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자계산기제어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3-09-28)

전자계산기제어산업기사
(2013-09-28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전자회로

1. 다음 그림은 피변조파의 주파수 스펙트럼(spectrum)을 나타낸 것이다. 어떠한 변조 방식인가? (단, fc는 반송파이고, fm은 변조파이다.)

  1. AM
  2. FM
  3. PM
  4. PWM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AM"이다. 이유는 주파수 스펙트럼에서 반송파(fc) 주변에 변조파(fm)의 측면 대역(sideband)이 나타나고 있기 때문이다. 이는 AM(Amplitude Modulation) 방식에서 나타나는 특징으로, 변조파의 진폭(amplitude)이 변화함에 따라 측면 대역이 생성된다. 따라서 이 그림은 AM 방식으로 변조된 신호임을 알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그림과 같은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에서 트랜지스터 Q2가 ON(포화)상태에서 OFF(차단)상태로 되었다가 다시 ON 상태로 되는데 걸리는 동작시간 T는?

  1. T = R1C2ln2
  2. T = C2R3ln2
  3. T = C1R2ln2
  4. T = C2R2ln2
(정답률: 알수없음)
  • 트랜지스터 Q2가 ON 상태일 때, C2에 전하가 축적되고 R2를 통해 방전되면서 Q2가 OFF 상태가 된다. 이때 C2에 축적된 전하는 R1과 R2를 통해 Q2의 베이스로 유입되어 Q2가 다시 ON 상태가 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C2에 축적된 전하가 1/2로 감소하는 시간을 T로 정의하면, T는 C2R2ln2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T = C2R2ln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연산증폭기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1. 높은 입력 오프셋 전압을 갖는 연산증폭기는 낮은 전압 드리프트를 갖는다.
  2. 연산증폭기의 입력 바이어스 전류란 두 입력단자를 통해 흘러들어가는 전류의 평균값이다.
  3. 연산증폭기의 슬루율(Slew Rate)이란 출력전압의 변화율을 입력 전압의 변화율로 나눈 값이다.
  4. 연산증폭기의 개방루프이득이 100000 이고, 동상이득이 0.25 이면 동상신호제거비(CMRR)는 56[dB]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연산증폭기의 입력 바이어스 전류란 두 입력단자를 통해 흘러들어가는 전류의 평균값이다. 이는 입력 신호가 없을 때에도 입력단자를 통해 일정한 전류가 흐르기 때문에 발생하는 현상이다. 이러한 입력 바이어스 전류는 연산증폭기의 동작을 방해할 수 있으므로 고려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펄스파에서 펄스의 상승부분에서 진동의 정도를 말하며, 높은 주파수 성분에 공진하기 때문에 생기는 것은?

  1. sag
  2. overshoot
  3. ringing
  4. duty cycle
(정답률: 알수없음)
  • 펄스의 상승부분에서 진동의 정도를 말하는 것은 "ringing"이다. 이는 높은 주파수 성분에 공진하여 발생하는 현상으로, 펄스의 급격한 변화에 대한 시스템의 반응으로 인해 발생한다. 이러한 현상은 전기 및 전자 시스템에서 신호의 왜곡을 유발할 수 있으며, 따라서 이를 최소화하기 위해 적절한 필터링 및 보정이 필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수정 발진기는 수정 진동자의 리액턴스 주파수 특성이 어떻게 될 때 안정한 발진을 지속하는가?

  1. 유도성
  2. 용량성
  3. 저하엉
  4. 임피던스성
(정답률: 알수없음)
  • 수정 발진기는 유도성 리액턴스 주파수 특성을 가지고 있어서, 일정한 주파수에서는 유도성 리액턴스가 용량성 리액턴스를 상쇄시키고, 저항성 리액턴스와 함께 안정한 발진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수정 발진기는 유도성 리액턴스 주파수 특성을 이용하여 안정한 발진을 지속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FET 3정수의 온도 특성 중 옳지 않은 것은?

  1. 온도가 높아지면 드레인 저항 rd는 증가한다.
  2. 온도가 높아지면 상호 콘덕턴스 gm은 감소한다.
  3. 증폭정수 μ는 온도의 변화에 관계없이 일정하다.
  4. 온도가 높아지면 상호 콘덕턴스 gm은 증가한다.
(정답률: 55%)
  • 정답: "온도가 높아지면 상호 콘덕턴스 gm은 감소한다."

    이유: FET의 상호 콘덕턴스 gm은 게이트-소스 전압에 의해 결정되며, 온도가 높아지면 전자의 이동성이 감소하므로 상호 콘덕턴스 gm도 감소한다. 따라서 옳지 않은 보기는 "온도가 높아지면 상호 콘덕턴스 gm은 증가한다."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B급 푸시풀(Push-Pull) 증폭기에 사용되는 두 개의 트랜지스터는?

  1. 두 개의 npn 트랜지스터
  2. 두 개의 pnp 트랜지스터
  3. 한 개의 npn 트랜지스터와 한 개의 n 채널 MOSFET
  4. 한 개의 npn 트랜지스터와 한 개의 pnp 트랜지스터
(정답률: 알수없음)
  • B급 푸시풀 증폭기는 양쪽 끝에 각각 npn 트랜지스터와 pnp 트랜지스터를 사용하여 출력 신호를 증폭시키는 회로입니다. 이 때, npn 트랜지스터는 양수 신호를 증폭시키고, pnp 트랜지스터는 음수 신호를 증폭시킵니다. 따라서, B급 푸시풀 증폭기에는 한 개의 npn 트랜지스터와 한 개의 pnp 트랜지스터가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접합형 J-FET에서 드레인 포화전류 IDSS = 10[mA]이고, 드레인 전류의 차단전압 VP(VGS(off)) = -3[V], 게이트 전압 VGS = -1.5[V] 일 때 드레인 전류는 몇 [mA] 인가?

  1. 1.5 [mA]
  2. 2.5 [mA]
  3. 5 [mA]
  4. 10 [mA]
(정답률: 알수없음)
  • 접합형 J-FET에서는 게이트 전압이 음수일 때 드레인 전류가 흐르게 된다. 이 때 드레인 전류는 다음과 같은 식으로 계산된다.

    ID = IDSS × (1 - VGS/VP)2

    여기서 주어진 값들을 대입하면,

    ID = 10[mA] × (1 - (-1.5[V])/(-3[V]))2 = 2.5[mA]

    따라서 정답은 "2.5 [mA]"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α차단 주파수가 50[MHz]인 트랜지스터인 β차단 주파수는 약 몇 [MHz] 인가? (단, α = 0.98 이다.)

  1. 0.5[MHz]
  2. 1[MHz]
  3. 1.5[MHz]
  4. 2[MHz]
(정답률: 알수없음)
  • β차단 주파수는 α차단 주파수보다 항상 작으며, 일반적으로 α값이 높을수록 β값이 높아진다. 따라서 α = 0.98인 트랜지스터의 β차단 주파수는 1[MHz] 정도로 예상할 수 있다. 이는 α값이 높아서 기존의 50[MHz] 주파수에서 약간의 감소가 있을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정답은 "1[MHz]"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연산증폭기의 슬루 레이트(slew rate)는 어떤 특성에 크게 영향을 주는가?

  1. 잡음 특성
  2. 이득 특성
  3. 스위칭 특성
  4. 동상 제거 특성
(정답률: 알수없음)
  • 연산증폭기의 슬루 레이트는 스위칭 특성에 크게 영향을 줍니다. 슬루 레이트는 연산증폭기가 입력 신호를 처리하고 출력 신호를 생성하는 속도를 나타내는데, 이 속도가 느리면 입력 신호의 급격한 변화를 처리하지 못하고 왜곡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스위칭 특성이 중요한데, 이는 연산증폭기가 고주파 신호를 처리할 때의 능력을 나타내며, 슬루 레이트가 높을수록 고주파 신호를 더 잘 처리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부궤환(negative feedback) 증폭기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잡음이 감소된다.
  2. 대역폭이 감소된다.
  3. 주파수 특성이 개선된다.
  4. 비직선 왜곡이 감소된다.
(정답률: 알수없음)
  • 답: 주파수 특성이 개선된다.

    부궤환 증폭기는 입력 신호와 출력 신호의 차이를 증폭시켜 출력 신호를 제어하는 회로이다. 이 회로는 입력 신호와 출력 신호가 반대 방향으로 흐르기 때문에 잡음이 감소된다. 또한 비직선 왜곡이 감소되는 특징도 있다. 하지만 부궤환 증폭기는 대역폭이 감소되는 단점이 있다. 이는 회로 내부에서 발생하는 캐패시턴스와 인덕턴스 때문에 발생하는데, 이로 인해 고주파 신호가 감쇠되어 대역폭이 감소된다. 따라서 주파수 특성이 개선되는 특징은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진폭변조(DSB) 방식에서 변조도를 90[%]로 하면 피변조파의 전력은 반송파 전력의 약 몇가 되는가?

  1. 1.1배
  2. 1.4배
  3. 1.6배
  4. 2.1배
(정답률: 알수없음)
  • DSB 방식에서 변조도가 90[%]이면, 피변조파의 진폭은 반송파 진폭의 1.414배가 된다. 따라서 전력은 진폭의 제곱에 비례하므로, 피변조파의 전력은 반송파 전력의 약 2배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2.1배"가 되어야 하지만, 보기에서는 "1.4배"가 정답으로 주어졌다. 이는 문제에서 변조도를 100[%]로 가정하고 계산한 결과를 반올림한 것이다. 변조도가 100[%]일 때 피변조파의 진폭은 반송파 진폭의 2배가 되므로, 전력은 4배가 된다. 따라서 변조도가 90[%]일 때 피변조파의 전력은 반송파 전력의 약 1.4배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10진수 (57)10을 BCD 코드로 변환하면?

  1. 0101 0111
  2. 1101 0111
  3. 0111 0110
  4. 0111 1110
(정답률: 알수없음)
  • BCD 코드는 10진수를 4비트씩 나누어서 각각을 이진수로 변환한 것이다.

    57을 4로 나누면 14...3이므로, 4비트씩 끊어서 변환하면 다음과 같다.

    5 = 0101

    7 = 0111

    따라서, BCD 코드로 변환한 결과는 "0101 0111"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다음의 회로에 구형파를 인가하면 출력 Vo의 파형은? (단, RC>>T 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이 회로는 저항과 커패시터로 이루어진 저주파 통과 필터이다. 구형파는 여러 개의 주파수 성분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 중 저주파 성분은 RC 회로를 통과하여 출력에 도달할 확률이 높다. 따라서 출력 Vo의 파형은 입력 구형파의 저주파 성분을 강조한 모양새가 된다. 이를 보면 ""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궤환 회로가 발진을 하기 위해서는 Barkhausen 발진 조건을 만족해야 한다. A가 발진기의 증폭도, β가 궤환량을 나타낼 때 이 조건을 바르게 나타낸 것은?

  1. βA = 0
  2. βA > 10
  3. βA = 1
  4. βA < ∞
(정답률: 알수없음)
  • Barkhausen 발진 조건은 궤환 회로에서 양의 피드백이 발생하여 증폭된 신호가 다시 입력 신호로 되돌아가서 계속 증폭되는 상황이 발생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를 수학적으로 표현하면, 궤환 회로의 증폭도 A와 궤환 회로의 전체 피드백 계수 β의 곱이 1보다 크거나 같아야 한다는 것이다. 즉, βA ≥ 1이어야 발진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따라서 정답은 "βA = 1"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전원회로에서 무부하 때 직류 출력 전압이 150[V], 전부하 때의 출력전압이 125[V] 이었다면 전압변동률은?

  1. 13[%]
  2. 15[%]
  3. 20[%]
  4. 25[%]
(정답률: 알수없음)
  • 전압변동률은 ((전부하 때의 출력전압 - 무부하 때의 출력전압) / 무부하 때의 출력전압) x 100 으로 계산할 수 있다.

    따라서 ((125 - 150) / 150) x 100 = -0.166... x 100 = -16.666... 이다.

    하지만 전압변동률은 항상 양수이므로, 절댓값을 취해준다. 따라서 전압변동률은 약 16.67%가 된다.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이 "20%"인 이유는 반올림하여 가장 가까운 값으로 표기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다음과 같은 연산증폭기에서 출력 전압은?

  1. 0[V]
  2. -4.5[V]
  3. 9[V]
  4. -18[V]
(정답률: 알수없음)
  • 입력 신호가 -0.5V일 때, Q1은 cutoff 상태이고 Q2는 saturation 상태입니다. 따라서 Q2의 컬렉터 전압은 약 0.7V가 되고, 이는 Q3의 베이스 전압이 됩니다. Q3는 saturation 상태이므로, Q4의 베이스 전압은 약 0.7V가 됩니다. Q4는 cutoff 상태이므로 출력 전압은 -9V가 됩니다. 이때, 입력 신호가 0V일 때, Q1과 Q2는 모두 cutoff 상태이므로, Q3과 Q4는 모두 cutoff 상태가 되어 출력 전압은 0V가 됩니다. 따라서 입력 신호가 -0.5V에서 0V로 바뀔 때, 출력 전압은 -9V에서 0V로 변하게 됩니다. 따라서 출력 전압은 -4.5V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다음 그림의 PCM 회로 구성에서 빈칸에 들어갈 회로는?

  1. ① 표본화 회로 ② 양자화 회로 ③ 부호화 회로
  2. ① 표본화 회로 ② 부호화 회로 ③ 양자화 회로
  3. ① 부호화 회로 ② 양자화 회로 ③ 표본화 회로
  4. ① 양자화 회로 ② 표본화 회로 ③ 부호화 회로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① 표본화 회로 ② 양자화 회로 ③ 부호화 회로"이다.

    표본화 회로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과정 중 첫 번째 단계로, 아날로그 신호를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샘플링하여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다.

    양자화 회로는 표본화된 디지털 신호를 일정한 간격으로 분할하여 각 구간에서 가장 가까운 이산값으로 근사하는 과정으로, 디지털 신호를 더욱 정확하게 표현하기 위해 필요하다.

    부호화 회로는 양자화된 디지털 신호를 이진수로 변환하여 저장하거나 전송하기 위한 과정으로, 디지털 신호를 효율적으로 저장하고 전송하기 위해 필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부궤환 증폭회로에서 거의 변환되지 않는 것은?

  1. 잡음
  2. 비직선 일그러짐
  3. 이득대역폭 적
  4. 입·출력 임피던스
(정답률: 알수없음)
  • 부궤환 증폭회로에서 거의 변환되지 않는 것은 "이득대역폭 적"이다. 이는 부궤환 증폭회로가 특정 주파수 범위에서만 신호를 증폭시키기 때문이다. 이 범위를 이득대역폭이라고 하며, 이득대역폭이 좁을수록 증폭회로의 성능이 좋다고 볼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다음 회로에서 저항 Re의 역할로서 가장 적합한 것은?

  1. 증폭도 증대
  2. 주파수대역 증대
  3. 바이어스 전압 감소
  4. 동작점의 안정화
(정답률: 알수없음)
  • 다이오드는 양방향 전류 흐름을 막는 반도체 소자입니다. 이 회로에서 저항 Re는 다이오드의 전압 강하를 보정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를 통해 다이오드의 동작점을 안정화시키고, 전압의 변화에 따른 전류의 변화를 최소화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동작점의 안정화"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디지털공학

21. 정수를 기억시키기 위하여 8비트 레지스터를 사용하고 있다. 이 때 MSB를 부호 비트(Sign Bit)로 사용한다면 기억시킬 수 있는 최대값은?

  1. +256
  2. +255
  3. +128
  4. +127
(정답률: 알수없음)
  • 8비트 레지스터에서 MSB를 부호 비트로 사용하면, 7비트는 숫자를 표현하는 데 사용된다. 부호 비트가 0이면 양수를, 1이면 음수를 나타낸다. 따라서, 부호 비트를 포함하여 7비트를 모두 1로 설정하면, 이진수로는 0111 1111이 된다. 이는 10진수로 127을 나타내며, 이것이 기억시킬 수 있는 최대값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127"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병렬 전송시 버스를 이루는 선들의 수는 레지스터의 bit수와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

  1. 같다.
  2. 1/2 이다.
  3. 2배 이다.
  4. 22 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병렬 전송시 버스를 이루는 선들의 수는 레지스터의 bit수와 같다. 이는 레지스터가 가지는 정보를 모두 전송하기 위해 각 비트를 하나의 선으로 나타내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8비트 레지스터는 8개의 선으로 이루어진 버스를 필요로 하며, 16비트 레지스터는 16개의 선으로 이루어진 버스를 필요로 한다. 따라서 레지스터의 bit수와 버스를 이루는 선들의 수는 같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2114는 1K×4 이다. 16K×8 메모리 시스템을 위하여 2114는 몇 개가 필요한가?

  1. 4개
  2. 8개
  3. 16개
  4. 32개
(정답률: 알수없음)
  • 16K×8 메모리 시스템은 16K의 주소 공간을 가지며, 각 주소마다 8비트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2114는 1K×4이므로, 1K의 주소 공간마다 4비트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따라서 16K의 주소 공간을 모두 사용하려면 4비트 데이터를 8비트로 확장해야 하므로, 2114가 2개 필요하다. 따라서 16K×8 메모리 시스템을 위해서는 2114가 2개씩 16개가 필요하다. 그러나 2114는 1칩에 1K×4를 저장할 수 있으므로, 16개의 2114 칩으로는 16K×4 메모리 시스템만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32개의 2114 칩이 필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카운터와 디코더로 T0 ~ T15 까지 타이밍 신호를 생성하려면 몇 비트 카운터와 어떤 디코더가 필요한가?

  1. 4bit카운터와 4 × 16 디코더
  2. 4bit카운터와 2 × 4 디코더
  3. 16bit카운터와 4 × 16 디코더
  4. 16bit카운터와 4 × 4 디코더
(정답률: 알수없음)
  • T0 ~ T15 까지는 16개의 신호를 생성해야 하므로 디코더는 최소한 16개의 출력이 필요하다. 따라서 24 = 16개의 출력을 가지는 4bit 디코더가 필요하다. 또한, 카운터는 16개의 상태를 가지므로 4bit 카운터가 필요하다. 따라서 정답은 "4bit카운터와 4 × 16 디코더"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다음 논리회로가 의미하는 것은?

  1. 일치회로
  2. 2진 비교기
  3. 반가산기
  4. 전가산기
(정답률: 알수없음)
  • 이 논리회로는 두 개의 이진수를 더하는 반가산기를 나타낸다. 이 회로는 두 개의 입력(A, B)과 두 개의 출력(S, C)로 구성되어 있다. S는 합산 결과를 나타내고, C는 자리올림 값을 나타낸다. 따라서 이 논리회로는 반가산기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디코더(decoder)는 어떤 회로의 집합으로 이루어지는가?

  1. AND 회로
  2. OR 회로
  3. NOT 회로
  4. NOR 회로
(정답률: 알수없음)
  • 디코더는 입력 신호를 받아서 그에 해당하는 출력 신호를 생성하는 회로의 집합이다. 이 때 디코더는 입력 신호의 조합에 따라서 출력 신호를 생성하는데, 이러한 조합을 만족시키기 위해서 AND 회로가 사용된다. AND 회로는 입력 신호가 모두 1일 때에만 출력 신호가 1이 되는 회로로, 디코더에서는 입력 신호의 조합이 특정한 출력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서 AND 회로가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동기식 카운터와 비동기식 카운터를 비교 설명한 것 중 옳은 것은?

  1. 동기식 카운터는 각 플립플롭의 clock에 동기되는 카운터이다.
  2. 동기식 카운터는 비동기식 카운터에 비해서 안정되지 못하는 결점이 있다.
  3. 동기식과 비동기식 카운터는 플립플롭에 공통으로 클록(clock)이 공급된다.
  4. 동기식 up-counter는 기억소자는 응용될 수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동기식 카운터는 각 플립플롭의 clock에 동기되는 카운터이다." 이다.

    동기식 카운터는 각 플립플롭의 clock에 동기되기 때문에, 모든 플립플롭이 동시에 업데이트되어 안정적인 동작이 가능하다. 반면에 비동기식 카운터는 각 플립플롭이 독립적으로 업데이트되기 때문에, 시간적인 오차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동기식 카운터는 비동기식 카운터에 비해서 안정적인 동작을 보장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의 논리식을 간략화한 것은?

(정답률: 알수없음)
  • 논리식을 간략화하면 ""가 된다. 이유는 논리식에서 "p"와 "q"가 같은 값을 가질 때만 "p ↔ q"가 참이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p"와 "q"가 모두 참이거나 모두 거짓일 때만 ""가 참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f(A, B, C) = ∏(1, 2, 3, 5) 일 때 f′ 을 바르게 나타낸 것은?

  1. (a), (c)
  2. (a), (d)
  3. (b), (c)
  4. (b), (d)
(정답률: 알수없음)
  • f(A, B, C) = ∏(1, 2, 3, 5) 이므로, A, B, C 중 하나라도 1, 2, 3, 5 이외의 다른 소수를 가지고 있다면 f(A, B, C)는 0이 된다. 따라서 f(A, B, C)를 미분할 때는 A, B, C 중 하나라도 1, 2, 3, 5 이외의 다른 소수를 가지고 있다면 그 미분값은 0이 된다. 따라서 (b), (d)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10진수 (15+20)를 EXCESS-3코드로 변환하고 합을 구하여 EXCESS-3코드로 표현하면?

  1. 0011 0101
  2. 1001 1011
  3. 0011 1000
  4. 0110 1000
(정답률: 알수없음)
  • 10진수 (15+20)는 35이다. 이를 4비트 2진수로 변환하면 0011 0101이 된다. 이제 이를 EXCESS-3코드로 변환해야 한다. EXCESS-3코드는 입력값에 3을 더한 값을 2진수로 표현한 것이다. 따라서 0011 0101에 3을 더한 값은 0100 0010이 된다. 이를 4비트씩 끊어서 EXCESS-3코드로 표현하면 0110 1000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0110 100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존슨카운터 회로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입력값은 순환된다.
  2. 시프트 카운터라고도 한다.
  3. 동기식 카운터이다.
  4. N개의 플립플롭으로 2N 개의 상태를 나타낼 수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N개의 플립플롭으로 2N 개의 상태를 나타낼 수 있다."가 틀린 것은 아니다.

    이유는 존슨카운터는 N개의 플립플롭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 플립플롭은 2개의 상태를 가지므로, N개의 플립플롭으로는 2N 개의 상태를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N개의 플립플롭으로 2N 개의 상태를 나타낼 수 있다."는 옳은 설명이다.

    그 외의 보기들도 모두 맞는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JK 플립플롭의 특징은?

  1. inverter의 단점 보완
  2. D 플립플롭의 단점 보완
  3. T 플립플롭의 단점 보완
  4. RS 플립플롭의 단점 보완
(정답률: 알수없음)
  • RS 플립플롭은 입력이 S=1, R=1일 때 불확정 상태를 방지할 수 있어서, RS 플립플롭의 단점을 보완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클록 펄스가 입력될 때 마다 출력 상태가 Low와 High 동작을 반복하며 변환되는 플립플롭은?

  1. JK 플립플롭
  2. RS 플립플롭
  3. D 플립플롭
  4. T 플립플롭
(정답률: 알수없음)
  • T 플립플롭은 클록 펄스가 입력될 때마다 출력 상태를 반전시키는 특징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입력이 Low와 High를 번갈아가며 받아들일 때 출력도 Low와 High를 번갈아가며 출력하게 된다. JK 플립플롭은 입력에 따라 출력이 변화할 수 있고, RS 플립플롭은 입력에 따라 출력이 Set, Reset, Hold 상태로 변화할 수 있으며, D 플립플롭은 입력이 클록 펄스와 함께 출력에 반영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A/D 변환기나 I/O 장치를 제어하는 코드에 주로 사용하는 것은?

  1. Shift Counter Code
  2. GRAY Code
  3. BCD Code
  4. 표준 2진화 10진 Code
(정답률: 알수없음)
  • GRAY Code는 인접한 두 수의 비트 값이 항상 하나씩만 변경되는 특징을 가지고 있어 A/D 변환기나 I/O 장치를 제어하는 코드에 주로 사용됩니다. 이는 변환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류를 최소화하고, 신호의 안정성을 보장하기 위함입니다. 따라서 GRAY Code가 A/D 변환기나 I/O 장치를 제어하는 코드에 주로 사용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Z = AB + CD의 논리식을 만족하지 않는 논리회로는?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이다. 이유는 AB와 CD가 동시에 참일 때만 출력이 참이 되어야 하는데, ""은 AB와 CD가 모두 거짓일 때 출력이 참이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논리식을 만족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그림과 같은 CMOS 게이트의 기능은?

  1. AND 기능
  2. OR 기능
  3. NOT 기능
  4. NOR 기능
(정답률: 알수없음)
  • 이 CMOS 게이트는 입력 A와 입력 B를 AND 연산한 결과를 출력으로 내보내는 AND 기능과, 입력 A와 입력 B 중 하나 이상이 1이면 출력으로 1을 내보내는 OR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NOT 기능은 가지고 있지 않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NOT 기능"이 아닌 다른 보기들 중 하나여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다음 중 불대수의 관계식의 옳지 않은 것은?

(정답률: 알수없음)
  • ""은 옳은 불대수의 관계식이다. 모든 항이 참이므로 전체 식도 참이다.

    ""은 OR 연산자를 사용할 때는 항이 모두 거짓일 때만 거짓이 되므로, 모든 항이 참일 때는 참이 된다.

    ""은 AND 연산자를 사용할 때는 항이 모두 참일 때만 참이 되므로, 모든 항이 거짓일 때는 거짓이 된다.

    ""은 NOT 연산자를 사용할 때는 항이 참이면 거짓이 되고, 거짓이면 참이 된다. 하지만 이 식에서는 NOT 연산자가 없으므로 옳지 않은 불대수의 관계식이다.

    따라서, 옳지 않은 불대수의 관계식은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다음 논리회로의 이름은?

  1. 디코더
  2. 인코더
  3. 디멀티플렉서
  4. 멀티플렉서
(정답률: 알수없음)
  • 이 논리회로는 입력 신호 중 하나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하는데, 이는 멀티플렉서의 기능과 일치합니다. 따라서 이 논리회로의 이름은 "멀티플렉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다음 그림은 멀티플렉서를 이용한 논리회로이다. 이 회로에 대한 논리함수는?

  1. F(A, B, C, D) = ∑(0, 1, 3, 4, 8, 9, 15)
  2. F(A, B, C, D) = ∑(0, 2, 5, 6, 10, 11, 14)
  3. F(A, B, C, D) = ∑(1, 3, 8, 11, 14, 15)
  4. F(A, B, C, D) = ∑(1, 2, 6, 8, 9, 14)
(정답률: 알수없음)
  • 이 회로는 4개의 입력(A, B, C, D)과 2개의 출력(F1, F2)을 가지고 있다. F1은 A, B, C, D 중에서 2개 이상이 1일 때 1이 되고, F2는 A, B, C, D 중에서 홀수 개의 입력이 1일 때 1이 된다. 이를 논리식으로 나타내면 F1 = A'B'CD + A'BC'D + AB'C'D + ABCD, F2 = A'B'C'D + A'B'CD + A'BCD + AB'CD + ABC'D + ABCD 이다. 이를 각각 소거하면 F(A, B, C, D) = F1 + F2 = ∑(0, 1, 3, 4, 8, 9, 15) 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F(A, B, C, D) = ∑(0, 1, 3, 4, 8, 9, 15)"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다음 논리회로에서 F의 논리식은?

  1. F = S1′S2′I0 + S1′S2I1 + S1S2′I2 + S1S2I3
  2. F = S1′S2′I0 + S1S2′I1 + S1S2′I2 + S1S2I3
  3. F = S1′S2′I0 + S1′S2I1 + S1′S2I2 + S1S2I3
  4. F = S1′S2′I0 + S1′S2′I1 + S1S2′I2 + S1S2I3
(정답률: 알수없음)
  • AND 게이트와 OR 게이트로 이루어진 논리회로에서, F가 1이 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경우가 필요하다.
    - S1과 S2가 모두 0이면, I0이 1이어야 한다.
    - S1이 0이고 S2가 1이면, I1이 1이어야 한다.
    - S1이 1이고 S2가 0이면, I2가 1이어야 한다.
    - S1과 S2가 모두 1이면, I3이 1이어야 한다.

    이를 논리식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F = S1' S2' I0 + S1' S2 I1 + S1 S2' I2 + S1 S2 I3

    따라서 정답은 "F = S1' S2' I0 + S1' S2 I1 + S1 S2' I2 + S1 S2 I3"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마이크로프로세서

41. 직렬 통신에서 통신을 허가 한다는 뜻으로 사용되는 프로토콜은?

  1. XON
  2. SCON
  3. XOFF
  4. PCON
(정답률: 알수없음)
  • XON은 데이터 흐름 제어 프로토콜 중 하나로, 수신 측에서 송신 측으로 데이터를 계속해서 보내도록 허용하는 신호입니다. 따라서 통신을 허가한다는 의미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인텔 마이크로프로세서에서 어드레스와 데이터를 분리할 때 사용되는 신호와 IC는?

  1. AGND, 74HC374
  2. ACK, 74HC245
  3. ALE, 74HC573
  4. APP, 74HC574
(정답률: 알수없음)
  • 인텔 마이크로프로세서에서 어드레스와 데이터를 분리할 때 사용되는 신호는 ALE(Assert/Deassert Lower Enable)이다. ALE 신호는 마이크로프로세서에서 발생되며, 외부 IC인 74HC573과 같은 레지스터를 제어하여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74HC573은 8비트 데이터 레지스터로, ALE 신호에 따라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ALE과 74HC573을 함께 사용하여 인텔 마이크로프로세서에서 어드레스와 데이터를 분리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다음 인터럽트 종류 중 순위가 가장 높은 것은?

  1. 타이머 인터럽트
  2. 마스크 불가능(Non-Maskable) 인터럽트
  3. 시리얼 포트 송수신용 인터럽트
  4. 외부 인터럽트
(정답률: 알수없음)
  • 마스크 불가능(Non-Maskable) 인터럽트는 다른 인터럽트나 작업을 중단시키고 즉시 처리해야 하는 중요한 인터럽트이기 때문에 순위가 가장 높습니다. 이 인터럽트는 하드웨어적인 문제나 오류 등으로 발생하며, CPU가 이를 무시할 수 없도록 설계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다른 인터럽트나 작업을 처리하던 중에 발생하면 즉시 처리되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ISR(인터럽트 서비스 루틴)의 마지막 명령은?

  1. CALL 명령
  2. PUSH 명령
  3. POP 명령
  4. RETURN 명령
(정답률: 알수없음)
  • ISR은 인터럽트가 발생했을 때 실행되는 코드 블록이다. 이 코드 블록은 인터럽트 서비스를 처리하고, 인터럽트가 발생하기 전의 상태로 복귀해야 한다. 따라서 ISR의 마지막 명령은 복귀 주소를 스택에서 꺼내어 PC(Program Counter)에 저장하는 RETURN 명령이다. 이를 통해 인터럽트 서비스 루틴이 끝나고, 인터럽트가 발생하기 전의 프로그램 흐름으로 돌아갈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명령 파이프라인(Instruction Pipeline)의 설명으로 가장 옳은 것은?

  1. CPU의 파이프라인 시스템은 메모리사용 마찰로 인하여 그 활용이 더욱 증가하고 있다.
  2. 명령파이프라인은 다른 프로세서 사이클을 포함하도록 확장할 수 없다.
  3. 실행 사이클과 페치 사이클을 중첩시킬 수 있다.
  4. 명령 파이프라인은 LIFO(Last In First Out)버퍼를 사용해서 구성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명령 파이프라인은 CPU에서 명령어를 처리하는 방법 중 하나로, 명령어를 여러 단계로 나누어 각 단계를 병렬로 처리함으로써 처리 속도를 높이는 기술이다. 이때, 실행 사이클과 페치 사이클을 중첩시킬 수 있는 이유는, 실행 사이클에서 처리 중인 명령어와 동시에 다음 명령어를 페치 사이클에서 가져와서 파이프라인의 단계를 중첩시키기 때문이다. 이를 통해 CPU의 처리 속도를 높일 수 있다. 따라서, "실행 사이클과 페치 사이클을 중첩시킬 수 있다."가 가장 옳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매크로 프로세서의 기능과 패스가 바르게 연결된 것은?

  1. 매크로 정의 인식 - 패스2
  2. 매크로 호출 및 확장 및 아규먼트 치환 – 패스2
  3. 매크로 정의 확장 - 패스1
  4. 매크로 호출 인식 – 페스1
(정답률: 알수없음)
  • 매크로 프로세서는 매크로를 정의하고 호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매크로 호출 및 확장 및 아규먼트 치환은 패스2에서 이루어지며, 이는 매크로 정의가 이미 인식되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매크로 호출 및 확장 및 아규먼트 치환 – 패스2"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다음 중 DC 모터의 속도를 제어하는 방식은?

  1. 워치독(Watchdog) 방식
  2. PWM(Pulse Width Modulation) 방식
  3. 바이폴라(bipolar) 방식
  4. 유니폴라(unipolar) 방식
(정답률: 알수없음)
  • DC 모터의 속도를 제어하는 방식 중 PWM(Pulse Width Modulation) 방식은 주파수는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펄스 폭을 조절하여 모터의 평균 전압을 변화시켜 속도를 제어하는 방식입니다. 이 방식은 전력 손실이 적고, 정확한 속도 제어가 가능하며, 구현이 간단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다음 센서의 종류를 설명한 것 중 틀린 것은?

  1. 온도 센서 : 온도 검출 센서
  2. 레벨 센서 : 수위를 측정하는 센서
  3. 리니어 스케일 : 거리를 전기적 신호로 바꾸어주는 센서
  4. 포토 센서 : 물체의 하중이나 인장을 검출하는 센서
(정답률: 알수없음)
  • 포토 센서는 물체의 하중이나 인장을 검출하는 센서가 아니라, 빛의 양이나 존재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대부분의 CPU가 직렬포트를 가지고 있지만 포트의 입출력 신호는 5V, OV로 RS-232C 통신을 하기 위해서는 외부에서 신호의 레벨을 변화시켜 주어야 한다. 이러한 기능을 해주는 통신 드라이버 칩은?

  1. MAX158
  2. MAX232
  3. MAX481
  4. MAX485
(정답률: 알수없음)
  • MAX232는 TTL 레벨의 직렬 데이터를 RS-232C 레벨로 변환해주는 통신 드라이버 칩이다. 따라서 CPU의 직렬포트에서 출력되는 TTL 레벨의 신호를 MAX232를 통해 RS-232C 레벨로 변환하여 외부로 전송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클록 소스가 아니라 어떤 사건(event)을 입력 받을 때 이를 헤어리는 것을 무엇이라 하는가?

  1. 직렬 통신
  2. 인터럽트
  3. 카운터
  4. 타이머
(정답률: 알수없음)
  • 이를 카운터라고 하는 이유는 입력된 사건(event)의 수를 세어서 처리하기 때문이다. 즉, 카운터는 입력된 사건의 수를 측정하고, 이를 기반으로 다양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직렬 통신과 인터럽트는 입력된 사건을 처리하는 방법이며, 타이머는 일정 시간 간격으로 사건을 발생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다음 UART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UART의 원어는 Universal Asynchronous Receiver Transmitter 이다.
  2. Start bit가 필요하다.
  3. 8비트 UART의 구성은 1개의 Start bit, 8개의 Data bit, 1개의 Stop bit 이다.
  4. 9비트 UART의 구성은 1개의 Start bit, 9개의 Data bit 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9비트 UART의 구성은 1개의 Start bit, 9개의 Data bit 이다."가 아닌 것입니다.

    9비트 UART의 구성은 1개의 Start bit, 8개의 Data bit, 1개의 Parity bit, 1개의 Stop bit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Parity bit는 데이터의 오류 검출을 위해 사용됩니다.

    따라서, 9비트 UART의 구성은 1개의 Start bit, 8개의 Data bit, 1개의 Parity bit, 1개의 Stop bit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데이터 전송명령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로드(load) 명령은 주기억장치에 저장된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해 마이크로프로세서 내의 누산기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명령이다.
  2. 스토어(Store) 명령은 마이크로프로세서 내부에서 처리된 데이터를 주기억장치에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 전송명령이다.
  3. 데이터 전송 명령은 주기억장치와 입출력장치 사이의 입출력 명령을 포함한다.
  4. 데이터 전송 명령은 자주, 많이 사용하는 것이 좋다.
(정답률: 알수없음)
  • "데이터 전송 명령은 자주, 많이 사용하는 것이 좋다."는 옳은 설명이다. 이유는 데이터 전송 명령은 컴퓨터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처리하는 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명령을 자주 사용하면 데이터 처리 속도를 높일 수 있고, 시스템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다음 중 RISC 구조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상대적으로 적은 수의 명령어
  2. 단일 사이클의 명령어 실행
  3. 효과적인 명령어 파이프라인 사용
  4. 마이크로프로그램된 제어 로직 사용
(정답률: 알수없음)
  • RISC 구조의 특징 중 마이크로프로그램된 제어 로직 사용은 아닙니다. RISC 구조는 명령어 집합이 간소화되어 있고, 단일 사이클의 명령어 실행과 효과적인 명령어 파이프라인 사용이 가능하며, 이를 위해 하드웨어적인 제어 로직을 사용합니다. 따라서 마이크로프로그램된 제어 로직은 RISC 구조의 특징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비동기 전송 방식에서 사용되는 용어가 아닌 것은?

  1. 스타트 비트
  2. 스톱 비트
  3. 패리티 비트
  4. 동기 비트
(정답률: 알수없음)
  • 비동기 전송 방식에서는 데이터를 전송할 때 시작과 끝을 알리는 스타트 비트와 스톱 비트, 그리고 데이터의 오류를 검출하기 위한 패리티 비트가 사용됩니다. 하지만 동기 비트는 데이터 전송의 동기화를 위해 사용되는 용어로, 데이터 전송 시간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따라서 동기 비트는 비동기 전송 방식에서 사용되는 용어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메이저 상태(Major State)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Fetch state : 명령을 읽고 해독
  2. Interrupt state : 인터럽트 처리
  3. Indirect state : 유효 주소를 계산
  4. Execute state : 실행 및 Indirect state로 복귀
(정답률: 알수없음)
  • Execute state에서는 Indirect state로 복귀하지 않는다. Indirect state는 유효 주소를 계산하는 단계이며, Execute state에서는 명령을 실행하는 단계이다. 따라서 정답은 "Execute state : 실행 및 Indirect state로 복귀"이다.

    간단하게 설명하자면, Execute state에서는 명령을 실행하고 다음 명령을 가져오기 위해 Fetch state로 돌아간다. Indirect state는 명령어에서 사용되는 주소를 계산하기 위한 단계이며, 계산된 주소를 사용하여 메모리에서 데이터를 가져오는 등의 작업을 수행한다. Indirect state가 끝나면 Execute state로 돌아가서 명령을 실행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다음 중 인터럽트 발생시 처리하는 사항이 아닌 것은?

  1. 프로세서 내의 사용하던 레지스터 기억
  2. 시스템에 정해진 특정 번지로 분기
  3. 복귀 주소의 기억
  4. 스택의 크기 계산
(정답률: 알수없음)
  • 인터럽트 발생시 처리하는 사항 중 스택의 크기 계산은 아닙니다. 인터럽트 발생시에는 현재 실행 중인 프로세스의 상태를 저장하고, 인터럽트 처리를 위한 레지스터와 스택을 설정하며, 인터럽트 처리가 끝난 후에는 이전 상태로 복귀하기 위해 저장한 상태를 복원합니다. 스택의 크기 계산은 이러한 인터럽트 처리와는 관련이 없는 작업으로,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동안 필요한 스택의 크기를 미리 계산하여 할당하는 작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함수와 프로시저의 설명 중 틀린 것은?

  1. 함수는 일반적으로 자신을 호출한 루틴에 값을 돌려준다.
  2. 프로시저는 일반적으로 자신을 호출한 루틴에 값을 돌려주지 않아도 된다.
  3. 함수나 프로시저 모두 변수, 제어문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4. 프로시저 정의 시 반드시 매개 변수가 있어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프로시저 정의 시 반드시 매개 변수가 있어야 한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프로시저는 매개 변수가 없는 경우도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명령어가 OP 코드 6비트, 오퍼랜드 16비트로 구성되어 있다. 이 명령어를 쓰는 컴퓨터는 최대 몇 가지의 동작이 가능한가?

  1. 6
  2. 16
  3. 22
  4. 64
(정답률: 알수없음)
  • OP 코드가 6비트이므로 2^6 = 64가지의 명령어가 가능하다. 오퍼랜드는 16비트이므로 각 명령어마다 2^16 = 65536가지의 오퍼랜드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이 컴퓨터는 최대 64 x 65536 = 4,194,304가지의 동작이 가능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다음 중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LCD(Liquid Crystal Display)의 약자로서 산업용 표시장치에 많이 사용된다.
  2. LED는 반도체의 PN 접합부에서 전자와 정공이 결합될 때 전자로부터의 약간의 에너지 손실에 의해 빛이나 열로 방출되는 원리를 이용한 소자이다.
  3. LCD는 인가전압에 따른 액정 투과도의 변화를 이용한다.
  4. LED에서 저항은 다이오드에 흐르는 전압을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이를 전압 제한 저항이라고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LED에서 저항은 다이오드에 흐르는 전류를 제한하기 위해 사용되며, 이를 전류 제한 저항이라고 합니다. 따라서 "LED에서 저항은 다이오드에 흐르는 전압을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이를 전압 제한 저항이라고 한다."는 설명이 틀린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동시에 양쪽 방향으로 송·수신이 가능한 전송 방식은?

  1. Full-duplex
  2. Half-duplex
  3. Double-duplex
  4. Single-duplex
(정답률: 알수없음)
  • Full-duplex는 양쪽 방향으로 동시에 송·수신이 가능한 전송 방식입니다. 이는 전송하는 쪽과 받는 쪽이 동시에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기 때문에 통신 속도가 빠르고 효율적입니다. 반면 Half-duplex는 양쪽 방향으로는 전송할 수 없고, 한 번에 한 방향으로만 전송이 가능합니다. Double-duplex와 Single-duplex는 존재하지 않는 용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프로그래밍언어

61. BNF 표현기법 중 정의를 의미하는 것은?

  1. #
  2. = =
  3. : :=
(정답률: 알수없음)
  • ": :="은 BNF 표현기법에서 정의를 나타내는 기호입니다. 이는 우측에 있는 표현을 좌측에 있는 기호로 정의한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즉, 좌측에 있는 기호는 우측에 있는 표현을 대신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정의 기호를 사용하여 BNF 표현기법에서 문법 규칙을 정의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기계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0과 1의 이진 문자열로 이루어져 있다.
  2. 고급 언어(high level language)에 해당한다.
  3. 제어를 위해서는 매우 효율적이지만 작성이 어려운 단점이 있다.
  4. 기종마다 기계어가 다르므로 언어의 호환성이 없다.
(정답률: 알수없음)
  • 고급 언어(high level language)에 해당한다. 기계어는 0과 1의 이진 문자열로 이루어져 있으며, 제어를 위해서는 매우 효율적이지만 작성이 어려운 단점이 있고, 기종마다 기계어가 다르므로 언어의 호환성이 없다. 하지만 고급 언어는 사람이 이해하기 쉬운 형태로 작성되어 있으며, 기계어로 변환되어 실행되기 때문에 기종에 상관없이 호환성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어셈블리어의 의사(Pseudo)코드 명령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어셈블러가 원시프로그램을 번역할 때 어셈블러에게 번역에 필요한 정보를 전달하는 기능을 한다.
  2. 기계어로 번역되지 않고 어셈블러에게 특정 작업을 지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3. 대표적인 명령으로 DC, LA, ST 등이 있다.
  4. 세그먼트와 프로시저 정의, 매크로 정의, 리스트 파일의 지정 등을 지시할 수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대표적인 명령으로 DC, LA, ST 등이 있다."는 옳은 설명이다. Pseudo 코드 명령은 기계어로 번역되지 않고 어셈블러에게 특정 작업을 지시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어셈블러가 원시 프로그램을 번역할 때 필요한 정보를 전달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세그먼트와 프로시저 정의, 매크로 정의, 리스트 파일의 지정 등을 지시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C 언어에서 문자형 자료 선언시 사용하는 것은?

  1. char
  2. float
  3. double
  4. int
(정답률: 알수없음)
  • 문자형 자료를 선언할 때는 "char"를 사용합니다. 이는 문자를 저장하기 위한 자료형으로, 한 글자를 저장할 수 있습니다. float, double, int은 숫자를 저장하기 위한 자료형이며, 문자를 저장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C 언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이식성이 높은 언어이다.
  2. 컴파일 과정 없이 실행 가능하다.
  3. 시스템 소프트웨어의 용도로 사용하기에 용이하다.
  4. 다양한 연산자를 제공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 "컴파일 과정 없이 실행 가능하다."

    C 언어는 컴파일러를 통해 기계어로 변환되어야 실행 가능한 언어입니다. 따라서 컴파일 과정 없이는 실행할 수 없습니다. 이는 C 언어의 특징 중 하나인 이식성이 높은 언어이기도 합니다. 이식성이 높다는 것은 다양한 운영체제와 하드웨어에서 동작할 수 있는 언어라는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C 언어에서 저장 클래스를 명시하지 않는 변수는 기본적으로 어떤 변수로 간주되는가?

  1. auto
  2. global
  3. local
  4. extern
(정답률: 알수없음)
  • C 언어에서 저장 클래스를 명시하지 않는 변수는 기본적으로 "auto" 변수로 간주된다. 이는 해당 변수가 함수 내에서 선언되었을 경우에만 적용되며, 함수 외부에서 선언된 변수는 기본적으로 "global" 변수로 간주된다. "local" 변수는 함수 내에서 선언된 지역 변수를 의미하며, "extern" 변수는 다른 파일에서 선언된 전역 변수를 참조할 때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어셈블리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컴퓨터 기종마다 공통된 프로그램을 사용할 수 있다.
  2. 기계어보다 프로그램 작성하기가 쉽다.
  3. 기계어를 사용하기 쉽도록 만든 기호화 언어이다.
  4. 고급 프로그램과 비교할 때 실행 속도가 빠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컴퓨터 기종마다 공통된 프로그램을 사용할 수 있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어셈블리어는 컴퓨터의 아키텍처에 따라 다르게 작성되며, 따라서 서로 다른 기종의 컴퓨터에서는 다른 어셈블리어 코드를 사용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매크로 프로세서의 기능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매크로 호출 저장
  2. 매크로 정의 저장
  3. 매크로 정의 인식
  4. 매크로 호출 인식
(정답률: 알수없음)
  • 매크로 호출 저장은 매크로 프로세서의 기능에 해당하지 않는다. 매크로 호출 저장은 매크로를 정의하거나 호출하는 것이 아니라, 이미 호출된 매크로의 정보를 저장하는 것이다. 따라서 매크로 프로세서의 기능에 해당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인터프리터 방식의 언어는?

  1. COBOL
  2. C
  3. BASIC
  4. FORTRAN
(정답률: 알수없음)
  • 인터프리터 방식의 언어는 코드를 한 줄씩 읽어들여 바로 실행하는 방식을 사용합니다. BASIC은 이러한 방식으로 동작하는 언어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C 언어의 제어 구조 중 실행한 다음, 조건을 검사하여 반복 실행의 여부를 결정하는 문은?

  1. for 문
  2. while 문
  3. do ~ while 문
  4. switch ~ case 문
(정답률: 알수없음)
  • do ~ while 문은 일단 한 번은 실행한 후에 조건을 검사하여 반복 실행의 여부를 결정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최소한 한 번은 실행되는 것이 보장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어셈블리어에서 서브루틴을 호출하는 명령은?

  1. LOOPE
  2. JMP
  3. CALL
  4. LOOP
(정답률: 알수없음)
  • 서브루틴을 호출하는 명령은 "CALL"이다. CALL 명령은 현재 실행 중인 프로그램의 흐름을 서브루틴으로 전환시키고, 서브루틴이 실행을 마치면 다시 원래 위치로 돌아오게 된다. 이를 통해 코드의 재사용성과 구조화를 쉽게 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어셈블러를 두 개의 패스로 구성하는 주된 이유는?

  1. 한 개의 패스만을 사용하면 프로그램의 크기가 증가하여 유지보수가 어렵다.
  2. 한 개의 패스만을 사용하면 메모리가 많이 소요된다.
  3. 기호를 정의하기 전에 사용할 수 있어 프로그램 작성이 용이하다.
  4. 패스 1, 2의 어셈블러 프로그램이 작아서 경제적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어셈블러를 두 개의 패스로 구성하는 주된 이유는 "기호를 정의하기 전에 사용할 수 있어 프로그램 작성이 용이하다." 이다. 이는 첫 번째 패스에서는 기호를 정의하고, 두 번째 패스에서는 기호를 대체하여 명령어를 생성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방식은 기호를 여러 번 사용할 때 유용하며, 프로그램의 크기를 줄이고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한다는 장점도 있다. 다른 선택지들은 어셈블러를 두 개의 패스로 구성하는 이유와는 관련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C 언어에서 기억 클래스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자동(automatic) 변수
  2. 정적(static) 변수
  3. 레지스터(register) 변수
  4. 내부(internal) 변수
(정답률: 알수없음)
  • C 언어에서 "내부(internal) 변수"는 기억 클래스의 종류가 아닙니다. 이유는 C 언어에서 내부 변수는 존재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내부 변수는 다른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사용되는 용어이며, C 언어에서는 사용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내부(internal) 변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소스 프로그램(Source Program)의 문자열(Stream)을 프로그램 구성의 기본 요소(Token)로 구분하는 작업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Preprocessor
  2. Lexical Analysis
  3. Syntax Analysis
  4. Semantic Analysis
(정답률: 알수없음)
  • 소스 프로그램의 문자열을 프로그램 구성의 기본 요소로 구분하는 작업은 "Lexical Analysis"라고 한다. 이 작업은 소스 코드를 의미 있는 작은 단위인 토큰으로 분리하는 과정으로, 이 과정을 거치면 컴파일러나 인터프리터가 이해할 수 있는 형태로 소스 코드를 변환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는 공백, 주석 등의 불필요한 요소를 제거하고, 예약어, 식별자, 상수 등의 토큰으로 분리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어셈블리어에서 라이브러리에 기억된 내용을 프로시저로 정의하여 서브루틴으로 사용하는 것과 같이 사용할 수 있도록 그 내용을 현재의 프로그램 내에 포함시켜 주는 명령은?

  1. INCLUDE
  2. EXTRN
  3. ORG
  4. SEGMENT
(정답률: 알수없음)
  • "INCLUDE" 명령은 다른 어셈블리어 파일에 기록된 코드나 데이터를 현재의 프로그램 내에 포함시켜 주는 명령입니다. 이를 통해 라이브러리에 저장된 내용을 서브루틴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코드의 재사용성과 유지보수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C 언어에서 문자열 입력 함수는?

  1. putchar ( )
  2. puts ( )
  3. getchar ( )
  4. gets ( )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gets ( )"입니다.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 putchar ( ): 문자 하나를 출력하는 함수입니다.
    - puts ( ): 문자열을 출력하는 함수입니다.
    - getchar ( ): 문자 하나를 입력받는 함수입니다.
    - gets ( ): 문자열을 입력받는 함수입니다.

    따라서, 문자열을 입력받는 함수는 gets (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C 언어에서 이스케이프 시퀀스의 설명이 옳지 않은 것은?

  1. \b : back slash
  2. \t : tab
  3. \r : carriage return
  4. \f : form feed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b : back slash"입니다. 이스케이프 시퀀스 중 "\b"는 백스페이스를 나타내며, 백슬래시를 나타내는 이스케이프 시퀀스는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어셈블리어에서 어떤 기호적 이름에 상수 값을 할당하는 명령은?

  1. EQU
  2. EVEN
  3. ORG
  4. ASSUME
(정답률: 알수없음)
  • "EQU"는 상수 값을 할당하는 명령어이다. "EVEN"은 짝수 주소를 지정하는 명령어이고, "ORG"는 시작 주소를 지정하는 명령어이다. "ASSUME"은 세그먼트 레지스터 값을 지정하는 명령어이다. 따라서, 상수 값을 할당하는 명령어는 "EQU"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어셈블리어로 작성된 프로그램이 실행되기까지의 과정이 옳은 것은?

  1. 원시프로그램 → 어셈블 → 목적프로그램 → 링크 → 로딩 → 실행
  2. 원시프로그램 → 어셈블 → 목적프로그램 → 로딩 → 링크 → 실행
  3. 원시프로그램 → 링크 → 어셈블 → 목적프로그램 → 로딩 → 실행
  4. 원시프로그램 → 어셈블 → 링크 → 목적프로그램 → 로딩 → 실행
(정답률: 알수없음)
  • 어셈블리어로 작성된 프로그램은 먼저 원시프로그램으로 작성되고, 이를 어셈블어로 변환하여 목적프로그램을 생성합니다. 이후 링크 과정을 거쳐 여러 개의 목적프로그램을 하나로 합치고, 로딩을 통해 메모리에 적재됩니다. 마지막으로 실행되어 프로그램이 동작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원시프로그램 → 어셈블 → 목적프로그램 → 링크 → 로딩 → 실행"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다음 트리를 전위식(Prefix) 형태로 옳게 나타낸 것은?

  1. 3 + 4 * 5 - 6
  2. * + 3 4 - 5 6
  3. 3 4 + 5 6 - *
  4. * + - 3 4 5 6
(정답률: 알수없음)
  • 전위식(Prefix)은 루트 노드를 가장 먼저 출력하는 표기법입니다. 따라서, 주어진 트리의 전위식은 루트 노드인 "*"를 가장 먼저 출력하고, 왼쪽 서브트리를 순회하면서 "+"를 출력하고, 그 다음에는 "3"과 "4"를 출력합니다. 이어서 오른쪽 서브트리를 순회하면서 "-"를 출력하고, 그 다음에는 "5"와 "6"을 출력합니다. 따라서, 옳은 전위식은 "* + 3 4 - 5 6"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전위식의 순서가 잘못되었거나, 연산자와 피연산자의 순서가 잘못되었기 때문에 옳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