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전자기능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3-04-14)

의료전자기능사
(2013-04-14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임의 구분

1. 의료용 표면 전극을 다음 장치들의 동작을 위해 사용할 때 순간적으로 가장 큰 전류가 전극을 통해 흐르는 장치는?

  1. 심전도(ECG) 측정장치
  2. 뇌전도(EEG) 측정장치
  3. 근전도(EMG) 기록장치
  4. 제세동기(defibrillator)
(정답률: 87%)
  • 제세동기는 심장을 다시 정상적인 심박수로 되돌리기 위해 강력한 전기 충격을 가해야 하기 때문에 순간적으로 가장 큰 전류가 전극을 통해 흐르게 됩니다. 따라서 의료용 표면 전극을 다음 장치들의 동작을 위해 사용할 때 순간적으로 가장 큰 전류가 전극을 통해 흐르는 장치는 제세동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과정으로 옳은 것은?

  1. 표본화 → 양자화 → 부호화
  2. 표본화 → 부호화 → 양자화
  3. 양자화 → 표본화 → 부호화
  4. 부호화 → 양자화 → 표본화
(정답률: 76%)
  •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과정은 크게 세 단계로 이루어집니다.

    첫 번째는 표본화(Sampling)입니다. 이 단계에서는 아날로그 신호를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샘플링하여 디지털 신호로 변환합니다. 이를 위해 아날로그 신호를 일정한 주기로 샘플링하여 디지털 신호로 변환합니다.

    두 번째는 양자화(Quantization)입니다. 이 단계에서는 표본화된 디지털 신호를 일정한 간격으로 분할하여 디지털 값으로 변환합니다. 이를 위해 표본화된 신호를 일정한 간격으로 분할하여 디지털 값으로 변환합니다.

    마지막은 부호화(Encoding)입니다. 이 단계에서는 양자화된 디지털 신호를 이진수로 변환하여 디지털 신호로 완성합니다. 이를 위해 양자화된 신호를 이진수로 변환하여 디지털 신호로 완성합니다.

    따라서, 옳은 답은 "표본화 → 양자화 → 부호화"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어떤 회로에 전류가 2[A] 흐를 때 부하저항이 10[Ω]이면 인가된 전압은 얼마인가?

  1. 2[V]
  2. 10[V]
  3. 20[V]
  4. 40[V]
(정답률: 76%)
  • 오옴의 법칙에 따라 V = IR 이므로, 인가된 전압은 2[A] x 10[Ω] = 20[V] 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20[V]"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일차뼈되기 중심과 이차뼈되기 중심에 있는 연골로서 뼈의 길이 성장이 일어나는 것은?

  1. 해면뼈(sponge bone)
  2. 치밀뼈(compact bone)
  3. 뼈끝판(epiphyseal plate)
  4. 관전연골(articular cartilage)
(정답률: 67%)
  • 뼈끝판은 일차뼈되기 중심과 이차뼈되기 중심에 있는 연골로서, 뼈의 길이 성장이 일어나는 곳입니다. 뼈끝판에서 연골 세포들이 분열하고 새로운 연골이 형성되면서 뼈가 길어지게 됩니다. 따라서 뼈끝판은 뼈의 성장과 발달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다음 그림은 무엇을 측정하는 원리를 나타낸 것인가?

  1. 혈압
  2. 혈중산소포화도
  3. 호흡
  4. 맥압
(정답률: 79%)
  • 이 그림은 혈중산소포화도를 측정하는 원리를 나타낸 것입니다. 적외선을 이용하여 혈액 속의 산소와 헤모글로빈이 결합하는 정도를 측정하여 혈중산소포화도를 파악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혈중산소포화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다음 그림은 심전도의 한 주기를 나타낸 것이다. 가장 큰 진폭을 보이는 ⓒ부분의 파형 이름은?

  1. P파
  2. Q파
  3. R파
  4. S파
(정답률: 68%)
  • 심전도에서 R파는 심장의 실질적인 수축을 나타내는 파형으로, 심장의 실질적인 수축이 일어나는 시점에서 가장 큰 진폭을 보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주어진 그림에서 가장 큰 진폭을 보이는 부분은 R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피부에서 세포 분열이 일어나는 층은?

  1. 투명층
  2. 종자층
  3. 각질층
  4. 과열층
(정답률: 63%)
  • 피부에서 세포 분열이 일어나는 층은 종자층입니다. 이는 피부의 최하층으로, 새로운 피부 세포가 생성되는 곳입니다. 다른 층들은 이미 생성된 세포들이 모여 있는 곳이므로 세포 분열이 일어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다음 중 감각과 감각기관이 주어지는 자극의 유형이 잘못 짝지어진 것은?

  1. 감각 : 접촉, 자극 : 압력
  2. 감각 : 추위, 자극 : 온도
  3. 감각 : 미각, 자극 : 화학물질
  4. 감각 : 청각, 자극 : 화학물질
(정답률: 73%)
  • 감각 : 청각, 자극 : 화학물질은 잘못 짝지어진 것입니다. 청각은 소리와 관련된 감각이며, 화학물질은 미각과 관련된 자극입니다. 따라서, 감각 : 청각, 자극 : 소리가 올바른 짝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다음 중 X선을 이용한 촬영 방법은?

  1. 컴퓨터 단층촬영(CT)
  2. 자기공명 영상촬영(MRI)
  3. 초음파 주사 영상 촬영
  4. 열영상 촬영
(정답률: 75%)
  • 컴퓨터 단층촬영(CT)은 X선을 이용하여 몸 속의 구조를 단면으로 촬영하는 방법입니다. X선을 이용하여 몸 속의 구조를 촬영하고, 이를 컴퓨터로 처리하여 3차원 이미지를 만들어낼 수 있습니다. 따라서 몸 속의 구조를 더욱 자세하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장기 혈류량의 측정에 사용하는 원리로 일정량의 색소를 투여한 후 혈액, 요 등의 시료 또는 목적 장기와 체강 등에서 시료를 채취하여 측정하는 원리는?

  1. 가열법
  2. 소실률법
  3. 자기분광법
  4. 임피던스법
(정답률: 61%)
  • 소실률법은 일정량의 색소를 투여한 후 시료나 목적 장기 등에서 채취한 시료를 측정하는 방법으로, 색소가 혈액이나 조직 등을 통과할 때 소실되는 양을 측정하여 혈류량을 계산합니다. 따라서 혈액이나 조직 등의 소실률을 측정하는 방법으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의공학의 특성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고유의 가변적 특성을 갖는 생체시스템을 대상으로 한다.
  2. 인체에 적용되므로 고도의 안정성과 신뢰성이 요구된다.
  3. 측정되는 신호의 진폭이 일반 신호보다 크고 높은 주파수 특성을 갖고 있다.
  4. 의공학은 의학과 공학 등 여러 분야에 접목되어 있다.
(정답률: 58%)
  • "측정되는 신호의 진폭이 일반 신호보다 크고 높은 주파수 특성을 갖고 있다."는 옳은 설명입니다.

    이는 생체 신호가 일반적인 신호와 달리 매우 작은 진폭을 가지고 있으며, 높은 주파수 성분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의공학에서는 이러한 특성을 고려하여 측정 장비를 설계하고 신호 처리 기술을 개발해야 합니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의공학의 특성을 올바르게 설명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심전도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심전도는 Electrocardiogram으로 ECG라 한다.
  2. 심전도는 심장에서 발생하는 전기적 활동을 신체 표면에서 측정하여 그래프로 나타내는 것이다.
  3. 심장의 비정상적인 활동에 의해 심전도의 형태가 변화한다.
  4. 심전도를 통해서 호흡기관의 이상 유무를 알 수 있다.
(정답률: 74%)
  • "심전도를 통해서 호흡기관의 이상 유무를 알 수 있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심전도는 심장에서 발생하는 전기적 활동을 측정하여 그래프로 나타내는 것으로, 호흡기관의 이상 유무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호흡기 기능평가법에서 분포능(distribution)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폐 내에 방사선이 모세혈관으로 전달되는 기능
  2. 외부공기가 기도를 통하여 폐포로 잘 전달되는 기능
  3. 폐 내에서 공기가 폐포 간에 균형 있게 분포하는 기능
  4. 폐포 내 공기와 폐 모세혈관 내 혈액 간에 O2, CO2를 잘 교환 하는 기능
(정답률: 70%)
  • 분포능은 폐 내에서 공기가 폐포 간에 균형 있게 분포하는 기능입니다. 이는 폐포 간에 공기가 고르게 분포되어 폐 기능을 최적화하고 폐활량을 유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다음 중 생체에서 발생하는 특수한 현상인 생체전기현상의 특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전기현상이 미약하다.
  2. 잡음이 적고 안정적이다.
  3. 신호원의 임피던스가 크다.
  4. 특정 주파수로 구성되어 있다.
(정답률: 40%)
  • 생체전기현상은 신체 내부에서 발생하는 전기적인 신호를 말하며, 이는 신경, 근육 등의 활동에 의해 발생합니다. 따라서 생체전기현상은 전기적인 신호이기 때문에 잡음이 적고 안정적입니다. 이는 생체전기현상을 측정하는데 있어서 정확한 측정이 가능하도록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다음 중 피부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피부는 표피, 진피, 피하조직으로 구성된다.
  2. 진피 내에는 혈관, 신경, 피부 부속기(모근, 한선 등)가 있다.
  3. 진피는 유두층과 양상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4. 표피에는 혈관이 발달되어 있다.
(정답률: 73%)
  • "표피에는 혈관이 발달되어 있다."는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표피는 외부와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피부의 가장 바깥쪽 층으로, 혈관이 발달되어 있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청진에 의하여 듣기가 곤란한 심음의 구성으로 옳은 것은?

  1. 1심음과 2심음
  2. 1심음과 3심음
  3. 2심음과 4심음
  4. 3심음과 4심음
(정답률: 76%)
  • 심장은 수축과 이완에 따라 심음이 발생합니다. 1심음은 수축기에 발생하는 첫 번째 심음이고, 2심음은 이완기에 발생하는 두 번째 심음입니다. 3심음은 수축기와 이완기 사이에 발생하는 추가적인 심음이고, 4심음은 이완기의 말단에서 발생하는 추가적인 심음입니다. 청진에 의해 듣기가 곤란한 심음은 주로 낮은 주파수의 소리이기 때문에 3심음과 4심음이 해당됩니다. 이는 청력이 낮은 사람이나 청진이 어려운 상황에서는 듣기가 어렵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다음과 같은 회로의 전압이득은?

  1. -1
  2. +1
  3. 0
  4. 10
(정답률: 70%)
  • 입력단자와 출력단자가 서로 바뀌어 있으므로, 전압이 들어가는 쪽이 출력단자이고, 출력되는 쪽이 입력단자입니다. 이 회로는 입력단자와 출력단자 사이에 직렬로 연결된 저항이 있으므로, 전압이 들어가는 쪽의 전압이 출력단자에서 출력되는 전압보다 항상 작아집니다. 따라서 전압이득은 "-1"이 아닌 "+1"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다음 중 위(stomach)의 의미를 가진 의학 용어는?(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epi-
  2. cardi-
  3. hetero-
  4. gastr-
(정답률: 17%)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 시 변환 된 신호는 계단 형태의 신호로 나타나므로 필터회로를 사용하여 진폭에 관한 연속전인 형태의 신호로 변환하여야 한다. 이 때 사용되는 필터회로는?

  1. 저역통과 필터
  2. 고역통과 필터
  3. 대역통과 필터
  4. 대역소거 필터
(정답률: 54%)
  •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할 때, 계단 형태의 신호를 연속적인 형태의 신호로 변환하기 위해서는 고주파 신호를 제거하고 저주파 신호만을 통과시키는 필터가 필요합니다. 이러한 필터는 저역통과 필터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저역통과 필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다음 중 단백질 소화의 최종 산물은?

  1. 아미노산
  2. 단백질
  3. 염산
  4. 탄수화물
(정답률: 80%)
  • 단백질은 아미노산으로 분해되어 소화되며, 아미노산은 단백질의 구성 성분입니다. 따라서 단백질 소화의 최종 산물은 아미노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임의 구분

21. 직렬회로에서 전압이 25[V]인 회로에서 2.5[A]의 전류가 흐르기 위해서는 필요한 저항의 크기는 얼마인가?

  1. 40[Ω]
  2. 30[Ω]
  3. 20[Ω]
  4. 10[Ω]
(정답률: 67%)
  • 오옴의 법칙에 따라 저항의 크기는 전압과 전류의 비율로 계산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저항의 크기는 25[V] ÷ 2.5[A] = 10[Ω] 입니다. 이는 전압과 전류의 비율이 10[Ω]이 되어야 2.5[A]의 전류가 흐를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10[Ω]"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다음 중 도너(doner)로 사용될 수 있는 원소는?

  1. 붕소
  2. 탄소
(정답률: 70%)
  • 도너(doner)는 인(氮)으로 만들어진 기체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미끄럼 베어링의 활동면에 따른 형식으로 분류할 때, 미끄럼면(활동면)이 서로 평행하게 있을 경우를 말하는 것은?

  1. 병행 활동면
  2. 타원 활동면
  3. 경사 활동면
  4. 원통 활동면
(정답률: 40%)
  • 병행 활동면은 미끄럼 베어링의 활동면이 서로 평행한 경우를 말합니다. "병행"은 두 개 이상의 선이 서로 평행한 상태를 의미하며, 이와 같이 미끄럼 베어링의 활동면이 서로 평행하면서 움직이는 경우를 병행 활동면이라고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다음 중 진성 반도체의 특성으로 옳은 것은?

  1. 온도가 상승하면 반도체의 저항은 감소한다.
  2. 진성 반도체에 불순물을 섞으면 저항이 증가한다.
  3. 전기적 전도성은 도체와 부도체의 상위 정도이다.
  4. 온도가 절대온도 0도 정도의 낮은 상태에서는 도체가 된다.
(정답률: 28%)
  • 온도가 상승하면 반도체 내부의 전자와 양공이 더 많은 열운동을 하게 되어, 서로 충돌하는 빈도가 증가합니다. 이로 인해 전자와 양공이 임의의 방향으로 움직이는 확률이 높아지고, 전자와 양공이 충돌하여 생성되는 이온화된 불순물의 수도 증가합니다. 이에 따라 전자와 양공의 이동성이 증가하고, 전류의 흐름이 쉬워지므로 저항이 감소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서미스터(thermistor) 소자는 주로 어떤 특성을 사용하는 것인가?

  1. 논리 제어 특성
  2. 온도 특성
  3. 전류 증폭 특성
  4. 전압 증폭 특성
(정답률: 64%)
  • 서미스터(thermistor) 소자는 온도 특성을 사용합니다. 이는 서미스터 소자의 저항값이 온도에 따라 변화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서미스터 소자는 온도 측정 및 제어에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3각나사의 골지름이 20[mm], 바깥지름이 30[mm]일 때 유효지름은?

  1. 15[mm]
  2. 20[mm]
  3. 25[mm]
  4. 30[mm]
(정답률: 67%)
  • 유효지름은 골지름과 바깥지름의 중간값으로 계산됩니다. 따라서 (20+30)/2 = 25[mm]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계기의 동작상 분류 중 측정하고자 하는 값을 지침으로 직접 지시하는 계기는?

  1. 지시계기
  2. 숫자식 계기
  3. 적산계기
  4. 기록계기
(정답률: 66%)
  • 지시계기는 측정하고자 하는 값을 직접 지시하는 계기로, 사용자가 원하는 값을 직접 읽어낼 수 있습니다. 다른 분류의 계기들은 측정된 값을 숫자나 기록으로 표시하거나, 측정된 값을 누적하여 계산하는 등의 기능을 가지고 있지만, 지시계기는 측정된 값을 바로 확인할 수 있는 가장 간단한 형태의 계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다음은 어떤 논리회로를 설명 한 것인가?

  1. 반가산기
  2. 인코더
  3. 전가산기
  4. 멀티플렉서
(정답률: 42%)
  • 이 논리회로는 두 개의 이진수를 더하는 전가산기입니다. 반가산기와 달리 자리올림 입력(Carry-in)을 추가하여 자리올림 출력(Carry-out)을 계산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더 복잡한 이진수 덧셈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트랜지스터(Tr)의 3개의 단자 이름이 아닌 것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이미터(emitter)
  2. 컬렉터(collector)
  3. 캐소드(cathode)
  4. 베이스(base)
(정답률: 6%)
  • 캐소드는 전자관에서 사용되는 단어이며, 트랜지스터에서는 사용되지 않는 단어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캐소드(cathode)"입니다.

    이미터(emitter)는 트랜지스터에서 전자를 방출하는 역할을 합니다. 베이스(base)와 컬렉터(collector)는 각각 트랜지스터의 제어와 전류 취득을 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유도성 센서의 동작원리가 아닌 것은?

  1. 자기저항
  2. 정전용량
  3. 차동변환기
  4. 정전유도
(정답률: 40%)
  • 유도성 센서는 자기장이나 전기장의 변화에 반응하여 신호를 감지하는 센서입니다. 따라서 "정전용량"은 전기장의 변화와 관련이 있으므로 유도성 센서의 동작원리와는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탄성 게이지(스트레인 게이지)의 고유저항 관계식으로 옳은 것은? (단, p=고유상수, L=길이, s=단면적)(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정답률: 45%)
  • 탄성 게이지의 고유저항 관계식은 이다. 이유는 탄성 게이지의 고유저항 관계식은 p = FL / As 이며, 이를 변형하면 F = pAs/L 이 된다. 이때, F는 게이지에 작용하는 힘, p는 고유상수, A는 게이지의 단면적, L은 게이지의 길이, s는 게이지의 변형량을 나타내는 스트레인이다. 따라서, F와 s는 비례하므로, 스트레인 게이지를 이용하여 힘을 측정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생체신호측정에 있어서 과전압 보호 대책이 아닌 것은?

  1. 단위 이득 차동증폭기
  2. 입력단 버퍼증폭기
  3. 전압 분배회로
  4. 직류 복귀증폭기
(정답률: 45%)
  • 생체신호측정에서 과전압 보호 대책은 생체신호가 측정되는 동안 발생할 수 있는 과전압으로부터 신호를 보호하기 위한 것입니다. 이에 따라 단위 이득 차동증폭기, 입력단 버퍼증폭기, 직류 복귀증폭기는 모두 생체신호측정에서 과전압 보호 대책으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전압 분배회로는 과전압 보호 대책이 아닙니다. 전압 분배회로는 입력 신호를 여러 개의 출력 신호로 분배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전압 분배회로는 생체신호측정에서 과전압 보호 대책으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심음계에서 가장 중요한 장치로 소리를 모으고 이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시켜 주는 것은?

  1. 증폭기
  2. 마이크로폰
  3. 필터
  4. 동조기
(정답률: 69%)
  • 심음계에서 소리를 모으기 위해서는 마이크로폰이 필요합니다. 마이크로폰은 소리를 받아들여 전기적 신호로 변환시켜 주는 장치이기 때문입니다. 증폭기는 신호를 증폭시켜주는 역할을 하고, 필터는 특정 주파수를 차단하거나 강조하는 역할을 합니다. 동조기는 소리의 진폭을 일정하게 유지시켜주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트라이액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쌍방향성 소자이다.
  2. 전압제어 소자이다.
  3. 게이트 전류에 의해서 트리거시킬 수 없다.
  4. 게이트 전압에 따라 부하 정류의 값이 조절된다.
(정답률: 57%)
  • 트라이액은 쌍방향성 소자입니다. 이는 전류가 양방향으로 흐를 수 있기 때문입니다. 즉, 양방향 스위칭이 가능하며, 양방향으로 전류를 제어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AC 전원에서 사용되는 반도체 소자로 많이 사용됩니다. 전압제어 소자이며, 게이트 전압에 따라 부하 정류의 값이 조절됩니다. 게이트 전류에 의해서는 트리거시킬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음 회로에서 2개의 저항이 직렬로 연결되어 있을 때, 전체 저항은 몇 [Ω]인가?

  1. 2[Ω]
  2. 3[Ω]
  3. 5[Ω]
  4. 8[Ω]
(정답률: 67%)
  • 직렬 연결된 저항의 전체 저항은 각 저항의 합과 같습니다. 따라서 2[Ω]과 6[Ω]을 더하면 전체 저항은 8[Ω]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혈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심장의 펌프작용으로 발생된 힘에 의하여 혈관을 통하여 전달된다.
  2. 혈관의 수축과 팽창에 의해 혈압을 조절한다.
  3. 혈관의 수축과 팽창은 혈관의 지름을 변화시킴으로써 혈관 표면적의 변화를 일으킨다.
  4. 혈관은 일정하므로 측정값은 항상 평균값으로 가정한다.
(정답률: 61%)
  • 혈관은 일정하지 않으며, 혈압은 혈관의 수축과 팽창에 따라 변화한다. 따라서 혈압 측정값은 항상 평균값으로 가정할 수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다음 불 대수를 간단히 한 결과식은?

  1. A+B
(정답률: 40%)
  • 먼저, 논리곱(AND) 연산자는 두 항목이 모두 참일 때만 참이 되고, 논리합(OR) 연산자는 두 항목 중 하나 이상이 참이면 참이 됩니다. 따라서, 주어진 불 대수 식을 간단히 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A+B)(A'+C)(B'+C)(A+B'+C)(A'+B+C)(A'+B'+C)

    이제, 논리곱 연산자를 사용하여 항목들을 그룹화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A+B)(A'+C)(A+B'+C)(A'+B+C)(A'+B'+C)(B'+C)

    그리고, 논리합 연산자를 사용하여 각 그룹을 결합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A+B)(A'+C)(A+B'+C)(A'+B+C)(A'+B'+C)(B'+C)
    = (A+B)(A'+C+A+B'+C)(A'+B+C+A'+B'+C)(B'+C)
    = (A+B)(1)(1)(B'+C)
    = (A+B)(B'+C)
    = AB' + AC + BB' + BC
    = AB' + AC + BC

    따라서, 정답은 ""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성인 맥박이 1분에 60회 이하로 비정상적으로 천천히 뛰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1. 빈맥
  2. 서맥
  3. 기외수축
  4. 동방결절
(정답률: 58%)
  • 서맥은 심장의 전기적인 신호가 원활하게 전달되지 않아 심장이 비정상적으로 천천히 뛰는 상태를 말합니다. 따라서 맥박이 1분에 60회 이하로 떨어지는 것이 특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실제 실리콘 다이오드의 통상적인 전위 장벽의 크기는?

  1. 0.1[V]
  2. 0.3[V]
  3. 0.5[V]
  4. 0.7[V]
(정답률: 40%)
  • 실리콘 다이오드의 전위 장벽은 pn 접합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pn 접합에서 전자와 양자가 결합하여 결합 에너지가 발생합니다. 이 결합 에너지는 전위 장벽으로 작용하며, 실리콘 다이오드의 경우 전위 장벽의 크기는 약 0.7[V]입니다. 이는 실리콘의 결합 에너지와 관련이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0.7[V]"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초음파 영상장치에서 초음파를 혈관 내에 쐇을 때, 혈구 세포에 반사되어 돌아오는 초음파의 주파수 변화를 측정하여 혈류의 속도를 측정하는데 이때 사용되는 물리이론은?

  1. 홀 효과
  2. 도플러 효과
  3. 압전 효과
  4. 광전 효과
(정답률: 71%)
  • 초음파가 혈액 속에서 이동할 때, 혈액의 이동 방향과 초음파의 진행 방향이 일치하면 초음파의 주파수는 일정합니다. 그러나 혈액이 초음파의 진행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이동할 때는 초음파의 주파수가 낮아지고, 혈액이 초음파의 진행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이동할 때는 초음파의 주파수가 높아집니다. 이러한 현상을 도플러 효과라고 합니다. 따라서, 혈류의 속도를 측정하기 위해 초음파 영상장치에서 사용되는 물리 이론은 도플러 효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임의 구분

41. 인간의 인식, 판단, 추론, 문제 해결 능력, 학습기능과 같은 인간의 두뇌작용을 연구 대상으로 하는 학문 분야는?

  1. 인공지능
  2. 전문가 시스템
  3. 데이터베이스
  4. 신경회로망
(정답률: 67%)
  • 인공지능은 인간의 두뇌 작용을 모방하고, 인식, 판단, 추론, 문제 해결 능력, 학습 기능 등을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구현하는 학문 분야입니다. 따라서 인간의 두뇌 작용을 연구 대상으로 하는 학문 분야인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반가산기의 출력 합 S와 캐리 C에 대한 논리식은?

  1. S = XY, C = X + Y
  2. S = X ⊕ Y, C=XY
(정답률: 62%)
  • 반가산기는 두 개의 입력 X와 Y를 받아서 합 S와 캐리 C를 출력하는 논리 회로입니다.

    S는 X와 Y를 XOR 연산한 결과와 같습니다. 이는 두 입력이 같으면 0, 다르면 1이 되기 때문입니다.

    C는 X와 Y를 AND 연산한 결과와 같습니다. 이는 두 입력이 모두 1일 때만 1이 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S = X ⊕ Y, C=XY"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신부전 환자에게 혈액투석을 처방함으로써 기대할 수 있는 효과가 아닌 것은?

  1. 과읭의 수분제거
  2. 노폐물 제거
  3. 신장세포 재생
  4. 전해질 균형 유지
(정답률: 45%)
  • 혈액투석은 과응의 수분제거, 노폐물 제거, 전해질 균형 유지와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지만, 신장세포 재생은 기대할 수 없습니다. 이는 혈액투석이 신장의 기능을 대신하는 것이 아니라, 일시적으로 신장의 역할을 대신하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혈액투석을 통해 신장세포가 재생되는 것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입원환자가 400명인 경우, 당직의료인의 수는?

  1. 의사∙치과의사 또는 한의사 경우에는 1명, 간호사의 경우에는 2명
  2. 의사∙치과의사 또는 한의사 경우에는 2명, 간호사의 경우에는 4명
  3. 의사∙치과의사 또는 한의사 경우에는 3명, 간호사의 경우에는 6명
  4. 의사∙치과의사 또는 한의사 경우에는 4명, 간호사의 경우에는 8명
(정답률: 68%)
  • 입원환자 수가 많을수록 당직 의료진의 수도 많아져야 합니다. 따라서, 보기 중에서 입원환자 수가 400명일 때 가장 적절한 당직 의료진의 수는 "의사∙치과의사 또는 한의사 경우에는 2명, 간호사의 경우에는 4명" 입니다. 이는 의사와 치과의사, 한의사는 진료에 대한 전문성이 필요하므로 최소 2명은 필요하며, 간호사는 환자의 케어와 감시를 위해 최소 4명은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다음 업무를 수행하는 의료기사를 무엇이라고 하는가?

  1. 작업치료사
  2. 물리치료사
  3. 임상병리사
  4. 치과기공사
(정답률: 49%)
  • 위 그림은 작업치료사가 수행하는 업무 중 하나인 손목 운동 치료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작업치료사는 환자의 일상생활에서 필요한 기능을 회복시키기 위해 일상생활에서 필요한 작업을 통해 치료를 진행합니다. 따라서 위 그림에서 보이는 손목 운동 치료를 수행하는 사람은 작업치료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정상적인 전류 사용 시에 장착부 간에 환자를 사이에 두고 흐르는 생리적인 효과를 의도하지 않은 전류로서, 증폭기의 바이어스 전류, 임피던스 프레티스모그파리에 사용하는 전류는?

  1. 환자 측정전류
  2. 누설전류
  3. 외장 누설전류
  4. 접지 누설전류
(정답률: 49%)
  • 환자 측정전류는 환자를 통해 측정되는 전류로서, 의료기기에서 발생하는 전류가 환자를 통해 흐르는 것을 의도한 것입니다. 따라서 생리적인 효과를 의도한 것이며, 안전한 전류입니다. 반면에 바이어스 전류, 임피던스 프레티스모그파리에 사용하는 전류는 의도하지 않은 전류로서, 환자를 통해 흐르는 것을 의도하지 않았기 때문에 안전하지 않은 전류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환자 측정전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인체 내의 생체신호를 측정 진단하는 장비로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심전계
  2. 근전계
  3. 혈압계
  4. 레이저 치료기
(정답률: 71%)
  • 레이저 치료기는 인체 내부의 생체신호를 측정하는 것이 아니라, 외부에서 레이저를 이용하여 치료하는 장비이기 때문에 가장 거리가 먼 것입니다. 심전계는 심장의 신호를 측정하고, 근전계는 근육의 신호를 측정하며, 혈압계는 혈압을 측정하는데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다음 중 양전자 방출 단층촬영장치(PET)의 기전으로 옳은 것은?

  1. 패러데이(faraday)법칙
  2. 소멸(Annihilation)현상
  3. 비오-사바르(biotSavar) 법칙
  4. 슈테판-볼츠만(Sterhan-Boltzman)법칙
(정답률: 48%)
  • PET의 기전은 소멸(Annihilation)현상입니다. PET에서는 방사성 동위원소가 주입된 후 해당 동위원소가 방출하는 양전자와 음전자가 만나면 상보적으로 소멸하면서 감마선을 방출합니다. 이 감마선을 측정하여 이미지를 생성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의료법상 의료인이 아닌 것은?

  1. 한의사
  2. 치과의사
  3. 조산사
  4. 간호조무사
(정답률: 64%)
  • 간호조무사는 의료법상 의료인이 아닙니다. 의료법에서 의료인은 의사, 치과의사, 한의사, 약사, 간호사, 조산사, 의무기록사, 방사선사, 임상병리사, 치과위생사, 치기공사 등으로 규정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간호조무사는 의료법상 의료인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전기적 쇼크를 방지하는 방법으로 옳은 것은?

  1. 전원 코드선의 접지선을 제거한다.
  2. 고전압 전원을 사용한다.
  3. 전류 제한기를 사용한다.
  4. 이중 절연방식 대신 단일 절연방식을 사용한다.
(정답률: 56%)
  • 전류 제한기를 사용하는 이유는 전기적 쇼크를 방지하기 위해 전기적인 안전장치로서 전기적인 부하가 과도하게 발생할 경우 전류를 제한하여 안전한 전기적 환경을 유지하기 위함입니다. 따라서 전류 제한기를 사용함으로써 전기적 쇼크를 방지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아네로이드 혈압계의 구성 요소가 아닌 것은?

  1. 압박대
  2. 수은주
  3. 고무구
  4. 압력조절밸브
(정답률: 63%)
  • 수은주는 아네로이드 혈압계에서 사용되지 않습니다. 이유는 수은주는 유해물질이며, 사용 중에 파손될 경우 유해한 수은이 노출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대신에, 현대적인 혈압계는 수은 대신에 안전하고 정확한 다른 방식의 압력 측정 장치를 사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치료용 기기만으로 바르게 짝지어진 것은?

  1. 전기수술기, 심전계
  2. 인공호흡기, 뇌파계
  3. 전기수술기, 인공호흡기
  4. 심실세동 제거기, 환자감시장치
(정답률: 67%)
  • 전기수술기와 인공호흡기는 모두 환자의 생명을 구하는 데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치료용 기기이기 때문에 바르게 짝지어진 것입니다. 전기수술기는 수술 중 출혈을 막고 조직을 절개하거나 절단하는 등의 역할을 하며, 인공호흡기는 호흡이 어려운 환자들에게 산소를 공급하여 생명을 유지하는 데에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반사된 초음파의 세기를 측정하여 시간과 진폭의 관계를 나타내는 초음파 진단법으로 옳은 것은?

  1. A - 모드
  2. B - 모드
  3. M - 모드
  4. 도플러 - 모드
(정답률: 28%)
  • A-모드는 초음파를 발생시켜 물체 내부를 향해 보내고, 반사된 초음파의 세기를 측정하여 그래프로 표현하는 방식입니다. 이 그래프는 시간을 가로축으로, 초음파의 진행 거리를 세로축으로 나타내며, 물체 내부의 밀도 차이에 따라 그래프의 모양이 달라집니다. 따라서 A-모드는 물체 내부의 구조를 파악하는 데에 유용하게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피사체에 서로 다른 각도에서 X선을 조사한 후 각 조직의 투영 데이터를 검출기로 수집하고 컴퓨터를 이용하여 연산처리함으로써 영상을 재구성하는 촬영장치로서 단순한 X선 영상만으로는 불가능했던 인체의 단층상을 촬영함으로써 영상 진단의 질을 높이는 데 기여한 촬영장치는?

  1. MRI(magnetic Resonance Image)
  2. PACS(영상저장 전송시스템)
  3. CT(Computed Tomography)
  4. X선 촬영장치
(정답률: 37%)
  • CT는 X선을 이용하여 단층상 영상을 재구성하는 촬영장치입니다. 이를 통해 인체의 내부 구조를 더욱 세밀하게 촬영할 수 있어 영상 진단의 질을 높일 수 있습니다. MRI는 자기 공명을 이용하여 촬영하는 방식이며, PACS는 영상 저장 및 전송 시스템입니다. X선 촬영장치는 단순한 X선 영상만을 촬영하는 장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다음 중 인공관절의 일반적인 문제점으로 대두되고 있는 것이라고 볼 수 없는 것은?

  1. 골 해리현상
  2. 골 성장현상
  3. 수술 후 간혹 발생할 수 있는 탈구
  4. 심부 상처부위의 감염증으로 인한 기능상실
(정답률: 73%)
  • 정답: 골 성장현상

    설명: 인공관절은 인체 내부에 삽입되는 의료기기로, 수술 후 간혹 발생할 수 있는 탈구나 심부 상처부위의 감염증으로 인한 기능상실 등의 문제점이 일반적으로 대두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골 성장현상은 인공관절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는 문제로, 정답이 될 수 없습니다. 골 성장현상은 성장기 아동에서 골이 비정상적으로 성장하여 발생하는 문제로, 인공관절 수술과는 무관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PACS(Picture Archiving and Communication System)는 의학용 영상정보의 저장판독 및 검색 기능 등의 수행을 통합적으로 처리하는 시스템을 말한다. PACS의 설명과 거리가 먼 것은?

  1. DICOM 규격에 따라 이미지 데이터를 저장 관리한다.
  2. 별도의 인터페이스장치 없이 직접 PACS, Mini PACS 서버에 의료영상을 전송 및 저장 할 수 있다.
  3. PACS의 종류에는 Archiving PACS, Mini PACS, Full PACS 등이 있다.
  4. 의료 서비스 제공 기관에서 이뤄지는 다양한 업무 관련 메시지를 정의하고 있다.
(정답률: 48%)
  • DICOM 규격에 따라 이미지 데이터를 저장 관리하는 것은 PACS의 핵심 기능 중 하나이며, PACS의 종류에는 Archiving PACS, Mini PACS, Full PACS 등이 있다는 것도 PACS의 설명과 밀접한 내용이다. 하지만 "의료 서비스 제공 기관에서 이뤄지는 다양한 업무 관련 메시지를 정의하고 있다."는 PACS와는 거리가 먼 내용이다. 이는 HL7(Hospital Level 7)이라는 표준 메시지 규격과 관련된 내용으로, PACS와는 별개의 시스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페이스메이커와 제세동기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제세동기보다 페이스메이커가 안정성이 더 높다.
  2. 이식형 제세동기와 페이스메이커는 모두 부정맥 치료기기이다.
  3. 페이스메이커는 부정맥 중에서도 서맥일 경우 많이 사용한다.
  4. 가하는 전기적 에너지는 페이스메이커보다 제세동기가 훨씬 작다.
(정답률: 40%)
  • "가하는 전기적 에너지는 페이스메이커보다 제세동기가 훨씬 작다."가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이는 오히려 반대입니다. 제세동기는 더 강력한 전기적 에너지를 가해 부정맥을 치료하는 반면, 페이스메이커는 매우 작은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켜서 심장의 정상적인 신호를 유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제세동기가 페이스메이커보다 더 강력한 전기적 에너지를 가한다는 것이 옳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컴퓨터의 중앙처리장치(CPU)의 개념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레지스터(Register)
  2. ALU(Arithmetic Logic Unit)
  3. CU(Control Unit)
  4. 프린터(Printer)
(정답률: 78%)
  • 프린터는 컴퓨터의 중앙처리장치(CPU)의 개념에 속하지 않습니다. CPU는 컴퓨터의 핵심적인 부품으로, 데이터를 처리하고 명령을 수행하는 역할을 합니다. 반면에 프린터는 출력장치로, CPU가 처리한 데이터를 출력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CPU와는 별개의 개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다음 중 기계어의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2진수 1과 0으로 구성된다.
  2. 컴퓨터가 직접 이해할 수 있어 처리속도가 가장 빠르다.
  3. 일반적으로 프로그램 작성 및 수정이 아주쉽다.
  4. 기계 종속적(machine-dependent) 언어이다.
(정답률: 54%)
  • 일반적으로 프로그램 작성 및 수정이 아주 쉽다는 설명이 옳지 않습니다. 기계어는 2진수 1과 0으로 구성되어 컴퓨터가 직접 이해할 수 있어 처리속도가 가장 빠르지만, 기계 종속적 언어이기 때문에 프로그램 작성 및 수정이 어렵습니다. 기계어는 컴퓨터의 하드웨어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기 때문에, 다른 컴퓨터에서는 동작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프로그램 작성 및 수정이 어렵다는 것이 옳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다음에서 설명하는 의료정보의 종류는?

  1. EMR
  2. EHR
  3. POC
  4. OCS
(정답률: 38%)
  • 이미지에서 보이는 것은 환자의 진료기록이며, EMR은 전자의료기록을 의미합니다. 다른 보기들은 POC는 point of care(진료 현장), OCS는 order communication system(의무기록 전달 시스템), EHR은 전자건강기록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