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경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9-05-10)

조경산업기사
(2009-05-10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조경계획 및 설계

1. 제 3각법으로 정투상 된 보기와 같은 정면도와 평면도에 맞는 우측면도로 가장 적합한 것은?

(정답률: 36%)
  • 정면도와 평면도에서 보이는 선들을 이용하여 우측면도를 그리면, "" 가 가장 적합합니다. 이는 정면도에서 보이는 선이 우측면도에서도 그대로 유지되고, 평면도에서 보이는 선도 우측면도에서 그대로 유지되기 때문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선들이 일부분이나 전혀 보이지 않거나, 기울어져 있어서 우측면도로 그리기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골프장 설계 중 그린(green)지역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그린(green)은 홀(hole)의 시작부분에 위치하는 지역이다.
  2. 그린에서 득점목표 구멍으로 컵(cup)이 있으며, 깃대가 꽂히게 된다.
  3. 홀의 크기는 직경이 4.25인치, 깊이가 4.0인치 이상으로 하여야 한다.
  4. 그린에 식재되는 잔디는 밴트그라스가 적합하다.
(정답률: 55%)
  • 정답은 "그린(green)은 홀(hole)의 시작부분에 위치하는 지역이다."가 틀린 것이다. 그린은 홀의 끝부분에 위치하는 지역이며, 득점목표인 컵(cup)이 있고 깃대가 꽂히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인도의 무굴정원 특성으로서 정원을 구성하는 주요소는?

  1. 화훼(花卉)
  2. 원정(園亭)
  3. 녹음수
(정답률: 77%)
  • 인도의 무굴정원에서 물은 주요한 구성 요소 중 하나입니다. 이는 물이 생명의 근원이며, 정원에서는 물이 식물의 성장과 생명력을 유지하는 데 필수적이기 때문입니다. 또한 물은 정원에서 아름다운 경치를 만들어내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물이 있는 곳에서는 물고기, 개구리, 거북 등 다양한 동물들도 서식하며, 물 위에 나무나 꽃들이 반사되어 아름다운 풍경을 만들어냅니다. 따라서 인도의 무굴정원에서 물은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다음 중 리튼(Litton)이 제시한 경관의 훼손가능성(land scape's vulnerability)이 높은 지역이 아닌 것은?

  1. 밝은 색의 토양
  2. 산 정상이나 능선 지역
  3. 혼효림
  4. 스카이라인, 능선 등과 같은 모서리 부분
(정답률: 63%)
  • 혼효림은 숲의 일종으로서, 자연적으로 형성되는 지형적 특성이기 때문에 경관의 훼손 가능성이 낮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혼효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우리나라 자연공원법에서 공원계획으로 결정하는 용도지구가 아닌 것은?

  1. 공원자연보존지구
  2. 공원자연경관지구
  3. 공원밀집마을지구
  4. 공원집단시설지구
(정답률: 43%)
  • 공원자연경관지구는 자연환경을 보존하고 관리하는 것이 목적인 지구가 아니라, 공원 내의 자연경관을 보존하고 관리하는 것이 목적인 지구이기 때문에 용도지구로 결정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잔산잉수(殘山剩水)의 설명으로 부적당한 것은?

  1. 야생초화를 자연풍으로 이식하는 것을 말한다.
  2. 자연 중의 작은 경치를 몇 부분씩 포함하여 전체로서 하나의 통일된 구도로 마무리 하였다.
  3. 중국 남송의 산수화에서 사용되었던 용어이다.
  4. 연못안, 연못가의 의도적인 석조를 중심으로 하는 국부의장에서 볼 수 있다.
(정답률: 52%)
  • 잔산잉수는 "중국 남송의 산수화에서 사용되었던 용어"이며, "야생초화를 자연풍으로 이식하는 것을 말한다."는 올바른 설명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잔산잉수와 관련이 없거나 부적절한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다음 중 시설공간의 규모산정에 필요한 회전율을 가장 잘 설명한 것은?

  1. 한 이용자가 각 시설을 이용하는 비율을 의미한다.
  2. (최대시(最大時) 이용자수 / 최대일(最大日) 이용자수)를 의미한다.
  3. 여러 개의 시설 중 한 시설만을 여러 명이 돌아가며, 이용하는 회수를 의미한다.
  4. (단독시설 이용자수 / 전체시설 이용자수)를 의미한다.
(정답률: 85%)
  • 정답은 "(최대시(最大時) 이용자수 / 최대일(最대日) 이용자수)를 의미한다." 이다. 회전율은 일정 기간 동안 시설을 이용한 최대 이용자 수와 해당 기간 동안의 최대 이용자 수를 비교하여 시설 이용 빈도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따라서 회전율은 최대시 이용자수와 최대일 이용자수의 비율을 나타내는 것이다. 다른 보기들은 회전율과 관련이 없는 다른 개념들을 설명하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중국의 육조시대(六朝時代)에 신선설(神仙設)에 입각하여 한층 더 발달 된 정원 양식은?

  1. 고산수 정원
  2. 중도식 정원
  3. 중정식 정원
  4. 축경식 정원
(정답률: 58%)
  • 중국의 육조시대에는 신선설에 따라 신들이나 선조들이 살았을 것으로 상상되는 아름다운 정원이 만들어졌습니다. 이 중에서도 중도식 정원은 중앙에 연못이 있고 그 주위에 나무와 꽃, 돌 등이 조화롭게 배치되어 있는 정원 양식입니다. 이러한 정원은 자연과 인공물이 조화를 이루며, 인간과 자연이 하나가 되어 있는 아름다운 풍경을 만들어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형태는 기능을 따른다.(form follows function)”는 말은 건축의 기능적인 필연성이 형태에 그대로 표현되어야 한다는 기능 중심적인 사고였는데, 이러한 주장을 한 사람은?

  1. 라이트(Frank Lloyd Wright)
  2. 루이스 설리반(Louis Sullivan)
  3. 르 꼬르뷰지에(Le Corbusier)
  4. 오트 와그너(Otto Wagner)
(정답률: 42%)
  • "형태는 기능을 따른다.(form follows function)"는 루이스 설리반(Louis Sullivan)이 주장한 것으로, 건축물의 형태는 그 건축물의 기능적인 필요성에 따라 결정되어야 한다는 것을 강조한 것이다. 이는 기능 중심적인 사고를 바탕으로 건축물의 기능성과 실용성을 최우선으로 고려하는 건축 철학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자연의 의미로 “사람은 땅을 법칙 삼아 어긋나지 않고, 땅은 하늘을 법칙 삼아 어긋나지 않고, 하늘은 도를 법칙 삼아 어긋나지 않고, 도는 자연을 법칙 삼아 어긋나지 않는다.(人法地, 地法天, 天法道, 道法自然)”라고 말한 사람은 누구인가?

  1. 공자
  2. 맹자
  3. 노자
  4. 장자
(정답률: 59%)
  • 이 문장은 노자의 대표적인 명언 중 하나이다. 노자는 중국의 철학자로, 도덕적인 지혜와 자연의 원리에 대한 깊은 이해로 유명하다. 이 문장에서는 인간, 땅, 하늘, 도, 자연이 서로 어긋나지 않고 조화롭게 연결되어 있다는 것을 강조하고 있다. 이는 노자의 철학에서 중요한 개념 중 하나인 "유기체"의 개념과 관련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조경설계 품셈 적용시 조경수목과 잔디의 할증률은 각각 몇 % 까지를 적용할 수 있는가?

  1. 조경용 수목 20%, 잔디 10%
  2. 조경용 수목 10%, 잔디 10%
  3. 조경용 수목 10%, 잔디 20%
  4. 설계자가 임의로 결정한다.
(정답률: 67%)
  • 조경설계 품셈에서는 조경용 수목과 잔디의 할증률이 각각 최대 10%까지 적용 가능합니다. 이는 조경용 수목과 잔디가 조경설계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은 "조경용 수목 10%, 잔디 1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프레드릭 로 옴스테드(Frederick Law Olmsted)와 관련이 없는 것은?

  1. 센트럴 파크
  2. 리버사이드 단지
  3. 시카고 박람회의장
  4. 수도권 공원계통
(정답률: 49%)
  • 프레드릭 로 옴스테드는 미국의 유명한 조경가이며, "센트럴 파크"와 "리버사이드 단지", "시카고 박람회의장" 등을 디자인하였다. 하지만 "수도권 공원계통"은 그와 관련이 없는 것이다. "수도권 공원계통"은 한국의 대표적인 도시공원으로, 서울시와 인접한 지역에 위치한 12개의 공원들이 연결되어 이루는 공원계통을 말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색상이 다른 두 색을 인접시켜 배치하면 두 색이 색상환에서 서로 더 멀어지려는 현상은?

  1. 색상대비
  2. 보색대비
  3. 채도대비
  4. 명도대비
(정답률: 74%)
  • 정답은 "색상대비"입니다. 색상대비는 색상환에서 서로 멀리 떨어져 있는 두 색을 인접시켜 배치하면 발생하는 현상으로, 이는 색상의 차이를 강조하여 더욱 선명하게 보이게 합니다. 반면 보색대비는 색상환에서 정확히 반대편에 위치한 두 색을 인접시켜 배치하는 것으로, 색상의 대비를 강조하는 효과가 있습니다. 채도대비는 색의 선명도 차이를 강조하며, 명도대비는 밝기 차이를 강조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다음 중 입면도를 가장 잘 표현한 그림은?

(정답률: 53%)
  • 정답은 "" 이다. 이 그림은 입면도를 가장 잘 표현하고 있기 때문이다. 입면도란 물체의 단면을 보여주는 그림으로, 이 그림은 물체의 내부 구조와 외형을 잘 보여주고 있으며, 각 부분의 크기와 위치도 명확하게 표시되어 있다. 또한, 그림의 배치와 비율도 균형잡혀 있어서 시각적으로도 보기 좋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다음 설명은 어떤 조경계획의 단계를 위한 것인가?

  1. 현황분석 단계에서 현장 감각을 얻기 위하여
  2. 기본구상 단계에서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하여
  3. 관리계획을 수립하기 위하여
  4. 시공단계에서 시공 도면을 작성하기 위하여
(정답률: 76%)
  • 이 그림은 현장에서 측정한 거리와 크기를 바탕으로 조경계획을 그리기 위한 것이므로, 현황분석 단계에서 현장 감각을 얻기 위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조경계획의 과정은 조사분석 → 종합 → 발전 과정으로 구분한다. 다음 중 발전 및 시행단계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계획설계
  2. 실시설계
  3. 대안작성평가
  4. 이용 후 평가
(정답률: 14%)
  • 조경계획의 발전 및 시행단계에는 계획설계, 실시설계, 이용 후 평가가 포함되지만, 대안작성평가는 종합단계에서 수행된다. 대안작성평가는 여러 가지 대안 중에서 가장 적합한 대안을 선택하기 위해 수행되는 과정으로, 조경계획의 발전 및 시행과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자연의 형체나 색채를 떠나서 형체를 기하학적으로 단순화하여 선과 면의 구성으로 순수한 구성 질서에 의한 아름다운 화면을 창조하였고, 현대 디자인에 영향을 준 20세기 화파는?

  1. 인상파
  2. 야수파
  3. 입체파
  4. 추상파
(정답률: 57%)
  • 20세기 화파는 자연의 형체나 색채를 단순화하여 선과 면의 구성으로 아름다운 화면을 창조하는 것을 추구했습니다. 이 중에서도 형체를 완전히 배제하고 선과 면의 구성만으로 작품을 만들어내는 예술적 경향을 추상화라고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추상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환경과 관련된 동식물의 생활사 중 ( ) 안에 가장 적합한 용어는?

  1. 경쟁
  2. 타감
  3. 이주
  4. 순화
(정답률: 55%)
  • 이미지에서 보이는 동식물들은 서로 경쟁하며 자원을 놓고 싸우게 됩니다. 이러한 경쟁에서 적응력이 높은 동식물들은 다른 동식물들보다 더 많은 자원을 확보할 수 있게 되고, 이로 인해 번식에 성공하게 됩니다. 이러한 과정에서 자연선택이 일어나며, 적응력이 낮은 동식물들은 생존에 어려움을 겪게 됩니다. 하지만 순화는 이러한 경쟁에서 적응력이 높은 동식물들이 자원을 더 많이 확보하고 번식에 성공하게 되면, 그 결과로 인해 자원이 부족해진 나머지 동식물들이 사라지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자원을 이용하거나 다른 지역으로 이주하는 것이 아니라, 서로 공존하며 살아가는 것을 말합니다. 따라서, 이 이미지에서 보이는 동식물들의 생활사를 설명하는 가장 적합한 용어는 "순화"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다음 내용의 ( )에 가장 적절한 용어는?

  1. ① 형(shape), ② 형태(orm)
  2. ① 형태(orm), ② 형(shape)
  3. ① 개념(concept), ② 형(shape)
  4. ① 개념(concept), ② 형태(orm)
(정답률: 54%)
  • 정답은 "① 형태(orm), ② 형(shape)"이다.

    이유는 그림에서 나타난 도형들이 모두 같은 형태(orm)를 가지고 있지만, 크기나 방향 등이 다르기 때문에 다른 형(shape)으로 인식될 수 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도형의 형태(orm)가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으며, 이를 구분하기 위해 "형태"라는 용어가 사용되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색의 후퇴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차가운 색이 따뜻한 색보다 더 후퇴하는 느낌을 준다.
  2. 어두운 색이 밝은 색보다 더 후퇴하는 느낌을 준다.
  3. 명도·채도가 높은 색이 명도·채도가 낮은 색보다 더 후퇴하는 느낌을 준다.
  4. 무채색이 유채색보다 더 후퇴하는 느낌을 준다.
(정답률: 71%)
  • 정답은 "명도·채도가 높은 색이 명도·채도가 낮은 색보다 더 후퇴하는 느낌을 준다." 이다.

    색의 후퇴는 색의 밝기, 채도, 온도 등이 다른 색에 비해 뒤로 물러나는 느낌을 말한다. 따라서 차가운 색이 따뜻한 색보다 후퇴하는 것, 어두운 색이 밝은 색보다 후퇴하는 것, 무채색이 유채색보다 후퇴하는 것은 모두 맞는 설명이다.

    하지만 명도와 채도가 높은 색이 명도와 채도가 낮은 색보다 후퇴하는 것은 오히려 반대이다. 명도와 채도가 높은 색은 더욱 선명하고 눈에 띄기 때문에 앞으로 나아오는 느낌을 준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조경식재

21. 그림과 같은 수형과 잎의 형태에 가장 적합한 수종은?

  1. Quercus aliena Blume
  2. Betula schmidtii Regel
  3. Magnolia obovata Thunb.
  4. Liriodendron tulipifera L.
(정답률: 32%)
  • 그림에서 보이는 수형과 잎의 형태는 Liriodendron tulipifera L.의 특징과 일치합니다. Liriodendron tulipifera L.는 대형 나무로, 높이는 30m 이상이며, 잎은 넓은 타원형이며, 끝이 뾰족하고, 가장자리는 톱니 모양입니다. 또한, 꽃은 크고 아름다운 튤립 모양이며, 노란색과 녹색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따라서, 그림과 같은 수형과 잎의 형태에 가장 적합한 수종은 Liriodendron tulipifera L.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우리나라의 도시 건물이 대형화 추세에 있고, 녹지 확보가 어려운 실정을 고려한다면 대형빌딩의 옥상정원 조성이 크게 신장하고 있다. 옥상과 지상 녹지의 환경 특성을 비교한 내용 중 틀린 것은?

  1. 온도는 지상에서 낮고, 온도변화는 옥상에서 크다.
  2. 수광 정도는 옥상이 지상보다 양호하다.
  3. 옥상에서는 바람의 영향이 크게 작용하므로 수고가 큰 교목은 가급적 식재를 지양한다.
  4. 지상 녹지에서는 주변을 전망하는 시계가 불량하다.
(정답률: 46%)
  • "온도는 지상에서 낮고, 온도변화는 옥상에서 크다."가 틀린 내용이다. 옥상은 지상보다 높은 위치에 있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지상보다 높은 온도를 가지며, 온도 변화도 지상보다 크다. 이는 옥상이 지상보다 노출되어 있어서 태양광을 직접 받는 영향이 크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임해매립지의 오니층이 가라앉은 가장 낮은 중심부에서 주변부로 통하도록 배수로를 판 다음 이곳에 모래흙을 넣고 수목을 식재하는 방법은?

  1. 객토법(客土法)
  2. 사주법(砂住法)
  3. 사구법(砂溝法)
  4. 성토법(盛土法)
(정답률: 50%)
  • 임해매립지의 오니층은 물이 통하지 않아 수분이 많은 상태로 유지되기 때문에, 이를 해결하기 위해 배수로를 만들어 물을 흘려보내고, 그 위에 모래흙을 채워 식재하는 방법이 필요하다. 이때, 배수로를 만들기 위해 흙을 파내고 그 안에 모래를 채워 물이 흐르도록 하는 방법이 사구법이다. 따라서 사구법이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다음 중 광포화점이 낮아 적은 광량 밑에서도 동화작용을 할 수 있는 조경수종들만으로 짝지워진 것은?

  1. 가문비나무, 붉나무, 소귀나무
  2. 낙엽송, 치자나무, 가시나무
  3. 식나무, 주목, 사철나무
  4. 두릅나무, 전나무, 순비기나무
(정답률: 58%)
  • 광포화점이 낮아 적은 광량 밑에서도 동화작용을 할 수 있는 조경수종들은 그늘에서도 잘 자랄 수 있는 나무들이다. 이 중에서 식나무, 주목, 사철나무는 그늘에서도 잘 자라는 나무들이므로 짝지워진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개잎갈나무의 학명은?

  1. Cedrus deodara Loudon
  2. Sophora japonica L.
  3. Buxus koreana Nakai ex Chung & al.
  4. Taxodium distichum Rich.
(정답률: 35%)
  • 개잎갈나무의 학명은 "Cedrus deodara Loudon"이다. 이는 이 종이 속한 속명인 Cedrus와 종명인 deodara가 합쳐진 것이다. Cedrus는 소나무과에 속하는 나무들을 일컫는 속명이며, deodara는 힌두어로 "신성한 나무"를 뜻한다. Loudon은 이 종을 처음 기술한 스코틀랜드의 식물학자인 John Claudius Loudon의 이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임해매립지의 녹지조성 요령에 대한 설명으로 부적합한 것은?

  1. 바닷물이 튀어오르는 곳에는 갯잔디, 버뮤다그라스를 식재한다.
  2. 토양내 질소분이 결핍되는 경우가 많으니 비료목을 혼식한다.
  3. 전방수림에 이어지는 후방수림은 주위경관과 어울리는 내조성 수종으로 조성한다.
  4. 바닷바람을 받는 전방수림은 오리나무, 잎갈나무 등으로 조성한다.
(정답률: 40%)
  • 바닷바람을 받는 전방수림은 오리나무, 잎갈나무 등으로 조성한다. (이유가 설명되어 있지 않음)

    - 바닷물이 튀어오르는 곳에는 갯잔디, 버뮤다그라스를 식재한다.
    - 토양내 질소분이 결핍되는 경우가 많으니 비료목을 혼식한다.
    - 전방수림에 이어지는 후방수림은 주위경관과 어울리는 내조성 수종으로 조성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Campsis grandifolia K. Schum.”가 꽃피는 개략적인 시기는?

  1. 3 ~ 4월
  2. 5 ~ 6월
  3. 8 ~ 9월
  4. 10 ~ 11월
(정답률: 46%)
  • "Campsis grandifolia K. Schum."은 일반적으로 8월부터 9월에 꽃이 핀다. 따라서, 정답은 "8 ~ 9월"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단풍나무류(Acer)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붉나무
  2. 고로쇠나무
  3. 복자기나무
  4. 신나무
(정답률: 50%)
  • 붉나무는 단풍나무류(Acer)에 속하지 않는다. 붉나무는 나무의 종류 중 하나로, 단풍나무류와는 다른 나무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자동차의 배기가스에 가장 약한 수종은?

  1. Platanus occidentalis L.
  2. Pinus densiflora siebold & Zucc.
  3. Ginkgo biloga L.
  4. Ligustrum obtusifolium Siebold % Zucc.
(정답률: 40%)
  • Pinus densiflora siebold & Zucc.는 다른 나무 종들에 비해 더 적은 배기가스를 발생시키기 때문에 가장 약한 수종으로 간주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호수 주변 연안대의 자생식물 중 추수식물(抽水植物, 정수식물)이 아닌 것은?

  1. 큰고랭이
  2. 부들
  3. 순채
(정답률: 30%)
  • 추수식물(抽水植物, 정수식물)은 물 위에 떠다니며 생활하는 식물로, 물 속에서 생활하는 식물과는 달리 물 위에서 빛과 공기를 받아서 자라납니다. 따라서 호수 주변 연안대의 자생식물 중 추수식물이 아닌 것은 물 위에서 자라는 순채입니다. 큰고랭이, 부들, 줄은 모두 추수식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뛰어난 시각적 특성을 지닌 수목을 독립수로 식재하여 개체수목의 미적 가치가 높게 평가되도록 하는 식재양식은?

  1. 강조식재
  2. 기초식재
  3. 군집식재
  4. 표본식재
(정답률: 44%)
  • 표본식재는 뛰어난 시각적 특성을 지닌 수목을 선별하여 그 수목을 독립수로 식재하는 방식입니다. 이 방식은 개체수목의 미적 가치를 높이기 위해 사용되며, 선별된 수목은 다른 수목과 구분되어 독립적으로 자랄 수 있도록 식재됩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표본식재"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식물생육에 이상적은 흙의 용적 비율은?

  1. 광물질 25%, 수분 15%, 유기질 20%, 공기 40%
  2. 광물질 5%, 수분 40%, 유기질 15%, 공기 40%
  3. 광물질 55%, 수분 25%, 유기질 5%, 공기 15%
  4. 광물질 45%, 수분 30%, 유기질 5%, 공기 20%
(정답률: 43%)
  • 식물이 생장하는 데 필요한 영양분과 공기, 수분 등의 비율을 고려하면, 광물질이 45%로 가장 많아야 합니다. 광물질은 식물이 생장하는 데 필요한 무기질을 제공하며, 수분은 식물의 식물체를 유지하고 광합성에 필요합니다. 유기질은 식물이 생장하는 데 필요한 유기성 물질을 제공하며, 공기는 식물이 호흡하는 데 필요합니다. 따라서, 이상적인 흙의 용적 비율은 "광물질 45%, 수분 30%, 유기질 5%, 공기 20%"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식물의 학명을 표시하는 방법으로 옳은 것은?

  1. 속명, 종명, 명명자로 구성되고, 속(屬)명의 첫글자는 대문자로 시작하여 종(種)명은 소문자로 쓴다.
  2. 과명, 속명, 명명자로 구성되고, 모두 대문자로 쓴다.
  3. 과명, 속명, 명명자로 구성되고, 종(種)명만 첫글자를 대문자로 시작하고, 속명은 소문자로 쓴다.
  4. 속명, 종명, 명명자로 구성되고, 대문자나 소문자 구분없이 쓸 수 있다.
(정답률: 53%)
  • 식물의 학명은 속명, 종명, 명명자로 구성되며, 속(屬)명의 첫글자는 대문자로 시작하여 종(種)명은 소문자로 쓰는 이유는 국제적인 학명 표기 규약에 따라서 이루어지기 때문입니다. 이 규약은 식물학자들이 서로 다른 언어를 사용하더라도 학명을 통일된 방식으로 표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수목의 수피(樹皮)가 백색인 것은?

  1. Betula platyphylla var. japonica Hara
  2. Quercus dentata Thunb. ex Murray
  3. Celtis sinensis Pers.
  4. Liriodendron tulipifera L.
(정답률: 53%)
  • "Betula platyphylla var. japonica Hara"는 일본산 백조나무로, 수피가 백색이기 때문에 정답이다. "Quercus dentata Thunb. ex Murray"는 동백나무, "Celtis sinensis Pers."는 느티나무, "Liriodendron tulipifera L."는 유자나무이며, 이들의 수피는 백색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암흑상태에서 식물은 호흡작용만을 함으로써 CO2를 방출한다. 암흑상태에서 서서히 광도가 증가하면 광합성을 시작하면서 CO2를 흡수하기 시작하는데, 어떤 광도에 도달하면 호흡작용으로 발출되는 CO2의 양과 광합성으로 흡수하는 CO2의 양이 일치하게 된다. 이점을 무엇이라 하는가?

  1. 고사한계점
  2. 광보상점
  3. 동화효율점
  4. 영구위조점
(정답률: 70%)
  • 이를 광보상점이라고 하는 이유는 광합성과 호흡작용이 균형을 이루어서, 광합성으로 흡수한 양과 호흡작용으로 발생한 양이 서로 상쇄되어 일정한 수준을 유지하기 때문이다. 즉, 광합성과 호흡작용이 상호 보완적인 관계에 있어서 광합성이 증가하면 호흡작용도 증가하여 일정한 수준을 유지하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일반적인 식생도를 말하는 것으로 상관적 식생도라고도 하며, 조사구역 내에서 식생상관과 우점종을 중심으로 군락명을 정하여 군락 구분을 지도상에 표시하는 것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녹지자연도
  2. 현존식생도
  3. 종다양도
  4. 우점도
(정답률: 43%)
  • 정답은 "현존식생도"이다.

    이는 조사구역 내에서 식생상관과 우점종을 중심으로 군락명을 정하여 군락 구분을 지도상에 표시하는 것을 말한다. 따라서 일반적인 식생도를 말하는 것으로, 상대적인 식생도와는 구분된다.

    다른 보기들은 다음과 같다.

    - "녹지자연도": 도시 등의 인공적인 환경에서 자연적인 녹지를 조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지도이다.
    - "종다양도": 조사구역 내에서 발견된 서로 다른 종의 수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 "우점도": 조사구역 내에서 가장 많이 발견된 종의 비율을 나타내는 지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다음 중 척박지에서 내성이 가장 강한 수종은?

  1. Albizia julibrissin Durazz.
  2. Camellia japonica L.
  3. Quercus myrsinaefolia Blume
  4. Betula schmidtii Regel
(정답률: 38%)
  • Albizia julibrissin Durazz.는 척박지에서도 잘 자라는 나무로, 건조하고 열대적인 환경에서도 내성이 강합니다. 따라서 척박지에서 내성이 가장 강한 수종으로 선택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수림으로 조성한 방풍림대(防風林帶)의 가장 알맞은 식재열수와 너비 조건은?

  1. 4줄 까지가 알맞고, 너비는 10m 내외
  2. 6줄 까지가 알맞고, 너비는 40m 내외
  3. 7줄 까지가 알맞고, 너비는 70m 내외
  4. 9줄 까지가 알맞고, 너비는 120m 내외
(정답률: 59%)
  • 방풍림대는 바람을 막아주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식재열수가 많을수록 효과가 높아진다. 또한, 너비가 넓을수록 바람이 막히는 면적이 커지기 때문에 효과가 높아진다. 따라서, 식재열수는 7줄까지가 알맞고, 너비는 70m 내외가 가장 적절한 조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붉은 색의 열매를 갖는 수종들로만 짝지어진 것은?

  1. 모과나무, 명자나무, 배나무
  2. 쥐똥나무, 좀작살나무, 뽕나무
  3. 산수유, 사철나무, 주목
  4. 은행나무, 탱자나무, 붉나무
(정답률: 56%)
  • 보기 중에서 붉은 색의 열매를 갖는 수종은 "산수유, 사철나무, 주목" 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열매의 색깔이 붉은색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정형식재의 기본 패턴(모양)이 아닌 것은?

  1. 교호식재(交互植栽)
  2. 대식(對殖)
  3. 열식(列植)
  4. 군식(群植)
(정답률: 45%)
  • 정형식재는 일정한 간격과 패턴으로 식물을 배치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 중에서 "군식(群植)"은 일정한 간격이나 패턴 없이 여러 개의 식물을 모아서 심는 것을 말합니다. 따라서, 정형식재의 기본 패턴이 아닙니다. "교호식재(交互植栽)", "대식(對殖)", "열식(列植)"은 모두 정형식재의 기본 패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조경시공

41. 타일을 바탕 벽면에 붙일 때 바탕면에 수평으로 먹치기를 하기 위해 사용하는 가장 간단한 기구는?

  1. 수평자
  2. 레벨
  3. 다림추
  4. 물통수준기
(정답률: 41%)
  • 물통수준기는 물을 담은 투명한 플라스틱 병에 물을 넣고 바닥면에 놓아서 수평을 맞추는 도구입니다. 물의 표면은 수평면이기 때문에 물통수준기를 이용하면 정확한 수평을 측정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타일을 바탕 벽면에 붙일 때 바탕면에 수평으로 먹치기를 하기 위해 물통수준기를 사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준공을 앞두고 유지관리지침서를 작성하려고 한다. 포함하지 않아도 될 사항은?

  1. 제품 가격
  2. 주요 설계기준
  3. 기기·부품 목록
  4. 청소방법 등의 특수마무리에 대한 보수지침서
(정답률: 61%)
  • 유지관리지침서는 시설물의 유지보수를 위한 문서이므로 제품 가격은 포함하지 않아도 된다. 유지보수에 필요한 주요 설계기준, 기기·부품 목록, 청소방법 등의 특수마무리에 대한 보수지침서가 필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평판측량의 오차는 평판을 세울 때 발생하는 오차와 기계적인 오차로 구분된다. 다음 중 평판을 세울 때 발생되는 오차가 아닌 것은?

  1. 구심의 불완전에 의한 오차(구심오차)
  2. 표정의 경사에 의한 오차(정준오차)
  3. 앨리데이드에 의한 오차(외심오차)
  4. 표정의 불완전에 의한 오차(표정오차)
(정답률: 56%)
  • 앨리데이드에 의한 오차(외심오차)는 평판을 세울 때 발생하는 오차 중 하나이다. 이 오차는 평판의 중심이 정확하게 구심에 위치하지 않아 발생하는 오차로, 평판의 중심을 찾기 위해 사용하는 도구인 앨리데이드(외심계)의 오차로 인해 발생한다. 따라서 정답은 "앨리데이드에 의한 오차(외심오차)"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다음 보기의 내용을 참고하여 공사의 입찰순서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① → ② → ③ → ④ → ⑤ → ⑥
  2. ① → ② → ⑤ → ⑥ → ③ → ④
  3. ① → ⑤ → ② → ⑥ → ③ → ④
  4. ① → ⑤ → ③ → ② → ⑥ → ④
(정답률: 57%)
  • 공사의 입찰순서는 다음과 같은 기준으로 결정된다.
    1. 경력이 우수한 업체부터
    2. 가격이 적절한 업체부터
    3. 지역 내 업체 우선

    따라서, ①은 경력이 우수한 업체이고, ⑤는 지역 내 업체이므로 이 두 업체는 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그리고 ②는 가격이 적절한 업체이므로 ①과 ⑤ 다음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그리고 ⑥은 지역 내 업체이지만, 가격이 높기 때문에 ② 다음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③과 ④는 경력이나 가격 면에서 다른 업체들보다 떨어지기 때문에 가장 나중에 고려되어야 한다. 따라서, 정답은 "① → ⑤ → ② → ⑥ → ③ → ④"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콘크리트 중의 공기량 변화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AE제의 혼합량이 증가하면 공기량도 증대된다.
  2. 컨시스턴시가 커지면 공기량이 증가한다.
  3. 콘크리트의 온도가 낮으면 공기량이 감소한다.
  4. 잔골재 중의 0.15 ~ 0.3 mm의 골재가 많으면 공기량이 증가한다.
(정답률: 13%)
  • 콘크리트의 온도가 낮으면 공기량이 감소하는 것은 틀린 설명입니다. 온도가 낮아지면 공기의 부피가 작아지기 때문에 공기량이 증가하는 것이 맞는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일반적으로 도시지역의 인공수로 및 잔디수로에서의 유속범위 중 최소 유속(m/sec)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0.2
  2. 0.6
  3. 1.2
  4. 2.5
(정답률: 42%)
  • 도시지역의 인공수로나 잔디수로에서는 유속이 너무 높으면 토양 침식과 같은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최소한의 유속을 유지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도시지역의 인공수로나 잔디수로에서는 유속이 0.6m/sec 이하인 것이 가장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다음 그림의 벽돌쌓기는 벽돌의 마구리 쪽이 전면으로 오도록 놓으면서 쌓는 방법으로 몇 장(B) 쌓기인가?

  1. 1.0
  2. 1.5
  3. 2.0
  4. 3.0
(정답률: 54%)
  • 벽돌의 마구리 쪽이 전면으로 오도록 놓으면서 쌓는 방법으로 쌓을 때, 첫 번째 줄은 2장의 벽돌을 사용하고, 두 번째 줄은 3장의 벽돌을 사용한다. 세 번째 줄은 다시 2장의 벽돌을 사용하고, 네 번째 줄은 3장의 벽돌을 사용한다. 이런 식으로 쌓으면 총 4줄을 쌓을 수 있고, 그 중 두 번째 줄은 3장의 벽돌을 사용하므로, 총 벽돌의 수는 2 + 3 + 2 + 3 = 10장이다. 따라서, 벽돌의 평균 두께는 10장을 4줄로 나눈 것인데, 이는 2.5장이다. 그러나, 첫 번째 줄과 세 번째 줄은 벽돌이 반쯤 밖으로 나와 있으므로, 이를 고려하여 평균 두께를 계산하면 (2.5 - 0.5 - 0.5) / 2 = 1.5 장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1.5"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밑면(A2)의 면적이 40m2, 윗면(A1)의 면적이 35m2, 윗면과 밑면의 거리가(l)가 10m 일 때 양단면평균법으로 계산한 육면체의 체적(m3)은?

  1. 37.5
  2. 140
  3. 375
  4. 1400
(정답률: 63%)
  • 양단면평균법으로 육면체의 체적을 구하는 공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체적 = (윗면적 + 밑면적 + 4 × 양변면적) × 높이 ÷ 6

    여기서 윗면적은 35m², 밑면적은 40m², 양변면적은 (윗면적 × 밑면적) ÷ 거리 = (35 × 40) ÷ 10 = 140m² 입니다. 높이는 양단면평균법에서는 윗면과 밑면의 중심점 사이의 거리로 정의됩니다. 이 경우에는 윗면과 밑면이 평행하므로 높이는 거리(l)와 같습니다. 따라서 높이는 10m 입니다.

    이 값을 공식에 대입하면,

    체적 = (35 + 40 + 4 × 140) × 10 ÷ 6 = 375m³

    따라서 정답은 "375"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경사진 지역에 면적(面積)인 배수를 위해 설치하는 것으로 경사진 주차장 입구, 계단의 상·하단, 광장의 입구, 진입로의 입구 등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것은?

  1. 빗물받이
  2. 트렌치(trench)
  3. 측구(side gutter)
  4. 지역 배수구(area drain)
(정답률: 40%)
  • 트렌치는 경사진 지역에서 빗물을 수거하여 배수하기 위해 설치하는 것으로, 지면에 구덩이를 파고 그 안에 배수관을 설치하여 빗물을 수거합니다. 따라서 경사진 주차장 입구, 계단의 상·하단, 광장의 입구, 진입로의 입구 등에서 흔히 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건설기계경비 산정에 있어 기계손료(機械損料)의 항목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1. 소모품비(消耗品費)
  2. 감가상각비(減價償却費)
  3. 정비비(整備費)
  4. 관리비(管理費)
(정답률: 17%)
  • 소모품비는 건설기계의 운영과정에서 소모되는 소모품(예: 오일, 필터 등)의 비용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기계손료 산정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소모품비입니다. 감가상각비는 기계의 가치가 감소하는 것을 고려한 비용, 정비비는 기계의 정기적인 수리 및 유지보수 비용, 관리비는 기계의 운영 및 관리에 필요한 인력 및 시설 등의 비용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나무말뚝(wood pile)과 관련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소나무, 낙엽송 등으로서 곧기 긴 생나무(生木)를 사용한다.
  2. 나무말뚝 머리는 모두 동일한 수평면으로 가지런히 자른다.
  3. 나무말똑은 상수면 보다 윗 쪽에 있는 것이 관리하기 좋다.
  4. 끝마구리와 밑마구리의 테이퍼(taper)가 적은 것을 사용한다.
(정답률: 46%)
  • "나무말똑은 상수면 보다 윗 쪽에 있는 것이 관리하기 좋다."가 틀린 설명이 아니다.

    나무말뚝은 지반에 박아서 건축물의 기초를 이루는데 사용된다. 따라서 나무말뚝의 안정성은 매우 중요하다. 나무말뚝을 박을 때는 머리 부분이 지면 위에 나와야 하므로, 상수면보다 윗 쪽에 있는 것이 안정성을 높이는 방법 중 하나이다. 또한, 윗 쪽에 있는 나무말뚝은 지하수와의 접촉이 적어 부식이 적은 장점도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비탈면의 경사가 1 : 1.5 일 때, 수평거리가 3m 이면 수직거리(m)는 얼마인가?

  1. 1.5
  2. 2.0
  3. 3.0
  4. 4.5
(정답률: 35%)
  • 비탈면의 경사가 1 : 1.5 이므로, 수직거리와 수평거리의 비율은 1 : 1.5 이다. 따라서 수직거리는 수평거리의 1/1.5 배이다.

    수평거리가 3m 이므로, 수직거리는 3/1.5 = 2m 이다.

    따라서 정답은 "2.0"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옥외에 쓰레기통을 만들 때 고려해야 할 사항으로 부적합한 것은?

  1. 방화구조로 만든다.
  2. 배수가 잘되게 만든다.
  3. 쓰레기를 쉽게 수거할 수 있는 구조로 만든다.
  4. 친환경적인 색으로 눈에 잘 뜨이지 않게 만든다.
(정답률: 50%)
  • "친환경적인 색으로 눈에 잘 뜨이지 않게 만든다."는 부적합한 사항입니다. 쓰레기통은 공공장소에서 많은 사람들이 이용하기 때문에 친환경적인 색으로 눈에 잘 뜨이지 않게 만들면 오히려 쓰레기를 버리는 사람들이 쓰레기통을 찾기 어려워져 쓰레기를 주변에 버리는 경우가 생길 수 있습니다. 따라서 쓰레기통은 친환경적인 색상으로 눈에 잘 띄도록 만들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보통시멘트 500포대를 저장할 수 있는 가설창고의 면적(m2)은? (단, 쌓기 단수는 10포대로 한다.)

  1. 10
  2. 20
  3. 30
  4. 40
(정답률: 47%)
  • 1층에 50포대를 저장할 수 있으므로, 10층까지 쌓으면 500포대를 저장할 수 있다. 따라서, 쌓는 높이가 10포대이므로, 10층을 쌓으려면 10×10=100m2의 면적이 필요하다. 따라서, 500포대를 저장할 수 있는 가설창고의 면적은 100m2이다. 따라서, 정답은 "20"이 아니라 "1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바 차트(bar chart) 기법과 PERT/CPM 기법의 특징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바 차트(bar chart) 기법은 작업의 선·후 관계가 불명확하다.
  2. 바 차트(bar chart) 기법은 일정의 변화에 손쉽게 대처하기 곤란하다.
  3. PERT/CPM 기법은 문제점의 사전 예측이 곤란하다.
  4. PERT/CPM 기법은 바 차트(bar chart) 기법 보다 작성이 힘들다.
(정답률: 42%)
  • "PERT/CPM 기법은 문제점의 사전 예측이 곤란하다."가 틀린 것이다. PERT/CPM 기법은 문제점을 사전에 예측하고 대처할 수 있는 기법으로, 프로젝트 일정의 위험성을 파악하고 대응책을 마련할 수 있다. 따라서, 정답은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공원 조성시 성토한 지역의 특징으로 부적합한 것은?

  1. 성토를 한 지역은 배수가 용이하고, 건조되기 쉬워 자주 관수 해 줄 필요가 있다.
  2. 지반이 수평인 경우에도 풍화된 표토를 제거하거나 계단 모양으로 기초면을 만든다.
  3. 성토를 하는 곳은 점질토(粘質土)를 사용하는 것이 점성이 있어 무너지지 않고 습기가 많아 식물의 생욱에 유리하다.
  4. 성토를 하는 곳은 침하를 고려하여 성토 높이의 약 10% 정도를 더 높게 쌓아 주어야 한다.
(정답률: 39%)
  • "성토를 하는 곳은 배수가 용이하고, 건조되기 쉬워 자주 관수 해 줄 필요가 있다."는 부적합한 것이다. 성토를 한 지역은 오히려 습기가 많아서 자주 관수를 해 줄 필요가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시멘트의 단위용적중량은 시멘트의 비중, 분말도, 풍화정도에 따라 다르나 일반적인 표준치(kg/m3)로 가장 적당한 값은? (단, 자연상태를 기준으로 한다.)

  1. 1300
  2. 1500
  3. 1700
  4. 2000
(정답률: 58%)
  • 시멘트의 단위용적중량은 일반적으로 1500kg/m3이 가장 적당하다. 이는 시멘트의 비중이 대략 3.15g/cm3이고, 분말도가 보통 0.5~0.6 정도이며, 풍화정도가 적당한 경우를 고려한 값이다. 따라서, 자연상태를 기준으로 시멘트의 단위용적중량은 1500kg/m3이 가장 적당하다고 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벽돌쌓기법에서 한 켜마다 길이 쌓기와 마구리 쌓기를 번갈아 쌓는 방법으로 통줄눈이 많이 생겨 구조적으로 튼튼하지 못하지만 외관이 좋은 쌓기 방법은?

  1. 영국식
  2. 프랑스식
  3. 네덜란드식
  4. 미국식
(정답률: 35%)
  • 프랑스식은 벽돌을 쌓을 때 한 켜마다 길이 쌓기와 마구리 쌓기를 번갈아가며 쌓는 것이 아니라, 일정한 간격으로 벽돌을 쌓아서 통줄눈이 적게 생기도록 하는 방법입니다. 이로 인해 구조적으로 더 튼튼한 벽을 만들 수 있으며, 외관도 깔끔하고 아름답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토목공사용 기계인 쇼벨(shovel)의 작업 용도로만 모두 나열된 것은?

  1. 부설용
  2. 정지용
  3. 굴착용, 싣기용
  4. 다짐용, 싣기용, 운반용
(정답률: 58%)
  • 쇼벨은 큰 팔과 큰 스크랩으로 이루어져 있어서, 굴착 작업에서는 땅을 파내고, 싣기 작업에서는 파낸 땅을 스크랩으로 실어 나를 수 있습니다. 따라서 "굴착용, 싣기용"이 쇼벨의 주요 작업 용도입니다. "부설용"은 쇼벨로 흙을 쌓는 작업, "정지용"은 쇼벨로 물체를 멈추는 작업, "다짐용"은 쇼벨로 흙을 다짐하는 작업, "운반용"은 쇼벨로 물건을 운반하는 작업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피막식(membrane) 방수공법에는 아스팔트 방수, 시트 방수, 도막 방수가 있는데, 그 중 아스팔트 방수의 특징으로 옳은 것은?

  1. 외기에 대한 영향이 비교적 크다.
  2. 시공이 번잡하다.
  3. 재료취급이 간단하다.
  4. 결함부 발견이 용이하다.
(정답률: 34%)
  • 정답: "외기에 대한 영향이 비교적 크다."

    아스팔트 방수는 외기에 노출되면 시간이 지남에 따라 노화되어 방수성능이 저하될 수 있습니다. 또한 시공 과정에서 아스팔트를 녹여 사용하기 때문에 시공이 번잡하고, 재료취급이 간단하지 않습니다. 결함부 발견은 비교적 용이하지만, 유지보수가 어려울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조경관리

61. 토양, 온도, 일조 등의 항목은 조경관리계획의 수립조건에 비추어 볼 때 어느 항목에 속하는가?

  1. 자연조건
  2. 인위조건
  3. 시설조건
  4. 사회조건
(정답률: 67%)
  • 토양, 온도, 일조 등은 인간의 개입 없이 자연적으로 존재하는 요소들이므로 자연조건에 속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대부분의 화목류의 화아형성을 촉진하기 위하여 주어야 할 비료와 시기는?

  1. 인산질 비료를 7 ~ 8월에 준다.
  2. 인산질 비료를 3 ~ 4월에 준다.
  3. 질소질 비료를 3 ~ 4월에 준다.
  4. 질소질 비료를 7 ~ 8월에 준다.
(정답률: 25%)
  • 화목류는 느린 생장속도와 뿌리가 깊게 자라는 특성 때문에 인산질 비료를 주어야 한다. 또한, 화목류의 화아형성은 7~8월에 이루어지기 때문에 이 시기에 인산질 비료를 주는 것이 적절하다. 따라서 "인산질 비료를 7 ~ 8월에 준다."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향나무녹병(赤星病)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배나무, 모과나무, 꽃사과 등에는 발생하지 않는다.
  2. 4월 ~ 5월경 비가 자주오면 겨울 포자퇴는 노란색의 한천모양으로 불어난다.
  3. 향나무 잎이나 가지 사이의 분기점에 갈색의 균체가 형성된다.
  4. 녹포자 비산기인 7월 초순경에 만코지수화제를 살포한다.
(정답률: 53%)
  • "배나무, 모과나무, 꽃사과 등에는 발생하지 않는다."라는 설명이 틀린 이유는 향나무녹병은 향나무과 식물에만 발생하는 질병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배나무, 모과나무, 꽃사과 등과 같은 다른 종류의 나무는 이 질병에 걸리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레크레이션 분야에 수용능력(carrying capacity)이란 용어를 처음 사용한 사람은?

  1. Ashton
  2. Wager
  3. Lapage
  4. Lucas
(정답률: 62%)
  • 레크레이션 분야에 수용능력(carrying capacity)이란 용어를 처음 사용한 사람은 Wager입니다. 이는 1930년대에 미국의 생태학자인 Raymond F. Dasmann과 함께 레크레이션 분야에서 자연환경 보호와 관련된 개념으로 처음 제시되었습니다. Wager는 이후 레크레이션 분야에서 수용능력 개념을 발전시키는 데 큰 역할을 하였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가지 아래 방향으로 달린 바깥 눈을 자르고 가지 윗 쪽의 안 눈을 살려야 자연스러운 수형 형성이 가능한 수종은?

  1. 수양벚나무
  2. 백목련
  3. 배롱나무
  4. 수수꽃다리
(정답률: 34%)
  • 수양벚나무는 가지 아래 방향으로 달린 바깥 눈을 자르고 가지 윗 쪽의 안 눈을 살리면 자연스러운 수형 형성이 가능한 수종이기 때문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이 조건을 만족하지 않거나, 다른 조건이 추가로 필요하기 때문에 정답이 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다음 순자르기(순꺾기) 방법에 관한 설명 중 ( ) 에 적합한 것은?

  1. 7 ~ 9
  2. 10 ~ 12
  3. 1 ~ 3
  4. 4 ~ 5
(정답률: 58%)
  • 주어진 숫자들을 3개씩 묶어서 가장 작은 수와 가장 큰 수를 더한 값을 순서대로 나열한 것이다. 따라서 "4 ~ 5"는 4와 5를 더한 값으로, 다른 보기들보다 작은 값이기 때문에 정답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원로나 광장에서 모래·자갈 포장의 정기점검 보수 항목은?

  1. 배수정비
  2. 균열보수
  3. 노화정비
  4. 줄눈보수
(정답률: 35%)
  • 원로나 광장은 비가 오면 물이 차오르는 저지대이기 때문에, 모래와 자갈로 포장된 바닥에는 물이 잘 흐르도록 배수 시설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정기점검 보수 항목 중 "배수정비"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는 물이 잘 흐르지 않는 부분을 파악하고 배수 시설을 보강하거나 수리하는 작업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미국흰불나방과 관련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년 1회 발생하며 성충은 8월 중수 ~ 9월 하순의 무더위에 출현현다.
  2. 학명은 Hyphantria cunea 이다.
  3. 유충기에 피해를 주며 잡식성이어서 거의 모든 활엽수류의 잎을 가해한다.
  4. 방제법은 산란된 잎을 채취, 소각하거나 발생초기 유충이 군서(群棲)하는 가지를 잘라 소각한다.
(정답률: 38%)
  • "년 1회 발생하며 성충은 8월 중수 ~ 9월 하순의 무더위에 출현현다."가 틀린 것이 아니라 옳은 것이다. 이 설명은 미국흰불나방의 생태와 발생 시기를 설명한 것이다. 미국흰불나방은 년 1회 발생하며, 성충은 8월 중순부터 9월 하순까지 출현한다. 따라서 이 문장은 옳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옥외 레크리에이션(recreation) 관리체계에서 주 요소 기능의 관점과 거리가 먼 것은?

  1. 이용자관리(visitor management)
  2. 서비스관리(service management)
  3. 자원관리(resource management)
  4. 건축물관리(building management)
(정답률: 52%)
  • 옥외 레크리에이션 관리체계에서 주요 요소는 이용자 관리, 서비스 관리, 자원 관리이다. 이들은 모두 레크리에이션 시설을 운영하고 관리하는 데 필수적인 기능들이다. 그러나 건축물 관리는 레크리에이션 시설의 건축물과 시설물을 유지보수하고 관리하는 것으로, 레크리에이션 활동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적다. 따라서 건축물 관리는 옥외 레크리에이션 관리체계에서 주요 요소 기능의 관점과 거리가 먼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활엽수의 질소 결핍 현상을 바르게 설명한 것은?

  1. 잎은 짧고 소형이 되며 엽색은 황화한다.
  2. 어린나무의 경우 수관하부의 성숙엽에서 자주빛으로 변색되기 시작하여 점차 안쪽과 위쪽의 잎으로 진행한다.
  3. 엽맥 간의 황백화현상이 나타나고 심하면 피해부와 건전부위와의 경계가 뚜렷해진다.
  4. 잎의 끝이 마르거나 뒤틀린다.
(정답률: 47%)
  • 잎이 짧고 소형이 되며 엽색이 황화하는 것은, 질소 결핍으로 인해 엽록소 합성이 억제되어 엽록소가 충분히 합성되지 못하고, 엽록소의 분해가 더 많아져서 엽색이 황화하게 된다. 이는 어린 나무의 경우 수관하부의 성숙엽에서 자주빛으로 변색되기 시작하여 점차 안쪽과 위쪽의 잎으로 진행하며, 엽맥 간의 황백화 현상이 나타나고 심하면 피해부와 건전부위와의 경계가 뚜렷해지며, 잎의 끝이 마르거나 뒤틀리는 등의 증상을 보인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테니스 클레이코트에 뿌리는 소금과 염화칼슘의 역할이 아닌 것은?

  1. 응고작용
  2. 보습효과
  3. 동결방지
  4. 지력보강
(정답률: 44%)
  • 테니스 클레이코트에 뿌리는 소금과 염화칼슘은 응고작용, 보습효과, 동결방지에 모두 관여하지만, 지력보강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지력보강은 클레이코트의 내구성과 강도를 높이는 것을 의미하는데, 이는 클레이코트의 재료와 제작 방법에 따라 결정됩니다. 따라서, 소금과 염화칼슘은 클레이코트의 지력보강과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일반적으로 시설물의 관리작업 시기를 설명한 것 중 부적합한 것은?

  1. 수목생육이 가장 왕성한 시기에 시설물과 수목을 함께 점검한다.
  2. 대체로 이용자의 수가 적을 때 점검한다.
  3. 우기 및 추울 때는 관리작업을 피한다.
  4. 동일 종류를 종합해서 관리작업한다.
(정답률: 49%)
  • "수목생육이 가장 왕성한 시기에 시설물과 수목을 함께 점검한다."는 부적합한 것이다. 이유는 시설물과 수목의 관리작업 시기는 일반적으로 수목 생육이 가장 왕성한 시기와는 상관없이 결정되며, 시설물의 종류와 상태, 수목의 종류와 상태, 그리고 지역의 기후 등에 따라 다양하게 결정된다. 따라서, 시설물과 수목의 관리작업 시기는 전문가의 판단과 경험에 따라 결정되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멀칭(mulching)의 효과로 볼 수 없는 것은?

  1. 토양침식과 수분의 손실을 방지한다.
  2. 토양을 굳어지게 한다.
  3. 염분 농도를 조절한다.
  4. 토양의 비옥도를 증진시킨다.
(정답률: 68%)
  • 토양을 굳어지게 하는 것은 멀칭의 효과로 볼 수 없습니다. 멀칭은 토양침식과 수분의 손실을 방지하고, 염분 농도를 조절하며, 토양의 비옥도를 증진시키는 효과가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한국 잔디에 가장 잘 발생하는 고온성 병은?

  1. 브라운 패취(Browm patch)
  2. 라지 패취(Large patch)
  3. 달라 스팟(Doller spot)
  4. 스노우 몰드(Snow mold)
(정답률: 35%)
  • 한국 잔디에 가장 잘 발생하는 고온성 병은 "라지 패취(Large patch)"입니다. 이는 주로 봄과 가을에 발생하며, 잔디의 잎과 줄기를 공격하여 갈색으로 변색시키고 죽음으로 이어집니다. 이 병의 원인은 주로 과도한 질소 비율, 물 부족, 과도한 걷기나 잔디 깎기 등의 스트레스로 인한 것입니다. 따라서 적절한 관리와 스트레스를 줄이는 조치가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다음 중 수분 증발 억제제인 것은?

  1. 세라소일
  2. 피트모스
  3. 다미노자이드수화제
  4. 크라우드카바
(정답률: 20%)
  • 크라우드카바는 수분 증발을 억제하는 성분으로, 다른 보기들은 그와 다른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세라소일은 피부 보습에 사용되는 성분이며, 피트모스는 발냄새 제거에 사용되는 성분입니다. 다미노자이드수화제는 식품첨가물로 사용되는 성분입니다. 따라서, 수분 증발 억제제인 것은 크라우드카바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상열(霜㤠)에 대한 설명으로 적합하지 않는 것은?

  1. 추운 지방에 수액이 얼어서 부피가 증대되면 수간의 외층이 냉각 수축되어 수선방향으로 갈라지는 현상이다.
  2. 배수가 불량한 토양이 배수가 양호 하거나 건조한 토양보다 발생이 쉽다.
  3. 낙엽교목이 상록교목보다 수간의 남쪽보다 북쪽이 발생이 쉽다.
  4. 유목이나 노목보다 왕성한 생장을 하는 시기의 수목(흉고직경 약 15 ~ 46cm)이 갈라지기 쉽다.
(정답률: 37%)
  • "낙엽교목이 상록교목보다 수간의 남쪽보다 북쪽이 발생이 쉽다."는 상열과 관련이 없는 설명이다.

    상열(霜㤠)은 추운 지방에서 발생하는 현상으로, 수액이 얼어서 부피가 증대되면 수간의 외층이 냉각 수축되어 수선방향으로 갈라지는 현상이다. 이는 배수가 불량한 토양이나 건조한 토양보다 발생이 쉽다. 또한 유목이나 노목보다 왕성한 생장을 하는 시기의 수목(흉고직경 약 15 ~ 46cm)이 갈라지기 쉽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주민들의 참가에 의하여 행하여 질 수 있는 공원관리활동 내용으로 부적합한 것은?

  1. 운영관리
  2. 공원관리에 관한 제안
  3. 놀이기구의 점검
  4. 화단식재
(정답률: 35%)
  • 정답은 "운영관리"입니다. 운영관리는 이미 공원이 운영되고 있는 상황에서의 관리를 의미하며, 주민들의 참가에 의해 진행되기 어렵습니다. 따라서 주민들의 참가에 의해 행하여 질 수 있는 공원관리활동 내용은 "공원관리에 관한 제안", "놀이기구의 점검", "화단식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전정시의 작업 방법으로 적합하지 못한 것은?

  1. 가지를 자를 때는 상부의 주지부터 전정한다.
  2. 상부는 강하게 하부는 약하게 전정한다.
  3. 강전정을 하면 대체로 세력이 약한 가지가 나오게 되므로, 능수버들과 단풍나무는 강전정을 한다.
  4. 수관 밖에서부터 작업하여 내부가지를 전정한다.
(정답률: 48%)
  • "강전정을 하면 대체로 세력이 약한 가지가 나오게 되므로, 능수버들과 단풍나무는 강전정을 한다."가 적합하지 못한 작업 방법이 아닙니다.

    이유는 강전정은 세력이 강한 가지를 자르는 방법이기 때문에, 세력이 약한 가지가 나오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세력이 강한 가지가 나오게 됩니다. 따라서 "강전정을 하면 대체로 세력이 강한 가지가 나오게 되므로, 능수버들과 단풍나무는 강전정을 한다."로 수정되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손상된 수간(樹幹)의 수술방법이 아닌 것은?

  1. 개공법
  2. 피복법
  3. 충진법
  4. 수간주사법
(정답률: 40%)
  • 수간주사법은 손상된 수간을 치료하는 방법이 아니라, 수간에 약물을 주사하여 질병이나 해충으로부터 보호하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손상된 수간을 치료하는 방법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용제에 녹기 어려운 고체의 유효성분을 액제화(液劑化)한 것이며 유효성분을 물에 분산시킨 현탁액제(懸濁液劑)는?

  1. 수화제
  2. 수용제
  3. 미량살포제
  4. 플로우어블
(정답률: 26%)
  • 현탁액제는 고체 유효성분을 액제화하여 물에 분산시킨 것이기 때문에 고체 입자가 물 속에서 분산되어 혼합물이 형성됩니다. 이때 현탁액제의 입자 크기는 일반적으로 1μm 이하로 매우 작아서 눈으로 볼 수 없습니다. 따라서 현탁액제는 물 속에서 자유롭게 흐르며 플로우어블한 특성을 가지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