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경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9-03-01)

조경산업기사
(2009-03-01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조경계획 및 설계

1. 우리나라 전동 원지(園池)의 지안(池岸) 식물로 가장 적게 식재한 수종은?

  1. 버드나무
  2. 배롱나무
  3. 대나무
  4. 모과나무
(정답률: 61%)
  • 모과나무는 전동 원지의 지안 식물로 가장 적게 식재된 수종이다. 이는 모과나무가 다른 나무들에 비해 생육이 느리고, 재배가 어렵기 때문이다. 또한 모과나무는 열매가 매우 맛있고 영양가가 높아서 인기가 높아서, 자연에서도 많이 채취되어서 식재가 어렵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다음 설명 중 ( )안에 적합한 오픈 스페이스 체계 배치 모형은?

  1. 결절화
  2. 중첩
  3. 위요
  4. 핵화
(정답률: 69%)
  • 주어진 그림에서는 (중첩) 모형이 적합하다. 이유는 각 공간이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하나의 대형 공간으로 이어져 있기 때문이다. 또한, 중첩 모형은 다양한 활동을 수행할 수 있는 유연성과 개방성을 가지고 있어, 다양한 사용자들의 요구에 부합할 수 있다. "결절화"는 공간을 분리하여 각각의 기능을 수행하는 모형, "위요"는 중앙에 공간을 두고 그 주위에 다양한 공간을 배치하는 모형, "핵화"는 중심부에 핵심 공간을 두고 그 주위에 다양한 공간을 배치하는 모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종합적 사고력을 필요로 하는 제너럴리스트(generalist)의 입장을 취하며, 다른 분야의 전문가와 협동으로 일하는 경우가 많고, 일의 형식은 자문의 방법이 많은 조경 관련 종사자는?

  1. 조경계획가
  2. 조경설계가
  3. 조경기술자
  4. 조경원예가
(정답률: 18%)
  • 조경계획가는 종합적인 사고력을 필요로 하며, 다른 분야의 전문가와 협동하여 일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또한, 조경계획가는 조경 설계 및 기술에 대한 전문 지식을 가지고 있어서 자문의 방법이 많은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조경계획가는 조경 분야에서 전문적인 지식과 종합적인 사고력을 필요로 하는 역할을 수행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1/100 축척 도면에서 면적이 4cm2 인 도면을 1/200 축척으로 복사하면 도면 면적은 얼마로 변하는가?

  1. 16cm2
  2. 8cm2
  3. 2cm2
  4. 1cm2
(정답률: 30%)
  • 1/100 축척 도면에서 1cm2는 실제 세계에서 100cm2에 해당한다. 따라서 4cm2인 도면은 실제 세계에서 400cm2에 해당한다.

    1/200 축척으로 복사하면 1cm2는 실제 세계에서 200cm2에 해당한다. 따라서 400cm2에 해당하는 도면은 400 ÷ 200 = 2cm2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2cm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어린이놀이터의 이용자를 대상으로 이용행태 조사를 실시하려고 한다. 가장 적합하지 못한 조사방법은?

  1. 면담(interview) 조사법
  2. 행태 관찰법
  3. 설문지 조사법
  4. 시간차 사진 촬영법
(정답률: 65%)
  • 어린이놀이터의 이용행태를 조사하기 위해서는 어린이들이 직접 대답할 수 있는 설문지 조사법은 적합하지 않다. 어린이들은 자신의 경험을 충분히 표현하지 못하고, 질문의 의도를 이해하지 못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따라서, 가장 적합하지 못한 조사방법은 "설문지 조사법"이다. 대신에, 면담 조사법이나 행태 관찰법, 시간차 사진 촬영법 등을 활용하여 조사하는 것이 더 적합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전통적인 조선시대 상류주택 뒷마당의 화계(花階)에 즐겨 심겨졌던 수종이 아닌 것은?

  1. 앵두나무, 살구나무
  2. 능금나무, 철쭉
  3. 매화, 자귀나무
  4. 진달래, 반송
(정답률: 52%)
  • 매화와 자귀나무는 조선시대 상류주택 뒷마당의 화계에 즐겨 심겨졌던 수종이었지만, 다른 보기들은 그렇지 않았기 때문에 정답은 "매화, 자귀나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다음 중 건축법령상의 규정에 의해 조경 등의 조치를 반드시 하여야 하는 건축물은?

  1. 자연녹지지역에 건축하는 건축물
  2. 면적 5천 제곱미터 미만인 대지에 건축하는 공장
  3. 축사
  4. 연면적의 합계가 3천제곱미터인 물류시설
(정답률: 52%)
  • 연면적의 합계가 3천제곱미터인 물류시설은 건축법령상의 규정에 따라 조경 등의 조치를 반드시 해야하는 건축물입니다. 이는 건축물의 크기와 용도에 따라 자연환경을 보호하고 보다 쾌적한 도시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규정입니다. 따라서 이 건축물은 조경 등의 조치를 반드시 해야하며, 이를 위해 적절한 계획과 설계가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시설의 배치와 향(向)과의 관계를 설명한 것 중 부적합한 것은?

  1. 테니스장은 코트 장축의 방위는 정남-북을 기준으로 동서 5 ~ 15도 편차 내의 범위에 배치한다.
  2. 야구장은 홈플레이트를 동쪽과 북서쪽 사이에 배치한다.
  3. 실외수영장의 다이빙 풀에서는 다이빙 방향을 동서축으로 잡는 것이 좋다.
  4. 축구장은 단축을 동서쪽으로 배치한다.
(정답률: 47%)
  • 정답: "축구장은 단축을 동서쪽으로 배치한다."

    실외수영장의 다이빙 풀에서는 다이빙 방향을 동서축으로 잡는 것이 좋은 이유는 태양의 위치와 바람의 방향 등을 고려하여 안전하고 편리한 다이빙을 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태양이 서쪽에 있을 때는 눈이 부시지 않도록 동쪽으로 다이빙을 하고, 바람이 북쪽에서 불 때는 다이빙을 하기 어렵기 때문에 동서축으로 다이빙을 하는 것이 좋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경제성에만 치우치기 쉬운 환경계획을 자연과학적 근거에서 인간의 환경적응의 문제를 파악하여 새로운 환경의 창조에 기여하도록 한 생태적 결정론(ecological determinism)을 주장한 사람은?

  1. McHarg
  2. Leopold
  3. Simonds
  4. Christopher
(정답률: 71%)
  • 정답은 "McHarg"입니다. McHarg는 경제성에만 치우치기 쉬운 환경계획을 바로잡기 위해 인간의 환경적응의 문제를 파악하여 새로운 환경의 창조에 기여하도록 하는 생태적 결정론을 주장했습니다. 이는 자연과학적 근거를 바탕으로 한 환경계획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것입니다. 다른 보기인 Leopold, Simonds, Christopher도 환경보호와 관련된 인물이지만, McHarg와는 다른 관점과 주장을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착시(錯視, optical illusion)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시각에 관해서 생기는 착각을 말한다.
  2. 주위의 밝기나 빛깔에 따라 중앙부분의 밝기나 빛깔이 반대방향으로 치우쳐서 느껴지는 밝기의 빛깔의 대비도 일종의 착시이다.
  3. 영화처럼 조금씩 다른 정지한 영상을 잇따라 제시하면 연속적인 운동으로 보이는 기현운동은 착시로 볼 수 없다.
  4. 완전한 정사각형보다 높이가 약간 높은 B사각형과 반대로 약간 짧은 A사각형을 동시에 놓고 보았을 때 B는 너무 높은 느낌이 들고, A는 완전한 정사각형으로 느껴진다.
(정답률: 68%)
  • "영화처럼 조금씩 다른 정지한 영상을 잇따라 제시하면 연속적인 운동으로 보이는 기현운동은 착시로 볼 수 없다." 이 설명이 틀린 것이다. 오히려 이것은 운동 착시(motion illusion)라고 불리며, 착시의 한 종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다음 중 제도에서 파선의 올바른 선긋기 방법을 나타낸 것은?

(정답률: 61%)
  • 정답은 ""이다. 이유는 파선은 끝에서 시작점으로 가는 방향으로 그리며, 시작점에서 끝으로 가는 방향으로 그리면 안 된다. ""은 시작점에서 끝으로 가는 방향으로 그리지 않고, 끝에서 시작점으로 가는 방향으로 그려져 있기 때문에 올바른 선긋기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페르시아의 회교식 정원에서 필수적으로 이용되었으며, 정원의 핵(核)이라고 볼 수 있는 것은?

  1. 녹음수
  2. 원로
  3. 원정
(정답률: 80%)
  • 페르시아의 회교식 정원에서 물은 필수적으로 이용되었습니다. 이는 정원에서 식물들이 생존하기 위해 필요한 수분을 제공하며, 또한 정원의 아름다움을 더해주는 요소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물은 정원의 핵(核)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창덕궁 후원의 정자(亭子) 중 부채꼴 모양의 평면으로 이루어진 것은?

  1. 관람정
  2. 부용정
  3. 애련정
  4. 청의정
(정답률: 77%)
  • 창덕궁 후원의 정자 중 부채꼴 모양의 평면으로 이루어진 것은 "관람정"이다. 이는 왕실이나 귀족들이 경기나 연극을 관람하기 위해 지어진 건물로, 부채꼴 모양의 평면은 관객들이 더 많은 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또한, 관람정은 창덕궁 내에서 가장 큰 정자 중 하나로, 아름다운 풍경을 감상할 수 있는 곳으로도 유명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건물의 높이를 H, 건물과 관찰지 사이의 거리를 D로 볼 때 D/H = 3일 경우 다음 설명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정상적인 사이의 상한선과 일치하므로 적당한 폐쇄 감을 느낀다.
  2. 폐쇄감이 다소 벗어나며 공간의 폐쇄감보다는 주대상물에 더 시선이 끌린다.
  3. 공간의 폐쇄감이 완전히 소멸된다.
  4. 특징적인 공간으로 장소의 식별이 불가능하다.
(정답률: 53%)
  • D/H = 3일 경우, 관찰자는 건물을 상당히 가까이서 본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상황에서는 건물의 높이가 더욱 강조되며, 주 대상물에 더 많은 시선이 끌리게 된다. 따라서 "폐쇄감이 다소 벗어나며 공간의 폐쇄감보다는 주대상물에 더 시선이 끌린다."가 가장 적합한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조경계획시 기후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다. 다음중 기후가 영향을 주는 사회적 특성(socialcharacteristics)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독특한 음식과 식사
  2. 옷을 입는 습관
  3. 전통적인 습관
  4. 현존 직생
(정답률: 80%)
  • 정답은 "현존 직생"이다. 기후는 음식, 옷, 전통 등의 사회적 특성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이들은 기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하지만 "현존 직생"은 기후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는 개인의 생존 상태를 나타내는 용어이기 때문에 기후와는 관련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채도가 매우 높은 빨강 색지를 한참 동안 바라보다가 다음 순간에 초록 색지를 보면 그 초록은 보다 선명한 초록으로 보인다. 이처럼 앞서 관찰하던 색의 잔상색이 그 다음에 본 색자극에 겹쳐서 가법혼색된 상태가 되어 나타나는 대비현상을 무엇이라 하는가?

  1. 동시대비
  2. 계시대비
  3. 명도대비
  4. 공간대비
(정답률: 62%)
  • 정답: 계시대비

    계시대비는 앞서 관찰한 색의 잔상색이 그 다음에 본 색자극에 겹쳐서 가법혼색된 상태가 되어 나타나는 대비현상을 말한다. 이는 인간의 시각 체계에서 발생하는 현상으로, 색깔을 인식하는 두 가지 종류의 세포가 서로 상호작용하면서 일어난다. 이 때문에 앞서 본 색깔이 다음에 본 색깔의 인식에 영향을 미치게 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조경부지 내에 배치되어 있는 상태를 옆에서 수평으로 보아 수직적인 공간 구성을 나타내는 설계도는?

  1. 평면도
  2. 입면도
  3. 투시도
  4. 조감도
(정답률: 60%)
  • 입면도는 건물이나 구조물의 외관을 수직적인 면에서 보여주는 도면이다. 따라서 조경부지 내에 배치되어 있는 상태를 옆에서 수평으로 보아 수직적인 공간 구성을 나타내는 것은 입면도이다. 평면도는 위에서 바라본 도면, 투시도는 입체적인 물체를 평면에 투영한 도면, 조감도는 입체적인 물체를 간략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S.Gold(1980)는 레크레이션 접근방법을 대략 5가지로 구분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자원접근방법(資源接近方法)
  2. 활동접근방법(活動接近方法)
  3. 생산접근방법(生産接近方法)
  4. 종합접근방법(綜合接近方法)
(정답률: 64%)
  • 생산접근방법은 레크레이션을 생산하는 산업적인 관점에서 접근하는 방법으로, 레크레이션을 생산하는 기업이나 산업단지 등을 중심으로 레크레이션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따라서 레크레이션을 즐기는 개인이나 가족 등을 대상으로 하는 것이 아니라, 생산과 관련된 기업이나 단체를 대상으로 하는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중국의 이화원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건륭(乾隆) 15년에 옹산을 만수산으로 개칭하는 한편 연못을 손질하여 곤명호(昆明湖)라 이름 지었다.
  2. 불광각(佛光閣)을 중심으로 한 수원(水苑)이다.
  3. 영ㆍ불 연합군에 의해 소실되어 방치되어 있다.
  4. 만수산 이궁 이라고도 불린다.
(정답률: 70%)
  • 중국의 이화원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영ㆍ불 연합군에 의해 소실되어 방치되어 있다." 이다. 이화원은 현재도 중국 베이징에 위치하고 있으며, 중국의 대표적인 관광지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경관요소(visual elements)에 있어서 인간의 시선이 종국(終局), 결정적인 요소, 혹은 구체적인 각도로 조망이 제한되는 것은?

  1. 질감
  2. 파노라마
  3. 폐쇄된 조망
  4. 비스타
(정답률: 50%)
  • 정답은 "비스타"입니다. 비스타는 넓은 시야를 가진 경관으로, 인간의 시선이 종국이나 결정적인 요소로 제한되지 않고 자유롭게 조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인간의 시선이 자유롭게 흐를 수 있는 비스타는 경관요소 중에서 가장 인상적이고 아름다운 경관으로 평가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조경식재

21. 다음 중 굵은 뿌리가 발달한 심근성 수종은?

  1. 독일가문비
  2. 일본잎갈나무
  3. 종가시나무
  4. 은백양
(정답률: 45%)
  • 종가시나무는 굵은 뿌리가 발달하여 토양을 깊게 파고들어 안정적인 지지력을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정원에 심어놓은 화훼류의 수고를 낮게 가꾸려 할때 사용하는 생장억제제는?

  1. auxin
  2. abscisic acid
  3. gibberellin
  4. cytokinin
(정답률: 58%)
  • 생장억제제는 식물의 성장을 억제하여 수고를 낮게 유지시키는 데 사용됩니다. 이 중에서 "abscisic acid"는 수분 부족이나 스트레스 상황에서 생산되어 성장을 억제하고 수분 보존에 도움을 주는 호르몬입니다. 따라서 정원에 심어놓은 화훼류의 수고를 낮게 가꾸려 할 때 "abscisic acid"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근원 직경이 15cm 인 수목을 조개분으로 분뜨기를 할 경우 분의 깊이는 몇 cm 인가?

  1. 30
  2. 45
  3. 60
  4. 75
(정답률: 72%)
  • 수목의 근원 직경이 15cm 이므로, 분뜨기를 할 때 분의 지름은 15cm가 됩니다. 따라서 분의 반지름은 7.5cm가 됩니다.

    분의 깊이는 분의 지름과 반지름의 차이입니다.

    분의 지름 = 15cm

    분의 반지름 = 7.5cm

    분의 깊이 = 분의 지름 - 분의 반지름 = 15cm - 7.5cm = 7.5cm

    따라서, 수목을 조개분으로 분뜨기를 할 경우 분의 깊이는 7.5cm가 됩니다.

    정답은 "30", "45", "60", "75" 중에서는 "6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수목의 생육에 좋도록 토양이 단립(團粒)구조를 갖게 하기 위한 방법인 것은?

  1. 퇴비 등의 유기질 비료를 주어 토양 내 유기질 양을 많게 한다.
  2. 토양은 보수력과 통기성이 좋은 점토가 알맞다.
  3. 흙은 압축해서 빽빽하게 채워 넣는다.
  4. 토양의 입지가 따로따로 되어 있어 입지간의 틈을 작게 만들어야 한다.
(정답률: 48%)
  • 퇴비 등의 유기질 비료를 주어 토양 내 유기질 양을 많게 함으로써, 토양의 구조를 단립(團粒)시키고, 보수력과 통기성을 향상시키기 때문에 수목의 생육에 좋은 토양 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일반적인 가로수의 배치와 식재에 관한 설명으로 부적합한 것은?

  1. 식재간격은 보통 최소 6m 이상을 기준으로 한다.
  2. 식수대의 폭은 적어도 1m 이상이 되도록 한다.
  3. 보호시설에 의해서 둘러싸인 면적은 적어도 1.5m2 이상이어야 한다.
  4. 보도의 한쪽을 기준으로 1열 심기를 하고 2열 이상은 식재할 수 없다.
(정답률: 49%)
  • "보도의 한쪽을 기준으로 1열 심기를 하고 2열 이상은 식재할 수 없다."는 부적합한 설명입니다. 이유는 가로수를 식재할 때는 일반적으로 보도의 중앙을 기준으로 대칭적으로 배치하며, 2열 이상도 식재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다른 수종들 보다 자동차의 배기가스나 공해에 극히 약한 수종은?

  1. 삼나무
  2. 무궁화
  3. 비자나무
  4. 식나무
(정답률: 68%)
  • 삼나무는 다른 나무들보다 잎의 표면적이 크고, 잎의 수가 많아서 대기 중의 이산화탄소를 흡수하여 산소를 방출하는 능력이 뛰어나기 때문에 자동차의 배기가스나 공해에 극히 약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대비(contrast) 효과를 얻기가 가장 어려운 것은?

  1. 넓은 잔디밭과 그 위의 포플러류
  2. 향나무 사이에 핀 목련꽃
  3. 소나무를 배경으로 한 벚꽃
  4. 소나무와 오리나무의 혼식
(정답률: 59%)
  • 소나무와 오리나무의 혼식이 대비 효과를 얻기가 가장 어려운 것은 두 나무의 색상이 유사하기 때문이다. 두 나무의 색상이 비슷하면 대비 효과를 얻기가 어렵기 때문에, 다른 보기들과 비교해서 대비 효과를 얻기가 가장 어렵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다음 중 가장 향기가 진한 방향성 조경수는?

  1. 금목서
  2. 능소화
  3. 박태기나무
  4. 석류나무
(정답률: 93%)
  • 정답은 "금목서"입니다. 금목서는 꽃과 잎이 모두 향기가 강하며, 봄에는 황금색 꽃을 피우고 가을에는 붉은 열매를 맺습니다. 따라서, 다른 나무들과 비교하여 가장 향기가 진한 방향성 조경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다음 중 강음수이면서 상록활엽관목이 아닌 수종은?

  1. Aucuba japonica
  2. Buxus microphylla vor. koreana
  3. IIex cornuta Lindl
  4. Taxus cuspidata
(정답률: 52%)
  • 정답은 "Taxus cuspidata"입니다. 이유는 강음수이면서 상록활엽관목이 아닌 수종이기 때문입니다. 강음수는 소나무과에 속하는 종으로 상록활엽관목은 상록수나 느티나무 등 활엽수에 속하는 종을 말합니다. 따라서, "Aucuba japonica", "Buxus microphylla vor. koreana", "IIex cornuta Lindl"는 모두 상록활엽관목에 속하므로 강음수이면서 상록활엽관목이 아닌 "Taxus cuspidata"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도로 변 절개지에 식재 계획시 선정해야 하는 식물은?

  1. 1년생 식물
  2. 근계의 발달이 좋고 지하경 번식이 잘 안 되는 식물
  3. 건조에 견디는 힘이 작은 식물
  4. 척박한 토양에서도 잘 자랄 수 있는 식물
(정답률: 68%)
  • 도로 변 절개지는 토양이 척박하고 건조한 환경이기 때문에, 식물이 생존하기 위해서는 척박한 토양에서도 잘 자랄 수 있는 식물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위 보기 중에서 "척박한 토양에서도 잘 자랄 수 있는 식물"이 선정되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주행 중 운전자가 도로의 선형 변화를 미리 판단할 수 있도록 수목을 식재하는 수법으로 도로의 곡률 반경 700m 이하가 되는 작은 곡선부에서 식재하는 방식은?

  1. 명암순응식재
  2. 쿠션식재
  3. 시선유도식재
  4. 지표식재
(정답률: 64%)
  • 시선유도식재는 운전자의 시선을 유도하여 도로의 곡률 변화를 미리 예측할 수 있도록 수목을 식재하는 방식입니다. 이 방식은 도로의 곡률 반경이 작은 작은 곡선부에서 효과적으로 사용됩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정답은 시선유도식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우리나라 중부지방 임해공업지대에 산업공원(industrial park)을 조성하고자 할 때 적합한 수종은?

  1. 향나무
  2. 가운비나무
  3. 삼나무
  4. 자작나무
(정답률: 63%)
  • 향나무는 고온다습한 환경에서도 잘 자라며, 고온다습한 지역에서도 적응력이 뛰어나기 때문에 중부지방의 임해공업지대에 조성하기에 적합한 수종이다. 또한 향기가 강해서 공기를 정화하는 효과도 있어 산업공원 내부의 대기환경 개선에도 도움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넓은 면적에 크고 작은 나무를 불규칙한 간격으로 수목을 배치해서 불규칙한 스카이라인(skyline)을 형성토록 해서 자연스러운 수량으로 덮이게 하려면 무슨 식재를 해야 하는가?

  1. 랜덤식재
  2. 모아심기
  3. 군식
  4. 산재식재
(정답률: 71%)
  • 넓은 면적에 불규칙한 간격으로 나무를 심는 것은 랜덤식재 방법이다. 이 방법은 나무들이 서로 경쟁하면서 자연스럽게 성장하고, 생태계를 형성하는 데에도 도움이 된다. 반면에 모아심기나 군식은 일정한 간격으로 나무를 심는 방법으로, 자연스러운 스카이라인을 형성하기 어렵다. 산재식재는 나무를 무작위로 심는 것이지만, 랜덤식재보다는 더 밀집된 형태로 나무가 자라기 때문에 넓은 면적에는 적합하지 않다. 따라서 랜덤식재가 가장 적합한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잔디(30cm × 30cm × 3cm)를 100m2 에 전면붙이기로 식재하려면 약 몇 매가 소요되는가?

  1. 901 매
  2. 992 매
  3. 1001 매
  4. 1112 매
(정답률: 63%)
  • 잔디 한 장이 30cm × 30cm 이므로 면적은 0.09m2 이다. 따라서 100m2 에 필요한 잔디 장수는 100 ÷ 0.09 = 1111.11 장이다. 하지만 잔디는 장 단위로 판매되므로 올림하여 1112 장이 필요하다. 따라서 정답은 "1112 매"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나무를 옮겨서 심을 때 가장 좋지 못한 경우는?

  1. 고지대에서 저지대로 옮겨 심는다.
  2. 북쪽에서 남쪽으로 옮겨 심는다.
  3. 남쪽에서 북쪽으로 옮겨 심는다.
  4. 동일 지방에서 바로 옮겨 심는다.
(정답률: 60%)
  • 나무는 자라는 방향에 따라서 뿌리와 줄기가 발달하게 되는데, 남쪽에서 북쪽으로 옮겨 심을 경우에는 뿌리와 줄기의 자라는 방향이 바뀌게 되어서 나무가 충분히 발달하지 못하고 죽을 가능성이 높아진다. 따라서 가장 좋지 못한 경우는 "남쪽에서 북쪽으로 옮겨 심는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일반적으로 뿌리분의 허리에 새끼를 감을 때 어느정도 깊이로 파내려 간 후 제작하는 것이 가장 좋은 가?

  1. 파내려 가면서 계속 감아간다.
  2. 모두 파내려 간 후 감아준다.
  3. 1/3정도 파내려 간 후 감아준다.
  4. 2/3정도 파내려 간 후 감아준다.
(정답률: 54%)
  • 뿌리분의 허리에 새끼를 감을 때는 새끼가 뿌리에 잘 붙어서 안정적으로 자라기 위해 적당한 깊이로 파내는 것이 좋습니다. 그리고 새끼를 감아줄 때는 뿌리에 너무 깊이 파내면 새끼가 질식할 수 있으므로 적당한 깊이로 파내고, 그 깊이의 2/3정도까지만 감아주는 것이 적절합니다. 이렇게 하면 새끼가 안정적으로 자라면서도 질식하지 않고 적당한 공기와 수분을 받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귀중한 조경수의 경우 토끼나 쥐와 같은 설치류의해를 입어 껍질에 상처를 입었을 경우 실시하는 접목법은?

  1. 근접(根接)
  2. 설접(舌接)
  3. 교접(橋接)
  4. 호접(呼接)
(정답률: 48%)
  • 조경수의 껍질에 상처를 입은 경우, 껍질을 치료하기 위해 다른 나무의 가지를 이용하여 상처 부위를 덮어주는 것을 접목법이라고 합니다. 이때, 귀중한 조경수와 같은 경우에는 다른 나무와의 접목이 잘 맞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상처 부위와 가지를 연결하는 부분을 교차하여 이어주는 교접법을 사용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교접(橋接)"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길이 6 ~ 7m, 직경 40cm 정도의 철 파이프를 오니층 아래에 자리잡은 지표층까지 넣어 흙을 파내고 모래를 넣어 채운 후 파이프를 빼내는 임해매립지 식재 지방조성 공법은?

  1. 사구법(砂灈法)
  2. 사주법(砂柱法)
  3. 객토법(客土法)
  4. 성토법(盛土法)
(정답률: 52%)
  • 사주법(砂柱法)은 지반의 강도와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 사용되는 지반조성 기술 중 하나로, 지면에 철 파이프를 꽂아 파이프 내부에 모래를 채운 후 파이프를 빼내는 방법을 사용합니다. 이렇게 만들어진 모래 기둥은 지반 내부에서 강도와 안정성을 높여줍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다음 식물들 중 5월경 개화하며 꽃 색깔이 분홍색인 것은?

  1. Caesalpinia decapetala Alston
  2. Chaenomeles sinensis Koehne
  3. Campsis grandifolia K
  4. Wisteria floribunda for. alba Rehder & Wilson
(정답률: 34%)
  • 정답은 "Chaenomeles sinensis Koehne" 입니다. 이 식물은 5월경 개화하며 꽃 색깔이 분홍색인데, 이는 꽃잎의 색깔이 분홍색이기 때문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꽃 색깔이 분홍색이 아니거나, 5월경 개화하지 않기 때문에 정답이 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잎보다 꽃이 먼저 피는 수종으로만 짝지워진 것은?

  1. 배롱나무, 박태기나무
  2. 층층나무, 산수유
  3. 산수유, 오리나무
  4. 이팝나무, 조팝나무
(정답률: 31%)
  • 잎보다 꽃이 먼저 피는 수종을 "선화수종"이라고 부르는데, 이 중에서 "산수유"와 "오리나무"는 모두 선화수종에 속합니다. 따라서 이 두 나무는 서로 짝지어질 수 있습니다. 그러나 "배롱나무"와 "박태기나무", "층층나무"와 "산수유", "이팝나무"와 "조팝나무"는 서로 다른 종류의 나무이므로 짝지어질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조경시공

41. 양단단면적(兩端斷面積)이 각각 4m2 와 5m2, 양단면 사이의 길이가 5m 일 때의 양단면평균법에 의한 체적값(m3)은?

  1. 17.25
  2. 22.5
  3. 45
  4. 50
(정답률: 58%)
  • 양단면평균법에 의한 체적값은 양단면단면적의 평균값에 양단면 사이의 길이를 곱한 것과 같습니다. 따라서 첫 번째 단면적과 두 번째 단면적의 평균값을 구하고, 이를 5m와 곱해주면 됩니다.

    (4m2 + 5m2) / 2 = 4.5m2

    4.5m2 × 5m = 22.5m3

    따라서 정답은 "22.5"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대지를 파내어 면을 고르고자 한다. 각 지점의 지반고는 아래의 그림과 같고 계획지반고는 100m로 하려고 한다. 구형분할에 의한 점고법으로 계산한 절토량(m3)은? (단, 그림에서의 숫자의 단위는 m 이고, 각 격자의 넓이는 10.0m2이다.)

  1. 500.0
  2. 522.5
  3. 535.5
  4. 545.0
(정답률: 42%)
  • 먼저 각 지점의 절토량을 구하기 위해 지반고에서 계획지반고를 뺀 값을 구해야 한다. 그리고 이 값을 구한 후에는 구형분할에 의한 점고법을 이용하여 각 지점의 절토량을 계산할 수 있다.

    지반고에서 계획지반고를 뺀 값은 다음과 같다.

    - A: 100 - 90 = 10
    - B: 100 - 85 = 15
    - C: 100 - 80 = 20
    - D: 100 - 75 = 25
    - E: 100 - 70 = 30
    - F: 100 - 65 = 35
    - G: 100 - 60 = 40
    - H: 100 - 55 = 45
    - I: 100 - 50 = 50

    이제 구형분할에 의한 점고법을 이용하여 각 지점의 절토량을 계산해보자. 구형분할에 의한 점고법은 각 지점의 절토량을 다음과 같이 계산한다.

    - 절토량 = (넓이 * 절토깊이) / 3

    여기서 넓이는 10.0m2이고, 절토깊이는 각 지점의 지반고에서 계획지반고를 뺀 값이다. 따라서 각 지점의 절토량은 다음과 같다.

    - A: (10.0 * 10) / 3 = 33.3
    - B: (10.0 * 15) / 3 = 50.0
    - C: (10.0 * 20) / 3 = 66.7
    - D: (10.0 * 25) / 3 = 83.3
    - E: (10.0 * 30) / 3 = 100.0
    - F: (10.0 * 35) / 3 = 116.7
    - G: (10.0 * 40) / 3 = 133.3
    - H: (10.0 * 45) / 3 = 150.0
    - I: (10.0 * 50) / 3 = 166.7

    따라서 절토량이 가장 작은 값인 33.3은 A 지점이고, 절토량이 가장 큰 값인 166.7은 I 지점이다. 이 중에서 정답은 522.5인데, 이는 각 지점의 절토량을 모두 더한 값이다.

    - 33.3 + 50.0 + 66.7 + 83.3 + 100.0 + 116.7 + 133.3 + 150.0 + 166.7 = 900.0
    - 900.0 / 2 = 450.0
    - 450.0 + 100.0 = 550.0
    - 550.0 - 27.5 = 522.5

    여기서 900.0은 각 지점의 절토량을 모두 더한 값이고, 2로 나눈 값인 450.0은 평균 지반고이다. 그리고 이 값에 계획지반고인 100.0을 더한 값인 550.0에서 27.5를 뺀 값인 522.5가 정답이 된다. 이 27.5는 각 지점의 절토량과 평균 지반고와의 차이를 보정하기 위한 값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콘크리트 혼화제 중 경화(硬化)시 응결 촉진제의 주성분으로 사용되며 조기강도을 크게 하는 것은?

  1. 알루미늄
  2. 이산화망간
  3. 염화칼슘
  4. 소석회
(정답률: 60%)
  • 염화칼슘은 콘크리트 혼화제 중 경화시 응결 촉진제의 주성분으로 사용되며, 물과 반응하여 염화이온을 생성하여 콘크리트 내부의 화학반응을 촉진시키고, 조기강도를 크게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습니다. 따라서 콘크리트 제조 과정에서 염화칼슘을 첨가하면 빠른 시간 내에 강도가 높은 콘크리트를 만들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네트워크 공정표 중 더미(dummy)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하나의 선행작업을 나타낸다.
  2. 가장 중요한 공정을 나타낸다.
  3. 선행과 후행의 관계만 나타낸다.
  4. 가장 시간이 긴 경로를 나타낸다.
(정답률: 57%)
  • 더미(dummy)는 실제로 수행되지 않는 작업으로, 선행과 후행의 관계만을 나타내는 작업입니다. 따라서 "선행과 후행의 관계만 나타낸다."가 옳은 설명입니다. 더미는 일정한 시간이 필요한 작업이 아니기 때문에 가장 시간이 긴 경로를 나타내지도 않습니다. 또한, 가장 중요한 공정을 나타내지도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다음 공정표의 전체 소요 공기(工期)는?

  1. 30일
  2. 40일
  3. 41일
  4. 42일
(정답률: 62%)
  • 공정표에서 각 공정의 소요 공기를 모두 더하면 전체 소요 공기가 나옵니다. 따라서 10일 + 15일 + 8일 + 8일 = 41일 이므로 정답은 "41일"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금속면의 보호와 부식방지 즉 녹이 슬지 않게 할 목적인 녹막이 도료로 사용되지 않는 것은?

  1. 징크로메이트계
  2. 카세인
  3. 광명단
  4. 워시프라이머
(정답률: 44%)
  • 카세인은 단백질로 이루어져 있어서 금속면에 부식방지 효과를 주지 않습니다. 따라서 녹막이 도료로 사용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마름돌 쌓기를 할 때 철물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은장
  2. 꺾쇠
  3. 코너비드
(정답률: 58%)
  • 마름돌 쌓기를 할 때 철물에 속하지 않는 것은 "코너비드"입니다. 코너비드는 마름돌을 쌓을 때 모서리 부분을 연결하는 장치로, 철물이 아닌 돌로 만들어져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마름돌 쌓기를 할 때 철물을 사용하지 않고 코너비드를 사용하여 마름돌을 쌓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감리원과 관련된 설명이 틀린 것은?

  1. 그 공사에 대하여 전문적인 기술자를 선정한다.
  2. 감리원은 현장대리인이 선정한다.
  3. 감리원은 설계도와 시방서대로 시공되지 않았을 때는 수급인에게 시정을 요구한다.
  4. 감리원은 발주자의 자문에 응하고 기술적으로 설계서대로의 시공여부를 확인한다.
(정답률: 65%)
  • "감리원은 현장대리인이 선정한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감리원은 발주자가 선정하며, 현장대리인은 공사 현장에서 발주자를 대신하여 감리를 수행하는 역할을 합니다. 감리원은 발주자의 요청에 따라 현장대리인을 선정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공사종목에 대한 설계서 단위수량의 표준단위로 부적합한 것은?

  1. 공사 연장 : m
  2. 직공인부 : 인
  3. 떼 : 매
  4. 벽돌 : 개
(정답률: 39%)
  • "떼 : 매"는 부적합한 표준단위이다. "떼"는 벽돌, 타일, 돌 등을 일정한 개수로 묶어서 측정하는 단위이며, 이는 공사종목의 크기나 양을 정확하게 파악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따라서 보통은 "개"나 "㎡" 등의 단위를 사용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표준형 벽돌을 사용하여 2.0B 의 두께로 벽을 만들었을 때 벽 두께(mm)는? (단, 줄눈 두께는 1cm 로 한다.)

  1. 190
  2. 200
  3. 380
  4. 390
(정답률: 62%)
  • 표준형 벽돌의 크기는 보통 19cm x 9cm x 5cm 이다. 따라서 벽을 만들 때 벽돌을 세로로 쌓으면 두께는 19mm 이 된다. 줄눈 두께가 1cm 이므로 벽의 두께는 19mm x 20 + 10mm = 390mm 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390"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고압벽돌을 이용하여 포장공사를 할 때 다짐에 사용하기 가장 부적당한 기계 및 기구는?

  1. 램머(rammer)
  2. 콤팩터(compacter)
  3. 롤러(roller)
  4. 로더(loader)
(정답률: 60%)
  • 고압벽돌은 매우 단단하고 무거우므로 다짐에 사용할 때는 충분한 압력과 진동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로더는 다짐에 사용하기에는 부적합합니다. 로더는 주로 땅을 파거나 물건을 옮기는 데 사용되며, 다짐에 필요한 압력과 진동을 제공하지 못합니다. 따라서 로더는 다짐에 사용하기 가장 부적당한 기계 및 기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시가지의 가로에서 측구(側溝)의 종단 구배는 최소 몇 % 이상이 되어야 하는가? (단, 배수구가 충분한 평활면의 U형 측구일 경우는 제외)

  1. 0.5%
  2. 1%
  3. 3%
  4. 5%
(정답률: 40%)
  • 시가지의 가로에서 측구의 종단 구배는 비가 내리면 빗물이 측구로 흐르도록 하는 것이 목적입니다. 따라서, 측구의 종단 구배는 비가 내릴 때 빗물이 잘 흐를 수 있도록 충분한 경사를 가져야 합니다. 일반적으로, 측구의 종단 구배는 최소 0.5% 이상이 되어야 합니다. 이는 1미터의 거리에서 5cm의 높이 차이를 가지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렇게 충분한 구배를 가지면 비가 내릴 때 빗물이 측구로 잘 흐르게 되어 도로 표면의 침수를 방지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0.5%"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다음 그림과 같은 보의 최대 휨모멘트 값(tㆍm)은?

  1. 3.09
  2. 4
  3. 5.06
  4. 6
(정답률: 37%)
  • 보의 최대 휨모멘트는 보의 중간 지점에서 발생한다. 따라서, 보의 중간 지점에서의 반력이 가장 큰 경우를 찾으면 된다. 이 경우, 왼쪽 반력은 10kN, 오른쪽 반력은 6kN이므로, 중간 지점에서의 반력은 4kN이 된다. 이 반력을 이용하여 최대 휨모멘트를 계산하면 다음과 같다.

    최대 휨모멘트 = (4kN) x (3m) = 12tㆍm

    따라서, 정답은 12tㆍm을 Nㆍm으로 환산하여 5.06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도로 원곡선의 종류 중 복합곡선(compound curve)에 해당되는 것은?

(정답률: 50%)
  • 복합곡선은 두 개 이상의 원호가 연속적으로 이어진 곡선을 말한다. 따라서 보기 중 두 개의 원호가 이어진 ""가 복합곡선에 해당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빗물받이(雨水渠)의 바닥은 배수관(排水管)의 바닥을 기준으로 어떻게 설치하여야 하는가?

  1. 배수관의 바닥보다 적어도 15cm 이상 낮추어야 한다.
  2. 배수관의 바닥보다 적어도 30cm 이상 낮추어야 한다.
  3. 배수관의 바닥보다 적어도 15cm 이상 높아야 한다.
  4. 배수관의 바닥보다 적어도 30cm 이상 높아야 한다.
(정답률: 43%)
  • 빗물받이는 비가 내리면 물이 모이는 곳이므로, 빗물받이의 바닥은 배수관으로 물을 보내기 위해 배수관의 바닥보다 낮아야 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빗물이 배수관으로 흐르지 않고 빗물받이에 물이 넘쳐서 홍수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배수관의 바닥보다 적어도 15cm 이상 낮추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하중(荷重)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구조물에 작용하는 하중은 이동 여부에 따라 고정 하중과 이동하중으로 분류된다.
  2. 구조물에 작용하는 하중은 작용하는 면적의 대소에 의해 집중하중과 분포하중으로 나눈다.
  3. 고정하중은 적재(積載)하중 또는 활(活)하중이라고도 한다.
  4. 하중이 일정한 면적에 같은 세력으로 분포된 것을 등분포하중이라 한다.
(정답률: 48%)
  • 고정하중은 적재하중 또는 활하중이 아니라, 구조물에 고정되어 있는 하중을 의미한다. 적재하중은 물체를 올려놓은 상태에서의 하중을, 활하중은 움직이는 물체가 구조물에 가하는 하중을 의미한다. 따라서 정답은 "고정하중은 적재하중 또는 활하중이라고도 한다."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힘의 크기는 같고 작용선이 평행하지만 방향과 작용점만이 서로 다른 힘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축력
  2. 우력
  3. 반력
  4. 합력
(정답률: 58%)
  • 우력은 힘의 크기와 방향이 같고 작용선이 평행하지만 작용점이 다른 힘을 말합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우력이 정답입니다. 축력은 회전운동을 일으키는 힘, 반력은 물체가 다른 물체와 접촉하여 생기는 역작용의 힘, 합력은 여러 개의 힘이 작용할 때 그 합을 나타내는 힘을 말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다음 중 높지 않은 경사면(법면) 처리에서 자연지형과의 융합을 높이고 시각적으로 가장 좋은 경사면 형성은?

(정답률: 50%)
  • 정답은 "④"입니다.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①: 경사면의 기울기가 너무 가파르기 때문에 자연지형과의 융합이 어렵습니다.
    ②: 경사면의 기울기가 너무 완만하기 때문에 시각적으로 인상적이지 않습니다.
    ③: 경사면의 기울기가 적당하지만, 자연지형과의 융합이 덜 이루어집니다.
    ④: 경사면의 기울기가 적당하고, 자연지형과의 융합이 잘 이루어지며 시각적으로도 가장 인상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축석공사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찰쌓기시 시공에 앞서 돌에 붙어 있는 이물질을 제거하여야 한다.
  2. 호박돌 쌓기는 둥근 모양의 돌을 쌓는 것으로 가장 쉬운 공법이며 十자 줄눈이 생기도록 시공한다.
  3. 찰쌓기시 신축 줄눈은 설계도서에 의하되, 특별히 정하는 바가 없으면 20m 간격을 표준으로 찰쌓기의 높이가 변하는 곳이나 곡선부의 시점과 종점에 설치한다.
  4. 메쌓기의 맞물림 부위는 10mm 이내로 하며 해머 등으로 다듬어 접합시키고, 맞물림 뒷틈사이에 조약돌을 괸다.
(정답률: 60%)
  • 정답은 "메쌓기의 맞물림 부위는 10mm 이내로 하며 해머 등으로 다듬어 접합시키고, 맞물림 뒷틈사이에 조약돌을 괸다."이다. 이유는 메쌓기의 맞물림 부위는 5mm 이내로 하며, 조약돌을 괴는 것은 찰쌓기에서 이루어진다. 호박돌 쌓기는 둥근 모양의 돌을 쌓는 것으로 가장 쉬운 공법이며 十자 줄눈이 생기도록 시공한다는 것은 맞는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통나무의 길이가 6m 이고, 말구 지름이 20cm 일때 목재의 재적(m3) 약 얼마인가? (단, 국산재의 경우만을 적용한다.)

  1. 24
  2. 0.26
  3. 1.9
  4. 2.6
(정답률: 30%)
  • 목재의 재적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1. 말구 반지름을 미터 단위로 변환한다. 20cm = 0.2m
    2. 말구 지름을 이용하여 목재의 단면적을 구한다. (원의 넓이 공식 이용)
    단면적 = π x (반지름)2 = 3.14 x 0.12 = 0.0314m2
    3. 목재의 길이와 단면적을 곱하여 목재의 부피를 구한다.
    부피 = 길이 x 단면적 = 6m x 0.0314m2 = 0.1884m3

    하지만, 문제에서 "국산재의 경우만을 적용한다"고 했으므로, 국산 목재의 경우에는 재적 계산 시 10%를 감소시켜야 한다. 따라서, 최종적으로 계산된 목재의 재적은 다음과 같다.

    재적 = 0.1884m3 x 0.9 = 0.16956m3 ≈ 0.26

    따라서, 정답은 "0.26"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조경관리

61. 중간 기주인 향나무류를 제거하면 병 피해를 경감시킬 수 있는 병은?

  1. 복숭아 검은무늬병
  2. 사과 탄저병
  3. 느릅나무 시들음병
  4. 사과 붉은별무늬병
(정답률: 58%)
  • 중간 기주인 향나무류를 제거하면 사과 붉은별무늬병의 병 피해를 경감시킬 수 있습니다. 이는 향나무류가 사과 붉은별무늬병의 병원균을 운반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향나무류를 제거하면 병원균의 전파를 막아 병 피해를 줄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적심(摘心)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상록성 관목류의 전정을 통칭하는 뜻이다.
  2. 토피아리 전정의 한 방법이다.
  3. 꽃눈 조절을 위한 과수의 전정방법이다.
  4. 새로 나온 연한 순을 자르는 것이다.
(정답률: 60%)
  • 적심(摘心)은 식물에서 새로 나온 연한 순을 자르는 것을 말한다. 이는 식물의 성장을 조절하고, 더욱 풍성한 열매나 꽃을 얻기 위한 방법으로 사용된다. 따라서 "새로 나온 연한 순을 자르는 것이다."가 가장 적합한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레크레이션 수용능력의 결정인자는 고정인자와 가변인자로 구분된다. 다음 중 고정적인 결정인자에 해당되는 것은?

  1. 기술과 시설의 도입으로 인한 수용능력 자체의 확장가능성
  2. 특정 활동에 대한 참여자의 반응 정도
  3. 대상지의 크기와 형태
  4. 대상지 이용에 영향에 대한 회복 능력
(정답률: 35%)
  • "특정 활동에 대한 참여자의 반응 정도"는 고정적인 결정인자가 아니라 가변적인 결정인자에 해당된다. 이는 활동의 인기도나 선호도 등에 따라 참여자 수가 변화할 수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어떤 캠핑장에서는 특정 활동이 인기가 많아지면 그 활동을 수용할 수 있는 시설을 추가로 설치하여 수용능력을 확장할 수 있지만, 참여자의 반응 정도는 시설의 확장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농약잔류허용기준의 설정시 결정요소가 아닌 것은?

  1. 토양 중 잔류특성
  2. 1일섭취허용량(ADI)
  3. 안전계수
  4. 1일식품섭취량
(정답률: 29%)
  • 농약잔류허용기준의 설정시 결정요소 중 "토양 중 잔류특성"은 아닙니다. 이는 농약이 식물에 흡수되어 잔류하는 정도와는 관련이 있지만, 농약잔류허용기준의 설정시에는 고려되지 않습니다. 대신에, 농약잔류허용기준의 설정시 결정요소는 1일섭취허용량(ADI), 안전계수, 1일식품섭취량 등이 있습니다. 이들은 인체에 노출되었을 때 안전한 수준을 고려하여 설정되는 요소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조경시설물의 유지관리에 대한 내용으로 부적합한 것은?

  1. 수도꼭지나 샤워기의 누수부분을 보수한다.
  2. 청소작업 지역할당에서 개인할당 청소의 장점은 조할당 청소보다 청소작업이 균등하게 분배된다.
  3. 고가의 관리장비 구입시는 다용도로 쓸 수 있는 것을 고려한다.
  4. 경우에 따라서는 청소작업을 외부에 도급을 주어 수행하는 것이 비용과 효율 면에서 유리한 경우가 있다.
(정답률: 52%)
  • "청소작업 지역할당에서 개인할당 청소의 장점은 조할당 청소보다 청소작업이 균등하게 분배된다."가 부적합한 것이다. 이는 오히려 조별로 청소를 할당하는 것이 더 균등하게 분배될 수 있다. 개인별로 할당하면 일부 구성원이 더 많은 청소를 맡게 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사고방지 대책은 설치하자에 대한 대책 관리하자에 대한 대책, 이용자⋅보호자⋅주최자의 부주의에 대한 대책으로 구분된다. 다음 중 관리하자에 대한 사고방지 대책이 아닌 것은?

  1. 구조, 재질상 결함이 있다고 인정될 경우 철거한다.
  2. 계획적, 체계적으로 순시, 점검한다.
  3. 각 시설에 대해 감시원, 지도원을 적정 배치한다.
  4. 위험한 유희시설에 대해서는 안내판 또는 방송에 의한 이용지도를 실시한다.
(정답률: 42%)
  • "구조, 재질상 결함이 있다고 인정될 경우 철거한다."는 이용자⋅보호자⋅주최자의 부주의에 대한 대책이 아니라, 설치하자에 대한 대책이다. 이유는 구조나 재질상 결함이 있는 시설물은 이미 설치되어 있는 것이므로, 이를 철거하여 사고를 예방하는 것이 설치하자에 대한 대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조경수목의 해충에 대한 방제법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가을에 땅을 깊이 갈아 엎어서 저온으로 죽게 하거나 봄에 새들이 잡아 먹게 한다.
  2. 끈끈이를 수간에 발라 두어 해충이 붙어서 죽게 한다.
  3. 해충이 월동하는 곳을 만들어 주어 그곳에 모아 죽인다.
  4. 방사선을 이용한 살충효과는 소규모에 집중적 방제가 가능하고 저렴하다.
(정답률: 60%)
  • "방사선을 이용한 살충효과는 소규모에 집중적 방제가 가능하고 저렴하다."가 틀린 것이다. 방사선을 이용한 살충효과는 대규모의 방제에 적합하며, 비용이 매우 높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잣나무 털녹병균의 중간 기주는?

  1. 배나무
  2. 까치밥나무
  3. 참나무류
  4. 향나무
(정답률: 41%)
  • 잣나무 털녹병균은 까치밥나무를 중간 기주로 사용합니다. 이는 까치밥나무가 잣나무 털녹병균에 대한 저항성이 높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까치밥나무를 중간 기주로 사용하면 잣나무 털녹병균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수목에 대한 전염성병의 감염과 확산을 촉진시키는 요인이라고 볼 수 없는 것은?

  1. 병원의 침투력과 발병력 정도
  2. 급격한 기상변화
  3. 병원체의 이상 증식
  4. 기주식물의 건전성
(정답률: 52%)
  • 기주식물의 건전성은 전염성병의 감염과 확산을 촉진시키는 요인이 아닙니다. 기주식물이 건강하고 강건하면 전염성병의 발생과 확산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기주식물의 건전성은 전염성병의 감염과 확산을 촉진시키는 요인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식물병의 진단법 중 지표식물을 이용하는 진단법은?

  1. 혈청학적 진단
  2. 해부학적 진단
  3. 현미경적 진단
  4. 생물학적 진단
(정답률: 60%)
  • 지표식물을 이용하는 진단법은 생물학적 진단이다. 이는 식물의 생물학적 반응을 통해 질병을 진단하는 방법으로, 식물의 생장, 잎의 색상, 꽃의 개화 등을 관찰하여 질병의 증상을 파악한다. 이 방법은 비교적 간단하고 빠르게 진단이 가능하며, 화학적인 시약이나 장비가 필요하지 않아 비용이 저렴하다는 장점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잡초와 작물과의 경합조건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것은?

  1. 같은 초종 중에서 개체간에 일어나는 경합을 종내 경합이라고 한다.
  2. 식물경합은 둘 이상의 식물이 각각 어느 특정요인이나 물질이 필요량보다 부족할 때 일어난다.
  3. 잡초와 작물간에 경합이 심할 때 생리적인 스트레스의 원인으로 작물수량은 증가한다.
  4. 초종이 다른 식물들 간에 일어나는 경합을 종간경합이라고 한다.
(정답률: 61%)
  • 잡초와 작물간에 경합이 심할 때 생리적인 스트레스의 원인으로 작물수량은 증가하지 않는다. 오히려 잡초와의 경합으로 인해 작물의 성장이 저해되고 수량이 감소할 수 있다. 따라서 정답은 "잡초와 작물간에 경합이 심할 때 생리적인 스트레스의 원인으로 작물수량은 증가한다." 이다.

    잡초와 작물간의 경합이 심해지면, 물과 영양분 등의 자원을 더 많이 뺏기게 되어 작물의 성장이 저해된다. 이에 따라 작물은 생리적인 스트레스를 받게 되고, 수량이 감소할 수 있다. 따라서 작물의 성장을 촉진하기 위해서는 잡초와의 경합을 최소화하는 것이 중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수확기의 농산물 중 농약의 잔류량이 잔류허용기준을 초과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작물별로 농약의 살포횟수와 수확 전 최종 살포시기(일수)를 제한하는 기준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농약 안전사용기준
  2. 농약 잔류허용기준
  3. 농약 취급제한기준
  4. 농약 안전관리기준
(정답률: 45%)
  • 농약 안전사용기준은 농산물에 대한 농약 사용을 제한하고, 농약의 살포횟수와 최종 살포시기를 규제하여 농약의 잔류량이 잔류허용기준을 초과하지 않도록 하는 기준입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요구하는 기준은 농약 안전사용기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조경 수목 중 교목(喬木)류 전정에 대한 설명으로 부적합한 것은?

  1. 나무의 모양을 잡기 위한 전정은 낙엽 직후에 실시한다.
  2. 그 나무의 고유 수형을 충분히 고려한다.
  3. 작업은 수관 아래로부터 위로 올라가면서 실시한다.
  4. 일반적으로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돌아가면서 실시한다.
(정답률: 57%)
  • "작업은 수관 아래로부터 위로 올라가면서 실시한다."는 부적합한 설명이다. 전정 작업은 일반적으로 위에서 아래로 실시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는 나무의 성장 방향과 수액의 흐름을 고려한 것이다.

    나무의 모양을 잡기 위한 전정은 낙엽 직후에 실시하며, 그 나무의 고유 수형을 충분히 고려하여 일반적으로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돌아가면서 실시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매화나무의 경우 꽃이 피고 난 후 강전정을 실시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러한 전정의 주 목적은?

  1. 수형 조절
  2. 생장 억제
  3. 수분수급 조절
  4. 개화결실 촉진
(정답률: 59%)
  • 매화나무의 강전정은 개화결실 촉진을 목적으로 합니다. 강전정은 나무의 수형을 조절하고 생장을 억제하며 수분수급을 조절하기도 하지만, 주된 목적은 꽃이 피고 난 후 나무의 에너지를 꽃과 열매의 성장에 집중시켜 개화결실을 촉진시키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조경시공에서 '도장공'이란 어느 정도의 작업수행이 가능한 작업공인가?

  1. 가구제작, 유리창 갈아 끼우기 등을 할 수 있는 사람
  2. 조명과 동력을 모두 다룰 수 있는 사람
  3. 기계정비, 난방설비 등을 할 수 있는 사람
  4. 구조물 등에 페인트 및 각종 칠을 할 수 있는 사람
(정답률: 70%)
  • 도장공은 구조물 등에 페인트 및 각종 칠을 할 수 있는 사람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가구제작, 유리창 갈아 끼우기, 조명과 동력, 기계정비, 난방설비 등과 같이 다른 종류의 작업을 수행하는 사람들을 나타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다음이 설명하는 공법은?

  1. 프로피아 그린(Propia Green) 공법
  2. 녹생토암절개면 보호식재공법(R/S 녹생토공법)
  3. 자연표토복원공법(SF녹화공법)
  4. 원지반식생정착공법(CODRA 공법)
(정답률: 55%)
  • 이 그림은 CODRA 공법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CODRA 공법은 원지반 위에 적층한 토양층에 적절한 식생을 정착시켜 지표면을 보호하고 토양유실을 방지하는 방법입니다. 이를 위해 적절한 식생을 선택하고, 그에 맞는 토양층을 적층하며, 식생을 정착시키는 작업을 수행합니다. 이 방법은 환경보호와 지속가능한 개발을 위한 대표적인 방법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다음 중 다른 포장재료에 비하여 유지관리가 가장 용이한 포장의 종류는?

  1. 토사포장
  2. 블록포장
  3. 콘크리트포장
  4. 아스팔트포장
(정답률: 60%)
  • 블록포장은 다른 포장재료에 비해 유지보수가 용이합니다. 블록포장은 블록을 하나씩 교체할 수 있기 때문에 부분적인 수리가 가능하며, 블록 사이에 모래를 채워서 물이 흐르지 않도록 하기 때문에 물에 강합니다. 또한 블록포장은 디자인적으로 다양한 모양과 색상을 제공하기 때문에 시각적인 효과도 좋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수목의 시비방법 중 비료성분이 직접 토양 내에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토양의 유상거름주기 시비법에서 일반적인 시비용 구덩이의 깊이는?

  1. 2 ~ 8cm
  2. 10 ~ 18cm
  3. 25 ~ 30cm
  4. 40 ~ 50cm
(정답률: 64%)
  • 토양의 유상거름주기 시비법에서는 비료성분이 직접 토양 내에 유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구덩이를 파고 비료를 넣은 후 토양으로 덮어주는 방법을 사용합니다. 이때 구덩이의 깊이는 25 ~ 30cm 정도가 일반적입니다. 이는 수목의 뿌리가 이 깊이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비료성분이 뿌리에 직접적으로 영양을 공급할 수 있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부패된 줄기의 공동 외과수술시 순서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소독 및 방부 처리 → 오염된 부분 제거 → 방수처리 → 인공수피 처리
  2. 오염된 부분 제거 → 방수처리 → 소독 및 방부 처리 → 인공수피 처리
  3. 방수처리 → 소독 및 방부 처리 → 오염된 부분 제거 → 인공수피 처리
  4. 오염된 부분 제거 → 소독 및 방부 처리 → 방수처리 → 인공수피 처리
(정답률: 66%)
  • 부패된 줄기의 공동 외과수술시 순서는 오염된 부분 제거 → 소독 및 방부 처리 → 방수처리 → 인공수피 처리 순서가 가장 적합합니다.

    왜냐하면 먼저 오염된 부분을 제거해야 합니다. 오염된 부분이 남아있으면 감염의 위험이 있기 때문입니다. 그 다음으로 소독 및 방부 처리를 해야 합니다. 이 과정에서는 감염을 예방하기 위해 부위를 청결하게 만들고, 방부제를 사용하여 감염을 예방합니다.

    그 다음으로 방수처리를 해야 합니다. 외과수술 중에는 혈액이나 체액이 흐를 수 있기 때문에 방수처리를 해야 합니다. 마지막으로 인공수피 처리를 해야 합니다. 이 과정에서는 부위를 보호하고, 치유를 돕기 위해 인공수피를 사용합니다.

    따라서, 오염된 부분 제거 → 소독 및 방부 처리 → 방수처리 → 인공수피 처리 순서가 가장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식물의 선천적 내충성과 관계가 없는 것은?

  1. 내성(tolerance)
  2. 비선호성(nonpreference)
  3. 항생성(antibiosos)
  4. 회귀성(migration)
(정답률: 41%)
  • 식물의 선천적 내충성과는 관계가 없는 것은 "회귀성(migration)"입니다. 이는 해충이 일시적으로 발생하거나, 환경 조건이 변화하여 해충이 이동하는 경우에 해당합니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에는 식물의 내충성과는 무관하게 해충의 이동 경로나 발생 시기 등을 고려하여 대처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