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공식적인 대의기관이 제기능을 다하지 못함에 따라 NGO(nongovernmental organizations)의 정책참여가 활발해지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다음 중 NGO의 바람직한 정책참여를 위한 전제 조건으로 옳지 않은 것은?
2. 신뢰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3. 쓰레기통 정책결정모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4. 정부의 공공관계(Public Relation)의 문제점으로 볼 수 없는 것은?
5. 다음 사례는 어느 재화이기 때문에 야기되었는가?
6. V. Vroom의 기대이론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7. 정보공유를 통한 행정혁신에 관련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8. 네트워크 조직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9. 행정관료의 재량권을 넓게 인정하자는 주장의 근거가 되는 설명이 아닌 것은?
10. 시보제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1. 행정에 대한 외부통제를 향상시키기 위한 제도로 보기 어려운 것은?
12. 공공관리 또는 거버넌스와 같은 행정개혁적 개념이 등장한 배경과 거리가 먼 것은?
13. 고객지향적인 행정업무 수행에 기본이 되는 요소가 아닌 것은?
14. 재정민주주의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5. 참여의 순기능이 아닌 것은?
16. 우리나라의 책임운영기관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7. 총제적 품질관리(TQM)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8. 행정부는 국회가 승인한 예산의 범위 내에서 각종 사업을 수행하여 소기의 목표를 달성하여야 하며, 동시에 정해진 재정한계를 준수해야 한다. 이를 위한 예산통제의 방법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9. 승진적체의 고통을 완화하기 위한 단기적 대책으로 정부가 도입ㆍ시행하고 있는 제도가 아닌 것은?
20. 미국식 신공공관리를 통한 행정개혁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