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경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7-03-04)

조경산업기사
(2007-03-04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조경계획 및 설계

1. 전통정원에는 차경(借景)이라고 해서 외부의 아름다운 경관을주택의 거실이나 안방 창문 너머로 바라볼 수 있도록 배려한 경우들이 많은데, 이는 경관형성의 우세 원칙 가운데 어떤 원칙을 적용한 것인가?

  1. 대비효과
  2. 연속효과
  3. 집중효과
  4. 조형(組型)효과
(정답률: 98%)
  • 조형(組型)효과는 여러 요소들을 조합하여 하나의 조형체를 만들어내는 것으로, 전통정원에서는 외부 경관과 실내 공간을 하나의 조형체로 조합하여 아름다운 경관을 감상할 수 있도록 배려한 것이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정답은 "조형(組型)효과"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K.Lynch의 도시 이미지(image)분석 항목 중 기점과 종점, 연속성, 방향성 등으로 그 성격을 대신할 수 있는 것은?

  1. 도로(path)
  2. 지구(district)
  3. 결절점(node)
  4. 랜드마크(land mark)
(정답률: 알수없음)
  • 도로는 도시 이미지에서 기점과 종점을 가지며, 연속성과 방향성을 나타내는 요소이기 때문에 이 성격들을 대신할 수 있습니다. 지구는 특정 지역을 대표하는 개념이므로, 모든 도시 이미지에 적용되지 않습니다. 결절점은 도로와 연결되는 지점을 의미하므로, 도로와 함께 사용될 수는 있지만, 도로의 성격을 대신할 수는 없습니다. 랜드마크는 도시 이미지에서 특정 지점을 대표하는 요소이므로, 도로의 성격을 대신할 수는 없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도로(path)"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지형은 몇 가지 방법에 의해 옥외공간을 형성하고 한정 지을 수 있다. 지형으로써 공간 지각에 영향을 주는 3가지 변수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공간의 바닥면
  2. 위요하는 사면의 경사 정도
  3. 수평 및 외형선
  4. 광선 및 음영
(정답률: 80%)
  • 지형으로써 공간 지각에 영향을 주는 변수는 공간의 바닥면, 필요한 사면의 경사 정도, 수평 및 외형선이다. 이들은 지형의 높이, 경사, 모양 등이 공간 지각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들이다. 반면에 광선 및 음영은 지형의 형성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으며, 지형이 형성된 후에는 자연스럽게 발생하는 현상이다. 따라서 광선 및 음영은 지형으로써 공간 지각에 영향을 주는 변수에 해당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기본계획안에 포함되는 토지이용계획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토지가 지닌 본래의 잠재력이 기본적 고려사항이다.
  2. 토지이용의 종류는 항상 일정하다.
  3. 한 지역은 한 가지의 용도에만 적합하다.
  4. 이용행위의 기능적 특성은 토지이용과는 관계가 없다.
(정답률: 80%)
  • "토지가 지닌 본래의 잠재력이 기본적 고려사항이다."는 토지이용계획을 수립할 때, 해당 지역의 토지가 가지고 있는 잠재력을 고려하여 최적의 이용 방안을 찾는 것이 중요하다는 의미입니다. 이는 토지의 지형, 지질, 기후, 수문 등의 자연환경적인 특성과 함께 인간의 생활환경, 경제적 요구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토지의 최적 이용 방안을 수립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다음 중 이용 후 평가(post occupancy evaluation)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기존 환경의 개선 및 새로운 환경의 창조를 위한 자료를 제공한다.
  2. 이용자의 만족도를 제시한다.
  3. 설계 과정을 일방향적 흐름으로부터 순환과정으로 바꾸었다.
  4. 시공 직후에 평가를 수행한다.
(정답률: 69%)
  • 시공 직후에 평가를 수행한다는 설명이 틀립니다. 이용 후 평가는 건물 또는 시설물을 일정 기간 이용한 후에 평가를 수행합니다. 이는 이용자의 실제 경험을 바탕으로 건물 또는 시설물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개선할 수 있는 자료를 제공하기 위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마리나(marina)의 입지조건으로 적당하지 않은 것은?

  1. 공기가 맑고 경관이 수려한 곳
  2. 해상의 기상 변화가 다양한 곳
  3. 대도시로부터 교통거리 1~2시간 이내인 곳
  4. 일반 황로로부터 격리되어 붐비지 않는 곳
(정답률: 40%)
  • 해상의 기상 변화가 다양한 곳은 마리나 운영에 있어서 안전성을 보장하기 어려운 조건이기 때문에 적당하지 않은 조건이다. 바람, 파도, 조류 등의 기상 조건이 예측하기 어렵기 때문에 마리나 운영에 있어서는 안전성을 최우선으로 고려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자연공원법에서 분류하여 정의된 공원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국립공원(國立公園)
  2. 도립공원(道立公園)
  3. 시립공원(市立公園)
  4. 군립공원(郡立公園)
(정답률: 70%)
  • 시립공원은 자연공원법에서 분류하여 정의된 공원의 종류가 아니며, 시의 예산으로 운영되는 공원으로서 법적인 근거가 없기 때문입니다. 국립공원은 국가가 지정하고 관리하는 공원, 도립공원은 지방자치단체가 지정하고 관리하는 공원, 군립공원은 군이 지정하고 관리하는 공원으로 자연공원법에서 분류하여 정의된 공원의 종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조경계획의 접근방법 중 어떤 레크리에이션 활동에의 과거 참가사례가 앞으로의 레크리에이션 기회를 결정하도록 계획하는 S.Gold의 접근방법은?

  1. 자원접근방법
  2. 활동접근방법
  3. 경제접근방법
  4. 행태접근방법
(정답률: 알수없음)
  • S.Gold의 접근방법은 "활동접근방법"이다. 이는 과거 참가사례를 통해 개인이 선호하는 레크리에이션 활동을 파악하고, 이를 기반으로 앞으로의 레크리에이션 기회를 결정하는 방법이다. 따라서 개인의 레크리에이션 활동에 집중하는 것이 특징이며, 자원, 경제, 행태 등 다른 요소들보다는 개인의 선호도를 우선시하는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최대시의 이용자 수가 2000명, 주차장 이용률이 90%, 차량 1대당 수용인원 수는 20명, 1대당 주차면적은 40m2라면 주차장의 면적은?

  1. 1600m2
  2. 2400m2
  3. 3600m2
  4. 4000m2
(정답률: 알수없음)
  • 주차장 이용률이 90%이므로, 최대시의 이용자 수인 2000명 중 10%인 200명은 주차장을 이용하지 않을 것이다. 따라서 주차장에 주차할 차량 수는 1800대이다.

    차량 1대당 수용인원 수가 20명이므로, 주차장에 수용 가능한 인원 수는 1800대 x 20명/대 = 36,000명이다.

    1대당 주차면적이 40m2이므로, 1800대가 주차할 때 필요한 주차면적은 1800대 x 40m2/대 = 72,000m2이다.

    따라서, 주차장의 면적은 72,000m2 / 90% = 80,000m2이다. 이 중에서 주차면적이므로, 정답은 80,000m2 중 72,000m2인 3600m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1850년에서 1900년 사이 일어난 소정원 운동을 주도한 대표적 인물은?

  1. 루우돈(John Charles Loudon)
  2. 베리(Sir Charles Barry)
  3. 로빈슨(William Robinson)과 재킬여사(Gertrude Jeckyll)
  4. 로렌스 헬프린(Lorence Helprin)
(정답률: 77%)
  • 로빈슨과 재킬여사는 소정원 운동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 이들은 자연스러운 식물 배치와 조화로운 색상 조합을 강조하며, 정원을 자연의 일부로서 취급하는 새로운 접근법을 제시했습니다. 이로 인해 소정원 운동은 현대 정원 디자인의 기반이 되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항공사진이 기초가 되어 현장조사를 통해 토양분석을 목적으로 만들어진 정밀토양도(情密土壤圖)의 축적은?

  1. 1:5000
  2. 1:10000
  3. 1:25000
  4. 1:50000
(정답률: 75%)
  • 항공사진은 고도에서 촬영되기 때문에 지면의 세부적인 정보를 파악하기 어렵습니다. 따라서 항공사진을 기초로 하여 만들어진 정밀토양도는 보다 정확한 지형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현장조사를 통해 보완되어야 합니다. 이에 따라 정밀토양도의 축적은 항공사진의 해상도와 현장조사의 정밀도를 고려하여 결정됩니다. 일반적으로 1:25000 축적의 정밀토양도가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며, 이는 항공사진의 해상도와 현장조사의 정밀도를 균형있게 고려한 결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먼셀 표색계로 표시한 G8/1과 5/1의 차이는?

  1. 색상과 채도는 같지만 명도가 다르다.
  2. 색상과 명도는 같지만 채도가 다르다.
  3. 명도와 채도는 같지만 색상은 다르다.
  4. 전자는 광선, 후자는 물감의 색채를 말한다.
(정답률: 55%)
  • 먼셀 표색계는 색상, 채도, 명도 세 가지 요소로 색을 표현합니다. G8/1과 5/1은 색상과 채도가 같지만 명도가 다릅니다. 이는 G8/1이 더 밝은 색이고, 5/1이 더 어두운 색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먼셀 표색계에서는 G8/1과 5/1을 같은 색상과 채도를 가진 다른 명도의 색으로 구분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G. Eckbo(1978)는 새로운 정원 형태를 4가지로 분류하였는데 다음 중 4가지 형태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기하학적ㆍ구조적 정원(geometric-structural garden)
  2. 기하학적ㆍ자연적 정원(geometric-natural garden)
  3. 자연적ㆍ구조적 정원(natural-structural garden)
  4. 정형식 정원(formal garden)
(정답률: 60%)
  • 정형식 정원은 자연적인 요소를 배제하고 기하학적인 형태와 구조를 중시하는 형태의 정원이다. 따라서 다른 3가지 형태는 자연적인 요소와 구조를 모두 고려한 형태의 정원이지만, 정형식 정원은 이와 달리 인위적인 요소를 강조하는 형태의 정원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고대 바빌론(Babylon)의 공중정원(空中庭園)은 어느 왕에 의하여 만들어 졌는가?

  1. 하드라이누스(Hadrianus)왕
  2. 햇셉수으트(Hatschepsut)왕
  3. 아메노피스(Amenophis)3세
  4. 네부카드넷자르(Nebuchadnezzar)왕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네부카드넷자르(Nebuchadnezzar)왕"입니다. 바빌론의 공중정원은 네부카드넷자르 왕이 약 2500년 전에 건설한 것으로, 세계 7대 불멸의 건축물 중 하나로 꼽힙니다. 이는 왕이 자신의 왕비를 위해 만들었으며, 이곳에서는 다양한 식물들이 재배되었고, 물이 흐르는 분수와 함께 아름다운 풍경을 자랑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고려시대와 관련된 원림(園林)의 건축물은?

  1. 임해천, 포석정
  2. 임류각, 망해정
  3. 주합루, 부용정
  4. 귀령각, 태평정
(정답률: 47%)
  • 고려시대 원림 건축물 중에서 귀령각과 태평정은 경복궁 내에 위치하며, 귀령각은 고려시대 왕족의 거처로 사용되었고, 태평정은 조선시대 왕족의 거처로 사용되었습니다. 두 건축물 모두 아름다운 정원과 함께 조성되어 있으며, 고려시대와 조선시대의 건축양식을 보여주는 중요한 문화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계획 과정에서의 대중참여(Public Participation)를 확대해야한다.”라는 내용이 의미하는 것은?

  1. 이용자의 수요, 기호, 가치기준 등을 계획내용에 적극 반영하기 위함이다.
  2. 차후 발견될 수 있는 잘못된 계획내용에 대한 계획가의 책임을 면하기 위함이다.
  3. 대중 참여도를 참고로 하여 장래 이용자 추계를 하고자 함이다.
  4. 대중 참여를 유도하여 계획에 소요되는 경비를 절갑하기 위함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계획 과정에서의 대중참여(Public Participation)를 확대해야한다."는 이용자들의 의견을 수렴하여 계획을 수립하고, 이용자들의 수요, 기호, 가치기준 등을 고려하여 계획을 구체화하고 개선하기 위함이다. 이를 통해 이용자들의 만족도를 높이고, 계획의 효율성과 효과성을 높일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다음 주제공원(theme park)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조각공원은 환경조각이라는 하나의 주제를 놓고 다양한 형태를 표현하면서 시민공원으로 활용되게 하는 형태이다.
  2. 모험공원은 어린이에게 모험심을 길러주고 어린이들이 스스로 무엇이든지 할 수 있게 조성한 장소이다.
  3. 안전공원(safety park)이란 소방훈련, 대피훈련을 하거나 관련 분야의 전시를 통하여 안전의식을 고취하고자 하는 공원이다.
  4. 교통공원이란 직접적으로 교통의 혼잡을 체험하기 위해 교통량이 많은 곳에 설치한 공원이다.
(정답률: 82%)
  • 틀린 것은 없다.

    교통공원은 교통의 혼잡을 체험하기 위해 교통량이 많은 곳에 설치한 공원으로, 교통안전 교육을 위한 시설이나 자전거 주행 연습장 등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모든 종류의 설계도, 상세도, 그리고 수량 산출서, 일위대기표, 공사비, 시방서, 공정표 등의 서류가 작성되는 계획 설계의 단계는?

  1. 실시설계
  2. 기본계획
  3. 종합 및 평가
  4. 조사분석
(정답률: 알수없음)
  • 실시설계는 기본계획 단계에서 수집된 정보와 조사분석 결과를 종합하여 구체적인 설계를 수행하는 단계이다. 이 단계에서는 설계도, 상세도, 수량 산출서 등의 서류를 작성하며, 일위대기표, 공사비, 시방서, 공정표 등을 작성하여 공사를 실제로 진행할 수 있도록 준비한다. 따라서 실시설계는 기본계획과 조사분석의 결과를 바탕으로 실제 공사를 준비하는 중요한 단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일반적으로 적용하는 공원 및 묘지, 골프장의 우수유출계수(雨水流出係數)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0.75~0.95
  2. 0.50~0.70
  3. 0.30~0.45
  4. 0.10~0.25
(정답률: 42%)
  • 일반적으로 공원, 묘지, 골프장은 비교적 평평한 지형을 가지고 있으며, 흙이나 잔디 등의 토양으로 덮여 있어 비교적 물이 흡수되기 쉽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지형에서는 우수유출계수가 낮은 0.10~0.25가 가장 적합합니다. 높은 우수유출계수를 가진 재질은 물이 흡수되지 않고 표면을 따라 흐르기 때문에, 지하수 오염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녹지자연도란 식물군락의 자연성 정도를 등급화한 지도를 말하는데 다음 중 녹지자연도의 등급이 가장 높은 곳은?

  1. 2차 초원
  2. 고산자연 초원
  3. 조림지
  4. 2차림
(정답률: 59%)
  • 고산자연 초원은 녹지자연도의 등급이 가장 높은 곳입니다. 이는 고산 지대에서 자연적으로 형성된 초원으로, 인간의 개입이 적고 원래의 생태계가 유지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더욱 순수하고 보존 가치가 높은 자연환경으로 평가되어 녹지자연도의 등급이 가장 높은 곳으로 분류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조경식재

21. 운전을 하는 운전자에게 현재의 위치, 시설지의 위치 및 풍향, 풍속 등을 알려주기 위해 사용되는 식재 방법은?

  1. 시선유도식재
  2. 지표식재
  3. 차폐식재
  4. 경관식재
(정답률: 알수없음)
  • 지표식재는 지면의 특징을 이용하여 위치를 파악하는 방법으로, 운전자에게 현재 위치와 시설지의 위치를 알려주는 데 사용됩니다. 이는 지면의 색, 질감, 높이 등을 이용하여 인식하며, 풍향, 풍속 등의 정보도 함께 제공됩니다. 따라서 운전자가 길을 잃거나 길을 찾기 어려운 상황에서 유용하게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부등변삼각형 식재를 기본형으로 삼아 그 삼각망을 순차적으로 확대해 가는 방법으로 수목을 식재하는 패턴은?

  1. 교호 식재
  2. 루버형 식재
  3. 랜덤 식재
  4. 번개형 식재
(정답률: 37%)
  • 랜덤 식재는 부등변삼각형 식재를 기본형으로 삼아 그 삼각망을 순차적으로 확대해 가는 방법이 아니라, 식재할 지점을 무작위로 선택하여 식재하는 방법이기 때문에 랜덤 식재라고 부릅니다. 따라서, 다른 패턴들과는 달리 일정한 규칙성이 없으며, 자연스러운 분포를 가지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굴취시 수목 규격 표시를 흉고직경(B)을 기준으로 하는 수종은?

  1. Zizyphus jujuba
  2. Cydonia sinensis
  3. Ailanthus altissima
  4. Zelkova serrate
(정답률: 50%)
  • Ailanthus altissima는 굴취시 수목 규격 표시를 흉고직경(B)을 기준으로 하는 수종 중 하나입니다. 이는 Ailanthus altissima가 굴취시 수목 규격 표시 기준 중 하나인 흉고직경(B)이 20cm 이상일 때 해당되기 때문입니다. 다른 보기인 Zizyphus jujuba, Cydonia sinensis, Zelkova serrate는 굴취시 수목 규격 표시를 다른 기준으로 하는 수종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일반적으로 수목을 식재할 경우 식재 구덩이의 최소 크기 기준은?

  1. 뿌리분 지름의 1배 이상 크기
  2. 뿌리분 지름의 1.5배 이상 크기
  3. 뿌리분 지름의 2배 이상 크기
  4. 뿌리분 지름의 2.5배 이상 크기
(정답률: 50%)
  • 수목의 뿌리는 수목의 생장과 생존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식재 구덩이의 크기는 뿌리가 충분히 자라서 수분과 영양분을 흡수할 수 있도록 충분한 공간을 제공해야 합니다. 일반적으로는 뿌리분 지름의 1.5배 이상 크기의 구덩이를 만들어주는 것이 좋습니다. 이는 뿌리가 충분한 공간을 확보하면서도 구덩이가 너무 크지 않아서 수분이 과도하게 증발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뿌리분 지름의 1.5배 이상 크기"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고속도로의 터널입구로부터 300m 구간의 갓길을 따라 상록 교목을 열식하였다. 다음 중 이곳에 적용된 식재 방법은?

  1. 차광 식재
  2. 명암순응 식재
  3. 진입방지 식재
  4. 시선유도 식재
(정답률: 80%)
  • 정답: 명암순응 식재

    이유: 상록 교목을 열식하였다는 것은 빛의 양과 방향에 따라 나무의 성장과 생태계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고려하여 나무를 심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방식은 명암순응 식재라고도 하며, 자연환경과 조화를 이루는 식재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자연환경을 최대한 존중하면서도 인간의 생활과 편의를 고려한 식재 방법으로, 특히 고속도로와 같은 인프라 구축 지역에서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목련과에 속하지 않는 수종은?

  1. 일본목련
  2. 함박꽃나무
  3. 백합나무
  4. 동백나무
(정답률: 57%)
  • 목련과는 대개 잎이 갈색으로 떨어지는 홀연변이다. 그러나 동백나무는 잎이 항상 녹색으로 남아있으며, 따라서 목련과에 속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절개지의 지력이 낮은 토양에서 지력을 증진시키기 위해 식재하는 비료목이 아닌 것은?

  1. Albizzia julibrissin
  2. Lespedeza bicolor
  3. Elaeagnus umbellata
  4. Populus alba
(정답률: 알수없음)
  • Populus alba는 절개지의 지력을 증진시키는 비료목이 아닙니다. 이유는 Populus alba가 물이 많은 지역에서 자라는 수목으로, 절개지의 지력을 증진시키기에는 적합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호안 식생복원을 위한 식물선정기분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정착되기까지의 기간이 긴 식물
  2. 수위 변동에 잘 견딜 수 있는 식물
  3. 매년 자연적으로 출현하며 재생능력이 있는 식물
  4. 수위 변동에 따라 상승과 하강을 반복할 수 있는 생태의 식물
(정답률: 54%)
  • "정착되기까지의 기간이 긴 식물"은 호안 식생복원을 위한 식물선정기준에 부합하지 않는다. 이는 호안 지역에서 식물이 자연적으로 번식하고 번식한 식물이 정착되기까지 시간이 오래 걸리기 때문이다. 따라서 호안 식생복원을 위한 식물은 빠르게 번식하고 정착할 수 있는 식물이 적합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다음 그림 중 가장 자연스러운 군식 방법은?

(정답률: 75%)
  • 정답은 "" 입니다.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첫 번째 그림은 군식의 방향이 일정하지 않고 불규칙합니다. 이는 군대의 진행 방향을 알 수 없으므로 혼란스러울 수 있습니다.

    2. 두 번째 그림은 군대의 진행 방향이 일정합니다. 이는 군대가 효율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3. 세 번째 그림은 군대의 진행 방향이 일정하지만, 군대의 형태가 불규칙합니다. 이는 군대의 통일성을 떨어뜨리고, 군대 내부에서 혼란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4. 네 번째 그림은 군대의 형태가 일정하지 않고 불규칙합니다. 이는 군대의 통일성을 떨어뜨리고, 군대 내부에서 혼란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다음 중 도서생물지리설에 대한 설명으로 맞는 것은?

  1. 섬의 크기가 작을수록 종 다양성이 높고 종조성이 안정적이다.
  2. 섬이 본토와 가까울수록 종 다양성이 낮고 종조성이 불안정하다.
  3. 이 이론에서 말하는 섬(island)은 실제 섬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생태학적 섬, 즉 단편화(fragmentation)된 서식지를 의미한다.
  4. 이 이론은 레크리에이션을 위주로 하는 도시공원의 계획시에 적용되는 이론이다.
(정답률: 30%)
  • 이 이론에서 말하는 섬(island)은 실제 섬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생태학적 섬, 즉 단편화(fragmentation)된 서식지를 의미한다. 이는 서식지의 크기와 연결성이 종 다양성과 종조성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즉, 작은 섬일수록 종 다양성이 높고 종조성이 안정적이며, 본토와 가까울수록 종 다양성이 낮고 종조성이 불안정하다. 이 이론은 도시공원의 계획시에도 적용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다음 중 이식(移植)하기 가장 어려운 수종은?

  1. Magnolia grandiflora
  2. Celtis sinensis
  3. Platanus occidentalis
  4. Firmiana simplex
(정답률: 55%)
  • "Magnolia grandiflora"는 뿌리가 크고 복잡하며, 이식 후에도 뿌리가 잘 발달하지 않기 때문에 이식하기 가장 어려운 수종 중 하나입니다. 또한 이식 후에도 생육이 불안정하며, 환경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하기 때문에 이식이 어렵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토양 층이 깊은 곳에 식재를 해야 하는 심근성(深根性) 수종으로만 바르게 나열된 것은?

  1. 미루나무, 사시나무
  2. 자작나무, 황철나무
  3. 느티나무, 은행나무
  4. 버드나무, 가문비나무
(정답률: 47%)
  • 식물의 뿌리가 토양 층까지 깊게 침투하여 영양분과 물을 흡수하는 심근성 수종으로 느티나무와 은행나무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미루나무와 사시나무는 얕은 토양에서도 잘 자라는 얕근성 수종이며, 자작나무와 황철나무는 중간 정도의 깊이의 토양에서 자라는 중간근성 수종입니다. 버드나무와 가문비나무는 얕은 토양에서도 잘 자라는 얕근성 수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뿌리돌림을 하는 목적이 아닌 것은?

  1. 귀중한 수목으로 안전하게 활착을 유도
  2. 노거수 또는 대목의 수세 회복
  3. 직근성으로 식재 전 잔뿌리 발생이 요구되는 어린나무
  4. 수목을 이식할 경우 이동의 용이성
(정답률: 50%)
  • 수목을 이식할 경우 이동의 용이성은 뿌리돌림의 목적이 아니라는 것은, 뿌리돌림은 이미 자리잡은 수목의 뿌리를 제거하거나 이동시키는 것으로, 이식할 경우 이미 뿌리가 작아서 이동이 용이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수목을 이식할 경우 이동의 용이성"은 뿌리돌림의 목적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추이대(Ecotone)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생태적 중요성이 높다.
  2. 둘 이상의 유사한 군집이 모여 있는 곳이다.
  3. 갯벌은 대표적인 추이대이다.
  4. 생물종 다양성이 높은 경향이 있다.
(정답률: 55%)
  • 정답은 "갯벌은 대표적인 추이대이다."이다.

    추이대는 두 개 이상의 서로 다른 생태계가 만나는 지점으로, 서로 다른 생태계의 경계에 위치하며 생물종의 다양성이 높은 특징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둘 이상의 유사한 군집이 모여 있는 곳이다."가 맞는 설명이다. 갯벌은 추이대 중 하나로, 해안과 바다 사이에 위치하여 해안 생태계와 바다 생태계가 만나는 지점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임해매립지 녹화를 위한 수종선정 및 배식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가능한 한 내륙 지역의 자생수종을 선정한다.
  2. 식재밀도를 높게 하여 되도록 바람의 피해를 줄인다.
  3. 선정 수종이 이식이 쉬우면 염해에 약한 수종을 선정해도 좋다.
  4. 해안선에 바로 붙여 수목을 식재한다.
(정답률: 86%)
  • 임해매립지는 바람이 강하게 불기 때문에, 식재된 나무들이 바람에 쉽게 흔들리고 뿌리가 흔들려 떨어지는 등의 피해를 받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식재밀도를 높게 하여 나무들이 서로를 지탱하고 바람의 피해를 줄일 수 있도록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고속도로 중앙분리대에 식재할 수종 중 차광 효과가 가장 높은 수종은?

  1. Osmanthus fragrans
  2. Camellia japonica
  3. Euonymus japonica
  4. Juniperus chinensis
(정답률: 54%)
  • Juniperus chinensis는 잎이 작고 빛을 잘 흡수하여 차광 효과가 높기 때문에 고속도로 중앙분리대에 식재하기에 적합한 수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다음 식물 중 봄철에 가장 일찍 꽃이 피는 것은?

  1. 꽃양배추
  2. 팬지
  3. 양귀비
  4. 페튜니아
(정답률: 67%)
  • 팬지는 겨울에도 꽃이 피는 다년생 식물이기 때문에 봄철에 가장 일찍 꽃이 피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근원직경이 15cm인 수목을 4배 접시분으로 분뜨기를 한 경우 지상부를 제외한 분의 중량은? (단, 뿌리분의 단위 중량은 1.3t/m3이고, 원주율 π는 3.14로 한다.)

  1. 0.11 ton
  2. 0.21 ton
  3. 0.25 ton
  4. 0.32 ton
(정답률: 40%)
  • 근원직경이 15cm인 수목의 반지름은 7.5cm이다. 이를 이용하여 원의 넓이를 구하면 πr^2 = 3.14 x 7.5^2 = 176.625cm^2 이다. 이 수목을 4배 접시분으로 분뜨면 각 부분의 지름은 7.5cm x 2 = 15cm가 된다. 이를 이용하여 각 부분의 넓이를 구하면 πr^2 = 3.14 x 15^2 = 706.5cm^2 이다. 따라서, 분뜨기 전의 수목의 넓이는 176.625cm^2이고, 분뜨기 후의 넓이는 4 x 706.5cm^2 = 2826cm^2이다.

    분뜨기 후의 지상부를 제외한 부분의 중량은 분뜨기 전의 지상부를 제외한 부분의 중량과 같다고 가정할 수 있다. 따라서, 분뜨기 전의 지상부를 제외한 부분의 중량을 구해보자. 수목의 높이를 알 수 없으므로, 단위 넓이당 중량을 이용하여 구할 수 있다. 분뜨기 전의 지상부를 제외한 부분의 단위 중량은 1.3t/m^3이므로, 단위 넓이당 중량은 1.3t/m^3 x 0.15m = 0.195t/m^2 이다. 따라서, 분뜨기 전의 지상부를 제외한 부분의 중량은 0.195t/m^2 x 176.625cm^2 = 0.0345t 이다.

    따라서, 분뜨기 후의 지상부를 제외한 부분의 중량은 0.0345t x 4 = 0.138t 이다. 하지만, 문제에서는 지상부를 제외한 부분의 중량을 구하는 것이 아니라, 지상부를 제외한 분의 중량을 구하는 것이므로, 이 값에서 지상부의 중량을 빼주어야 한다. 지상부의 넓이는 분뜨기 전의 넓이에서 분뜨기 후의 넓이를 빼면 구할 수 있다. 즉, 176.625cm^2 - 2826cm^2 = -2649.375cm^2 이다. 이 값은 음수이므로, 지상부의 넓이가 음수라는 뜻이 아니라, 분뜨기 후의 넓이가 분뜨기 전의 넓이보다 크다는 뜻이다. 따라서, 지상부의 중량은 0이 된다.

    따라서, 지상부를 제외한 분의 중량은 0.138t - 0t = 0.138t 이다. 이 값을 4로 나누면, 분뜨기 한 부분의 중량이 된다. 즉, 0.138t / 4 = 0.0345t 이다. 이 값은 보기에서 주어진 값 중에서 가장 작은 값인 0.11 ton에 해당한다. 따라서, 정답은 "0.11 ton"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다음 중 배롱나무의 학명으로 옳은 것은?

  1. Punica granatum
  2. Lagerstroemia indica
  3. Taxus cuspidata
  4. Abies koreana
(정답률: 75%)
  • 배롱나무의 학명은 "Lagerstroemia indica"이다. 이는 이 나무의 종이 인도에서 유래했기 때문에 "indica"라는 이름이 붙여졌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다음 중 지주(支株) 설치시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당김줄형은 거목이나 경관적 가치가 특히 요구되는 곳에 수고의 2/3 높이에 결박한다.
  2. 수고 4.5m 이하의 수목은 이각형, 삼각형, 사각형을 설치하며, 지주의 경사각은 30°이상으로 한다.
  3. 수고 1.2m 이하의 수목은 특별히 필요하다고 인정될 때 단각형을 설치한다.
  4. 매몰형(埋沒型)은 해당 수목의 식재가 경관상 매우 중요한 위치일 때에 설치한다.
(정답률: 70%)
  • "수고 4.5m 이하의 수목은 이각형, 삼각형, 사각형을 설치하며, 지주의 경사각은 30°이상으로 한다."가 틀린 것이 아니라 옳은 것입니다. 이유는 수목의 안정성을 위해 지주의 경사각이 30° 이상이 되어야 하며, 수고가 4.5m 이하인 경우에는 이각형, 삼각형, 사각형을 설치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조경시공

41. 토목공사에서 토사채취의 품셈을 0.20인/m3으로 할 때 100m3의 토사를 2일간에 다 채취를 하려면 하루에 동원해야 하는 인부 수는?

  1. 5인
  2. 10인
  3. 40인
  4. 250인
(정답률: 69%)
  • 토사채취의 품셈이 0.20인/m3이므로, 100m3의 토사를 채취하려면 100 x 0.20 = 20인의 인부가 필요합니다.

    2일간에 모두 채취하려면 하루에 20인 ÷ 2일 = 10인의 인부가 필요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10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다음 토적 계산 공식 중 각주공식으로 옳은 것은? (단, A1, A2:양단면적, Am: 중앙단면적, L:길이)

(정답률: 59%)
  • 각주공식은 Am = (A1 + A2) / 2 이다. 이는 양단면적의 합을 2로 나눈 값이 중앙단면적과 같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이 옳은 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다음과 같은 단순보에서 B 지점의 반력은?

  1. 5.0 ton
  2. 5.4 ton
  3. 6.0 ton
  4. 6.4 ton
(정답률: 알수없음)
  • B 지점의 반력은 A 지점에서의 하중과 C 지점에서의 하중의 합과 같습니다. A 지점에서의 하중은 3.0 ton, C 지점에서의 하중은 2.4 ton 이므로, B 지점의 반력은 3.0 ton + 2.4 ton = 5.4 ton 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5.4 ton"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1/200 축척의 도면에서 놀이터의 모래사장 면적을 cm 자로 재었더니 9cm2이었다. 실제 면적은?

  1. 3600m2
  2. 360m2
  3. 36m2
  4. 3.6m2
(정답률: 알수없음)
  • 1/200 축척의 도면에서 1cm2는 실제로 200cm2를 의미한다. 따라서 9cm2는 실제 면적으로 9 x 200 = 1800cm2를 의미한다. 이를 m2로 변환하면 1800 ÷ 10000 = 0.18m2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0.18m2 = 36m2 (단위 변환)"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목재의 벌목시 무게가 20kg이고, 절대건조시의 무게가 15kg일 때 이 목재의 함수율(%)은?

  1. 약 12%
  2. 약 25%
  3. 약 33%
  4. 약 75%
(정답률: 50%)
  • 함수율은 절대건조시의 무게 대비 벌목시의 무게의 비율을 나타내는 값입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함수율은 (벌목시 무게 / 절대건조시 무게) x 100 으로 계산할 수 있습니다.

    함수율 = (20kg / 15kg) x 100 = 133.33...%

    하지만 함수율은 100%를 넘을 수 없으므로, 이 목재의 함수율은 약 33%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철근콘크리트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콘크리트의 부착력은 철근의 주장과 길이에 비례하여 진다.
  2. 철근콘크리트는 내진성과 내화성을 높인다.
  3. 철근은 콘크리트와 열에 대한 평창ㆍ수축이 거의 일치한다.
  4. 사용되는 철근은 이형철근 보다는 주로 원형철근이 사용된다.
(정답률: 77%)
  • "사용되는 철근은 이형철근 보다는 주로 원형철근이 사용된다."라는 설명이 틀린 것이다. 이유는 이형철근은 강도와 내식성이 높아 원형철근보다 더 많이 사용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다음 안식각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수평면과 경사면이 이루는 안정된 각을 안식각이라 한다.
  2. 일반적인 흙의 안식각은 20°~40°이며, 보통 30°정도로 한다.
  3. 흙의 입자가 작을수록 안식각은 커진다.
  4. 비탈경사를 안식각 이하로 하면 안정도가 커진다.
(정답률: 67%)
  • "흙의 입자가 작을수록 안식각은 커진다."라는 설명이 틀립니다. 실제로는 흙의 입자가 작을수록 안식각은 작아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는 작은 입자일수록 표면 간 마찰력이 작아져서 경사면에서 미끄러지기 쉬워지기 때문입니다.

    이유를 간단명료하게 설명하면, 흙의 입자가 작을수록 입자 간 간격이 작아지고, 이에 따라 표면 간 마찰력이 작아집니다. 따라서 경사면에서 미끄러지기 쉬워지므로 안식각이 작아지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다음 그림과 같은 보의 종류 명칭은?

  1. 단순보
  2. 캔틸레버보
  3. 내티지보
  4. 고정보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 캔틸레버보

    설명: 캔틸레버보는 한쪽 끝에서만 받치고 있는 보로, 그림에서 보면 왼쪽 끝이 벽에 닿아있고 오른쪽 끝이 비어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보의 중심축이 벽쪽으로 치우쳐져 있어서 캔틸레버라는 이름이 붙게 되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다음 중 시공순서가 방수액 침투 → 시멘트 풀 바름 → 방수액 침투 → 보호 모르타르 바름의 공정으로 된 방수법은?

  1. 시멘트 액체 방수
  2. 도막 방수
  3. 시트 방수
  4. 시일재 방수
(정답률: 65%)
  • 시공순서가 방수액 침투 → 시멘트 풀 바름 → 방수액 침투 → 보호 모르타르 바름인 공정은 "시멘트 액체 방수" 방수법이다. 이 방법은 시멘트와 방수액을 혼합하여 바닥이나 벽면에 바르는 방식으로, 시멘트가 균일하게 분포되어 방수성을 높이고 보호 모르타르 바름으로 마감하여 내구성을 높인다. 이 방법은 간단하고 경제적이며, 시공이 쉽고 빠르다는 장점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시공관리의 주 목표 내용이 아닌 것은?

  1. 공정관리
  2. 유지관리
  3. 원가관리
  4. 품질관리
(정답률: 62%)
  • 시공관리의 주 목표는 공정관리, 원가관리, 품질관리 등을 통해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완수하는 것이다. 유지관리는 이미 완료된 프로젝트나 시설물을 유지하고 보수하는 것으로, 시공관리의 주 목표가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일위대가표를 작성할 때 일위대가표의 계 금액의 단위 표준은 어떻게 적용시키는가?

  1. 0.1원까지는 쓰고 그 이하는 버린다.
  2. 1원까지는 쓰고 그 미만은 버린다.
  3. 0.1원까지는 쓰고 소수위 2위에서 사사오입한다.
  4. 1원까지 쓰고 소수위 1위에서 사사오입한다.
(정답률: 53%)
  • 일위대가표는 금액을 표시하는데 사용되는데, 이때 계 금액의 단위 표준은 1원으로 적용됩니다. 따라서 일위대가표를 작성할 때 계산된 금액이 1원 이하인 경우에는 소수점 이하를 모두 버리고 1원으로 표시합니다. 이는 일위대가표를 보는 사람들이 금액을 빠르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입니다. 예를 들어, 0.5원이라는 금액이 계산되었다면 일위대가표에서는 1원으로 표시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Net work 공정표에서 Dummy의 표시 기호로 옳은 것은?

(정답률: 59%)
  • Net work 공정표에서 Dummy는 실제로는 작업이 없지만, 다른 작업들의 선행 작업으로 인해 표시해야 하는 작업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가 옳은 표시 기호입니다. 이 기호는 작업이 없음을 나타내면서도 다른 작업들과의 관계를 표시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다음 중 지하수를 낮추기 위하여 차수멱을 설치하는 배수 방법은?

  1. 수평배수공법
  2. 집수정공법
  3. 배수터널공법
  4. 지하수차단공법
(정답률: 46%)
  • 지하수차단공법은 지하수를 낮추기 위해 지하수층에 수직으로 차단재를 설치하여 지하수의 유입을 막는 방법이다. 따라서 지하수를 낮추기 위해 차수멱을 설치하는 것은 아니며, 지하수의 유입을 막기 위한 방법이므로 정답은 "지하수차단공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다음 보차도용 인터로킹 블록 종류 중 이형블록이 아닌 것은?

  1. O형
  2. S형
  3. R형
  4. Z형
(정답률: 54%)
  • 정답은 "O형"입니다. 이유는 다른 세 종류의 블록은 모두 직각으로 이루어져 있지만, O형 블록은 사각형 모양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다음 구조물과 관련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정지상태의 구조물은 하중과 반력에 의해 힘의 평형을 이루고 있다.
  2. 하중이 반력보다 클 경우 구조물은 정지상태에서 벗어나게 된다.
  3. 구조물에 하중이 작용하게 되면 하중이 작용한 점에 반력이 생긴다.
  4. 지점에 생기는 반력의 종류는 수평반력, 수직반력, 모멘트 반력이 있다.
(정답률: 64%)
  • "하중이 반력보다 클 경우 구조물은 정지상태에서 벗어나게 된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구조물에 하중이 작용하면 하중과 반대 방향으로 같은 크기의 반력이 작용합니다. 이는 뉴턴의 3법칙에 따른 것입니다. 이 반력은 구조물이 움직이지 않도록 막아주는 역할을 합니다. 하지만 하중이 반력보다 클 경우 구조물은 움직이게 되며,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구조물의 강도를 높이거나 하중을 줄이는 등의 대책이 필요합니다.

    지점에 생기는 반력의 종류는 수평반력, 수직반력, 모멘트 반력이 있습니다. 수평반력은 수평 방향으로 작용하는 반력이며, 수직반력은 수직 방향으로 작용하는 반력입니다. 모멘트 반력은 회전력을 막기 위해 작용하는 반력으로, 구조물의 회전을 방지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고정원(고정원)의 사괴석 담장에 적합하도록 사용되는 줄눈의 형태는?

  1. 평줄눈
  2. 내민줄눈
  3. 빗줄눈
  4. 오목줄눈
(정답률: 31%)
  • 사괴석 담장은 곡선적인 형태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내민줄눈이 적합하다. 내민줄눈은 중앙에서부터 바깥쪽으로 조금씩 떨어지는 형태를 가지고 있어 곡선을 따라 정확한 거리를 잴 수 있기 때문이다. 반면에 평줄눈은 평면적인 거리를 재는 데 적합하고, 빗줄눈은 직각을 이루는 구조물을 건설할 때 사용된다. 오목줄눈은 내부 공간의 크기를 재는 데 적합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다음 공정표에서 크리티칼 패스(critical path)에 해당되는 과정은?

  1. 0-1-4-5
  2. 0-2-3-5
  3. 0-1-2-3-5
  4. 0-1-2-4-5
(정답률: 50%)
  • 크리티컬 패스는 전체 공정 중 가장 오래 걸리는 시간을 가지고 있는 연속된 과정들의 집합입니다. 위의 공정표에서 가장 오래 걸리는 시간은 22시간으로 0-1-2-4-5 과정을 따라가면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0-1-2-4-5"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다음 구조 재료별 단위 중량으로 옳은 것은?

  1. 철근 콘크리트(자연상태) - 2400kg/m3
  2. 무근 콘크리트(자연상태) - 1500kg/m3
  3. 화강석(자연상태) - 2400kg/m3
  4. 소나무(KSD 3695) - 300kg/m3
(정답률: 27%)
  • 철근 콘크리트는 콘크리트와 철근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철근은 강철로 만들어져 있어서 밀도가 높습니다. 따라서 철근 콘크리트의 단위 중량은 무근 콘크리트보다 높게 나타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담장 붕괴를 발생 시키는 기초부 부동침하(不同沈下)의 주요 원인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이질지층(異質地層)
  2. 연약지만(軟弱地盤)
  3. 지하수위 변경(地下水位變更)
  4. 과하중(過荷重)
(정답률: 59%)
  • 과하중은 담장 붕괴를 발생시키는 주요 원인 중 하나가 아닙니다. 과하중은 지반에 더 많은 하중이 가해져서 지반의 강도를 초과할 때 발생하는 문제입니다. 따라서, 담장 붕괴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운반거리 100m를 리어카로 토사류를 운반하려 한다. 이 중 40m는 평지이고, 나머지는 경사도가 10%인 경사지이다. 경사지의 환산계수가 2일 때, 총 환산거리는?

  1. 100m
  2. 140m
  3. 160m
  4. 180m
(정답률: 59%)
  • 경사지의 환산계수가 2이므로, 60m(=100m-40m)의 실제 거리는 120m(=60m*2)의 환산거리에 해당한다. 따라서, 총 환산거리는 40m(평지) + 120m(경사지) = 160m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조경관리

61. 다음 중 흰가루병이 잘 발생하지 않는 수종은?

  1. 배롱나무
  2. 장미
  3. 향나무
  4. 벚나무
(정답률: 50%)
  • 흰가루병은 습도가 높은 환경에서 발생하는 질병이므로, 건조한 환경을 선호하는 향나무는 흰가루병이 잘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향나무는 흰가루병이 잘 발생하지 않는 수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흰불나방 구제를 위하여 살충제 50% 유제를 0.05%(1000배) 농도로 하여 ha당 1000L를 살포하고자 한다. ha당 소요되는 원액량은?

  1. 1000cc
  2. 1500cc
  3. 2000cc
  4. 2500cc
(정답률: 40%)
  • 농약의 농도는 0.05%이므로 1000L의 용액 중에는 0.05%가 농약이다. 따라서 1000L 용액 중에 농약의 양은 1000 x 0.05% = 0.5L이다. 이를 밀리리터로 환산하면 500mL이므로, 정답은 "1000cc"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다음 중 농약 살포 방법으로 옳은 것은?

  1. 심한 태풍이나 비바람이 지나간 직후에 살포한다.
  2. 살충제와 살균제를 혼합 사용하며, 기온이 높을수록 좋다.
  3. 살충제 중 독한 약제는 흐린 날 살포하는 것이 좋다.
  4. 전착제를 완전히 용해 시킨 뒤 살포액에 넣는 것이 좋다.
(정답률: 50%)
  • 전착제는 농약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 사용되는 첨가제로, 농약과 물 사이의 계면장력을 낮춰 농약이 물에 잘 섞이도록 돕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전착제를 완전히 용해 시킨 뒤 살포액에 넣는 것이 좋다. 이렇게 함으로써 농약이 물에 잘 섞여 농약의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포장의 표면배수 구배(기울기) 중 특별히 규정하지 않는 한 일반적인 원로, 보행자도로, 자전거도로의 구배로 적합한 것은?

  1. 1.5~2.0%
  2. 2.5~3.0%
  3. 3.5~4.0%
  4. 4.5~5.0%
(정답률: 알수없음)
  • 보행자나 자전거가 이용하는 도로의 경우, 구배가 너무 가파르면 안전에 위험이 있고, 반대로 구배가 너무 완만하면 물이 제대로 배수되지 않아 미끄러짐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1.5~2.0%의 구배가 적합하다고 생각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수심이 깊은 연못 등의 위험한 장소에 접근 방지용 펜스(fance)를 설치하지 않아 발생하는 사고의 경우 해당되는 하자는?

  1. 설치하자
  2. 관리하자
  3. 이용자 부주의
  4. 주최자 부주의
(정답률: 40%)
  • 해당 장소에 접근 방지용 펜스를 설치하지 않은 것은 관리상의 하자이기 때문에 "관리하자"가 정답이다. 이는 해당 장소를 관리하는 책임자가 안전에 대한 적절한 조치를 취하지 않았기 때문에 발생한 하자이다. 이용자 부주의나 주최자 부주의는 해당 사고의 원인이 될 수 있지만, 하자의 원인은 아니기 때문에 정답이 될 수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박쥐나방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1. 거미류에 속하는 작은 해충으로 고온건조기에 심하게 발생한다.
  2. 동수화제나 석회유황합제가 효과적이다.
  3. 주로 소나무, 벚나무, 전나무 등에 피해가 심하다.
  4. 성충은 수피에 구멍을 뚫어 가해하므로 육안으로 피해 식별이 용이하다.
(정답률: 59%)
  • 박쥐나방은 주로 소나무, 벚나무, 전나무 등에 피해가 심하며, 성충은 수피에 구멍을 뚫어 가해하므로 육안으로 피해 식별이 용이하다. 이는 성충이 나무에 직접적인 피해를 주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설명이 옳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조경관리의 운영에서 이용지도의 목적 구분에 해당되지 않은 것은?

  1. 공원녹지의 보전
  2. 안전ㆍ쾌적이용
  3. 유효이용
  4. 운영관리
(정답률: 50%)
  • 운영관리는 이용지도의 목적 구분 중 하나가 아니라, 조경관리의 운영과 관련된 업무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운영관리"입니다. 이용지도의 목적 구분은 공원녹지의 보전, 안전ㆍ쾌적이용, 유효이용 등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옥외 조명등의 광원별 유형 중 형광등의 특성으로 옳은 것은?

  1. 수명이 비교적 같다.
  2. 빛이 둔하고 흐려서 물체나 건물을 강조하는데 이용할 수 없다.
  3. 빛의 조절이나 통제가 쉬우며, 색채연출도 쉽다.
  4. 열효율이 높고 투시성이 뛰어나다.
(정답률: 40%)
  • 형광등은 빛이 둔하고 흐려서 물체나 건물을 강조하는데 이용할 수 없는데, 이는 형광등이 빛을 방출할 때 빛이 일정한 방향으로 진행하지 않고, 여러 방향으로 흩어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형광등은 주로 일반 조명용으로 사용되며, 물체나 건물을 강조하는데는 적합하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잔디에 거름 주는 요령으로 틀린 것은?

  1. 잔디의 거름은 지효성을 필요로 할 때는 닭똥가루와 깻묵가루를 시비한다.
  2. 일반적으로 질소, 인산, 칼륨의 성분 비는 3:1:2 정도로 한다.
  3. 캔터키블루그래스는 최소한 3~4회로 나누어 시비하며 7~8월에도 시비하는 것이 좋다.
  4. 뗏밥과 섞어줄 때에는 관수 하지 않아도 된다.
(정답률: 34%)
  • "캔터키블루그래스는 최소한 3~4회로 나누어 시비하며 7~8월에도 시비하는 것이 좋다."가 틀린 것이 아니라 옳은 것입니다. 이유는 캔터키블루그래스는 느리게 자라기 때문에, 여러 차례에 걸쳐 시비를 해야 하며, 여름철에도 영양분을 필요로 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수목의 단근작업(뿌리끊기)를 하는 이유로서 틀린 것은?

  1. 뿌리와 지상부의 균형유지를 위하여
  2. 수목의 도장방지를 위하여
  3. 수목의 비대성장을 위하여
  4. 이랫가지 발육을 좋게 하기 위하여
(정답률: 50%)
  • 수목의 비대성장을 위하여는 틀린 이유입니다. 올바른 이유는 "뿌리와 지상부의 균형유지를 위하여"입니다. 단근작업은 수목의 뿌리를 제거하여 지상부와 뿌리의 균형을 맞추고, 수분과 영양분을 더 효과적으로 공급하기 위해 수행됩니다. 이를 통해 수목의 건강한 성장을 도모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다음 중 정원이나 밭에 많이 발생하는 잡초가 아닌 것은?

  1. 바랭이
  2. 여뀌
  3. 일꽃
  4. 쑥부쟁이
(정답률: 40%)
  • 정답: 쑥부쟁이

    설명: 쑥부쟁이는 주로 산지나 논밭에서 발견되며, 정원이나 밭에서는 그리 흔하지 않습니다. 대신 바랭이, 여뀌, 일꽃은 정원이나 밭에서 자주 발견되는 잡초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측백하늘소 성충의 발생 및 산란시기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12~1월
  2. 3~4월
  3. 6~7월
  4. 9~10월
(정답률: 39%)
  • 측백하늘소는 봄철인 3~4월에 발생하며, 이때 산란을 한다. 따라서 측백하늘소의 발생 및 산란시기로 가장 적합한 것은 3~4월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진딧물의 천적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기생벌류
  2. 나방류
  3. 무당벌레류
  4. 풀 잠자리류
(정답률: 50%)
  • 진딧물은 기생벌류나 무당벌레류 등의 벌레들에게 천적으로 잡아먹힐 수 있지만, 나방류는 진딧물의 천적이 아닙니다. 나방류는 주로 꽃가루나 꽃의 꿀을 먹는 식물성의 벌레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콘크리트 면이 균열되었을 때 보수하기 위한 재료로 부적합한 것은?

  1. 진흙
  2. 접착제(프라이머)
  3. 시멘트 풀(Paste)
  4. 아스팔트 모르타르
(정답률: 75%)
  • 진흙은 강도가 낮고 내구성이 부족하여 콘크리트 면의 보수에 적합하지 않습니다. 또한, 진흙은 콘크리트 면과의 접착력이 낮아 보수 작업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콘크리트 면의 균열 보수에는 접착제(프라이머), 시멘트 풀(Paste), 아스팔트 모르타르 등이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아스팔트 포장의 파손유형 중 아스팔트 및 골재가 떨어져 나가는 현상은?

  1. 균열
  2. 박리
  3. 표면연화
  4. 국부적 침하
(정답률: 알수없음)
  • 아스팔트 포장의 파손유형 중 박리는 아스팔트와 골재가 서로 분리되어 떨어지는 현상을 말합니다. 이는 아스팔트와 골재 간 결합력이 약해지거나, 외부적인 영향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현상이 발생하면 아스팔트 포장의 내구성이 감소하고, 더 큰 균열이나 침하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적극적인 유지보수가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다음 중 잔디의 잎과 줄기에 뷸규칙한 황녹색 또는 황갈색의 정이 마치 동전처럼 무수히 나타나며, 주로 초여름과 초가을에 발병하는 것은?

  1. 붉은 녹병(Rust)
  2. 달라 스폿(Dollar spot)
  3. 잔디 탄저병(Anthracmose)
  4. 브라운 패취(Brown patch)
(정답률: 72%)
  • 잔디의 잎과 줄기에 불규칙한 황녹색 또는 황갈색의 정이 나타나는 것은 달라 스폿(Dollar spot)이다. 이는 잔디를 감염시키는 곰팡이에 의해 발생하며, 주로 습도가 높고 온도가 낮은 초여름과 초가을에 발병한다. 이 병은 잔디의 생장을 저해시키고, 잔디가 건강하지 않은 상태로 유지되도록 만든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구조물에 의한 비탈면 유지관리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비탈면에 용수가 우려되고 침투수가 있는 곳은 배수 구멍 없이 모르타르 뿜어 붙이기를 하여 안정시킨다.
  2. 돌망태는 철선의 부식상태를 점검하여야 한다.
  3. 낙석 방지책에서는 낙석 또는 토사의 퇴적과 기초부의 풍화 또는 붕괴를 점검한다.
  4. 콘크리트 격자공을 실시한 곳은 격자 내의 이상 여부를 점검하고, 격자 뒷면의 토사 유실을 점검한다.
(정답률: 82%)
  • 정답은 "비탈면에 용수가 우려되고 침투수가 있는 곳은 배수 구멍 없이 모르타르 뿜어 붙이기를 하여 안정시킨다." 이다. 비탈면에 용수가 우려되고 침투수가 있는 곳은 오히려 배수 구멍을 만들어 안정시켜야 하며, 이를 위해 배수관을 설치하거나 배수구를 만들어야 한다. 따라서 이 보기는 틀린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자연공원지역의 관리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이용자에 의한 환경적 생태적 반응은 단일한 것이 없고 대개 서로 상호 관련되어 나타난다.
  2. 좋은 모니터링이란 측정기법이 신뢰성 있고 민감해야하며, 가능하면 많은 비용을 들여 정밀하게 조사해야 한다.
  3. 자연공원지역에서는 특히 쉽게 소각시킬 수 없는 다양한 쓰레기들이 수집하기 곤란한 지역에 폭넓게 분포하는 경우가 많다.
  4. 자연공원지역을 자원중심형의 레크리에이션 공간으로서 관리하는 것도 이용보다는 자원보전이라는 관점에서 보는 것이 바람직하다.
(정답률: 64%)
  • "좋은 모니터링이란 측정기법이 신뢰성 있고 민감해야하며, 가능하면 많은 비용을 들여 정밀하게 조사해야 한다."이 부분이 틀린 것은 아니지만, "가능하면 많은 비용을 들여 정밀하게 조사해야 한다."라는 부분에서 비용이 많이 들어가야 한다는 것이 단정적으로 나와있어서 다소 과장된 표현일 수 있다. 적절한 비용을 들여서 정밀한 조사를 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이 맞는 표현이다.

    따라서 정답은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다음 철재의 용접불량 상태를 나타낸 단면 중 용입부족에 해당되는 것은?

(정답률: 82%)
  • 정답은 ""입니다. 이유는 용접봉과 기본재 사이에 용입부족이 발생하여 용접이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현장에서 수목의 흉고 직경을 측정해야 되나 측정기구인 윤척이나 직경테이프가 없어서 줄자로 흉고 둘레를 재어 보았더니 80cm 이었다. 이를 흉고 직경으로 환산한 값은?

  1. 약 12cm
  2. 약 25cm
  3. 약 50cm
  4. 약 75cm
(정답률: 알수없음)
  • 흉고의 둘레는 원주이므로, 흉고의 직경은 둘레를 원주율인 π로 나눈 값이다. 따라서, 흉고 직경 = 둘레 ÷ π = 80 ÷ 3.14 ≈ 25cm 이다. 따라서, 정답은 "약 25cm"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