으로 "char"를 사용한다. 따라서 "character"는 올바르지 않은 데이터 형식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