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과목: 영상정보 관리일반
1. 영상정보처리기기를 관리하는 관제센터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2. 지방자치단체의 영상정보 관제센터 운영 목적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3. 통합관제센터 관제요원(영상정보관리사)의 주요 역할로 옳지 않은 것은?
4. 「개인정보 보호법」제16조에 따른 ‘개인정보의 수집 제한' 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5.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용어( A )는?
6. 「개인정보 보호법」 제25조에 따라 공개된 장소에서 고정형 영상정보처리기기를 설치·운영할 수 있는 경우에 해당하는 것은?
7. 「개인정보 보호법」 및 동법 시행령에 따른 영상정보처리 기기의 설치·운영 기준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8. 「개인정보 보호법 시행령」 제3조에 따른 ‘고정형 영상정보처리기기’의 설명으로 옳은 것은?
9. 「개인정보 보호법」제29조 및 동법 시행령 제30조는 개인정보처리자가 안전성 확보를 위해 관리적·물리적·기술적 조치를 취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다음 중 기술적 보안 영역에 해당하는 것은?
10. 「학교폭력예방 및 대책에 관한 법률」 제20조의7에 따라 영상정보처리기기의 통합 관제에 관하여 동 법에서 규정한 것을 제외하고는 「개인정보 보호법」을 적용하도록 하고 있다. 학교 내외에 설치된 영상정보처리기기가 통합 관제되는 경우 해당 학교의 영상정보처리기기운영자가「개인정보 보호법」및 동법 시행령에 따라 반드시 마련해야 하는 것은?
11. 「의료법」제38조의2 제2항에 따른 ‘수술실 내 CCTV 촬영 거부 사유’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2. 전자 출입통제 인증 시스템이란 출입 제한구역에 대하여 허가된 사람에 한해 신원이 확인된 경우에 출입이 가능하도록 인증 수단을 구축한 시스템을 말한다. 다음 중 지식 기반 인증에 해당하는 것은?
13. 보호구역 설정, 출입통제, 전산장비 보호와 관련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2과목: 영상정보 관제시스템
14. 관제요원의 VMS 설정 변경을 위해 본부 요원이 원격으로 PC 화면을 제어해야 한다. 외부 원격지원 프로그램 설치가 금지된 상황에서 사용할 Windows 11 기본 기능은?
15. 관제센터 네트워크 포화로 영상 전송 품질이 저하된 상황에서 확보해야 할 대역폭(Bandwidth)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6. Fail Over(페일오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7. 국가 중요 시설에 구축된 영상정보 관제센터는 정전과 같은 비상 상황에서도 모니터링 및 영상 기록이 중단되지 않도록 강력한 전원 공급 안정성을 확보해야 한다. 짧은 시간 내에 전원 장애를 극복하고 비상 전원을 공급하여 시스템을 보호하는 장치에 해당하는 것은?
18. 스마트시티 CCTV 안전앱 개발팀이 모바일 앱 개발 과정에서 Firebase와 같은 클라우드 플랫폼으로부터 푸시 알림 SDK, 사용자 인증 API, 클라우드 스토리지 연동 라이브러리 등을 제공받아 활용하는 서비스 유형은?
19. 영상정보처리기기에서 사용하는 비디오 압축 방식으로 옳지 않은 것은?
20. 뷸렛(Bullet) 카메라와 돔(Dome) 카메라의 특징을 비교 설명한 내용으로 옳은 것은?
21. CCTV 시스템에서 광각 카메라(Wide-angle Camera)의 특성과 활용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22. 관제센터에서 CCTV 설치 시 촬영 목적에 따라 다른 렌즈를 선택해야 한다. 다음 중 렌즈의 종류와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23. 지능형 CCTV에서 SoC(System on Chip)의 주요 기능으로 옳은 것은?
24. PTZ CCTV에서 반복적인 수동 조작을 해결하기 위해 관제 지점, 위치, 줌 배율 등을 미리 설정하는 기능은?
25. 관제 솔루션에서 알림 시스템(Notification System)의 효과적인 운영 방법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26. 다음 중 가정용 영상관제솔루션을 구축할 때 무선 공유기의 보안 설정으로 옳지 않은 것은?
27. 지능형 CCTV 시스템에서 이벤트 처리 및 관리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28. 다음 그림은 CCTV 관제센터의 영상정보관제시스템(VMS)을 실행한 화면의 예이다. 해당 화면을 통해 알 수 없는 정보는?
29. 관제시스템 운영서버의 장애 진단 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30. VMS에서 영상 백업 및 아카이빙(Archiving) 전략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3과목: 영상정보 관리실무
31. 다음 상황 중 「개인정보 보호법」에 따라 영상정보 열람이 가능한 경우는?
32. 제시된 화면 이미지와 같이 일정 반경 내 CCTV 카메라 영상을 동시에 표출하여 도주 차량이나 용의자 추적에 활용하는 CCTV 실시간 관제 기법은?
33. 병원 복도 CCTV에서 환자(A)가 보행 중 균형을 잃고 쓰러지는 장면이 포착되었다. 같은 시각 인근 병실에서는 환자(B)가 침대에서 구르며 떨어져 머리가 바닥에 부딪혔다. 각 상황을 이상행위 유형에 맞게 분류한 것은?
34. 관제센터에서 CCTV 영상의 얼굴을 모자이크 처리했으나, 차량번호와 시간정보로 여전히 개인 식별이 가능한 상태이다. 이 영상의 개인정보 처리 유형은?
35. 지능형 영상정보처리 시스템의 움직임 감지(Motion Detection) 이벤트에서 오검출(False Positive)을 발생시키는 직접적인 요인으로 볼 수 없는 것은?
36. 도시 안전을 위해 GIS와 CCTV를 연계한 스마트 관제를 운영하려 한다. 다음 중 GIS 활용 목적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37. 지능형 관제시스템 비정상 이벤트 발생 보고서 관련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문제 오류로 실제 시험에서는 1, 3번이 정답처리 되었습니다. 여기서는 1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 됩니다.)
38. 통합관제센터에서 긴급 및 특이 상황 대응 시, 즉각적인 상황 대응 체계 확립 단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39. 영상정보 제공(반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40. 아파트 경비업체 순찰차에 방범 업무용으로 설치된 블랙박스가 순찰 중 주민들을 지속적으로 촬영하는 상황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