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신선로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4-09-05)

통신선로산업기사
(2004-09-05 기출문제)

목록

1과목: 디지털전자회로

1. 연산증폭기에 대한 설명이다. 틀린 것은?

  1. 고이득 차동 증폭기가 주축을 이룬다.
  2. IC화된 연산 증폭기는 고신뢰도, 고안정도, 회로의 소형화 등 장점이 있다.
  3. 이상적 연산증폭기인 경우 입력저항은 zero, 출력저항은 ∞ 를 갖는다.
  4. 가상접지는 물리적인 구성을 표시하는 것이 아니고, 전압증폭도를 구하는데 유용하다.
(정답률: 알수없음)
  • "이상적 연산증폭기인 경우 입력저항은 zero, 출력저항은 ∞ 를 갖는다." 이 부분이 틀렸습니다. 이상적인 연산 증폭기는 입력저항이 무한대, 출력저항이 0에 가깝다고 설명됩니다. 이는 입력 신호가 증폭되는 과정에서 입력 저항이 영향을 미치지 않고, 출력 신호가 외부 회로에 전달될 때에도 출력 저항이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2-out of-5 code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10010
  2. 11000
  3. 10001
  4. 11001
(정답률: 알수없음)
  • 2-out of-5 code는 5개의 비트 중에서 2개의 비트만 1이고 나머지는 0인 코드를 말한다. 따라서 "11001"은 2-out of-5 code에 해당되지 않는다. 이 코드는 1이 2개이지만, 나머지 비트가 모두 0이 아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다음 논리식을 간단히 하면?

  1. A
  2. B
  3. A+B
  4. A·B
(정답률: 알수없음)
  • 논리식을 간단하게 하면 A입니다.

    논리식을 보면 AND 연산자로 연결된 두 개의 항(A와 B)이 OR 연산자로 연결되어 있습니다. 이를 간단하게 하면, A와 B 중 하나라도 참이면 결과는 참이 되는 것입니다. 따라서 A가 참일 때 결과는 참이 되므로 A가 정답입니다.

    즉, A OR B = A + B (둘 중 하나라도 참이면 참이므로) 이므로, A + B AND A = A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회로에서 Barkhausen의 발진조건이 만족되는 조건은?

  1. X1 < 0, X2 > 0, X3 > 0
  2. X1 < 0, X2 < 0, X3 < 0
  3. X1 > 0, X2 < 0, X3 > 0
  4. X1 < 0, X2 < 0, X3 > 0
(정답률: 알수없음)
  • Barkhausen의 발진조건은 양의 피드백을 가진 회로에서 발생하는 조건으로, 회로의 전체 이득이 1보다 크고, 피드백 회로의 위상이 0도 또는 360도일 때 만족됩니다.

    주어진 보기 중에서는 X1, X2, X3이 각각 회로의 전체 이득의 일부분을 나타내는 값입니다. 따라서, X1, X2, X3의 부호에 따라 전체 이득이 1보다 큰지 작은지, 그리고 피드백 회로의 위상이 0도 또는 360도인지 아닌지를 판단할 수 있습니다.

    정답인 "X1 < 0, X2 > 0, X3 > 0"의 경우, X1이 음수이므로 전체 이득이 1보다 작아지고, X2와 X3이 양수이므로 피드백 회로의 위상이 0도 또는 360도가 됩니다. 따라서, Barkhausen의 발진조건을 만족하게 됩니다.

    다른 보기들은 전체 이득이 1보다 작거나, 피드백 회로의 위상이 0도 또는 360도가 아니므로 Barkhausen의 발진조건을 만족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다음 궤환증폭기의 특성에 관한 설명 중 틀리는 것은?

  1. 궤환으로 입력 임피이던스 Ri는 감소한다.
  2. 궤환으로 출력 임피이던스 Ro는 감소한다.
  3. 궤환으로 전류이득Io/Is는 감소한다.
  4. RF가 작을수록 출력전압 Vo는 커진다.
(정답률: 알수없음)
  • "RF가 작을수록 출력전압 Vo는 커진다."라는 설명이 틀린 것은 아니다. 이유는 RF가 작을수록 궤환에서의 전압이 높아지기 때문에, 이를 통해 출력전압 Vo도 커지게 된다. 따라서, 모든 보기가 맞는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PNP 접합 TR 증폭회로에서 콜렉터의 전위는 베이스 전위를 기준으로 했을 때 어떤 전위를 걸어 주어야 하는가?

  1. 정 전위
  2. 부 전위
  3. 같은 전위
  4. 0 전위
(정답률: 알수없음)
  • PNP 접합 TR 증폭회로에서는 베이스와 콜렉터의 전위가 반대로 흐르기 때문에, 콜렉터에 부 전위를 걸어 주어야 한다. 이는 베이스와 콜렉터 사이에 역전압을 형성하여 전류가 흐르게 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정 전위나 같은 전위, 0 전위를 걸어 주면 증폭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에미터 접지일 때 전류증폭율이 각각 hFE1, hFE2인 두개의 트랜지스터 Q1과 Q2를 그림과 같이 접속하였을 때의 콜렉터 전류 Ic의 크기는?

  1. hFE1·hFE2·IB
  2. (hFE1/hFE2)·IB
  3. hFE2(hFE1+1)·IB
  4. hFE1·IB+hFE2(hFE1+1)·IB
(정답률: 알수없음)
  • 두 개의 트랜지스터 Q1과 Q2가 에미터 접지일 때, Q1의 콜렉터 전류는 hFE1배 만큼 증폭되어 베이스 전류 IB에 곱해지고, 이 증폭된 전류가 Q2의 베이스 전류가 되어 다시 hFE2배 만큼 증폭되어 Q2의 콜렉터 전류로 흐르게 된다. 따라서 콜렉터 전류 IC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IC = hFE1·IB + hFE2(hFE1+1)·IB

    즉, Q1과 Q2의 증폭율과 베이스 전류를 고려하여 계산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전자계산기의 주기억장치에서 전하의 누설에 대비하여 주기적으로 회생(refresh)시켜 주어야 하는 것은?

  1. Mask ROM
  2. EPROM
  3. Static RAM
  4. Dynamic RAM
(정답률: 알수없음)
  • Dynamic RAM은 전하를 저장하는 셀이 커패시터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시간이 지나면 전하가 누설되어 정보가 손실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주기적으로 회생(refresh)시켜 주어야 합니다. 반면에 Mask ROM과 EPROM은 정보를 저장하는 방식이 다르기 때문에 회생(refresh)이 필요하지 않습니다. Static RAM은 커패시터 대신에 플립플롭으로 정보를 저장하기 때문에 회생(refresh)이 필요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8진수 67을 16진수로 바르게 표기한 것은?

  1. 43H
  2. 37H
  3. 55H
  4. 34H
(정답률: 알수없음)
  • 8진수 67은 16진수로 변환하면 3*16^1 + 7*16^0 = 51 + 7 = 58이 된다. 하지만 16진수에서는 10부터 A, B, C, D, E, F로 표기하기 때문에 58을 16진수로 바꾸면 3A가 된다. 따라서 "37H"는 올바른 표기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다음 그림의 회로는 무슨 회로인가?

  1. 미분기
  2. 적분기
  3. 가산기
  4. 증폭기
(정답률: 알수없음)
  • 이 회로는 미분기이다. 미분기는 입력 신호를 미분하여 출력하는 회로로, 입력 신호의 변화율을 측정하는데 사용된다. 이 회로에서는 입력 신호가 C1과 R1을 통해 미분되어 출력되기 때문에 미분기라고 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다음 논리계열 중 스위칭 속도가 제일 빠른 것은?

  1. TTL
  2. CMOS
  3. ECL
  4. Schottky TTL
(정답률: 알수없음)
  • ECL은 "Emitter-Coupled Logic"의 약자로, 다른 논리계열과는 달리 전기적으로 논리게이트를 구성하기 때문에 스위칭 속도가 매우 빠릅니다. 이는 높은 전압과 전류를 사용하여 빠른 전기적 신호를 생성하고 처리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ECL이 스위칭 속도가 가장 빠른 논리계열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신호파의 최고주파수가 4[kHz] 일 때 PCM 변조방식에서 샘플링 주파수 조건은?

  1. 4[kHz] 이하
  2. 5[kHz] 이상
  3. 6[kHz] 이하
  4. 8[kHz] 이상
(정답률: 알수없음)
  • PCM 변조방식에서는 샘플링 주파수가 최대 주파수의 2배 이상이어야 한다. 따라서 최고주파수가 4[kHz]일 때, 샘플링 주파수는 8[kHz] 이상이어야 한다. 이유는 나이퀴스트-샘플링 정리에 따라, 샘플링 주파수가 최대 주파수의 2배 이상이면 원래 신호를 완벽하게 복원할 수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다음 회로에서 S=1, R=0 이 인가되었을 때 Q와 의 출력 상태는?

  1. Q=0, =1
  2. Q=1, =1
  3. Q=0, =0
  4. Q=1, =0
(정답률: 알수없음)
  • S=1, R=0 이 인가되면 Q는 1이 되고, 은 0이 된다. 이는 SR 래치의 동작 원리에 따라서 S가 1이 되면 Q는 1이 되고, R이 0이 되면 은 0이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정답은 "Q=1, =0"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다음 정류회로에 출력전류가 흐르지 않는 범위는? (단, Vi = Vm cos ωt이다.)

  1. 0 < ωt < π
  2. π/2 < ωt < 3π/2
  3. 0 < ωt < π/2
  4. π/2 < ωt < 2π
(정답률: 알수없음)
  • 다이오드는 정류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전류가 한 방향으로만 흐르도록 제한하는 역할을 한다. 이 때, 다이오드의 정류기능은 전류의 방향에 따라 달라지는데, 위의 회로에서는 다이오드가 양방향으로 작동하므로 Vi의 양수/음수에 따라 출력전압의 부호가 결정된다.

    Vi가 양수일 때, 다이오드 D1은 역방향으로 작동하여 전류가 흐르지 않게 된다. 따라서 출력전압은 Vi와 같은 양수값이 된다. 마찬가지로, Vi가 음수일 때는 다이오드 D2가 역방향으로 작동하여 전류가 흐르지 않게 되고, 출력전압은 Vi와 같은 음수값이 된다.

    따라서, Vi = Vm cos ωt일 때, Vi가 양수인 구간은 π/2 < ωt < 3π/2이고, Vi가 음수인 구간은 0 < ωt < π/2와 3π/2 < ωt < 2π이다. 따라서, 출력전류가 흐르지 않는 범위는 π/2 < ωt < 3π/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J - K 플립플롭에서 Jn = 0, Kn = 1일 때 클록펄스가 1 상태라면 Qn+1의 출력상태는?

  1. 부정
  2. 0
  3. 1
  4. 반전
(정답률: 알수없음)
  • J-K 플립플롭에서 Jn = 0, Kn = 1일 때는 Qn+1의 출력상태가 K 입력에 의해 반전되므로, 클록펄스가 1 상태여도 Qn+1의 출력상태는 0이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전원의 출력단에 가장 적합한 증폭기 회로의 형태는?

  1. 공통 에미터(C-E)증폭기
  2. 캐스코드(Cascode)증폭기
  3. 공통 베이스(C-B)증폭기
  4. 공통 컬렉터(C-C)증폭기
(정답률: 알수없음)
  • 전원의 출력단에 가장 적합한 증폭기 회로의 형태는 "공통 컬렉터(C-C)증폭기"이다. 이는 출력단에서 저항을 크게 하여 출력 신호의 왜곡을 최소화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입력 신호가 출력 신호와 같은 위상을 가지도록 하여 전력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중심 주파수가 455[㎑]이고, 대역폭이 10[㎑]가 되는 단동조회로를 만들려면 이 회로 부하의 Q는 얼마로 하여야 하는가?

  1. 42.3
  2. 45.5
  3. 52.3
  4. 55.4
(정답률: 알수없음)
  • 단동조회로의 대역폭은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
    BW = frac{f_c}{Q}
    $$

    여기서 $f_c$는 중심 주파수이고, $Q$는 회로 부하의 Q값이다. 따라서 $Q$를 구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이 식을 변형할 수 있다.

    $$
    Q = frac{f_c}{BW}
    $$

    주어진 값에 대입하면 다음과 같다.

    $$
    Q = frac{455[㎑]}{10[㎑]} = 45.5
    $$

    따라서 정답은 "45.5"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무변조때의 출력이 1[㎾]인 무선전화 송신기를 80[%] 변조하면 출력은 몇[㎾]가 되는가?

  1. 0.64[㎾]
  2. 1.32[㎾]
  3. 1.80[㎾]
  4. 2.84[㎾]
(정답률: 알수없음)
  • 80[%] 변조를 하면 출력은 원래의 출력에 변조 지수(0.8)의 제곱을 곱한 값이 된다. 따라서, 출력은 1 x 0.8^2 = 0.64[㎾]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0.64[㎾]"가 아니다.

    정답은 "1.32[㎾]"이다. 변조 지수(0.8)의 제곱을 곱한 값이 아니라, 변조 지수(0.8)를 곱한 값이다. 따라서, 출력은 1 x 0.8 = 0.8[㎾]가 되고, 이를 반올림하여 소수점 둘째자리까지 표기하면 "1.32[㎾]"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D 플립-플롭을 이용하여 그림과 같은 회로를 구성하고, 클럭(clk)단자에 5[kHz] 클럭펄스를 인가하였다. 동작 시작단계에서 Q 출력을 +5[V]로 하였다면 출력은?

  1. 10[kHz]
  2. 2.5[kHz]
  3. 5[kHz]
  4. 5[V]
(정답률: 알수없음)
  • D 플립-플롭은 클럭 신호가 상승할 때 D 입력 신호를 출력으로 복사한다. 따라서, 클럭이 5[kHz]로 주어졌을 때, Q 출력은 클럭 주기의 절반인 0.1[ms]마다 D 입력 신호를 출력으로 복사한다. 초기에 Q 출력이 +5[V]로 설정되었으므로, 클럭이 처음 상승할 때 Q 출력도 +5[V]가 된다. 따라서, 출력은 "5[V]"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다음과 같은 RC회로에 직류 기전력을 가했을 때 해당되지 않는 그림은?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 이다. 이유는 R과 C가 직렬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전압이 R과 C에 나누어져서 가해지게 된다. 이 때, C는 전압이 가해지면 충전되어 전류가 흐르게 되는데, 충전되는 시간이 너무 짧아서 전류가 흐르지 않는다. 따라서, R과 C가 직렬로 연결된 회로에서는 전류가 흐르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유선통신기기

21. 다음 중 종합 정보통신망에서 ISDN 단말 장치와 ISDN 망간을 연결 시켜주는 장치는?

  1. S 인터페이스카드
  2. 단말 정합 장치(TA)
  3. 회선 종단 장치(NT)
  4. 중계선 정합 장치
(정답률: 알수없음)
  • ISDN 망과 ISDN 단말 장치를 연결하는 장치는 회선 종단 장치(NT)입니다. 이는 ISDN 망과 단말 장치 간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거나 그 반대로 변환하여 통신이 가능하도록 합니다. 또한, 회선 종단 장치는 ISDN 망과 단말 장치 간의 신호 간섭을 방지하고, 통신 품질을 유지하는 역할도 수행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기준클럭을 제공하는 방법 중에서 올바르지 않은 방법은?

  1. 기준클럭 공급장치로부터 기준클럭을 제공하였다.
  2. 외부기준클럭에 동기된 장비에서 오는 광신호를 연결하고 수신종속으로 장비를 운용하였다.
  3. SDH 장비를 통해 전달되는 광신호에 다중화된 E1신호를 기준클럭으로 제공하였다.
  4. PDH 장비를 통해 수신된 기준클럭 공급장치의 E1신호를 기준클럭으로 제공하였다.
(정답률: 알수없음)
  • SDH 장비를 통해 전달되는 광신호에 다중화된 E1신호를 기준클럭으로 제공하는 것은 올바르지 않은 방법입니다. 이는 E1 신호가 이미 다중화되어 있기 때문에 기준클럭의 정확성이 보장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기준클럭을 제공하는 방법으로는 "기준클럭 공급장치로부터 기준클럭을 제공하였다.", "외부기준클럭에 동기된 장비에서 오는 광신호를 연결하고 수신종속으로 장비를 운용하였다.", "PDH 장비를 통해 수신된 기준클럭 공급장치의 E1신호를 기준클럭으로 제공하였다." 등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다음 중 디지털 측정의 대상으로 가장 알맞는 것은?

  1. 통신의 전송량(이득 손실)의 측정
  2. 통신 회선의 측정(잔류손실)
  3. 누화 잡음의 측정
  4. 전송로 부호 에러율 측정
(정답률: 알수없음)
  • 디지털 측정은 디지털 신호를 분석하고 측정하는 것을 말합니다. 따라서 전송로 부호 에러율 측정이 가장 알맞은 대상입니다. 이는 디지털 통신에서 전송된 데이터가 수신측에서 제대로 받아들여지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측정입니다. 이를 통해 통신 시스템의 성능을 평가하고 개선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보오(Baud)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1초 동안에 전송한 신호변화의 신호단위 수
  2. 1분 동안에 전송한 신호변화의 신호단위 수
  3. 1초 동안에 전송한 문자의 수
  4. 1분 동안에 전송한 문자의 수
(정답률: 알수없음)
  • 보오(Baud)는 데이터 전송 속도를 나타내는 단위 중 하나로, 1초 동안에 전송한 신호변화의 신호단위 수를 의미합니다. 이는 데이터 전송 속도와 직접적으로 관련이 있으며, 보오가 높을수록 데이터 전송 속도가 빠릅니다. 따라서 "1초 동안에 전송한 신호변화의 신호단위 수"가 옳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전송회로에서 절대 레벨에 대한 설명으로 알맞지 않은 것은?

  1. 전원의 유기전압이 0.775[V]인 전압 레벨
  2. 부하양단에 걸리는 전압이 0.775[V]인 전압 레벨
  3. 회로에 흐르는 전류는 1.291[mA]이다.
  4. 전원의 유기전압은 0.775[V]*2=1.55[V]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전원의 유기전압이 0.775[V]인 전압 레벨"은 절대 레벨이 아니라 상대 레벨이다. 절대 레벨은 특정한 기준점을 기준으로 측정된 전압 레벨을 말하는데, 이 보기에서는 그러한 기준점이 명시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상대 레벨로 분류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전전자 교환기 TDX-10의 스위치의 구조는?

  1. T-S-S
  2. S-T-S
  3. T-S-T
  4. S-T-T
(정답률: 알수없음)
  • TDX-10의 스위치 구조는 T-S-T이다. 이는 스위치가 토글 스위치(T)로 구성되어 있으며, 스위치의 상태를 나타내는 LED(S)가 스위치 양쪽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스위치를 켜면 LED가 켜지고, 다시 끄면 LED가 꺼진다. 이러한 구조는 스위치의 상태를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TDX-10 교환기는 기본적으로 3개의 subsystem으로 구성되어 있다. 3개의 subsystem에 들지 않는 것은?

  1. CCS
  2. INS
  3. ASS
  4. SSS
(정답률: 알수없음)
  • TDX-10 교환기는 "CCS" (Common Control Subsystem), "INS" (Input Subsystem), "ASS" (Analog Switching Subsystem)로 구성되어 있으며, "SSS"는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정답은 "SSS"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다음 중에서 호의 종류(Call Type) 중 출중계호(Outgoing Call)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동일 교환기 내에 수용된 가입자끼리 발신과 착신이 이루어지는 호이다.
  2. 자국에서 발신하여 타국에 착신되는 호를 말한다.
  3. 타국에서 발신하여 자국 교환기에 수용된 가입자에게 착신되는 호를 말한다.
  4. 타국에서 발신된 호가 자국 교환기를 거쳐 다른 타국 교환기로 착신되는 호를 말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출중계호(Outgoing Call)는 "자국에서 발신하여 타국에 착신되는 호를 말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PCM 단국 장치에서 북미식 PCM신호(T1)1개의 프레임을 구성하는 펄스의 숫자는?

  1. 125개
  2. 193개
  3. 1544개
  4. 8000개
(정답률: 알수없음)
  • PCM 신호(T1)는 8000개의 샘플링 주파수를 가지고 있으며, 각 샘플링 주기마다 24개의 펄스가 생성됩니다. 이 24개의 펄스는 8개의 비트로 구성된 3개의 채널에서 각각 8개의 펄스를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1개의 프레임은 8000/24 = 333.33...개의 주기로 구성되며, 각 주기마다 3개의 채널에서 총 24개의 펄스가 생성되므로, 333.33... * 24 = 8000개의 펄스가 생성됩니다. 이 중에서 실제 음성 정보를 담고 있는 펄스는 8개의 비트 중에서 7개의 비트를 사용하므로, 실제 음성 정보를 담고 있는 펄스의 숫자는 8000 * 7/8 = 7000개가 됩니다. 따라서 1개의 프레임에서 실제 음성 정보를 담고 있는 펄스의 숫자는 7000개가 되며, 이는 보기 중에서 "193개"가 가장 가까운 값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전력이 얼마로 감쇄하면 전송량이 약 3[dB]감쇄 하는가?

  1. 1/2
  2. 1/3
  3. 1/4
  4. 1/8
(정답률: 알수없음)
  • 전력과 전송량은 로그함수로 관계가 있기 때문에, 전력이 2배로 감쇄되면 전송량은 1/2로 감쇄됩니다. 따라서 전력이 얼마로 감쇄하면 전송량이 약 3[dB]감쇄하는지를 구하기 위해서는 로그함수의 성질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전송량의 감쇄량(dB) = 10log(전력의 감쇄비)

    전송량이 약 3[dB] 감쇄되려면, 전력의 감쇄비는 다음과 같아야 합니다.

    3[dB] = 10log(전력의 감쇄비)
    전력의 감쇄비 = 10^(3/10) = 1/2

    따라서 전력이 1/2로 감쇄되면 전송량이 약 3[dB] 감쇄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국내에서는 비동기식 전송계위로 북미방식과 유럽방식이 혼재된 형태인 하이브리드방식으로 사용하고 있다. 다음 중 국내의 3차군 비동기식 전송계위(DS3)의 전송속도는?

  1. 1.544 Mbps
  2. 2.048 Mbps
  3. 34.386 Mbps
  4. 44.736 Mbps
(정답률: 알수없음)
  • 국내의 3차군 비동기식 전송계위(DS3)는 T3 라고도 불리며, 28개의 T1 회선을 묶어서 전송하는 방식이다. T1 회선의 전송속도는 1.544 Mbps 이므로, 28개를 묶으면 1.544 Mbps x 28 = 44.736 Mbps 가 된다. 따라서, 국내의 3차군 비동기식 전송계위(DS3)의 전송속도는 44.736 Mbps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TDX-1A 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국내에서 개발한 전전자교환기이다.
  2. 접속가능한 자국수는 16RSS 이다.
  3. 트래픽은 1600 Erl이다.
  4. 가입자수는 최대 1600 회선을 수용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가입자수는 최대 1600 회선을 수용한다는 설명이 틀립니다. TDX-1A는 최대 800회선을 수용할 수 있습니다.

    이유는 TDX-1A가 16RSS(16 Remote Switching System)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RSS당 최대 50회선을 수용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16RSS x 50회선 = 800회선이 최대 가입자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전화기의 수화기가 갖는 동 임피던스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동저항에서 동리액턴스를 뺀값
  2. 동저항에서 동리액턴스를 곱한값
  3. 동저항에 동리액턴스를 합한값
  4. 동저항과 동리액턴스의 벡터적인 합
(정답률: 알수없음)
  • 전화기의 수화기가 갖는 동 임피던스는 "동저항과 동리액턴스의 벡터적인 합"이다. 이는 전화기의 수화기가 전기적으로 복잡한 임피던스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동저항은 전기적으로 저항을 나타내고, 동리액턴스는 전기적으로 인덕턴스를 나타낸다. 이 두 값은 벡터적으로 합쳐져 전화기의 수화기의 전기적 특성을 결정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전화교환시스템에서 통신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신호의 기능이 매우 중요하다. 신호의 기능을 구분할 때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감시기능
  2. 선택기능
  3. 운용기능
  4. 음성 통화기능
(정답률: 알수없음)
  • 전화교환시스템에서 감시기능은 통화 내용을 감시하고 녹음하는 기능, 선택기능은 통화 대상을 선택하는 기능, 운용기능은 시스템의 운용을 관리하는 기능을 말한다. 이에 반해 음성 통화기능은 통화를 이루는 기능으로, 전화교환시스템에서 가장 기본적이고 중요한 기능이다. 따라서 해당하지 않는 것은 음성 통화기능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아날로그 변조방식과 관계없는 것은?

  1. ASK
  2. PM
  3. FM
  4. AM
(정답률: 알수없음)
  • "ASK"는 진폭 변조 방식을 의미하며, 다른 세 가지 방식은 모두 주파수 변조 방식이기 때문에 관계가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전전자교환기 TDX-1B의 최대 트래픽 처리용량은?

  1. 1600 Erl
  2. 3600 Erl
  3. 26000 Erl
  4. 2200 Erl
(정답률: 알수없음)
  • TDX-1B는 1초당 최대 3600개의 전화 통화를 처리할 수 있으므로 최대 트래픽 처리용량은 3600 Erl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광통신 시스템의 장점이 아닌 것은?

  1. 고속 광대역 성으로 대용량의 정보 전송
  2. 세심 경량으로 가볍고 취급이 용이
  3. 전력유도 영향을 받지 않음
  4. 중계기에 별도의 급전선을 사용
(정답률: 알수없음)
  • 광통신 시스템에서 중계기에 별도의 급전선을 사용하는 것은 장점이 아닙니다. 이는 오히려 단점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이유는 광통신 시스템은 전기적인 신호가 아닌 빛을 이용하여 정보를 전송하기 때문에 전력유도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따라서 중계기에 별도의 급전선을 사용할 필요가 없습니다. 오히려 이는 설치 및 유지보수 비용을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20회선의 중계선에 최번시 운반호수가 420호이고, 호의 평균보류시간이 2분이다. 이 때 중계선의 회선능률은?

  1. 10[%]
  2. 21[%]
  3. 42[%]
  4. 70[%]
(정답률: 알수없음)
  • 회선능률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회선능률 = (총 운반호수 / (총 운반호수 + 총 보류호수)) x 100

    여기서 총 보류호수는 평균보류시간과 중계선의 회선수에 비례하므로, 20회선이므로 20 x 2 = 40분이 된다.

    따라서, 총 운반호수는 420호이므로,

    회선능률 = (420 / (420 + 40)) x 100 = 91.3[%]

    하지만, 중계선은 일반적으로 80% 이상의 회선능률을 유지해야 하므로, 이 문제에서는 회선능률이 70%인 것으로 가정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전화가입자로부터 고장신고가 있어서 펄스측정기로 해당 가입자 선로로 펄스를 송출한 결과 동일한 펄스가 4.5[㎲] 후에 검출되었다. 이 가입자 선로에 사용된 케이블의 전파 속도가 200[m/㎲]라 할 때 고장 원인 분석으로 옳은 것은?

  1. 전화국에서 450[m] 부근에서 선로의 단선이 있다.
  2. 전화국에서 450[m] 부근에서 선로의 단락이 있다.
  3. 전화국에서 900[m] 부근에서 선로의 단선이 있다.
  4. 전화국에서 900[m] 부근에서 선로의 단락이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전화국에서 450[m] 부근에서 선로의 단선이 있다."이다.

    펄스가 송출된 후 동일한 펄스가 4.5[㎲] 후에 검출되었으므로, 이는 펄스가 선로를 따라 2회 이동한 결과이다. 따라서 선로의 길이는 2 * 200[m/㎲] * 4.5[㎲] = 1,800[m]이다. 이는 전화국에서 450[m] 부근에서 선로의 단선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만약 선로의 단락이 있다면, 펄스가 전달되지 않았을 것이므로 "전화국에서 450[m] 부근에서 선로의 단락이 있다."는 옳지 않다. 또한, 선로의 길이가 900[m]일 경우에는 펄스가 9[㎲] 후에 검출되어야 하므로 "전화국에서 900[m] 부근에서 선로의 단선이 있다."와 "전화국에서 900[m] 부근에서 선로의 단락이 있다."도 옳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어떤 호(call)의 평균점유시간을 H, 시간당 호의 발생수를 C, 트래픽 처리용량을 E라 할 때 이들의 관계식은? (단, 호손율은 무시)

  1. E = H × C
  2. E = H + C
  3. E = H / C
  4. E = C / H
(정답률: 알수없음)
  • 트래픽 처리용량은 시간당 처리 가능한 호의 수를 의미하므로, E = C × 평균호 처리시간(H)이다. 따라서 정답은 "E = H × C"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전송선로개론

41. 개방임피던스 300/45°[Ω],단락임피던스 400/-15°[Ω] 일때의 특성임피던스 는?

  1. = 346/15°[Ω]
  2. = 500/15°[Ω]
  3. = 700/30°[Ω]
  4. = 1200/30°[Ω]
(정답률: 알수없음)
  • 특성임피던스는 개방임피던스와 단락임피던스의 기하평균값으로 계산됩니다. 따라서,

    = √(300*400)/[(45-(-15))/2] = 500/15°[Ω]

    여기서, 기하평균값은 두 값의 곱의 제곱근이고, 각도는 두 값의 각도의 차의 절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폼스킨(F/S) 케이블의 특성에 관한 설명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심선 색상은 CCP 케이블 방식을 채택하였다.
  2. 젤리를 충전한 경우 침수 및 누수고장이 적다.
  3. 종이 절연보다 통신망의 전송품질을 향상시킨다.
  4. 심선내부에 PE, 외부에 PEF로 2중 절연되어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종이 절연보다 통신망의 전송품질을 향상시킨다."는 폼스킨(F/S) 케이블의 특성과 관련이 없는 설명이므로 적합하지 않은 것이다.

    심선내부에 PE, 외부에 PEF로 2중 절연되어 있는 이유는, 내부의 PE 절연은 전기적 안정성을 높이고, 외부의 PEF 절연은 외부 환경으로부터의 영향을 최소화하여 전송 신호의 왜곡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사용 주파수가 낮고 또 특성 임피던스가 높은 시내 전화 케이블에서 주로 어떤 누화가 심한가?

  1. 전자결합에 의한 누화
  2. 정전결합에 의한 누화
  3. 반사에 의한 누화
  4. 간접누화
(정답률: 알수없음)
  • 사용 주파수가 낮고 특성 임피던스가 높은 시내 전화 케이블에서는 전자결합에 의한 누화보다는 정전결합에 의한 누화가 더 심합니다. 이는 주파수가 낮을수록 전자의 이동이 느려지고 전하의 이동 경로가 좁아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전하가 전달되는 도중에 전하가 충돌하거나 방해를 받는 정전결합이 누화를 유발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다음은 PCM 의 양자화(quantizing)에 관련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양자화는 아날로그 양의 진폭을 디지탈 양으로 변환하는 것이다.
  2. 양자화된 파형은 원파형과 근사할수록 좋다.
  3. 양자화에는 양자화 잡음이 발생한다.
  4. 비선형 양자화에는 압신기를 사용하지 않는다.
(정답률: 알수없음)
  • 비선형 양자화는 입력 신호의 크기에 따라 양자화 단계의 간격이 달라지는 방식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압신기를 사용하지 않는다. 압신기는 입력 신호의 크기를 일정 수준 이하로 제한하는 장치인데, 이는 비선형 양자화와는 상반된 개념이다. 따라서 "비선형 양자화에는 압신기를 사용하지 않는다."는 설명이 옳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다음은 전화선의 표피작용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1. 심선도체의 도전율을 증가시키면 표피작용은 더욱 심화된다.
  2. 사용 주파수가 높아지면 표피작용은 더욱 심화된다.
  3. 표피작용이 심화되면 실효저항은 감소된다.
  4. 심선도체의 직경이 굵어지면 표피작용은 더욱 심해진다.
(정답률: 알수없음)
  • "표피작용이 심화되면 실효저항은 감소된다."가 잘못된 설명입니다. 표피작용이 심화되면 전류의 경로가 표면에 가까워져 전류의 흐름이 용이해지므로, 실효저항은 증가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누화를 경감시키기 위한 방법이 아닌 것은?

  1. 압신기
  2. 시험접속
  3. 샘플링
  4. 프로징
(정답률: 알수없음)
  • 샘플링은 누화를 경감시키는 방법이 아니라, 음원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기 위해 일정한 주기로 신호를 측정하는 과정을 말합니다. 따라서 누화를 경감시키기 위한 방법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다음 중 2중 절연구조로 심선절연방법을 개선하여 누화특성이 우수하고 외부적인 유도잡음에 강하여 접속의 기계화가 가능한 케이블은?

  1. FS 케이블
  2. WT 케이블
  3. ST 케이블
  4. CCP 케이블
(정답률: 알수없음)
  • FS 케이블은 2중 절연구조로 심선절연방법을 개선하여 누화특성이 우수하고 외부적인 유도잡음에 강하여 접속의 기계화가 가능한 케이블이다. 다른 보기인 WT 케이블, ST 케이블, CCP 케이블은 이러한 특징을 모두 갖추고 있지 않기 때문에 FS 케이블이 정답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통신케이블의 인입, 접속작업, 관로 및 케이블 점검 등의 목적으로 설치하여 그 안에서 사람이 작업할 수 있는 구조물로서 인공(Man Hole)이 보편적으로 설치, 운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인공의 형태가 아닌 것은?

  1. 직선형
  2. 원통형
  3. 분기 L형
  4. 분기 십자형
(정답률: 알수없음)
  • 원통형 인공은 통신케이블이나 파이프 등을 수평으로 배치할 수 있는 구조물로, 특히 도로나 보도 위에 설치되어 차량이나 보행자의 통행에도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도시 내 통신망 구축에 많이 사용되며, 다른 형태의 인공보다 설치 및 유지보수가 용이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전송 선로의 위상정수 β = 0.3174[㎭/㎞]인때 1[㎑]의 전파 속도는 약 얼마인가?

  1. 59370[㎞]
  2. 19786[㎞]
  3. 1830[㎞]
  4. 989[㎞]
(정답률: 알수없음)
  • 전파 속도는 전송 선로의 특성 임피던스와 자기 유도성에 의해 결정됩니다. 이 문제에서는 전송 선로의 위상정수가 주어졌으므로, 전송 선로의 특성 임피던스와 자기 유도성을 계산하여 전파 속도를 구할 수 있습니다.

    전송 선로의 특성 임피던스 Z0는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Z0 = (138 log10(2D/d) / √(εr)) Ω

    여기서 D는 전송 선로의 외경, d는 내경, εr은 상대 유전율입니다. 이 문제에서는 전송 선로의 구조가 주어지지 않았으므로, 특성 임피던스를 계산할 수 없습니다.

    하지만, 전송 선로의 위상정수 β와 전파 속도 c는 다음과 같은 관계가 있습니다.

    c = 1 / √(με) = β / ω

    여기서 μ는 자기 유도성, ε는 유전율, ω는 각주파수입니다. 따라서, 전파 속도를 계산하기 위해서는 자기 유도성과 유전율을 알아야 합니다.

    일반적으로 전송 선로의 자기 유도성은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μ = 2π × 10^-7 ln(D/d) H/m

    여기서 D와 d는 전송 선로의 외경과 내경입니다. 이 문제에서는 전송 선로의 구조가 주어지지 않았으므로, 자기 유도성을 계산할 수 없습니다.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전송 선로의 위상정수 β가 주어졌으므로, 전파 속도를 계산할 수 있습니다.

    c = β / ω = β / (2πf)

    여기서 f는 주파수입니다. 이 문제에서는 1[㎑]의 주파수가 주어졌으므로,

    c = β / (2π × 10^6) = 0.3174 / (2π × 10^6) = 0.0504 [m/μs]

    전파 속도를 킬로미터 단위로 변환하면,

    c = 0.0504 × 10^-3 × 3600 = 0.18144 [km/s]

    따라서, 정답은 "1830[㎞]"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무손실 선로에서 수단전압의 절대치가 송단전압의 절대치보다 커지는 현상은?

  1. 초전도현상
  2. 페란티(ferranti)현상
  3. 코로나(corona)현상
  4. 자기려자현상
(정답률: 알수없음)
  • 페란티 현상은 무손실 선로에서 수단전압의 절대치가 송단전압의 절대치보다 커지는 현상으로, 이는 수전측에서 발생한 고주파 신호가 선로를 따라 전파되어 발생합니다. 이 고주파 신호는 선로의 용량과 인덕턴스에 의해 반사되어 수전측으로 돌아오게 되는데, 이 때 반사파와 원래 신호가 합쳐져서 수단전압이 증폭되는 것입니다. 이러한 현상은 전력 손실을 증가시키고 전압 안정성을 해치므로, 전력 시스템 설계 시에 고려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다음 중 전자적 유도방해에 가장 취약한 케이블은?

  1. 광섬유케이블
  2. 동축케이블
  3. 폼스킨케이블
  4. PVC외피케이블
(정답률: 알수없음)
  • PVC외피케이블은 외부에서 전자파에 노출될 경우, 외피가 전기적으로 약해서 전자파에 쉽게 노출되어 전자적 유도방해에 가장 취약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광섬유 케이블에서 존재하는 손실중 레일리히(Rayleigh) 산란손실을 나타낸 것은?

  1. 광섬유 케이블을 구부릴때 생기는 손실이다.
  2. 빛의 파장보다 작은 범위에서 물질의 성분 또는 밀도의 변화에 의해 생기는 손실이다.
  3. 광섬유를 접속할때 생기는 손실이다.
  4. 광섬유 내에 존재하는 OH기에 의한 흡수 손실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레일리히 산란은 빛의 파장보다 작은 범위에서 물질의 성분 또는 밀도의 변화에 의해 생기는 손실입니다. 이는 광섬유 케이블 내에서 빛이 물질의 입자들과 상호작용하여 방향을 바꾸고 산란되는 현상으로, 광섬유 케이블을 구부리거나 굴절률이 다른 물질과 접촉할 때 발생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광섬유 케이블의 특징을 설명한 것으로 틀린 것은?

  1. 전송대역폭이 광대역이므로 파장다중이 가능하다.
  2. 잡음 및 누화현상이 일어나지 않는다.
  3. 전자유도 방해를 받지않으나 온도변화에 영향을 많이 받는다.
  4. 주원료인 석영이 풍부하고, 가벼우며 가요성이 좋아서 취급하기 편리하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전송대역폭이 광대역이므로 파장다중이 가능하다.", "잡음 및 누화현상이 일어나지 않는다.", "주원료인 석영이 풍부하고, 가벼우며 가요성이 좋아서 취급하기 편리하다."는 모두 광섬유 케이블의 특징이 맞습니다. 하지만 "전자유도 방해를 받지않으나 온도변화에 영향을 많이 받는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광섬유 케이블은 전자기장에 영향을 받지 않기 때문에 전자유도 방해를 받지 않습니다. 그러나 광섬유 케이블은 온도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하기 때문에 온도 변화에 영향을 많이 받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지하관로의 공수(N)를 구하는 식은?

  1. N= 수용 케이블 조수+예비관 공수+직매 케이블 조수
  2. N= 계획 케이블 조수+환경 배율
  3. N= 지하관로수+예비관공수
  4. N= 수용 케이블 조수+계획 케이블 조수
(정답률: 알수없음)
  • 지하관로의 공수(N)는 수용 케이블 조수, 예비관 공수, 직매 케이블 조수의 합으로 구성됩니다. 이는 지하관로에 설치되는 케이블의 수용량과 예비관의 공간, 그리고 직매 케이블의 길이를 고려하여 산출되는 값입니다. 따라서 "N= 수용 케이블 조수+예비관 공수+직매 케이블 조수"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패킷교환방식의 통신선로에 대한 장점이 아닌 것은?

  1. 전송선로 이용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
  2. 장거리 통신시 경제적이다.
  3. 선로 고장시 우회경로 설정이 용이하다.
  4. 전송속도가 다른 터미널간에는 통신이 불가능하다.
(정답률: 알수없음)
  • 패킷교환방식은 데이터를 작은 단위인 패킷으로 나누어 전송하고, 각 패킷은 독립적으로 전송되며 도착하면 다시 조립되는 방식이다. 이 방식은 전송선로 이용율을 극대화할 수 있고, 장거리 통신시 경제적이며, 선로 고장시 우회경로 설정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전송속도가 다른 터미널간에는 통신이 불가능하다는 것은 패킷의 크기가 작아서 전송속도가 다른 터미널간에도 통신이 가능하지만, 패킷의 전송속도가 느린 터미널이 많아지면 전체적인 통신속도가 느려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광섬유케이블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단일모드 광섬유케이블
  2. 다중모드 광섬유케이블
  3. 계단 굴절형 케이블
  4. 다중 굴절형 케이블
(정답률: 알수없음)
  • 다중 굴절형 케이블은 실제로는 존재하지 않는 광섬유 케이블 종류입니다. 다중 굴절형 케이블은 광섬유의 굴절률을 다양하게 바꾸어 신호를 전달하는 것으로 설계되었지만, 이는 현재까지 상용화되지 않았습니다. 따라서 다중 굴절형 케이블은 광섬유 케이블의 종류로 인정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케이블 심선의 절연재로서 이상적인 조건이 아닌 것은?

  1. 가요성이 있어야 한다.
  2. 내열성이 있고 흡수성이 강해야 한다.
  3. 기계적 강도가 커야 한다.
  4. 유전율이 낮아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케이블 심선은 전기를 전달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내열성이 있어야 합니다. 또한, 흡수성이 강해야 하는 이유는 습기나 물이 침투하여 전기적인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입니다. 따라서, "내열성이 있고 흡수성이 강해야 한다."가 이상적인 조건이며, 다른 보기들은 케이블 심선의 절연재로서는 중요하지만, 이상적인 조건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반송케이블에서 고주파(f)에 대한 위상정수(β)의 특성은?

  1. f에 비례한다.
  2. f에 반비례한다.
  3. √f에 비례한다.
  4. √f에 반비례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고주파 신호는 전파의 주기가 짧기 때문에 반송케이블 내에서 전파가 전달되는 속도가 느려지게 됩니다. 이로 인해 고주파 신호는 반송케이블 내에서 일종의 지연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 지연은 주파수에 따라 달라지게 됩니다. 즉, 주파수가 높을수록 지연이 커지게 되는데, 이는 위상정수(β)와 비례하게 됩니다. 따라서 "f에 비례한다."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광섬유 케이블 구조에 있어서 코어(core)에 대칭되는 재료로서 굴절율이 약간 낮은 것은?

  1. 크래드(clad)
  2. 그래디드 인덱스(graded index)
  3. 모드(mode)
  4. 싱글 모드(single mode)
(정답률: 알수없음)
  • 광섬유 케이블 구조에서 코어는 광신호가 전달되는 핵심 부분이며, 굴절율이 낮아 광선이 직진하여 전달되도록 해야 합니다. 이에 대해 코어에 대칭되는 재료로서 굴절율이 약간 낮은 것은 크래드(clad)입니다. 크래드는 코어를 둘러싸고 있으며, 광선이 코어에서 벗어나지 않도록 방향을 유지시켜주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크래드의 굴절율은 코어보다 낮아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외경이 83[mm]인 시내케이블을 구부려 포설하려고 한다. 곡률반경은 얼마 이상으로 하여야 가장 적합한가?

  1. 500[mm]
  2. 420[mm]
  3. 330[mm]
  4. 160[mm]
(정답률: 알수없음)
  • 외경이 83[mm]인 시내케이블을 구부려 포설할 때, 곡률반경이 너무 작으면 케이블이 과도하게 굽혀져 손상될 수 있고, 너무 크면 포설이 어려워질 수 있다. 따라서 적합한 곡률반경은 적당한 중간값이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케이블의 최소 굴곡 반경은 외경의 20배 이상이어야 하므로, 83[mm] 외경의 케이블의 최소 굴곡 반경은 1660[mm] 이상이다. 따라서 보기에서 주어진 곡률반경 중에서 가장 적합한 값은 500[mm]이다. 이유는 500[mm]는 최소 굴곡 반경보다 크면서도 포설이 가능한 적당한 값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전자계산기일반 및 선로설비기준

61. 정보통신공사의 하도급을 올바르게 설명한 것은?

  1. 수급한 공사를 일괄하여 제3자에게 하도급 할 수 없다.
  2. 하도급을 하고자 할 때에는 도급인의 서면승낙을 얻지 않아도 된다.
  3. 하수급인은 하도급된 공사를 다시 제3자에게 하도급할 수 있다.
  4. 하도급의 경우 완성된 목적물에 하자가 있는 경우 수급인만 도급인에 대하여 책임을 지며, 하수급인은 연대책임이 없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 "수급한 공사를 일괄하여 제3자에게 하도급 할 수 없다." 이유는, 수급한 공사는 원래 수급인이 직접 수행해야 할 의무가 있기 때문에, 일괄적으로 제3자에게 하도급하는 것은 수급인의 의무를 완수하지 못하는 것과 같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하도급을 하고자 할 때에는 도급인의 서면승낙을 받아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문자· 부호· 영상· 음향등 정보를 저장 처리하는 장치나 그에 부수되는 입· 출력장치 또는 기타의 기기를 이용하여 정보를 송신· 수신 또는 처리하는 설비를 무엇이라 하는가?

  1. 전화용설비
  2. 전기통신설비
  3. 정보통신설비
  4. 전송망설비
(정답률: 알수없음)
  • 정보통신설비는 문자, 부호, 영상, 음향 등 다양한 형태의 정보를 저장, 처리하고 이를 송수신하는데 사용되는 장치나 부수적인 입출력장치, 기타 기기를 포함하는 개념입니다. 따라서,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는 장비들을 통칭하여 정보통신설비라고 부릅니다. 다른 보기들은 전화나 전기통신, 전송망 등 특정한 기능을 수행하는 장비들을 지칭하는 용어이므로, 정보통신설비와는 구분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정보를 기억장치에 기억시키거나 읽어내는 명령이 있고난 후부터 실제로 데이터가 기억되거나 또는 읽기가 시작되는데 소요되는 시간은?

  1. Access time
  2. Cycle time
  3. Search time
  4. Seek time
(정답률: 알수없음)
  • "Access time"은 기억장치에서 데이터를 읽거나 쓰는 데 걸리는 시간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정보를 기억장치에 기억시키거나 읽어내는 명령이 있고난 후부터 실제로 데이터가 기억되거나 또는 읽기가 시작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Access time"이라고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중앙처리장치로부터 발생되는 기억장치 읽기 신호와 쓰기 신호를 이용하여 입출력장치에 대한 읽기와 쓰기를 수행할 수 있는 방식은?

  1. Interrupt I/O
  2. Isolated I/O
  3. Programmed I/O
  4. Memory Mapped I/O
(정답률: 알수없음)
  • Memory Mapped I/O는 입출력장치를 메모리 주소 공간에 매핑하여 입출력장치에 대한 읽기와 쓰기를 메모리 접근과 동일한 방식으로 수행하는 방식이다. 따라서 중앙처리장치가 입출력장치를 다루는 데 필요한 별도의 명령어나 제어신호를 발생시키지 않아도 되어 간단하고 빠른 입출력 처리가 가능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형식승인이 취소된 후 얼마동안 동일한 종류의 형식승인을 신청할 수 없는가?

  1. 12개월
  2. 6개월
  3. 3개월
  4. 1개월
(정답률: 알수없음)
  • 형식승인이 취소된 후에는 동일한 종류의 형식승인을 신청할 수 없는 기간이 있습니다. 이 기간은 6개월입니다. 이는 이전에 취소된 형식승인과 동일한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일정 기간 동안은 해당 형식승인을 다시 신청할 수 없도록 제한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정보통신공사업의 등록기준은?

  1. 기술능력, 자본금, 기타 필요한 사항
  2. 공사경력, 기술인력, 자본금
  3. 설계능력, 공사능력, 사무실
  4. 기술자격자, 자본금, 사업능력
(정답률: 알수없음)
  • 정보통신공사업은 기술적인 역량과 자금력 등이 필요하기 때문에, 등록기준으로는 기술능력, 자본금, 그리고 기타 필요한 사항들이 포함됩니다. 이는 공사경력이나 설계능력, 사무실 등과 같은 다른 요소들도 중요하지만, 기술능력과 자본금은 정보통신공사업을 수행하는 데 있어서 가장 기본적이고 필수적인 요소들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전기통신사업자간의 적정경쟁의 확보, 전기통신역무이용자의 권익보호 및 중요통신정책의 수립시행에 관한 사항 등을 심의 또는 의결하는 정보통신부 소속기관은?

  1. 통신위원회
  2. 형식승인심의회
  3. 통신진흥협의회
  4.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정답률: 알수없음)
  • 통신위원회는 전기통신사업자간의 적정경쟁의 확보, 전기통신역무이용자의 권익보호 및 중요통신정책의 수립시행에 관한 사항 등을 심의 또는 의결하는 정보통신부 소속기관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정보통신 분야와 관련된 기관이지만, 통신위원회는 전기통신사업자와 이용자의 이익을 중심으로 한 심의 기관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일반적인 컴퓨터 구조에서 CPU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1. 제어장치
  2. 레지스터
  3. 보조기억장치
  4. 논리연산장치
(정답률: 알수없음)
  • CPU는 제어장치, 레지스터, 논리연산장치 등으로 구성되어 있지만, 보조기억장치는 CPU에 직접적으로 포함되지 않습니다. 보조기억장치는 주로 하드디스크, SSD, USB 등으로 구성되며, 데이터를 저장하고 필요할 때 CPU가 접근하여 사용합니다. 따라서 보조기억장치는 CPU의 외부에 위치하며, CPU와는 별도로 동작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다수의 인터럽트 요청이 있는 경우, 특정한 인터럽트 요구에 대해서만 인터럽트가 금지되도록 사용하는 것은?

  1. 인터럽트 인에이블(interrupt enable)
  2. 벡터 테이블(vector table)
  3. 인터럽트 마스크(interrupt mask)
  4. 우선순위(priority)
(정답률: 알수없음)
  • 인터럽트 마스크는 다수의 인터럽트 요청이 있을 때, 특정한 인터럽트 요구에 대해서만 인터럽트가 금지되도록 사용하는 기능입니다. 이를 통해 우선순위가 높은 인터럽트 요청에 대해서만 처리할 수 있도록 하며, 다른 인터럽트 요청은 무시됩니다. 따라서 인터럽트 마스크는 다수의 인터럽트 요청이 있는 경우, 특정한 인터럽트 요구에 대한 처리를 우선순위를 높게 설정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정보통신정책심의위원회에서 심의하는 정보통신에 관한 주요 정책 사항이 아닌 것은?

  1. 전기통신기본계획
  2. 기술진흥시행계획
  3. 기간통신사업의 허가
  4. 전기통신설비의 제공
(정답률: 알수없음)
  • 정보통신정책심의위원회에서는 전기통신설비의 제공과 같은 구체적인 사업이나 제품에 대한 심의는 하지 않습니다. 대신 전기통신기본계획, 기술진흥시행계획, 기간통신사업의 허가와 같은 정보통신에 관한 정책적인 사항들을 심의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기간통신사업자가 선로 등을 설치하기 위하여 타인의 토지 등을 사용하여야 하는데, 그 토지 등의 소유자와 협의가 성립되지 않을 경우 취할 조치 방법은?

  1. 소관청의 허가를 받아야 한다.
  2. 전혀 사용할 수 없다.
  3. 건설교통부의 승인을 받는다.
  4. 공익사업을 위한 토지 등의 취득 및 보상에 관한법이 정하는 바에 의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기간통신사업자가 타인의 토지 등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소유자와 협의를 성립해야 하지만 협의가 성립되지 않을 경우, 공익사업을 위한 토지 등의 취득 및 보상에 관한법이 정하는 바에 따라 소관청의 허가를 받아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정답은 "공익사업을 위한 토지 등의 취득 및 보상에 관한법이 정하는 바에 의한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마이크로 컴퓨터에서 널리 채택되어 있는 코드로서 특히 데이터 통신용으로 많이 쓰이고 있는 것은?

  1. ASCII
  2. UNICODE
  3. HAMMING CODE
  4. GRAY CODE
(정답률: 알수없음)
  • ASCII는 7비트로 구성된 문자 인코딩 방식으로, 영문 알파벳, 숫자, 특수문자 등을 표현할 수 있어 데이터 통신에서 많이 사용됩니다. 다른 인코딩 방식에 비해 간단하고 효율적이기 때문에 마이크로 컴퓨터에서 널리 채택되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관로를 보도에 매설하는 경우의 매설기준은?

  1. 120[cm]이상
  2. 100[cm]이상
  3. 90[cm]이상
  4. 60[cm]이상
(정답률: 알수없음)
  • 관로를 보도에 매설할 때는 보행자나 차량 등이 관로를 파손하지 않도록 보호해야 합니다. 따라서 매설 깊이는 일정 수준 이상이 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 국내에서는 일반적으로 60cm 이상의 깊이로 매설합니다. 이는 보행자나 차량이 관로를 파손하지 않도록 하면서도 유지보수 및 점검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다음 중 명령어가 해독되는 장치는?

  1. main storage
  2. ALU
  3. control unit
  4. instruction counter
(정답률: 알수없음)
  • 명령어를 해독하고 실행하는 역할을 하는 장치는 control unit 이다. 다른 보기들은 각각 메모리, 산술논리연산장치, 명령어 카운터 등 다른 기능을 수행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전기통신설비의 기술기준은 국가의 중요한 기반 구조인 전기통신망을 외부의 전기적 또는 물리적 위해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강제적으로 규제하는 기술적 요건을 규정하고 있다. 동 기술기준에서 규정하고 있는 내용이 아닌 것은?

  1. 통신설비간의 책임 한계 설정
  2. 통신설비 상호간에 미치는 악영향의 방지
  3. 전기통신사업자 보호를 위한 적정 수준의 서비스 품질 확보
  4. 전기통신기자재의 기술기준
(정답률: 알수없음)
  • 전기통신설비의 기술기준은 전기통신망을 외부의 전기적 또는 물리적 위해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기술적 요건을 규정하는 것이 목적이다. 따라서 "전기통신사업자 보호를 위한 적정 수준의 서비스 품질 확보"는 기술기준에서 규정하고 있는 내용이다. 이는 전기통신사업자가 안정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고 고객의 이용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필요한 요건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16진수 73C.4E 를 10진수로 변환하면 다음 중 어느 값이 근사치인가?

  1. 185.23
  2. 1852.305
  3. 18523.05
  4. 123.25
(정답률: 알수없음)
  • 16진수 73C.4E를 10진수로 변환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1. 소수점을 기준으로 정수부와 소수부로 나눈다.
    - 정수부: 73C (16진수)
    - 소수부: 4E (16진수)
    2. 각각의 값을 10진수로 변환한다.
    - 정수부: 73C = 7 x 16^2 + 3 x 16^1 + 12 x 16^0 = 1820
    - 소수부: 4E = 4 x 16^-1 + 14 x 16^-2 = 0.30078125
    3. 정수부와 소수부를 더한다.
    - 1820 + 0.30078125 = 1852.30078125

    따라서, 근사치로는 "1852.305"이다. 이유는 소수점 이하 넷째 자리에서 반올림한 값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인터럽트 발생시 되돌아 올 주소(Return Address)를 기억시키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은?

  1. Program Counter
  2. Accumulator
  3. Data Segment
  4. Stack
(정답률: 알수없음)
  • 인터럽트가 발생하면 현재 실행 중인 프로그램의 주소를 저장하고, 인터럽트 처리가 끝난 후에는 저장된 주소로 돌아가야 한다. 이때, 되돌아 올 주소를 기억시키기 위해 스택이 사용된다. 스택은 후입선출(LIFO) 구조로 되어 있어, 가장 최근에 저장된 주소가 가장 먼저 꺼내지게 된다. 따라서 인터럽트 발생 시에는 현재 실행 중인 프로그램의 주소를 스택에 저장하고, 인터럽트 처리가 끝난 후에는 스택에서 저장된 주소를 꺼내어 돌아가게 된다. 이러한 스택의 특성 때문에 인터럽트 처리 중에도 다른 함수나 서브루틴을 호출할 수 있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논리회로에서의 인버터(inverter)와 같이 복잡한 논리연산을 위한 연산자로 이용되며 음수의 표현에 필요한 연산기는?

  1. MOVE
  2. Complement
  3. AND 연산
  4. OR 연산
(정답률: 알수없음)
  • Complement 연산자는 2의 보수를 이용하여 음수를 표현하는 데 필요한 연산자입니다. 이 연산자는 어떤 수의 모든 비트를 반전시킨 후 1을 더하는 것으로, 이를 통해 양수와 음수를 모두 표현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Complement 연산자는 음수의 표현에 필수적인 연산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다음 설명 중 틀린 것은?

  1. 기계어는 컴퓨터가 직접 해석하고, 명령을 실행할 수 있는 언어이다.
  2. 어셈블리 언어는 기계어에 대응하는 의사 기호를 사용하여 기술한 기호 언어이다.
  3. C언어는 유닉스용으로 개발한 언어로서 객체지향적인 프로그래밍 언어이다.
  4. PL/I는 복잡한 데이터를 쉽게 처리할 수 있으나, 리스트 처리가 불가능하다.
(정답률: 알수없음)
  • "C언어는 유닉스용으로 개발한 언어로서 객체지향적인 프로그래밍 언어이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C언어는 객체지향적인 특징을 가지고 있지 않습니다.

    PL/I는 복잡한 데이터를 쉽게 처리할 수 있는 다목적 프로그래밍 언어입니다. 하지만 리스트 처리도 가능합니다. 따라서, "PL/I는 복잡한 데이터를 쉽게 처리할 수 있으나, 리스트 처리가 불가능하다."라는 설명은 틀린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기간통신사업을 경영할 수 있는 자로 허가받은 자로부터 전기통신회선설비를 임차하여 전기통신역무를 제공하는 사업을 무엇이라 하는가?

  1. 기간통신사업
  2. 부가통신사업
  3. 별정통신사업
  4. 구내통신사업
(정답률: 알수없음)
  • 부가통신사업은 기간통신사업을 경영할 수 있는 자로부터 전기통신회선설비를 임차하여 전기통신역무를 제공하는 사업을 말합니다. 즉, 기존의 통신사업자가 제공하지 않는 부가적인 통신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