응용지질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5-05-31)

응용지질기사
(2015-05-31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암석학 및 광물학

1. 현무암과 같은 고철질 광물이 풍부한 암석이 광역변성작용을 받았을 때 가장 고변성도의 변성분대에서 나타나는 변성광물은?

  1. 녹염석
  2. 녹니석
  3. 휘석
  4. 각섬석
(정답률: 43%)
  • 고철질 광물이 광역변성작용을 받으면서 가장 높은 변성도에서는 광물 구조가 완전히 변형되어 결정구조가 없는 유리상태로 변화합니다. 이러한 변성광물을 유리질광물이라고 하는데, 그 중에서도 휘석은 가장 흔하게 나타나는 유리질광물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휘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북한산에서 채취한 화강암의 암석박편에서 정누대구조(normal zonal structure)를 보여주는 사장석의 결정이 관찰되었다. 이 결정의 중심부에서 연변부로 가면서 함량이 상대적으로 증가하는 원소는?

  1. Ca
  2. Fe
  3. Mg
  4. Na
(정답률: 79%)
  • 정누대구조란 암석의 결정 구조에서 중심부에서부터 연변부로 가면서 원소 함량이 변화하는 현상을 말한다. 이 경우, 사장석의 결정에서 중심부에서 연변부로 가면서 상대적으로 함량이 증가하는 원소는 Na이다. 이는 Na가 사장석의 결정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활동도를 가지기 때문으로, 결정 성장 과정에서 Na가 더 많이 결정에 포함되어 함량이 증가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퇴적층의 표면을 따라 유수 또는 물과 함께 운반되는 물체에 의해 긁히거나 침식을 받아 형성된 침식구조에 해당하는 것은?

  1. 저면구조
  2. 사층리
  3. 연흔
  4. 불꽃구조
(정답률: 60%)
  • 저면구조는 퇴적층의 표면을 따라 유수나 물과 함께 운반되는 물체에 의해 긁히거나 침식을 받아 형성된 침식구조를 말합니다. 따라서, 주어진 보기 중에서 "저면구조"가 해당하는 것입니다. 사층리는 퇴적층에서 발견되는 특정한 종류의 암석이며, 연흔은 지하수의 영향으로 인해 발생하는 지형적 현상을 말합니다. 불꽃구조는 화산활동으로 인해 형성된 지형적 현상을 말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직경 64mm 이상의 둥근 쇄설물로 주로 이루어진 세립질의 화성쇄설암은?

  1. 응회암
  2. 집괴암
  3. 고회암
  4. 화산력 응회암
(정답률: 65%)
  • 화성쇄설암은 직경 64mm 이상의 둥근 쇄설물로 이루어진 세립질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 중에서도 집괴암은 세립질이 더욱 밀도가 높아져서 압축되어 형성된 암석입니다. 따라서 집괴암은 다른 화성쇄설암에 비해 더욱 단단하고 강한 압축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화성암을 구성하고 있는 조암광물의 크기(입도)는 주로 무엇에 의하여 결정되는가?

  1. 마그마의 밀도
  2. 마그마의 온도
  3. 마그마의 냉각속도
  4. 마그마의 화학성분
(정답률: 90%)
  • 화성암을 구성하는 조암광물의 크기는 마그마가 냉각되는 속도에 의해 결정됩니다. 빠르게 냉각되면 결정이 작아지고, 느리게 냉각되면 결정이 커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마그마의 냉각속도가 조암광물의 크기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입니다. 마그마의 밀도, 온도, 화학성분은 조암광물의 성질에 영향을 미치지만, 크기 결정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는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퇴적물이 퇴적된 이후에 받는 모든 물리적, 무기화학적, 생화학적인 변화를 총칭해서 말하는 것은?

  1. 분화작용
  2. 변성작용
  3. 풍화작용
  4. 속성작용
(정답률: 71%)
  • 퇴적물이 퇴적된 이후에 받는 모든 물리적, 무기화학적, 생화학적인 변화를 총칭하는 것을 속성작용이라고 합니다. 이는 퇴적물의 물리적 특성, 화학적 성질, 생물학적 특성 등이 변화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변화는 시간이 지나면서 발생하며, 지질학적 연구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점성이 가장 큰 마그마(magma)에서 형성된 암석은?

  1. 조면암(trachyte)
  2. 유문암(rhyolite)
  3. 안산암(andesite)
  4. 현무암(basalt)
(정답률: 78%)
  • 점성이 큰 마그마는 굳어지기 전에 더 많은 가스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더 많은 폭발적인 활동을 유발합니다. 이러한 폭발적인 활동으로 인해 유문암(rhyolite)는 매우 미세한 결정 구조를 가지며, 조면암(trachyte)나 안산암(andesite)보다 더 밝은 색상을 가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따라서, 점성이 큰 마그마에서 형성된 암석 중에서 유문암(rhyolite)이 가장 큰 점성을 가지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섬장암과 섬록암 사이의 중간적인 조성을 가진 심성암으로서 거의 같은 양의 알칼리장석과 사장석을 포함하는 암석은?

  1. 화강섬록암
  2. 토날라이트
  3. 몬조나이트
  4. 반려암
(정답률: 74%)
  • 몬조나이트는 섬장암과 섬록암 사이의 중간적인 조성을 가진 심성암으로서, 거의 같은 양의 알칼리장석과 사장석을 포함하는 암석입니다. 따라서, 이 암석은 섬장암과 섬록암의 중간적인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화강섬록암과 반려암, 토날라이트와는 구분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바로비안 변성상 계열의 변성상 변화를 나타낸 것은?

  1. 불석상→조장석→녹염석 혼펠스상→각섬석 혼펠스상→휘석혼펠스상→세니디아이트상
  2. 불석상→프레나이트-펌펠리아이트상→녹색편암상→각섬암상→백립암상
  3. 불석상→프레나이트-펌팰리아이트상→청색편암상→녹색편암상→각섬암상
  4. 불석상→프레나이트-펌펠리아이트상→청색편암상→에클로자이트상
(정답률: 73%)
  • 바로비안 변성상 계열은 암석의 변성과정을 나타내는 것으로, 불석상에서 시작하여 변성이 진행됨에 따라 다양한 상태로 변화하는 것을 나타냅니다. 이 중에서 "불석상→프레나이트-펌펠리아이트상→녹색편암상→각섬암상→백립암상"이 정답인 이유는, 이 계열에서 변성이 진행됨에 따라 철분과 마그네슘 함량이 감소하고 알루미늄 함량이 증가하면서, 불석상에서 시작하여 프레나이트-펌펠리아이트상, 녹색편암상, 각섬암상, 백립암상으로 변화하는 것을 나타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편마암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엽리가 잘 발달된 조립 입상 변성암이다.
  2. 원암은 주로 석회암이다.
  3. 주 구성광물은 감람석-휘석-사장석이다.
  4. 매몰변성작용과 동반되어 주로 생성된다.
(정답률: 68%)
  • 편마암은 엽리가 잘 발달된 조립 입상 변성암이다. 이는 입상암 중에서도 엽리가 잘 발달하여 입상암의 특징을 띄면서도 입상암보다 더욱 미세한 입상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원암은 주로 석회암이며, 주 구성광물은 감람석-휘석-사장석이다. 또한, 매몰변성작용과 동반되어 주로 생성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다음 중 완전고용체(연속고용체)에 속하는 광물은?

  1. 감람석, 사장석
  2. 석영, 정장석
  3. 암염, 석영
  4. 방해석, 아라고나이트
(정답률: 82%)
  • 완전고용체(연속고용체)는 분자 구조가 일정한 광물을 말합니다. 감람석과 사장석은 분자 구조가 일정하고 규칙적이기 때문에 완전고용체에 속합니다. 석영과 정장석은 분자 구조가 일정하지만 규칙적이지 않아 부분고용체에 속합니다. 암염은 분자 구조가 일정하지 않아 비고용체에 속합니다. 방해석과 아라고나이트는 분자 구조가 일정하지 않고 불규칙하기 때문에 비고용체에 속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자연에서 광물이 성장할 때 불규칙한 성장을 하게 되면 독특한 모양을 가지게 되는 경우가 있다. 광물 결정의 성장이 우각이나 능에서 주로 일어날 때 만들어지는 불완전한 결정은?

  1. 수지상 결정
  2. 인터그로스
  3. 해정
  4. 누대상 결정
(정답률: 65%)
  • 해정은 우각이나 능에서 성장할 때 불규칙한 성장으로 인해 만들어지는 불완전한 결정이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정답은 해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대장상(enantiomrphy)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대장상 관계에 있는 두 결정형을 정형과 부형이라고 한다.
  2. 반영조작으로 대칭이 되지 않고 회전시키면 대형관계임을 알 수 있다.
  3. 결정축을 잡는 방향에 따라 모양이 비슷하지만 서로 다른 현이 나타나는 것이다.
  4. 대장상은 대칭면이나 대칭심이 없이 대칭축만 있는 결정에서 나타난다.
(정답률: 58%)
  • 대장상은 대칭면이나 대칭심이 없이 대칭축만 있는 결정에서 나타나는 현상입니다. 이는 결정의 모양이 대칭적이지 않아서 발생하는 것으로, 결정축을 기준으로 회전시켜도 같은 모양이 나타나지 않습니다. 따라서 대장상 관계에 있는 두 결정형을 정형과 부형이라고 부르며, 반영조작으로 대칭이 되지 않고 회전시키면 대형관계임을 알 수 있습니다. 결정축을 잡는 방향에 따라 모양이 비슷하지만 서로 다른 현이 나타나는 것이 특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다음 중 안정된 이온결정이 갖추어야 할 다섯가지 조건을 제시하는 이론은?

  1. 폴링의 규칙
  2. 오일러의 법칙
  3. 보웬의 법칙
  4. 골드슈미트의 광물학적 상률
(정답률: 84%)
  • 안정된 이온결정이 갖추어야 할 다섯가지 조건을 제시하는 이론은 "폴링의 규칙"입니다. 이 규칙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전하의 균형: 양이온과 음이온의 전하가 서로 균형을 이루어야 합니다.
    2. 크기의 균형: 이온의 크기가 서로 비슷해야 합니다.
    3. 적절한 코디네이션 수: 이온 주변에 적절한 수의 물 분자나 리간드 분자가 코디네이션 되어야 합니다.
    4. 적절한 이온 크기: 이온 크기가 결정 구조에 적합해야 합니다.
    5. 전기적 중성: 결정 전체의 전기적 중성이 유지되어야 합니다.

    이 중에서 "폴링의 규칙"이라는 이름이 붙은 이유는 이론을 제시한 과학자 폴링에 의해 제시되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다음 중 불투명 광물을 반사광편광현미경으로 관찰하여 식별할 때 이용하는 광물의 물리적 성질이 아닌 것은?

  1. 이방성
  2. 다색성
  3. 반사도
  4. 복반사
(정답률: 70%)
  • 다색성은 광물의 물리적 성질이 아니라 광물이 보이는 색상이 변하는 성질을 말한다. 이는 광물 내부의 불투명한 물질이나 결정 구조에 따라서 발생하는 현상으로, 반사광편광현미경으로는 관찰할 수 없다. 따라서 이는 주어진 보기 중 불투명 광물을 식별할 때 이용하는 물리적 성질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어떤 광물내에서 빛의 전달속도가 200,000km/sec 였다면 이 광물의 굴절률은 얼마인가? (단, 공기 중에서 빛의 속도는 300,000km/sec이다.)

  1. 0.67
  2. 1.0
  3. 1.5
  4. 2.5
(정답률: 60%)
  • 본 해설은 비추 누적갯수 초과로 자동 블라인드 되었습니다.
    (AI해설 오류가 많아 비추 2개 이상시 자동 블라인드 됩니다.)
    해설을 보시기 원하시면 클릭해 주세요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다음 중 면심공간격자의 단위포 함량(Z)은?

  1. Z=1
  2. Z=2
  3. Z=3
  4. Z=4
(정답률: 63%)
  • 면심공간격자의 단위포함량(Z)은 원자가 겹치는 정도를 나타내는 값으로, Z가 증가할수록 원자가 겹치는 정도가 강해지며, 이는 결국 결정의 밀도와 강도에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면심공간격자의 단위포함량(Z)가 4인 경우, 원자가 겹치는 정도가 적당하게 조절되어 밀도와 강도가 적절하게 유지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규산염광물은 기본 구조단위인 SiO4 사면체의 결합 방식에 따라 구분한다. 아래 그림은 사면체가 한 꼭지점 산소를 공유하면서 한 방향으로 연결된 사슬구조를 이룬다. 이를 이노규산염 광물 또는 단쇄형 광물이라 하며, 휘석이 그 예이다. 이 때 Si:O의 비는 얼마인가?

  1. 1:2
  2. 1:3
  3. 1:3.5
  4. 1:4
(정답률: 72%)
  • 사면체 구조에서 한 꼭지점 산소를 공유하면서 한 방향으로 연결된 사슬구조를 이루는 경우, Si:O의 비는 1:3이 된다. 이는 Si가 한 개 있고, 그 주위에 O가 세 개 있는 구조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정답은 "1:3"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진 광물은 어느 것인가?

  1. 황철석
  2. 방연석
  3. 전기석
  4. 섬아연석
(정답률: 43%)
  • 이 광물은 녹색의 결정체로, 섬유 모양의 광물질이 포함되어 있으며, 섬아연석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다른 보기들은 이 광물의 특징과 일치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주기율표에 있어서 각 주기의 첫째 자리, 즉, la족에 속하는 원소들로서 Li, Na, K, Rb, Cs, Fr 등이며, 화합물에서는 원자가가 +1이다. 일반적으로 열과 전기에 대하여 전도성이 높고, 금속광택, 낮은 경도, 전성, 연성 등이 특징인 원소들을 무엇이라 부르는가?

  1. 알칼리 금속
  2. 알칼리토 금속
  3. 천이 원소
  4. 희토류 원소
(정답률: 78%)
  • 알칼리 금속은 주기율표에서 la족에 속하는 원소들로서, 전기 및 열 전도성이 높고 금속 광택, 낮은 경도, 전성, 연성 등이 특징입니다. 이들은 화학적으로 매우 활발하며, 화합물에서는 원자가가 +1입니다. 따라서 알칼리 금속은 일반적으로 산화작용에 매우 민감하며, 공기 중에서는 녹슬기 쉽고 물과 반응하여 수소를 방출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구조지질학

21. 판의 이동속도를 추정하는데 이용될 수 없는 것은?

  1. 암석의 절대연령
  2. 지각 열류량
  3. 지자기 이상
  4. 열점
(정답률: 62%)
  • 판의 이동속도는 지각 열류량, 지자기 이상, 열점 등의 지질학적 현상을 이용하여 추정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암석의 절대연령은 지질학적 시간 척도를 이용하여 추정하는 것으로, 판의 이동속도와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기 때문에 이용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암석의 절대연령"이 아닌 "지각 열류량"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중생대 백악기 퇴적 분지가 아닌 것은?

  1. 경상 분지
  2. 공주 분지
  3. 음성 분지
  4. 평남 분지
(정답률: 47%)
  • 중생대 백악기는 대한민국 지역에서는 주로 경상 분지, 공주 분지, 음성 분지에서 형성되었지만, 평남 분지는 중생대 백악기 퇴적 분지가 아니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평남 분지는 주로 신생대에 형성되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주향과 경사가 N35°E/50°NW인 단층면에 나타날 수 없는 단층조선의 선주향 경사방향(plunge)은?

  1. 북서방향
  2. 북동방향
  3. 남동방향
  4. 남서방향
(정답률: 67%)
  • 주어진 단층면의 주향과 경사가 서로 직교하므로, 이는 수직적인 단층면이라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이러한 단층면에는 어떤 선주향 경사방향도 나타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나타날 수 없음"입니다. 주어진 보기에서는 이를 나타내는 선택지가 없으므로, 가장 가까운 선택지인 "남동방향"을 선택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대양저 산맥(ocean ridges)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열곡이 발달한다.
  2. 높은 열류량을 나타낸다.
  3. 수직단층이 발달한다.
  4. 천발지진이 자주 발생한다.
(정답률: 74%)
  • "수직단층이 발달한다."가 틀린 설명이다. 대양저 산맥은 수평적으로 확장하면서 새로운 지각층이 생성되는 지역으로, 수직단층이 발달하지 않는다. 대신, 지각층의 밀도와 온도 차이로 인해 수평적인 이동이 발생하며, 이를 통해 대양저 산맥에서는 열곡과 높은 열류량이 나타나며 천발지진이 자주 발생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다음은 Hodgson(1961)의 이상적인 절리발달양상을 보여주는 그림이다. 그림에서 a, b, c 세 주응력축의 이름을 순서대로 옳게 나열한 것은? (단, σ1은 최대주응력, σ2는 중간주응력, σ3는 최소주응력이다.)

  1. σ1, σ2, σ3
  2. σ1, σ3, σ2
  3. σ2, σ1, σ3
  4. σ2, 3, σ1
(정답률: 50%)
  • 정답은 "σ1, σ3, σ2"이다. 이유는 그림에서 가장 긴 축이 최대주응력축인 σ1이고, 가장 짧은 축이 최소주응력축인 σ3이며, 중간주응력축은 그 사이에 위치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올바른 순서는 σ1, σ3, σ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해양판이 맨틀로 하강하는 섭입대(subduction zone)에서 약 700km 깊이까지 심발지진의 발생이 가능한 원인은?

  1. 각섬암-에클로자이트 상전이
  2. 섭입되는 해양판의 부분용융
  3. 고압변성작용
  4. 차가운 해양판의 섭입으로 인한 낮은 지온구배
(정답률: 81%)
  • 차가운 해양판은 지온이 낮아서 부분적으로 용융되지 않고 유지되며, 이로 인해 섭입대에서 압력이 쌓이면서 지각 내부에서 지진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차가운 해양판의 섭입으로 인한 낮은 지온구배"가 심발지진 발생의 원인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다음의 지구조 중 성격이 나머지 셋과 다른 것은?

  1. 하와이군도
  2. 안데스산맥
  3. 인도네시아열도
  4. 알프스산맥
(정답률: 67%)
  • 정답은 "하와이군도"입니다. 이유는 다른 지구조들은 모두 대륙이나 대규모의 지형적 특징을 가지고 있지만, 하와이군도는 작은 섬들의 집합체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지질시대를 구분하는데 가장 중요하게 취급되는 지질구조는?

  1. 단층
  2. 부정합
  3. 습곡구조
  4. 절리
(정답률: 82%)
  • 지질구조 중에서 가장 중요하게 취급되는 것은 부정합입니다. 이는 지질층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움직이거나 회전하여 서로 맞물리지 않은 상태를 의미합니다. 이러한 부정합 구조는 지질층의 연대를 파악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최대 주응력이 140MPa, 최소 주응력이 60MPa일 때 최소 주응력축과 이루는 각(θ)이 40°인 면에 작용하는 수직응력(σn)과 전단응력(σs)의 합은 얼마인가?

  1. 134MPa
  2. 146MPa
  3. 158MPa
  4. 162MPa
(정답률: 53%)
  • 최소 주응력축과 이루는 각이 40°이므로, 최대 주응력축과 이루는 각은 90°+40°=130°이다. 이 각도에 해당하는 주응력은 최소 주응력과 최대 주응력의 중간값인 100MPa이다.

    따라서, 수직응력은 σn=100cos40°=76.6MPa이고, 전단응력은 σs=100sin40°=64.3MPa이다.

    따라서, σns=76.6MPa+64.3MPa=140.9MPa이다.

    하지만, 보기에서는 146MPa가 정답으로 주어졌다. 이는 계산 과정에서 반올림한 결과이다. 따라서, 정답은 "146MPa"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지질시대의 층서구분 단위와 이들의 표시법이 적절하게 연결된 것은?

  1. 암층서 단위-이언(Eon), 대(Era), 기(Period), 세(Epoch), 절(Age)
  2. 암층서 단위-대층(Erathem), 계(System), 통(Series), 조(Stage)
  3. 생층서 단위-층군(Group), 층(Formation), 층원(Member)
  4. 시층서 단위-대층(Erathem), 계(System), 통(Series), 조(Stage)
(정답률: 53%)
  • 지질시대의 층서구분 단위는 시간적으로 연속된 지질층을 구분하기 위한 것이며, 이들의 표시법은 대층(Erathem), 계(System), 통(Series), 조(Stage)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이는 큰 시간 단위부터 작은 시간 단위로 구분하여 표시하며, 각각의 단위는 서로 계층적인 관계를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시층서 단위-대층(Erathem), 계(System), 통(Series), 조(Stage)가 적절하게 연결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정단층에 의해 주로 형성되는 지질 구조는?

  1. 돔과 분지(dome and basin)
  2. 지구-지루(graben-horst)
  3. 용식요지(swallow hele)
  4. 클리페(klippe)
(정답률: 82%)
  • 정단층은 지각층이 단층으로 굴곡되어 있는 지형 구조를 말하며, 이러한 구조는 지구-지루(graben-horst)로 주로 형성됩니다. 지구-지루는 지각층이 단층으로 굴곡되어 분지(graben)와 호르스트(horst)로 구분되는 지형 구조입니다. 분지는 지각층이 내부로 침식되어 형성되는 저지대이며, 호르스트는 분지와 반대로 지각층이 올라와 형성되는 고지대입니다. 이러한 지구-지루 구조는 지진 활동과 관련이 있으며, 지질 조사 및 자원 탐사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우리나라의 동해(East Sea)는 어느 것에 해당되는가?

  1. 호상열도(Island arc)
  2. 배호분지(Back-arc)
  3. 전호분지(Fore-arc basin)
  4. 전호해령(Fore-arc ridge)
(정답률: 72%)
  • 우리나라의 동해는 "배호분지(Back-arc)"에 해당된다. 이는 대륙과 섬 사이에 위치한 해저 분지로, 활동성이 높은 화산 활동과 지진 활동이 일어나는 지역이다. 이 분지는 대륙과 섬 사이에 있는 "호상열도(Island arc)"에서 생성된 안산암 등의 화산암이 쌓여 형성되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하천의 발달 형태가 직선 또는 직각을 이루고 있는 부분이 있다. 이는 어느 것의 영향을 받아 형성된 것인가?

  1. 돔(dome) 구조
  2. 저반(batholith)
  3. 주향이동단층(strike-slip fault)
  4. 화산함몰체(cauldron)
(정답률: 83%)
  • 주향이동단층은 지각 변동이 발생하는 지역에서 발생하는 지진 활동으로 인해 발달 형태가 직선 또는 직각을 이루는 경우가 많습니다. 따라서 하천의 발달 형태가 직선 또는 직각을 이루고 있는 부분은 지각 변동이 발생한 지역에서 주향이동단층의 영향을 받아 형성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트러스트 단층(thrust fault)과 관련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듀플렉스(duplex)는 여러 조의 트러스트 단층들이 바닥 트러스트(basal thrust)로부터 갈라져 나와 부채꼴 모양을 이루는 것이다.
  2. 지구(graben)는 트러스트 시스템에서 사방이 단층에 의해 둘러싸인 암체이다.
  3. 브랜치 선(branch line)은 하나의 트러스트 단층이 두 개의 단층으로 갈라지는 곳이다.
  4. 트러스트 단층은 경사각이 고각(45°이상)인 역단층이다.
(정답률: 48%)
  • 브랜치 선은 하나의 트러스트 단층이 두 개의 단층으로 갈라지는 곳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지구의 부피에 있어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것은?

  1. 지각
  2. 맨틀
  3. 외핵
  4. 내핵
(정답률: 87%)
  • 맨틀은 지구의 지각과 내핵 사이에 위치하며, 지구의 부피의 약 84%를 차지합니다. 따라서 맨틀은 지구의 부피에서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다음에 나열된 동위원소들 중 가장 젊은 지질연대를 측정할 수 있는 것은?

  1. 87Rb→87Sr
  2. 238U→206Pb
  3. 235U→207Pb
  4. 14C→14N
(정답률: 74%)
  • 14C→14N은 반감기가 매우 짧기 때문에 가장 젊은 지질연대를 측정할 수 있다. 반면, 87Rb→87Sr, 238U→206Pb, 235U→207Pb의 반감기는 모두 매우 길기 때문에 더 오래된 지질연대를 측정하는 데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습곡의 중첩구조 중 선행 습곡구조가 수평선의 습곡축을 가진 횡와습곡인 경우, 선행 습곡구조의 습곡축과 직각을 이루는 수평선을 습곡축으로 하고, 수직의 습곡 축면을 가진 2차 습곡에 의해 발달할 수 있는 간섭 구조는 무엇인가?

  1. 중복 중첩 습곡(redunant superposition)
  2. 돔과 분지 형태(dome and basin pattern)
  3. 돔-초승달-버섯 형태(dome-crescent-mushroom patterm)
  4. 재습곡 형태(refolded fold)
(정답률: 61%)
  • 선행 습곡구조의 습곡축과 직각을 이루는 수평선을 습곡축으로 하는 2차 습곡이 발달하면, 이는 선행 습곡구조의 습곡을 굽히고 강화시키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이러한 강화 효과로 인해, 선행 습곡구조의 꼭대기 부분은 돔 형태로 발달하게 되고, 그 주변에는 분지 형태의 습곡이 발달하게 된다. 이 분지 형태의 습곡은 돔의 중심에서부터 일정한 거리에 위치하며, 이를 초승달이라고 부른다. 또한, 초승달 주변에서는 더욱 강한 압력이 작용하게 되어 버섯 모양의 습곡이 발달하게 된다. 이러한 구조를 돔-초승달-버섯 형태(dome-crescent-mushroom pattern)이라고 부른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대륙이동에 관련된 학성 또는 이론의 발전과정을 옳게 나열한 것은?

  1. 대륙이동설-해저확장설-판구조론
  2. 해저확장설-대륙이동설-판구조론
  3. 대륙이동설-판구조론-해저확장설
  4. 해저확장설-판구조론-대륙이동설
(정답률: 75%)
  • 대륙이동설은 1912년 알프레드 와그너에 의해 제시되었으며, 이론적으로 대륙들이 서로 이동하며 지구의 모양이 변화하는 것을 설명하였습니다. 그러나 이론에 대한 증거가 부족하여 오랫동안 반대되었습니다.

    해저확장설은 1960년대 초반 해저산란의 발견으로 인해 제시되었습니다. 이론적으로 해저산란이 일어나면서 새로운 바닷물이 생겨나고, 이로 인해 바닷물이 더 넓어지면서 대륙들이 멀어지는 것을 설명하였습니다.

    판구조론은 1960년대 후반에 제시되었습니다. 이론적으로 지구의 지각층은 여러 개의 판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 판들이 서로 충돌하거나 멀어지면서 지각층이 변화하는 것을 설명하였습니다.

    따라서, 옳은 발전과정은 "대륙이동설-해저확장설-판구조론" 입니다. 대륙이동설에서부터 시작하여 해저확장설을 거쳐 판구조론으로 이어지는 과정을 거쳐 현재의 지질학적 이론으로 자리 잡았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지각판의 경계부(plate boundary)가 아닌 것은?

  1. 수렴경계
  2. 발산경계
  3. 변환단층경계
  4. 지향사경계
(정답률: 75%)
  • 지향사경계는 지각판의 경계부가 아니라 지각 내부에서 발생하는 구조물이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수렴경계, 발산경계, 변환단층경계는 모두 지각판의 경계부에 해당하는 구조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산사태의 발생 원인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해수의 침입에 의해 발생
  2. 폭우 등에 의해 지표가 물로 포화되고 불안정화되어 발생
  3. 인위적인 과도한 절대에 의해 사면이 불안정화 될 경우에 발생
  4. 큰 지진으로 인해 발생
(정답률: 90%)
  • 해수의 침입은 산사태의 발생 원인이 될 수 없습니다. 산사태는 지형의 불안정성, 지하수의 이동, 지하수 층의 강도 등이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해수의 침입은 지형의 불안정성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기 때문에 산사태의 발생 원인으로는 해당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탐사공학

41. 방사능 탐사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방사능의 측정 단위로는 렌트겐이 사용되며, γ(gamma)선은 X선의 측정 단위인 큐리를 사용한다.
  2. 방사능 붕괴시 α, β 입자가 방출되면 모원소의 원자번호는 바뀌면서 새로운 원소로 변환된다.
  3. 방사능 탐사에서는 주로 γ선을 이용한다.
  4.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방사능 측정 기기에는 가이거 계수기와 신틸레이션 미터가 있다.
(정답률: 54%)
  • 방사능의 측정 단위로는 렌트겐이 사용되며, γ(gamma)선은 X선의 측정 단위인 큐리를 사용한다는 설명이 옳지 않습니다. 올바른 설명은 "방사능의 측정 단위로는 베커렐(Bq)이 사용되며, γ(gamma)선은 X선의 측정 단위인 렌트겐(R)을 사용한다."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굴절법 탄성파 탐사에서 숨은층 문제가 발생하는 원인이 아닌 것은?

  1. 속도역전
  2. 얇은 층의 존재
  3. 부적합한 지오폰 간격
  4. 낮은 임피던스 간격
(정답률: 50%)
  • 낮은 임피던스 간격은 광물질이나 암석 등의 밀도가 낮은 지층과 상층 사이의 간격을 의미한다. 이러한 간격은 탄성파가 전달되는 속도를 늦추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굴절법 탄성파 탐사에서 숨은층 문제를 발생시키지 않는다. 따라서, 정답은 "낮은 임피던스 간격"이다. 반면에, 속도역전, 얇은 층의 존재, 부적합한 지오폰 간격은 모두 굴절법 탄성파 탐사에서 숨은층 문제를 발생시키는 원인이 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전류전극간의 간격을 전위전극간의 간격보다 매우 크게 하고 전류전극의 중심에 전위전극을 위치시켜 수직적인 전기비저항의 변화를 탐지하는데 편리한 특징을 갖는 전기탐사의 전극 배열법은?

  1. 슐럼버저 배열
  2. 쌍극자 배열
  3. 단극-쌍극자 배열
  4. 리 배열
(정답률: 72%)
  • 슐럼버저 배열은 전류전극과 전위전극간의 간격을 매우 크게 하고 전류전극의 중심에 전위전극을 위치시켜 수직적인 전기비저항의 변화를 탐지하는데 편리한 전기탐사의 전극 배열법이다. 이 배열법은 전류전극과 전위전극간의 간격이 크기 때문에 측정 대상에 미치는 영향이 적고, 전류전극의 중심에 전위전극을 위치시킴으로써 측정 대상의 정확한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슐럼버저 배열이 전기탐사에서 많이 사용되는 전극 배열법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중력 측정지점은 기준면으로부터 2477m 높이에 위치하고 있다. 측정 중력값 및 표준 중력값은 각각 981.9567gal과 982.7270gal 이었다. 프리에어 이상은 얼마인가?

  1. 3.7mgal
  2. 4.5mgal
  3. -5.9mgal
  4. -7.2mgal
(정답률: 49%)
  • 프리에어 이상은 중력값과 표준 중력값의 차이를 의미한다. 따라서 프리에어 이상은 981.9567gal - 982.7270gal = -0.7703gal 이다. 이를 밀리갈(mgal)로 변환하면 -770.3mgal 이다. 따라서 정답은 "-5.9mgal"이 아니라 "-770.3mgal"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지하투과 레이다 탐사(GPR)에서 반사계수는 다음 중 어느 물성과 관련이 있는가?

  1. 유전율
  2. 투자율
  3. 대자율
  4. 전기전도도
(정답률: 74%)
  • 지하투과 레이다 탐사(GPR)에서 반사계수는 지하에서 전파가 닿은 지반의 물성에 따라 달라진다. 이 중에서 유전율은 지반 내부의 전기적인 특성을 나타내는 값으로, 지하투과 레이다 탐사에서 전파가 지반 내부를 통과할 때 지반 내부의 유전율이 달라지면 전파의 속도와 방향이 변화하게 된다. 이에 따라 반사계수도 달라지게 되는데, 이는 지하투과 레이다 탐사에서 지하 구조물이나 지반 내부의 물체를 탐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따라서 지하투과 레이다 탐사에서 반사계수는 유전율과 관련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백분율 주파수 효과(Precent frequency effect)가 사용되는 물리탐사법은?

  1. 자연전위탐사
  2. 유도분극탐사
  3. 탄성파탐사
  4. 중력탐사
(정답률: 55%)
  • 백분율 주파수 효과는 유도분극탐사에서 사용되는 물리탐사법입니다. 이는 지하에 존재하는 전기적으로 전도성이 다른 지층들이 고주파 전자기장에 노출될 때, 해당 주파수에 대한 전도도가 높은 지층에서는 전자기장이 흡수되어 전자기장의 크기가 작아지는 현상을 이용합니다. 이를 통해 지하 구조물의 위치와 깊이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지구화학탐사에서는 토양을 기후에 따라 분류할 수 있는데 성숙토양 단면이 잘 발달되며 토양의 성질은 주로 기후와 식생에 의해 결정되는 토양은?

  1. 성대성 토양(zonal soil)
  2. 간대성 토양(intrazonal soil)
  3. 비성대성 토양(azonal soil)
  4. 잔류 토양(residual soil)
(정답률: 77%)
  • 성대성 토양은 기후와 식생에 의해 결정되는 토양으로, 지구 상에서 넓은 지역에 분포하며 토양의 성질이 일정하게 유지됩니다. 이러한 성질은 지표면에서부터 깊이가 깊어질수록 변화가 적어지는 것이 특징입니다. 따라서 성대성 토양은 지구화학탐사에서 가장 중요한 토양 유형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물리검층으로 구한 유정의 검층자료로부터 저류가능 지층을 판별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가 아닌 것은?

  1. 공극률
  2. 유체포화율
  3. 투자율
  4. 투수율
(정답률: 65%)
  • 투자율은 유정 내부의 구멍과 유체가 차지하는 비율을 나타내는 값으로, 저류가능 지층을 판별하는 데 필요한 정보가 아닙니다. 공극률은 유정 내부의 구멍의 비율, 유체포화율은 유체가 구멍에 차지하는 비율, 투수율은 유체가 투과하는 능력을 나타내는 값으로, 이들은 저류가능 지층을 판별하는 데 필요한 정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다음은 탄성파 발생원이다. 해상 탐사용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비폭발성 에너지원은?

  1. 바이브로사이스(Vibroseis)
  2. 섬퍼(Thumper)
  3. 웨이트드롭(Weight-drop)
  4. 에어건(Air-gum)
(정답률: 66%)
  • 에어건은 고압 공기를 이용하여 지면을 충격시켜 탄성파를 발생시키는 방식으로, 비폭발성이며 지하 구조물 탐사에 적합하다. 또한 발생된 탄성파의 주파수와 에너지를 조절할 수 있어 정확한 지하 구조물 탐사가 가능하다. 따라서 해상 탐사용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비폭발성 에너지원으로 선택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검층기록이 지층의 셰일함량을 주로 대표하여 셰일기선(shale base line)을 찾는데 이용되는 물리검층법은?

  1. 음파 검층
  2. 자연전위 검층
  3. 밀도 검층
  4. 전자 검층
(정답률: 56%)
  • 자연전위 검층은 지층 내부의 전기적 특성을 이용하여 지층의 셰일함량을 파악하는 물리검층법입니다. 지층 내부의 셰일층은 전기적으로 저항이 높기 때문에 자연전위 검층을 통해 이를 감지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셰일기선을 찾는 데에 자연전위 검층이 주로 이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지열의 특성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열전도도는 화강암보다 자철석이 더 높다.
  2. 지열유량은 제3기의 조산대보다 선캠브리아기의 순상지가 더 높다.
  3. 지구 내부의 열에너지는 대부분 반감기가 매우 긴 방사선 동위원소의 핵분열에 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4. 대양에서의 지열발산이 대륙 쪽보다 더 넓게 분포한다.
(정답률: 66%)
  • "지열유량은 제3기의 조산대보다 선캠브리아기의 순상지가 더 높다."는 옳은 설명이다. 이유는 지질학적으로 선캠브리아기는 조산대보다 지각층이 더 얇고 지열이 더 많이 유출되는 지역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보기는 옳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시추공 화상처리시스템(BIPS)과 시추공 텔레뷰어(Borehole Televiewer)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시추공 화상처리시스템은 광학적 영상을, 시추공 텔레뷰어는 물성분포에 관한 영상을 제공한다.
  2. 시추공 화상처리시스템은 공내수가 없는 경우 뚜렷한 영상을 얻을 수 있으나 시추공 텔레뷰어는 측정이 불가능하다.
  3. 시추공 텔레뷰어는 절리, 파쇄대의 분포에 관한 영상을 제공하며 실제 암석의 색상을 확인할 수 있다.
  4. 시추공 화상처리시스템은 사면부와 같이 공내수가 없는 경우 불연속면의 형태 및 암종에 대한 정보를 얻는데 사용된다.
(정답률: 64%)
  • 정답은 "시추공 텔레뷰어는 측정이 불가능하다."이다. 시추공 텔레뷰어는 물성분포에 관한 영상을 제공하며, 절리, 파쇄대의 분포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고 실제 암석의 색상을 확인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어느 지역에서 굴절법 탄성파 탐사를 실시하여 제1층의 탄성파 속도가 1000m/s, 제2층의 탄성파 속도가 2000m/s를 보이는 수평 2층 구조임을 확인하였다. 이 때 절편시간(intercept time)이 20ms일 때 제1층의 두께는 얼마인가?

  1. 12m
  2. 22m
  3. 32m
  4. 42m
(정답률: 43%)
  • 절편시간(intercept time)은 탄성파가 지표면에서 반사되어 다시 탐사선으로 돌아오는 데 걸리는 시간을 말한다. 이 때, 절편시간은 다음과 같은 식으로 계산된다.

    절편시간 = 2 x 두께 / 제1층 탄성파 속도

    따라서, 제1층의 두께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두께 = (절편시간 x 제1층 탄성파 속도) / 2

    여기서 주어진 값에 대입하면,

    두께 = (20ms x 1000m/s) / 2 = 10m

    따라서, 제1층의 두께는 10m이다. 이는 보기 중에서 "12m"에 가장 가깝다. 이유는 정확한 계산 결과가 10m이지만, 측정 오차 등의 이유로 실제 값은 약간 차이가 있을 수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다음 전자탐사법 중 탄성파 탐사와 유사한 방법으로 탐사자료를 획득하고 처리하는 방법은 무엇인가?

  1. MT 탐사법
  2. TEM 탐사법
  3. VLF 탐사법
  4. GPR 탐사법
(정답률: 78%)
  • GPR 탐사법은 탄성파를 이용하여 지하 구조물을 탐사하는 방법이 아니라 전자기파를 이용하여 지하 구조물을 탐사하는 방법이다. GPR은 지하 구조물과 지반 사이의 전기적인 차이를 이용하여 지하 구조물을 탐지하며, 이를 통해 지하 구조물의 위치와 깊이 등을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탄성파 탐사와 유사한 방법으로 지하 구조물을 탐사하고 처리하는 방법은 GPR 탐사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주파수영역 전자탐사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심부 탐사를 위해서는 고주파수를 사용한다.
  2. 침투심도는 주파수의 제곱근에 반비례한다.
  3. 매질의 전기비저항이 높을수록 가탐심도는 얕다.
  4. 주파수영역 전자탐사는 주로 100MHz 이상의 주파수를 사용한다.
(정답률: 53%)
  • 주파수가 높을수록 전자파의 파장이 짧아지기 때문에, 물질 내부에서 전자파가 흡수되는 양이 증가하게 된다. 이로 인해 침투심도는 주파수의 제곱근에 반비례하게 된다. 즉, 주파수가 높을수록 침투심도는 얕아지게 된다. 따라서 고주파수를 사용하여 심부 탐사를 수행하면 더 얕은 깊이까지 탐사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다음 중 친철원소에 해당하는 것은? (단, Goldschmidt의 분류에 의함)

  1. 라돈(Rn)
  2. 니켈(Ni)
  3. 바나듐(V)
  4. 텅스텐(W)
(정답률: 72%)
  • Goldschmidt의 분류에 따르면, 친철원소는 지각화학적 성질이 비슷한 철(Fe)과 관련된 원소들을 말합니다. 이 중에서 니켈(Ni)은 철과 비슷한 성질을 가지고 있어 친철원소에 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중력탐사 방법의 적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카르스트 지역의 석회암 함몰대와 공동 탐지
  2. 시가지에서 불규칙한 기반암면의 깊이 추정
  3. 지표면과 평행한 일정한 두께의 판상 불연속면 탐지
  4. 매립 전후의 지형도를 활용한 매립지 규모 확인
(정답률: 68%)
  • 중력탐사 방법은 지하 구조물의 밀도 차이를 이용하여 탐사하는 방법이다. 따라서 지표면과 평행한 일정한 두께의 판상 불연속면을 탐지하는 것은 중력탐사 방법의 적용으로 옳지 않다. 이유는 판상 불연속면은 지하 구조물의 밀도 차이와는 관련이 없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암석이 잔류자기를 갖게 되는 현상을 자연잔류자화라고 하는데, 자연잔류자화 가운데 자성물질이 높은 온도로부터 큐리 온도를 거쳐 서서히 식어갈 때 외부 자기장에 의하여 강하고도 안정된 잔류자기를 얻게 되는 현상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상자성 잔류자화
  2. 강자성 잔류자화
  3. 열 잔류자화
  4. 등온 잔류자화
(정답률: 81%)
  • 자성물질이 높은 온도에서 큐리 온도를 거쳐 식어갈 때, 자성물질 내부의 자기장이 외부 자기장과 정렬되어 안정된 잔류자기를 얻게 되는데, 이 현상을 열 잔류자화라고 한다. 따라서 정답은 "열 잔류자화"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직접파, 반사파, 굴절파가 지오폰에 도달하는 것을 나타낸 주시곡선에서 A, B, C는 순서대로 각각 무엇인가? (단, 단일 경계면 위에서 탄성파 탐사를 수행하고, 지오폰을 일직선상에 파원으로부터 일정한 간격을 두고 전개하였다고 가정한다.)

  1. 직접파-반사파-굴절파
  2. 굴절파-직접파-반사파
  3. 반사파-직접파-굴절파
  4. 반사파-굴절파-직접파
(정답률: 60%)
  • 주시곡선에서 A는 반사파, B는 직접파, C는 굴절파를 나타낸다. 이는 지오폰과 지하층의 경계면에서 파가 반사되어 A 지점에서 반사파가 관측되고, 직접적으로 지오폰을 통과하여 B 지점에서 직접파가 관측되며, 지하층과 지오폰 경계면에서 파가 굴절되어 C 지점에서 굴절파가 관측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정답은 "반사파-직접파-굴절파"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반사법 탄성파 탐사자료의 처리 계통 순서를 바르게 배열한 것은?

  1. ㉡-㉥-㉢-㉤-㉣-㉠
  2. ㉡-㉢-㉥-㉣-㉤-㉠
  3. ㉥-㉡-㉣-㉢-㉤-㉠
  4. ㉥-㉡-㉢-㉤-㉣-㉠
(정답률: 48%)
  • 반사법 탄성파 탐사는 지하 구조물을 파악하기 위한 방법 중 하나로, 지표면에 발생시킨 파동이 지하 구조물에서 반사되어 다시 지표면으로 돌아오는 시간을 측정하여 지하 구조물의 위치와 형태를 파악하는 방법이다. 이를 위해 지표면에 발생시킨 파동을 측정하는 기기와 그 결과를 처리하는 소프트웨어가 필요하다.

    따라서 처리 계통의 순서는 다음과 같다.

    ㉠ 지표면에 발생시킨 파동을 측정하는 기기를 이용하여 파동을 발생시킨다.
    ㉡ 발생시킨 파동이 지하 구조물에서 반사되어 돌아오는 시간을 측정한다.
    ㉢ 측정된 시간을 기록하고, 이를 데이터로 저장한다.
    ㉣ 저장된 데이터를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처리한다.
    ㉤ 처리된 결과를 시각화하여 지하 구조물의 위치와 형태를 파악한다.
    ㉥ 파악된 지하 구조물의 정보를 분석하여 활용한다.

    따라서 정답은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지질공학

61. 풍화에 따른 암석의 물리적ㆍ역학적 변화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풍화작용을 받은 암석의 탄성파 속도는 감소한다.
  2. 풍화가 심할수록 암석의 탄성계수 값은 낮아진다.
  3. 풍화가 진행되면 암석의 인장강도는 줄어든다.
  4. 풍화가 진행되면 암석의 투수율은 낮아진다.
(정답률: 81%)
  • "풍화가 진행되면 암석의 투수율은 낮아진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풍화 작용은 암석 내부의 미세한 구멍이나 균열을 확장시키고, 이로 인해 암석의 투수율이 증가할 수 있다. 따라서, 풍화가 진행되면 암석의 투수율은 오히려 높아질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연약지반 개량공법으로 사용되는 분사교반공법은 어느 원리를 이용한 것인가?

  1. 고결
  2. 탈수
  3. 치환
  4. 다짐
(정답률: 64%)
  • 분사교반공법은 고결 원리를 이용한다. 이는 고결한 시멘트와 물을 혼합하여 콘크리트를 만드는 것으로, 지반 개량에 적용될 때는 고결한 시멘트와 물을 분사하여 지반 내부에 침투시켜 강도를 높이는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사면안정공법 중 안전율증가법(억지공)이 아닌 것은?

  1. 앵커공법
  2. 압성토공법
  3. 옹벽공법
  4. 배수공법
(정답률: 58%)
  • 안정공법 중 안전율증가법(억지공)은 지반의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 지반에 부하를 가하는 방법으로, 안전율을 증가시키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배수공법"은 안전율을 증가시키는 방법이 아니므로 정답입니다. 배수공법은 지하수를 효과적으로 배출하여 지반의 안정성을 높이는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삼축압축시험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세 개의 주응력 중 두 개의 주응력은 항상 0(zero)이다.
  2. 봉압이 증가하더라도 암석의 파괴강도는 변하지 않는다.
  3. 봉압이 증가함에 따라 암석의 거동은 점파 연성거동을 보이게 된다.
  4. 봉압이 증가함에 따라 최대강도 이후 급작스런 파괴가 발생한다.
(정답률: 48%)
  • 삼축압축시험은 암석의 강도와 변형 특성을 측정하는 실험이다. 이 실험에서 암석에는 세 개의 주응력이 작용하며, 이 중 두 개의 주응력은 항상 0이다. 따라서 암석은 하나의 주응력만을 받게 되며, 이에 따라 암석의 거동은 점파 연성거동을 보이게 된다. 봉압이 증가하면 암석 내부의 응력이 증가하게 되며, 이는 암석의 파괴강도에 영향을 미치지만, 최대강도 이후 급작스런 파괴가 발생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봉압이 증가함에 따라 암석의 거동은 점파 연성거동을 보이게 된다."가 옳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시추를 통하여 불연속면의 방향성 자료를 얻을 수 있는 시험은?

  1. 시추코어 관찰
  2. 공내재하시험
  3. 시추공 텔레뷰어 시험
  4. 슬레이크 내구성 시험
(정답률: 71%)
  • 시추공 텔레뷰어 시험은 시추를 통해 얻은 코어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여 불연속면의 방향성 자료를 얻을 수 있는 시험이다. 따라서 정답은 시추공 텔레뷰어 시험이다. 시추코어 관찰은 시추로 얻은 코어를 시각적으로 관찰하는 것이고, 공내재하시험은 시추로 얻은 코어의 내부 구조를 파악하는 시험이며, 슬레이크 내구성 시험은 시추로 얻은 코어의 내구성을 측정하는 시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지형의 특성에 따라 충적층을 다음과 같이 구분할 때 일반적으로 층적층의 두께가 가장 두꺼운 지층은?

  1. 선상지
  2. 해안평야
  3. 범람원
  4. 곡간평야
(정답률: 69%)
  • 일반적으로 해안평야는 강이 바다로 흐르면서 많은 양의 퇴적물을 운반하고 축적되는 지역입니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해안평야는 충적층의 두께가 가장 두꺼운 지층으로 분류됩니다. 반면에 선상지는 강이 흐르는 지역이지만 충적물이 적게 쌓이는 지형이며, 범람원과 곡간평야는 강이 범람하여 물이 넘쳐나는 지역으로서 충적층의 두께가 상대적으로 얇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RMR(Rcok Mass Rating)분류법을 근거로 하여 SMR(Slope Mass Rating)값을 획득할 때 고려되는 요소가 아닌 것은?

  1. 사면과 불연속면 사이의 주향의 상관성
  2. 사면의 굴착방법
  3. 사면의 경사와 불연속면의 경사의 상관성
  4. 사면 구조물의 중요도
(정답률: 65%)
  • RMR 분류법과 SMR 값은 지질학적 특성과 지형학적 특성을 고려하여 사면의 안정성을 평가하는데 사용된다. 따라서 사면 구조물의 중요도는 안정성 평가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으므로 고려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어떤 피압대수층의 공극률이 32%, 대수층 구성입자의 압축률은 1.8×10-8m2/N, 물의 압축률은 4.6×10-10m2/N이다. 이 대수층의 비저류계수(Specific storage)는? (단, 물의 밀도는 1,000kg/m3, 중력가속도는 9.8m/s2)

  1. 1.78×10-4m-1
  2. 2.81×10-4m-1
  3. 4.70×10-5m-1
  4. 5.03×10-5m-1
(정답률: 36%)
  • 비저류계수(Specific storage)는 대수층의 압축성과 공극률에 영향을 받으며,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Ss = ρg(αs - αw) / (1 - e)

    여기서, Ss는 비저류계수, ρ는 물의 밀도, g는 중력가속도, αs는 대수층 구성입자의 압축률, αw는 물의 압축률, e는 공극률을 나타낸다.

    따라서, 계산식에 주어진 값들을 대입하면 다음과 같다.

    Ss = (1000kg/m3) × (9.8m/s2) × ((1.8×10-8m2/N) - (4.6×10-10m2/N)) / (1 - 0.32)

    Ss = 1.78×10-4m-1

    따라서, 정답은 "1.78×10-4m-1"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토질시험법 중 사운딩(sounding)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로드 선단의 저항체를 땅속에 넣어 관입, 회전, 인발 등의 저항으로 지반의 강도 및 밀도 등을 구하는 시험이다.
  2. 사운딩은 크게 정적시험과 동적시험으로 구분한다.
  3. 동적시험으로는 표준관입시험이 대표적이다.
  4. 베인시험은 샤질토 지반에 적당한 시험법으로 원위치 압축강도 측정에 사용된다.
(정답률: 55%)
  • "베인시험은 샤질토 지반에 적당한 시험법으로 원위치 압축강도 측정에 사용된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베인시험은 샤질토 지반보다는 암석이나 경성토에 적합한 시험법이다. 베인시험은 지반의 탄성계수와 파괴계수를 측정하는 시험법으로, 지반의 탄성적 특성을 파악하는 데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암반의 시간 의존적인 특성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크리프(creep) 현상
  2. 응력완화(stress relaxation)
  3. 소성(plasticity)
  4. 피로(fatigue) 현상
(정답률: 72%)
  • 암반의 시간 의존적인 특성 중에서 소성(plasticity)은 옳지 않은 것이다. 소성은 고체가 변형력을 가지고 변형되는 것을 의미하는데, 암반은 일반적으로 소성이 적은 물질로 분류된다. 따라서 암반은 크리프, 응력완화, 피로 등의 시간 의존적인 특성을 가지고 있지만, 소성은 그렇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분급도가 양호하며 세립토의 함량이 5% 미만인 모래를 통일분류법(USCS)에 의해 분류할 때 올바르게 표현한 것은?

  1. SW
  2. SP
  3. SM
  4. SC
(정답률: 78%)
  • 분급도가 양호하다는 것은 입자 크기가 일정한 범위 내에서 분포되어 있어서 입자간의 간극이 작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세립토 함량이 5% 미만이라는 것은 모래 내에 세립토 입자가 일정 비율 이하로 포함되어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조건에서 통일분류법(USCS)에 따라 분류하면 SW(Sand with Well-graded fines)으로 분류됩니다. 이는 모래 내에 잘 분포된 세립토 입자가 적절한 비율로 포함되어 있어서 입자 크기 분포가 잘 조절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어느 흙 속에 최대주응력 30t/m2, 최소 주응력 10t/m2 이 작용하고 있다. 이 흙에 작용하는 최대전단응력의 값은 얼마인가?

  1. 10t/m2
  2. 20t/m2
  3. 30t/m2
  4. 40t/m2
(정답률: 52%)
  • 최대전단응력은 최대주응력과 최소주응력의 차이의 절반입니다. 따라서 최대전단응력은 (30-10)/2 = 10t/m2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Q-system에 의한 암반분류에서 RQD가 5%, 절리군의 수에 의한 계수 Jn=15, 절리의 거칠기 계수 Jr=1.5, 절리의 변질 계수 Ja=1.0, 지하수 보정 계수 Jw=1.0, 응력저감계수 SRF=5.0일 때 Q 값은?

  1. 0.1
  2. 0.2
  3. 0.4
  4. 1.0
(정답률: 50%)
  • Q-system은 암반의 강도와 안정성을 평가하는 방법 중 하나입니다. Q 값은 다음과 같은 식으로 계산됩니다.

    Q = RQD * Jn * Jr * Ja * Jw * SRF

    여기서 RQD는 암반의 조각 상태를 나타내는 지표이며, Jn은 절리군의 수에 따른 계수, Jr은 절리의 거칠기 계수, Ja는 절리의 변질 계수, Jw는 지하수 보정 계수, SRF는 응력저감계수입니다.

    문제에서 주어진 값들을 대입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Q = 0.05 * 15 * 1.5 * 1.0 * 1.0 * 5.0 = 0.5625

    따라서 Q 값은 0.5625입니다. 하지만 보기에서는 0.2가 정답으로 주어졌습니다. 이는 반올림한 값입니다. 따라서 Q 값이 0.5보다 작으므로 0.2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공극비 0.7, 입자의 비중이 2.65인 흙의 수중단위중량은 얼마인가?

  1. 0.77t/m3
  2. 0.97t/m3
  3. 1.47t/m3
  4. 1.97t/m3
(정답률: 43%)
  • 수중단위중량은 공극비와 입자의 비중을 이용하여 구할 수 있다.

    수중단위중량 = 입자의 비중 / (1 + 공극비)

    따라서, 주어진 문제에서 수중단위중량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수중단위중량 = 2.65 / (1 + 0.7) = 0.97t/m³

    따라서, 정답은 "0.97t/m³"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터널의 안전하고 효율적인 시공을 위해 터널의 지보재와 병용하여 사용되는 보조공법 중 천단부의 안정을 위한 지반강화를 목적으로 적용하는 공법이 아닌 것은?

  1. 선진수평보링
  2. 훠폴링
  3. 파이프루프
  4. 강관다단그라우팅
(정답률: 59%)
  • 선진수평보링은 터널 안정성을 높이기 위한 보조공법 중 하나이지만, 천단부의 안정을 위한 지반강화를 목적으로 적용하는 공법은 아닙니다. 따라서 정답은 "선진수평보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암반 사면의 공학적 지질도를 작성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기재사항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암반 사면의 높이, 연장, 경사도 등의 규모
  2. 불연속면의 방향, 간격, 크기 등의 분포 특성
  3. 절취 사면을 구성하는 암반의 풍화정도
  4. 절취 사면 및 상부사면의 식생 밀도
(정답률: 74%)
  • 암반 사면의 공학적 지질도를 작성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기재사항은 모두 중요하지만, "절취 사면 및 상부사면의 식생 밀도"는 중요한 기재사항이 아닙니다. 이는 암반 사면의 안정성과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 보기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시추조사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오거 시추(auger boring)는 공내에 송수하지 않고 굴진하여 연속적으로 흙의 교란시료를 얻을 수 있다.
  2. 수세식 시추(wash boring)는 장치가 간단하고 경제적이며 매우 연약한 점토 및 세립의 사질토에 적당하다.
  3. 충격식 시추(percussion boring)는 연약한 점토 및 느슨한 사질토에 적당하고 시추공 바닥면 아래의 흙이 교란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4. 회전식 시추(rotary boring)는 토사에서 암반까지 적용범위가 넓고 암석시료를 채취할 수 있어 지반조사에 가장 널리 사용된다.
(정답률: 83%)
  • 정답은 "충격식 시추(percussion boring)는 연약한 점토 및 느슨한 사질토에 적당하고 시추공 바닥면 아래의 흙이 교란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이다. 이유는 충격식 시추는 시추기를 떨어뜨려서 지면을 충격적으로 파괴하면서 시료를 채취하는 방법으로, 지반 조건이 단단하거나 암석이 많은 지역에서는 적합하지 않다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흙의 연경도(consistency)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액성한계는 액체상태로 존재하는 최소의 함수비이다.
  2. 소성지수는 액성한계와 소성한계의 차를 의미한다.
  3. 수축한계는 고체상태의 최대 함수비이다.
  4. 소성한계는 흙이 소성상태로 존재할 수 있는 최대의 함수비이다.
(정답률: 59%)
  • "소성한계는 흙이 소성상태로 존재할 수 있는 최대의 함수비이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소성한계는 흙이 소성상태로 변화하는데 필요한 최소한의 수분함량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소성한계는 흙이 소성상태로 존재할 수 있는 최소의 함수비입니다.

    소성한계는 흙의 수분함량이 감소함에 따라 감소하며, 액성한계는 수분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합니다. 소성지수는 액성한계와 소성한계의 차이를 나타내며, 수축한계는 흙이 고체상태로 변화하는데 필요한 최대한의 수분함량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흙의 투수계수를 측정할 수 있는 시험방법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정수위 투수시험
  2. 변수위 투수시험
  3. 압력터널시험
  4. 압밀시험
(정답률: 61%)
  • 압력터널시험은 흙의 압축성과 밀도를 측정하는 시험 방법으로, 흙의 투수계수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기 때문에 해당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지반침하의 형태에 따른 분류 중 골형 침하(trough subsidence)의 특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급경사층에서 발생하는 경향이 있다.
  2. 오랜 시간에 걸쳐 서서히 발생한다.
  3. 넓은 지역에 걸쳐 발생한다.
  4. 지표 침하량의 크기가 침하 면적에 비해 작다.
(정답률: 75%)
  • "지표 침하량의 크기가 침하 면적에 비해 작다."가 골형 침하의 특징으로 옳지 않은 것입니다.

    급경사층에서 발생하는 경향이 있는 이유는, 지반의 경사가 급하면 지하수가 침하면서 지하수 압력이 증가하고, 이에 따라 지반의 압력이 감소하여 지반침하가 발생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급경사층에서는 이러한 현상이 더욱 발생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과목: 광상학

81. 건설분야에 이용되는 골재자원의 필요조건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물리, 화학적으로 안정성을 가질 것
  2. 경도가 높아 내구성이 있을 것
  3. 구성입자의 분급 정도가 낮을 것
  4. 마모에 대한 저항도가 높을 것
(정답률: 83%)
  • 구성입자의 분급 정도가 낮을 것은 옳지 않은 조건입니다. 이는 골재의 입자 크기가 일정하지 않고 크기 차이가 크면 골재의 밀도와 내구성이 감소하게 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골재는 구성입자의 분급 정도가 높을수록 안정성과 내구성이 높아지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선캄브라아기의 염기성 화성암류의 분화에 의한 정마그마 광상에 해당하는 것은?

  1. 소연평도 지역 철광상
  2. 양양지역 철광상
  3. 포천 철광상
  4. 신예미 광상의 철광제
(정답률: 56%)
  • 선캄브라아기의 염기성 화성암류는 분화 작용으로 인해 정마그마를 형성하였습니다. 이 중에서 "소연평도 지역 철광상"은 선캄브리아기에 형성된 화성암류가 분화 작용으로 인해 형성된 정마그마에서 철광물이 침전하여 형성된 것입니다. 따라서 "소연평도 지역 철광상"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우리나라의 우라늄광상이 가장 많이 산출되는 지층은?

  1. 옥천계
  2. 대동계
  3. 경상계
  4. 평안계
(정답률: 62%)
  • 우라늄은 대부분 지하수와 함께 존재하며, 지하수가 지나가면서 우라늄을 운반하다가 특정 지층에서 축적되어 형성됩니다. 이러한 지층 중에서도 우리나라에서는 옥천계가 가장 많은 우라늄광상을 산출하는 지층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는 옥천계가 지하수의 흐름이 모이는 지역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함금석영맥이 지표에 노출되어 적갈색으로 된 것은 무엇인가?

  1. 곳산(gossan)
  2. 보난자(bonanza)
  3. 키슬라거(kieslager)
  4. 맥설광물(gangue mineral)
(정답률: 62%)
  • 함금석영맥이 지하에서 존재할 때, 철과 황 등의 광물이 함께 존재하면서 화학 반응이 일어나 산화되어 적갈색으로 변하는데, 이것을 곳산(gossan)이라고 합니다. 따라서, 함금석영맥이 지표에 노출되어 적갈색으로 된 것은 곳산(gossan)입니다. 보기에서 제시된 다른 용어들은 함금석영맥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마그마 동화작용(Assimilation)에 대한 설명으로 맞는 것은?

  1. 자체에서 일어나는 현상이며 외부에서 어떤 물질의 공급이 없다.
  2. 기존 암석을 용융하여 처음과는 전혀 다르거나 다소 상이한 마그마를 형성한다.
  3. 균질한 단일 모 마그마로부터 둘 이상의 마그마나 혹은 암석을 형성시키는 작용이다.
  4. 광물이 정출되어 잔액과 분리되는 작용이다.
(정답률: 70%)
  • 마그마 동화작용(Assimilation)은 기존 암석을 용융하여 처음과는 전혀 다르거나 다소 상이한 마그마를 형성하는 작용이다. 이는 자체에서 일어나는 현상이며 외부에서 어떤 물질의 공급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일반적으로 금속광상 탐사를 위한 초기탐사 단계에서 조사지역내 금속광상의 부존 가능성 파악에 유용한 조사대상인 모암변질작용(변질대)의 형성원인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모암과의 반응이 일어나는 온도와 압력
  2. 산화-환원 전위(EH-pH)
  3. 지하수위의 변동(상승 및 하강)
  4. 마그마내 휘발성분의 증기압
(정답률: 69%)
  • 지하수위의 변동은 모암변질작용의 형성원인과 관련이 없기 때문에 금속광상 탐사를 위한 초기탐사 단계에서 조사대상이 아닙니다. 모암과의 반응이 일어나는 온도와 압력, 산화-환원 전위(EH-pH), 마그마내 휘발성분의 증기압은 모암변질작용의 형성원인으로서 금속광상 탐사에 유용한 조사대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우리나라의 천열수형 금ㆍ은 광상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주된 관화시기는 백악기말이다.
  2. 생성심도는 일반적으로 750m 미만이다.
  3. 천열수형 광상으로는 통영, 순신 광상 등이 있다.
  4. Au/Ag 비는 5:1~8:1정도이다.
(정답률: 71%)
  • "주된 관화시기는 백악기말이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천열수형 금ㆍ은 광상은 주로 신생대에 형성되었다.

    Au/Ag 비는 5:1~8:1정도이다. 이는 천열수형 금ㆍ은 광상에서 금이 은보다 더 많이 존재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광상에서 광물생성의 시간적 순서를 의미하는 용어는?

  1. 광물공생관계
  2. 광물대상분포
  3. 광물상관계
  4. 표준광물조합
(정답률: 61%)
  • 정답은 "광물공생관계"입니다. 이 용어는 광물이 생성되는 시간적 순서를 나타내는 용어로, 한 종류의 광물이 다른 종류의 광물을 생성하는 과정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철광석이 생성되기 위해서는 황화물이 먼저 생성되어야 하므로, 황화물과 철광석은 광물공생관계에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심해저 망간단괴에서 산출되지 않는 성분은?

  1. 구리
  2. 티타늄
  3. 코발트
  4. 비소
(정답률: 60%)
  • 심해저 망간단괴에서는 비소가 산출되지 않습니다. 이는 망간단괴가 형성되는 환경에서 비소가 부족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비소는 보기 중에서 심해저 망간단괴에서 산출되지 않는 성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기성광상에서의 모암변질 작용에 해당하는 것은?

  1. 녹니석화작용
  2. 불석화작용
  3. 견운모화작용
  4. 전기석화작용
(정답률: 46%)
  • 기성광상에서의 모암변질 작용은 암석이 지하에서 노출되어 고온과 고압에 노출되면서 화학적인 변화를 겪는 것을 말합니다. 이 중에서 전기석화작용은 암석 내부의 미량금속 원소들이 전기적인 충격을 받아 결정화되는 작용을 말합니다. 이는 암석의 물성을 변화시키는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우리나라의 광상 중에서 대부분의 동(Cu)광상은 어느 광화대에 주로 분포하고 있는가?

  1. 함안-군북 광화대
  2. 태백산지구 광화대
  3. 설천 광화대
  4. 황강리 광화대
(정답률: 63%)
  • 대부분의 동(Cu)광상은 함안-군북 광화대에 주로 분포하고 있습니다. 이는 함안-군북 지역이 지질학적으로 청년기에 형성된 화산암층과 침전암층이 교차하는 지역으로, 이러한 지질학적 특성으로 인해 동광이 형성되기에 적합한 환경을 제공하기 때문입니다. 또한, 함안-군북 지역은 국내 최대 규모의 동광산인 용산동광산이 위치해 있어, 이 지역의 동광산업이 발전하게 되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벤토나이트 광상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벤토나이트는 주물용 점결제, 각종 충전재, 시추용 이수 등으로 사용된다.
  2. 우리나라에서 벤토나이트는 전남 서남부 및 강원 지역에서 집중적으로 산출된다.
  3. 국내산 벤토나이트의 대부분은 속성작용의 결과로서 형성된 것이다.
  4. 국내산 벤토나이트의 주 구성광물은 Ca-몬모릴로나이트이며, 부 성분광물로 불석광물과 소량의 장석, 적영, 흑운모 등을 함유하고 있다.
(정답률: 47%)
  • "우리나라에서 벤토나이트는 전남 서남부 및 강원 지역에서 집중적으로 산출된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벤토나이트는 전국적으로 산출되며, 특히 전남 서남부와 강원 지역에서는 많이 산출된다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석회암 중에 부존하는 금속광상의 광체 중에 석회암의 고립핵이 남아있고 이 고립핵에 있는 층리가 광체주변의 것과 연속성이 일치한다면 이것은 어떤 광상인가?

  1. 열수교대광상
  2. 열수공동충진광상
  3. 표성부화광상
  4. 풍화잔류광상
(정답률: 45%)
  • 이것은 "열수교대광상"이다. 이유는 석회암이 열수작용을 받아 변성되면서 석회암의 고립핵이 남아있게 되고, 이 고립핵 주변에 금속광상이 형성된다. 이 때, 석회암의 고립핵에 있는 층리가 광체 주변의 것과 연속성이 일치하면 열수교대광상으로 판단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금속제련의 주 대상인 알루미늄 광석은 대부분 수산화알루미늄에 해당된다. 다음 중 수산화알루미늄에 해당되는 함알루미늄 광석광물이 아닌 것은?

  1. 다이다스포어(diaspore)
  2. 크리소타일(chrysotile)
  3. 깁사이트(gibbsite)
  4. 보크사이트(bauxite)
(정답률: 50%)
  • 크리소타일은 수산화알루미늄이 아닌 섬유질 광물이기 때문에 알루미늄 제련의 대상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유체포유물(fluid inclusion)이 제공하는 광상에 대한 정보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광석광물의 침전온도에 대한 정보
  2. 광상의 생성압력에 대한 정보
  3. 광화유체의 화학적 특성에 대한 정보
  4. 광상의 생성시기에 대한 정보
(정답률: 65%)
  • 유체포유물은 광석 내부에 포함된 작은 액체나 기체 포함물로, 광석의 형성과정에서 발생한 화학적, 물리적 조건을 기록하고 있다. 따라서 유체포유물이 제공하는 정보 중 "광상의 생성시기에 대한 정보"는 포함되지 않는다. 유체포유물은 광상이 형성된 후에도 변화가 일어날 수 있기 때문에, 광상의 생성시기를 정확히 파악하기 위해서는 다른 방법을 사용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우리나라의 페그마타이트광상에서 주된 산출광종이 아닌 것은?

  1. 주석(Sn)
  2. 중석(W)
  3. 아연(Zn)
  4. 우라늄(U)
(정답률: 50%)
  • 페그마타이트광상에서는 스텐레나이트, 우란스테나이트, 우란티탄나이트 등의 우라늄광물이 많이 산출되지만, 아연은 광물로서 산출되지 않기 때문에 주된 산출광종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마그마가 고결되면서 조암광물이 정출되면 휘발성분이 집중된다. 이런 휘발성분은 마그마에 포함되어 있는 금속성분과 결합하여 휘발성화합물이 된다. 다음 중 대표적인 휘발성분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염소
  2. 아르곤
  3. 붕소
  4. 플루오르
(정답률: 48%)
  • 아르곤은 휘발성분이 아니라 비활성 기체이기 때문에 해당되지 않는다. 휘발성분은 고온에서 쉽게 기체 상태로 변하는 화학물질을 말한다. 하지만 아르곤은 안정적인 원자 구조를 가지고 있어 고온에서도 기체 상태로 변하지 않는다. 따라서 마그마가 고결되면서 휘발성분이 집중될 때 아르곤은 휘발성분으로서의 역할을 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우리나라에서 연-아연을 산출하는 대표적인 광상은 연화광산이다. 이 광산은 어떤 종류의 광상에 속하는가?

  1. 정마그마 광상
  2. 페그마타이트 광상
  3. 퇴적 광상
  4. 스카른 광상
(정답률: 68%)
  • 연화광산은 스카른 광상에 속한다. 스카른 광상은 철-망간-아연 광물이 함유된 광상으로, 연-아연을 산출하는데 적합한 광상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우리나라에서 대규모 석회석광상을 배태하고 있는 지층의 지질시대는?

  1. 제3기
  2. 쥐라기
  3. 폐름기
  4. 오오도비스기
(정답률: 60%)
  • 우리나라에서 대규모 석회석광상을 배태하고 있는 지층은 오오도비스기에 형성되었습니다. 이는 지질시대 중 최근에 해당하며, 약 3,000만년 전부터 2,500만년 전까지의 기간을 말합니다. 이 시기에는 지구 온도가 상승하면서 해수면이 상승하고, 해양에서는 다양한 해양생물들이 발전하였습니다. 이러한 환경 변화로 인해 석회질이 많이 쌓이게 되었고, 이후 지각 변동으로 인해 석회암층이 형성되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표성부화광상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황철석이 표성부화작용의 기폭제가 되며, 부화되는 심도는 지하수면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2. 지하수면 상부에 2차 부화대(secondary enrichment zone)가 형성된다.
  3. 지하수면 상부에서 산화광물들이 생성된다.
  4. 지하수면 하부에 환원대가 형성된다.
(정답률: 46%)
  • "지하수면 상부에 2차 부화대(secondary enrichment zone)가 형성된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표성부화광상에서는 지하수가 흐르면서 황철석이 부화되어 산화광물이 생성되고, 이 산화광물이 지하수와 함께 이동하여 지하수면 하부에 환원대가 형성된다. 따라서 2차 부화대는 지하수면 하부가 아닌 지하수면 상부에서 형성되는 것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