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경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6-09-10)

조경산업기사
(2006-09-10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조경계획 및 설계

1. K. Lynch가 설명한 조경계획의 개념도 유형이 아닌 것은?

  1. 토지이용계획
  2. 동선계획
  3. 시각적 형태
  4. 시설물 계획
(정답률: 60%)
  • 시설물 계획은 K. Lynch가 제시한 조경계획의 개념도 유형이 아닙니다. 이유는 K. Lynch가 제시한 개념도 유형은 토지이용계획, 동선계획, 시각적 형태로 구성되어 있으며, 시설물 계획은 이들과는 별개의 개념입니다. 시설물 계획은 조경디자인에서 필요한 시설물의 위치, 크기, 형태, 재료 등을 결정하는 계획으로, 조경계획의 일부분으로 포함될 수는 있지만, 개념적으로는 다른 영역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중국 청조(淸朝)의 건융(乾隆) 12년(1747년)에 대분천(大噴泉)을 중심으로 한 프랑스식 정원을 꾸밈으로써 동양에서는 최초의 서양식 정원으로 알려진 곳은?

  1. 원명원 이궁
  2. 만수산 이궁
  3. 열하 이궁
  4. 소주의 명원
(정답률: 86%)
  • 중국 청조 12년에 프랑스식 정원을 꾸밈으로써 동양에서는 최초의 서양식 정원으로 알려진 곳은 "원명원 이궁"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다음 조경공간의 색채 설명 중 틀린 것은?

  1. 녹음속에 둘러 싸인 빨간 지붕이 더 한층 선명히 보인다.
  2. 노랑과 검정을 이용하면 강하고 명쾌한 느낌을 준다.
  3. 고채도의 색은 후퇴 수축해 보인다.
  4. 공장 주위는 저채도의 녹색계의 조경재료를 이용하면 괴로감을 줄이게 된다.
(정답률: 80%)
  • "고채도의 색은 후퇴 수축해 보인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실제로는 고채도의 색은 전진 확대해 보이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는 색채의 선명도와 밝기가 높아서 시선을 끌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다음 조경계획 과정의 설명 중 틀린 것은?

  1. 계획과정에서 feed back은 보다 훌륭한 계획을 위해 반복한다.
  2. 계획과정은 토지이용의 예정이나 경관 구성의 시간적, 공간적 골격을 구성하는 단계이다.
  3. 부지의 조사는 부지 내부와 외부주변 관계도 조사한다.
  4. 조경계획은 조경가의 의견만을 전적으로 반영시켜야 한다.
(정답률: 55%)
  • "조경계획은 조경가의 의견만을 전적으로 반영시켜야 한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조경계획은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의 의견을 수렴하고, 그에 따라 적절한 조치를 취해야 합니다. 따라서 조경가의 의견만을 따르는 것은 부적절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연간 이용자수가 50,000명, 최대일율(最大日率)이 1/50, 회전율이 1/10, 시설의 이용율이 20%, 1인당 시설의 단위 규모가 10m2일 때 시설의 규모는?

  1. 20m2
  2. 200m2
  3. 1,000m2
  4. 2,000m2
(정답률: 43%)
  • 시설의 규모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시설의 규모 = 연간 이용자수 × 최대일율 × 회전율 × 1인당 시설의 단위 규모 ÷ 이용율

    여기에 주어진 값들을 대입하면,

    시설의 규모 = 50,000 × 1/50 × 1/10 × 10 ÷ 20% = 200m2

    따라서, 정답은 "200m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물체의 보이지 않는 곳의 형상을 나타내는 선은?

  1. 일점쇄선
  2. 이점쇄선
  3. 실선
  4. 은선
(정답률: 42%)
  • 은선은 물체의 외곽선이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선으로, 실제로는 존재하지 않는 가상의 선이다. 따라서 보이지 않는 곳의 형상을 나타내는 데에 적합하다. 일점쇄선과 이점쇄선은 물체의 입체적인 형태를 나타내는 데에 사용되며, 실선은 물체의 실제 경계를 나타내는 데에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보양체재(保養滯在)를 위한 자리를 마련하고 일상생활에서 일정거리 이상 떨어진 자연 환경속에 위치되며, 정신적 육체적 스트레스 회복과 건강 회복 증진을 목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은?

  1. 리조트 조경
  2. 자연공원 조경
  3. 서비스 조경
  4. 근린공원 조경
(정답률: 65%)
  • 리조트 조경은 보양체재를 위한 자리를 마련하고 일상생활에서 일정거리 이상 떨어진 자연 환경속에 위치되며, 정신적 육체적 스트레스 회복과 건강 회복 증진을 목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이와 다른 목적을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Altman은 인간의 영역을 주로 사회적 단위의 측면에서 구분하였는데 다음 중 그 영역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1 차적 영역
  2. 2 차적 영역
  3. 3 차적 영역
  4. 공적 영역
(정답률: 69%)
  • Altman은 인간의 영역을 주로 사회적 단위의 측면에서 구분하였는데, "1 차적 영역"은 개인의 가장 가까운 사적인 영역, "2 차적 영역"은 가족, 친구, 동료 등의 소규모 사회적 관계가 형성되는 영역, "공적 영역"은 법, 제도, 규범 등이 존재하는 공공적인 영역이다. 따라서 "3 차적 영역"은 Altman이 제시한 인간의 영역 중에 해당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모가 난 형상과 둥글게 감겨있는 형상 중 둥글게 감겨있는 형상에서 느낄 수 있는 감각은?

  1. 예민감
  2. 우아함
  3. 거치름
  4. 강인함
(정답률: 87%)
  • 둥글게 감겨있는 형상은 우아하고 부드러운 느낌을 주기 때문에, 이 중에서 느낄 수 있는 감각은 "우아함"입니다. 예민감은 섬세하고 민감한 느낌, 거치름은 거칠고 날카로운 느낌, 강인함은 강하고 힘 있는 느낌을 나타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다음 중 놀이벽의 설치시 고려해야 할 사항으로 틀린 것은?

  1. 어린이의 다양한 놀이형태에 적합한 높이ㆍ두께ㆍ구멍 크기를 유지해야 한다.
  2. 두께는 20~40cm, 평균높이는 0.6~1.2m로 하여 높이에 변화를 주되, 기어오르고 내리기 쉬운 기울기로 설계한다.
  3. 놀이벽을 연결하여 미로시설을 설치할 수 없다.
  4. 놀이벽 주변에는 다른 시설을 배치하지 말고, 주변 바닥은 모래 등 완충재료로 설계한다.
(정답률: 85%)
  • 놀이벽을 연결하여 미로시설을 설치할 수 없다는 것은 틀린 내용이다. 따라서 이것이 정답이다. 놀이벽을 연결하여 미로시설을 설치할 수 있으며, 이는 어린이들의 창의성과 상상력을 자극하는 놀이공간으로 활용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주거단지 내 가로망 패턴 중 격자형 패턴의 특징은?

  1. 동선간의 운선순위가 명확하여 접근고의 혼동이 적다.
  2. 통과 교통이 적어져서 안정성이 확보된다.
  3. 동선이 길어질 수 있는 단점이 있다.
  4. 토지이용상 가장 효율적이나 지형의 변화가 심한 곳에서는 급구배가 발생하기 쉽다.
(정답률: 67%)
  • 격자형 패턴은 동선간의 운선순위가 명확하여 접근고의 혼동이 적고, 통과 교통이 적어져서 안정성이 확보되지만, 토지이용상 가장 효율적이나 지형의 변화가 심한 곳에서는 급구배가 발생하기 쉽다는 단점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다음 도면의 도시(圖示)에 해당되는 것은?

  1. 대칭 균형
  2. 비대칭 균형
  3. 비대칭 불균형
  4. 대칭 불균형
(정답률: 72%)
  • 정답은 "비대칭 균형"입니다.

    도시의 왼쪽과 오른쪽에 위치한 건물들의 높이가 다르기 때문에 대칭 균형이 아닙니다. 하지만 왼쪽과 오른쪽에 위치한 건물들의 수는 같으며, 전체적으로는 균형을 이루고 있기 때문에 비대칭 균형입니다. "비대칭 불균형"은 균형이 아닌 상태를 의미하며, "대칭 불균형"은 대칭이 아니면서 균형이 아닌 상태를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근린공원의 기능 설정은 자연 - 인간 - 사회의 연계성에서 출발하게 되는데 이 중 사회적 기능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1. 휴식
  2. 집회
  3. 지역의 상징
  4. 역사의 반영
(정답률: 83%)
  • 근린공원은 자연과 인간, 그리고 사회의 연계성을 강화하기 위한 공간으로 설정되는데, 이 중에서 "휴식"은 사회적 기능에 포함되지 않는다. 이는 휴식은 개인적인 욕구를 충족시키는 것으로서, 근린공원이 사회적인 기능을 수행하는 것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근린공원은 주로 지역의 상징성, 역사의 반영, 그리고 집회 등의 사회적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실시설계 단계에서 행하여야 할 내용 중 틀린 것은?

  1. 세부 디자인을 결정하여야 한다.
  2. 크기, 구조, 표면의 끝맺음 공법 등을 정확히 결정해야 한다.
  3. 시방서를 작성하여야 한다.
  4. 시공비의 개략적인 산출을 하여야 한다.
(정답률: 54%)
  • 시공비의 개략적인 산출은 실시설계 단계에서 하지 않는 것이 올바릅니다. 이는 시공비를 산출하는 것은 시공 계약 단계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시공비의 개략적인 산출을 하여야 한다."가 틀린 내용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다음 케빈 린치가 주장한 경관구성 요소 중 패스(path)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도로와 철도
  2. 방향성과 연속성
  3. 기점과 종점
  4. 운하 및 장벽
(정답률: 69%)
  • 케빈 린치는 도시 경관을 구성하는 요소 중 하나로 패스(path)를 언급하였다. 패스는 도시 공간에서 이동 경로를 의미하며, 도로와 철도, 방향성과 연속성, 기점과 종점 등이 포함된다. 따라서, "운하 및 장벽"은 패스와 관련이 없는 요소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도시공원 및 녹지 등에 관한 법률에서 생활권 공원의 분류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묘지공원
  2. 소공원
  3. 어린이공원
  4. 근린공원
(정답률: 72%)
  • 묘지공원은 생활권 공원의 분류에 해당되지 않는다. 이는 묘지공원이 주로 묘지를 위한 공간으로, 생활권 공원의 목적과는 다르기 때문이다. 생활권 공원은 주민들의 휴식과 문화생활을 위한 공간으로 분류되며, 묘지공원은 그와는 목적이 다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공중정원으로 유명한 고대의 계획 도시는?

  1. 기자
  2. 카훈
  3. 바빌론
  4. 테베
(정답률: 85%)
  • 바빌론은 고대 메소포타미아 지방에 위치한 도시로, 그 중에서도 가장 유명한 특징은 공중정원이다. 바빌론의 왕 네부쿠라드네자르가 지은 이 공중정원은 높이 25m에 달하는 건물 위에 만들어져 있으며, 다양한 식물들이 심어져 있어서 매우 아름다운 풍경을 자아낸다. 이러한 공중정원은 세계 7대 기적 중 하나로 꼽히기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다음 중 근린공원 및 체육공원에 설치하는 골프연습장은 얼마의 공원면적 당 1개소씩 설치할 수 있는가?

  1. 5만제곱미터
  2. 10만제곱미터
  3. 15만제곱미터
  4. 20만제곱미터
(정답률: 72%)
  • 골프연습장은 일반적으로 1개소를 설치하기 위해 약 1,000~1,500제곱미터의 면적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10만제곱미터의 공원면적에는 약 66~100개의 골프연습장을 설치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10만제곱미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다음 중 개략 토양도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개략 토양도는 1:25,000 축척으로 제작된다.
  2. 개략 토양도는 광범위한 지역에 대한 개발계획에 활용된다.
  3. 간이 산림토양도는 1:25,000 축척으로 제작된다.
  4. 간이 삼림 토양도는 토양의 잠재 생산능력급수를 1급부터 5급까지 나누어 표시한다.
(정답률: 39%)
  • "간이 산림토양도는 1:25,000 축척으로 제작된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개략 토양도는 광범위한 지역에 대한 개발계획에 활용되며, 1:25,000 축척으로 제작됩니다. 간이 산림토양도도 1:25,000 축척으로 제작되지만, 토양의 잠재 생산능력급수를 1급부터 8급까지 나누어 표시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다음 중 초등학교와 결합되어 설계되어 질 수 있는 공원은?

  1. 근린공원
  2. 지구공원
  3. 종합공원
  4. 유아공원
(정답률: 70%)
  • 정답은 "근린공원"입니다. 근린공원은 지역 주민들이 쉽게 이용할 수 있는 공원으로, 초등학생들도 쉽게 접근하여 놀이와 운동을 즐길 수 있습니다. 따라서 초등학교와 결합하여 설계되어 질 수 있는 공원으로 적합합니다. 지구공원은 대규모 생태계 보전을 목적으로 설계되어 있고, 종합공원은 다양한 시설과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공원입니다. 유아공원은 유아들이 놀이와 학습을 할 수 있는 공원으로, 초등학생들보다는 유아들을 위해 설계되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조경식재

21. 잔디의 전면붙이기로 뗏장을 맞붙일 때, 뗏장 1장의 규격이 45cm×30cm라면, 1,000장으로 조성할 수 있는 뗏장의 평수는?

  1. 약 40평
  2. 약 60평
  3. 약 80평
  4. 약 100평
(정답률: 40%)
  • 먼저 1장의 뗏장 평수는 0.135㎡(=0.45m × 0.3m)이다. 따라서 1,000장으로 만들 수 있는 뗏장의 평수는 135㎡이다. 이를 평으로 환산하면 약 40평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초화류 식재시 자연토양에서 생육 최소 토심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약 20cm 내외
  2. 약 30cm 내외
  3. 약 40cm 내외
  4. 약 60cm 내외
(정답률: 72%)
  • 초화류는 뿌리가 얕고 흙을 빨리 건조하게 해서 수분 보충이 필요하다. 따라서 생육 최소 토심은 얇은 토양이어야 하며, 뿌리가 빠르게 퍼지도록 토양이 부드러워야 한다. 따라서 약 30cm 내외가 가장 적합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다음 중 자동차 배기가스에 특히 약한 수종으로만 짝지어진 것은?

  1. 소나무, 은행나무
  2. 히말라야시디, 은목서
  3. 왜금송, 태산목
  4. 녹나무, 피나무
(정답률: 42%)
  • 자동차 배기가스에 특히 약한 수종으로는 히말라야시디와 은목서가 있다. 이는 이 두 수종이 다른 나무들에 비해 더 많은 이산화탄소를 흡수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두 수종은 환경 보호를 위해 식재나 조성에 적합한 나무 종류로 평가받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흰꽃이 피는 나무로서 일년 중 가장 늦게 피는 나무는?

  1. Rhododendron schlippenbachii for. albirlorum T.Lee
  2. Spiraea prunifoiia var. simplicifiora Nak.
  3. Ligustrum obtusifolium S. et Z
  4. Gardenia jasminoldes for. grandiflora Mak.
(정답률: 34%)
  • 정답은 "Gardenia jasminoldes for. grandiflora Mak." 이다. 이유는 Gardenia jasminoldes for. grandiflora Mak.가 흰 꽃이 피는 나무 중 가장 늦게 피는 나무 중 하나이기 때문이다. 다른 보기들은 이와 관련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소나무과 소나무속의 식물 중 한속(束, Bundle)에 5개의 잎이 속생(束生)하는 것이 아닌 것은?

  1. 잣나무
  2. 섬짓나무
  3. 스트로브잣나무
  4. 리기다소나무
(정답률: 60%)
  • 리기다소나무는 소나무속의 식물 중 한속에 5개의 잎이 속생하는 것이 아니라 2개의 잎이 속생하는 것이기 때문에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수고 4.5m 정도의 수목을 식재한 후 설치하는 지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당김줄형
  2. 삼각형
  3. 이각형
  4. 삼발이
(정답률: 39%)
  • 수목을 식재한 후 설치하는 지주는 수목의 안정성과 성장을 위해 적절한 간격과 방향으로 식재해야 합니다. 이때 가장 적합한 지주는 삼각형 형태입니다. 삼각형 형태로 식재하면 각 수목 사이의 거리가 균등하게 유지되며, 수목들이 서로 경쟁하지 않고 자연스럽게 성장할 수 있습니다. 또한 삼각형 형태는 안정성이 높아 바람이나 폭우 등의 자연재해에도 수목들이 서로 지탱해주는 효과가 있습니다. 따라서 삼각형 형태가 가장 적합한 지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다음 중 오랜 경험을 통해 그 일반적인 경향을 통하여 내음성을 판단하는 방법과 관계가 먼 것은?

  1. 최저 수광율(relative light minimum)의 조사
  2. 자연 전지(全紙)의 정도와 고사의 속도
  3. 수고 생장속도의 차이
  4. 토양 견밀도에 따른 조사
(정답률: 63%)
  • 토양 견밀도에 따른 조사는 내음성과는 관계가 먼 것이다. 내음성은 식물의 향기와 관련된 것이므로, 토양의 물리적 특성인 견밀도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다. 따라서, 다른 보기들은 내음성을 판단하는데 더 적합한 방법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다음 수종 중 굴취시 규격표시 방법이 H×R로 표시되는 것은?

  1. Ailanthus altissima Swingle
  2. Metasequoia glyptostroboides Hu et Cheng
  3. Acer palmatum Thunb.
  4. Betula platyphyila var. japonica Hara
(정답률: 36%)
  • H×R로 표시되는 굴취시 규격표시 방법은 "Acer palmatum Thunb."입니다. 이는 단풍나무의 한 종류로, 잎이 손바닥 모양으로 분홍색, 노란색, 빨간색 등 다양한 색상으로 물들어 아름다운 모습을 보입니다. 또한, 이 종은 잘 자라는 나무로서 정원에서 많이 심어지며, 가지치기를 통해 다양한 모양으로 가꾸어질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가로막이 식재의 기능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경계의 표시
  2. 눈가림
  3. 진입방지
  4. 침식방지
(정답률: 70%)
  • 가로막이 식재의 기능 중에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침식방지"입니다. 이는 가로막이 식재가 물이나 바람에 의해 침식되는 것을 방지하여 지형의 안정성을 유지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경계의 표시, 눈가림, 진입방지는 모두 가로막이 식재의 기능 중에서 가까운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수식 A=24+(N-3)×d는 무엇을 산출하기 위한 공식인가? (단, N:근원직경, d:상수로서 일반적으로 4)

  1. 식재 구덩이의 크기
  2. 뿌리분 직경
  3. 뿌리분의 중량
  4. 흉고직경 산출식
(정답률: 39%)
  • 이 공식은 나무의 뿌리분의 중량을 구하기 위한 공식이다. N은 근원직경을 의미하며, d는 상수로서 일반적으로 4로 설정된다. 따라서 A는 뿌리분의 중량을 나타낸다. 따라서 정답은 "뿌리분 직경"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생물 서식처(habitat)의 설명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잠재 자연 식생이 발생하는 장소
  2. 한 군집과 다른 군집의 경계 장소
  3. 생물이 살고 있는 곳 또는 생물이 발견되는 장소
  4. 군집에서 생물의 기능적 역할(영양적 위치)을 수행하는 장소
(정답률: 65%)
  • 생물 서식처(habitat)는 생물이 살고 있는 곳 또는 생물이 발견되는 장소를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다음 그림의 기호에 대한 용어와 단위가 틀린 것은?

  1. A : 수고 (H, m)
  2. D : 흉고직경(B, cm)
  3. E : 근원경 (R, cm)
  4. F : 수관폭(W, m)
(정답률: 63%)
  • 단위가 틀린 것은 "F : 수관폭(W, m)" 이다. 수관폭은 일반적으로 미터(m)가 아닌 센티미터(cm) 단위로 표기된다.

    정답이 "A : 수고 (H, m)" 인 이유는 수고는 높이를 나타내는 용어이며, 단위는 미터(m)이기 때문이다. H는 높이를 나타내는 변수이며, m은 미터를 나타내는 단위이다. 또한, m은 분수 형태로 표기되어 있으며, 이는 소수점으로 나타낼 수 있는 미터 단위를 정확하게 나타내기 위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홍만선의 산림경제에 기술된 각종 나무와 꽃의 재배법에 나타난 식재원칙이 아닌 것은?

  1. 가목 가까이는 심근성 수종이나 큰 나무를 식재하지 않고 작은 꽃을 가꾼다.
  2. 서북쪽에는 큰 나무를 심고 동남쪽에는 큰 나무를 심지 않는다.
  3. 마당 한가운데를 피하고 마당가의 담장쪽에 심는다.
  4. 다층구조식재로 작은 숲을 형성한다.
(정답률: 39%)
  • 다층구조식재로 작은 숲을 형성한다. - 이는 식재원칙 중 하나로, 작은 나무와 큰 나무, 그리고 지상층과 지하층 식물들을 조화롭게 배치하여 작은 숲을 형성하는 것을 말한다. 따라서 이것은 올바른 식재원칙이다.

    따라서 정답은 "가목 가까이는 심근성 수종이나 큰 나무를 식재하지 않고 작은 꽃을 가꾼다."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주거지역과 공업지역 사이의 공해방지를 위한 완충녹지, 계획부지 주변의 소음방지식재, 공중에 떠 있는 분진의 흡착제거를 위한 식재는?

  1. 풍치림식재
  2. 환경보전식재
  3. 동선조절식재
  4. 차폐식재
(정답률: 50%)
  • 환경보전식재는 주로 환경보전을 위해 식재되는 나무나 식물로, 대기오염, 소음, 지표면 침식 등을 방지하고 생태계를 유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주거지역과 공업지역 사이의 공해방지를 위한 완충녹지, 계획부지 주변의 소음방지식재, 공중에 떠 있는 분진의 흡착제거를 위한 식재 등에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다음 장미류의 학명 중 찔레나무 학명은?

  1. Rosa rugosa
  2. Rosa hybrida
  3. Rosa xanthina
  4. Rosa multiflora
(정답률: 43%)
  • 찔레나무는 Rosa multiflora로 불리며, 다른 보기들은 다른 장미의 학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우리나라 골프장 퍼팅그린(putting green)에 활용할 수 있는 잔디 종류는?

  1. Bent grass
  2. Fescue
  3. Kentucky Blue grass
  4. Zoysia Japonica
(정답률: 65%)
  • 우리나라 골프장 퍼팅그린에는 Bent grass가 가장 많이 사용됩니다. 이는 Bent grass가 매우 짧은 잔디로, 골프공이 잘 굴러가고 빠른 속도로 움직일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Bent grass는 높은 저항력과 내구성을 가지고 있어, 많은 인팅과 트래픽에도 강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조경식물의 명명법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속명은 항상 소문자로 시작한다.
  2. 학명은 우리나라에서만 사용된다.
  3. 속명과 종명은 이탤릭체로 표기한다.
  4. 보통명과 구분되지 않는다.
(정답률: 72%)
  • 속명과 종명은 과학적인 명명법에 따라 지어진 학명이기 때문에, 이탤릭체로 표기하여 일반적인 명칭과 구분해줍니다. 이는 다른 언어에서도 마찬가지로 적용되는 국제적인 규칙입니다. 속명은 항상 소문자로 시작하며, 학명은 국제적으로 사용되기 때문에 우리나라에서만 사용되는 것은 아닙니다. 보통명은 일반적인 이름이며, 과학적인 명명법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다음 중 학명의 종명이 원산지를 한국으로 표현하고 있지 않는 것은?

  1. 잣나무
  2. 노각나무
  3. 후피향나무
  4. 개나리
(정답률: 29%)
  • 정답은 "후피향나무"입니다. 다른 종들은 학명에 원산지가 포함되어 있지만, 후피향나무는 학명에서 원산지가 언급되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수목의 뿌리 분포를 가정(假定)하는 가장 적당한 기준은?

  1. 수관(樹冠)의 확장 정도(擴張 程度)
  2. 수고(樹高)
  3. 분지수(分枝數)
  4. 수간(樹幹)의 굵기
(정답률: 65%)
  • 수목의 뿌리는 수관(樹冠)의 확장 정도(擴張 程度)에 따라 결정되기 때문에, 이것이 가장 적당한 기준이다. 수관이 넓을수록 뿌리도 넓게 퍼지며, 수관이 좁을수록 뿌리도 좁게 퍼진다. 따라서 수목의 뿌리 분포를 가늠하기 위해서는 수관의 확장 정도를 고려하는 것이 가장 적절하다. 수고, 분지수, 수간의 굵기는 뿌리 분포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적기 때문에 이들은 뿌리 분포를 가늠하는 기준으로는 적합하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다음 중 차폐식재에 해당되는 항목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정형식재
  2. 유도식재
  3. 기능식재
  4. 자연풍경식재
(정답률: 72%)
  • 기능식재는 건축물의 기능적인 요구에 따라 설치되는 식재로, 예를 들어 차량 소음을 차단하기 위한 소음차단벽이나 고속도로 방음벽 등이 해당된다. 따라서 차폐식재에 해당되는 항목은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조경시공

41. 다음 토양수분의 보수성에 대한 설명 중 표면장력에 의해 수분이 이동하며, 식물에 가장 잘 이용되는 수분은?

  1. 중력수
  2. 모관수
  3. 수화수
  4. 흡습수
(정답률: 67%)
  • 모관수는 토양 내부에서 표면장력에 의해 수분이 이동하며, 식물에 가장 잘 이용되는 수분입니다. 이는 모관이라는 작은 통로를 통해 뿌리에서 잡아들인 물이 상승하면서 식물 전체에 공급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모관수가 다른 보수성에 비해 높은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다음 네트워크 공정표와 관련된 내용 중 틀린 것은?

  1. 작업을 나타내며 시간과 자원을 필요로 하는 부분을 Activity(작업, 활동)라고 한다.
  2. 작업의 종료, 개시 또는 작업과 작업간의 연결점을 Event(결합점)라 한다.
  3. 작업의 상호관계만을 나타내는 실선 화살선으로 작업이나 시간의 요소를 Dummy(더미)라 한다.
  4. 최초작업의 개시에서 최종작업의 완료에 이르는 경로 중 소요일수가 가장 긴 경로를 Critical Path(주공정선)이라고 한다.
(정답률: 67%)
  • "작업의 상호관계만을 나타내는 실선 화살선으로 작업이나 시간의 요소를 Dummy(더미)라 한다." 이 내용이 틀린 것이다. Dummy(더미)는 작업의 상호관계를 나타내는 가상의 작업으로, 실제로는 작업이 이루어지지 않지만 네트워크 공정표에서 작업간의 관계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따라서 Dummy(더미)는 실선 화살선으로 표시되지만, 작업이나 시간의 요소를 나타내는 것은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식재용 객토를 리어카로 운반하려 한다. 운반거리는 150m이며 6%의 경사로이다. 계산상의 운반거리는? (단, 6% 경사시 환산계수(a)는 1.43이다.)

  1. 151.43m
  2. 157.43m
  3. 156m
  4. 214.5m
(정답률: 65%)
  • 경사로가 있는 경우 실제 거리와 계산상 거리가 다르기 때문에 환산계수를 사용해야 한다. 이 문제에서는 환산계수가 주어졌으므로 계산에 사용하면 된다.

    먼저 실제 거리를 구해보자. 150m의 거리에서 6%의 경사로를 오르면 수직 이동 거리는 150m x 0.06 = 9m이 된다. 이 때, 실제 이동 거리는 피타고라스의 정리를 이용해 구할 수 있다.

    √(150² + 9²) ≈ 151.43m

    하지만 이것은 계산상 거리이므로, 환산계수를 곱해 실제 운반 거리를 구해야 한다.

    151.43m x 1.43 ≈ 214.5m

    따라서 정답은 "214.5m"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Kutter공식 또는 Manning 공식을 활용하여 구할 수 있는 것은?

  1. 평균유속(平均流速)
  2. 도수관경(道水管經)
  3. 도수관장(道水管長)
  4. 평균유량(平均流量)
(정답률: 63%)
  • Kutter공식 또는 Manning 공식은 수로 흐름의 속도를 구하는 공식이다. 이를 통해 구할 수 있는 것은 평균유속이다. 평균유속은 단위 시간당 흐르는 물의 양을 도수관경과 도수관장으로 나눈 값으로, 수로의 유속을 나타내는 중요한 지표이다. 따라서, 정답은 "평균유속(平均流速)"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등고선의 성질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경사가 급한 곳보다 경사가 완만한 곳이 간격이 넓다.
  2. 등경사지의 등고선 간격은 등간격이다.
  3. 높이가 다른 등고선은 절대로 교차되거나 합쳐지지 않는다.
  4. 최대 경사의 방향은 등고선에 수직한 방향이다.
(정답률: 57%)
  • "높이가 다른 등고선은 절대로 교차되거나 합쳐지지 않는다."라는 설명이 틀린 것이다. 실제로는 높이가 다른 등고선은 교차하거나 합쳐질 수 있다. 이는 지형의 형태에 따라 달라지며, 예를 들어 봉우리나 계곡 등의 지형에서는 등고선이 교차하거나 합쳐질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인공폭포나 인공동굴의 재료로 많이 쓰이는 것은?

  1. FRP(Fiber reinforced plastic)
  2. Red wood
  3. STS(Stainless steel)
  4. PE(Polyethylene)
(정답률: 65%)
  • FRP는 강화된 섬유로 만들어진 플라스틱으로, 경량이면서도 강도가 높아 인공폭포나 인공동굴 등의 구조물에 많이 사용됩니다. 또한 내식성이 좋아서 오랫동안 사용해도 부식되지 않는 장점이 있습니다. 따라서 인공폭포나 인공동굴의 재료로 많이 쓰이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다음 그림과 같은 단면의 줄기초가 100m이다. 터파기한 후의 흙량은? (단, 토량변화율 L=1.3, C=0.9 이다.)

  1. 77m3
  2. 90m3
  3. 130m3
  4. 520m3
(정답률: 50%)
  • 토량변화율 L=1.3, C=0.9 이므로, 터파기 전의 토의 부피는 100m x 100m x 1.3 = 13,000m3 이다. 터파기 후의 토의 부피는 100m x 100m x 0.9 = 9,000m3 이다. 따라서, 터파기한 후의 흙량은 13,000m3 - 9,000m3 = 4,000m3 이다. 이를 m3에서 m3/1000으로 변환하면 4,000m3 = 4,000,000L 이다. 따라서, 정답은 "130m3"이 아니라 "4,000,000L"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기업의 유지를 위한 관리활동부문에서 발생하는 제비용으로서 제조원가에 속하지 아니하는 모든 영업비용 중 판매비 등을 제외한 비용으로 기업손익계산서를 기준으로 산정하는 것은?

  1. 재료비
  2. 이윤
  3. 경비
  4. 일반관리비
(정답률: 67%)
  • 기업의 유지를 위한 관리활동부문에서 발생하는 제비용으로서 판매비를 제외한 모든 비용을 일반관리비라고 합니다. 이는 기업의 경영활동을 지원하는 인력, 시설, 운송, 통신 등의 비용을 포함하며, 기업의 경영성과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는 않지만 기업의 지속가능성을 유지하기 위해 필수적인 비용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일반관리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재료가 많이 소요되며, 4m 정도까지로 비교적 낮은 옹벽에 많이 쓰이는 가장 단순한 옹벽은?

  1. 캔틸레버 옹벽
  2. 부축벽 옹벽
  3. 중력식 옹벽
  4. 역T형 옹벽
(정답률: 65%)
  • 중력식 옹벽은 재료가 적게 소요되며, 비교적 낮은 옹벽에 많이 쓰이는 가장 단순한 옹벽입니다. 이는 옹벽의 안쪽에 쌓인 돌이나 흙의 무게로 인해 옹벽이 안정되는 원리를 이용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중력식 옹벽이 가장 단순하고 경제적인 옹벽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다음 중 우수유출량의 산정식(Q=ㆍCㆍIㆍA)에서 I는 강우강도, A는 배수면적 일 때 C가 의미하는 것은?

  1. 유달시간
  2. 강우속도
  3. 강우량
  4. 유출계수
(정답률: 74%)
  • C는 유출계수를 의미한다. 유출계수는 강우가 발생했을 때 지표면에서 유출되는 비율을 나타내는 값으로, 지표면의 특성에 따라 다르게 결정된다. 따라서 C는 지표면의 특성을 나타내는 값으로, 우수유출량을 산정하는 식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감독자가 공사의 일시중지를 지시할 수 있는 경우가 아닌 것은?

  1. 준공까지 공사기한에 여유가 있을 경우
  2. 시공자가 설계서 대로 시공하지 않을 경우
  3. 공사 종사원의 안전에 영향을 미치게 될 경우
  4. 시공자의 시공방법이 미숙하여 조잡한 공사가 우려될 경우
(정답률: 77%)
  • "준공까지 공사기한에 여유가 있을 경우"는 공사가 완료될 시간이 충분하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감독자가 일시중지를 지시할 필요가 없습니다. 다른 보기들은 공사의 진행에 문제가 있거나 안전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감독자가 일시중지를 지시할 수 있는 경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단순보에 등분포하중이 작용할 때 보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A점의 반력은 이다.
  2. 최대 전단력은 보의 중앙 지점에서 이다.
  3. 최대굽휨모멘트는 보의 중앙 지점에서 이다.
  4. 단순보를 철근콘크리트로 만든다고 할 때 보단면 하단에 설치하는 것이 적합하다.
(정답률: 46%)
  • 단순보에 등분포하중이 작용할 때 보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단순보를 철근콘크리트로 만든다고 할 때 보난면 하단에 설치하는 것이 적합하다."입니다. 이는 오히려 보의 상부에 철근콘크리트를 설치하는 것이 더 적합합니다. 이유는 보의 하부에 설치하면 하중이 전달되는 경로가 보의 상부로 이동하면서 굽힘모멘트가 증가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보의 상부에 철근콘크리트를 설치하여 하중이 전달되는 경로를 최소화하고 굽힘모멘트를 최소화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최대 전단력은 보의 중앙 지점에서 발생하는 이유는, 전단력은 하중이 가해지는 위치에서 최대값을 가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보의 중앙 지점에서 하중이 가해지므로 최대 전단력이 발생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도막이 견고하고, 내후성과 내수성이 좋고, 착색이 선명하고, 성분은 안료+바니쉬이며, 옥내외 목재와 금속면에 사용이 가능한 도료는?

  1. 수성페인트
  2. 에나멜페인트
  3. 유성페인트
  4. 에멀션페인트
(정답률: 62%)
  • 에나멜페인트는 도막이 견고하고 내후성과 내수성이 좋으며, 착색이 선명하고 성분이 안료와 바니쉬로 구성되어 있어 내외부 목재와 금속면에 사용이 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시멘트 쌓는 단수를 10포대로 할 때, 200m2의 창고에 저장할 수 있는 시멘트양은?

  1. 2,000포
  2. 2,500포
  3. 5,000포
  4. 7,500포
(정답률: 36%)
  • 10포대로 시멘트를 쌓을 때, 1포당 약 20m2의 면적을 차지한다고 가정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200m2의 창고에는 200 ÷ 20 = 10포대의 시멘트를 쌓을 수 있습니다.

    그리고 문제에서는 "시멘트 쌓는 단수를 10포대로 할 때"라고 명시되어 있으므로, 1포당 시멘트양이 몇인지는 중요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10포대의 시멘트를 쌓을 수 있는 창고에 저장할 수 있는 시멘트양은 10포대 × 1,000포당 500포 = 5,000포가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5,000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토사의 절취 후 운반 작업거리가 60m 이하일 때 가장 합리적으로 사용할 수 잇는 건설기계 장비는?

  1. 불도저
  2. 백호우
  3. 로우더
  4. 그레이더
(정답률: 60%)
  • 토사의 절취 후 운반 작업거리가 60m 이하일 때 가장 합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건설기계 장비는 불도저입니다. 이는 불도저가 토사를 쉽게 움직일 수 있고, 작업장에서 토사를 적재하고 운반하는 능력이 뛰어나기 때문입니다. 또한, 불도저는 작업장에서 토사를 정리하고 평탄화하는 데에도 유용하게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배수 지역이 방대해서 하수를 한 곳으로 모으기 곤란할 경우에 이용하는 배수 계통은?

  1. 직각식(直角式)
  2. 차집식(遮集式)
  3. 선형식(扇形式)
  4. 방사식(放射式)
(정답률: 69%)
  • 방사식 배수 계통은 하수를 한 지점에서 중심 방향으로 여러 개의 도로와 같은 배수로를 만들어 하수를 모으는 방식입니다. 이 방식은 배수 지역이 넓고 복잡한 경우에 유용하며, 하수를 한 곳으로 모으기 어려운 지형에서도 효과적으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1:3:6 콘크리트의 타설에는 시멘트 220kg, 모래 0.47m3, 자갈 0.94m3의 재료가 소요된다. 시멘트 1포대의 가격이 2,400원이라면 소요되는 시멘트 가격은? (단, 시멘트 1포의 무게는 40kg으로 한다.)

  1. 10,560원
  2. 13,200원
  3. 264,000원
  4. 528,000원
(정답률: 57%)
  • 시멘트 1포대의 무게는 40kg이므로, 220kg의 시멘트가 필요하면 220 ÷ 40 = 5.5 포가 필요하다. 따라서 시멘트 비용은 5.5 × 2,400원 = 13,200원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다음 중 철근콘크리트의 부착강도가 큰 경우가 아닌 것은?

  1. 피복두께가 클수록 부착강도는 크다.
  2. 인장철근이 압축철근보다 부착강도가 크다.
  3. 철근의 주장이 클수록 부착강도는 크다.
  4. 녹슨 이형철근이 원형철근보다 부착강도가 크다.
(정답률: 27%)
  • 정답은 "녹슨 이형철근이 원형철근보다 부착강도가 크다."입니다.

    인장철근이 압축철근보다 부착강도가 큰 이유는 인장철근이 더 많은 인장력을 견딜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인장력이 큰 부분에서는 인장철근을 사용하여 부착강도를 높일 수 있습니다.

    피복두께가 클수록 부착강도는 크다는 것은 철근의 표면적이 더 많아져서 부착력이 증가하기 때문입니다.

    철근의 주장이 클수록 부착강도는 크다는 것은 철근의 강도가 높을수록 부착력이 증가하기 때문입니다.

    녹슨 이형철근이 원형철근보다 부착강도가 크다는 것은 녹슨 이형철근의 표면이 거칠어져서 부착력이 증가하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녹슨 철근은 강도가 감소하므로 사용에 주의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다음 중 콘크리트의 시공연도에 가장 적게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1. 시멘트의 양
  2. 시멘트의 종류
  3. 단위수량
  4. 물시벤트비
(정답률: 93%)
  • 시멘트의 종류는 콘크리트의 강도와 경도에 영향을 미치지만, 시공연도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시공연도는 시멘트의 양, 단위수량, 물시멘트비 등과 같은 요인에 영향을 받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시멘트의 종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다음 중 평판측량에 사용되지 않는 것은?

  1. 함자
  2. 엘리데이드
  3. 다림추
  4. 구심기
(정답률: 60%)
  • "함자"는 평판측량에 사용되지 않습니다. "엘리데이드", "다림추", "구심기"는 모두 평판측량에 사용되는 도구나 방법입니다. 하지만 "함자"는 일반적으로 나무를 깎거나 다듬을 때 사용하는 도구로, 평판측량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조경관리

61. 다음 곤충의 변태과정 중 완전변태에 관한 내용으로 맞는 것은?

  1. 알→애벌레→번데기→성충
  2. 후기발생의 형식에서 전변태, 점변태, 신변태 등으로 구별한다.
  3. 알→애벌레→성충
  4. 땅강아지목, 바퀴목, 잠자리목, 매미목 등에서 볼 수 있다.
(정답률: 71%)
  • 정답은 "알→애벌레→번데기→성충" 이다. 완전변태는 알에서부터 시작하여 애벌레, 번데기, 성충으로 발달하는 과정을 말한다. 이 과정에서 각 단계마다 외모와 행동이 크게 변화하며, 번데기 단계에서는 특히 큰 변화가 일어나기 때문에 이를 중심으로 완전변태를 구분하기도 한다. 후기발생의 형식에서는 전변태, 점변태, 신변태 등으로 구별되며, 각각의 곤충 종류마다 발생하는 형태가 다르다. 땅강아지목, 바퀴목, 잠자리목, 매미목 등에서도 완전변태를 볼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일반적으로 레크리에이션 수용능력에는 3 가지 기본적인 구성 요소가 있는데, 이것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관리목표
  2. 이용자 태도 및 선호도
  3. 주민참여
  4. 물리적 자원에의 영향
(정답률: 50%)
  • 주민참여는 레크리에이션 수용능력의 구성 요소가 아닙니다. 레크리에이션 수용능력은 관리목표, 이용자 태도 및 선호도, 물리적 자원에의 영향으로 구성됩니다. 주민참여는 레크리에이션 활동을 계획하고 운영하는 과정에서 주민들의 의견을 수렴하고 참여를 유도하는 것으로, 레크리에이션 수용능력의 구성 요소는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다음 중 병원체의 주요 전반(傳搬)방법이 틀린 것은?

  1. 밤나무줄기마름병균 : 바람
  2. 대추나무빗자루병균 : 토양
  3. 잣나무털녹병균 : 묘목
  4. 묘목의 입고병균 : 물, 토양
(정답률: 47%)
  • 대추나무빗자루병균은 토양을 통해 전파되는 것이 아니라, 바람에 의해 전파됩니다. 따라서 "대추나무빗자루병균 : 토양"이 틀린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그 해에 자란 가지에서 꽃눈이 분화하여 그 해에 개화하는 수종들로 옳은 것은?

  1. 배롱나무, 무궁화
  2. 치자, 동백
  3. 매화, 수국
  4. 철쭉, 목련
(정답률: 54%)
  • 배롱나무와 무궁화는 그 해에 자란 가지에서 꽃눈이 분화하여 개화하는 수종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딱정벌레목으로 가을이 되면 성충은 무리를 이루어 특정한 장소로 이동해 겨울을 지내며, 유ㆍ성충시에 진딧물이나 깍지 벌레를 잡아먹는 익충은?

  1. 풀잠자리
  2. 무당벌레
  3. 딱정벌레
  4. 맵시벌류
(정답률: 69%)
  • 무당벌레는 딱정벌레목의 한 종류로, 가을에는 성충이 특정한 장소로 이동해 겨울을 지내며, 익충은 진딧물이나 깍지 벌레를 잡아먹습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정답은 "무당벌레"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겨울철 수간이 동결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상열(frost crack)현상에 대한 설명으로 맞는 것은?

  1. 수목의 횡축(수평)방향으로 갈라진다.
  2. 주로 그 해에 자란 어린가지에서 발생된다.
  3. 수목의 남서쪽 방향이 더 심하다.
  4. 활엽수보다는 침엽수에서 더 자주 관찰된다.
(정답률: 42%)
  • 겨울철 수간이 동결하는 과정에서 수목의 조직 내부에서 물이 얼어서 부피가 증가하면서 수목의 피부가 갈라지는 현상을 상열이라고 합니다. 이러한 상열은 수목의 횡축(수평)방향으로 갈라지며, 주로 그 해에 자란 어린가지에서 발생됩니다. 또한, 수목의 남서쪽 방향이 더 심한 이유는, 남서쪽 방향은 일출 후 가장 먼저 태양광을 받아서 빠르게 녹아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활엽수보다는 침엽수에서 더 자주 관찰되는 현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뿌리돌림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안전한 활착을 위하여 대형목이나 귀중한 나무 등에 적용된다.
  2. 뿌리돌림을 하는 분은 이식할 당시의 뿌리분 보다 약간 작게 한다.
  3. 1년 중 적합한 시기는 6~8월에 수분이 충분한 시기가 적기이다.
  4. 대형목인 경우 반드시 지주목을 설치한다.
(정답률: 35%)
  • "1년 중 적합한 시기는 6~8월에 수분이 충분한 시기가 적기이다."가 틀린 설명이다. 실제로 뿌리돌림은 나무가 휴면기에 들어가기 전인 봄이나 가을에 하는 것이 좋다. 봄에는 신장을 위해, 가을에는 겨울을 잘 견디기 위해 뿌리돌림을 하는 것이 적합하다. 따라서 "1년 중 적합한 시기는 6~8월에 수분이 충분한 시기가 적기이다."라는 설명은 틀린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종자, 비료 그리고 흙을 혼합하여 네트(Net)에 넣고, 비탈면의 수평으로 판 골속에 넣어 붙이는 공법은?

  1. 식생구멍공
  2. 식생판공
  3. 식성자루공
  4. 식생매트(mat)공
(정답률: 67%)
  • 이 공법은 "식성자루공"이라고 불리는데, 이는 종자, 비료, 흙을 혼합하여 식물이 자라기에 적합한 환경을 만들어주는 "자루"를 만들어 사용하기 때문입니다. 이 자루를 비탈면의 수평으로 판 골속에 넣어 붙이는 방식으로 식물을 심는 것입니다. 따라서 "식성자루공"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다음 중 응애류(mite)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잎의 즙액을 빨아 먹는다.
  2. 침엽수에도 피해를 준다.
  3. 천적으로 바구미, 사슴벌레 등이 있다.
  4. 피해를 받으면 잎이 황갈색으로 변하며, 수세가 약해 진다.
(정답률: 75%)
  • "잎의 즙액을 빨아 먹는다."는 응애류의 특징 중 하나이지만, 틀린 설명은 아닙니다. 따라서 정답은 없습니다.

    응애류는 식물의 잎, 줄기, 꽃 등에서 즙액을 빨아먹는 작은 곤충입니다. 이로 인해 식물의 성장이 저해되고, 잎이 황갈색으로 변하며 수세가 약해집니다. 이러한 응애류를 퇴치하기 위해 천적으로 바구미, 사슴벌레 등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콘크리트면에 균열이 생겼을 때 보수하기 위한 재료로 거리가 먼 것은?

  1. 시멘트 페이스트
  2. 퍼티
  3. 코킹제
  4. 오일 프라이머
(정답률: 77%)
  • 오일 프라이머는 콘크리트면에 균열이 생겼을 때 보수하기 위한 재료 중에서 거리가 먼 것이다. 이는 오일 프라이머가 콘크리트면에 부착력이 강하고, 물에 저항력이 높아서 균열을 막아주기 때문이다. 반면에 시멘트 페이스트, 퍼티, 코킹제는 균열을 메우는 역할을 하지만 부착력이나 물에 저항력이 낮아서 오랜 시간이 지나면 균열이 다시 생길 수 있다. 따라서 오일 프라이머는 콘크리트면 보수에 가장 적합한 재료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다음 중 한치형 잔디류가 아닌 것은?

  1. 블루그래스류
  2. 벤트그래스류
  3. 훼스큐류
  4. 버뮤다그래스류
(정답률: 60%)
  • 버뮤다그래스류는 식물학적으로는 이삭류에 속하며, 다른 세 종은 잔디류에 속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다음 안전사고 중 설계 또는 설치상 하자에 해당되는 것은?

  1. 벤치에 못이 삐져나와 이용자의 몸에 상처가 났다.
  2. 계단 모서리가 마모되어 통행자가 미끄러져 다쳤다.
  3. 흔들거리던 안내판이 쓰러져 통행인의 이마가 찢어졌다.
  4. 조합놀이대 위의 나간 간격이 넓어 그 사이로 어린이가 떨어졌다.
(정답률: 48%)
  • 조합놀이대 위의 나간 간격이 넓어 그 사이로 어린이가 떨어진 것은 설계상 하자에 해당된다. 설계상 하자란 제품이나 시설물의 설계 단계에서 발생한 결함으로, 설계 단계에서 충분한 검토나 시험을 거치지 않거나, 적절한 기준이나 규정을 준수하지 않아 발생하는 결함을 말한다. 이 경우, 조합놀이대의 설계 단계에서 나간 간격이 넓어져 어린이가 떨어지는 사고가 발생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흉고직경 15cm의 벗나무 500주와 23cm의 은행나무 400주를 인력으로 관수하고자 한다. 다음 표의 조건을 참조할 때 4명의 보통인부가 관수를 끝내기 위한 소요일수는?

  1. 5일
  2. 11일
  3. 22일
  4. 44일
(정답률: 50%)
  • 흉고직경 15cm의 벗나무 1주당 물을 1일에 2L씩 주어야 하므로, 500주를 관수하기 위해서는 500 x 2L = 1000L의 물이 필요하다.
    23cm의 은행나무 1주당 물을 1일에 3L씩 주어야 하므로, 400주를 관수하기 위해서는 400 x 3L = 1200L의 물이 필요하다.
    따라서 총 필요한 물의 양은 1000L + 1200L = 2200L이다.
    4명의 보통인부가 1일에 관수할 수 있는 물의 양은 200L이므로, 2200L을 관수하기 위해서는 2200L ÷ 200L = 11일이 소요된다.
    따라서 정답은 "11일"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법면 피복용 식물재료가 갖추어야 할 조건 중 틀린 것은?

  1. 척박지에도 잘 견디는 것
  2. 뿌리가 흙입자를 잘 얽어 매는 것
  3. 그 지역 환경인자에 잘 어울리는 것
  4. 입수하기 어려워도 가격이 비싼 외국수종일 것
(정답률: 80%)
  • 입수하기 어려워도 가격이 비싼 외국수종일 것은 올바른 조건이 아닙니다. 법면 피복용 식물재료는 그 지역의 환경에 적합하고, 척박지에도 잘 견디며, 뿌리가 흙입자를 잘 얽어 매는 것이 중요합니다. 따라서, 지역적으로 적합하고 입수가 용이한 식물재료를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다음 중 잔디깎기에 관한 주의사항으로 틀린 것은?

  1. 키가 큰 상태의 잔디는 처음에는 낮게 깎아 맹아력을 높이고, 서서히 깎는 높이를 높인다.
  2. 아침에 이슬로 잔디 토양에 습기가 많을 때는 잔디깎기를 하지 않는다.
  3. 잔디를 깎는 빈도와 깎는 높이는 규칙적이어야 한다.
  4. 잔디를 깎아낸 부스러기는 제거하도록 한다.
(정답률: 60%)
  • "키가 큰 상태의 잔디는 처음에는 낮게 깎아 맹아력을 높이고, 서서히 깎는 높이를 높인다."가 틀린 것이다. 실제로는 잔디를 처음부터 높게 깎아야 한다. 이유는 잔디를 너무 낮게 깎으면 뿌리가 노출되어 건조해지고, 더 이상 자라지 않는 경우가 생길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처음부터 높게 깎아서 뿌리가 충분히 보호되도록 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보도블록포장 보수시 노반층 위에 부설하는 모래의 일반적인 두께는?

  1. 1~2cm
  2. 3~4cm
  3. 5~6cm
  4. 7~8cm
(정답률: 47%)
  • 보도블록포장 보수시 노반층 위에 부설하는 모래는 보통 압축성이 높은 모래를 사용하며, 이 모래를 3~4cm 두께로 부설하는 이유는 충분한 안정성과 평탄성을 확보하기 위해서입니다. 너무 얇으면 보도블록이 불안정해지고, 너무 두껍게 부설하면 보도블록이 높아져서 보행에 불편함을 줄 수 있습니다. 따라서 3~4cm가 적절한 두께로 여겨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비탈면의 시생회복을 도도하는 경우, 식생공법만으로는 식물의 도입이 곤란한 곳에서 식물의 생육에 적당한 생육 기반을 정리하고 개선하기 위하여 설치하는 공작물 중 토층의 안전을 위한 공법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배수공법
  2. 구절공법
  3. 비탈철사망덮기
  4. 비탈격자블록붙이기
(정답률: 39%)
  • 구절공법은 비탈면의 시생회복을 돕기 위해 설치하는 공작물 중 토층의 안전을 위한 공법에 해당되지 않습니다. 구절공법은 비탈면의 경사를 일정하게 유지하고, 토양이 침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하는 공작물입니다. 따라서, 토층의 안전을 위한 공법이 아닌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사방에서 감상할 수 있도록 정원의 중심부에 마련되는 화단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기식화단
  2. 노단화단
  3. 화문화단
  4. 경재화단
(정답률: 43%)
  • 기식화단은 사방에서 모두 감상할 수 있는 형태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정원의 중심부에 마련하는 화단으로 가장 적합합니다. 또한, 기식화단은 다양한 식물을 함께 심을 수 있어서 화려하고 다채로운 풍경을 만들어줍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다음 전정을 할 때 우선적으로 잘라 버려서는 안 되는 나무 가지는?

  1. 역지(逆枝)
  2. 대생지(對生枝)
  3. 차지(車枝)
  4. 측지(側枝)
(정답률: 48%)
  • 측지(側枝)는 나무의 주요 가지가 아니라 보조적인 가지이기 때문에 잘라 버리면 나무의 성장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적습니다. 반면에 역지(逆枝), 대생지(對生枝), 차지(車枝)는 나무의 주요 가지이므로 잘라 버리면 나무의 성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다음 전정과 관련한 내용 중 틀린 것은?

  1. 상록침엽수의 전정은 일반적으로 동절기를 피하여 10~11월에 시행한다.
  2. 낙엽활엽수의 전정은 발아한 잎이 굳어지는 시기 및 꽃이 피기 시작하는 이듬해 3~6월에 시행한다.
  3. 상록활엽수의 전정은 생장 정지시기인 5~6월, 9~10월에 시행한다.
  4. 수국, 매실, 복숭아, 개나리 등 봄에 개화하며 신장한 가지에 5월 중순 ~ 9월경 화아가 분화하는 종류의 전정은 낙과직후에 시행한다.
(정답률: 32%)
  • "낙엽활엽수의 전정은 발아한 잎이 굳어지는 시기 및 꽃이 피기 시작하는 이듬해 3~6월에 시행한다."가 틀린 것이 아니라 옳은 것입니다. 이유는 낙엽활엽수는 봄에 신장하며 꽃이 피는 종류의 나무이기 때문에, 전정 시기도 봄에 맞추어 시행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