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과목: 영상정보 관리일반
1. 영상정보관리사(관제요원)에 대한 개인정보 보호 교육 및 관리·감독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2. 지방자치단체의 스마트시티 통합플랫폼 기능 및 역할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3. 이동형 영상정보처리기기의 종류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4. 「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에 따른 영상정보처리기기 통합관제센터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5. 「개인정보 보호법」에서 정의하는 용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6. 「개인정보 보호법」제29조(안전조치의무)에 대한 내용으로 아래 (A)에 들어갈 말로 옳은 것은?
7. 자동차 등록번호가 촬영된 영상 중 개인정보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8. 철도경찰이 철도시설 및 열차 안에서 발생하는 「철도안전법」에 규정된 범죄와 역 구내 및 열차 안에서 발생하는 범죄의 수사를 위하여, 지방자체단체로부터 CCTV 영상정보를 「개인정보 보호법」제18조제2항제3호 또는 제5호 또는 제7호에 따라 제공받을 수 있는지의 여부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9. 다음 2023년 3월에 개정된 「개인정보 보호법」 내용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0. 이동형 영상정보처리기기의 사적 목적 이용자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1. 영상정보처리기기(CCTV) 개인영상정보 보호를 위한 조치 중 기술적 보안 방안에 해당하는 것은?
12. 다음은 출입통제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인증 방식 중 하나에 대한 설명이다. 해당 설명에 부합하는 인증 방식으로 옳은 것은?
13. 「정보보호 및 개인정보보호 관리체계 인증 등에 관한 고시」에서의 보호대책 요구사항 중 '인적 보안'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2과목: 영상정보 관제시스템
14. Windows 11에 기본 포함되어 있는 보안 프로그램으로 옳은 것은?
15. 고정형 영상정보처리기기에서 수집한 영상정보의 저장 용도로 사용되지 않는 시스템에 해당하는 것은?
16. 드론에 탑재된 카메라가 지상 물체를 효과적으로 식별하기 위해 사용하는 기술적 방법으로 옳은 것은?
17. 영상정보 관제솔루션(VMS)에서 어안렌즈 카메라의 영상을 관제할 때 사용되는 디워핑(Dewarping) 기능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8. 다음 중 영상정보처리기기에서 사용하는 해상도 명칭과 픽셀 해상도 간 연결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19. 「지능형 CCTV 도입·운영 가이드라인(2024)」에 따라 2세대(IP 네트워크) 및 3세대(지능형·AI) CCTV의 해상도 및 영상 압축 방식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20. 다음 중 영상정보처리기기별 운용 환경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21. 카메라 센서의 '노출 시간'을 조절하여 주변 조도에 따라 영상의 밝기를 자동으로 제어하는 방식으로 센서에 유입되는 빛의 양을 결정하는 기술에 해당하는 것은?
22. 영상정보처리기기 제어 장치인 '리시버'의 기능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23. 다음은 영상정보처리기기 중 PTZ 카메라의 동작 방식에 대한 설명이다. 빈칸 ( A ) 와 ( B )에 들어갈 용어를 순서대로 바르게 나열한 것은?
24. 다음 중 PoE(Power over Ethernet) 스위치를 활용하여 CCTV 시스템을 구축할 때 고려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25. CCTV 시스템에서 IP 카메라와 NVR 간의 상호 운용성을 보장하기 위해 가장 널리 사용되는 표준 프로토콜은?
26. 지능형 영상정보 관제시스템 이벤트 대시보드에 분석 및 표출되지 않는 항목은?
27. 영상정보관제솔루션 설정 중 CCTV 영상의 녹화 저장 용량을 정하는 요인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28. 다음 그림은 CCTV 관제센터의 영상정보관제시스템(VMS)을 실행한 화면의 예이다. 해당 화면을 통해 알 수 없는 정보는?
29. 영상정보관제솔루션의 영상 백업 기능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30. 관리서버의 시스템 설정값을 백업하여 관리할 때 주의할 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3과목: 영상정보 관리실무
31. 「지능형 CCTV 도입·운영 가이드라인(2024)」에서 제시된 AI 기반 지능형 영상정보처리기기에서 감지하는 이상행위 이벤트 정의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32. 한강 교량 등 주요 시설에 AI 기반 지능형 CCTV를 도입하여 장시간 머무르거나 추락 위험이 감지될 경우 해당 장면을 자동으로 관제센터에 전달하는 시스템을 구축했다. 관제 요원은 우선적으로 필요한 화면만 집중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된 시스템을 활용해 실시간 대응이 가능하도록 했다. 적용된 관제 기법에 해당하는 것은?
33. AI 기반 지능형 영상정보처리기기 관제 기법 중 '순환관제' 설명으로 옳은 것은?
34. 영상데이터 기반 이상행동 분석과 같은 관제 업무에서 머신러닝을 사용하는 주된 목적에 해당하는 것은?
35. 지능형영상정보솔루션 이벤트 표출 화면의 한 예이다. 아래 제시된 화면과 오검출 판단 기준을 바탕으로 영상정보관리운영자가 CCTV 영상 알람 정보 기록을 올바르게 작성한 것은?
36. 영상정보처리기기 통합관제센터의 GIS 기반 플랫폼에서 사건 발생 시 주변 CCTV를 연계하여 관제하기 위해 사용하는 기능은?
37. 다음 그림은 CCTV 관제센터와 연계된 소방도로 긴급출동 서비스 화면 예이다. 해당 화면에서 확인 할 수 없는 정보는?
38. 영상정보 관제센터의 영상정보관리사(관제요원) H씨가 근무 중 '건물 붕괴'와 같은 긴박한 상황이 발생했을 때, H씨가 작성해야 할 특이사항 관제 내역서의 작성 기준으로서 옳지 않은 것은?
39. 「영유아보육법」에 따라 어린이집에서 설치된 영상정보처리기기의 영상 열람이 적법한 경우로 옳은 것은?
40. 「개인정보 보호법」및 관련 지침에 의거하여 개인정보처리자가 정보주체의 개인영상정보 열람 요구 시 기록사항이 아닌 것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