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급 국가직 공무원 컴퓨터일반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9-04-06)

9급 국가직 공무원 컴퓨터일반
(2019-04-06 기출문제)

목록

1. CPU 내부 레지스터로 옳지 않은 것은?

  1. 누산기(acumulator)
  2. 캐시 메모리(cache memory)
  3. 프로그램 카운터(program counter)
  4. 메모리 버퍼 레지스터(memory bufer register)
(정답률: 79%)
  • 캐시 메모리는 CPU 내부 레지스터가 아닌 외부 메모리로 분류됩니다. 캐시 메모리는 CPU와 메인 메모리 사이에 위치하여 CPU가 자주 사용하는 데이터를 미리 저장해 놓고 빠르게 접근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캐시 메모리는 CPU 내부 레지스터가 아닌 외부 메모리로 분류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다음 전위(prefix) 표기식의 계산 결과는?

  1. -19
  2. 7
  3. 28
  4. 29
(정답률: 76%)
  • 주어진 전위 표기식을 계산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표기식을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읽습니다.
    2. 숫자를 만나면 스택에 push 합니다.
    3. 연산자를 만나면 스택에서 숫자를 두 개 pop 하여 연산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다시 스택에 push 합니다.
    4. 표기식을 모두 읽으면, 스택에 남아있는 숫자가 최종 결과입니다.

    따라서, 주어진 전위 표기식을 계산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1. "-"를 만나서 스택에 push 합니다.
    2. "19"를 만나서 스택에 push 합니다.
    3. "+"를 만나서 스택에서 "19"와 "-"를 pop 하고, "19+(-)"를 계산한 결과 "-19"를 스택에 push 합니다.
    4. "7"을 만나서 스택에 push 합니다.
    5. "+"를 만나서 스택에서 "7"과 "-19"를 pop 하고, "7+(-19)"를 계산한 결과 "-12"를 스택에 push 합니다.
    6. "28"을 만나서 스택에 push 합니다.
    7. "+"를 만나서 스택에서 "28"과 "-12"를 pop 하고, "28+(-12)"를 계산한 결과 "16"을 스택에 push 합니다.
    8. "29"를 만나서 스택에 push 합니다.
    9. "+"를 만나서 스택에서 "29"와 "16"을 pop 하고, "29+16"을 계산한 결과 "45"를 스택에 push 합니다.

    따라서, 최종 결과는 "45"이며, 보기에서 정답이 "29"인 이유는 오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사진이나 동영상 등의 디지털 콘텐츠에 저작권자나 판매자 정보를 삽입하여 원본의 출처 정보를 제공하는 기술은?

  1. 디지털 사이니지
  2. 디지털 워터마킹
  3. 디지털 핑거프린팅
  4. 콘텐츠 필터링
(정답률: 84%)
  • 디지털 워터마킹은 디지털 콘텐츠에 저작권자나 판매자 정보를 삽입하여 원본의 출처 정보를 제공하는 기술이다. 이를 통해 디지털 콘텐츠의 불법 복제나 유통을 방지하고, 원본의 출처를 확인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1K × 4bit RAM 칩을 사용하여 8K × 16bit 기억장치 모듈을 설계할 때 필요한 RAM 칩의 최소 개수는?

  1. 4개
  2. 8개
  3. 16개
  4. 32개
(정답률: 72%)
  • 1K × 4bit RAM 칩 8개를 사용하면 8K × 32bit 기억장치를 만들 수 있습니다. 그러나 16bit 데이터를 저장해야 하므로 2개의 32bit 데이터를 연결하여 16bit 데이터를 만들어야 합니다. 따라서 8K × 16bit 기억장치를 만들기 위해서는 32개의 1K × 4bit RAM 칩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프로세스와 스레드(thread)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하나의 스레드는 여러 프로세스에 포함될 수 있다.
  2. 스레드는 프로세스에서 제어를 분리한 실행단위이다.
  3. 스레드는 같은 프로세스에 속한 다른 스레드와 코드를 공유한다.
  4. 스레드는 프로그램 카운터를 독립적으로 가진다.
(정답률: 67%)
  • "하나의 스레드는 여러 프로세스에 포함될 수 있다."는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스레드는 하나의 프로세스 내에서 생성되고 실행되는 실행 단위이기 때문에 여러 프로세스에 포함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보이스 코드 정규형(BCNF: Boyce-Cod Normal Form)을 만족하기 위한 조건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조인(join) 종속성이 없어야 한다.
  2. 모든 속성 값이 원자 값(atomic value)을 가져야 한다.
  3. 이행적 함수 종속성이 없어야 한다.
  4. 기본 키가 아닌 속성이 기본 키에 완전 함수 종속적이어야 한다.
(정답률: 75%)
  • BCNF를 만족하기 위한 조건 중에서 "조인(join) 종속성이 없어야 한다."가 해당하지 않는 이유는, 이 조건은 BCNF를 만족하기 위한 필요조건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BCNF는 함수적 종속성을 기반으로 하며, 조인 종속성은 함수적 종속성과는 별개의 개념입니다. 따라서 조인 종속성이 존재하더라도 BCNF를 만족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UDP(User Datagram Protocol)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모두 고르면?

  1. ㄱ, ㄴ
  2. ㄱ, ㄷ
  3. ㄱ, ㄴ, ㄷ
  4. ㄴ, ㄷ, ㄹ
(정답률: 49%)
  • - UDP는 비연결형 프로토콜이다. (ㄱ)
    - UDP는 데이터 전송 시 신뢰성을 보장하지 않는다. (ㄴ)
    - UDP는 TCP보다 속도가 빠르다. (ㄷ)

    ㄱ은 UDP의 특징 중 하나인 비연결형 프로토콜을 설명하고 있습니다. UDP는 연결 설정 과정이 없기 때문에 데이터 전송에 필요한 시간과 자원을 절약할 수 있습니다.

    ㄴ은 UDP가 데이터 전송 시 신뢰성을 보장하지 않는다는 것을 설명하고 있습니다. UDP는 데이터 전송 시 오류 검사를 하지만, 오류가 발생하더라도 재전송을 하지 않기 때문에 데이터의 손실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ㄷ은 UDP가 TCP보다 속도가 빠르다는 것을 설명하고 있습니다. TCP는 데이터 전송 시 연결 설정 과정과 오류 검사 등의 추가적인 작업을 수행하기 때문에 UDP보다 전송 속도가 느릴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다음 논리 회로의 출력과 동일한 것은?

(정답률: 55%)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다음 Java 프로그램의 출력 결과는?

  1. 1, 3, 2
  2. 1, 3, 2.5
  3. 1, 10.0, 2.5
  4. 7, 3, 10
(정답률: 48%)
  • 이 프로그램은 배열 arr에 3개의 정수를 저장하고, 이를 오름차순으로 정렬한 후 출력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출력 결과는 1, 3, 2가 됩니다.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배열 arr에는 1, 3, 2가 순서대로 저장되어 있습니다. 이를 Arrays.sort(arr) 메소드를 사용하여 오름차순으로 정렬하면 1, 2, 3이 됩니다. 마지막으로 for문을 사용하여 배열 arr의 모든 요소를 출력하면 1, 3, 2가 출력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IPv4에서 데이터 크기가 6,000 바이트인 데이터그램이 3개로 단편화(fragmentation)될 때, 단편화 오프셋(ofset) 값으로 가능한 것만을 모두 고르면?

  1. ㄱ, ㄴ
  2. ㄷ, ㄹ
  3. ㄱ, ㄴ, ㄷ
  4. ㄴ, ㄷ, ㄹ
(정답률: 39%)
  • - 단편화 오프셋 값은 단편화된 데이터그램이 원본 데이터에서 어디서부터 시작하는지를 나타내는 값입니다.
    - 첫 번째 데이터그램의 데이터 크기는 1,480바이트(20바이트는 IP헤더)이며, 오프셋 값은 0입니다.
    - 두 번째 데이터그램의 데이터 크기는 1,480바이트(20바이트는 IP헤더)이며, 오프셋 값은 1,480바이트/8 = 185입니다.
    - 세 번째 데이터그램의 데이터 크기는 2,040바이트(20바이트는 IP헤더)이며, 오프셋 값은 (1,480바이트+1,480바이트)/8 = 371입니다.
    - 따라서 가능한 오프셋 값은 "ㄱ, 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Go-Back-N 프로토콜에서 6번째 프레임까지 전송한 후 4번째 프레임에서 오류가 있음을 알았을 때, 재전송 대상이 되는 프레임의 개수는?

  1. 1개
  2. 2개
  3. 3개
  4. 6개
(정답률: 79%)
  • Go-Back-N 프로토콜에서는 오류가 발생한 프레임부터 다시 전송을 시작하므로, 4번째 프레임부터 다시 전송을 해야 합니다. 이때 4번째, 5번째, 6번째 프레임이 재전송 대상이 되므로, 재전송 대상이 되는 프레임의 개수는 3개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3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0~(6410-1)에 해당하는 정수를 이진코드로 표현하기 해 필요한 최소 비트 수는?

  1. 16비트
  2. 60비트
  3. 63비트
  4. 64비트
(정답률: 59%)
  • 0~(6410-1)은 0부터 64의 10승 - 1까지의 모든 수를 포함하므로, 이를 이진코드로 표현하기 위해서는 64의 10승 - 1인 18446744073709551615를 이진코드로 변환할 수 있어야 합니다.

    18446744073709551615를 이진코드로 변환하면 1111111111111111111111111111111111111111111111111111111111111111이 됩니다. 이진코드는 0과 1로 이루어진 비트(bit)로 표현되며, 이 경우 60비트가 필요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60비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의료용 심장 모니터링 시스템과 같이 정해진 짧은 시간 내에 응답해야 하는 시스템은?

  1. 다중프로그래밍 시스템
  2. 시분할 시스템
  3. 실시간 시스템
  4. 일괄 처리 시스템
(정답률: 87%)
  • 실시간 시스템은 정해진 시간 내에 신속하게 응답해야 하는 시스템으로, 의료용 심장 모니터링 시스템과 같이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처리하고 반응해야 하는 시스템에 적합합니다. 다중프로그래밍 시스템, 시분할 시스템, 일괄 처리 시스템은 시간적 제약이 적은 일반적인 컴퓨터 시스템에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FIFO 페이지 교체 알고리즘을 사용하는 가상메모리에서 프로세스 P가 다음과 같은 페이지 번호 순서대로 페이지에 접근할 때, 페이지 부재(page-fault) 발생 횟수는? (단, 프로세스 P가 사용하는 페이지 프레임은 총 4개이고, 빈 상태에서 시작한다)

  1. 6회
  2. 7회
  3. 8회
  4. 9회
(정답률: 59%)
  • FIFO 페이지 교체 알고리즘은 가장 먼저 들어온 페이지를 먼저 교체하는 방식으로 동작한다. 따라서, 페이지 프레임이 모두 차있을 때 새로운 페이지가 들어오면 가장 먼저 들어온 페이지를 교체한다.

    초기에는 페이지 프레임이 모두 비어있으므로, 처음 4개의 페이지 접근에서는 모두 페이지 부재가 발생한다. 이후에는 페이지 프레임이 모두 차있으므로, 새로운 페이지가 들어올 때마다 가장 먼저 들어온 페이지를 교체해야 한다.

    따라서, 5번째 페이지 접근에서는 1번 페이지가 교체되고, 6번째 페이지 접근에서는 2번 페이지가 교체된다. 이후에는 3, 4, 5, 6번 페이지가 이미 페이지 프레임에 존재하므로 페이지 부재가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페이지 부재 발생 횟수는 총 8회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재배치 가능한 형태의 기계어로 된 오브젝트 코드나 라이브러리 등을 입력받아 이를 묶어 실행 가능한 로드 모듈로 만드는 번역기는?

  1. 링커(linker)
  2. 어셈블러(asembler)
  3. 컴파일러(compiler)
  4. 프리프로세서(preprocesor)
(정답률: 60%)
  • 링커는 여러 개의 오브젝트 파일이나 라이브러리를 하나로 묶어 실행 가능한 로드 모듈로 만드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재배치 가능한 형태의 기계어로 된 오브젝트 코드나 라이브러리 등을 입력받아 이를 묶어 실행 가능한 로드 모듈로 만드는 번역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이메일, ERP, CRM 등 다양한 응용 프로그램을 서비스 형태로 제공하는 클라우드 서비스는?

  1. IaS(Infrastructure as a Service)
  2. NaS(Network as a Service)
  3. PaS(Platform as a Service)
  4. SaS(Software as a Service)
(정답률: 74%)
  • 클라우드 서비스에서 SaS는 소프트웨어를 서비스 형태로 제공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사용자는 클라우드 상의 소프트웨어를 구매하거나 다운로드할 필요 없이 인터넷을 통해 바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사용자에게 유연성과 편의성을 제공하며,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와 유지보수 등의 부담을 줄여줍니다. 따라서 SaS는 클라우드 서비스의 가장 일반적인 형태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다음 C 프로그램의 출력 결과는?

  1. 2
  2. 3
  3. 5
  4. 6
(정답률: 44%)
  • 이유:
    - 먼저, int형 변수 a와 b에 각각 10과 20을 대입한다.
    - 그리고 a와 b를 더한 값을 변수 c에 대입한다. 따라서 c의 값은 30이 된다.
    - 그 다음, c를 3으로 나눈 나머지를 구한다. 30을 3으로 나눈 나머지는 0이므로 변수 d에 0이 대입된다.
    - 마지막으로, d의 값을 출력한다. 따라서 출력 결과는 0이 된다.
    - 따라서 정답은 "2"가 아닌 "3"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마이크로프로세서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모두 고르면?

  1. ㄱ, ㄴ
  2. ㄱ, ㄷ
  3. ㄴ, ㄷ
(정답률: 53%)
  • - "ㄴ"은 마이크로프로세서의 구성 요소 중 하나인 레지스터(Register)를 의미합니다. 레지스터는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기억장치로,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연산을 수행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 "ㄷ"는 마이크로프로세서의 구성 요소 중 하나인 디코더(Decoder)를 의미합니다. 디코더는 명령어를 해석하여 마이크로프로세서가 수행할 동작을 결정하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마이크로프로세서의 동작에 있어서 필수적인 구성 요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소프트웨어 규모를 예측하기 위한 기능점수(function point)를 산정할 때 고려하지 않는 것은?

  1. 내부논리파일(Internal Logical File)
  2. 외부입력(External Input)
  3. 외부조회(External inQuiry)
  4. 원시 코드 라인 수(Line Of Code)
(정답률: 50%)
  • 원시 코드 라인 수(Line Of Code)는 소프트웨어 규모를 측정하는 방법 중 하나이지만, 기능점수를 산정할 때는 고려하지 않습니다. 기능점수는 소프트웨어의 기능적 요구사항에 따라 산정되는데, 이는 사용자가 요구하는 기능의 수와 복잡도 등을 고려하여 산정됩니다. 따라서 원시 코드 라인 수와는 별개의 개념이며, 소프트웨어의 기능성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LTE(Long-Term Evolution) 표준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모두 고르면?

  1. ㄱ, ㄷ
  2. ㄴ, ㄹ
  3. ㄱ, ㄴ, ㄷ
  4. ㄱ, ㄷ, ㄹ
(정답률: 37%)
  • - LTE(Long-Term Evolution)는 4G 이동통신 기술 중 하나이다.
    - ㄱ. LTE는 3G 이동통신 기술인 WCDMA를 대체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 ㄷ. LTE는 OFDMA와 MIMO 기술을 사용하여 높은 속도와 안정성을 제공한다.
    - ㄹ. LTE는 VoLTE(Voice over LTE) 기술을 지원하여 음성통화도 데이터 네트워크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