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전자기능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2-07-22)

의료전자기능사
(2012-07-22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임의 구분

1. 다음 중 생체신호와 측정전극이 옳지 않은 것은?

  1. 뇌전도는 표면전극으로 측정한다.
  2. 근전도는 표면전극으로 측정한다.
  3. 심음도는 표면전극으로 측정한다.
  4. 안구전도는 표면전극으로 측정한다.
(정답률: 63%)
  • 정답은 "안구전도는 표면전극으로 측정한다." 입니다. 안구전도는 안구 주위에 전극을 부착하여 측정하는 것이 아니라, 눈에 묻힌 전극을 통해 측정합니다. 따라서 표면전극이 아닌 눈에 묻힌 전극을 사용합니다.

    심음도는 표면전극으로 측정하는 이유는 심장의 전기적인 활동이 심장 표면에서 발생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표면전극을 사용하여 심음도를 측정합니다.

    뇌전도와 근전도도 마찬가지로 뇌와 근육의 전기적인 활동이 표면에서 측정 가능하기 때문에 표면전극을 사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다음 중 생체신호 측정전극으로 사용되는 금속전극의 대표적인 재질은?

  1. 철(fe)
  2. 은-염화은(Ag-AgCI)
  3. 구리
  4. 금(Au)
(정답률: 84%)
  • 생체신호 측정전극은 인체와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부분이므로 안전하고 안정적인 전극재질이 필요합니다. 이에 대표적인 재질인 은-염화은(Ag-AgCI)은 안전하고 안정적인 재질로, 인체와의 접촉 시 산화되지 않고 안정적인 전위를 유지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전극 표면적이 넓어 전기적 신호를 민감하게 감지할 수 있어 생체신호 측정에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1분 동안에 좌심실이 대동맥으로 박출하는 혈액량을 무엇이라 하는가?

  1. 대동맥량
  2. 총혈액량
  3. 좌심실량
  4. 심박출량
(정답률: 72%)
  • 1분 동안에 좌심실이 대동맥으로 박출하는 혈액량을 심박출량이라고 합니다. 이는 심장이 수축하여 혈액을 박출하는 양을 의미하며, 이는 심장의 기능을 나타내는 중요한 지표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심박출량이 적절한 수준을 유지하는 것이 건강한 심장을 유지하는 데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우리 몸의 말초신경계 중에서 민무늬근육, 심장근육 및 샘의 작용을 조절하는 신경계통은?

  1. 몸신경계(Somatic nerve system)
  2. 자율신경계(autonomic nerve system)
  3. 운동신경계(motor nerve system)
  4. 중추신경계(central nerve system)
(정답률: 62%)
  • 자율신경계는 몸의 자동적인 기능을 조절하는 신경계통으로, 민무늬근육, 심장근육, 샘 등의 작용을 조절합니다. 이에 반해 몸신경계는 의지적으로 운동을 조절하는 신경계통이며, 운동신경계는 몸의 근육을 조절하는 신경계통입니다. 중추신경계는 뇌와 척수를 포함하는 신경계통으로, 자율신경계와 몸신경계, 운동신경계를 포함합니다. 따라서, 자율신경계가 민무늬근육, 심장근육 및 샘의 작용을 조절하는 신경계통이기 때문에 정답은 자율신경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다음 중 인공생체재료의 특성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내구성
  2. 화학적 활성
  3. 생체 적합성
  4. 안전성
(정답률: 78%)
  • 인공생체재료는 생체 내에서 사용되는 재료로서 내구성, 생체 적합성, 안전성 등의 특성을 가지고 있어야 합니다. 하지만 화학적 활성은 옳지 않은 특성입니다. 이는 인공생체재료가 화학적 반응을 일으키거나 다른 물질과 결합하여 변화를 일으킬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화학적 활성은 생체 내에서 예기치 않은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인공생체재료의 특성으로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다음 중 아날로그 신호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0”과 “1”로 구성된 이산적인 데이터
  2. 음성과 같은 이산적인 변이형태를 지닌 생체신호
  3. 전압과 시간에 의존하여 이산적으로 변화하는 물리량
  4. 전압과 전류가 시간에 의존하여 연속적으로 변화하는 물리량
(정답률: 69%)
  • 아날로그 신호는 전압과 전류가 시간에 따라 연속적으로 변화하는 물리량입니다. 이는 아날로그 신호가 연속적인 값으로 표현되며, 디지털 신호와는 달리 이산적인 값으로 표현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다음 디지털 신호처리시스템의 구성도에서 ①에 들어갈 신호처리 내용은?

  1. 신호처리
  2. 신호증폭
  3. 필터
  4. D/A 변환
(정답률: 81%)
  • 위 구성도에서는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D/A 변환기가 필요하다. 따라서 ①에는 "D/A 변환"이 들어가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다음 중 소화기계(digestive system)에 속하지 않는 기관은?

  1. exophagus
  2. stomach
  3. urethra
  4. colon
(정답률: 56%)
  • 소화기계는 음식물을 처리하여 영양소를 추출하는 기능을 담당하는데, 소변을 배출하는 기능을 담당하는 기관은 소화기계에 속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urethra"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다음 생체의 압력계측 중 직접측정법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혈압을 실시간으로 계측가능
  2. 혈관 내로 fluid-filled catheter 삽입
  3. 말단(팔) 부위에 압박주머니(cuff)를 부착한 후 압력 증가
  4. Catheter에 strain-gauge type의 압력센서를 연결하여 혈압파형 계측
(정답률: 68%)
  • "말단(팔) 부위에 압박주머니(cuff)를 부착한 후 압력 증가"는 간접적인 압력 측정법으로, 압력 측정을 위해 혈액이 흐르는 동맥을 직접 측정하는 것이 아니라 압력 주머니를 통해 동맥 주변의 압력을 간접적으로 측정하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직접 측정법에 해당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전압 이득이 각각 40[dB]와 20[dB]인 증폭기 2개를 다음 그림과 같이 연결하였다. 합성 전압이득은?

  1. 0[dB]
  2. 20[dB]
  3. 30[dB]
  4. 60[dB]
(정답률: 79%)
  • 두 증폭기의 전압 이득을 각각 40[dB]와 20[dB]로 주었으므로, 각각의 증폭기에서 입력 전압의 100배와 10배가 출력된다. 이를 연결하면, 전압이 100배인 신호가 다시 10배 증폭되므로, 총 전압 이득은 40[dB] + 20[dB] + 20[dB] = 80[dB]가 된다. 하지만, 문제에서는 전압 이득이 아닌 합성 전압 이득을 물었으므로, 전압 이득 80[dB]에 20[dB]를 빼서 손실을 고려해야 한다. 따라서, 합성 전압 이득은 60[dB]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다음 중 생체신호를 측정하는데 사용하는 표면 전극으로 사용하지 않는 전극은?

  1. 금속전극
  2. 내부전극
  3. 흡착전극
  4. 부유전극
(정답률: 68%)
  • 생체신호를 측정하는데 사용하는 표면 전극은 피부와 접촉하여 신호를 측정하는 반면, 내부전극은 신체 내부에 삽입되어 측정하는 전극입니다. 따라서 내부전극은 생체 내부에 삽입되어 사용되는 전극으로, 주로 심장 및 근육 등의 신호를 측정하는데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다음 해부학적 방향에 대한 용어 설명에 해당하는 방향은 무엇인가?

  1. 관상면(coronal plane)
  2. 시상면(sagittal plane)
  3. 이마면(frontal plane)
  4. 가로면(transverse plane)
(정답률: 65%)
  • 시상면은 몸을 왼쪽과 오른쪽으로 나누는 방향으로 자른 평면을 말합니다. 그림에서 보면 뇌를 왼쪽과 오른쪽으로 나누는 평면으로 자른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시상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생체신호를 측정할 때 주의해야 할 사항이 아닌 것은?

  1. 정확한 계측 조작방법을 습득해야 한다.
  2. 생체신호를 측정할 때 잡음을 무시한다.
  3. 인체에 접촉되는 센서는 무독성을 사용한다.
  4. 측정 시 온도, 습도 등 계측에 적절한 환경을 유지한다.
(정답률: 79%)
  • 생체신호를 측정할 때 잡음은 신호의 정확한 측정을 방해할 수 있기 때문에 무시하면 안 됩니다. 따라서, 정확한 계측 조작방법을 습득하고, 측정 시 온도, 습도 등 계측에 적절한 환경을 유지하며, 인체에 접촉되는 센서는 무독성을 사용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심전도의 파형에 나타나지 않는 파는?

  1. P파
  2. Q파
  3. R파
  4. W파
(정답률: 74%)
  • 심전도의 파형에는 P파, Q파, R파가 나타나지만 W파는 나타나지 않습니다. 이는 W파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P파는 심장의 상부 실방에서 발생하는 전기적인 활동을 나타내고, Q파는 심장의 하부 실방에서 발생하는 전기적인 활동을 나타내며, R파는 심장의 실방에서 발생하는 전기적인 활동을 나타냅니다. 하지만 W파는 존재하지 않으며, 따라서 심전도의 파형에는 나타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다음 중 동맥에서 발생하는 맥파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혈류맥파
  2. 직경맥파
  3. 압맥파
  4. 심음파
(정답률: 72%)
  • 심음파는 동맥에서 발생하는 맥파가 아닙니다. 심음파는 심장에서 발생하는 소리를 의미하며, 심장 진단에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다음 중 심장의 박동에 따른 혈액 이동 경로를 순서대로 나열한 것은?

  1. 신체 각 기관 → 대정맥 → 우심방 → 우심실 → 허파동맥 → 허파 → 허파정맥 → 좌심방 → 좌심실 → 대동맥
  2. 신체 각 기관 → 대정맥 → 우심실 → 우심방 → 허파동맥 → 허파 → 허파정맥 → 좌심실 → 좌심방 → 대동맥
  3. 신체 각 기관 → 대정맥 → 좌심방 → 좌심실 → 허파동맥 → 허파 → 허파정맥 → 우심방 → 우심실 → 대동맥
  4. 신체 각 기관 → 대정맥 → 좌심실 → 좌심방 → 허파동맥 → 허파 → 허파정맥 → 우심실 → 우심방 → 대동맥
(정답률: 75%)
  • 정답은 "신체 각 기관 → 대정맥 → 우심방 → 우심실 → 허파동맥 → 허파 → 허파정맥 → 좌심방 → 좌심실 → 대동맥" 입니다.

    심장은 우심실에서 펌프 역할을 하며, 우심실에서 출발한 혈액은 허파동맥을 통해 허파로 이동합니다. 허파에서는 혈액이 산소와 이산화탄소를 교환하고, 허파정맥을 통해 좌심방으로 돌아옵니다. 좌심방에서 출발한 혈액은 좌심실을 거쳐 대동맥으로 이동하며, 대동맥을 통해 신체 각 기관으로 혈액이 공급됩니다. 따라서, 심장의 박동에 따른 혈액 이동 경로는 "신체 각 기관 → 대정맥 → 우심방 → 우심실 → 허파동맥 → 허파 → 허파정맥 → 좌심방 → 좌심실 → 대동맥"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뇌 신경세포의 전기적 활동에 의해 발생하는 전기적 신호를 측정 기록한 것을 무엇이라 하는가?

  1. 안전도(EOG)
  2. 심전도(ECG)
  3. 뇌전도(EEG)
  4. 근전도(EMG)
(정답률: 85%)
  • 뇌 신경세포의 전기적 활동을 측정하여 뇌파를 기록하는 것을 뇌전도(EEG)라고 합니다. 다른 선택지인 안전도(EOG)는 눈의 움직임을 측정하는 것이고, 심전도(ECG)는 심장의 전기적 활동을 측정하는 것이며, 근전도(EMG)는 근육의 전기적 활동을 측정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뇌파를 측정하는 것은 뇌전도(EEG)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다음 중 가슴부위의 골격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빗장뼈, 어깨뼈
  2. 갈비뼈, 칼돌기
  3. 갈비뼈, 척추
  4. 마루뼈, 관자뼈
(정답률: 65%)
  • 마루뼈와 관자뼈는 가슴부위의 골격이 아닙니다. 마루뼈는 골반에 위치하고 관절을 이루는 뼈이며, 관자뼈는 팔꿈치 부위에 위치한 뼈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마루뼈, 관자뼈"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다음 중 호흡기기의 기능평가를 위한 생체변수인 것은?

  1. 혈압
  2. 맥박수
  3. 생체전위
  4. 폐용적
(정답률: 68%)
  • 정답: 폐용적

    설명:
    - 혈압: 심장의 수축과 이완에 따라 혈액이 동맥에 가하는 압력을 측정한 값으로, 순환기기능을 평가하는 생체변수입니다.
    - 맥박수: 심장이 1분간에 뛰는 횟수로, 심장의 수축력과 심장박동의 규칙성 등을 평가하는 생체변수입니다.
    - 생체전위: 심장의 전기적 활동을 측정한 값으로, 심장의 리듬과 전기적 이상을 평가하는 생체변수입니다.
    - 폐용적: 호흡기기능을 평가하는 생체변수로, 폐에서 공기가 들어오고 나가는 양과 속도 등을 측정합니다. 따라서 호흡기기능의 정상/이상 여부를 판단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다음 인체의 감각 기관 중에서 눈에 나타나는 증상 용어를 설명한 것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근시 : 상이 망막 앞에 맺어지는 현상으로 오목렌즈로 교정한다.
  2. 원시 :상이 망막 뒤에 맺어지는 현상으로 볼록렌즈로 교정하며 노안이라고도 한다.
  3. 난시 : 각막이나 수정체의 굴절면이 고르지 않아 망막에 정확히 상이 맺혀지지 않는 현상
  4. 약시 : 두 눈으로 본 단일 물체가 두 개로 보이는 것으로 안근마비 때에 나타나는 현상
(정답률: 69%)
  • 정답: 약시 : 두 눈으로 본 단일 물체가 두 개로 보이는 것으로 안근마비 때에 나타나는 현상

    설명: 약시는 눈의 굴절력이 감소하여 먼 거리의 물체를 보면 두 개로 보이는 현상이다. 안근마비와는 관련이 없다. 안근마비는 안와 근육의 조절이 원활하지 않아 눈이 제대로 움직이지 않는 상태를 말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임의 구분

21. 다음 회로에서 R1=10[Ω], R2=30[Ω], V=10{V]일 때 r1에 흐르는 전류는?

  1. 0.25[A}
  2. 1.0[A}
  3. 1.3[A}
  4. 2.0[A}
(정답률: 62%)
  • 전압이 10[V]이고 R1+R2=40[Ω]이므로 전류는 I=V/R=10/40=0.25[A]가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0.25[A]"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물체에 힘을 가해 이동할 때 공급하는 에너지를 무엇이라고 하는가?

  1. 일(work)
  2. 속도(velocity)
  3. 토크(torque)
  4. 속력(speed)
(정답률: 70%)
  • 일(work)은 물체에 힘을 가해 이동시킬 때 공급하는 에너지를 나타내는 단위 용어입니다. 즉, 일은 힘과 이동 거리의 곱으로 계산됩니다. 따라서 물체를 이동시키는 데 필요한 에너지를 나타내는 용어로 일(work)이 선택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다음 논리식 중 성립되지 않는 것은?

  1. A∙A = 0
(정답률: 31%)
  • ""이 성립되지 않는다. 이유는 ""는 모든 A에 대해 참이기 때문에 A∙A=0이라는 논리식도 성립된다. 따라서, ""이 성립되지 않는다면, 다른 모든 논리식도 성립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다음 중 심음을 측정하는 변환기는?

  1. 전자유량계
  2. 차압식 유랑계
  3. 서미스터
  4. 마이크로폰
(정답률: 60%)
  • 심음은 소리의 진동으로 인해 발생하는 것이므로, 소리를 감지하고 변환하는 기기인 마이크로폰이 심음을 측정하는 변환기로 사용됩니다. 다른 보기들은 유체나 기체의 유량, 온도 등을 측정하는데 사용되는 기기들이므로, 심음 측정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P형과 N형 반도체의 접합으로 만들어진 소자의 주된 역할은?

  1. 증폭작용
  2. 발진작용
  3. 정류작용
  4. 스위치작용
(정답률: 57%)
  • P형과 N형 반도체의 접합으로 만들어진 소자는 다이오드라고 불리며, 전류의 방향을 제어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 중에서도 주된 역할은 정류작용으로, 전류의 일정한 방향으로만 흐르도록 제어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를 통해 전기회로에서 원하는 전류의 방향을 유지하고, 불안정한 전류를 안정적으로 제어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다음 나사의 종류 중 한쪽 방향으로 강하고 센 힘을 전달하는 나사는?

  1. 둥근나사
  2. 사각나사
  3. 톱니나사
  4. 사다리꼴나사
(정답률: 64%)
  • 톱니나사는 나사의 나사심에서 톱니 모양의 돌출부가 있는 나사로, 이 돌출부가 나사구멍에 밀착하여 한쪽 방향으로 강하고 센 힘을 전달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톱니나사가 한쪽 방향으로 강하고 센 힘을 전달하는 나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전하가 가지고 이TSms 전기의 양을 무엇이라 하는가?

  1. 전위량
  2. 전류량
  3. 전압량
  4. 전하량
(정답률: 72%)
  • 전기의 양을 나타내는 것은 전하량입니다. 전하란 전자나 이온과 같은 전기적으로 양성 또는 음성인 입자들이 가지는 속성으로, 전하량은 전하의 크기를 나타내는 단위인 쿨롱(Coulomb)으로 표시됩니다. 따라서 이TSms 전기의 양도 전하량으로 표시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다음 중 전기와 관련된 용어와 단위의 연결이 옳지 않은 것은?

  1. 전하-[C]
  2. 전류-[A]
  3. 전압-[V]
  4. 저항-[W}
(정답률: 69%)
  • 정답은 "저항-[W]"입니다.

    저항은 전기의 흐름을 방해하는 정도를 나타내는 단위로 옴(Ω)으로 표시됩니다. 따라서 올바른 연결은 "전하-[C]", "전류-[A]", "전압-[V]", "저항-[Ω]"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기계의 구성 요소 중에서 조립하려면 결합(체결)요소가 사용된다. 다음 중 결합요소인 것은?

  1. 베벨 기어
  2. 피니언
  3. 3각나사
  4. 베어링
(정답률: 53%)
  • 결합(체결) 요소는 기계의 부품들을 서로 결합시켜주는 요소이다. 베벨 기어, 피니언, 베어링은 기계의 동력전달이나 회전운동을 위한 부품으로 결합요소가 아니므로 정답이 될 수 없다. 반면에 3각나사는 기계의 부품들을 서로 체결시켜주는 결합요소이므로 정답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A, B 두 개의 입력 중 어느 하나라도 “1”일 경우에 출력이 “1”이 되는 논리 게이트는?

  1. AND
  2. OR
  3. NAND
  4. NOR
(정답률: 72%)
  • OR 게이트는 입력 중 하나 이상이 1일 경우 출력이 1이 되는 논리 게이트입니다. 따라서 A, B 두 개의 입력 중 어느 하나라도 1일 경우 출력이 1이 되어야 하므로 OR 게이트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일반적인 디지털 멀티미터(Digital multimeter)로 측정할 수 없는 것은?

  1. 저항의 크기
  2. 직류전압
  3. 파형
  4. 교류전압
(정답률: 38%)
  • 일반적인 디지털 멀티미터는 파형을 측정할 수 없습니다. 이는 디지털 멀티미터가 주로 직류 또는 교류 전압, 전류, 저항 등을 측정하는데 사용되는데, 파형은 시간에 따른 전압 또는 전류의 변화를 나타내는 것으로, 디지털 멀티미터로는 이러한 시간적인 변화를 측정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파형을 측정하려면 오실로스코프(Oscilloscope)와 같은 다른 측정기기가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다음 중 오실로스코프로 측정이 불가능한 것은?

  1. 전압
  2. 위상
  3. 주파수
  4. 저항값
(정답률: 52%)
  • 오실로스코프는 전압, 위상, 주파수 등을 측정할 수 있지만, 저항값은 측정할 수 없습니다. 이는 오실로스코프가 전압을 측정하기 위해 전압을 시간에 따라 그래프로 표현하는데, 이 때 저항값은 전압과 전류의 비율로 계산되는 값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저항값을 측정하려면 멀티미터와 같은 다른 측정기기를 사용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다음 중 체온의 측정에 사용하는 서미스터의 특성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1. 온도의 변화에 따라 기전력이 발생한다.
  2. 온도의 변화에 따라 저항이 변화한다.
  3. 온도에 비례하는 빛을 방출한다.
  4. 온도에 비례하는 전류를 발생한다.
(정답률: 48%)
  • 정답은 "온도의 변화에 따라 저항이 변화한다."입니다.

    서미스터는 온도에 따라 저항이 변화하는 반도체 소자입니다. 이는 반도체 소자 내부의 전자와 결합된 이온들이 온도에 따라 움직이면서 전자의 이동을 방해하거나 촉진하기 때문입니다. 이에 따라 전류의 흐름이 변화하게 되고, 이를 측정하여 온도를 알아내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전압계의 허용오차에서 0.5급의 경우는 허용 오차율을 몇 [%]로 나타내는가?

  1. ± 0.5
  2. ± 1.0
  3. ± 1.2
  4. ± 1.5
(정답률: 60%)
  • 0.5급의 경우 허용 오차율은 ±0.5V 이내입니다. 이는 측정하려는 전압 값의 절반 이내의 오차를 허용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은 "± 0.5"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다음 연산증폭기에서 전압이득(Av)은?

  1. 2
  2. 3
  3. 4
  4. 5
(정답률: 50%)
  • 다음 연산증폭기는 오픈루프 구성이므로 입력단자와 출력단자 사이에 전압이득이 발생합니다. 이 때, 전압이득은 출력단자 전압(Vout)과 입력단자 전압(Vin)의 비율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전압이득(Av) = Vout / Vin

    이 연산증폭기에서는 R1과 R2가 피드백 회로를 구성하고 있으므로, 입력단자와 출력단자 사이의 전압이 R1과 R2의 저항비(R2/R1)에 영향을 받습니다.

    전압이득(Av) = - R2 / R1

    따라서, R1 = 1kΩ, R2 = 3kΩ 일 때, 전압이득은

    전압이득(Av) = - 3kΩ / 1kΩ = -3

    즉, 정답은 "3"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다음 중 단위에 사용하는 배수의 연결이 옳지 않은 것은?

  1. T(테라) : 109
  2. k(킬로) : 103
  3. m(밀리) : 10-3
  4. n(나노) : 10-9
(정답률: 65%)
  • 정답은 "T(테라) : 109"입니다.

    "T(테라)"는 10의 12승을 의미하는 단위이며, "G(기가)"가 10의 9승을 의미하는 단위입니다. 따라서 "T(테라) : 109"는 옳지 않은 연결입니다.

    각 단위의 의미는 다음과 같습니다.
    - "k(킬로)" : 10의 3승
    - "m(밀리)" : 10의 -3승
    - "n(나노)" : 10의 -9승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다음 중 2개의 입력이 서로 다를 때만 출력이 “1”이 되는 게이트는?

  1. AND
  2. OR
  3. NOT
  4. EX-OR
(정답률: 63%)
  • EX-OR 게이트는 두 입력이 서로 다를 때만 출력이 1이 되는 게이트입니다. 이는 두 입력이 같으면 출력이 0이 되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A와 B가 입력으로 들어온다고 가정하면, A와 B가 같으면 출력은 0이 되고, A와 B가 다르면 출력은 1이 됩니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EX-OR 게이트는 "배타적 논리합"이라고도 불립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어떤 도체의 단면을 30분 동안에 5400[C}의 전기량이 이동했다고 하면 전류의 크기는 얼마인가?

  1. 1[A]
  2. 3[A]
  3. 5[A]
  4. 7[A]
(정답률: 58%)
  • 전기량 = 전류 × 시간 × 전하량의 단위인 쿨롱(C)
    전류 = 전기량 ÷ (시간 × 전하량의 단위인 쿨롱(C))

    주어진 값에 대입하면,
    전류 = 5400[C] ÷ (30[min] × 60[s/min] × 1[C/s]) = 3[A]

    따라서, 전류의 크기는 3[A]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전력 다이오드는 교류입력 신호를 평균값 또는 직류값으로 변화시키는 정류과정에서 사용되는 소자이다. 이런 용도로 사용되는 다이오드의 명칭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정류 다이오드
  2. 반도체 다이오드
  3. 실리콘 다이오드
  4. 게르마늄 다이오드
(정답률: 64%)
  • 전력 다이오드는 교류입력 신호를 평균값 또는 직류값으로 변화시키는 정류과정에서 사용되는 소자이다. 이러한 용도로 사용되는 다이오드를 "정류 다이오드"라고 부른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다음 중 정류형 계기는 어느 값을 지시하는가?

  1. 평균값
  2. 실효값
  3. 파형률
  4. 파고율
(정답률: 55%)
  • 정류형 계기는 전압이나 전류의 평균값을 측정하는데 사용되며, 이는 주로 직류 전압이나 전류를 측정할 때 사용됩니다. 하지만, 평균값은 교류 전압이나 전류를 측정할 때는 유용하지 않습니다. 이에 반해, 실효값은 교류 전압이나 전류의 실제 크기를 나타내는 값으로, 정류형 계기는 실효값을 측정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실효값"입니다. 파형률과 파고율은 교류 전압이나 전류의 파형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값이며, 정류형 계기로 측정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임의 구분

41. 정부 또는 정부가 위임∙위탁한 기관에서 당해품목이 적합하게 제조∙판매되고 있음을 증명하는 서류를 무엇이라고 하는가?

  1. 의료기기 품질경영시스템 인증서
  2. 의료기기 품목허가서
  3. 제조판매증명서
  4. 기술문서
(정답률: 52%)
  • 제조판매증명서는 정부 또는 정부가 위임∙위탁한 기관에서 당해품목이 적합하게 제조∙판매되고 있음을 증명하는 서류이다. 다른 보기들은 제조∙판매 증명과는 관련이 있지만, 제조판매증명서와는 목적과 내용이 다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MRI 영상장치에서 수소원자핵의 종축 자기화에서 횡축 자기화로 변화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은?

  1. 90〬 RF 펄스
  2. gradient 코일
  3. 초전도자석
  4. shim 코일
(정답률: 57%)
  • MRI 영상장치에서 수소원자핵의 종축 자기화에서 횡축 자기화로 변화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은 "90〬 RF 펄스" 입니다. 이는 RF (라디오 주파수) 에너지를 이용하여 수소원자핵의 자기화 방향을 바꾸는 것으로, 90도 각도로 자기화 방향을 회전시키기 때문에 "90〬" 이라는 용어가 붙게 되었습니다. 이러한 RF 펄스는 MRI 영상을 생성하는 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마취기 시스템의 구성요소가 아닌 것은?

  1. 증발기
  2. 통풍기
  3. 청소기 시스템
  4. 응축기
(정답률: 57%)
  • 마취기 시스템은 마취제 공급, 환기, 배기, 모니터링 등의 기능을 수행하는데, 응축기는 이러한 기능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응축기는 공기 중의 수증기를 제거하여 건조한 공기를 유지하는데 사용되는 장치이므로 마취기 시스템의 구성요소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다음 중 진단용 방사선 발생장치가 아닌 것은?

  1. 유방촬영용 장치
  2. 진단용 초음파 장치
  3. 진단용 엑스선 발생기
  4. 치과진단용 엑스선 발생장치
(정답률: 61%)
  • 진단용 초음파 장치는 방사선을 사용하지 않고 음파를 이용하여 내부 구조를 확인하는 장치이기 때문에 진단용 방사선 발생장치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다음 중 전류의 세기에 따른 인체의 생리적 반응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1[mA]-이탈할 수 없는 전류
  2. 50[mA] 이상-근육수축, 호흡마비, 심장억제, 통증
  3. 100~300[mA]-심실세동
  4. 6[A] 이상-호흡정지, 3도 화상
(정답률: 44%)
  • "1[mA]-이탈할 수 없는 전류"가 옳지 않은 것입니다. 인체는 전류의 세기에 따라 다양한 생리적 반응을 보이며, 전류의 세기가 증가할수록 위험한 반응이 나타납니다. 하지만 전류의 세기가 1[mA] 이하일 경우에도 인체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이를 무시하고 무방비 상태에서 전류에 노출될 경우 심각한 결과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1[mA] 이하의 전류에도 주의를 기울여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전기수술기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전기에너지를 사용하여 수술 시 출혈량을 줄여서 혈액의 손실을 줄이는 장비이다.
  2. 수술 시 시야를 확보할 수 있고 흉터도 심하게 남지 않는다.
  3. 저주파의 전류를 통과하면 고통도 없고 근육수축도 일어나지 않는다.
  4. 전기수술기의 작용은 절개, 응고, 지혈 등 크게 세 가지이다.
(정답률: 52%)
  • "저주파의 전류를 통과하면 고통도 없고 근육수축도 일어나지 않는다."는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저주파 전류는 근육을 자극하여 수축시키는 효과가 있으며, 고통도 일어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환자의 안전을 위해 전기수술기 사용 시 적절한 전류 강도와 시간을 조절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수행 목적에 따른 재활보조공학 기구의 종류로 옳지 않은 것은?

  1. 듣기 재활보조공학기구-보청기
  2. 이동 재활보조공학기구-확대기구
  3. 의사전달 재활보조공학기구-인공후두
  4. 단말기 입력 재활보조공학기구-마우tm 스틱
(정답률: 66%)
  • 이동 재활보조공학기구-확대기구는 수행 목적에 따른 재활보조공학 기구의 종류로 옳지 않습니다. 이유는 이동 재활보조공학기구는 환자의 이동을 돕기 위한 기구이며, 확대기구는 시력이 약한 환자들이 물체를 더 잘 볼 수 있도록 돕는 기구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동 재활보조공학기구-확대기구는 수행 목적에 따른 재활보조공학 기구의 종류로 옳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다음 중 심박출량 측정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픽(Fick)법
  2. X-선 희석법
  3. 온도(열)희석법
  4. 색소(염료)희석법
(정답률: 50%)
  • 심박출량을 측정하는 방법 중 X-선 희석법은 옳지 않습니다. 이는 심장 내부에 X-선을 쏘아 희석된 X-선의 양을 측정하여 심장의 혈액량을 추정하는 방법입니다. 그러나 이 방법은 방사선의 위험이 있으며, 정확도도 다른 방법들에 비해 낮기 때문에 현재는 잘 사용되지 않습니다. 대신에 픽법, 온도(열)희석법, 색소(염료)희석법 등이 주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다음 중 진료에 관한 기록 보존 연한으로 옳은 것은?

  1. 환자 명부 : 5년
  2. 진료기록부 : 5년
  3. 처방전 :5년
  4. 수술기록 : 5년
(정답률: 52%)
  • 환자 명부는 환자의 기본 정보와 방문 일자 등을 기록하는 것으로, 보존 연한은 5년입니다. 이는 환자의 방문 기록을 추적하고 필요한 경우에 참고하기 위함입니다. 진료기록부, 처방전, 수술기록도 모두 5년간 보존해야 하지만, 이들은 환자의 상세한 진료 내용이나 처방 정보 등을 담고 있기 때문에 더욱 중요한 기록으로 간주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의료기기의 제품에 사용되는 재료를 선택함에 이TDj서 재료의 성질과 기능이 사용 목적에 적당한가를 먼저 생각해야 한다. 다음 중 의료기기의 생물학적 평가와 연관하여 고려되어야 하는 사항이 아닌 것은?

  1. 제조재료
  2. 제품의 분해산물
  3. 원제품의 성능과 성질
  4. 제품의 사용 목적의 변화
(정답률: 40%)
  • 제품의 사용 목적의 변화는 생물학적 평가와 직접적으로 연관되지 않는다. 생물학적 평가는 제조재료와 제품의 분해산물, 그리고 원제품의 성능과 성질과 같은 요소들을 고려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제품의 사용 목적의 변화는 이와는 별개의 고려사항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전기저항이나 생체조직률의 온도특성을 이용하는 소자가 아닌 것은?

  1. 압전 센서
  2. 서미스터
  3. 적외선 센서
  4. 열전대소자
(정답률: 60%)
  • 압전 센서는 온도에 대한 특성이 아니라 압력에 대한 변화를 감지하는 소자이기 때문에 전기저항이나 생체조직률의 온도특성을 이용하는 소자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체내의 전해엑에 의해 생성된 혈액의 산염기평형 측정을 위한 임상검사용 기기는?

  1. 원심분리기
  2. 생화학분석기
  3. pH meter
  4. 자동혈구계수기
(정답률: 63%)
  • pH meter는 산염기 평형을 측정하는 기기로, 체내의 전해질에 의해 생성된 혈액의 산염기 평형을 측정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기기는 혈액의 pH 값을 측정하여 산염기 평형을 파악하는데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다음 중 의료기기의 생물학적 재평가가 요구되는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제품의 사용횟수의 변화
  2. 저장 중인 완제품의 변화
  3. 제품의 사용 목적의 변화
  4. 제품 원자재의 출처나 사양의 변화
(정답률: 54%)
  • 제품의 사용횟수의 변화는 의료기기의 생물학적 재평가와는 관련이 없습니다. 생물학적 재평가는 제품의 안전성, 유효성, 성능 등이 변화할 가능성이 있는 경우에 요구됩니다. 하지만 제품의 사용횟수의 변화는 이러한 요소들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으므로 옳지 않은 선택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기억된 내용에 접근(access)하여 읽을(read)수는 있으나 임의로 기억시킬 수(write)없는 읽기 전용 기억소자로서 전원이 꺼져도 기억 내용이 사라지지 않는 것은?

  1. 버스(BUS)
  2. 롬(ROM)
  3. 램(RAM)
  4. 코어(CORE)
(정답률: 63%)
  • 롬(ROM)은 읽기 전용 기억소자로, 기억된 내용에는 접근하여 읽을 수 있지만, 임의로 기억시킬 수는 없습니다. 또한 전원이 꺼져도 기억 내용이 사라지지 않습니다. 따라서 주어진 보기 중에서 롬(ROM)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다음 중 인공심폐기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heart lung Machine으로 불린다.
  2. 심장과 폐의 역할을 하는 의료기기이다.
  3. 혈액에 산소를 공급하지만 이산화탄소는 제거하지 않는다.
  4. 우심방에서 나온 혈액을 산화기를 거쳐 대동맥으로 다시 보낸다.
(정답률: 72%)
  • "혈액에 산소를 공급하지만 이산화탄소는 제거하지 않는다."는 인공심폐기에 대한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인공심폐기는 혈액에 산소를 공급하고 이산화탄소를 제거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는 심장과 폐의 역할을 대신하는 의료기기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다음 중 의료기관을 개설할 수 없는 사람은?

  1. 임상병리사
  2. 조산사
  3. 치과의사
  4. 한의사
(정답률: 70%)
  • 임상병리사는 의료기관에서 진단 검사를 수행하는 역할을 담당하는데, 의료기관을 개설하기 위해서는 의사 자격증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임상병리사는 의사 자격증이 없기 때문에 의료기관을 개설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적절한 시험동물모델 또는 시스템을 사용했을 때, 혈액과 접촉하는 의료기기 및 의료용재료에 의한 혈액 또는 혈액구성요소들의 영향을 평가하는 시험은?

  1. 혈액적합성시험
  2. 발열성시험
  3. 피내반응시험
  4. 아급성독성시험
(정답률: 60%)
  • 혈액적합성시험은 혈액과 접촉하는 의료기기 및 의료용재료에 의한 혈액 또는 혈액구성요소들의 영향을 평가하는 시험입니다. 따라서, 혈액적합성시험은 혈액과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의료기기 및 의료용재료의 안전성을 평가하는 중요한 시험입니다. 다른 시험들은 혈액적합성시험과는 다른 목적으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환자감시장치의 혈중중산소포화도(SpO2) 측정에 관한 설명으로 합당하지 않은 것은?

  1. 산소와 결합한 헤모글로빈은 적외선을 많이 흡수하는 성질을 이용한 것이다.
  2. 광원은 적외선과 파장이 긴 가시광선인 빨간색을 혼합하여 사용한다.
  3. 환자의 상태와 무관하게 측정하여 적산하는 시간이 동일하다.
  4. 발광부와 수광부로 구분되어 손가락 끝부분이 손톱 부위에 부착한다.
(정답률: 65%)
  • "환자의 상태와 무관하게 측정하여 적산하는 시간이 동일하다."는 합당한 설명이다. 이는 SpO2 측정 방법이 발광부와 수광부로 구분되어 손가락 끝부분이 손톱 부위에 부착되어 측정되며, 이 과정에서 환자의 상태와 무관하게 일정한 시간동안 측정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전기자극치료란 인체에 전류를 통하게 하여 유용한 생리적 반응을 유발하고 이로 인해 질병을 치료하는 모든 방법을 가리킨다. 의료용으로 주로 쓰이는 전기의 형태가 아닌 것은?

  1. 평류전기
  2. 감응전기
  3. 고압전기
  4. 교류전기
(정답률: 61%)
  • 전기자극치료는 인체에 안전한 저압의 전기를 사용하여 질병을 치료하는데, 고압전기는 인체에 위험한 전기의 형태이기 때문에 의료용으로 사용되지 않는다. 따라서 정답은 "고압전기"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사용자로부터 데이터를 입력받기위해서는 표준 입력 함수를 사용한다. C언어에서 제공하는 표준 입력 함수 중의 하나는?

  1. printf() 함수
  2. main()함수
  3. scanf() 함수
  4. swap()함수
(정답률: 47%)
  • scanf() 함수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데이터를 변수에 저장하기 위해 사용하는 표준 입력 함수이다. 따라서 데이터를 입력받기 위해서는 scanf() 함수를 사용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