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과목: 응급처치학개론
1. 해리장애(Dissociative disorder)에 속하는 유형만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미국정신의학협회 정신질환 진단 및 통계 매뉴얼(DSM-5-TR)」 기준)
2. 저혈압, 빈맥 및 빠른 호흡의 평가 소견을 보이는 환자 중 폐부종을 동반할 가능성이 가장 높은 경우로 옳은 것은?
3. 호흡곤란 환자의 평가 및 처치에 사용되는 장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4. 약물과 해당 약물 과다복용 시 사용할 수 있는 해독제의 연결이 옳은 것은?
5. 진드기가 감염의 전파 매개체(vector)인 감염병으로만 묶인 것은?
6. 전신성(Pre-renal) 급성콩팥손상의 원인으로 옳은 것은?
7. 유산의 종류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8. 진통이 정상적으로 진행되는 분만 시도 중 문제가 생겼을 때, 임신부에게 <그림>처럼 자세를 변경하게 한 다음 두덩결합부위(치골결합부위)를 손바닥으로 압박해볼 수 있는 경우에 해당하는 것은?
9. 8세 소아가 며칠 전부터 감기 증상을 보이다가 두통이 점점 심해지고 의식변화가 있다. 구급대원이 <그림>처럼 누운 환아의 머리를 가슴 쪽으로 구부려보았더니 환아의 무릎이 저절로 구부러졌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0. 다음과 같은 증상을 보이는 3세 환아에 대한 처치로 가장 옳은 것은?
11. 다음 환자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2. 감염에 따른 고열 및 저혈압으로 패혈증이 의심되는 75세 남자에게 초기 수액소생술을 시도할 때 적절한 수액으로 옳은 것은?
13. 복부 또는 복부 주변 장기의 통증을 호소하는 환자의 감별에는 특징적인 징후가 도움이 된다. 징후와 장기의 연결이 바른 것은?
14. 다음 환자에게, 남은 20분 안에 지시받은 수액을 모두 주입하기 위해 새로 설정해야할 수액 주입속도로 옳은 것은?
15. 현장 심폐소생술 시행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2020년 한국심폐소생술 가이드라인」 기준)
16. 콘크리트에 깔려 구조를 기다리는 압좌증후군 환자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7. 54세 남자가 화학공장에서 일하던 중 페놀로 인하여 오른쪽 다리에 화상을 입어 통증을 호소한다. 이때 시행해야 할 가장 적절한 처치로 옳은 것은?
18. 체중 80 kg의 성인 남자가 체표면적의 25 %에 3도 전기화상을 입었다. 파크랜드 요법(Parkland formula)을 적용하여 사고 후 병원에 도착할 때까지(2시간 소요) 주입해야 하는수액 투여량(mL)으로 옳은 것은?
19. 45세 남자가 어지러움과 가슴 답답함을 호소한다. 심장박동 조율 횟수를 80회, 출력전류는 60 mA로 경피 심장박동 조율을 시행 중이다. 다음과 같은 심전도를 보일 때 적절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20. 38세 남자가 운전 중 전봇대를 들이받아 운전대에 머리를 강하게 부딪쳤다. 다음과 같이 환자는 마치 암막이 시야를 가리는 듯한 증상이 있다고 한다. 이때 가장 의심되는 소견으로 옳은 것은?
21. 52세 남자가 어지러움과 가슴 불편함을 호소한다. 혈압 142/82 mmHg, 호흡 24회/분이며 심전도는 다음과 같을 때 적절한 처치로 옳은 것은? (「2020년 한국심폐소생술 가이드라인」 기준)
22. 고층에서 추락한 43세 남자에 대한 외상평가 결과가 다음과 같을 때 수정된 외상점수(Revised Trauma Score_ Unweighted)로 옳은 것은?
23. 중증의 저체온(<30℃) 환자 이송 중 혈압과 중심체온이 떨어지는 재가온 쇼크(Rewarming shock)가 발생하였을 때 의심할 수 있는 처치 내용에 해당하는 것은?
24. 8세 소아가 벌에 쏘여 보호자가 119에 신고하였다. 환아는 혈압 75/50 mmHg, 맥박 135회/분, 호흡 32회/분으로 얼굴부종과 호흡곤란을 호소한다. 에피펜을 소지하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 근육주사로 에피네프린을 투여할 때, 초기 용량으로 옳은 것은? (1:1000 용액 기준/「2020년 한국심폐소생술가이드라인」 기준)
25. 55세 남자가 회의 도중 가슴을 짓누르는 듯한 통증과 답답함을 호소한다. 현장에 도착한 구급대원이 시행한 심전도가 다음과 같을 때 의심할 수 있는 소견으로 옳은 것은?
26. 뇌경색 치료를 위해 혈전용해제(tPA)를 투여할 수 있는 환자로 옳은 것은?
27. 홍역이 의심되는 28세 남자에게 심폐소생술 중 기관내삽관을 시행하려고 할 때, 감염 전파를 줄일 수 있는 방법으로 옳은 것은? (「2020년 한국심폐소생술 가이드라인」 기준)
28. 56세 여자가 어지러움을 동반한 의식장애를 보인다. 혈압이 65/40 mmHg이고 심전도가 다음과 같을 때, 시행해야 할 처치로 옳은 것은?
29. 전문심장소생술 시, 투여하는 약물의 용량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30. 43세 남자에게 현장에서 심폐소생술을 시행 중이다. 초기 심전도는 심실세동이 관찰되어 150 J로 제세동을 시행하였다. 2분 동안 가슴압박을 진행한 후의 심전도가 다음과 같을 때, 즉시 시행해야 할 처치로 옳은 것은? (「2020년 한국심폐소생술 가이드라인」 기준)
31. 구급대원이 심폐소생술을 중단할 수 있는 상황으로 옳지 않은 것은?
32. 수기 가슴압박이 어려울 때 기계식 심폐소생술 장치(Mechanical CPR Device)를 적용해 볼 수 있는 상황으로 옳지 않은 것은? (「2020년 한국심폐소생술 가이드라인」 기준)
33. 다수사상자가 발생한 현장에서 START 분류법을 적용하려고 한다. 비응급(등급) 환자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단, 설명하지 않은 환자 상태는 무시한다.)
34. 구급대원이 장기간의 스트레스 노출로 몸과 마음이 지쳐 신체적으로 여러 질병이 나타났다. 셀리에(Selye, Hans) 박사의 이론에 근거한 스트레스 반응 단계는?
35. 다수사상자가 발생한 현장에서 SALT 분류법을 시행할 때의 인명구조중재술(LSI: Life Saving Intervention)로 옳지 않은 것은?
36. 다음 환자에 대한 적절한 처치로 옳지 않은 것은?
37. 교통사고 현장에 펌프차와 구급차가 출동하였다. <그림>과 같이 펌프차가 먼저 도착해서 현장 안전을 확보하였을 때 뒤에 도착한 구급차의 정차 위치로 옳은 것은? (단, 화재, 유독 가스, 화학 물질 등의 사고는 없는 현장이다.)
38. 「응급의료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상 1급 응급구조사의 업무범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39. 다음 내용을 읽고 「응급의료에 관한 법률」 및 같은 법 시행령, 시행규칙상 A 회사에 업무정지 처분을 갈음하여 부과한 과징금의 총금액으로 옳은 것은?
40. 「119구조・구급에 관한 법률 시행령」상 국제구급대원의 일반교육훈련에 대한 내용으로 옳은 것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