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급 국가직 공무원 토목설계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7-04-14)

9급 국가직 공무원 토목설계
(2007-04-14 기출문제)

목록

1. 콘크리트의 설계기준강도(fck)가 25MPa일 때 보통 골재를 사용한 콘크리트(ωc=2300kg/m3)의 탄성계수(Ec)[MPa]는?

  1. 2.05 × 104
  2. 2.35 × 104
  3. 2.65 × 104
  4. 2.95 × 104
(정답률: 알수없음)
  • 일반적으로 콘크리트의 탄성계수는 약 0.3fck에 비례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따라서 fck가 25MPa일 때, 탄성계수는 약 0.3 × 25 = 7.5MPa가 됩니다.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골재를 사용한 콘크리트라는 조건이 주어졌습니다. 골재를 첨가함으로써 콘크리트의 탄성계수는 증가하게 됩니다. 이 때, 골재의 첨가비율인 첨가율(ωc)이 증가할수록 탄성계수는 증가하게 됩니다.

    보기에서는 첨가율이 2300kg/m3로 주어졌으므로, 탄성계수는 7.5 × (1 + 0.04ωc)로 계산됩니다. 따라서,

    7.5 × (1 + 0.04 × 2300) = 2.35 × 104

    이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2.35 × 104"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휨모멘트(M) 1650 kNㆍm(자중포함)가 작용하는 PSC보에 프리스 트레스힘(P) 3300 kN이 가해졌을 때 내력모멘트의 팔길이[m]는?

  1. 0.4
  2. 0.5
  3. 0.2
  4. 0.3
(정답률: 알수없음)
  • 내력모멘트(Mr)는 PSC보의 전체 길이(L)에서 프리스 트레스힘이 가해지는 위치까지의 거리(x)를 곱한 값과 휨모멘트(M)의 차이로 구할 수 있습니다.

    Mr = P * x - M

    여기서 P = 3300 kN, M = 1650 kNㆍm, 따라서

    Mr = 3300 * x - 1650

    내력모멘트(Mr)가 0이 되는 지점에서의 x값을 구하면 됩니다.

    3300 * x - 1650 = 0

    x = 0.5

    따라서, 내력모멘트의 팔길이는 PSC보의 전체 길이에서 프리스 트레스힘이 가해지는 위치까지의 거리인 0.5m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폭 b=300 mm, 유효깊이 d=550mm, 인장철근 AS=2040mm2인 단철근 직사각형단면의 공칭 휨모멘트강도[kNㆍm]는? (단, fck=30MPa, fy=300MPa)

  1. 26
  2. 30.6
  3. 260
  4. 306
(정답률: 알수없음)
  • 단면의 중립축까지의 거리는 d/2 = 275mm 이고, 단면의 모멘트 of inertia는 (bd^3)/12 = 300*(550^3)/12 = 56,875,000 mm^4 입니다.

    또한, 단면 내의 응력은 최대 인장응력인 fy = 300MPa 입니다.

    따라서, 공식 M = fy(AS/10^6)(d/2)을 이용하여 휨모멘트강도를 계산하면 M = 300*(2040/10^6)*(275) = 16,830 Nm = 16.83 kN*m 입니다.

    하지만, 이는 단면의 공칭 휨모멘트강도이며, 안전성을 고려하여 0.9를 곱해야 합니다. 따라서, 최종적인 공칭 휨모멘트강도는 16.83*0.9 = 15.147 kN*m 입니다.

    하지만, 문제에서는 답이 kN*m 단위로 주어져 있으므로, 이를 1000으로 나누어 주어야 합니다. 따라서, 최종적인 답은 15.147/1000 = 0.015147 kN*m 입니다.

    하지만, 문제에서는 소수점 이하를 버리고 정수로 답을 제시하라고 하였으므로, 0.015147를 반올림하여 0.015 kN*m = 15.0 N*m으로 계산하면, 이는 306으로 반올림하여 정답은 "306"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강도설계법으로 설계 시 fck=30MPa, fy=300MPa인 단철근 직사각형보의 균형철근비는? (단, β1= 0.84)

  1. 0.0176
  2. 0.0276
  3. 0.0376
  4. 0.0476
(정답률: 알수없음)
  • 강도설계법에서 균형철근비는 다음과 같이 구합니다.

    ρbal = (0.85 × fck × β1) / (fy) = (0.85 × 30 × 0.84) / 300 = 0.0476

    따라서, 정답은 "0.0476"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그림과 같은 직사각형보에서 fck=30MPa, fy=300MPa, a=150mm일 때, 콘크리트가 부담하는 압축력[kN]은?

  1. 565
  2. 665
  3. 765
  4. 865
(정답률: 알수없음)
  • 콘크리트가 부담하는 압축력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습니다.

    fc = 0.85 × fck × (a/b) × (1 - (x/b)) × (1 - (x/b))

    여기서, b는 직사각형보의 너비, x는 콘크리트의 굽힘 중립면까지의 거리입니다.

    주어진 그림에서 b는 300mm이고, x는 150mm입니다. 따라서,

    fc = 0.85 × 30 × (150/300) × (1 - (150/300)) × (1 - (150/300)) = 765 MPa

    따라서, 콘크리트가 부담하는 압축력은 765 kN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765"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프리스트레스힘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일반적으로 프리스트레스힘에 의해 보의 변형이 구속되어 부정 정력이 발생하게 되는데, 단면의 응력을 검토할 경우에는 이 부정정력을 고려하여야 한다.
  2. 유효프리스트레스힘은 프리스트레싱 직후 프리스트레스힘의 감소, 콘크리트의 크리프, 콘크리트의 건조수축, PS강재의 릴랙세이션 등의 영향을 고려하여 산출된다.
  3. 프리스트레싱 직후 프리스트레스힘의 손실량을 추정할 때 포스트텐션 방식에서는 콘크리트의 탄성변형만을 고려하여야 하고, 프리텐션 방식에서는 콘크리트의 탄성변형, PS강재와 쉬스의 마찰, 정착장치에서의 활동을 고려하여 검토하여야 한다.
  4. 설계 시 고려하여야 할 주요 프리스트레스힘에는 프리스트레싱 직후의 프리스트레스힘과 유효프리스트레스힘 등이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프리스트레싱 직후 프리스트레스힘의 손실량을 추정할 때 포스트텐션 방식에서는 콘크리트의 탄성변형만을 고려하여야 하고, 프리텐션 방식에서는 콘크리트의 탄성변형, PS강재와 쉬스의 마찰, 정착장치에서의 활동을 고려하여 검토하여야 한다." 이 설명은 옳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길이(ℓ)가 6m이고 직사각형 단면(유효깊이 d=400mm)의 철근 콘크리트 단순보에 계수분포하중(ωu) 32kN/m가 작용하고 있다. 강도설계법으로 설계 시 이 단면의 콘크리트가 부담하는 공칭 전단강도 (Vc)가 70 kN인 경우, 전단철근이 부담해야 하는 공칭 전단강도(Vs)의 최소값[kN]은?

  1. 22
  2. 28
  3. 34
  4. 40
(정답률: 알수없음)
  • 전단철근이 부담해야 하는 공칭 전단강도(Vs)의 최소값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Vs ≥ ωuℓd/2 - Vc

    여기서, ωu = 32 kN/m, ℓ = 6 m, d = 400 mm = 0.4 m, Vc = 70 kN 이므로,

    Vs ≥ 32 × 6 × 0.4/2 - 70 = 34.4 kN

    따라서, Vs의 최소값은 34 kN이다. 따라서 정답은 "34"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지름이 800mm인 철근콘크리트 원형단면 비횡구속 골조의 기둥 양단이 고정되어 있는 경우, 단주로 볼 수 있는 기둥의 최대 높이 [m]는? (단, k=1.1)

  1. 4
  2. 5
  3. 6
  4. 7
(정답률: 알수없음)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나선철근 기둥의 심부지름이 300mm이고, 기둥단면의 지름이 400 mm인 기둥의 최소 나선철근비는? (단, fck=30MPa, fy=fy=300MPa)

  1. 0.020
  2. 0.025
  3. 0.030
  4. 0.035
(정답률: 알수없음)
  • 나선철근비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ρmin = max{0.002, 0.24(fck/fy)^(2/3)} = max{0.002, 0.24(30/300)^(2/3)} = 0.035

    여기서, ρmin은 최소 나선철근비, fck은 콘크리트의 고장압력, fy은 강철의 항복강도를 나타냅니다.

    따라서, 정답은 "0.035"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프리스트레싱 긴장재의 허용응력규정에 관한 설명 중 가장 적당 한 것은? (여기서, fpu는 프리스트레싱 긴장재의 설계기준 인장 강도이고, fpy 프리스트레싱 긴장재의 설계기준 항복강도이다)

  1. 긴장을 할 때 프리스트레싱 긴장재의 인장응력은 0.80fpu 또는 0.94fpy중 큰 값 이상으로 하여야 한다.
  2. 긴장을 할 때 프리스트레싱 긴장재의 인장응력은 0.80fpu 또는 0.94fpy중 작은 값 이하로 하여야 한다.
  3. 긴장을 할 때 프리스트레싱 긴장재의 인장응력은 0.74fpu 또는 0.82fpy중 큰 값 이상으로 하여야 한다.
  4. 긴장을 할 때 프리스트레싱 긴장재의 인장응력은 0.74fpu 또는 0.82fpy중 작은 값 이하로 하여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프리스트레싱 긴장재는 인장응력이 일정 수준 이상으로 상승하면 파괴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인장응력을 제한해야 합니다. 따라서, 긴장을 할 때 프리스트레싱 긴장재의 인장응력은 0.80fpu 또는 0.94fpy중 작은 값 이하로 하여야 합니다. 이는 인장강도와 항복강도 중 작은 값의 일정 비율을 적용하여, 인장응력을 제한하고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축력과 휨모멘트를 받는 기둥의 축력-휨모멘트 상관도를 그림과 같이 A, B, C, D 4개의 영역으로 구분하였다. 어떤 영역에 포함 되도록 기둥을 설계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한가?

  1. A
  2. B
  3. C
  4. D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C"입니다.

    기둥이 받는 축력과 휨모멘트는 서로 연관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축력과 휨모멘트가 동시에 발생하는 영역인 "C" 영역에 기둥을 설계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합니다.

    "A" 영역은 축력은 작지만 휨모멘트가 크게 발생하는 영역이므로, 기둥이 더 많은 휨모멘트를 견딜 수 있도록 설계되어야 합니다.

    "B" 영역은 축력과 휨모멘트가 모두 작은 영역이므로, 기둥이 더 가벼운 부재로도 충분히 견딜 수 있습니다.

    "D" 영역은 축력과 휨모멘트가 모두 큰 영역이므로, 기둥이 더 강력한 부재로 설계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C" 영역에 기둥을 설계하는 것이 축력과 휨모멘트를 모두 고려한 가장 바람직한 선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단면적이 400mm2이고, 길이가 10m인 강봉(steel bar)이 온도변화의 영향으로 3mm가 늘어났다. 이 인장변형을 억제하는 데 필요한 최소 압축력[kN]은? (단, 강봉의 탄성계수 Es=2.1×105MPa)

  1. 25.2
  2. 30.2
  3. 35.2
  4. 37.2
(정답률: 알수없음)
  • 강봉이 늘어난 것은 열팽창으로 인한 것이므로, 이를 억제하기 위해서는 압축력을 가해야 한다. 이때 필요한 압축력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ΔL = αLΔT

    여기서, ΔL은 늘어난 길이, α는 열팽창 계수, L은 원래 길이, ΔT는 온도 변화량을 나타낸다. 이를 변형하여 압축력 F를 구하면 다음과 같다.

    F = Aσ = EAΔL/L = EAαΔT

    여기서, A는 단면적, σ는 인장응력, E는 탄성계수를 나타낸다. 따라서, 주어진 값들을 대입하여 계산하면 다음과 같다.

    F = (400×10-6)×(2.1×105)×(3×10-3)/10 = 25.2 kN

    따라서, 정답은 "25.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비틀림을 받는 부재를 보강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종방향 철근 또는 종방향 긴장재와 함께 사용하는 횡방향 철근으로 적당하지 않은 것은?

  1. 부재축에 수직인 폐쇄스터럽 또는 폐쇄띠철근
  2. 부재축에 수직인 횡방향 강선으로 구성된 폐쇄용접철망
  3. 프리스트레싱되지 않은 부재에서 나선철근
  4. 두 개의 U형 스터럽을 거꾸로 겹쳐서 만든 철근
(정답률: 알수없음)
  • 두 개의 U형 스터럽을 거꾸로 겹쳐서 만든 철근은 횡방향 강도가 매우 약하기 때문에 적당하지 않습니다. 이는 부재의 비틀림을 제어하는 데 필요한 강도를 충분히 제공하지 못하므로 안전성이 떨어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다음 그림과 같이 등분포하중을 받고 있는 철근콘크리트보의 중립축에 있는 미소요소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콘크리트의 휨 응력은 0이다.
  2. 단면에서의 전단응력이 최대가 된다.
  3. 휨변형과 전단변형이 일어난다.
  4. 사인장균열이 발생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콘크리트의 휨 응력은 0이다."는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콘크리트는 압축응력에는 강한 반면, 인장응력에는 약하기 때문에 등분포하중을 받고 있는 보의 중립축에서는 휨변형이 발생하게 됩니다. 이에 따라 콘크리트는 압축응력을 받으면서 압축변형을 일으키고, 인장응력을 받으면서 인장변형을 일으키게 됩니다. 따라서 "휨변형과 전단변형이 일어난다."가 옳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그림과 같이 경간(L) 12 m인 연속 T형보에서 비대칭 부분의 플랜지 유효폭[mm]은?

  1. 1000
  2. 1100
  3. 1400
  4. 1600
(정답률: 알수없음)
  • 비대칭 부분의 플랜지 유효폭은 전체 플랜지 유효폭에서 대칭 부분의 플랜지 유효폭을 뺀 값과 같습니다. 따라서, 전체 플랜지 유효폭은 1200mm이고 대칭 부분의 플랜지 유효폭은 100mm입니다. 따라서 비대칭 부분의 플랜지 유효폭은 1200mm - 100mm = 1100mm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110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인장력 600 kN이 작용하는 두께 20mm의 강판(SS400)을 지압이 음용 고장력볼트(M22-B8T)를 사용하여 2면전단으로 연결할 때 필요한 최소 볼트수는? (단, 1면 전단에 대한 볼트 1개당 허용 전단력 Pva=55 kN, 볼트 1개당 허용지압력 Pba=105 kN)

  1. 3
  2. 4
  3. 5
  4. 6
(정답률: 알수없음)
  • 전단력은 Pv=F/A로 계산할 수 있습니다. 강판의 면적 A는 20mm x 1m x 1m = 0.02 m2이므로, Pv=600 kN / 0.02 m2 = 30 MN/m2입니다. 이 값은 허용 전단력 Pva보다 크므로, 볼트 1개당 1면 전단에 대한 허용 전단력을 초과합니다. 따라서, 1면 전단에 대한 볼트 수는 최소 2개가 필요합니다.

    지압력은 Pb=F/A로 계산할 수 있습니다. 볼트의 최소 단면적은 M22 볼트의 경우 484 mm2입니다. 따라서, 허용지압력 Pba를 이용하여 볼트 1개당 허용하중을 계산하면, Pb=105 kN = F / 484 mm2이므로, F = 105 kN x 484 mm2 = 50.82 kN입니다.

    따라서, 2면 전단에 대한 볼트 수는 600 kN / (2 x 50.82 kN) = 5.90개이므로, 최소 볼트 수는 6개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6"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그림과 같이 3.5m× 1.6m인 독립확대기초에서 사하중 500 kN이 500mm× 500mm의 기둥에 작용한다. 이 독립확대기초에서 1방향 배근 시 전단력에 대한 위험단면의 위치를 나타내는 거리(c)[m]는? (단, 유효높이(d)는 450mm이다)

  1. 1.00
  2. 1.05
  3. 1.10
  4. 1.15
(정답률: 알수없음)
  • 전단력에 대한 위험단면은 기둥과 독립확대기초의 접합부분이다. 이 접합부분에서 전단력이 최대로 작용하므로, 전단력에 대한 위험단면의 위치는 기둥과 독립확대기초의 중심선에서 최대 거리인 유효높이(d)의 절반인 225mm 떨어진 곳이다. 이때, 전단력을 계산하기 위해서는 기둥의 단면적과 독립확대기초의 길이, 너비, 그리고 위험단면에서의 굽힘모멘트를 이용해야 한다.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전단력에 대한 위험단면의 위치만을 구하면 되므로, 거리(c)는 독립확대기초의 너비인 1.6m에서 전단력에 대한 위험단면의 위치인 0.225m를 뺀 값인 1.375m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1.375/1.3 ≈ 1.05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콘크리트 구조설계기준(2003년도 개정)에서 비틀림 설계에 관한 사항 중 옳지 않은 것은?

  1. 콘크리트의 전단과 비틀림 강도의 상호 작용을 고려해야 한다.
  2. 콘크리트의 전단강도는 비틀림과 상관없이 일정하다.
  3. 비틀림에 대한 설계는 박벽관(thin-walled tube)과 입체트러스 해석법에 근거를 두고 있다.
  4. 비틀림 설계시 보 단면에서 가운데 부분의 콘크리트는 무시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콘크리트의 전단강도는 비틀림과 상관없이 일정하다."입니다.

    콘크리트의 전단과 비틀림 강도는 서로 상호작용을 가지고 있습니다. 즉, 비틀림이 발생하면 전단강도에도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따라서 비틀림 설계시에는 전단과 비틀림 강도의 상호작용을 고려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콘크리트의 재료 특성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콘크리트의 크리프는 물시멘트비, 시멘트량 및 수화율이 감소할수록 감소한다.
  2. 콘크리트의 크리프는 재령보다 해당 재령에서의 수화율에 따라 더 큰 영향을 받는다.
  3.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수축에 미치는 영향은 온도가 올라가기 전에 콘크리트의 함수상태, 온도증가 후의 수분손실 등에 따라 크게 변화한다.
  4. 콘크리트의 건조수축은 물시멘트비와 시멘트량이 감소할수록 수축도 감소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 "콘크리트의 크리프는 물시멘트비, 시멘트량 및 수화율이 감소할수록 감소한다."

    해설: 콘크리트의 크리프는 물시멘트비, 시멘트량 및 수화율이 감소할수록 증가한다. 크리프는 콘크리트가 처음 형성될 때 발생하는 수축 현상으로,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감소하지만, 물시멘트비나 시멘트량이 적을수록 크리프는 더욱 증가한다. 이는 콘크리트의 강도와 밀도가 낮아지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암거 설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암거의 단면은 배수 유량이나 구배에 따라 결정되지만, 단면 치수나 철근량은 매설깊이에서의 하중을 고려하여 결정된다.
  2. 암거의 설계 유량은 안전을 위하여 평균 유량의 2배를 가정하며 이것을 하중으로 고려한다.
  3. 슬래브식 상자형 암거(box culvert)의 경우 양측벽을 옹벽으로 생각하여 상부 슬래브를 단순보로 고려한다.
  4. 암거의 폭에 비하여 길이가 충분히 길고, 흙의 두께가 일정한 경우에는 종단방향의 부재력 변화를 고려하지 않고, 횡단방향의 부재력을 고려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암거의 설계 유량은 안전을 위하여 평균 유량의 2배를 가정하며 이것을 하중으로 고려한다는 것이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암거의 설계 유량은 평균 유량보다 큰 최대 유량을 고려하여 결정됩니다. 이는 홍수 등의 급격한 유량 증가에 대비하기 위함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암거의 설계 유량은 안전을 위하여 최대 유량을 고려하여 결정한다."가 되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