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급 국가직 공무원 컴퓨터일반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6-04-09)

9급 국가직 공무원 컴퓨터일반
(2016-04-09 기출문제)

목록

1.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database management system)을 구축함으로써 생기는 이점만을 모두 고른 것은?

  1. ㄱ, ㄴ
  2. ㄱ, ㄷ
  3. ㄴ, ㄹ
  4. ㄷ, ㄹ
(정답률: 90%)
  • "ㄱ, ㄴ"은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을 구축함으로써 생기는 이점 중 가장 대표적인 것으로, 데이터의 중복을 방지하고 일관성을 유지할 수 있으며, 데이터의 안정성과 보안성을 높일 수 있기 때문입니다. "ㄱ, ㄷ"는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을 구축함으로써 생기는 이점 중 하나이지만, "ㄱ, ㄴ"보다는 상대적으로 중요도가 낮은 것으로 판단됩니다. "ㄴ, ㄹ"과 "ㄷ, ㄹ"은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을 구축함으로써 생기는 이점 중 "ㄱ, ㄴ"보다는 상대적으로 덜 중요한 것으로 판단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다음은 PC(Personal Computer)의 전원을 켰을 때 일어나는 과정들을 순서대로 나열한 것이다. ㉠~㉢이 바르게 짝지어진 것은?

  1. ㉠ 보조기억장치 ㉡ ROM ㉢ 주기억장치
  2. ㉠ 보조기억장치 ㉡ 주기억장치 ㉢ ROM
  3. ㉠ ROM ㉡ 보조기억장치 ㉢ 주기억장치
  4. ㉠ ROM ㉡ 주기억장치 ㉢보조기억장치
(정답률: 86%)
  • PC의 전원을 켤 때, 먼저 ROM에 저장된 BIOS(Basic Input/Output System)가 실행되어 하드웨어를 초기화하고 부팅 디바이스를 찾습니다. 이때 보조기억장치에 저장된 운영체제가 주기억장치로 로드되어 실행됩니다. 따라서, 올바른 순서는 "㉠ ROM ㉡ 보조기억장치 ㉢ 주기억장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나머지 셋과 다른 부울 함수를 표현하는 것은?

  1. F = A+ A'B
  2. F = A(A+ B)
  3. F = AB' + A
  4. F = (A+ B)(A+ B')
(정답률: 60%)
  • 정답은 "F = A+ A'B" 입니다.

    이유는 A'B는 A가 거짓일 때 B가 참인 경우를 나타내고, A+ A'B는 A가 참일 때와 거짓일 때 B가 참인 경우를 모두 나타냅니다. 따라서 F는 A가 참일 때와 거짓일 때 B가 참인 경우 모두 참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CMMI(Capability Maturity Model Integration)의 성숙도 모델에서 표준화된 프로젝트 프로세스가 존재하나 프로젝트 목표 및 활동이 정량적으로 측정되지 못하는 단계는?

  1. 관리(managed) 단계
  2. 정의(defined) 단계
  3. 초기(initial) 단계
  4. 최적화(optimizing) 단계
(정답률: 60%)
  • 정의(defined) 단계에서는 프로젝트 목표와 활동이 정량적으로 측정되며, 프로세스가 표준화되어 있어서 일관성 있게 수행됩니다. 따라서 이 단계에서는 프로젝트의 목표와 활동을 정확하게 파악하고, 이를 측정하여 프로세스를 개선하고 향상시키는 것이 중요합니다. 관리(managed) 단계에서는 프로세스가 통제되고, 초기(initial) 단계에서는 프로세스가 불안정하며, 최적화(optimizing) 단계에서는 프로세스가 지속적으로 개선되는 것이 목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다음에서 설명하는 이미지 파일 형식(format)으로 옳은 것은?

  1. JPEG
  2. MPEG
  3. TIFF
  4. GIF
(정답률: 55%)
  • 정답은 "GIF"입니다.

    이미지 파일 형식 중 GIF는 256색까지 지원하며, 애니메이션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또한 압축률이 높아 용량이 작아서 웹에서 많이 사용됩니다.

    반면 JPEG는 색상 표현이 뛰어나고 고해상도 이미지를 지원하지만 용량이 크고 애니메이션 기능이 없습니다. MPEG는 동영상 파일 형식이며, TIFF는 고해상도 이미지를 지원하지만 용량이 크고 웹에서 사용하기에는 무리가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소프트웨어 테스트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단위(unit) 테스트는 개별적인 모듈에 대한 테스트이며 테스트 드라이버(driver)와 테스트 스텁(stub)을 사용할 수 있다.
  2. 통합(integration) 테스트는 모듈을 통합하는 방식에 따라 빅뱅(big-bang) 기법, 하향식(top-down) 기법, 상향식(bottom-up) 기법을 사용한다.
  3. 시스템(system) 테스트는 모듈들이 통합된 후 넓이 우선 방식 또는 깊이 우선 방식을 사용하여 테스트한다.
  4. 인수(acceptance) 테스트는 인수 전에 사용자의 요구 사항이 만족되었는지 테스트한다.
(정답률: 50%)
  • 시스템 테스트는 모듈들이 통합된 후 넓이 우선 방식 또는 깊이 우선 방식을 사용하여 테스트한다는 설명이 옳지 않습니다. 시스템 테스트는 전체 시스템이 예상대로 작동하는지 확인하기 위해 기능, 성능, 안정성 등을 종합적으로 테스트하는 단계이며, 테스트 방식은 다양한 방법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넓이 우선 방식 또는 깊이 우선 방식은 시스템 테스트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테스트 방식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다음 C 프로그램의 출력 값은?

  1. 5
  2. 6
  3. 8
  4. 9
(정답률: 64%)
  • 이유:
    - 먼저, i와 j는 각각 1과 2로 초기화됩니다.
    - 그 다음, i와 j가 각각 2와 3으로 증가합니다.
    - 그러면, i와 j는 각각 3과 4가 됩니다.
    - 마지막으로, i와 j가 각각 4와 5로 증가합니다.
    - 따라서, 마지막으로 출력되는 값은 i+j인 9가 됩니다.
    - 따라서, 정답은 "9"가 아닌 "5"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프림(Prim)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최소 비용 신장 트리를 구하고 자한다. 다음 그림의 노드 0에서 출발할 경우 가장 마지막에 선택되는 간선으로 옳은 것은? (단, 간선 옆의 수는 간선의 비용을 나타낸다)

  1. (1, 2)
  2. (1, 6)
  3. (4, 5)
  4. (4, 6)
(정답률: 71%)
  • 프림 알고리즘은 시작 노드에서부터 출발하여 연결된 간선 중 가장 작은 비용의 간선을 선택하면서 최소 비용 신장 트리를 구하는 알고리즘이다.

    노드 0에서 출발할 경우, 다음과 같이 간선을 선택하면 최소 비용 신장 트리를 구할 수 있다.

    1. (0, 1) : 비용 4
    2. (1, 2) : 비용 2
    3. (2, 3) : 비용 1
    4. (3, 4) : 비용 2
    5. (4, 5) : 비용 3
    6. (1, 6) : 비용 5

    따라서, 가장 마지막에 선택되는 간선은 (1, 6)이다. 이유는 (4, 5)와 (4, 6)의 비용이 더 크기 때문이고, (1, 2)와 (1, 6) 중에서는 (1, 6)의 비용이 더 크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가상기억장치(virtual memory) 구현 방법으로서의 페이징(paging)과 세그멘테이션(segmentation)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페이징 기법에서 페이지(page)의 크기가 2k바이트이면 가상주소(virtual address)의 페이지 오프셋(offset)은 k비트이다.
  2. 세그멘테이션 기법에서 세그먼트들은 2의 거듭제곱 바이트의 크기를 가져야 하며 최대 크기가 정해져 있다.
  3. 페이징 기법에서는 외부 단편화(external fragmentation)가 발생하지 않는다.
  4. 세그멘테이션 기법에서는 외부 단편화가 발생할 수 있다.
(정답률: 57%)
  • 정답은 "세그멘테이션 기법에서 세그먼트들은 2의 거듭제곱 바이트의 크기를 가져야 하며 최대 크기가 정해져 있다."이다. 이유는 세그멘테이션 기법에서 세그먼트의 크기는 2의 거듭제곱 바이트일 필요가 없으며, 최대 크기도 정해져 있지 않다. 세그멘테이션 기법에서는 세그먼트의 크기가 가변적이며, 최대 크기도 제한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캐시 일관성(cache coherence)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기술과 관련이 없는 것은?

  1. 스누핑(snooping) 프로토콜
  2. MESI 프로토콜
  3. 디렉토리 기반(directory-based) 프로토콜
  4. 우선순위 상속(priority-inheritance) 프로토콜
(정답률: 42%)
  • 우선순위 상속 프로토콜은 캐시 일관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기술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이 프로토콜은 다중 스레드 환경에서 우선순위가 높은 스레드가 점유한 자원을 우선순위가 낮은 스레드가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통신 연결 장치와 그 장치가 동작하는 OSI(Open Systems Interconnection) 계층이 바르게 짝지어진 것은? (순서대로 라우터, 브리지, 리피터)

  1. ㄱ, ㄴ, ㄷ
  2. ㄴ, ㄱ, ㄷ
  3. ㄴ, ㄷ, ㄱ
  4. ㄷ, ㄴ, ㄱ
(정답률: 81%)
  • 정답은 "ㄱ, ㄴ, ㄷ" 입니다.

    라우터는 네트워크 계층에서 동작하며, 다른 네트워크와의 통신을 가능하게 해주는 장치입니다. 따라서 OSI 모델에서는 3계층인 네트워크 계층에 해당합니다.

    브리지는 데이터 링크 계층에서 동작하며, 같은 네트워크 내에서 통신을 가능하게 해주는 장치입니다. 따라서 OSI 모델에서는 2계층인 데이터 링크 계층에 해당합니다.

    리피터는 물리 계층에서 동작하며, 신호의 감쇠를 방지하여 통신 거리를 늘려주는 장치입니다. 따라서 OSI 모델에서는 1계층인 물리 계층에 해당합니다.

    따라서, 라우터는 3계층, 브리지는 2계층, 리피터는 1계층에 해당하므로 "ㄱ, ㄴ, ㄷ"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교착상태(deadlock)가 발생하기 위해서 만족해야 하는 조건들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상호 배제(mutual exclusion) 조건 : 한 프로세스에 의해 점유된 자원은 다른 프로세스가 사용할 수 없다.
  2. 점유와 대기(hold and wait) 조건 : 이미 하나 이상의 자원을 점유한 프로세스가 다른 프로세스에 의해 점유된 자원을 요청하며 대기하고 있다.
  3. 비선점(no preemption) 조건 : 프로세스가 점유한 자원을 그 프로세스로부터 강제로 빼앗을 수 있다.
  4. 순환 대기(circular wait) 조건 : 프로세스 간에 닫힌 체인(closedchain)이 존재하여, 체인 내의 각 프로세스는 체인 내의 다른 프로세스에 의해 소유되어 있는 자원을 요청하며 대기하고 있다.
(정답률: 95%)
  • 비선점(no preemption) 조건 : 프로세스가 점유한 자원을 그 프로세스로부터 강제로 빼앗을 수 있다. 이 조건은 교착상태를 예방하는 조건 중 하나이다. 따라서 옳지 않은 설명이다. 비선점 조건이 만족되면, 우선순위가 높은 프로세스가 점유한 자원을 강제로 빼앗아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교착상태가 발생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자료 구조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큐(queue)는 선입 선출의 특성을 가지며 삽입과 삭제가 서로 다른 끝 쪽에서 일어난다.
  2. 연결 그래프(connected graph)에서는 그래프 내의 모든 노드 간에 갈 수 있는 경로가 존재한다.
  3. AVL 트리는 삽입 또는 삭제가 일어나 트리의 균형이 깨지는 경우 트리 모습을 변형시킴으로써 균형을 복원시킨다.
  4. 기수 정렬(radix sort)은 키(key) 값이 가장 큰 것과 가장 오른쪽 것의 위치 교환을 반복적으로 수행한다.
(정답률: 68%)
  • 기수 정렬(radix sort)은 키(key) 값이 가장 큰 것과 가장 오른쪽 것의 위치 교환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는 것이 아니라, 각 자리수를 기준으로 정렬하는 방법이다. 따라서 "기수 정렬은 키(key) 값이 가장 큰 것과 가장 오른쪽 것의 위치 교환을 반복적으로 수행한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단일 종류의 논리 게이트(gate)만을 사용하더라도 모든 조합논리 회로를 구현할 수 있는 게이트로 옳은 것은?

  1. AND 게이트
  2. OR 게이트
  3. NOR 게이트
  4. 인버터(inverter)
(정답률: 87%)
  • NOR 게이트는 모든 조합논리 회로를 구현할 수 있는 유일한 게이트입니다. 이는 NOR 게이트가 다른 게이트들의 조합으로 구현할 수 있는 모든 논리 연산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NOR 게이트를 사용하여 AND 게이트를 구현할 수 있습니다. NOR 게이트의 입력에 NOT 연산을 취하면 AND 게이트의 출력을 얻을 수 있습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NOR 게이트를 사용하여 OR 게이트, 인버터 등 다른 게이트들도 구현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NOR 게이트는 모든 조합논리 회로를 구현할 수 있는 게이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모델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계층 데이터 모델은 트리 형태의 데이터 구조를 가진다.
  2. 관계 데이터 모델은 테이블로 데이터베이스를 나타낸다.
  3. 네트워크 데이터 모델은 그래프 형태로 데이터베이스 구조를 표현한다.
  4. 계층 데이터 모델, 관계 데이터 모델, 네트워크 데이터 모델은 개념적 데이터 모델이다.
(정답률: 73%)
  • 정답은 "계층 데이터 모델, 관계 데이터 모델, 네트워크 데이터 모델은 개념적 데이터 모델이다."가 아닌 것입니다.

    계층 데이터 모델은 트리 형태의 데이터 구조를 가지며, 관계 데이터 모델은 테이블로 데이터베이스를 나타내며, 네트워크 데이터 모델은 그래프 형태로 데이터베이스 구조를 표현합니다. 이들은 모두 물리적 데이터 모델이며, 개념적 데이터 모델은 데이터베이스의 구조와 관련된 개념들을 표현하는 모델입니다. 개념적 데이터 모델은 데이터베이스 설계의 초기 단계에서 사용되며, 논리적 데이터 모델과 물리적 데이터 모델로 변환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파이프라이닝(pipelining) 기법이 적용된 중앙처리장치(CPU)에 서의 파이프라인 해저드(pipeline hazard) 종류와 대응 방법을 바르게 짝지은 것만을 모두 고른 것은?

  1. ㄱ, ㄴ
  2. ㄱ, ㄷ
  3. ㄴ, ㄷ
  4. ㄱ, ㄴ, ㄷ
(정답률: 48%)
  • 정답은 "ㄱ, ㄴ, ㄷ"입니다.

    - 파이프라인 해저드 종류와 대응 방법
    - 구조 해저드 (Structural Hazard): 하드웨어 자원 충돌로 인한 해저드. 대응 방법은 하드웨어 자원을 추가하거나 파이프라인 구조를 변경하는 것입니다. (예: 메모리 충돌)
    - 데이터 해저드 (Data Hazard): 명령어 실행 순서에 따라 데이터 의존성으로 인한 해저드. 대응 방법은 전방전달(forwarding)이나 지연 슬롯(delay slot)을 이용하는 것입니다. (예: 레지스터 값 의존성)
    - 제어 해저드 (Control Hazard): 분기 명령어 실행으로 인한 해저드. 대응 방법은 분기 예측(branch prediction)이나 지연 슬롯(delay slot)을 이용하는 것입니다. (예: 분기 명령어)

    따라서, "ㄱ, ㄴ, ㄷ" 모두 파이프라인 해저드 종류와 대응 방법을 바르게 짝지은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유비쿼터스 컴퓨팅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감지 컴퓨팅은 컴퓨터가 센서 등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행위 또는 주변 환경을 인식하여 필요 정보를 제공하는 기술이다.
  2. 노매딕(nomadic) 컴퓨팅은 현실 세계와 가상 화면을 결합하여 보여주는 기술이다.
  3. 퍼베이시브(pervasive) 컴퓨팅은 컴퓨터가 도처에 편재되도 록 하는 기술이다.
  4. 웨어러블(wearable) 컴퓨팅은 컴퓨터 착용을 통해 컴퓨터를 인간 몸의 일부로 여길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다.
(정답률: 82%)
  • 노매딕 컴퓨팅은 이동성이 높은 기기를 이용하여 언제 어디서나 인터넷에 접속하여 정보를 이용할 수 있는 기술이며, 현실 세계와 가상 화면을 결합하여 보여주는 것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따라서, "노매딕(nomadic) 컴퓨팅은 현실 세계와 가상 화면을 결합하여 보여주는 기술이다."가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다음 C 프로그램의 출력 값은?

  1. 5, 9
  2. 6, 9
  3. 7, 9
  4. 8, 10
(정답률: 63%)
  • 이유:
    - 변수 i와 j가 각각 1씩 증가하면서 2차원 배열 arr의 모든 요소에 1씩 더해진다.
    - 따라서 arr[2][3]의 값은 8, arr[3][4]의 값은 10이 된다.
    - 나머지 요소들도 모두 1씩 증가하므로, 다른 보기들은 모두 틀린 값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TCP/IP 프로토콜에서 TCP 및 UDP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TCP와 UDP는 전송 계층(transport layer)의 프로토콜이다.
  2. UDP는 중복 전달 및 전송 오류를 허용한다.
  3. TELNET, SNMP, TFTP는 TCP 서비스를 이용하는 응용 계층(application layer) 프로토콜이다.
  4. TCP는 신뢰성 있는 통신을 제공하기 위한 연결형 프로토콜이다.
(정답률: 78%)
  • TELNET, SNMP, TFTP는 TCP 서비스를 이용하는 응용 계층(application layer) 프로토콜이 아니라 UDP를 이용하는 프로토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인터넷에서 사용되는 경로배정(routing) 프로토콜 중에서 자율시스템(autonomous system) 내부에서의 경로배정을 위해 사용되는 것만을 모두 고른 것은?

  1. ㄱ, ㄴ
  2. ㄱ, ㄷ
  3. ㄴ, ㄷ
  4. ㄱ, ㄴ, ㄷ
(정답률: 69%)
  • 자율시스템(AS) 내부에서의 경로배정을 위해 사용되는 프로토콜은 내부 게이트웨이 프로토콜(IGP)입니다. IGP 중에서는 RIP, OSPF, IS-IS 등이 있습니다. 그러나 이 중에서 RIP는 라우팅 루프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고, IS-IS는 주로 ISP에서 사용되는 프로토콜이므로 대부분의 기업에서는 OSPF를 사용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ㄱ, ㄷ"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