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경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0-09-05)

조경산업기사
(2010-09-05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조경계획 및 설계

1. 다음은 조경계획 수립과정을 순서별로 나열한 것인데 올바른 것은?

  1. 기본전제 → 자료수집(조사) → 분석 → 종합 → 기본구상 → 대안 → 기본계획
  2. 기본전제 → 분석 → 자료수집(조사) → 기본구상 → 종합 → 대안 → 기본계획
  3. 자료수집(조사) → 종합 → 분석 → 기본구상 → 기본전제 → 대안 → 기본계획
  4. 자료수집(조사) → 분석 → 종합 → 기본전제 → 기본구상 → 대안 → 기본계획
(정답률: 83%)
  • 올바른 순서는 "기본전제 → 자료수집(조사) → 분석 → 종합 → 기본구상 → 대안 → 기본계획" 입니다.

    - 기본전제: 조경계획을 수립하기 위한 기본적인 전제를 설정합니다.
    - 자료수집(조사): 조경계획 수립에 필요한 자료를 수집하고 조사합니다.
    - 분석: 수집한 자료를 분석하여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도출합니다.
    - 종합: 분석한 결과를 종합하여 전반적인 계획을 수립합니다.
    - 기본구상: 종합한 결과를 바탕으로 기본적인 구상을 합니다.
    - 대안: 기본구상을 바탕으로 대안을 모색합니다.
    - 기본계획: 대안 중에서 최종적으로 채택된 계획을 바탕으로 기본계획을 수립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미끄럼대와 관련된 설계기준으로 틀린 것은?

  1. 미끄럼대의 배치 방향은 되도록 북향으로 배치한다.
  2. 미끄럼판의 높이는 1.2~2.2m 로 한다.
  3. 미끄럼판의 기울기는 30~35°로 재질을 고려하여 설계한다.
  4. 미끄럼판 출구에서 직립자세로 전환하기 쉽도록 착지판에서 놀이터 바닥의 답면까지 높이는 30 cm 이하로 설계한다.
(정답률: 66%)
  • "미끄럼판의 높이는 1.2~2.2m 로 한다."가 틀린 것이다. 미끄럼대의 높이는 1.2~2.2m로 설계하며, 미끄럼판의 높이는 30cm 이하로 설계한다. 이유는 미끄럼판 출구에서 직립자세로 전환하기 쉽도록 착지판에서 놀이터 바닥의 답면까지 높이를 낮추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조선시대 경승지에 세워진 누각들이다. 경기도 수원에 위치하고 있는 것은?

  1. 방화수류정(訪花隨柳亭)
  2. 사미정(史美亭)
  3. 한벽루(寒碧樓)
  4. 북수구문루(北水口門樓)
(정답률: 86%)
  • "방화수류정(訪花隨柳亭)"은 수원 화성 내에 위치한 누각으로, 조선시대 왕실이 수원을 방문할 때 쉴 수 있도록 건립된 것이다. "방화"는 꽃을 구경하러 가는 것을 뜻하고, "수류"는 버들을 뜻한다. 따라서 "방화수류정"은 꽃과 버들을 구경하며 쉴 수 있는 누각이라는 뜻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센트럴파크의 설계안인 그린스워드(Greensward)안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입체적 동선체계
  2. 격자형 가로망
  3. 잔디밭이 넓고 평탄한 평지
  4. 교육적 효과를 위한 화단과 수목원
(정답률: 78%)
  • 격자형 가로망은 그린스워드(Greensward)안의 특징이 아닙니다. 이유는 센트럴파크의 설계자인 올스테드(Olmsted)가 격자형 가로망을 지양하고, 자연스러운 곡선과 입체적 동선체계를 적용하여 공원 내부의 경관을 최대한 살리고자 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센트럴파크는 자연스러운 곡선과 입체적 동선체계를 중심으로 설계되었으며, 잔디밭이 넓고 평탄한 평지, 교육적 효과를 위한 화단과 수목원 등의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에크보(G. Eckbo)는 공간구성(space organization)요소로서 8가지를 들고 있다. 이 중 기본 3요소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차원
  2. 시간
  3. 토지
  4. 에너지
(정답률: 72%)
  • 에크보가 말하는 공간구성 요소 중 기본 3요소는 차원, 시간, 에너지이다. 이들은 모두 공간을 구성하는 중요한 요소로서, 차원은 공간의 크기와 형태를 결정하고, 시간은 공간의 변화와 움직임을 나타내며, 에너지는 공간 내에서 일어나는 활동과 움직임을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반면에 토지는 공간을 구성하는 요소 중 하나이지만, 기본 3요소에 속하지 않는다. 이는 토지가 공간의 크기나 형태, 변화, 움직임, 활동 등을 결정하지 않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다음 “경관”에 대한 설명으로 부적합한 것은?

  1. 경관은 우리들을 둘러싼 세계 그 자체이다.
  2. 경관은 시간과 공간에서 얻어지는 하나의 연속적인 경험이다.
  3. 경관은 시각적으로 물리적으로 연속저기다.
  4. 경관은 보여지는 풍경이므로 지각되는 풍경과는 관계없다.
(정답률: 94%)
  • "경관은 보여지는 풍경이므로 지각되는 풍경과는 관계없다."는 부적합한 설명이다. 경관은 우리가 지각하는 풍경과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우리의 지각과 경험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인식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비용편익분석(Cost-Benefit Analysis)과 관련이 없는 용어는?

  1. 소비자잉여(Consumer’s Surplus)
  2. 비용-편익비(B/C Ratio)
  3. 순현재가치(Net Present Value)
  4. 수입(revenue)
(정답률: 88%)
  • 비용편익분석은 특정 결정이나 프로젝트의 비용과 이로 인해 발생하는 이익을 비교하여 결정하는 분석 방법입니다. 이에 따라 비용-편익비, 순현재가치, 소비자잉여 등이 관련 용어로 사용됩니다. 하지만 수입(revenue)은 이와 관련이 없는 용어입니다. 수입은 단순히 어떤 제품이나 서비스를 판매하여 얻는 수익을 의미하는 용어이며, 비용편익분석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창덕궁 후원과 관련 없는 것은?

  1. 부용정
  2. 향원정
  3. 옥류천
  4. 취한정
(정답률: 75%)
  • "향원정"은 창덕궁 내에 위치하지만, 후원과는 관련이 없는 건물입니다. "부용정", "옥류천", "취한정"은 모두 창덕궁 내의 후원 중 하나로, 정원이나 연못 등이 조성되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색의 온도감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유채색의 경우 중성색은 온도감이 느껴지지 않는다.
  2. 장파장보다 단파장 쪽의 색이 차게 느껴진다.
  3. 일반적으로 명도보다 색상에 의한 효과가 크다.
  4. 무채색의 경우 명도가 높으면 따뜻하게 느껴진다.
(정답률: 72%)
  • "무채색의 경우 명도가 높으면 따뜻하게 느껴진다."가 틀린 것이다. 무채색은 색상이 없는 상태이므로 온도감이 없다. 따라서 명도가 높아지면 온도감이 느껴지는 것이 아니라 밝기가 높아지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설계가가 설계를 진행하면서 사전에 미리 파악할 수 없었던 상황변화가 생기면 앞 단계에 결정한 내용을 번복하거나 수정해야 할 필요가 생기기도 하는데, 이처럼 설계과정에서 앞서의 결정내용을 번복하는 환류(還流, feed-back)과정을 거쳐 설계를 진행하는 방식은?

  1. 암(暗)상자 접근방법 : black-box approach
  2. 명(明)상자 접근방법 : glass-box approach
  3. 자율적 제어방법 : self-organizing approach
  4. 창의적 접근방법 : creative approach
(정답률: 71%)
  • 자율적 제어방법은 설계과정에서 상황변화에 따라 앞서의 결정내용을 번복하거나 수정하는 환류과정을 거쳐 설계를 진행하는 방식이다. 이는 시스템이 자체적으로 학습하고 적응하며,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는 방식으로, 설계자의 개입을 최소화하고 시스템의 자율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자율적 제어방법이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미국인으로 근대 공원의 개념을 확립한 사람은?

  1. 란셀로트 브라운
  2. 윌리암 챔버
  3. 험프리 랩턴
  4. 프래드릭 로 옴스테드
(정답률: 87%)
  • 프래드릭 로 옴스테드는 미국의 조경가이며, 뉴욕 센트럴 파크와 같은 근대 공원의 개념을 확립하였습니다. 그는 공원을 자연과 조화를 이루는 공간으로 디자인하고, 도시의 혼란스러운 생활에서 벗어나 휴식과 여유를 즐길 수 있는 장소로 만들었습니다. 이러한 공원은 도시의 인프라와 문화를 발전시키는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되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조망(眺望)의 초점을 중심축의 종점(終點)에 해당되는 부분에 두는 경우의 정원은?

  1. 중심원(中心園)
  2. 단심원(端心園)
  3. 편심원(偏心園)
  4. 원심원(圓心園)
(정답률: 63%)
  • 조망의 초점을 중심축의 종점에 두는 경우, 정원은 단심원이다. 이는 중심축의 종점에 위치한 한 점을 중심으로 하여 반지름이 일정한 원 모양의 정원을 만들기 때문이다. 이와 달리 중심축의 어느 지점이나 다른 점을 중심으로 하는 경우에는 편심원이나 원심원이 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도시계획시설의 결정·구조 및 설치기준에 관한 규칙상의 유원지의 결정 기준이 아닌 것은?

  1. 유원지의 규모는 10000m2 이상으로 당해 유원지의 성격과 기능에 따라 적정하게 한다.
  2. 준주거지역·일반상업지역·자연녹지지역 및 계획관리지역에 한하여 설치해야 한다.
  3. 대규모 유원지의 경우 교통시설이 고속국도나 지역간 주간선도로에 쉽게 연결되도록 해야 한다.
  4. 공공목적을 위하여 필요한 최소한의 규모로 설치하여야 한다.
(정답률: 78%)
  • 정답은 "공공목적을 위하여 필요한 최소한의 규모로 설치하여야 한다."입니다. 이유는 도시계획시설은 공공목적을 위해 설치되는 것이기 때문에, 필요한 최소한의 규모로 설치하여야 다른 공공시설과의 조화를 이루고, 효율적인 운영이 가능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유원지의 규모는 당해 유원지의 성격과 기능에 따라 적정하게 설정되어야 하며, 대규모 유원지의 경우 교통시설과의 연결성도 고려되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명나라시대 이후 유명한 민간정원이 많이 남아있는 지역은?

  1. 북경
  2. 남겨
  3. 소주
  4. 항주
(정답률: 87%)
  • 정답은 "남겨"입니다. "소주"는 보기에서 오타일 가능성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환경영향평가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주로 개발에 따른 사회적 영향에 초점을 맞춘다.
  2. 환경설계평가 중 사후평가라 할 수 있다.
  3. 환경영향평가는 영국에서 최초로 시작되었다.
  4. 환경영향평가법상 환경영향 평가의 세부항목으로는 6개 분야 21개 항목으로 구성되어 있다.
(정답률: 59%)
  • 환경영향평가는 개발 등으로 인한 환경적 영향을 사전에 예측하고 평가하여 그에 따른 대책을 수립하는 과정이다. 이는 주로 개발에 따른 환경적 영향에 초점을 맞춘다. 환경설계평가와는 달리 사후평가가 아닌 사전평가이다. 이러한 환경영향평가는 영국에서 최초로 시작되었으며, 환경영향평가법상 환경영향 평가의 세부항목으로는 6개 분야 21개 항목으로 구성되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제4차 국토종합계획의 기본목표는 4가지이다. 다음 중 기본목표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균형국토
  2. 녹색국토
  3. 개방국토
  4. 환경국토
(정답률: 51%)
  • 정답: "환경국토"

    설명: 제4차 국토종합계획의 기본목표는 균형국토, 녹색국토, 개방국토, 그리고 안전국토이다. "환경국토"는 기본목표에 해당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도시공원 및 녹지 등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상의 유치거리가 1천미터 이하이며, 규모가 3만제곱미터 이상이 되는 공원은?

  1. 근린생활권근린공원
  2. 도보권근린공원
  3. 도시지역권근린공원
  4. 광역권근린공원
(정답률: 58%)
  • 도시공원 및 녹지 등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상의 유치거리가 1천미터 이하이므로, 규모가 3만제곱미터 이상인 공원 중에서 유치거리 내에 위치하는 공원이 필요하다. 이에 따라 "도보권근린공원"이 정답이다. "도보권근린공원"은 주거지역 내에 위치하며, 도보로 10분 이내에 도달할 수 있는 규모가 작은 공원을 의미한다. 따라서 유치거리 내에 위치하면서도 규모가 작은 "도보권근린공원"이 필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다음 중 주위가 어두워질 때 가장 늦게까지 잘 보이는 계통의 색은?

  1. 청색계통
  2. 적색계통
  3. 황색계통
  4. 자색계통
(정답률: 62%)
  • 청색계통은 파장이 짧고 빛의 세기가 강하여 어두운 환경에서도 빛이 잘 보이기 때문입니다. 적색계통은 파장이 길어서 어두운 환경에서는 잘 보이지 않고, 황색계통과 자색계통은 청색계통보다 파장이 길어서 빛의 세기가 약하기 때문에 어두운 환경에서는 빛이 잘 보이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도시공원 및 녹지 등에 관한 법규상 공원조성계획시 포함되지 않는 것은?

  1. 개발목적 및 개발방향
  2. 공원조성에 따른 수입 활용계획
  3. 조경 및 식재 등에 대한 부문별 계획
  4. 공원조성에 따른 영향 및 효과
(정답률: 89%)
  • 공원조성에 따른 수입 활용계획은 공원을 운영하고 유지하기 위한 자금을 확보하는 계획으로, 공원의 지속적인 관리와 개선을 위해 중요한 요소이기 때문에 공원조성계획에 반드시 포함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이 보기에서 정답은 "공원조성에 따른 수입 활용계획"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일본의 아스카(飛鳥)시대에 궁 남쪽에 백제 사람에 의하여 만들어졌다고 하는 한 정원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귀화인(歸化人)인 노자공(路子工)에 의하여 만들어 졌다.
  2. 만든 연대는 서기 612년경이다.
  3. 네모난 형태의 못과 섬을 만들었다고 기록되어 있다.
  4. 이 기록은 일본서기(日本書紀)에서 볼 수 있다.
(정답률: 78%)
  • 일본의 아스카 시대에 궁 남쪽에 만들어진 정원은 백제 사람이 만들었다는 설명은 옳지만, "네모난 형태의 못과 섬을 만들었다고 기록되어 있다."는 설명은 옳지 않다. 일본의 아스카 시대에 만들어진 정원은 "부용지(風景地)"라고 불리며, 자연의 경치를 모방하여 만들어졌다. 따라서 네모난 형태의 못과 섬을 만들었다는 기록은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조경식재

21. 다음 수종 중 꽃보다는 잎을 감상하는 수목은?

  1. 수국, 매화나무
  2. 이팝나무, 산벚나무
  3. 모란, 개나리
  4. 주목, 능수버들
(정답률: 90%)
  • 주목과 능수버들은 꽃이 있지만, 그보다는 잎의 아름다움으로 유명한 수목이다. 따라서 꽃보다는 잎을 감상하는 수목으로 선택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우리나라에서 방향(芳香) 식물원의 효과를 거둘 수 있도록 식재공간을 조성하고자 한다. 다음 중 적당하지 않은 것은?

  1. 방향식물은 한두 그루 정도로도 큰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2. 식재 위치는 창가, 현관 또는 통로 주변이 효과적이다.
  3. 옥외의 개방된 공간에는 장미 터널식, 생울타리식으로 군식해야 효과적이다.
  4. 대표적인 수종은 치자나무, 태산목, 목서 등이 있다.
(정답률: 76%)
  • 옥외의 개방된 공간에는 장미 터널식, 생울타리식으로 군식해야 효과적이다. - 방향식물은 일반적으로 실내에서 사용되며, 옥외에서 사용할 때에도 특정한 조건이 필요하므로 적당하지 않은 보기이다.

    "방향식물은 한두 그루 정도로도 큰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 방향식물은 향기를 통해 심리적 안정감을 주거나 공기를 정화하는 등의 효과를 가지므로, 한두 그루만으로도 충분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근류균을 갖고 있어 절개지와 같은 척박지에 사용이 적합한 식물은?

  1. Elaeagnus umbellata
  2. Zelkova serrata
  3. Fraxinus rhynchophylla
  4. Lagerstroemia indica
(정답률: 48%)
  • "Elaeagnus umbellata"는 근류균을 갖고 있어서 토양 중의 질소를 고정시키는 능력이 있습니다. 따라서 척박지와 같은 영양분이 부족한 환경에서도 잘 자라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다음 임해매립지의 식재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식물생육에 미치는 염분의 한계농도는 수목이 0.05%, 잔디가 0.1% 이다.
  2. 해저의 펄 흙으로 매립된 곳은 도라을 깊이 파고 모래를 채워 투수성을 향상시킨다.
  3. 쓰레기로 매립된 곳은 가스가 발생하여 나무뿌리가 죽으므로 파이프를 박아 가스를 빼낸다.
  4. 바닷바람이 강한 곳은 바다 가까이 키가 큰 방풍림을 조성하고 내륙쪽에 잔디 등을 심어 휴식 시설로 이용한다.
(정답률: 62%)
  • "식물생육에 미치는 염분의 한계농도는 수목이 0.05%, 잔디가 0.1% 이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염분 농도는 식물 종류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일반화할 수 없다. 따라서 이 설명은 부적절하다.

    바닷바람이 강한 곳은 바다 가까이 키가 큰 방풍림을 조성하고 내륙쪽에 잔디 등을 심어 휴식 시설로 이용하는 것은 바람으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하고, 지역의 자연환경을 보존하며, 지역 주민들의 휴식과 여가활동을 위한 적절한 시설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연평균기온 15℃ 이상의 지역에 생육이 적합한 조경 수종으로만 연결된 것은?

  1. 분비나무, 네군도단풍
  2. 마가목, 사스래나무
  3. 녹나무, 자작나무
  4. 붉가시나무, 후박나무
(정답률: 32%)
  • 연평균기온 15℃ 이상의 지역은 일반적으로 온난한 지역이며, 붉가시나무와 후박나무는 온난한 지역에서 생육이 적합한 조경 수종으로 분류되기 때문입니다. 다른 나무들도 조경 수종으로 사용되지만, 연평균기온 15℃ 이상의 지역에서는 붉가시나무와 후박나무가 가장 적합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일반적인 방품림으로 방풍식재를 한 경우 가장 방풍효과가 큰 곳은 바람 아래쪽의 수고의 몇 배 떨어진 곳인가? (단, 풍속의 65%정도의 감쇠효과가 있다.)

  1. 1~2배
  2. 3~5배
  3. 9~10배
  4. 10~20배
(정답률: 86%)
  • 방풍식재는 바람이 들어오는 방향에서 바람을 막아주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바람 아래쪽에 위치한 수고는 바람이 직접 부딪히기 때문에 가장 방풍효과가 적습니다. 그러나 풍속의 65%정도의 감쇠효과가 있기 때문에 바람 아래쪽의 수고에서도 일정한 방풍효과가 있습니다. 따라서 일반적으로는 바람 아래쪽의 수고에서도 3~5배 정도의 방풍효과가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지하수위가 높은 곳에 식재하기 가장 적합한 수종은?

  1. Taxodium distichum
  2. Pinus densiflora
  3. Maackia amurensis
  4. Juniperus chinensis
(정답률: 53%)
  • "Taxodium distichum"은 습지에서 자라는 수종으로, 지하수위가 높은 곳에서도 잘 자라기 때문에 가장 적합합니다. 다른 보기들은 지하수위가 높은 곳에서는 잘 자라지 않거나 적합하지 않은 환경이기 때문에 선택되지 않았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인공지반에 자연토양으로 식재된 잔디의 생육에 필요한 최소 토심은? (단, 배수 구배는 1.5~2.0% 이다.)

  1. 15 cm
  2. 30 cm
  3. 50 cm
  4. 90 cm
(정답률: 63%)
  • 인공지반에 식재된 잔디의 생육에 필요한 최소 토심은 15cm이다. 이는 배수 구배가 1.5~2.0%인 경우에 적합한 토심으로, 이 범위 내에서는 충분한 배수성과 수분 보유력을 갖춘 토양층이 형성되기 때문이다. 또한, 잔디의 뿌리는 보통 10~15cm 정도의 깊이에 위치하므로, 이를 고려하여 최소 15cm의 토심이 필요하다고 볼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조경용 수목으로서 일반적인 조건에 맞지 않는 것은?

  1. 이식이 쉬워야 한다.
  2. 교목성이라야 한다.
  3. 환경 적응력이 커야 한다.
  4. 시장성이 있어야 한다.
(정답률: 76%)
  • 교목성이라는 것은 나무가 크고 넓은 나무관을 가지며 다른 작은 식물들이 그 아래에서 자라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는 것을 말합니다. 따라서 교목성이 아닌 나무는 다른 작은 식물들이 자라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지 못하므로 일반적인 조건에 맞지 않는 것입니다. 이식이 쉬워야 한다는 것은 나무가 다른 곳으로 옮겨져도 잘 자라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는 것이고, 환경 적응력이 커야 한다는 것은 다양한 환경에서도 잘 자라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시장성이 있어야 한다는 것은 나무가 경제적 가치를 가지고 있어서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우리나라의 역사적인 식재방법과 같은 유형의 식재방식을 가진 나라는?

  1. 프랑스
  2. 영국
  3. 이탈리아
  4. 네덜란드
(정답률: 72%)
  • 영국은 우리나라와 마찬가지로 역사적으로 쌀을 중심으로 한 식재방식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러나 영국은 쌀 대신에 밀을 주요한 곡물로 사용하며, 그 결과로 빵과 같은 밀가루 제품이 매우 중요한 식품입니다. 또한 영국은 차를 중요한 음료로 여기며, 차를 마시는 방식과 문화도 매우 특색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다음 중 양지를 선호하는 식물은?

  1. 꿩고비
  2. 개승마
  3. 개다래
  4. 송악
(정답률: 50%)
  • 개다래는 양지를 선호하는 식물입니다. 이는 개다래가 물을 많이 필요로 하기 때문입니다. 양지는 물이 많이 있는 지역이기 때문에 개다래가 잘 자라는 환경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다음 설명에 적합한 식물종은?

  1. Cornus officinalis
  2. Cornus kousa
  3. Cornus controversa
  4. Cornus walteri
(정답률: 67%)
  • 이 식물은 꽃이 특이하게 크고 빨간색이며, 잎이 오목하고 끝이 뾰족하며 빨간색 가장자리가 있습니다. 이러한 특징은 Cornus kousa에 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나무의 방화 능력은 잎사귀에 불이 당겨지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나타내는 지수(指數)로 표현하는데 다음 중 옳은 것은? (단, W는 함수율, D는 잎사귀 두께, T는 시간을 나타낸다.)

  1. W·D 지수
  2. W·D/T 지수
  3. W·T 지수
  4. W·D·T 지수
(정답률: 47%)
  • 정답은 "W·D 지수"이다. 나무의 방화 능력은 잎사귀에 불이 당겨지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나타내는 지수로 표현하는데, 이는 잎사귀의 두께(D)와 함수율(W)에 의해 결정된다. 즉, 불이 잎사귀에 닿은 후 일정 시간 내에 얼마나 빨리 불이 번지는지는 잎사귀의 두께와 함께 함수율에 의해 결정된다. 따라서 "W·D 지수"가 옳은 답이다. T는 시간을 나타내는 변수이므로, "W·D/T 지수", "W·T 지수", "W·D·T 지수"는 모두 잘못된 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다음 중 상록침엽교목인 수종은?

  1. Torreya nucifera
  2. Metasequoia glyptostroboides
  3. Quercus myrsinaefolia
  4. Chaenomeles sinensis
(정답률: 37%)
  • "Torreya nucifera"는 상록침엽교목으로, 다른 보기들은 모두 활엽수이기 때문에 정답은 "Torreya nucifera"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인간에 의한 영향을 받음으로서 바뀌는 식생을 무엇이라 하는가?

  1. 자연식생(natural vegetation)
  2. 원식생(original vegetation)
  3. 대상식생(substitute vegetation)
  4. 잠재자연식생(potential natural vegetation)
(정답률: 85%)
  • 대상식생은 인간의 영향으로 인해 원래 있던 자연식생이나 원식생이 파괴되거나 변형된 후 대신 자라는 식물군을 말한다. 따라서 인간의 개입으로 인해 생긴 인공적인 환경에서 자라는 식물들을 대상식생이라고 부른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자연풍경식재의 기본 패턴이라고 볼 수 없는 것은?

  1. 랜덤(random)식재
  2. 배경식재
  3. 산지식재
  4. 대식(對植)
(정답률: 79%)
  • 대식(對植)은 자연풍경식재의 기본 패턴이 아닙니다. 대식은 두 개 이상의 나무를 짝지어 심는 것으로, 보통은 미관상의 이유로 심기 때문에 자연풍경식재의 개념과는 조금 다릅니다. 따라서 대식은 자연풍경식재의 기본 패턴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등나무, 담쟁이덩굴, 모란 등의 수종에서 뿌리를 자르지 않고 뿌리 끝이 나타날 정도로 흙을 털어낸 다음 뿌리감기를 하였다가 이식지에서 원래대로 식재하는 방법은?

  1. 추굴법(追掘法)
  2. 동토법(凍土法)
  3. 상취법(箱取法)
  4. 전근이식법(剪根移植法)
(정답률: 57%)
  • 추굴법은 등나무, 담쟁이덩굴, 모란 등의 수종에서 뿌리를 자르지 않고 뿌리 끝이 나타날 정도로 흙을 털어낸 다음 뿌리를 감아 이식지에서 원래대로 식재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뿌리를 자르지 않기 때문에 식물의 생육을 방해하지 않고, 뿌리를 감아 이식지에서 원래대로 식재하기 때문에 이식 후에도 뿌리가 잘 발달하여 생육이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따라서 이 방법이 "추굴법(追掘法)"이라 불리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주목(朱木, Japanese Yew)의 속명은?

  1. Ginkgo
  2. Pinus
  3. Taxus
  4. Picea
(정답률: 83%)
  • 주목은 속명이 Taxus인 속씨이기 때문에 정답은 "Taxus"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우리나라 중부지방의 임해공업지대에 식재할 적정 수종으로 알맞게 구성된 것은?

  1. 참나무류, 아왜나무, 광나무, 겹벚나무
  2. 향나무, 사철나무, 눈향나무, 회양목
  3. 은행나무, 자작나무, 녹나무, 아왜나무
  4. 눈향나무, 잣나무, 감탕나무, 금목서
(정답률: 66%)
  • 중부지방의 임해공업지대는 대기 오염이 심한 지역이기 때문에 대기 정화능력이 높은 나무들이 적합합니다. 이에 따라 향나무, 사철나무, 눈향나무, 회양목이 선택되었습니다. 이들 나무는 대기 오염물질을 흡수하고 분해하여 정화하는 능력이 뛰어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다음 중 방화용 식재 수종으로만 짝지어진 것은?

  1. 녹나무, 삼나무
  2. 구실잣밤나무, 은목서
  3. 아왜나무, 후피향나무
  4. 소나무, 비자나무
(정답률: 79%)
  • 방화용 식재 수종은 불이 나도 쉽게 타지 않는 나무들로 구성되어야 합니다. "아왜나무"와 "후피향나무"는 모두 방화용 식재 수종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하지만 "녹나무", "삼나무", "구실잣밤나무", "은목서", "소나무", "비자나무"는 방화용 식재 수종으로 알려져 있지 않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아왜나무, 후피향나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조경시공

41. 다음 중 플라이애쉬를 콘크리트에 사용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장점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워커빌리티가 개선된다.
  2. 건조수축이 적어진다.
  3. 수화열이 낮아진다.
  4. 초기강도가 높아진다.
(정답률: 64%)
  • 초기강도가 높아진다는 것은 플라이애쉬가 콘크리트의 경화과정을 빠르게 진행시켜 초기 강도를 높여주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는 플라이애쉬를 콘크리트에 사용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장점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다음 그림에서 B점의 반력(RB) 값은?

  1. 0 tf
  2. 2 tf
  3. 4 tf
  4. 6 tf
(정답률: 58%)
  • B점의 반력(RB) 값은 2 tf이다. 이는 뉴턴의 3법칙에 따라 A점에서 작용하는 힘이 B점에서도 같은 크기의 반대 방향의 힘으로 작용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A점에서 작용하는 힘의 크기인 2 tf와 같은 크기의 반력이 B점에서 작용하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TQC를 위한 7가지 도구 중 다음 설명이 의미하는 것은?

  1. 파레토도
  2. 체크시트
  3. 히스토그램
  4. 특성요인도
(정답률: 73%)
  • 위 그림은 데이터의 빈도를 시각적으로 나타내는 도구인 히스토그램을 나타냅니다. 히스토그램은 데이터의 분포를 파악하고, 이상치나 극단값을 확인하는 데 유용합니다. 따라서 TQC에서는 품질 개선을 위해 데이터 분석에 히스토그램을 활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다음 중 등고선의 특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높이가 다른 등고선은 현애, 동굴을 제외하고는 교차되거나 합쳐지지 않는다.
  2. 일반적으로 등고선은 결코 분리되지 않으나 양편으로 서로 같은 숫자가 기록된 두 등고선을 때때로 볼 수 있다.
  3. 등고선 사이의 최단거리의 방향은 그 지표면의 최소경사로서 등고선에 수평방향으로 강우시 배수방향이 된다.
  4. 철( ) 경사에서 높은 쪽의 등고선은 낮은 쪽의 등고선의 간격보다 더 넓게 되어 있다.
(정답률: 62%)
  • "철( ) 경사에서 높은 쪽의 등고선은 낮은 쪽의 등고선의 간격보다 더 넓게 되어 있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이는 잘못된 정보이다. 등고선은 경사면에서는 서로 가까워지거나 멀어지지 않고 일정한 간격을 유지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다음은 굵은 골재를 시험한 결과이다. 이 결과를 이용하여 굵은 골재의 공극률을 구하면?

  1. 42.4 %
  2. 43.4 %
  3. 44.4 %
  4. 45.4 %
(정답률: 69%)
  • 공극률 = (1 - (밀도/최대밀도)) x 100

    주어진 결과에서 밀도는 2.65 g/cm³이고, 최대밀도는 2.87 g/cm³이다.

    따라서, 공극률 = (1 - (2.65/2.87)) x 100 = 43.4 %

    정답은 43.4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목재의 사용 환경 범주인 해저드클래스(Hazard Class)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담수와 접하는 곳 등 특수한 환경에서 고도의 내구성을 요구할 때는 H4에 해당한다.
  2. H1은 외기에 접하지 않은 실내의 건조한 곳에 해당된다.
  3. 파고라 상부 등 야외용 목재시설은 H3에 해당하는 방부처리방법을 사용한다.
  4. H4에서는 결로의 우려가 있는 조건에 적용하는 목재로 침지법을 사용한다.
(정답률: 56%)
  • "H4에서는 결로의 우려가 있는 조건에 적용하는 목재로 침지법을 사용한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H4는 바다나 염분이 많은 환경에서 사용되며, 이러한 환경에서는 침지법이 아닌 압력처리나 열처리 방법을 사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축척 1:25000의 지형도에서 제한 기울기를 4%로 할 때 등고선(주곡선)간의 수평거리는?

  1. 5mm
  2. 10mm
  3. 20mm
  4. 40mm
(정답률: 54%)
  • 제한 기울기가 4%이므로, 100m 거리마다 4m의 고도차가 발생한다. 따라서 등고선 간의 수평거리는 100m당 2.5cm(= 25000분의 100)이 된다. 이를 1mm로 환산하면 4mm이 되므로, 등고선 간의 수평거리는 2.5cm를 4로 나눈 값인 10mm이 된다. 즉, 10mm는 100m당 등고선 간의 수평거리를 나타내는 값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강(鋼)의 조직을 미세화하고 균질의 조직으로 만들며 강의 내부 변형 및 응력을 제거하기 위하여 변태점 이상의 높은 온도로 가열한 후 대기중에서 냉각시키는 열처리 방법은?

  1. 담금질(quenching)
  2. 풀림(annealing)
  3. 불림(normalizing)
  4. 뜨임질(tempering)
(정답률: 73%)
  • 불림(normalizing)은 강을 높은 온도로 가열하여 균질한 조직으로 만든 후, 대기중에서 천천히 냉각시키는 열처리 방법입니다. 이는 강의 내부 응력을 제거하고 미세한 조직을 형성하여 강의 강도와 인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습니다. 불림은 풀림(annealing)과는 달리 더 높은 온도에서 가열하고, 담금질(quenching)과는 달리 천천히 냉각시키는 차이점이 있습니다. 뜨임질(tempering)은 불림과 담금질의 중간 열처리 방법으로, 강의 경도와 인성을 조절하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철골공사에서 크롬산아연을 안료로 하고, 알키드 수지를 전색료로 한 것으로서 알루미늄 녹막이 초벌칠에 적당한 것은?

  1. 광명단
  2. 그래파이트 도료
  3. 알루미늄 도료
  4. 징크로메이트 도료
(정답률: 79%)
  • 알루미늄은 철과 반응하여 부식되기 쉬우므로, 철골공사에서는 부식을 방지하기 위해 크롬산아연을 안료로 사용합니다. 또한, 알키드 수지는 전색료로 사용되는데, 이는 내구성과 방수성이 뛰어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알루미늄 녹막이 초벌칠에 적당한 도료는 부식 방지와 내구성, 방수성을 고려하여 징크로메이트 도료가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한중콘크리트로서 시공하여야 하는 기준이 되는 기상조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하루의 평균기온이 0℃ 이하가 되는 기상조건
  2. 일주일의 평균기온이 0℃ 이하가 되는 기상조건
  3. 일주일의 평균기온이 4℃ 이하가 되는 기상조건
  4. 하루의 평균기온이 4℃ 이하가 되는 기상조건
(정답률: 73%)
  • 한중콘크리트는 기온이 낮아지면 경화가 느려지거나 멈추기 때문에 시공할 때 기온이 중요한 요소입니다. 따라서 시공 기준으로는 하루의 평균기온이 4℃ 이하가 되는 기상조건이 필요합니다. 이유는 이 기온 이하에서는 콘크리트 경화가 원활하게 이루어지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이윤 계산시의 합계액이 포함되지 않는 것은?

  1. 노무비
  2. 일반관리비
  3. 재료비
  4. 경비
(정답률: 48%)
  • 재료비는 제품을 만들기 위해 필요한 원자재나 부품 등의 비용을 말하며, 제품의 이윤 계산시에는 제품 판매 가격에서 제품 제작에 필요한 재료비를 뺀 나머지 금액이 이윤으로 계산됩니다. 따라서 이윤 계산시의 합계액이 포함되지 않는 것은 재료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다음 특성을 갖는 열가소성 수지는?

  1. 페놀수지
  2. 염화비닐수지
  3. 아크릴수지
  4. 폴리에스테르수지
(정답률: 58%)
  • 위 그림에서 보이는 것처럼, 열에 의해 부드러워지고 녹는 것이 특징인데, 이는 염화비닐수지의 특성과 일치합니다. 다른 보기들은 이러한 특성을 갖지 않거나, 다른 특성을 갖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콘크리트 타설 작업시 발생하는 블리딩(Bleeding)현상에 대해 가장 잘 설명한 것은?

  1. 시멘트 입자의 비율이 높아 점성이 증가하므로 타설 작업에 지장을 초래하는 현상
  2. 굳지 않는 상태에서 시멘트 입자의 점성에 의한 재료분리에 저항하는 성질
  3. 시멘트의 화학적 작용으로 인한 골재의 혼합 및 타설작업에 지장을 초래하는 현상
  4. 굳지 않은 상태에서 무거운 골재나 시멘트는 침하하고 비교적 가벼운 물이나 미세한 물질 등이 상승하는 현상
(정답률: 88%)
  • 굳지 않은 상태에서 무거운 골재나 시멘트는 침하하고 비교적 가벼운 물이나 미세한 물질 등이 상승하는 현상은 콘크리트 타설 작업시 발생하는 블리딩 현상을 가장 잘 설명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다음 중에서 아스팔트의 점도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것은?

  1. 온도
  2. 비중
  3. 인화점
  4. 연화점
(정답률: 63%)
  • 아스팔트의 점도는 온도에 가장 큰 영향을 받습니다. 이는 온도가 높아질수록 아스팔트 분자들이 더 빠르게 움직이고, 분자 간의 상호작용이 약화되어 점도가 낮아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아스팔트를 사용하는 환경의 온도에 따라 점도가 크게 변화할 수 있습니다. 비중, 인화점, 연화점은 아스팔트의 물성에 영향을 미치지만, 점도에 비해 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암석은 생성원인에 따라 화성암, 변성암, 퇴적암으로 나뉜다. 다음 중에서 생성원인이 다른 암석은?

  1. 성록암
  2. 화강암
  3. 편마암
  4. 현무암
(정답률: 64%)
  • 정답은 "편마암"이다.

    - "성록암"은 변성암으로, 지열 또는 지하수의 열에 의해 변형된 암석이다.
    - "화강암"은 화산활동으로 인해 생성된 화성암이다.
    - "현무암"은 퇴적암으로, 강, 바다 등에서 퇴적물이 쌓여서 생성된 암석이다.

    반면에 "편마암"은 화성암과 변성암의 중간 형태로, 화성암이 변성작용을 받아서 생성된 암석이다. 따라서 생성원인이 다른 암석들과는 구분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1:25000 축척의 지형도에서 주곡선을 이용하여 구릉지를 구적기로 면적 측정하여 A0=120m2, A1=450m2, A2=1270m2, A3=2430m2, A4=5670m2을 얻었을 때 등고선법(각주공식)에 의한 체적은?

  1. 56166.67m3
  2. 66166.67m3
  3. 76166.67m3
  4. 86166.67m3
(정답률: 52%)
  • 등고선법에 의한 체적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V = (A0 + A1)/2 × 5 + (A1 + A2)/2 × 5 + (A2 + A3)/2 × 5 + (A3 + A4)/2 × 5

    = (120 + 450)/2 × 5 + (450 + 1270)/2 × 5 + (1270 + 2430)/2 × 5 + (2430 + 5670)/2 × 5

    = 2850 + 8600 + 18500 + 40500

    = 66166.67m3

    따라서, 정답은 "66166.67m3"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다음 콘크리트와 관련된 설명이 옳지 않은 것은?

  1. 비비기로부터 타설이 끝날 때까지의 시간은 원칙적으로 외기온도가 25℃이상일 때는 1.5시간을 넘어서는 안된다.
  2. 콘크리트 다지기에는 내부진동의 사용을 원칙으로 하나, 얇은 벽 등 내부진동기의 사용을 원칙으로 하나, 얇은 벽 등 내부진동기의 사용이 곤란한 장소에서는 거푸집 진동기를 사용해도 좋다.
  3. 거푸집의 높이가 높을 경우, 재료 분리를 막고 상부의 철근 또는 거푸집에 콘크리트가 부착하여 경화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투입구와 타설면과의 높이는 1.5m 이하를 원칙으로 한다.
  4. 비비기 시간은 시험에 의해 정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며, 미리 정해둔 비비기 시간의 2배 이상 지속해야 한다.
(정답률: 67%)
  • "비비기로부터 타설이 끝날 때까지의 시간은 원칙적으로 외기온도가 25℃이상일 때는 1.5시간을 넘어서는 안된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이유는 외기온도가 25℃ 이상일 때는 비비기 시간이 더 짧아질 수 있기 때문이다. 비비기 시간은 콘크리트의 종류, 크기, 형태, 온도 등에 따라 다르며, 시험을 통해 정해진다. 또한, 비비기 시간의 2배 이상 지속해야 하는 것은 콘크리트의 경화를 보장하기 위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다음 중 그늘시럼(퍼걸러)의 설명 중 틀린 것은?

  1. 평면 형태는 직사각형 및 정사각형을 기본으로 한다.
  2. 높이는 2.2 ~ 2.6m를 기준으로 한다.
  3. 지표면은 물이 고이지 않도록 표면 경사를 주어 원활한 배수가 되도록 한다.
  4. 나비에 비하여 높이가 높다고 생각될 정도가 좋다.
(정답률: 76%)
  • "나비에 비하여 높이가 높다고 생각될 정도가 좋다."가 틀린 설명이다. 그늘시럼(퍼걸러)은 나비와 비슷한 높이를 가지며, 일반적으로 1.5 ~ 2m 정도의 높이를 가진다. 따라서, "나비에 비하여 높이가 높다고 생각될 정도가 좋다."는 설명은 틀린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목재의 건조방법은 크게 자연건조법과 인공건조법으로 나눌 수 있다. 다음 중 목재의 건조방법이 나머지 셋과 다른 것은?

  1. 훈연법
  2. 자비법
  3. 증기법
  4. 수침법
(정답률: 74%)
  • 정답: "수침법"

    설명: 자연건조법은 바람과 태양의 열을 이용하여 건조하는 방법이며, 인공건조법은 열을 이용하여 건조하는 방법이다. "훈연법"은 목재를 연기 속에 노출시켜 건조하는 방법, "자비법"은 물을 이용하여 목재를 건조하는 방법, "증기법"은 증기를 이용하여 목재를 건조하는 방법이다. "수침법"은 목재를 물에 담그고 건조하는 방법으로, 다른 세 가지 방법과는 다른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한중콘크리트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단위수량은 초기동해를 적게 하기 위하여 소요의 워커빌리티를 유지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되도록 적게 정하여야 한다.
  2. 재료를 가열하는 경우, 물을 가열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3. 골재가 동결되어 있거나 골재에 빙설이 혼입되어 있는 골재는 사용할 수 없다.
  4. 한중콘크리트에는 공기연행 콘크리트를 사용하는 것이 원칙이다.
(정답률: 48%)
  • "한중콘크리트에는 공기연행 콘크리트를 사용하는 것이 원칙이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한중콘크리트는 공기연행 콘크리트 뿐만 아니라 다양한 종류의 콘크리트를 생산하고 사용한다.

    재료를 가열하는 경우, 물을 가열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는 이유는 물은 가열에 대한 열팽창 계수가 작아서 가열로 인한 큰 변형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이다. 반면에 콘크리트 재료 중에서는 가열로 인한 큰 변형이 발생할 수 있는 것들이 있기 때문에 물을 가열하는 것이 원칙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조경관리

61. 리바이짓드 유제 30%를 500배로 희석해서 10a 당 8말을 살포하여 해충을 방제하고자 할 때 리바이짓드 유제 30%의 소요량은 몇 mL 인가? (단, 1말은 18L로 한다.)

  1. 288
  2. 244
  3. 188
  4. 144
(정답률: 52%)
  • 1말은 18L이므로 8말은 144L이다. 따라서 10a당 필요한 양은 144L이므로, 1a당 필요한 양은 14.4L이다.

    리바이짓드 유제 30%를 500배로 희석하면 물에 1/500만큼의 농도가 된다. 따라서 1L의 희석액에는 30% * 1/500 = 0.06%의 리바이짓드 유제가 포함되어 있다.

    1a당 필요한 양이 14.4L이므로, 0.06%의 리바이짓드 유제가 포함된 14.4L의 양을 구해야 한다.

    14.4L * 0.06% = 0.00864L = 8.64mL

    따라서 10a당 필요한 양은 8.64mL * 10 = 86.4mL이다.

    정답은 86.4mL을 구한 후, 500배로 희석했으므로 86.4mL * 500 = 43,200mL = 288mL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내한성이 약한 수목의 월동 방법으로 가장 부적합한 것은?

  1. 흙을 성토하여 덮어주거나 흙 속에 매장한다.
  2. 초겨울 증산제의 살포를 통해 잎의 변조를 조기에 실시한다.
  3. 배수를 좋게 한다.
  4. 짚으로 싸 주거나 새끼로 감아준다.
(정답률: 60%)
  • 초겨울 증산제는 수목의 생장을 촉진시키는데, 이는 월동 기간에는 원하지 않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기 때문에 약한 내한성을 가진 수목에게는 부적합한 월동 방법이다. 따라서 정답은 "초겨울 증산제의 살포를 통해 잎의 변조를 조기에 실시한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흰개미목(Isoptera)의 특징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완전변태를 한다.
  2. 씹는 입을 가지고 있다.
  3. 날개가 있는 것과 없는 것이 있는데, 날개가 없는 종이 더 많다.
  4. 주로 열대지방과 아열대지방 또는 온대지방에 서식하며, 먹이는 셀룰로오스를 함유한 식물질이다.
(정답률: 79%)
  • "완전변태를 한다."가 틀린 것이다. 흰개미목은 완전변태를 하지 않고, 단순변태를 한다. 단순변태는 새끼 개미가 성체 개미와 비슷한 형태를 가지고 태어나며, 성장하면서 크기와 색상이 변하는 것을 말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임해매립지의 식물 관리시 중요 항목 중 우선도가 가장 낮은 것은?

  1. 지주관리
  2. 전정
  3. 방한
  4. 지반개량
(정답률: 68%)
  • 전정은 임해매립지의 식물 관리시 중요 항목 중 우선도가 가장 낮은 것입니다. 이는 전정은 식물의 생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기 때문입니다. 지주관리는 식물의 안정적인 성장을 위해 필요한 것이며, 방한은 겨울철 식물의 생존을 보장하기 위해 중요합니다. 지반개량은 식물의 뿌리가 건강하게 성장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약량을 1/3~1/5로 줄여서 살포하여도 충분한 약효를 얻을 수 있고 동시에 약해를 피할 수 있으므로 용수가 부족한 곳에 가장 적당한 살포 방법은?

  1. 분무법
  2. 미스트법
  3. 산분법
  4. 분의법
(정답률: 53%)
  • 미스트법은 약액을 미세한 입자로 분사하여 공기 중에 떠다니게 하여 작은 면적에 균일하게 분포시키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약효를 유지하면서도 약물의 양을 줄일 수 있어서 용수가 부족한 곳에서 가장 적합한 방법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미스트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소나무류 새순 지르기(치기)는 주로 어떤 전정의 방법에 해당하는가?

  1. 노쇠한 것을 갱신시키기 위한 전정
  2. 생장을 조장시키기 위한 전정
  3. 생장을 억제시키기 위한 전정
  4. 생리 조절을 위한 전정
(정답률: 76%)
  • 소나무류 새순 지르기(치기)는 "생장을 억제시키기 위한 전정"에 해당한다. 이는 새순이 너무 길어지는 것을 막고, 나무의 생장을 조절하여 나무가 원하는 모양으로 자라도록 하기 위한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뗏밥주기에 관한 설명으로 부적합한 것은?

  1. 잔디의 생육을 돕기 위하여 한지형 잔디는 봄, 가을에 뗏밥을 준다.
  2. 잔디의 생육을 돕기 위하여 난지형 잔디는 늦봄에서 초여름에 뗏밥을 준다.
  3. 뗏밥의 양은 잔디깎기의 정도에 따라 조절하는데, 잔디의 생육이 왕성할 때 얇게 1~2회 준다.
  4. 뗏밥의 두께는 2~4cm 정도로 주고, 다시 줄 때에는 15일이 지난 후에 주어야 하며, 봄철에 두껍게 한 번에 주는 경우에는 2~5cm 정도로 시행한다.
(정답률: 60%)
  • "잔디의 생육이 왕성할 때 얇게 1~2회 준다."는 부적합한 설명입니다. 뗏밥은 잔디의 생육을 돕기 위해 주는 것이기 때문에, 생육이 왕성할 때 얇게 준다는 것은 목적에 맞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수목 시비법 중 쥐똥나무 생울타리에 적합한 시비방법은?

  1. 선상시비법
  2. 윤상시비법
  3. 대상시비법
  4. 전면시비법
(정답률: 61%)
  • 쥐똥나무는 뿌리가 얕고 흙을 잘 떠나는 특성이 있기 때문에, 선상시비법이 적합합니다. 선상시비법은 수목의 뿌리 주변에 비료를 뿌리는 방법으로, 흙 위에 비료를 뿌리기 때문에 뿌리가 흙을 떠나는 쥐똥나무에게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멀칭(mulching)을 통하여 기대할 수 있는 효과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토양침식과 수분의 손실을 방지한다.
  2. 염분농도와 토양온도를 조절한다.
  3. 토양의 비옥도를 증진시키고 잡초의 발생이 억제된다.
  4. 토양의 통기성을 높이고 토양이 굳어지게 된다.
(정답률: 80%)
  • 멀칭은 토양의 통기성을 높여서 토양이 굳어지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토양의 통기성을 높여서 토양이 더욱 허투루어지고 공기와 수분이 잘 통과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따라서 "토양의 통기성을 높이고 토양이 굳어지게 된다."는 효과는 해당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간척지 다년생 우점잡초는?

  1. 새섬매자기
  2. 올챙이고랭이
  3. 물달개비
  4. 뚝새풀
(정답률: 68%)
  • 간척지는 인위적으로 만들어진 지역이기 때문에 자연적으로 존재하는 식물들보다는 인간의 활동에 적응한 식물들이 우점화됩니다. 이 중에서도 새섬매자기는 높은 생육력과 적응력을 가지고 있어서 간척지에서 가장 흔하게 발견되는 우점잡초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새섬매자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수간주사에 의해 소나무의 솔잎혹파리를 구제하고자 할 때 잘못된 것은?

  1. 수간에 20~30° 정도의 하향각도로 구멍을 뚫는다.
  2. 6월 중 부화유충기에 흉고직경(cm)당 원액 0.3mL를 사용하여 방제한다.
  3. 포스파미돈(다무르)액제를 수관에 주입하는데 급성독성이 매우 강하므로 주의한다.
  4. 포스파미돈(다무르)액제의 겨우 영하 0℃이상에서 화학반응이 있으므로 0℃ 이하로 유지하여 보관한다.
(정답률: 63%)
  • "포스파미돈(다무르)액제의 겨우 영하 0℃이상에서 화학반응이 있으므로 0℃ 이하로 유지하여 보관한다."가 잘못된 것이 아니라 올바른 것입니다. 포스파미돈(다무르)액제는 온도가 높아지면 분해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0℃ 이하로 보관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다음 중 1세대의 기간이 가장 긴 해충은?

  1. 애멸구
  2. 말매미
  3. 고자리파리
  4. 이화명나방
(정답률: 60%)
  • 말매미는 17년 주기로 발생하는 주기성 해충으로, 1세대의 기간이 가장 길다. 애멸구와 고자리파리는 1년에 여러 세대를 가지며, 이화명나방은 2년에 한 번 발생하는 해충이지만, 말매미는 17년에 한 번 발생하기 때문에 1세대의 기간이 가장 길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시설물의 관리를 위한 방법으로 적당하지 않은 것은?

  1. 유희시설물의 점검은 용접 부분 및 움직임이 많은 부분을 중점적으로 조사한다.
  2. 벽돌의 원로포장의 파손시는 모래를 애초의 기본 높이 만큼만 깔고 보수한다.
  3. 콘크리트 포장의 갈라진 부분은 이물질을 완전히 제거 후 조치한다.
  4. 배수시설은 정기적인 점검을 통해 보수한다.
(정답률: 78%)
  • "벽돌의 원로포장의 파손시는 모래를 애초의 기본 높이 만큼만 깔고 보수한다."가 적당하지 않은 방법이다. 이유는 파손된 부분만 보수하면 원래의 높이와 맞지 않아 안정성이 떨어지고, 물이 모이거나 미끄러워질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파손된 부분을 제거하고 새로운 벽돌을 깔아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종합적 방제법(integrated control)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제초제 약해와 환경오염을 줄일 수 있다.
  2. 여러 가지 다른 방제법을 상호협력적으로 적용하는 방식이다.
  3. 잡초군락의 크기는 감소하고 작물의 생산력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4. 화학적 방제를 배제하고 생태적 방제와 예방적 방제를 주로 사용한다.
(정답률: 75%)
  • "화학적 방제를 배제하고 생태적 방제와 예방적 방제를 주로 사용한다."가 틀린 것이다. 종합적 방제법은 여러 가지 다른 방제법을 상호협력적으로 적용하는 방식으로, 화학적 방제도 포함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화학적 방제를 최소화하고 생태적 방제와 예방적 방제를 우선적으로 사용하여 제초제 약해와 환경오염을 줄일 수 있다는 것이 종합적 방제법의 특징이다. 또한, 잡초군락의 크기는 감소하고 작물의 생산력이 증대되는 효과도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아스팔트양의 과잉, 골재의 입도불량 등 아스팔트 침입도가 부적합한 역청재료를 사용하였을 때 주로 나타나는 도로의 파손 현상은?

  1. 균열
  2. 국부적 침하
  3. 박리
  4. 표면연화
(정답률: 53%)
  • 아스팔트양의 과잉, 골재의 입도불량 등으로 인해 아스팔트 침입도가 부적합한 역청재료를 사용하면, 도로 표면에서 차량의 무게와 교통량 등의 영향으로 인해 표면이 마모되고 연화되어 국부적 침하와 균열, 박리 등의 파손 현상이 나타납니다. 따라서 정답은 "표면연화"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잔디밭 통기 작업을 하기에 가장 부적합한 것은?

  1. 롤링(rolling)
  2. 스파이킹(spiking)
  3. 슬라이싱(slicing)
  4. 코어 에어리피케이션(core aerification)
(정답률: 70%)
  • 잔디밭 통기 작업 중 가장 부적합한 것은 "롤링(rolling)"이다. 롤링은 잔디밭의 표면을 압축시켜 더 단단하게 만드는 작업이기 때문에 통기 작업에는 적합하지 않다. 스파이킹, 슬라이싱, 코어 에어리피케이션은 잔디밭의 토양을 깊게 관리하여 공기와 물이 잘 흐를 수 있도록 하는 통기 작업에 적합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다음 설명은 어떤 양분의 부족으로 발생하는 현상인가?

  1. N
  2. K
  3. P
  4. Ca
(정답률: 57%)
  • 정답은 "K"가 아니라 "P"입니다. 이는 이미지에서 보이는 잎의 보라색 변색으로부터 유추할 수 있습니다. 보라색 변색은 인삼 등의 식물에서 인과 같은 무기질 양분의 부족으로 발생하는 현상입니다. 따라서 "P"가 부족한 상황이라고 추측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세포벽이 없는 원핵생물로 인공배지에 배양이 되지 않으며 곤충에 매개되는 특성이 있고 세균과 바이러스의 중간형태로 알려진 식물병원 미생물은?

  1. 원생동물
  2. 파이토플라스마
  3. 아메바
  4. 프라이온
(정답률: 77%)
  • 파이토플라스마는 세포벽이 없는 원핵생물로, 이러한 특성 때문에 인공배지에서 배양이 되지 않습니다. 또한 곤충에 매개되는 특성이 있으며, 세균과 바이러스의 중간 형태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러한 특징들로 인해 식물병원 미생물로 분류되며, 이 중에서도 파이토플라스마는 대표적인 종류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가을에 첫 번째 오는 서리에 의해서 나타나는 피해로 따뜻한 가을날씨가 지속되어 수목이 계속 생장하면서 아직 내한성을 가지고 있지 않을 때, 별안간 첫서리가 오면 피해를 받는 것을 가리키는 것은?

  1. 냉해(冷害)
  2. 상열(想裂)
  3. 조상(早想)
  4. 만상(晩想)
(정답률: 71%)
  • 가을에 첫 번째 오는 서리는 일반적으로 10월 중순부터 11월 초순 사이에 나타나며, 이때 수목들은 아직 내한성을 가지고 있지 않아서 서리에 취약합니다. 따라서 이러한 상황에서 별안간 첫서리가 오면 수목들은 피해를 입게 됩니다. 이를 가리키는 용어는 "조상(早想)"입니다. "조상"은 일본어로 "이른 생각"을 뜻하며, 이는 수목들이 아직 내한성을 가지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 이른 시기에 서리가 오면 생장에 지장을 받게 되는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다음 중 엽면시비에 가장 용이하며, 흡수성이 가장 큰 비료는?

  1. 중과석
  2. 용과린
  3. 요소
  4. 용성인비
(정답률: 57%)
  • 정답은 "요소"입니다.

    요소는 엽면을 통해 직접 흡수되기 때문에 엽면시비에 가장 용이하며, 농작물이 필요로 하는 영양소를 직접 공급할 수 있어 흡수성이 가장 큽니다. 반면에 중과석과 용과린은 흡수가 어렵고, 용성인비는 엽면에 붙어있는 먼지나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비료로 사용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