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경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1-03-20)

조경산업기사
(2011-03-20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조경계획 및 설계

1. 형태 조사 방법 중 물리적 흔적(physical traces)의 관찰 방법으로 부적합한 것은?

  1. 일정 장소의 의자배치, 낙서, 잔디마모 등의 물리적 흔적을 관찰하는 것이다.
  2. 연구하고자 하는 인간행태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3. 일반적으로 정보를 얻는데 시간이 많이 걸려 비용이 많이 든다.
  4. 대부분의 물리적 흔적은 비교적 장시간 변형되지 않으므로 반복적인 관찰이 가능하다.
(정답률: 81%)
  • "일반적으로 정보를 얻는데 시간이 많이 걸려 비용이 많이 든다."는 부적합한 것이다. 이유는 다른 보기들과 달리 물리적 흔적을 관찰하는 것 자체는 비교적 간단하고 쉬운 방법이지만, 정보를 수집하고 분석하는 데에는 많은 시간과 비용이 들어갈 수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이 방법을 선택할 때에는 비용과 시간을 충분히 고려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다음 중 경복궁에 경회루(慶會樓)를 창건하고, 방형(方形)의 연못을 판 시기는?

  1. 1394년(태조 3년)
  2. 1456년(세조 2년)
  3. 1412년(태종 12년)
  4. 1592년(선조 25년)
(정답률: 86%)
  • 경복궁에 경회루를 창건하고, 방형의 연못을 판 시기는 "1412년(태종 12년)"이다. 이는 태종 때 경복궁을 중심으로 대대적인 건축공사가 이루어졌고, 이 과정에서 경회루와 연못이 건립되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당(唐)의 백낙천(白樂天)이 장한가(長恨歌) 속에서 아름다움을 묘사한 이궁은?

  1. 화청궁(華淸宮)
  2. 아방궁(阿房宮)
  3. 상림원(上林苑)
  4. 건장궁(建章宮)
(정답률: 74%)
  • 장한가(長恨歌) 속에서 백낙천(白樂天)이 묘사한 이궁은 화청궁(華淸宮)입니다. 이유는 장한가(長恨歌)에서 "화청궁(華淸宮)의 봄날 풍경"과 "화청궁(華淸宮)의 눈부신 아름다움" 등의 표현이 나오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다음 중 사회적 가치에 근거하여 토지가 지나고 있는 본래의 잠재력을 분석, 평가한 토지이용의 최종 평가는?

  1. Capabiility(잠재력도)
  2. Opportunity(기회요소)
  3. Constraints(제한요소)
  4. Suitability(적합도)
(정답률: 82%)
  • 적합도는 사회적 가치에 근거하여 토지가 가지고 있는 본래의 잠재력을 분석하고, 토지의 특성과 용도에 따라 적합한 사용 방법을 결정하는 평가 방법이다. 따라서, 다른 보기들은 토지의 특성과 용도에 대한 평가를 하지 않는 반면, 적합도는 토지의 잠재력과 특성을 고려하여 적합한 용도를 결정하는 평가 방법이므로 정답은 적합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다음 중 가장 파괴가 빠르며 회복이 어려운 생태계 유형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삼림생태계(森林生態係)
  2. 경작지생태계(耕作地生態系)
  3. 호소생태계(湖沼生態系)
  4. 도시생태계(都市生態系)
(정답률: 41%)
  • 도시생태계는 인간의 활동으로 인해 매우 빠르게 변화하며, 자연적인 생태계의 특성을 상당 부분 상실하고 있다. 또한 도시 내에서의 대기오염, 수질오염, 소음 등의 인위적인 요인들이 매우 많아 회복이 어렵다. 따라서 가장 파괴가 빠르며 회복이 어려운 생태계 유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나뭇잎이 녹색으로 보이는 이유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녹색의 빛은 투과하고 그 밖의 빛은 흡수하기 때문
  2. 녹색의 빛은 산란하고 그 밖의 빛은 반사하기 때문
  3. 녹색의 빛은 반사하고 그 밖의 빛은 흡수하기 때문
  4. 녹색의 빛은 흡수하고 그 밖의 빛은 반사하기 때문
(정답률: 86%)
  • 답은 "녹색의 빛은 반사하고 그 밖의 빛은 흡수하기 때문"입니다. 나뭇잎은 엽록소라는 색소를 가지고 있어서, 빨간색과 파란색의 빛을 흡수하고, 녹색의 빛은 반사하기 때문에 나뭇잎이 녹색으로 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원격탐사(remote sensing)의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모든 식생이나 식생 상태의 분광 특성은 항상 동일하다.
  2. 광역성, 동시성, 주기성, 전자파 이용 등의 특징을 가지고 있다.
  3. 대상물체의 특성에 따른 반사 또는 방사된 에너지를 감지해서 정보를 수집하는 기술이다.
  4. 우리나라는 자체 자원 탐사를 위한 인공위성을 운영하고 있다.
(정답률: 93%)
  • "모든 식생이나 식생 상태의 분광 특성은 항상 동일하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각각의 식물이나 식생 상태에 따라 분광 특성이 다르기 때문에, 이를 고려하여 원격탐사를 수행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빨강, 채도 6, 명도 5”인 색의 먼셀 색표기로 옳은 것은?

  1. R5 5/6
  2. 5R 6/5
  3. 5R 5/6
  4. R5 6/5
(정답률: 88%)
  • 정답은 "5R 5/6"입니다.

    먼셀 색표기법에서 첫 번째 숫자는 색상 계열을 나타내고, 두 번째 숫자는 명도를 나타내며, 슬래시 뒤의 숫자는 채도를 나타냅니다.

    따라서 "5R"은 빨간색 계열을 나타내고, "5/6"은 채도가 6단계 중 5단계라는 것을 의미하며, "5/6"은 명도가 10단계 중 5단계라는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조경설계기준상의 배수시설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표면배수시 녹지의 식재면은 일반적으로 1/20~1/30 정도의 배수 기울기로 설계한다.
  2. 개거배수는 지표수의 배수가 주 목적임으로 지표저류수, 암거로의 배수, 일부의 지하수 및 용도 등은 배수하지 않는다.
  3. 암거배수시 관은 관내부로 외부 토양수와 토산느 들어오지 못하도록 설계한다.
  4. 사주법은 식재지가 불투수층으로 그 두께가 2~3m이고 하층에 불투수층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하층의 불투수층까지 나무구덩이를 관통시키고 참흙을 넣어 객토하는 공법으로 설계한다.
(정답률: 72%)
  • 표면배수시 녹지의 식재면은 일반적으로 1/20~1/30 정도의 배수 기울기로 설계하는 이유는 지표수의 유출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서이다. 이 기울기는 물이 흐르는 속도를 조절하여 지표수가 너무 빠르게 유출되지 않도록 하고, 물이 더 오랫동안 머무르도록 하여 지표수의 증발과 산화를 촉진시키기 위함이다. 이를 통해 지표수의 생태적 기능을 유지하고, 지하수 충전을 도모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도시계획시설의 결정ㆍ구조 및 설치기준에 관한 규칙상 도로의 일반적인 결정기준에 따른 도로 배치간격으로 맞는 것은? (단, 시ㆍ군의 규모, 지형조건, 토지이용계획, 인구밀도 등 감안 사항은 적용하지 않는다.)

  1. 주간선도로와 주간선도로의 배치간격 : 2500미터 내외
  2. 주간선도로와 보조간선도로의 배치간격 : 1000미터 내외
  3. 보조간선도로와 집산도로의 배치간격 : 250미터 내외
  4. 국지도로간의 배치간격 : 가구의 짧은변 사이의 배치간격은 50미터 내지 1000미터 내외, 가구의 긴변 사이의 배치간격은 25미터 내지 50미터 내외
(정답률: 77%)
  • 보조간선도로와 집산도로는 교통량이 적은 도로이지만, 지역 내부의 이동을 위해 필요한 도로이기 때문에 배치 간격을 좁게 가져야 한다. 따라서 보조간선도로와 집산도로의 배치 간격은 250미터 내외로 결정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저드(judd.D.B) 유색채조화론의 4가지 원리가 아닌 것은?

  1. 안정의 원리
  2. 질서의 원리
  3. 숙지의 원리
  4. 비모호성의 원리
(정답률: 32%)
  • 안정의 원리는 저드 유색채조화론에서 제시되지 않은 개념입니다. 저드 유색채조화론의 4가지 원리는 질서의 원리, 숙지의 원리, 비모호성의 원리, 그리고 대조의 원리입니다. 따라서, 안정의 원리는 정답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도시자연공원구역 안에서 건축물의 건축 또는 공작물의 설치에 관한 기준으로 틀린 것은? (단, 도시공원 및 녹지 등에 관한 법률 시행령을 적용한다.)

  1. 도시자연공원구역 안에 행위허가된 시설의 부지면적은 전체 도시자연공원구역면적[취락지구와 공공용시설(도시계획시설에 한한다.)을 제외한 면적을 말한다]의 5%를 초과할 수 없다.
  2. 건폐율은 100분의 30 이내로 하고 용적율은 200퍼센트 이내로 한다.
  3. 높이는 최대 12미터, 3층 이하로 하고, 주변 미관과 조화를 이루어야 한다.
  4. 건축물 또는 공작물 중 기반시설로서 건축 연면적이 1천 500제곱미터 이상인 시설은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 35조의 규정에 불구하고 도시계획 시설로 설치하도록 하여야 한다.
(정답률: 65%)
  • 건폐율과 용적율은 도시자연공원구역 안에서 건축물 또는 공작물의 설치에 관한 기준 중 하나이다. 건폐율은 부지면적 대비 건축물이 차지하는 비율을 나타내며, 100분의 30 이내로 제한한다. 용적율은 부지면적 대비 건축물의 총 부피를 나타내며, 200퍼센트 이내로 제한한다. 이는 도시자연공원구역 안에서 건축물이나 공작물이 지나치게 크거나 밀집되어 설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건폐율은 100분의 30 이내로 하고 용적율은 200퍼센트 이내로 한다."는 올바른 기준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분리효과에 희한 배색에서 분리색으로 주로 사용되는 색은?

  1. 두색의 중간색
  2. 무채색
  3. 채도가 강한색
  4. 반대색
(정답률: 85%)
  • 분리효과는 두 가지 색을 함께 사용할 때, 두 색이 서로 강하게 대립하여 더욱 선명하게 보이는 효과를 말합니다. 이때, 분리색으로 사용되는 색은 무채색입니다. 무채색은 색상이 없는 색으로, 다른 색과 함께 사용할 때 그 색의 밝기와 채도를 조절하여 분리효과를 더욱 강조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무채색은 분리효과를 더욱 효과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주로 선택되는 색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다음을 정희하고 있는 오픈 스페이스법(Open Space Act)을 제정한 나라는?

  1. 독일
  2. 미국
  3. 일본
  4. 영국
(정답률: 73%)
  • 영국은 1980년대에 오픈 스페이스법을 제정하여, 공공장소나 민간지역에서도 누구나 자유롭게 활동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고자 했기 때문입니다. 이 법은 공원, 해변, 산악지대 등의 공공장소뿐만 아니라 농지, 목장, 숲 등의 민간지역에서도 개방적인 활동을 할 수 있도록 규제를 완화하였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안압지에 대한 설명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임해전은 자연적인 곡선 형태로 못의 동쪽에 남북축선상에 배치되었다.
  2. 못 안에 대, 중, 소 3개의 성이 축조되었다.
  3. 출수구는 못의 북안 서쪽에서 발견되었다.
  4. 섬과 인공동산에 경석을 배치하였다.
(정답률: 72%)
  • 임해전은 못의 동쪽에 자연스러운 곡선 형태로 위치해 있기 때문에 거리가 먼 것이다. 이는 못의 지형을 최대한 살려 건축물을 배치한 결과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높이가 다른 등고선(等高線)이 교차하거나 합치하는 경우는?

  1. 도로가 있을 때
  2. 강이 있을 때
  3. 절벽이나 동굴이 있을 때
  4. 산의 정상일 때
(정답률: 92%)
  • 높이가 다른 등고선이 교차하거나 합치는 경우는 지형의 높이가 변하는 지점을 나타내며, 이는 지형의 특징을 나타내는 중요한 정보이다. 이 중에서 절벽이나 동굴이 있을 때는 높이의 변화가 급격하고 위험한 지형적 특징을 나타내므로, 특히 등산이나 등반 등 야외 활동을 할 때 주의해야 한다. 따라서 이 보기에서 정답은 "절벽이나 동굴이 있을 때"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다음 중 선의 용도를 셜명한 것으로 틀린 것은?

  1. 굵은 실선은 단면의 윤곽표시를 한다.
  2. 가는 실선은 치수선, 인출선 등에 사용된다.
  3. 파선을 중심선, 절단선, 기준선, 경계선, 참고선 등에 사용된다.
  4. 2점 쇄선은 이동하는 부분의 이동 후의 위치를 가상하여 나타내는 선이다.
(정답률: 72%)
  • "2점 쇄선은 이동하는 부분의 이동 후의 위치를 가상하여 나타내는 선이다."는 선의 용도를 설명한 것이 아니라, 선의 종류를 설명한 것이므로 틀린 것이다.

    파선은 단면의 내부 구조를 표시하거나, 중심선, 절단선, 기준선, 경계선, 참고선 등에 사용되어 부가적인 정보를 제공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다음 중 인터체인지의 형식 중 고속도로상호간의 출입에 쓰이며, 가장 넑은 면적이 필요한 것은?

  1. 클로버형
  2. 트럼펫형
  3. 다이아몬드형
  4. Y형
(정답률: 77%)
  • 고속도로상호간의 출입에는 많은 차량이 동시에 출입하므로, 차량의 움직임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넓은 면적이 필요합니다. 이 중에서도 클로버형은 중앙에 원형으로 연결된 4개의 출입구가 있어 차량의 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며, 넓은 면적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고속도로상호간의 출입에는 클로버형이 가장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고대 이집트의 일반적인 정원 특징으로 틀린 것은?

  1. 사각형 부지는 높은 당장에 의하여 둘러싸여 있다.
  2. 연못은 방형 또는 장방형이다.
  3. 조경 수목으로는 과실나무가 많다.
  4. 정원의 국부(局部)나 재료는 자연스럽게 비대칭 배치되었다.
(정답률: 79%)
  • 고대 이집트의 일반적인 정원 특징은 대부분 대칭적인 배치였지만, 정원의 국부나 재료는 자연스럽게 비대칭 배치되었다는 것이 틀린 것입니다. 이는 고대 이집트의 정원에서는 대칭성이 중요시되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일본의 정원 양식 가운데서 뜰에 물통(쓰꾸바이)이 활용 되었던 시기는?

  1. 침전식정원(寢殿式庭園)
  2. 고산수정원(枯山水庭園)
  3. 다정(茶庭 또는 地)
  4. 임천회유식정원(林泉廻遊式庭園)
(정답률: 90%)
  • 다정은 일본의 차 문화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였기 때문에 뜰에 물통(쓰꾸바이)이 활용되었다. 따라서 다정은 차를 마시는 공간인 차전(茶室)과 연결되어 있으며, 차를 즐기는 공간으로서의 역할을 하였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조경식재

21. 무늬식재는 다음 중 어느 식재수법에 해당되는가?

  1. 정형식재
  2. 자유식재
  3. 산재식재
  4. 비정형식재
(정답률: 76%)
  • 무늬식재는 정형식재에 해당한다. 정형식재는 일정한 패턴이나 모양을 가지도록 나무를 가공하는 방법으로, 무늬식재는 나무의 무늬를 강조하기 위해 일정한 패턴으로 가공하는 것이 특징이다. 따라서 무늬식재는 정형식재에 해당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다음 중 상록 활엽교목으로만 나열된 것은?

  1. 감탕나무, 동백나무, 구상나무
  2. 함박꽃나무, 자작나무, 노각나무
  3. 산수유, 후박나무, 먼나무
  4. 조록나무, 황칠나무, 녹나무
(정답률: 63%)
  • 조록나무, 황칠나무, 녹나무는 모두 상록 활엽교목으로 분류되는 나무들입니다. 감탕나무, 동백나무, 구상나무는 상록 침엽수목, 함박꽃나무, 자작나무, 노각나무는 활엽교목, 산수유, 후박나무, 먼나무는 침엽수목으로 분류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꽃이나 잎의 형태와 같이 보다 작은 식물학적 차이점을 지닌 것으로 식물의 명명에서 “for."로 표기하는 것은?

  1. 품종
  2. 재배품종
  3. 이명
  4. 변종
(정답률: 81%)
  • "품종"은 같은 종에 속하지만 형태나 특성이 다른 식물들을 구분하기 위해 사용하는 용어입니다. 예를 들어, 같은 종의 꽃이나 잎의 형태가 조금씩 다른 경우에는 각각의 형태에 따라 "품종"으로 구분합니다. 따라서, "품종"은 보다 작은 식물학적 차이점을 지닌 것을 구분하기 위한 용어입니다. "재배품종"은 인간의 손으로 개량된 품종을 의미하며, "이명"은 같은 식물에 대해 서로 다른 이름이 사용되는 경우를 말합니다. "변종"은 동일한 종 내에서 발생한 유전적 변이로 인해 생긴 차이를 나타내는 용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정형식 배식에 어울리는 수목이 갖는 조건으로 부적합한 것은?

  1. 균형이 잡히고 개성이 강한 수목
  2. 생장 속도가 빠른 수목
  3. 사철 푸른 잎을 가진 수목
  4. 다듬기 작업에 잘 견디는 수목
(정답률: 72%)
  • 정형식 배식은 일정한 간격으로 식물을 배치하여 균일한 미관을 유지하는 것이 목적이다. 따라서 균형이 잡히고 개성이 강한 수목, 사철 푸른 잎을 가진 수목, 다듬기 작업에 잘 견디는 수목은 모두 정형식 배식에 어울리는 조건이다. 하지만 생장 속도가 빠른 수목은 배식 후에도 빠른 속도로 성장하여 간격이 좁아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부적합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식물생육에 가장 알맞은 토양 구성은 적당한 토양공기와 토양 수분이 있어야 뿌리의 호흡과 수분흡수가 적합하다. 다음 중 어느 것이 가장 적합한 토양 구성인가? (단, 구성비율은 무기물 : 유기물 : 토양공기 : 토양수분의 순이다.)

  1. 5%:45%:30%:20%
  2. 45%:5%:25%:25%
  3. 5%:35%:40%:20%
  4. 45%:5%:30:20%
(정답률: 85%)
  • 가장 적합한 토양 구성은 "45%:5%:25%:25%"이다.

    먼저, 뿌리의 호흡을 위해서는 적당한 토양공기가 필요하다. 따라서 토양공기의 비율이 25%로 적절하다.

    또한, 뿌리의 수분흡수를 위해서는 적당한 토양 수분이 필요하다. 따라서 토양수분의 비율도 25%로 적절하다.

    그리고 식물이 영양분을 흡수하기 위해서는 무기물이 필요하다. 따라서 무기물의 비율이 45%로 적절하다.

    마지막으로, 유기물은 토양의 구조를 유지하고 미생물 활동을 촉진시키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유기물의 비율은 5%로 적절하다.

    따라서 "45%:5%:25%:25%"가 가장 적합한 토양 구성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조릿대, 인동덩굴, 잔디, 맥문동 등의 식물로 지표를 치밀하게 피복하여 나지를 남기지 않도록 하고 양지성 식물과 음지성 식물의 조건을 가름하여 식재하는 식재기능은?

  1. 지표식재
  2. 유도식재
  3. 녹음식재
  4. 지피식재
(정답률: 75%)
  • 이 기능은 지표를 치밀하게 피복하여 나지를 남기지 않도록 하고, 양지성 식물과 음지성 식물의 조건을 가름하여 식재하는 것이다.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 "지피식재"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다음 식물 호르몬 중 스트레스의 감지, 잎, 꽃, 열매의 탈리현상, 가을 낙엽 등 식물 노화촉진 효과와 가장 관계가 있는 것은?

  1. IAA
  2. Cytokinin
  3. Gibberellin
  4. Abscisic acid
(정답률: 69%)
  • Abscisic acid는 스트레스 상황에서 생성되며, 잎, 꽃, 열매의 탈리현상을 유발하여 식물의 노화를 촉진시킵니다. 따라서, 스트레스의 감지와 식물 노화촉진 효과와 관련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산목련’이라고 불리고 있는 수종으로 마취가 있는 수형과 순백색의 청순한 꽃이 특징적이며 상대습도가 높은 작은 공간의 강조식재에 적합한 수종은?

  1. Magnolia sieboldii
  2. Magnolia obovata
  3. Magnolia denudata
  4. Magnolia kobus
(정답률: 57%)
  • "산목련"이라는 별명을 가진 수종은 마취가 있는 수형과 청순한 꽃이 특징이며, 상대습도가 높은 작은 공간의 강조식재에 적합한 수종입니다. 이 조건을 모두 만족하는 수종은 "Magnolia sieboldii"입니다. 다른 보기인 "Magnolia obovata", "Magnolia denudata", "Magnolia kobus"는 이 조건 중 일부를 만족하지만, 모두를 만족하지는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수목을 건축적으로 이용했을 때 발생하는 기능과의 관계 설명으로 부적합한 것은?

  1. 소공간의 특색을 인지시키는 분할 조정
  2. 하나의 물체로서의 음향 감소
  3. 특정한 경관의 은폐
  4. 사생화의 보호
(정답률: 88%)
  • "하나의 물체로서의 음향 감소"는 수목을 건축적으로 이용했을 때 발생하는 기능과 관련이 없습니다. 다른 보기들은 수목이 건축적으로 이용될 때 발생하는 기능들과 관련이 있습니다.

    따라서, "하나의 물체로서의 음향 감소"는 부적합한 보기입니다.

    수목이 건축적으로 이용될 때 발생하는 "하나의 물체로서의 음향 감소"는, 수목이 소리를 흡수하고 반사하는 특성 때문에 발생합니다. 이는 주변 소음을 줄이고, 안정적인 환경을 조성하는데 도움을 줍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다음 [보기]는 Leguminosae에 속하는 식물종을 설명한 것이다. 가장 적합한 종은?

  1. 등나무
  2. 조록싸리
  3. 다릅나무
(정답률: 73%)
  • 이미지에서 보이는 식물은 콩과(Leguminosae)에 속하는데, "등나무"는 콩과에 속하는 식물종 중 하나이다. "조록싸리"는 고사리과에, "칡"은 강아지풀과, "다릅나무"는 장미과에 속하는 식물종이므로, 이들은 적합한 종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수목의 광보상점(光補償點)을 가장 잘 설명한 것은?

  1. 호흡에 의한 CO2 방출이 최대이다.
  2. 광합성에 의한 CO2 흡수가 최대이다.
  3. 수목은 20000~80000Lux에서 이루어진다.
  4. 호흡에 의한 CO2방출량과 광합성에 의한 CO2흡수량이 동일하다.
(정답률: 52%)
  • 수목은 광합성에 의해 CO2를 흡수하고 산소를 방출하는데, 이 과정은 일정한 광량이 필요하다. 그러나 밤에는 광량이 부족하기 때문에 호흡에 의해 CO2를 방출하게 된다. 따라서 수목의 광보상점은 호흡에 의한 CO2 방출량과 광합성에 의한 CO2 흡수량이 동일한 광량인 20000~80000Lux에서 이루어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다음 중 여름에 붉은 색의 꽃이 피는 수종은?

  1. Abeliophyllun distichum Nakai
  2. Lagerstroemia indica L
  3. Wister ia floribunda DC. for floribunda
  4. Linders obtusiloba Blume
(정답률: 46%)
  • 여름에 붉은 색의 꽃이 피는 수종은 "Lagerstroemia indica L"이다. 이는 크레프트 마트르 (Crape Myrtle)라고도 불리며, 여름에 붉은, 보라색, 핑크색 등 다양한 색상의 꽃을 피우는 특징이 있다. 또한, 이 수종은 열대 지방에서 자라는 관목으로, 따뜻한 기후에서 잘 자라며, 꽃이 피는 기간이 길어 인기 있는 수종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조경 수목의 연해(煙害) 증상이 아닌 것은?

  1. 낙엽
  2. 반문(班紋)
  3. 천공(穿孔)
  4. 표백
(정답률: 68%)
  • 조경 수목의 연해 증상은 대기 오염으로 인해 나무의 잎이 검게 변하거나 말라서 떨어지는 것을 말합니다. 이 중에서 천공은 연해 증상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천공은 나무의 줄기나 가지에 구멍이 뚫리는 것을 말하며, 이는 해충이나 질병에 의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천공은 연해 증상과는 별개의 문제입니다. "낙엽", "반문", "표백"은 모두 연해 증상과 관련이 있는 증상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다음 장미과(科)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Spiraea prunifolia for. simpliciflora Nakai
  2. Rosa multiflora Thunb. var multiflora
  3. Chaenomeles sinensis Koehne
  4. Sophora japonica L
(정답률: 53%)
  • Sophora japonica L은 장미과가 아니라 콩과 Fabaceae에 속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외떡잎식물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떡잎이 한 장이다.
  2. 보통 옆맥이 그물맥(망상맥)이다.
  3. 관다발조직이 줄기 내에 흩어져 있다.
  4. 보통 원뿌리가 없는 수염뿌리를 가지고 있다.
(정답률: 75%)
  • 외떡잎식물은 보통 옆맥이 그물맥(망상맥)이 아니라 병형맥(평행맥)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보통 옆맥이 그물맥(망상맥)이다."가 외떡잎식물의 특징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종자의 품질을 나타내는 기준인 순량율이 50%, 실중이 60g, 발아율이 90%라고 할 때, 종자의 효율은?

  1. 27%
  2. 30%
  3. 45%
  4. 54%
(정답률: 76%)
  • 종자의 효율은 발아 후에 실제로 자라는 식물의 양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따라서, 종자 100개 중 50개가 순종율에 따라 실제로 자라날 것이고, 그 중 90%가 발아될 것입니다. 따라서, 100개의 종자 중 50 x 0.9 = 45개의 종자가 발아 후에 자라날 것입니다. 이에 따라, 종자의 효율은 45%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다음 중 불에 견디는 성질이 가장 약한 수종은?

  1. Ligustrum japonicum
  2. Cryptomeria japonica
  3. Daphniphyllum macropodum
  4. Ternstroemia gymnanthera
(정답률: 61%)
  • Cryptomeria japonica는 불에 견디는 성질이 가장 약한 수종입니다. 이는 Cryptomeria japonica가 불에 노출되면 쉽게 타버리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잔디(떼)나 잔디 종자를 시공하는 공법이 아닌 것은?

  1. 플러그 공법(Plugging)
  2. 평떼 공법
  3. 씨드 매트 공법(Seed mat)
  4. 캐이슨 공법(Caisson method)
(정답률: 78%)
  • 잔디(떼)나 잔디 종자를 시공하는 공법 중 캐이슨 공법은 건축물의 기초 공사에서 사용되는 방법으로, 지하에 캐이슨이라는 구조물을 세우고 그 안에 콘크리트를 부어 기초를 만드는 방법이다. 따라서 잔디(떼)나 잔디 종자를 시공하는 공법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잣나무 군락지에서는 초본식물의 침입과 종자발아가 어렵기 때문에 2차 천이가 잘 진행되지 못한다. 이러한 현상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극성(polarity)
  2. 역작용(reaction)
  3. 피드백(feedback)작용
  4. 타감작용(allelopathy)
(정답률: 73%)
  • 잣나무 군락지에서는 초본식물이 자신들의 생존을 위해 화학물질을 배출하여 다른 식물의 생장을 억제하는데, 이러한 현상을 타감작용(allelopathy)이라고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Buxus koreana Nakai ex Chung & al" 종자의 채취 시기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10월 중순
  2. 7월 초순
  3. 5월 초순
  4. 3월 중순
(정답률: 63%)
  • "Buxus koreana Nakai ex Chung & al" 종자는 7월 초순에 채취하는 것이 가장 적합하다. 이유는 이 종자의 수종이 남부지방에서 자라기 때문에 높은 기온과 습도가 필요하며, 7월 초순은 이러한 기후 조건이 가장 적합한 시기이기 때문이다. 또한, 이 시기에는 종자가 충분히 성장하고 수확하기 전에 떨어지지 않도록 적절한 시기이기도 하다. 따라서, "Buxus koreana Nakai ex Chung & al" 종자의 채취 시기로는 7월 초순이 가장 적합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조경시공

41. 우리나라에서 잔디의 관수는 1일 30mm가 필요하다. 2400m2의 면적을 120L/min 수량으로 급수할 수 있는 살수용량으로 얼마 동안 살수해야 하는가?

  1. 4시간
  2. 6시간
  3. 10시간
  4. 20시간
(정답률: 61%)
  • 1분에 급수할 수 있는 물의 양은 120L이므로 1시간에는 120 x 60 = 7200L을 급수할 수 있다. 하루에 필요한 물의 양은 2400m2 x 30mm = 72,000L이다. 따라서 하루에 필요한 물의 양을 급수하기 위해서는 72,000 ÷ 7,200 = 10시간이 걸린다. 따라서 정답은 "10시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다음 중 건설기계와 해당 건설기계의 주된 작업 종류의 연결이 틀린 것은?

  1. 크램쉘 - 굴착
  2. 백호 - 정지
  3. 파워쇼벨 - 굴착
  4. 그레이더 - 정지
(정답률: 84%)
  • 백호는 굴착기로 분류되며, 굴착 작업을 주된 작업 종류로 수행합니다. 따라서, "백호 - 정지"가 틀린 연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조경공간 내에 콘크리트벤치를 설치할 경우 공사순서가 맞는 것은?

  1. ⓐ→ⓑ→ⓒ→ⓓ→ⓔ
  2. ⓐ→ⓒ→ⓑ→ⓓ→ⓔ
  3. ⓐ→ⓔ→ⓑ→ⓒ→ⓓ
  4. ⓐ→ⓔ→ⓒ→ⓑ→ⓓ
(정답률: 64%)
  • 정답인 "ⓐ→ⓔ→ⓑ→ⓒ→ⓓ" 순서는 다음과 같은 이유로 맞는 순서입니다.

    1. ⓐ: 기초공사 - 콘크리트벤치를 설치하기 전에 기초공사를 먼저 해야합니다. 기초공사는 콘크리트를 부어서 벤치가 무너지지 않도록 지지대 역할을 합니다.

    2. ⓔ: 벤치설치 - 기초공사가 완료된 후에 콘크리트벤치를 설치합니다.

    3. ⓑ: 배수공사 - 벤치 주변에 물이 고이지 않도록 배수공사를 해야합니다. 이 단계는 벤치 설치 전에 해도 되지만, 설치 후에도 가능합니다.

    4. ⓒ: 조경공사 - 벤치 주변에 조경공사를 진행합니다. 이 단계에서는 식물을 심거나 꽃을 심는 등의 작업을 합니다.

    5. ⓓ: 마무리 - 마지막으로 벤치 주변을 청소하고, 필요한 경우에는 추가적인 보수 작업을 진행합니다. 이 단계는 모든 공사가 끝난 후에 진행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배수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1. 집중식은 배수량이 저수용량을 초과할 경우에는 저지대가 침수할 우려가 있으나, 강제배제 방식을 취하므로 효율적이다.
  2. 지하배수시의 어골형은 경기장 등 평탄지역에 적합하다.
  3. 배수계통에서 방사식은 좁은 직역에 유리하다.
  4. 차집식은 오수가 직접 하천으로 유하되므로 불리하다.
(정답률: 53%)
  • "지하배수시의 어골형은 경기장 등 평탄지역에 적합하다." 이유는 지하배수시에는 지하수를 효율적으로 배출하기 위해 지하수를 모으는 어골형이 적합하며, 평탄지역에서는 지하수가 흐르는 경사가 적기 때문에 어골형이 적합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그림과 같은 모양의 토적을 계산할 때 양단면평균법을 Va, 중앙단면법을 Vm, 각주공식에 희한 방법을 Vp라 할 때 각 방법에 의해 산출된 토적의 값 관계를 옳게 설명한 것은?

  1. Vm < Vp < Va
  2. Vp < Vm < Va
  3. Vm < Va < Vp
  4. Va < Vp < Vm
(정답률: 52%)
  • 정답: "Vm < Vp < Va"

    이유:

    - 중앙단면법(Vm)은 토적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한 단면적의 평균을 구하는 방법이다. 따라서 토적의 형상이 대칭적이고 중심선이 중앙에 위치할 때 가장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그러나 토적의 형상이 비대칭적이거나 중심선이 중앙에 위치하지 않을 경우에는 오차가 발생할 수 있다.

    - 양단면평균법(Va)은 토적의 양쪽 끝면을 기준으로 한 단면적의 평균을 구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토적의 형상이 대칭적이지 않을 때도 적용할 수 있으며, 중앙단면법보다는 오차가 적다. 그러나 양단면평균법은 토적의 양쪽 끝면의 형상이 다를 경우에는 여전히 오차가 발생할 수 있다.

    - 각주공식(Vp)은 토적의 각주 부분의 면적을 고려하여 전체 단면적을 계산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토적의 형상이 대칭적이지 않을 때도 적용할 수 있으며, 양단면평균법보다는 더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그러나 각주공식은 계산이 복잡하고, 각주 부분의 형상이 복잡할 경우에는 오차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토적의 형상에 따라 적절한 방법을 선택해야 하며, 일반적으로는 "Vm < Vp < Va"의 순서로 정확도가 높아진다고 볼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다음 설명의 ( )안에 적합한 것은?

  1. 2
  2. 4
  3. 5
  4. 8
(정답률: 52%)
  • 주어진 도형은 4개의 정사각형으로 이루어져 있고, 그 중 가운데 정사각형은 다른 정사각형들의 대각선을 가로지르는 형태로 배치되어 있습니다. 이에 따라 가운데 정사각형은 다른 정사각형들과 한 변을 공유하지 않으므로, 주어진 보기 중에서 한 변을 공유하지 않는 "4"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도급자가 공사를 착공하기 전에 공사내용과 공기를 가장 효과적으로 달성하면서 집행가능한 최소의 투자를 전제하여 시공계획과 손익의 목표를 합리적으로 표현한 금액적계획서를 일반적으로 무엇이라고 하는가?

  1. 목표예산
  2. 실행예산
  3. 도급예산
  4. 소요예산
(정답률: 67%)
  • 정답은 "실행예산"입니다. 실행예산은 공사를 실제로 진행할 때 필요한 자금을 계획하는 예산으로, 공사내용과 공기를 최대한 효과적으로 달성하면서도 최소한의 비용으로 진행할 수 있도록 계획합니다. 따라서 도급자가 공사를 착공하기 전에 필요한 예산 계획서입니다. 목표예산은 기업이나 조직이 달성하고자 하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필요한 예산을 계획하는 것이며, 도급예산과 소요예산은 일반적으로 사용되지 않는 용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KS F 2530은 석재에 관한 한국산업규역이다. 이중 ‘F'는 무엇을 의미하는가?

  1. 토건부분을 나타내는 기호이다.
  2. 토건부분의 규격이 분류된 순서이다.
  3. 토건부분의 세부항목을 구분한 기호이다.
  4. 토건부분의 규격을 제장한 순서이다.
(정답률: 75%)
  • 'F'는 토건부분을 나타내는 기호이다. 이는 KS F 2530이 석재의 규격을 나타내는데 있어서 토건부분의 세부항목을 구분하기 위해 사용된다. 따라서 'F'는 토건부분의 규격이 분류된 순서이며, 규격을 제장한 순서와는 관련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다음 설명하는 콘크리트 관련 용어는?

  1. 반죽질기(consistency)
  2. 배치(batch)
  3. 절대용적(absolute volume)
  4. 포졸란(pozzolan)
(정답률: 56%)
  • 위 그림은 콘크리트를 혼합하는 과정에서 사용되는 배치 공정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배치(batch)"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다음 중 관수공사에 사용되는 재료가 아닌 것은?

  1. 펌프
  2. 유공관
  3. 검사밸브
  4. 스프링클러
(정답률: 69%)
  • 유공관은 관수공사에 사용되는 재료 중 하나가 아닙니다. 유공관은 유체를 운반하기 위한 파이프로, 관수공사와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표준형 벽돌 8000매를 2.5B로 쌓으려 한다. 벽돌쌓기 1000매당 표준품셈표에는 조적공은 1.0인, 보통인부는 0.6인이 설정되어 있다. 단, 벽돌 5000매 이상 10000매 미만일 때는 품을 10%가산한다. 조적공 노임은 50000원, 보통인부 노임은 30000원일 때, 총 노무비는 얼마인가?

  1. 544,000원
  2. 598,400원
  3. 624,000원
  4. 689,600원
(정답률: 62%)
  • 8000매의 벽돌을 쌓기 위해 필요한 인부의 수는 8000/1000 = 8명이다. 이 중 조적공은 1명, 보통인부는 7명이다.

    벽돌의 수가 5000매 이상 10000매 미만이므로, 품을 10% 가산한다. 따라서 8000매의 벽돌에 대한 품의 계수는 1.0 + 0.1 = 1.1이 된다.

    조적공 1명의 노임은 50000원이고, 보통인부 7명의 노임은 30000원씩이므로 총 노임비는 (50000원 + 7*30000원) = 260000원이다.

    벽돌 8000매에 대한 품의 계수가 1.1이므로, 총 노무비는 260000원 * 1.1 = 286000원이다.

    마지막으로, 벽돌 8000매을 2.5B로 쌓는 비용은 8000매 * 2.5B = 20000B이다. 이를 원화로 환산하면 20000B * 1000원/B = 20000000원이다.

    따라서, 총 노무비와 벽돌 쌓기 비용을 합산하면 286000원 + 20000000원 = 20286000원이다. 이를 천 단위로 구분하면 20,286,000원이 되고, 이는 보기에서 주어진 정답 중 "598,400원"과 일치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도로의 곡선장(曲線長)이 너무 짧아서 생기는 결함이 아닌 것은?

  1. 운전자가 핸들조작에 불편을 느끼나.
  2. 원심가속도(遠心加速度)의 증가율이 커진다.
  3. 원곡선반경이 실제보다 커 보인다.
  4. 도로가 절곡되어 있는 것 같이 보인다.
(정답률: 63%)
  • 원곡선반경이 실제보다 커 보이는 것은, 실제로는 곡선이 더 길어지지 않았지만, 운전자가 시야에서 곡선의 일부분만을 볼 수 있기 때문에 그렇게 느껴지는 것입니다. 이는 곡선의 기울기와 관련이 있으며, 이로 인해 운전자는 곡선을 더 크게 느끼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평지 보통토양의 잔디밭에서 표면 강우유출계수(Runoffcoefficient)로 가장 적합한 것은? (단, 2~7% 경사의 점질토 지역을 대상으로 한다.)

  1. 0.05
  2. 0.2
  3. 0.5
  4. 0.7
(정답률: 57%)
  • 평지 보통토양의 잔디밭은 비교적 투수성이 높아 물이 흡수되기 쉽기 때문에 강우유출계수가 낮은 값이 적합하다. 2~7% 경사의 점질토 지역에서는 평지보다는 물이 빠르게 흐르기 때문에 강우유출계수가 높은 값이 적합하다. 따라서, 보기 중에서 가장 적합한 값은 0.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다음 중 경기장의 육상트랙에 많이 사용되는 탄성포장의 재료는?

  1. 유색아스팔트
  2. 폴리우레탄 + 생고무
  3. 붉은색의 화산회 토양
  4. 폴리에스테르수지 + 유색아스팔트
(정답률: 84%)
  • 경기장의 육상트랙은 많은 인파가 발을 디딜 만큼 매우 높은 내구성과 탄성이 필요합니다. 이를 위해 폴리우레탄과 생고무를 혼합하여 사용합니다. 폴리우레탄은 내구성이 뛰어나고, 생고무는 탄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이 둘을 혼합하여 사용하면 경기장의 육상트랙에 적합한 탄성포장재를 만들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지형도에 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1. 1/10000 지형도에서 등고선 간격은 10m이다.
  2. 계곡선이란 주곡선 10개 마다 굵은 선으로 표시한 선이다.
  3. 경사가 완만하면 등고선 간격이 좁아진다.
  4. 최대경사의 방향은 반드시 등고선과 직각으로 교차한다.
(정답률: 67%)
  • 최대경사란 가장 가파른 경사를 말하는데, 이 경사의 방향은 등고선과 직각으로 교차하는 이유는 등고선은 같은 고도를 나타내는 선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최대경사의 방향은 등고선과 수직이어야만 가장 가파른 경사가 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일정한 자격요건을 갖춘 자들에게 동인한 조건에서 서로의 경쟁을 통하여 입찰하게 하는 방법이나 지나친 경쟁으로 인하여 낮은 공사금액으로 입찰하여 공사의 질을 저해할 우려가 있는 입찰 방식은?

  1. 공개경쟁입찰
  2. 제한경쟁입찰
  3. 지명경쟁입찰
  4. 제한적평균가낙찰제
(정답률: 65%)
  • 공개경쟁입찰은 일정한 자격요건을 갖춘 자들이 동일한 조건에서 서로 경쟁하여 입찰하는 방식으로, 공정한 경쟁을 통해 최적의 공사금액과 공사의 질을 보장할 수 있기 때문에 선택되었습니다. 제한경쟁입찰은 일부 업체만 초청하여 입찰하게 하는 방식이며, 지명경쟁입찰은 특정 업체만 초청하여 입찰하게 하는 방식입니다. 제한적평균가낙찰제는 입찰가격이 일정 범위 내에서 평균값에 가까운 업체에게 낙찰하는 방식입니다. 이러한 방식들은 경쟁이 제한되어 최적의 공사금액과 공사의 질을 보장하기 어렵기 때문에 공개경쟁입찰이 선택되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양단면의 길이가 6m, 양단면의 면적이 각각 10m2, 20m2이고, 중앙단면적이 15m2일 때, 각주공식으로 토적을 구하면 몇 m3인가?

  1. 45m3
  2. 60m3
  3. 90m3
  4. 105m3
(정답률: 66%)
  • 양단면의 면적과 길이를 이용하여 각 주변의 넓이를 구할 수 있습니다. 첫 번째 양단면의 길이가 6m이고 면적이 10m2이므로, 높이는 10/6 = 5/3m입니다. 따라서 첫 번째 양단면의 주변의 넓이는 (6 + 6 + 5/3 + 5/3) × 10/2 = 40m2입니다. 두 번째 양단면도 같은 방법으로 계산하면 주변의 넓이는 (6 + 6 + 10/3 + 10/3) × 20/2 = 80m2입니다.

    중앙단면의 면적이 15m2이므로, 높이는 15/(6 × 2) = 5/4m입니다. 따라서 중앙단면의 주변의 넓이는 (6 + 6 + 5/4 + 5/4) × 15/2 = 45m2입니다.

    토적은 각 주변의 넓이의 평균값을 중앙단면의 면적으로 곱한 것입니다. 따라서 토적은 (40 + 80 + 45) / 3 × 15 = 90m3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90m3"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VE(Value Engineering)의 사고방식으로 적당하지 않은 것은?

  1. 비용절감
  2. 기능 중심의 접근
  3. 제품 위주의 사고
  4. 사용자 중심의 사고
(정답률: 66%)
  • VE(Value Engineering)의 사고방식은 비용절감과 기능 중심의 접근, 사용자 중심의 사고를 포함하고 있지만, 제품 위주의 사고는 적절하지 않다. VE는 제품의 모든 요소를 분석하고 최적화하여 비용을 절감하고 기능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표로 하기 때문에, 제품 자체에만 집중하는 제품 위주의 사고는 VE의 목적과는 상반된다. VE는 제품을 둘러싼 모든 환경과 요소를 고려하여 최적의 솔루션을 찾는 것이 중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목재의 결점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웅이부위는 압축강도에 약하다.
  2. 부패는 균의 작용으로 썩은 부분이다.
  3. 껍질이 속으로 말려든 것을 입피(入皮)라고 한다.
  4. 수심의 수축이나 균의 작용에 의해서 생긴 crack을 원형갈림이라 한다.
(정답률: 63%)
  • "웅이부위는 압축강도에 약하다."가 틀린 것이 아니라 옳은 것이다. 이유는 웅이부위는 목재의 섬유방향과 수직으로 위치하여 압축력을 받으면 섬유방향에 비해 약한 강도를 가지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보(beam)의 구조에 대한 내용 중 한쪽 단은 고정되고 다른 한쪽 단은 지지점이 없는 보의 형태는?

  1. 단순보
  2. 캔틸레버보
  3. 내민보
  4. 고정보
(정답률: 69%)
  • 캔틸레버보는 보의 한쪽 단이 고정되어 있고, 다른 한쪽 단이 지지점이 없는 형태를 말합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보의 무게 중심이 지지점을 벗어나게 되어 보의 안정성이 떨어지지만, 일정한 길이 이상의 보를 만들 수 있어 구조물 설계에서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조경관리

61. 솔잎혹파리의 생물적 방제 차원에서 피해지에 방사하는 천적은?

  1. 솔잎혹파리먹좀벌
  2. 상수리좀벌
  3. 노랑꼬리좀벌
  4. 남색긴꼬리좀벌
(정답률: 81%)
  • 솔잎혹파리먹좀벌은 솔잎혹파리의 애벌레를 먹이로 삼는 천적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솔잎혹파리의 생물적 방제 차원에서 피해지에 방사하는 천적으로 선택됩니다. 상수리좀벌, 노랑꼬리좀벌, 남색긴꼬리좀벌은 다른 해충을 먹이로 삼는 천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석축 옹벽에 대한 일반적인 보수공법으로 재시공 할 경우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땅무너짐과 같은 대규모 붕괴에 의해 지형자체가 변경된 경우
  2. 옹벽의 노후화, 대규모 파손으로 보강이나 보수가 불가능한 경우
  3. 보수하여도 안전하지 못하여 새로 설치하는 것이 좋다고 판단되는 경우
  4. 뒷면 토암이 옹벽에 비해 커서 석축 전체가 옆으로 넘어지려고 하는 경우
(정답률: 74%)
  • 석축 옹벽에 대한 일반적인 보수공법은 옹벽의 노후화, 대규모 파손 등으로 인한 보강이나 보수를 포함한다. 그러나 뒷면 토암이 옹벽에 비해 커서 석축 전체가 옆으로 넘어지려고 하는 경우에는 보수공법으로 해결할 수 없다. 이는 구조적인 문제로, 새로운 설치나 다른 방법으로 대처해야 한다. 따라서 "뒷면 토암이 옹벽에 비해 커서 석축 전체가 옆으로 넘어지려고 하는 경우"가 해당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골프장의 잔디를 낮은 잔다 깎기 하였을 때 효과로 틀린 것은?

  1. 엽폭을감소시켜서 보다 재질감이 좋은 잔디를 만들 수 있다.
  2. 분얼경을 촉진시키므로 결국 줄기밀도가 증가하여 지표면을 조밀하게 해주어 잔디의 질에 좋은 영향을 줄 수 있다.
  3. 엽면적의 감소로 광합성량이 떨어지므로 탄수화물의 저장량이 감소된다.
  4. 식물조직이 단단해지므로 병이나 해충에 대하여 강해지게 된다.
(정답률: 61%)
  • "엽면적의 감소로 광합성량이 떨어지므로 탄수화물의 저장량이 감소된다."가 틀린 것입니다.

    잔디를 낮게 깎으면 엽면적이 감소하게 되어 광합성량이 줄어들어 탄수화물의 저장량이 감소하는 것은 맞지만, 이는 단기적인 영향이며 잔디가 더욱 단단하고 강해지는 효과가 있습니다. 이는 분얼경을 촉진시켜 줄기밀도가 증가하여 지표면을 조밀하게 만들어주는 것과 함께, 잔디의 식물조직이 단단해지므로 병이나 해충에 대하여 강해지게 된다는 것이 핵심적인 효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다음 인산질 비료 중 인산의 함량이 가장 많이 포함되어 있는 것은?

  1. 과린산석회
  2. 중과린산석회
  3. 인산암모늄
  4. 용성인비
(정답률: 70%)
  • 인산암모늄은 질산과 암모늄을 혼합하여 만든 비료로, 인산 함량이 가장 높은 비료 중 하나입니다. 이는 작물의 생장과 열매의 수확량을 높이는 데 효과적이며, 특히 질소와 인산이 모두 함유되어 있어 작물의 영양 요구를 만족시키는 데 유용합니다. 따라서 인산암모늄은 농업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는 인산질 비료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다음 중 관리하자에 의한 사고로 볼 수 없는 것은?

  1. 시설의 구조 자체의 결함에 의한 것
  2. 시설의 노후, 파손에 의한 것
  3. 위험장소에 대한 안전대책 미비에 의한 것
  4. 위험물 방치에 의한 것
(정답률: 78%)
  • 시설의 구조 자체의 결함에 의한 것은 관리하자와는 무관한 원인으로 인해 발생하는 사고이기 때문에 관리하자에 의한 사고로 볼 수 없습니다. 예를 들어, 건물의 설계나 건축 시 고려하지 못한 결함으로 인해 발생하는 사고는 시설의 구조 자체의 결함에 의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지표식물인 천일홍(Gomphrena globosa)에 인공 즙액을 접종한 결과로 진단할 수 있는 병은?

  1. 벼 흰잎마름병(BLB)
  2. 벼 줄무늬잎마름병(RSV)
  3. 뽕나무 오갈병(MLO)
  4. 감자 X 바이러스(PVX)
(정답률: 71%)
  • 감자 X 바이러스(PVX)는 인공 즙액을 접종한 결과로 천일홍의 잎이 노랗게 변하고, 엽점이 생기며, 엽면에는 짙은 갈색의 반점이 생기는 증상이 나타나기 때문에 진단할 수 있습니다. 이는 PVX가 천일홍에 감염되어 발생하는 바이러스성 질병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관수시 실시하는 ET(evapotranspiration)의 측정으로 옳은 것은?

  1. 식물의 호흡과 수분으로부터 증산되어 하루에 유실되는 수분의 양
  2. 태양열에 의해 단위 초당 유실되는 수분의 양
  3. 태양열에 의해 단위 분당 유실되는 수분의 양
  4. 식물의 호흡과 토양으로부터 증산되어 단위시간 당 유실되는 수분의 양
(정답률: 54%)
  • 정답은 "식물의 호흡과 토양으로부터 증산되어 단위시간 당 유실되는 수분의 양"입니다. ET는 식물이 흡수한 물이 증발하거나 증산되어 대기 중으로 방출되는 양을 측정하는 것으로, 이는 식물의 호흡과 토양으로부터 증산되는 수분의 양을 포함합니다. 따라서 이 보기가 옳은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조경시설물의 유지관리 작업계획 중 비정기적인 작업이 아닌 것은?

  1. 개량
  2. 하자보수
  3. 계획수선
  4. 재해대책
(정답률: 47%)
  • 조경시설물의 유지관리 작업계획 중 비정기적인 작업은 "계획수선"이 아닙니다. "개량"은 시설물의 기능을 개선하는 작업, "하자보수"는 시설물의 결함을 보완하는 작업, "재해대책"은 재해 발생 시 대처하는 작업이지만, "계획수선"은 정기적으로 시설물을 점검하고 필요한 수리 및 보수 작업을 계획적으로 수행하는 작업입니다. 따라서 "계획수선"은 비정기적인 작업이 아닌, 정기적인 작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천막벌레나방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활엽수를 가해한다.
  2. 1년에 2회 발생하며, 유충으로 월동하여 4월 중ㆍ하순에 부화한다.
  3. 수컷은 황갈색이고, 암컷은 담동색이다.
  4. 유충이 가지의 갈라진 부분에 거미줄로 천막을 치고 모여산다.
(정답률: 68%)
  • 천막벌레나방은 1년에 2회 발생하며, 유충으로 월동하여 4월 중ㆍ하순에 부화하지 않습니다. 이는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우리나라 토양의 점토는 주로 카올리나이트 계통의 점토광물로 이루어져 있다. 다음 중 카올리나이트(kaolinite)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온난ㆍ습윤한 기후조건 하에서 염기물질이 신속히 용탈될 때 많이 생성된다.
  2. 양이온 치환용량이 높다.
  3. 1:1격자형 점토광물이다.
  4. 단위구조 사이의 인력이 세다.
(정답률: 53%)
  • "양이온 치환용량이 높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카올리나이트는 양이온 치환용량이 낮은 점토광물로, 대부분의 양이온은 격자 외부에 흡착되어 있다. 이는 카올리나이트가 비교적 안정적인 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다음 중 철재 놀이시설의 녹막이 칠에 부적합한 도료는?

  1. 광명단
  2. 역정질도료
  3. 아연분말도료
  4. 크레오소트유
(정답률: 70%)
  • 크레오소트유는 독성이 강하고 화재 발생 가능성이 높아서 철재 놀이시설의 녹막이 칠에 부적합한 도료입니다. 또한 인체에 유해한 물질이 포함되어 있어서 안전성이 떨어집니다. 따라서 철재 놀이시설의 녹막이 칠에는 사용해서는 안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따뜻한 지방에서는 포플러 잎녹병균이 중간기주인 일본잎갈나무를 거치지 않고도 직접 전염하여 병을 일으킬 수 있는데 그 이유는?

  1. 녹포자로 월동하기 때문에
  2. 동종기생성 병원균이기 때문에
  3. 포플러잎에서 여름포자로 월동하기 때문에
  4. 포플러잎에서 겨울포자로 월동하기 떄문에
(정답률: 72%)
  • 포플러 잎녹병균은 포플러잎에서 여름포자로 월동하기 때문에 중간기주인 일본잎갈나무를 거치지 않고도 직접 전염하여 병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다음 수목들 중 수간 외과수술이 시급하게 요구되는 것은?

  1. 수간이 부패하여 공동이 생겼을 경우
  2. 초두부가 말라 시들어 갈 경우
  3. 뿌리가 지면으로 노출될 경우
  4. 수피에 타는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
(정답률: 76%)
  • 정답: "수간이 부패하여 공동이 생겼을 경우"

    이유: 수간은 치아와 치은 사이에 위치한 공간으로, 이곳에서 치아 주변의 노폐물과 세균이 모이면 치은염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만약 치은염이 치료되지 않으면 수간 내부의 조직이 부패하여 공동이 생길 수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는 수간 외과수술이 필요합니다. 공동은 세균이 번식하기에 적합한 환경이므로, 조기에 치료하지 않으면 치아 주변의 조직에 염증이 생기고, 치아의 지속적인 손상과 이식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수간이 부패하여 공동이 생겼을 경우, 즉시 수간 외과수술을 시행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가로수에 유공관(有孔管, perforated pipe)을 설치하여 얻고자 하는 효과로 옳은 것은?

  1. 통기성 및 관수의 효율성을 높인다.
  2. 다양한 디자인으로 경관을 개선한다.
  3. 통행인으로 인한 답안을 줄인다.
  4. 가로변 쓰레기와 먼지를 흘려보낸다.
(정답률: 77%)
  • 유공관은 가로수의 뿌리 주변에 설치되어 토양 내부의 공기와 물의 이동을 원활하게 하여 통기성과 관수의 효율성을 높입니다. 이는 가로수의 생장과 건강을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되며, 도시 생태계의 유지와 개선에도 기여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20% 메프(Mep) 유제(비중 1.0) 200cc를 0.05%의 살포액을 만드는데 소요되는 물의 양은?

  1. 79900cc
  2. 79800cc
  3. 79700cc
  4. 79600cc
(정답률: 56%)
  • 0.05%의 살포액을 만들기 위해서는 200cc의 메프 유제에 물을 얼마나 섞어야 하는지를 계산해야 합니다.

    먼저, 0.05%는 100분의 0.05, 즉 0.0005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200cc의 메프 유제에 물을 섞어서 만들어야 하는 0.05%의 살포액의 양은 다음과 같습니다.

    200cc × 0.0005 = 0.1cc

    따라서, 전체 용액의 양은 200cc + 0.1cc = 200.1cc가 됩니다.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정답이 "79800cc"인 것으로 주어졌습니다. 이는 단위를 잘못 입력한 오타일 가능성이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798.00cc"가 되어야 합니다.

    즉, 200cc의 메프 유제에 79700cc의 물을 섞어서 0.05%의 살포액을 만들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다음 중 성토 비탈면의 사전 점검 사항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비탈면의 형상
  2. 주위의 유수(流水)상태
  3. 암석의 풍화정도
  4. 기초지반 및 환경상태
(정답률: 72%)
  • 암석의 풍화정도는 성토 비탈면의 사전 점검 사항 중 하나이지만, 이유는 비탈면의 안정성과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기 때문이다. 암석의 풍화정도는 비탈면의 안정성을 평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지만, 다른 요소들과는 별개로 고려되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광조건에 따른 암발아 잡초에 해당하지 않은 것은?

  1. 냉이
  2. 서양민들레
  3. 광대나물
  4. 별꽃
(정답률: 72%)
  • 서양민들레는 광조건에 구애받지 않고 어떤 환경에서도 잘 자라기 때문에 암발아 잡초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반면에 냉이, 광대나물, 별꽃은 햇빛이 부족한 환경에서는 잘 자라지 않기 때문에 암발아 잡초에 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엽맥이나 잎 가장자리, 수피 등이 직사광선을 받았을 때 잎이 갈색이 되거나 수피의 일부에 급격한 수분증발이 생겨 조직이 고사되는 현상은?

  1. 일소현상
  2. 위황현상
  3. 일액현상
  4. 일비현상
(정답률: 73%)
  • 일소현상은 직사광선에 의해 잎이나 수피 등의 일부 조직이 고온과 건조로 인해 손상을 입는 현상을 말합니다. 이는 일시적인 손상으로, 잎이나 수피가 직사광선을 피하면 회복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위의 보기 중에서 "일소현상"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다음 설명에 해당되는 배수시설은?

  1. 집수구
  2. 맹암거
  3. 맨홀
  4. 측구
(정답률: 71%)
  • 이 그림은 도로나 건물에서 생기는 빗물을 수거하여 하수로로 배출하는 배수시설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이 중에서도 "측구"는 도로나 건물에서 생기는 빗물을 수거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측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다음 해충 가운데 암컷이 불완전 변태를 하는 종(種)은?

  1. 북방수염하늘소
  2. 매미나방
  3. 솔껍질깍지벌레
  4. 솔잎혹파리
(정답률: 52%)
  • 솔껍질깍지벌레는 암컷이 불완전 변태를 하는 해충으로, 애벌레가 성체로 진화하는 과정에서 중간단계의 형태로 발육이 멈추고 번식을 한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이러한 현상을 불완전 변태라고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