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내건축기능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1-07-22)

실내건축기능사
(2001-07-22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실내디자인

1. 선의 디자인적인 작용 중 가장 동적(動的)인 것은?

  1. 사선
  2. 수평선
  3. 수직선
  4. 포물선
(정답률: 77%)
  • 사선은 기울어진 방향으로 움직이는 느낌을 주기 때문에 가장 동적인 디자인적인 작용을 가지고 있습니다. 수평선과 수직선은 정적인 느낌을 주며, 포물선은 곡선적인 느낌을 주지만 사선만큼의 동적인 느낌은 주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디자인 요소에서 강조(Emphasis)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강조란 시각적으로 중요한 것과 그렇지 않은 것을 구별하는 것을 말한다.
  2. 실내에서의 강조란 흥미나 관심의 초점이다.
  3. 강조란 한 방에서의 통일과 질서감을 부여하지는 못한다.
  4. 주택의 거실에서 초점의 대상이 되는 것은 벽난로나 응접셋트가 될 수가 있다.
(정답률: 66%)
  • "강조란 한 방에서의 통일과 질서감을 부여하지는 못한다."가 틀린 것이 아니라 옳은 것입니다. 강조는 시각적으로 중요한 것과 그렇지 않은 것을 구별하는 것이며, 디자인에서는 통일과 질서감을 유지하면서 강조를 표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건물의 통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통로의 폭과 높이는 통행량과 유형에 따라 정해진다.
  2. 큰 공간에서의 통로는 일정치 않고 공간의 구성패턴에 의해 결정된다.
  3. 모든 통로는 선이며 나선형으로만 구성된다.
  4. 통로는 통로로써 연결되는 공간들의 구성패턴에 영향을 준다.
(정답률: 82%)
  • "모든 통로는 선이며 나선형으로만 구성된다."는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이는 건축물의 특성과 용도, 디자인 등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통로가 존재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직선형, 곡선형, T자형, 십자형 등 다양한 형태의 통로가 있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질서 잡기가 쉽고 통일감을 얻기 쉽지만, 때로는 표정이 단정하여 견고한 느낌을 주는 것은?

  1. 대칭
  2. 비례
  3. 주도와 종속
  4. 점층
(정답률: 83%)
  • 대칭은 양쪽이 똑같은 모양이나 위치를 가지는 것을 말합니다. 따라서 질서를 잡고 통일감을 얻는 것은 양쪽이 비슷한 모습을 가지므로 대칭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천장에서 와이어나 파이프로 매어단 조명방식으로, 조명기구 자체가 장식적인 역할을 하는 조명방식은?

  1. 펜던트
  2. 다운라이트
  3. 스포트라이트
  4. 브라켓
(정답률: 85%)
  • 천장에서 매단 와이어나 파이프로 떨어져 있는 조명기구를 일컫는 용어가 "펜던트"이며, 이러한 조명방식은 조명기구 자체가 장식적인 역할을 하기 때문에 선택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펜던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자연적인 형태와 가장 밀접한 관련성이 있는 형은?

  1. 자유곡면형
  2. 삼각형
  3. 직육면체형
  4. 다각형
(정답률: 83%)
  • 자유곡면형은 자연에서 자주 나타나는 곡면 형태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자연적인 형태와 가장 밀접한 관련성이 있습니다. 또한 자유곡면형은 다양한 크기와 모양을 가지고 있어 다양한 용도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반면에 삼각형과 다각형은 각 변이 직선인 평면 도형이기 때문에 자연적인 형태와는 거리가 있고, 직육면체형은 너무 단순한 형태이기 때문에 자연적인 형태와는 다소 거리가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채광의 효과가 가장 좋은 창의 종류는?

  1. 천창
  2. 측창
  3. 정측창
  4. 고측창
(정답률: 84%)
  • 천창은 가장 큰 면적을 가지고 있어서 자연광을 가장 많이 받을 수 있습니다. 또한 천장에 가까운 위치에 있어서 조명이 필요하지 않을 정도로 밝은 환경을 만들어줍니다. 따라서 채광의 효과가 가장 좋은 창의 종류는 천창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실내디자인 분야에서 컴퓨터설계(CAD) 시스템의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도면의 부분적 수정이 곤란하다.
  2. 같은 도면을 빠른 속도로 출력시킬 수 있다.
  3. 설계기능을 보완하거나 디자인의 질을 향상할 수 있다.
  4. 원본처럼 깨끗하게 도면을 출력시킬 수 있다.
(정답률: 75%)
  • "도면의 부분적 수정이 곤란하다."는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CAD 시스템은 도면의 부분적 수정이 가능하며, 이는 디자인의 유연성과 효율성을 높입니다. 따라서 이 보기가 옳지 않은 이유는 CAD 시스템에서 도면의 부분적 수정이 가능하다는 사실과 상반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천장, 벽의 구조체에 광원의 빛이 가려지게 하여 반사광으로 간접조명 하는 방식은?

  1. 코브조명
  2. 밸랜스조명
  3. 코니스조명
  4. 캐노피조명
(정답률: 34%)
  • 코브조명은 천장이나 벽면에 조명을 설치하고 그 주변을 둘러싸는 구조체를 만들어 광원의 빛이 직접적으로 나오지 않고 간접적으로 반사되어 조명하는 방식입니다. 따라서 천장이나 벽면에 부드러운 빛이 동일하게 퍼져 밝고 쾌적한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건축조형에서 구조물에 나타나는 요소가 아닌 것은?

  1. 형태
  2. 색채
  3. 질감
  4. 기하곡선
(정답률: 50%)
  • 기하곡선은 건축조형에서 구조물에 나타나는 요소가 아닙니다. 기하곡선은 수학적인 개념으로, 건축물의 형태나 디자인에는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따라서 기하곡선은 건축조형에서 구조물에 나타나는 요소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동적인 질서로 활기찬 표정을 나타내고 보는 사람에게 쾌적한 느낌을 주는 것은?

  1. 조화
  2. 균형
  3. 리듬
  4. 강조
(정답률: 64%)
  • 리듬은 일정한 간격으로 반복되는 움직임이나 패턴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리듬은 동적인 질서를 나타내며, 일정한 패턴으로 움직이는 것이 보는 사람에게 쾌적한 느낌을 주기 때문에 활기찬 표정을 나타내는 것과 관련이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리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매장 계획 시 충동구매가 많은 것으로 1층에 계획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은?

  1. 액세서리 상품
  2. 스포츠 용품
  3. 전자 제품
  4. 한식당
(정답률: 81%)
  • 액세서리 상품은 가격이 비교적 저렴하고, 소비자들이 충동적으로 구매하기 쉬운 제품이기 때문에 매장 계획 시 충동구매가 많은 것으로 1층에 계획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스포츠 용품이나 전자 제품은 가격이 비싸고, 구매에 신중한 소비자가 많아 충동구매가 적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한식당은 매장 계획과는 관련이 없는 업종이므로 선택지에서 제외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고객에게 설계자의 계획을 표현하는 기술을 총괄하는 말로 기본설계 단계에서 설계자가 고객에게 자신의 의견이나 몇 가지 방안을 설명하는 것을 무엇이라 하는가?

  1. 프레젠테이션(Presentation)
  2. 레이아웃(lay out)
  3. 클라이언트(Client)
  4. 시방서(Specification)
(정답률: 78%)
  • 프레젠테이션은 설계자가 고객에게 자신의 계획을 표현하는 기술을 총괄하는 말입니다. 따라서 기본설계 단계에서 설계자가 고객에게 자신의 의견이나 몇 가지 방안을 설명하는 것을 프레젠테이션으로 표현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상업공간의 정면이나 숍 프론트(shop front)의 설계계획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취급상품을 인지할 수 있어야 한다.
  2. 간판이 주변 미관과 조화되도록 해야 한다.
  3. 대중성이 있어야 한다.
  4. 영업종료 후 환경에 대한 고려는 필요 없다.
(정답률: 84%)
  • "영업종료 후 환경에 대한 고려는 필요 없다."는 옳지 않은 설계계획입니다. 상업공간은 지속적으로 사용되는 공간이므로 영업종료 후에도 환경에 대한 고려가 필요합니다. 예를 들어, 폐업 후에도 건물 외벽의 색상이나 간판의 디자인이 주변 미관과 조화되도록 유지되어야 합니다. 또한, 폐업 후에도 건물의 유지보수와 청소가 이루어져야 합니다. 따라서, 영업종료 후에도 환경에 대한 고려가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원룸 설계 시 고려해야할 사항이 아닌 것은?

  1. 사용자에 대한 특성을 충분히 파악한다.
  2. 원룸이므로 활동공간과 취침공간을 구분하지 않아도 된다.
  3. 내부공간을 효과적으로 나누어 활용한다.
  4. 환기를 고려한 설계가 이루어져야 한다.
(정답률: 71%)
  • 원룸이라고 해서 활동공간과 취침공간을 구분하지 않아도 된다는 것은 잘못된 생각입니다. 원룸 내부공간을 효과적으로 나누어 활용하고, 사용자에 대한 특성을 충분히 파악하여 적절한 구성을 해야합니다. 따라서, "원룸이므로 활동공간과 취침공간을 구분하지 않아도 된다."는 올바르지 않은 설계 방향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건축화조명에 관한 기술 중 옳지 않은 것은?

  1. 공사비, 유지비가 비싼 편이다.
  2. 발광면이 커서 빛의 확산을 기대할 수 있다.
  3. 조명능률이 높고 전력이 절약된다.
  4. 그림자가 부드러워 안정감을 준다.
(정답률: 38%)
  • "조명능률이 높고 전력이 절약된다."가 옳지 않은 것이며, 이유는 조명능률이 높을수록 전력 소비가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조명을 설계할 때는 조명 효율성과 전력 소비를 균형있게 고려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사람이 들을 수 있는 음의 주파수 범위는 최소∼최대 얼마인가?

  1. 60∼12,000Hz
  2. 40∼15,000Hz
  3. 30∼16,000Hz
  4. 20∼20,000Hz
(정답률: 28%)
  • 사람이 들을 수 있는 음의 주파수 범위는 20∼20,000Hz이다. 이는 인간의 청각기관인 이어가 인식할 수 있는 주파수 범위이기 때문이다. 이어는 고음과 저음을 구분하여 인식할 수 있는데, 20Hz 이하의 저음은 인식하지 못하고, 20,000Hz 이상의 고음도 인식하지 못한다. 따라서 사람이 들을 수 있는 음의 주파수 범위는 20∼20,000Hz로 제한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결로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결로는 봄철과 가을철에 발생하기 쉽다.
  2. 북향벽이나 천장에 결로가 발생하기 쉽다.
  3. 콘크리트 주택보다 목조주택이 결로현상이 많이 발생한다.
  4. 건조가 잘된 새로운 건축물에서 결로가 발생하기 쉽다.
(정답률: 27%)
  • 결로는 습기가 많은 환경에서 발생하는 곰팡이의 일종으로, 북향벽이나 천장은 일반적으로 태양광을 받지 못하고 습기가 많아 결로가 발생하기 쉬운 곳이다. 따라서 북향벽이나 천장에 결로가 발생하기 쉽다는 것이 옳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실내의 쾌적한 상대습도는 얼마인가?

  1. 20 ∼ 30%
  2. 40 ∼ 50%
  3. 50 ∼ 60%
  4. 60 ∼ 70%
(정답률: 63%)
  • 실내의 쾌적한 상대습도는 50 ~ 60%입니다. 이는 너무 건조하지도 습기가 많지도 않아서 인체의 편안한 활동과 호흡에 적합한 수치이기 때문입니다. 너무 건조하면 코와 목이 마르고, 피부가 갈라지며 호흡기 질환의 위험이 높아지고, 습기가 많으면 불쾌감이 높아지고 곰팡이와 같은 질병의 위험이 높아집니다. 따라서 쾌적한 실내 환경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50 ~ 60%의 적정 상대습도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자연환기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바람에 의한 환기
  2. 흡출식 환기
  3. 환기통 환기
  4. 후드환기
(정답률: 40%)
  • 흡출식 환기는 실내의 오염된 공기를 직접 밖으로 배출하는 방식으로, 자연환기와는 달리 바람이나 기계적인 도구를 사용하여 공기를 이동시키지 않습니다. 따라서 자연환기에 속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실내환경

21. 옻칠의 특성이라고 할 수 없는 것은?

  1. 온도와 습도가 있는 상태에서 잘 굳는다.
  2. 경화된 옻은 화학적으로 안정하므로 내산, 내구, 기밀, 수밀성이 크다.
  3. 내열성은 보통 페인트나 바니쉬에 비해서 우수하다.
  4. 공정이 간단하고 쉽다.
(정답률: 47%)
  • 옻칠은 공정이 간단하고 쉽기 때문에 특성이라고 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유리의 사용용도로 옳지 않은 것은?

  1. 강화유리는 내충격용이며, 절단 또는 가공할 수 없다.
  2. 복층유리는 방음, 단열효과가 크고 결로방지용으로 뛰어나다.
  3. 적외선 흡수유리는 온실이나 병원의 일광욕실 등에 이용된다.
  4. 망입유리는 방화, 방도용 등의 창유리로 쓰여 진다.
(정답률: 36%)
  • 적외선 흡수유리는 온실이나 병원의 일광욕실 등에 이용된다는 것이 옳지 않습니다. 적외선 흡수유리는 주로 자외선 차단이나 열차단 등의 목적으로 건물 창문이나 태양광 발전 시스템 등에 이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넓은 강당, 극장 등의 안벽에 사용하여 음향조절 효과를 낼 수 있는 재료는?

  1. 코펜하겐 리브(Copenhagen rib)
  2. 콜크판(Cork board)
  3. 합판
  4. 경질섬유판
(정답률: 68%)
  • 코펜하겐 리브는 곡면 형태로 구성되어 있어, 음파가 반사되는 각도를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음향조절 효과를 높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목재를 이음할 때 목재와 목재 사이에 끼워서 전단에 대한 저항 작용을 목적으로 한 철물은?

  1. 듀벨
  2. 클램프
  3. 꺽쇠
  4. 인서트
(정답률: 46%)
  • 듀벨은 목재와 목재 사이에 끼워서 전단에 대한 저항 작용을 목적으로 하는 철물입니다. 이는 목재를 이음할 때 목재와 목재 사이에 끼워서 강력한 결합력을 제공하며, 목재의 변형을 방지하고 강도를 높여주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다른 보기인 "클램프", "꺽쇠", "인서트"는 이와 같은 목적으로 사용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물체에 외력을 가하면 변형이 생기는데 외력을 제거하였을 때 원래의 상태로 되돌아오는 성질은?

  1. 탄성
  2. 소성
  3. 강도
  4. 응력도
(정답률: 68%)
  • 탄성은 외력이 가해졌을 때 물체가 일시적으로 변형되지만, 외력이 제거되면 원래의 상태로 되돌아오는 성질을 말합니다. 이는 물체 내부의 분자나 원자들이 외력에 의해 일시적으로 이동하다가, 외력이 제거되면 다시 원래의 위치로 돌아가는 것으로 설명됩니다. 따라서 탄성은 외력에 대한 반응으로 생기는 변형이 일시적이며, 외력이 제거되면 물체가 원래의 상태로 돌아오는 성질을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유리의 성질을 설명한 내용으로 옳은 것은?

  1. 모스 경도표에 의하면 경도가 6도 정도이다.
  2. 망입유리에서는 유리의 열팽창율과 같지 않은 금속을 사용해야 한다.
  3. 창유리의 강도는 인장강도를 말한다.
  4. 유리를 부분적으로 가열하여도 비틀림이 발생하지 않는다.
(정답률: 5%)
  • 정답은 "유리를 부분적으로 가열하여도 비틀림이 발생하지 않는다."입니다.

    유리는 비정질질체로서 분자가 규칙적으로 배열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결정성을 가지지 않습니다. 따라서 유리는 열팽창율이 매우 작고, 가열해도 비틀림이 발생하지 않습니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유리는 열에 강한 재료로 사용됩니다.

    반면에 "모스 경도표에 의하면 경도가 6도 정도이다."라는 내용은 유리의 경도에 대한 설명입니다. 모스 경도표는 물질의 경도를 측정하는데 사용되는 표준입니다. 유리는 경도가 6~7 정도로 매우 높은 편에 속합니다.

    "망입유리에서는 유리의 열팽창율과 같지 않은 금속을 사용해야 한다."라는 내용은 망입유리의 제조 방법에 대한 설명입니다. 망입유리는 두 개 이상의 유리를 녹여서 합치는 방식으로 제조됩니다. 이때, 각각의 유리의 열팽창율이 다르기 때문에 금속을 사용하여 유리를 합칩니다. 이는 유리의 열팽창에 따른 변형을 방지하기 위함입니다.

    마지막으로 "창유리의 강도는 인장강도를 말한다."라는 내용은 창유리의 강도에 대한 설명입니다. 창유리는 인장강도가 높은 재료로 제조되어 있습니다. 이는 창유리가 외부 충격에 강하고, 파손되기 어렵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목재의 성질에 관한 기술 중 옳지 못한 것은?

  1. 널결재는 곧은결재 보다 뒤틀림이 적다.
  2. 활엽수가 침엽수보다 대체로 비중이 크다.
  3. 강도는 섬유방향의 직각방향이 힘을 적게 받는다.
  4. 수분을 다량 흡수한 나무는 건조할 때보다 약하다.
(정답률: 31%)
  • 수분을 다량 흡수한 나무는 건조할 때보다 약하다는 것은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수분이 많은 나무는 건조할 때 내부에서 수분이 증발하면서 나무 구조물이 변형되고, 이로 인해 강도가 약해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수분이 적은 건조한 나무가 강도가 더 높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창호철물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경첩(hinge, butt)
  2. 돌쩌귀(hook and eye pivot)
  3. 지도리(pivot)
  4. 논슬립(non-slip)
(정답률: 42%)
  • 논슬립(non-slip)은 창호철물의 종류가 아닙니다. 이는 창문이나 문 등의 표면에 미끄러움 방지를 위해 적용되는 처리나 소재를 말합니다. 따라서 창호철물의 종류가 아닌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접착제의 조건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충분한 접착성과 유동성을 가질 것
  2. 피착물과 접착제와의 긴밀한 접착력이 있을 것
  3. 진동, 충격에 안정하고 내수, 내열, 내약품성, 속건성이 있을 것
  4. 수축, 팽창에 의한 내부응력이 있을 것
(정답률: 25%)
  • "수축, 팽창에 의한 내부응력이 있을 것"은 접착제의 조건으로 옳지 않은 것입니다. 이는 접착제가 사용되는 환경에서 온도나 습도 등의 변화에 따라 접착된 물체가 수축하거나 팽창할 때 내부응력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내부응력은 접착력을 약화시키거나 접착된 물체를 손상시킬 수 있으므로 접착제는 이에 대한 내구성을 가지고 있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합판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단판의 매수는 짝수 개를 원칙으로 한다.
  2. 합판을 구성하는 단판을 베니어라고 한다.
  3. 단판은 서로 직각되게 겹쳐 접착제로 붙인다.
  4. 합판은 신축변형이 적어 곡면가공도 가능하다.
(정답률: 49%)
  • "단판의 매수는 짝수 개를 원칙으로 한다."가 옳지 않은 것입니다. 이는 합판을 만들 때 사용하는 단판의 매수가 홀수 개일 경우, 합판의 중심이 단판의 중앙이 아닌 한쪽으로 치우쳐지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것입니다. 따라서 홀수 개의 단판을 사용하는 경우에도 합판을 만들 수 있지만, 이 경우에는 중심이 치우쳐질 가능성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실내건축재료

31. 아스팔트의 성질을 설명한 내용 중 옳지 않은 것은?

  1. 내산성, 내알카리성, 내구성이 있다.
  2. 방수성, 접착성, 전기절연성이 작다.
  3. 이산화탄소, 벤젠과 석유계 탄화수소의 용제에 잘 녹는다.
  4. 변질되지 않으나 열을 가하면 유동성이 많은 액체가 된다.
(정답률: 49%)
  • "방수성, 접착성, 전기절연성이 작다"는 옳지 않은 내용입니다. 아스팔트는 방수성이 높고 접착성도 뛰어나며 전기절연성도 있습니다. 따라서 이 세 가지 성질이 작다는 설명은 옳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목재의 강도 중 가장 큰 것은?

  1. 압축강도
  2. 인장강도
  3. 휨강도
  4. 전단강도
(정답률: 42%)
  • 목재는 인장력이 가장 강한 방향으로 강도가 결정되기 때문에, 목재의 강도 중 가장 큰 것은 인장강도입니다. 인장강도는 목재가 인장력에 대해 얼마나 견딜 수 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로, 목재의 내구성과 사용 가능한 범위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목재 유동성 방부제로서 무색이고, 방부력이 가장 우수 하며 그 위에 페인트칠을 할 수 있는 것은?

  1. 크레오소트(creosote)
  2. 콜타르(coaltar)
  3. 염화아연용액
  4. 펜타클로로페놀(penta-chloro phenol)
(정답률: 15%)
  • 펜타클로로페놀은 무색이면서도 방부력이 가장 우수한 방부제 중 하나입니다. 또한 이 물질은 페인트칠을 할 수 있어 목재 보호에 적합합니다. 다른 보기인 크레오소트와 콜타르는 색이 있어 페인트칠을 하기 어렵고, 염화아연용액은 방부력이 낮아 목재 보호에 적합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펜타클로로페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내수합판에 주로 쓰이는 접착제는?

  1. 카세인
  2. 페놀수지
  3. 멜라민수지
  4. 요소수지
(정답률: 28%)
  • 내수합판은 물에 젖어도 변형되지 않는 강한 내구성이 필요합니다. 이를 위해 내수합판에는 접착제로 페놀수지가 주로 사용됩니다. 페놀수지는 내열성과 내구성이 뛰어나며, 물에 젖어도 변형되지 않는 특성이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내수합판 제조에 적합한 접착제로 선택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미장에서 고결재가 수경성인 것은?

  1. 시멘트 모르타르
  2. 회반죽
  3. 흙반죽
  4. 섬유벽
(정답률: 25%)
  • 고결재는 수경성이어야 하기 때문에 물에 잠기더라도 빠르게 건조되는 재료여야 합니다. 이 중에서 시멘트 모르타르는 물에 잠겨도 빠르게 건조되는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고결재로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특수유리 중 바깥의 밝기에 따라 실내에 들어오는 빛을 조절해주며 커튼이 필요 없는 창문유리는?

  1. 색 유리
  2. 매직 유리
  3. 복층 유리
  4. 조광 유리
(정답률: 34%)
  • 조광 유리는 바깥의 밝기에 따라 자동으로 조절되는 스마트 유리로, 실내에 들어오는 빛을 조절해주기 때문에 커튼이 필요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이 문제의 답은 조광 유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인조석판을 만드는데 쓰이는 재료가 아닌 것은?

  1. 종석
  2. 시멘트
  3. 안료
  4. 자갈
(정답률: 32%)
  • 인조석판은 종석, 시멘트, 안료 등으로 만들어지는데 자갈은 인조석판을 만드는데 사용되지 않는 재료입니다. 자갈은 주로 콘크리트나 포장재 등에 사용되는 재료로, 인조석판과는 다른 용도와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합판단판인 베니어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로터리(rotary)
  2. 슬라이스드(sliced)
  3. 소드(sawed)
  4. 크레오소트(creosote)
(정답률: 26%)
  • 크레오소트는 합판단판의 종류가 아니라, 합판이나 나무를 보존하기 위해 사용되는 방부제의 하나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크레오소트(creosote)"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목재의 나이테에서 춘재를 옳게 설명한 것은?

  1. 세포막이 얇고 유연한 목질이며 봄과 여름에 성장한 부분
  2. 세포막이 두껍고 단단하며 가을과 겨울에 성장한 부분
  3. 세포막이 얇고 단단하며 봄에 성장한 부분
  4. 세포막이 두껍고 유연하며 가을에 성장한 부분
(정답률: 20%)
  • 춘재는 봄과 여름에 성장한 부분이기 때문에, 세포막이 얇고 유연한 목질이 맞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금속의 방식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다른 종류의 금속을 서로 잇대어 쓰지 않는다.
  2. 아스팔트, 코르타르를 칠한다.
  3. 금속표면을 화학적으로 방식처리 한다.
  4. 알루미늄 표면에 형성된 알루마이트를 제거한다.
(정답률: 15%)
  • 알루미늄 표면에 형성된 알루마이트는 금속의 부식을 방지하는 물질이므로 제거하면 금속의 부식이 더욱 심해질 수 있기 때문에 옳지 않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1. 도면 표현 중 치수의 단위로 맞는 것은?

  1. mm
  2. m
  3. 인치(inch)
(정답률: 50%)
  • 정답은 "mm"입니다. 이유는 대부분의 도면 표현에서 사용하는 단위가 mm이기 때문입니다. mm는 작은 단위이면서도 측정이 정확하며, 제조 공정에서 필요한 정밀도를 충족시키기에 적합합니다. 또한, 국제 표준 단위인 SI 단위체계에서도 mm가 길이의 기본 단위 중 하나이기 때문에 사용이 편리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제도 연필의 무르기로부터 굳기의 순서가 바르게 된 것은?

  1. HB - B - F - H - 2H
  2. B - HB - F - H - 2H
  3. B - F - HB - H - 2H
  4. HB - F - B - H - 2H
(정답률: 38%)
  • 제도 연필의 굳기는 연필의 연필심 내부에 들어있는 성분의 양과 종류에 따라 결정됩니다. 연필심 내부의 성분은 순서대로 HB, B, F, H, 2H 순으로 들어가며, 숫자가 작을수록 연필심 내부의 성분이 더 많이 들어있습니다. 따라서 연필심 내부의 성분이 많은 HB 연필부터 시작하여 성분이 적은 2H 연필까지 순서대로 굳어가는 것이 올바른 순서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B - HB - F - H - 2H"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1.5B 공간쌓기 벽돌벽 두께로 맞는 것은? (단, 표준형사용, 단열재-50mm)

  1. 330mm
  2. 320mm
  3. 310mm
  4. 290mm
(정답률: 16%)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철근이음의 겹침 길이는 압축부분일 경우 얼마인가?

  1. 25d 이상
  2. 30d 이상
  3. 40d 이상
  4. 45d 이상
(정답률: 22%)
  • 철근이음의 겹침 길이는 압축부분일 경우 25d 이상이어야 합니다. 이는 철근이음 부위에서의 인장력과 압축력이 균형을 이루기 위해서는 최소한 25배 이상의 겹침 길이가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이를 충족하지 않으면 철근이음 부위에서의 인장력이 압축력보다 우세해져서 철근이 끊어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안전성을 고려하여 25d 이상의 겹침 길이를 유지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창, 문에 사용하는 창호철물의 용도가 잘못된 것은?

  1. 미서기창, 오르내리창 - 크레센트
  2. 여닫이문 - 피봇힌지
  3. 자재문 - 자유경첩
  4. 접문 - 도어행거
(정답률: 21%)
  • 여닫이문에 피봇힌지를 사용하는 것은 용도에 맞지 않습니다. 피봇힌지는 회전축이 중심에 위치하여 문을 열고 닫을 때 일정한 각도로 회전하는 문에 사용됩니다. 하지만 여닫이문은 일반적으로 슬라이딩이나 접이식으로 열리는 문이기 때문에 피봇힌지를 사용하는 것은 부적절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석재 가공 시 잔다듬에 사용되는 공구는?

  1. 도두락망치
  2. 날망치
  3. 쇠메
(정답률: 24%)
  • 석재 가공 시에는 날카로운 모서리를 제거하고 부드러운 표면을 만들기 위해 잔다듬이 필요합니다. 이때 사용되는 공구는 날이 뾰족한 날망치입니다. 날망치는 석재를 부드럽게 다듬을 수 있도록 날이 뾰족하게 되어 있으며, 석재의 모양과 크기에 따라 다양한 크기와 모양의 날망치가 사용됩니다. 따라서 날망치가 석재 가공 시 잔다듬에 가장 적합한 공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휨, 전단, 비틀림 등에 대하여 역학적으로 유리하며, 특히 단면에 방향성이 없으므로 뼈대의 입체구성을 하는데 적합하고 공장, 체육관, 전시장 등의 건축물에 많이 사용 되는 구조는?

  1. 경량강구조
  2. 강관구조
  3. 철골구조
  4. 조립식구조
(정답률: 18%)
  • 강관구조는 휨, 전단, 비틀림 등에 대하여 역학적으로 유리하며, 단면에 방향성이 없어 뼈대의 입체구성을 하는데 적합합니다. 또한 강관은 경량이면서도 강도가 높아 공장, 체육관, 전시장 등의 건축물에 많이 사용됩니다. 따라서 강관구조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건축구조에서 상부 구조물의 하중을 지반에 전달하는 부재로서 건축물의 최하부 구조체인 것은?

  1. 기초
  2. 기둥
  3. 지붕
  4. 벽체
(정답률: 36%)
  • 기초는 건축물의 최하부에 위치하여 지반에 직접 닿아 있으며, 상부 구조물의 하중을 지반에 전달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기초는 건축물의 안정성과 견고성을 결정하는 매우 중요한 부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창호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여닫을 때 충격을 받으므로 튼튼하게 만들어야 한다.
  2. 뒤틀리지 않고 가벼워야 한다.
  3.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4. 창호는 구조재이므로 하중을 많이 받도록 한다.
(정답률: 40%)
  • 창호는 구조재이므로 하중을 많이 받도록 한다는 설명이 옳지 않습니다. 창호는 건물의 외부를 장식하거나, 통풍과 채광을 제공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구조적인 강도보다는 가벼움과 편리한 사용이 중요합니다. 따라서 창호는 뒤틀리지 않고 가벼워야 하며,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만들어져야 합니다. 또한 여닫을 때 충격을 받으므로 튼튼하게 만들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제도용구 중 여러 가지 곡선을 자유롭게 그리는데 사용하는 것은?

  1. 형판
  2. 운영자
  3. 자유곡선자
  4. 분도기
(정답률: 36%)
  • 형판은 이미 만들어진 고정된 모양을 사용하는 도구이고, 운영자는 시스템을 관리하는 사람을 뜻합니다. 반면에 자유곡선자는 여러 가지 곡선을 자유롭게 그리는데 사용하는 도구입니다. 따라서 자유롭게 곡선을 그리는 것이 가능하므로 "자유곡선자"가 정답입니다. 분도기는 각도를 재는데 사용하는 도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건축일반

51. 조적조 벽체 중 공간벽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1. 공간벽은 습기차단에 유리하다.
  2. 공기층에 의한 단열효과가 있다.
  3. 주로 내벽에 이용된다.
  4. 벽체에 공간을 두어서 이중으로 쌓는 벽이다.
(정답률: 36%)
  • 공간벽은 주로 외벽에 이용되며, 내벽에 이용되는 경우는 드뭅니다. 이는 외부의 기후 조건에 따라 외벽에서 습기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외벽에 공간벽을 이용하여 습기차단과 단열효과를 높이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절충식 지붕틀에서 지붕하중이 크고 간사이가 넓을 때에는 그 중간에 기둥을 세우고 그 위에 지붕보에 직각으로 대는 부재는?

  1. 박공보
  2. 기둥 윗잡이
  3. 베개보
  4. 깔도리
(정답률: 16%)
  • 절충식 지붕틀에서는 지붕하중이 크고 간사이가 넓을 때에는 중간에 기둥을 세우고 그 위에 지붕보에 직각으로 대는 부재를 설치합니다. 이 부재를 베개보라고 부르며, 기둥과 지붕보 사이에 놓이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베개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구체재료(뼈대재료)에 의한 분류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나무구조
  2. 습식구조
  3. 벽돌구조
  4. 철근콘크리트구조
(정답률: 36%)
  • 습식구조는 구체재료(뼈대재료)에 의한 분류에 속하지 않는 이유는, 습식구조는 건축물의 외벽에 방수층을 두지 않고 벽체 내부에 수증기가 통과할 수 있는 공간을 만들어 건축물 내부의 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구조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습식구조는 건축물의 내부환경을 유지하는 것과 관련된 것으로, 구체재료(뼈대재료)에 의한 분류와는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제도용지의 세로와 가로의 길이비로 옳은 것은?

  1. 1 : 1
  2. 1 : √2
  3. 1 : √3
  4. 1 : √4
(정답률: 45%)
  • 제도용지의 크기는 A0부터 A10까지 있으며, 각각의 크기는 가로와 세로의 길이비가 1 : √2입니다. 이는 A0 용지를 절반으로 나누면 A1이 되는데, 이 때 가로와 세로의 길이비가 1 : √2로 유지됩니다. 이와 같이 A1을 절반으로 나누면 A2가 되며, 이 때도 가로와 세로의 길이비가 1 : √2로 유지됩니다. 이러한 방식으로 A10까지 계속해서 나누어 나가면, 모든 제도용지의 가로와 세로의 길이비가 1 : √2로 유지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1 : √2"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H형강의 웨브를 절단하여 6각형 구멍이 줄지어 생기도록 용접하여 춤을 높인 것으로 고층 건축물에 널리 쓰이는 것은?

  1. 허니콤보
  2. 플레이트보
  3. 트러스보
  4. 래티스보
(정답률: 19%)
  • 허니콤보는 H형강을 6각형 구멍이 줄지어 생기도록 절단하여 용접한 구조물로, 이 구조물은 경량화와 강도 증가 효과가 있어 고층 건축물에서 많이 사용됩니다. 따라서 다른 보기인 플레이트보, 트러스보, 래티스보와는 구조와 용도가 다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습식구조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철근콘크리트구조
  2. 돌구조
  3. 철골구조
  4. 블록구조
(정답률: 33%)
  • 습식구조는 건축물 내부에 수분이 많이 존재하는 구조를 말합니다. 따라서 철골구조는 습식구조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철골구조는 철골과 강철로 이루어져 있으며, 건축물 내부에 수분이 많이 존재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반자틀과 반자틀의 맞춤으로 옳은 것은?

  1. 장부맞춤
  2. 반턱맞춤
  3. 걸침턱맞춤
  4. 통맞춤
(정답률: 27%)
  • 반자틀은 양쪽 어깨가 비슷한 높이에 위치하고, 양쪽 소매 길이가 같은 옷입니다. 이 때, 반턱맞춤은 양쪽 어깨와 소매 길이가 맞춰져 있어서 옷이 깔끔하게 입혀지는 맞춤법입니다. 따라서, 반자틀과 반자틀의 맞춤으로 옳은 것은 "반턱맞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선의 종류에 따른 용도로 옳지 않은 것은?

  1. 굵은실선 - 대상물의 보이는 부분의 겉모양을 표시할 때 사용
  2. 파선 - 대상물의 보이지 않는 부분의 모양을 표시할 때 사용
  3. 파단선 - 긴 기둥, 벽 등을 도중에서 자를 때 사용
  4. 2점쇄선 - 물체의 중심을 나타낼 때 사용
(정답률: 39%)
  • 2점쇄선은 물체의 중심을 나타내는 것이 아니라, 물체의 대칭축을 나타내는 용도로 사용됩니다. 따라서 "2점쇄선 - 물체의 중심을 나타낼 때 사용"는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각 실내의 입면을 그려 벽면의 형상, 치수, 끝마감 등을 나타내는 도면은?

  1. 평면도
  2. 입면도
  3. 실내투시도
  4. 전개도
(정답률: 8%)
  • 각 실내의 입면을 그려 벽면의 형상, 치수, 끝마감 등을 나타내는 도면은 전개도입니다. 전개도는 입면을 평면으로 펼쳐 그리는 것으로, 입면의 형상과 치수를 정확하게 나타낼 수 있습니다. 또한, 전개도는 각 벽면의 끝마감재나 재료 등을 표시하여 시공 단계에서 필요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지반이 연약하거나 기초판의 넓이가 아주 넓어야 할 때 사용되는 기초는?

  1. 독립기초
  2. 줄기초
  3. 온통기초
  4. 복합기초
(정답률: 20%)
  • 온통기초는 지반이 연약하거나 기초판의 넓이가 아주 넓어야 할 때 사용되는 기초입니다. 이는 지반의 하중을 분산시켜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 사용됩니다. 따라서 온통기초는 지반의 전체 면적에 걸쳐 일정한 두께로 콘크리트를 부어 만든 기초로, 지반의 하중을 균등하게 분산시키는 효과가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