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신선로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4-03-07)

통신선로산업기사
(2004-03-07 기출문제)

목록

1과목: 디지털전자회로

1. 트랜지스터의 콜렉터 누설전류가 주위온도의 변화로 15[㎂]에서 150[㎂]로 증가되었을 때 콜렉터 전류는 9[㎃]에서 9.5[㎃]로 변하였다. 이 트랜지스터의 안정계수 S는 약 얼마인가?

  1. 0.037
  2. 3.7
  3. 27
  4. 270
(정답률: 알수없음)
  • 안정계수 S는 다음과 같은 공식으로 계산된다.

    S = (ΔIc / Ic) / (ΔVbe / Vbe)

    여기서 ΔIc는 콜렉터 누설전류의 변화량, Ic는 콜렉터 전류, ΔVbe는 베이스-에미터 전압의 변화량, Vbe는 베이스-에미터 전압을 의미한다.

    문제에서 ΔIc는 150 - 15 = 135[㎂], Ic는 (9 + 9.5) / 2 = 9.25[㎃], ΔVbe는 알 수 없다. 하지만 안정계수 S는 온도에 민감한 값이므로, 주어진 정보로부터 대략적인 값을 추정할 수 있다.

    온도가 증가하면 베이스-에미터 전압이 감소하므로, ΔVbe는 음수일 것이다. 따라서 S는 양수가 될 것이다. 또한, ΔIc가 Ic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므로, S는 작은 값일 것이다.

    보기에서 유일하게 작은 값인 0.037을 제외하면, 모두 큰 값이다. 따라서 정답은 3.7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다음 논리식을 간단히 하면?

  1. AC+B
  2. AB+C
(정답률: 알수없음)
  • 논리식을 간단히 하면 다음과 같다.

    AB + AC + BC

    이를 더 간단하게 표현하면,

    A(B+C) + BC

    따라서 정답은 ""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하틀레이 발진기에서 궤환요소는?

  1. 용량
  2. 저항
  3. 코일
  4. 능동소자
(정답률: 알수없음)
  • 하틀레이 발진기에서 궤환요소는 코일입니다. 이는 전기적인 에너지를 저장하고 방출하는데 사용되는 요소이며, 하틀레이 발진기에서는 코일의 자기장이 변화함으로써 전기적인 에너지를 생성합니다. 따라서 코일은 하틀레이 발진기에서 궤환요소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반송파전압 ec = Ec cos(wct + θ)를 신호전압 es = Es cos wst 로 진폭변조시 피변조파의 상측파대의 진폭은? (단, ma: 변조도)

  1. wc + ws
  2. ma·Ec/2
  3. wc - ws
  4. ma·Ec
(정답률: 알수없음)
  • 진폭변조된 신호는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et = Ec(1 + macoswst)coswct

    여기서, 피변조파의 상측파대의 진폭은 ma·Ec/2 이다. 이는 변조된 신호의 상부와 하부를 나누는 직선의 방정식이 et = Ec/2 와 같아지는 지점에서의 es 값을 구하면 된다. 이 지점은 변조 신호의 최대값인 Ec(1 + ma)coswct 일 때이다. 따라서,

    es = Ec(1 + ma)/2

    es = Ec/2 + ma·Ec/2

    따라서, 피변조파의 상측파대의 진폭은 ma·Ec/2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다음 회로중 미분 회로는 어느 것인가?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 이다. 이 회로는 콘덴서를 이용한 미분 회로로, 입력 신호의 변화율을 출력 신호로 변환하는 역할을 한다. 콘덴서는 전류가 흐르는 동안 전하를 축적하여 전압을 생성하는데, 이를 이용하여 입력 신호의 변화율을 측정하고 출력으로 변환한다. 다른 회로들은 각각 증폭, 저항, 통과 필터 회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다음 연산증폭회로에서 출력전압 e0를 구하는 식은? (단, R1 = R3, R2 = R4 이다.)

  1. e0 = e2-e1
(정답률: 알수없음)
  • 이 연산증폭회로는 비교적 간단한 형태의 차동 증폭회로이다. 입력신호 e1과 e2는 각각 R1과 R3을 통해 인가되고, R2와 R4를 통해 차동증폭이 이루어진다. 이때, 출력전압 e0은 e2와 e1의 차이로 나타난다. 따라서, 출력전압 e0를 구하는 식은 "e0 = e2-e1"이 된다. 이때, 보기 중에서 ""가 정답인 이유는 이 식에서 e2와 e1이 각각 R1과 R3을 통해 인가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e2와 e1은 서로 같은 크기를 가지므로, e0는 0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다음은 반가산기(Half Adder)의 블록도이다. 출력단자 S(sum) 및 C(carry)에 나타나는 논리식은?

(정답률: 알수없음)
  • S는 A와 B의 합을 나타내므로 XOR 연산으로 구할 수 있고, C는 A와 B의 자리올림을 나타내므로 AND 연산으로 구할 수 있다. 따라서 정답은 ""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트랜지스터를 증폭작용에 이용할 경우의 동작상태는?

  1. 포화상태
  2. 활성상태
  3. 차단상태
  4. 역활성상태
(정답률: 알수없음)
  • 트랜지스터를 증폭작용에 이용할 경우, 입력신호가 기저전압을 넘어서면 콜렉터와 에미터 사이에 전류가 흐르게 되어 증폭이 일어나는데, 이때 트랜지스터는 활성상태에 있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 즉, 입력신호에 따라 전류가 흐르는 상태로서 증폭작용을 수행하는 상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동조형 공진결합 증폭기에서 대역폭 B를 넓게 하는 방법은?

  1. 공진회로의 용량을 증가시킨다.
  2. 공진회로의 Q를 낮게 한다.
  3. 공진회로의 저항을 감소시킨다.
  4. 공진회로의 인덕턴스를 증가시킨다.
(정답률: 알수없음)
  • 공진회로의 Q가 낮아지면 공진주파수 주변에서의 대역폭이 넓어지기 때문이다. Q가 높을수록 공진주파수 주변에서의 대역폭이 좁아지기 때문에, Q를 낮추면 대역폭이 넓어지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다음 회로의 논리 출력식으로 옳은 것은?

  1. Y = AB·CD·EF
  2. Y = AB + CD + EF
(정답률: 알수없음)
  • 다음 회로는 AND 게이트와 OR 게이트로 이루어져 있으며, 출력 Y는 AND 게이트의 출력과 OR 게이트의 출력을 OR 연산한 결과이다. 따라서, Y는 AB·CD·EF + AB + CD + EF로 표현할 수 있다. 이를 더 간단하게 표현하면 AB + CD + EF가 된다. 따라서, 옳은 정답은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10진수 25를 2진수로 옳게 나타낸 것은?

  1. 10001
  2. 11001
  3. 10101
  4. 11000
(정답률: 알수없음)
  • 10진수 25를 2진수로 나타내기 위해서는 2의 거듭제곱 수들을 이용하여 25를 만들어야 합니다. 2의 거듭제곱 수들은 1, 2, 4, 8, 16, 32, ... 등이 있습니다. 따라서 25를 만들기 위해서는 16과 8, 1을 더해야 합니다. 이를 2진수로 나타내면 11001이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11001"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전파정류회로의 최대효율은 약 몇[%]인가?

  1. 20
  2. 40
  3. 81
  4. 92
(정답률: 알수없음)
  • 전파정류회로의 최대효율은 81%이다. 이는 이상적인 다이오드의 전압강하와 전류증폭을 이용하여 유도되는 것으로, 이상적인 다이오드에서는 전압강하가 발생하면서 전류가 증폭되어 최대효율인 81%를 얻을 수 있다. 하지만 실제 다이오드에서는 이상적인 상황이 아니기 때문에 최대효율은 81%보다 낮을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Flip-Flop 과 관계가 없는 것은?

  1. RAM
  2. Decoder
  3. Counter
  4. Register
(정답률: 알수없음)
  • Flip-Flop은 디지털 회로에서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 사용되는 기본적인 요소입니다. RAM, Counter, Register은 모두 Flip-Flop을 사용하여 구성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Decoder는 입력 신호를 해석하여 출력을 생성하는 논리 회로입니다. Flip-Flop과 직접적인 관련이 없으므로 정답은 Decoder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다음 논리식 중 틀린 것은?

  1. A+0 = A
  2. A·0 = 0
  3. A·1 = 1
  4. A+1 = 1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A+1 = 1"이다. 이는 OR 연산에서 모든 입력이 0일 때만 결과가 0이 되는 것을 의미하는데, A와 1 중 적어도 하나는 1이기 때문에 결과는 1이 된다.

    "A·1 = 1"은 AND 연산에서 모든 입력이 1일 때만 결과가 1이 되는 것을 의미하는데, A와 1 모두가 1이기 때문에 결과는 1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다알링톤(Darlington)회로의 설명으로 틀리는 것은?

  1. 전압 이득이 작다.
  2. 전류 이득이 크다.
  3. 입력저항이 작다.
  4. 출력저항이 작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입력저항이 작다."이다. 다알링톤 회로는 입력저항이 크고 출력저항이 작은 특징을 가진다. 이는 입력신호가 회로에 들어오면 저항이 큰 다이오드와 저항이 큰 트랜지스터로 구성된 구조 때문이다. 따라서 입력신호가 회로에 영향을 주기 위해서는 입력저항이 커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2진 비교기의 구성요소를 맞게 설명한 것은?

  1. 인버터 2개, NOR 게이트 2개, NAND 게이트 1개
  2. 인버터 2개, AND 게이트 1개, NOR 게이트 2개
  3. 인버터 2개, AND 게이트 2개, X-NOR 게이트 1개
  4. 인버터 2개, NAND 게이트 2개, X-OR 게이트 1개
(정답률: 알수없음)
  • 2진 비교기는 두 개의 2진수를 비교하여 크기를 판단하는 회로입니다. 이 회로는 두 개의 입력 A와 B를 받아서, A가 B보다 크면 출력 Y가 1이 되고, 그렇지 않으면 0이 됩니다.

    이 회로는 먼저 A와 B를 비교하여 A가 B보다 크거나 같은지를 판단하는 부분과, A와 B가 같은지를 판단하는 부분으로 나뉩니다.

    A가 B보다 크거나 같은지를 판단하는 부분은 AND 게이트 2개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A와 B의 각 자리수를 비교하여 A가 B보다 크거나 같으면 해당 자리수의 AND 게이트 출력이 1이 됩니다.

    A와 B가 같은지를 판단하는 부분은 X-NOR 게이트 1개와 인버터 2개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A와 B의 각 자리수를 비교하여 같으면 해당 자리수의 X-NOR 게이트 출력이 1이 됩니다. 이 출력을 인버터로 한번 더 반전시켜서 A와 B가 같으면 0이 됩니다.

    따라서 2진 비교기의 구성요소는 인버터 2개, AND 게이트 2개, X-NOR 게이트 1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가청주파수 증폭기에서 부궤환 회로를 사용하는 목적을 설명한 것 중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왜곡(distortion)을 개선하기 위하여
  2. 잡음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3. 이득을 크게 하기 위하여
  4. 주파수특성을 좋게 하기 위하여
(정답률: 알수없음)
  • 이득을 크게 하기 위하여 부궤환 회로를 사용하는 것은 맞지만, "왜곡(distortion)을 개선하기 위하여"는 적합하지 않은 설명입니다. 부궤환 회로는 주파수 특성을 좋게하고, 잡음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지만, 왜곡을 개선하는 효과는 없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왜곡(distortion)을 개선하기 위하여"입니다. 이득을 크게 하기 위해서는 부궤환 회로를 사용하여 입력 신호를 증폭시키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다음과 같은 논리 다이아그램을 논리식으로 표시하면?

(정답률: 알수없음)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다음과 같은 회로에 정현파 입력 신호를 가했을 때 출력파형은? (단, 다이오우드 순방향 저항 Rf = 0)

(정답률: 알수없음)
  • 입력 신호가 정현파일 때, 다이오드는 양의 반주파만 통과시키고 음의 반주파는 차단합니다. 따라서 출력파형은 입력파형의 양의 반주기만 통과시킨 반주기 이므로 ""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다음 중 Schmitt trigger 회로의 특성으로 옳은 것은?

  1. 이득을 향상시킬 수 있다.
  2. 계단파 발진기로 주로 사용한다.
  3. 삼각파 입력으로 정현파 출력이 된다.
  4. 회로구성은 쌍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와 유사하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회로구성은 쌍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와 유사하다."이다.

    Schmitt trigger 회로는 양극성 입력 신호를 이용하여 출력 신호를 생성하는 회로로, 쌍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와 유사한 구성을 가지고 있다. 이 회로는 입력 신호의 잡음에 대한 강건성이 높고, 이득을 조절하여 출력 신호의 변화를 민감하게 감지할 수 있다. 따라서, 회로구성은 쌍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와 유사하다는 것이 옳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유선통신기기

21. 다음 중 비동기 전송 모드(ATM)에서 페이로드(payload)의 크기는 얼마인가?

  1. 5 Bytes
  2. 48 Bytes
  3. 53 Bytes
  4. 64 Bytes
(정답률: 알수없음)
  • ATM에서 비동기 전송 모드에서 페이로드의 크기는 48 Bytes이다. 이는 ATM 셀의 크기가 53 Bytes이고, 그 중 5 Bytes는 헤더 정보를 담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실제 데이터 전송에 사용되는 페이로드의 크기는 48 Bytes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PCM 24CH 방식에서 1 프레임에 수용되는 pulse의 수는 모두 몇개가 들어 갈 수 있는가?

  1. 192개
  2. 193개
  3. 191개
  4. 190개
(정답률: 알수없음)
  • PCM 24CH 방식에서 1 프레임은 1/8000초 동안의 시간을 나타내며, 각 채널마다 1초당 8000개의 pulse가 생성됩니다. 따라서 24개의 채널에서 1초당 생성되는 pulse의 수는 24 x 8000 = 192000개입니다. 이를 1 프레임에 수용할 수 있는 pulse의 수인 8000으로 나누면 192000 / 8000 = 24개의 pulse가 1 프레임에 수용됩니다. 그러나, 이 중에서 synchronization pulse 1개가 추가되므로 실제 데이터 pulse는 23개입니다. 따라서, 1 프레임에 수용되는 pulse의 수는 23개 + 1개의 synchronization pulse = 24개가 아니라, 23개의 데이터 pulse + 1개의 synchronization pulse = 193개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직류전류계법에 의한 자동전화기용 계전기의 접촉률 시험에서 접점이 붙었을 때에는 100[㎃]의 전류가 흐르고, 떨어졌을 때에는 16[㎃]의 전류가 흘렀다. 이 계전기의 접촉률은?

  1. 16[%]
  2. 32[%]
  3. 84[%]
  4. 100[%]
(정답률: 알수없음)
  • 접촉률은 접점이 붙었을 때의 전류와 떨어졌을 때의 전류의 비율로 계산된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100[㎃] / 16[㎃] = 6.25가 된다. 이 값을 100으로 나누어주면 접촉률이 84[%]가 된다. 즉, 접점이 붙었을 때의 전류가 떨어졌을 때의 전류보다 6.25배 높으므로 접촉률은 84[%]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시내전화의 서비스를 나타내는 척도는?

  1. 라인 화인더의 호손률
  2. 교환기의 설계 호손률
  3. 통화 완료률
  4. 중계선 화중률
(정답률: 알수없음)
  • 시내전화 서비스의 핵심은 통화가 가능한지 여부입니다. 따라서 시내전화 서비스를 나타내는 척도는 통화 완료율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시스템의 다른 측면을 나타내지만, 통화 완료율은 실제로 사용자가 통화를 할 수 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가장 중요한 지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전화 트래픽 관련 용어 설명중 잘못된 설명은?

  1. 호(Call) : 전화의 이용자가 통신을 목적으로 통신회선을 사용하는 사상(Event)
  2. 보류시간(Holding Time) : 호가 통신회선을 점유하는 시간
  3. 최번시 : 1일중 호가 가장 많이 발생하는 시간
  4. 최번시 호수(BHCA) : 가입자에 의해 시도된 총 통화량
(정답률: 알수없음)
  • "최번시 호수(BHCA) : 가입자에 의해 시도된 총 통화량"이 잘못된 설명입니다. BHCA는 "Busy Hour Call Attempts"의 약어로, 최번시에 시도된 총 통화 시도 횟수를 의미합니다. 즉, 최번시 동안 시도된 전화 횟수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계전기의 동작전류의 종류에 따라 계전기를 분류할 경우 관계 없는 것은?

  1. 압전기용
  2. 직류용
  3. 교류용
  4. 맥류용
(정답률: 알수없음)
  • 압전기는 동작전류의 종류와는 관계없이 전기적 신호를 변환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다른 세 가지 계전기는 동작전류의 종류에 따라 분류되지만 압전기는 그렇지 않습니다. 따라서 압전기용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DTMF방식 전화기의 다이얼은 어떤 형태의 수열신호를 사용하는가?

  1. D.C 임펄스
  2. 두개 주파수원의 혼합된 신호
  3. 세개 주파수원의 혼합된 신호
  4. D.C 임펄스를 A.C 신호로 변환한 신호
(정답률: 알수없음)
  • DTMF방식 전화기의 다이얼은 두개 주파수원의 혼합된 신호를 사용한다. 이는 각각의 숫자와 기호에 대응하는 두 개의 주파수를 조합하여 만들어진 신호로, 이를 전화교환기에서 인식하여 해당하는 번호나 기호를 전달하는 방식이다. 이 방식은 간단하면서도 신호의 구분이 명확하고 오류가 적은 장점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다음 중 TDX-10의 CCS 서브시스팀의 기능은?

  1. 과금 및 통계기능
  2. 녹음안내 기능
  3. 망동기 기능
  4. 공간스위치 기능
(정답률: 알수없음)
  • TDX-10의 CCS 서브시스템은 고객이 사용한 통화량을 측정하고 이를 기반으로 과금을 처리하는 기능과 함께 통화량 및 고장 등의 통계 정보를 수집하는 기능을 제공합니다. 따라서 "과금 및 통계기능"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교환 소프트웨어의 개발시간과 경비를 감축하고 소프트웨어 질을 향상시킬 프로그램을 코딩을 위해 ITU-T에서 권고한 고급 프로그래밍 언어는 어떤 것인가?

  1. SDL
  2. MML
  3. MSC
  4. CHILL
(정답률: 알수없음)
  • ITU-T에서 권고한 고급 프로그래밍 언어 중 CHILL은 통신 교환 소프트웨어의 개발에 적합한 언어로, 프로그램의 안정성과 신뢰성을 높이기 위한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며, 코드의 가독성과 유지보수성을 향상시키는 특징이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CHILL은 통신 교환 시스템의 요구사항을 충족시키기 위해 표준화된 문법과 구문을 제공하며, 다른 언어와의 호환성도 높습니다. 따라서 CHILL은 교환 소프트웨어의 개발시간과 경비를 감축하고 소프트웨어 질을 향상시키는 데에 적합한 언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raffic에 있어서 단위시간은 몇 시간을 표시하는가?

  1. 100시간
  2. 1시간
  3. 24시간
  4. 3600시간
(정답률: 알수없음)
  • Traffic에서 단위시간은 1시간을 표시합니다. 이는 일반적으로 도로 교통량을 측정하는 데 사용되는 표준 단위 시간입니다. 다른 단위 시간은 일반적으로 사용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전화기의 수화기 원리에서 영구자석의 자속밀도(Bo)와 음성 전류에 의한 자속밀도(b) 사이에 좋은 수화감도를 유지하기 위한 조건으로 알맞는 것은?

  1. Bo = b 의 조건
  2. sin Bo = cos b의 조건
  3. π Bo = b2의 조건
  4. 2Bob > b2의 조건
(정답률: 알수없음)
  • 전화기의 수화기 원리에서는 전화기 수화기 내부에 있는 영구자석과 음성 전류에 의해 생성되는 자기장이 상호작용하여 수화음을 만들어냅니다. 이때, 수화음의 크기는 영구자석의 자속밀도(Bo)와 음성 전류에 의한 자속밀도(b)의 크기에 따라 결정됩니다.

    따라서, 좋은 수화감도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영구자석의 자속밀도와 음성 전류에 의한 자속밀도의 크기가 적절하게 조절되어야 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2Bob > b2의 조건이 필요합니다. 이는 영구자석의 자속밀도가 음성 전류에 의한 자속밀도보다 충분히 크도록 유지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 조건을 만족하면 수화음의 크기가 적절하게 유지되어 좋은 수화감도를 얻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탄소 송화기는 송화기 원리상 어디에 속하는가?

  1. 자석식
  2. 가변 저항식
  3. 축전기식
  4. 압전형
(정답률: 알수없음)
  • 탄소 송화기는 가변 저항식 송화기에 속합니다. 이는 탄소가 저항체로 사용되어 전류가 흐를 때 탄소의 저항값이 변화하게 되어 송화기의 음성 신호를 생성하는 원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한 회선의 신호레벨이 -15[dBm]일 때 이 신호를 16개 회선에 같은 크기로 분할한 회선의 신호 레벨을 측정하면 얼마인가?

  1. -9[dBm]
  2. -13[dBm]
  3. -16[dBm]
  4. -27[dBm]
(정답률: 알수없음)
  • 신호레벨은 로그 스케일로 측정되기 때문에, 16개 회선으로 분할하면 각 회선의 신호레벨은 원래 신호레벨에서 10 로그 16 즉, 42[dB] 만큼 감소한다. 따라서, -15[dBm]에서 42[dB]를 빼면 -57[dBm]이 된다. 그러나, 문제에서는 보기 중에서 가장 가까운 값으로 고르라고 했으므로, -57[dBm]과 가장 가까운 값인 -27[dBm]을 선택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전자교환기의 기능을 나타내는 항목 중에서 중앙제어장치가 1 시간 동안에 처리할 수 있는 최대 호수를 호 처리 용량이라고 한다. 다음의 단위 중에서 호 처리 용량을 나타내는 단위는?

  1. BHCA
  2. Erl
  3. HCS
  4. bps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 BHCA

    BHCA는 "Busy Hour Call Attempts"의 약자로, 전화교환망에서 1시간 동안 처리할 수 있는 최대 통화 시도 횟수를 나타내는 단위이다. 전자교환기에서 호 처리 용량은 전화교환망에서 처리할 수 있는 최대 통화 시도 횟수와 유사한 개념이므로 BHCA를 사용하여 나타낸다. Erl은 통화량을 나타내는 단위이고, HCS는 호 처리 용량을 나타내는 단위가 아니며, bps는 초당 전송되는 비트 수를 나타내는 단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다음 중 같은 광원을 사용하였다고 가정하였을 때 분산이 가장 큰 광섬유는?

  1. step index SMF
  2. step index MMF
  3. grad index MMF
  4. 분산천이 SMF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step index MMF"입니다.

    광섬유의 분산은 광섬유 내에서 광의 속도가 다르기 때문에 발생합니다. 광섬유의 속도는 광섬유의 구조에 따라 달라지며, 광섬유의 구조는 광섬유의 굴절률 분포에 의해 결정됩니다.

    Step index MMF는 광섬유 내부의 굴절률이 일정한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광섬유 내부에서 광의 속도가 일정하게 유지되므로 분산이 가장 크게 발생합니다. 이에 반해, step index SMF는 광섬유 내부에서 굴절률이 급격하게 변화하므로 광의 속도가 변화하게 되어 분산이 작게 발생합니다. Grad index MMF는 광섬유 내부에서 굴절률이 부드럽게 변화하므로 분산이 작게 발생합니다. 분산천이 SMF는 광섬유 내부에서 광의 속도가 일정하게 유지되므로 분산이 작게 발생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진폭 편이 변조에 대한 설명중 관계가 적은 것은?

  1. 전송로의 잡음이나 레벨변동에 약한 결점이 있어 수 신부에 보정회로가 필요하다.
  2. 복조 방법은 주파수 변별기를 사용해야하고, 회로가 다른 방식에 비해 간단하여 많이 사용한다.
  3. 설계가 비교적 간단하고 주파수 변동에 대하여 강한이점이 있다.
  4. 반송파 단속시 레벨의 편차가 충분히 커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반송파 단속시 레벨의 편차가 충분히 커야 한다는 것은 진폭 편이 변조와 관련이 있으나, 다른 보기들은 주파수 변조와 관련이 있다. 따라서, 관계가 적은 것은 "복조 방법은 주파수 변별기를 사용해야하고, 회로가 다른 방식에 비해 간단하여 많이 사용한다." 이다. 이유는 주파수 변별기를 사용하는 방법은 다른 방법에 비해 회로가 간단하고, 구현이 용이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팩스밀리의 수신기록방식에는 여러가지 방법이 있다. 다음에서 팩스밀리의 기록방식이 아닌 것은?

  1. 잉크제트
  2. 방전파괴기록
  3. 감열기록
  4. 알파모자이크
(정답률: 알수없음)
  • 알파모자이크는 팩스밀리의 기록방식이 아니다. 알파모자이크는 문서를 스캔하여 디지털화한 후, 흑백으로 변환하여 저장하는 방식이다. 따라서, 실제 문서의 색상이나 그림 등의 세부사항을 기록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통신수단인 광케이블의 특징과 거리가 먼 것은?

  1. 전송 손실율이 낮다.
  2. 전자파 장애에 민감하다.
  3. 인간의 머리카락보다 직경이 가늘고 가볍다.
  4. 인장력이 높다.
(정답률: 알수없음)
  • 광케이블은 광신호를 전송하기 때문에 전자파 장애에 민감합니다. 전자파 장애가 발생하면 광신호가 간섭을 받아 전송 속도가 느려지거나 전송이 중단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광케이블은 전자파 장애가 발생할 가능성이 적은 지역에서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어느 파형을 측정한바 기본파 진폭이 447.2[mV], 제2고조파 진폭 20[mV], 제3고조파 진폭 10[mV]였다면 왜율은?

  1. 약 1.2[%]
  2. 약 3[%]
  3. 약 5[%]
  4. 약 6.7[%]
(정답률: 알수없음)
  • 왜율은 제2고조파와 제3고조파의 진폭의 합을 기본파 진폭으로 나눈 값에 100을 곱한 것입니다. 따라서, 왜율은 (20[mV] + 10[mV]) / 447.2[mV] x 100 = 약 5[%]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별도의 신호 전용회선을 통하여 디지털신호를 양방향으로 송·수신 하는 디지털망에 적합한 신호방식은?

  1. R2MFC 신호
  2. NO.7 신호
  3. Loop Decadic 신호
  4. DTMFC 신호
(정답률: 알수없음)
  • 디지털망은 디지털 신호를 전송하는데 적합한 신호방식이 필요합니다. 이 중에서도 별도의 신호 전용회선을 통해 양방향으로 송수신하는 경우에는 NO.7 신호가 적합합니다. 이는 전화망에서 사용되는 신호로, 디지털망에서도 사용되며, 신뢰성이 높고 오류 검출 및 복구 기능이 강화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통신망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기능도 포함되어 있어서 디지털망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전송선로개론

41. 광섬유 내부의 굴절률을 가장 높게 하고 외부로 갈수록 연속적으로 점차 굴절률이 낮아지도록 만든 광섬유는?

  1. 집속형 광섬유
  2. 언덕형(GI) 광섬유
  3. 다중형 광섬유
  4. 계단형(SI) 광섬유
(정답률: 알수없음)
  • 언덕형(GI) 광섬유는 내부의 굴절률을 가장 높게 하고 외부로 갈수록 연속적으로 점차 굴절률이 낮아지도록 만들어진 광섬유이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이는 광섬유 내부에서 빛이 전달될 때 반사와 굴절이 일어나는데, 굴절률이 변하는 구간이 많아지면 반사와 손실이 적어지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다음은 통신구의 장점에 대해서 나열하였다. 잘못된 것은?

  1. 초기 건설비용이 작게든다.
  2. 외부의 악영향으로부터 안전하다.
  3. 케이블 신규포설작업이 편리하다.
  4. 기설 케이블 유지보수가 용이하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 "초기 건설비용이 작게든다."

    설명: 통신구의 장점으로는 외부의 악영향으로부터 안전하다는 것, 케이블 신규포설작업이 편리하다는 것, 기설 케이블 유지보수가 용이하다는 것이 있다. 그러나 초기 건설비용이 작게 된다는 것은 장점이 아니라 단점이다. 초기 건설비용이 작게 들어간다는 것은 통신구의 품질이나 성능이 떨어질 가능성이 높아진다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선로고장측정에 이용되는 L3 시험기는 어떤 원리를 이용한 것인가?

  1. 브리지원리
  2. 직선검파원리
  3. 펄스반사원리
  4. 저항감쇠원리
(정답률: 알수없음)
  • L3 시험기는 브리지 원리를 이용하여 선로고장을 측정합니다. 브리지 원리는 전기회로에서 저항, 인덕턴스, 캐패시턴스 등의 값을 측정하는 원리로, 두 개의 저항기와 두 개의 측정 점을 이용하여 전기적으로 균형을 이루는 원리입니다. 이를 이용하여 선로의 고장을 측정하게 되는데, 선로의 고장 부분은 전기적으로 저항이 변화하므로 브리지 원리를 이용하여 이를 감지하고 측정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케이블 심선구조에서 성형쿼드(star quad)란?

  1. 심선 4개를 1조로 하여 꼰 구조상태이다.
  2. 심선 3개를 1조로 하여 2중으로 꼰 구조상태이다.
  3. 단쌍(one pair)을 2조로 하여 꼰 구조상태이다.
  4. 2개의 심선을 꼬아 놓은 구조상태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성형쿼드는 케이블 심선구조에서 심선 4개를 1조로 하여 꼰 구조상태이다. 이는 신호 간 간섭을 최소화하고, 노이즈를 줄이며, 전송 품질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광중계기 중에서 자동이득 조정회로(AGC)의 기능이 아닌 것은?

  1. 수광전력의 변동 보상
  2. 온도변화의 이득 보상
  3. 고주파 잡음특성 보상
  4. 증폭기의 이득변동 보상
(정답률: 알수없음)
  • 자동 이득 조정 회로(AGC)는 수신기에서 수신한 신호의 강도를 측정하여 이득을 자동으로 조정하여 일정한 수신강도를 유지하는 기능을 수행합니다. 이에 따라 수광전력의 변동 보상, 온도변화의 이득 보상, 증폭기의 이득변동 보상은 모두 AGC의 기능 중 하나입니다. 하지만 고주파 잡음특성 보상은 AGC의 기능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고주파 잡음특성 보상은 수신기에서 수신한 신호의 고주파 잡음을 보상하는 기능으로, AGC와는 별개의 기능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광섬유에서 빛이 통과하는 주통로는?

  1. 코아(core)
  2. 크래드(clad)
  3. 코아(core)와 크래드(clad)
  4. 코아(core)와 크래드(clade) 경계면
(정답률: 알수없음)
  • 광섬유에서 빛이 통과하는 주통로는 코아(core)입니다. 코아는 광섬유의 중심부에 위치하며, 광섬유의 핵심 역할을 합니다. 빛은 코아를 따라 직진하며, 코아의 주변을 둘러싼 크래드(clad)는 코아를 보호하고 빛이 산란되지 않도록 합니다. 따라서 코아가 광섬유에서 빛이 통과하는 주요한 경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통신용 케이블의 심선 집합 구성으로 옳은 것은?

  1. 쌍 → 그룹 → 유니트
  2. 쌍 → 유니트 → 그룹
  3. 그룹 → 쌍 → 유니트
  4. 유니트 → 그룹 → 쌍
(정답률: 알수없음)
  • 케이블의 기본 단위는 쌍(pair)이며, 이 쌍들이 여러 개 모여서 그룹(group)을 이룹니다. 그리고 이 그룹들이 다시 모여서 유니트(unit)를 구성합니다. 따라서 옳은 구성은 "쌍 → 유니트 → 그룹"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다음 중 평형 케이블에 전송할 수 있는 주파수의 상한은 주로 무엇 때문에 제한을 받는가?

  1. 잡음
  2. 비직선 일그러짐
  3. 레벨 변동
  4. 누화
(정답률: 알수없음)
  • 평형 케이블은 전송 거리가 길어질수록 신호가 약해지는데, 이때 신호가 누화되어 전달되기 때문에 주파수의 상한이 제한을 받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전송신호의 전력이 1/10 의 감쇠를 주는 선로와 1/1000의 감쇠를 주는 선로를 접속할 때 전체의 감쇠량은?

  1. -50[dB]
  2. -40[dB]
  3. -30[dB]
  4. -20[dB]
(정답률: 알수없음)
  • 두 선로를 연결하면 각 선로에서의 전력 감쇠가 곱해져 전체 감쇠량이 결정된다. 따라서 1/10 감쇠를 주는 선로와 1/1000 감쇠를 주는 선로를 연결하면 전체 감쇠량은 (1/10) x (1/1000) = 1/10000 이 된다. 이를 데시벨(dB)로 변환하면 10log(1/10000) = -40[dB] 가 된다. 즉, 전체 감쇠량은 -40[dB]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옥외 전화선을 가입자 댁내로 인입할 때 주로 사용되는 것은?

  1. 주단자함(MDF)
  2. 단자함
  3. 배선함
  4. 접속함
(정답률: 알수없음)
  • 옥외 전화선을 가입자 댁내로 인입할 때는 단자함이 주로 사용됩니다. 이는 전화선을 연결하고 분배하는 역할을 하며, 가입자 댁내에서 전화기나 인터넷 모뎀 등과 연결됩니다. 주단자함(MDF)은 건물 외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단자함은 건물 내부에 설치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옥외 전화선을 건물 내부로 인입할 때는 단자함을 사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다음은 전송선로의 분포정수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 설명된 것은?

  1. R = G = 0인 선로를 무손실선로라 한다.
  2. RC = LG인 선로를 무왜곡선로라 한다.
  3. 무왜곡선로에서 특성임피던스는 일정하다.
  4. 무왜곡선로에서 위상정수는 주파수에 반비례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무왜곡선로에서 위상정수는 주파수에 반비례한다."는 잘못된 설명이 아니다.

    무왜곡선로에서는 특성임피던스가 일정하므로, 주파수가 증가하면 전송선로의 길이가 단축되어 전파가 전달되는 시간이 짧아지게 된다. 이에 따라 전파의 위상이 변화하게 되는데, 이 변화는 주파수에 반비례하게 된다. 따라서 무왜곡선로에서 위상정수는 주파수에 반비례한다는 것이 맞는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스크린(screen)케이블에 대한 설명 중에서 틀린 것은?

  1. 심선도체는 종이 테이프로 절연하였다.
  2. 케이블 중간에 스크린 금속체로 분리되어 있다.
  3. 심선절연체는 칼라코드화 되어 있다.
  4. 심선에는 0.65mm 연동선을 사용하였다.
(정답률: 알수없음)
  • "심선도체는 종이 테이프로 절연하였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일반적으로 스크린 케이블의 심선도체는 폴리에틸렌(PE) 등의 플라스틱 절연체로 되어 있습니다. 종이 테이프는 과거에는 사용되었지만 현재는 거의 사용되지 않습니다.

    심선도체는 전기 신호를 전달하는 실질적인 부분이며, 스크린 케이블의 경우 심선 주위에 금속 스크린이 분리되어 있습니다. 이 스크린은 외부 잡음을 차단하고 전자기파를 방출하는 역할을 합니다.

    심선절연체는 일반적으로 색상 코드화되어 있어 각 심선을 구분하기 쉽습니다.

    심선에 사용되는 연동선의 굵기는 다양하지만, 일반적으로 0.65mm보다 더 얇은 연동선도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표준직경 50[㎛]의 광섬유 케이블에서 광심선 코어가 다음 그림과 같이 찌그러져 최대 직경 amax가 51.7[㎛]이고 최소직경 amin이 48.8[㎛]이라면 이 광섬유 코어의 비원율 e는 몇% 인가?

  1. e = 9.4
  2. e = 7.2
  3. e = 5.8
  4. e = 3.3
(정답률: 알수없음)
  • 비원율 e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e = (amax - amin) / (amax + amin) * 100%

    따라서, 주어진 값에 대입하면

    e = (51.7 - 48.8) / (51.7 + 48.8) * 100% = 5.8%

    따라서, 정답은 "e = 5.8"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전송선로에서의 특성 임피던스를 특히 반송 주파수 이상에서는 파동 임피던스라고 하는데 다음 중 어느 것인가?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이다.

    전송선로에서의 특성 임피던스는 전송선로의 물리적 특성에 의해 결정되며, 전송선로의 길이, 단면적, 재질 등에 따라 달라진다. 이러한 특성 임피던스는 전송선로에서 파동이 전달될 때 파동의 반사와 전달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반송 주파수 이상에서는 전송선로의 길이가 파장보다 짧아져서 전송선로의 물리적 특성이 파동의 전달에 미치는 영향이 작아지기 때문에, 전송선로의 특성 임피던스가 파동 임피던스라고 부른다. 이는 파동이 전송선로를 통과할 때 반사가 적어지고, 전달 효율이 높아지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음성 주파수대와 반송 주파수대를 분리하는 것은?

  1. 선로 여파기
  2. 변복 여파기
  3. 방향 여파기
  4. 복합 여파기
(정답률: 알수없음)
  • 선로 여파기는 주파수 대역을 분리하는 장치 중 하나로, 주파수가 혼재된 신호를 입력받아 음성 주파수대와 반송 주파수대를 분리해주는 역할을 합니다. 이를 통해 음성 통화와 데이터 통신 등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전화망에서 각각의 신호가 원활하게 전달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누화의 경감대책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압신기 사용
  2. 송단 전류의 증가
  3. 시험접속
  4. 교차
(정답률: 알수없음)
  • 누화의 경감대책 중에서 "송단 전류의 증가"는 해당되지 않는다. 이는 오히려 누화를 유발할 수 있는 요인 중 하나이기 때문이다. 누화는 전류가 과도하게 흐르면 발생하는데, 따라서 송단 전류를 증가시키는 것은 누화를 더욱 심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누화의 경감을 위한 대책으로는 송단 전류를 감소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광섬유를 영구 접속(Splicing)할 때 융착 접속방법을 사용한다. 융착접속시 작업순서로 알맞는 것은?

  1. 광섬유정렬 - 본방전 - 예비방전 - 접속점의 보강
  2. 광섬유정렬 - 접속점의 보강 - 예비방전 - 본방전
  3. 광섬유정렬 - 예비방전 - 본방전 - 접속점의 보강
  4. 예비방전 - 접속점의 보강 - 본방전 - 광섬유정렬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광섬유정렬 - 예비방전 - 본방전 - 접속점의 보강"이다.

    광섬유정렬은 광섬유의 끝단을 정확하게 맞추는 작업이다. 이후 예비방전을 하여 광섬유의 끝단을 정전기로부터 보호한다. 본방전을 하여 광섬유의 끝단을 녹여 접속한다. 마지막으로 접속점의 보강을 하여 광섬유의 끝단을 보호하고 안정적인 신호전달을 보장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다음 중 디지틀 전송방식이 아닌 것은?

  1. PCM방식
  2. FDM방식
  3. TDM방식
  4. OTDM방식
(정답률: 알수없음)
  • FDM방식은 아날로그 신호를 다중 주파수 대역으로 분할하여 전송하는 방식으로, 디지털 전송 방식이 아닙니다. 따라서 FDM방식이 정답입니다. PCM방식은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전송하는 방식, TDM방식은 다수의 디지털 신호를 하나의 통신 회선으로 전송하는 방식, OTDM방식은 광신호를 다중화하여 전송하는 방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다음 동축 케이블에 관한 설명중 옳지 않은 것은?

  1. 동축 케이블의 최적비는 3.6이다.
  2. 감쇠정수는 주파수의 평방근에 반비례한다.
  3. 전자 및 정전결합에 의한 누화는 생기지 않는다.
  4. 특성 임피던스는 주파수에 무관하다.
(정답률: 알수없음)
  • "특성 임피던스는 주파수에 무관하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동축 케이블의 특성 임피던스는 주파수에 따라 변화하며, 이는 동축 케이블의 구조와 소재에 따라 결정된다.

    감쇠정수는 주파수의 평방근에 반비례하는 이유는, 동축 케이블 내부의 전기적인 에너지 손실이 주파수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기 때문이다. 이 손실은 주로 동축 케이블의 절연재 내부에서 발생하는 전자 및 정전결합에 의한 누화로 인해 발생한다. 따라서 주파수가 높아질수록 이러한 손실이 증가하게 되며, 이에 따라 감쇠정수는 주파수의 평방근에 반비례하게 된다.

    따라서, 옳지 않은 설명은 "특성 임피던스는 주파수에 무관하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통신용 동케이블선로에서 평상시 전력유도 경감대책으로 서 적당하지 않은 것은?

  1. 양선로 간격을 가능한 넓히고 선로가 상호 교차할 경우는 이를 직각으로 한다.
  2. 금속차폐층이 있는 케이블을 사용한다.
  3. 차폐선, 유도차폐선 등을 사용한다.
  4. 피뢰기를 설치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통신용 동케이블선로에서 평상시 전력유도 경감대책으로는 피뢰기를 설치하는 것이 적당하지 않은 것입니다. 이는 피뢰기가 번개로 인한 고전압을 분산시켜 지하케이블로 유도되는 전력을 방지하기 위한 대책이기 때문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전력유도를 방지하기 위한 대책으로 적절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전자계산기일반 및 선로설비기준

61. 다음의 오퍼랜드 어드레스 방식 중에서 기억장치를 두번 읽어야 원하는 데이터를 얻을 수 있는 방식?

  1. 간접 어드레스 지정방식(indirect addressing mode)
  2. 직접 어드레스 지정방식(direct addressing mode)
  3. 상대 어드레스 지정방식(relative addressing mode)
  4. 페이지 어드레스 방식(page addressing mode)
(정답률: 알수없음)
  • 간접 어드레스 지정방식은 메모리 주소가 포인터 변수에 저장되어 있고, 그 포인터 변수를 통해 실제 데이터가 저장된 메모리 주소에 접근하는 방식이다. 따라서 데이터를 얻기 위해서는 먼저 포인터 변수를 읽어서 해당하는 메모리 주소를 알아내야 하므로 기억장치를 두 번 읽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정보통신공사업을 영위하고자 하는 자는 어떤 절차를 거쳐야 하는가?

  1. 정보통신부장관의 허가를 받아야 한다.
  2. 정보통신부장관에게 등록하여야 한다.
  3. 한국정보통신공사협회장에게 신고하여야 한다.
  4. 통신위원회의 승인을 얻어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보통신공사업은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에 따라 규제되는 업종이므로, 정보통신부장관에게 등록하여야 합니다. 이를 통해 해당 업체가 법적으로 인정받은 정보통신공사임을 증명하고, 관련 규정을 준수하고 있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마이크로 컴퓨터에서 각 구성 요소간의 데이터 전송에 사용되는 공통의 전송로는?

  1. BUS
  2. CHANNEL
  3. LINE
  4. INTERFACE
(정답률: 알수없음)
  • 마이크로 컴퓨터에서 각 구성 요소간의 데이터 전송에 사용되는 공통의 전송로는 "BUS"입니다. 이는 컴퓨터 내부에서 데이터를 전송하는데 사용되는 통로로, CPU, 메모리, 입출력 장치 등의 구성 요소들이 이를 통해 데이터를 주고받습니다. 따라서 BUS는 컴퓨터 시스템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며, 컴퓨터의 성능과 안정성에 영향을 미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서브루틴의 호출에 이용되는 자료구조는?

  1. 배열(array)
  2. 스택(stack)
  3. 레코드(record)
  4. 큐(queue)
(정답률: 알수없음)
  • 서브루틴의 호출 시에는 호출한 위치를 기억하고, 호출된 서브루틴이 끝나면 다시 호출한 위치로 돌아가야 합니다. 이를 위해 호출한 위치를 저장하는 자료구조가 필요한데, 이를 스택(stack)이라고 합니다. 스택은 후입선출(LIFO, Last-In-First-Out) 구조로, 가장 최근에 저장된 데이터가 가장 먼저 꺼내지게 됩니다. 따라서 서브루틴 호출 시에는 호출한 위치를 스택에 저장하고, 서브루틴이 끝나면 스택에서 호출한 위치를 꺼내어 다시 돌아갈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통신공동구의 설치기준으로 맞지 않는 것은?

  1. 차도인 경우 지면에서 관로상단까지의 거리는 1.0m 이상 확보하여야 함.
  2. 관로는 가스관등 다른 매설물과 50cm이상 떨어져 매설하여야 함.
  3. 보도 및 자전거도로는 1미터이상 매설해야함
  4. 관로상단과 지면사이는 관로보호용 경고테이프를 관로매설경로에 따라 매설하여야 함.
(정답률: 알수없음)
  • "보도 및 자전거도로는 1미터이상 매설해야함"이 맞지 않는다. 이는 보행자와 자전거 이용자의 안전을 위해 지하에 설치되는 통신공동구를 매설할 때, 보도나 자전거도로 위에 설치하는 것이 아니라 1미터 이상 지하에 매설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디지털 컴퓨터에 대한 설명이 아닌 것은?

  1. 모든 데이터들을 이산적인 숫자 형태로 표현된다.
  2. 사칙 연산 및 논리연산을 수행한다.
  3. 모든 동작은 프로그램에 의하여 수행된다.
  4. 회로는 미분, 적분, 가산회로 및 릴레이로 구성된다.
(정답률: 알수없음)
  • "회로는 미분, 적분, 가산회로 및 릴레이로 구성된다."는 디지털 컴퓨터에 대한 설명이 아닌 것이다. 이유는 디지털 컴퓨터는 전자회로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처리하며, 이 회로는 주로 논리게이트, 레지스터, 메모리 등으로 구성된다. 미분, 적분, 가산회로 및 릴레이는 아날로그 회로에서 사용되는 용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다음 중 Unary 연산이 아닌 것은?

  1. move
  2. logical shift
  3. complement
  4. NAND
(정답률: 알수없음)
  • Unary 연산은 하나의 피연산자에 대해 수행되는 연산을 말합니다. "move", "logical shift", "complement" 모두 하나의 피연산자에 대해 수행되므로 Unary 연산입니다. 그러나 "NAND"는 두 개의 피연산자에 대해 수행되는 이항 연산이므로 Unary 연산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2진수 1001의 1의 보수에 해당하는 것은?

  1. 0001
  2. 0110
  3. 0111
  4. 0101
(정답률: 알수없음)
  • 2진수 1001의 1의 보수는 각 자리수를 반전시킨 값이다. 따라서 1001의 1의 보수는 0110이 된다. 이유는 1의 보수는 해당 숫자의 각 자리수를 0은 1로, 1은 0으로 반전시킨 값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다음 중 가장 저급 수준의 프로그램 언어는?

  1. Assembly 어
  2. FORTRAN
  3. COBOL
  4. C
(정답률: 알수없음)
  • Assembly 언어는 가장 저급 수준의 프로그램 언어이다. 이는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는 0과 1로 이루어진 기계어에 가까운 언어로, 하드웨어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기 때문이다. FORTRAN, COBOL, C는 모두 고급 언어로, 사람이 이해하기 쉽고 프로그래밍이 상대적으로 쉬운 언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전기통신 기자재를 제조 또는 판매를 하거나 수입하고 자하는 자의 이행사항은?

  1. 정보통신부장관의 형식검정
  2. 산업자원부장관의 형식승인
  3. 정보통신부장관의 형식승인
  4. 산업자원부장관의 형식검정
(정답률: 알수없음)
  • 전기통신 기자재는 정보통신 분야에 속하므로, 제조 또는 판매를 하거나 수입하고자 하는 자는 정보통신부장관의 형식승인을 받아야 합니다. 이는 해당 기자재가 국내에서 사용 가능한 기술적인 표준을 충족하고 안전성을 보장하기 위한 절차입니다. 따라서 "정보통신부장관의 형식승인"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음량손실의 객관적 척도로 이용하는 음량정격의 단위는?

  1. [dB]
  2. [dBm]
  3. [Ω]
  4. [mm]
(정답률: 알수없음)
  • 음량손실의 객관적 척도로 이용하는 음량정격의 단위는 [dB]이다. 이는 데시벨(decibel)의 약자로, 소리의 강도나 전기 신호의 강도 등을 측정하는 데 사용된다. [dBm]은 전력의 강도를 측정하는 단위이며, [Ω]은 저항의 단위, [mm]은 길이의 단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64비트 마이크로프로세서에서 데이터 버스(data bus)는 몇 개의 선으로 구성되어 있는가?

  1. 8개
  2. 16개
  3. 64개
  4. 128개
(정답률: 알수없음)
  • 64비트 마이크로프로세서는 64비트 데이터를 한 번에 처리할 수 있어야 하므로 데이터 버스는 64개의 선으로 구성되어야 한다. 각각의 선은 1비트씩을 전송하는 역할을 하며, 이들이 모여서 64비트 데이터를 전송하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다음 중 어느 것에서 직접 연산이 수행되는가?

  1. 누산기
  2. 레지스터
  3. 감산기
  4. 가산기
(정답률: 알수없음)
  • 가산기에서 직접 연산이 수행된다. 가산기는 두 개의 이진수를 입력받아 덧셈 연산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출력하는 논리 회로이다. 따라서 가산기는 직접적으로 덧셈 연산을 수행하는 회로이므로 직접 연산이 수행된다고 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기간통신사업자가 통신선로를 설치하기 위하여 타인의 토지사용이 필요하나 그 토지의 소유자 또는 점유자와 토지사용 협의가 성립되지 않은 경우 조치는?

  1. 정보통신공사업법이 정하는 바에 따라 사용한다.
  2. 공익사업을 위한 토지등의 취득 및 보상에 관한 법률이 정하는 바에 의하여 사용할 수 있다.
  3. 협의가 성립되지 않았으므로 절대 사용할 수 없다.
  4. 사법처리 후 강제로 사용할 수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기간통신사업자가 토지사용 협의를 성립시키지 못한 경우에는 공익사업을 위한 토지등의 취득 및 보상에 관한 법률이 정하는 바에 따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토지의 소유자나 점유자의 권리를 보호하면서도 공익을 위한 사업을 추진할 수 있도록 하는 제도입니다. 따라서, 협의가 성립되지 않았다고 해서 절대 사용할 수 없는 것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사용자(end user)가 작성한 프로그램을 무엇이라 하는가?

  1. 원시 프로그램(source program)
  2. 컴파일러(compiler)
  3. 언어 번역 프로그램(language translator)
  4. 목적 프로그램(object program)
(정답률: 알수없음)
  • 사용자가 작성한 프로그램은 원시 프로그램(source program)이라고 부릅니다. 이는 사용자가 이해할 수 있는 프로그래밍 언어로 작성된 원시 코드(raw code)로, 컴파일러(compiler)나 언어 번역 프로그램(language translator)을 통해 목적 프로그램(object program)으로 변환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전기통신의 기술 지도 대상자에 대한 기술지도 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전기통신 기자재 제조법에 대한 지도
  2. 기술정보의 제공
  3. 기술훈련 및 해외기술협력의 지원
  4. 전기통신기자재의 품질 보증에 관한 지도
(정답률: 알수없음)
  • 전기통신 기자재 제조법에 대한 지도는 기술 지도 대상자의 기술 개발 및 혁신에 직접적인 도움을 주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옳지 않은 것입니다. 이는 법적인 측면에서의 지도이며, 기술적인 측면에서의 지도와는 다릅니다. 따라서, 다른 보기들인 기술정보의 제공, 기술훈련 및 해외기술협력의 지원, 전기통신기자재의 품질 보증에 관한 지도가 옳은 기술지도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수저선로의 보호구역내에서 할 수 있는 행위는?

  1. 정보통신부장관의 승인을 얻은 해안보전 시설공사
  2. 수산물 채취
  3. 선박의 계류
  4. 어로 작업
(정답률: 알수없음)
  • 수저선로는 해양생태계 보전을 위해 지정된 구역으로, 이곳에서는 수산물 채취나 어로 작업 등 인간의 활동이 제한됩니다. 그러나 정보통신부장관의 승인을 얻은 해안보전 시설공사는 수저선로 내에서도 해안보전 시설을 건설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보통신부장관의 승인을 얻은 해안보전 시설공사"가 옳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전기통신기본법에서 정하는 전기통신에 대한 정의는?

  1. 유선·무선·광선 및 기타의 전자적 방식에 의한 정보의 송수신
  2. 전기통신을 하기위한 설비의 통신
  3. 정보통신을 하기위한 설비의 통신
  4. 전기통신사업의 관장을 위한 송·수신
(정답률: 알수없음)
  • 전기통신기본법에서 정하는 전기통신은 유선, 무선, 광선 및 기타의 전자적 방식에 의해 정보를 송수신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는 전기통신을 하기 위한 설비의 통신이며, 정보통신을 하기 위한 설비의 통신으로 이어집니다. 따라서 전기통신사업의 관장을 위한 송·수신도 포함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기간통신사업자의 손실보상 범위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1. 토지등 일시사용
  2. 토지등에의 출입
  3. 장애물 등의 제거요구
  4. 무선국 개설시 교통기관 이용
(정답률: 알수없음)
  • 기간통신사업자의 손실보상 범위는 무선국 개설로 인한 토지나 건물의 일시사용, 출입, 장애물 제거요구 등을 포함하지만, 무선국 개설시 교통기관 이용은 포함되지 않는다. 이는 교통기관의 이용과 관련된 손실은 해당 교통기관이 직접 처리해야 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다음 용어의 내용이 잘못된 것은?

  1. 강전류전선 : 300[V] 이상의 전력을 송·배전하는 전선
  2. 음성주파수 : 20[Hz] 이상 2만[Hz] 이하의 전자파
  3. 명음 : 전기통신설비의 회로간에 전자적, 음향적 결합에 의하여 스스로 발생하는 발진음
  4. 국선 : 통신사업자의 교환설비로부터 이용자 통신설비의 최초단자에 이르기까지의 사이에 구성되는 회선
(정답률: 알수없음)
  • 음성주파수 : 20[Hz] 이상 2만[Hz] 이하의 전자파가 잘못된 내용이다. 음성주파수는 전자파가 아니라 소리의 주파수 범위를 의미한다. 따라서 정확한 정의는 "인간이 인지할 수 있는 소리의 주파수 범위로, 20[Hz] 이상 20,000[Hz] 이하의 주파수를 가진 소리"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