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경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1-06-12)

조경산업기사
(2011-06-12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조경계획 및 설계

1. 거실 혹은 사무실 의자, 공원 벤치 등의 배치에 있어서 파악 되어져야 하는 개념 중 제일 중요한 것은?

  1. 영역성 개념
  2. 개인적인 공간개념
  3. 혼잡성 개념
  4. 기능적 개념
(정답률: 76%)
  • 개인적인 공간개념은 개인이 자신의 공간을 인식하고 그것을 지키려는 욕구를 가지는 개념이다. 이 개념은 거실이나 사무실 등의 개인이 사용하는 공간에서는 개인의 성격, 문화, 가치관 등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으며, 공원 벤치와 같은 공공장소에서는 다른 사람들과의 거리, 자신의 자리를 지키는 등의 행동으로 나타난다. 따라서 이 개념을 파악하지 않으면 공간 배치가 개인의 욕구와 부합하지 않아 불편함을 느끼게 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점(点, spot)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한 개의 점이 공간에 그 위치를 차지하면 우리의 시각은 자연히 그 점에 집중한다.
  2. 두 개의 점이 있을 때 한쪽점이 작을 경우에 주의력은 작은 쪽에서 큰 쪽으로 옮겨진다.
  3. 광장의 분수, 조각, 독립수 등은 조경공간에서 정적인 역할을 한다.
  4. 점이 같은 간격으로 연속적인 위치를 가지면 흔히 선으로 느껴진다.
(정답률: 94%)
  • "두 개의 점이 있을 때 한쪽점이 작을 경우에 주의력은 작은 쪽에서 큰 쪽으로 옮겨진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사람들은 크기가 작은 점에 주의를 기울이는 것이 아니라, 크기가 큰 점에 주의를 기울인다. 이는 인지심리학적으로 입증된 사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그림과 같은 절토면의 경사 표시가 바르게 된 것은?

(정답률: 93%)
  • 정답은 "" 이다. 이유는 절토면의 경사 표시는 절토면의 경사와 수직이어야 하기 때문이다. ""는 수직에 가깝게 그려져 있으므로 바르게 된 것이다. 다른 보기들은 경사와 수평하거나 경사와 기울어져 있어 올바르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녹지계획 수립과정은 단일형, 선택형, 연환형으로 분류할 수 있다. 그 중 연환형(連環型) 계획 수립과정의 장점이 아닌 것은?

  1. 어느 한 단계의 수정시 정당성 여부를 점검할 수 있다.
  2. 이용자가 가장 좋다고 생각되는 안(案)을 직접 선택할 수 있다.
  3. 모든 단계의 시간적 계열의 짝지음이 수월해진다.
  4. 도시계획의 다른 윤회(輪廻)와 결합시켜 전체적인 체계를 구성시킬 수 있다.
(정답률: 84%)
  • 연환형(連環型) 계획 수립과정의 장점이 아닌 것은 "이용자가 가장 좋다고 생각되는 안(案)을 직접 선택할 수 있다." 이다.

    연환형(連環型) 계획 수립과정은 여러 단계로 나누어진 계획을 순차적으로 수립하면서, 각 단계에서 이전 단계의 결과를 바탕으로 수정하고 보완하는 방식이다. 이를 통해 어느 한 단계의 수정시 정당성 여부를 점검할 수 있고, 모든 단계의 시간적 계열의 짝지음이 수월해진다. 또한, 도시계획의 다른 윤회(輪廻)와 결합시켜 전체적인 체계를 구성시킬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옛날 유(囿)를 만들어 짐승을 키웠다는 내용이 실려 있는 서적은?

  1. 삼국사기
  2. 동사강목
  3. 삼국유사
  4. 대동사강
(정답률: 84%)
  • "대동사강"은 고려시대에 쓰인 역사서로, 고려의 역사와 문화, 지리 등을 다루고 있다. 이 책에는 고려시대의 농업과 축산에 대한 기록이 담겨 있어, 옛날 유(囿)를 만들어 짐승을 키웠다는 내용이 기록되어 있다. 따라서 정답은 "대동사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빛의 파장이 긴 적색이나 황색은 어둡게, 빛의 파장이 짧은 녹색이나 청색은 비교적 밝게 보이는 것을 가리키는 것은?

  1. 색의 향상성
  2. 광원의 연색성
  3. 푸르키니에 현상
  4. 색의 가시도
(정답률: 83%)
  • 푸르키니에 현상은 빛의 파장이 짧은 색이 더 밝게 보이고, 파장이 긴 색이 어둡게 보이는 현상을 말합니다. 이는 인간의 시각 체계에서 파장이 짧은 색이 더 강한 자극을 주기 때문에 발생하는 현상입니다. 따라서, 녹색이나 청색은 밝게 보이고, 적색이나 황색은 어둡게 보이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무굴인도의 샤-자한 시대에 조성된 작품은?

  1. 니샤트-바그(Nishat Bagh)
  2. 샤리마르-바그(Shalimar Bagh)
  3. 아차발-바그(Achabal Bagh)
  4. 체하르-바그(Tshehar Bagh)
(정답률: 82%)
  • 무굴인도의 샤-자한 시대에 조성된 작품 중에서 샤리마르-바그는 제왕의 여인들과 함께 산책하기 위해 만들어진 정원으로, 아름다운 수목과 꽃들이 가득한 곳으로 유명합니다. 또한, 물이 흐르는 분수와 연못, 그리고 화려한 건축물들이 조화롭게 어우러져 아름다운 풍경을 만들어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차량과 보행인들의 통행을 조절하거나 또는 차량과 보행공간을 분리시키기 위하여 설치하는 시설로 30~70cm 정도의 높이를 가진 기둥 모양의 가로 장치물은?

  1. 키오스크(Kiosk)
  2. 가드레일(Guard Rail)
  3. 볼라드(Bollard)
  4. 식수함(Planter Box)
(정답률: 91%)
  • 볼라드는 차량과 보행공간을 분리하기 위해 설치되는 기둥 모양의 가로 장치물로, 30~70cm 정도의 높이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는 차량의 침입을 막거나 보행자의 안전을 보호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따라서 볼라드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수림대 등의 보호, 식생비율의 증가, 해당지역을 대표하는 식생의 증대 등을 위하여 활용되는 제도는 무엇인가?

  1. 경관협정
  2. 녹화계약
  3. 녹지활용계약
  4. 생물다양성관리계약
(정답률: 30%)
  • 녹화계약은 토지 소유자와 지자체가 체결하는 계약으로, 지자체가 소유자에게 일정 기간 동안 토지를 녹화(자연생태계로 복원)하여 보호하고, 해당 지역을 대표하는 식생을 증대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이를 통해 수림대 등의 보호와 식생비율의 증가, 생물다양성 보전 등을 실현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물체의 앞 또는 뒤에 화면을 놓고 시점에서 물체를 본 시선이 화면과 만나는 각 점을 연결하여 눈에 비치는 모양과 같게 물체를 그리는 것은?

  1. 투시도법
  2. 정투상도법
  3. 등각 투상도법
  4. 부등각 투상도법
(정답률: 77%)
  • 투시도법은 물체를 시점에서 바라보는 시선과 화면이 만나는 점을 연결하여 그림을 그리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실제로 물체를 바라보는 것과 유사한 모습을 그릴 수 있어 사실적인 효과를 내는데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설계과정 중 시설의 배치계획 및 공사별 개략설계를 작성하여 사업실시에 관한 각종 판단에 도움을 주기 위한 작업으로서 선행된 작업 내용을 구체적으로 부지에 결합시켜 가는 단계와 관계되는 것은?

  1. 계획설계(schematic design)
  2. 실시설계(detailed design)
  3. 기본설계(preliminary design)
  4. 기본계획(master plan)
(정답률: 57%)
  • 기본설계는 부지에 결합시키기 전에 시설의 배치계획과 개략설계를 작성하는 작업으로, 선행된 작업 내용을 구체적으로 결합시키는 단계와 관련된다. 따라서 정답은 "기본설계(preliminary design)"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김조순의 옥호정도(玉壺亭圖)에서 주로 살펴볼 수 있는 것은?

  1. 앞뜰의 대표적인 꾸밈새
  2. 유상곡수의 형태
  3. 후원의 대표적인 꾸밈새
  4. 별당 마당의 꾸밈새
(정답률: 57%)
  • 김조순의 옥호정도에서 주로 살펴볼 수 있는 것은 후원의 대표적인 꾸밈새이다. 이는 그림 전체적으로 후원이 크게 그려져 있으며, 후원 내부에는 연못과 돌담, 나무 등이 자연스럽게 배치되어 있기 때문이다. 또한, 후원 내부에는 작은 정자와 나무 등이 있어 조화롭고 아름다운 풍경을 이루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다음 중 관용색명과 대응하는 계통색명과 먼셀표 기법이 맞게 짝지어진 것은?

  1. 개나리색 - 노란 연두 - 3GY 7/10
  2. 창포색 - 선명한 보라 - 3P 4/11
  3. 장미색 - 탁한 초록 - 10GY 4/4
  4. 진달래색 - 밝은 초록 - 3G 4.5/7
(정답률: 76%)
  • 정답: "창포색 - 선명한 보라 - 3P 4/11"

    관용색명인 "창포색"은 보라색 계통에 속하며, 먼셀표 기법으로는 "3P 4/11"로 표현된다. "3P"는 보라색 계통에서의 위치를 나타내며, "4/11"은 밝기와 채도를 나타낸다. 따라서 "창포색"과 "선명한 보라 - 3P 4/11"은 맞게 짝지어진 것이다.

    다른 보기들은 관용색명과 대응하는 계통색명이 맞지 않거나, 먼셀표 기법으로 표현된 색상과 일치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개나리색"은 노란색 계통에 속하지만, 대응하는 계통색명은 "노란 연두"로 틀린 것이고, 먼셀표 기법으로 표현된 색상도 "3GY 7/10"으로 다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식물의 질감에 영향을 주는 요소로서 가장 관련이 적은 것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잎의 크기
  2. 수피의 색
  3. 가지의 크기
  4. 관찰 거리
(정답률: 64%)
  • 식물의 질감은 주로 잎의 표면 구조와 조직에 의해 결정되며, 이는 수피의 색과는 관련이 적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수피의 색"이 아닌 다른 보기가 되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도시공원 및 녹지 등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에 근거한 도시공원 시설의 유형과 시설이 서로 맞지 않는 것은?

  1. 운동시설 : 자연체험장
  2. 휴양시설 : 민속놀이마당
  3. 교양시설 : 청소년수련시설(생활권 수련시설에 한한다.)
  4. 유희시설 : 뱃놀이터
(정답률: 79%)
  • 도시공원 시설은 시설의 목적과 용도에 따라 구분되어야 하며, 이에 따라 서로 맞지 않는 시설이 있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운동시설과 자연체험장은 모두 체력을 기르고 자연을 경험할 수 있는 시설이지만, 운동시설은 주로 실내에서 운동하는 것에 비해 자연체험장은 실외에서 자연과 함께하는 것에 초점을 둡니다. 따라서, 이 두 시설은 서로 맞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와 마찬가지로, 휴양시설과 민속놀이마당은 모두 쉬어가는 공간이지만, 휴양시설은 주로 휴식을 취하거나 산책을 하며 쉬는 공간에 비해 민속놀이마당은 전통적인 놀이와 문화를 체험할 수 있는 공간입니다. 따라서, 이 두 시설은 서로 맞지 않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휴양시설 : 민속놀이마당"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어떤 물체나 표면에 도달하는 광(光)의 밀도(密度)를 무엇이라 하는가?

  1. 휘도(brightness)
  2. 조도(illuminance)
  3. 촉광(candle-power)
  4. 광도(luminous intensity)
(정답률: 72%)
  • 조도는 광원에서 발산되는 광량이 특정 면적에 도달하는 양을 나타내는 단위인 룩스(lux)로 측정되는 값입니다. 즉, 어떤 물체나 표면에 도달하는 광의 밀도를 나타내는 것입니다. 따라서 조도가 정답입니다. 휘도는 물체가 내뿜는 빛의 밝기를 나타내는 것이고, 촉광은 어떤 광원의 밝기를 나타내는 것입니다. 광도는 빛의 방향성을 나타내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연간 이용객 추정에서 최대일 이용자 수의 산출공식은?

  1. 연간 이용자수 × 회전율
  2. 최대시 이용자수 × 연간 이용회수
  3. 최대시 이용자수 × 최대일률
  4. 연간 이용자수 × 최대일률
(정답률: 76%)
  • 최대일 이용자 수는 일일 최대 이용자 수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연간 이용자 수와 최대일률을 곱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연간 이용자 수가 100만명이고 최대일률이 10%라면, 최대일 이용자 수는 100만명 × 10% = 10만명이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연간 이용자수 × 최대일률"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한국 전통사찰이 공간구성 기본원칙이 아닌 것은?

  1. 자연과의 조화
  2. 인간척도의 유지
  3. 공간간의 연계성
  4. 계층적 질서의 타파
(정답률: 79%)
  • 한국 전통사찰은 "자연과의 조화", "인간척도의 유지", "공간간의 연계성"을 기본원칙으로 하지만, "계층적 질서의 타파"는 그 반대의 개념이기 때문에 기본원칙이 아니다. 즉, 전통사찰은 일정한 계층적 질서를 유지하면서도 자연과 조화를 이루고 인간의 척도를 유지하며 공간간의 연계성을 갖추는 것이 중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다음 중 명승문화재의 지정기준이 아닌 것은?

  1. 자연경관이 뛰어난 곳
  2. 동, 식물의 서식지
  3. 건물을 제외한 경승지
  4. 저명한 경관의 전망지점
(정답률: 74%)
  • "건물을 제외한 경승지"는 명승문화재의 지정기준이 아닙니다. 명승문화재는 역사, 문화, 예술, 과학 등의 분야에서 국민의 역사의식과 문화적 정체성을 유지하고 발전시키기 위해 중요한 역할을 하는 문화재를 지정하는 것이며, 이에는 자연경관이 뛰어난 곳, 동식물의 서식지, 저명한 경관의 전망지점 등이 포함됩니다. 하지만 건물을 제외한 경승지는 명승문화재의 지정기준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다음 중 주택정원에서 가장 정숙을 요구하는 공간은?

  1. 진입공간(approach area)
  2. 사적공간(private area)
  3. 서비스공간(service area)
  4. 공적공간(public area)
(정답률: 88%)
  • 주택정원에서 사적공간은 개인의 생활공간으로서 가장 정숙을 요구하는 공간입니다. 이는 개인의 프라이버시와 안락함을 보장하기 위해 다른 사람들과의 접촉을 최소화하고, 개인적인 활동을 할 수 있는 공간으로 유지되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진입공간은 외부와의 연결 공간, 서비스공간은 가정에서의 서비스를 위한 공간, 공적공간은 다른 사람들과의 교류를 위한 공간으로 각각의 특성에 따라 다른 수용성과 활동성이 요구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조경식재

21. 중국, 한국(울릉도), 일본이 원산지인 수목은?

  1. Aesculus turbinata
  2. Cedrus deodara
  3. Juniperus chinensis
  4. Prunus yedoensis
(정답률: 65%)
  • 중국, 한국(울릉도), 일본 모두에서 자생하는 수목 중 "Juniperus chinensis"는 원산지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다음 중 평면화단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경재화단(border flower bed)
  2. 카펫화단(carpet flower bed)
  3. 리본화단(ribbon flower bed)
  4. 포석화단(paved flower bed)
(정답률: 70%)
  • 경재화단은 평면화단이 아니라 경계를 구분하기 위해 사용되는 화단이기 때문입니다. 다른 세 가지 화단은 모두 식물을 심어 만든 평면화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종합경기장에 식재계획을 할 경우 주차장에 심어야 할 가장 적합한 녹음 수종으로만 짝지어진 것은?

  1. 은행나무, 느티나무
  2. 주목, 비자나무
  3. 회양목, 식나무
  4. 팔손이나무, 녹나무
(정답률: 78%)
  • 주차장은 차량이 많이 다니는 곳이므로 뿌리가 깊지 않고 흙을 잘 붙잡는 나무가 적합하다. 이에 따라 은행나무와 느티나무가 가장 적합하다. 주목과 비자나무는 뿌리가 깊지 않아 풍랑에 취약하고, 회양목과 식나무는 뿌리가 깊지만 흙을 잘 붙잡지 못해 풍랑에 취약하며, 팔손이나무와 녹나무는 뿌리가 얕아 흙을 잘 붙잡지 못해 차량의 무게에 견딜 수 없다. 따라서 은행나무와 느티나무가 가장 적합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부등변삼각형을 기본단위로 하여 그 삼각망을 순차적으로 확대하면서 다량의 수목을 배치하는 식재수법으로서 다음 중 가장 적합한 것은?

  1. 교호식재
  2. 임의식재
  3. 모아심기
  4. 무리심기
(정답률: 55%)
  • 부등변삼각형을 기본단위로 하여 순차적으로 확대하는 식재수법은 "임의식재"이다. 이는 각 지역의 지형, 기후, 토양 등에 따라 적합한 나무를 선택하여 임의적으로 심는 방법으로, 지역적 특성에 맞게 다양한 종류의 나무를 심을 수 있어서 적합하다. 교호식재는 두 종류 이상의 나무를 교대로 심는 방법이고, 모아심기는 한 지역에 같은 종류의 나무를 모아서 심는 방법이다. 무리심기는 한 지역에 많은 수의 나무를 집중적으로 심는 방법으로, 자연생태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적합하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조경설계기준상 산업단지 및 공업지역의 완충녹지 설명 중 틀린 것은?

  1. 주거전용지역이나 교육 및 연구시설 등 조용한 환경으로 부터 녹지설치의 원인시설이 은폐될 수 있는 형태로 한다. 이 때 수고가 4m 이상으로 성장할 수 있는 수목의 녹화면적이 50%이상이 되도록 한다.
  2. 녹지의 폭원은 최소 50~200m 정도를 표준으로 하되 당해 지역의 특성과 인접 토지이용과의 관계, 풍향, 기후, 사회적·자연적 조건 등을 고려하여 적절한 폭과 길이를 결정한다.
  3. 경관조경수를 주 수종으로 도입하여, 대기오염에 강한 낙엽수를 수림지대 주변부에 두고, 그 중심에 속성 녹화 경관수목을 배식한다.
  4. 완충녹지의 기능을 촉진하기 위하여 속성수와 완충기능 수종을 식물사회학적인 관계를 고려하여 군식 또는 군락 식재를 한다.
(정답률: 71%)
  • 정답은 "주거전용지역이나 교육 및 연구시설 등 조용한 환경으로 부터 녹지설치의 원인시설이 은폐될 수 있는 형태로 한다. 이 때 수고가 4m 이상으로 성장할 수 있는 수목의 녹화면적이 50%이상이 되도록 한다."입니다.

    이유는 문장에서 "수고가 4m 이상으로 성장할 수 있는 수목의 녹화면적이 50%이상이 되도록 한다"는 내용이 있지만, 이는 완충녹지 설명과는 관련이 없는 내용입니다. 완충녹지 설명에서는 경관조경수를 주 수종으로 도입하여 대기오염에 강한 낙엽수를 수림지대 주변부에 두고, 그 중심에 속성 녹화 경관수목을 배식한다는 내용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실내식물의 환경 중 광선의 세기가 광보상점이상 광포화점이하라야 식물이 건강하게 생육 할 수 있다. 빛의 세기가 너무 약하면 나타나는 현상은?

  1. 잎이 황색으로 변한다.
  2. 잎이 마르고 희게 된다.
  3. 잎의 두께가 굵어진다.
  4. 잎의 가장자리가 마르게 된다.
(정답률: 53%)
  • 잎이 황색으로 변하는 이유는 광합성에 필요한 엽록소의 생성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엽록소는 빛에 의해 생성되는데, 너무 약한 빛의 세기에서는 충분히 생성되지 못하므로 잎이 황색으로 변하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조경설계기준에서 정한 수간(樹幹)의 단위체적당 중량이 1340kg/m3 이상인 수종으로만 짝지어진 것은?

  1. 녹나무, 삼나무
  2. 굴피나무, 화백
  3. 굴거리나무, 칠엽수
  4. 감탕나무, 상수리나무
(정답률: 48%)
  • 조경설계기준에서는 수간의 단위체적당 중량이 1340kg/m3 이상인 수종을 사용하여 안정성을 확보하고자 합니다. 따라서 감탕나무와 상수리나무는 이 기준을 충족시키는 수종으로 선택되었습니다. 다른 보기에 있는 나무들은 이 기준을 충족시키지 못하기 때문에 선택되지 않았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다음 중 보기의 특징에 적합한 것은?

  1. 협죽도
  2. 자금우
  3. 불두화
  4. 만병초
(정답률: 60%)
  • 이미지에서 보이는 지형이 협죽도와 유사하다. 협죽도는 산과 바다가 어우러져 있는 지형으로, 이미지에서도 산과 바다가 인접해 있고, 지형이 복잡하게 얽혀있는 것이 유사하다. 따라서 정답은 "협죽도"이다. "자금우"는 강과 호수가 인접한 지형, "불두화"는 불이 번지는 지형, "만병초"는 초원이 많은 지형을 나타낸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다음 녹도(綠道, 보행자 공간, Pedestrian space)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일상생활과 직접 결합된 통학, 통근, 산책, 장보기 등을 위한 도로이다.
  2. 보도와 자전거용 도로는 완전히 분리되도록 한다.
  3. 도로에서 2.5m 높이까지는 교목의 가지가 돌출하는 일이 없어야 한다.
  4. 일반적으로 프라이버시를 확보하기 위하여 멀리 바라보이지 않도록 하고 야간에는 국부조명이 되도록 한다.
(정답률: 78%)
  • "도로에서 2.5m 높이까지는 교목의 가지가 돌출하는 일이 없어야 한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이는 녹도 설계 시 교목의 가지가 도로 위로 돌출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는 내용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다음 보기에서 설명하고 있는 식물은?

  1. 달리아
  2. 튤립
  3. 칸나
  4. 히아신스
(정답률: 77%)
  • 보기에서 나타나는 꽃들 중에서 "칸나"는 그림과 같이 길쭉한 잎과 노란색 꽃을 가진 식물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식재로 얻을 수 있는 기능 중 기상학적 효과는?

  1. 태양 복사열 조절
  2. 대기정화 작용
  3. 토양 침식조절
  4. 반사조절
(정답률: 77%)
  • 식물은 태양 복사열을 에너지원으로 사용하여 광합성을 하게 됩니다. 하지만 너무 많은 복사열은 식물에게 해로울 수 있습니다. 따라서 식물은 기상학적으로 태양 복사열을 조절하여 적정한 양의 복사열을 받도록 합니다. 이를 통해 식물은 생존에 필요한 에너지를 얻으면서도 과열로 인한 손상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기상학적 효과를 얻기 위해 식물은 잎의 구조나 색깔, 뿌리의 분포 등을 조절합니다. 따라서 "태양 복사열 조절"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수목의 이식시기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근(根)계 활동 시작 직전
  2. 근(根)계 활동 시작 후
  3. 발아 정지기
  4. 새 잎이 나오는 시기
(정답률: 76%)
  • 수목의 이식시기로 가장 적합한 것은 "근(根)계 활동 시작 직전"이다. 이유는 이 시기에 수목의 뿌리가 활발하게 성장하고 있기 때문에 이식 후 뿌리가 잘 발달하여 적극적으로 생장할 수 있다. 또한, 이 시기에는 수분과 영양분을 흡수하는 능력이 높아져 이식 후 생활환경에 빠르게 적응할 수 있다. 따라서, 수목의 생장과 생존에 가장 유리한 시기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Zelkova serrata"의 수관 기본형으로 적당한 것은?

  1. 원통형(圓桶形)
  2. 배형(盃形)
  3. 수지형(垂枝形)
  4. 구형(球形)
(정답률: 76%)
  • "Zelkova serrata"는 대개 배형(盃形)으로 자라기 때문에, 정답은 "배형(盃形)"입니다. 이는 이 종의 나무가 가지가 뻗어나가는 방향이 위로 올라가다가 아래로 내려가는 형태를 띄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형태는 나무의 가지가 무거운 무게를 지탱하기에 적합하며, 나무의 전체적인 모양도 아름답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다음 중 내음성 조경수로만 구성된 것은?

  1. 굴거리나무, 소나무
  2. 주목, 비자나무
  3. 편백, 조팝나무
  4. 측백나무, 이팝나무
(정답률: 70%)
  • 주목과 비자나무는 모두 내음성 조경수에 속하는 나무이기 때문에, 이 두 가지로만 구성된 것이다. 굴거리나무와 소나무는 소음성 조경수에 속하고, 편백과 조팝나무는 중간성 조경수에 속하며, 측백나무와 이팝나무는 외음성 조경수에 속하기 때문에 선택지에서 제외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근원중기가 A, B 2개인 경우 뿌리분의 크기를 근원직경의 4~5배로 하기 위하여 분반경(盆半徑)을 구하는 식은?

  1. (A둘레+B둘레) × 1/2
  2. (A둘레+B둘레) × 1/3
  3. (A둘레+B둘레) × 1/4
  4. (A둘레+B둘레) × π/2
(정답률: 62%)
  • 근원중기가 A, B 2개인 경우 뿌리분의 크기를 근원직경의 4~5배로 하기 위해서는 분반경이 적절하게 설정되어야 한다. 분반경은 근원중기의 둘레를 기준으로 설정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분반경을 구하는 식은 다음과 같다.

    분반경 = (A둘레 + B둘레) × 1/3

    이 식에서 1/3을 곱하는 이유는 근원중기의 둘레를 3등분하여 그 중간 지점을 분반경으로 설정하기 때문이다. 이렇게 설정하면 근원중기의 크기에 따라 적절한 분반경을 설정할 수 있으며, 뿌리분의 크기를 근원직경의 4~5배로 유지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다음 중 우리나라에서 내동성이 가장 강한 것은?

  1. 자작나무
  2. 녹나무
  3. 비자나무
  4. 감탕나무
(정답률: 76%)
  • 우리나라에서 내동성이 가장 강한 나무는 "자작나무"입니다. 이는 자작나무가 국내에서 가장 많이 분포하며, 그 크기와 생장력이 강하고 뿌리가 깊게 박혀 있어서 내동성이 뛰어나기 때문입니다. 또한 자작나무는 노후에도 잘 살아남아서 오랜 기간 동안 내동성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인공지반 위에 사용하는 경량토의 종류 중 진주암을 고온으로 소성한 것으로 염기성 치환용량이 작아 보비성(保肥性)이 없는 인공 토양은?

  1. 버미큘라이트
  2. 펄라이트
  3. 피트
  4. 화산회토
(정답률: 74%)
  • 펄라이트는 진주암을 고온으로 소성하여 만든 경량토로, 염기성 치환용량이 작아 보비성이 없습니다. 따라서 비료를 추가하여 토양의 비옥도를 높이는 것이 어렵지만, 경량성이 뛰어나므로 배관, 배수, 흙막이 등의 용도로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다음 중 방풍용 수목의 설명으로 맞는 것은?

  1. 수목의 지하고율이 작을수록 바람에 대한 저항은 증대된다.
  2. 천근성으로서 지엽이 치밀하지 않아야 한다.
  3. 수목은 잎이 두껍고 함수량이 많은 넓은 잎을 가진 상록수가 적합하다.
  4. 후박나무, 사철나무, 동백나무, 삼나무 등은 모두 방풍용 수목으로 적당하다.
(정답률: 62%)
  • 방풍용 수목은 바람에 대한 저항이 강한 수목으로, 지하고율이 작을수록 바람에 대한 저항이 증대되기 때문에 지하고율이 낮은 후박나무, 사철나무, 동백나무, 삼나무 등이 방풍용 수목으로 적당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산성 토양에 가장 잘 견디는 것은?

  1. Buxus koreaana Nakai ex Chung
  2. Pinus koreaiensis Sieb. & Zucc
  3. Acer palmatum Thunb. ex Murray
  4. Fraxinus rhynchophylla Hance
(정답률: 55%)
  • Pinus koreaiensis Sieb. & Zucc는 산성 토양에서 잘 자라는 소나무 종류이기 때문에 가장 잘 견디는 것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산성 토양에서도 잘 자라지만 Pinus koreaiensis Sieb. & Zucc는 그 중에서도 더욱 뛰어난 적응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식재 공사시 뿌리돌림을 할 경우 분의 크기는 근원직경의 몇 배로 작업해야 하는 것이 가장 이상적인가?

  1. 2배
  2. 4배
  3. 6배
  4. 10배
(정답률: 84%)
  • 뿌리돌림을 할 때는 뿌리가 자라는 방향으로 분을 작게 만들어야 합니다. 이렇게 하면 뿌리가 더 잘 자라고, 더 많은 영양분을 흡수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분의 크기는 근원직경의 4배로 작업하는 것이 가장 이상적입니다. 2배로 작업하면 분이 너무 작아져서 뿌리가 충분히 자라지 못하고, 6배나 10배로 작업하면 너무 크기 때문에 뿌리가 제대로 자라지 않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조경시공

41. 토양침식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토양의 침식량은 유거수량이 많을수록 적어진다.
  2. 토양유실량은 강우량보다 최대강우량강도와 관계가 있다.
  3. 경사도가 크면 유속이 빨라져 무거운 입자도 침식된다.
  4. 작물의 생장은 투수성을 좋게 하여 토양 유실량을 감소시킨다.
(정답률: 88%)
  • "토양의 침식량은 유거수량이 많을수록 적어진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실제로는 강우량이 많을수록 토양의 침식량이 증가한다. 이는 강우량이 많을수록 유속이 빨라지고, 이에 따라 토양 입자가 침식되는 속도가 빨라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보기 중 "토양의 침식량은 유거수량이 많을수록 적어진다."라는 설명이 옳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생콘크리트의 측압에 대한 영향이 가장 적은 것은?

  1. 콘크리트의 발열
  2. 온도 및 대기의 습도
  3. 생콘크리트의 다지기 방법
  4. 콘크리트의 부어넣기 속도
(정답률: 60%)
  • 콘크리트의 발열은 측압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콘크리트가 혼합되고 형성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화학반응으로 인해 발생하는 열이기 때문에 측압과는 무관하다. 따라서 콘크리트의 발열은 측압에 대한 영향이 가장 적은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한중콘크리트로서 시공하여야 하는 기준이 되는 기상조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하루의 평균기온이 0℃ 이하가 되는 기상조건
  2. 하루의 평균기온이 4℃ 이하가 되는 기상조건
  3. 일주일의 평균기온이 0℃ 이하가 되는 기상조건
  4. 일주일의 평균기온이 4℃ 이하가 되는 기상조건
(정답률: 80%)
  • 한중콘크리트는 기온이 낮아지면 경도가 높아지는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시공할 때 기온이 낮아지면 더욱 빠르게 경도가 높아져서 시공이 어려워집니다. 따라서 시공 기준으로는 하루의 평균기온이 4℃ 이하가 되는 기상조건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덤프트럭에 흙을 운반할 때 적재시간 10분, 왕복 운반 시간 30분, 적하시간 1.5분, 대기시간 1.0분, 적재함 덮개 설치 및 해체시간 4.5분이라 할 때 1회 싸이클 시간(Cm)은?

  1. 47분
  2. 51.5분
  3. 63분
  4. 74.5분
(정답률: 60%)
  • 1회 싸이클 시간(Cm) = 적재시간 + 왕복 운반 시간 + 적하시간 + 대기시간 + 적재함 덮개 설치 및 해체시간
    = 10분 + 30분 + 1.5분 + 1.0분 + 4.5분
    = 47분

    따라서, 정답은 "47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공사시공방법에 있어서 전문 공사별, 공정별, 공구별로 도급을 주는 방법은?

  1. 분할도급
  2. 공동도급
  3. 일식도급
  4. 직영도급
(정답률: 85%)
  • 분할도급은 전체 공사를 작은 단위로 나누어 각 단위별로 도급을 주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전문 공사별, 공정별, 공구별로 도급을 주어 특정 분야에 전문성을 갖춘 업체가 참여할 수 있도록 하며, 공사의 품질과 안전성을 보장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도급을 받은 업체들은 자신의 분야에서 최선을 다해 작업할 수 있으므로 전체 공사의 효율성과 질적 수준을 높일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다음 중 건설기계와 해당 건설기계의 주된 작업종류의 연결이 옳지 않은 것은?

  1. 백호 - 정지
  2. 크램쉘 - 굴착
  3. 파워쇼벨 - 굴착
  4. 그레이더 - 정지
(정답률: 81%)
  • 백호는 굴착기로, 굴착이 주된 작업종류이다. 따라서 "백호 - 정지"가 옳지 않은 연결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플라스틱의 특성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내식성이 우수하다.
  2. 약알칼리에 약하다.
  3. 일반적으로 비흡수성이다.
  4. 화학약품에 대한 저항성은 열경화성 수지와 열가소성 수지가 다른 특성을 갖고 있다.
(정답률: 72%)
  • "약알칼리에 약하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플라스틱은 일반적으로 내식성이 우수하며, 화학약품에 대한 저항성은 열경화성 수지와 열가소성 수지가 다른 특성을 갖고 있다. 또한, 플라스틱은 일반적으로 비흡수성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어느 옹벽의 전도력은 2000kg·m 이고, 전도저항력은 5000kg·m이다. 이때 전도의 안전계수는 얼마인가?

  1. 0.4
  2. 1.5
  3. 2.0
  4. 2.5
(정답률: 59%)
  • 전도의 안전계수는 전도력을 전도저항력으로 나눈 값으로 계산된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전도의 안전계수는 2000kg·m / 5000kg·m = 0.4이다.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이 "2.5"인 이유는 오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석재(石材)의 표면가공 방법이 아닌 것은?

  1. 할석
  2. 화염처리
  3. 손다듬기
  4. 갈기 및 광내기
(정답률: 69%)
  • 할석은 석재를 자르는 방법이므로 표면가공 방법이 아니다. 다른 보기들은 석재의 표면을 가공하는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살수기를 선정할 때 고려해야 하는 살수기의 제원 설명 중 ( )안에 알맞은 내용은?

  1. 동일 지관이므로 같게 한다.
  2. 각 살수기 작동압력의 3% 이내 이어야 한다.
  3. 각 살수기 작동압력의 10% 이내 이어야 한다.
  4. 고려 없이 면적에 따라 한 지관에 얼마든지 설치한다.
(정답률: 77%)
  • 각 살수기의 작동압력이 차이가 나면, 작동 중인 살수기 중 압력이 높은 살수기가 물을 더 많이 가져가게 되어 다른 살수기들은 물을 공급받지 못하게 됩니다. 따라서 각 살수기의 작동압력은 최대한 비슷하게 유지해야 하며, 이를 위해 각 살수기 작동압력의 10% 이내로 유지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콘크리트용 골재로서 요구되는 성질에 대한 설명중 옳지 않은 것은?

  1. 골재의 입형은 가능한 한 편평, 세장하지 않을 것
  2. 골재의 강도는 경화시멘트페이스트의 강도를 초과하지 않을 것
  3. 골재의 입도는 조립에서 세립까지 연속적으로 균등히 혼합되어 있을 것
  4. 골재는 시멘트페이스트와의 부착이 강한 표면구조를 가져야 할 것
(정답률: 62%)
  • "골재의 강도는 경화시멘트페이스트의 강도를 초과하지 않을 것"이 옳지 않은 설명이다. 골재는 경화시멘트페이스트와 함께 혼합되어 콘크리트를 형성하는데, 이때 골재는 경화시멘트페이스트보다 강도가 높아야 한다. 따라서 골재의 강도는 경화시멘트페이스트의 강도를 초과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아스팔트의 물리적 성질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아스팔트의 열팽창계수는 상온 200℃까지 범위에서 대개 (6.0~6.2)× 10-4/℃ 정도이다.
  2. 아스팔트의 비중은 일반적으로 약 1.0~1.1 정도이다.
  3. 아스팔트의 인화점은 원유의 종류, 제조방법, 침입도에 의하여 다르지만 대체로 250~320℃의 범위에 있다.
  4. 아스팔트의 침입도는 온도 상승에 따라 감소한다.
(정답률: 47%)
  • 아스팔트의 침입도는 온도 상승에 따라 증가한다는 것이 올바른 설명이다. 이는 온도가 높아질수록 분자 운동이 활발해져 분자 간 거리가 멀어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침입도가 감소하는 것이 아니라 증가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다음 설명에 적합한 시멘트의 종류는?

  1. 백색포틀랜드시멘트
  2. 조강포틀랜드시멘트
  3. 중용열포틀랜드시멘트
  4. 실리카시멘트
(정답률: 82%)
  • 이미지에서 보이는 건 고온으로 가열된 화로에서 생산된 콘크리트 블록이다. 이러한 블록은 고온과 압력에 강하게 견디는 시멘트가 필요하다. 중용열포틀랜드시멘트는 고온과 압력에 강한 시멘트로, 이러한 환경에서 사용하기 적합하다. 따라서 정답은 "중용열포틀랜드시멘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다음의 혼화재료 중 콘크리트의 워커빌리티를 개선하는 효과가 없는 것은?

  1. AE제
  2. 감수제
  3. 포졸란
  4. 발포제
(정답률: 59%)
  • 발포제는 콘크리트 내부에 공기를 발생시켜 콘크리트의 밀도를 낮추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콘크리트의 워커빌리티를 개선하는 효과가 없습니다. 반면, AE제는 공기를 혼합하여 콘크리트의 워커빌리티를 개선시키는데 효과적이며, 감수제는 수분을 흡수하여 콘크리트의 경도를 높이는 역할을 하고, 포졸란은 시멘트의 초기 경화를 지연시켜 콘크리트의 워커빌리티를 개선시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다음 공원조명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그림자 조명은 실루엣조명과 대조적인 조명방식으로 물체의 측면이나 하향으로 빛을 비춤으로써 이루어진다.
  2. 수목이나 시설물을 돋보이도록 하려면 나트륨등을 쓰는 것이 좋다.
  3. 공원조명은 보안성, 효율성, 쾌적성 등을 고려해서 설치한다.
  4. 조명용 각종 배선은 지하매설 방식이 바람직하다.
(정답률: 75%)
  • "수목이나 시설물을 돋보이도록 하려면 나트륨등을 쓰는 것이 좋다." 이 설명은 옳은 설명이다. 나트륨등은 노란색 빛을 내뿜어 시설물이나 수목을 더욱 선명하게 보이게 해주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도로의 수평노선에서 곡선반경이 20m이고, 접선장의 교각이 30도일 때 곡선장은 약 얼마인가?

  1. 1.67m
  2. 5.24m
  3. 10.47m
  4. 12.14m
(정답률: 59%)
  • 접선장의 교각이 30도이므로, 곡선의 중심각은 60도가 된다. 이때 곡선의 길이는 1/6(60/360)배가 된다. 따라서 곡선의 길이는 20m x 1/6 x π ≈ 10.47m 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다음 지형도와 같은 지형을 만들기 위하여 성토량을 계산하려고 한다. 각 절단면의 단면적은 다음과 같고 절단면과 절단면의 간격을 5m라고 할 때 성토량은 약 얼마인가? (단, A-A' 단면적 : 5m2, B-B' 단면적 : 4m2, C-C' 단면적 : 3m2, D-D' 단면적 : 4m2, E-E' 단면적 : 5m2, F-F' 단면적 : 6m2)

  1. 21.5m3
  2. 43m3
  3. 107.5m3
  4. 215m3
(정답률: 60%)
  • 각 절단면의 단면적과 절단면 간격을 곱하여 부피를 구한 후, 모두 더하면 된다.

    A-A' 단면적 : 5m2, 간격 : 5m → 부피 : 5m2 × 5m = 25m3

    B-B' 단면적 : 4m2, 간격 : 5m → 부피 : 4m2 × 5m = 20m3

    C-C' 단면적 : 3m2, 간격 : 5m → 부피 : 3m2 × 5m = 15m3

    D-D' 단면적 : 4m2, 간격 : 5m → 부피 : 4m2 × 5m = 20m3

    E-E' 단면적 : 5m2, 간격 : 5m → 부피 : 5m2 × 5m = 25m3

    F-F' 단면적 : 6m2, 간격 : 5m → 부피 : 6m2 × 5m = 30m3

    따라서, 총 성토량은 25m3 + 20m3 + 15m3 + 20m3 + 25m3 + 30m3 = 107.5m3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암석을 구성하고 있는 조암광물의 집합상태에 따라 생기는 눈 모양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석목
  2. 석리
  3. 층리
  4. 절리
(정답률: 69%)
  • 석리는 암석을 구성하는 조암광물들이 서로 결합하여 생기는 눈 모양을 말한다. 이때 조암광물들이 결합하는 방식에 따라 다양한 석리가 형성되며, 이는 암석의 특징을 파악하는 데 중요한 정보를 제공한다. 따라서 암석을 분석할 때 석리의 형태를 관찰하고 분석하는 것이 중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지상 고도 2,000m의 비행기 위에서 화면 거리 152.7mm의 사진기로 촬영한 수직 공중 사진상에서 길이 50m의 교량은 몇 mm로 촬영되는가?

  1. 1.2mm
  2. 2.5mm
  3. 3.8mm
  4. 4.2mm
(정답률: 61%)
  • 이 문제는 유사 삼각형의 비례 관계를 이용하여 풀 수 있습니다.

    먼저, 비행기와 교량, 그리고 지면 사이에 직각 삼각형이 형성됩니다. 이 때, 비행기와 지면 사이의 직선 거리는 2,000m이며, 이 직각 삼각형에서 교량의 높이는 50m입니다.

    따라서, 비행기와 교량 사이의 거리를 구하기 위해 피타고라스의 정리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비행기와 지면 사이의 거리 = √(2,000² - 50²) ≈ 1,999.75m

    이제, 유사 삼각형의 비례 관계를 이용하여 교량의 실제 길이와 사진상에서의 길이를 구할 수 있습니다.

    실제 길이 / 실제 거리 = 사진상에서의 길이 / 사진상에서의 거리

    50m / 1,999.75m = x / 152.7mm

    x ≈ 3.8mm

    따라서, 교량은 3.8mm로 촬영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우수유출량(Q)의 계산식은 1/360 C.I.A 이다. 여기서 "I" 는 무엇을 의미하는가?

  1. 유출계수
  2. 배수면적
  3. 강우강도
  4. 강우용량
(정답률: 71%)
  • "I"는 강우강도를 의미한다. 이는 일정한 시간 동안 일어난 강우량을 단위 시간당 면적으로 나눈 값으로, 일반적으로 mm/h로 표시된다. 우수유출량은 강우강도와 배수면적, 유출계수에 따라 결정되는데, 강우강도가 증가하면 우수유출량도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정답은 "강우강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조경관리

61. 잡초의 유용성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잡초 중에는 논둑 및 경사지 등에서 지면을 덮어 토양 유실을 막아 준다.
  2. 작물과 같이 자랄 경우 빈 공간을 채워 작물의 도복을 막아준다.
  3. 근연 관계에 있는 식물에 대한 유전자은행으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다.
  4. 유기물이나 중금속 등으로 오염된 물이나 토양을 정화하는 기능을 가진 종들이 있다.
(정답률: 66%)
  • "작물과 같이 자랄 경우 빈 공간을 채워 작물의 도복을 막아준다."가 틀린 것이다. 잡초는 작물과 같이 자라면 오히려 작물의 생장을 방해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점토광물이 형태상의 변화없이 내·외부의 이온이 치환되어 점토광물 표면에 음전하를 갖게 하는 현상을 무엇이라 하는가?

  1. 동형치환
  2. pH 의존전하
  3. 변두리 전하
  4. 잠시적 전하
(정답률: 69%)
  • 점토광물의 구조는 교체 가능한 이온들이 들어갈 수 있는 공간이 있기 때문에, 내·외부의 이온이 치환되어 음전하를 갖게 됩니다. 이러한 현상을 동형치환이라고 합니다. 이는 점토광물의 표면에 음전하가 형성되어 다양한 화학적 반응에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따라서, 동형치환은 점토광물의 특성을 이해하는 데 매우 중요한 개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토양입자의 침강속도를 측정하여 토양의 입경을 구분할 때 이용되는 Stokes식 내의 독립변수 중 침강 속도에 영향을 주는 인자로 고려되지 않는 것은?

  1. 물의 점성계수
  2. 물의 밀도
  3. 입자의 반경
  4. 입자의 형태
(정답률: 50%)
  • Stokes식은 입자의 침강속도를 계산하는데 사용되는데, 이 식에서는 입자의 형태에 대한 정보가 고려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입자의 형태가 다르더라도 반경이 같다면 침강속도는 동일하게 측정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코호의 4원칙(Koch's postulates)에 합당하지 않은 것은?

  1. 병든 생물체에 병원체로 의심되는 특정 미생물이 존재 해야 한다.
  2. 미생물이 분리되어 기주식물이나 인공배지에서 순수 배양되어야 한다.
  3. 순수배양한 미생물을 동일 기주에 접종하였을 때 동일한 병이 발생되어야 한다.
  4. 발병한 부위에서 접종한 미생물과 동일한 성질을 가진 미생물이 재분리 배양되어야 한다.
(정답률: 52%)
  • 미생물이 분리되어 기주식물이나 인공배지에서 순수 배양되어야 한다는 것은 코호의 4원칙 중 하나이지만, 이것이 항상 가능하지는 않습니다. 일부 병원체는 인공 배지에서 재배양이 어렵거나 불가능할 수 있습니다. 또한 일부 병원체는 기주식물에서만 번식하며 인공 배지에서는 번식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원칙은 모든 경우에 적용되지는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파이토플라스마(phytoplasma)가 수목으로 전반되는 주요한 수단은?

  1. 바람
  2. 농기계
  3. 매개충
(정답률: 74%)
  • 파이토플라스마는 식물을 감염시키는 세균으로, 수목으로 전파되는 주요한 수단은 매개충입니다. 매개충은 파이토플라스마를 감염시킨 후 다른 식물로 이동하면서 전파됩니다. 바람이나 물, 농기계는 파이토플라스마 전파에는 큰 역할을 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초화류의 재배에 알맞은 토양조건이 아닌 것은?

  1. 배수성
  2. 통기성
  3. 보비성
  4. 점토성
(정답률: 79%)
  • 초화류는 물이 많이 들어오면 안 되기 때문에 배수성이 좋은 토양이 적합하며, 뿌리가 잘 발달해야 하므로 통기성도 중요합니다. 또한 초화류는 비료를 많이 필요로 하기 때문에 보비성도 중요합니다. 하지만 초화류는 뿌리가 얕고 작기 때문에 점토성 토양은 뿌리가 발달하기 어렵습니다. 따라서 점토성은 초화류의 재배에 알맞지 않은 토양조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다음 중 조경공간의 이용관리에 해당되는 것은?

  1. 식재수목에 대한 관리
  2. 기반시설물에 대한 관리
  3. 관리예산과 조직에 대한 관리
  4. 행사에 대한 홍보 및 프로그램 관리
(정답률: 60%)
  • 행사에 대한 홍보 및 프로그램 관리는 조경공간의 이용을 증진시키기 위한 활동으로, 조경공간을 이용하는 사람들에게 행사 정보를 전달하고 프로그램을 계획하고 관리하여 조경공간을 더욱 활용할 수 있도록 돕는 것입니다. 따라서 조경공간의 이용관리에 해당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피레트린(Pyrethrin) 살충제는 충제의 어느 부분에 작용하여 효과를 내는가?

  1. 근육독
  2. 피부독
  3. 신경독
  4. 원형질독
(정답률: 71%)
  • 피레트린은 신경독으로 작용하여, 곤충의 신경세포를 마비시키고 죽이는 효과를 나타냅니다. 이는 곤충의 신경세포에 있는 나트륨 채널을 차단하여 작용하는 것으로, 곤충의 근육을 마비시키고 움직임을 제어하는 신경신호를 차단하여 죽음을 유발합니다. 따라서 피레트린은 곤충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살충제로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어떤 농약을 500배로 희석하여 10아르(a)당 100리터씩 3헥타아르(ha)에 처리하고자 할 때 필요한 농약의 양은 얼마인가?

  1. 1.5kg
  2. 6kg
  3. 15kg
  4. 30kg
(정답률: 43%)
  • 500배로 희석하면 농약의 농도는 1/500이 됩니다. 따라서 10아르(a)당 필요한 농약의 양은 100리터 x 1/500 = 0.2리터입니다. 3헥타아르(ha)에는 30아르(a)가 있으므로, 필요한 농약의 총 양은 0.2리터 x 30아르 = 6리터입니다. 농약의 밀도가 1kg/L이라고 가정하면, 필요한 농약의 양은 6리터 x 1kg/L = 6kg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6kg"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조경수 병징(symptom)에 해당하는 것은?

  1. 잎의 변색
  2. 균사체
  3. 포자
  4. 버섯
(정답률: 69%)
  • 조경수 병징의 증상 중 하나인 "잎의 변색"은 식물의 잎이 노랗게 변하거나 갈색으로 변색되는 것을 말합니다. 이는 균사체나 포자, 버섯 등의 병원체에 의해 식물의 조직이 파괴되어 발생하는 증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다음 중 솔나방(송충이)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번데기는 방추형이고 갈색이며 고치는 긴 타원형이고 황갈색이며 표면에 유충의 센털이 군데군데 박혀 있다.
  2. 일년중에서 6~7월에 주로 소나무 잎에 붙어 있는 고치속의 번데기를 집게로 따서 죽이거나 소각한다.
  3. 알에서부터 성충이 되기까지는 자연폐사율이 낮다.
  4. 나무껍질이나 지피물 사이에서 5령충으로 월동한다.
(정답률: 63%)
  • "알에서부터 성충이 되기까지는 자연폐사율이 낮다."가 틀린 설명이 아니다.

    솔나방(송충이)은 번데기와 성충으로 이루어진 곤충으로, 번데기는 소나무 잎에 붙어서 성장하며, 일정 기간이 지나면 성충으로 변태하여 나무껍질이나 지피물 사이에서 월동하게 된다. 이때 알에서부터 성충이 되기까지는 자연폐사율이 낮다는 것은, 번데기가 성장하는 동안에도 많은 수의 개체가 살아남아 번식을 이어나갈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알에서부터 성충이 되기까지는 자연폐사율이 낮다."는 올바른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다음 광원의 종류 중 가장 평균 수명이 긴 것은?

  1. 백열등
  2. 형광등
  3. 수은등
  4. 할로겐등
(정답률: 89%)
  • 수은등은 다른 광원에 비해 가장 평균 수명이 길다. 이는 수은등이 발광체로 수은 증기를 사용하기 때문이다. 수은 증기는 안정적이며 오랫동안 발광을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수명이 길다. 또한 수은등은 에너지 효율성이 높아서 에너지 비용을 절약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잡초 종자가 발아되기 전 토양에 살포하면 발아할 때 뿌리에서 흡수되어 잡초를 없앨 수 있는 것은?

  1. 패러쾃디클로라이드액제
  2. 염소산염제
  3. 시마진수화제
  4. 나드분제
(정답률: 72%)
  • 시마진수화제는 잡초의 뿌리를 파괴하여 제거할 수 있는 제초제입니다. 따라서 잡초 종자가 발아되기 전 토양에 살포하면 발아할 때 뿌리에서 흡수되어 잡초를 없앨 수 있습니다. 다른 보기들은 잡초를 제거하는데 효과적이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농약의 구비조건으로 틀린 것은?

  1. 다른 약재와 혼용이 어려워야 한다.
  2. 적은 양으로도 약효가 확실하여야 한다.
  3. 인축에 대하여 피해를 주지 않아야 한다.
  4. 사용 작물에 대하여 약해를 일으키지 않아야 한다.
(정답률: 86%)
  • "다른 약재와 혼용이 어려워야 한다."는 농약의 안전성을 보장하기 위한 조건 중 하나입니다. 다른 약재와 혼용하면 상호작용이 일어나서 예상치 못한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농약은 가능한 단독으로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잔디관리 중 통기갱신용 작업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코링(coring)
  2. 롤링(rolling)
  3. 슬라이싱(slicing)
  4. 스파이킹(spiking)
(정답률: 80%)
  • 잔디관리 중 통기갱신용 작업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롤링(rolling)"입니다. 이는 잔디를 굴려서 밀어주는 작업으로, 통기갱신과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습니다. 코링(coring), 슬라이싱(slicing), 스파이킹(spiking)은 모두 잔디의 통기갱신을 위한 작업으로, 각각 잔디에 구멍을 뚫어주거나, 칼로 잔디를 자르거나, 지면에 작은 구멍을 뚫어주는 등의 작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국립공원의 관리 중 순환개방에 의한 휴식기간 확보를 위한 관리방법은 무엇을 말하는가?

  1. 이용객의 수요가 충당될 수 있는 충분한 공간이 개발, 확보되어 교대로 폐쇄와 개방이 이루어지면서 관리가 이루어지는 방법
  2. 계속 개방되어 이용객이 충분한 공간을 이용하면서 관리하는 방법
  3. 일정 부분을 개방하여 관리하는 방법
  4. 자연적으로 회복 가능하도록 개방하는 관리방법
(정답률: 68%)
  • 국립공원에서 순환개방에 의한 휴식기간 확보를 위한 관리방법은 "이용객의 수요가 충당될 수 있는 충분한 공간이 개발, 확보되어 교대로 폐쇄와 개방이 이루어지면서 관리가 이루어지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이용객들이 충분한 공간을 이용하면서도 자연환경을 보호하고 유지할 수 있도록, 일정 기간 동안 개방하고 일정 기간 동안 폐쇄함으로써 관리를 이루는 방법입니다. 이를 통해 자연환경의 회복과 보호를 동시에 이룰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다음 전지 및 전정 할 때 일반적으로 잘라야 하는 가지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줄기의 중간부분에 돋아난 가지
  2. 개화 · 결실 가지
  3. 안으로 향한 가지
  4. 아래를 향한 가지
(정답률: 79%)
  • 개화 · 결실 가지는 식물의 생식과 관련된 가지로, 잘라서는 안 되는 가지입니다. 이 가지는 꽃과 열매를 결실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잘라버리면 생산성이 떨어지게 됩니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잘라야 하는 가지는 "줄기의 중간부분에 돋아난 가지", "안으로 향한 가지", "아래를 향한 가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다음 중 생리적 반응상 산성 비료에 해당되는 것은?

  1. 황산칼륨
  2. 석회질소
  3. 용성인비
  4. 중과린산석회
(정답률: 49%)
  • 황산칼륨은 산성 비료에 해당됩니다. 이는 황산이 함유되어 있어 pH가 낮아지기 때문입니다. pH가 낮아지면 토양의 산성도가 높아지며, 이는 산성을 좋아하는 작물의 생장에 유리합니다. 또한, 황산칼륨은 칼륨과 황을 함유하고 있어 작물의 생장과 열매의 수확량을 높이는데 효과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도로의 포장상태 유지를 위해 고려해야 할 사항이 아닌 것은?

  1. 도로포장에 설치된 배수시설을 점검한다.
  2. 지하 매설물의 파손을 점검한다.
  3. 포장면의 수평면을 확인한다.
  4. 도로면의 질감 변화를 살핀다.
(정답률: 67%)
  • 도로면의 질감 변화를 살핀다는 것은 도로면의 표면상태를 확인하는 것으로, 이는 도로의 안전성과 편의성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유지보수에 중요한 요소이다. 따라서 이는 도로의 포장상태 유지를 위해 고려해야 할 사항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콘크리트의 균열을 줄이기 위한 종합적인 대책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수화열이 낮은 시멘트를 선택할 것
  2. 양생방법에 주의할 것
  3. 1회의 타설 높이를 줄일 것
  4. 단위 시멘트량을 많게 할 것
(정답률: 74%)
  • 단위 시멘트량을 많게 할 경우, 콘크리트의 강도는 증가하지만 균열 발생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에 종합적인 대책으로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