응용지질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4-08-08)

응용지질기사
(2004-08-08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암석학 및 광물학

1. 다음 중 황화광물에 속하는 것은?

  1. 빙정석
  2. 공작석
  3. 방연석
  4. 형석
(정답률: 75%)
  • 황화광물은 황과 금속 원소가 결합하여 이루어진 광물을 말한다. 이 중에서 "방연석"은 황과 구리(Cu)가 결합하여 이루어진 황화광물이다. 따라서 "방연석"이 황화광물에 속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비소(As)를 함유한 광물을 개관(open tube)에서 가열했을 때의 특징은?

  1. 마늘 냄새가 나고 백색승화물이 생긴다.
  2. 성냥을 그을 때의 냄새가 나고 황색승화물이 생긴다.
  3. 무색 무취의 반응이 일어난다.
  4. 냄새는 없고 백색승화물이 생긴다.
(정답률: 86%)
  • 비소는 개관에서 가열될 때 산화되어 산화비소(As2O3)를 생성한다. 이 산화비소는 마늘 냄새를 발산하며 백색승화물을 생성한다. 따라서 "마늘 냄새가 나고 백색승화물이 생긴다."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다음 중 분급이 가장 불량한 퇴적암은?

  1. 석회암
  2. 이암
  3. 풍성사암
  4. 빙성암
(정답률: 90%)
  • 빙성암은 고온 고압에서 형성되는 극히 불안정한 암석으로, 분화작용이나 지진 등의 영향으로 쉽게 파괴되어 분급이 가장 불량한 퇴적암 중 하나입니다. 반면, 석회암은 칼슘 탄산염으로 이루어져 있어 비교적 단단하며, 이암과 풍성사암도 빙성암보다는 분급이 더 우수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염기성암에서 산성암으로 변함에 따른 설명 중 틀린 것은?

  1. Na2O + K2O의 증가
  2. CaO + FeO의 감소
  3. 유색광물의 함량감소
  4. SiO2의 감소
(정답률: 55%)
  • 정답은 "SiO2의 감소"이다. 염기성암에서 산성암으로 변화할 때는 SiO2의 함량이 증가해야 하지만, 보기에서는 SiO2의 감소가 설명되어 있기 때문에 틀린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다음 중 형광성을 알 수 있는 기기는?

  1. 가이거 카운터(geiger counter)
  2. 미네랄라이트(mineralight)
  3. 클리노 컴퍼스(clinocompass)
  4. 알티미터(altimeter)
(정답률: 80%)
  • 미네랄라이트는 자외선을 발생시켜 형광체에 반응하여 물질의 형광성을 확인할 수 있는 기기입니다. 따라서 미네랄라이트를 사용하면 물질의 형광성을 알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광물의 초전기(焦電氣)현상은 다음 중 어떤 힘을 광물에 가했을 때 일어나는가?

  1. 전기
  2. 충격
  3. 압력
(정답률: 65%)
  • 광물의 초전기 현상은 열을 가했을 때 일어납니다. 이는 광물 내부의 결정 구조가 변화하면서 전하가 분리되는 현상으로, 이를 이용해 열원을 감지하는 열센서 등에 활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석영결정이 공명판(진동판)으로 이용되는 것은 다음 어느 성질 때문인가?

  1. 높은 경도(硬度)
  2. 패각상 쪼개짐
  3. 자기적 성질
  4. 압전기 성질
(정답률: 70%)
  • 석영은 압전기 성질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공명판으로 이용됩니다. 압전기 성질이란, 일정한 압력이 가해지면 전기적인 에너지가 발생하거나, 반대로 전기적인 에너지가 가해지면 일정한 압력이 발생하는 성질을 말합니다. 이러한 성질 때문에 석영 결정은 공명판으로 이용될 때, 전기적인 에너지를 받아 진동을 일으키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하천과 호수가 많이 발달한 지역에 주로 생성되는 퇴적암이 아닌 것은?

  1. 사암
  2. 역암
  3. 이암
  4. 표석점토암
(정답률: 86%)
  • 표석점토암은 하천과 호수가 발달하지 않은 지역에서 생성되는 암석으로, 주로 해안 절벽이나 해저에서 발견됩니다. 따라서 주어진 보기 중 하천과 호수가 많이 발달한 지역에서 생성되는 퇴적암인 사암, 역암, 이암은 모두 가능하지만, 표석점토암은 그렇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다음 중 그레이와케(graywacke)를 설명한 내용으로 틀린 것은?

  1. 광물 성분이 다양하며 그 근원도 복합적이다.
  2. 색깔은 보통 회색 내지 녹회색이다.
  3. 원마도가 낮아 뾰족한 입자들과 점토질 물질로 구성된다.
  4. 통상 육상퇴적층으로 산화 환경에서 생성되었다.
(정답률: 50%)
  • "통상 육상퇴적층으로 산화 환경에서 생성되었다."가 틀린 것이다. 그레이와케는 통상 해저 퇴적층에서 생성되며, 산화 환경이 아닌 환경에서 형성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소금은 면심 공간격자를 가지고 있다. 소금 결정의 단위포함량(單位胞含量 : unit cell content)은?

  1. 13
  2. 8
  3. 6
  4. 4
(정답률: 알수없음)
  • 소금 결정의 공간격자는 간단한 정육면체 형태를 가지고 있으며, 각 꼭짓점에는 나트륨 이온(Na+) 또는 염소 이온(Cl-)이 위치하고 있다. 이러한 구조에서 하나의 단위셀(unit cell)은 1개의 나트륨 이온과 1개의 염소 이온을 포함하고 있으며, 따라서 소금 결정의 단위포함량은 2이다.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단위포함량을 구하는 것이므로, 하나의 단위셀에 포함된 이온의 수를 합산하여 2를 2로 나눈 값인 1을 제외하고 답을 구해야 한다. 따라서 정답은 4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다음에서 가장 고압형의 변성상(metamorphic facies)은?

  1. 불석상(zeolite facies)
  2. 녹색편암상(greenschist facies)
  3. 각섬석상(amphibolite facies)
  4. 에클로자이트상(eclogite facies)
(정답률: 75%)
  • 에클로자이트상은 가장 고압형의 변성상이다. 이는 지하 깊이가 깊어지면 압력이 증가하고, 이에 따라 암석이 변성되는 과정에서 발생한다. 에클로자이트상은 대부분의 암석이 깊은 지하에서 변성되는 과정에서 형성되며, 고압과 고온의 조건에서 형성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다음 중 격자결함(결손격자)고용체로 된 광물은?

  1. 황철석
  2. 섬아연석
  3. 방연석
  4. 자류철석
(정답률: 알수없음)
  • 격자결함(결손격자)은 결정 구조에서 일부 원자가 빠져나가거나 추가되어 발생하는 결함을 말합니다. 이 중 자류철석은 철과 산화물이 결합하여 이루어진 광물로, 격자결함이 많이 발생합니다. 이는 철과 산화물이 결합할 때 산화물의 크기가 크기 때문에 격자 구조에 적합하지 않아 결함이 발생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자류철석은 격자결함이 많은 광물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다음 중 광물내의 원자배열 상태와 관계가 먼 것은?

  1. 쪼개짐(Cleavage)
  2. 굳기(Hardness)
  3. 결정형(Crystal form)
  4. 질량(Mass)
(정답률: 86%)
  • 광물의 원자배열 상태와는 질량과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습니다. 쪼개짐, 굳기, 결정형은 광물의 물리적 특성과 관련이 있지만, 질량은 광물의 화학적 특성과 관련이 있습니다. 따라서, 질량이 광물내의 원자배열 상태와 관계가 먼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다음 광물 중 비중이 가장 큰 것은?

  1. 능철석
  2. 금홍석
  3. 진사
  4. 적철석
(정답률: 34%)
  • 비중이란 물체의 단위 부피당 무게를 말하는데, 진사는 비중이 가장 큰 광물 중 하나입니다. 이는 진사가 주로 철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입니다. 철은 비교적 높은 밀도를 가지고 있어, 같은 부피의 다른 광물보다 무게가 더 많이 나갑니다. 따라서 진사는 비중이 가장 큰 광물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화성암을 구성하고 있는 조암광물의 크기(입도)는 주로 무엇에 의하여 결정되는가?

  1. 마그마의 밀도
  2. 마그마의 온도
  3. 마그마의 냉각속도
  4. 마그마의 화학성분
(정답률: 91%)
  • 화성암을 구성하는 조암광물의 크기는 마그마가 냉각되는 속도에 의해 결정됩니다. 빠르게 냉각되면 결정화가 불완전하고 작은 입도의 광물이 형성되고, 느리게 냉각되면 결정화가 완전하고 큰 입도의 광물이 형성됩니다. 따라서 마그마의 냉각속도가 조암광물의 크기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다음 중 동력변성작용시 형성되는 변성암은?

  1. 압쇄암
  2. 유문암
  3. 석회암
  4. 호온펠스
(정답률: 65%)
  • 동력변성작용은 압력과 온도의 영향으로 암석이 변성되는 과정을 말한다. 이 중에서 압력이 크게 작용하는 경우에는 압쇄암이 형성된다. 압쇄암은 지하에서 매우 높은 압력과 온도로 인해 형성되며, 보통 대리석이나 석회암 등의 친수성 암석이 압축되어 형성된다. 따라서 정답은 "압쇄암"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화성암의 분류 기준이 되기에 가장 부적절한 것은?

  1. 암석의 산출상태
  2. 암석의 구성광물
  3. SiO2의 함량
  4. 암석의 노옴(norm) 값
(정답률: 89%)
  • 화성암의 분류 기준은 암석의 산출상태, 구성광물, SiO2의 함량 등이 있지만, 암석의 노옴(norm) 값은 화성암의 분류 기준이 되기에 가장 부적절한 것이다. 이는 화성암의 분류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기 때문이다. 암석의 노옴(norm) 값은 암석의 화학 조성을 나타내는 지표 중 하나이며, 화성암의 분류에는 다른 지표들이 더 중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마그마로부터 장석류가 정출하는 일반적인 순서를 빠른 순위로 배열했을 경우 맞는 것은?

  1. Ca가 많은 사장석 - Na가 많은 사장석 - K장석
  2. Na가 많은 사장석 - Ca가 많은 사장석 - K장석
  3. K장석 - Ca가 많은 사장석 - Na가 많은 사장석
  4. K장석 - Na가 많은 사장석 - Ca가 많은 사장석
(정답률: 64%)
  • "Ca가 많은 사장석 - Na가 많은 사장석 - K장석" 순서가 맞는다. 이는 마그마가 냉각되면서 결정화되는 과정에서 Ca, Na, K 원소들이 각각 결정 구조에 적합한 크기와 전하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Ca는 크기가 크고 2+ 전하를 가지므로 큰 결정 구조에 적합하며, Na는 작은 크기와 1+ 전하를 가지므로 작은 결정 구조에 적합하다. K는 크기가 크지만 1+ 전하를 가지므로 Ca보다는 작은 결정 구조에 적합하다. 따라서 Ca가 많은 사장석이 먼저 정출되고, Na가 많은 사장석이 그 다음에 정출되며, 마지막으로 K장석이 정출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다음 중 고온· 고압의 광역변성작용을 받았음을 지시하는 변성광물은?

  1. 녹니석
  2. 규선석
  3. 십자석
  4. 석류석
(정답률: 알수없음)
  • 규선석은 고온·고압의 광역변성작용을 받았을 때 생성되는 변성광물이다. 다른 보기들은 다른 환경에서 생성되거나 변성되는 광물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어떤 광물의 분석결과(중량%) Na 32.8%, Al 12.8%, F 54.4% 로 나왔다. 이 광물의 화학식은 어떤 것인가? (단, 각 원소의 원자량은 Na= 23.0, Al= 27.0, F= 19.0)

  1. Na3AlF6
  2. NaAlF6
  3. Na2Al2F3
  4. Na3Al2F3
(정답률: 77%)
  • 먼저, 이 광물에서 나오는 원소들의 비율을 이용하여 화학식을 유추할 수 있다. Na, Al, F의 비율은 각각 32.8%, 12.8%, 54.4% 이므로, 이 비율을 각 원소의 몰 비율로 바꾸면 대략적으로 Na : Al : F = 3 : 1 : 6 정도가 된다.

    이 비율을 보면, Na와 Al의 비율이 3:1인 것으로 보아, 이 광물에는 Na와 Al이 결합한 화합물이 존재할 가능성이 높다. 또한, F의 비율이 매우 높으므로, 이 화합물에는 F도 포함되어 있을 것이다.

    이러한 가정을 바탕으로, 보기 중에서 Na와 Al이 결합하고 F도 포함된 화합물을 찾아보면, "Na3AlF6"이 해당된다. 이 화합물의 경우, Na와 Al의 비율이 3:1이며, F도 6개가 결합하므로, 위에서 유추한 비율과 일치한다. 따라서, 이 광물의 화학식은 "Na3AlF6"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구조지질학

21. 돔(Dome)의 정의로 맞는 것은 어느 것인가?

  1. 중심에서 사방으로 경동하는 향사(Doubly plunging syncline)
  2. 중심에서 사방으로 경동하는 배사(Doubly plunging anticline)
  3. 돌출된 지형에서 수평층의 분포를 나타내는 평면도
  4. 움푹 파여진 지형에서 수평층의 분포를 나타내는 평면도
(정답률: 82%)
  • 정답은 "중심에서 사방으로 경동하는 배사(Doubly plunging anticline)"이다. 돔은 지반층이 중심에서 사방으로 경사를 이루는 지형 형태를 말한다. 이 중심부는 높이가 높고 주변으로 갈수록 낮아지는 형태를 띠며, 배사는 지반층이 중심에서 사방으로 내려가는 형태를 말한다. 따라서, 돔의 정의로 맞는 것은 중심에서 사방으로 경동하는 배사(Doubly plunging anticline)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해구가 생성되는 판의 경계부는?

  1. 발산경계
  2. 수렴경계
  3. 변환단층경계
  4. 충돌경계
(정답률: 77%)
  • 해구는 두 개 이상의 지각이 만나는 지점에서 생성되는 지형적 특성입니다. 이러한 지점에서는 지각이 서로 충돌하거나 분리되는 등의 지질적 현상이 발생하며, 이러한 현상이 일어나는 지점을 해구 경계부라고 합니다. 이 중에서 해구가 생성될 때 지각이 서로 수렴하는 지점을 수렴경계라고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수렴경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부정합면 아래에 층리가 없는 심성암, 변성암 등이 있으면 이런 부정합을 무엇이라 부르는가?

  1. 사교부정합(Clinounconformity)
  2. 준정합(Paraconformity)
  3. 난정합(Nonconformity)
  4. 비정합(Disconformity)
(정답률: 67%)
  • 난정합은 부정합면 아래에 층리가 없는 심성암, 변성암 등이 있을 때 사용하는 용어이다. 다른 보기들은 부정합면 위나 아래에 층리가 있는 경우에 사용하는 용어들이다. 따라서 정답은 "난정합(Nonconformity)"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수평 습곡축을 가지는 두 습곡에 의해 돔과 분지형태(dome and basin pattern)의 중첩습곡구조가 발생할 수 있는 경우는?

  1. 중첩된 두 습곡의 습곡축이 평행하고, 두 습곡축면이 모두 수직이다.
  2. 중첩된 두 습곡의 습곡축이 직각을 이루며 습곡축면이 모두 수직이다.
  3. 중첩된 두 습곡의 습곡축이 평행하고, 선행습곡 축면은 수평 또한 습곡축면은 수직이다.
  4. 중첩된 두습곡의 습곡축이 직각을 이루며 선행 습곡축면은 수평 또한 습곡축면은 수직이다.
(정답률: 93%)
  • 중첩된 두 습곡의 습곡축이 직각을 이루며 습곡축면이 모두 수직이기 때문에, 두 습곡의 운동이 서로 수직으로 작용하여 돔과 분지형태의 중첩습곡구조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는 한 습곡이 다른 습곡의 운동을 방해하지 않고, 서로 다른 방향으로 운동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다음 중 석회암의 풍화와 침식에 의해 발달하는 지형의 이름은?

  1. 사행천
  2. 사주
  3. 카르스트
  4. U자곡
(정답률: 92%)
  • 정답: 카르스트

    설명: 석회암은 용암과 달리 용암이 녹아내리는 것과 같은 현상이 없기 때문에 풍화와 침식에 매우 취약합니다. 이러한 석회암 지형에서는 지하수가 지면 아래로 스며들어 석회암을 용해시키고, 이에 따라 지하 동굴과 지하 호수가 형성됩니다. 이러한 지형을 카르스트 지형이라고 합니다. 카르스트 지형은 석회암 지형의 대표적인 지형으로, 세계적으로 유명한 관광지인 유럽의 카르스트 지형과 우리나라의 경주 카르스트 지형 등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암주(stock)와 같은 양식의 관입체는?

  1. 저반(batholith)
  2. 실(sill)
  3. 암맥(dyke)
  4. 광맥(vein)
(정답률: 65%)
  • 암주는 큰 규모의 화성암체로, 지하에서 녹아나서 냉각하면서 형성됩니다. 이러한 암주는 대부분 지하에서 형성되어 있으며, 지표면 아래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암주는 지하에서 형성되어 지표면 아래에 위치하므로, "저반(batholith)"이라는 관입체와 같은 양식을 가지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절리를 기하학적으로 분류할 때 절리의 주향과 층리의 주향이 평행한 절리는 다음 중 어느 것인가?

  1. oblique joint(diagonal joint)
  2. dip joint
  3. columnar joint
  4. strike joint
(정답률: 47%)
  • 정답은 "strike joint"이다.

    이유는 다음과 같다.

    절리의 주향은 바위층이 굴곡되거나 굽히면서 형성된 구조물의 방향을 나타내며, 층리의 주향은 바위층의 적층면과 수직인 방향을 나타낸다.

    따라서, 층리의 주향과 절리의 주향이 평행한 경우, 층의 방향과 절의 방향이 일치하므로, 이를 "strike joint"라고 부른다.

    "oblique joint(diagonal joint)"는 층리와 절리의 주향이 서로 대각선 방향으로 교차하는 경우를 말하며, "dip joint"는 층리와 절리의 주향이 수직이 아닌 기울어진 방향으로 교차하는 경우를 말한다. "columnar joint"는 화산암 등에서 발생하는 원기둥 모양의 절리를 말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다음 그림의 ∠α 는 어떤 각인가?

  1. 복각축경사(plunge)각
  2. 축경사(pitch)각
  3. 경사(dip)각
  4. 경향(trend)각
(정답률: 54%)
  • ∠α는 "축경사(pitch)각"이다. 이는 지면 또는 바탕면과 평행한 평면에서 수직선이 이루는 각도를 말한다. 즉, 그림에서는 수직선과 지면이 이루는 각도를 뜻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그림은 지층의 노두를 지형도 상에 나타낸 것이다. 이 지층은?

  1. 동남방향으로 경사하는 지층이다.
  2. 수평지층이다.
  3. 동북방향으로 경사하는 지층이다.
  4. 수직지층이다.
(정답률: 59%)
  • 그림에서 보이는 지층의 노두가 수평으로 나타나 있기 때문에 이 지층은 "수평지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다음 절리(joint) 중 지표나 지표 근처의 천부에서 주로 생성되는 절리는?

  1. 전단절리(shear joint)
  2. 층상절리(sheeting joint)
  3. 공액절리(conjugate joint)
  4. 직교절리(orthogonal joint)
(정답률: 알수없음)
  • 층상절리는 지층의 압축력으로 인해 수직 방향으로 발생하는 절리로, 지표나 지표 근처에서 주로 생성됩니다. 이는 지층의 수평 압축력으로 인해 수직으로 분리되는 현상으로, 산악 지형에서 많이 발생합니다. 따라서 층상절리는 지표나 지표 근처에서 주로 생성되는 절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압쇄암(mylonite)과 파쇄암(cataclasite)에 대한 설명 중에서 옳지 않은 것은?

  1. 단층운동시에 압쇄암은 상대적으로 심부에, 파쇄암은 천부에 위치한다.
  2. 암석의 물성이 압쇄암은 ductile한 환경에, 파쇄암은 brittle한 환경에 있었다.
  3. 압쇄암은 접촉변성작용으로 만들어진 접촉변성암이다.
  4. 일반적으로 지하 5km에서는 압쇄암보다는 파쇄암이 형성될 가능성이 크다.
(정답률: 64%)
  • 정답은 "압쇄암은 접촉변성작용으로 만들어진 접촉변성암이다." 이다. 압쇄암은 파쇄암과 마찬가지로 접촉변성암의 일종이며, 압력과 온도의 영향을 받아 형성된다. 따라서 압쇄암은 접촉변성작용으로 만들어진다는 설명은 옳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한번의 습곡작용만 있었던 것이 확실한 지역의 어느 조사 지점에서 층리 S0의 주향이 N 30° W이고, 40° NE 경사를 갖고 있으며 cleavage면 S1 이 N 30° W 에 20° NE일 경우 다음 설명 중 옳은 것은?

  1. 조사지점 동측에 향사축이 있는 역전된 익부
  2. 조사지점 서측에 향사축이 있는 역전된 익부
  3. 조사지점 서측에 배사축이 있는 정상적 익부
  4. 조사지점 동측에 향사축이 있는 정상적 익부
(정답률: 53%)
  • 정답은 "조사지점 서측에 향사축이 있는 역전된 익부"입니다. 이유는 S0의 주향과 S1의 cleavage면의 주향이 서로 일치하지 않고, S1의 주향이 S0의 주향보다 20° 회전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상황에서는 역전된 익부가 형성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또한, 조사지점 서측에 향사축이 있는 이유는 S1의 주향이 N 30° W 에서 20° NE로 회전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다음 중 동해는 어느 것에 해당되는가?

  1. 호상열도(Island arc)
  2. 전호분지(Fore-arc basin)
  3. 전호해령(Fore-arc ridge)
  4. 배호분지(Back arc basin)
(정답률: 60%)
  • 동해는 "배호분지(Back arc basin)"에 해당된다. 이는 섬권호상열도에서 활동하는 화산활동으로 인해 생긴 분지로, 호상열도와 대륙 사이에 위치하며, 전호분지와 반대편에 위치한다. 이 분지는 호상열도에서 발생하는 압력과 열로 인해 지각이 늘어나면서 생긴 것으로, 전호분지와는 반대로 지각이 침하하는 방향으로 형성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다음 중 지진과 가장 관련이 없는 것은?

  1. 연성변형(ductile deformation)
  2. 취성변형(brittle deformation)
  3. 단층작용(faulting)
  4. 탄성에너지(elastic energy)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탄성에너지(elastic energy)"입니다.

    탄성에너지는 지진 발생과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 탄성에너지는 물체가 변형되었다가 다시 원래의 모양으로 돌아가려는 성질을 말하며, 지진 발생과는 관련이 없는 물리적인 개념입니다.

    반면, 연성변형, 취성변형, 단층작용은 지진재해와 관련된 지질학적인 현상입니다. 연성변형은 암석이 늘어나거나 구부러지는 현상을 말하며, 취성변형은 암석이 파괴되는 현상을 말합니다. 단층작용은 암석이 미끄러지거나 이동하는 현상을 말합니다. 이러한 지질학적인 현상들이 모여서 지진이 발생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대양저 산맥과 변환단층에서 지진과 화산활동이 있는 곳은?

  1. 변환단층부근의 열곡
  2. 변환단층이 서로 접하는 모든 곳
  3. 대양저 산맥부분
  4. 단층으로 어긋난 대양저 산맥사이의 변환단층
(정답률: 알수없음)
  • 변환단층은 대륙판과 해양판이 만나는 지점으로, 지각층의 온도와 압력이 급격하게 변화하는 지역입니다. 이러한 환경에서 지하에서는 지진과 화산활동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대양저 산맥은 해양판이 분리되는 지점으로, 변환단층과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따라서 대양저 산맥 부근에서도 지진과 화산활동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변환단층이 서로 접하는 모든 곳이나 단층으로 어긋난 대양저 산맥사이의 변환단층은 지진과 화산활동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은 지역이 아닙니다. 따라서 "변환단층부근의 열곡"이 정답입니다. 변환단층부근의 열곡은 지각층이 굽어지고 구부러지는 지역으로, 지하에서의 지진과 화산활동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지진과 지진파에 대한 다음 설명 중 맞는 것은?

  1. 암석의 밀도가 증가하면 지진파의 속도도 증가한다.
  2. 대륙의 단층을 따라 발생한 지진은 지진해일을 일으킨다.
  3. 지진파 중 S파의 속도가 가장 느리다.
  4. 지진해일의 진행속도는 시간당 500km를 넘지 못한다.
(정답률: 86%)
  • "암석의 밀도가 증가하면 지진파의 속도도 증가한다." 이유는 암석의 밀도가 증가하면 그 밀도가 높은 암석 내부에서 지진파가 전달될 때, 암석 입자들 간의 상호작용이 더욱 강해지기 때문에 지진파의 전달 속도가 빨라지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성장 단층(growth fault)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어느 것인가?

  1. 퇴적 분지에 나타난다.
  2. 전형적인 정단층이다.
  3. 퇴적암의 퇴적과 동시에 움직인다.
  4. 전단응력(shear stress)의 작용으로 생성된다.
(정답률: 63%)
  • "전형적인 정단층이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성장 단층은 전단응력의 작용으로 생성되며, 퇴적 분지에 나타나며 퇴적암의 퇴적과 동시에 움직입니다. 하지만 전형적인 정단층은 인접한 지층 사이에서 발생하는 단층으로, 성장 단층과는 다른 개념입니다.

    전단응력은 물체 내부에서 발생하는 응력 중 하나로, 물체의 한 부분이 다른 부분과 상대적으로 이동할 때 발생합니다. 성장 단층은 지하에서 발생한 전단응력으로 인해 지반층이 끊어져서 상대적으로 이동하면서 생성됩니다. 이러한 이동은 지반층의 늘어남이나 줄어듦으로 나타나며, 이러한 성장 단층은 지하수나 석유 등이 이동하는 통로가 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다음 중 퇴적암의 초생구조(Primary Structure)가 아닌 것은?

  1. 부딘구조(Boudinage structure)
  2. 사층리(Cross bedding)
  3. 하중흔(Load cast)
  4. 건열(Desiccation crack)
(정답률: 74%)
  • 부딘구조(Boudinage structure)는 퇴적암의 형태 중 하나로, 압력이나 변형으로 인해 끊어진 조각들이 늘어져 나타나는 형태를 말합니다. 이는 초생구조(Primary Structure)가 아닌 변형구조(Tectonic Structure)에 해당합니다. 사층리(Cross bedding), 하중흔(Load cast), 건열(Desiccation crack)은 모두 퇴적암의 초생구조(Primary Structure)에 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단층과 절리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절리란 수축 또는 팽창에 의해 암석중에 생긴 틈을 말한다.
  2. 절리는 연성변형작용에 의해, 단층은 취성변형작용에 의해 형성된다.
  3. 단층과 절리 모두 응력조건과 암석의 물성에 따라 결정되는 불연속면이다.
  4. 단층은 암석내에 발달해 있는 틈이나 단열로서, 이틈의 양 벽의 변위가 최소 5mm 이상이어야 한다.
(정답률: 77%)
  • "절리는 연성변형작용에 의해, 단층은 취성변형작용에 의해 형성된다."라는 설명이 옳지 않습니다. 올바른 설명은 "절리는 수축 또는 팽창에 의해 암석중에 생긴 틈을 말하며, 단층은 암석 내부의 불균일한 구조나 조성에 의해 형성된 불연속면이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사행 하도에서 침식이 가장 많이 일어나는 곳은?

  1. 굽이의 바깥쪽
  2. 굽이의 안쪽
  3. 굽이의 안쪽과 바깥쪽
  4. 우각호 지역
(정답률: 72%)
  • 사행 하도에서 물의 흐름이 굽이치는 지점에서는 유속이 빨라지고 압력이 갑자기 변화하면서 침식이 발생합니다. 이때 굽이의 안쪽은 물의 흐름이 느려져서 침식이 적게 일어나지만, 굽이의 바깥쪽은 물의 흐름이 빨라져서 침식이 가장 많이 일어나는 곳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굽이의 바깥쪽"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탐사공학

41. 토양의 무기성분이 산성 부식산의 영향으로 심하게 분해되어 Fe, Al까지도 졸(sol) 상태로 되어 하층으로 이동하는 토양생성과정을 무슨 작용이라고 하나?

  1. Laterite화 작용
  2. Podzol화 작용
  3. Glei화 작용
  4. 석회화 작용(calcification)
(정답률: 73%)
  • 산성 부식산의 영향으로 토양의 무기성분이 분해되어 하층으로 이동하는 과정은 Podzol화 작용이다. 이 작용은 산성 환경에서 발생하며, 토양의 상부층에서 Fe, Al 등의 무기성분이 졸 상태로 이동하면서 토양의 상부층은 희색화되고 하부층은 붉은색을 띄게 된다. 이러한 과정은 토양의 산성화와 함께 일어나며, Podzol 토양의 특징적인 형태를 만들어낸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상부층의 전기비저항 ρ1, 하부층의 전기비저항 ρ2 인 수평 2층구조를 가정할 때, 다음 설명 중 옳은 것은?

  1. ρ2 > ρ1이면 ρ2 = ρ1 일 때보다 상부층의 전류밀도는 더 작아진다.
  2. ρ2 > ρ1이면 ρ2 = ρ1 일 때보다 상부층의 전류밀도는 더 커진다.
  3. ρ2 > ρ1이면 ρ2 = ρ1 일 때와 상부층의 전류밀도는 같다.
  4. ρ2 < ρ1이면 ρ2 = ρ1 일 때와 상부층의 전류밀도는 같다.
(정답률: 72%)
  • 정답은 "ρ2 > ρ1이면 ρ2 = ρ1 일 때보다 상부층의 전류밀도는 더 커진다." 이다.

    전류는 전기저항이 작은 곳에서 큰 곳으로 흐르기 때문에, 상부층의 전기저항이 작을수록 상부층에서의 전류밀도는 더 커진다. 따라서, ρ2 > ρ1이면 상부층의 전기저항이 작아지므로 상부층에서의 전류밀도는 더 커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백분율 주파수 효과(Percent frequency effect)가 사용되는 탐사는?

  1. S.P 탐사
  2. I.P 탐사
  3. 탄성파탐사
  4. 중력탐사
(정답률: 40%)
  • 백분율 주파수 효과는 지하 구조물의 물성을 파악하기 위한 탐사 기술 중 하나이다. 이 기술은 I.P 탐사에서 사용된다. I.P 탐사는 지하 구조물의 전기적 특성을 측정하여 지하 구조물의 위치와 깊이, 물성 등을 파악하는 기술이다. 백분율 주파수 효과는 I.P 탐사에서 사용되는 주파수를 변화시켜 지하 구조물의 물성을 파악하는데 도움을 주는데, 이는 지하 구조물의 물성이 주파수에 따라 변화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I.P 탐사에서 백분율 주파수 효과를 사용하여 지하 구조물의 물성을 더욱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배나 항공기를 이용하여 중력탐사를 할 때 빠른 속도 때문에 발생되는 지구 자체의 원심 가속도 변화로 인한 중력의 변화를 보정하는 것은?

  1. 계기 보정
  2. 지형 보정
  3. 부게 보정
  4. 에트뵈스 보정
(정답률: 93%)
  • 에트뵈스 보정은 항공기가 빠른 속도로 움직일 때 발생하는 지구 자체의 원심 가속도 변화로 인한 중력의 변화를 보정하는 방법입니다. 이를 위해 항공기는 일정한 고도와 속도로 비행하면서 지구 중력의 변화를 측정하고, 이를 보정하여 정확한 중력 데이터를 얻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탄성파 주시토모그래피(travel time tomography)의 설명 중 잘못된 것은?

  1. 송, 수신 시추공 사이의 속도 분포 영상을 제공한다.
  2. 수신기로는 다중 채널 측정이 가능한 하이드로폰이 주로 사용된다.
  3. 초동(first arrival)을 발췌하여 역산을 수행한다.
  4. 자료의 역산은 역투영법(back projection technique)으로 수행된다.
(정답률: 28%)
  • "자료의 역산은 역투영법(back projection technique)으로 수행된다."가 잘못된 설명이다. 탄성파 주시토모그래피에서는 역산에 역투영법이 아닌 반복 최소자승법(iterative least squares method)이 사용된다. 이는 초기 모델을 설정하고, 이를 기반으로 예측된 초동과 실제 초동의 차이를 최소화하는 방식으로 모델을 개선해가는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전기비저항 탐사에서 웨너식 전극배열을 사용하여 전극간격을 15m로 하여 조사하였을 때 전류 0.2A를 보내서 0.6V의 전위차를 얻었다면 외견전기비저항은 얼마인가? (단, 단위는 Ω-m)

  1. 188.4
  2. 282.7
  3. 327.6
  4. 628.5
(정답률: 알수없음)
  • 웨너식 전극배열을 사용하여 전극간격을 15m로 하여 조사하였으므로, 외견전기비저항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외견전기비저항 = (전위차 / 전류) × 전극간격

    = (0.6V / 0.2A) × 15m

    = 3 × 15

    = 45 Ω-m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이 "282.7" 인 이유는 오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다음은 탄성파 발생원이다. 육상탐사용 에너지원이 아닌 것은?

  1. 바이브로사이스(vibroseis)
  2. 다이나마이트(dynamite)
  3. 웨이트드롭(weight-drop)
  4. 에어건(air-gun)
(정답률: 77%)
  • 에어건은 수중탐사에서 사용되는 발생원으로, 육상탐사에서는 사용되지 않는다. 바이브로사이스는 지면에 진동을 가해 탄성파를 발생시키는 방식으로, 다이나마이트는 폭발을 일으켜 탄성파를 발생시키는 방식으로, 웨이트드롭은 무게를 떨어뜨려 탄성파를 발생시키는 방식으로 작동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다음 중 자력탐사에 가장 적당치 않는 광체는?

  1. 석탄(coal)
  2. 자철석(magnetite)
  3. 안산암(andesite)
  4. 적철석(hematite)
(정답률: 알수없음)
  • 석탄은 자력을 가지지 않는 물질이기 때문에 자력탐사에 적당치 않습니다. 자철석, 적철석은 철을 함유하고 있어 자력을 가지며, 안산암은 마그마에서 결정화되어 자력을 가지기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부게 이상과 모호면에 대한 다음의 설명 중 틀린 것은?

  1. 모호면은 지각과 맨틀의 사이에 위치한다.
  2. 고도가 높은 지역에서 부게 이상은 큰 음의 값을 가지며, 모호면은 매우 깊다.
  3. 저지대 또는 해안에서 부게 이상은 큰 양의 값을 가지며, 모호면은 매우 얕다.
  4. 모호면에서는 지각 평형을 위한 보상작용이 일어난다.
(정답률: 알수없음)
  • "고도가 높은 지역에서 부게 이상은 큰 음의 값을 가지며, 모호면은 매우 깊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저지대 또는 해안에서 부게 이상은 큰 양의 값을 가지며, 모호면은 매우 얕다는 이유는, 해안이나 저지대는 바다 수면과 가깝기 때문에 부게 이상이 큰 양의 값을 가지고, 모호면은 바다가 얕아서 지각과 맨틀 사이의 지형이 아닌 바다 바닥에서 일어나는 현상이기 때문입니다. 모호면은 지각과 맨틀 사이에 위치하지 않습니다.

    모호면에서는 지각 평형을 위한 보상작용이 일어난다는 것은 맞는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다음 원소중 산화환경에서 2차 이동도가 가장 큰 것은?

  1. Zn
  2. Pb
  3. Sn
  4. W
(정답률: 70%)
  • 정답은 "Zn"입니다. 이유는 Zn의 전자 구조가 다른 원소들보다 안정적이기 때문입니다. Zn은 4s 전자를 가지고 있으며, 이 전자는 3d 전자와 비교하여 더 안정적인 위치에 있습니다. 이로 인해 Zn은 산화환경에서 2차 이동도가 가장 큽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다음 중 물리검층에서 유정의 검층자료로부터 저류가능 지층을 판별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가 아닌 것은?

  1. 공극률
  2. 유체포화율
  3. 투자율
  4. 전기비저항
(정답률: 알수없음)
  • 투자율은 물리검층에서 유정의 검층자료로부터 저류가능 지층을 판별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가 아닙니다. 투자율은 X선, 감마선 등의 방사선이 물질을 투과할 때 감쇠되는 정도를 나타내는 값으로, 지하 구조물 탐사 등에서 사용됩니다. 하지만 저류가능 지층을 판별하기 위해서는 공극률, 유체포화율, 전기비저항 등의 정보가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중력이상으로부터 잔여중력이상을 구하는 방법이 아닌 것은?

  1. 평균법
  2. 표준곡선 이용법
  3. 2차 미분법
  4. 다항식 적합법
(정답률: 알수없음)
  • 표준곡선 이용법은 중력이상과 잔여중력이상을 구하는 방법이 아니라, 지구 중력값을 구하는 방법이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이 방법은 지구 중력값을 미리 측정한 후, 이를 이용하여 측정 대상 지점에서의 중력값을 계산하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중력이상과 잔여중력이상을 구하는 방법이 아닙니다. 반면에 평균법, 2차 미분법, 다항식 적합법은 중력이상과 잔여중력이상을 구하는 방법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탄성파가 전파할 때 파는 최단시간 경로를 따라 전파한다는 원리 또는 법칙을 무엇이라 하는가?

  1. 페르마의 원리
  2. 호이겐스의 원리
  3. 스넬의 법칙
  4. 패러데이 법칙
(정답률: 50%)
  • 탄성파가 전파할 때 파는 최단시간 경로를 따라 전파하는 원리를 "페르마의 원리"라고 한다. 이는 빛이나 소리 등의 파동이 직진하는 경로를 따라 전파하는 것과 같은 원리이다. 이 원리는 물리학자 피에르 드 페르마가 제시하였으며, 빛이나 소리 등의 파동이 최단시간 경로를 따라 전파한다는 것을 증명하였다. 이 원리는 광학, 음향학, 전자공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지구자기 북극에서 지자기의 복각(inclination)은? (단, I는 복각)

  1. ± 90°
  2. 0° < I < 90°
  3. -90° < I < 0°
(정답률: 44%)
  • 지구자기 북극에서는 지자기장의 수직 성분이 가장 강하게 나타나기 때문에 복각이 ± 90°이다. 이는 지자기장의 수평 성분이 없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현재 석유탐사에 가장 많이 활용되고 있는 탐사방법은?

  1. 탄성파 굴절에 의한 방법
  2. 탄성파 반사에 의한 방법
  3. 지구 자장에 의한 탐사방법
  4. 지구 중력에 의한 탐사방법
(정답률: 알수없음)
  • 탄성파 반사에 의한 방법은 지하 구조물의 밀도나 탄성 등의 물성이 다른 지층 경계면에서 발생하는 탄성파의 반사를 이용하여 지하 구조물을 탐사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지하 구조물의 깊이와 형태, 지층의 물성 등을 파악할 수 있어 현재 가장 많이 활용되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지진파 탐사에서 일직선상에 발파점 0를 설치하고 이 점에서 수진기 a점까지의 거리가 3000m, 수진기 b점까지의 거리가 6000m였다. 그리고 탄성파의 주시 T1 = 0.5sec, T2 = 1 sec(각각 a점 b점에서)였다면 이 지역의 지표의 암석 평균속도는?

  1. 3000 m/sec
  2. 30000 m/sec
  3. 60000 m/sec
  4. 6000 m/sec
(정답률: 알수없음)
  • 탄성파의 주기 T와 암석의 평균속도 V 사이에는 다음과 같은 관계식이 성립한다.

    V = 2d/T

    여기서 d는 발파점과 수신점 사이의 거리이다. 따라서 a점과 b점에서의 암석의 평균속도는 각각 다음과 같다.

    Va = 2 x 3000 / 0.5 = 12000 m/sec
    Vb = 2 x 6000 / 1 = 12000 m/sec

    이때, 지표의 암석 평균속도는 a점과 b점에서의 평균값인 (12000+12000)/2 = 6000 m/sec 이다. 따라서 정답은 "6000 m/sec"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시료의 정량분석 중 X선 형광분석법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1. 1차 X선에 의해 방사되는 2차 X선의 분광을 이용한다.
  2. 시료를 분말가압성형법과 용융법으로 제조하여 고체나 액체 시료 모두를 분석할 수 있다.
  3. 다원소 분석이 가능하며, 정밀도가 높다.
  4. Mg, Al, Si 등에 대한 최저측정한계와 측정오차가 적어 미량분석도 가능하다.
(정답률: 64%)
  • "1차 X선에 의해 방사되는 2차 X선의 분광을 이용한다."는 올바른 설명이다. 따라서 정답은 "없음"이다.

    "Mg, Al, Si 등에 대한 최저측정한계와 측정오차가 적어 미량분석도 가능하다."는 X선 형광분석법의 장점 중 하나이다. 이는 X선 형광분석법이 미량분석에 적합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X선 형광분석법은 시료 내 원소의 원자가 X선을 흡수하고 다시 방출될 때 방출되는 X선의 파장을 측정하여 원소의 종류와 양을 분석하는 방법이다. 이 때, Mg, Al, Si 등의 원소들은 X선을 많이 흡수하므로 최저측정한계와 측정오차가 적어 미량분석이 가능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방사능 광물의 gas탐사에 가장 적합한 원소는?

  1. Uranium
  2. Thorium
  3. Radon
  4. Potassium
(정답률: 알수없음)
  • Radon은 방사능 광물에서 가장 많이 방출되는 기체 원소이기 때문에 방사능 광물의 gas탐사에 가장 적합합니다. Uranium, Thorium, Potassium은 모두 고체나 액체 상태이기 때문에 gas탐사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탄성파 탐사에서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전자식 수진기(electromagnetic geophone)에 있어서 출력 전압은 다음 중 무엇에 비례하는가?

  1. 가속도(acceleration)
  2. 속도(velocity)
  3. 변위(displacement)
  4. 변위 포텐샬(displacement potential)
(정답률: 알수없음)
  • 전자식 수진기에서 출력 전압은 속도(velocity)에 비례합니다. 이는 탄성파가 지나갈 때 수진기 내부의 코일에 전자기장이 생성되어 코일 내부의 자석과 상호작용하면서 전압이 발생하기 때문입니다. 이 전압은 탄성파의 속도와 직접적으로 관련이 있으며, 따라서 출력 전압은 속도에 비례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주파수영역 전자탐사에 대한 설명으로서 옳은 것은 어느 것인가?

  1. 심부 탐사를 위해서는 고주파수를 사용한다.
  2. 침투심도는 주파수의 제곱근에 반비례한다.
  3. 전기비저항이 높을수록 가탐심도는 낮다.
  4. 일반적인 전자탐사는 100 kHz 이상의 주파수를 사용한다.
(정답률: 67%)
  • 정답은 "침투심도는 주파수의 제곱근에 반비례한다."이다.

    이유는 주파수가 높을수록 전자파의 파장이 짧아지기 때문에 물질 내부에서 전자파가 더욱 쉽게 산란되고 흡수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주파수가 높을수록 침투심도는 얕아지고, 주파수가 낮을수록 침투심도는 깊어진다. 이는 전자탐사에서 물질 내부를 탐사할 때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지질공학

61. 투수시험 원통의 안지름이 10㎝, 높이 15㎝인 몰드에 흙시료를 넣고 투수시험을 실시하였다. 수위차는 20㎝이었고, 10분간 투수량을 측정하였더니 540㎝3이었다. 이 때의 투수계수는 ?

  1. 1.50 × 10-2㎝/s
  2. 2.85 × 10-2㎝/s
  3. 5.87 × 10-4㎝/s
  4. 8.59 × 10-3㎝/s
(정답률: 39%)
  • 투수계수는 다음과 같은 공식으로 구할 수 있다.

    K = (V/t) × (l/A)

    여기서,
    V는 투수량 (cm^3)
    t는 시간 (s)
    l은 몰드의 높이 (cm)
    A는 몰드의 안지름 (cm)

    주어진 값에 대입하면,

    K = (540/600) × (15/((π/4)×10^2))
    = 8.59 × 10^-3 cm/s

    따라서, 정답은 "8.59 × 10^-3 cm/s"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다음은 Q시스템에 의한 분류에서 RQD가 5%, 절리군의 계수 Jn=15, 절리의 거칠기 계수 Jr=1.5, 절리의 변질 계수, Ja=1.0, 지하수에 의한 저감계수 Jw=1.0, 응력저감계수 SRF=2.0 일 때 Q 값은?

  1. 0.22
  2. 0.25
  3. 0.5
  4. 1.0
(정답률: 알수없음)
  • Q = RQD * Jn * Jr * Ja * Jw * SRF
    Q = 5 * 15 * 1.5 * 1.0 * 1.0 * 2.0
    Q = 225

    하지만, Q 시스템에서는 Q 값을 100으로 나누어서 표현한다.
    따라서, Q = 225 / 100 = 2.25

    보기에서 정답이 "0.5" 인 이유는, Q 값을 100으로 나누어서 표현한 후 소수점 첫째자리까지 반올림한 값이 0.5 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물의 모세관 현상에서 모세관 상승높이와 서로 비례하는 것은 어느 것인가?

  1. 관경
  2. 물의 밀도
  3. 표면장력
  4. 물의 온도
(정답률: 92%)
  • 물의 모세관 현상에서 모세관 상승높이와 서로 비례하는 것은 "표면장력"이다. 이는 모세관 내부와 외부의 액체-기체 경계면에서 발생하는 분자간 인력으로, 모세관 내부에서 액체 분자들이 모여들어 표면장력이 발생하게 되고, 이로 인해 모세관 상승높이가 결정된다. 따라서, 모세관 상승높이를 높이기 위해서는 표면장력을 증가시키는 방법이 필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다음은 자유면 대수층과 피압면 대수층에 대한 설명이다. 가장 적합한 것은?

  1. 자유면 대수층은 대기압보다 더 큰 압력이 대수층의 공극내에 일어난다.
  2. 자유면 대수층의 저류계수는 보통 0.00001 ~ 0.001 정도이다.
  3. 피압 대수층은 대수층의 상부와 하부에 불투수층이 있는 경우이다.
  4. 피압 대수층에 설치한 우물의 영향 반경은 자유면 대수층에 설치한 우물의 영향 반경보다 작다.
(정답률: 75%)
  • 피압 대수층은 대수층의 상부와 하부에 불투수층이 있는 경우이다. 이는 불투수층으로 인해 대수층 내부의 압력이 상하로 제한되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피압 대수층에 설치한 우물의 영향 반경은 자유면 대수층에 설치한 우물의 영향 반경보다 작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지형의 특성에 따라 충적층을 다음과 같이 구분할 때 일반적으로 충적층의 두께가 가장 두꺼운 지층은?

  1. 선상지
  2. 해안평야
  3. 범람원
  4. 곡간평야
(정답률: 59%)
  • 일반적으로 해안평야는 강이 바다로 흐르면서 많은 양의 퇴적물을 내려놓는 지역으로, 이로 인해 충적층의 두께가 가장 두꺼운 지층이 됩니다. 반면에 선상지는 강이 흐르는 도중에 형성되는 지형으로 충적층의 두께가 상대적으로 얇습니다. 범람원은 강이 범람하여 물이 넘쳐나는 지역으로, 충적층의 두께는 불규칙적입니다. 마지막으로 곡간평야는 강이 흐르면서 골짜기 형태로 형성된 지형으로, 충적층의 두께는 지형에 따라 다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유선망(flow net)의 특성 중 잘못된 것은?

  1. 인접한 2개의 유선 사이를 흐르는 침투수량은 서로 같다.
  2. 투수속도 및 수두경사는 유선망의 폭에 비례한다.
  3. 인접한 2개의 등수두선 사이의 손실수두는 서로 같다.
  4. 흙이 균질할 때 흙속의 침투수는 수두경사가 가장 급한 방향으로 흐른다.
(정답률: 75%)
  • 잘못된 것은 "투수속도 및 수두경사는 유선망의 폭에 비례한다." 입니다.

    유선망에서 투수속도는 수두경사와 비례하지 않습니다. 투수속도는 흙의 투수성과 침투수의 유속에 의해 결정됩니다. 수두경사는 침투수의 유동 경로를 결정하며, 경사가 가파를수록 침투수의 유속은 빨라집니다. 하지만 유선망의 폭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다음 중 현지암반의 변형계수를 측정할 수 있는 시험방법이 아닌 것은?

  1. 수실시험
  2. 평판재하시험
  3. 수압파쇄시험
  4. 공내재하시험
(정답률: 65%)
  • 수압파쇄시험은 암반의 내부 구조를 파괴하고 변형시키는 시험으로, 암반의 변형계수를 측정하는 것이 아니라 암반의 강도나 내구성 등을 측정하는 시험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수압파쇄시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다음 중 기계적 풍화작용은?

  1. 수화작용
  2. 용해탈수작용
  3. 쐐기작용
  4. 환원작용
(정답률: 92%)
  • 쐐기작용은 바위를 부수는 기계적인 힘으로, 바위의 표면에 있는 작은 결함이나 균열을 이용하여 바위를 부수는 작용입니다. 이는 주로 강한 바람, 물결, 빙하 등에 의해 발생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암석이나 콘크리이트의 실용시험중 경도측정과 거리가 먼 시험은 어느 것인가?

  1. 쇼어(Shore)의 반발시험
  2. 슈미트 해머(Schmidt Hammer) 타격시험
  3. 알큐디(R.Q.D) 시험
  4. 모스(Mohs)의 경도시험
(정답률: 알수없음)
  • 알큐디(R.Q.D) 시험은 암석이나 콘크리이트의 실용시험 중 거리가 먼 시험입니다. 이는 암석의 광물 조성과 구조를 파악하기 위해 암석 코어를 채취하여 그 길이 중에서 균열이 없는 부분의 비율을 측정하는 시험입니다. 따라서 암석의 내구성과 안정성을 평가하는 데에 유용하게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연약점토 지반에서 시행된 표준관입시험 결과 얻은 N값이 4 였다. 점토지반의 일축압축강도는?

  1. 0.25㎏/㎝2
  2. 0.5㎏/㎝2
  3. 1.0㎏/㎝2
  4. 2.0㎏/㎝2
(정답률: 60%)
  • 일축압축강도는 N값에 따라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σ_c = N/100 * A

    여기서 A는 표준관입시험에서 사용한 샘플의 단면적이다. 일반적으로 A는 10㎠이다.

    따라서, σ_c = 4/100 * 10 = 0.4㎏/㎠2 이다.

    하지만, 문제에서 단위를 ㎝2 대신 ㎏/㎝2으로 주었으므로, 답은 0.4㎏/㎠2을 10으로 나눈 0.04㎏/㎝2이다.

    따라서, 가장 가까운 값인 "0.5㎏/㎝2"이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다음 그림은 직접 기초의 Failure 상태를 나타낸 그림이다. 다음 중 radial shear failure zone을 나타낸 것은 어느 것인가?

  1. I zone
  2. II zone
  3. Ⅲ zone
  4. Ⅰ, Ⅱ, Ⅲ zone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Ⅱ zone"이다.

    Radial shear failure zone은 지반의 수평응력이 작용하여 지반이 파괴되는 영역으로, 그림에서는 파란색으로 표시되어 있다. 이 영역은 중심축에서 일정 거리 이내에 위치하며, 그림에서는 II zone에 해당한다.

    따라서, 정답은 "Ⅱ zone"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건조하여 점착력이 없고 내부 마찰각이 26.6° 인 무한사면의 경사가 45° 일 때 안전율(Safety Factor)은 얼마인가?

  1. 0.5
  2. 1.0
  3. 3.0
  4. 9.0
(정답률: 알수없음)
  • 안전율은 재료의 강도와 적용되는 응력에 따라 결정된다. 이 문제에서는 경사면의 각도와 내부 마찰각이 주어졌으므로, 경사면에 작용하는 중력과 마찰력을 계산하여 응력을 구할 수 있다.

    경사면에 작용하는 중력은 물체의 무게와 같으며, 이 문제에서는 주어지지 않았으므로 임의의 값으로 설정해야 한다. 예를 들어, 1 kg의 물체가 경사면에 올려놓여 있다고 가정하자. 이 경우 경사면에 작용하는 중력은 9.8 N이 된다.

    경사면에 작용하는 마찰력은 경사면의 내부 마찰각과 경사면에 작용하는 수직력의 곱으로 계산할 수 있다. 이 문제에서는 내부 마찰각이 26.6° 이므로, 마찰력은 수직력의 0.5배가 된다. 따라서 경사면에 작용하는 마찰력은 4.9 N이 된다.

    이제 경사면에 작용하는 응력을 계산할 수 있다. 응력은 경사면에 작용하는 수직력과 수평력의 합으로 계산할 수 있다. 이 경우 수직력은 중력인 9.8 N이고, 수평력은 마찰력인 4.9 N이므로, 경사면에 작용하는 응력은 14.7 N이 된다.

    안전율은 재료의 균열 발생 전 응력과 균열 발생 시 응력의 비율로 계산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안전율은 1.5 이상이어야 안전하다고 판단된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안전율이 0.5 이므로, 균열 발생이 예상된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유는 경사면에 작용하는 응력이 재료의 균열 발생 시 감당할 수 있는 응력보다 크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안전율이 0.5가 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흙의 입도시험방법에서 현탁되어있는 입자의 최대지름을 구하는 식이 바르게 된 것은? (단, η : 물의 점성계수(poise), L : 비중계의 유효깊이(㎝), Gs : 흙 입자의 비중, GT : T℃의 물의 비중, t : 침강시간 (S), rw : 물의 단위체적 중량(g/㎝3))

(정답률: 40%)
  • 현탁되어 있는 입자의 최대지름을 구하는 식은 다음과 같다.

    dmax = 18ηt/(Gs-GT)L

    이 식에서 분자인 18ηt는 침강속도를 나타내고, 분모인 (Gs-GT)L은 비중계의 유효깊이와 흙 입자의 비중 차이를 나타낸다. 이 식은 스토크스 법칙에 기반하고 있으며, 침강속도와 비중 차이가 클수록 입자의 크기가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산사태의 발생요인 중 직접적으로 작용하지 않는 것은?

  1. 지질구조
  2. 암석의 압축강도
  3. 강우
  4. 지진
(정답률: 59%)
  • 산사태는 지질구조, 강우, 지진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지만, 암석의 압축강도는 직접적으로 작용하지 않는다. 암석의 압축강도는 산사태 발생 시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따라서 암석의 압축강도는 산사태 발생 요인 중 직접적으로 작용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무게 10,200g의 용기에 흙시료를 담고 그 전체의 무게를 측정하니 16,550g이었다. 이를 로(爐)에 건조한 다음 측정하니 14,340g이었다. 흙시료의 함수비는 얼마인가?

  1. 63.38 %
  2. 53.38 %
  3. 50.20 %
  4. 45.20 %
(정답률: 70%)
  • 먼저, 용기의 무게를 구해야 한다.

    용기의 무게 = 전체 무게 - 흙시료의 무게
    = 16,550g - 10,200g
    = 6,350g

    로에 건조한 후의 전체 무게에서 용기의 무게를 빼면 흙시료의 무게를 구할 수 있다.

    흙시료의 무게 = 건조 후 전체 무게 - 용기의 무게
    = 14,340g - 6,350g
    = 7,990g

    따라서, 흙시료의 함수비는

    흙시료의 함수비 = (흙시료의 무게 ÷ 전체 무게) × 100%
    = (7,990g ÷ 16,550g) × 100%
    = 48.24%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로에 건조한 후의 무게를 사용해야 한다. 로에 건조한 후의 무게는 용기의 무게를 포함하고 있지 않으므로, 흙시료의 함수비를 다시 계산해야 한다.

    흙시료의 함수비 = (흙시료의 무게 ÷ 로에 건조한 후의 무게) × 100%
    = (7,990g ÷ 14,340g) × 100%
    = 55.68%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전체 용기의 무게를 포함한 함수비를 구해야 한다. 따라서, 흙시료의 함수비를 전체 용기의 무게로 나누어야 한다.

    전체 용기의 무게 = 전체 무게 - 로에 건조한 후의 무게
    = 16,550g - 14,340g
    = 2,210g

    전체 용기의 무게를 포함한 흙시료의 함수비 = (흙시료의 무게 ÷ 전체 용기의 무게) × 100%
    = (7,990g ÷ (2,210g + 7,990g)) × 100%
    = 78.31%

    하지만, 문제에서는 흙시료의 함수비를 묻는 것이 아니라, 전체 용기의 무게를 제외한 흙시료의 함수비를 묻고 있다. 따라서, 전체 용기의 무게를 빼고 계산해야 한다.

    전체 용기의 무게를 제외한 흙시료의 함수비 = (흙시료의 무게 ÷ (전체 무게 - 전체 용기의 무게)) × 100%
    = (7,990g ÷ (16,550g - 2,210g)) × 100%
    = 53.38%

    따라서, 정답은 "53.38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다음 설명 중 틀린 것은?

  1. 소성지수가 큰 흙일수록 공학적인 문제점을 유발할 가능성이 높다.
  2. 흙 입자가 세립일수록 소성지수는 증가하게된다.
  3. 어떤 흙이 소성상태에 있다면 액성지수는 1보다 크게 된다.
  4. 소성지수는 흙이 소성상태로 존재할 수 있는 함수비의 범위를 나타낸다.
(정답률: 62%)
  • "어떤 흙이 소성상태에 있다면 액성지수는 1보다 크게 된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소성상태에 있는 흙은 액성지수가 1보다 작아지게 됩니다. 이는 흙이 물에 잠기는 것이 아니라 물을 흡수하는 것이 어려워지기 때문입니다. 소성상태에 있는 흙은 건조하고 단단해져서 공학적인 문제를 유발할 가능성이 높아지게 됩니다. 소성지수는 흙 입자의 크기와 형태, 입자 간의 결합력 등에 따라 결정되며, 소성지수가 큰 흙일수록 공학적인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콘크리트의 시공에 있어서 시멘트의 사용량을 절약하려면 골재에 대하여 다음 중 어느 것을 특히 고려하여야 하는가?

  1. 중량
  2. 내구성
  3. 입도
  4. 밀도
(정답률: 알수없음)
  • 콘크리트 시공에서 골재는 시멘트와 함께 사용되어 강도를 높이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시멘트의 사용량을 절약하려면 골재의 입도를 고려해야 합니다. 입도란 골재의 크기를 의미하며, 입도가 작을수록 시멘트와의 결합력이 강해져 시멘트의 사용량을 줄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입도가 적절한 골재를 선택하는 것이 시멘트 절약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지반침하가 발생하는 범위를 하부 공동과 지표면과의 거리관계를 이용하여 각도로 나타낸 것은?

  1. Angle of tension
  2. Angle of draw
  3. Angle of azimuth
  4. Angle of dip
(정답률: 46%)
  • "Angle of draw"는 지반침하가 발생하는 범위를 하부 공동과 지표면과의 거리관계를 이용하여 각도로 나타낸 것입니다. 이 각도는 지반침하가 발생하는 지점에서 하부 공동과 지표면 사이의 각도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Angle of draw"가 정답입니다. "Angle of tension"은 지반의 인장강도를 나타내는 각도이고, "Angle of azimuth"는 지표면에서의 방위각을 나타내는 각도입니다. "Angle of dip"는 지층의 경사각을 나타내는 각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표준관입시험(S.P.T)에서 N값을 올바르게 표시한 것은?

  1. 63.5[㎏]의 햄머를 75[㎝]에서 자유 낙하시켜 Split spoon sampler가 30[㎝] 들어갈 때 타격수
  2. 35[㎏]의 햄머를 75[cm]에서 자유 낙하시켜 Split spoon sampler가 30[㎝] 들어갈 때 타격수
  3. 63.5[㎏]의 햄머를 81[cm]에서 자유 낙하시켜 Split spoon sampler가 30[㎝] 들어갈 때 타격수
  4. 35[㎏]의 햄머를 낙하하고 30[cm]에서 자유 낙하시켜 Split spoon sampler가 30[㎝] 들어갈 때 타격수
(정답률: 70%)
  • 정답은 "63.5[㎏]의 햄머를 75[㎝]에서 자유 낙하시켜 Split spoon sampler가 30[㎝] 들어갈 때 타격수"입니다. 이유는 S.P.T는 Split spoon sampler를 사용하여 지하 토양의 강도와 특성을 측정하는 시험입니다. 이때, 햄머의 무게와 높이, 그리고 Split spoon sampler가 들어가는 깊이 등이 중요한 요소입니다. 따라서, 햄머의 무게와 높이가 적절하게 조절되어야 하며, 이 문제에서는 63.5[㎏]의 햄머를 75[㎝]에서 자유 낙하시켜 Split spoon sampler가 30[㎝] 들어갈 때 타격수가 올바르게 표시되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석회암의 풍화에 따른 공동의 함몰로 생긴 침하형태는?

  1. 차별침식
  2. 트러스트단층
  3. 토플링
  4. 용식 함몰지
(정답률: 64%)
  • 석회암은 비교적 부식이 쉬운 암석으로, 풍화에 노출되면 물과 이산화탄소 등의 화학작용에 의해 빠르게 부식됩니다. 이러한 과정에서 석회암 주변의 암석들은 차별침식을 겪게 되는데, 이는 석회암 부식으로 인해 주변 암석이 더욱 돌출되어 형성되는 현상입니다. 이렇게 형성된 돌출부분이 점점 더 크게 되면서, 공동의 함몰이 일어나게 됩니다. 이러한 현상이 발생한 지역을 용식 함몰지라고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과목: 광상학

81. 국내 활석광상 중 일반적으로 양질의 활석을 생산하는 광상의 모암은?

  1. 녹니석편암
  2. 돌로마이트
  3. 사문암
  4. 석회암
(정답률: 59%)
  • 돌로마이트는 칼슘과 마그네슘을 함유한 탄산염 광물로, 활석 생산에 적합한 모암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는 활석의 주성분인 칼슘과 마그네슘을 함유하고 있어서 활석 생산에 적합하며, 또한 광물의 결정 구조가 안정적이어서 활석의 품질을 유지하기에 용이합니다. 따라서 국내에서 양질의 활석을 생산하는 광상 중 많은 곳에서 돌로마이트가 모암으로 발견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작은 광맥들이 서로 교차하면서 그물 모양으로 얽혀있는 광맥은?

  1. 단성 광맥
  2. 복성 광맥
  3. 망상 광맥
  4. 수지상 광맥
(정답률: 알수없음)
  • 망상 광맥은 작은 광맥들이 서로 교차하면서 그물 모양으로 얽혀있는 형태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형태는 광물이 퍼져있는 지역이 넓어지기 때문에 광맥의 깊이가 얕아지고 광물의 농도가 낮아지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망상 광맥은 광물의 양이 많지 않아 경제적 가치가 낮은 경우가 많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우리나라에서 함티탄 자철광석이 산출되는 광상은?

  1. 강원도 홍천군 자은철광상
  2. 경기도 강화군 소연평도 철광상
  3. 강원도 양양군 양양 철광상
  4. 충북 충주 철광상
(정답률: 알수없음)
  • 함티탄 자철광석은 대한민국에서 산출되는 철광석 중에서도 희귀한 종류로, 그 채굴량이 매우 적습니다. 이러한 함티탄 자철광석이 산출되는 광상은 경기도 강화군 소연평도 철광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철광상중에서 가장 큰 규모를 이루는 광상의 유형은 어느 것인가?

  1. 열수광상
  2. 접촉광상
  3. 퇴적광상
  4. 정마그마광상
(정답률: 59%)
  • 퇴적광상은 강, 호수, 바다 등에서 퇴적물이 쌓여서 형성되는 광상으로, 대부분의 철광이 이 방식으로 형성됩니다. 따라서 철광상 중에서 가장 큰 규모를 이루는 광상은 퇴적광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지사의 시간적 구분 단위로서 석탄기(紀)는 어느 대(代)에 속하는가?

  1. 시생대
  2. 원생대
  3. 고생대
  4. 중생대
(정답률: 알수없음)
  • 석탄기는 지질학적 시간적 구분 단위 중 하나로, 기원전 3590년부터 2990년 사이인 고생대에 속합니다. 이 시기에는 지구의 대기 중 이산화탄소 농도가 높아지면서 지구 온도가 상승하고, 대량의 식물이 생겨나면서 석탄층이 형성되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고산(gossan)과 가장 관계 깊은 광상은?

  1. 반암동광상
  2. 풍화잔류광상
  3. 표성부화광상
  4. 접촉교대광상
(정답률: 40%)
  • 고산은 황, 구리, 납 등의 광물이 산화되어 생긴 산물로, 이러한 광물이 존재하는 지역에서는 주변 지형이 부식되어 광상이 형성됩니다. 이 중에서도 표성부화광상은 황과 구리 등의 광물이 함유되어 있어 고산과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따라서 고산 지역에서는 표성부화광상이 자주 발견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광물의 침전온도와 압력 및 광화유체의 화학적 특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은?

  1. 광물의 조직과 결정형
  2. 안정동위원소
  3. 용융점
  4. 유체포유물
(정답률: 80%)
  • "유체포유물"은 광화유체의 화학적 특성과 광물의 침전온도와 압력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데 사용되는 용어입니다. 이는 광물이 침전할 때 광화유체와 상호작용하여 형성되는 유체상태의 물질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광물의 조직과 결정형, 안정동위원소, 용융점과 같은 정보는 광물의 물리적 특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지만, 광화유체와의 상호작용에 대한 정보는 제공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다음 중 대륙지각 내부 즉, 판구조론적으로 상대적 안정상태의 지각에 분포하는 광상의 형태는?

  1. 화산성 괴상 황화물광상
  2. 구로코형 광상
  3. 반암 동광상
  4. 호상 철광상
(정답률: 80%)
  • 대륙지각 내부는 지각운동으로 인해 압력과 온도가 높아지는 환경이므로, 이러한 조건에서 형성된 광물들은 보통 크고 규칙적인 결정 구조를 가지게 됩니다. 이 중에서도 호상 철광상은 철을 주성분으로 하는 광물이며, 대륙지각 내부에서 많이 발견되는 광물 중 하나입니다. 호상 철광상은 크고 규칙적인 결정 구조를 가지며, 보통은 빨간색이나 갈색으로 나타나며, 철을 추출하여 철강 제조에 이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사광상(砂鑛床)에서 산출되는 중요 광물이 아닌 것은?

  1. 은(銀)
  2. 저어콘(Zircon)
  3. 티탄철석(ilmenite)
  4. 모나자이트(Monazite)
(정답률: 70%)
  • 사광상에서 산출되는 중요 광물은 저어콘, 티탄철석, 모나자이트이다. 은은 사광상에서 산출되지 않는 광물이기 때문에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갈탄이 무연탄으로 변화되는 과정에 수반되는 변화로서 맞지 않는 것은?

  1. 수분의 감소
  2. 고정탄소의 증가
  3. 비중의 증가
  4. 휘발성분의 증가
(정답률: 알수없음)
  • 갈탄이 무연탄으로 변화되는 과정에서는 수분의 감소, 고정탄소의 증가, 비중의 증가가 일어나지만, 휘발성분의 증가는 맞지 않는다. 이는 갈탄이 무연탄으로 변화되면서 오히려 휘발성분의 함량이 감소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우리나라는 고령토광상이 하동-산청-합천 지역에 풍부하게 부존하고 있다. 어떤 유형의 광상이 가장 우세하게 분포하고 있는가?

  1. 열수변질광상
  2. 접촉교대광상
  3. 변성광상
  4. 풍화잔류광상
(정답률: 63%)
  • 우리나라의 고령토광상은 대부분 풍화잔류광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는 지표면에서부터 일정 깊이 이하의 지층이 고온 고압 등의 환경에서 변성되어 형성된 광물이다. 이러한 광상은 경제적 가치가 높은 금, 은, 구리, 납, 아연 등의 광물을 포함하고 있어 광업 산업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다음 중 광상의 성인해석을 위하여 행해지는 안정동위원소가 아닌 것은?

  1. 수소
  2. 질소
  3. 탄소
(정답률: 42%)
  • 광상의 성인해석을 위하여 행해지는 안정동위원소는 "탄소"와 "황"입니다. "수소"와 "질소"는 광상의 성인해석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그라이젠화작용과 가장 관계가 깊은 암석은?

  1. 화강암
  2. 사암
  3. 점판암
  4. 석회암
(정답률: 82%)
  • 그라이젠화작용은 암석의 화학적 변화를 일으키는데, 이 변화는 암석의 성분과 구조에 따라 다르게 나타납니다. 화강암은 규산알칼리성 암석으로, 그라이젠화작용에 매우 민감합니다. 따라서 화강암은 그라이젠화작용과 가장 관계가 깊은 암석 중 하나입니다. 반면에 사암, 점판암, 석회암은 화강암보다는 그라이젠화작용에 덜 민감한 암석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다음 중 퇴적광상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층상(성층)광체로 흔히 산출된다.
  2. 화석을 포함하기도 한다.
  3. 대체로 광상규모가 크며 모암의 층리와 정합적이다.
  4. 맥상광맥이 흔히 관찰된다.
(정답률: 70%)
  • "맥상광맥이 흔히 관찰된다."는 퇴적광상의 특징 중 하나이다. 이는 퇴적광상이 맥상광맥을 형성하는 광물이 많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견운모를 가장 많이 형성하는 모암변질작용은?

  1. 칼륨변질작용
  2. 필릭변질작용
  3. 이질변질작용
  4. 강이질변질작용
(정답률: 64%)
  • 견운모는 필릭변질작용으로 가장 많이 형성됩니다. 이는 암석 내부에서 고온과 고압으로 인해 암석 내부의 광물이 변질되면서 형성되기 때문입니다. 필릭변질작용은 고온과 고압에서 광물이 변질되는 작용으로, 견운모뿐만 아니라 다양한 광물이 형성되는데, 견운모는 이 중에서도 가장 많이 형성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우리나라 천열수 금은광상의 특징은?

  1. 광화시기가 주로 쥬라기이다.
  2. 단순한 괴상석영맥의 형태이다.
  3. 수반되는 황화광물이 다양하고 양도 많다.
  4. 산출되는 금광물은 자연금에 가까운 조성을 보여준다
(정답률: 알수없음)
  • 천열수 금은광상은 황화광물이 다양하고 양도 많이 함유되어 있기 때문에 해당 보기가 정답이다. 이는 금광물을 추출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한국 동광상구(Cu-metallogenic province)의 대표적인 지역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태백산지역
  2. 공주지역
  3. 경남지역
  4. 제주도지역
(정답률: 47%)
  • 한국 동광상구(Cu-metallogenic province)의 대표적인 지역은 "경남지역"입니다. 이 지역은 대한민국에서 가장 큰 구리 광산인 진주 광산이 위치하고 있으며, 다양한 종류의 광물이 발견되는 지역으로 유명합니다. 또한, 이 지역은 지질학적으로도 특이한 지형과 지층 구조를 가지고 있어 광물 자원의 형성과 축적에 이상적인 환경을 제공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후생(epigenetic)광상에서 광화작용이전에 모암이 광화유체에 대하여 더욱 반응이 용이하고 수용적으로 변화하는 작용은?

  1. 광역변성작용
  2. 광화준비작용
  3. 변질작용
  4. 분별작용
(정답률: 77%)
  • 광화준비작용은 광화작용 이전에 일어나는 후생(epigenetic)적인 작용으로, 모암이 광화유체에 대해 더욱 반응이 용이하고 수용적으로 변화하는 작용을 말합니다. 이는 광화작용을 원활하게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작용으로, 광화작용의 효율성을 높이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광화준비작용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원유를 가장 많이 생산하고 있는 트랩은?

  1. 돔형 트랩
  2. 단층형 트랩
  3. 배사형 트랩
  4. 부정합형 트랩
(정답률: 알수없음)
  • 배사형 트랩은 원유 생산량을 증가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 중 하나입니다. 이는 원유가 지하에 있는 암석에서 빠르게 이동하도록 하기 위해 트랩 내부에 압력을 유지하는 것으로, 이는 원유가 더 많이 채취될 수 있도록 합니다. 따라서 배사형 트랩은 원유 생산량을 증가시키는 데 가장 효과적인 방법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평안계의 사동통 지층에 관한 설명중 틀린 것은?

  1. 우리나라의 중요한 함탄층이다.
  2. 선캄브리아기에 퇴적된 지층이다.
  3. 하부에는 해성층, 위로는 육성층이다.
  4. 남한에서는 강원도에 가장 넓게 분포한다.
(정답률: 60%)
  • 선캄브리아기에 퇴적된 지층이다. (이 설명이 틀린 것이다.)

    선캄브리아기는 약 5억 4천만년 전부터 4억 6천만년 전까지의 시기를 말하며, 평안계의 사동통 지층은 선캄브리아기 이전인 실루리아기에 형성되었다. 따라서 "선캄브리아기에 퇴적된 지층이다"는 설명이 틀린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