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경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8-09-07)

조경산업기사
(2008-09-07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조경계획 및 설계

1. 르 노트르(le Notre)가 축조하지 않은 것은?

  1. 베르사이유 궁원
  2. 풍텐블로
  3. 프랭클린 파크
  4. 생클루
(정답률: 55%)
  • 프랭클린 파크는 미국에 위치한 공원으로, 르노트르가 축조한 것이 아니기 때문에 정답이다. 베르사이유 궁원은 르노트르가 대대적인 개조를 수행한 유명한 궁원이며, 풍텐블로와 생클루 역시 르노트르가 디자인한 정원으로 유명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전이공간을 창출하는 방법이 아닌 것은?

  1. 지면의 높이 변화, 벽, 식물재료 등에 의해 전이공간을 형성시킬 수 있다.
  2. 건물의 처마벽 확장으로 전이공간을 형성시킬 수 있다.
  3. 건물의 내부와 동일한 바닥재료를 사용하여 전이공간을 형성시킬 수 있다.
  4. 건물의 질감을 다양하게 창출시키고, 많은 종류의 재료를 반복하여 전이공간을 형성시킬 수 있다.
(정답률: 59%)
  • 정답은 "건물의 내부와 동일한 바닥재료를 사용하여 전이공간을 형성시킬 수 있다." 이다. 바닥재료는 전이공간을 형성하는 데에는 영향을 미치지만, 전이공간을 창출하는 방법으로는 적합하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래드번 타입 택지 계획(Radburn Type Housing)주된 특징은?

  1. 보·차도 분리
  2. 방사형 가로망
  3. 격자형 가로망
  4. 대도시 인구집중의 억제
(정답률: 52%)
  • 래드번 타입 택지 계획의 주된 특징은 "방사형 가로망"과 "보·차도 분리"입니다. 이 중에서 "보·차도 분리"는 차량과 보행자가 완전히 분리되어 있어 안전성이 높고, 보행자들이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기 때문입니다. 이는 또한 교통 체증을 줄이고 대도시 인구집중의 억제에도 도움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일반적으로 해수욕장의 육지부(陸域) 시설 규모를 산정하기 위해 적용해야 할 공간 원단위(原單位)는? (단, 집중률은 3.0 ~ 5.0% 이다.)

  1. 2 ~ 5m2/인
  2. 5 ~ 10m2/인
  3. 10 ~ 20m2/인
  4. 20 ~ 30m2/인
(정답률: 50%)
  • 해수욕장의 육지부 시설 규모를 산정할 때는 집중률을 고려하여 1인당 2~5m2의 공간이 필요하다. 하지만 해수욕장은 대개 가족이나 단체로 방문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집중률을 고려하여 1인당 10~20m2의 공간이 필요하다. 따라서 정답은 "10 ~ 20m2/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지체가 부자유한 사람을 위해 10m를 초과하지 않는 거리에서 지형상 곤란한 경우에 램프(ramp)를 설치하고자 할 때 허용 최대구배한계 기준은? (단, 신축이 아닌 기존시설에 설치되는 경사로는 제외)

  1. 8%
  2. 10%
  3. 15%
  4. 20%
(정답률: 69%)
  • 허용 최대구배한계는 경사로의 기울기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이 값이 클수록 경사가 가파르다는 뜻이며, 작을수록 경사가 완만하다는 뜻이다. 보통 보행자용 경사로의 경우 최대구배한계가 8% 이하로 규정되어 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도 지체가 있는 사람들을 위한 램프를 설치할 때 최대구배한계는 8% 이하여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도산서원에 퇴계선생이 지당을 펴고 연꽃을 심었던 유적은?

  1. 정우당
  2. 절우사
  3. 몽천
  4. 세연지
(정답률: 79%)
  • 도산서원에는 퇴계선생이 지당을 펴고 연꽃을 심었던 유적이 있습니다. 이 유적은 "정우당"이라고 불리는데, 이는 퇴계선생이 자신의 정신적인 우상을 모신 곳이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정지계획을 하는데 3차원적인 지형상태를 2차원적으로 묘사하는데 그 묘사방법이 아닌 것은?

  1. 단면도
  2. 음영법
  3. 등고선법
  4. 성토법
(정답률: 56%)
  • 정지계획을 할 때 3차원적인 지형상태를 2차원적으로 묘사하는 방법으로는 단면도, 음영법, 등고선법이 있습니다. 하지만 성토법은 2차원적인 묘사 방법이 아닙니다. 성토법은 3차원적인 지형상태를 모형으로 만들어서 묘사하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성토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경관(景觀)의 기본 유형을 그림으로 나타낸 것 중 파노라믹한 경관의 그림은?

(정답률: 81%)
  • 파노라믹한 경관은 넓은 범위의 경치를 한 눈에 볼 수 있는 유형이다. 그림에서도 넓은 범위의 경치가 한 눈에 들어오는 것을 볼 수 있으므로 정답은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다음 중 색채학에서 명도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먼셀 밸류(munsell value)라고도 불린다.
  2. 물체의 색을 표시하는 먼셀 표색계에는 흰색을 명도 1, 검정색을 10으로 한다.
  3. 선글라스나 컬러 슬라이드와 같은 색의 명도는 '농도'라고 한다.
  4. 일반적으로 흰색과 검정 사이에 회색군을 밝은 순서대로 배치하여 '그레이스케일'이라고 부른다.
(정답률: 65%)
  • "물체의 색을 표시하는 먼셀 표색계에는 흰색을 명도 1, 검정색을 10으로 한다."라는 설명은 틀린 것이 없다. 이는 먼셀 표색계에서 명도를 나타내는 방법 중 하나로, 명도가 높을수록 밝은 색이고 명도가 낮을수록 어두운 색이라는 것을 나타낸다. 따라서 흰색은 명도가 가장 높은 1이 되고, 검정색은 명도가 가장 낮은 10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조경 설계상 건축제도 통칙(KS)에서 약정된 인조석의 표시법은?

(정답률: 48%)
  • KS에서는 인조석의 표시법으로 ""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이는 인조석의 재질을 나타내는 기호로, "A"는 인조석, "B"는 철강, "C"는 콘크리트, "D"는 나무, "E"는 유리, "F"는 석재 등을 나타냅니다. 따라서 인조석을 사용하는 경우, 해당 기호를 사용하여 표시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연속적 공간의 기록방법으로는 할프린(Halprin)과 틸(Thiel)의 기법이 잘 알려져 있는데 틸의 방법이 장소 중심적 방법이라면 할프린의 방법은 진행중심적이다. 할프린의 기법을 나타내는 용어는?

  1. 이미지성(imageability)
  2. 연속적 경험(sequence experience)
  3. 모테이션 심벌(motation symbol)
  4. 형태-활동 일치성(form-activity congruence)
(정답률: 61%)
  • 할프린의 기법에서 모테이션 심벌은 춤과 같은 움직임을 기록하는 기호로, 연속적인 공간에서의 움직임을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통해 공간의 움직임을 기록하고 분석하여 공간 디자인에 반영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고려시대 문수원의 정원 안 연못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둥근형
  2. 가장자리는 자연적 축조
  3. 영지(影池)
  4. 상, 하지(上, 下池)
(정답률: 70%)
  • 고려시대 문수원의 정원 안 연못의 특징 중 "둥근형"은 아닙니다. 이유는 고려시대 정원에서는 대개 사각형이나 직사각형 형태의 연못이 많았기 때문입니다. "가장자리는 자연적 축조", "영지(影池)", "상, 하지(上, 下池)"는 고려시대 정원에서 일반적으로 볼 수 있는 특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A4 도면의 규격이 210×297 일 때 A2 도면의 규격(mm)은?

  1. 841 × 1189
  2. 594 × 841
  3. 420 × 594
  4. 105 × 148
(정답률: 70%)
  • A4 도면의 너비와 높이를 각각 210mm, 297mm로 나타내면, A2 도면의 너비와 높이는 각각 2배씩 크므로 420mm, 594mm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420 × 594"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조경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옥외용 의자의 설계기준에 대한 규격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앉음판 높이 : 34 ~ 46cm, 앉음판 폭 : 38 ~ 50cm
  2. 앉음판 높이 : 25 ~ 35cm, 앉음판 폭 : 38 ~ 50cm
  3. 앉음판 높이 : 34 ~ 46cm, 앉음판 폭 : 28 ~ 35cm
  4. 앉음판 높이 : 25 ~ 35cm, 앉음판 폭 : 28 ~ 35cm
(정답률: 74%)
  • 조경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옥외용 의자는 다양한 사람들이 사용하기 때문에, 앉음판 높이와 폭이 넓은 범위 내에서 조절 가능해야 합니다. 따라서 "앉음판 높이 : 34 ~ 46cm, 앉음판 폭 : 38 ~ 50cm"이 가장 적합한 기준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앉음판 높이나 폭이 너무 좁거나 혹은 범위가 너무 좁아서 일반적인 사용자들에게 불편을 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다음 국립공원 중 가장 지정이 늦게 된 것은?

  1. 지리산
  2. 치악산
  3. 소백산
  4. 변산반도
(정답률: 53%)
  • 변산반도는 1998년에 국립공원으로 지정되었으며, 나머지 보기들은 1967년부터 1984년까지 지정되었다. 따라서 변산반도가 가장 지정이 늦게 된 국립공원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자연은 직선을 싫어한다.”고 주장한 사람은?

  1. 룻소
  2. 윌리암 켄트
  3. 베이컨
  4. 옴스테드
(정답률: 80%)
  • 윌리암 켄트는 미국의 조경가이며, 그는 "자연은 직선을 싫어한다"는 말로 유명하다. 이는 그가 조경 디자인에서 곡선적인 요소를 강조하며, 자연의 모습을 따르는 것을 주장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다음 현황종합분석도 그림에서 화살표의 방향이 의미하는 것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능선
  2. 스카이라인
  3. 물의 흐름
  4. 풍향
(정답률: 86%)
  • 화살표의 방향은 "물의 흐름"을 의미합니다. 이는 강의 흐름이나 바다의 해류 등 물이 흐르는 방향을 나타내는 것입니다. 다른 보기인 "능선"은 배의 항해 경로를 나타내는 것이고, "스카이라인"은 도시의 높은 건물이나 산 등의 지형을 나타내는 것입니다. "풍향"은 바람이 불어오는 방향을 나타내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조경설계 제도시 투시도(perspective) 작성에 쓰이는 용어 중에서 눈의 높이를 나타내는 것은?

  1. H.L
  2. G.L
  3. V.P
  4. S.P
(정답률: 70%)
  • 정답은 "H.L"입니다. H.L은 "Horizon Line"의 약자로, 조경설계 제도시 투시도 작성 시 눈의 높이를 나타냅니다. 이는 시선이 지평선과 만나는 지점을 의미하며, 조경설계 제도에서는 이를 기준으로 건물, 나무, 도로 등의 높이를 측정하고 배치합니다. G.L은 "Ground Level"의 약자로 지면의 높이를 나타내며, V.P는 "Vanishing Point"의 약자로 시선이 만나는 멀리 있는 점을 의미합니다. S.P는 "Station Point"의 약자로 시선이 위치한 지점을 나타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다음 ( ) 안에 적합한 용어는?

  1. 5
  2. 10
  3. 15
  4. 20
(정답률: 53%)
  • 주어진 그림은 5씩 증가하는 등차수열이다. 따라서 다음 항은 20이 되어야 하지만, 보기에서는 10이 정답으로 주어졌다. 이는 그림의 오류로 인해 발생한 것으로, 정답은 없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도시공원 및 녹지 등에 관한 법규상 근린생활권 근린공원(近隣公園) 및 도보권 근린공원(近隣公園)에 설치할 수 있는 공원시설이 아닌 것은?

  1. 운동시설
  2. 위락시설
  3. 유희시설
  4. 편익시설
(정답률: 56%)
  • 근린생활권 근린공원 및 도보권 근린공원은 지역 주민들의 휴식과 운동을 위한 공간으로 설치되는 것이므로, 위락시설은 해당 법규상 설치할 수 없다. 위락시설은 주로 대규모 테마파크나 놀이공원 등에서 설치되는 시설로, 근린공원과는 목적과 규모가 다르기 때문이다. 따라서 "위락시설"이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조경식재

21. 뿌리혹박테리아의 도움을 얻어 공중질소(空中窒素)를 이용하면서 살아가는 수종은?

  1. 팔손이나무
  2. 해송
  3. 보리수나무
  4. 미선나무
(정답률: 80%)
  • 보리수나무는 뿌리혹박테리아의 도움을 받아 공중질소를 고정시키면서 질소를 얻어내는 질소고정 능력이 뛰어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토양수분 중 식물이 이용 가능한 수분을 유효수분이라고 한다. 유효수의 토양 수분장력(pF)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pF 0.1 ~ 1.5
  2. pF 1.7 ~ 2.5
  3. pF 2.7 ~ 4.2
  4. pF 4.5 ~ 6.2
(정답률: 75%)
  • 식물이 이용 가능한 유효수분은 일반적으로 pF 2.7 ~ 4.2 범위에 해당한다. 이 범위는 토양 수분이 적당히 많아서 식물이 필요한 양의 수분을 흡수할 수 있으면서도 과다한 수분으로 인한 과습을 방지할 수 있는 범위이기 때문이다. pF 0.1 ~ 1.5 범위는 토양이 너무 건조하여 식물이 수분을 흡수하기 어렵고, pF 1.7 ~ 2.5 범위는 식물이 필요한 양의 수분을 흡수하기에는 적당하지만 과습의 위험이 있을 수 있다. pF 4.5 ~ 6.2 범위는 토양이 지나치게 과습하여 식물의 뿌리가 부패할 수 있으며, 산소 부족으로 인한 뿌리의 죽음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pF 2.7 ~ 4.2 범위가 가장 적합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다음 중 높은 산의 후미지고 꼬불꼬불한 길에서 가로수로서 가장 적합한 수종은?

  1. 자작나무
  2. 벚나무
  3. 양버들
  4. 중국단풍나무
(정답률: 50%)
  • 자작나무는 높은 산지에서도 잘 자라며, 꼬불꼬불한 길에서도 잘 자라는 강한 생명력을 가진 나무입니다. 또한 가로수로서도 적합한데, 그 이유는 자작나무가 가지고 있는 뿌리가 깊게 파고들어 튼튼하게 서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자작나무는 높은 산의 후미지고 꼬불꼬불한 길에서 가로수로서 가장 적합한 수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다음 중 내음성(耐陰性)이 가장 큰 수종(樹種)은?

  1. Euonymus japonica
  2. Pinus densiflora
  3. Juniperus chinensis
  4. Chaenomeles sinensis
(정답률: 43%)
  • Euonymus japonica는 그늘진 곳에서도 잘 자라는 양분과 수분에 대한 내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내음성이 가장 큰 수종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곡선반경이 극히 작은 종단철형(從斷凸形)의 노선이나 평면선형(平面線形)에서 한쪽으로 회전하는 곡선구간 등에 교통안전을 위하여 일반적으로 열식(列植)으로 식재하는 도로 기능 식재는?

  1. 명암순응식재
  2. 시선유도식재
  3. 지표식재
  4. 차폐식재
(정답률: 72%)
  • 시선유도식재는 운전자의 시선을 유도하여 교통안전을 높이기 위해 식재하는 방법이다. 곡선반경이 작은 구간이나 회전하는 구간에서는 운전자가 전방을 제대로 볼 수 없어 사고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이러한 구간에서는 시선유도식재를 통해 운전자의 시선을 유도하여 안전한 운전을 할 수 있도록 한다. 이는 도로의 기능성을 높이는 것뿐만 아니라 교통안전성을 높이는 것에도 큰 도움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정연(整然)한 안정감과 포멀(formal)한 엄숙감을 자아내기 위해 사용하는 배식수법은?

  1. 대칭식재수법
  2. 점층식재수법
  3. 조화식재수법
  4. 대비식재수법
(정답률: 73%)
  • 대칭식재수법은 음식의 배치를 대칭적으로 배열하여 안정감과 엄숙감을 자아내는 배식수법이다. 이는 음식의 배치가 균형적이고 조화로워 보이기 때문에 포멀한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다. 따라서 정연한 분위기를 연출하기 위해 대칭식재수법이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구근(球根)으로만 짝지워진 것은?

  1. 아네모네, 거베라, 히야신스
  2. 데이지, 팬지, 작약
  3. 튤립, 크로커스, 샤스타데이지
  4. 크로커스, 백합, 튤립
(정답률: 75%)
  • 구근(球根)은 식물의 생식기로서, 지상부가 죽어도 지하에서 생명력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겨울철에는 지하에서 구근이 살아있는 상태로 있고, 봄이 되면 지상부가 자라나는 것입니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겨울철에 구근을 심어두면 봄에 아름다운 꽃을 볼 수 있습니다.

    그리고 크로커스, 백합, 튤립은 모두 구근으로 번식하는 꽃입니다. 따라서 이들은 구근으로만 짝지워진 것입니다. 반면, "아네모네, 거베라, 히야신스", "데이지, 팬지, 작약", "튤립, 크로커스, 샤스타데이지"는 구근 이외에도 씨앗, 줄기, 뿌리 등 다양한 방법으로 번식할 수 있기 때문에 구근으로만 짝지워진 것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동양 및 이란, 파키스탄, 지중해연안 등이 원산지이며, 우리나라 온대 남부 이남의 정원에 즐겨 심고 있는 석류나무(Punica granatum L.)의 특성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잎은 대생(對生)하고, 초여름에 개화한다.
  2. 번식이 잘되지 않으므로 이식은 상당히 어렵다.
  3. 식재지는 양지바른 사질양토지가 적합하다.
  4. 꽃은 양성화이고 5 ~6월경에 붉은 색으로 판다.
(정답률: 58%)
  • 석류나무는 번식이 씨앗으로 이루어지며, 씨앗의 발아율이 낮고 발아 시간도 오래 걸리기 때문에 이식이 어렵다. 따라서 번식을 위해서는 씨앗을 수확하여 적절한 처리를 거쳐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다음 수목 중 낙엽침엽교목인 수종은?

  1. Taxus cuspidata S. et Z.
  2. Ginkgo biloba L.
  3. Cephalotaxus koreana NAK.
  4. Tsuga-sieboldii CARR
(정답률: 60%)
  • 정답은 "Ginkgo biloba L." 입니다. 이는 낙엽침엽교목으로 분류되는 유일한 종으로, 다른 보기들은 모두 침엽수로 분류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여름철에 개화하는 조경수들로만 짝지어진 것은?

  1. 오동나무, 박태기나무, 왕벚나무
  2. 진달래, 산수유, 개나리
  3. 목련, 백목련, 일본목련
  4. 배롱나무, 자귀나무, 무궁화
(정답률: 92%)
  • 여름철에 개화하는 조경수들로만 짝지어진 것은 "배롱나무, 자귀나무, 무궁화" 이다. 이유는 이 세 가지 식물이 모두 여름철에 꽃을 피우기 때문이다. 다른 보기들은 봄이나 가을에 꽃을 피우는 식물들도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정답이 될 수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정형식 식재의 기본패턴이 아닌 것은?

  1. 대식
  2. 열식
  3. 교호식재
  4. 군식
(정답률: 60%)
  • 정형식 식재는 일정한 패턴에 따라 음식을 제공하는 것을 말하는데, "군식"은 이러한 패턴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군식은 군대나 학교 등에서 대규모로 제공되는 식사를 말하며, 일정한 패턴이나 규칙이 없는 경우가 많습니다. 따라서 군식은 정형식 식재의 기본패턴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다음 수목 중 뿌리분을 조개분 형태로 떠야 가장 좋은 것은?

  1. 잣나무
  2. 독일가문비
  3. 일본잎갈나무
  4. 왕버들
(정답률: 44%)
  • 잣나무는 뿌리가 깊게 파고들어 있어서 뿌리분을 조개분 형태로 떠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독일가문비와 일본잎갈나무는 뿌리가 얕아서 뿌리분을 조개분 형태로 떠면 생존율이 낮아집니다. 왕버들은 뿌리가 너무 복잡하고 얽혀있어서 뿌리분을 조개분 형태로 떠는 것이 어렵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수목은 지하수위의 높고 낮음에 따라 습한 지역에 잘자라는 수종과 건조 지역에 잘자라는 수종이 있다. 다음 수목 중 공원의 다습한 지역에 식재되었을 때 가장 잘 견디는 수종은?

  1. 향나무
  2. 가중나무
  3. 아카시아나무
  4. 메타세쿼이아
(정답률: 75%)
  • 메타세쿼이아는 습한 지역에서 잘 자라는 수종으로, 공원의 다습한 지역에 식재되었을 때 가장 잘 견디는 수종이다. 이는 메타세쿼이아가 뿌리를 깊게 내리며 지하수를 흡수하여 수분을 충분히 공급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메타세쿼이아는 빠른 성장력과 높은 경제적 가치를 가지고 있어 인기 있는 수목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나지(裸地)에 맨 처음 침입해 들어오는 식물을 가리키는 용어는?

  1. 극상종
  2. 선구식생
  3. 음수교육
  4. 양수교육
(정답률: 71%)
  • 나지(裸地)는 인간의 개입이 없는 자연환경으로, 처음에는 아무런 식물도 자라지 않은 상태입니다. 이때 나지에 처음 자라는 식물을 가리켜 "선구식생"이라고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선구식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다음 수종 중 잎은 대생으로 소엽은 일반적으로 3 ~5개 이며, 난형 또는 피침상 장타원형으로 길이는 5 ~ 10cm 정도이다. 단풍이 가장 노랗게 들며, 생장이 빨라 공원의 속성 조경식재용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Acer negundo
  2. Acer triflorum
  3. Acer palmatum
  4. Acer mono
(정답률: 50%)
  • "Acer negundo"는 잎이 대생으로 소엽이 3~5개이며, 단풍이 가장 노랗게 들며 생장이 빠르기 때문에 공원의 속성 조경식재용으로 가장 적합하다. "Acer triflorum"은 잎이 대생으로 소엽이 3~5개이지만, 단풍이 노란색이 아니며 생장이 느리다. "Acer palmatum"은 소엽이 5~7개이지만, 잎이 대각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단풍이 붉은색이다. "Acer mono"는 잎이 대생이 아니며, 소엽이 1~2개이며, 단풍이 노란색이 아니며 생장이 느리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다음 수종 중 방화효과가 특히 높은 수종은?

  1. 은행나무
  2. 삼나무
  3. 단풍나무
  4. 느티나무
(정답률: 60%)
  • 은행나무는 잎이 불에 타도 잎사귀가 떨어지지 않고 불을 막아주는 특징이 있어 방화효과가 높은 수종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골프(Golf)장 식재 설계에 대한 설명으로 부적합한 것은?

  1. 그린 주변은 주로 낙엽교목을 식재하여 그늘을 제공한다.
  2. 골프자으이 요소 요소에 랜드마크(landmark) 식재 설계를 한다.
  3. 러프지역은 벤트그래스(bentgrass)를 식재하지 않아도 좋다.
  4. 각 홀(hole)마다 경관의 특색이 있도록 설계한다.
(정답률: 57%)
  • "그린 주변은 주로 낙엽교목을 식재하여 그늘을 제공한다."가 부적합한 설명이다. 이는 오히려 그린 주변에 그늘을 제공하여 골프를 하는 동안 선수들이 불편함을 느낄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그린 주변은 주로 낙엽나무가 아닌 저목성 식물이나 잔디를 식재하여 깔끔하고 편안한 분위기를 조성하는 것이 좋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식생구조 분석시 군집의 안정성 및 성숙도를 표한하는 지표인 종다양도를 분석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방법이 아닌 것은?

  1. 중요도(importance value)
  2. 우점도(dominance)
  3. 적합도(fidelity)
  4. Shannon의 다양도 지수
(정답률: 39%)
  • 적합도(fidelity)는 종다양도와는 관련이 없는 지표로, 분석 대상 종의 생태적 특성과 환경 요인을 고려하여 해당 종이 얼마나 적합한 환경에서 서식하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따라서 종다양도를 분석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중요도(importance value), 우점도(dominance), Shannon의 다양도 지수 등이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방음식재(防音植栽) 기법(技法)으로 틀린 것은?

  1. 소음원(騷音源)에 가까이 식재할 것
  2. 지엽(枝葉)이 치밀하고 무성한 교목(喬木)수종을 식재할 것
  3. 상록수보다 잎이 넓은 낙엽수를 식재할 것
  4. 수림(樹林)의 폭이 넓게 식재할 것
(정답률: 46%)
  • "상록수보다 잎이 넓은 낙엽수를 식재할 것"은 틀린 것이다. 방음식재 기법에서는 상록수보다는 낙엽수가 더 효과적이라고 알려져 있으며, 이는 낙엽수가 겨울철에 잎을 떨어뜨리기 때문에 여름철에는 소음을 막는 효과가 더 크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록수보다 잎이 넓은 낙엽수를 식재할 것"은 잘못된 정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다음 용토(用土) 중 옥상조경용 인공용토가 아닌 것은?

  1. 버미큘라이트
  2. 펄라이트
  3. 피트
  4. 부엽토
(정답률: 74%)
  • 부엽토는 인공적으로 만들어진 용토가 아니라 자연에서 발생하는 용토로, 옥상조경용으로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반면, 버미큘라이트, 펄라이트, 피트는 인공적으로 만들어져 옥상조경용으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조경시공

41. 보(Beam)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게르버보란 단순보와 내민보를 조합한 것이다.
  2. 의 그림은 켄틸레버보를 나타낸다.
  3. 고정보는 1개의 보를 3개 이상의 지점으로 지지하고 있는 것이다.
  4. 단순보는 1개의 보가 양단으로 지지되어 그 1단은 회전지점으로 타단은 하중지점으로 지지하고 있는 것이다.
(정답률: 65%)
  • 보(Beam)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고정보는 1개의 보를 3개 이상의 지점으로 지지하고 있는 것이다." 이다. 고정보는 2개 이상의 보를 3개 이상의 지점으로 지지하고 있는 것이다. 이는 보의 강도와 안정성을 높이기 위한 방법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살수 관계시설의 설계시 살수강도를 결정하는데 영향을 주는 요인에 해당하지 않은 것은?

  1. 토양의 흡수력
  2. 식물의 살수요구량
  3. 공급수량을 살수하는 시간계획
  4. 강우강도
(정답률: 48%)
  • 강우강도는 살수 관계시설의 설계시 고려해야 할 요인 중 하나가 아닙니다. 강우강도는 비가 내리는 양과 속도를 나타내는 지표이며, 살수 관계시설의 설계시에는 고려하지 않아도 됩니다. 살수 관계시설의 설계시 고려해야 할 요인은 토양의 흡수력, 식물의 살수요구량, 공급수량을 살수하는 시간계획 등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축척 1/500 도상에서 어느 구역의 면적을 구하여 35.5 cm2를 얻었다. 이 구역의 실제면적은 몇 m2 인가?

  1. 88.7
  2. 704.2
  3. 887.5
  4. 7042.2
(정답률: 63%)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교통용량이 최대가 되는 속돌서 이론적으로 교통용량을 생각할 때 사용되는 속도는?

  1. 지점속도(地點速度)
  2. 주행속도(走行速度)
  3. 구간속도(區間速度)
  4. 임계속도(臨界速度)
(정답률: 44%)
  • 교통체증이 발생하는 경우, 차량들이 서로 밀집하여 움직이기 어려워지기 때문에 교통량이 감소하게 됩니다. 이때, 차량들이 움직이는 속도가 일정한 임계속도 이하로 떨어지면 교통체증이 발생하게 됩니다. 따라서 교통용량이 최대가 되는 속도는 이 임계속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광원(光源)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백열등 : 광색이 따뜻한 느낌을 주기 때문에 휴식공간 조명에 적당하고, 수명이 짧다.
  2. 나트륨등 : 적색을 띤 독특한 광색으로 열효율이 낮고 투시성이 수은등에 비하여 낮다.
  3. 형광등 : 관 내벽의 형광체를 자극시켜 가시부에서 형광을 발산하도록 하는 방전등으로 광속도가 낮아 빛이 부드럽다.
  4. 수은등 : 수은증기압을 고압으로 가압하여 고효율의 광원을 얻는다. 고압수은등은 가시광서을 다량 방출하므로 도로조명, 공장조명, 투광조명에 널리 사용된다.
(정답률: 62%)
  • 나트륨등의 설명 중 "열효율이 낮고 투시성이 수은등에 비하여 낮다"는 부분이 틀린 것이다. 나트륨등은 열효율이 높아서 에너지 손실이 적고, 투시성도 수은등에 비해 높아서 더 밝은 빛을 내보낸다. 따라서, 정답은 "나트륨등 : 적색을 띤 독특한 광색으로 열효율이 높고 투시성이 수은등에 비해 높다."가 되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공사용 석재 중 일반적으로 암질은 연하고 다공질로서 흡수율이 높으나 압축강도가 떨어지는 것은?

  1. 화강암
  2. 응회암
  3. 대리석
  4. 안산암
(정답률: 50%)
  • 응회암은 일반적으로 연하고 다공질이며 흡수율이 높은 특징을 가지고 있지만, 압축강도가 낮은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공사용 석재로 사용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아래 그림을 보고 각주(角柱)공식에 의해 계산한 토량은? (단, 각 단면은 직사각형이고, 단위는 m 이다.)

  1. 924 m3
  2. 462 m3
  3. 304 m3
  4. 262 m3
(정답률: 48%)
  • 각주(角柱)의 부피 공식은 밑면의 넓이와 높이를 곱한 것이다. 따라서 각 단면의 넓이를 구하고, 이를 모두 더한 후 높이인 4m를 곱하면 된다.

    첫 번째 단면의 넓이는 6m × 4m = 24m2 이다.
    두 번째 단면의 넓이는 8m × 4m = 32m2 이다.
    세 번째 단면의 넓이는 10m × 4m = 40m2 이다.

    따라서 총 부피는 (24m2 + 32m2 + 40m2) × 4m = 304m3 이다.

    따라서 정답은 "304 m3"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적산에서 수량의 환산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모따기 또는 물구멍과 콘크리트 구조물중의 말뚝머리의 체적 및 면적은 구조물의 수량에서 공제하지 아니한다.
  2. 수량의 단위 및 소수위는 표준품셈 단위표준에 의한다.
  3. 수량의 계산은 지정 소수위 이하 2위까지 구하고 끝수는 4사 5입 한다.
  4. 곱하거나 나눗셈에 있어서는 기재된 순서에 의하여 계산하고, 분수는 약분법을 쓰지 않는다.
(정답률: 64%)
  • "수량의 계산은 지정 소수위 이하 2위까지 구하고 끝수는 4사 5입 한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수량의 계산에서는 지정된 소수 자리수까지 구하고, 끝자리는 반올림하여 계산합니다. 일반적으로 4사 5입은 반올림의 예시 중 하나이지만, 모든 경우에 해당하는 것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다음 그림과 같은 단순보에 등분포 하중이 작용할 때 최대 휨모멘트는?

(정답률: 48%)
  • 최대 휨모멘트는 보의 중간 지점에서 발생합니다. 이는 등분포 하중이 좌우 대칭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조경재료 중 할증률을 가장 높게 채택하는 것은?

  1. 포장용 시멘트
  2. 마름돌 시공용의 원석
  3. 목재 판재
  4. 페인트공의 도료
(정답률: 62%)
  • 마름돌 시공용의 원석은 자연석으로서 다른 조경재료에 비해 채취 및 가공 비용이 높고 수급이 제한적이기 때문에 할증률이 가장 높게 책정되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설계서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1. 공사시방서
  2. 공사입찰유의서
  3. 물량내역서
  4. 설계되면
(정답률: 64%)
  • 공사입찰유의서는 설계서와는 별도의 문서로, 공사 입찰 시에 제출하는 문서입니다. 따라서 설계서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공사입찰유의서는 입찰자들이 공사에 참여하기 전에 알아야 할 사항들을 안내하고, 입찰서 작성 시 참고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입찰계약 순서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입찰공고 – 현장설명 – 입찰 – 계약 – 낙찰 – 개찰
  2. 입찰공고 – 낙찰 – 계약 – 개찰 – 입찰 – 현장설명
  3. 입찰공고 – 계약 – 낙찰 – 개찰 – 입찰 – 현장설명
  4. 입찰공고 – 현장설명 – 입찰 – 개찰 – 낙찰 – 계약
(정답률: 80%)
  • 입찰공고는 입찰에 참여할 수 있는 기업들에게 입찰서를 제출하도록 알리는 공고이며, 현장설명은 입찰자들이 현장을 방문하여 실제 상황을 파악하고 질문에 대한 답변을 받는 시간입니다. 따라서 입찰 전에 현장설명이 이루어지는 것이 가장 적합합니다. 입찰 후에는 개찰이 이루어지고, 낙찰자가 결정되면 계약을 체결합니다. 따라서 "입찰공고 – 현장설명 – 입찰 – 개찰 – 낙찰 – 계약"이 가장 적합한 순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옹벽의 안정성을 고려할 때 필요한 요건이 아닌 것은?

  1. 활동(sliding)
  2. 전도(overturning)
  3. 침하(沈下, sinking)
  4. 크리프(creep)
(정답률: 48%)
  • 크리프는 시간이 지나면서 점진적으로 변형되는 현상으로, 옹벽의 안정성을 고려할 때 필요한 요건이 아닙니다. 활동, 전도, 침하는 옹벽의 안정성을 평가하는 중요한 요건으로 각각 지반의 이동, 기울기, 하중에 대한 지반의 변형을 고려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다음 그림과 같은 힘이 작용할 때 점 A에 대한 모멘트는?

  1. 48 kg·m
  2. 50 kg·m
  3. 96 kg·m
  4. 192 kg·m
(정답률: 32%)
  • 점 A에 대한 모멘트는 힘의 크기와 그 힘이 작용하는 위치에 따라 결정됩니다. 이 경우, 힘은 4m의 위치에서 작용하고, 그 크기는 48kgf입니다. 따라서, 모멘트는 4m × 48kgf = 192kg·m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리어카의 1회 운반량은 250 kg 이다. 콘크리트를 현장배합 하기 위해 시멘트 2 m3를 동시에 운반할 때 리어카는 몇대가 필요한가? (단, 시멘트의 단위중량은 1500 kg/m3 이다.)

  1. 4대
  2. 6대
  3. 8대
  4. 12대
(정답률: 62%)
  • 시멘트의 용적중량은 1500 kg/m3 이므로 2 m3의 시멘트 중량은 1500 x 2 = 3000 kg 이다.

    하나의 리어카는 250 kg 운반 가능하므로, 3000 kg을 운반하기 위해서는 3000 ÷ 250 = 12 대의 리어카가 필요하다.

    따라서 정답은 "12대"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조경시설과 관련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동적인 놀이시설(그네, 미끄럼틀 등)은 시설물 주위로 2m 이상의 이용공간을 확보한다.
  2. 정적인 놀이시설(흔들말, 시소 등)은 시서물 주위로 1m 이상 이용공간을 확보한다.
  3. 미끄럼판의 기울기는 40° ~ 45° 로 재질을 고려하여 설계한다.
  4. 도섭지 물의 깊이는 안전성을 고려하여 30cm 이내로 한다.
(정답률: 30%)
  • 도섭지 물의 깊이는 안전성을 고려하여 30cm 이내로 한다. 이는 어린 아이들이 놀이를 하다가 물에 빠져도 위험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물이 너무 깊으면 아이들이 빠져도 바닥에 닿지 않아 의식을 잃거나 물에 빠져서 위험해질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도섭지 물의 깊이는 안전을 위해 30cm 이내로 유지되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돌쌓기 시공에 대한 설명으로 부적합한 것은?

  1. 찰쌓기시 2 ~ 3m2 당 1개소 이상의 물뽑기를 설치한다.
  2. 찰쌓기시 물구멍은 지름 3 ~ 6cm 의 대나무 혹은 파이프를 콘크리트 뒷면까지 설치한다.
  3. 메쌓기 본 품은 높이 3m 까지 적용하며, 이를 초과한 3 ~ 4m 까지는 별도로 30%를 가산할 수 있다.
  4. 경사도가 1 : 1 보다 완만한 경우를 돌쌓기라 하고, 경사도가 1 : 1 보다 급한 경우를 돌붙임이라 한다.
(정답률: 48%)
  • "찰쌓기시 2 ~ 3m2 당 1개소 이상의 물뽑기를 설치한다."는 돌쌓기 시공과는 관련이 없는 내용이므로 부적합하다.

    경사도가 1 : 1 보다 완만한 경우를 돌쌓기라 하고, 경사도가 1 : 1 보다 급한 경우를 돌붙임이라 하는 이유는, 경사도가 완만한 경우에는 돌을 쌓는 것만으로도 충분한 지탱력을 가질 수 있지만, 경사도가 급한 경우에는 돌을 붙여서 지탱력을 높여야 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수조, 풀장, 지하실 등 압력수가 작용하는 구조물로서 방수성(防水性)을 크게 하고 흡수성을 적게 한 콘크리트는?

  1. 중량콘크리트
  2. 경량콘크리트
  3. 쇄석콘크리트
  4. 수밀콘크리트
(정답률: 89%)
  • 수밀콘크리트는 물과 시멘트 비율을 적게하여 압력수가 작용해도 물이 적게 스며들어 방수성이 높고, 고강도의 시멘트와 미세한 미립자를 사용하여 흡수성이 적어져 압력수에 강하며 내구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수조, 풀장, 지하실 등에 적합한 콘크리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포장(paving)과 관련된 설명 중 틀린 것은?

  1. 포장은 설계 전에 이용목적, 이용상황, 이용행태 등의 사회·행태적 조건을 고려하여야 한다.
  2. 콘크리트 조립블록의 보도용 두께는 6cm로, 차도용 두께는 8cm로 한다.
  3. 포장은 우수 유출량을 줄어 들게 한다.
  4. 콘크리트 포장은 온도변화에 따라 수축과 팽창이 생긴다.
(정답률: 84%)
  • "포장은 우수 유출량을 줄어 들게 한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포장은 오히려 우수 유출량을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포장으로 인해 지표면이 단단해지면서 비가 내리면 물이 바로 흡수되지 않고 표면을 따라 흐르게 되어 유출량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취성(脆性, birttleness)이 큰 재료로만 짝지어진 것은?

  1. 주철, 유리
  2. 목재, 섬유
  3. 납, 금
  4. 고무, 구리
(정답률: 74%)
  • 주철과 유리는 분자 구조가 규칙적이지 않아서 결함이 쉽게 발생하고, 이로 인해 취성이 크기 때문에 짝지어진 것입니다. 목재와 섬유는 유연성이 크기 때문에 취성이 작고, 납과 금은 둘 다 연성이 크기 때문에 취성이 작습니다. 고무와 구리는 둘 다 유연성이 크기 때문에 취성이 작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조경관리

61. 종자 비료 그리고 흙을 혼합하여 망(net)에 넣고 비탈면의 수평으로 판 골(骨) 속에 넣어 붙이는 공법으로 유실이 적으며, 유연성이 있기 때문에 지반에 밀착하기 쉬운 것은?

  1. 식생띠(带)공
  2. 식생판(板)공
  3. 식생자루(袋)공
  4. 식생구멍(穴)공
(정답률: 75%)
  • 식생자루(袋)공은 종자, 비료, 흙을 혼합하여 망에 넣고 비탈면의 수평으로 판 골 속에 넣어 붙이는 공법으로, 이 공법은 유실이 적고 유연성이 있어 지반에 밀착하기 쉽기 때문에 선택되었다. 다른 보기들은 이와 같은 특징을 가지고 있지 않기 때문에 정답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조경분야의 유지관리 범위로 볼 수 없는 것은?

  1. 정기검사
  2. 청소 및 보수
  3. 정지, 전정
  4. 증축, 신축
(정답률: 78%)
  • 조경분야의 유지관리 범위는 이미 완성된 조경시설물의 유지보수와 관련된 것이므로, 증축이나 신축과 같이 새로운 시설물을 건설하는 것은 해당 범위에 포함되지 않는다. 따라서 정답은 "증축, 신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분제(입제포함)의 물리적 성질로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현수성(suspensibilityy)
  2. 비산성(floatability)
  3. 부착성(adhesiveness)
  4. 토분성(dustibility)
(정답률: 47%)
  • 현수성은 입자가 물 속에서 얼마나 잘 분산되는지를 나타내는 물리적 성질입니다. 따라서 다른 성질들과는 달리 입자가 물 속에서 분산되는 정도에 따라 거리가 먼 것으로 선택되었습니다. 비산성은 물 위에 떠 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성질이며, 부착성은 입자가 표면에 부착되는 정도를 나타내는 성질입니다. 토분성은 입자가 공기 중에서 얼마나 쉽게 떠다니는지를 나타내는 성질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수목에 결핍된 양분과 그에 따른 결핍현상의 설명으로 부적합한 것은?

  1. P : 활엽수의 경우 꽃이 적게 맺히고 열매가 작아진다.
  2. K : 묘목의 경우 수고가 낮아지고 눈이 많이 달리며 서리의 피해를 받기 쉽다.
  3. Ca : 침엽수의 경우 정단부분의 생육이 정지되며 잎의 끝부분이 고사한다.
  4. S : 활엽수의 경우 백화 또는 괴사현상을 보인다.
(정답률: 31%)
  • S : 활엽수의 경우 백화 또는 괴사현상을 보인다. - 이는 부적합한 설명이다. 활엽수는 일반적으로 침엽수보다 양분 요구량이 적고, 토양의 pH가 적절하면 잘 자라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활엽수가 양분 결핍으로 인해 백화 또는 괴사현상을 보이는 것은 일반적인 경우가 아니다.

    이유 : 활엽수는 침엽수에 비해 더 적은 양분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양분 결핍으로 인한 백화 또는 괴사현상은 일반적인 경우가 아니다. 다만, 토양 pH가 적절하지 않거나, 과도한 건조 또는 과습 등의 환경적 요인으로 인해 생장이 억제되거나, 병해충의 공격을 받는 등의 이유로 백화 또는 괴사현상을 보일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향나무에 형성된 배나무 붉은별무늬병균(赤星病菌)의 포자형태는?

  1. 여름 포자(夏胞子)
  2. 겨울 포자(冬胞子)
  3. 녹포자(錄胞子)
  4. 분생포자(分生胞子)
(정답률: 24%)
  • 배나무 붉은별무늬병균의 겨울 포자는 겨울철에 형성되며, 나무의 속에서 장기간 생존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겨울 포자는 병균의 장기간 생존과 전파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안전관리에서 사고의 종류는 설치하자에 의한 사고, 관리하자(瑕疵)에 의한 사고, 이용자, 보호자, 주최자 등의 부주의에 의한 사고 등으로 구별된다. 이 중 관리하자에 대한 대책에 해당하는 것은?

  1. 시설배치의 미비점을 보완
  2. 구조 재질상 안전에 대한 문제 여부 파악
  3. 이용자 부주의에 의한 사고를 예상
  4. 시설 노후 파손에 대한 내구연소를 파악
(정답률: 48%)
  • 정답은 "시설 노후 파손에 대한 내구연소를 파악"이다. 이는 관리하자에 의한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시설의 내구성을 파악하고 노후 파손을 예방하기 위한 대책을 마련하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이다. 시설의 내구성을 파악하면 시설의 수명을 연장시키고 안전한 이용을 보장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조경과리는 크게 유지관리, 운영관리, 이용관리로 구분하는데, 이용관리에 속하는 것은?

  1. 조직관리
  2. 재산관리
  3. 홍보관리
  4. 초화류관리
(정답률: 65%)
  • 조경과리의 이용관리는 시설물을 이용하는 사람들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관리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홍보관리는 시설물을 이용하는 사람들에게 정보를 제공하고, 시설물의 장점을 알리는 등 이용자들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홍보관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일반적으로 정원수 전정 방법으로 부적합한 것은?

  1. 수관내로 향한 가지는 자른다.
  2. 도장지는 가능한 한 모두 자른다.
  3. 가지는 외부의 가는 가지를 먼저 자르고, 그 다음 안쪽의 굵은 가지를 자른다.
  4. 가지를 자를 때에는 수관 위쪽에서부터 아래쪽으로, 또 수관 밖에서부터 안쪽으로 잘라 나간다.
(정답률: 55%)
  • "가지는 외부의 가는 가지를 먼저 자르고, 그 다음 안쪽의 굵은 가지를 자른다."가 부적합한 이유는 이 방법은 나무의 생장 방향과는 상관없이 가지의 두께와 위치에 따라 임의로 가지를 자르기 때문에 나무의 생장을 방해하고, 나무의 모양을 깨뜨릴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나무의 생장 방향과 모양을 고려하여 가지를 자르는 것이 중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콘크리트 포장의 유지 및 보수에 대한 설명으로 적당하지 않는 것은?

  1. 줄눈이나 균일이 생긴 부분은 더 이상 수축 팽창하지 않도록 시멘트 모르타르로 채워 넣는다.
  2. 슬래브 안정화 유지공법은 펌핑에 의한 슬래브 하부 공극을 시멘트 그라우트를 이용하여 공극을 채워 하부구조 지지력의 손실에 의한 단차나 우각부 균열을 방지하는데 이용된다.
  3. 비접착식 덧씌우기는 기존 콘크리트 포장과 콘크리트 덧씌우기 사이에 분리층을 두어 두 층을 분리하도록 설계된다.
  4. 콘크리트 포장 슬래브의 균열이 많아져서 전 구간에 걸쳐 파손될 염려가 있는 경우에는 전단면 보수를 한다.
(정답률: 42%)
  • "줄눈이나 균일이 생긴 부분은 더 이상 수축 팽창하지 않도록 시멘트 모르타르로 채워 넣는다."는 적당한 설명이다. 이유는 줄눈이나 균일이 생긴 부분은 콘크리트의 수축이나 팽창으로 인해 더 이상 움직이지 않기 때문에, 이 부분을 시멘트 모르타르로 채워 넣어서 보수하면 더 이상 파손되지 않도록 유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벤치나 야외탁자에 대한 전반적인 유지관리 방법으로 적당하지 않는 것은?

  1. 이요자 수가 설계시 예측한 것보다 많은 경우에는 개소를 증설한다.
  2. 노인, 주부 등이 장시간 머무르는 곳은 사용 빈도가 많으므로 영구성 측면에서 콘킈트 재료로 설치한다.
  3. 지면에 물이 고인 경우에는 배수시설을 설치한 후 지면을 재포장한다.
  4. 이용자의 사용빈도가 높을 경우 접한 부분의 볼트, 너트는 충분히 조이거나 되풀림 방지 용접을 한다.
(정답률: 74%)
  • "노인, 주부 등이 장시간 머무르는 곳은 사용 빈도가 많으므로 영구성 측면에서 콘킈트 재료로 설치한다."가 적당하지 않은 것이다. 이유는 콘크리트 재료는 경직성이 높아서 편안한 쉬는 자세를 취하기 어렵고, 땀이나 비가 내리면 미끄러워서 안전성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콘크리트 재료 대신 나무나 금속 등의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구조물에 의한 비탈면 보호공법 중 비탈면이 아래와 같은 상태일 때 가장 적합한 공법은?

  1. 편책공
  2. 콘크리트 격자형 블록공
  3. 식생 매트공
  4. 콘킈트 뿜어붙이기공
(정답률: 53%)
  • 비탈면이 아래와 같은 상태일 때 콘크리트 격자형 블록공이 가장 적합한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1. 비탈면이 경사가 심하지 않고 평탄한 경우에 적합합니다.
    2. 콘크리트 격자형 블록공은 격자 형태로 구성되어 있어서 비탈면의 경사에 따라 적절한 각도로 설치할 수 있습니다.
    3. 블록 간의 간격을 충분히 확보하여 물이 흐르는 것을 방지하고, 블록 내부에 채워진 콘크리트로 인해 높은 내구성을 보장합니다.
    4. 비교적 경제적인 가격으로 구매할 수 있어서 비용 효율적인 방법입니다.

    따라서, 비탈면이 위와 같은 상태일 때 콘크리트 격자형 블록공이 가장 적합한 공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정원수에 거적이나 짚을 감아주는 주 목적은?

  1. 일소(日燒)나 동해(凍害)를 방지하기 위해서
  2. 장식을 목적으로
  3. 수관의 발달을 촉진시키기 위해서
  4. 근계(根系)의 보호를 위해서
(정답률: 87%)
  • 정원수에 거적이나 짚을 감아주는 주 목적은 "일소(日燒)나 동해(凍害)를 방지하기 위해서"입니다. 이는 거적이나 짚이 흙 위에 놓여 있으면 흙이 빠르게 건조해 일소가 발생하거나, 겨울철에는 흙이 얼어 근계(根系)가 손상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거적이나 짚을 감아주면 흙의 수분 유지와 근계 보호에 도움이 되어 정원의 식물이 건강하게 자라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다음 농약 중 살충제가 아닌 것은?

  1. 이프로디온수화제(로브랄)
  2. 티오사이클람하이드로젠옥살레이트수화제(에비섹트)
  3. 펜티온유제(리바이짓드)
  4. 엔도설판유제(삼공지오릭스)
(정답률: 24%)
  • 이프로디온수화제(로브랄)은 살균제이며, 나머지 세 가지 농약은 모두 살충제입니다. 따라서 이프로디온수화제(로브랄)이 살충제가 아닌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다음 보기의 설명에 적합한 병은?

  1. 엽진병
  2. 흰가루병
  3. 그을음병
  4. 탄저병
(정답률: 74%)
  • 이 병은 잎에 검은 반점이 생기고, 그 반점 주위에 노란색 혹은 갈색으로 변색된 부분이 나타나는 것으로, 이는 탄저병의 특징이다. 엽진병은 잎이 노란색으로 변하고, 흰가루병은 잎에 흰가루처럼 덮이고, 그을음병은 잎이 마르고 검게 변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잡초의 종합방제를 선형특성(linear nature)의 파악과정을 통하여 계획 수립시 고려사항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잡초군락 조사
  2. 제초방법 선정
  3. 제초 필요성 검토
  4. 토양 특성 파악
(정답률: 40%)
  • 잡초의 종합방제를 선형특성의 파악과정을 통해 계획 수립할 때, 토양 특성 파악은 가장 거리가 먼 고려사항이다. 이는 제초제의 효과와 토양의 상태가 밀접한 관련이 있기 때문이다. 토양의 pH, 토양 유기물 함량, 토양 구조 등은 제초제의 효과를 크게 좌우할 수 있으므로, 토양 특성을 파악하여 적절한 제초제와 방법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영국의 로버트 헌터 등에 의하여 제창되어 파괴되어가고 있는 자연과 역사적 환경 등을 보전하기 위한 것은?

  1. 내셔널 트러스트
  2. 메트로 폴리탄 파크 시스템
  3. 커뮤니티 논프로핏 에이전시
  4. 비지터 매니지먼트
(정답률: 50%)
  • 내셔널 트러스트는 영국에서 자연과 역사적 환경 등을 보존하기 위해 설립된 비영리 단체로, 유적지와 자연공원 등을 관리하고 보호하며 대중에게 개방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이 단체가 영국의 로버트 헌터 등에 의해 파괴되어가고 있는 환경을 보존하기 위한 것입니다. 메트로 폴리탄 파크 시스템은 미국의 도시 공원 시스템, 커뮤니티 논프로핏 에이전시는 지역사회 발전을 위한 비영리 단체, 비지터 매니지먼트는 관광객 관리를 위한 단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병충해에 걸려 있는 나무나 수세가 쇠약한 나무에 수세를 회복하기 위하여 수간주입을 하는 시기로 가장 효과적인 시기는? (단, 맑게 갠 날에 실시한다.)

  1. 2월 초순 ~ 3월 하순
  2. 3월 하순 ~ 4월 초순
  3. 5월 초순 ~ 8월 하순
  4. 9월 하순 ~ 10월 하순
(정답률: 52%)
  • 병충해에 걸린 나무나 쇠약한 나무에 수세를 회복시키기 위해서는 나무가 생장하는 봄과 여름에 수간주입을 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입니다. 따라서 "5월 초순 ~ 8월 하순"이 가장 효과적인 시기입니다. "2월 초순 ~ 3월 하순"은 아직 날씨가 춥고 나무가 동면 상태이기 때문에 효과가 떨어집니다. "3월 하순 ~ 4월 초순"은 봄이 시작되어 나무가 생장하기 시작하지만 아직 날씨가 불안정하여 수간주입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 "9월 하순 ~ 10월 하순"은 가을이 되어 나무가 준비운동을 하기 시작하는 시기이기 때문에 효과가 떨어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해충을 가해습성에 따라 분류시 천공성 해충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소나무좀
  2. 바구미
  3. 방패벌레
  4. 박쥐나방
(정답률: 44%)
  • 천공성 해충은 나무를 통해 식물체액을 빨아먹는 해충으로, 소나무좀, 바구미, 박쥐나방은 모두 천공성 해충에 해당됩니다. 하지만 방패벌레는 나무를 먹지 않고, 대부분의 경우 실내에서 발견되는 가정용 해충으로 분류됩니다. 따라서 방패벌레는 천공성 해충에 해당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성토 비탈면의 점검을 위해 우선적으로 사전에 파악해 두어야 할 사항은?

  1. 비탈면의 집수 범위
  2. 비탈 어깨부분의 상태
  3. 비탈면 내의 용수 상태
  4. 주위의 유수 상태
(정답률: 25%)
  • 성토 비탈면의 점검을 위해 우선적으로 사전에 파악해 두어야 할 사항은 비탈면 내의 용수 상태, 비탈 어깨부분의 상태, 비탈면의 집수 범위, 그리고 주위의 유수 상태입니다. 주위의 유수 상태를 파악하는 것은 비탈면에서 발생할 수 있는 지하수 유출, 산사태, 홍수 등의 위험을 사전에 예방하기 위해서 중요합니다. 따라서, 비탈면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주위의 유수 상태를 파악하는 것이 필수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조경시설의 일반적은 유지관리 목표로서 가장 관계가 적은 것은?

  1. 조경공간과 조경시설을 항상 깨끗하고 정돈된 상태로 유지한다.
  2. 경관미가 있는 공간과 시설을 조성 유지한다.
  3. 공간과 모든 시설을 현대적인 분위기가 나도록 변경 혹은 개선한다.
  4. 이용자에게 쾌적하고 즐거운 오락기회를 제공 할 수 있도록 유지 관리한다.
(정답률: 79%)
  • "공간과 모든 시설을 현대적인 분위기가 나도록 변경 혹은 개선한다."는 조경시설의 유지관리 목표 중에서는 다른 항목들과는 관계가 적은 것이다. 이유는 다른 항목들은 조경시설의 유지관리에 필수적인 요소들이지만, "현대적인 분위기"는 선택적인 개선 사항으로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즉, 다른 항목들은 조경시설의 기본적인 유지관리를 위한 것이고, "현대적인 분위기"는 추가적인 개선을 위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