응용지질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5-03-08)

응용지질기사
(2015-03-08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암석학 및 광물학

1. 다음 중 편암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육안으로는 결정이 구분이 되지 않는다.
  2. 엽리구조는 편마암보다 나란하고 더 얇다.
  3. 편리에 따라 비교적 잘 쪼개진다.
  4. 셰일이 광역변성작용을 받아 생성된다.
(정답률: 86%)
  • "육안으로는 결정이 구분이 되지 않는다."는 옳은 설명이다. 이는 편암의 성질 중 하나로, 편암은 미세한 결정들이 모여서 이루어져 있어서 눈으로는 그 구성요소를 구분하기 어렵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편암의 구성요소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광학현미경 등의 도구를 사용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다음 중 이질암에서 기원된 녹색 편암상의 광물 조합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1. 녹니석
  2. 석류석
  3. 조장석
  4. 백운모
(정답률: 54%)
  • 이질암에서 기원된 녹색 편암상의 광물 조합은 녹니석, 조장석, 백운모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그러나 석류석은 이질암에서 기원되지 않기 때문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냉각되어 안산암을 이루는 중성마그마가 생성되는 방법으로 적당하지 않은 것은?

  1. 마그마 분화작용
  2. 동화작용
  3. 마그마의 혼합
  4. 마그마의 급냉
(정답률: 76%)
  • 마그마의 급냉은 적당하지 않은 방법입니다. 이는 마그마가 빠르게 냉각되어 고체로 변하는 과정으로, 이러한 과정에서는 마그마 내부의 물질이 충분히 혼합되지 않아 안산암과 같은 중성암이 생성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안산암을 생성하는 방법은 마그마 분화작용, 동화작용, 마그마의 혼합 등 다른 방법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비교적 얕은 곳에서 잔물결이나 유동하는 물의 작용이 퇴적물 표면에 미쳐서 나타나는 파상(波狀)의 자국이 지층 중에 그대로 보존되어 있는 구조는?

  1. 연흔(ripple mark)
  2. 사층리(cross-bedding)
  3. 건열(mud-mark)
  4. 결핵체(concretion)
(정답률: 87%)
  • 연흔은 비교적 얕은 물 속에서 잔물결이나 유동하는 물의 작용이 퇴적물 표면에 미치는 파동의 자국이 지층 중에 그대로 보존되어 있는 구조입니다. 따라서 연흔은 지층에서 파동이나 유동성이 있는 환경에서 형성되며, 퇴적물의 표면에 나타나는 구조로서 퇴적환경을 파악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사층리는 퇴적층 내에서 퇴적물 입자가 특정 방향으로 적층되는 구조이고, 건열은 퇴적층 내에서 건조한 퇴적물 표면에 생기는 균열 구조입니다. 결핵체는 퇴적층 내에서 특정 물질이 결합하여 형성되는 구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다음 중 화학적 풍화작용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용해작용
  2. 산화작용
  3. 동결작용
  4. 수화작용
(정답률: 89%)
  • 화학적 풍화작용은 화학 반응을 통해 암석이 분해되는 것을 말합니다. 이 중에서 동결작용은 물이 얼어서 암석에 물이 침투하여 암석을 분해시키는 물리적인 작용입니다. 따라서 화학적 풍화작용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다음 중 엽리가 발달되어 있지 않고 치밀하고 단단한 조직을 보여주는 변성암은?

  1. 압쇄암
  2. 혼펠스
  3. 점판암
  4. 편마암
(정답률: 74%)
  • 혼펠스는 엽리가 발달되어 있지 않고 치밀하고 단단한 조직을 보여주는 변성암이다. 이는 혼펠스가 극성이 없는 섬유조직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다른 보기인 압쇄암, 점판암, 편마암은 엽리가 발달되어 있거나 다양한 세포들이 혼합되어 있는 조직을 보여주므로 정답이 될 수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주로 조회장석(labradorite)과 휘석(pyroxene)으로 구성된 관입화성암으로서 오피틱(ophitic)조직을 갖는 특징이 있는 암석은?

  1. 사문암
  2. 휘록암
  3. 섬록반암
  4. 섬장반암
(정답률: 78%)
  • 주로 조회장석과 휘석으로 구성된 관입화성암은 휘록암이다. 이 암석은 오피틱 조직을 갖는데, 이는 큰 크기의 휘석이 주변 조회장석으로 둘러싸인 형태를 띄는 것을 말한다. 따라서 휘록암은 조회장석과 휘석으로 이루어진 오피틱 조직을 갖는 암석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하천과 호수가 많이 발달한 지역에 주로 생성되는 퇴적암이 아닌 것은?

  1. 사암
  2. 역암
  3. 이암
  4. 표석점토암
(정답률: 79%)
  • 표석점토암은 하천과 호수가 많이 발달한 지역에서 생성되지 않습니다. 이는 표석점토암이 주로 해안에서 형성되는 암석으로, 해안에서 발생하는 파도와 해류 등의 영향을 받아 형성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주어진 보기 중에서 표석점토암이 하천과 호수가 많이 발달한 지역에서 생성되지 않는 암석이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화성암이 염기성암에서 산성암으로 이동함에 따른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Na2O + K2O의 함유량 증가
  2. CaO + FeO의 함유량 감소
  3. 유색광물의 함유량 증가
  4. SiO2의 함유량 증가
(정답률: 73%)
  • "Na2O + K2O의 함유량 증가"는 화성암이 염기성암에서 산성암으로 이동함에 따른 설명으로 옳지 않습니다.

    유색광물의 함유량이 증가하는 이유는 화성암이 염기성암에서 산성암으로 이동하면서 녹는 암석의 조성이 변화하기 때문입니다. 염기성암은 풍화에 의해 분해되면서 풍화액에 함유된 Na, K, Ca, Mg 등의 이온들이 용해되어 나갑니다. 이에 반해 산성암은 풍화에 의해 분해되어도 이온들이 용해되지 않고 암석 내부에 남아있게 됩니다. 따라서 화성암이 염기성암에서 산성암으로 이동하면서 이온들이 빠져나가고, 이에 따라 유색광물의 함유량이 증가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유출된 현무암질 용암의 표면이 먼저 고결되고 내부에 고온의 액상 용암이 들어있을 때, 위로부터 용암이 추가되면서 고결된 표부를 뚫고 내부의 용암이 전부 유출되어 생긴 것은?

  1. 마그마 챔버
  2. 화도
  3. 베개용암
  4. 용암터널
(정답률: 79%)
  • 위로부터 추가된 용암이 고결된 표면을 뚫고 내부의 용암이 유출되는 현상을 용암터널이라고 합니다. 이는 용암이 지하에서 흐르다가 표면에 도달하여 고결된 표면을 만나면서 생기는 현상으로, 용암이 지하에서 흐르는 동안에는 표면이 고결되지 않기 때문에 이러한 현상이 발생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연마한 광물의 표면에 미세한 전자선을 조사시켜 발생되는 2차 X-선스펙트럼의 파장과 강도를 분해함으로서 광물에 들어 있는 원소들을 측정하는 분석법은 무엇인가?

  1. 전자현미분석
  2. X-선형광분광분석
  3. 원자흡수분광분석
  4. 중성자회절분석
(정답률: 68%)
  • 전자현미분석은 광물의 표면에 미세한 전자선을 조사하여 발생되는 2차 X-선스펙트럼의 파장과 강도를 분석하여 광물에 들어 있는 원소들을 측정하는 분석법이다. 이는 광물 내부의 원소들을 직접 분석하는 것이 아니라 표면에서 발생하는 X-선을 분석하여 원소를 파악하는 것이기 때문에 비파괴적인 분석법으로서 매우 유용하다. 따라서 정답은 "전자현미분석"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라브라도라이트 사장석 표면에서 관찰되는 라브라도리슨스(labradorescence)효과의 원인은?

  1. 원자 층에서 일어나는 빛의 회절효과
  2. 알바이트 사장석과 경계에서 일어나는 빛의 간섭효과
  3. 신선한 광물표면에서 일어나는 빛의 반사효과
  4. 취편쌍정 경계에서 일어나는 빛의 간섭효과
(정답률: 66%)
  • 라브라도라이트 사장석은 취편쌍정이라는 특별한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 구조에서 빛이 사장석 내부를 통과할 때 취편쌍정 경계에서 빛의 간섭효과가 일어나게 됩니다. 이 간섭효과로 인해 빛의 파장이 분산되어 다양한 색상의 빛이 발생하며, 이것이 라브라도리슨스 효과의 원인이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취편쌍정 경계에서 일어나는 빛의 간섭효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원자가 전자를 얻을 경우 생성되는 것은 무엇인가?

  1. 양이온
  2. 음이온
  3. 중성자
  4. 양성자
(정답률: 75%)
  • 원자가 전자를 얻을 경우, 전자 수가 원자핵의 양보다 많아지므로 전하가 음(-)으로 남게 됩니다. 이렇게 전하가 음(-)인 이온을 음이온이라고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음이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반금속에 해당되지 않는 원소는?

  1. 탄소
  2. 붕소
  3. 규소
  4. 비소
(정답률: 67%)
  • 탄소는 반금속에 해당되지 않는 원소입니다. 이는 탄소가 전자를 받아들이는 능력이 없고, 전기전도도가 낮기 때문입니다. 반면, 붕소, 규소, 비소는 전자를 받아들이는 능력이 있고, 전기전도도가 높아 반금속에 해당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결정면 상에 조선(striation)이 발달되어 있는 특징을 흔히 관찰할 수 있는 광물은?

  1. 백운모
  2. 적철석
  3. 황철석
  4. 감람석
(정답률: 55%)
  • 황철석은 결정면 상에 조선이 발달되어 있는 특징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이러한 특징을 관찰할 수 있는 광물이다. 다른 보기인 백운모, 적철석, 감람석은 이러한 특징을 가지고 있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광물의 인터그로스(intergrowth) 조직은 광물들이 정출되면서 함께 성장하여 만든 조직이다. 아래 그림은 용리작용에 의해 알칼리 장석 내 사장석이 정출되면서 만든 조직이다. 이러한 조직을 무엇이라 하는가?

  1. 문상조직(graphic texture)
  2. 미르메카이트 조직(mymekitic texture)
  3. 엽리 조직(lamella texture)
  4. 퍼어다이트 조직(perthitic texture)
(정답률: 83%)
  • 정답은 "퍼어다이트 조직(perthitic texture)"이다. 이 조직은 알칼리 장석과 사장석이 인터그로스 조직을 형성하면서 함께 성장한 것으로, 알칼리 장석의 성장 방향에 따라 사장석이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되어 보이는 형태를 띈다. 이러한 형태는 퍼어다인(perthite)이라는 광물의 성장 방향과 관련이 있다. 따라서 이 조직은 "퍼어다이트 조직(perthitic texture)"이라고 부른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산소원자의 원자량은 16, 칼슘원자의 원자량은 40, 탄소원자의 원자량은 12이다. 방해석의 화학식량은?

  1. 68
  2. 100
  3. 104
  4. 112
(정답률: 73%)
  • 방해석의 화학식은 CaCO3이다. 이 화합물의 분자량은 40 + 12 + (16 x 3) = 100 이므로, 정답은 "10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동일한 물질로 구성된 2개 또는 그 이상의 결정이 서로 일정한 결정학적인 관계를 가지고 결합하여 있는 것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동질이상
  2. 고용체
  3. 쌍정
  4. 대칭
(정답률: 76%)
  • 쌍정은 동일한 물질로 구성된 2개 또는 그 이상의 결정이 서로 일정한 결정학적인 관계를 가지고 결합하여 있는 것을 말합니다. 이 때, 각 결정은 대칭적인 위치에 있으며, 서로 대칭을 이루는 형태로 결합합니다. 따라서 쌍정은 대칭성이 높은 결정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광물이 갖는 고유의 색을 설명하는 것으로 결정장이론(crystal field theory)이 있다. 즉, 광물을 구성하는 화학원소 중 전이원소가 발색의 원인이라는 이론이다. 다음 광물 중 해당 전이원소와 고유의 색의 연결이 올바르지 않는 것은?

  1. 루비(강옥) - Cr3+ - 적색
  2. 자수정(석영) - Si4+ - 보라색
  3. 페리도트(감람석) - Fe2+ - 녹색
  4. 모거나이트(녹주석) - Mn2+ - 분홍색
(정답률: 65%)
  • 자수정(석영) - Si4+ - 보라색은 올바르지 않은 연결이다. 자수정(석영)은 SiO2로 구성되어 있으며, Si4+는 전이원소가 아니므로 발색의 원인이 될 수 없다. 자수정의 보라색은 결정 내부의 불순물에 의해 발생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등축정계 완면상정족에 속하는 결정에서 대칭면의 수는 모두 몇 개인가? (단, 육팔면체정족임)

  1. 3개
  2. 6개
  3. 9개
  4. 12개
(정답률: 61%)
  • 육팔면체는 총 8개의 정점과 12개의 모서리, 6개의 면으로 이루어져 있다. 등축정계 완면상정족에서는 각 면이 대칭면을 가지므로, 대칭면의 수는 전체 면의 수의 절반인 3개가 된다. 하지만 육팔면체는 대칭면이 여러 개인 경우가 있기 때문에, 이를 고려해야 한다.

    육팔면체의 대칭면은 다음과 같다.

    1. 윗면과 아랫면
    2. 앞면과 뒷면
    3. 왼쪽면과 오른쪽면
    4. 윗면과 뒷면이 이루는 면
    5. 윗면과 왼쪽면이 이루는 면
    6. 윗면과 오른쪽면이 이루는 면
    7. 아랫면과 뒷면이 이루는 면
    8. 아랫면과 왼쪽면이 이루는 면
    9. 아랫면과 오른쪽면이 이루는 면

    따라서, 대칭면의 수는 9개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구조지질학

21. 인도판과 유라시아판의 경계 특성으로 알맞은 것은?

  1. 발산 경계
  2. 압등 경계
  3. 변환단층 경계
  4. 충돌 경계
(정답률: 75%)
  • 인도판과 유라시아판은 서로 충돌하면서 산맥을 형성하는데, 이러한 경계를 충돌 경계라고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충돌 경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화석은 과거에 살았던 동·식물의 유해나 흔적을 말한다. 다음 중 화석이 가지는 의의로서 옳지 않은 것은?

  1. 생물진화의 증거
  2. 지질시대 결정
  3. 지하내부구조 해석
  4. 고환경에 대한 추적
(정답률: 91%)
  • "지하내부구조 해석"은 화석의 의의 중에서 옳지 않은 것이다. 화석은 지질시대 결정과 생물진화의 증거로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과거의 환경과 생물들의 모습을 추적하는 데에도 사용된다. 하지만 "지하내부구조 해석"은 화석이 가지는 의의와는 관련이 없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화강암과 같은 등방성(isotropic) 암석이 풍화작용으로 하중이 감소될 때 생긱는 절리는?

  1. 주상절리(columnar joint)
  2. 층상절리(sheeting joint)
  3. 우모상절리(feather joint)
  4. 공액절리(conjugate joint)
(정답률: 77%)
  • 화강암과 같은 등방성 암석은 풍화작용으로 하중이 감소될 때 층상절리(sheeting joint)가 생긴다. 이는 암석 내부의 응력이 외부로 방출되면서 평평한 절리면이 형성되는 것으로, 이러한 절리면이 서로 교차하여 다각형 모양의 블록을 형성한다. 이는 화강암과 같은 등방성 암석이 하중이 감소될 때 생기는 특징적인 절리로, 다른 보기들과는 구분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지진발생의 사전 조짐과 관련이 없는 것은?

  1. 급격한 기상변화
  2. 동물들의 기이한 행동
  3. 지구 자기(magnetism)의 불안정
  4. 미진(tiny earthquakes)의 빈번한 발생
(정답률: 79%)
  • 급격한 기상변화는 지진 발생과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 지진 발생은 지하에서의 지각 변동으로 인한 것이며, 기상변화는 대기권에서 일어나는 현상입니다. 따라서 지진 발생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다음 그림은 방해석으로 충전된 인장절리(tension cracks, 짙은 실선)들이 관찰되는 수직단면도이다. 이와 같은 인장절리를 수반할 수 있는 단층의 종류는?

  1. 정단층
  2. 역단층
  3. 우수향 주향이동단층
  4. 좌수향 주향이동단층
(정답률: 45%)
  • 인장절리는 지하암반에서 인장응력이 작용하여 발생하는 현상이다. 이러한 현상은 보통 역단층에서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역단층은 지반층이 기울어져 있는 경우에 발생하는데, 이 때 상부층이 하부층보다 더욱 높은 압력을 받아 인장응력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역단층에서는 인장절리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도 인장절리를 수반할 수 있는 단층의 종류는 역단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스테레오 넷을 이용하여 습곡구조 또는 절리의 방향성을 분석하는 방법이 아닌 것은?

  1. 등고선 다이어그램(contour diagram)
  2. 장미 다이어그램(rose diagram)
  3. 폴 다이어그램(pole diagram)
  4. 응력-변형률 다이어그램(stress-strain diagram)
(정답률: 69%)
  • 응력-변형률 다이어그램은 재료의 물성을 분석하는 것으로, 스테레오 넷을 이용하여 구조물의 방향성을 분석하는 것과는 관련이 없기 때문에 정답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2004년 12월에 발생하여 쓰나미 등 큰 재난을 야기하였던 인도네시아 지진 발생 지역과 가장 유사한 지체구조적 특성을 갖는 곳은?

  1. 일본
  2. 히말라야 산맥
  3. 산 안드레아스 단층
  4. 중앙대서양 산맥
(정답률: 88%)
  • 일본은 인도네시아와 같이 활동적인 플레이트 경계선이 지나가는 지역으로, 지진과 쓰나미 위험이 높은 지역입니다. 또한 일본은 인도네시아와 같이 화산 활동이 활발한 지역으로, 지진과 함께 화산 폭발 등의 재해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지체구조적 특성으로 인해 일본은 인도네시아와 유사한 지진 발생 지역으로 꼽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지구내부 구조에서 저속도층(low velocity layer)이 위치하는 곳은?

  1. 암석권(lithosphere)
  2. 하부맨틀(lower mantle)
  3. 연약권(asthenosphere)
  4. 핵(core)
(정답률: 72%)
  • 저속도층은 지하 100km~250km 정도의 깊이에 위치하며, 이곳은 연약권이라고 불리는 지하층입니다. 연약권은 암석권 위에 위치하며, 맨틀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이 지하층은 암석권과 하부맨틀 사이에 위치하며, 암석권과 하부맨틀보다는 약간 더 높은 온도와 압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 지하층은 암석권과 하부맨틀보다는 더 연약하고 유동성이 높은 지하층으로, 지진파가 이 지하층을 통과할 때 속도가 느려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돌리네(doline) 구조가 발달할 수 있는 지층이 아닌 것은?

  1. 풍촌층
  2. 함백산층
  3. 막동층
  4. 두위봉층
(정답률: 72%)
  • 돌리네(doline) 구조는 카르스트 지형에서 발달하는 현상으로, 카르스트 지층에서 용암층이나 흙질층 등으로 막히지 않은 지층에서 발생합니다. 따라서, 함백산층은 용암층으로 막혀있는 지층이기 때문에 돌리네 구조가 발달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지진파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S파는 형태의 일시적인 변화를 주변서 매질을 이동하는 실체파이다.
  2. P파는 진행방향에 수직방향으로 매질의 입자를 진동시키면서 이동한다.
  3. 표면파는 P파나 S파에 비해 속도가 느리다.
  4. S파는 액체 및 기체를 통과하지 못한다.
(정답률: 83%)
  • "P파는 진행방향에 수직방향으로 매질의 입자를 진동시키면서 이동한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P파는 매질의 진행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진동하면서 이동한다. 이는 매질의 압축과 팽창으로 이루어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대륙지각의 평균 밀도가 2.5g/cm3일 때 대륙지각 하부인 30km 깊이에서의 정암압(lithostatic pressure)은? (단, 중력가속도 g = 9.8m/sec2 임)

  1. 73.5MPa
  2. 735MPa
  3. 76.5MPa
  4. 765MPa
(정답률: 76%)
  • 정암압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P = ρgh

    여기서 P는 정암압, ρ는 밀도, g는 중력가속도, h는 깊이입니다.

    따라서 대륙지각 하부인 30km 깊이에서의 정암압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P = 2.5g/cm³ x 9.8m/sec² x 30km x 1000m/km / 100cm/m
    = 735MPa

    따라서 정답은 "735MPa"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대륙지각과 해양지각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대륙지각의 평균 두께는 해양지각보다 두껍다.
  2. 해양지각은 주로 현무암으로 구성되어 있다.
  3. 대륙지각은 해양지각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균질한 화학조성을 갖는다.
  4. 해양지각의 평균밀도는 대륙지각보다 크다.
(정답률: 77%)
  • "대륙지각은 해양지각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균질한 화학조성을 갖는다."가 옳지 않은 것입니다. 대륙지각은 다양한 종류의 암석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화학조성도 지역에 따라 다양합니다. 따라서 대륙지각은 해양지각보다 화학조성이 더 다양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부딘구조(boudins structure) 또는 팽창구조(pinch and swell structure)로 알 수 있는 정보는?

  1. 습곡축의 대체적인 방향과 경사
  2. 지층의 정상과 역적
  3. 습곡작용 횟수
  4. 지층의 물리적 성질
(정답률: 77%)
  • 부딘구조는 지층이 습곡작용에 의해 늘어나거나 줄어들면서 형성되는 구조로, 이 구조를 보면 습곡축의 대체적인 방향과 경사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지층의 정상과 역적, 습곡작용 횟수, 지층의 물리적 성질도 부딘구조에서 파악할 수 있는 정보 중 일부이지만, 습곡축의 대체적인 방향과 경사가 가장 명확하게 드러나는 특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고생대말의 대륙 형태로 가장 알맞은 것은?

  1. 대륙 충돌로 인하여 초거대 대륙인 판게아가 형성되었다.
  2. 남쪽 대륙인 곤드와나에서 로라시아 등 북쪽 대륙이 분리되었다.
  3. 아프리카 대륙으로부터 마다카스카르가 분리되었다.
  4. 인도가 아시아 대륙과 충돌하였다.
(정답률: 81%)
  • 인도 대륙이 아시아 대륙과 충돌하여 힘을 받아 지형이 높아지고, 이로 인해 초거대 대륙인 판게아가 형성되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바람의 풍반작용과 마모작용을 통해 만들어진 지형이 아닌 것은?

  1. 사막포장(desert pavement)
  2. 야당(yardang)
  3. 사구(sand dune)
  4. 풍식력(ventifact)
(정답률: 61%)
  • 사막포장, 야당, 사구, 풍식력은 모두 바람의 풍반작용과 마모작용에 의해 만들어진 지형이지만, 사구는 모래가 바람에 의해 쌓여서 만들어진 작은 언덕이나 언덕 모양의 지형을 말합니다. 따라서, 사구가 아닌 것은 바람의 풍반작용과 마모작용에 의해 만들어진 지형이 아닌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지질시대를 구분하는 가장 큰 기준이 되는 것은?

  1. 운석의 충돌
  2. 절대연령 측정값
  3. 생물의 진화과정
  4. 암석의 변성도 차이
(정답률: 74%)
  • 지질시대를 구분하는 가장 큰 기준은 생물의 진화과정이다. 지질시대는 지구의 지질적 변화와 함께 생물의 진화와 다양화가 일어난 시기를 나타내기 때문이다. 따라서 지질학자들은 지질층에서 발견되는 화석을 통해 생물의 진화과정을 파악하고, 이를 기준으로 지질시대를 구분하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드러스트 단층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드러스트 단층은 저각도 정단층으로 조산운동 시 흔히 만들어진다.
  2. 드러스트 단층은 고기의 지층을 신기의 지층 위로 올려 놓는다.
  3. 드러스트 단층면의 경사가 바뀌는 곳, 특히 경사면 부근에서 습곡구조가 형성되기도 한다.
  4. 드러스트 단층은 조구조 운동방향 (tectonic transport direction)으로 지질단면을 절단한다.
(정답률: 75%)
  • "드러스트 단층은 고기의 지층을 신기의 지층 위로 올려 놓는다."가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드러스트 단층은 저각도 정단층으로 조산운동 시 흔히 만들어지며, 조구조 운동방향으로 지질단면을 절단합니다. 또한 드러스트 단층면의 경사가 바뀌는 곳, 특히 경사면 부근에서 습곡구조가 형성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단층면의 지온구배율(geothermal gradient)을 적용할 때 약 200°C 정도의 깊이에서 발견할 가능성이 가장 큰 단층암의 형태는? (단, 지온구배율은 25°C/km로 가정)

  1. 단층가우지
  2. 단층각력암
  3. 압쇄암
  4. 파쇄암
(정답률: 40%)
  • 깊이가 깊어질수록 온도가 상승하므로, 지온구배율이 25°C/km이라면 200°C 정도의 온도를 가지려면 깊이는 약 8km 정도여야 한다. 이러한 깊이에서는 압력과 온도가 높아져 암석이 파괴되고 파편화되는데, 이러한 과정에서 형성된 암석이 파쇄암이다. 따라서 정답은 "파쇄암"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단층면의 주향과 경사는 N15°E / 30° SE 이고, 단층면 상의 단층 조선의 피치(pitch)가 약 30°N인 단층에서 실변위(net slip)가 2.5m로 기록되었다면, 다음 중 가장 큰 값은?

  1. 주향이동성분(strike-slip component)
  2. 경사이동성분(dip-slip component)
  3. 수평이동(heave)
  4. 수직성분(vertical component)
(정답률: 77%)
  • 정답은 "경사이동성분(dip-slip component)"입니다.

    단층면의 주향과 경사를 알고 있으므로, 이를 이용하여 실변위를 수평성분과 수직성분으로 분해할 수 있습니다. 수평성분은 주향이동성분(strike-slip component)으로, 수직성분은 경사이동성분(dip-slip component)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따라서, 주어진 정보에서는 실변위의 크기와 방향만 주어졌으므로, 수직성분인 경사이동성분의 크기를 구할 수 있습니다. 이 값은 2.5m * sin(30°) = 1.25m 입니다.

    따라서, 가장 큰 값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천발, 중발, 심발지진이 모두 발생하는 곳은?

  1. 중앙해령
  2. 변환단층 경계
  3. 산 안드레아스 단층
  4. 섭입대
(정답률: 79%)
  • 섭입대는 북아메리카와 태평양 플레이트가 충돌하는 지역으로, 이러한 충돌로 인해 천발, 중발, 심발지진이 모두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섭입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탐사공학

41. Goldschmidt의 지구 화학적 원소의 분류 중 친기원소(atmophile element)에 해당하는 것은?

  1. 염소(Cl)
  2. 불소(F)
  3. 헬륨(He)
  4. 텅스텐(W)
(정답률: 64%)
  • 친기원소는 지구 대기 중에서 기체 상태로 존재하는 원소를 말합니다. 따라서, "염소(Cl)"와 "불소(F)"는 기체 상태로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친기원소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텅스텐(W)"은 고체 상태이므로 친기원소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반면에 "헬륨(He)"은 대기 중에서 기체 상태로 존재하므로 친기원소에 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다음 중 중력보정이 아닌 것은?

  1. 일변화 보정
  2. 조석 보정
  3. 프리에어 보정
  4. 에트뵈스 보정
(정답률: 73%)
  • 일변화 보정은 중력이 아닌 다른 요인으로 인해 발생하는 오차를 보정하는 방법이다. 다른 세 가지 방법은 중력에 의한 오차를 보정하는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탄성파 주시 토모그래피(travel time tomography)의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송, 수신 시추공 사이의 속도 분포 영상을 제공한다.
  2. 수신기로는 다중 채널 측정이 가능한 하이드로폰이 주로 사용된다.
  3. 초동의 도달시간을 발췌하여 역산을 수행한다.
  4. 초동의 진폭에 대한 정보도 역산에 필요하다.
(정답률: 70%)
  • 초동의 진폭에 대한 정보도 역산에 필요하다는 설명은 옳지 않습니다. 탄성파 주시 토모그래피는 송신기에서 발생한 탄성파가 지하 구조물을 통과하고 수신기에서 감지되는 시간을 측정하여 지하 구조물의 속도 분포를 파악하는 기술입니다. 따라서 초동의 진폭에 대한 정보는 역산에 필요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토양의 무기성분이 산성 부식산의 영향으로 심하게 분해되어 Fe, Al까지도 졸(sol) 상태로 되어 하층으로 이동하는 토양생성작용은?

  1. Laterite화 작용
  2. Podzol화 작용
  3. Glei화 작용
  4. 석회화 작용
(정답률: 80%)
  • 산성 부식산의 영향으로 토양의 무기성분이 분해되어 Fe, Al 등이 졸 상태로 되어 하층으로 이동하는 토양생성작용은 Podzol화 작용이다. Podzol화 작용은 산성 부식산의 영향으로 토양의 상부층에서 Fe, Al 등이 졸 상태로 이동하면서, 이들이 상부층에서 이동한 후에는 토양의 상부층에서 Fe, Al 등이 새로 생성되어 토양의 상부층이 점차적으로 산성화되는 작용이다. 이러한 작용으로 인해 토양의 상부층은 밝은 회색색을 띄게 되며, 이를 Podzol이라고 부른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다음 중 탄성파의 기본 성질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종파(compressional wave)는 매질 내의 입자의 진동과 파의 진행방향이 평행하다.
  2. 횡파(shear wave)의 속도는 종파의 속도보다 느려서 지진기록에서 종파 다음에 도달하므로 2차파라고 한다.
  3. 레일리파(Rayleigh wave)에서 입자의 운동은 타원역행 운동을 하며, 입자 변위는 지표면에서 하부로 갈수록 선형적으로 감소한다.
  4. 탄성파는 실체파와 표면파로 분류하며, 러브파는 표면파에 해당한다.
(정답률: 71%)
  • "레일리파(Rayleigh wave)에서 입자의 운동은 타원역행 운동을 하며, 입자 변위는 지표면에서 하부로 갈수록 선형적으로 감소한다." 이 설명은 옳은 설명이다.

    탄성파의 기본 성질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없다. 종파는 매질 내의 입자의 진동과 파의 진행방향이 평행하며, 횡파는 종파의 속도보다 느려서 지진기록에서 종파 다음에 도달하므로 2차파라고 한다. 탄성파는 실체파와 표면파로 분류하며, 러브파는 표면파에 해당한다. 레일리파는 지면을 따라 전파되는 표면파 중 하나로, 입자의 운동이 타원역행 운동을 하며, 입자 변위는 지표면에서 하부로 갈수록 선형적으로 감소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길이가 같은 두 개의 단진자(Pendulum)가 각각 A, B 두 지점에 있다. 두 단진자의 주기를 측정한 결과 A, B 지점에서 각각 T, 2T였다고 하면, A, B 지점의 중력 값의 관계는?

  1. A 지점이 B 지점의 2배
  2. A 지점이 B 지점의 1/2
  3. A 지점이 B 지점의 4배
  4. A 지점이 B 지점의 1/4
(정답률: 71%)
  • 단진자의 주기는 그 길이와 중력 가속도에 비례한다. 따라서 A 지점의 주기 T와 B 지점의 주기 2T는 각각 A 지점과 B 지점의 중력 가속도의 제곱근에 반비례한다.

    T ∝ 1/√g_A
    2T ∝ 1/√g_B

    이를 이용하여 g_A와 g_B의 비를 구할 수 있다.

    g_A/g_B = (T/2T)^2 = 1/4

    따라서 A 지점의 중력 값은 B 지점의 중력 값의 4배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반사법 탄성파 탐사자료 획득시 흔히 원하지 않는 잡음(noise)이 신호(signal)와 같이 섞여 측정된다. 잡음에는 무작위 잡음(random noise)과 일관성 잡음(coherent noise)이 있다. 무작위 잡음의 경우 독립적으로 측정한 n개의 자료를 합성함으로써 신호대잡음(S/N) 비를 얼마나 향상시킬 수 있는가?

  1. n1/2
  2. n배
  3. 2n배
  4. n2
(정답률: 65%)
  • 무작위 잡음은 독립적으로 측정한 자료를 합성함으로써 신호대잡음 비를 n1/2배 향상시킬 수 있다. 이는 중심극한정리에 의해 설명될 수 있다. 중심극한정리는 독립적인 확률변수들의 합이 정규분포에 근사하는 것을 말한다. 따라서, n개의 독립적인 무작위 잡음을 합성하면, 이들의 합은 정규분포에 근사하게 되며, 이를 이용하여 신호대잡음 비를 n1/2배 향상시킬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다음 중 지층의 공극률을 구할 수 없는 물리 검층법은?

  1. 공경 검층
  2. 전기비저항 검층
  3. 음파 검층
  4. 밀도 검층
(정답률: 58%)
  • 공경 검층은 지하에서 전기를 통과시켜 지층의 전기적 특성을 측정하여 지층의 공극률을 파악하는 방법이다. 따라서, 공경 검층은 지층의 공극률을 구할 수 있는 물리 검층법이다. 따라서, 정답은 "공경 검층"이 아닌 다른 보기들인 "전기비저항 검층", "음파 검층", "밀도 검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붕괴상수 λ = 1.0 X 10-2(sec-1)인 방사능 원소의 반감기(sec)는?

  1. 39.3sec
  2. 49.3sec
  3. 59.3sec
  4. 69.3sec
(정답률: 62%)
  • 반감기는 λt = ln2 로 구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λ는 붕괴상수, t는 반감기입니다. 따라서 t = ln2/λ 로 계산할 수 있습니다. 주어진 λ 값에 대입하면 t = ln2/1.0 X 10^-2 = 69.3sec 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전자탐사에서 1차장과 2차장이 공간적으로는 서로 수직된 방향을 갖고, 위상이 90°가 아닌 다른 임의의 각만큼 차이를 갖은 경우 발생하는 분극현상은?

  1. 선분극
  2. 막분극
  3. 원분극
  4. 타원분극
(정답률: 60%)
  • 1차장과 2차장이 수직 방향을 갖고, 위상이 90°가 아닌 경우에는 타원분극이 발생합니다. 이는 전자파의 진폭이 x축과 y축 방향으로 다르게 나타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분극 현상은 전자탐사에서 샘플의 구조를 더욱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탄성파 탐사 자료를 통하여 탄화수소 가스층의 부존 가능성을 직접 예측하는 증거로 볼 수 없는 것은?

  1. 명점(Bright Spot)
  2. 극성 역전(Polarity Reversal)
  3. 타임 새그(Time sag)
  4. 보 타이(Bow Tie)
(정답률: 79%)
  • 탄성파 탐사 자료는 지하 구조물의 속성을 파악하는 데 유용한 도구이지만, 탄화수소 가스층의 부존 가능성을 직접적으로 예측하는 데는 한계가 있습니다. 따라서, 보기 중 "보 타이(Bow Tie)"가 정답입니다. 보 타이는 지하 구조물에서 발견되는 특정한 형태의 지질 구조물로, 탄화수소 가스층의 부존 가능성을 직접적으로 나타내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항공 자력탐사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탐사면적 당 경비가 저렴하다.
  2. 개략탐사로써 신속하다.
  3. 지형 및 인공적인 장애요소의 극복이 쉽다.
  4. 광체탐사와 같은 비교적 소규모의 탐사에 적용된다.
(정답률: 86%)
  • 항공 자력탐사는 지하에 있는 자기장의 변화를 측정하여 지하 구조물을 파악하는 기술이다. 따라서 지하 구조물의 크기나 깊이에 따라 탐사면적이 크게 달라지며, 큰 규모의 탐사에 적합하다. 따라서 "광체탐사와 같은 비교적 소규모의 탐사에 적용된다."는 설명은 옳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탄성파 속도가 V1, V2인 두 매질이 이루는 경계면에 탄성파가 입사할 때 굴절각이 90°가 되는 입사각인 임계각(critical angle) ic를 나타내는 식으로 옳은 것은? (단, V2 > V1 이다.)

  1. sin ic = V2/V1
  2. sin ic = V1/V2
  3. cosic = V2/V1
  4. cosic = V1/V2
(정답률: 79%)
  • 정답은 "sin ic = V1/V2"이다.

    임계각은 굴절법칙에 의해 sin ic = V1/V2로 나타낼 수 있다. 이는 두 매질의 탄성파 속도 비율이 임계각과 sin값이 같다는 것을 의미한다. 만약 입사각이 임계각보다 작다면, 탄성파는 경계면을 통과하여 굴절되지만, 입사각이 임계각보다 크다면 탄성파는 경계면을 통과하지 못하고 반사된다. 따라서, 이 식은 탄성파의 굴절과 반사 현상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전기비저항 탐사에 웨너(Wenner) 배열법으로 전극간격을 10m로 하고, 지하 매질에 투입되는 전류가 50mA일 때 측정되는 전위차가 500mV라면 겉보기비저항(apparent resisivity)은 얼마인가?

  1. 628Ω-m
  2. 728Ω-m
  3. 828Ω-m
  4. 928Ω-m
(정답률: 54%)
  • 겉보기비저항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겉보기비저항 = (전극간격 × 측정된 전위차) / 투입된 전류

    따라서, 겉보기비저항 = (10m × 500mV) / 50mA = 100Ω-m

    하지만, 웨너 배열법에서는 측정된 겉보기비저항이 실제 지하 매질의 비저항과 일치하지 않는다. 따라서 보정 상수를 사용하여 실제 비저항을 계산해야 한다.

    웨너 배열법에서의 보정 상수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보정 상수 = 2π × 전극간격 / ln(4 × 전극간격 / 전극길이)

    여기서 전극길이는 전극의 길이를 의미한다. 이 문제에서는 전극길이가 주어지지 않았으므로, 전극길이를 전극간격과 같다고 가정한다.

    따라서, 전극길이 = 10m 이고, 보정 상수 = 2π × 10m / ln(4 × 10m / 10m) = 10.6

    실제 지하 매질의 비저항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실제 비저항 = 겉보기비저항 × 보정 상수 = 100Ω-m × 10.6 = 1060Ω-m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겉보기비저항이 아닌 실제 비저항을 구하는 것이 아니라, 겉보기비저항을 구하는 것이다. 따라서, 실제 비저항을 다시 겉보기비저항으로 변환해야 한다.

    겉보기비저항 = 실제 비저항 / 보정 상수 = 1060Ω-m / 10.6 = 100Ω-m

    따라서, 정답은 "628Ω-m"이 아니라 "100Ω-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2층 층서구조에서 지오레이다(GPR) 탐사의 전자기파가 수직으로 전파할 때 경계면에서의 반사계수 크기는 얼마이가? (단, 상·하부층의 상대유전율은 각각 4와 9이다.)

  1. 0.2
  2. 0.3
  3. 0.4
  4. 0.5
(정답률: 63%)
  • 반사계수 크기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
    Gamma = frac{varepsilon_2 - varepsilon_1}{varepsilon_2 + varepsilon_1}
    $$

    여기서 $varepsilon_1$과 $varepsilon_2$는 각각 상부층과 하부층의 상대유전율이다. 따라서,

    $$
    Gamma = frac{9 - 4}{9 + 4} = frac{5}{13} approx 0.38
    $$

    즉, 반사계수 크기는 약 0.38이다.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은 "0.2"가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지오레이다 탐사를 적용하기 전에 고려해야 할 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대상체의 심도
  2. 대상체의 크기 및 형상
  3. 대상체의 탄성학적성질
  4. 주변모암의 특성
(정답률: 51%)
  • 지오레이다 탐사를 적용하기 전에 고려해야 할 사항 중 옳지 않은 것은 없습니다.

    하지만 "대상체의 탄성학적 성질"은 지오레이다 탐사를 적용하기 전에 고려해야 할 사항이 아닙니다. 탄성학적 성질은 지진파가 지나가는 과정에서 대상체가 얼마나 변형되는지를 나타내는 것으로, 지오레이다 탐사에서는 대상체의 내부 구조를 파악하는 것이 목적이므로 탄성학적 성질은 중요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대상체의 탄성학적 성질"이 옳지 않은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다음의 탄성파 탐사자료 처리과정 중 탄성파의 분해능(resolution)을 높이는데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1. 뮤팅(muting)
  2. 디콘볼루션(deconvolution)
  3. 속도여과(velocity filtering)
  4. 정보정(static correction)
(정답률: 62%)
  • 탄성파 탐사자료 처리과정 중 디콘볼루션(deconvolution)은 가장 효과적인 방법입니다. 이는 탄성파 데이터에서 지배적인 파형을 제거하여 분해능을 높이기 때문입니다. 디콘볼루션은 지배적인 파형을 추정하고 이를 제거하여 원래의 파형을 복원하는 과정입니다. 이를 통해 더 정확한 지하 구조물의 모습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다음은 암석의 절대연령 측정 방법이다. 식물화석의 연대측정에 가장 적합한 방법은?

  1. K-Ar법
  2. Rb-Sr법
  3. U-Pb법
  4. C법
(정답률: 85%)
  • 식물화석은 대부분 탄소를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탄소-14의 방사성 붕괴를 이용한 C법이 가장 적합하다. 다른 방법들은 암석의 절대연령 측정에 사용되는 방법으로, 식물화석의 연대측정에는 적합하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다음 중 셰일지층을 구분하는데 가장 효과적인 검층방법은?

  1. 자력검층
  2. 음파검층
  3. 온도검층
  4. 자연감마선검층
(정답률: 84%)
  • 셰일지층은 일반적으로 저항성이 높고 암석의 구성이 복잡하여 구분하기 어렵습니다. 그러나 자연감마선검층은 암석의 방사능 원소에 의해 방출되는 감마선을 측정하여 암석의 구성과 밀도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이는 셰일지층의 특징 중 하나인 방사능 원소 함량이 높기 때문에 효과적인 검층 방법입니다. 따라서 자연감마선검층이 셰일지층을 구분하는데 가장 효과적인 검층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중력장 및 지자기장의 지배 방정식은?

  1. Laplace 방정식
  2. 분산방정식
  3. 파동방정식
  4. Helmholtz 방정식
(정답률: 79%)
  • 중력장 및 지자기장은 정적인 상태에서의 현상이므로 시간에 대한 변화가 없습니다. 따라서 시간에 대한 미분항이 없는 정적인 상태의 특성을 나타내는 Laplace 방정식이 적용됩니다. 다른 보기들은 시간에 대한 변화를 고려하는 동적인 상황에서 적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지질공학

61. 화강암 분포지역에서 탄성파 탐사를 실시한 결과 그 전파 속도(VF)가 3.6km/sec이었다. 그 지역에서 동일 암석의 신선한 코어 시편을 채취하여 탄성파 속도(VL)를 실내에서 측정하였더니 4.2km/sec로 측정되었다. 이 암반의 암질지수(RQD)는 얼마인가?

  1. 68.76%
  2. 73.47%
  3. 89.96%
  4. 136.11%
(정답률: 50%)
  • 암질지수(RQD)는 암석 내부의 균열이 얼마나 적은지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RQD는 다음과 같은 공식으로 계산된다.

    RQD = (측정된 신선한 암석 시편의 총 길이 / 시편 채취한 총 길이) x 100

    여기서 측정된 신선한 암석 시편의 총 길이는 암석 내부의 균열이 없는 부분의 길이를 의미하고, 시편 채취한 총 길이는 채취한 시편의 총 길이를 의미한다.

    이 문제에서는 암석의 탄성파 속도를 이용하여 RQD를 계산할 수 있다. 암석 내부의 균열이 적을수록 탄성파 속도가 높아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RQD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RQD = (VL / VF)2 x 100 = (4.2 / 3.6)2 x 100 = 73.47%

    따라서 정답은 "73.47%"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다음 중 흙의 단위중량을 계산하기 위한 식으로 적절한 것은? (단, Gs : 비중, S : 포화도, e : 공극비, γw: 물의 단위중량)

  1. 습윤단위중량:
  2. 건조단위중량:
  3. 포화단위중량:
  4. 수중단위중량:
(정답률: 64%)
  • 습윤단위중량: γd = Gs (1 + e) γw

    이 식은 흙의 단위중량을 계산하기 위한 식으로, 습윤 상태에서의 단위중량을 나타낸다. 습윤 상태에서는 공극이 존재하므로, 건조 상태에서의 비중보다는 작은 값을 가진다. 따라서, 습윤 상태에서의 단위중량을 계산하기 위해서는 건조 상태에서의 비중과 공극비를 고려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다음 시험법 중 획득하고자 하는 특성값이 다른 하나는?

  1. 플랫 잭(flat jack)법
  2. 수압파쇄시험법
  3. 응력해방법
  4. 공내재하시험법
(정답률: 56%)
  • 정답: 공내재하시험법

    공내재하시험법은 고무나 플라스틱 등의 탄성체의 내재된 응력을 측정하는 시험법이다. 반면에 플랫 잭법은 구조물의 수평 변형을 측정하는 시험법, 수압파쇄시험법은 콘크리트의 강도를 측정하는 시험법, 응력해방법은 금속재료의 내부 응력을 제거하는 시험법이다. 따라서, 공내재하시험법은 다른 시험법과는 목적과 측정 대상이 다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등하중 재하방식을 이용한 공내재하시험을 실시하였다. 재하압력 증분이 80kg/cm2일 때 반경방향 변위 증분은 0.02cm로 나타났다. 공의 직경은 100mm, 암반의 포아송비는 0.2인 경우 변형계수는 얼마인가?

  1. 10,000kg/cm2
  2. 14,000kg/cm2
  3. 20,000kg/cm2
  4. 24,000kg/cm2
(정답률: 41%)
  • 변형계수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ε = Δr/rΔp

    여기서 Δr은 반경방향 변위 증분, r은 공의 반경, Δp는 재하압력 증분을 의미한다.

    따라서, ε = 0.02/50×80 = 0.0005

    암반의 포아송비는 0.2이므로, E = 2G(1+ν)에서 E/2(1+ν) = G = 10,000kg/cm2이다.

    또한, K = E/3(1-2ν) = 24,000kg/cm2이다.

    따라서, 정답은 "24,000kg/cm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어떤 피압대수층의 공극률이 26%, 대수층 구성입자의 압축률은 1.8 X 10-8m2/N, 물의 압축률은 4.6 X 10-10m2/N이다. 이 대수층의 비저류계수(Specific storage)는? (단, 물의 밀도는 1,000kg/m3, 중력가속도는 9.8m/sec2)

  1. 1.78 × 10-4m-1
  2. 2.81 × 10-4m-1
  3. 4.70 × 10-5m-1
  4. 5.03 × 10-5m-1
(정답률: 43%)
  • 비저류계수(Specific storage)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Ss = ρgα / (1 - n)

    여기서, ρ는 물의 밀도, g는 중력가속도, α는 대수층 구성입자의 압축률, n은 공극률이다.

    따라서, Ss = (1000 kg/m3) x (9.8 m/sec2) x (1.8 x 10-8 m2/N) / (1 - 0.26) = 1.78 x 10-4 m-1

    따라서, 정답은 "1.78 × 10-4m-1"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다음 지반개량공법 중 화학적 개량공법이 아닌 것은?

  1. 페이퍼 드레인 공법
  2. 생석회 말뚝 공법
  3. 심층 혼합 처리 공법
  4. 약액 주입 공법
(정답률: 81%)
  • 화학적 개량공법은 지반 내의 화학적 반응을 이용하여 지반의 강도나 안정성을 개선하는 방법이다. 따라서 "페이퍼 드레인 공법"은 화학적 개량공법이 아니다. "페이퍼 드레인 공법"은 지반 내부에 배치된 페이퍼 드레인을 이용하여 지하수를 제거하고 지반의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흙의 내무마찰각, 상대밀도 등을 추정하는데 유용한 관입저항인 N값을 획득할 수 있는 원위치 시험은?

  1. 콘 관입시험
  2. 베인시험
  3. 표준관입시험
  4. 평판재하시험
(정답률: 76%)
  • 원위치 시험은 지반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한 시험 중 하나로, 지반 내부의 성질을 직접 측정하는 방법입니다. 이 중에서도 표준관입시험은 국제적으로 인정받고 널리 사용되는 방법으로, 지반 내부의 저항을 측정하여 N값을 도출합니다. 이 N값은 지반의 내부마찰각, 상대밀도 등을 추정하는 데 유용하게 사용됩니다. 따라서 표준관입시험은 지반공학 분야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투수성이 큰 지층 내에 불투수층이 렌즈상으로 부분적으로 존재하여, 그 상부에 지하수가 저류되는 소규모의 대수층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비대수층(aquifuge)
  2. 준대수층(aquitard)
  3. 주수대수층(perched aquifer)
  4. 난대수층(aquiclude)
(정답률: 72%)
  • 주수대수층은 투수성이 큰 지층 내에 불투수층이 렌즈상으로 부분적으로 존재하여, 그 상부에 지하수가 저류되는 소규모의 대수층을 말합니다. 따라서, 지하수가 불투수층 위에 존재하는 것으로, 비대수층이나 준대수층과는 구분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지하수 조사 시 보다 넓은 지역의 평균적인 투수성을 파악하는 현장 시험은?

  1. 순간수위변화시험(slug test)
  2. 유향유속시험(flowmeter test)
  3. 양수시험(pumping test)
  4. 공내 카메라검층(borehole camera·log)
(정답률: 84%)
  • 양수시험은 지하수 조사 시 보다 넓은 지역의 평균적인 투수성을 파악하는 현장 시험으로, 지하수를 양수하여 지하수 수위의 변화를 측정하고 이를 통해 지하수의 유출계수와 저장계수 등을 계산할 수 있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순간수위변화시험은 지하수의 투수성을 파악하는 시험으로, 유속시험은 지하수의 유속을 측정하는 시험, 공내 카메라검층은 지하수 층의 구조를 파악하는 시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흙 속의 어느 한 면에 작용하는 수직응력이 10kg/cm2, 공극수압이 2kg/cm2, 점착력이 4kg/cm2, 내부마찰각이 30°일 때 이 면에서의 전단강도는 얼마인가?

  1. 9.8kg/cm2
  2. 8.6kg/cm2
  3. 6.4kg/cm2
  4. 4.6kg/cm2
(정답률: 46%)
  • 전단강도는 내부마찰각과 관련이 있으며, 다음과 같은 식으로 계산할 수 있다.

    전단강도 = (수직응력 - 공극수압 - 점착력) × tan(내부마찰각)

    여기에 주어진 값들을 대입하면,

    전단강도 = (10 - 2 - 4) × tan(30°) = 4 × 0.577 = 2.308kg/cm2

    따라서, 보기에서 주어진 정답 중에서 가장 가까운 값은 "8.6kg/cm2" 이다. 하지만, 이 값은 계산 결과와 차이가 있으므로 정확한 답은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다음 중 절리의 성인에 따른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전단절리를 따라 존재하는 물질이 인장절리를 따라 존재하는 물질보다 변질되지 않는다.
  2. 전단파괴에 의해 절리면에는 암석파편이 많이 존재한다.
  3. 인장파괴에 의해 형성된 절리면은 거친 경향이 있다.
  4. 절리는 인장 및 전단파괴 또는 이 두 가지의 복합적인 파괴를 통해 형성된다.
(정답률: 53%)
  • "전단절리를 따라 존재하는 물질이 인장절리를 따라 존재하는 물질보다 변질되지 않는다."는 옳은 설명이다. 이유는 전단절리는 분자간의 결합이 끊어지는 것이고, 인장절리는 분자간의 결합이 늘어나는 것이기 때문에 전단절리를 따라 존재하는 물질은 분자간의 결합이 늘어나는 인장절리를 따라 존재하는 물질보다 덜 변질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삼축압축시험에서 봉압이 증가함에 따라 나타나는 현상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소성변형이 일어나면서 취성에서 연성거동으로 전이형상이 일어난다.
  2. 최대강도가 봉압의 증가에 따라 감소한다.
  3. 잔류강도에 해당하는 응력이 있어서 최대강도 이후의 급작스런 변화가 줄어든다.
  4. 최대응력 이후 변형률 경화현상이 일어난다.
(정답률: 67%)
  • "최대강도가 봉압의 증가에 따라 감소한다."는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삼축압축시험에서 봉압이 증가하면, 잔류강도에 해당하는 응력이 증가하게 되어 최대강도 이후의 급작스런 변화가 줄어들게 됩니다. 따라서 최대강도는 봉압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다음 중 사면파괴를 일으키는 내적요인(전단강도를 감소시키는 요인)이 아닌 것은?

  1. 흡수에 의한 점토지반의 팽창
  2. 공극수압의 감소
  3. 불안정한 흙 속에서 발생하는 변형
  4. 느슨한 토립자의 진동
(정답률: 72%)
  • 공극수압의 감소는 사면파괴를 일으키는 외적요인(전단강도를 증가시키는 요인)이므로, 이 문제에서는 정답이 아니다. 공극수압이 감소하면 지반의 압축성이 증가하고, 이로 인해 전단강도가 증가하여 사면파괴를 일으킬 수 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정답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다음 그림은 사면위 블록의 기하학적 조건을 나타낸 것이다. 블록이 안정하고,, 미끄러짐이나 전도가 일어나지 않는 조건은 어느 것인가? (단, ø는 마찰각, Ψ는 사면의 경사각이며, b 및 h는 블록의 폭과 높이이다.)

  1. Ψ < ø 및 b/h > tanΨ
  2. Ψ < ø 및 b/h < tanΨ
  3. Ψ > ø 및 b/h > tanΨ
  4. Ψ > ø 및 b/h < tanΨ
(정답률: 59%)
  • 블록이 안정하고 미끄러짐이나 전도가 일어나지 않으려면, 블록의 무게 중심이 사면 내부에 있어야 하며, 마찰력이 중력과 같거나 더 커야 한다. 이를 수식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1. 블록의 무게 중심이 사면 내부에 있어야 한다.
    h/2 < b/2 * tanΨ
    h < b * tanΨ

    2. 마찰력이 중력과 같거나 더 커야 한다.
    tanø ≤ b/h

    따라서, Ψ < ø 이어야 하며, b/h > tanΨ 이어야 한다. 따라서 정답은 "Ψ < ø 및 b/h > tanΨ"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지반의 특성을 파악하고 실내시험용 시료를 얻기 위하여 샘플러를 사용하여 시료를 채취한다. 다음 중 교란시료(disturbed sample)를 채취하는데 사용되는 샘플러는?

  1. 분리형 원통 샘플러 (split spoon sampler)
  2. 고정피스톤 샘플러 (stationary piston sampler)
  3. 얇은 관 샘플러 (thin wall tube sampler)
  4. 포일 샘플러 (foil sampler)
(정답률: 77%)
  • 분리형 원통 샘플러는 지반 내부를 교란시키면서 채취하는 샘플러로, 망치로 샘플러를 내리면서 지반을 교란시키고 샘플을 채취한다. 이는 지반 내부의 미세한 입자들을 교란시켜 샘플을 채취하기 때문에 교란시료로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다음 중 점하중강도시험(Point strength test)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점하중강도시험은 현장 및 실험실에서 실시할 수 있다.
  2. 점하중강도시험에 사용되는 시험편은 성형할 필요가 거의 없다.
  3. 시험에서 구한 점하중강도는 일축압축강도나 전단강도를 추정하는데 이용된다.
  4. 크기 보정 점하중강도는 일축압축강도의 1/24정도이다.
(정답률: 58%)
  • "크기 보정 점하중강도는 일축압축강도의 1/24정도이다."는 옳은 설명이다. 따라서 정답은 "시험에서 구한 점하중강도는 일축압축강도나 전단강도를 추정하는데 이용된다."가 아닌 "시험에서 구한 점하중강도는 인장강도를 추정하는데 이용된다."가 되겠다.

    점하중강도시험은 시멘트, 콘크리트 등의 압축강도를 측정하는 시험 방법 중 하나이다. 시험에서는 작은 크기의 시험편에 점하중을 가하면서 파괴되는 하중을 측정한다. 이때 크기 보정을 통해 일축압축강도나 전단강도를 추정할 수 있다. 따라서 시험에서 구한 점하중강도는 일축압축강도나 전단강도를 추정하는 데 이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4~40m 길이의 몇 가닥의 강선을 꼬아서 가닥으로 만든 강연선을 시멘트 그라우트된 천공홀 속에 삽입한 것으로, 지하 대공간 구조물의 측벽, 천정 등의 보강이나 지지를 위하여 많이 사용되는 터널보강재는?

  1. 쏘일네일링(Soil nailing)
  2. 록앵커(Rock anchor)
  3. 케이블볼트(Cablebolt)
  4. 록볼트(Rockbolt)
(정답률: 70%)
  • 케이블볼트는 강선을 꼬아서 만든 가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시멘트 그라우트된 천공홀 속에 삽입하여 지하 대공간 구조물의 측벽, 천정 등을 보강하거나 지지하는 터널보강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암반 분류법인 RMR 분류법에서 기초 RMR 값을 산정하는데 필요한 요소가 아닌 것은?

  1. 불연속면의 방향성
  2. 불연속면의 간격
  3. 불연속면의 상태
  4. 지하수 상태
(정답률: 59%)
  • RMR 분류법에서 기초 RMR 값을 산정하는데 필요한 요소는 불연속면의 간격, 불연속면의 상태, 지하수 상태이다. 불연속면의 방향성은 RMR 분류법에서 고려하지 않는 요소이다. RMR 분류법은 암반의 물리적 특성을 고려하여 분류하는데, 불연속면의 방향성은 이와 관련이 없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흙의 고체에서 반고체상태로 변화하는 경계의 함수비로 정의되는 것은?

  1. 액성한계
  2. 소성한계
  3. 수축한계
  4. 유동한계
(정답률: 52%)
  • 흙의 고체에서 반고체상태로 변화하는 경계는 수축한계라고 부릅니다. 이는 흙이 건조해지면 수축하면서 체적이 줄어들게 되는데, 이 때 흙의 고체 상태와 반고체 상태의 경계가 형성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 경계는 흙의 수축성과 관련이 있으며, 흙의 수분 함량이 감소하면 수축한계가 낮아지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다음 주입공법에 사용되는 약액 중 용수대책 등 순간적인 고결이 요구되는 장소에 가장 효과적인 것은?

  1. 시멘트계
  2. 점토계
  3. 물유리계
  4. 우레탄계
(정답률: 84%)
  • 우레탄계 약액은 순간적으로 경화되어 고결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용수대책 등 순간적인 고결이 요구되는 장소에 가장 효과적입니다. 시멘트계, 점토계, 물유리계 약액은 경화 시간이 오래 걸리기 때문에 이러한 상황에서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과목: 광상학

81. 다음 중 산출광물과 주요 광상의 연결로 옳지 않은 것은?

  1. 철(Fe)-울산광상
  2. 중석(W)-대화광상
  3. 동(Cu)-일광광산
  4. 금(Au)-동남광상
(정답률: 52%)
  • 금(Au)-동남광상은 옳은 연결이 아니다. 동남광상은 주로 납, 아연, 비소 등의 광물이 산출되는 지역이며, 금은 그 중 하나가 아니다. 금은 대개 광물로서 산출되는 것이 아니라, 강에서 모래를 채취하여 추출하는 방식으로 생산된다. 따라서 금(Au)-동남광상은 옳지 않은 연결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다음 중 일반적으로 구로코형(Kuroko type) 광상생성이 수반되는 화성암체는?

  1. 반려암
  2. 안산암
  3. 유문암
  4. 현무암
(정답률: 44%)
  • 일반적으로 구로코형(Kuroko type) 광상생성이 수반되는 화성암체는 철-망간 광물이 함유된 화성암체이다. 이 중에서 유문암은 철-망간 광물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어 구로코형 광상 생성이 일어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정답은 "유문암"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광상 형성의 진행과정에 따라 정마그마광상을 구분할 때 속하지 않는 것은?

  1. 분결분화광상
  2. 분결분산광산
  3. 분결주입광상
  4. 불혼합액농집광산
(정답률: 49%)
  • 정마그마광상은 광물 결정이 형성되는 과정에서 일어나는데, 이 과정은 크게 분출, 분화, 분결, 분화-분결, 분화-분출 등으로 나뉩니다. 분결분화광상은 분화와 분결이 동시에 일어나는 과정에서 형성되는데, 정마그마광상은 분출과 분화가 일어나는 초기 단계에서 형성됩니다. 따라서 "분결분화광상"은 정마그마광상에 속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지금까지 확인되어 휴, 폐광 및 개발 중인 국내 열수 교대 광상이 가장 많이 분포하는 광화대는?

  1. 태백산광화대
  2. 경남광화대
  3. 고성광화대
  4. 음성광화대
(정답률: 78%)
  • 태백산광화대는 국내에서 가장 큰 광산으로, 대한민국의 철광석 생산량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기 때문에 휴, 폐광 및 개발 중인 열수 교대 광상이 가장 많이 분포하는 광화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다음 중 스카른 광상의 특징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산성 또는 중성관입암과 석희암의 접촉부에서 주로 형성된다.
  2. 내성 스카른과 외성 스카른으로 구분된다.
  3. 대부분 불규칙 렌즈상, 괴상, 판상, 파이프상, 층상을 이룬다.
  4. 정동이나 공동이 발달하며, 반상변정을 보인다.
(정답률: 40%)
  • 정답은 "정동이나 공동이 발달하며, 반상변정을 보인다." 이다. 이유는 스카른 광상은 일반적으로 정동이나 공동이 발달하며, 반상변정을 보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특징은 스카른 광상의 구조와 결정학적 특성에 영향을 미치며, 이를 통해 스카른 광상을 식별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탄탈륨(Ta), 리튬(Li), 베릴륨(Be) 등의 희원소 광물이 집중하는 광상은 다음 중 어느 것인가?

  1. 정마그마광상
  2. 페그마타이트광상
  3. 열수광상
  4. 기성광상
(정답률: 66%)
  • 정답은 "페그마타이트광상"입니다. 이는 탄탈륨, 리튬, 베릴륨 등의 희원소가 함유된 광물이 주로 발견되는 광상으로, 이 광상은 대부분 광맥안에서 발견됩니다. 페그마타이트는 알칼리성 페그마타이트암(pegmatite)의 주요 성분 중 하나이며, 이 암은 대량의 희토류 원소와 희원소를 함유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탄탈륨, 리튬, 베릴륨 등의 희원소가 함유된 광물이 주로 발견되는 광상으로 페그마타이트광상이 선택되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다음 중 질석광상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질석은 주로 경량골재, 내열재, 보온재, 방음재 등으로 활용된다.
  2. 우리나라에서는 주로 충남지역에서 생산되고 있다.
  3. 질석은 크게 산성암류의 접촉교대작용과 풍화작용으로 형성되는 두 가지 유형으로 구분된다.
  4. 우리나라에서 풍화작용에 의한 질석화의 경로는 금운모 → 질석, 각섬석 → 질석, 녹니석 → 질석, 흑운모 → 질석 등의 네 가지 경로로 추정된다.
(정답률: 42%)
  • "질석은 주로 경량골재, 내열재, 보온재, 방음재 등으로 활용된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질석은 건축자재로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경량골재, 내열재, 보온재, 방음재 등으로 활용되는 것은 각각 다른 물질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다음 중 퇴적광상에 속하는 것은?

  1. 호상 철광상(Banded Iron Formation Deposit)
  2. 화산성 괴상 유화광상(Volcanic Massive Sulfide Deposit)
  3. 카린형 광상(Carlin-type Deposit)
  4. SMS 광상(Sediment-hosted Massive Sulfide Deposit)
(정답률: 55%)
  • 정답은 "호상 철광상(Banded Iron Formation Deposit)"입니다. 이는 고대 바다에서 철과 산소가 결합하여 형성된 퇴적물로, 지금은 대부분 광물자원으로 이용됩니다. 다른 보기들은 화산활동, 카본에이트 침전, 해저 활동 등 다양한 과정으로 형성된 광상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퇴적광상의 특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모암과 동생적이며 용식되거나 규모가 크다.
  2. 구성광물입자가 용식되거나 둥글다.
  3. 화석을 포함하기도 하며, 모암과의 경계가 명확하다.
  4. 일반적으로 층상을 보인다.
(정답률: 59%)
  • 퇴적광상은 모암과 동생적이며 용식되거나 규모가 크며, 구성광물입자가 용식되거나 둥글며, 일반적으로 층상을 보입니다. 그러나 화석을 포함하기도 하지만 모암과의 경계가 명확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화석을 포함하기도 하며, 모암과의 경계가 명확하다."는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다음 중 우리나라 명반석 광상의 주요 분포지는?

  1. 전라남도
  2. 경기도
  3. 충청남도
  4. 강원도
(정답률: 65%)
  • 우리나라 명반석 광상의 주요 분포지는 전라남도이다. 이는 전라남도 지역이 지질적으로 안정적인 지대이며, 지하수층이 발달하여 명반석이 형성되기에 적합한 지역이기 때문이다. 또한, 전라남도는 옛날부터 명반석 채굴이盛ん했던 지역으로, 이에 따라 명반석 산업이 발전해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지하 깊은 곳에서 광화용액(Ore bearing fluid)이 이동하는 방법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확산(Diffusion)을 통한 이동
  2. 결정의 벽개면을 통한 이동
  3. 입자의 경계를 통한 이동
  4. 정상류처럼 흐름(flow)을 통한 이동
(정답률: 67%)
  • 지하 깊은 곳에서 광화용액은 매우 높은 압력과 온도로 이루어진 환경에서 이동합니다. 이러한 환경에서는 정상류처럼 흐름을 통한 이동이 가장 효율적이기 때문에 거리가 먼 것은 정상류처럼 흐름을 통한 이동입니다. 다른 방법들은 이러한 환경에서는 효율적이지 않거나 불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광상에 따라 다양하게 관찰되는 광석의 산출 조직의 연구에 의하여 확인할 수 있는 것이 아닌 것은?

  1. 광물들의 산출 선후관계
  2. 광물들의 대상분포
  3. 광물들의 생성환경
  4. 광물들의 침전과정
(정답률: 42%)
  • 광상에 따라 다양하게 관찰되는 광석의 산출 조직의 연구는 광석이 형성되는 과정과 관련된 것이므로 광물들의 대상분포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광물들의 대상분포는 광물이 분포하는 지역이나 광물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나는데, 이는 광물이 형성되는 환경과 관련이 있습니다. 따라서 광물들의 대상분포는 광석의 산출 조직과는 관련이 있지만, 직접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반면, 광물들의 산출 선후관계, 광물들의 생성환경, 광물들의 침전과정은 광석의 산출 조직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므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다음 중 광맥광상(맥상광상)의 유체포유물 연구로서 알 수 없는 것은?

  1. 광상생성온도
  2. 광화유체의 염농도
  3. 광상형성시기
  4. 포유물의 화학성분
(정답률: 56%)
  • 광맥광상(맥상광상)의 유체포유물 연구에서 알 수 없는 것은 "광상형성시기"이다. 이는 광맥광상이 형성되는 시기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는데, 이는 지질학적인 연구나 지질학적인 데이터를 통해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광맥광상의 유체포유물 연구에서는 광상형성시기를 직접적으로 파악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우리나의 석탄자원인 무연탄을 부하고 있는 주요 지층으로 옳은 것은?

  1. 연천계와 평안계지층
  2. 평안계와 대동계지층
  3. 연천계와 대동계지층
  4. 조선계와 경상계지층
(정답률: 58%)
  • 우리나라의 석탄자원인 무연탄은 주로 중생대 후기에 형성된 지층에서 발견됩니다. 이 중에서도 무연탄 부하가 가장 많은 지층은 평안계와 대동계지층입니다. 이 지층은 경북과 경남 지역에서 발견되며, 무연탄뿐만 아니라 석유와 천연가스 등 다양한 에너지 자원이 함유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이 지층은 우리나라의 에너지 산업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다음 중 견운모를 가장 많이 형성하는 모암변질작용은?

  1. 칼륨변질작용
  2. 필릭변질작용
  3. 이질변질작용
  4. 강이질변질작용
(정답률: 53%)
  • 견운모는 필릭변질작용으로 가장 많이 형성됩니다. 이는 필린이라는 단백질이 모세혈관 벽에 존재하고 있으며, 이것이 모세혈관 벽에서 분해되어 견운모가 형성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한국의 주요 금속광상 중 성인상 분류 시 광상유형별 대표적인 광상의 연결로 옳지 않은 것은?

  1. 각력파이프상광상 : 달성, 일광
  2. 열수교대광상 : 연화, 울산
  3. 마그마분화광상 : 연천, 소연평도
  4. 열극충진맥상광상 : 함안, 고성
(정답률: 58%)
  • 정답은 "열수교대광상 : 연화, 울산"입니다.

    이유는 열수교대광상은 주로 황금, 은, 구리 등을 채굴하는 광산에서 발견되는데, 연화와 울산은 주로 철광석을 채굴하는 광산으로 유명합니다. 따라서, 연결이 옳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다음 중 충진(filling)작용의 증거가 아닌 것은?

  1. 정동과 공동
  2. 대칭적 호상구조
  3. 교질상 구조
  4. 모광물속으로 난 요곡면
(정답률: 65%)
  • 모광물속으로 난 요곡면은 충진 작용과는 관련이 없는 지질학적 구조이기 때문에 충진 작용의 증거가 아니다. 충진 작용의 증거는 정동과 공동, 대칭적 호상구조, 교질상 구조 등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남아프리카의 부쉬벨드 화성복합체(Bushveld lgneous Complex)에서 가장 많이 산출되는 원소는?

  1. 크롬
  2. 니켈
  3. 구리
(정답률: 65%)
  • Bushveld lgneous Complex는 크롬과 니켈을 포함한 매우 풍부한 광물 자원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 중에서도 크롬은 가장 많이 산출되는 원소 중 하나입니다. 이는 Bushveld lgneous Complex가 크롬과 니켈을 함유한 매우 풍부한 지질 구조물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다음 중 우리나라에서 산출되는 규석광상의 유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변성 광상
  2. 열수광맥형 광상
  3. 페그마타이트 광상
  4. 스카른형 광상
(정답률: 36%)
  • 스카른형 광상은 우리나라에서 산출되는 규석광상의 유형 중 하나가 아닙니다. 스카른형 광상은 스카르나 형태의 광물이나 암석에서 발생하는 광상으로, 우리나라에서는 거의 발견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기성광상에서의 모암 변질작용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전기석화작용
  2. 그라이젠화작용
  3. 사문석화작용
  4. 주석화작용
(정답률: 33%)
  • 기성광상에서의 모암 변질작용 중에는 전기석화작용, 그라이젠화작용, 주석화작용이 포함되지만, 사문석화작용은 포함되지 않습니다. 이는 사문석화작용이 모암 변질작용이 아니라, 퇴적암의 변질작용에 해당하기 때문입니다. 사문석화작용은 퇴적암이나 화강암 등의 암석이 지하수나 지열수 등의 영향을 받아 화학적으로 변질되는 과정을 말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