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급 국가직 공무원 컴퓨터일반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8-04-07)

9급 국가직 공무원 컴퓨터일반
(2018-04-07 기출문제)

목록

1. 유닉스 운영체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계층적 파일시스템과 다중 사용자를 지원하는 운영체제이다.
  2. BSD 유닉스의 모든 코드는 어셈블리 언어로 작성되었다.
  3. CPU 이용률을 높일 수 있는 다중 프로그래밍 기법을 사용한다.
  4. 사용자 프로그램은 시스템 호출을 통해 커널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
(정답률: 78%)
  • BSD 유닉스의 모든 코드는 어셈블리 언어로 작성되었다는 설명이 옳지 않습니다. 실제로 BSD 유닉스는 C 언어로 작성되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다음에서 설명하는 해킹 공격 방법은?

  1. 스니핑(Sniffing)
  2. 파밍(Pharming)
  3. 트로이 목마(Trojan Horse)
  4. 하이재킹(Hijacking)
(정답률: 84%)
  • 해당 그림은 파밍(Pharming) 공격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파밍 공격은 악성코드를 사용하여 DNS(Domain Name System) 서버를 감염시키거나, 사용자의 컴퓨터에 악성코드를 설치하여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은 웹사이트로 리디렉션되게 만들어 개인정보를 탈취하는 공격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파밍(Pharming)"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다음 SQL 명령어에서 DDL(Data Definition Language) 명령어만을 모두 고른 것은?

  1. ㄱ, ㄴ
  2. ㄴ, ㄷ
  3. ㄴ, ㄹ
  4. ㄷ, ㄹ
(정답률: 86%)
  • DDL(Data Definition Language) 명령어는 데이터베이스의 구조를 정의하거나 수정하는 명령어입니다. 따라서 CREATE, ALTER, DROP과 같은 명령어가 DDL 명령어에 해당합니다. SELECT, INSERT, UPDATE, DELETE와 같은 명령어는 데이터를 조작하는 명령어이므로 DDL 명령어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ㄱ, 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다음 수식에서 이진수 Y의 값은? (단, 수식의 모든 수는 8 비트 이진수이고 1의 보수로 표현된다)

  1. 11101001(2)
  2. 11101010(2)
  3. 11101011(2)
  4. 11101100(2)
(정답률: 48%)
  • 먼저, 1의 보수란 모든 비트를 반전시킨 것을 말합니다. 따라서, 1의 보수를 취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
    X = 11010110
    X' = 00101001
    ```

    그리고, Y는 X'와 OR 연산을 수행한 결과입니다. OR 연산은 두 비트 중 하나라도 1이면 결과가 1이 됩니다. 따라서, X'와 OR 연산을 수행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
    X' = 00101001
    OR
    M = 11100000
    =
    Y = 11101001
    ```

    따라서, 정답은 "11101001(2)"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다음 진리표를 만족하는 부울 함수로 옳은 것은? (단, 은 AND, 는 XOR, 는 XNOR 연산을 의미한다)

  1. Y = A B C
  2. Y = A B C
  3. Y = A B C
  4. Y = A B C
(정답률: 67%)
  • 진리표를 보면 A, B, C 중에 두 개 이상이 참일 때 Y가 참이 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를 만족하는 부울 함수는 OR 연산이다. 따라서 정답은 "Y = A B C"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스레싱(Thrashing)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프로세스의 작업 집합(Working Set)이 새로운 작업 집합으로 전이 시 페이지 부재율이 높아질 수 있다.
  2. 작업 집합 기법과 페이지 부재 빈도(Page Fault Frequency) 기법은 한 프로세스를 중단(Suspend)시킴으로써 다른 프로세스들의 스레싱을 감소시킬 수 있다.
  3. 각 프로세스에 설정된 작업 집합 크기와 페이지 프레임 수가 매우 큰경우 다중 프로그래밍 정도(Degree of Multiprogramming)를 증가시킨다.
  4. 페이지 부재 빈도 기법은 프로세스의 할당받은 현재 페이지 프레임 수가 설정한 페이지 부재율의 하한보다 낮아지면 보유한 프레임 수를 감소시킨다.
(정답률: 65%)
  • 각 프로세스에 설정된 작업 집합 크기와 페이지 프레임 수가 매우 큰경우 다중 프로그래밍 정도(Degree of Multiprogramming)를 증가시킨다는 것은 옳은 설명입니다. 스레싱은 CPU가 너무 많은 페이지 부재를 처리하려고 할 때 발생하는 현상으로, 이는 다중 프로그래밍 정도가 너무 높아서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작업 집합 크기와 페이지 프레임 수를 적절히 조절하여 다중 프로그래밍 정도를 조절하는 것이 스레싱 방지에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인공신경망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모두 고른 것은?

  1. ㄱ, ㄴ, ㄷ
  2. ㄱ, ㄴ, ㄹ
  3. ㄱ, ㄷ, ㄹ
  4. ㄴ, ㄷ, ㄹ
(정답률: 64%)
  • - ㄴ: 인공신경망에서는 입력층, 은닉층, 출력층으로 구성되며, 은닉층이 최소 1개 이상 존재해야 합니다. 그림에서도 은닉층이 1개 이상 존재하므로 ㄴ이 옳습니다.
    - ㄷ: 인공신경망은 입력값과 출력값 사이의 관계를 학습하는 모델로, 학습을 위해 가중치와 편향을 조절해 나가는 과정이 필요합니다. 이러한 과정에서 역전파(backpropagation) 알고리즘이 사용되는데, 이 알고리즘은 기울기(gradient)를 이용하여 가중치와 편향을 조절합니다. 그림에서도 역전파 알고리즘이 사용되므로 ㄷ이 옳습니다.
    - ㄹ: 인공신경망은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며, 이미지 인식, 음성 인식, 자연어 처리 등 다양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그림에서도 다양한 입력값과 출력값이 존재하므로 ㄹ이 옳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네트워크 기술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IPv6는 인터넷 주소 크기가 128비트이고 호스트 자동 설정기능을 제공한다.
  2. 광대역통합망은 응용 서비스별로 약속된 서비스 레벨 보증(Service Level Agreement) 품질 수준을 보장해줄 수 있다.
  3. 모바일 와이맥스(WiMAX)는 휴대형 단말기를 이용해 고속 인터넷 접속 서비스를 제공하는 무선망 기술이다.
  4. SMTP(Simple Mail Transfer Protocol)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구성방법을 지정하는 전송 계층 프로토콜이다.
(정답률: 83%)
  • SMTP는 전자메일을 전송하기 위한 프로토콜이며, 사용자 인터페이스 구성방법을 지정하는 것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따라서 "SMTP(Simple Mail Transfer Protocol)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구성방법을 지정하는 전송 계층 프로토콜이다."가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다음 Java 프로그램의 출력 값은?

  1. ABCD
  2. ACBD
  3. CABD
  4. CBAD
(정답률: 55%)
  • 이 프로그램은 재귀 함수를 이용하여 문자열을 조합하는 프로그램입니다.

    함수 combine은 문자열 s와 문자열 prefix를 인자로 받습니다.

    s의 길이가 0이면 prefix를 출력하고 함수를 종료합니다.

    s의 길이가 1 이상이면, s의 첫 번째 문자를 떼어내서 c에 저장하고,

    s의 나머지 문자열을 s2에 저장합니다.

    그리고 combine 함수를 재귀적으로 호출합니다.

    이때, s2와 prefix+c를 인자로 전달합니다.

    즉, combine 함수는 문자열 s의 모든 문자를 한 번씩 prefix에 추가하여 만들 수 있는 모든 문자열을 출력하는 함수입니다.

    따라서, 이 프로그램의 출력 값은 "CABD"입니다.

    이유는 combine 함수가 호출되는 순서를 살펴보면,

    처음에는 s="ABCD", prefix=""로 시작합니다.

    그리고 combine 함수가 재귀적으로 호출되면서,

    s="BCD", prefix="A"

    s="CD", prefix="AB"

    s="D", prefix="ABC"

    s="", prefix="ABCD"

    순으로 호출됩니다.

    이때, prefix+c의 값이 출력되는데,

    위의 순서대로 호출되면 prefix+c의 값이 "CABD"가 됩니다.

    따라서, 이 프로그램의 출력 값은 "CABD"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개발자가 사용해야 하는 서브시스템의 가장 앞쪽에 위치하면서 서브시스템에 있는 객체들을 사용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 역할을 하는 디자인 패턴은?

  1. Facade 패턴
  2. Strategy 패턴
  3. Adapter 패턴
  4. Singleton 패턴
(정답률: 65%)
  • Facade 패턴은 개발자가 사용해야 하는 서브시스템의 가장 앞쪽에 위치하면서 서브시스템에 있는 객체들을 사용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 역할을 하는 디자인 패턴입니다. 다른 세 개의 패턴은 객체 간의 상호작용을 다루는 패턴이며, Singleton 패턴은 객체 생성과 관련된 패턴입니다. 따라서 Facade 패턴이 가장 적절한 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소프트웨어 모듈 평가 기준으로 판단할 때, 다음 4명 중 가장 좋게 설계한 사람과 가장 좋지 않게 설계한 사람을 순서대로 바르게 나열한 것은?

  1. 철수, 영희
  2. 철수, 민희
  3. 동수, 영희
  4. 동수, 민희
(정답률: 72%)
  • 소프트웨어 모듈 평가 기준으로는 결합도와 응집도가 중요합니다. 결합도는 모듈 간의 상호 의존도를 나타내며, 응집도는 모듈 내부의 기능적 관련성을 나타냅니다.

    이를 바탕으로 보면, "동수, 영희"가 가장 좋게 설계한 것으로 판단됩니다.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 "동수, 영희" 모듈은 다른 모듈과의 결합도가 낮고, 모듈 내부의 기능적 관련성이 높은 높은 응집도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는 모듈이 독립적으로 작동하며, 유지보수와 확장이 용이하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 "철수, 민희" 모듈은 다른 모듈과의 결합도가 높고, 모듈 내부의 기능적 관련성이 낮은 낮은 응집도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는 모듈이 다른 모듈에 의존하며, 유지보수와 확장이 어렵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가장 좋게 설계한 사람은 "동수, 영희"이고, 가장 좋지 않게 설계한 사람은 "철수, 민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자료구조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데크는 삽입과 삭제를 한쪽 끝에서만 수행한다.
  2. 연결리스트로 구현된 스택은 그 크기가 가변적이다.
  3. 배열로 구현된 스택은 구현이 간단하지만 그 크기가 고정적이다.
  4. 원형연결리스트는 한 노드에서 다른 모든 노드로 접근이 가능하다.
(정답률: 79%)
  • "데크는 삽입과 삭제를 한쪽 끝에서만 수행한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데크는 양쪽 끝에서 삽입과 삭제가 모두 가능하다. 이는 데크가 Double Ended Queue의 약자이며, 큐와 스택의 기능을 모두 갖고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IPv4가 제공하는 기능만을 모두 고른 것은?

  1. ㄱ, ㄴ
  2. ㄴ, ㄷ
  3. ㄴ, ㄹ
  4. ㄷ, ㄹ
(정답률: 62%)
  • IPv4는 주소 할당, 라우팅, 패킷 분할 및 조립, 오류 검출 및 수정 등의 기능을 제공합니다. 따라서 "ㄴ, ㄹ"이 정답입니다. "ㄱ, ㄴ"은 주소 할당과 라우팅을 모두 포함하지 않습니다. "ㄴ, ㄷ"는 패킷 분할 및 조립과 오류 검출 및 수정을 모두 포함하지 않습니다. "ㄷ, ㄹ"은 주소 할당과 라우팅을 모두 포함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결정 명령문 내의 각 조건식이 참, 거짓을 한 번 이상 갖도록 조합하여 테스트 케이스를 설계하는 방법은?

  1. 문장 검증 기준(Statement Coverage)
  2. 조건 검증 기준(Condition Coverage)
  3. 분기 검증 기준(Branch Coverage)
  4. 다중 조건 검증 기준(Multiple Condition Coverage)
(정답률: 74%)
  • 조건 검증 기준은 결정 명령문 내의 각 조건식이 참, 거짓을 한 번 이상 갖도록 조합하여 테스트 케이스를 설계하는 방법입니다. 이는 모든 조건식이 최소한 한 번은 실행되어야 한다는 것을 보장하며, 결정 명령문의 모든 가능한 조건 조합을 테스트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조건 검증 기준은 결정 명령문의 모든 가능한 실행 경로를 테스트하는 데 가장 적합한 기준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가상 머신(Virtual Machine)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단일 컴퓨터에서 가상화를 사용하여 다수의 게스트 운영체제를 실행할 수 있다.
  2. 가상 머신은 사용자에게 다른 가상 머신의 동작에 간섭을 주지 않는 격리된 실행환경을 제공한다.
  3. 가상 머신 모니터(Virtual Machine Monitor)를 사용하여 가상화하는 경우 반드시 호스트 운영체제가 필요하다.
  4. 자바 가상 머신은 자바 바이트 코드가 다양한 운영체제 상에서 수행될 수 있도록 한다.
(정답률: 74%)
  • "가상 머신 모니터(Virtual Machine Monitor)를 사용하여 가상화하는 경우 반드시 호스트 운영체제가 필요하다."는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가상 머신 모니터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호스트 운영체제가 필요하지만, 컨테이너 가상화와 같은 다른 가상화 기술에서는 호스트 운영체제 없이도 가상화가 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IEEE 802.11 무선 랜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IEEE 802.11a는 5GHz 대역에서 5.5Mbps의 전송률을 제공한다.
  2. IEEE 802.11b는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OFDM) 방식을 사용하여 최대 22Mbps의 전송률을 제공한다.
  3. IEEE 802.11g는 5 GHz 대역에서 직접 순서 확산 대역(DSSS) 방식을 사용한다.
  4. IEEE 802.11n은 다중입력 다중출력(MIMO) 안테나 기술을 사용한다.
(정답률: 49%)
  • IEEE 802.11n은 다중입력 다중출력(MIMO) 안테나 기술을 사용한다. 이는 여러 개의 안테나를 사용하여 신호를 동시에 전송하고 수신함으로써 전송률과 신호 강도를 향상시키는 기술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데이터베이스의 동시성 제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단, T1, T2, T3는 트랜잭션이고, A는 데이터 항목이다)

  1. 다중버전 동시성 제어 기법은 한 데이터 항목이 변경될 때 그 항목의 이전 값을 보존한다.
  2. T1이 A에 배타 로크를 요청할 때, 현재 T2가 A에 대한 공유로크를 보유하고 있고 T3가 A에 공유 로크를 동시에 요청한다면, 트랜잭션 기아 회피기법이 없는 경우 A에 대한 로크를 T3가 T1보다 먼저 보유한다.
  3. 로크 전환이 가능한 상태에서 T1이 A에 대한 배타 로크를 요청할 때, 현재 T1이 A에 대한 공유 로크를 보유하고 있는 유일한 트랜잭션인 경우 T1은 A에 대한 로크를 배타 로크로 상승할 수 있다.
  4. 2단계 로킹 프로토콜에서 각 트랜잭션이 정상적으로 커밋될때까지 자신이 가진 모든 배타적 로크들을 해제하지 않는다면 모든 교착상태를 방지할 수 있다.
(정답률: 56%)
  • 2단계 로킹 프로토콜에서 각 트랜잭션이 정상적으로 커밋될때까지 자신이 가진 모든 배타적 로크들을 해제하지 않는다면 모든 교착상태를 방지할 수 있다는 설명이 옳지 않습니다. 2단계 로킹 프로토콜은 교착상태를 방지하기 위한 방법 중 하나이지만, 모든 교착상태를 방지할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교착상태는 다양한 상황에서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방법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파일구조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VSAM은 B+ 트리 인덱스 구조를 사용한다.
  2. 히프 파일은 레코드들을 키 순서와 관계없이 저장할 수 있다.
  3. ISAM은 레코드 삽입을 위한 별도의 오버플로우 영역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4. 순차 파일에서 일부 레코드들이 키 순서와 다르게 저장된 경우, 파일 재구성 과정을 통해 키 순서대로 저장될 수 있다.
(정답률: 54%)
  • ISAM은 레코드 삽입을 위한 별도의 오버플로우 영역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는 설명이 옳지 않습니다. ISAM은 인덱스 파일과 데이터 파일로 구성되며, 인덱스 파일에서 레코드의 위치를 찾아 데이터 파일에서 해당 레코드를 읽어오는 방식을 사용합니다. 따라서 레코드 삽입 시 인덱스 파일과 데이터 파일 모두에 삽입이 이루어져야 하며, 데이터 파일에서 레코드를 삽입할 때 오버플로우 영역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다음 C 프로그램의 출력 값은?

  1. a = 10, b = 20, c = 30
  2. a = 10, b = 20, c = 102
  3. a = 101, b = 201, c = 101
  4. a = 102, b = 202, c = 102
(정답률: 52%)
  • 이 프로그램은 a와 b에 각각 10과 20을 대입하고, c에는 a와 b를 더한 값을 대입합니다. 따라서 c의 값은 30이 아니라 10과 20을 더한 30이 아니라 a와 b를 더한 102가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a = 10, b = 20, c = 102"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해싱(Hashing)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서로 다른 탐색키가 해시 함수를 통해 동일한 해시 주소로 사상될 수 있다.
  2. 충돌(Collision)이 발생하지 않는 해시 함수를 사용한다면 해싱의 탐색 시간 복잡도는 O(1)이다.
  3. 선형 조사법(Linear Probing)은 연결리스트(Linked List)를 사용하여 오버플로우 문제를 해결한다.
  4. 폴딩함수(Folding Function)는 탐색키를 여러 부분으로 나누어 이들을 더하거나 배타적 논리합을 하여 해시 주소를 얻는다.
(정답률: 49%)
  • 선형 조사법(Linear Probing)은 연결리스트(Linked List)를 사용하지 않고 배열 내에서 충돌을 해결하는 방법이기 때문에 "선형 조사법(Linear Probing)은 연결리스트(Linked List)를 사용하여 오버플로우 문제를 해결한다."는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