응용지질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5-03-06)

응용지질기사
(2005-03-06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암석학 및 광물학

1. 같은 종류의 금속원자가 결합하는 경우에 가장 조밀하게 원자가 충진되는 12배위의 격자구조에 속하는 것은?

  1. As형 격자
  2. 금강석형격자
  3. 육방최밀격자
  4. 등축체심격자
(정답률: 46%)
  • 육방최밀격자는 같은 종류의 금속원자가 결합하는 경우에 가장 조밀하게 원자가 충진되는 격자구조 중 하나입니다. 이는 각 층이 ABCABC...와 같이 교대로 쌓이는 구조를 가지며, 각 층에서는 원자가가 가장 많이 밀집되도록 배열됩니다. 따라서 육방최밀격자는 다른 격자구조에 비해 더 높은 밀도와 강도를 가지며, 금속의 제조 및 가공에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mineralight는 다음 어느 것에 속하는가?

  1. X 선 발생장치
  2. 음극선 발생장치
  3. α선 발생장치
  4. 자외선 발생장치
(정답률: 46%)
  • 정답: 자외선 발생장치

    설명: Mineralight는 자외선을 발생시키는 장치로, UV-A, UV-B, UV-C 등 다양한 파장의 자외선을 발생시킬 수 있습니다. 이를 이용하여 광학, 화학, 생물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다음 중 두 개 이상의 원소로 구성된 이온은?

  1. 양이온
  2. 착이온
  3. 복수이온
  4. 합이온
(정답률: 알수없음)
  • 착이온은 두 개 이상의 원소로 구성된 이온으로, 양전하를 가지는 이온이 어떤 분자에 결합하여 생성되는 것을 말합니다. 이 때, 결합하는 분자를 리간드(ligand)라고 하며, 리간드와 착이온 사이의 결합은 이온결합으로 이루어집니다. 따라서 착이온은 양이온과는 달리 다른 분자와 결합하여 생성되는 이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다음에서 사장석(斜長石)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올리고클래이스
  2. 라브라도라이트
  3. 바이토우나이트
  4. 새니딘
(정답률: 39%)
  • 사장석(斜長石)은 흔히 알려진 대표적인 광물 중 하나로, 알칼리성 희석액성 암석에서 많이 발견됩니다. "새니딘"은 사장석의 한 종류가 아니라, 다른 광물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새니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다음 광물 중 경도가 6.0~6.5이며, 비중이 5.0~5.2인 것은?

  1. 능철석
  2. 갈철석
  3. 중정석
  4. 황철석
(정답률: 37%)
  • 정답은 "황철석"입니다. 이유는 경도와 비중이 주어졌을 때, 이 값들은 황철석의 특징과 일치하기 때문입니다. 황철석은 경도가 6.0~6.5이며, 비중이 5.0~5.2로 높은 값을 가지는 광물 중 하나입니다. 능철석과 갈철석은 비중이 높지만 경도가 높지 않으며, 중정석은 경도가 높지만 비중이 낮습니다. 따라서 황철석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면 (1 1 1)에 정대지수가 [1 1 1]이며 정대축이 수직인 것은 어떤 정계인가?

  1. 등축정계
  2. 사방정계
  3. 삼사정계
  4. 육방정계
(정답률: 40%)
  • 면 (1 1 1)은 모든 축과 수직이므로 정대축이 수직인 정계를 선택해야 한다. 이 중에서 정대지수가 [1 1 1]인 것은 등축정계뿐이다. 등축정계는 모든 면이 등각이며, 정대축이 수직인 정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다음 그림에서 S면의 밀러지수(Miller Index)를 바르게 나타낸 것은?

  1. (3 1 1)
  2. (2a 2b 2/3c)
  3. (1 1 3)
  4. (3 3 1)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1 1 3)"이다.

    밀러지수는 결정 구조에서 특정한 방향을 나타내는 숫자이다. 이를 나타내는 방법은 간단하다.

    1. 해당 방향을 따라서 격자점을 따라가며 만나는 첫 번째 격자점의 좌표를 적는다.
    2. 각 좌표를 최소공약수로 나눈다.
    3. 이를 밀러지수로 나타낸다.

    따라서 위 그림에서 S면의 밀러지수는 (1 1 3)이다.

    (3 1 1)은 첫 번째 격자점이 (3, 1, 1)이지만, 이를 최소공약수로 나누면 (1, 1/3, 1/3)이므로 밀러지수로는 (1 1 3)이 된다.

    (2a 2b 2/3c)는 밀러지수를 나타내는 규칙에 맞지 않는다.

    (3 3 1)은 S면이 아니므로 밀러지수를 나타내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다음의 철광석 중 철의 함유량이 가장 많은 것은?

  1. 적철광
  2. 자철광
  3. 갈철광
  4. 능철광
(정답률: 알수없음)
  • 자철광이 철의 함유량이 가장 많은 것입니다. 이는 자철광이 철과 함께 많은 양의 자갈과 돌 등을 함유하고 있지만, 다른 철광석에 비해 철의 함량이 높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X선의 회절을 이용한 광물감정시에 격자의 대칭과 격자상수를 알 수 있는 방법은?

  1. 바이젠버그(Weissenberg)방법
  2. 데바이쉐러(Debye-Scherrer)사진 방법
  3. 브라그(Bragg)의 회전법
  4. 부우거-프리세션(Buerger-Precession)방법
(정답률: 80%)
  • 부우거-프리세션(Buerger-Precession)방법은 X선 회절 실험에서 격자의 대칭과 격자상수를 결정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X선 빔을 격자 평면에 수직으로 비추고, 빔을 회전시키면서 측정하는 방법이다. 이 과정에서 격자 평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회절된 X선들이 회전하면서 격자의 대칭과 격자상수를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부우거-프리세션 방법은 X선 회절 실험에서 격자 구조를 결정하는 중요한 방법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접촉교대작용에서 생기는 skarn 광물은?

  1. 투휘석(diopside)
  2. 형석(fluorite)
  3. 단백석(opal)
  4. 금홍석(rutile)
(정답률: 50%)
  • 접촉교대작용은 마그마와 주변 암석이 접촉하여 화학적 반응이 일어나는 과정을 말한다. 이 과정에서 주변 암석의 성분이 마그마에 녹아들면서 새로운 광물이 생성된다. 이 중에서 투휘석은 접촉교대작용에서 가장 흔하게 생성되는 광물 중 하나이다. 투휘석은 칼슘과 마그네슘을 함유한 광물로, 접촉교대작용에서 주로 칼슘과 마그네슘을 함유한 암석과 마그마가 접촉하여 생성된다. 따라서 정답은 "투휘석(diopside)"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아래의 설명에 해당되는 변성암은?

  1. 석회암
  2. 편마암
  3. 대리암
  4. 사문암
(정답률: 84%)
  • 위 그림은 대리암의 특징적인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대리암은 화강암과 같이 조각이 잘 나며, 표면이 매끄럽고 윤기가 있습니다. 또한, 대리암은 화강암과 달리 성분이 균일하지 않고, 다양한 미세한 물질들이 혼합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특징들을 통해 위 그림은 대리암임을 알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다음 중 마그마의 결정작용의 진행정도를 나타내는 용어가 아닌 것은?

  1. 다공질
  2. 완정질
  3. 반정질
  4. 미정질
(정답률: 85%)
  • 정답: 다공질

    설명: 다공질은 결정작용이 전혀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로, 액체나 기체 상태에 가까운 상태를 말합니다. 따라서 결정작용의 진행정도를 나타내는 용어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북한산에서 채취한 화강암의 암석박편에서 정누대구조(normal zonal structure)를 보여주는 사장석의 결정이 관찰되었다. 이 결정의 중심부에서 연변부로 가면서 함량이 상대적으로 증가하는 원소는?

  1. Ca
  2. Fe
  3. Mg
  4. Na
(정답률: 74%)
  • 정누대구조란 암석의 결정 구조에서 중심부에서 시작하여 바깥쪽으로 갈수록 함량이 증가하는 현상을 말한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도 사장석의 결정 중심부에서 연변부로 가면서 상대적으로 함량이 증가하는 원소를 찾아야 한다. 사장석은 알칼리성 희토암 중 하나로, Na, K, Ca 등의 원소를 함유하고 있다. 따라서 위 보기에서 정답은 "Na"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퇴적구조인 사층리(cross - bedding)를 관찰할 수 있는 암석은?

  1. 사암(sandstone)
  2. 알로켐(allochem)
  3. 어란석(oolite)
  4. 석회암(limestone)
(정답률: 84%)
  • 사암은 퇴적암석으로, 모래와 같은 입자들이 압축되어 형성된다. 이 때 입자들은 바람이나 물 등의 움직임에 의해 운반되어 적층되는데, 이 과정에서 사층리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사암은 사층리를 관찰할 수 있는 암석이다. 알로켐, 어란석, 석회암은 사층리를 형성하는 과정이 다르기 때문에 정답이 될 수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어란상(魚卵狀)이나 당상(saccharoidal)조직은 다음 어느 암석에서 잘 볼 수 있는가?

  1. 세일
  2. 암염
  3. 석회암
  4. 석탄
(정답률: 55%)
  • 어란상이나 당상 조직은 석회암에서 잘 볼 수 있습니다. 이는 석회암이 해양 생물의 화석이 많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해양 생물은 대부분 껍질이나 뼈 등을 가지고 있어서 석회질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따라서 석회암에서는 이러한 화석들이 보존되어 어란상이나 당상 조직을 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다음 화산체의 형태 중 주로 현무암질 용암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은?

  1. 복합화산
  2. 종상화산
  3. 성층화산
  4. 용암대지
(정답률: 82%)
  • 주로 현무암질 용암으로 구성되어 있는 화산체는 "용암대지"이다. 이는 용암이 지표면 위에 층층이 쌓여서 형성된 화산체로, 용암이 지표면 위로 흐르면서 평평한 지형을 만들어낸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알카리장석의 큰 입자내에 설형(楔形) 문자와 같은 형태의 석영들이 연정을 이루고 있는 조직으로 주로 페그마타이트에서 볼 수 있는 특징적인 조직은?

  1. 서브오피틱 조직(subophitic texture)
  2. 세리에이트 조직(seriate texture)
  3. 문상 조직(graphic texture)
  4. 반상 조직(porphyritic texture)
(정답률: 64%)
  • 알카리장석의 큰 입자내에 설형 문자와 같은 형태의 석영들이 연정을 이루고 있는 조직으로, 이러한 형태가 문양(문)과 같아서 "문상 조직"이라고 부릅니다. 이러한 조직은 페그마타이트에서 주로 발견되며, 특징적인 모양과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다음 중 접촉변성작용에 의하여 형성된 암석은?

  1. 혼펠스(hornfels)
  2. 점판암(slate)
  3. 천매암(phyllite)
  4. 편마암(gneiss)
(정답률: 73%)
  • 혼펠스는 접촉변성작용에 의해 형성된 암석으로, 주로 화강암이나 안산암 등의 화성암이 지하에서 높은 온도와 압력에 노출되어 변성된 결과물입니다. 이 과정에서 암석의 미세 구조가 변화하고, 광물 조성도 변화하여 광물간의 결합력이 강화되어 굳고 단단한 암석으로 변합니다. 따라서 혼펠스는 접촉변성작용에 의해 형성된 암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규암(quartzite)은 주로 석영으로 구성된 변성암이다. 다음 중 어느 과정을 거쳐서 이루어졌는가?

  1. 파쇄작용(cataclasis)
  2. 화강암화작용(granitization)
  3. 변성분화작용(metamorphic differentiation)
  4. 재결정작용(recrystallization)
(정답률: 72%)
  • 규암은 변성암으로서, 원래의 석영사일이 재결정작용에 의해 크게 성장하여 형성된 것이다. 이 과정에서 기존의 결정들이 더 큰 결정으로 합쳐지거나, 결정 내부의 분자 구조가 재배열되어 더욱 균일한 구조를 갖게 된다. 따라서 정답은 "재결정작용(recrystallization)"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다음 그림은 어떤 퇴적암의 광물성분 관계를 나타낸 그림이다. 그림에서 B에 속하는 암석명은?

  1. 셰일
  2. 석영사암
  3. 그레이와케(graywacke)
  4. 아르코스(arkose)
(정답률: 73%)
  • B 지역은 알칼리 페르시트와 함께 풍화된 화강암 조각들이 많이 혼재되어 있으며, 이로 인해 알칼리 페르시트가 많이 함유된 화강암 조각들이 분해되어 생성된 퇴적물이 많이 쌓여 형성된 암석이다. 이러한 퇴적물은 화강암의 특성을 그대로 유지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아르코스(arkose)로 분류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구조지질학

21. 다음 중 정단층에 의해 주로 형성되는 지형은?

  1. dome-and-basin
  2. 용식요지(sink hole)
  3. 지구-지루(graben-horsts)
  4. 클리페(klippe)
(정답률: 79%)
  • 정답은 "지구-지루(graben-horsts)"입니다. 정단층은 지각층에서 가파른 경사면을 형성하는 지층이며, 지구-지루는 정단층에서 주로 형성되는 지형으로, 지구-지루는 두 개 이상의 평평한 지역 사이에 있는 경사면으로, 평평한 지역은 호르스트(horsts)라고 불리며, 지구-지루와 호르스트는 서로 대칭적인 지형을 이룹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다음은 단층작용에 의해 형성된 구조이다. 그림에서 단층일 가능성이 가장 큰 것은?

  1. A - A'
  2. B - B'
  3. C - C'
  4. D - D'
(정답률: 알수없음)
  • 이 구조에서 C - C' 결합은 다른 결합과 달리 두 개의 카르복시기가 서로 반대 방향을 향하고 있으므로 단층일 가능성이 가장 큽니다. 이러한 구조는 특히 이중결합이 있는 구조에서 자주 나타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이미 존재하고 있는 엽리가 습곡작용을 받아 형성된 엽리는?

  1. 파랑엽리(crenulation foliation)
  2. 치아엽리(stylolitic foliation)
  3. 망상엽리(anastomosing foliation)
  4. 조면엽리(rough foliation)
(정답률: 67%)
  • 습곡작용을 받아 형성된 엽리 중에서 파랑엽리는 불규칙한 곡선 모양의 엽리를 형성하며, 이는 습곡작용이 강하게 작용하여 압력과 변형이 크게 일어난 결과물이다. 따라서 파랑엽리는 다른 보기들과 달리 습곡작용이 강하게 작용한 결과물이므로 정답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지층이 수직일 때 지층의 경계선과 등고선과는 어떠한 관계를 나타내는가?

  1. 등고선과 일치한다.
  2. 주향방향으로 직선형이다.
  3. 쌍곡선 형태로 된다.
  4. 타원형을 한다.
(정답률: 70%)
  • 지층이 수직일 때 지층의 경계선은 등고선과 주향방향으로 직선형을 이룹니다. 이는 지층의 경계선이 수직 방향으로 일정하게 변화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등고선과 지층 경계선은 같은 모양을 가지며, 주향방향으로 직선형을 이룹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다음 중 연성변형(ductile deformation)작용을 받았을 때 형성되는 것은?

  1. 부정합
  2. 습곡
  3. 산사태
  4. 포행
(정답률: 84%)
  • 연성변형은 물질이 힘을 받아 변형되는 과정에서 결정 구조가 변화하면서 일어납니다. 이때, 습곡은 결정 구조가 변화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현상으로, 결정 구조 내부에서 일어나는 일종의 슬립(미끄러짐) 현상입니다. 따라서, 연성변형을 받았을 때 형성되는 것은 습곡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지진이 발생하고 나서 10초후에 P파가 도착하였으며, 그 7초후에 S파가 도착하였다. P파 속도는 S파 속도의 몇 배인가?

  1. 0.7배
  2. 1.2배
  3. 1.5배
  4. 1.7배
(정답률: 70%)
  • P파와 S파는 지진 발생 지점에서부터 지면까지의 거리를 각각 다른 경로로 이동하므로, 속도가 다르다. P파는 약 6km/s, S파는 약 3.5km/s의 속도로 이동한다. 따라서 P파 속도는 S파 속도의 약 1.7배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다음은 충상단층작용(thrust faulting)에 의해 형성된 현상이다. 그림에서 화살표(綎)는 무엇인가?

  1. Fenster
  2. Window
  3. Klippe
  4. Graben
(정답률: 알수없음)
  • 화살표는 오버스러스트(overthrust)면이다. 이는 충상단층작용에 의해 하부 지층이 상부 지층 위로 밀려 올라와서 형성된 것이다.

    "Klippe"는 충상단층작용에 의해 상부 지층이 하부 지층 위로 밀려 올라와서 하부 지층을 덮고 있는 형태를 말한다. 이는 오버스러스트면이 형성되고 그 위에 있는 상부 지층이 덮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이 그림에서는 Klippe가 가장 적절한 용어이다. "Fenster"는 독일어로 "창문"을 의미하며, 충상단층작용에 의해 상부 지층이 하부 지층에 끼어들어서 형성된 구멍을 말한다. "Graben"은 독일어로 "구덩이"를 의미하며, 지각이 끝까지 내려간 지하강구조를 말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대륙지각의 분류라 할 수 없는 것은?

  1. 순상지(shield)
  2. 대지(platform)
  3. 오피(ophiolite)
  4. 현생누대 조산대
(정답률: 알수없음)
  • 오피(ophiolite)는 대륙지각의 분류에 속하지 않습니다. 오피는 해저산맥에서 생성되는 지각으로, 대륙지각과는 다른 지질학적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하도의 폭이 30m, 평균수심이 3m이고 평균유속이 2m/s이다. 이 하천의 유량은 얼마인가?

  1. 180 m3/s
  2. 45 m3/s
  3. 20 m3/s
  4. 5 m3/s
(정답률: 알수없음)
  • 유량(Q)은 다음과 같은 공식으로 계산할 수 있다.

    Q = A × v

    여기서 A는 단면적, v는 유속이다.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단면적을 구할 수 없으므로 대신 폭과 평균수심을 이용하여 근사값을 구해야 한다.

    먼저 단면적(A)을 구해보자.

    A = 폭 × 평균수심
    = 30m × 3m
    = 90m²

    다음으로 유량(Q)을 계산해보자.

    Q = A × v
    = 90m² × 2m/s
    = 180 m³/s

    따라서 정답은 "180 m³/s"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다음 중 선구조(lineation)가 아닌 것은?

  1. 단층조선
  2. 엽리(Foliation)
  3. 부딘구조(Boudinage)
  4. 멀리온구조(mullion)
(정답률: 47%)
  • 엽리는 암석 내부에서 일어난 압력에 의해 결정면이나 균열 등이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되어 있는 것을 말한다. 이에 반해, 단층조선, 부딘구조, 멀리온구조는 모두 암석 내부에서 발생한 변형 현상 중 하나인 선구조(lineation)에 해당한다. 따라서 정답은 "엽리"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지각 및 상부 맨틀을 포함하고 있으며, 주로 탄성변형이 일어나는 곳은?

  1. 연약권
  2. 맨틀
  3. 암석권
  4. 지각
(정답률: 알수없음)
  • 암석권은 지각과 맨틀 사이에 위치하며, 지각에서부터 상부 맨틀까지 이어지는 지구 내부의 암석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암석권은 지각과 맨틀 사이에서 탄성변형이 일어나는 지역으로, 지각의 지진이나 산사태 등 지질적 현상의 원인이 되기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다음 중 평형상태에서 두 개의 서로 직교하는 면에 작용하는 stress tensor components를 바르게 나타낸 것은? (단, 2차원 평면상태이다.)

(정답률: 69%)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다음 지질구조에서 수평방향의 인장응력(tensile stress)에 의해 형성된 구조는?

  1. 정단층
  2. 역단층
  3. 스러스트
  4. 돔구조
(정답률: 75%)
  • 정단층입니다. 지질층이 수평방향으로 인장응력을 받으면, 층 내부에서는 층이 끊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수직방향으로 변형이 일어납니다. 이 때, 층 내부에서 수직방향으로 일어나는 변형이 축적되면서 정단층이 형성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다음의 지질단면은 무엇을 나타낸 것인가?

  1. 복향사
  2. 복배사
  3. 동형습곡
  4. 배심습곡
(정답률: 알수없음)
  • 이 지질단면은 복배사를 나타낸다. 복배사는 지하수가 지반층 사이를 흐르면서 생긴 동굴로, 지하수가 흐르는 동안 바위를 침식하여 생긴 것이다. 이 지질단면에서는 지하수가 흐르는 동안 바위를 침식하여 생긴 동굴 모양이 확연히 나타나고 있기 때문에 복배사라고 판단할 수 있다. 다른 보기들은 이와 다른 지질현상들을 나타내고 있으며, 복배사와는 관련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다음 중 천발지진과 마그마 분출이 주로 일어나는 곳은?

  1. 베니오프대
  2. 해구부근
  3. 해령부근
  4. 신기조산대
(정답률: 64%)
  • 해령부근은 북태평양과 동해를 연결하는 화산대로, 천발지진과 마그마 분출이 주로 일어나는 지역입니다. 이 지역은 활동성이 높은 화산이 많이 분포하고 있어서 자연재해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따라서 천발지진과 마그마 분출이 주로 일어나는 곳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인장응력이 작용하는 판의 경계부는?

  1. 발산경계
  2. 수렴경계
  3. 변환단층경계
  4. 충돌경계
(정답률: 70%)
  • 인장응력은 지각의 표면에서 발생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때 지각의 표면에서 인장응력이 작용하는 판의 경계부를 발산경계라고 한다. 따라서 정답은 "발산경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압쇄암대(mylonite zone)의 설명이 아닌 것은?

  1. fine - grained
  2. strongly layered appearence
  3. 큰 shear strain으로 생성된다.
  4. 퇴적구조가 잘 보존되어 있다.
(정답률: 77%)
  • 압쇄암대는 큰 shear strain으로 생성되는데, 이로 인해 퇴적구조가 파괴되고 잘 보존되지 않는다. 따라서 "퇴적구조가 잘 보존되어 있다."는 올바르지 않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침식윤회에서 노년기 이후 최종적으로 형성되는 평탄한 침식 면을 무엇이라 하는가?

  1. 구릉
  2. 단애
  3. 준평원
  4. 완평원
(정답률: 알수없음)
  • 침식윤회에서는 지형이 점점 낮아지고 침식 면이 형성되는데, 이 과정에서 노년기 이후에는 평탄한 면이 형성됩니다. 이 평탄한 면을 준평원이라고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준평원"입니다. "구릉"은 작고 둥글게 울퉁불퉁한 작은 언덕을 뜻하며, "단애"는 강이나 바다 등이 만들어낸 둔한 경사면을 뜻합니다. "완평원"은 완전히 평탄한 면을 뜻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판경계부는?

  1. 발산형 경계(divergent margins)
  2. 수렴형 경계(convergent margins)
  3. 변환단층 경계(transform fault margins)
  4. 대륙 경계(continental margin)
(정답률: 알수없음)
  • 해당 판경계부는 "수렴형 경계(convergent margins)"이다. 이는 두 개의 지각판이 충돌하여 한쪽 지각판이 다른 지각판 아래로 침입하는 지역으로, 지각판이 충돌하면서 산맥이 생성되고 지진, 화산 폭발 등의 지질적 활동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풍성지형 중 여러 방향에서 불어오는 바람에 의해서 발달하는 모래언덕(sand dune)의 형태는?

  1. Barchan dune
  2. Star dune
  3. Parabolic dune
  4. Transverse dune
(정답률: 73%)
  • 풍성지형 중 여러 방향에서 불어오는 바람에 의해서 발달하는 모래언덕의 형태는 여러 가지가 있지만, "Star dune"은 여러 방향에서 불어오는 바람에 의해 발생하는 모래언덕 중에서 가장 높은 뾰족한 형태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이는 중앙에 높은 점이 있고, 여러 방향에서 모래가 쌓여서 뾰족한 모양을 이루는 것으로, 별 모양과 비슷한 모양을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탐사공학

41. 화학원소의 1차분산에 의한 이상대를 찾기 위한 지구화학탐사의 대상시료는?

  1. 토양
  2. 암석
  3. 식물
  4. 지하수
(정답률: 46%)
  • 화학원소의 1차분산은 지구화학적으로 안정한 암석에서 발생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따라서 이상대를 찾기 위한 지구화학탐사의 대상시료로는 암석이 가장 적합합니다. 토양, 식물, 지하수 등도 이상대를 찾는 데에는 사용될 수 있지만, 이들은 화학원소의 이동성이 높아 1차분산에 의한 이상대를 찾기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다음 그림은 전자탐사에 있어서 1차장( )과 2차장( )및 합성장( )을 나타낸 것이다. 위상각이 α, 1차장과 2차장 사이의 각이 β일 때 다음 설명 중 틀린 것은?

  1. 좋은 전도성 광체는 α가 90°에 가깝고 나쁜 전도체는 α가 0에 가깝다.
  2. 좋은 전도체는 동상성분이 크나 나쁜 전도체는 동상성분이 0에 가깝다.
  3. 좋은 전도체는 이상(離相)성분이 크나 나쁜 전도체는 이상성분이 0에 가깝다.
  4. 나쁜 전도체는 이상성분이 동상성분보다 약간 크게 나타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위 그림에서 1차장과 2차장은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고 있으며, 합성장은 그들의 회전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고 있다. 이 때, 위상각은 1차장과 2차장이 만드는 평면과 합성장이 만드는 평면 사이의 각도를 의미하며, α는 이 평면들이 서로 수직한 경우에 최대가 된다. 반면, 1차장과 2차장 사이의 각도 β는 합성장의 회전 방향에 따라 양수 또는 음수가 될 수 있으며, 이 값이 0이면 1차장과 2차장이 서로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위 그림에서 틀린 설명은 "좋은 전도체는 α가 90°에 가깝고 나쁜 전도체는 α가 0에 가깝다." 이다. 전도체의 좋고 나쁨은 위상각 α와는 관련이 없으며, 전도체의 이상성분이 크면 전도성이 좋아지는 경향이 있다. 이상성분은 전도체 내에서 이온들이나 분자들이 서로 다른 상태(이상상태)에 있을 때 발생하는 성분을 의미하며, 이 값이 크면 전도체 내에서 전하의 이동이 원활해지기 때문에 전도성이 좋아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0℃, 760 mmHg의 공기 중에서 1 cm3당 단위 정전하를 띠도록 하는 방사선을 의미하는 단위는?

  1. 렌트겐
  2. 큐리
  3. 암페어
  4. 패러데이
(정답률: 70%)
  • 이 문제에서 요구하는 단위는 방사선의 세기를 나타내는 단위인데, 이는 렌트겐(Röntgen)이다. 렌트겐은 공기 중에서 1 cm3당 1 로렌트겐의 단위 정전하를 띠도록 하는 방사선의 양을 의미한다. 따라서, 렌트겐은 방사선의 세기를 나타내는 단위로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육상에서 측정한 중력자료의 해석에 앞서 필요한 보정이 아닌 것은?

  1. 속도(Velocity)보정
  2. 부게(Bouguer)보정
  3. 위도(Latitude)보정
  4. 조석(Tidal)보정
(정답률: 77%)
  • 중력자료의 해석에 있어서 속도(Velocity)보정은 필요하지 않습니다. 속도보정은 지진파의 속도를 보정하는 것으로, 지진파와 중력은 서로 다른 물리량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중력자료의 해석에는 속도보정이 필요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해상 중력탐사시 중력보정은 주로 어디를 기준으로 하는가?

  1. 해저면
  2. 선저면(船底面)
  3. 평균해수면
  4. 선갑판(船甲板)
(정답률: 75%)
  • 해상 중력탐사시 중력보정은 평균해수면을 기준으로 한다. 이는 해양의 수위가 변동할 때도 일정한 기준을 유지하기 위해서이다. 따라서 중력탐사시에는 평균해수면을 기준으로 중력보정을 하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다음 중 공심점 기법(CDP;Common Depth Point method)에 대한 바른 설명은?

  1. 발파점-수진점 간격을 달리하여 동일한 반사점으로 부터 여러 개의 트레이스를 기록하는 것이다.
  2. 수진점에 기록된 반사파 기록을 굴절파 기록으로 바꾸는 것이다.
  3. 지층의 두께를 동일하다고 가정하는 해석기법이다.
  4. 주로 육상 탄성파 탐사에서 사용되며 해상에서는 적용할 수 없다.
(정답률: 알수없음)
  • 발파점-수진점 간격을 달리하여 동일한 반사점으로 부터 여러 개의 트레이스를 기록하는 것이다. 이는 CDP 기법의 핵심이며, 이를 통해 지하 구조물의 반사파를 더욱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과도 전자장(transient EM field)을 이용하는 전자탐사에서 광체내 와전류(渦電流)에 의한 2차 자장은 시간에 따라 어떻게 되는가?

  1. 광체의 전기전도도가 높을수록 서서히 감쇠한다.
  2. 광체의 전기전도도가 높을수록 서서히 증가한다.
  3. 광체의 전기전도도가 높을 때 서서히 증가한 후 갑자기 감쇠한다.
  4. 광체의 전기전도도가 높을 때 서서히 감쇠한 후 갑자기 증가하고 다시 감쇠한다.
(정답률: 16%)
  • 광체의 전기전도도가 높을수록 와전류에 의한 2차 자장이 서서히 감쇠하는 이유는 전기전도도가 높을수록 광체 내부에서 전기자들이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와전류에 의한 자기장이 광체 내부에서 전기자들에 의해 흡수되어 감쇠하게 된다. 따라서 전기전도도가 높을수록 자장이 서서히 감쇠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자연 잔류 자기와 현재의 자기장에 의한 유도 자기와의 비를 무엇이라고 하나?

  1. E℧tv℧s 비
  2. K℧nigsberger 비
  3. Moho 비
  4. 포아송(Poisson) 비
(정답률: 알수없음)
  • 자연 잔류 자기와 현재의 자기장에 의한 유도 자기와의 비를 K℧nigsberger 비라고 한다. 이는 K℧nigsberger가 이 비를 처음으로 정의하고 연구했기 때문이다. 다른 보기들은 각각 다른 과학자나 수학자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방사능탐사에 사용되는 기기는 다음 중 어느 것인가?

  1. spectrometer
  2. geophone
  3. voltmeter
  4. dipmeter
(정답률: 알수없음)
  • 방사능탐사에 사용되는 기기는 "spectrometer"이다. 이는 방사능을 측정하는데 사용되는 기기로, 방사능이 방출하는 에너지를 분석하여 그 원소의 종류와 양을 파악할 수 있다. 다른 기기들인 "geophone", "voltmeter", "dipmeter"는 지진, 전기, 지질 탐사 등 다른 분야에서 사용되는 기기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다음 중 현장에서 지하수 시료의 채취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어느 것인가?

  1. 시료병은 시료채취 지점의 지하수로 세척한 후 뚜껑부분까지 채워서 채취한다.
  2. 미량원소의 화학분석을 위한 시료는 필터를 사용하여 거른 후 pH가 2 정도 되도록 한다.
  3. 펌프가 설치된 관정에서는 펌프를 작동시킨 후 바로 시료를 채취해야 한다.
  4. 수온, 전기전도도, pH 등은 현장에서 직접 측정하는 것이 좋다.
(정답률: 73%)
  • "펌프가 설치된 관정에서는 펌프를 작동시킨 후 바로 시료를 채취해야 한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이유는 펌프를 작동시키면 일시적으로 지하수의 수질이 변화할 수 있기 때문에, 펌프를 작동시킨 후 일정 시간이 지나고 나서 시료를 채취해야 한다. 이를 흐름 안정화 시간이라고 한다. 일반적으로는 10분 이상의 시간이 필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수평 2층 지하구조에서 상층의 밀도와 탄성파 속도가 2g/㎝3, 1,500m/sec이고, 하층의 밀도와 탄성파 속도가 2.7g/㎝3, 4,000m/sec일 때 탄성파 반사계수는?

  1. 1.5652
  2. √1.5652
  3. 0.5652
  4. √0.5652
(정답률: 34%)
  • 탄성파 반사계수는 다음과 같은 공식으로 구할 수 있다.

    $R = frac{Z_2 - Z_1}{Z_2 + Z_1}$

    여기서 $Z$는 임피던스를 나타내며, 밀도와 탄성파 속도의 곱으로 정의된다.

    $Z = rho v$

    따라서 상층과 하층의 임피던스는 각각 다음과 같다.

    $Z_1 = 2g/㎝^3 times 1,500m/sec = 3 times 10^6 g/(cm^2 cdot sec)$

    $Z_2 = 2.7g/㎝^3 times 4,000m/sec = 1.08 times 10^7 g/(cm^2 cdot sec)$

    따라서 탄성파 반사계수는 다음과 같다.

    $R = frac{1.08 times 10^7 - 3 times 10^6}{1.08 times 10^7 + 3 times 10^6} approx 0.5652$

    따라서 정답은 "0.565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전기비저항탐사에서 겉보기 비저항(apparent resistivity)에 대한 설명으로 올바른 것은?

  1. 겉보기 비저항은 개념이므로 단위가 없다.
  2. 겉보기 비저항은 지하 매질의 참 비저항과는 아무런 관계가 없다.
  3. 겉보기 비저항은 지하 매질이 균질할 경우 참 비저항과 같다.
  4. 겉보기 비저항은 전극배열방법에 관계없이 같은 값을 보인다.
(정답률: 58%)
  • 겉보기 비저항은 지하 매질이 균질할 경우 참 비저항과 같다. 이는 지하 매질이 균일하게 분포되어 있을 때 전류의 흐름이 균일하게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겉보기 비저항은 지하 매질의 참 비저항과 관련이 있으며, 지하 매질의 물성을 파악하는 데 중요한 지표가 된다. 겉보기 비저항은 단위가 없는 개념이므로, 전극배열방법에 따라 값이 달라질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지자장(地磁場)의 5요소란 무엇인가?

  1. 전자력, 투자율, 편각, 대자율, 복각
  2. 전자력, 수평분력, 수직분력, 편각, 복각
  3. 투자율, 대자율, 자기자오선, 편각, 수직분력
  4. 수평분력, 자기능률, 대자율, 수직분력, 편각
(정답률: 알수없음)
  • 지자장의 5요소는 전자력, 수평분력, 수직분력, 편각, 복각입니다.

    전자력은 지구 자기장이 지구 주변에 있는 전자들에게 작용하는 힘을 말하며, 지구 자기장의 강도와 방향에 영향을 받습니다.

    수평분력은 지구 자기장이 수평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을 말하며, 지자체의 회전과 관련이 있습니다.

    수직분력은 지구 자기장이 수직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을 말하며, 지자체의 경사와 관련이 있습니다.

    편각은 지자체의 자기장이 지구 자기장과 이루는 각도를 말하며, 지자체의 위치와 관련이 있습니다.

    복각은 지자체의 자기장이 지구 자기장과 이루는 각도와 지자체의 회전축과 지구 자기장의 축 사이의 각도를 말하며, 지자체의 위치와 관련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다음 주시곡선으로부터 시간절편을 이용하여 상부지층의 두께를 구했을 때 가장 근사한 값은 어느 것인가?

  1. 0.3m
  2. 3m
  3. 30m
  4. 300m
(정답률: 알수없음)
  • 주어진 그래프에서 시간절편은 1.5초이다. 이는 상부지층과 하부지층의 경계면에 해당한다. 따라서 상부지층의 두께는 시간절편에 해당하는 거리를 속도로 나눈 값으로 구할 수 있다.

    상부지층의 속도는 그래프에서 약 2.0 km/s 정도이다. 따라서 상부지층의 두께는 1.5초 / 2.0 km/s = 3m 정도이다.

    따라서 정답은 "3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다음 중 일반적인 지자기의 일 변화량은 어느 정도인가?

  1. 0.1 ∼ 0.3감마
  2. 1.0 ∼ 3.0감마
  3. 10 ∼ 30감마
  4. 100 ∼ 300감마
(정답률: 50%)
  • 지구의 자기장은 대략 30,000 ~ 60,000 나노테슬라 (nT)의 강도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에 비해 지자기의 일 변화량은 보통 10 ~ 30 감마 (gamma) 정도입니다. 1 감마는 0.0001 밀리테슬라(mT)에 해당하므로, 일반적인 지자기의 일 변화량은 지구 자기장의 강도에 비해 매우 작은 수준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자연발생적인 공중방전(예: 번개)을 송신원으로 이용하여 1∼1000Hz 주파수대역에서 경사각을 측정하는 전자파탐사 방법은 다음 중 어느 것인가?

  1. MT(Magnetotelluric)법
  2. LOTEM(Long Offset TEM)법
  3. AFMAG(Audio Frequency Magnetic)법
  4. CSAMT(Controlled Source AMT)법
(정답률: 34%)
  • AFMAG(Audio Frequency Magnetic)법은 자연발생적인 공중방전을 송신원으로 이용하여 1∼1000Hz 주파수대역에서 경사각을 측정하는 전자파탐사 방법이다. 이 방법은 지하의 전기적인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지하에 전기적인 신호를 보내는 전기적인 탐사 방법과는 달리, 지하의 자연적인 전자기장을 이용하여 지하의 전기적인 특성을 파악한다. 이 방법은 지하의 전기적인 특성을 파악하는 데 매우 유용하며, 지하수 탐사, 광물 탐사, 지질 탐사 등에 활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VLF - EM탐사의 단점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1. 지형의 영향을 많이 받는다.
  2. 이상체의 전기전도도나 심도에 대한 정량적 해석이 힘들다.
  3. 가탐심도가 얕다.
  4. 탐사를 위한 별도의 인공적인 송신원이 필요하다.
(정답률: 47%)
  • 탐사를 위한 별도의 인공적인 송신원이 필요하다는 것은 VLF-EM탐사가 자체적으로 전기파를 발생시키지 않고 외부에서 송신기를 사용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비용과 시간이 많이 들어가며, 탐사 지역이 넓을수록 어려움이 커진다. 따라서 이는 VLF-EM탐사의 단점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굴절법 탐사방법이 개발된 초기에 유전 지역에서 심도가 얕은 암염돔(salt dome)을 조사하는데 매우 유용하게 사용되었으며, 짧은 시간 내에 비교적 광범위한 지역을 손쉽게 조사할 수 있기 때문에 새로운 지역에 대한 예비 탐사에도 효과적으로 이용되는 탐사 방법은?

  1. 팬터밍(phantoming)
  2. 인라인(in-line) 탐사법
  3. 측선발파법(profile shooting)
  4. 선형발파법(fan-shooting)
(정답률: 알수없음)
  • 선형발파법은 여러 개의 발사기를 일직선으로 배치하여 한 번에 여러 방향으로 탐사할 수 있기 때문에, 짧은 시간 내에 넓은 지역을 조사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예비 탐사에도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습니다. 또한, 광범위한 지역을 조사할 때 발생하는 데이터의 양을 줄일 수 있어 데이터 처리에도 용이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탄성파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탄성파는 실체파(body wave)와 표면파(surface wave)로 구분할 수 있다.
  2. P파는 파의 진행방향이 입자의 운동방향과 수직하다.
  3. 레일리파(Rayleigh wave)는 표면파로서 그 속도는 S파의 0.9배정도이며, 입자의 운동은 파의 진행방향에 반대방향으로 일어나는 역행운동을 한다.
  4. S파는 실체파로서 횡파 또는 전단파로 부르며, 그 운동 성분에 따라서 SV파와 SH파로 나눌 수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P파는 파의 진행방향이 입자의 운동방향과 수직하다." 이다. 이유는 P파는 압축파로서 입자의 운동방향과 파의 진행방향이 같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외부에서 자기장이 가해지면 외부 자기장의 방향과 유사한 자화방향을 가진 자구는 면적이 커지고, 그렇지 않은 자구는 면적이 좁아지는 특성을 보이는 자성체는?

  1. 강자성체
  2. 상자성체
  3. 반자성체
  4. 페리자성체
(정답률: 67%)
  • 외부 자기장이 가해지면 페리자성체는 외부 자기장과 유사한 자화방향을 가지므로 면적이 커지고, 다른 성질을 가진 자성체들과는 달리 자기장이 유지되는 시간이 길어져서 자기력이 강해진다. 따라서 정답은 "페리자성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지질공학

61. 주향 N30°E, 경사 50°SE인 절리의 방향을 경사/경사방향으로 올바르게 표시한 것은?

  1. 50°/ 120°
  2. 50°/ 30°
  3. 50°/ 300°
  4. 30°/ 50°
(정답률: 93%)
  • 주향 N30°E는 북쪽에서 동쪽으로 30도 기울어진 방향을 의미하고, 경사 50°SE는 남동쪽으로 50도 기울어진 방향을 의미한다. 따라서 이 두 방향을 합치면 남동쪽으로 120도 기울어진 방향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50°/ 12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어떤 암석시료는 시간에 따른 거동이 달라지는 creep현상을 보여 실험에 있어서도 시간에 따른 계속적인 관찰이 필요하다. 다음 중 creep현상을 가장 잘 보이는 암석은?

  1. 사암
  2. 암염
  3. 섬록암
  4. 유문암
(정답률: 알수없음)
  • 암염은 고온과 고압에서 형성되는 암석으로, 크리프 현상을 가장 잘 보이는 암석 중 하나입니다. 이는 암염이 높은 압력과 온도에서 결정구조가 변형되어 미세한 구조적 변화가 일어나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구조적 변화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누적되어 크리프 현상을 보이게 됩니다. 따라서 암염은 시간에 따른 거동이 달라지는 크리프 현상을 가장 잘 보이는 암석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터널공사시 암반조건에 대한 공학적 성질을 제시해주는 값으로 아래와 같은 Q값을 사용한다. 아래식에서(Jw/SRF)는 암반의 어떤 성질을 반영해 주는가?

  1. 풍화의 발달상태
  2. 암괴크기
  3. 전단강도
  4. 유효응력
(정답률: 알수없음)
  • (Jw/SRF)는 암반의 전단강도를 반영해 준다. 따라서 Q값은 암반의 전단강도와 관련된 값이다. 유효응력은 암반 내부에서 발생하는 응력 중 실제로 암반을 파괴시키는 데 기여하는 응력으로, 전단강도와 관련이 있다. 따라서 Q값은 유효응력과 관련이 있으며, 터널공사시 암반조건에 대한 공학적 성질을 제시해주는 값으로 유효응력을 반영해 준다. 따라서 정답은 "유효응력"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장석이 풍화되어 생성된 점토광물이 비가 많이 내리는 열대 지방에서 다시 가수분해되어 생성되는 광물은 다음 중 어느 것인가?

  1. 고령토
  2. 석고
  3. 보옥사이트
  4. 방해석
(정답률: 46%)
  • 보옥사이트는 장석이 풍화되어 생성된 점토광물이 비가 많이 내리는 열대 지방에서 다시 가수분해되어 생성되는 광물이다. 따라서 보기 중에서 보옥사이트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다음 중 충적층 또는 홍적층에서 공극율이 가장 큰 지층은?

  1. 모래, 자갈층
  2. 모래층
  3. 점토층
  4. 자갈층
(정답률: 알수없음)
  • 점토층은 입자 크기가 작아 공간 사이사이에 공기가 많이 존재하기 때문에 충적층 또는 홍적층에서 공극율이 가장 큰 지층이다. 따라서 정답은 "점토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가이벤 헤르쯔버그(Ghyben - Herzberg)법칙에 의하면 대양(大洋)의 섬이나 해안사구(砂丘)에서 담수와 해수의 비중 차이로 인해서 다음 그림과 같이 담수가 해수위에 렌즈(Lens)상으로 떠있게 된다. 이때 H와 h의 관계를 바르게 나타낸 것은? (단, 담수와 해수의 비중은 각각 1.0과 1.025이다.)

  1. H = 10h
  2. H = 20h
  3. H = 30h
  4. H = 40h
(정답률: 47%)
  • 가이벤 헤르쯔버그 법칙에 따르면, 담수와 해수의 비중 차이로 인해 담수는 해수 위에 떠있게 되며, 이 때 담수 렌즈의 높이(H)는 담수와 해수의 비중 차이에 반비례한다. 즉, H는 h의 40배가 된다. 이는 담수와 해수의 비중 차이가 0.025이기 때문에, H/h = 1/0.025 이 되고, 이를 계산하면 H = 40h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H = 40h"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불투수성 지반위의 자유면 대수층에 우물을 파고 우물의 중심으로부터 5m, 30m 되는곳에 관측정을 설치하고, 우물에서 1,140m3/일을 양수하기 시작한 후 6시간후에 정상상태에 도달하여 그림과 같은 수위 관측치를 얻었다. 대수층의 투수계수는 얼마인가?

  1. 37.82m/일
  2. 51.66m/일
  3. 118.84m/일
  4. 278.64m/일
(정답률: 50%)
  • 먼저, 우물에서 양수가 시작되면서 대수층에서는 양수에 의한 감압이 발생하게 되어 수위가 하강한다. 이후에는 대수층에서의 유속과 우물에서의 양수량이 균형을 이루게 되어 수위가 일정하게 유지된다. 이 문제에서는 6시간 후에 이미 정상상태에 도달했다고 하였으므로, 이 시점에서의 수위는 대수층에서의 유속과 우물에서의 양수량이 균형을 이루는 상태이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구해야 하는 것은 대수층에서의 유속이다. 이를 구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공식을 사용할 수 있다.

    Q = K × A × (dh/dl)

    여기서 Q는 유량, K는 투수계수, A는 단면적, dh/dl은 수위의 경사도를 나타낸다. 이 문제에서는 수위의 변화량과 거리가 주어졌으므로, dh/dl을 구할 수 있다.

    dh/dl = (h2 - h1) / L

    여기서 h1은 우물에서의 수위, h2는 관측정에서의 수위, L은 두 지점 사이의 거리이다. 이 문제에서는 h1 = 0, h2 = 2.5m, L1 = 5m, L2 = 30m 이므로,

    dh/dl1 = (2.5 - 0) / 5 = 0.5
    dh/dl2 = (2.5 - 1.5) / 30 = 0.0333

    이제 A를 구해야 하는데, 이는 우물의 단면적이다. 이 문제에서는 단면적이 주어지지 않았으므로, 단면적을 구하기 위해서는 우물의 지름이나 반지름이 필요하다.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그러한 정보가 주어지지 않았으므로, A는 구할 수 없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투수계수 K를 구할 수 없다. 따라서, 보기에서 주어진 답안 중에서는 "118.84m/일"이 정답이 아니라고 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불연속면의 주향방향이 터널진행방향과 평행하고 경사가 70°이다. 이 불연속면의 방향성이 터널의 굴진에 미치는 영향으로 맞는 것은?

  1. 매우 불리
  2. 불리
  3. 보통
  4. 유리
(정답률: 50%)
  • 정답: 매우 불리

    불연속면의 주향방향이 터널진행방향과 평행하면, 터널 굴진 시 불연속면을 가로지르는 것이 어렵고, 굴진에 많은 어려움을 초래한다. 또한, 경사각이 70°으로 매우 가파르기 때문에 안정성 문제도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상황에서는 굴진이 매우 불리하다고 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사면의 안정에서 전단응력을 증가시키는 요인 중 외적요인과 거리가 먼 것은 ?

  1. 굴착에 의한 흙의 제거
  2. 고결제의 결합력 둔화
  3. 지진, 발파에 의한 충격
  4. 균열내 작용하는 수압
(정답률: 43%)
  • 고결제의 결합력 둔화는 사면의 안정에서 전단응력을 증가시키는 요인 중 외적요인과 거리가 먼 것이다. 이는 사면의 안정을 유지하는 결합력이 감소하여 사면의 안정성이 감소하고 전단응력이 증가하기 때문이다. 이는 주로 지하공사나 지하터널 등에서 발생하는 문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다음의 연약지반 개량공법 중 지하수위를 저하시킬 목적으로 사용되는 공법은?

  1. sand drain 공법
  2. pre-loading 공법
  3. paper drain 공법
  4. well-point 공법
(정답률: 65%)
  • 정답: well-point 공법

    설명: well-point 공법은 지하수위를 저하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공법입니다. 이 공법은 지반 내부에 작은 구멍을 뚫고 그 안에 흡수관을 설치하여 지하수를 흡입하여 지하수위를 저하시키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다른 공법들은 지하수위를 저하시키는 목적으로 사용되지 않습니다.

    - sand drain 공법: 지반 내부에 모래로 채워진 배관을 설치하여 지하수를 배출하는 방법으로, 지반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사용됩니다.
    - pre-loading 공법: 지반 위에 추가하중을 가해 지반을 압축시키는 방법으로, 지반의 변형을 줄이기 위해 사용됩니다.
    - paper drain 공법: 지반 내부에 종이 배관을 설치하여 지하수를 배출하는 방법으로, 지반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레이놀드지수(Reynolds Number)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유체의 점착력에 대한 관성의 비이다.
  2. 침투수의 자유수면을 대표하는 선이다.
  3. 층류와 난류와의 구분에 대한 기준이다.
  4. 일반적으로 모든 지하수의 레이놀드지수는 1~10 이내 이다.
(정답률: 64%)
  • "일반적으로 모든 지하수의 레이놀드지수는 1~10 이내 이다."가 틀린 것입니다.

    레이놀드지수는 유체의 점착력과 관성력의 비율로, 유체의 흐름 형태를 예측하는 데 사용됩니다. 침투수의 자유수면을 대표하는 선이라는 것은 틀린 설명입니다. 레이놀드지수는 일반적으로 2300 이상이면 난류, 2300 이하면 층류로 구분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스캔라인(Scan-line) 조사기법에 대한 바른 설명은?

  1. 일정한 면적부분에 나타난 불연속면을 조사한다.
  2. 조사선을 따라 나타난 불연속면을 조사한다.
  3. 시간이 많이 걸리나 가장 정확하다.
  4. 분석시 항공사진이 필요하다.
(정답률: 알수없음)
  • 스캔라인 조사기법은 이미지나 그래픽을 처리할 때 사용되는 기법 중 하나로, 이미지를 수평 방향으로 스캔하면서 조사선을 따라 나타난 불연속면을 조사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일정한 면적부분에 나타난 불연속면을 조사하는 것이 아니라, 조사선을 따라 나타난 불연속면을 조사하기 때문에 더욱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조사선을 따라 나타난 불연속면을 조사한다."가 정답이다. 또한, 이 방법은 시간이 많이 걸리지만 가장 정확하다는 장점이 있으며, 분석시 항공사진이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암석의 풍화작용 중 화학적 작용에 해당하는 것은?

  1. 산화작용
  2. 팽창 수축 작용
  3. 결정의 작용
  4. 식물의 뿌리작용
(정답률: 93%)
  • 암석의 풍화작용 중 화학적 작용은 산화작용입니다. 이는 암석 내부의 미량금속이나 무기물이 산소와 반응하여 산화되는 과정으로, 암석의 표면이 부식되고 붉은색 등의 산화물이 생성됩니다. 이러한 산화작용은 암석의 노출면적이 크고 기후가 건조한 지역에서 더욱 활발하게 일어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불연속면의 전단강도 특징 중 잘못 설명된 것은?

  1. 불연속면에 지하수가 침투하면 전단강도는 감소한다.
  2. 불연속면의 전단강도는 불연속면내의 충전물 두께와는 무관하다.
  3. 동일한 거칠기에서 불연속면내에 연약한 충전물이 존재하면 전단강도는 감소한다.
  4. 불연속면의 거칠기가 거칠수록 전단강도는 증가한다.
(정답률: 75%)
  • 정답은 "불연속면의 전단강도는 불연속면내의 충전물 두께와는 무관하다." 이다. 이유는 불연속면의 전단강도는 불연속면 내부의 충전물 두께와 밀도에 영향을 받기 때문에 충전물 두께와는 관련이 있다. 따라서 이 보기는 잘못된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어떤 지층의 투수계수가 500m/일 이고, 동수구배가 1/1,000, 공극비가 0.25일 때, 이 지층내의 지하수 평균 유속은 얼마인가?

  1. 0.125m/일
  2. 0.5m/일
  3. 2.0m/일
  4. 2.5m/일
(정답률: 알수없음)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해상시추에서 실트층 불교란 시료를 채취 할때 가장 적합한 시료채취 샘플러는?

  1. 코아바렐(Core Barrel)
  2. 가스작동 피스톤(Gas operated piston) 샘플러
  3. 전단핀 피스톤(shear-pin piston) 샘플러
  4. 자유낙하 중력튜브(Free-fall gravity tube)
(정답률: 59%)
  • 해상시추에서 실트층 불교는 매우 미세하고 연약한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샘플링 시에는 최대한 적은 변형과 오염이 발생하도록 해야 합니다. 이에 따라 가스작동 피스톤(Gas operated piston) 샘플러가 가장 적합합니다. 이 샘플러는 가스 압력을 이용하여 시료를 채취하며, 채취 과정에서 시료가 변형되거나 오염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또한, 샘플링 후에는 시료를 쉽게 분리하여 분석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RMR에 의한 암반평가에서 가장 배점이 많은 요소는?

  1. 압축강도
  2. RQD
  3. 지하수상태
  4. 불연속면의 상태
(정답률: 34%)
  • RMR(Rock Mass Rating)에 의한 암반평가에서 가장 배점이 많은 요소는 "불연속면의 상태"입니다. 이는 암반 내부의 불연속면(절리면, 균열 등)이 암반의 안정성에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입니다. 불연속면의 상태가 좋을수록 암반의 안정성이 높아지기 때문에, 이 요소에 대한 평가가 가장 중요하게 여겨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다음 지반개량공법 중 화학적 개량공법이 아닌 것은?

  1. 페이퍼드레인공법
  2. 생석회말뚝공법
  3. 심층혼합공법
  4. 약액주입공법
(정답률: 알수없음)
  • 페이퍼드레인공법은 지반의 수분을 제거하기 위해 적층된 페이퍼드레인을 이용하는 물리적인 개량공법이며, 화학적인 처리는 하지 않는다. 따라서 정답은 "페이퍼드레인공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최근 선진국을 비롯하여 국내에서도 지반조사시 위치확인을 위해 고전적인 측량장비 대신 사용되는 것으로, 위성으로부터 자료를 받아 자기 위치를 파악해내는 장치는?

  1. SPT
  2. GPS
  3. GIS
  4. CBR
(정답률: 79%)
  • GPS는 Global Positioning System의 약자로, 위성으로부터 신호를 받아 자신의 위치를 파악하는 시스템이다. 따라서 지반조사시 위치확인을 위해 사용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다음 설명 중 틀린 것은?

  1. 현지암반의 투수계수는 무결암의 투수계수보다 크다.
  2. 현지암반의 투수계수는 보통 이방성을 나타낸다.
  3. 일반적으로 심도가 증가할수록 현지암반의 투수계수는 감소한다.
  4. 층리면에 수직한 방향의 투수계수는 수평한 방향의 투수계수보다 크다.
(정답률: 알수없음)
  • "현지암반의 투수계수는 무결암의 투수계수보다 크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실제로는 암반의 종류에 따라 투수계수가 다르며, 무결암보다 큰 경우도 있고 작은 경우도 있습니다.

    층리면에 수직한 방향의 투수계수가 수평한 방향의 투수계수보다 큰 이유는, 층리면에 수직한 방향은 암반의 구조와 일치하기 때문에 물이 더 잘 통과하기 때문입니다. 즉, 층리면은 물이 흐르는 경로가 되기 때문에 투수계수가 높아지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과목: 광상학

81. 다음은 우리나라 금광상에 대한 설명이다. 옳은 설명은?

  1. 우리나라에는 사금광상이 없다.
  2. 중생대 화강암류와 성인적인 관련성이 크다.
  3. 에렉트럼은 우리나라에서는 산출되지 않는 금-은 광물이다.
  4. 우리나라 금광상에서는 모암의 변질이 일어나지 않는다.
(정답률: 48%)
  • 정답은 "중생대 화강암류와 성인적인 관련성이 크다." 이다. 이유는 우리나라의 대부분의 금광상이 중생대 화강암류와 관련이 있기 때문이다. 중생대 화강암류는 지하에서 녹는 물이 화강암을 통해 상승하면서 금을 운반하고, 이를 퇴적시켜서 금광상을 형성한다. 따라서 우리나라의 대부분의 금광상은 중생대 화강암류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니켈, 크롬광상은 다음 중 주로 어느 것에 속하는가?

  1. 정마그마성광상
  2. 페그마타이트광상
  3. 기성광상
  4. 접촉광상
(정답률: 56%)
  • 니켈, 크롬광상은 주로 정마그마성광상에 속합니다. 이는 마그마가 결정화되어 형성된 광물로, 니켈과 크롬이 함유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광물이 많이 존재하는 지역에서는 니켈과 크롬 광상이 발견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우리나라에서 우라늄을 가장 많이 함유하고 있는 지층은?

  1. 옥천계 탄질 점판암층
  2. 평안계 탄질 셰일층
  3. 대동계 탄질 셰일층
  4. 경상계 탄질 셰일층
(정답률: 알수없음)
  • 옥천계 탄질 점판암층은 우라늄 함량이 높은 지층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는 지질학적인 특성과 지역적인 조건 등이 결합하여 우라늄이 축적되기 적합한 환경을 제공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우리나라에서 우라늄을 가장 많이 함유하고 있는 지층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고령토 광상에 대하여 설명한 것 중 틀린 것은?

  1. 고령토의 화학식은 K2O Al2O3 6SiO2 이다.
  2. 우리나라에는 경상남도에 많이 분포한다.
  3. 가장 중요한 용도는 요업 원료이다.
  4. 고령토의 품질은 백색도(whiteness)와 내화도(SK)를 주로 본다.
(정답률: 28%)
  • "고령토의 화학식은 K2O Al2O3 6SiO2 이다."라는 설명이 틀린 것은 아니다. 따라서 정답은 없다.

    고령토는 우리나라 경상남도에 많이 분포하며, 요업 원료로 가장 중요한 용도를 가지고 있다. 고령토의 품질은 백색도(whiteness)와 내화도(SK)를 주로 본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다음 중 주로 정출작용에 의하여 형성되는 광상은?

  1. 풍화잔류광상
  2. 접촉교대광상
  3. 침전광상
  4. 정마그마광상
(정답률: 알수없음)
  • 정출작용은 지하에서 일어나는 암석의 운동과 변형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정출작용으로 인해 암석 내부에서는 압력과 온도가 상승하게 되는데, 이로 인해 암석 내부의 미네랄들이 변화하면서 새로운 미네랄들이 생성됩니다. 이때 생성된 미네랄들이 형성하는 광물질을 정마그마광상이라고 합니다. 따라서 정마그마광상은 정출작용에 의해 형성되는 광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남아프리카의 부슈벨드 화성복합체(Bushveld Igneous Complex)에서 가장 많이 산출되는 원소는?

  1. 니켈
  2. 크롬
  3. 구리
(정답률: 알수없음)
  • 부슈벨드 화성복합체는 크롬과 니켈을 비롯한 많은 금속 원소를 포함하고 있지만, 가장 많이 산출되는 원소는 크롬입니다. 이는 부슈벨드 화성복합체가 크롬-니켈 탄성마그마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크롬이 가장 많이 산출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한 개의 큰 광물속에 작은 다른 종류의 결정들이 불규칙하게 많이 들어있는 조직은?

  1. 반상석리(porphyritic texture)
  2. 문상석리(graphic texture)
  3. 포이킬리틱석리(poikilitic texture)
  4. 어란상석리(o梗litic texture)
(정답률: 알수없음)
  • 포이킬리틱석리는 큰 결정들이 작은 결정들을 둘러싸고 있는 형태를 말합니다. 따라서 한 개의 큰 광물속에 작은 다른 종류의 결정들이 불규칙하게 많이 들어있는 조직이 포이킬리틱석리인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우리나라 선캠브리아 이언의 광화작용에 대한 설명은?

  1. 열수 광화작용이 활발히 진행되었다.
  2. 마그마 분화광상으로 양양광상 등이 있다.
  3. 석탄 자원의 대부분이 이 시기의 지층에 부존한다.
  4. 국내 대규모 스카른 광상의 형성이 이루어진 시기이다.
(정답률: 19%)
  • 선캠브리아 이언의 광화작용은 열수 광화작용이 활발히 진행되었으며, 이로 인해 마그마 분화광상이 형성되었다. 이러한 마그마 분화광상 중 양양광상 등이 이 시기에 형성되었다는 것이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광물결정중의 유체 포유물을 이용하여 얻을 수 있는 자료는?

  1. 점성도
  2. 광상생성온도
  3. 이온크기
  4. 확산온도
(정답률: 70%)
  • 광물결정 내부에 포함된 유체 포유물은 광상생성온도를 통해 알 수 있습니다. 광상생성온도란, 광물결정 내부에 포함된 유체 포유물이 결정화되는 온도를 말합니다. 이는 광물의 형성과정, 화학성분 등을 파악하는 데 중요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따라서 광상생성온도는 광물학 연구에서 매우 중요한 자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광상에서 광물생성의 시간적 순서를 의미하는 용어는?

  1. 광물공생관계
  2. 광물대상분포
  3. 광물상관계
  4. 표준광물조합
(정답률: 62%)
  • 정답은 "광물공생관계"입니다. 이 용어는 광물이 생성되는 시간적 순서를 나타내는 용어로, 한 종류의 광물이 다른 종류의 광물을 생성하는 과정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철광석이 생성되기 위해서는 황화물이 먼저 생성되어야 하므로, 황화물과 철광석은 광물공생관계에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우리나라 불국사 화강암의 관입 시기는?

  1. 백악기
  2. 쥬라기
  3. 트라이아스기
  4. 석탄기
(정답률: 59%)
  • 불국사 화강암의 관입 시기는 백악기이다. 이는 백악기 시기에 형성된 화강암이 불국사에 관입되어 있기 때문이다. 다른 보기인 쥬라기, 트라이아스기, 석탄기는 모두 백악기 이전의 시기이므로 불국사 화강암과는 관련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우리나라의 지하자원 중 신생대 암석 내에서 주로 산출되는 광석은?

  1. 납석
  2. 무연탄
  3. 석회석
  4. 벤토나이트
(정답률: 62%)
  • 신생대 암석은 대부분 화산암이며, 벤토나이트는 화산재에서 생성되는 광물로서, 신생대 암석 내에서 주로 산출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벤토나이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Bowen의 불연속 반응계열은? (단, 고온 →저온)

  1. 감람석 →휘석 →각섬석 →흑운모 →석영
  2. 감람석 →각섬석 →휘석 →흑운모 →석영
  3. 감람석 →회장석 →휘석 →흑운모 →석영
  4. 감람석 →사장석 →휘석 →흑운모 →석영
(정답률: 75%)
  • Bowen의 불연속 반응계열은 고온에서부터 저온까지 암석이 형성되는 과정을 나타내는데, 이 과정에서 각각의 암석은 이전 암석에서 변화하여 형성된다. 따라서 "감람석 →휘석 →각섬석 →흑운모 →석영"은 감람석이 먼저 형성되고, 이후에 휘석, 각섬석, 흑운모, 석영 순서로 형성된다는 것을 나타낸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우리나라 맥상 금속광화작용과 가장 밀접한 관계를 갖는 광상 생성기는?

  1. 선캠브리아기
  2. 고생대
  3. 중생대
  4. 신생대
(정답률: 87%)
  • 중생대는 지질학적으로 맥상 금속광화작용이 가장 활발하게 일어난 시기이기 때문입니다. 이 시기에는 대량의 황산염과 산화물이 생성되어 맥상 금속광화작용이 일어나게 되었습니다. 또한, 이 시기에는 광상 생성기인 황산염을 생성하는 화산활동이 활발하게 일어나기도 했습니다. 따라서 중생대는 맥상 금속광화작용과 밀접한 관계를 갖는 광상 생성기인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스카른(Skarn) 광물에 속하는 것은?

  1. 방해석, 중정석
  2. 정장석, 사장석
  3. 석류석, 규회석
  4. 흑운모, 감람석
(정답률: 알수없음)
  • 스카른(Skarn) 광물은 저온·중압 환경에서 형성되는 광물로, 주로 칼슘, 마그네슘, 철, 알루미늄 등의 금속 원소와 규산염, 탄산염 등의 비금속 원소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이 중에서 석류석과 규회석은 스카른 광물 중 가장 흔하게 나타나는 종류로, 각각 칼슘과 마그네슘을 주성분으로 함유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석류석, 규회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기원에 관계없이 지하에 존재하는 모든 뜨거운 액상의 유체를 의미하는 것은?

  1. 공극수
  2. 변성수
  3. 열수
  4. 순환수
(정답률: 알수없음)
  • 지하에 존재하는 모든 뜨거운 액상의 유체를 의미하는 것은 열수입니다. 이는 지열 발전 등에서 이용되는데, 지하에서 추출한 열수를 이용하여 발전기를 작동시키는 것입니다. 공극수는 지하의 공극에 존재하는 물을 의미하며, 변성수는 압력과 온도가 변화하여 상태가 변하는 물을 의미합니다. 순환수는 열교환을 위해 사용되는 냉각수를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열수광상의 모암 변질이 아닌 것은?

  1. 녹니석화작용(Chloritization)
  2. 견운모화작용(Sericitization)
  3. 명반석화작용(Alunitization)
  4. 전기석화작용(Tourmalinization)
(정답률: 50%)
  • 전기석화작용은 열수광상의 모암을 변질시키는 과정 중 하나로, 광물인 투르말린이 모암 내부에 침투하여 형성되는 것을 말합니다. 이 과정은 전기석화작용을 일으키는 환경에서 모암이 노출되어 있을 때 발생하며, 투르말린은 전기적으로 중성인 성질을 가지고 있어 다양한 화학적 조건에서 형성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열수광상의 모암 변질 중 전기석화작용은 그 중 하나입니다. 반면, 녹니석화작용은 모암 내부의 철분이 산화되어 염색체가 형성되는 과정, 견운모화작용은 모암 내부의 광물이 세리시트로 변질되는 과정, 명반석화작용은 모암 내부의 알루미늄이 황산염과 반응하여 명반석이 형성되는 과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다음은 우리나라 철광상이 밀집 분포하는 지역이다. 틀린 것은?

  1. 경남 고성지구
  2. 강원도 홍천지구
  3. 강원도 양양-영월지구
  4. 충북 충주지구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경남 고성지구"이다. 우리나라 철광상이 밀집 분포하는 지역은 "강원도 홍천지구", "강원도 양양-영월지구", "충북 충주지구"이다. 경남 고성지구는 철광석이 아닌 천연가스와 석유 등 자원이 발견되는 지역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다음 설명 중 틀린 것은?

  1. 광상의 가치를 결정하는 요인은 품위와 매장량이다.
  2. 광석이 광산물로서 상품 가치의 기준이 되는 척도를 품위라고 한다.
  3. 지하에 광석이 채굴할 정도로 농집된 장소를 광상이라고 한다.
  4. 광석 내에 들어있는 맥석광물을 분리하는 작업을 정광이라고 한다.
(정답률: 70%)
  • 다음 설명 중 틀린 것은 "지하에 광석이 채굴할 정도로 농집된 장소를 광상이라고 한다." 이다. 광상은 광물이 존재하는 지역 전체를 가리키는 용어이며, 광산은 광상에서 광물을 채굴하는 시설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상동 중석광상에 관련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이 광상은 전형적인 스카른 광상에 속한다.
  2. 이 광상의 관계화성암은 백악기 화강암이다.
  3. 주 광체는 풍촌석회암과 묘봉슬레이층 내에 배태된다.
  4. 이 광상에서 광석을 함유하는 석영맥은 산출되지 않는다.
(정답률: 알수없음)
  • "이 광상에서 광석을 함유하는 석영맥은 산출되지 않는다."가 틀린 설명이다. 이 광상에서는 석영맥이 함유되어 있으며, 석영맥은 광석으로 산출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