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전자기능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2-04-08)

의료전자기능사
(2012-04-08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임의 구분

1. 첨단 의공학 분야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은 것은?

  1. 지능형 로봇을 이용한 수술 방법이 개발되고 있음
  2. 나노 기술이 적용되기에는 생체 분자의 크기가 너무 작아 성공적이지 못했음
  3. 반도체 기술은 생체 적합성 및 안정성 문제로 인하여 생체에 적용되지 못함
  4. 원격지의 의사가 진료와 처방을 내리는 약물전달시스템이 상용화되었음
(정답률: 76%)
  • "지능형 로봇을 이용한 수술 방법이 개발되고 있음"이 가장 옳은 설명이다. 이는 최신 의공학 기술 중 하나로, 로봇을 이용하여 정밀하고 안전한 수술을 수행할 수 있게 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기존의 수술 방법에 비해 높은 정확성과 안전성을 보장하며, 환자의 회복 기간을 단축시키는 등의 장점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다음 중 심음(heart sound)을 듣기 위해 필요한 것은?

  1. 심전도(ECG)기록기
  2. 청진기(stethoscopes)
  3. 심박 제세동기(defibrillator)
  4. 심박조율기(cardiac pacemaker)
(정답률: 83%)
  • 심음은 청진기를 사용하여 들을 수 있습니다. 청진기는 심장 영역에서 발생하는 소리를 증폭시켜 들을 수 있도록 도와주는 의학적인 도구입니다. 따라서 심음을 듣기 위해서는 청진기가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전자유량계는 다음 중 어떤 법칙과 관련이 깊은가?

  1. 패러데이 법칙
  2. 플레밍의 법칙
  3. 비오 사바르의 법칙
  4. 렌츠의 법칙
(정답률: 67%)
  • 전자유량계는 패러데이 법칙과 관련이 깊습니다. 패러데이 법칙은 자기장 내에서 변하는 자기장의 크기와 방향에 비례하여 전기력이 유도된다는 법칙입니다. 전자유량계는 자기장 내에서 유도전류를 측정하는데 사용되며, 이는 패러데이 법칙에 따라 자기장 내에서 유도된 전기력을 측정함으로써 이루어집니다. 따라서 전자유량계는 패러데이 법칙을 기반으로 동작하는 측정기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인체의 호흡 작용 중에서 최대한으로 숨을 들이마신 후에 최대한으로 내쉴 수 있는 공기의 양을 말하며, 1회 호흡 용적과 흡기예비용적에 호기예비용적을 합한값을 뜻하는 공기용량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기능적 잔기용량
  2. 폐활량
  3. 총폐활량
  4. 강제폐활량
(정답률: 64%)
  • 폐활량은 인체의 호흡 작용 중에서 최대한으로 숨을 들이마신 후에 최대한으로 내쉴 수 있는 공기의 양을 말합니다. 이는 1회 호흡 용적과 흡기예비용적에 호기예비용적을 합한 값으로, 폐에서 실제로 이용 가능한 공기의 양을 나타냅니다. 따라서, 보기 중에서 "폐활량"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단백질, 탄수화물, 지방을 소화시키기 위한 효소들 을 포함하고 있는 기관은?

  1. 비장
  2. 췌장
(정답률: 70%)
  • 췌장은 소화 효소를 분비하는 역할을 합니다. 췌장에서 분비되는 소화 효소들은 단백질, 탄수화물, 지방을 소화시키는데 필요한 효소들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췌장은 단백질, 탄수화물, 지방을 소화시키기 위한 효소들을 포함하고 있는 기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심장의 심실 수축기에 들리는 소리로 주로 방실판막이 닫힐 때 나는 심음은?

  1. 제 1 심음
  2. 제 2 심음
  3. 제 3 심음
  4. 제 4 심음
(정답률: 56%)
  • 주로 방실판막이 닫힐 때 나는 심음은 "제 1 심음"입니다. 이는 심장의 심실이 수축할 때 방실판막이 닫혀서 혈액이 심장으로 흐르는 소리가 들리기 때문입니다. 제 2 심음은 심장의 심실이 이완할 때 발생하는 소리이고, 제 3 심음과 제 4 심음은 심장의 수축과 이완 사이에 발생하는 추가적인 소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개별(discrete)소자를 사용하여 생체계측증폭회로를 제작하는 것과 비교하여 연산증폭기를 사용하는 특징이 아닌 것은?

  1. 낮은 신뢰성
  2. 회로의 간소화
  3. 장치의 소형화
  4. 비용의 감소
(정답률: 77%)
  • 연산증폭기는 개별 소자를 사용하는 생체계측증폭회로에 비해 회로의 간소화, 장치의 소형화, 비용의 감소 등의 장점이 있지만, 낮은 신뢰성이라는 단점도 존재합니다. 이는 연산증폭기가 높은 전압, 전류, 온도 등의 환경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하여 회로 동작에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신뢰성이 중요한 응용 분야에서는 개별 소자를 사용하는 생체계측증폭회로가 더 적합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신체의 움직임을 나타내는 용어 중 관절을 이루고 있는 두 뼈 사이의 각도가 해부학적 자세에서 시상단면을 따라 굽혀져 각이 작아지는 운동 상태를 무엇이라고 하는가?

  1. 굽힘(flexion)
  2. 폄(extension)
  3. 젖힘(hyperextension)
  4. 벌림(abduction)
(정답률: 85%)
  • 두 뼈 사이의 각도가 작아지는 운동 상태를 나타내는 용어는 "굽힘(flexion)" 입니다. 이는 두 뼈가 서로 가까워지면서 굽히는 움직임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다음 중 이상적인 연산증폭기의 특성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증폭도 ∞
  2. 입력임피던스 ∞
  3. 대역폭 ∞
  4. 출력임피던스 ∞
(정답률: 66%)
  • 출력임피던스 ∞는 이상적인 연산증폭기의 특성으로 옳지 않습니다. 이유는 출력임피던스가 무한대라는 것은 출력단에서 전류가 흐르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실제 연산증폭기는 출력단에서 일정한 전류가 흐르기 때문에 출력임피던스가 무한대가 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이상적인 연산증폭기의 특성으로는 증폭도 ∞, 입력임피던스 ∞, 대역폭 ∞가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이마뼈, 마루뼈, 어깨뼈, 갈비뼈 등은 넓고 편평한 얇은 뼈이다. 이러한 뼈는 어떤 뼈에 속하는가?

  1. 긴뼈
  2. 짧은뼈
  3. 납작뼈
  4. 불규칙뼈
(정답률: 79%)
  • 이마뼈, 마루뼈, 어깨뼈, 갈비뼈 등은 모두 넓고 편평한 얇은 뼈로, 이러한 특징 때문에 "납작뼈"에 속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혈압과 관련된 것이 아닌 것은?

  1. 수축기혈압
  2. 이완기혈압
  3. 평균혈압
  4. 압맥파
(정답률: 83%)
  • 압맥파는 혈압과 관련이 없습니다. 압맥파는 맥박이 생기는 곳에서 발생하는 파동으로, 맥박의 빈도와 강도를 측정하여 심장의 건강 상태를 파악하는데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심전도 측정 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측정시 움직이지 않는다.
  2. 일회용 전극은 재사용하지 않는다.
  3. 전극의 부착 부분을 사전에 깨끗이 한다.
  4. 전극의 전해질을 충분히 건조시키고 사용한다.
(정답률: 77%)
  • 전극의 전해질이 충분히 건조되지 않으면 전해질의 저항이 증가하여 정확한 측정이 어렵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다음 중 세포의 활동전압에 대한 설명이 아닌 것은?

  1. 역치 이하의 저분극에서 발생되는 전압이다.
  2. 신경, 근육세포에서 먼 거리까지 정보를 빨리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3. 신경세포, 근육세포, 감각세포, 분비세포 등 세포막에서 발생하는 것이다.
  4. 효과기 반응의 조절, 근육수축, 신경전달 물질과 호르몬의 분비 등과 같은 역할을 한다.
(정답률: 58%)
  • "신경, 근육세포에서 먼 거리까지 정보를 빨리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는 세포의 활동전압에 대한 설명이 맞습니다.

    하지만 "역치 이하의 저분극에서 발생되는 전압이다."는 올바른 설명입니다. 세포막에서 발생하는 전위차가 일정 수준 이상 올라가면 역치값을 넘어서면서 활동전위가 발생합니다. 따라서 역치 이하의 저분극에서는 활동전위가 발생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다음 중 생체신호 계측기기에 필요한 특성이 아닌 것은?

  1. 정확성
  2. 재현성
  3. 정밀성
  4. 표류성
(정답률: 78%)
  • 생체신호 계측기기에 필요한 특성으로는 정확성, 재현성, 정밀성이 필요합니다. 이는 측정한 생체신호가 실제 생체신호와 일치하고, 동일한 조건에서 반복적으로 측정해도 일관성이 있으며, 측정값이 정확하게 나타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함입니다. 하지만 표류성은 측정 대상의 위치나 상태가 변화함에 따라 측정값이 영향을 받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생체신호 계측기기에 필요한 특성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200[Hz]의 아날로그 신호의 주기는?

  1. 1[ms]
  2. 5[ms]
  3. 10[ms]
  4. 20[ms]
(정답률: 78%)
  • 주기는 한 주기당 소요되는 시간을 의미합니다. 주파수는 초당 주기의 수를 의미하므로, 주기는 주파수의 역수로 계산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200[Hz]의 주기는 1/200[s] 또는 5[ms]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호흡기 기능평가법의 평가기능과 해설이 옳게 연결된 것은?

  1. 환기능 - 폐 내에서 공기가 폐포간에 균형 있게 분포하는 기능
  2. 분포능 - 외부공기가 기도를 통하여 폐포로 잘 전달되는 기능
  3. 확산능 - 폐포 내 공기와 폐 모세혈관 내 혈액 간에 O2, CO2를 잘 교환하는 기능
  4. 피폭능 - 폐 내에서 방사선이 모세혈관으로 전달되는 기능
(정답률: 57%)
  • 확산능은 폐포 내 공기와 폐 모세혈관 내 혈액 간에 O2, CO2를 잘 교환하는 기능입니다. 이는 폐포 내부와 혈액 간의 기체 교환을 원활하게 하여 산소와 이산화탄소의 교환을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게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혈압측정 방법 중 직접측정법에 대한 설명이 아닌 것은?

  1. 혈관 내로 카테터를 삽입한 후 변환장치에 연결하여 측정하는 방법이다.
  2. 혈압을 실시간으로 계측기 가능하다.
  3. 말단(팔) 부위에 압박주머니를 부착한 후 압력을 증가시킨다.
  4. 카테터에 스트레인 게이지 타입의 압력센서를 연결하여 혈압 파형을 계측한다.
(정답률: 59%)
  • "혈관 내로 카테터를 삽입한 후 변환장치에 연결하여 측정하는 방법이다."는 직접측정법에 대한 설명이므로 제외됩니다.

    말단(팔) 부위에 압박주머니를 부착한 후 압력을 증가시키는 것은 수축기 혈압과 이완기 혈압을 측정하기 위한 방법입니다. 압력을 증가시키면서 혈압계에서 나오는 소리를 청취하여 수축기 혈압과 이완기 혈압을 측정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다음 중 세포막을 구성하고 있는 주요 성분은?

  1. 탄수화물과 섬유소
  2. 단백질과 지질
  3. 단백질과 탄수화물
  4. 지질과 탄수화물
(정답률: 71%)
  • 세포막은 지질과 단백질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지질은 세포막의 주요 구성 성분으로, 이중층 구조를 이루며 세포 내부와 외부를 구분하는 역할을 합니다. 단백질은 세포막의 기능적 역할을 담당하며, 수송, 수용, 인식, 신호전달 등 다양한 기능을 수행합니다. 따라서 세포막을 구성하는 주요 성분은 단백질과 지질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심장이 비정상적으로 느리게 박동하는 경우 심장에 주기적 전기 펄스를 보내는 전기자극기를 무엇이라 부르는가?

  1. 뇌전도(EEG) 기록기
  2. 심박조율기
  3. 제세동기
  4. 초음파 주사 촬영기
(정답률: 61%)
  • 심장이 비정상적으로 느리게 박동하는 경우, 심장 자체에서 충분한 전기 신호를 생성하지 못하므로 외부에서 전기 자극을 주어 심장을 자극하여 정상적인 박동을 유지시키는데, 이를 담당하는 기기가 심박조율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다음 생체신호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생체는 전기를 발생시키는 무수한 세포들을 가지고 있다.
  2. 생체 내에 존재하는 신경, 근육들의 전기화학적 작용에 의해 만들어진다.
  3. 심전도, 뇌전도 등이 대표적인 예이다.
  4. 혈압, 체온, 호흡 등도 전기적인 신호로 구분한다.
(정답률: 60%)
  • 생체신호 중 혈압, 체온, 호흡은 전기적인 신호로 구분하지 않는다. 이들은 각각 혈압계, 체온계, 호흡계 등의 기기를 사용하여 측정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임의 구분

21. 정공이 소수 캐리어인 반도체의 종류는?

  1. 순수 반도체
  2. 외인성 반도체
  3. n형 반도체
  4. p형 반도체
(정답률: 70%)
  • 정공이 소수 캐리어인 반도체는 n형 반도체입니다. n형 반도체는 도너 전자를 가지고 있어 전기적으로 음(-)의 전하를 가지며, 전기적으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는 전자가 많은 반도체입니다. 이는 정공이 전자를 캐리어로 사용하기 때문에 적합한 반도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다음 중 미터법 접두 기호와 그에 해당하는 십의 승수 값이 올바른 것은?

  1. 밀리(m) : 10-2
  2. 마이크로(μ) : 10-6
  3. 킬로(k) : 106
  4. 기가(G) : 1012
(정답률: 73%)
  • 정답은 "마이크로(μ) : 10-6" 입니다.

    미터법에서 접두 기호는 단위의 크기를 나타내는데 사용됩니다. 각 접두 기호는 10의 승수 값에 해당하며, 이를 이용하여 단위의 크기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밀리(m)"는 10의 -2승, 즉 0.01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1밀리미터는 0.01미터가 됩니다.

    반면에 "마이크로(μ)"는 10의 -6승, 즉 0.000001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1마이크로미터는 0.000001미터가 됩니다.

    따라서, "마이크로(μ) : 10-6"이 올바른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빠른 진행현상이나 과도현상이 관측 및 파형의 분석 등을 할 수 있는 장치로 전자계측 분야에 많이 사용되고 있는 계측장비는?

  1. 가동코일형 계기
  2. 가동철편형 계기
  3. 오실로스코프
  4. 유도형 계기
(정답률: 73%)
  • 오실로스코프는 전기 신호의 파형을 시각적으로 표현해주는 계측장비입니다. 빠른 진행현상이나 과도현상을 관측할 수 있으며, 파형의 분석도 가능합니다. 따라서 전자계측 분야에서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다음 중 진성 반도체의 특성으로 옳은 것은?

  1. 온도가 상승하면 저항이 증가한다.
  2. 진성 반도체에 불순물을 섞으면 저항이 증가한다.
  3. 전기적 전도성은 도체와 부도체의 상위 정도이다.
  4. 온도가 절대온도 0도 정도의 낮은 상태에서는 절연체가 된다.
(정답률: 58%)
  • 온도가 절대온도 0도 정도의 낮은 상태에서는 모든 물질의 원자들이 움직임을 멈추게 되어 전자가 전혀 움직이지 않게 됩니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전자가 전달되지 않으므로 전기적 전도성이 없어지고, 따라서 절연체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기어의 바깥지름의 크기에 따른 분류 중 옳은 것은?

  1. 소형 기어 : 10mm 이하
  2. 중형 기어 : 10~20mm
  3. 대형 기어 : 40~200mm
  4. 극대형 기어 : 1000mm 이상
(정답률: 61%)
  • 기어의 바깥지름이 클수록 토크 전달 능력이 강해지기 때문에, 큰 기계나 장비에서 사용되는 기어는 바깥지름이 큰 극대형 기어로 분류됩니다. 이는 대형 기어보다 더 큰 기어를 필요로 하는 산업용 기계 등에서 사용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다음 회로에서 미지의 저항 X의 값은 얼마인가? (단, R1=10[Ω], R2=100[Ω], R3=20[Ω], V=10[V], 검류계 G에는 전류가 흐르지 않는다.)

  1. 1[Ω]
  2. 2[Ω]
  3. 10[Ω]
  4. 100[Ω]
(정답률: 75%)
  • 전압의 법칙에 따라 V = IR1 + IR2 + IR3 이 성립합니다. 이를 X에 대해 정리하면 X = (V - IR2 - IR3)/I 입니다. 여기서 I는 R1을 통해 흐르는 전류와 같으므로 I = V/R1 입니다. 따라서 X = (V - IR2 - IR3)/I = (V - R2I - R3I)/(V/R1) = R1(V - R2I - R3I)/V 입니다. 여기서 R2와 R3는 이미 주어졌으므로 I를 구하면 X를 구할 수 있습니다. I = V/(R1 + R2 + R3) = 10/(10+100+20) = 1/13 [A] 이므로 X = R1(V - R2I - R3I)/V = 10(10 - 100/13 - 20/13)/10 = 2 [Ω] 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2[Ω]"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발광 다이오드의 역 현상을 이용한 것으로 광통신의 수광 소자로 사용되면, 광 신호를 전기 신호로 바꾸는 광 검출기 등에 사용되는 다이오드는?

  1. 터널 다이오드
  2. 포토 다이오드
  3. 제너 다이오드
  4. 바랙터 다이오드
(정답률: 63%)
  • 광 검출기는 광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때 발광 다이오드와는 반대로 광을 감지하여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포토 다이오드가 사용됩니다. 따라서 포토 다이오드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다음 나사의 종류와 쓰임새가 옳지 않은 것은?

  1. 3각나사 : 일반결합용
  2. 4각나사 : 힘의 전달용
  3. 사다리꼴나사 : 운동전달용
  4. 둥근나사 : 마찰감소용
(정답률: 48%)
  • 둥근나사는 마찰감소용이 아니라, 회전 운동을 전달하거나 고정하는 용도로 사용됩니다. 둥근나사는 원통형으로 되어 있어 회전 운동을 전달할 때 마찰력이 적게 발생하므로, 회전 운동이 자유롭게 이루어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옳지 않은 것은 "둥근나사 : 마찰감소용"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전원을 일정하게 유지하여 전압의 안정을 위하여 사용하는 다이오드는?

  1. 터널 다이오드
  2. 발광 다이오드
  3. 바랙터 다이오드
  4. 제너 다이오드
(정답률: 70%)
  • 제너 다이오드는 전원을 일정하게 유지하여 전압의 안정을 위해 사용됩니다. 이는 제너 다이오드가 양방향 전류를 허용하며, 전압이 일정 범위 내에서 유지되도록 하는 특성 때문입니다. 따라서 제너 다이오드는 전압 안정기 등의 회로에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트랜지스터(Tr)의 3개의 단자 이름이 아닌 것은?

  1. 캐소드(cathode)
  2. 컬렉터(collector)
  3. 베이스(base)
  4. 이미터(emitter)
(정답률: 74%)
  • 캐소드(cathode)는 전자관에서 음극으로 사용되는 단어이며, 트랜지스터에서는 사용되지 않는 용어입니다. 따라서 캐소드(cathode)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다음 중 P형 반도체의 3가 원소로 옳은 것은?

  1. As(비소)
  2. P(인)
  3. B(붕소)
  4. Sb(안티몬)
(정답률: 62%)
  • P형 반도체는 전자를 부족하게 만들어 전자공진장치, 트랜지스터 등에 이용됩니다. 이때 3가 원소가 필요한데, 3가 원소는 외부 전자 하나를 가지고 있어 전자를 부족하게 만들 수 있습니다. 따라서 B(붕소)가 3가 원소로 옳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생체 전기 신호 측정과 관련하여 이온에 의한 전류를 자유전자에 의한 전류로 변환해주는 것은?

  1. 전극
  2. 기억소자
  3. 증폭기
  4. 압전소자
(정답률: 56%)
  • 생체 전기 신호 측정에서 이온은 전기 신호를 생성하고, 이 신호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이온에 의한 전류를 자유전자에 의한 전류로 변환해주어야 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전극이 필요합니다. 전극은 이온과 자유전자 간의 전류를 전달하는 장치로, 이온과 자유전자가 상호작용하여 전기 신호를 측정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따라서 정답은 "전극"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다음 식이 나타내는 논리 게이트는?

  1. AND
  2. OR
  3. NOT
  4. NOR
(정답률: 66%)
  • 입력 A와 입력 B 중 하나 이상이 1일 때 출력이 1이 되는 논리 게이트는 OR 게이트입니다. 위의 식에서는 A와 B 중 하나 이상이 1일 때 출력이 1이 되므로 OR 게이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전기적 신호를 가하면 변형에 의한 진동이 생기고 변형을 주변 전기적 신호가 생기는 물질을 이용한 센서를 무엇이라 하는가?

  1. 유도성 센서
  2. 용량성 센서
  3. 압전 센서
  4. 온도 센서
(정답률: 63%)
  • 전기적 신호를 가하면 물질 내부의 전하 분포가 변형되어 생기는 전기적 신호를 감지하는 센서를 압전 센서라고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전기력선의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도체 내부에 전기력선이 존재한다.
  2. 전기력선은 도체표면에서 직각으로 지나간다.
  3. 전기력선은 전위가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향한다.
  4. 전기력선은 + 전하에서 시작해서 - 전하에서 끝난다.
(정답률: 46%)
  • "도체 내부에 전기력선이 존재한다."는 옳은 설명입니다. 전기력선은 전기장이 존재하는 공간에서 전기장의 방향과 일치하도록 그려지는 선으로, 도체 내부에서도 전기장이 존재하기 때문에 전기력선이 존재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온도에 따른 용량변화가 적고 절연저항이 높으며 고주파까지 사용가능하고 소용량 콘덴서로 보통 측정에서 표준기로 사용되는 콘덴서는?

  1. 운모 콘덴서
  2. 세라믹 콘덴서
  3. 적층 콘덴서
  4. 전해 콘덴서
(정답률: 53%)
  • 운모 콘덴서는 온도에 따른 용량변화가 적고 절연저항이 높으며 고주파까지 사용 가능하며 소용량 콘덴서로서 측정에서 표준기로 사용되는 특징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동력을 전달시키는 기계요소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마찰차
  2. 체인과 스프로킷 휠
  3. 나사
  4. 벨트
(정답률: 71%)
  • 나사는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전달하는 기계요소이며, 다른 보기들은 모두 회전운동을 회전운동으로 또는 직선운동으로 전달하는 기계요소입니다. 따라서 나사가 가장 거리가 먼 기계요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다음 중 ⓐ와 ⓑ에 들어갈 알맞은 용어는?

  1. ⓐ개방, ⓑ양(+)
  2. ⓐ개방, ⓑ음(-)
  3. ⓐ단락, ⓑ양(+)
  4. ⓐ단락, ⓑ음(-)
(정답률: 70%)
  • 이미지에서 보이는 전기 회로는 스위치가 닫혀있으므로 전류가 흐르고 있습니다. 따라서 전구가 켜져 있습니다. 이때 스위치를 열면 회로가 끊어지므로 전류가 흐르지 않게 됩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스위치를 다시 닫으면 회로가 다시 연결되므로 전류가 흐르게 되고 전구가 다시 켜집니다. 이러한 동작을 하는 스위치를 "ⓐ개방"이라고 합니다. 또한 스위치가 닫혀있을 때 전류의 방향이 전구를 향하고 있으므로 전구는 "ⓑ양(+)극"에 연결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개방, ⓑ양(+)"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정류회로의 종류 중에서 하나의 정류다이오드와 교류전원 부하저항이 연결되어 구성되는 회로로 입력 교류전압의 양(+)의 반주기 동안은 다이오드가 도통되어 출력이 나타나고 음(-)의 반주기는 출력이 없는 회로의 명칭은?

  1. 반파정류회로
  2. 전파정류회로
  3. 브리지정류회로
  4. 정전압조정회로
(정답률: 64%)
  • 반파정류회로는 하나의 정류다이오드와 교류전원 부하저항이 연결되어 구성되는 회로로, 입력 교류전압의 양(+)의 반주기 동안은 다이오드가 도통되어 출력이 나타나고 음(-)의 반주기는 출력이 없습니다. 따라서 입력 신호의 반파만을 정류하여 출력하는 회로이므로 "반파정류회로"라는 명칭이 붙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에너지 대역 중 전자가 가득 찬 영역은?

  1. 전도대
  2. 충만대
  3. 허용대
  4. 금지대
(정답률: 74%)
  • 전자가 가득 찬 영역은 "충만대"입니다. 이는 전자가 모두 채워져 더 이상 전자가 들어갈 수 없는 상태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전자의 이동이 불가능하며 전기 전도도가 0이 되는 지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임의 구분

41. 의료기관이 실시하는 가정간호의 범위가 아닌 것은?

  1. 수술
  2. 검체의 채취
  3. 투약
  4. 주사
(정답률: 74%)
  • 가정간호는 환자가 집에서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지원하는 서비스이며, 수술은 병원에서 수행되는 치료 방법이므로 가정간호의 범위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다음 중 적외선 체열진단기의 구성 요소로 맞지 않는 것은?

  1. 발광부
  2. 스캔 집광부
  3. 적외선검출기
  4. 스캔 검출계
(정답률: 51%)
  • 적외선 체열진단기는 인체의 체온을 측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기기입니다. 따라서 발광부는 적외선을 발생시키는 부품으로, 적외선 체열진단기에는 포함되지 않습니다. 스캔 집광부는 적외선을 집중시켜 검출기로 보내는 역할을 하고, 적외선 검출기는 적외선을 감지하여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역할을 합니다. 스캔 검출계는 검출된 전기 신호를 처리하여 체온을 계산하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다음 중 연성내시경(flexible endoscope)의 구성요소가 아닌 것은?

  1. CCD
  2. 광원
  3. 안테나
  4. 유리섬유
(정답률: 68%)
  • 안테나는 연성내시경의 구성요소가 아닙니다. 안테나는 무선 통신에서 사용되는 장치로, 연성내시경에는 필요하지 않습니다. 연성내시경의 구성요소로는 CCD(Charge-Coupled Device, 전하 결합 장치), 광원, 유리섬유 등이 있습니다. CCD는 내시경으로 본 영상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전송하는 역할을 하고, 광원은 내시경으로 조사 대상을 밝히는 역할을 합니다. 유리섬유는 광원에서 발생한 빛을 내시경의 섬유 광학 시스템을 통해 전달하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중환자실 등에 이용되는 수액펌프의 주된 목적은?

  1. 수압을 낮추기 위해서
  2. 체온을 유지하기 위해서
  3. 혈액순환을 돕기 위해서
  4. 정확한 수액을 제어하기 위해서
(정답률: 67%)
  • 수액펌프는 중환자실 등에서 사용되는데, 이는 환자의 체내에 정확한 양의 수액을 공급하기 위해서입니다. 수액의 양이 부족하거나 많으면 환자의 건강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수액펌프를 사용하여 정확한 수액을 제어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다음 중 의료기기에 의한 장애 형태로 볼 수 없는 것은?

  1. 유해물질, 병원체의 오염으로 인하 세균감염
  2. 조직에서의 저항성 발열로 인한 수분부족 현상
  3. 기기로부터 방출된 에너지로 인한 X-레이 감염
  4. 성능의 열화, 동작의 불량으로 기기의 파손
(정답률: 64%)
  • 조직에서의 저항성 발열로 인한 수분부족 현상은 의료기기에 의한 장애 형태로 볼 수 없습니다. 이는 환자의 체내에서 발생하는 문제로, 의료기기와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기 때문입니다. 조직에서의 저항성 발열은 일반적으로 열사병과 같은 상황에서 발생하며, 체내 수분 부족으로 인해 발생하는 문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생체계측장치가 아닌 것은?

  1. 심전계
  2. 근전계
  3. 초음파 진단장치
  4. 혈압계
(정답률: 66%)
  • 초음파 진단장치는 생체계측장치가 아닙니다. 이는 의료용 이미징 장비로, 의사나 기술자가 환자의 내부 구조를 보기 위해 사용됩니다. 반면, 심전계, 근전계, 혈압계는 생체계측장치로, 각각 심박수, 근육 활동, 혈압 등을 측정하는데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방사선 관계자 이외의 자가 거주하는 쪽에 설치된 방어벽의 외부에서 측정한 방사선 산란선량 및 누설선량의 합계는 주당 얼마 이하어야 하는가?

  1. 2.58 × 10-5[C/kg]
  2. 2.58 × 10-6[C/kg]
  3. 3.58 × 10-5[C/kg]
  4. 3.58 × 10-6[C/kg]
(정답률: 67%)
  • 방어벽은 방사선을 차단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방어벽의 외부에서 측정한 방사선 산란선량 및 누설선량의 합계는 가능한 한 작아야 합니다. 이 값은 국제 단위계인 시에르트겐(C)과 킬로그램(kg)을 이용하여 표시됩니다.

    주어진 보기에서 정답은 "2.58 × 10-6[C/kg]" 입니다. 이 값은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 방어벽의 외부에서 측정한 방사선 산란선량 및 누설선량의 합계는 1마이크로시에버트(μSv) 이하여야 합니다. (1시에버트(Sv) = 1[C/kg])
    - 1마이크로시에버트(μSv)는 1밀리렘겐(mrem)과 거의 같습니다. (1밀리렘겐(mrem) = 0.01[mSv])
    - 따라서, 방어벽의 외부에서 측정한 방사선 산란선량 및 누설선량의 합계는 25.8밀리렘겐(mrem) 이하여야 합니다. (1마이크로시에버트(μSv) = 0.1[mrem])
    - 마지막으로, 25.8밀리렘겐(mrem)은 2.58 × 10-6[C/kg]에 해당합니다.

    따라서, 방어벽의 외부에서 측정한 방사선 산란선량 및 누설선량의 합계는 "2.58 × 10-6[C/kg]" 이하여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다음 중 컴파일(compile) 방식의 언어가 아닌 것은?

  1. FORTRAN
  2. C
  3. BASIC
  4. PASCAL
(정답률: 59%)
  • BASIC은 인터프리터(interpreter) 방식의 언어이기 때문에 컴파일 방식의 언어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X선 장치에 컴퓨터를 조합시켜 생체의 단층을 촬영하는 영상기술은?

  1. 자기공명 단층촬영장치(MRI, Magnetic Resonance Image)
  2. CT 촬영장치(Computed Tomography)
  3. X선 촬영장치
  4. PACS(영상저장 전송시스템)
(정답률: 59%)
  • CT 촬영장치는 X선 장치와 컴퓨터를 조합하여 생체의 단층을 촬영하는 영상기술입니다. X선을 이용하여 몸 속의 구조를 촬영하고, 컴퓨터를 이용하여 그 결과를 3차원 이미지로 재구성합니다. 이를 통해 정확한 진단과 치료 계획을 수립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인공관절의 마모에 의해 미립자가 떨어져 나와 생체반응을 일으킴으로써 점차 뼈가 녹아내리고 고정 면이 느슨해지는 현상은?

  1. 골흡수 현상
  2. 마찰계수저하 현상
  3. 골마모 현상
  4. 골해리 현상
(정답률: 60%)
  • 인공관절의 마모로 인해 미립자가 떨어져 나와 생체반응을 일으키면서 점차 뼈가 녹아내리고 고정 면이 느슨해지는 현상을 골해리 현상이라고 합니다. 이는 인공관절의 내부 구조가 파괴되어 뼈 조직이 파괴되고 뼈가 녹아내리는 과정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환자의 진료, 의학교육, 의학연구 및 의료경영에 필요한 각종의 정보를 효율적으로 체계화하여 관리하는 학문은?

  1. 재택진료학
  2. 원격의료학
  3. 의료정보학
  4. 의료영상학
(정답률: 78%)
  • 의료정보학은 환자의 진료, 의학교육, 의학연구 및 의료경영에 필요한 각종의 정보를 효율적으로 체계화하여 관리하는 학문입니다. 따라서 이 문제와 관련된 다른 보기들인 "재택진료학", "원격의료학", "의료영상학"은 의료정보학과는 다른 분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환자 환경 2.5[m] 이내의 범위에는 적어도10[mV] 이상의 전위차가 발생하면 안 된다. 인체의 저항을 1[㏀]이라고 가정하였을 경우, 전류는 어느 정도 이상 흐르면 안 되는가?

  1. 1[㎃]
  2. 1[㎂]
  3. 10[㎃]
  4. 10[㎂]
(정답률: 47%)
  • 전위차와 전류는 오므로 오영법에 따라 전류를 구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전위차 = 전류 × 저항

    10[mV] = 전류 × 1[㏀]

    전류 = 10[㎂]

    따라서, 환자 환경 2.5[m] 이내의 범위에는 10[mV] 이상의 전위차가 발생하면 전류는 10[㎂] 이상 흐르면 안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다음 중 플립플롭(Flip-Flop)의 종류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JK형
  2. T형
  3. D형
  4. RR형
(정답률: 73%)
  • 정답: RR형

    설명: 플립플롭은 디지털 회로에서 데이터를 저장하고 처리하는 데 사용되는 회로 요소 중 하나입니다. JK형, T형, D형은 모두 플립플롭의 종류 중 하나이며, 각각의 특징과 동작 방식이 다릅니다.

    하지만 RR형은 플립플롭의 종류 중에는 없습니다. 따라서, "RR형"은 플립플롭의 종류에 해당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다음 중 인체에 접촉하여 인체에 삽입된 상태에서 외부와 연결되는 의료기기를 나타내는 것은?

  1. 체내 이식형 의료기기
  2. 체내∙외 연결형 의료기기
  3. 비접촉형 의료기기
  4. 표면접촉형 의료기기
(정답률: 67%)
  • 정답은 "체내∙외 연결형 의료기기"입니다. 이는 인체 내부에 삽입되어 외부와 연결되는 의료기기를 의미합니다. 즉, 인체 내부에 삽입되어 있지만 외부에서 제어하거나 모니터링할 수 있는 기기를 말합니다. 예를 들어 심장 박리기기나 인공신장기 등이 이에 해당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다음 중 운영체제가 아닌 것은?

  1. Workstation
  2. UNIX
  3. Windows
  4. MS-DOS
(정답률: 78%)
  • 운영체제는 컴퓨터 시스템의 핵심 소프트웨어로, 하드웨어와 응용 프로그램 간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Workstation, UNIX, Windows, MS-DOS 중에서는 Workstation만 운영체제가 아닙니다. Workstation은 일반적으로 개발자나 디자이너 등이 사용하는 고성능 컴퓨터를 말하며, 운영체제가 설치되어 있지만 운영체제 자체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병원정보시스템(HIS)의 가장 핵심이 되는 부분으로 서 병원을 찾아오는 환자를 중심으로 일어나는 일련의 흐름을 전산화 한 것을 무엇이라 하는가?

  1. 처방전달시스템(OCS)
  2. 사무자동화(OA)
  3. 영상정보
  4. 경영지원
(정답률: 69%)
  • 답은 "처방전달시스템(OCS)"입니다. HIS의 핵심은 환자를 중심으로 한 일련의 흐름을 전산화하는 것인데, 이 중에서도 처방전달시스템은 환자의 처방전을 전산화하여 의사와 약사가 원활하게 의사소통하고 약물 투여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류를 최소화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HIS의 핵심 중 하나인 처방전달시스템은 환자의 치료와 안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부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제세동기의 구성요소가 아닌 것은?

  1. 전원부
  2. 전극
  3. 심전도 모니터부
  4. 산화기(oxygenator)
(정답률: 72%)
  • 산화기(oxygenator)는 제세동기의 구성요소가 아닙니다. 제세동기는 심장박동을 정상으로 되돌리기 위해 전기적 충격을 가하는 기기로, 전원부, 전극, 심전도 모니터부 등으로 구성됩니다. 산화기는 일반적으로 심장 수술 등에서 사용되는 기계로, 혈액을 산소로 채워주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프로그래밍 단계 중 순서도의 작성은 언제 하는가?

  1. 타당성 조사 후
  2. 프로그램 코딩 후
  3. 입∙출력 설계 후
  4. 자료 입력 후
(정답률: 62%)
  • 순서도는 프로그램의 구조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도구로, 프로그램의 실행 흐름을 이해하기 쉽게 도와줍니다. 따라서 순서도는 프로그램을 작성하기 전에 작성하는 것이 좋습니다.

    입∙출력 설계는 프로그램의 입출력 데이터를 정의하고, 이를 처리하기 위한 알고리즘을 설계하는 단계입니다. 이 단계에서는 프로그램의 전반적인 구조와 실행 흐름을 파악할 수 있으므로, 이후에 작성할 순서도의 기본적인 구조를 결정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순서도의 작성은 입∙출력 설계 후에 이루어지는 것이 적절합니다.

    타당성 조사 후에는 프로그램의 필요성과 실행 가능성을 검토하고, 프로그램의 목적과 요구사항을 분석하는 단계입니다. 프로그램 코딩 후에는 이미 구체적인 코드가 작성된 상태이므로, 순서도를 작성하는 것이 불필요합니다. 자료 입력 후에는 이미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상태이므로, 순서도를 작성하는 것이 불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의료법상 의료기관에 해당하는 것만 나열한 것은?

  1. 접골원, 보건소
  2. 종합병원, 치과병원
  3. 보건소, 안마시술소
  4. 치과병원, 접골원
(정답률: 81%)
  • 의료법상 의료기관은 의료법 제2조에 따라 "의료인이 진료, 검사, 치료, 예방, 보건, 재활, 연구 등 의료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설"로 정의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종합병원과 치과병원은 의료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설로서 의료법상 의료기관에 해당하며, 접골원과 보건소, 안마시술소는 의료서비스를 제공하지 않는 시설이므로 해당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주로 중환자실, 신생아실, 분만실이나 회복실에서 사용하는 기기로서 환자의 심전도, 혈압, 호흡, 체온, 혈중산소포화농도 등을 수치나 파형으로 나타내는 기기는?

  1. 분만감시장치
  2. 심전계
  3. 뇌전계
  4. 환자감시장치
(정답률: 71%)
  • 환자감시장치는 중환자실, 신생아실, 분만실, 회복실 등에서 사용되는 기기로서 환자의 심전도, 혈압, 호흡, 체온, 혈중산소포화농도 등을 수치나 파형으로 나타내는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환자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의료진이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이에 반해, 분만감시장치는 분만실에서 사용되며, 심전계와 뇌전계는 각각 심장과 뇌의 활동을 측정하는 기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